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448B1 - 경구투여용 흡착제,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치료 또는 예방제 - Google Patents

경구투여용 흡착제,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치료 또는 예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448B1
KR100680448B1 KR1020047018247A KR20047018247A KR100680448B1 KR 100680448 B1 KR100680448 B1 KR 100680448B1 KR 1020047018247 A KR1020047018247 A KR 1020047018247A KR 20047018247 A KR20047018247 A KR 20047018247A KR 100680448 B1 KR100680448 B1 KR 10068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oral administration
activated carbon
spherical activated
ch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262A (ko
Inventor
소노베나오히로
모리모토스스무
요시하라히데유키
하나쯔카히로유키
아라카와마코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2118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804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Publication of KR2005004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4Elemental carbon, e.g. charcoal, carbon bl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고, 직경이 0.01~1 mm이며, 그리고 랑뮤어의 흡착식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 1000 ㎡/g 이상인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개시한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고, 직경이 0.01~1 mm이며, 랑뮤어의 흡착식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 1000 ㎡/g 이상이고, 전체 산성기가 0.40~1.00 meq/g이며, 그리고 전체 염기성기가 0.40~1.10 meq/g인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개시한다. 이들 경구투여용 흡착제는 체내 유익성분의 흡착성이 적고, 독성물질의 흡착성능이 많다고 하는 유익한 선택 흡착특성을 나타낸다.
표면개질, 활성탄, 신질환, 간질환, 유익성분, 흡착성능

Description

경구투여용 흡착제,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Adsorbents for oral administration, remedies or preventives for kidney diseases and remedies or preventives for liver diseases}
본 발명은 특이한 세공(細孔)구조를 갖는 구형상 활성탄(活性炭)으로 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및 상기 구형상 활성탄을 추가로 산화처리 및 환원처리함으로써 제조되고, 동일의 특이한 세공구조를 갖는 표면개질(改質)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는 소화효소 등의 체내의 유익성분의 흡착성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유독한 독성물질(Toxin)의 흡착성능이 많다고 하는 선택흡착 특성을 갖고, 더욱이 특이한 세공구조를 갖기 때문에 종래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와 비교하면, 상기의 선택흡착 특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따라서, 특히 간(肝), 신(腎)질환자용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유효하다.
신기능이나 간기능의 결손 환자들은 그들의 장기(臟器) 기능장애에 동반하여, 혈액 중 등의 체내에 유해한 독성물질이 축적되거나 생성되기 때문에, 요독증( 尿毒症)이나 의식장애 등의 뇌증(腦症)을 일으킨다. 이들의 환자수는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들 결손 장기를 대신하여 독성물질을 체외로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장기대용 기기 또는 치료약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현재, 인공신장으로서는 혈액투석에 의한 유독물질의 제거방식이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혈액투석형 인공신장에서는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 관리상 전문 기술자를 필요로 하고, 또한 혈액의 체외 취출(取出)에 의한 환자의 육체적, 정신적 및 경제적 부담이 높다는 등의 결점을 가지고 있어, 반드시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다.
최근, 이들 결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경구적인 복용이 가능하여 신장이나 간장의 기능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경구 흡착제가 주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62-11611호 공보에 기재된 흡착제는, 특정 관능기를 갖는 다공성 구형 탄소질물질(이후,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이라고 부른다)로 되어 생체에 대한 안전성과 안정성이 높고, 동시에 장내에서의 담즙산의 존재하에서도 유독물질의 흡착성이 우수하며, 또한 소화효소 등의 장내 유익성분의 흡착이 적다고 하는 유익한 선택 흡착성을 가지고, 또한 변비 등의 부작용이 적은 경구 치료약으로서, 예를 들면 간, 신기능장애 환자에 대해 넓게 임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62-11611호 공보에 기재된 흡착제는, 석유피치 등의 피치류를 탄소원으로 하여 구형상 활성탄을 조제한 후, 산화처리 및 환원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조되고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는 피치류로부터 구형상 활성탄을 조제하고, 산화환원함으로써 얻어지는 종래의 다공성 구형상 탄소물질로 되는 경구 흡착제 보다도 한층 우수한 선택적 흡착성을 나타내는 경구투여용 흡착제의 탐구를 진행하고 있었던 바, 놀랍게도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조제한 구형상 활성탄은, 산화처리 및 환원처리를 실시하기 전의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생체내의 요독증성 물질의 하나로 생각되는 β-아미노이소부티르산의 흡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익물질인 소화효소(예를 들면, α-아밀라아제) 등에 대한 흡착성이 적다고 하는 유익한 선택 흡착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 더욱이 그 선택 흡착성의 정도가 상기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62-11611호 공보에 기재된 흡착제 보다도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조제한 상기 구형상 활성탄은 β-아미노이소부티르산에 대해 우수한 흡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동일한 분자 사이즈를 갖는 다른 독성물질, 예를 들면 옥토파민(octopamine)이나 α-아미노부티르산, 더욱이 신장병에서의 독성물질 및 그 전구체인 디메틸아민, 아스파라긴산, 또는 알기닌 등의 수용성 염기성 및 양성(兩性) 물질에 대해서도 우수한 흡착성을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종래의 다공성 구형상 탄소질물질, 즉 상기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62-11611호 공보에 기재된 흡착제로 사용하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에서는, 피치류로부터 조제되는 구형상 활성탄을 추가로 산화처리 및 환원처리하여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상기의 선택 흡착성이 발현되게 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기 때문에, 산화처리 및 환원처리를 실시하기 전의 구형상 활성탄의 상태로 선택적 흡착능을 발현하 는 것, 및 그 흡착능이 종래의 경구투여용 흡착제 보다도 우수하다고 하는 본 발명자에 의한 상기의 발견은 놀랄만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의 구형상 활성탄을 추가로 산화처리 및 환원처리함으로써 조제한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은, 생체내의 요독증성 물질의 하나로 생각되는 β-아미노이소부티르산의 흡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익물질인 소화효소(예를 들면, α-아밀라아제) 등에 대한 흡착성이 적다고 하는 상기의 유익한 선택 흡착성이, 상기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62-11611호 공보에 기재된 흡착제 보다도 한층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β-아미노이소부티르산과 동일한 분자 사이즈를 갖는 다른 독성물질, 예를 들면 옥토파민이나 α-아미노부티르산, 더욱이 신장병에서의 독성물질 및 그 전구체인 디메틸아민, 아스파라긴산, 또는 알기닌 등의 수용성 염기성 및 양성 물질에 관해서도 한층 우수한 선택 흡착성을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고, 직경이 0.01~1 mm이며, 그리고 랑뮤어(Langmuir)의 흡착식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 1000 ㎡/g 이상인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고, 직경이 0.01~1 mm이며, 랑뮤어의 흡착식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 1000 ㎡/g 이상이고, 전체 산성기가 0.40~1.00 meq/g이며, 그리고 전체 염기성기가 0.40~1.10 meq/g인 표면개 질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표면구조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사진(50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사진(200배)이다.
도 3은 종래법에 의한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표면구조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사진(50배)이다.
도 4는 종래법에 의한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사진(200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의한 혈청 크레아티닌으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의한 혈중 요소 질소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의한 크레아티닌·클리어런스(creatinine clearance)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의한 요단백 배설량으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의한 ICG(Indocyanine green: 인도시아닌 그린)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의한 GOT(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글루타민산-옥살로초산 트랜스아미나아제)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에 의한 GPT(glutamic-pyruvic transaminase; 글루타민산-피루빈산 트랜스아미나아제)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의 탄소원으로서 사용되어 온 피치류 대신에, 탄소원으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피치류를 사용하는 종래의 제조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작을 이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열경화성 수지로 되는 구상체(球狀體)를 탄소와 반응성을 갖는 기류( 氣流)(예를 들면, 스팀 또는 탄산가스) 중에서 700~1000℃의 온도로 부활(賦活)처리하면,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구형상 「활성탄」이란 구형상의 열경화성 수지 등의 탄소 전구체를 열처리한 후에, 부활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질체이며, 구형상으로 비표면적이 100 ㎡/g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1000 ㎡/g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로 되는 상기 구상체가, 열처리에 의해 연화(軟化)되어 형상이 비구형(非球形)으로 변형되거나 또는 구상체끼리 융착(融着)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활처리 전에 불융화처리로서 산소를 함유하는 분위기에서 150℃~400℃로 산화처리를 행함으로써 연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열경화성 수지 구상체를 열처리하면 많은 열분해 가스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부활조작을 행하기 전에 적절히 예비 소성(燒成)을 행하여, 미리 열분해 생성물을 제거해도 된다.
본 발명자가 발견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구형상 활성탄에 있어서, 전체 염기성기가 0.4 meq/g 이상이면 더욱 우수한 흡착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체 염기성기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meq/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meq/g 이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구형상 활성탄의 선택 흡착성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렇게 하여 얻어진 구형상 활성탄을 계속해서 산소 함유량 0.1~50 부피%(바람직하게는 1~30 부피%, 특히 바람직하게는 3~20 부피%)의 분위기하, 300~800℃(바 람직하게는 320~600℃)의 온도에서 산화처리하고, 추가로 800~1200℃(바람직하게는 800~1000℃)의 온도하, 비산화성 가스분위기하에서 가열반응에 의한 환원처리를 함으로써,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이란 상기의 구형상 활성탄을 상기의 산화처리 및 환원처리하여 얻어지는 다공질체로, 구형상 활성탄의 표면에 산성점(酸性点)과 염기성점(鹽基性点)을 균형 좋게 부가함으로써 장관(腸管) 내의 유독물질의 흡착특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출발재료로서 사용하는 상기의 열경화성 수지 구상체는, 입경이 약 0.02~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출발재료로서 사용하는 상기의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구상체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로, 500℃ 이하의 열처리에 있어서는 용융 또는 연화되지 않고, 형상 변형도 일으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산화처리 등의 소위 불융화처리에 의해 용융산화를 회피할 수 있는 열경화성 수지라면 사용할 수 있다.
출발재료로서 사용하는 상기의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열처리에 의한 탄소화 수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화 수율이 낮으면 구형상 활성탄으로서의 강도가 약해진다. 또한, 불필요한 세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구형상 활성탄의 부피밀도가 저하되고, 체적(體積)당 비표면적이 저하되기 때문에 투여 체적이 증가하여, 경구투여가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열경화성 수지의 탄소화 수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비산화성 가스분위기 중 800℃에서의 열처리에 의한 수율의 바람직한 값은 4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중량% 이상이다.
출발재료로서 사용하는 상기의 열경화성 수지로서, 구체적으로는 페놀 수지, 예를 들면 노볼락형 페놀 수지, 레졸형 페놀 수지, 노볼락형 알킬페놀 수지, 또는 레졸형 알킬페놀 수지를 들 수 있고, 그 밖에도 푸란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추가로 디비닐벤젠과,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열경화성 수지로서 이온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온교환 수지는 일반적으로 디비닐벤젠과,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공중합체(즉, 열경화성 수지)로 되고, 기본적으로는 3차원 메쉬(mesh)골격을 갖는 공중합체 모체(母體)에, 이온교환기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온교환 수지는 이온교환기의 종류에 따라 설폰산기를 갖는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 카르복실산기 또는 설폰산기를 갖는 약산성 이온교환 수지, 제4급 암모늄염을 갖는 강염기성 이온교환 수지, 제1급 또는 제3급 아민을 갖는 약염기성 이온교환 수지로 크게 나뉘고, 이 밖에 특수한 수지로서 산 및 염기 양쪽의 이온교환기를 갖는 소위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이온교환 수지가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모든 이온교환 수지를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출발재료로서 페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은 열경화성 수지를 원료로 하여, 예를 들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동시에 직경이 0.01~1 mm이다.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직경이 0.01 mm 미만이 되면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외표면적이 증가하여, 소화효소 등의 유익물질의 흡착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직경이 1 mm를 초과하면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내부로의 독성물질의 확산거리가 증가하여, 흡착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2~0.8 mm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직경이 Dl~Du이다」라는 표현은, JIS K 1474에 준하여 작성한 입도 누적선도(평균 입자경의 측정방법에 관련하여 뒤에서 설명한다)에 있어서, 체(sieve)의 메쉬 직경 Dl~Du의 범위에 대응하는 체 통과 백분율(%)이 9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은, 랑뮤어(Langmuir)의 흡착식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하 「SSA」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이 1000 ㎡/g 이상이다. SSA가 1000 ㎡/g 보다 작은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에서는 독성물질의 흡착성능이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SSA는 바람직하게는 1000 ㎡/g 이상이다. SSA의 상한(上限)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부피밀도 및 강도의 관점에서 SSA는 30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에 있어서, 특정 세공직경 범위내의 세공용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62-11611호 공보에는, 세공반경 100~75000 Å의 공극용적(즉, 세공직경 20~15000 nm의 세공용적)이 0.1~1 mL/g인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흡착제가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에 있어서는, 세공직경 20~15000 nm의 세공용적이 0.1~1 mL/g인 것도, 또는 0.1 mL/g 이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공직경 20~1000 nm의 세공용적이 1 mL/g을 초과하면 소화효소 등의 유용물질의 흡착량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세공직경 20~1000 nm의 세공용적이 1 m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에 있어서는, 한층 우수한 선택 흡착성을 얻는 관점에서, 세공직경 7.5~15000 nm의 세공용적이 0.25 mL/g 미만, 특히 0.2 m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즉, 상기의 구형상 활성탄을 추가로 산화처리 및 환원처리함으로써 제조되는 생성물)에서는, 관능기의 구성에 있어서 전체 산성기가 0.40~1.00 meq/g이고, 전체 염기성기가 0.40~1.10 meq/g이다. 관능기의 구성에 있어서, 전체 산성기가 0.40~1.00 meq/g이고, 전체 염기성기가 0.40~1.00 meq/g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의 선택 흡착성이 향상되고, 특히 상기 유독물질의 흡착능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관능기의 구성에 있어서, 전체 산성기는 0.40~0.90 meq/g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 염기성기는 0.40~1.00 meq/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착제를 간, 신질환 치료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관능기의 구성은 전체 산성기가 0.40~1.00 meq/g, 전체 염기성기가 0.40~1.10 meq/g, 페놀성 수산기가 0.20~0.70 meq/g 및 카르복실기가 0.15 meq/g 이하의 범위에 있고, 또한 전체 산성기(a)와 전체 염기성기(b)의 비(a/b)가 0.40~2.5이며, 전체 염기성기(b), 페놀성 수산기(c), 카르복실기(d)의 관계[(b+c)-d]가 0.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이 갖는 각 물성값, 즉, 평균 입자경, 비표면적, 세공용적, 전체 산성기 및 전체 염기성기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1) 평균 입자경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에 대해서 JIS K 1474에 준하여입도 누적선도를 작성한다. 평균 입자경은 입도 누적선도에 있어서, 가로축의 50% 점의 수직선과 입도 누적선의 교점에서, 가로축에 수평선을 그어 교점이 나타내는 체의 메쉬 직경(mm)을 구하여, 평균 입자경으로 한다.
(2) 비표면적(랑뮤어식에 의한 비표면적의 계산법)
가스 흡착법에 의한 비표면적 측정기(예를 들면, MICROMERITICS사제 「ASAP2010」)를 사용하여,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의 가스 흡착량을 측정하여, 랑뮤어식에 의해 비표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료인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을 시료관에 충전(充塡)하여 300℃에서 감압 건조한 후, 건조 후의 시료 중량을 측정한다. 이어서, 시료관을 -196℃로 냉각하고, 시료관에 질소를 도입하여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에 질소를 흡착시켜, 질소분압과 흡착량의 관계(흡착등온선)를 측정한다.
질소의 상대압력을 p, 그 때의 흡착량을 v(㎤/g STP)로 하여 랑뮤어 플로팅(plotting)을 행한다. 즉, 세로축에 p/v, 가로축에 p를 취하여, p가 0.05~0.3의 범위에서 플로팅하고, 그 때의 기울기를 b(g/㎤)로 하면 비표면적 S(단위=㎡/g)는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4052450914-pct00001
여기에서, MA는 질소분자의 단면적으로 0.162 n㎡를 사용하였다.
(3) 수은 압입법(壓入法)에 의한 세공용적
수은 세공측정기(porosimeter)(예를 들면, MICROMERITICS사제 「AUTOPORE 9200」)를 사용하여 세공용적을 측정할 수 있다. 시료인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을 시료용기에 넣고, 2.67 Pa 이하의 압력으로 30분간 탈기(脫氣)한다. 이어서, 수은을 시료용기 내에 도입하고 서서히 가압(加壓)하여 수은을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의 세공으로 압입한다(최고압력=414 MPa). 이 때의 압력과 수은의 압입량의 관계로부터 이하의 각 계산식을 사용하여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의 세공용적 분포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세공직경 22 ㎛에 상당하는 압력(0.06 MPa)으로부터 최고압력(414 MPa: 세공직경 3 nm 상당)까지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에 압입된 수은의 체적을 측정한다. 세공직경의 산출은 직경(D)의 원통형 세 공에 수은을 압력(P)로 압입하는 경우, 수은의 표면장력을 「γ」로 하고, 수은과 세공벽과의 접촉각을 「θ」로 하면, 표면장력과 세공단면에 작용하는 압력의 균형으로부터, 다음 식:
-πDγcosθ=π(D/2)2·P
가 성립된다. 따라서,
D=(-4γcosθ)/P
가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수은의 표면장력을 484 dyne/cm로 하고, 수은과 탄소의 접촉각을 130도로 하며, 압력 P를 MPa로 하고, 그리고 세공직경 D를 ㎛로 표시하여, 하기 식:
D=1.27/P
에 의해 압력 P와 세공직경 D의 관계를 구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공직경 20~1000 nm 범위의 세공용적이란, 수은 압입압(壓入壓) 1.27 MPa에서 63.5 MPa까지 압입된 수은의 체적에 상당하고, 세공직경 7.5~15000 nm 범위의 세공용적이란, 수은 압입압 0.085 MPa에서 169 MPa까지 압입된 수은의 체적에 상당한다.
(4) 전체 산성기
0.05 규정의 NaOH 용액 50 mL 중에, 200 메쉬 이하로 분쇄한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 1 g을 첨가하여 48시간 진탕한 후,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를 여과 분별하여 중화적정에 의해 구해지는 NaOH의 소비량이다.
(5) 전체 염기성기
0.05 규정의 HCl 용액 50 mL 중에, 200 메쉬 이하로 분쇄한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 1 g을 첨가하여 24시간 진탕한 후,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를 여과 분별하여 중화적정에 의해 구해지는 HCl의 소비량이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구형상 활성탄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질환 증오인자(憎惡因子)나 신장병에서의 독성물질의 흡착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유익물질인 소화효소 등에 대한 흡착성이 적다고 하는 선택 흡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신질환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간질환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신질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만성 신부전, 급성 신부전, 만성 신우신염, 급성 신우신염, 만성 신염, 급성 신염증후군, 급성 진행형 신염증후군, 만성 신염증후군, 신증(nephrosis)증후군, 신경화증(腎硬化症), 간질성 신염, 세뇨관증, 리포이드 신증(lipoid nephrosis), 당뇨병성 신증, 신혈관성 고혈압, 또는 고혈압증후군, 또는 상기의 원질환(原疾患)에 동반되는 속발성(續發性) 신질환, 추가로 투석 전의 경도(輕度) 신부전을 들 수 있고, 투석 전의 경도 신부전의 병태 개선이나 투석 중의 병태 개선에도 사용할 수 있다(「임상신장학」아사쿠라서점, 혼다 니시오, 고이 소 겐키치, 구로가와 기요시, 1990년판 및 「신장병학」의학서원, 오마에 데루오, 후지미 사토루 편집, 1981년판 참조).
또한, 간질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극증(劇症) 간염, 만성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간섬유증(肝纖維症), 간경변, 간암, 자기면역성 간염, 약제(藥劑) 알레르기성 간장애, 원발성(原發性) 담즙성 간경변, 진전(tremor), 뇌증, 대사이상, 또는 기능이상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체내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에 의한 병, 즉, 정신병 등의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신장질환 치료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구형상 활성탄 및/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신장질환 치료약 또는 간장질환 치료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투여량은 투여대상이 인간이거나 또는 그 밖의 동물인가에 따라, 또한 연령, 개인차, 또는 병상(病狀)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하기 범위 외의 투여량이 적당한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의 경구투여량은 1일당 1~20 g을 3~4회에 나눠 복용하고, 추가로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투여형태는 산제, 과립, 정제, 당의정, 캡슐제, 현탁제, 스틱제, 분포(分包)포장체, 또는 유제(乳劑) 등일 수 있다. 캡슐제로서 복용하는 경우는, 통상의 젤라틴 외에 필요에 따라 장용성(腸溶性) 캡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내에서 원래의 미소 입체(粒體)로 해정(解錠)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다른 약제인 알루미나겔이나 카이액살레이트(kayexalate) 등의 전해질 조절제와 배합한 복합제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 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α-아밀라아제 흡착시험 및 DL-β-아미노이소부티르산 흡착시험은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고, 선택 흡착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1) α-아밀라아제 흡착시험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를 건조한 후, 건조시료 0.125 g을 정확하게 달아 공전(共栓) 삼각 플라스크에 취한다. 한편, α-아밀라아제(액화형) 0.100 g을 정확하게 달아, pH 7.4의 인산염 완충액을 가해서 용해하여 정확하게 1000 mL로 한 액(원액) 50 mL를 상기의 공전 삼각 플라스크에 정확하게 가하여, 37±1℃에서 3시간 흔들어 섞는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여공(濾孔) 0.65 ㎛의 멤브레인 필터로 흡인(吸引) 여과하여, 처음 여액(濾液) 약 20 mL를 제거하고, 다음 여액 약 10 mL를 취해 시료용액으로 한다.
한편, pH 7.4의 인산염 완충액을 사용해서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그 여액을 보정액으로 한다. 시료용액 및 보정액에 대해 pH 7.4의 인산염 완충액을 대조로 해서, 흡광도 측정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여 파장 282 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시료용액의 흡광도와 보정액의 흡광도 차를 시험 흡광도로 한다.
검량선(檢量線)은 α-아밀라아제 원액을 0 mL, 25 mL, 50 mL, 75 mL 및 100 mL의 양으로 질량 플라스크(mass flask)에 정확하게 분취(分取)하고, pH 7.4 인산염 완충액으로 100 mL로 매스업(massup)하여 파장 282 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작성하였다.
시험 흡광도와 검량선으로부터 α-아밀라아제 잔존량(mg/dL)을 계산하였다.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의 양의 의존성을 측정하기 위해,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의 양을 0.500 g으로 하고,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 흡광도를 측정하여 α-아밀라아제 잔존량을 계산하였다.
(2) DL-β-아미노이소부티르산 흡착시험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를 건조한 후, 건조시료 2.500 g을 정확하게 달아 공전 삼각 플라스크에 취한다. 한편, DL-β-아미노이소부티르산 0.100 g을 정확하게 달아, pH 7.4의 인산염 완충액을 가해서 용해하여 정확하게 1000 mL로 한 액(원액) 50 mL를 상기의 공전 삼각 플라스크에 정확하게 가하여, 37±1℃에서 3시간 흔들어 섞는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여공 0.65 ㎛의 멤브레인 필터로 흡인 여과하여, 처음 여액 약 20 mL를 제거하고, 다음 여액 약 10 mL를 취해 시료용액으로 한다.
시료용액 0.1 mL를 시험관에 정확하게 취하고, pH 8.0의 인산염 완충액 5 mL를 정확하게 가하여 혼합한 후, 플루오레스카민(fluorescamine) 0.100 g을 비수(非水) 적정용 아세톤 100 mL에 용해한 액 1 mL를 정확하게 가하여 혼합한 다음, 15분간 정치(靜置)한다. 이 액에 대해 형광광도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여, 여기(勵起)파 장 390 nm 및 형광파장 475 nm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한다.
DL-β-아미노이소부티르산 원액을 0 mL, 15 mL, 50 mL, 75 mL 및 100 mL의 양과 pH 7.4 인산염 완충액으로 100 mL로 해서 교반하고 여과하여, 여액 0.1 mL를 시험관에 정확하게 취하고, pH 8.0의 인산염 완충액 5 mL를 정확하게 가하여 혼합한 후, 플루오레스카민 0.100 g을 비수 적정용 아세톤 100 mL에 용해한 액 1 mL를 정확하게 가하여 혼합한 다음, 15분간 정치한다. 이들 액에 대해, 형광광도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여, 여기파장 390 nm 및 형광파장 475 nm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DL-β-아미노이소부티르산의 잔존량(mg/dL)을 상기 검량선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의 양의 의존성을 측정하기 위해,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의 양을 0.500 g으로 하고,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 형광강도를 측정하여 DL-β-아미노이소부티르산의 잔존량을 계산하였다.
(3) 선택 흡착율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의 사용량이 0.500 g인 경우의 α-아밀라아제 흡착시험에 있어서의 α-아밀라아제 잔존량, 및 마찬가지로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의 사용량이 0.500 g인 경우의 DL-β-아미노이소부티르산 흡착시험에 있어서의 DL-β-아미노이소부티르산 잔존량의 각각의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이하의 계산식:
A=(10-Tr)/(10-Ur)
(여기에서, A는 선택 흡착율이고, Tr은 DL-β-아미노이소부티르산의 잔존량이며, Ur은 α-아밀라아제의 잔존량이다)
실시예 1
구형상의 페놀 수지(입자경=10~700 ㎛: 상품명「고기능 진구(眞球) 수지 마릴린 HF500 타입」; 군에이화학주식회사제)를 메쉬 직경 250 ㎛의 체로 체질하여 미분말을 제거한 후, 미분 제거한 구형상의 페놀 수지 150 g을 다공판이 부착된 석영제 세로형 반응관에 넣고, 질소가스 기류하에서 1.5시간에 350℃까지 승온하여, 추가로 900℃까지 6시간에 승온한 후, 900℃에서 1시간 유지하여 구형상 탄소질재료 68.1 g을 얻었다. 그 후, 질소가스(3 NL/min)와 수증기(2.5 NL/min)의 혼합가스 분위기 중, 900℃에서 부활처리를 행하였다. 구형상 활성탄의 충전밀도가 0.5 mL/g까지 감소된 시점에서 부활처리를 종료하여, 구형상 활성탄 29.9 g(수율 19.9 중량%)을 얻었다.
얻어진 구형상 활성탄의 특성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페놀 수지(군에이화학주식회사제) 대신에, 스미토모베이클라이트주식회사제의 구형상 페놀 수지(평균 입경=700 ㎛: 상품명 「페놀 수지 구형상 경화물 ACS 시리즈 PR-ACS-2-50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을 반복하여 구형상 활성탄을 얻었다. 수율은 26.5%였다.
얻어진 구형상 활성탄의 특성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구형상 활성탄을 추가로 유동상에서 산소농도 18.5 부피%의 질소와 산소의 혼합가스 분위기하 470℃에서 3시간 15분간 산화처리하고, 이어서 유동상에서 질소가스 분위기하 900℃에서 17분간 환원처리를 행하여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특성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출발재료로서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구형상 활성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을 반복하여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특성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페놀 수지 대신에 이온교환성 수지(스티렌계; 유효경=0.50~0.65 mm: 상품명 「Amberlite15WET」; 오르가노주식회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을 반복하여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특성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표면구조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사진(50배)을 도 1에 나타낸다. 더욱이, 얻어진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사진(200배)을 도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석유계 피치(연화점=210℃; 퀴놀린 불용분=1 중량% 이하; H/C 원자비=0.63) 68 kg과, 나프탈렌 32 kg을 교반날개가 부착된 내용적(內容積) 300 L의 내압(耐壓) 용기에 넣고 180℃에서 용융 혼합을 행한 후, 80~90℃로 냉각하고 압출하여 띠형상 성형체를 얻었다. 이어서, 이 띠형상 성형체를 직경과 길이의 비가 1~2가 되도록 파쇄(破碎)하였다.
0.23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비누화(saponification)도=88%)을 용해하여 93℃로 가열한 수용액 중에, 상기의 파쇄물을 투입하여 교반분산에 의해 구상화(球狀化)한 후, 상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물로 치환함으로써 냉각하고, 20℃에서 3시간 냉각해서 피치의 고화(固化) 및 나프탈렌 결정의 석출을 행하여 구형상 피치 성형체 슬러리(slurry)를 얻었다.
대부분의 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한 후, 구형상 피치 성형체의 약 6배 중량의 n-헥산으로 피치 성형체 중의 나프탈렌을 추출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다공성 구형상 피치를 유동상을 사용하여 가열 공기를 통과하면서 235℃까지 승온한 후, 235℃에서 1시간 유지해서 산화하여 열에 대해 불융성인 다공성 구형상 산화피치를 얻었다. 얻어진 다공성 구형상 산화피치의 산소 함유율은 14 중량%였다.
계속해서, 다공성 구형상 산화피치를 유동상을 사용하여 50 부피%의 수증기를 포함하는 질소가스 분위기 중 900℃에서 170분간 부활처리하여 구형상 활성탄을 얻고, 더욱이 이것을 유동상에서 산소농도 18.5 부피%의 질소와 산소의 혼합가스 분위기하 470℃에서 3시간 15분간 산화처리하고, 이어서 유동상에서 질소가스 분위기하 900℃에서 17분간 환원처리를 행하여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특성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표면구조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사 진(50배)을 도 3에 나타낸다. 더욱이, 얻어진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사진(200배)을 도 4에 나타낸다.
비교예 2
구형상 활성탄의 산화처리 및 환원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1에 기재된 방법을 반복하여 구형상 활성탄을 얻었다.
얻어진 구형상 활성탄의 특성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4052450914-pct00002
상기 표 1에 기재된 「세공용적(Hg pore)」은 수은 압입법에 의해 구한 세공직경 20~1000 nm 범위의 세공용적에 상당한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SSA(BET식)」는 참고로서 기재한 비표면적의 측정값으로,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랑뮤어식에 의한 비표면적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196℃에서 구형상 활성탄시료 또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시료에 질소를 흡착시켜, 질소분압과 흡착량의 관계(흡착등온선)를 측정한다.
질소의 상대압력을 p, 그 때의 흡착량을 v(㎤/g STP)로 하여 BET 플로팅을 행한다. 즉, 세로축에 p/(v(1-p)), 가로축에 p를 취하여, p가 0.05~0.3의 범위에서 플로팅하고, 그 때의 기울기 b(단위=g/㎤) 및 절편c(단위=g/㎤)로부터, 비표면적 S(단위=㎡/g)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4052450914-pct00003
여기에서, MA는 질소분자의 단면적으로 0.162 n㎡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52450914-pct00004

약리효과 확인시험 1: 신질환의 개선작용
신장의 3/4을 적출하여 제작한 신부전 모델 랫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 투여에 의한 신부전에 대한 약리효과 확인시험을 행하였다. 시료로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얻어진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사용하였다. 확인시험은 모델 랫트 제작으로부터 6주일 경과시점에서 군 사이에 편차가 없도록, 대조군(6마리; 이하 C1군이라고 부른다), 실시예 1의 경구투여용 흡착제 투여군(6마리; 이하 P1군이라고 부른다) 및 실시예 3의 경구투여용 흡착제 투여군(6마리; 이하 P2군이라고 부른다)으로 나눴다.
각 군에 분말사료를 주었다. 각 군에 대한 급이량(給餌量)은 C1군의 2~3일간의 평균 섭이량(攝餌量)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하였다. P1군 및 P2군에 대해서는 상기 C1군과 동일한 분말사료에, 경구투여용 흡착제 5 중량%를 추가 혼합하여 주었다. 경구투여용 흡착제의 투여를 개시 후 8주째에, 혈청 중의 크레아티닌, 요소 질소, 요 중의 크레아티닌, 크레아티닌·클리어런스 및 단백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신장을 적출하지 않은 정상 랫트(6마리)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행하였다(정상군).
결과를 도 5~도 8에 나타낸다. 혈청 중의 크레아티닌(도 5) 및 요소 질소(도 6)는 C1군에 비해 P1군 및 P2군에 있어서, 투여 개시 후 8주일 경과시에서 각각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신기능의 지표인 크레아티닌·클리어런스(도 7)는 C1군에 있어서 저하가 인지되고, P1군 및 P2군에 있어서는 C1군에서 인지된 저하에 대해 유의한 억제가 인지되었다. 한편, 요세관 기능의 지표가 되는 단백 배설량(도 8)은 C1군에서 증가가 인지되었지만, P1군 및 P2군에 있어서는 그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이 인지되었다. 또한, 요 중의 크레아티닌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는 만성 신부전의 진행을 억제, 또는 개선하여, 신기능의 저하를 방지 및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약리효과 확인시험 2: 간질환의 개선작용
사염화탄소 유발 간질환 모델 랫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의 투여에 의한 간질환에 대한 약리효과 확인시험을 행하였다. 시료로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얻어진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Sprague-Dauley 랫트(일본크레아제; 수컷 7주령)를 사용하여, 사염화탄소를 12 mg/kg의 양으로 주 2회의 비율로 본 약리효과 확인시험의 종료시까지(약 4개월간) 피하투여를 계속하였다. 사염화탄소의 투여 개시 2개월 후에 간기능의 저하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병태가 군 사이에 편차가 없도록, 대조군(6마리; 이하 C2군이라고 부른다), 실시예 1의 경구투여용 흡착제 투여군(6마리; 이하 Q1군이라고 부른다) 및 실시예 3의 경구투여용 흡착제 투여군(6마리; 이하 Q2군이라고 부른다)으로 나눴다.
각 군에 분말사료를 주었다. 각 군에 대한 급이량은 C2군의 2~3일간의 평균 섭이량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하였다. Q1군 및 Q2군에 대해서는 상기 C2군과 동일한 분말사료에 경구투여용 흡착제 5 중량%를 추가 혼합하여, 군을 나눈 후 2개월간 투여하였다.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지 않는 정상 랫트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행하였다(정상군).
경구투여용 흡착제 투여를 개시한 후 투여실험이 완료될 때까지의 약 2개월간에 걸쳐, ICG(Indocyanine green; 인도시아닌 그린), GOT(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글루타민산-옥살로초산 트랜스아미나아제) 및 GPT(glutamic-pyruvic transaminase; 글루타민산 피루빈산 트랜스아미나아제)를 측정하였다. 경구투여용 흡착제의 투여 개시 2개월 후의 결과를 도 9(ICG), 도 10(GOT) 및 도 11(GPT)에 나타낸다. 간 실질기능을 반영하는 ICG 테스트를 비교하면, C2군에 비해 Q1군 및 Q2군은 모두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일탈(逸脫)효소인 GOT 및 GPT에서도 C2군에 비해 Q1군 및 Q2군은 모두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는 간기능의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본 발명에 의한 경구투여용 흡착제는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고, 특이한 세공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구 복용한 경우에 소화효소 등의 체내의 유익성분의 흡착성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유독한 독성물질(Toxin)의 소화기계 내에 있어서의 흡착성능이 우수하다고 하는 선택 흡착특성을 가져, 종래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와 비교하면 상기의 선택 흡착특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는 신질환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 경구투여용 흡착제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간질환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 흡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신질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만성 신부전, 급성 신부전, 만성 신우신염, 급성 신우신염, 만성 신염, 급성 신염증후군, 급성 진행형 신염증후군, 만성 신염증후군, 신증증후군, 신경화증, 간질성 신염, 세뇨관증, 리포이드 신증, 당뇨병성 신 증, 신혈관성 고혈압, 또는 고혈압증후군, 또는 상기의 원질환에 동반되는 속발성 신질환, 추가로 투석 전의 경도 신부전을 들 수 있고, 투석 전의 경도 신부전의 병태 개선이나 투석 중의 병태 개선에도 사용할 수 있다(「임상신장학」아사쿠라서점, 혼다 니시오, 고이소 겐키치, 구로가와 기요시, 1990년판 및 「신장병학」의학서원, 오마에 데루오, 후지미 사토루 편집, 1981년판 참조).
또한, 간질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극증 간염, 만성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간섬유증, 간경변, 간암, 자기면역성 간염, 약제 알레르기성 간장애,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진전, 뇌증, 대사이상, 또는 기능이상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체내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에 의한 병, 즉, 정신병 등의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 태양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이나 개량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1)

  1.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고, 직경이 0.01~1 mm이며, 그리고 랑뮤어의 흡착식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 1000 ㎡/g 이상인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염기성기가 0.40 meq/g 이상의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3. 제1항에 있어서, 세공직경 7.5 ∼ 15000 nm의 세공용적이 0.25 mL/g 미만인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4. 제1항에 있어서, 페놀 수지 또는 이온교환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는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5. 제1항에 있어서, 비산화성 가스 분위기 중 800℃에서의 열처리에 의한 탄소화 수율이 40 중량% 이상인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는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6.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고, 직경이 0.01 ∼ 1 mm이며, 랑뮤어의 흡착식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 1000 ㎡/g 이상이고, 전체 산성기가 0.40 ∼ 1.00 meq/g이며, 그리고 전체 염기성기가 0.40 ∼ 1.10 meq/g인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7. 제6항에 있어서, 세공직경 7.5 ∼ 15000 nm의 세공용적이 0.25 mL/g 미만인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8. 제6항에 있어서, 페놀 수지 또는 이온교환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9. 제6항에 있어서, 비산화성 가스 분위기 중 800℃에서의 열처리에 의한 탄소화 수율이 40 중량% 이상인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는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으로 되는 경구투여용 흡착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만성 신부전, 급성 신부전, 만성 신우신염, 급성 신우신염, 만성 신염, 급성 신염증후군, 급성 진행형 신염증후군, 만성 신염증후군, 신증 증후군, 신경화증, 간질성 신염, 세뇨관증, 리포이드 신증, 당뇨병성 신증, 신혈관성 고혈압, 고혈압증후군, 상기의 원질환에 동반되는 속발성 신질환, 및 투석 전의 경도 신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신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투석 전의 경도 신부전의 개선 또는 요독증성 물질의 제거제.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간섬유증, 간경변, 약제 알레르기성 간장애 및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간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만성 신부전, 급성 신부전, 만성 신우신염, 급성 신우신염, 만성 신염, 급성 신염증후군, 급성 진행형 신염증후군, 만성 신염증후군, 신증 증후군, 신경화증, 간질성 신염, 세뇨관증, 리포이드 신증, 당뇨병성 신증, 신혈관성 고혈압, 고혈압증후군, 상기의 원질환에 동반되는 속발성 신질환, 및 투석 전의 경도 신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신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투석 전의 경도 신부전의 개선 또는 요독증성 물질의 제거용 의약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경구투여용 흡착제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간섬유증, 간경변, 약제 알레르기성 간장애 및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간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47018247A 2002-11-01 2003-10-31 경구투여용 흡착제,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치료 또는 예방제 KR100680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20253 2002-11-01
JP2002320253 2002-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262A KR20050042262A (ko) 2005-05-06
KR100680448B1 true KR100680448B1 (ko) 2007-02-08

Family

ID=3221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247A KR100680448B1 (ko) 2002-11-01 2003-10-31 경구투여용 흡착제,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치료 또는 예방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50079167A1 (ko)
EP (1) EP1500397B1 (ko)
JP (2) JP3835698B2 (ko)
KR (1) KR100680448B1 (ko)
CN (1) CN1691949B (ko)
AT (1) ATE357924T1 (ko)
AU (1) AU2003280690A1 (ko)
CA (1) CA2504517C (ko)
DE (1) DE60312841T2 (ko)
ES (1) ES2285203T3 (ko)
HK (1) HK1083004A1 (ko)
RU (1) RU2292211C2 (ko)
TW (1) TWI319985B (ko)
WO (1) WO20040393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561A (ko) 2019-01-07 2020-07-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기반인 구형활성탄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1974B2 (en) * 2002-11-01 2010-01-26 Kureha Chemical Industry Co., Ltd.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KR101135260B1 (ko) 2003-10-22 2012-04-12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경구투여용 흡착제,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치료 또는 예방제
US20070231394A1 (en) * 2004-02-06 2007-10-04 Sumie Goto Agent for Removing Circulatory Dysfunction Factor
WO2005115611A1 (ja) * 2004-05-31 2005-12-08 Teikoku Medix Co., Ltd. 吸着剤およびその製造法
EP1886689A4 (en) * 2005-05-16 2009-07-22 Kureha Corp INHIBITOR OF OXIDATIVE STRESS
DE102005062160A1 (de) * 2005-12-19 2007-06-21 BLüCHER GMBH Aktivkohle für die medizinische Verwendung
DE102008014109A1 (de) * 2008-03-13 2009-09-17 Bayer Animal Health Gmbh Suspensionsformulierung für Kohlenstoff-Adsorbentien
JP4268672B1 (ja) * 2008-07-04 2009-05-2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経口投与用吸着剤
US20110135561A1 (en) * 2008-07-31 2011-06-09 Sony Corporation Adsorbent, cleansing agent, renal disease drug, and functional food
JP2010106007A (ja) * 2008-08-14 2010-05-13 Sony Corp 薬剤徐放剤、吸着剤、機能性食品、マスク及び吸着シート
JP5424177B2 (ja) * 2009-01-29 2014-02-26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経口投与用吸着剤
JP5352378B2 (ja) * 2009-08-10 2013-11-27 マイラン製薬株式会社 吸着特性に優れた経口投与用吸着剤
JP5376592B2 (ja) * 2009-10-15 2013-12-25 産協企業有限股▲ふん▼公司 球形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12236B1 (ko) 2010-06-03 2017-03-03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분포 포장체
JP2012051870A (ja) 2010-08-02 2012-03-15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経口投与用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薬剤
JP5984352B2 (ja) 2010-10-12 2016-09-06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経口投与用医薬用吸着剤の製造方法
JP5701971B2 (ja) 2011-03-04 2015-04-15 株式会社クレハ 錠剤型の経口投与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841981B (zh) * 2011-10-07 2016-11-16 帝人制药株式会社 口服给药用吸附剂
JP5827907B2 (ja) * 2012-02-13 2015-12-02 クラレケミカル株式会社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前記活性炭を用いた過酸化物分解方法又は分解触媒及びカルボニル化合物の製造方法
GB201204696D0 (en) 2012-03-16 2012-05-02 Ucl Business Plc Therapy
JP5781992B2 (ja) 2012-08-09 2015-09-24 関西熱化学株式会社 塩基性官能基を付与した非経口用吸着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32508B (zh) * 2013-02-22 2016-05-11 吳羽股份有限公司 經口投予用吸附劑及腎疾病治療劑及肝疾病治療劑
TWI520751B (zh) 2013-02-22 2016-02-11 吳羽股份有限公司 經口投予用吸附劑及腎疾病治療劑及肝疾病治療劑
CN103641115A (zh) * 2013-11-19 2014-03-19 苏州丹百利电子材料有限公司 球形活性炭的制备方法
TWI607765B (zh) * 2014-08-27 2017-12-11 Kureha Corp Adsorbents for oral administration, and nephropathy therapeutic agents and liver disease therapeutic agents
US11103527B2 (en) 2017-07-27 2021-08-31 Osaka University Enteric coated silicon dru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9208461A (ja) * 2018-06-07 2019-12-12 協同組合ラテスト 機能性食品
JP7228498B2 (ja) 2018-10-24 2023-02-24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フェノール樹脂の製造方法
KR20210153643A (ko) 2019-04-16 2021-12-17 후타무라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활성탄 흡착제의 제조 방법
JP7438897B2 (ja) 2020-08-26 2024-02-27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経口投与用錠剤型吸着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13A (en) * 1979-06-26 1981-01-20 Kureha Chem Ind Co Ltd Detoxificating spherical active carbon and preparing the same
JPS5673542A (en) * 1979-11-22 1981-06-18 Kureha Chem Ind Co Ltd Adsorbent
JPS58213613A (ja) * 1982-06-03 1983-12-12 Sumitomo Bakelite Co Ltd 球型活性炭の製造方法
JP3518878B2 (ja) * 1992-10-29 2004-04-12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抗ネフローゼ症候群剤
US5554370A (en) * 1994-05-27 1996-09-10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JPH08128766A (ja) * 1994-10-31 1996-05-21 Keiichiro Asaoka 超低温冷凍方法とその装置
JPH08208491A (ja) * 1994-11-15 1996-08-13 Kureha Chem Ind Co Ltd 薬剤の腎毒性軽減剤
CA2162086A1 (en) * 1994-11-15 1996-05-16 Michihito Ise Agent for reducing nephrotoxicity due to medicine
JPH10316578A (ja) * 1997-05-13 1998-12-02 Kureha Chem Ind Co Ltd リポタンパク質リパーゼ低血症改善剤
JP4230005B2 (ja) * 1998-04-10 2009-02-25 株式会社クレハ 活性型ビタミンd代謝の改善剤
JPH11292770A (ja) * 1998-04-10 1999-10-26 Kureha Chem Ind Co Ltd マトリックス形成亢進抑制剤
JP3522708B2 (ja) * 2001-04-11 2004-04-26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経口投与用吸着剤
US7651974B2 (en) * 2002-11-01 2010-01-26 Kureha Chemical Industry Co., Ltd.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JP3585043B2 (ja) * 2003-01-22 2004-11-04 メルク・ホエイ株式会社 医薬用吸着剤及びその製法
KR101135260B1 (ko) * 2003-10-22 2012-04-12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경구투여용 흡착제,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치료 또는 예방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7018247 - 61265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561A (ko) 2019-01-07 2020-07-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기반인 구형활성탄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0397A4 (en) 2005-03-30
HK1083004A1 (en) 2006-06-23
KR20050042262A (ko) 2005-05-06
CN1691949A (zh) 2005-11-02
CA2504517C (en) 2008-08-12
WO2004039381A1 (ja) 2004-05-13
JPWO2004039381A1 (ja) 2006-02-23
DE60312841T2 (de) 2008-02-07
EP1500397A1 (en) 2005-01-26
RU2005116680A (ru) 2006-01-20
DE60312841D1 (de) 2007-05-10
CN1691949B (zh) 2012-10-03
CA2504517A1 (en) 2004-05-13
ES2285203T3 (es) 2007-11-16
TW200410715A (en) 2004-07-01
TWI319985B (en) 2010-02-01
EP1500397B1 (en) 2007-03-28
US20050079167A1 (en) 2005-04-14
ATE357924T1 (de) 2007-04-15
JP2010006843A (ja) 2010-01-14
AU2003280690A1 (en) 2004-05-25
RU2292211C2 (ru) 2007-01-27
JP3835698B2 (ja)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448B1 (ko) 경구투여용 흡착제, 신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및 간질환치료 또는 예방제
US8518447B2 (en) Method for treating or preventing renal or liver disease
US8357366B2 (en) Adsorbent for an oral administration, and ag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renal or liver disease
EP1525886B1 (en) Ab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and ag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renal or liver disease
WO2012050025A1 (ja) 医薬用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80449B1 (ko) 경구투여용 흡착제
JP2006070047A (ja)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5985027B2 (ja) 経口投与用医薬用吸着剤の製造方法
JP2006143736A (ja)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4471959B2 (ja)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4311923B2 (ja) 経口投与用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2006077028A (ja)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2006096769A (ja)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2006328085A5 (ko)
KR20040032320A (ko) 경구투여용 흡착제 및 상기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포함하는의약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128

Effective date: 201306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711

Effective date: 201410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325

Effective date: 201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