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683Y1 -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683Y1
KR200271683Y1 KR2020020000266U KR20020000266U KR200271683Y1 KR 200271683 Y1 KR200271683 Y1 KR 200271683Y1 KR 2020020000266 U KR2020020000266 U KR 2020020000266U KR 20020000266 U KR20020000266 U KR 20020000266U KR 200271683 Y1 KR200271683 Y1 KR 200271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work
waste
euroform
wed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한
Original Assignee
영산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산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산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0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683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10)와, 개량된 구조를 갖는 프레임(20) 및 앵글(30)로 이루어진 틀체부(40)로 구성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에 있어서, 상기 판재(10)와 틀체부(40)를 다양한 종류의 폐플라스틱과 폐면, 폐지, 폐가죽, 톱밥 등의 용융물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하고, 거푸집(100)의 전면(前面), 즉 콘크리트 접합면에 표면 수지층(11)을 형성시킨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강도 및 경량성이 우수하며, 콘크리트 접합면과 분리성이 뛰어나고 매끄러운 콘크리트 타설 면을 갖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 간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체 체결공(210a)이 형성된 납작한 모양의 몸통부(210)와 직각이 되도록 판상의 머리부(220)를 형성시키고 합성수지로 제조함으로써 보강 프레임(120)에 판상의 머리부(220)의 평평한 면이 닿도록 하여 프레임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부식성이 없고 취급이 용이한 웨지핀(2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Euro-Form Type Concrete Form Made by Waste Plastic Material and Wedge Pin therefor}
본 고안은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과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폐플라스틱과 폐면, 폐지, 폐가죽, 톱밥 등의 용융물을 사용하여 판재와, 프레임 및 앵글로 구성된 틀체부를 일체로 성형하고, 콘크리트 접합면에 표면 수지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과 분리성이 뛰어나고, 개량된 보강 구조를 부여한 프레임을 갖게 함으로써 강도 및 경량성이 우수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간을 체결하기 위한 합성수지제 웨지핀에 관한 것이다.
건축 분야에서는 건축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ㆍ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거푸집은 축조하여야 할 건축물의 종류 및 높이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아파트 등과 같은 빌딩형의 건축물의 경우, 최근에는 일정 규격으로 정형화 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로폼 타입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미경화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판재부와, 상기 판재부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철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된 앵글로 되어있다.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도시한 도 1a를 참고하면,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의 프레임(2)은 일반적으로 철제로 제조되며 전체적으로 4각형을 이룬다. 프레임(2)의 테두리 면에는 파이프 후크(pipe hook) 및 웨지핀(wedge pin)이 체결되도록 한 체결공(2a)과 납작하고 길이가 긴 사각형의 플랫 타이 바(flat tie bar) 또는 간격대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대 홈(2b)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마련된다. 프레임(2)의 내부에는 프레임 및 판재를 보강하기 위한 앵글(3)이 적절히 배열되어 있으며, 판재(4)는 프레임(2)의 전면에 배치되어서 리벳 등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은 일정 규격으로 정형화되어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종래,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의 판재(4)는 통상적으로 목재 합판을 많이 사용해 왔다. 그 이유는, 목재 합판은 여러 개의 단판들이 적층되어 제작되므로 그 두께나 중량에 비하여 휨 하중에 대한 커다란 저항 능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목재 합판은 재료의 특성상 내수성 및 내구성이 부족하여 통상 5 내지 10회 상용 후 교체해야 한다. 또한, 목재 합판은 콘크리트에 잘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므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탈리되는 과정에서 표면이 손상되는 정도가 커서 반복사용의 횟수가 크게 제한된다. 아울러, 목재 합판은 프레임(2)의 전면에 배치되어서 리벳 등으로 체결됨에 따라 거푸집 탈형 시 콘크리트 타설 면에 리벳 자국이 남아 있어 이를 마감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의 프레임(2)과 앵글(3)은 철제로 제조되기 때문에 부식되는 문제점과 그 중량에 의한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1adp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2)에는 간격대 홈(2b)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프레임(2)의 테두리 면으로부터 돌출된 융기부(6)가 프레임(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프레임(2)의 전체 테두리를 따라서 요(凹)자 형(단면에서 보았을 때) 부분, 즉 도 1a에서 도면 부호 5로 도시한 요부를 형성시킨다. 종래의 이러한 거푸집(1)을 연속 체결하게 되면 어느 한 거푸집의 프레임(2)의 요부(5)와 인접하는 다른 거푸집의 프레임(2)의 요부(5)가 서로 맞닿아서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위에서부터 그 공간 안으로 미경화 콘크리트(또는 생콘크리트)가 침입하여 경화된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간격대 홈(2b) 사이의 틈을 통해서도 상기 요부(2)에 의해 형성된 공간 안으로 미경화 콘크리트가 침입하여 경화된다. 특히, 건축 구조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거푸집의 2개의 간격대 홈(2b)이 형성하는 틈을 통해서 요부(5) 안으로 더 많은 생콘크리트가 침입해서 그곳에 더 많은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탈형할 때, 인접하는 거푸집의 두 요부(5)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요부(5) 자체에 그리고 간격대 홈(2b) 안에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고착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두 거푸집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인접하는 거푸집을 서로 분리시킨다 해도 요부(5) 안에는 여전히 경화된 콘크리트가 고착되어 있으므로 거푸집 중량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고, 재사용을 위해서는 요부(5) 안에 고착된 콘크리트를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재생 작업 시, 요부(5) 안에 경화 및 고착된 콘크리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샌드블라스트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샌드블라스트 방법을 이용해 수회 재생하게 되면 유로폼의 판재 및 프레임 자체에 자국이 형성되거나 강성이 점차 열화되어 재생되는 유로폼의 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자는 거푸집과 관련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에 대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2001년 9월 29일 출원)에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프레임을 합성수지로 제조하면서 프레임의 외부 테두리면을 평면으로 성형함으로써 종래의 유로폼의 프레임과 같이 요부가 형성되지 않게 하여 프레임의 테두리 면에 경화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플랫 타이 바(간격대)의 체결을 위한 홈에도 경화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하여 탈형 후에도 거푸집 중량이 가중되지 않고 취급이 간편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안하였다. 즉, 본 고안자는 도 2a 및 도 2b에 보인 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에 판재(10), 프레임(20), 및 앵글(30)이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외부 테두리 면은 평면으로 성형되고, 그 평면상 외부 테두리 면(21)에는 웨지핀 및 파이프 후크(결착 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착홈(26)과 플랫 타이 바(간격대)를 결착시키기 위한 절곡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22)에는 그에 상응하는 크기로 탄성 소재를 가지고 제조된 탄성 부재(24)가 삽입, 고정되어 그 절곡홈(22)을 평평하게 메우고, 상기 프레임(20)의 전면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한 폭으로 판재(10)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의 내부 테두리 홈(25')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전면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서 판재(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테두리 홈(25')에 상기 합성수지제 판재(10)가 삽입,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안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에 제시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프레임에 보강된 구조를 부여하여 더욱더 우수한 보강 구조를 갖게하되,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을 이용한 유포폼 타입 거푸집 및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제조 방법에 관한다. 아울러,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의 명세서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하고, 본 고안의 구성과 관련된 부분은 본 명세서의 해당 설명 부분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한편, 유로폼 거푸집(1)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방법은 거푸집(1)을 연속적 또는 단락적으로 배치하여 프레임(2)의체결공(2a)과 인접하는 거푸집(1)의 프레임(2)에 형성된 체결공(2a)에 도 1b에 보인 바와 같은 자체 체결공(52a)이 형성된 웨지핀(50)으로 연결하여 양측면을 형성시키고, 이와 동시에 양측면의 거푸집(1)을 프레임(2)에 형성된 융기부(6)의 간격대 홈(2b)에 간격대(플랫타이 바)를 위치시킨 후 간격대의 단부에 형성된 간격대 체결공과 프레임(2)에 형성된 체결공(2a)을 웨지핀(50)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일정한 두께를 갖는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거푸집을 형성시킨다.
유로폼 거푸집(1)을 체결하기 위한 종래의 웨지핀(50)은 도 1b에 보인 바와 같이 자체 체결공(52a)이 형성된 몸통부(52)와 이와 일체로 성형된 머리부(51)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머리부(51)와 몸통부(52)는 수평적으로 연장되어 납작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거푸집(1) 간의 체결시 웨지핀(50)을 가압함에 따라 머리부(51)의 납작한 면(51a)에 의해 프레임(2)의 체결공(2a)이 확장되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웨지핀(50)은 철제로 제조됨에 따라 부식되는 문제점과 그 중량에 의한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자가 제안한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에 제시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과 같은 합성수지제 유로폼 거푸집에 적용할 경우에는 납작한 형상의 철제 머리부(51)에 의해 프레임의 손상되는 정도가 극히 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외부 테두리면을 평면으로 성형함으로써 종래의 유로폼의 프레임과 같이 요부가 형성되지 않게 하여 프레임의 테두리 면에 경화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플랫 타이 바의 체결을 위한 홈에도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보강 프레임을 형성시켜 개량된 보강 구조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형성시키되,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보강 프레임 및 판재를 일체로 성형시킴으로써 더욱더 우수한 강도 및 경량성을 부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몸통부와 수평적으로 납작한 형상의 머리부를 갖는 종래의 웨지핀을 특히 합성수지제 유로폼 거푸집에 적용할 경우, 납작한 형상의 철제 머리부에 의해 프레임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상의 머리부를 몸통부와 직각이 되도록 하고 합성수지로 제조함으로써 부식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경량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프레임을 손상시키지 않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체결하기 위한 종래의 웨지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다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도시하는 것으로, 본 고안자가 제시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보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웨지핀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지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지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발췌한 일부사시도 및 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판재 11: 표면 수지층
20: 프레임 22: 절곡홈
24: 탄성 부재 26: 결착홈
30: 앵글 40: 틀체부
100: 유로폼 타입 거푸집 120: 보강 프레임
122: 보강 지지부 130: 모서리 지지부
200: 웨지핀 210: 몸통부
220: 머리부 230: 손잡이부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그리고 이와 같은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4각형을 이루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내부를 적절한 간격으로 구획하며 지지하는 앵글(30)과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 보강 프레임(120)으로 구성된 틀체부(40)와, 이 틀체부(40)의 전면(前面)에 결합되어지는 판재(10)가 일체로 하여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 용융물로 성형되어 구성된다. 또한, 위와 같은 거푸집(100)의 전면(前面)에는 도 4a 및 도 4b에 보인 같이 표면 수지층(11)이 형성된다.
프레임(20)의 외부의 테두리 면(21)은 평면으로 성형하되 여기에는 절곡홈(22)과 결착홈(26)이 번갈아 형성되고, 절곡홈(22)에는 생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탄력성 있는 재질로 된 탄성체의 탄성 부재(24)가 별도로 성형되어 착설된다.
상기 절곡홈(22)은 거푸집(100)의 배면에서부터 판재(10)가 있는 거푸집(100)의 정면 끝까지 형성되어지나, 결착홈(26)은 거푸집(100)의 배면에서부터 판재(10)가 있는 거푸집(100)의 정면 부분의 임의의 지점까지만 형성되게 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20)의 절곡홈(22)에는 탄성 부재(24)가 착설되어 있고, 결착홈(26)은 거푸집(100)의 정면, 즉 콘크리트 타설 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거푸집(100)의 정면은 미경화 콘크리트가 인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20)의 절곡홈(22)이 형성된 부분이거나 결착홈(26)이 형성된 부분은 보강 프레임(120)에 연결되어지는 보강 지지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 지지부(122)에는 웨지핀(200)을 끼울 수 있는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120)에도 보강 지지부(122)의 웨지 구멍(20a)과 관통하여 웨지핀(200)을 끼울 수 있도록 웨지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20), 보강 지지부(122) 및 보강 프레임(120)은 웨지핀(200)을 끼울 수 있는 웨지 구멍(20a)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인접하는 거푸집(100)과 연속적으로 연결 시에는 프레임(20), 보강 지지부(122) 및 보강 프레임(120)에 형성된 웨지 구멍(20a)에 웨지핀(200)을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보강된 구조로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시킨다.
또한, 프레임(20)의 내측 모서리와 보강 프레임(120)의 외측 모서리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모서리 지지부(130)가 형성된다. 이 때 프레임(20) 및 보강 프레임(120)과 연결되는 상기 모서리 지지부(130)의 양단부는 도 3에 도시한 대로 약간의 곡선을 주어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거푸집(100)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20, 120)에 더욱더 큰 강성을 부여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의 프레임(20) 구조에 있어서는, 본 고안자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0106호에 제시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개량된 고안으로서, 틀체부(40)를 이루는 프레임(20)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보강 프레임(120)을 형성시킴으로써 보강된 프레임 구조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상기 틀체부(40)와 판재(10)를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을 사용하여 압축성형(compression molding) 방법에 따라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체와 접합되는 거푸집(100)의 전면(前面)에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분리성이 뛰어나게 하고 건축 구조물에 매끄러운 타설 면을 갖게 하기 위한 표면 수지층(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틀체부(40)의 내부, 즉 보강 프레임(120)의 내측에 보강 앵글(32)을 형성시킴으로써 더욱더 보강된 골격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보강 프레임(120)의 내측 모서리에 보강 바(125)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앵글(30)에 끼움 공(35)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바(125) 또는 끼움 공(35)은 여기에 후크(고리) 등을 끼우거나 걸어서 콘크리트 구조체와 거푸집(100)을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거푸집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보강 바(125)는 인접하는 보강 프레임(120) 간을 연결시킴으로 더욱 견고한 프레임 구조를 갖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프레임(20), 앵글(30) 및 보강 프레임(120)이 이루는 틀체부(40)와, 이러한 틀체부(40)의 전면(前面)에 결합되는 판재(10)가 압축성형(compression molding) 방법에 따라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서, 여러 종류의 혼합 폐플라스틱과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및 톱밥 등의 폐자원 분쇄물을 150~200℃에서 용융시켜 반죽상의 폐플라스틱 혼합 용융물을 얻은 다음, 이를 거푸집(100) 형상을 갖게 한 하부 몰드(캐버티)에 투입한 후 상부 몰드에 가압시키고, 용융물이 경화되게 하여 거푸집(100) 본체를 얻고, 후속하여 콘크리트와 접합되는 거푸집(100) 본체의 전면(前面)에 표면 수지층(11)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혼합 폐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아미드(PA), 멜라민, 에폭시, 불포화폴리에스테르(PET), 알키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등이 혼합된 산업 현장이나 가정에서 폐기되는 폐플라스틱류를 수거하여 사용하며 이들을 잘게 분쇄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50~100메쉬(mesh)로 분쇄하고,세정하여 건조시켜 사용한다.
또한, 의류의 제조 시에 발생한 폐원단 등의 폐면; 주간지, 신문지, 종이박스, 마분지, 사무용지 등의 사용 후 버려지는 폐지; 가죽 제품을 만든 후 버려지는 폐가죽; 제재소나 일반 건축현장에서 자재로 쓰고 버려지는 폐목재나 톱밥 등의 폐품을 수거하여 잘게 분쇄한다. 바람직하게는 1~20메쉬로 분쇄하여 건조시켜 사용한다.
상기 혼합 폐플라스틱 분쇄물과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분쇄물을 혼합한 다음, 이를 150~200℃의 온도 범위에서 용융시킨 후 반죽상의 폐플라스틱 혼합 용융물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이나 가정에서 폐기되는 혼합 폐플라스틱류의 융점은 대략 100~250℃ 범위에 있고, 이러한 혼합 폐플라스틱 중에는 대략 100~150℃ 온도 범위의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이 70중량%이상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용융온도를 150~200℃ 정도로 유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분쇄물은 용해되고, 고융점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 등의 일부 폐플라스틱 분쇄물과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분쇄물은 입자상으로 남게되어 상기 용융된 폴리에틸렌(PE)이나폴리프로필렌(PP)의 용융물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입자상의 열경화성 수지 등의 일부 폐플라스틱 분쇄물은 거푸집(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입자상의 분쇄물은 거푸집(100)의 경량화를 이루게 되고, 또한 폐플라스틱 용융물은 입자상으로 분포되어 있는 분쇄물들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결합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100)을 이루는 틀체부(40) 및 판재(10)의 강도, 인장력 및 경량화 등의 소정의 물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혼합 폐플라스틱 분쇄물 70~80중량부와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분쇄물 20~30중량부를 혼합하여 폐플라스틱 혼합물을 얻는다.
혼합 폐플라스틱 분쇄물이 70중량부 미만이면 거푸집(100) 자체는 가벼워질 수 있으나,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분쇄물 간의 결합력이 약해져 쉽게 파손된다. 또한, 혼합 폐플라스틱 분쇄물이 80중량부를 넘으면 고강도이기는 하나 너무 무겁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반죽상의 폐플라스틱 혼합 용융물은 거푸집(100)의 형상을 갖게 한 하부 몰드(캐버티)에 투입된다. 하부 몰드는 유압 프레스의 거동에 따라 상부 몰드에 가압되게 한다. 적당한 시간이 경과되면 용융물은 경화되어 본 고안에 따른 틀체부(40)와 판재(10)가 일체화 된 거푸집(100) 본체 성형품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성형 과정에서 하부 몰드에 투입된 용융물이 상부 몰드에 가압됨에 따라 용융물은 하부 몰드의 구석구석까지 퍼짐과 동시에 용융물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상의 분쇄물과 액상의 결합제(PE 등의 용융물)의 상호간에는 긴밀해지면서 견고한 상태로 경화된다.
또한, 상기 성형 과정에서 프레임(20)의 절곡홈(22)이 형성되어지는 하부 몰드에는 생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탄력성 있는 재질로 되어 별도로 성형된 탄성 부재(24)를 장착시킨 후 용융물을 투입한다. 즉, 탄성 부재(24)의 하단부가 용융물에 매입되게 하여 프레임(20)에 고착되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은 탄성 부재(24)는 거푸집(100)을 제조한 후 프레임(20)의 절곡홈(22)에 접착제로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도 있다.
후속하여, 상기 성형된 거푸집(100) 본체의 전면(前面), 즉 콘크리트 타설 면이 되는 거푸집(100)의 표면(판재 측)에 전열판을 통과시켜 상기 거푸집(100) 본체의 전면이 끈적끈적한 겔화상태가 되게 한다. 이는 거푸집(100) 본체의 전면에 코팅되어 표면 수지층(11)을 형성시키는 용융물이 잘 점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계속하여, 표면이 겔화상태로 연화된 거푸집(100) 본체의 전면에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용융물을 코팅하여 표면 수지층(11)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표면 수지층(11)은 콘크리트 구조체와 분리성이 양호하게 하며 매끄러운 콘크리트 타설 면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이 표면 수지층(11)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수회 사용 후 콘크리트 접합면, 즉 표면 수지층(11)이 손상될 경우, 가열된 니크롬선 등으로 재단하는 열선 절단기(hot wire cutter)를 사용하거나 그라인더(grinder) 또는 원형톱날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손상된 표면 수지층(11)을 거푸집(100) 본체와 분리 제거시키고, 다시 코팅시켜 표면 수지층(11)을 형성시킴으로써 거푸집(100) 본체는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자체 체결공(210a)이 형성된 납작한 모양의 몸통부(210)와, 상기 몸통부(210)와 직각이 되도록 원반형의 머리부(220)를 몸통부(210)와 일체로 형성시킨 상기 본 고안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을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200)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웨지핀(200)은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형성시 프레임과의 접촉면에 머리부(220)의 평평한 면(도 6에서 보았을 때 좌측면)이 닿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웨지핀(200)은 종래와 같이 철제로도 제조할 수 있으나,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에 적용할 시에는 합성 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또한 부식성이 없으며, 경량화를 부여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웨지핀(2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220)의 몸통부(210)가 형성된 면에 대향한 타면에 손잡이부(23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머리부(220)는 사각 판형, 육각 판형 또는 팔각 판형 등의 형상을 갖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 부분의 내측에 본 고안에 따른 웨지핀(200)의 머리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머리부(220)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요입홈(121)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때, 머리부(220)와 요입홈(121)은 원반형보다는 사각 판형 또는 팔각 판형 등으로 하거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육각 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형성 후 심한 바람 등으로 인하여 유로폼 거푸집(100)의 비틀림이 생길 경우, 웨지핀(200)의 몸통부(210)에 전달되는 힘은 이와 일체화 된 머리부(220)에 전달되고 이러한 미리부(220)는 요입홈(121)과 맞물려 있으므로 힘의 분산 및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웨지핀(200)이 파손되거나 휘어지는 일이 없으며, 거푸집이 보다 견고하게 구축된다. 이와 같이 도 8에 보인 바와 같은 요입홈(121)이 형성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과 상기 요입홈(121)에 상응하는 머리부(220)을 갖는 웨지핀(200)은 세트화되어 상용화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판재(10)와 틀체부(40)를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한 것이어서 이들 두 구성요소 간은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일부 폐플라스틱 분쇄물과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입자상의 분쇄물은 거푸집(100)의 강도 보강 및 경량화를 이루게 된다. 또한 용융물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상의 분쇄물과 액상의 결합제(PE 등의 용융물)의 상호간에는 상부 몰드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긴밀해지면서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강도 및 경량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보강 프레임(120) 및 보강 지지부(122)를 형성시키고, 이에 더하여 모서리 지지부(130)를 거푸집(100)의 골격 구조로서 형성시킴으로써 더욱더 보강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목재 판재(4)와 철재 프레임(2)으로 형성된 유로폼 거푸집(1)은 판재(4)와 프레임(2)을 리벳 등으로 체결하여 된 것이어서 거푸집 탈형 시 콘크리트 타설 면에 리벳 자국이 남아 있어 이를 마감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본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그 전면에 합성수지의 표면 수지층(11)이 형성되어 있어 리벳 자국과 같은 흔적이 생기지 않고, 콘크리트 구조체와 쉽게 분리되는 효과가 있으며 매끄럽고 미려한 콘크리트 타설 면을 갖게 한다. 아울러, 표면 수지층(11)이 손상될 경우, 열선 절단기를 사용하거나 그라인더(grinder) 또는 원형톱날 절단기 등의 기계적인 방법으로 손상된 표면 수지층(11)을 거푸집(100) 본체와 분리 제거시키고, 다시 코팅시켜 표면 수지층(11)을 형성시킴으로써 거푸집(100) 본체는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은 산업현장 또는 가정에서 폐기되는 다양한 종류의 폐플라스틱은 물론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폐기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므로 환경 보호 및 유용한 자원의 재활용에도 일조를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웨지핀(200)은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을 체결함에 있어 보강 프레임(120)에 판상의 머리부(220)의 평평한 면이 닿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합성 수지로 제조되어 부식성이 없고 가벼우며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요입홈(121)이 형성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에는 상기 요입홈(121)에 맞물릴수 있는 형상의 머리부(220)를 갖는 웨지핀(200)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거푸집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7)

  1. 판재(10), 프레임(20) 및 앵글(30)이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외부 테두리 면은 평면으로 성형되고, 그 평면상 외부 테두리 면(21)에는 웨지핀(200) 및 파이프 후크(결착 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착홈(26)과 플랫 타이 바(간격대)를 결착시키기 위한 절곡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22)에는 그에 상응하는 크기로 탄성 소재를 가지고 제조된 탄성 부재(24)가 삽입, 고정되어 형성된 프레임(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보강 프레임(120)이 형성되고, 보강 프레임(120)과 프레임(20) 사이에 보강 지지부(122) 및 모서리 지지부(130)가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10), 프레임(20), 앵글(30) 및 보강 프레임(120)이 혼합 폐플라스틱과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및 톱밥의 분쇄물을 사용하여 150~200℃에서 용융,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거푸집(100)의 전면(前面)에 표면 수지층(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120)의 내측에 보강 앵글(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120)의 내측 모서리에 보강 바(1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30)에 끼움 공(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5. 제 1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120)의 웨지 구멍(20a)이 형성된 부분의 내측에 웨지핀(200)의 머리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머리부(220)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요입홈(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6. 자체 체결공(210a)이 형성된 납작한 모양의 몸통부(210)와, 이로부터 연장된 머리부(220)를 갖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100)을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200)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220)가 판상으로 성형되어 몸통부(210)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고 합성 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220)가 몸통부(210)를 형성시킨 면에 대향한 타면에 손잡이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핀.
KR2020020000266U 2002-01-04 2002-01-04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KR200271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66U KR200271683Y1 (ko) 2002-01-04 2002-01-04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66U KR200271683Y1 (ko) 2002-01-04 2002-01-04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464A Division KR100465263B1 (ko) 2002-01-04 2002-01-04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제조 방법 및 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683Y1 true KR200271683Y1 (ko) 2002-04-10

Family

ID=7308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266U KR200271683Y1 (ko) 2002-01-04 2002-01-04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6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701B1 (ko) * 2019-10-23 2020-09-07 전찬빈 경량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701B1 (ko) * 2019-10-23 2020-09-07 전찬빈 경량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6151B2 (ja) コンクリート作業用堰板のための型枠パネル
KR101279379B1 (ko) 콘크리트포장도로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KR100465263B1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제조 방법 및 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KR200271524Y1 (ko) 합성 수지 판재와 프레임을 이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프레임의 구조
KR200271683Y1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JP2003039410A (ja) 樹脂強化木材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99682A1 (en) Structural Elements Made From Syntactic Foam Sandwich Panels
KR100492221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KR100469849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200298064Y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JP2619225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該コンクリート型枠の製造方法
KR101704762B1 (ko)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200392591Y1 (ko) 시멘트 모르타르 몰드
JP2619223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該コンクリート型枠の製造方法
KR20070048830A (ko) 시공안정성을 부여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블록의시공구조
KR102010629B1 (ko)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플라스틱 거푸집
KR20100093019A (ko) 합성수지제 거푸집 제조방법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KR101889619B1 (ko) 에프알피 몰드를 이용한 도로 가각진지 제조방법
JPH06254825A (ja) 透水性コンクリート型枠
KR100874660B1 (ko) 탄성보도블럭
KR200343612Y1 (ko) 황토흙 건조가 용이한 유로폼(거푸집)
JP2001121630A (ja) 軽量板材
CN2350465Y (zh) 预应力塑胶圆孔板
JP2005163884A (ja) 圧縮繊維パネル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