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791B1 - 자주식 토질개량기 - Google Patents

자주식 토질개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791B1
KR100681791B1 KR1020000031117A KR20000031117A KR100681791B1 KR 100681791 B1 KR100681791 B1 KR 100681791B1 KR 1020000031117 A KR1020000031117 A KR 1020000031117A KR 20000031117 A KR20000031117 A KR 20000031117A KR 100681791 B1 KR100681791 B1 KR 10068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liquid
mixer
raw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498A (ko
Inventor
요시다야수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49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urface soil stabilisation for road building or like purposes, e.g. mixing local aggregate with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2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making embankments; for back-filling
    • E02F5/223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making embankments; for back-filling for back-filling
    • E02F5/22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making embankments; for back-filling for back-filling with means for processing the soil, e.g. screening belts, separators; Padd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2Conveying equipment mounted on a dred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토질개량제를 용이하게 단시간으로 보급가능한 자주식 토질개량기로 한다.
주행체(2)를 구비한 차체(1)에, 혼합기(3), 원료토 호퍼(8), 원료토 반송장치(7), 개량토 반송장치(10)를 설치한다. 상기 차체(1)에, 액체공급수단(11)과 액체탱크(12)와 액체분출수단(13)으로 이루어지는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를 설치하고, 그 액체분출수단(13)을 혼합기(3)의 투입구측 근처에 설치하여 원료토 반송장치(7)로 반송되는 원료토의 위에 액체토질개량제를 분출하여 공급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액체탱크(12)를 낮은 위치에 설치하여 용이하게 단시간에 보급가능하다.

Description

자주식 토질개량기{MOBILE-TYPE SOIL IMPROVER}
도 1은, 자주식 토질개량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자주식 토질개량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자주식 토질개량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자주식 토질개량기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5는, 토질개량제 공급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액체분출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액체분출수단의 다른 설치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8은, 후혼합기의 설치부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단면도이다.
도 10은, 후혼합기의 제 2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설치부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단면도이다.
도 12는, 복수의 액체분출수단을 이용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다른 종류의 액체토질개량제를 혼합하여 1개의 액체분출수단으로 분출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혼합기의 배출구 부근에 액체분출수단과 후혼합기를 설치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액체공급수단과 액체탱크의 설치위치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ㆍㆍㆍ 차체 2 ㆍㆍㆍ 주행체
3 ㆍㆍㆍ 혼합기 7 ㆍㆍㆍ 원료토 반송장치
8 ㆍㆍㆍ 원료토 호퍼 10 ㆍㆍㆍ 개량토 반송장치
11 ㆍㆍㆍ 액체공급수단 12 ㆍㆍㆍ 액체탱크
13 ㆍㆍㆍ 액체분출수단 15 ㆍㆍㆍ 토양 커터
16 ㆍㆍㆍ 임팩트해머 30 ㆍㆍㆍ 동력원
31 ㆍㆍㆍ 액체펌프 32 ㆍㆍㆍ 흡인관로
33 ㆍㆍㆍ 토출관로 34 ㆍㆍㆍ 파이프
35 ㆍㆍㆍ 파이프 36 ㆍㆍㆍ 분출구
38 ㆍㆍㆍ 파이프 39 ㆍㆍㆍ 파이프
40 ㆍㆍㆍ 설치용 부재 41 ㆍㆍㆍ 커버부재
42 ㆍㆍㆍ 후혼합기 46 ㆍㆍㆍ 회전축
52 ㆍㆍㆍ 모터
본 발명은, 굴삭토나 오염토 등의 원료토와 토질개량제를 혼합하여 토질개량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평9-195265호 공보에 나타내는 자주식 토질개량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자주식 토질개량기는,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에, 토질을 개량하는 흙, 다시 말하면 원료토를 투입하는 원료토 호퍼와, 그 원료토 호퍼 내의 흙을 반송하는 반송용 벨트컨베이어와, 이 반송용 벨트컨베이어로 반송되는 원료토의 위에 토질개량제를 공급하는 토질개량제 공급장치와, 원료토와 토질개량제를 혼합하여 토질을 개량하는 혼합기와, 토질개량한 개량토를 차체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용 벨트컨베이어 등을 각각 설치한 것이다.
상기 자주식 토질개량기의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는, 토질개량제를 투입하는 호퍼와, 그 호퍼의 출구에 설치한 공급기구를 구비하고, 호퍼에 분말체의 토질개량제를 투입하고, 공급기구를 회전구동하는 것으로 토질개량제를 낙하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는 원료토 호퍼와 혼합기의 사이에, 또한 반송용 벨트컨베이어의 상방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호퍼의 지상에서의 높이가 높다.
이 때문에, 호퍼 내에 토질개량제를 투입하기에는 분말체의 토질개량제를 자루에 채우고, 이 자루를 크레인으로 호퍼보다도 높게 매달아 올릴 필요가 있고, 그 작업이 번거로와서 시간이 걸린다.
게다가, 호퍼의 설치위치가 한정되며, 그 호퍼의 용량을 크게 하면 차체가 크게 되어서 자주식 토질개량기가 대형으로 되기 때문에 호퍼의 용량에 한도가 있다. 이 때문에 연속하여 토질개량작업을 하면 호퍼 내의 토질개량제는 단시간에 없어지게 되고, 호퍼 내에 토질개량제를 빈번하게 투입하여 보급해야만 한다.
이것과 아울러 토질개량제의 보급작업이 아주 번거롭고, 시간이 걸린다.
또한, 토질개량제의 공급량은 공급기구의 회전수로 조절하지만, 토질개량제가 분말체이므로 공급기구의 회전수에 대응한 양만큼 정확하게 공급되지 않는 것이 있으며, 토질개량제를 정확하게 소정량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다른 복수종류의 토질개량제를 공급하기에는, 복수의 호퍼, 공급기구를 차체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그 설치 공간이 크며 자주식 토질개량기가 대형으로 된다.
또한, 호퍼 내 및 공급기구 내에서 분말체의 토질개량제가 고화되어 막혀서, 토질개량제가 공급가능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분말체의 토질개량제가 각 부분의 간극 등에서 외부로 새고, 주위로 부유비산하여 작업환경이 나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가능하도록 한 자주식 토질개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의 발명은, 주행체(2)를 구비한 차체(1)와,
이 차체(1)에 설치되어 토질개량하는 원료토가 투입되는 원료토 호퍼(8)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토 호퍼(8) 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 반송장치(7)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토 반송장치(7)로 반송된 원료토를 혼합하는 혼합기(3)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체(2), 원료토 반송장치(7), 혼합기(3)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와,
액체공급수단(11)으로 액체탱크(12)의 액체토질개량제를 액체분출수단(13)으로부터 분출시키는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은, 상기 원료토 호퍼(8)에서 혼합기(3)의 배출부분까지의 사이의 적어도 1개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1의 발명에 의하면, 액체탱크(12) 내의 액체토질개량제를 액체공급수단 (11)으로 공급하여 액체분출수단(13)에서 분출하는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그 액체탱크(12)와 액체공급수단(11)을 액체분출수단(13)에 대하여 토질개량제가 액체인 것에서 임의의 장소 또는 떨어진 장소에 임의의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체탱크(12)를 낮은 위치에 설치함과 아울러, 액체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공간에 맞는 임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액체탱크(12) 내에 액체토질개량제를 보급하는 것에 분말체 토질개량제의 보급에 필요한 크레인 등을 쓰지 않아, 그 보급작업이 용이하며, 그 보급하는 시간 간격이 길고 보급회수가 적다.
이것과 아울러 액체토질개량제의 보급작업이 용이하고, 단시간에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액체공급수단(11)으로 단위시간에 공급하는 액량을 펌프회전, 토출량 등으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액체토질개량제를 정확하게 소정량 공급할 수 있고, 개량토 품질이 안정되며, 쓸데없는 개량제 사용이 적어지므로 생산비용이 싼가격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설치가 임의로 이루어지므로 공간의 유효활용이 가능하고, 형상도 임의로 하여도 가능하므로, 액체탱크(12)의 수를 증가하는 것으로 복수종류의 액체토질개량제를 공급가능하고, 원료토에 맞는 액체토질개량제를 단독ㆍ복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개량효과가 향상한다. 게다가 자주식 토질개량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있다.
또한, 액체토질개량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화되어 막히는 경우가 없으며, 분말체와 같이 외부로 새서 주위에 부유비산하는 경우도 없다. 게다가 원료토로의 침투성도 양호하여 혼합성이 향상한다.
제 2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은, 원료토 호퍼(8), 원료토 반송장치(7)의 혼합기(3)의 투입구 근처, 혼합기(3) 내부, 혼합기 (3)의 배출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2의 발명에 의하면, 원료토 호퍼(8) 내의 원료토, 반송되는 원료토, 혼합기(3) 내부, 혼합기(3)에서 배출되는 흙에 있어서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액체토질개량제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원료토 호퍼(8) 내의 원료토에 액체토질개량제를 공급하면, 그 액체토질개량제는 원료토반송 중에도 원료토에 침투하여 침투성이 양호한 것이므로, 혼합기(3)에서의 혼합성이 향상된다.
원료토반송장치(7)의 혼합기(3) 투입구 근처에서 반송되는 원료토에 액체토 질개량제를 공급하면, 그 액체토질개량제의 새기 방지처리부분이 작게 되고, 액체토질개량제인 것에서 원료토에 신속하게 침투하여 침투성이 양호한 것이므로, 혼합기(3)에서 충분하게 혼합가능하다.
게다가, 반송되는 원료토의 양에 대응하여 공급하는 액체토질개량제의 양을 펌프제어로 정확하게 조절가능하므로 혼합비율이 적격하고 제어도 간단하게 된다.
혼합기(3) 내부에 액체토질개량제를 공급하면, 혼합기(3) 내부가 액체토질개량제 분위기로 되고, 충분하게 혼합가능함과 아울러, 액체토질개량제가 외부로 새는 일도 없다.
제 3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에 있어서 원료토 호퍼(8)에서 혼합기(3) 내부까지의 사이 및 혼합기(3)의 배출부분에 액체분출수단(13)을 각각 설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3의 발명에 의하면, 원료토와 1개의 액체분출수단(13)에서 분출된 액체토질개량제를 혼합기(3)로 혼합하여 일차 개량하고, 혼합기(3)에서 배출되는 일차 개량토에 액체토질개량제를 분출하는 것이므로, 원료토의 토질개량반응이 빠르게 된다. 특히 6가 크롬오염토와 황산 제 1철용제를 혼합기(3)로 혼합한 일차 개량토에 물 등을 가하면 토질개량반응이 빠르게 되어, 단시간에 오염토 개량이 가능하다.
제 4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에 있어서 혼합기(3)로부터 배출된 흙을 혼합하는 후혼합기(42)를 설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4의 발명에 의하면, 혼합기(3)에서 배출된 흙이 후혼합기(42)로 더욱 혼합되는 것이므로, 혼합성이 향상되고, 반응도 빠르게 된다.
제 5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에 있어서 혼합기(3)의 배출부분에 액체분출수단 (13)을 설치하고, 이 액체분출수단(13)보다도 하방위치에, 분출된 액체토질개량제와 배출된 흙을 혼합하는 후혼합기(42)를 설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5의 발명에 의하면, 혼합기(3)에서 배출되는 흙과 액체토질개량제를 후혼합기(42)로 혼합하여 더욱 혼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토질개량반응도 빠르게 된다.
제 6의 발명은, 주행체(2)를 구비한 차체(1)와,
이 차체(1)에 설치되어 토질개량하는 원료토가 투입되는 원료토 호퍼(8)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토 호퍼(8) 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 반송장치(7)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토 반송장치(7)로 반송된 원료토를 혼합하는 혼합기(3)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기(3)로 혼합한 흙을 배출하는 개량토 반송장치(1)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체(2), 원료토 반송장치(7), 혼합기(3), 개량토 반송장치(1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와,
액체공급수단(11)으로 액체탱크(12)의 액체토질개량제를 액체분출수단(13)으로부터 분출시키는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은, 상기 원료토 호퍼(8)에서 혼합기(3)의 배출부분까지의 사이의 적어도 1개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 개량기이다.
제 6의 발명에 의하면, 액체탱크(12) 내의 액체토질개량제를 액체공급수단 (11)으로 공급하여 액체분출수단(13)에서 분출하는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서, 그 액체탱크(12)와 액체공급수단(11)을 액체분출수단(13)에 대하여 토질개량제가 액체인 것에서 임의의 장소 또는 떨어진 장소에 임의의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체탱크(12)를 낮은 위치에 설치함과 아울러, 액체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공간에 맞는 임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량을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액체탱크(12) 내에 액체토질개량제를 보급하는 것에 분말체 토질개량제의 보급에 필요한 크레인 등을 쓰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며, 그 보급하는 시간 간격이 길고 보급회수가 적다.
이것과 아울러 액체토질개량제의 보급작업이 용이하며, 단시간에 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액체공급수단(11)으로 단위시간에 공급하는 액량을 펌프회전ㆍ분출량 등으로 정확하게 조절가능하므로, 액체토질개량제를 정확하게 소정량 공급가능하고, 개량토 품질이 안정되며, 쓸데없는 개량제 사용이 적게 되므로 생산비용이 싼가격으로 된다.
또한, 설치가 임의로 가능한 것에서 공간의 유효활용이 가능하며, 형상도 임의로 가능한 것에서, 액체탱크(12)의 수를 증가하는 것으로 복수종류의 액체토질개량제를 공급할 수 있고, 원료토에 맞는 액체토질개량제를 단독ㆍ복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개량효과가 향상한다. 게다가 자주식 토질개량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체토질개량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화되여 막히는 일이 없으며, 분말체와 같이 외부로 새어 주위로 부유비산하는 경우도 없다. 게다가 원료토로의 침투성도 양호하여 혼합성이 향상한다.
또한, 토질개량한 개량토를 개량토 반송장치(10)로 차체외부로 반송가능하고, 그 개량토 반송장치(10)가 차체(1)과 함께 주행이동하는 것에서 기동성에 우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7의 발명은, 제 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이, 원료토 호퍼(8), 원료토 반송장치(7)의 혼합기(3)의 투입구 근처, 혼합기(3) 내부, 개량토 반송장치(10)의 배출부분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7의 발명에 의하면, 원료토 호퍼(8) 내의 원료토, 반송되는 원료토, 혼합기(3) 내부, 혼합기(3)에서 배출되는 흙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에 액체토질개량제를 공급가능하다.
제 8의 발명은, 제 6의 발명에 있어서 원료토 호퍼(8)에서 혼합기(3) 내부까지의 사이 및 개량토 반송장치(10)의 배출부분에 액체분출수단(13)을 각각 설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8의 발명에 의하면, 원료토와 1개의 액체분출수단(13)에서 분출된 액체토질개량제를 혼합하여 일차 개량하고, 개량토 반송장치(10)에서 배출되는 일차 개량토에 액체토질개량제를 분출하므로, 원료토의 토질개량반응이 빠르게 된다. 특히 6가 크롬오염토와 황산 제 1철용제를 혼합기(3)로 혼합한 일차 개량토에 물 등을 첨가함으로써 토질개량반응이 빠르게 되어, 단시간에 오염토개량이 가능하다.
제 9의 발명은, 제 6의 발명에 있어서 개량토 반송장치(10)에 의해, 배출된 흙을 혼합하는 후혼합기(42)를 설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9의 발명에 의하면, 개량토 반송장치(10)에서 배출되는 흙을 후혼합기 (42)로 더욱 혼합되는 것에서, 혼합성이 향상되고, 반응도 빠르게 된다.
제 10의 발명은, 제 6의 발명에 있어서 개량토 반송장치(10)의 배출부분에 액체분출수단(13)을 설치하고, 이 액체분출수단(13)보다도 하방위치에, 분출한 액체토질개량제와 배출된 흙을 혼합하는 후혼합기(42)를 설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10의 발명에 의하면, 개량토 반송장치(10)에서 배출되는 흙과 액체토질개량제를 후혼합기(42)로 혼합하여 더욱 혼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토질개량반응도 빠르게 된다.
제 11의 발명은, 제 1 또는 제 6의 발명에 있어서, 액체공급수단(11)과 액체탱크(12)를 차체(1)에 설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11의 발명에 의하면, 액체공급수단(11), 액체탱크(12)가 차체(1)과 함께 주행이동하는 것에서, 기동성에 우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12의 발명은, 제 1 또는 제 6의 발명에 있어서, 액체공급수단(11)과 액체 탱크(1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를 차체(1)와 별도배치한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12의 발명에 의하면, 차체(1)와 별도배치된 액체공급수단(11)과 액체탱크(1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를 차체(1)에 설치할 공간이 불필요하여, 자주식 개량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 13의 발명은, 제 1 또는 제 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수단(11)은 동력원(30)에 의해 구동되는 액체펌프(31)이고, 그 토출측이 토출관로(33)에 의해 액체분출수단(13)에 접속하고 있는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13의 발명에 의하면, 동력원(30)으로 액압펌프(31)의 회전수를 증감하는 것에서 단위시간에 공급하는 액체토질개량제의 액량을 간단 또는 정확하게 조절가능하다.
따라서, 액체토질개량제의 공급량을 간단 또는 정확하게 임의의 값으로 조절가능하다.
또한, 액체펌프(31)의 토출측을 토출관로(33)로 액체분출수단(13)에 접속하였으므로, 그 액체펌프(31)와 액체분출수단(13)이 떨어져 있어도 토출관로(33)를 설치하면 양호하기 때문에, 액체분출수단(13)을 좁은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액체펌프(31), 액체탱크(12)를 차체와는 별도배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액체탱크(12)를 대용량으로서 장시간 보급하지 않고 연속하여 토질개량작업 가능하다.
제 14의 발명은, 제 1 내지 제 13 중 어느 1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출수단(13)은, 파이프(34), 긴 파이프(35)에 복수의 분출구(36)를 형성한 것, 선단부가 깔대기형상의 파이프(38)로 그 선단면에 복수의 분출구(36)를 형성한 것, 선단부가 큰 지름의 파이프(39)로 선단면에 복수의 작은 지름의 분출구(36)가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인 자주식 토질개량기이다.
제 14의 발명에 의하면, 액체분출수단(13)을 파이프(34)로 하면 형상이 간단하여 비용이 싸게 된다.
긴 파이프(35)에 복수의 분출구(36)를 형성한 것으로 하면, 액체토질개량제를 폭넓은 범위로 대략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선단부가 깔대기형상인 파이프(38)의 선단면에 복수의 분출구(36)를 보유하는 것, 또는 선단부가 큰 지름이며 선단면에 복수의 분출구(36)를 보유하는 것으로 하면, 액체토질개량제를 넓은 범위에 걸쳐서 안개형상으로 분출가능하므로, 혼합기 (3)의 내부나 개량토 반송장치(10)에서 배출된 흙에 분출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와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1)에 좌우의 주행체(2), (2)가 설치되어서 자주식 차량으로 되어 있다. 차체(1)의 전후중간부에 혼합기(3)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1)의 전방부 근처에 엔진, 유압펌프 등의 구동장치(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장치(4)는 커버(5)로 덮여져 있다. 상기 주행체(2)는 무한궤도식으로 되어 있지만, 차륜식으로 해도 된다. 또한 차체(1)에는 탑승바닥(1a)이 설치되어 있다.
차체(1)의 후부 근처에 설치용 프레임(6)이 차체(1)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설치용 프레임(6)에 원료토 반송장치(7)가 전후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치용 프레임(6)에 원료토 호퍼(8)가 상기 원료토 반송장치(7)의 후부 근처부분 상방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료토 호퍼(8)와 상기 혼합기(3)와의 사이에 커버체(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커버체(9)로 원료토 반송장치(7)의 앞부분 근처부분의 상방을 덮고 있다.
상기 차체(1)의 하부에는 개량토 반송장치(10)가 전후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개량토 반송장치(10)의 반송방향 일측부(후부근처)는 상기 혼합기(3)의 하방에 위치하고, 개량토 반송장치(10)의 반송방향 타측부(전부근처)는 차체(1)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차체(1)의 앞부분 근처 좌우 일측부에 액체공급수단(11)이 설치되어 있고, 차체(1)의 뒷부분 근처 좌우 일측부에 액체탱크(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체(9)에 액체분출수단(13)이 원료토 반송장치(7)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액체분출수단(13)과 상기 액체공급수단(11)과 액체탱크(12)로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혼합기(3)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4) 내에 제 1차혼합기로서의 토양 커터(15)와 제 2차혼합기로서의 복수의 임팩트해머(회전자붙임 로타리)(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료토 반송장치(7)는 구동륜(17)과 종동륜(18)에 무단띠형상체(19)를 감은 컨베이어로 되어 있다. 이 원료토 반송장치(7)의 배출단부는 혼합기(3)의 케이스(14)의 측벽(14a)에 형성하여 투입구(20)에서 케이스(14) 내로 돌출하여 있다. 상기 무단띠형상체(19)는 철제 무한궤도판을 다수무단형상으로 연결한 무한궤도대로 하고 있지만, 벨트로도 양호하다.
상기 원료토 호퍼(8)의 배출구 근처에는 퍼내기용 회전자(21)가 설치되어 있고, 원료토(a)의 베어내는 높이(b)를 일정하게 한다. 상기 베어내는 높이(b)는 원료토 반송장치(7)에서 혼합기(3)로 향하여 반송하는 원료토(a)의 높이이다.
상기 원료토 반송장치(7)의 상방에는 흙의 높이를 검출하는 원료토 센서(17 a)가 설치되어 있고, 원료토의 높이가 설정이상(베어내는 높이(b)의 약70%)으로 되면 ON으로 되어서 원료토가 흐르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상기 개량토 반송장치(10)의 반송방향 일측부는 혼합기(3)의 케이스(14)의 배출구(22)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액체공급수단(1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관, 전동모타 등의 동력원(30)으로 구동되는 액체펌프(31)이고, 그 액체펌프(31)의 흡입구가 파이프, 호스 등의 흡입관로(32)를 경유하여 액체탱크(12) 내의 액체토질개량제를 흡인하여 파이프, 호스 등의 토출관로(33)에 토출한다.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은 복수의 파이프(34)이고, 각 파이프(34)에 상기 토출관로(3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34)는 1개로도 양호하다.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토 호퍼(8)에 투입된 굴삭토 등의 원료토(a)는 원료토 반송장치(7)와 회전자(21)로 일정한 베어내는 높이로서 혼합기(3)로 향하여 반송된다. 원료토가 반송되면 상기 원료토 센서(7a)가 ON으로 되고, 상기 동력원(30)이 구동하여, 그 원료토(a)의 위에 액체분출수단(13)(파이프(34))으로 액체토질개량제가 분출되어진다. 이 액체토질개량제는 원료토에 빠르게 침투하여, 침투성이 양호하다.
혼합기(3)의 케이스(14) 내까지 반송된 원료토(a)와 액체토질개량제는 토양커터(15)로 절단되어 떨어져서 제 1차 혼합되고, 임팩트해머(16)로 제 2차혼합(해쇄혼합교반)되어서 원료토(a)의 토질을 개량하고, 그 토질개량토(c)는 케이스(14)의 배출구(22)에서 개량토 반송장치(10) 위에 낙하 공급되어, 그 개량토 반송장치 (10)에서 차체 앞방향으로 반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료토(a)는 토양커터(15)로 소정의 두께의 박막형상으로 절단되어 떨어지고, 그 일부분에 액체토질개량제가 부착되어 있다. 그 박편형상의 원료토(a)는 액체토질개량제가 부착된 부분이 상향, 하향, 횡향 등의 각종 방향으로 낙하하고, 임팩트해머(16)로 해쇄혼합되는 것에서 원료토와 액체토질개량제가 충분히 혼합된다.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파이프(35)의 길이방향 복수위치에 분출구(36)를 형성하고, 이 파이프(35)에 토출관로(33)의 접속부(37)를 형성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깔대기형상의 파이프(38)로, 그 선단면에 복수의 분출구(36)를 형성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큰 지름의 파이프(39)로, 그선단면에 복수의 작은 지름의 분출구(36)를 형성하고, 액체 토질개량제를 안개형상으로 분출하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액체 공급수단(11)과 액체탱크(12)는 차체(1)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도 좋다. 다시말하면, 토질개량제가 액체이기 때문에, 그 유동성을 이용하여 공 간에 맞는 임의의 형상으로 하여, 임의의 장소에 설치가능하다.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의 설치위치는 커버체(9)에 제한하지 않고,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토 호퍼(8)의 회전자(21)보다 혼합기(3)근처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원료토 호퍼(8) 내의 원료토(a)에 액체토질개량제가 빠르게 침투하여, 침투성이 양호하다.
또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혼합기(3)의 케이스(14) 내의 상부근처에 하방으로 향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6(b), (c)에 나타내는 액체분출수단(13)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혼합기(3)의 케이스(14) 내가 액체토질개량제 분위기로 되고, 원료토와 액체토질개량제의 혼합성이 향상한다. 게다가 액체토질개량제가 케이스(14) 외부로 새는 경우도 없다.
또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량토 반송장치(10)의 배출부분에, 그 개량토 반송장치(10)에서 낙하하는 흙과 대향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도 6(b), (c)에 나타내는 액체분출수단(13)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8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량토 반송장치(10)의 프레임본체(10a)의 배출단부분에 설치용 부재(40)를 고정부착하고, 이 설치용 부재(40)에 커버부재(41)를 고정부착하고, 그 커버부재(41)의 상부에 액체분출수단(13)을 낙하하는 흙과 대향하여 설치한다.
상기 커버부재(41)의 하부에 후혼합기(42)를 설치한다.
상기 설치용 부재(40)는 한 쌍의 설치용 플레이트(43)를 연결재(44)로 연결하고, 그 연결재(44)에 한쌍의 플레이트(45)를 고정부착한 평면형상 대략 H자형상 으로, 그 한쌍의 설치용 플레이트(43)가 상기 프레임본체(10a)의 좌우양측부에 볼트 등으로 고정부착된다.
상기 커버부재(41)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으로, 그 후벽(41a)이 연결재(44)에 볼트 등으로 고정부착되고, 그 좌우벽(41b)은 상기 한 쌍의 프레임(45)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앞쪽벽(41c)의 상부에 액체분출수단(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혼합기(42)는 회전축(46)에 혼합자(47)를 방사형상으로 향하여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복수설치한 회전자(48)를 구비하고, 그 회전축(46)이 커버부재(41)의 좌우벽(41b)의 구멍(49)을 관통하여 좌우 한 쌍의 프레임(45)에 축받이 (50)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일방의 플레이트(45)에 통체(51)를 끼워서 유압 또는 전기의 모터(52)를 설치하고, 그 모터(52)의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46)을 통체(51) 내에서 도시하지 않은 커플링으로 연결하고, 그 모터(52)를 구동하는 것으로 회전자(48)가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0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도 좋다. 다시 말하면 개량토 반송장치(10)의 프레임본체(10a)의 배출단부분에 각이 진 통형상의 커버부재(41)를 하향으로 고정부착하고, 이 커버부재(41)의 상부에 액체분출수단(13)을 낙하는 흙과 대향하여 설치한다.
상기 커버부재(41)의 좌우벽(41b)의 하부에 후혼합기(42)의 회전축(4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유압 또는 전기의 모터(52)를 커버부재(41)의 후벽(41a)에 설치한다.
상기 회전축(46)에 고정부착한 풀리(53)와 모터(52)로 회전되는 풀리(54)에 벨트(55)가 감기고, 모터(52)를 구동하는 것으로 회전자(48)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개량토 반송장치(10)에서 낙하한 흙에 액체 토지개량제가 분출되어서 여(餘)혼합한다.
이 후에 후혼합기(42)로 흙과 액체토질개량제가 충분히 혼합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혼합기(3)는 원료토(a)를 해쇄하여 덩어리가 없는 미분말형태로 하는 기능만으로도 좋다. 또한, 액체분출수단(13)을 설치하지 않고 후혼합기(42)만을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은 한 장소가 아니고 상기 도 4, 도 7(a), (b), (c)에 나타내는 4개의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4, 도 7(a), (b), (c)에 나타내는 4개의 위치에 있어서의 임의의 2개의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4, 도7(a), (b), (c)에 나타내는 4개의 위치에 있어서의 임의의 3개의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치에 액체분출수단(13)을 설치한 경우에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액체분출수단(13)에 대하여 액체펌프(31)와 액체탱크(12)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액체탱크(12)에 다른 종류의 액체토질개량제를 채우는 것이므로 다른 종류의 액체토질개량제를 다른 위치에 분출하여 공급가능하다.
또한,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액체펌프(31)와 1개의 액체탱 크(12)를 설치하여 각각의 액체분출수단(13)에 액체토질개량제를 압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1개의 액체분출수단(13)에서 다른 종류의 액체토질개량제를 혼합하여 분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액체탱크(12)의 액체토질개량제를 1개의 액체펌프(31)로 흡인하여 토출하거나,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액체탱크(12)의 액체토질개량제를 각각 액체펌프(31)로 흡인하고, 각 액체펌프(31)의 토출측을 합류하여 1개의 액체분출수단(13)에 압송하도록 한다.
상기 후혼합기(42)는 개량토 반송장치(10)와 별체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지면에 설치 또는 이동가능한 지지프레임에 상기 설치용 부재(40) 또는 커버부재(41)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액체분출수단(13)과 후혼합기(42)는 개량토반송장치(10)의 반송방향 중간위치에 각각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토질개량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체(9)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원료토 호퍼(8)에 설치한 액체분출수단(13)에서 액체의 고분자계 고화재를 분출한다.
원료토 호퍼(8)에 진흙을 투입하고, 이 진흙과 고분자계 고화제를 혼합기(3)로 혼합하여 토질을 개량하고, 그 토질개량토를 개량토반송장치(10)로 차체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서 진흙, 예컨대 실드 굴진기로 터널굴삭하는 때에 배출 되는 진흙을 굳은 양질의 흙으로 토질개량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내는 커버체(9)에 설치한 액체분출수단(13)(도 6(a)에 나타내는 것)에서 황산 제 1철용제를 분출하고, 도 7(c)에 나타내는 개량토 반송장치(10)에 설치한 액체분출수단(13)(도 6(b) 또는 (c)에 나타내는 것)에서 물을 분출한다. 원료토 호퍼(8)에 6가 크롬오염토를 투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6가 크롬오염토와 황산 제 1철용제가 혼합기(3)에 의해 혼합되고, 이 혼합물에 물이 분출되므로, 6가 크롬오염토를 불용화의 상태로 토질개량가능함과 아울러, 물을 가하는 것으로 그 반응(토질개량)의 진행이 쉽게 된다.
도 7(b)에 나타내는 혼합기(3)에 설치한 액체분출수단(13)(도 6(b))에 나타내는 것)에서 황산 제 1철용제를 분출하고, 도 7(c)에 나타내는 개량토반송장치 (10)에 설치한 액체분출수단(13)(도 6(b) 또는 (c)에 나타내는 것)으로 물을 분출한다. 원료토 호퍼(8)에 6가 크롬오염토를 투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6가 크롬오염토와 황산 제 1철용제가 혼합기(3)에 의해 혼합되고, 이 혼합물에 물이 분출되므로, 6가 크롬오염토를 불용화의 상태로 토질개량가능함과 아울러, 물을 가하는 것으로 그 반응(토질개량)의 진행이 쉽게 된다.
상기 개량토반송장치(10)를 구비하지 않은 자주식 토질개량기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혼합기(3)의 배출구(22)에서 개량토가 배출되는 것에서, 그 배출구(22)의 하방에 배출용 벨트컨베이어를 별도배치하여 차체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거나, 혼합기(3)의 배출구(22)를 차체외부(주행체(2)보다 전방으로 떨어진 위치)로 하여 차체외부에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상기 자주식 토질개량기의 경우에는 혼합기(3)의 배출구(22) 부근에 액체분출수단(13)과 후혼합기(42)를 설치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혼합기(3)의 배출구(22)를 폭좁은 형상으로 하고, 그 케이스(14)의 배출구(22) 부근에 액체분출수단(13)과 후혼합기(42)를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설치용 부재(40), 커버부재(41)를 끼워서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혼합기(3)의 배출구(22)에서 배출되고 해쇄되는 덩어리가 없는 미분말상태의 흙과 액체토질개량제를 여혼합하고, 후혼합기(42)로 충분히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액체토질개량제의 공급량의 제어에 관해서 설명한다.
원료토 반송장치(7)의 구동륜(17)을 구동하는 모터, 원료토 호퍼(8)의 회전자회전자를 회전하는 모터를 제어하는 것으로 원료토 공급속도를 조절가능하도록 한다.
동력원(30)에 의한 액체펌프(3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액체분출수단(13)에서 분출하는 액체토질개량제의 양을 조절가능하도록 한다.
혼합기(3)의 투입구(20) 부근에 원료토 공급량 검출수단을 설치한다. 예컨대, 복수의 스위치나 레이저로 공급되는 원료토의 높이를 검출하고, 이 공급되는 원료토의 높이와 상기 원료토 공급속도로 단위시간당 공급되는 원료토의 양을 검출한다.
원료토와 액체토질개량제의 혼합비를 미리 설정하고, 이 혼합비와 검출한 원료토의 양에 기초하여 원료토 공급속도 또는 분출하는 액체토질개량제량을 조절하 여 항상 일정한 혼합비로 한다.
이상의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체공급수단(11)과 액체탱크(12)를 차체(1)에 설치하였지만, 어느 하나 또는 둘다를 차체(1)에 별도배치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공급수단(11)을 차체(1)와 별도배치로 하고, 그 흡입구를 흡입관로(32)로 차체(1)에 설치한 액체탱크(12)에 접속하고, 토출관로(33)를 액체분출부(13)에 접속한다.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탱크(12)를 차체(1)와 별도배치로 하고, 차체(1)에 설치한 액체공급수단(11)의 흡입구를 흡입관로(32)로 액체탱크(12)에 접속한다.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공급수단(11)과 액체탱크(12)를 차체(1)와 별도배치로 하고, 그 토출관로(33)를 액체분출부(13)에 접속한다.
본 발명은, 액체탱크(12)를 낮은 위치에 설치함과 아울러, 액체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공간에 맞는 임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으며, 그 액체탱크(12) 내에 액체토질개량제를 보급하는 것에 분말체 토질개량제의 보급에 필요한 크레인 등을 쓰지 않아, 그 보급작업이 용이하며, 그 보급하는 시간 간격이 길고 보급회수가 적다. 또한, 액체토질개량제의 보급작업이 용이하여, 단시간에 할 수 있고,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액체공급수단(11)으로 단위시간에 공급하는 액량을 펌프회전, 토출량 등으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액체토질개량제를 정확하게 소정량 공급할 수 있고, 개량토 품질이 안정되며, 쓸데없는 개량제 사용이 적어지므로 생산비용이 싼가격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설치가 임의로 이루어지므로 공간의 유효활용이 가능하고, 형상도 임의로 하여도 가능하므로, 액체탱크(12)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복수종류의 액체토질개량제를 공급가능하고, 원료토에 맞는 액체토질개량제를 단독ㆍ복합하여 공급할 수 있어서 개량효과가 향상한다. 게다가 자주식 토질개량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체토질개량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화되어 막히는 경우가 없으며, 분말체와 같이 외부로 새서 주위에 부유비산하는 경우도 없다. 게다가 원료토로의 침투성도 양호하여 혼합성이 향상한다.

Claims (14)

  1. 주행체(2)를 구비한 차체(1)와,
    이 차체(1)에 설치되어 토질개량하는 원료토가 투입되는 원료토 호퍼(8)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토 호퍼(8) 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 반송장치(7)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토 반송장치(7)로 반송되는 원료토를 혼합하는 혼합기(3)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체(2), 원료토 반송장치(7), 혼합기(3)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와,
    액체공급수단(11)으로 액체탱크(12)의 액체토질개량제를 액체분출수단(13)으로부터 분출시키는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은, 원료토 호퍼(8), 원료토 반송장치(7)의 혼합기(3) 투입구 근처, 혼합기(3)의 배출부분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원료호퍼(8)에서 혼합기(3) 내부까지의 사이 및 혼합기(3)의 배출부분에 액체분출수단(13)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4. 제 1항에 있어서, 혼합기(3)로부터 배출된 흙을 혼합하는 후혼합기(4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5. 제 1항에 있어서, 혼합기(3)의 배출부분에 액체분출수단(13)을 설치하고, 이 액체분출수단(13)보다 하방위치에, 분출한 액체토질개량제와 배출된 흙을 혼합하는 후혼합기(4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6. 주행체(2)를 구비한 차체(1)와,
    이 차체(1)에 설치되어 토질개량하는 원료토가 투입되는 원료토 호퍼(8)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토 호퍼(8) 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반송장치(7)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토반송장치(7)로 반송된 원료토를 혼합하는 혼합기(3)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기(3)로 혼합한 흙을 배출하는 개량토반송장치(10)와,
    상기 차체(1)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체(2), 원료토반송장치(7), 혼합기(3), 개량토반송장치(1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와,
    액체공급수단(11)으로 액체탱크(12)의 액체토질개량제를 액체분출수단(13)으로부터 분출시키는 토질개량제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은, 원료토 호퍼(8), 원료토반송장치(7)의 혼합기(3) 투입구 근처, 개량토반송장치(10)의 배출부분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원료토 호퍼(8)에서 혼합기(3) 내부까지의 사이 및 개량토반송장치(10)의 배출부분에 액체분출수단(13)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9. 제 6항에 있어서, 개량토반송장치(10)에 의해 배출된 흙을 혼합하는 후혼합기(4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10. 제 6항에 있어서, 개량토반송장치(10)의 배출부분에 액체분출수단(13)을 설 치하고, 이 액체분출수단(13)보다도 하방위치에, 분출한 액체토질개량제와 배출된 흙을 혼합하는 후혼합기(4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11.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수단(11)과 액체탱크(12)를 차체(1)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12.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액체공급수단(11)과 액체탱크(1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를 차체(1)와 별도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13.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수단(11)은 동력원(30)에 의해 구동되는 액체펌프(31)이고, 그 토출측이 토출관로(33)에 의해 액체분출수단(13)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14.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출수단(13)은, 파이프(34), 긴 파이프(35)에 복수의 분출구(36)를 형성한 것, 선단부가 깔대기형상의 파이프(38)로 그 선단면에 복수의 분출구(36)를 형성한 것, 선단부가 큰 지름의 파이프(39)로 선단면에 복수의 작은 지름의 분출구(36)가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토질개량기.
KR1020000031117A 1999-06-07 2000-06-07 자주식 토질개량기 KR100681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59644 1999-06-07
JP11159644A JP2000345580A (ja) 1999-06-07 1999-06-07 自走式土質改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498A KR20010049498A (ko) 2001-06-15
KR100681791B1 true KR100681791B1 (ko) 2007-02-12

Family

ID=1569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117A KR100681791B1 (ko) 1999-06-07 2000-06-07 자주식 토질개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84518A4 (ko)
JP (1) JP2000345580A (ko)
KR (1) KR100681791B1 (ko)
WO (1) WO2000075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47B1 (ko) * 2001-07-20 2004-12-09 대지종합건설 주식회사 고화토 분쇄 및 교반혼합장치
US10016795B2 (en) 2012-12-13 2018-07-1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Remediation of contaminated particulate materi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265A (ja) * 1996-01-12 1997-07-29 Komatsu Ltd 自走式土質改良機
JPH10280471A (ja) * 1997-04-10 1998-10-20 Jdc Corp 固化材混合処理土製造プラン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498A (ja) * 1993-09-10 1995-03-28 Toyo Seisakusho:Kk 泥しょうの固化装置
DE4409507A1 (de) * 1994-03-19 1995-09-21 Walter Schoelkopf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Erdreich zu einem standfesten Baumaterial
DE19612074C2 (de) * 1996-03-27 1999-01-21 Moebius Josef Bau Mobile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von Bodenmateri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265A (ja) * 1996-01-12 1997-07-29 Komatsu Ltd 自走式土質改良機
JPH10280471A (ja) * 1997-04-10 1998-10-20 Jdc Corp 固化材混合処理土製造プラ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4518A4 (en) 2004-10-06
KR20010049498A (ko) 2001-06-15
JP2000345580A (ja) 2000-12-12
WO2000075435A1 (fr) 2000-12-14
EP1184518A1 (en)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936B1 (ko) 자주식 토질개량기
JP3709654B2 (ja) 掘削手段を備えた土質改良機械
JPH11217822A (ja) 自走式土質改良機
KR100681791B1 (ko) 자주식 토질개량기
KR100647056B1 (ko) 유동화 처리토의 원료 공급기
JP3338389B2 (ja) 自走式土質改良機
CN214459372U (zh) 一种工程物料混拌装置
JP2003003791A (ja) シールド掘進機
JPH11222847A (ja) 掘削手段を備えた土質改良機械
JP4858960B2 (ja) 不溶化処理装置
JPH0310232Y2 (ko)
JPH11229370A (ja) 掘削手段を備えた土質改良機械
JP3298054B2 (ja) 混合攪拌による地盤改良工法とその装置
JP3418567B2 (ja) 粘土層の推進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0046620A (ja) 被処理物の粒状固化システム
JP2000008773A (ja) 泥水加圧式埋設管推進方法
KR101608960B1 (ko) 분출 회전식 지중 굴진 장치
JP2002263463A (ja) 土砂改良用混合処理装置
JP2000054367A (ja) 深層混合処理工法用地盤改良機
JP2686920B2 (ja) 地盤攪拌混合機械
JPH0739994Y2 (ja) シールド掘削機の薬剤混合装置
JPH07158054A (ja) 地盤改良機械
JPH0988118A (ja) 複数ミキサ式流動化処理装置
JP2008284447A (ja) 不溶化処理装置
JP2001058146A (ja) ベントナイト混合土による吹付け材の作製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