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762B1 -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762B1
KR101704762B1 KR1020150094701A KR20150094701A KR101704762B1 KR 101704762 B1 KR101704762 B1 KR 101704762B1 KR 1020150094701 A KR1020150094701 A KR 1020150094701A KR 20150094701 A KR20150094701 A KR 20150094701A KR 101704762 B1 KR101704762 B1 KR 101704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sin
mold
resin panel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402A (ko
Inventor
이강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09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7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거푸집틀 일면에 설치되는 목재패널 대용으로 합성수지 패널을 설치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노루발 장도리, 배척 또는 노루발 못뽑이(일명 빠루) 등의 가압자국이 남지 않는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몰탈의 일측에 밀착되어 양생시 콘크리트의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자체 휨강성을 가지며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탈형이 용이한 거푸집패널과; 거푸집패널이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종보강바가 설치된 거푸집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거푸집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경우, 휨강도가 우수하고,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탈형이 용이하며,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고하게 지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푸집패널은 못 등을 뺄 때 장도리(노루발 장도리), 배척 또는 노루발 못뽑이(일명 빠루) 등의 가압자국이 남지 않음은 물론 거푸집패널을 합성수지로 제작함으로 사용 후 이를 재활용하여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Formwork and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거푸집틀 일면에 설치되는 목재패널 대용으로 합성수지 패널을 설치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노루발 장도리, 배척 또는 노루발 못뽑이(일명 빠루) 등의 가압자국이 남지 않음은 물론 거푸집패널을 합성수지로 제작함으로 사용 후 이를 재활용하여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분야에서 건축 구조물을 구축하는 데 있어 내, 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 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거푸집은 축조하여야 할 건축물의 종류 및 높이에 따라 여러 형태의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목재 합판을 거푸집에 많이 사용해왔다.
상기 목재 합판은 여러 개의 단판이 적층되어 제작되므로 그 두께나 중량에 비하여 휨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목재 합판은 재료의 특성상 내수성 및 내구성이 부족하여 통상 1 내지 3회 사용 후 교체해야 한다. 또한, 목재 합판은 콘크리트에 잘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므로 박리제를 도포하여도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는 탈리하는 과정에서 표면이 손상되는 정도가 커 반복적으로 사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최근에는 상기한 목재 합판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또는 폐합성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성형한 판재를 거푸집용 판재로 대체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목재 합판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콘크리트 접합면과 비교적 용이하게 탈리되는 이점은 있으나, 휨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제품 자체의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휨강성 및 경량화에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또한, 경량화를 통한 시공성이 용이함을 도모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에 폐면, 폐지, 폐목재, 톱밥 등을 첨가하여 성형한 거푸집용 판재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표면이 거칠고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패널 면과 콘크리트 접합면의 탈형이 잘되지 않는 즉, 박리의 어려움이 있고, 이 역시 휨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사용량을 증가해야 하므로 결국 전체적인 중량이 커져 취급이 매우 불편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8239호는 혼합 폐 플라스틱 분쇄물과 폐면, 폐지, 폐가죽, 폐목재, 톱밥 등의 분쇄물을 혼합하여 얻어진 폐 플라스틱 혼합물을 115℃~200℃에서 용융, 압출시켜 판상의 기판을 성형하고, 상기 기판의 상부면 각각에 강화시트를 적층하며, 이어서 상기 강화시트가 기판 상부면에 고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강화 시트에 합성수지를 용융 도포하고, 합성수지를 용융 도포한 상태에서 압출, 경화시켜 제조한 거푸집용 합성수지 판재를 구성한다.
상기 기판에 판재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긴 원통형 중공부가 일정한 피치를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기판에 중공부를 형성하므로 휨강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거푸집의 특성상 못 등을 고정하기 위해 구멍을 중공부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하는 경우, 기판의 강성이 낮아지거나 또는 중공부로 콘크리트 몰탈의 수분이 유입되어 겨울철과 같은 추운 날씨에는 수분이 얼고, 그로 인하여 기판이 터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판에 설치한 못 등을 빼내기 위해 장도리, 빠루 등을 사용하는 경우 중공부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얇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판에 자국이 발생하거나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8239호 (2002.03.15.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 거푸집틀에 설치되는 거푸집패널의 일면이 ABS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져 못 등을 뺄 때 노루발 장도리, 배척 또는 노루발 못뽑이(일명 빠루) 등의 가압자국이 남지 않으면서 반복 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거푸집틀에 설치하는 거푸집패널의 휨강성을 향상시키고, 못, 철사 등을 설치하였을 때에도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여러 차례 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거푸집패널의 파손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을 ABS 및 탄소섬유로 제작하여 건설, 토목 현장에서 반복사용 후 이를 수거하여 간단한 보수작업으로 재활용하여 다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제작비용과 제품 구매가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몰탈 일측에 밀착되어 양생시 콘크리트의 무게와 압력 및 못 등을 뺄 때 노루발 장도리, 배척 또는 노루발 못뽑이의 가압자국이 남지 않으면서 충격에 대하여 강하게 견디면서 자체 휨강성을 가지며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탈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프레스금형에 의해 제1수지패널, 제1수지망, 제2수지패널, 제2수지망 및 제3수지패널이 가압되어 적층되고, 제1수지패널의 하부에 결합홈을 가지며 복수의 보강돌기가 형성되며, 제1수지패널, 제2수지패널 및 제3수지패널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에 탄소섬유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평판형 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과; 거푸집패널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측단에 복수의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복수의 결합돌기의 측단을 절첩하여 'q'자 형상의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하여 거푸집패널 하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횡보강바와; 거푸집패널이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종보강바가 설치된 거푸집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몰탈 일측에 밀착되어 양생시 콘크리트의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자체 휨강성을 가지며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탈형이 용이하게 제1수지패널 및 제3수지패널이 적층되는 보강형 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과; 거푸집패널이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종보강바가 설치된 거푸집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수지패널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수지패널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수지망과 제2수지망에는, 접착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물질은, 제1수지패널, 제2수지패널 및 제3수지패널 사이에서 용융되어 제1수지패널, 제2수지패널 및 제3수지패널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횡보강바는, 보강형 거푸집패널 하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보강형 거푸집패널의 결합홈에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이 절곡 형성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압성형 또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1수지패널, 제2수지패널 및 제3수지패널을 별도로 형성하여 프레스금형 내측에 설치하고, 제1수지패널과 제2수지패널 사이 및 제2수지패널과 제3수지패널 사이에 제1수지망과 제2수지망이 위치되도록 프레스금형에 설치하며, 프레스금형의 내측에 제1수지패널, 제1수지망, 제2수지패널, 제2수지망 및 제3수지패널을 순차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가압프레스를 통해 일정한 압력과 온도로 용융시켜 평판형 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을 형성하고, 프레스금형과 가압프레스에 의해 제조한 거푸집패널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여 리벳에 의해 종보강바를 갖는 거푸집틀에 거푸집패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지패널과 제2수지패널 및 제3수지패널이 용융되어 제1수지망 및 제2수지망 그물 사이로 침투하여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출에 의해 하부에 보강돌기를 형성한 제1수지패널과 제3수지패널을 각각 구성하여 규격에 맞게 절단하고, 규격에 맞게 절단한 제1수지패널과 제3수지패널을 프레스금형 내측에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순차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가압프레스를 통해 일정한 압력과 온도로 용융시켜 보강형 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을 형성하고, 프레스금형과 가압프레스에 의해 제조한 거푸집패널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여 리벳에 의해 종보강바를 갖는 거푸집틀에 거푸집패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수재패널 및 제3수지패널을 제조하기 위하여 수지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제2수지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제1, 제2수지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수지원료를 일정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히팅장치를 통해 용융하고, 히팅장치에 의해 용융된 원료를 압출금형을 통해 제1수지패널 및 제3수지패널 순으로 적층 형성되도록 2중 압출금형으로 공급하여 보강형 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을 성형하며, 압출금형을 통해 성형한 보강형 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을 냉각장치를 통해 냉각시키고, 냉각시킨 거푸집패널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여 거푸집틀 내측에 인입시켜 리벳에 의해 거푸집패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수지패널의 하부에 형성한 보강돌기에는 압출에 의해 제조할 때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여 양측을 절곡 형성한 결합돌기를 갖는 횡보강바가 결합하여 거푸집틀에 설치되어 리벳의 의해 고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제1, 2 수지패널의 휨강도가 우수하고, 제3수지패널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탈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패널은 제3수지패널로 이루어지므로 못 등을 뺄 때 장도리(노루발 장도리), 빠루(배척 또는 노루발 못뽑이) 등의 가압자국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지패널, 제1수지망, 제2수지패널 제2수지망 및 제3수지패널은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거푸집의 파손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을 합성수지로 제작함으로 사용 후 이를 재활용하여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 제품의 코스트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제1실시예.
도 2는 도 1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도 1의 거푸집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제1실시예의 다른 싱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제2실시예.
도 5는 도 4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거푸집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횡보강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 성형방식을 이용한 거푸집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 성형방식을 이용한 거푸집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제1실시예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은 도 1의 거푸집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제1실시예의 다른 싱시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제2실시예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거푸집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횡보강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몰탈에 접촉하여 양생되도록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 양생시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종보강바(210)를 가지며 거푸집패널(100)이 설치되는 거푸집틀(200)을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패널(100)은 평판형 거푸집패널(110) 또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로 구성한다.
상기 평판형 거푸집패널(110)은 도 1 내지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로 형성하는 제1수지패널(111)과, 모기장 또는 그물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제1수지패널(111) 상부에 설치하는 제1수지망(114)과, 상기 제1수지망(114)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설치하는 제2수지패널(112)과, 제1수지망(114)과 같이 모기장 또는 그물 형태로 구성하여 제2수지패널(112) 상부에 설치하는 제2수지망(115)과, 상기 제2수지망(114) 상부에 일정한 두께로 제3수지패널(113)을 포함한다.
또한, 평판형 거푸집패널(110)은 도 3a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b와 같이 제1수지패널(111) 하부에 보강돌기(121-1)을 더 형성하여 거푸집패널(10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수지패널(111)과 상기 제2수지패널(112)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지패널(111)과 제2수지패널(112)은 가급적 PVC(Polyvinyl chloride; PVC)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수지패널(113)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ABS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ABS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BS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에 탄소섬유를 혼합할 수 있고, ABS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혼합한 원료에 탄소섬유를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급적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만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수지망(114)과 제2수지망(115)에는 접착제가 포함되어 상기 거푸집패널(100)을 형성할 때 가압성형장치(300) 또는 압출성형장치(400)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지면서 제1수지패널(111)과 제2수지패널(112) 사이와 제2수지패널(112)과 제3수지패널(113) 사이가 융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지망(114)과 제2수지망(115)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은 도 4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로 형성하는 제1수지패널(121)과, 상기 제1수지패널(121) 상부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는 제3수지패널(1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지패널(121)의 하부에는 보강돌기(121-1)를 일체로 형성하여 거푸집틀(200)에 설치한 종보강바(210)와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거푸집패널(100)의 상부에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돌기(121-1)에는 결합홈(121-2)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121-2)은 'q'자 형상으로 대칭되게 복수로 형성한다.
상기 제1수지패널(121)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수지패널(123)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탄소섬유를 첨가하여 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급적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형 거푸집패널(120) 하부에 형성한 결합홈(121-2)에는 횡보강바(130)를 설치하여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횡보강바(130)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 하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 횡보강바(130)의 양측에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의 결합홈(121-2)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하는 결합돌기(131)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121-2)의 내측에서 횡보강바(130)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결합돌기(131)의 끝단이 겹쳐지게 이탈방지돌기(132)를 절곡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틀(200)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종보강바(210)를 설치하며, 상기 종보강바(210)는 콘크리트 몰탈에 의해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거푸집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7에 도시한 평판형 거푸집패널(110) 또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을 설치한 거푸집(100)은 그 사용처에 따라 달리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면적에 무게와 하중이 덜 나가는 곳에는 평판형 거푸집패널(110)을 설치한 거푸집(100)을 사용하거나, 일정 면적에 무게와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곳에는 상기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을 설치한 거푸집(100)을 사용하므로 콘크리트 몰탈이 시공되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거푸집(1)은 일면이 제3수지패널(113, 123)로 이루어지므로 못 등을 뺄 때 노루발 장도리, 배척 또는 노루발 못뽑이(일명, 빠루) 등의 가압자국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평판형 거푸집패널(110)이 설치된 거푸집(1)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제3수지패널(113)의 견고성 및 제1, 2 수지패널(111, 112)의 휨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이 설치된 거푸집(1)도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제3수지패널(123)의 견고성 및 제1수지패널(121)의 휨강도가 우수하다. 특히,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이 설치된 거푸집(100)은 일정 면적에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종래의 거푸집보다 더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1)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콘크리트 몰탈의 무게와 압력을 횡보강바(130)와 종보강바(210)가 유기적으로 지탱하는 것은 물론,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므로 콘크리트 양생 시 형태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거푸집(100)에 설치한 평판형 또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00)의 표면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반복 사용할 수 있고, 파손이 발생하여도 거푸집패널(100)을 재생해 사용하므로 환경 친화적인 거푸집(1)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7에 도시한 평판형 거푸집패널(110) 및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은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건설, 토목 현장에서 반복사용 후 이를 수거하여 간단한 보수작업으로 재활용하여 다시 유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 제작비용과 제품 구매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제조방법을 가압 성형방식과 압출 성형방식을 통해 제조하는 과정을 도 8과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 성형방식을 이용한 거푸집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푸집(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거푸집패널(100)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금형(310)과, 상기 프레스금형(310)에는 제1수지패널(111), 제1수지망(114), 제2수지패널(112), 제2수지망(115, 125) 및 제3수지패널(113)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프레스(330)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스금형(310)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레스금형(330) 하부에 설치하는 히팅장치(320)로 이루어지는 가압성형장치(300)를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평판형 거푸집패널(11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별도의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을 통해 제1수지패널(111)과 제2수지패널(112) 및 제3수지패널(113)을 각각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1 내지 제3수지패널(111, 112, 113)을 프레스금형(310) 내측에 설치하는데, 이때 제1수지패널(111)의 상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1수지망(114)을 설치하고, 제1수지망(114)을 설치한 제1수지패널(111) 상부에 제2수지패널(112)을 설치하며, 상기 제2수지패널(112) 상부에 다시 접착제가 도포된 제2수지망(115)을 설치한 후 제3수지패널(113)을 설치한다.
상기 프레스금형(330)에 설치하는 제1수지패널 내지 제3수지패널(111, 112, 113) 및 제1수지망(114)과 제2수지망(115)에 대하여 구분없이 설명하였으나, 평판형 거푸집패널(110) 또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을 제조는 각각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스금형(310) 내측에 상기의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히팅장치(320)를 통해 프레스금형(310)으로 열을 전달하고, 일정한 온도로 상승하면, 프레스금형(310) 상부에 설치한 가압프레스(330)를 이동시켜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다.
상기 프레스금형(310) 내측에 위치시킨 제1수지패널(111)과 제2수지패널(112), 제2수지패널(112)과 제3수지패널(113) 사이에 설치한 제1수지망(114)과 제2수지망(115)의 접착제가 용융되어 결속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스금형(310)과 가압프레스(330)에 의해 구성한 평판형 거푸집패널(110)을 거푸집틀(200)의 규격에 맞게 절단하여 거푸집틀(200)에 설치한 후 리벳을 통해 고정한다.
상기 거푸집틀(200)에 설치하는 거푸집패널(100)은 제1수지패널(111)과 제2수지패널(11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휨강도가 우수하고, 콘크리트 (mortar)에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3수지패널(113)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탈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3수지패널(113)은 물성이 좋은 원료,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수지에 탄소섬유를 첨가하여 사용하므로 표면 강도가 매우 우수하여 못 등을 뺄 때 노루발 장도리, 배척 또는 노루발 못뽑이(일명 빠루) 등의 가압에 의한 자국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가압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100)은 평판형 거푸집패널(110) 만을 성형하는 것은 아니며, 보강형 거푸집패널(120)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을 프레스금형(310)과 가압프레스(330)를 통해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며, 도면은 평판형 거푸집패널(110)을 구성하는 것에 한정하여 도시한다.
상기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의 제1수지패널(121)과, 제3수지패널(123)은 상기 평판형 거푸집패널(110)을 생산하는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생산한다.
다만, 상기 제1수지패널(121)을 제조할 때 결합홈(12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스금형(310)에서는 제1수지패널(121)과 제3수지패널(123)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지패널(121)의 하부에 형성한 결합홈(121-2)에는 횡보강바(130)를 설치하는데, 이때 횡보강바(130)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양측을 절곡 형성한 결합돌기(131)를 구성하고, 결합돌기(131)에는 겹쳐지게 절곡한 이탈방지돌기(132)도 함께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횡보강바(130)가 설치된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을 거푸집틀(200)에 설치한 상태에서 리벳 등을 통해 고정하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형 거푸집패널(120) 하부에 설치한 횡보강바(130)와 거푸집패널(200)에 설치한 종보강바(210)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종래의 거푸집보다 더 큰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평판형 거푸집패널(110) 또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이 적용된 거푸집(1)을 사용하던 중 거푸집패널(100)에 파손이 발생하여도 재질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가압 성형방식에 국한하지 않고, 도 8과 같이 압출 성형방식을 이용하여 거푸집(1)을 제조할 수 있으며, 압출 성형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 성형방식을 이용한 거푸집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거푸집(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압출성형장치(400)를 통해 보강형 거푸집패널(120)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100)을 제조한다.
상기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의 제조는 제1수지패널(121) 및 제3수지패널(123)의 수지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장치(410, 420)를 구성한다.
상기 수지원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410, 420)는 일정 압력을 통해 거푸집패널(100)을 제조하는 압출금형(430)과 연결하고, 상기 압출금형(430)의 일측에는 공급장치(410, 420)로부터 공급되는 수지원료를 용융할 수 있도록 히팅장치(44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압출금형(430)의 일측에는 인출되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냉각장치(450)를 설치하고, 상기 냉각장치(450)의 일측에는 냉각 상태로 이송되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100)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장치(460)를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패널(100)의 제조과정은 먼저, 제1수지패널(121)을 형성하기 위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원료를 하나의 공급장치(410)를 통해 히팅장치(440)로 투입한다.
그리고 다른 공급장치(420)에는 제3수지패널(123)을 구성하기 위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원료를 히팅장치(440)로 투입한다.
상기와 같이 히팅장치(440)로 제1수지패널(121) 및 제3수지패널(123)의 수지원료가 공급되면, 히팅장치(440)에 의해 수지원료를 용융하고, 상기 용융한 수지원료를 압출금형(430)을 통과되도록 하면서 제1수지패널(121) 및 제3수지패널(123)이 2중으로 압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때 제1수지패널(121) 및 제3수지패널(123)은 용융에 의해 서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용융에 의해 보강형 거푸집패널(120)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10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압출금형(430)을 통해 보강형 거푸집패널(120)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100)은 압출금형(430) 일측에 형성한 냉각장치(450)에 의해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고, 냉각장치(450)를 거친 거푸집패널(100)은 절단장치(460)에 의해 규격에 맞게 가공한다.
그리고 보강형 거푸집패널(120) 하부에 설치하는 횡보강바(130)는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과정을 통해 제조하며, 보강형 거푸집패널(120) 하부에 결합시킨 후 거푸집틀(200)에 설치하여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이 설치된 거푸집(100)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은 제1수지패널(112)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휨강도가 우수하여 거푸집(1) 설치 시 콘크리트 몰탈의 무게 및 압력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의 제3수지패널(123)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수지로 이루어져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탈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의 하부에 설치한 횡보강바(130)와 거푸집틀(200)에 형성한 종보강바(210)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종방향 또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과 횡방향에서 함께 가해지는 콘크리트 몰탈의 무게 및 압력을 견고하고 지탱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지계열을 원료를 이용하여 평판형 거푸집패널(110) 또는 보강형 거푸집패널(120)을 형성하므로 수지 자체가 가지고 있는 탄성에 의해 휨강도가 매우 우수하여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시 변형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지패널(121) 및 제3수지패널(123)은 수지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거푸집(1)의 파손시 재활용을 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거푸집(10)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을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건설, 토목 현장에서 반복사용 후 이를 수거하여 간단한 보수작업으로 재활용하여 다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제작비용과 제품 구매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거푸집 100: 거푸집패널
110: 평판형 거푸집패널 111, 121: 제1수지패널
112: 제2수지패널 113, 123: 제3수지패널
114: 제1수지망 115: 제2수지망
120: 보강형 거푸집패널 121-1: 보강돌기
121-2: 결합홈 130: 횡보강바
131: 결합돌기 132: 이탈방지돌기
200: 거푸집틀 210: 종보강바
300: 가압성형장치 310: 프레스금형
320: 히팅장치 330: 가압프레스
400: 압출성형장치 410: 제1수지공급장치
420: 제2수지공급장치 430: 압출금형
440: 히팅장치 450: 냉각장치
460: 절단장치

Claims (12)

  1. 삭제
  2. 거푸집에 있어서,
    콘크리트 몰탈 일측에 밀착되어 양생시 콘크리트의 무게와 압력 및 못 등을 뺄 때 노루발 장도리, 배척 또는 노루발 못뽑이의 가압자국이 남지 않으면서 충격에 대하여 강하게 견디면서 자체 휨강성을 가지며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탈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프레스금형(310)에 의해 제1수지패널(111), 제1수지망(114), 제2수지패널(112), 제2수지망(115) 및 제3수지패널(113)이 가압되어 적층되고, 제1수지패널(111)의 하부에 결합홈(121-2)을 가지며 복수의 보강돌기(121-1)가 형성되며, 제1수지패널(111), 제2수지패널(112) 및 제3수지패널(113)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에 탄소섬유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평판형 거푸집패널(120)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100)과;
    거푸집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측단에 복수의 결합돌기(131)를 형성하고, 복수의 결합돌기(131)의 측단을 절첩하여 'q'자 형상의 이탈방지돌기(132)를 형성하여 거푸집패널(100) 하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횡보강바(130)와;
    거푸집패널(1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종보강바(210)가 설치된 거푸집틀(2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제1수지망(114)과 제2수지망(115)에는
    접착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물질은,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돌기(121-1)가 형성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에 탄소섬유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제1수지패널(111), 제2수지패널(112) 및 제3수지패널(113) 사이에서 용융되어 제1수지패널(111), 제2수지패널(112) 및 제3수지패널(113)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94701A 2015-07-02 2015-07-02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1704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701A KR101704762B1 (ko) 2015-07-02 2015-07-02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701A KR101704762B1 (ko) 2015-07-02 2015-07-02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02A KR20170004402A (ko) 2017-01-11
KR101704762B1 true KR101704762B1 (ko) 2017-02-08

Family

ID=5783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701A KR101704762B1 (ko) 2015-07-02 2015-07-02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66B1 (ko) 2017-08-28 2018-03-09 신도식 친환경 재생재료 기반의 거푸집용 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40Y1 (ko) * 1999-09-14 2000-03-15 박성호 형틀용 판재
KR200298064Y1 (ko) * 2002-09-04 2002-12-13 안승한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981178A1 (it) * 1998-05-27 1999-11-29 Lonati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limentazione contemporanea di almeno due fili in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o calzetteria a
KR200268239Y1 (ko) 2001-12-28 2002-03-15 영산개발 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KR20090005199U (ko) * 2007-11-26 2009-05-29 아이케이 주식회사 거푸집용 패널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40Y1 (ko) * 1999-09-14 2000-03-15 박성호 형틀용 판재
KR200298064Y1 (ko) * 2002-09-04 2002-12-13 안승한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66B1 (ko) 2017-08-28 2018-03-09 신도식 친환경 재생재료 기반의 거푸집용 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02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4337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BR0012399A (pt) Elemento de molde perdido para a construção de lajes lisas de concreto reforçadas tradicionais
US3983668A (en) Flooring member
KR101279379B1 (ko) 콘크리트포장도로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CN201314119Y (zh) 一种木塑建筑模板
KR101704762B1 (ko)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99682A1 (en) Structural Elements Made From Syntactic Foam Sandwich Panels
KR200271524Y1 (ko) 합성 수지 판재와 프레임을 이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프레임의 구조
KR101054954B1 (ko) 열가소성 복합재로 만들어진 거푸집용 판재
KR100465263B1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제조 방법 및 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CN201124600Y (zh) 一种金属增强板材
KR100492221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TW201813887A (zh) 複合式棧板結構
KR200268239Y1 (ko)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KR100469849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DE102004011775A1 (de) Leichte Kunststoff-Verbund-Hartplat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211548303U (zh) 一种装配式可拆卸式钢筋桁架楼承板
JP2619225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該コンクリート型枠の製造方法
JP2012140782A (ja) 足場構造体
KR200277874Y1 (ko) 건축시공을 위한 거푸집의 단위부재
CN219343977U (zh) 高强带肋塑料模板
KR200271683Y1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KR20060030871A (ko) 폐비닐을 이용한 파레트의 제조방법 및 그 파레트
KR102010629B1 (ko)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플라스틱 거푸집
CN214362682U (zh) 一种frp增强木塑栈道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