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660B1 - 탄성보도블럭 - Google Patents

탄성보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660B1
KR100874660B1 KR1020070089254A KR20070089254A KR100874660B1 KR 100874660 B1 KR100874660 B1 KR 100874660B1 KR 1020070089254 A KR1020070089254 A KR 1020070089254A KR 20070089254 A KR20070089254 A KR 20070089254A KR 100874660 B1 KR100874660 B1 KR 10087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lock
weight
faste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이닉스
김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이닉스, 김병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이닉스
Priority to KR102007008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이 구비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며 간단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탄성보도블럭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성보도블럭이 제공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중량물의 외부로 폐타이어칩을 모울딩하여 하부중량블럭을 구비하고, 이 하부중량블럭 상부로 EPDM 또는 우레탄재질의 상부탄성패널을 결합하여 탄성보도블럭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때, 하부중량블럭과 상부탄성패널은 유사재질로서 그 표면의 접착성이 향상되며, 그리고 상기 하부중량블럭과 상부탄성패널 사이에는 화스너를 두어 서로 결합이 가능하다. 이것은 하부중량블럭이 폐타이어칩으로 마감되므로, 화스너의 돌기를 성형하여도 성형틀에서 이탈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상에 탄성보도블럭으로 탄성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량물이 구비되면서 폐타이어칩이 탄성층을 제공하고 이 탄성층 위에 상부탄성패널이 결합되어 충분한 탄성면이 제공되고, 폐타이칩이 이루는 중량블럭과 상부탄성패널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탄성보도블럭이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보도블럭{Elastic-panel-Pavement Block}
도 1 은 종래 탄성보도블럭을 나타낸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보도블럭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개념설명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블럭몸체와 상부탄성패널과의 결합시 화스너결합을 나타낸 개념설명도,
도 3b 는 도 3a 의 A-A선 단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량물, 12 - 중량블럭몸체,
14 - 상부탄성패널, 16 - 탄성층,
18 - 접착면, 20 - 지지대,
22 - 화스너돌기, 24 - 화스너돌기부,
26 - 화스너홈부.
본 발명은 노면상으로의 배치고정을 위한 중량물이 구비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며 간단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탄성보도블럭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성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우시에 빗물이 지면으로 자연스럽게 흡수되도록 하여 산소와 수분을 확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도로포장체의 필요에 따라 보도는 투수성으로 포장시공되고 있다.
특히, 보도에 보행성과 탄력성 또는 충격흡수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수지나 고무계열을 예를 들어 EPDM(Etylen Propylen Dine Monomer)이나 우레탄 소재로하는 투수성 탄성보도블럭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보도블럭은 블럭형상으로 제조되고 조립되어 노상면을 이루게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폐타이어칩보다 탄성이 뛰어나며, 보행 시 충격흡수율이 높아 안전사고 예방에 유용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재활용성이 뛰어나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보도블럭은 그 재질의 특성상 가볍고 비중이 작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의해 노상면에 중량체로서 충분히 배치고정되지 않아 박리되거나 조금만 침수되어도 이탈되어 물에 뜨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중량물이 구비된 탄성보도블럭이 안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콘크리트와 폐타이어를 이용한 2단복층블럭(출원 제20-2002-0024578) 등이 있다.
탄성보도블럭에 중량물이 구비될 경우, 중량블럭 그 자체로서 기층에 배치고정되므로, 노상에 잡석다짐을 하고 콘크리트나 아스콘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이, 평탄작업된 노상면에 탄성보도블럭이 바로 시공될 수 있다는 편리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탄성보도블럭은 예시도면 도 1 과 같이, 일정사각 형태의 콘크리트 블럭(1) 상면에 음각의 홈(2)을 형성하고, 그 면상으로 직경 1~5mm 크기의 폐타이어 분말을 우레탄바인더와 고르게 혼합하여 하층부와 함께 접착시켜 상층부로서 탄성면(3)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때, 음각의 홈(2)은 상층부인 탄성면(3)과 콘크리트블럭(1)의 접착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층부에 외력이 작용하여 평면상 상층부가 뒤틀리고 이에 따라 블럭과 박리되어 상층부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블럭과 탄성면은 그 접착력이 떨어짐을 근본적으로 내포하고 있고, 또한 상기 음각의 홈(2) 그 자체로서 충분한 결합력 또는 체결력을 갖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홈과 여기에 삽입되는 돌기가 결합력을 갖기 위하여는 돌기와 홈이 맞물리고, 이때 걸림턱부를 두어 맞물린 홈과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화스너(Fastener) 구조를 취하여야 한다. 그리고, 평면상(X,Y)으로 외력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가로 세로를 가로지르는 영역에 걸쳐 홈과 돌기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과 같이 가로세로를 가로지르는 홈은 거푸집에서 화스너 형상으로 양생하기 어렵게 된다. 즉, 화스너 형상의 홈은 거푸집에서 화스너 형상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는데, 양생후 돌기와 홈이 결합된 상태여서 거푸집에서 콘크리트 블럭이 이탈되지 않게 되며, 이를 억지로 분리하게 되면 거푸집이 손상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홈은 이를 가로세로로 구비하기 위하여는 단순 끼움식의 음각으로만 구비할 수 없게되는 것이어서, 상부로 빠지는 힘에 대하여는 대응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상부로 탈거되는 상층부에 대하여 결합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중량물을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하는 것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콘크리트블럭과 탄성면과의 접착력불량과 또한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화스너 단면형상의 홈(또는 돌기)를 콘크리트블럭에 형성시키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에서 기인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량물이 구비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며 간단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탄성보도블럭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성보도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중량물의 외부로 폐타이어칩을 모울딩하여 하부중량블럭을 구비하고, 이 하부중량블럭 상부로 EPDM 또는 우레탄재질의 상부탄성패널을 결합하여 탄성보도블럭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때, 하부중량블럭과 상부탄성패널은 유사재질로서 그 표면의 접착성이 향상되며, 그리고 상기 하부중량블럭과 상부탄성패널 사이에는 화스너를 두어 서로 결합이 가능하다. 이것은 하부중량블럭이 폐타이어칩으로 마감되므로, 화스너의 돌기를 성형하여도 성형틀에서 이탈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상에 탄성보도블럭으로 탄성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량물이 구비되면서 폐타이어칩이 탄성층을 제공하고 이 탄성층 위에 상부탄성패널이 결합되어 충분한 탄성면이 제공되고, 폐타이칩이 이루는 중량블럭과 상부탄성패널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탄성보도블럭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보도블럭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개념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은 중량블럭몸체와 상부탄성패널과의 결합시 화스너결합을 나타낸 개념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탄성보도블럭을 노상면에 자중으로 배치고정시키기 위한 중량물을 내설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조된 콘크리트 블럭 또는 폐콘트리트 파쇄물 또는 철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중량물(10)을 마련하고 이 중량물의 외부에 탄성보도블럭의 하부 외형으로 폐타이어칩을 모울딩하여 탄성보도블럭의 하부를 이루는 중량블럭몸체(12)를 제조하는 중량블럭몸체 제조단계:
상기 중량블럭제조단계와 별도로 EPDM 또는 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탄성보도블럭에서 노면으로 노출되는 탄성면을 이루는 상부탄성패널(14)을 제조하는 상부탄성패널 제조단계:
상기 중량블럭몸체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중량블럭몸체(12)에서 폐타이어칩이 제공하는 탄성층(16)에 상부탄성패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상부탄성패널(14)을 결합하는 탄성패널결합단계로 이루어진 탄성보도블럭 제조방법이다.
이때, 중량블럭몸체 제조단계에는 폐타이어칩의 외형형성으로 그 상면에 EPDM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상부탄성패널과의 결합시 유사 재질 사이의 접착을 위한 접착면(18)을 제공하는 접착면 제공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패널결합단계에는 중량블럭몸체 제조단계와 상부탄성패널 제조단계 에서 상기 중량블럭몸체(12) 상부와 상부탄성패널(14) 하부에 상기 상부탄성패널(14)의 이탈이 방해되도록 서로 맞물리는 턱부와 홈부를 형성하여 강제끼움식으로 끼워져 결합하는 화스너 결합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탄성보도블럭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탄성보도블럭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탄성보도블럭은 노상면에 배치고정되는 무게를 제공하는 중량물(10)과;
이 중량물의 외부로 탄성보도블럭의 하부외형에 따라 폐타이어칩이 모울딩되어 상기 중량물의 외부를 포위하는 탄성층(14)을 제공하면서 그 상면에는 접착면(18)을 제공하는 중량블럭몸체(12)와;
상기 중량블럭몸체 상면의 접착면(18)과 접착결합되어 노면으로 노출된 탄성면을 이루는 상부탄성패널(14)로 이루어진 탄성보도블럭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탄성패널(14)은 EPDM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량블럭몸체에는 상기 EPDM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상부탄성패널과의 결합시 상기 폐타이어칩의 상기 중량블럭 외형형성으로 그 상면에 유사 재질 사이의 접착을 위한 접착면(18)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중량물은 폐타이칩 내부로 모울딩되므로, 파쇄된 폐콘크리트나 시멘트 등 폐석재나 폐철근이 재활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별도로 콘크리트 블럭이 제조되어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중량블럭몸체와 상부탄성패널과의 접착결합에서는 상부탄성패널이 평면방향에서 그 틀어짐이 방해됨과 더불어, 상부탄성패널의 이탈이 방해되어져 결합 력이 보강되도록 화스너결합을 위한 구조물이 더 포함된다.
즉, 중량블럭몸체(12) 또는 상부탄성패널(14)의 어느 하나의 결합부위에 가로세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지지대(20)가 형성되고 이 지지대(20)의 말단에 돌출된 화스너돌기(22)로 이루어진 갖는 화스너 돌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중량블럭몸체(12) 또는 상부탄성패널(14)의 다른 하나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화스너돌기부(24)가 끼워져 맞물리는 화스너홈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량물이 구비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며 간단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탄성보도블럭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성보도블럭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성보도블럭에 자중으로 노상면에 배치고정되기 위한 중량물이 구비된다. 상기 중량물은 별도로 제조된 콘크리트 블럭, 바람직하기로는 폐기되는 보도블럭 등 폐콘크리블럭이 파쇄되거나 폐철근이 재활용되어 중량물(10)로서 구비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중량물의 외부로 폐타이어칩이 모울딩되어 중량블럭몸체(12)가 성형된다. 상기 모울딩은 성형틀에 의해 수행되며, 중량물이 중앙으로 배치되도록 모울딩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량블럭몸체(12)에는 화스너돌기부 또는 화스너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 에 도시된 것은 화스너홈부(26)가 성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화스너홈부에는 성형틀(미도시)에 화스너홈부를 이루기 위해 성형돌기(미도시)가 배치되어져 모울딩시 성형된다.
성형된 중량블럭몸체(12)는 상기 성형돌기가 돌출된 화스너단면을 갖더라도 성형틀에서 분리가 용이하며 이것은 중량블럭몸체가 변형과 복원이 우수한 탄성재질인 폐타이어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종래 콘크리트블럭은 변형과 복원이 무시될 정도로 없는 것과 마찬가지어서, 본 발명과 같은 화스너돌기부를 형성하게 되면 성형틀에서 콘크리트블럭이 이탈될 수 없다.(성형틀에서 콘크리트블럭을 이탈시키려면 성형돌기를 파손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성형돌기가 있더라도 중량블럭몸체에서 화스너홈부가 변형되므로, 성형틀에서 중량블럭몸체(12)를 강제로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량블럭몸체(12)는 내장된 중량물에 의해 충분한 무게를 제공하면서도, 폐타이어칩에 의한 탄성층(16)이 제공된다. 또한 중량블럭몸체(12)의 상부에는 상부탄성패널의 접착을 위하여 상기 폐타이어칩이 제공하는 접착면(18)이 제공되면서,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화스너부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별도의 성형틀(미도시)이 마련되어 이를 통해 상부탄성패널이 제조된다. 상기 상부탄성패널은 EPDM 또는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서 구비되며, 상기 상부탄성패널에는 상기 중량블럭몸체의 화스너홈부에 강제로 끼워지는 화스너돌기부(26)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화스너홈부와 화스너돌기부는 중량블럭몸체와 상부탄성패널 사이에서 그 결합의 평면상 뒤틀림과 상부탄성패널의 이탈을 구조적으로 방지하도록 평면상 가로와 세로를 가로지르면서 형성된다.
즉, 결합부위에 가로세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지지대(20)가 형성되고 이 지지대(20)의 말단에 돌출된 화스너돌기(22)가 형성되어, 화스너 결합시 중량블럭몸체(12)와 상부탄성패널(14)의 뒤틀림 및 이탈이 방해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량블럭몸체와 상부탄성패널에 따라 중량블럭몸체에서도 충분한 탄성층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탄성층에 상부탄성패널이 제공하는 탄성면이 더 부가된다. 반대로 최소한의 상부탄성패널로도 충분한 탄성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중량블럭몸체는 폐타이어칩이 재활용되고, 폐콘트리트 등이 재활용되어 중량물로서 구비된다.
아울러, 중량블럭몸체와 상부탄성패널과의 접착결합이 우수하고, 여기에 보강되어지는 화스너결합은 탄성보도블럭의 내구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물이 구비되면서도 중량물과 상부탄성패널과의 결합력과 내구성이 우수하며 간단하게 제조되므로 우수한 생산성도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탄성보도블럭은 노상면에 배치고정되는 무게가 제공되도록 콘크리트블럭 또는 파쇄되는 폐석재 또는 폐철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공하는 중량물(10)과;
    이 중량물의 외부로 탄성보도블럭의 하부외형에 따라 폐타이어칩이 모울딩되어 상기 중량물의 외부를 포위하는 탄성층(14)을 제공하면서 그 상면에는 접착면(18)을 제공하는 중량블럭몸체(12)와;
    상기 중량블럭몸체 상면의 접착면(18)과 접착결합되어 노면으로 노출된 탄성면을 제공하게 EPDM 또는 우레탄으로 형성된 상부탄성패널(14)과;
    상기 상부탄성패널(14) 저면에 돌출 구비되어지되, 대각선 방향으로 선형의 형태로 상호 직각방향으로 교차되어지는 복수의 지지대(20) 및 상기 지지대(20)의 하단에 돌출된 화스너돌기(22)로 이루어지는 화스너 돌기부(24)와;
    상기 중량블럭몸체(12)에는 상기 화스너돌기부(24)가 끼워져 맞물리도록 하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는 화스너홈부(2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보도블럭.
  5. 삭제
KR1020070089254A 2007-09-04 2007-09-04 탄성보도블럭 KR10087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54A KR100874660B1 (ko) 2007-09-04 2007-09-04 탄성보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54A KR100874660B1 (ko) 2007-09-04 2007-09-04 탄성보도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660B1 true KR100874660B1 (ko) 2008-12-17

Family

ID=4037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254A KR100874660B1 (ko) 2007-09-04 2007-09-04 탄성보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76B1 (ko) * 2009-05-27 2009-11-20 (주)오라클우드 염전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염전바닥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52Y1 (ko) * 2001-06-15 2001-10-31 신기철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KR100431887B1 (ko) * 2001-06-27 2004-05-17 김진국 이중 고무 보도블럭
KR100689342B1 (ko) *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플라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폐비닐을 이용한 다중 탄성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52Y1 (ko) * 2001-06-15 2001-10-31 신기철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KR100431887B1 (ko) * 2001-06-27 2004-05-17 김진국 이중 고무 보도블럭
KR100689342B1 (ko) *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플라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폐비닐을 이용한 다중 탄성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76B1 (ko) * 2009-05-27 2009-11-20 (주)오라클우드 염전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염전바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177B1 (ko) 격자망을 가지는 탄성포장 구조체
KR100604212B1 (ko) 투수 기능을 갖는 탄성포장재 시공 방법
KR100874660B1 (ko) 탄성보도블럭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KR200271524Y1 (ko) 합성 수지 판재와 프레임을 이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프레임의 구조
KR20080112477A (ko) 탄성층이 구비된 보도블럭
KR101841645B1 (ko) 집수 기능을 갖는 보차도용 보도판을 포함하는 블럭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0964853B1 (ko) 투수 보도블록 및 그 제조 금형
KR200468954Y1 (ko) 복합부재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블록
KR20070048830A (ko) 시공안정성을 부여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블록의시공구조
KR100619620B1 (ko) 폐석을 이용한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H11181712A (ja) 道路用境界ブロック及び道路境界部の施工構造
KR101348377B1 (ko) 보도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KR100376424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KR200231133Y1 (ko) 폐아스콘을 이용한 블록
KR200389066Y1 (ko) 폐석을 이용한 보도블록
JP2000034702A (ja) 舗装ブロック
KR100701925B1 (ko) 재생 시멘트콘크리트 및 탄성칩을 이용한 투수성 바닥재의시공방법
KR200426410Y1 (ko) 고무멘트블럭.
JP4450382B2 (ja) 強化セメント薄板
KR200348729Y1 (ko) 도로 경계 블록
KR100741410B1 (ko) 흡수성 포장층의 시공방법
KR200358496Y1 (ko) 고무보도블럭
JP2000265653A (ja) 置き敷き用パネル
CN206090221U (zh) 钢混结构路牙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