KR100492221B1 -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 Google Patents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221B1
KR100492221B1 KR10-2002-0046614A KR20020046614A KR100492221B1 KR 100492221 B1 KR100492221 B1 KR 100492221B1 KR 20020046614 A KR20020046614 A KR 20020046614A KR 100492221 B1 KR100492221 B1 KR 10049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formwork
synthetic resin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614A (ko
Inventor
안승한
Original Assignee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4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2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 및 프레임이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재(10)를 지지하는 틀체부(40)와, 상기 틀체부(40)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제 판재(10)로 이루어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있어서, 합성수지제 판재(10)의 내부에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15)가 삽입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수지제 판재(10)의 외부면에 금속플레이트(16)가 결합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틀체부(40)는 프레임(20), 지지턱부(25), 앵글(30), 보강 프레임(120) 및 지지부(122)(130)로 구성되어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제조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외부 테두리 면(21)은 평면으로 성형되고, 그 평면상 외부 테두리 면(21)에는 파이프 후크(44)를 고정하기 위한 결착홈(26)과 플랫 타이 바(42)를 결착시키기 위한 절곡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22)에는 탄성 소재로 제조된 탄성 부재(24)가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120)의 내측에는 자체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 금속 보강부재(15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강도 및 휨강성이 우수하고 웨지핀(50)의 체결 시 프레임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Euro-Form Type Concrete Form Having Structure Reinforced}
본 발명은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로 제조한 판재에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를 삽입시키거나 금속플레이트를 결합시킴으로써 판재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에 개량된 구조를 부여하고, 금속 보강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강도 및 휨강성 등이 우수하고 웨지핀(wedge pin)의 체결 시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건축 분야에서는 건축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ㆍ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거푸집은 축조하여야 할 건축물의 종류 및 높이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아파트 등과 같은 빌딩형의 건축물의 경우 최근에는 일정 규격으로 정형화 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은 일정 규격으로 정형화되어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수회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판재(10)와, 상기 판재(10)를 지지하는 틀체부(40)로 구성된다. 틀체부(40)는 전체적으로 4각형을 이루며 판재(10)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철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 사이에 배치, 고정되어 판재(10) 및 프레임(20)을 보강하기 위한 앵글(30)로 되어있다.
또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은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테두리 면에는 파이프 후크(pipe hook) 및 웨지핀(wedge pin)이 체결될 수 있는 웨지 구멍(2a)과, 납작하고 길이가 긴 사각형의 플랫 타이 바(flat tie bar)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2b)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프레임(20)의 내부에는 프레임(20) 및 판재(10)를 보강하기 위한 앵글(30)이 적절히 배열되어 있으며, 판재(10)는 프레임(20)의 전면에 배치되어서 리벳 등으로 체결된다.
종래,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의 판재(10)는 통상적으로 목재 합판을 많이 사용해 왔다. 그 이유는, 목재 합판은 여러 개의 단판들이 적층되어 제작되므로 그 두께나 중량에 비하여 휨 하중에 대한 커다란 저항 능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목재 합판은 재료의 특성상 내수성 및 내구성이 부족하여 통상 5 내지 10회 사용 후 교체해야 한다. 또한, 목재 합판은 콘크리트에 잘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므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탈리되는 과정에서 표면이 손상되는 정도가 커서 반복사용의 횟수가 크게 제한된다. 아울러, 목재 합판은 프레임(20)의 전면에 배치되어서 리벳 등으로 체결됨에 따라 거푸집 탈형 시 콘크리트 타설 면에 리벳 자국이 남아 있어 이를 마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 목재 합판 대신에 합성수지로 제조한 판재(10)를 철제로 성형되거나 합성수지로 제조한 프레임(20)에 결합시킨 유로폼 타입 거푸집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제 판재(10)는 목재 합판에 비해 내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길고 콘크리트 접합 면과 쉽게 분리되는 즉, 탈형의 용이함 등의 이점이 있으나,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부족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목재 합판보다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제 판재(10)를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의 프레임(20)에는 플랫 타이 바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2b)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프레임(20)의 테두리 면으로부터 돌출된 융기부(6)가 연장하여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프레임(20)의 전체 테두리를 따라서 요(凹)자형(단면에서 보았을 때) 부분, 즉 도 1에서 도면 부호 5로 도시한 요부를 형성시킨다. 종래의 이러한 거푸집(1)을 연속 배열하여 체결하게 되면 어느 한 거푸집(1)의 프레임(20)의 요부(5)와 인접하는 다른 거푸집(1)의 프레임(20)의 요부(5)가 서로 맞닿아서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위에서부터 그 공간 안으로 미경화 콘크리트(생콘크리트)가 침입하여 경화된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체결홈(2b) 사이의 틈을 통해서도 상기 요부(5)에 의해 형성된 공간 안으로 미경화 콘크리트가 침입하여 경화된다. 특히, 건축 구조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거푸집 2개의 체결홈(2b)이 형성하는 틈을 통해서 요부(5) 안으로 더 많은 미경화 콘크리트가 침입해서 그곳에 더 많은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1)을 탈형할 때, 인접하는 거푸집(1)의 두 요부(5)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요부(5) 자체에 그리고 체결홈(2b) 안에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고착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두 거푸집(1)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소요되었다. 더욱이, 인접하는 거푸집을 서로 분리시킨다 해도 요부(5) 안에는 여전히 콘크리트가 고착되어 있으므로 거푸집의 중량이 가중화 되었고, 재사용을 위해서는 요부(5) 안에 고착된 콘크리트를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의 재생 작업 시, 요부(5) 안에 고착된 콘크리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샌드블라스트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샌드블라스트 방법을 이용해 수회 재생작업을 하게 되면 거푸집의 판재(10) 및 프레임(20) 자체에 자국이 형성되거나 강성이 점차 열화되어 재생되는 거푸집의 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20)의 구조적인 문제점들을 해소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대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2001년 9월 29일 출원)에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프레임을 합성수지로 제조하면서 프레임의 외부 테두리 면을 평면으로 성형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거푸집(1)의 프레임(20)과 같이 요부가 형성되지 않게 하여 프레임의 테두리 면에 경화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하고, 플랫 타이 바(간격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에도 경화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하여 탈형 후에도 거푸집의 중량이 가중되지 않고 취급이 간편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안하였다.
즉, 본 발명자는 도 2a 및 도 2b에 보인 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에 판재(10), 프레임(20), 및 앵글(30)을 합성수지로 제조하면서, 상기 프레임(20)의 외부 테두리 면(21)은 평면으로 성형되고, 그 평면상 외부 테두리 면(21)에는 파이프 후크(결착 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착홈(26)과 플랫 타이 바(간격대)를 결착시키기 위한 절곡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22)에는 그에 상응하는 크기로 탄성 소재를 가지고 제조된 탄성 부재(24)가 삽입, 고정되어 그 절곡홈(22)을 평평하게 메우고, 상기 프레임(20)의 전면(前面)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한 폭으로 판재(10)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의 내부 테두리 홈(25')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전면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서 판재(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테두리 홈(25')에 상기 합성수지제 판재(10)가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00464호(2002년 1월 4일 출원)에 본 발명자가 제시한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의 개량된 발명으로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프레임에 보강된 구조(보강 프레임)를 부여하되,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을 이용하여 판재와 프레임을 일체로 성형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자가 제안한 상기 특허출원 제10-2002-0000464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의 개량된 발명으로서 더욱더 보강된 프레임 구조를 부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특허출원 제10-2002-0000464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의 명세서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하고,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된 부분은 본 명세서의 해당 설명 부분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한편, 도 1에 보인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mold)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푸집(1)을 연속적 또는 단락적으로 배치하여 프레임(20)의 웨지 구멍(2a)과 인접하는 거푸집(1)의 프레임(20)에 형성된 웨지 구멍(2a)에 도 3에 보인 바와 같은 자체 웨지 구멍(52a)이 형성된 웨지핀(50)으로 연결하여 양측면을 형성시키고, 이와 동시에 양측면의 거푸집(1) 간은 프레임(20)에 형성된 체결홈(2b)에 플랫 타이 바를 위치시킨 후 플랫 타이 바에 형성된 웨지 구멍과 프레임(20)에 형성된 웨지 구멍(2a)을 웨지핀(50, 도 3참조)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일정한 두께를 갖는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거푸집(mold)을 형성시킨다.
일반적으로, 유로폼 타입 거푸집(1) 상호간을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50)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자체 웨지 구멍(52a)이 형성된 몸통부(52)와, 이와 일체로 성형된 머리부(51)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머리부(51)와 몸통부(52)는 수평적으로 연장되어 있어 웨지핀(50)은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웨지핀(50)은 통상적으로 철제로 제조되는데, 이에 따라, 합성수지로 제조한 프레임을 갖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적용하게 되면 머리부(51)의 납작한 면(51a)에 의해 프레임의 웨지 구멍이 확장되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은 웨지핀(50)을 합성수지제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에 웨지 구멍의 확장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인접하는 거푸집(1) 상호간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웨지핀(50)은 거푸집(1)의 내측에서 끼워지는 데, 도 1에 보인 종래의 거푸집(1)은 프레임(20)의 웨지 구멍(2a)이 형성된 부분과 앵글(30)이 직선 상으로 연결되어 있어, 거푸집(1)의 내측에서 상기 웨지 구멍(2a)에 웨지핀(50)을 끼우기 위하여 앵글(30)의 단부에는 작은 구멍의 핀홀(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거푸집(1)은 웨지 구멍(2a)과 앵글(30)이 직선으로 연결됨에 따라 앵글(30)에 형성된 작은 구멍의 핀홀(30a)을 통한 웨지핀(50) 결합작업을 하게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용이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재를 지지하는 틀체부와 합성수지로 제조한 판재로 이루어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판재의 내부에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를 삽입시킴으로써 판재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합성수지제 판재의 외부면에 판상의 금속플레이트를 결합시킴으로써 판재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면서 더욱 매끄러운 콘크리트 타설면을 갖도록 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틀체부를 합성수지로 제조하면서 프레임의 외부 테두리 면이 평면으로 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프레임과 같이 요부가 형성되지 않게 하여 프레임의 테두리 면에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하고, 플랫 타이 바의 체결을 위한 홈에도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보강 프레임을 형성시켜 개량된 보강 구조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형성시켜 판재의 보강과 아울러 프레임에 개량된 구조를 부여하여 거푸집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지핀이 체결되는 상기 보강 프레임의 내측에 금속 보강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납작한 형상의 철제 웨지핀에 의해 프레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전체적으로 4각형을 이루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내부를 적절한 간격으로 구획하며 지지하는 앵글(30)로 구성되어 판재(10)를 지지하는 틀체부(40)와, 상기 틀체부(40)의 전면(前面)에 결합되어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합성수지제 판재(1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제 판재(10)의 내부에는 판재(10)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15)가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합성수지제 판재(10)의 내부에 금속망체(15)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을 구성하는 상기 틀체부(40)는 철제를 포함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도 제조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20) 및 앵글(30) 외에 다른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재(10)를 지지하는 틀체부(40)와, 합성수지로 제조된 판재(10)로 이루어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판재(10)의 내부에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15)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망체(15)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판재(10)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철, 비철 금속 또는 합금 등과 같은 금속을 그물 구조로 가공하여 판재(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금속망체(15)는 도 5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철망 형상을 갖는 그물 구조이거나, 또는 도 5b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에 사각형상의 다수의 셀(15a)을 일정한 간격으로 판금 가공시켜 그물 구조를 갖게 한 것으로서 판재(10)의 치수에 맞게 절단하여 판재(10)의 성형과정에서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판재(10)와 일체로 그 내부에 삽입,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판재(10)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판재(10)의 중앙에 내입시키지 않고,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판재(10)의 외부면 즉 콘크리트와 접합되는 면에 금속플레이트(16)를 결합시킨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금속플레이트(16)는 그물 구조를 갖지 않으며, 매끄러운 콘크리트 타설면을 갖도록 얇은 판형상으로 매끄럽게 성형되어 판재(10)의 성형과정에서 판재(10)와 접합되는 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7)에 의해 판재(10)와 결합된다.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금속플레이트(16)는 콘크리트와 접합되는 면은 매끄러운 면을 가지며, 판재(10)와 접합되는 면은 다수의 결합돌기(1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금속플레이트(16)는 판재(10)의 성형과정에서 판재(10)와 결합되는데, 금속플레이트(16)와 판재(10)는 그 결합면에 맞물림 구조를 가지면서 결합된다. 즉, 금속플레이트(16)의 결합돌기(17)를 도 7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판재(10)와 맞물림 결합구조를 갖도록 "Ω"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판재(10)와 접합되는 면에 길게 연장되게 형성시키고, 여기에 판재(10)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수지 용융물을 경화시켜 판재(10)의 성형과 동시에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결합돌기(17)에는 요입홈(17a)을 마련하여 이 요입홈(17a)에 합성수지 용융물이 매입되어 경화되게 함으로써 좀 더 견고한 결합구조가 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돌기(17)는 경량화를 도모하도록 도 7b에 보인 바와 같이 요입홈(17a)이 형성된 단판 형상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틀체부(40)는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4각형을 이루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 보강 프레임(120), 그리고 상기 보강 프레임(120)의 내부를 적절한 간격으로 구획하며 지지하는 앵글(30)로 구성하되 이들을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의 외부 테두리 면(21)은 평면으로 성형하되 여기에는 플랫 타이 바(flat tie bar)가 결합되는 절곡홈(22)과, 파이프 후크(pipe hook)가 체결되는 결착홈(26)을 번갈아 형성하고, 절곡홈(22)에는 탄성 부재(24)를 착설한다. 이러한 절곡홈(22) 및 결착홈(26)에는 웨지핀(50)을 끼울 수 있는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홈(22)은 거푸집(100)의 배면에서부터 판재(10)가 있는 거푸집(100)의 정면 끝까지 형성되어지나, 결착홈(26)은 거푸집(100)의 배면에서부터 판재(10)가 있는 거푸집(100)의 정면 부분의 임의의 지점까지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20)의 절곡홈(22)에는 탄성 부재(24)가 착설되어 있고, 결착홈(26)은 거푸집(100)의 정면, 즉 콘크리트 타설 면에까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거푸집(100)의 정면은 미경화 콘크리트가 인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8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도 9a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20)과 보강 프레임(120)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고 판재(10)를 지지하는 지지턱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턱부(25)는 프레임(20) 및 보강 프레임(120)과 일체로 성형되어 틀체부(40)를 구성한다.
또한, 프레임(20)의 절곡홈(22)이 형성된 부분과 결착홈(26)이 형성된 부분에는 프레임(20)과 보강 프레임(120)을 연결하여 웨지핀(50)의 결합 시 휨을 방지하는 보강 지지부(122)가 형성되며, 이 역시 프레임(20) 및 보강 프레임(120)과 일체로 성형되어 틀체부(40)를 구성한다. 이러한 보강 지지부(122)에는 웨지핀(50)을 끼울 수 있는 웨지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120)에도 보강 지지부(122)의 웨지 구멍(20a)과 관통하여 웨지핀(50)을 끼울 수 있도록 웨지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의 C-C'선 단면도를 도시한 도 9b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20), 보강 지지부(122) 및 보강 프레임(120)에는 일직선상으로 웨지핀(50)을 끼울 수 있도록 웨지 구멍(20a)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프레임(20)의 내측 모서리와 보강 프레임(120)의 외측 모서리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여 거푸집(100)의 모서리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모서리 지지부(130)가 형성되며, 이 역시 프레임(20) 및 보강 프레임(120)과 일체로 성형되어 틀체부(40)를 구성한다. 이 때 프레임(20)(120)과 모서리 지지부(130)의 연결부위는 도 8에 도시한 대로 약간의 곡선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거푸집(100)의 골격을 이루는 틀체부(40)의 모서리 부분에 더욱더 큰 강성을 부여한다.
상기 탄성 부재(24)는 생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제조된 탄성체로서 여기에도 웨지핀(50)을 끼울 수 있는 웨지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탄성 부재(24)는 절곡홈(22)을 완전히 메울 수 있도록 절곡홈(22)에 상응하는 크기로 제조하여 절곡홈(22)에 착설한다. 탄성 부재(24)는 틀체부(40)를 미리 성형한 다음 절곡홈(22)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착설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4)는 거푸집(100)의 정면에 미경화 콘크리트가 인입될 수 있는 홈이 없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성형하여 수축성을 갖게 함으로써 절곡홈(22)에 플랫 타이 바를 체결 시 플랫 타이 바의 가압에 따라 수축되어 절곡홈(22)에 플랫 타이 바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도 10a 및 도 10b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보강 프레임(120)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므로 그 내측에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은 철제 웨지핀(50)의 체결에 따른 보강 프레임(1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 부분에 자체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 금속 보강부재(150)가 결합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 부분에 금속 보강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금속 보강부재(150)의 크기에 상응하는 결합홈(125)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보강부재(150)를 끼운 다음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판상의 금속 보강부재(150)에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시켜 나사 조립에 의해 보강 프레임(1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판형상의 기판(152)과,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끼움결합부(154), 그리고 웨지 구멍(20a)을 갖도록 성형하여 상기 끼움결합부(154)가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에 견고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끼움결합부(154)에는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에 끼워져 결합된 후 빠지지 않도록 좌우측에 걸림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끼움결합부(154)를 가지는 금속 보강부재(150)를 웨지 구멍(20a)에 견고하게 끼움 결합시키는 방법은 미리 성형된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에 끼움결합부(154)가 삽입되도록 가압하여 끼운다. 그리고 좀 더 견고한 결합이 되도록 나사조립을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4)와 금속 보강부재(150)를 틀체부(4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틀체부(40)를 성형하는 단계에서 틀체부(40)의 성형과 탄성 부재(24) 및 금속 보강부재(150)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틀체부(40)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수지 용융물을 얻은 다음 별도로 성형된 탄성 부재(24)를 틀체부(40) 제작용 금형(mold)의 절곡홈(22)이 형성될 위치에 장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금속 보강부재(150)를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이 형성될 위치에 장착시킨 후 상기 합성수지 용융물을 금형에 주입하여 합성수지 용융물에 탄성 부재(24)의 하단부 및 금속 보강부재(150)의 끼움결합부(154) 둘레면이 매입되게 한다. 이에 따라, 용융물이 경화되면 탄성 부재(24)는 절곡홈(22)에 고착되고, 보강부재(150)는 보강 프레임(120)에 끼움 결합된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10b에서와 같이 보강 프레임(120)에 일체로 연결되는 앵글(30)은 보강 프레임(120)에 형성된 웨지 구멍(20a)과 일직선이 되지 않게 하여 웨지 구멍(20a)과 앵글(30)의 단부가 맞닿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연결하여 틀체부(4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거푸집(100) 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웨지핀(50)의 체결 시 종래와 같이 핀홀(30a)을 통하지 않고도 거푸집(100)의 내측에서 웨지핀(50)을 쉽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웨지핀(50)의 결합 및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판재(10)의 지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틀체부(40)의 중앙 부분에 보강 앵글(3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앵글(30')도 프레임(20), 보강 프레임(120) 및 앵글(30)과 일체로 성형되어 틀체부(40)를 구성하며, 이는 또한 앵글(30)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거푸집(100)의 강도 및 휨강성을 더욱 보강한다.
또한, 도 12에 보인 바와 같이 판재(10)의 내부에 금속망체(15)를 삽입시켜 거푸집(100)을 구성할 경우 거푸집(100)에 더욱더 매끄러운 표면을 갖게 하기 위하여 거푸집(100)의 전면(前面), 즉 콘크리트 타설 면이 되는 거푸집(100)의 표면에는 표면 수지층(11)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표면 수지층(11)은 거푸집(100)을 제조한 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를 코팅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표면 수지층(11)은 콘크리트 건축물과 분리성을 양호하게 하고 더욱더 매끄러운 콘크리트 타설 면을 갖게 한다. 아울러, 표면 수지층(11)은 판재(10)와 틀체부(40)의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서는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테두리 면(21)에 탄력성의 완충 시트(28)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14a 및 도 14b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테두리 면(21)을 따라서 상부에는 팽창조절부(29)를 돌출시켜 일체로 형성시키고, 그 중앙에는 다수의 팽창조절돌기(29')를 돌출시켜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시트(28), 팽창조절부(29) 및 팽창조절돌기(29')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mold)을 구축하는 방법은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을 사용하여 구축하는 방법과 거의 같다. 이를 도 15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거푸집(100)을 연속적 또는 단락적으로 그리고 수평적 또는 수직적으로 배치하여 어느 한 거푸집(100)의 틀체부(40)에 형성된 웨지 구멍(20a)과 인접하는 다른 거푸집(100)의 틀체부(40)에 형성된 웨지 구멍(20a)에 도 3에 보인 바와 같은 웨지핀(50)을 체결하여 양측면(도 15에서 보았을 때 전방, 후방)을 형성시키고, 이와 동시에 양측면의 거푸집(100) 간은 프레임(20)에 착설된 탄성 부재(24)에 플랫 타이 바(42)를 위치시킨 후 가압한 다음 플랫 타이 바(42)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랫 타이 바(42)의 웨지 구멍과 프레임(20)에 형성된 절곡홈(22)의 웨지 구멍(20a)을 웨지핀(50)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일정한 두께를 갖는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는 거푸집(mold)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거푸집(100)의 배면에 종횡으로 파이프(43)를 배치시키고 자체 웨지 구멍이 형성된 파이프 후크(44)를 사용하여 파이프(43)와 거푸집(100)을 결착시킬 수 있다. 즉, 프레임(20)에 형성된 결착홈(26)의 웨지 구멍(20a)과 파이프 후크(44)의 웨지 구멍을 웨지핀(50)으로 체결하고, 파이프(43)에 파이프 후크(44)를 걸어 파이프 후크(44)의 단부를 파이프(43)에 감아 마무리함으로써 파이프(43)와 거푸집(100)을 견고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이프(43)의 결합에 따라 인접하는 거푸집(100) 상호간은 더욱 튼튼하게 결합된다. 도 15는 도 8에 보인 본 발명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을 가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mold)을 구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수직, 수평적으로 거푸집(100)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시킬 경우 콘크리트 타설 면, 즉 거푸집(100)의 정면에 미경화 콘크리트가 인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20)의 외부 테두리 면(21)이 평면상으로 되어 있어 인접하는 프레임(20) 간에도 종래와 같은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100)은 판재(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된 금속망체(15) 또는 판재(10)의 외부면에 결합된 금속플레이트(16)에 의해 판재(10)의 강도가 보강되어 판재(10)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보강 프레임(120)에 결합된 금속 보강부재(150)에 의해 건축현장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철제 웨지핀(50)의 체결 시에도 합성수지제의 보강 프레임(120)에 형성된 웨지 구멍(20a)을 확장시키나 훼손시키는 일이 없다.
이하에서는 도 8에 보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제조방법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바람직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틀체부(40)를 이루는 프레임(20), 지지턱부(25), 앵글(30), 보강 프레임(120) 그리고 지지부(122)(130)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판재(10)와는 별도로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판재(10)는 그 성형과 동시에 상기 틀체부(40)의 전면(前面)에 합판 결합된다.
상기 틀체부(40)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ABS),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A),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멜라민, 에폭시, 불포화폴리에스테르(PET), 알키드 수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에폭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알키드 수지 등과 같은 경화 시 강도가 높은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을 사용한다.
위와 같은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틀체부(40)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수지 용융물을 얻고, 상기 합성수지 용융물을 금형에 주입하여 틀체부(40)를 사출 성형한다.
후속하여, 거푸집(100) 제작용 형상을 갖는 금형에서 판재(10)의 성형공정과 판재(10)를 틀체부(40)에 합판하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금형에 판재(10) 성형용 합성수지 용융물을 주입하고, 그 용융물에 금속망체(15)를 삽입한 다음, 미리 성형된 틀체부(40)를 올려놓고 가압, 경화시킨다.
또한, 도 6에 보인 바와 같은 금속플레이트(16)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금형에 금속플레이트(16)를 그 결합돌기(17)가 위로 향하도록 안착시킨 다음 판재(10) 성형용 합성수지 용융물을 주입하고, 용융물이 결합돌기(17)의 요입홈(17a)에 충분히 매입되게 한 다음, 미리 성형된 틀체부(40)를 올려놓고 가압, 경화시킨다.
상기 판재(10)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수지로는 틀체부(40)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하는 합성수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ABS) 등과 비교적 용융점이 낮은 열가소성 수지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틀체부(40)와 판재(10)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산업 현장이나 가정에서 폐기되는 폐합성수지를 포함한다. 즉,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류가 혼합된 폐기물을 종류별로 분리한 후 분쇄하거나 혼합된 상태로 분쇄하여 용융시킨 1종 또는 2종이상의 합성수지가 혼합된 용융물을 사용할 수 있다.
판재(10) 성형용 합성수지를 틀체부(40)와 동일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판재(10)와 틀체부(40)를 별도로 각각 성형한 후 이들을 가열, 용착시켜 결합시킨다. 위와 같이 틀체부(40)와 판재(10)를 별도로 성형한 후 결합시키는 이유는 용융점이 높은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판재(10)의 성형 및 틀체부(40)와의 합판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면 그 높은 용융온도에 의해 틀체부(40)가 연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판재(10)의 성형재료를 열가소성 수지로 사용하게 되면 판재(10)의 성형공정과 판재(10)를 틀체부(40)에 합판하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판재(10)와 틀체부(40)의 합판 공정이 끝나면, 약 24시간 ~ 72시간 정도 상온에 방치시킨 후 표면(프레임의 테두리 면 등)을 매끄럽게 하는 표면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규격화된 사이즈(size)로 절단하는 절단작업을 수행한 후, 틀체부(40)에 웨지 구멍(20a)을 형성시키는 천공작업을 수행한다. 천공작업은 예를 들어, 엔드밀(End Mill)이나 드릴(Drill)을 사용하여 둥근 구멍을 형성한 후 엔드릴(또는 드릴)을 상하로 이동시켜 납작한 웨지핀(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타원형의 웨지 구멍(20a)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사각 형상을 가지는 웨지 구멍(20a)이 도시되어 있으나 위와 같이 엔드밀이나 드릴을 사용하면 타원형의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하여 별도로 성형된 탄성 부재(24)를 프레임(20)에 접착제로 견고하고 접착시키고, 보강 프레임(120)의 내측에는 금속 보강부재(150)를 결합시킨다. 금속 보강부재(15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끼움결합부(154)를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에 가압하여 삽입시킨다. 그리고, 좀 더 견고한 결합이 되도록 나사조립을 할 수 있다.
또한, 판재(10)가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15)가 그 내부에 삽입되어 성형된 경우에는 틀체부(40)와의 합판 공정이 끝나면, 거푸집(100)의 전면(前面), 즉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표면에 표면 수지층(11)의 형성공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표면 수지층(11)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수지층(11)을 형성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거푸집(100) 본체의 전면(前面), 즉 콘크리트 타설 면이 되는 거푸집(100)의 표면(판재 측)에 전열판을 통과시켜 상기 거푸집(100)의 표면이 끈적끈적한 겔화 상태가 되게 한다. 이는 거푸집(100) 본체의 표면에 코팅되어져 표면 수지층(11)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용융물이 거푸집(100)의 표면과 잘 점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계속하여, 표면이 겔화상태로 연화된 거푸집(100)의 표면에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용융물을 코팅한 후 경화시키면 표면 수지층(11)이 형성되어 표면이 더욱 매끄러운 거푸집(100)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는 경화되면 수축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약 24시간 ~ 72시간동안 상온에 방치하여 완전 수축되게 한 다음 표면처리 및 절단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금형에서는 수축성을 감안하여 얻고자 하는 최종 사이즈보다 약간 큰 사이즈로 성형되게 한다. 일례로, 600㎜ ×1200㎜의 최종 사이즈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금형에서 약 605㎜ ×1205㎜의 사이즈로 성형되게 다음, 목적하는 최종 사이즈로 절단하여 규격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는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테두리 면(21)에 완충 시트(28)를 형성시킬 수 있다. 틀체부(40)를 특히 여러 종류의 합성수지가 혼합된 복합플라스틱으로 성형한 경우에는 건축현장에서의 햇볕 등의 외부 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 시 틀체부(40)가 팽창하여 약간 휘어져 굴곡이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굴곡이 생기면 여러 개의 거푸집(100)의 체결 시 인접하는 거푸집(100) 간에 틈이 생기고 거푸집(100)의 규격이 일정치 않아 시공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테두리 면(21)에 완충 시트(28)를 형성시키면 여러 개의 거푸집(100)의 체결 시에 거푸집(100)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거푸집(100)의 규격으로 산정한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어 시공에 불편함이 없다. 이때, 완충 시트(28)를 형성시킬 경우에는 금형에서 성형된 거푸집의 사이즈를 약 595㎜ ×1195㎜로 절단한 다음 완충 시트(28)를 형성시켜 완충 시트(28)의 수축을 감안한 최종 사이즈가 600㎜ ×1200㎜로 규격화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완충 시트(28)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폼 등을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약 2 ~ 5㎜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프레임(20)의 테두리 면에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열압착하여 형성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서는 틀체부(40)가 고온을 받아 팽창하여 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완충 시트(28)를 형성시키지 않고 틀체부(40)에 절삭부(45)를 형성시킬 수 있다(도 14b 참조). 상기 절삭부(45)는 거푸집(100)의 배면에서 시작하여 정면의 임의의 지점까지만 절삭하여 형성시킨다. 절삭부(45)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체부(4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시키거나 또는 웨지 구멍(20a)들 사이의 프레임(20)(120)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삭부(45)에 의해 틀체부(40) 자체에 틈이 생겨 팽창 시 굴곡이 생기지 않고 완충된다. 본 발명의 거푸입(100)은 판재(10)에 금속망체(15)나 금속플레이트(16)가 결합되어 있고, 틀체부(40)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보강구조로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부(45)가 형성되어도 강도에는 문제가 없다. 아울러, 고온에 의한 틀체부(40)의 팽창에 따른 완충성의 상승 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완충 시트(28)와 절삭부(45)를 모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성형물은 일반적으로 고온을 받을 경우 팽창되는 경우가 있는데, 합성수지 판재(10)는 폭이 넓으므로 그 팽창하는 정도가 크다.
특히 PE, PP, ABS 등의 여러 종류의 합성수지가 혼합된 복합플라스틱으로 합성수지 판재(10)를 성형한 경우에는 고온에서 합성수지 판재(10)가 팽창하여 폭이 넓어짐에 따라 거푸집(100)의 단면이 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거푸집(100)을 체결할 경우 판재(10) 쪽으로 볼록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므로 도 14a 및 도 14b에 보인 바와 같이 합성수지 판재(10)의 팽창 정도를 감안하여 프레임(20)의 테두리 면(21)에 팽창조절부(29)를 형성시킨다. 팽창조절부(29)는 프레임(20)의 테두리 면(21)을 따라서 상부에(도 14a 및 도 14b에서 보았을 때) 즉, 거푸집(100)의 배면 쪽에 돌출시켜 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테두리 면(21)의 중앙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팽창조절돌기(29')를 일체로 형성시킨다.
상기 팽창조절부(29)는 인접하는 다른 거푸집(100)의 프레임(20)에 형성된 팽창조절부(29)와 서로 맞닿게 되어 고온에 의해 합성수지 판재(10)가 팽창하여도 여러 개의 거푸집(100)이 체결되면 전체적으로 평평한 콘크리트 타설면을 갖게 한다. 이는 특히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1)과 본 발명의 거푸집(100)을 체결할 경우 종래의 거푸집(1)에 형성된 융기부(6)와 맞닿아서 합성수지 판재(10)가 팽창하여도 평평한 콘크리트 타설면을 갖게 하여 본 발명의 거푸집(100)과 종래의 거푸집(1)을 건축물 구축에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팽창조절돌기(29')는 본 발명의 거푸집(100)을 여러 개 체결할 때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합성수지 판재(10)의 팽창에 따른 팽창조절부(29)의 보완 효과와 아울러 웨지핀(50)의 결합 시 버팀목 역할을 한다. 즉, 프레임(20)의 상부에는 팽창조절부(29)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합성수지 판재(10)가 팽창함에 따라 그 중앙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웨지핀(50)의 결합 시 프레임(20)의 중앙부분이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조절돌기(29')는 판재(10)의 팽창 정도를 감안한 팽창조절부(29)의 보완 역할과 거푸집(100)의 체결 시 팽창조절부(29)의 형성에 따른 프레임(20)의 중앙 부분의 휨을 방지하는 버팀목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판재(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된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15) 또는 판재(10)의 외부면에 결합된 금속플레이트(16)에 의해 판재(10)의 휨 및 파손이 방지되어 우수한 강도 및 휨강성을 갖는다.
또한, 건축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납작한 머리부(51)를 갖는 철제 웨지핀(50)의 체결 시에 보강 프레임(120)의 내측에 결합된 금속 보강부재(150)에 의해 보강 프레임(120)에 형성된 웨지 구멍(20a)의 확장 또는 훼손 등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판재(10) 및 프레임(20)(120)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 프레임(120)에 앵글(30)을 연결함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120)에 형성된 웨지 구멍(20a)과 일직선이 되지 않게 하여 웨지 구멍(20a)과 앵글(30)의 단부가 맞닿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연결함으로써 인접하는 거푸집(100) 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웨지핀(50)의 체결 시 종래와 같이 핀홀(30a)을 통하지 않고도 거푸집(100)의 내측에서 웨지핀(50)을 결합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로 하여금 웨지핀(50)의 결합 및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100)은 이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시킬 경우, 프레임(20)의 외부 테두리 면(21)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면, 즉 거푸집(100)의 정면에 미경화 콘크리트가 인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판재(10)가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틀체부(40)에 그 성형과 동시에 견고하게 합판됨으로써 종래의 목재 판재와 철재 프레임을 리벳 등으로 체결한 거푸집(1)과 같이 거푸집 탈형 시 콘크리트 타설 면에 리벳 자국과 같은 흔적이 생기지 않고, 매끄러운 타설 면을 갖게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틀체부(40)와 판재(10)가 산업현장 또는 가정에서 폐기되는 다양한 종류의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경우에는 환경 보호 및 유용한 자원의 재활용에도 일조를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다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도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자가 제시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보인 사시도.
도 2b는 상기 도 2a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판재에 삽입되는 금속망체를 보인 것으로, 금속망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판재에 삽입되는 금속망체를 보인 것으로, 금속망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판재에 결합되는 금속플레이트를 보인 것으로, 금속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단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판재에 결합되는 금속플레이트를 보인 것으로, 금속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단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개량된 프레임 구조를 부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사시도.
도 9a는 상기 도 8의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9b는 상기 도 8의 C-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0a는 금속 보강부재가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8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 10b는 보강 프레임에 앵글이 연결되는 바람직한 모습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8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금속 보강부재를 보인 것으로, 금속 보강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표면 수지층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9a에 표면 수지층이 더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프레임의 테두리 면에 완충 시트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9a에 완충 시트가 더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프레임의 테두리 면에 팽창조절부 및 팽창조절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13에 팽창조절부 및 팽창조절돌기가 더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프레임의 테두리 면에 팽창조절부 및 팽창조절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8에 팽창조절부 및 팽창조절돌기가 더 형성된 모습을 보인 일부 절단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판재 11 : 표면 수지층
15 : 금속망체 16 : 금속플레이트
17 : 결합돌기 20 : 프레임
20a : 웨지 구멍 22 : 절곡홈
24 : 탄성 부재 25 : 지지턱부
26 : 결착홈 28 : 완충 시트
29 : 팽창조절부 29' : 팽창조절돌기
30 : 앵글 40 : 틀체부
42 : 플랫 타이 바 43 : 파이프
44 : 파이프 후크 45 : 절삭부
50 : 웨지핀 120 : 보강 프레임
122 : 보강 지지부 125 : 결합홈
130 : 모서리 지지부 150 : 금속 보강부재
152 : 기판 154 : 끼움결합부

Claims (9)

  1. 판재(10)를 지지하는 틀체부(40)와, 상기 틀체부(40)에 결합되는 판재(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재(1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그 내부에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15)가 삽입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틀체부(40)는 프레임(20), 지지턱부(25), 앵글(30), 보강 프레임(120) 및 지지부(122)(130)로 구성되어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외부 테두리 면(21)은 평면으로 성형되고, 그 평면상 외부 테두리 면(21)에는 플랫 타이 바(42)를 결합하기 위한 절곡홈(22)과 파이프 후크(44)를 고정하기 위한 결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22)에는 그에 상응하는 크기로 탄성 소재를 가지고 제조된 탄성 부재(24)가 삽입, 착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2. 판재(10)를 지지하는 틀체부(40)와, 상기 틀체부(40)에 결합되는 판재(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재(10)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판재(10)는 그 외부면에 요입홈(17a)이 마련된 결합돌기(17)가 형성된 금속플레이트(16)가 결합되고, 상기 틀체부(40)는 프레임(20), 지지턱부(25), 앵글(30), 보강 프레임(120) 및 지지부(122)(130)로 구성되어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외부 테두리 면(21)은 평면으로 성형되고, 그 평면상 외부 테두리 면(21)에는 플랫 타이 바(42)를 결합하기 위한 절곡홈(22)과 파이프 후크(44)를 고정하기 위한 결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22)에는 그에 상응하는 크기로 탄성 소재를 가지고 제조된 탄성 부재(24)가 삽입, 착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120)이 그 내측에 자체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 금속 보강부재(15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보강부재(150)가 판형상의 기판(152)과 이와 일체로 끼움결합부(1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30)이 보강 프레임(120)에 형성된 웨지 구멍(20a)과 일직선이 되지 않도록 하여 그 단부가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에 맞닿지 않도록 엇갈리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부(40)가 중앙의 앵글(30)을 연결하는 보강 앵글(3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이 그 테두리 면(21)에 탄력성의 완충 시트(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이 그 테두리 면(21)을 따라서 상부에 팽창조절부(29)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팽창조절돌기(29')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KR10-2002-0046614A 2002-08-07 2002-08-07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KR100492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614A KR100492221B1 (ko) 2002-08-07 2002-08-07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614A KR100492221B1 (ko) 2002-08-07 2002-08-07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14A KR20040013614A (ko) 2004-02-14
KR100492221B1 true KR100492221B1 (ko) 2005-05-31

Family

ID=3732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614A KR100492221B1 (ko) 2002-08-07 2002-08-07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19B1 (ko) 2009-07-06 2011-06-22 박희열 콘크리트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82779Y1 (ko) 2015-09-25 2017-03-07 서보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거푸집용 수평 보강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거푸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849B1 (ko) * 2002-09-04 2005-02-02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1966226B1 (ko) * 2017-02-01 2019-04-05 박한웅 거푸집 패널 벽체
KR102022239B1 (ko) * 2017-02-01 2019-09-19 박한웅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KR102402885B1 (ko) * 2022-01-03 2022-05-30 (주)자운 거푸집용 패널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944U (ko) * 1993-04-06 1994-11-17 이경열 콘크리트 거푸집용 조립판넬
JPH09221910A (ja) * 1996-02-15 1997-08-26 Akemasa Kurotani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00002289U (ko) * 1998-07-02 2000-02-07 김학선 거푸집용 유로폼패널
KR200179372Y1 (ko) * 1999-11-27 2000-04-15 송덕봉 거푸집
KR200268239Y1 (ko) * 2001-12-28 2002-03-15 영산개발 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KR200271524Y1 (ko) * 2001-09-29 2002-04-10 영산개발 주식회사 합성 수지 판재와 프레임을 이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프레임의 구조
KR20030012448A (ko) * 2001-08-01 2003-02-12 김신형 경사진 납작세움편 구조에 의한 능형철망을 심재로 하는폐수지를 이용한 거푸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944U (ko) * 1993-04-06 1994-11-17 이경열 콘크리트 거푸집용 조립판넬
JPH09221910A (ja) * 1996-02-15 1997-08-26 Akemasa Kurotani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00002289U (ko) * 1998-07-02 2000-02-07 김학선 거푸집용 유로폼패널
KR200179372Y1 (ko) * 1999-11-27 2000-04-15 송덕봉 거푸집
KR20030012448A (ko) * 2001-08-01 2003-02-12 김신형 경사진 납작세움편 구조에 의한 능형철망을 심재로 하는폐수지를 이용한 거푸집
KR200271524Y1 (ko) * 2001-09-29 2002-04-10 영산개발 주식회사 합성 수지 판재와 프레임을 이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프레임의 구조
KR200268239Y1 (ko) * 2001-12-28 2002-03-15 영산개발 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19B1 (ko) 2009-07-06 2011-06-22 박희열 콘크리트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82779Y1 (ko) 2015-09-25 2017-03-07 서보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거푸집용 수평 보강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14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001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KR100492221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KR100732603B1 (ko) 건물 벽체용 형틀 블럭
KR100469849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0465263B1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제조 방법 및 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KR200271524Y1 (ko) 합성 수지 판재와 프레임을 이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프레임의 구조
US20080199682A1 (en) Structural Elements Made From Syntactic Foam Sandwich Panels
KR100445450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복합재료 판재 및 이를 이용한복합재료 거푸집
KR200298064Y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JP2619225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該コンクリート型枠の製造方法
KR200268239Y1 (ko)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KR200271683Y1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KR101704762B1 (ko)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629B1 (ko)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플라스틱 거푸집
JP2619223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該コンクリート型枠の製造方法
KR102650471B1 (ko) 소형 구조물을 위해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비정형 거푸집 파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JP2517121B2 (ja) コンクリ−ト構造物とその製造方法
JP5777912B2 (ja) 防食被覆材と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209891532U (zh) 砌块
JPH02274965A (ja) 格子状スラブ用型枠構造及び該型枠構造を用いた脱型方法
KR101324063B1 (ko) 장섬유 보강 프레임 일체형 경량 거푸집 패널 제조방법
KR101461653B1 (ko) 부착 강도 증가를 위한 연결면 성형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JP2000246715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成形用型枠
JPH04201409A (ja) 石積等の模様形成用コンクリート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