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827B1 -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 Google Patents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827B1
KR100678827B1 KR1020017011736A KR20017011736A KR100678827B1 KR 100678827 B1 KR100678827 B1 KR 100678827B1 KR 1020017011736 A KR1020017011736 A KR 1020017011736A KR 20017011736 A KR20017011736 A KR 20017011736A KR 100678827 B1 KR100678827 B1 KR 100678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accharide
cosmetic
cosmetics
chp
sterol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1770A (ko
Inventor
수나모토쥰조
시마다쿠니오
하야시아키오
호소타니류조
야노요시히로
아키요시카즈나리
Original Assignee
니혼유시 가부시기가이샤
스나모토 준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유시 가부시기가이샤, 스나모토 준조 filed Critical 니혼유시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는 화장료 재료와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로서, 수분유지능력 및 피막형성능력이 뛰어나고, 이 때문에 피부의 거칠어짐이나, 윤기부족 등의 건조에 기인하는 피부 및 모발상태를 개선하고, 충분한 수분유지에 의해 알맞은 습기를 주는, 소위 미기 및 미발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감촉적으로도 우수하고, 이 때문에 스킨케어화장료, 메이크업화장료 및 모발용 화장료 등에 썩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COSMETICS CONTAINING POLYSACCHARIDE-STEROL DERIVATIVES}
본 발명은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대해서는 보습효과 및 피부거칠어짐 개선효과 등이 뛰어나고, 한편 모발에 대해서는 피막형성작용에 의거한 보호효과 등이 뛰어나고, 또 제품안정성이 뛰어난 특징을 가진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건조는, 피부분비물의 양, 특히 피지분비량의 감퇴, 및 세포간 지질 및 아미노산 등의 천연보습인자의 감소에 의해, 각질층의 배리어기능이 저하하고, 경피(經皮)수분 증산(蒸散)량이 커졌을 때에 일어난다. 따라서 동계나 과잉의 피부세정, 연령, 체질 등에 의한 피부분비물의 감소에 의해 피부건조가 증가하고, 각질층수분이 10%이하로 저하했을 때를 특히 드라이스킨이라고 칭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피부가 건조해지면 피부의 윤기는 저하하고, 잔주름이 눈에 띄는 등 폐해가 나온다. 마찬가지로, 모발에 대해서도 모발중의 수분량이 감소함으로써 모발은 매끄러움을 잃어버리고, 또 윤기가 저하하는 등의 폐해가 발생한다.
이들 피부상태 및 모발상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질층 및 모발의 수분량의 저하를 방지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일이 필요하고, 이제까지 몇 가지의 보습제가 검토되어 왔다. 그 결과, 피부에의 밀착성이 좋고 소수성을 가진 바셀린,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 히알루론산, 소르비톨, 풀루란 등의 다당류; 락트산소다; 피롤리돈카르복시산소다 등의 아미노산류 등을 화장료의 기제중에 배합함으로써, 보습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또 최근에는 각질층의 세포간 지질의 일성분인 스핑고지질 및 세라마이드를 배합하는 일도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이들 제제는, 수분유지능력이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폐색성을 사용한 경우는 기름지고 끈적끈적해서 불쾌한 감촉을 주는 결점이 있고, 한편 보습제는 다량으로 배합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결과로서 끈적끈적한 감 및 미끈미끈한 감 등의 감촉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시 및 미생물의 안정성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런데, 다당류 또는 풀루란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다음의 공개공보가 알려져 있다.
[1]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3-142540호 공보에는, 풀루란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고, 피부를 자극하는 일 없이, 감촉이 뛰어난 유용성마무리 화장료가 표시되어 있다.
[2] 일본국 특허 공개 소 63-66107호 공보에는, 풀루란을 배합해서 이루어진 유상/수상형 또는 수상/유상형의 유화형의 유화형 화장료가 표시되어 있다.
[3] 일본국 특허 공개 소 63-139105호 공보에는, 풀루란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살을 피는 화장료가 표시되어 있다.
[4] 일본국 특허 공개 평 2-42011호 공보에는, 풀루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0.01∼1㎜의 필름형상 메이크업화장료가 표시되어 있다.
[5] 일본국 특허 공개 평 10-182341호 공보에는, 풀루란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팩 화장료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장료에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은 전혀 없다.
한편,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일본국 특허 공개 평 3-292301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평 5-262645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소 63-31904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것을 화장료에 사용하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유지능력 및 피막형성능력이 뛰어나고, 이 때문에 피부거칠어짐, 윤기부족 등의 건조에 기인하는 피부 및 모발상태를 개선하고, 충분한 수분유지에 의해 알맞은 습기를 주는, 소위 미기(美肌) 및 미발(美髮)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감촉적으로도 뛰어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예의 검토한 결과, 세포간 지질중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스테롤과 피막형성능력이 우수한 다당류를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화장료에 배합하면, 흡습 및 보습작용에 의거한 수분유지능력이 높고, 또한 라멜라형성촉진 및 안정화작용이 뛰어나고, 또한 피막형성능력이 뛰어나서 피부기름기감촉을 낮게 억제하는 등의 효과를 가진 화장료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종래의 화장료의 결점을 모두 해결하는 이상적인 소재인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이다.
(1) 화장료 재료와,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2) 다당류-스테롤유도체가,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의 스테릴기를 도입해서 이루어진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인 상기 (1)기재의 화장료.
(3) 다당류-스테롤유도체가,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의 당단위의 수산기가 하기 식(1)
(식 (1)중, R1은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를 표시함. R2는 스테릴기를 표시함.)
로 표시되는 기로 치환된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인 상기 (1) 또는 (2)기재의 화장료.
(4) 스테릴기의 도입개수가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5∼15개인 상기 (2) 또는 (3)기재의 화장료.
(5) 스테릴기의 도입개수가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1∼10개인 상기 (2) 또는 (3)기재의 화장료.
(6) 다당류-스테롤유도체가 풀루란-콜레스테롤유도체인 상기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화장료.
(7)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이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0.001∼50중량%인 상기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화장료.
(8) 화장료가 스킨케어화장료, 메이크업화장료 또는 모발용 화장료인 상기 (1)∼(7)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화장료.
(9) 화장료가 유액, 화장수, 루즈, 매니큐어 또는 헤어로션인 상기 (1)∼(7)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화장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다당류에 적당한 분자를 개재하여 스테롤을 화학결합에 의해 도입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다당류-스테롤유도체로 분류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다당류는 글리코스(glycose)가 폴리글리코실화한 고분자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당류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풀루란, 아밀로스, 크실로글루칸, 아밀로펙틴, 덱스트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만난, 하이드록시에틸덱스트란, 레반, 이눌린, 키틴, 키토산 및 수용성 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다당류는 천연의 것이라도 합성품이라도 된다.
스테롤은 시클로펜타노퍼하이드로페난트렌골격, 콜레스테롤골격,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골격과 밀접하게 관련된 구조를 가진 알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스테롤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콜레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및 에르고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평 2-144140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소 63-319046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 공개 평 3-29230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류-콜레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이하, 단순히 화장료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사용되는 다당류-콜레스테롤유도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널리 알려진 화학지식을 사용해서 적절히 연구하여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본국 특허 공개 평 3-29230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다당류-콜레스테롤유도체는, 합성의 용이함 등의 점에서,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 바람직하게는 0.05∼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개의 당단위의 수산기가 상기 식(1)로 표시되는 기로 치환된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이다.
상기 식(1)에 있어서, R1은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이고, 2가의 탄화수소기이면 직사슬형상, 분기사슬형상 또는 고리형상의 어느 것이라도 되고, 또 포화든지 불포화든지 어느 것이라도 되나, 탄소수 3∼8의 직사슬형상 포화탄화수소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식(1)에 있어서, R2는 스테릴기(스테롤의 잔기)이고, 예를 들면 콜레스테릴기(콜레스테롤잔기), 스티그마스테릴기(스티그마스테롤잔기), β-시토스테릴잔기(β-시토스테롤잔기), 라노스테릴기(라노스테롤잔기), 및 에르고스테릴기(에르고스테롤잔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입수성의 점에서는, 콜레스테릴기(콜레스테롤잔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과, 다당류의 수산기를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의 반응식 (2)
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의 일단부의 이소시아나토기를, 스테롤의 수산기와 반응시키고, 우레탄결합에 의해 양자를 결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때,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의 반응에 사용되는 스테롤로서는,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및 에르고스테롤 등이 사용되고, 입수성의 점에서 콜레스테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스테롤과 반응시키는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은 OCN-R-NCO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R이 에틸렌기인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틸렌기인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기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기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상기의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을, 다당류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과, 다당류와의 반응은, 예를 들면 하기의 반응식 (3)
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다당류를 구성하는 단당의 수산기와,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이 가진 이소시아나토기와의 1스텝 부가반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반응식 (3)에는, 1개의 6단당유닛과,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과의 반응이 모델로서 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합성에 있어서는,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 바람직하게는 0.05∼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개의 당단위의 수산기에 대해서, 반응식(3)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반응을 발생시키는 것이, 화장료로서의 사용감을 높이는 위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다당류로서는, 다당류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특히 풀루란, 아밀로스, 크실로글루칸, 아밀로펙틴, 덱스트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만난, 하이드록시에틸덱스트란, 레반, 이눌린, 키틴, 키토산 및 수용성 셀룰로스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다당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다당류는, 천연 또는 합성유래의 것이라도 되고, 입수가 가능한 것이면 분자량 등은 어떠한 것이라도 되나,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에, 보다 특징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0정도, 바람직하게는 30000∼500000인 것이 좋다. 또, 다당류의 종류로서는, 입수성 및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의 감촉이 좋은 정도로부터, 특히 풀루란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다당류와,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과의 반응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 및 다당류의 양쪽이 용해되고, 또한 반응생성물인 다당류-스테롤유도체가 용해되는 용매가 바람직하고, 통상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포름아미드,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비프로톤성 용매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때의 반응온도 및 시간은 사용되는 다당류 및 용매 등에 따라서 반응의 진행상태에 의해 적당히 선택되나, 바람직하게는 0∼200℃에서 1∼48시간 정도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다당류와,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과의 주입비는 어떠한 비율이라도 되고, 이 주입비를 변화시킴으로써 다당류에 대한 스테릴기의 도입량을 적당히 제어할 수 있다.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의 스테릴기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다당류의 100단당단위에 대해서,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을 0.01∼30분자의 비율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정제방법으로서는, 재침전정제법, 각종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정제법 및 투석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건조방법으로서는 동결건조법, 또는 진공건조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로서는, 상기의 다당류-스테롤유도체에 한정되지 않고, 다당류에 스테릴기를 도입해서 얻어지는 널리 알려진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이면, 어떠한 종류의 다당류-스테롤유도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이면 상기의 제조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제조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것이라도 사용해도 된다. 이들 경우에도, 흡습 및 보습작용에 의거한 수분유지능력이 높고, 또한 라멜라 형성촉진 및 안정화 작용이 뛰어나고, 또한 피막형성능력이 우수한 이유로부터,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 바람직하게는 0.05∼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개의 스테릴기가 도입된 다당류-콜레스테롤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당류-콜레스테롤유도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에 대한 화장료의 경우에는, 보습효과 및 피부거칠어짐 개선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5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3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모발에 대한 화장료의 경우에는, 피막형성작용에 의거한 보호효과가 뛰어나고, 또 제품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5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3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루즈용 화장료의 경우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10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5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화장료 재료와의 포뮬레이션의 용이성의 점에서,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0정도, 바람직하게는 30000∼500000의 풀루란에, 풀루란 100단당당 0.01∼20개, 바람직하게는 0.05∼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개의 비율로 스테릴기가 도입되도록, 분자의 일단부에 스테릴기와 다른 단부에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진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풀루란-콜레스테롤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화장료 재료와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로서, 종류 및 형상 등은 제한되지 않고,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어떠한 종류 또는 형상의 화장료라도 된다. 구체적인 화장료로서는, 스킨케어화장료, 메이크업화장료 및 모발용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장료 재료로서는, 널리 알려진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는 널리 알려진 화장료용의 원료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화장료 재료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유분, 보습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보습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분말, 펄제, 무기안료, 유기안료, 염료, 착색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분산제, 방부제, 살균제, 증점제, 가소제, 약제, 향료, 수지, 물 및 pH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전체에 대한 화장료 재료의 함유량은 50∼99.999중량%,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재료 70∼99.99중량%,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0.01∼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화장료에 대해서, ① 화장료 일반, ② 메이크업화장료, ③ 루즈용 화장료, ④ 모발용 화장료, ⑤ 매니큐어용 화장료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는 이하에 설명하는 화장료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형태의 화장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① 화장료 일반.
본 발명의 화장료는, 통상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화장료에 널리 알려진 방법을 사용해서 상기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배합한 것이다. 화장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의 화장료라도 극히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화장료의 종류는, 예를 들면 파우더파운데이션, 콤팩트, 투웨이케익, 페이스파우더 등의 백분류; 아이섀도우, 파우더브러시, 마스카라, 립스틱, 립글로스, 립펜슬, 아이라이너, 아이브라우펜슬 등의 부분 화장품류; 유화형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등의 유화형 제품류; 분말팩, 클렌징팩류, 선스크린크림, 크림, 핸드크림, 제한제(制汗劑), 로션화장수 등의 일부 기초화장품류; 베이비파우더, 바디파우더 등의 전신제품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에도 피부용 화장제; 헤어폼제, 샴푸, 린스, 린스인샴푸, 모발조형로션,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크림, 헤어블로우, 헤어오일 등의 모발화장료; 네일에나멜 등의 매니큐어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가 특히 썩 알맞게 사용되는 화장료로서는, 화장수, 유액, 크림, 오일 등의 스킨케어화장료;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라우, 루즈, 볼연지, 언더코트 등의 메이크업화장료; 젤, 무스, 스프레이, 헤어크림 등의 모발용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상기 화장료 재료를,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분으로서는 스쿠알렌, 유동파라핀,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등의 각종 탄화수소오일;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의 고급지방산;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바틸알콜 등의 고급알콜; 세틸-2-에틸헥사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네오펜틸글리콜-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옥탄산글리세리드, 2-옥틸도데실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리드, 트리올레산글리세리드, 트리야자유지방산글리세리드, 옥탄산세틸 등의 에스테르류;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조조바오일, 해바라기유, 간유, 홍화유, 동백기름, 시어버터, 마카데미아너츠유, 밍크유, 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액상라놀린, 캐스터오일, 코코넛오일, 면실유 등의 유지; 목랍, 카르나우바왁스 등의 왁스류; 디메틸폴리실록산, 고리형상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아미노변성 실리콘, 알킬변성 실리콘, 불소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오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카본 등의 불소계 유분; 트리메틸신남산; 실리콘수지, 고분자실리콘고무, 아크릴변성 실리콘공중합체 등의 고분자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불소변성 실리콘, 아크릴실리콘, 실리콘레진 등의 발수성 수지를 병용하면,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상기 발수성 수지와 단단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헥사메틸렌글리콜, 이소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르복시산염, 키틴, 요소, 키토산 등의 보습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 토코페롤,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등의 산화방지제;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마이카, 벤토나이트, 카올린, 탤크, 마이카티탄, 옥시염화비스무트, 무수규산 등의 분말; 구아닌, 라미네이트수지펄제, 마이카-티탄계 펄제 등의 펄제; 군청, 산화크롬, 코발트블루 등의 무기안료; 수단III, 퀴니자린그린SS, 퀴놀린옐로SS 등의 염료; 스판계, 트윈계, 폴리알킬에테르계,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계,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계,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계 등의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증점제; 소염제, 비타민, 호르몬 등의 약제; 향료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또, 폴리비닐피롤리돈, PVP-VA, 비닐메틸에테르-무수말레산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중합체, 비닐피롤리돈-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공중합체 디에틸황산염, N-메타크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N-α-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아크릴산스테아릴-스테아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아민공중합체 등의 세트제 폴리머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다당류세그먼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막형성능력이 뛰어나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휘발성 유분과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건조후 끈적거림이 없고, 접촉해도 전사되지 않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휘발성 유분으로서는, 널리 알려진 휘발성 유분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경질이소파라핀, 데카메틸펜타시클로실록산, 옥타메틸테트라시클로실록산, 헥사메틸트리시클로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퍼플루오로유기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제품에 배합한 경우,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을 배합한 피막보다도 내수성 및 내유성을 가진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화장지속성향상에 큰 효과를 발휘하고, 이 때문에 모든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있는 화장품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통상 이용되고 있는 화장료의 모든 형태의 것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면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화장료 용제인 저비점고리형상 실리콘 또는 저비점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에 용해한 것;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수용성 다가알콜, 또는 비이온, 음이온 또는 양이온형의 유화제에 의해 에멀젼으로 한 피부용 화장료;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화장료 용제인 저점도 실리콘 등과 배합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루즈용 화장료; 아라비아고무, 하이드록시셀룰로스, 밀랍 및 흑색의 산화철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배합한 마스카라용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 유성성분, 수용성성분, 정제수 및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 유화, 가용화, 분산기술을 구사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형의 유화조성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액상, 크림상, 겔상, 고형상, 분말상, 스틱상, 스프레이, 무스, 에어로졸 또는 롤온타입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 어떠한 양으로 배합되어도 되나, 흡습 및 보습작용에 의거한 수분유지능력이 높고, 또한 라멜라형성촉진 및 안정화작용이 뛰어나고, 또한 피막형성능력이 뛰어나서 피부기름기감촉을 낮게 억제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0.001∼50중량%의 범위에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01∼30중량%의 범위에서 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② 메이크업화장료.
본 발명의 화장료는 메이크업 화장료로서의 사용에 특히 우수하다. 메이크업화장료로서는, 분말 및 유분 등으로 구성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을 들 수 있고, 제형 및 배합조성비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형 파운데이션, 파우더타입 파운데이션, 유성파운데이션, 선번방지용 파운데이션, 언더코트, 분말백분, 볼연지,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루즈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화계를 베이스로 한 유화파운데이션 등도 들 수 있다. 메이크업화장료는 탤크, 카올린, 산화철, 산화티탄, 티탄·마이카계 펄안료 등의 무기분체; 폴리아미드(나일론); 셀룰로스; 타르안료 등의 유기안료를 많이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메이크업화장료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메이크업화장료로서 통상 알려져 있는 처방성분에 적당히 첨가, 또는 대체성분으로서 배합해서 조제함으로써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되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5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3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0.001∼50중량%인 것이 좋고, 또한 0.01∼20중량%의 범위에서 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휘발성 유분과 함께 배합해도 된다. 그 경우, 특히 펴짐이 좋고,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며, 또한 화장지속성효과 및 2차부착방지효과에 대단히 뛰어난 메이크업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에 있어서, 스테릴기의 도입량이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개 미만일 경우, 화장지속성의 향상 및 의류에의 2차부착성의 저감에 대해서 만족하는 효과는 얻을 수 없다. 또,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는, 화장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의류에의 2차부착성의 저감에 대해서는 효과는 거의 없다. 한편,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이 50중량%를 넘어도, 화장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또는 2차부착성의 저감에 대한 효과는 그다지 향상하지 않는 외에, 메이크업화장료의 도포시의 「펴짐」 등의 사용성이 나빠지고, 화장료로서의 기본기능을 손상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수분유지능력, 피막형성능력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0.001∼5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는 휘발성 유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질이소파라핀, 데카메틸펜타시클로실록산, 옥타메틸테트라시클로실록산, 헥사메틸트리시클로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퍼플루오로유기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60∼160℃의 범위인 휘발성 탄화수소오일이다.
휘발성 유분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1∼9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 기대되는 화장지속성향상 및 2차부착성의 저감의 효과는 얻을 수 없고, 함유량이 90중량%를 넘으면 메이크업화장료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분말 등의 다른 화장료 재료의 함유량이 감소하여, 메이크업화장료로서의 기능을 잃어 버려서 바람직하지 않다.
메이크업화장료에는, 외관안정성, 점도, 경도 등의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메이크업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분, 계면활성제, 착색제, 분말, 왁스류, 자외선흡수제, 보습성분, 약효성분, 향료 및 안정화제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는 유분으로서는, 액체유지, 고체유지, 왁스류, 탄화수소오일, 합성에스테르오일, 실리콘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액체유지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아보카도유, 동백기름, 터틀유, 마카데미아너츠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오일, 레이프오일, 난황유, 세서미오일, 퍼식오일, 소맥배아유, 사잔카오일, 캐스터오일, 린시드오일, 홍화유, 면실유, 페릴라오일, 대두유, 피넛오일, 차실유, 카야오일, 라이스브랜오일, 중국산텅오일, 일본산텅오일, 조조바오일,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유지로서는, 카카오버터, 코코넛오일, 마지(馬脂), 경화코코넛오일, 팜유, 우지(牛脂), 양지(羊脂), 경화우지, 팜커넬유, 라아드, 우골지(牛骨脂), 목랍커넬유, 경화유, 우각지(牛脚脂), 목랍, 경화캐스터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서는, 밀랍, 칸데릴라왁스, 코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베이베리왁스, 인섹트왁스, 스퍼마세티왁스, 몬탄왁스, 라이스브랜왁스, 라놀린, 케이폭왁스, 아세트산라놀린, 액상라놀린, 사탕수수왁스,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라놀린, 조조바왁스, 경질라놀린, 셸락왁스,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콜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수소첨가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오일로서는, 유동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렌,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에스테르오일로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펜탄에리트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캐스터오일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오일, 세토스테아릴알콜,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2-에틸헥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오일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사슬형상 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폴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고리형상 폴리실록산; 3차원그물코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수지, 실리콘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친유성 비이온계면활성제 및 친수성 비이온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엘카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말산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그 외에 경화캐스터오일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토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토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토펜타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토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토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디올레에이트, 시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옥틸도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류; 플루로닉 등의 플루로닉형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수첨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류;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테트라폴리옥시프로필렌에틸렌디아민축합물류; 폴리옥시에틸렌캐스터오일, 폴리옥시에틸렌경화캐스터오일, 폴리옥시에틸렌경화캐스터오일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경화캐스터오일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경화캐스터오일모노피로글루탐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캐스터오일말레산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캐스터오일경화캐스터오일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토밀랍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밀랍·라놀린유도체; 코코넛오일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 그 외에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는 분말로서는,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널리 알려진 분말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탤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운모, 버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플라스터),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파우더, 금속비누(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의 무기분말; 폴리아미드수지분말(나일론분말), 폴리에틸렌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분말, 폴리스티렌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분말, 벤조구아나민수지분말, 폴리4불화에틸렌분말, 셀룰로스분말 등의 유기분말; 2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백색안료; 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의 무기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저차산화티탄 등의 무기흑색계 안료; 망고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계 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청색계 안료; 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산화티탄코티드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코티드탤크, 착색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비늘박(scale flake) 등의 펄안료; 알루미늄파우더, 카퍼파우더 등의 금속분말안료;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안료; 클로로필, β-카로틴 등의 천연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분말의 표면을, 상법에 의거해서 실리콘수지처리, 왁스처리, 덱스트린지방산처리 또는 불소처리 등의 소수화처리한 분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는 왁스류로서는,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널리 알려진 왁스류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밀랍, 칸데릴라왁스, 코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베이베리왁스, 인섹트왁스, 스퍼마세티왁스, 몬탄왁스, 라이스브랜왁스, 라놀린, 케이폭왁스, 아세트산라놀린, 액상라놀린, 사탕수수왁스,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라놀린, 조조바왁스, 경질라놀린, 셸락왁스,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콜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수소첨가라놀린알콜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수소첨가라놀린알콜에테르, 세레신,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의 함유량은 메이크업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1∼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는 자외선흡수제로서는,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널리 알려진 자외선흡수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라 약칭함), PABA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메틸에스테르 등의 벤조산계 자외선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하이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1-캄파, 3-벤질리덴-d,1-캄파, 유로카닌산, 유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라딘,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는 보습성분으로서는,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널리 알려진 보습성분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크실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황산, 카론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락트산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복시산염, 짧은사슬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부가물, 로자 록스버기이 글라브라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멜리로트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는 약효성분으로서는, 메이크업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널리 알려진 약효성분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노닐산발레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캅사이신, 징게론, 칸타리스팅크처, 이크타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데레이트, 신나리진, 토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의 혈행촉진제; 클로트리마졸, 펜타클로로페놀, 트리클로로페놀카프로에이트, 트리브로모페놀카프로에이트, 라우릴트리페닐포스포늄브로미드, 염산디안타졸, 파라아세틸아미노페닐로단, 티메로살, 운데실렌산, 운데실렌산아연, 데르마시드, 바리티온, 풀롤니트론, 식카닌, 미코나졸, 에코나졸, 이소코나졸, 술코나졸, 티오코나졸, 비포나졸, 옥시코나졸, 케토코나졸, 시클로피록스올라민, 토르시클레이트, 나프티핀, 글리세오풀빈, 5-플루오로시토신 등의 항진균제; 알부틴, 코지산, 플라센타엑스, 비타민C 및 그 유도체 등의 미백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그 구성성분인 스테롤유래의 흡수파장영역에 따라서 자외선흡수효과를 가지며, 또 화장료의 구성성분의 일종으로서 특정한 매질에 용해시킴으로써 스테롤유래의 발수성, 윤활성 및 광택부여성을 가지며, 또 다당류세그먼트에 의한 양호한 피막형성성을 아울러 가지기 때문에, 화장료의 원료의 피막형성제로서 극히 유용하고, 이 때문에 메이크업화장료의 형상에 따라서는 이 특성을 살릴 수도 있다.
③ 루즈용 화장료.
본 발명의 화장료는 루즈용 화장료로서의 사용에도 특히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즈용 화장료는 어떠한 타입의 루즈에도, 또 어떠한 타입의 루즈의 원료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즈용 화장료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 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왁스, 액체오일, 안료 및 펄제 등의 화장료 재료로 구성된다. 이들을 막대형상으로 성형한 립스틱, 또는 도포기구를 사용해서 입술의 윤곽을 정확하게 그릴 수 있는 금명(金皿) 등에 성형되는 접시형상 루즈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들은 유분이 주체이나, 또 여기에 휘발성 실리콘 및 휘발성 탄화수소 등의 휘발성 용제; 왁스 및 유기실리콘수지 등의 피막형성제 등을 배합해도 된다. 또, 수분을 배합해서 유화형으로 하거나, 유중수형 루즈에 특정한 유분 및 수용성 물질을 배합해서 액상 루즈로 할 수도 있다. 루즈용 화장료는 유중수형의 액상 또는 페이스트형상의 루즈용 화장료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행하여진다. 이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어떠한 형태의 루즈에도, 상기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적당히 첨가, 또는 대체성분으로서 배합하여 조제함으로써, 화장막을 강화하고, 끈적거림이 없고, 색묻음을 개선하며, 또한 화장막에 광택이 있고, 입술이 촉촉하도록 루즈용 화장료의 성능을 향상시킨 루즈용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즈용 화장료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한 어떠한 조성 또는 형태의 루즈용 화장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예로서, 유상성분중에 휘발성 실리콘오일, 다당류-스테롤유도체 및 유기변성 점토광물을 함유시키고, 또 분체의 분산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액상 또는 페이스트형상의 유중수형 루즈용 화장료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중수형 루즈용 화장료는, 도포기구를 사용했을 때 부드럽게 또한 정확하게 입술의 윤곽을 그릴 수 있고, 사용성, 사용감이 양호하고 안정성이 좋으며, 또한 화장막에 광택이 있고, 또한 색묻음 등을 일으키지 않고 화장지속성이 뛰어난 외에, 입술의 알맞은 습기를 손상시키는 일도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즈용 화장료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한 어떠한 조성의 루즈용 화장료로 할 수도 있으나, 조성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휘발성 실리콘오일 5∼60중량%, 다당류-스테롤유도체 0.001∼50중량%, 폴리옥시알킬렌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계 계면활성제 0.1∼15중량%, 유기변성 점토광물 0.1∼7중량%, 물 2∼60중량% 및 화장료용 분체 2∼40중량%를 함유하는 루즈용 화장료를 들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오일로서는, 고리형상 또는 직사슬형상의 디메틸폴리실록산 중 상온에서의 휘발속도가 높은 휘발성 실리콘오일이 바람직하다. 고리형상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이하 고리형상 실리콘(4량체)이라 약칭함)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이하 고리형상 실리콘(5량체)이라 약칭함) 등을 들 수 있다. 직사슬형상의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서는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5㎟/s 이하인 것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실리콘오일은 직사슬형상인 것 및 고리형상인 것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휘발성 실리콘오일의 함유량은 5∼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5중량%보다 함유량이 적은 경우는 루즈용 화장료의 점도가 높아지고, 도포기구에 의한 사용이 곤란하게 되어 사용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으나, 특별히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60중량%보다 많으면 휘발성 실리콘오일에 의한 피부자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안전성상 바람직하지 않지만, 특별히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고리형상 실리콘오일을 사용하는 경우, 고리형상 실리콘(4량체)과 고리형상 실리콘(5량체)의 비율을 8:2∼2:8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비율의 경우, 저온에서의 안정성이 양호하고 적당한 휘발속도가 되어, 사용성이 양호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즈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함유량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로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10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3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1중량%보다 적으면 루즈용 화장료의 피막강도가 약하여, 화장지속성이 악화한다. 50중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루즈용 화장료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도포기구에 의한 사용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수분유지능력 및 피막형성능력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이 0.001∼5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계 계면활성제(이하, POA변성 실리콘이라 약칭함)는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또는 알킬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이라 하는 경우도 있고, 유화제 또는 분산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POA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형상인 것이고, 특히 수불용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실리콘 KF-945A(신에쯔카가쿠코교사 제품, 상표), 실리콘 SH-3772C, 동 SH-3775C(토레이·다우코닝실리콘사 제품, 상표), 아빌WE-09(골드슈미트사 제품,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POA변성 실리콘은 주사슬이 폴리실록산사슬이기 때문에, 유상중의 휘발성 실리콘 및 다당류-스테롤유도체와의 상용성이 좋고, 이 때문에 양호한 분체분산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POA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15중량%, 바람직하게는 0.5∼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보다 적으면 분산제로서의 기능이 불충분하게 되어, 안정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15중량%보다 많으면 스웨팅 등에 의해 화장막이 흐트러지고, 화장지속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유기변성 점토광물은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배합가능하다. 예를 들면,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등의 천연 또는 합성의 점토광물의 교환성 양이온을 유기극성화합물 또는 유기양이온으로 교환하여 변성한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외상(外相)인 유상에 구조성을 가지게 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경우가 있다.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7중량%,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보다 적으면 구조를 가지게 할 수 없어 안정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고, 7중량%보다 많으면 루즈용 화장료가 단단해져서 도포기구에 의한 사용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즈용 화장료의 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60중량%, 바람직하게는 4∼5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중량%보다 적으면 입술에 알맞은 습기를 줄 수 없어 입술이 건조하고, 60중량%보다 많으면 내상비(內相比)가 너무 높아져서 안정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내상의 수계에는 물 이외에 알콜, 다가알콜, 산, 그 염, 알칼리, 수용성 고분자, 색소, 보습제, 방부제 및 수용성 약효제 등의 수용성 물질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용 분체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루즈의 색재로서 뿐만 아니라, 건조속도의 조정제로서도 작용하는 것을 배합할 수 있다. 화장료용 분체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탤크, 세리사이트, 카올린, 마이카,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실리카, 합성마이카 등의 체질안료;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산바륨 등의 백색안료;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감청 등의 무기착색안료; 타르색소 등의 유기착색색소; 운모티탄, 산화철운모티탄, 옥시염화비스무트 등의 펄안료; 나일론파우더, 실크파우더, 스티렌파우더, 결정셀룰로스 등의 유기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의 분체 중 무기분체에는 유분, 실리콘 또는 불소계 화합물 등에 의해 소수화표면처리를 실시하면 무기분체의 유상속에의 분산이 향상하여, 보다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소수성이 낮은 분체의 배합비율이 높으면 루즈용 화장료의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화장료용 분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40중량%, 바람직하게는 5∼3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중량%보다 적으면 루즈의 건조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있고, 또 발색도 약하여 루즈로서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40중량%보다 많으면 건조속도는 빨라지나, 점도가 높아져서 도포기구를 사용했을 때의 떨어짐이 악화하고, 또 도포후의 화장막이 불균일하게 되고, 화장광채 또는 화장지속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즈용 화장료에는 상기 성분 이외의 불휘발성 성분으로서, 상온에서 액상 또는 반고체상의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불휘발성 성분으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유분 또는 수용성 물질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분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바셀린, 폴리부텐, 트리옥탄산글리세릴, 디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2-에틸헥산산세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디펜타에리트리토지방산에스테르, 조조바오일,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트리글리세라이드계 또는 실리콘계 등의 액체오일 또는 반고형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물질로서는 다가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및 이들의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불휘발성 성분과 혼합용해한 조성물이 상온에서 액상 또는 반고형상이 되는 한에 있어서, 왁스류, 수지류, 납류, 지방산류 및 고급알콜류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불휘발성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함유량은 3∼30중량%이고, 이들을 배합함으로써 도포후의 화장막의 광택이 향상하고, 화장막의 폐색성도 향상하기 때문에 입술의 알맞은 습기를 유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즈용 화장료에는 그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화장료에 통상 사용가능한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색소, 자외선흡수제, 보습제, 냉감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비타민, 호르몬 등의 약효성분, 오일겔화제 및 pH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즈용 화장료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널리 알려진 형상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고, 상기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한, 상기한 루즈용 화장료의 제형에 구애되는 일 없이, 배합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 등은 창조성을 발휘해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④ 모발용 화장료.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장료는 모발용 화장료로서의 사용에도 특히 우수하다. 상기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전체가 다당류로 이루어져 있고, 또 다량의 스테릴기를 가지고 있고, 아미노변성 실리콘 등의 물질과 마찬가지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모발에의 흡착성이 좋고, 부착성 및 내세발성이 뛰어나고, 또 빗질성의 향상, 보수성 향상효과, 및 브러싱에 의한 정전기발생의 억제효과 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장료를 모발용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모발용 화장료로서 통상 알려져 있는 처방성분에 적당히 첨가, 또는 대체성분으로서 배합하여 조제함으로써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 중의 스테릴기의 함유량을 컨트롤함으로써 분자량 20000∼50000정도로서도, 40만∼70만이라고 하는 고분자량의 디메틸실록산과 같이 부드러운 성상을 표시하고, 끈적거리지 않는 부드러운 피막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지모코트제 또는 린스인샴푸에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배합한 경우, 지모부분을 접착하는 수복효과, 빗질성의 향상, 브러싱에 의한 모발의 큐티클의 박리방지효과, 지모방지효과 및 모발의 윤기냄효과 등이 발휘된다. 이들 효과는 모발표면에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피막이 형성됨으로써 발휘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발용 화장료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모발용 화장료의 널리 알려진 형상이면 어느 것이라도 되고, 제형은 특별히 문제삼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발용 화장료는, 여러 가지의 사용형태의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정발료, 샴푸제, 린스제, 트리트먼트제, 세트제, 퍼머넌트웨이브액 및 마스카라 등 여러 가지의 사용태양으로 할 수 있다. 제형도 액상, 크림상, 수성에멀젼상 또는 겔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발용 화장료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유일한 폴리머성분으로 할 수도 있고,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정발료용의 천연폴리머, 천연계 변성폴리머 및 합성계 폴리머와 병용해도 된다. 또, 고급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가소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 계면활성제, 증점제, 하이드로트로프, 유탁제, 컨디셔닝제, 유지류, 보습제, 착색제, 살균제, 및 향료 등의 여러 가지의 첨가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모발용 화장료가 샴푸제, 린스제, 트리트먼트제, 세트제, 퍼머넌트웨이브제 또는 마스카라 등인 경우에는, 종래 알려져 있는 그들의 조성물에 상기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0.001중량% 이상 첨가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발화장료로 할 수 있고,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샴푸제 및 마스카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발화장료의 특히 바람직한 사용태양은, 에어로솔형식 헤어스프레이, 펌프방식 헤어스프레이, 폼형상 에어로솔, 헤어미스트, 세트로션, 헤어스타일링젤, 헤어리퀴드, 헤어크림, 헤어오일 등의 정발료가 포함되고, 이들은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분산계, 오일-물의 2층계, 오일-물-분말의 3층계 등, 어느 형태라도 된다. 유화계의 경우에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유상을, 유화제 예를 들면 비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유화해서 유화계로 할 수 있다. 유화할 때, 유화제를 수용성 다가알콜에 용해하고,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한 유분을 첨가하여 유화해서 유화조성물을 만들고, 그 조성물을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한 수상으로 희석해서 유화물을 만들 수도 있다. 또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통상 사용되고 있는 널리 알려진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도 전혀 상관없다.
유화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 이외의 유화제로서는, 널리 알려진 유화제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캐스터오일,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스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등의 비이온활성제;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양이온활성제; 세틸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코코넛오일지방산칼륨, 코코넛오일지방산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의 음이온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용성 다가알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글루코스, 말토스, 말티톨, 수크로스, 프럭토스, 크실리톨, 소르비톨, 말토트리오스, 트레이톨, 에리트리톨, 전분, 분해당환원알콜,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모발용 화장료에 사용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로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10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당류-스테롤유도체 중의 스테릴기의 도입량은,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 바람직하게는 0.05∼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릴기의 도입량이 0.01개 미만일 경우, 모발에 대한 상호작용이 불충분하게 되어, 모발손상방지효과의 지속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모발용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1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중량%를 넘으면 용해되기 어려워진다. 린스효과제로서 사용할 때에는, 모발용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1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중량%를 넘으면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용해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수분유지능력, 피막형성능력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0.001∼5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모발용 화장료에 배합하는 경우, 액상의 오일에 용해해서 배합해도 된다. 물론, 모발용 화장료 속에 따로따로 배합해서 계속에서 용해시켜도 된다. 액상오일로서는, 사슬형상 실리콘, 고리형상 실리콘 또는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사슬형상 실리콘의 구체예로서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테트라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로서는, 상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60∼260℃의 범위에 있는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엑손사 제품의 아이소파A(상표), 동C, 동D, 동E, 동G, 동H, 동K, 동L, 동M, 셸사의 셸졸71(상표), 필립사의 소르톨100(상표), 동130, 및 동2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는, 임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합계의 함유량은 다당류-스테롤유도체에 대해서 1∼50배(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발용 화장료 전량 중의 함유량이 10∼80중량%가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모발용 화장료가 세정제인 경우에는 20중량%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발용 화장료에는 상기의 구성성분 외에,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양적, 질적 범위내에서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라놀린유도체, 고급알콜, 각종 에스테르오일, 아보카도유, 팜유, 우지, 조조바오일, 실리콘오일, 폴리알킬렌글리콜폴리에테르 및 그 카르복시산올리고에스테르화합물, 테르펜계 탄화수소오일 등의 유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수용성 다가알콜;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르복시산염 등의 보습제; 자외선흡수제, 자외선산란제,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지류; 대두단백, 젤라틴, 콜라겐, 실크피브로인, 엘라스틴 등의 단백 또는 단백분해물;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각종 아미노산, 비오틴, 판토텐산유도체 등의 부활제(賦活劑); γ-오리자놀, 덱스트란황산나트륨, 비타민E유도체, 니코틴산유도체 등의 혈행촉진제; 유황, 티안톨 등의 항지루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테트라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 등의 희석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증점제; 그 외에 약제, 향료, 색제 등을 들 수 있다.
⑤ 매니큐어용 화장료.
또 본 발명의 화장료는 매니큐어용 화장료로서의 사용에도 특히 우수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를 매니큐어용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매니큐어용 화장료로서 통상 알려져 있는 처방성분에 적당히 첨가, 또는 대체성분으로서 배합하여 조제함으로써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매니큐어용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매니큐어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10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500000인 것이 박리, 피막의 매끄러운 외관 및 광택을 개량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매니큐어용 화장료에 있어서의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유지능력 및 피막형성능력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이 0.001∼5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니큐어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매니큐어액에 통상 사용되는 용매계에 용해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이 용매계는 건조시간을 비교적 짧게 하기 위해, 본질적으로는 휘발성의 여러 가지의 유기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들 용매로서는, 통상 알려져 있는 휘발성 유기용매 중에서 적당히 선택되는 것이라도 되나,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2-메톡시에틸,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아밀 및 아세트산이소프로필 등이 바람직하다. 용매계는 희석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제로서는, 헥산 또는 옥탄 등의 포화직사슬 또는 분기사슬 탄화수소; 톨루엔 또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용매계는 다른 휘발성 용매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들 휘발성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탄올, n-부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매니큐어용 화장료에는 피막형성물질을 배합할 수도 있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원래 피막형성능력을 가지나, 그 외의 통상 알려져 있는 피막형성물질을 또 배합하는 것은 전혀 상관없다. 피막형성물질로서는, 니트로셀룰로스, 바람직하게는 “RS” 및 “SS”형의 니트로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추가적인 피막형성물질로서 폴리부티르산비닐과 같은 폴리비닐유도체도 사용할 수 있다.
매니큐어용 화장료에는 가소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2∼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피막의 물리적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피막의 가요성의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매니큐어용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소제로서는, 인산트리크레질, 벤조산벤질, 인산트리부틸, 아세틸리시놀산부틸, 아세틸리시놀산글리세릴, 프탈산디부틸, 글리콜산부틸, 프탈산디옥틸, 스테아르산부틸, 인산트리부톡시에틸, 인산트리페닐,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트리부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2-에틸헥실), 주석산디부틸, 프탈산디메톡시에틸, 프탈산디이소부틸, 프탈산디아밀, 캄파, 3아세트산글리세롤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매니큐어용 화장료에는, 일반적으로 매니큐어용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를 함유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수지는 적당한 것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되나, 예를 들면 아릴술폰아미드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알키드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의 함유량은 매니큐어용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0.5∼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릴술폰아미드포름알데히드형 수지로서는, 주지의 톨루엔술폰아미드포름알데히드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피막형성성능을 향상시키면서, 광택 및 부착을 개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매니큐어용 화장료는 투명한 것이라도, 착색된 것이라도 된다. 착색할 경우에는, 널리 알려진 천연의 유기 또는 무기안료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안료로서는 통상 알려져 있는 화장료용 안료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고, 예를 들면 유기안료로서는, D&C Red 5, 6, 7, 10, 11, 12, 13 및 34호 및 레이크 D&C yellow 5호 및 레이크 D&C Red 2호 등의 레이크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유기안료로서 구아닌 등도 들 수 있다. 무기안료로서는, 2산화티탄, 비스무트옥시클로라이드, 갈색산화철 및 적색산화철 등을 들 수 있다. 안료의 함유량은 매니큐어용 화장료의 용도에 따라서 적당히 결정되나, 통상은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0.01∼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매니큐어용 화장료에는 또, 안료의 침강을 회피하는 목적에서 약간의 틱소트로피제를 사용할 수 있다. 틱소트로피제는 적당한 것이면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널리 알려진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그들의 함유량은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매니큐어용 화장료는 또, 매니큐어액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통상의 화장료에 함유되는 첨가제이면 널리 알려진 어떠한 첨가제라도 되고, 목적에 따라서 선택되어,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유도체 및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에틸 등의 자외선방지제 등을 썩 알맞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매니큐어용 화장료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매니큐어화장료의 널리 알려진 형상이면 어느 것이라도 되고, 제형은 특별히 문제삼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장료에 대해서, 화장료 일반, 메이크업화장료, 루즈용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매니큐어용 화장료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는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어떠한 형상의 화장료에도 적당히 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어떠한 종류의 화장료라도,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특성을 충분히 이용함으로써, 종래에 없는 성능을 가진 화장료로 개질할 수 있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 중의 스테롤성분의 도입율이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인 경우에 뛰어난 피막형성성을 가진 재료가 되는 성질을 가지며, 그 경도는 다당류의 성분 또는 스테롤의 도입율에 의해 경우에 따라 유연한 것이 된다. 또 스테롤도입율이 100단당당 20개를 넘으면 실온에 있어서의 용해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은 화장료의 형태에 따라서 상이하나, 통상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30중량%이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가 너무 적으면 본 발명의 효과는 얻을 수 없고, 너무 많을 경우에는 끈적거림을 발생하거나, 사용감이 무거워진다.
다당류-스테롤유도체가 형성하는 피막은,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율이 50중량% 이하이면 모두 끈적거리지 않고, 매끈매끈한 감촉을 가진다. 이들 특징을, 널리 알려진 화장료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연구해서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본 발명의 모든 화장료에 썩 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 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합성예 1
N-(6-이소시아나토헥실)콜레스테릴카르바메이트의 합성.
1ℓ의 가지형 플라스크에, 콜레스테롤 25g(0.065㏖), 톨루엔 300㎖를 넣어서 용해하고, 또 트리에틸아민 17㎖(0.12㏖)를 첨가하였다. 거기에, 톨루엔 300㎖에 용해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나토 161g(0.96㏖)을 넣고, 질소분위기하, 80℃에서 약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후, 톨루엔과 과잉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나토를 감압제거하였다. 얻어진 황색오일상의 잔여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함으로써, 담황색의 결정이 생성되었다. 결정을 빼내어, 약 1ℓ의 헥산을 첨가하고, 심하게 진탕한 후, 상청액을 데칸테이션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 세정조작을 합계 4회 행한 후, 실온에서 3시간 감압건조함으로써 백색의 고체를 얻었다. 수량은 18.25g, 수율은 50.9%였다. 얻어진 생성물의 IR의 측정결과를 하기에 표시한다.
IR(KBr, ㎝-1): 3260, 2320, 1680, 1130.
이상으로부터, N-(6-이소시아나토헥실)콜레스테릴카르바메이트가 얻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합성예 2
풀루란 100단당당 0.9개의 콜레스테릴기를 도입한 풀루란-콜레스테롤유도체(이하, CHP 0.9라 약기함)의 합성.
1ℓ의 가지형 플라스크에, 풀루란(중량평균분자량 108000) 40g과 디메틸술폭시드 420㎖를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 80℃에서 교반용해시켰다. 거기에 합성예 1에서 합성한 N-(6-이소시아나토헥실)콜레스테릴카르바메이트 1.78g(3.21mmol)을 피리딘 32.4㎖(0.40㏖)에 용해한 용액을 넣고, 90℃에서 1.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후, 디메틸술폭시드를 감압제거하여, 얻어진 오일상의 잔여물을 아세톤 6ℓ에 적하해서 침전을 생성시켰다.
상청액을 제거한 후, 얻어진 침전에 아세톤 4ℓ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침전을 여별채취한 후, 감압건조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이것을 투석막(스펙트로포어사 제품, Spectra/Por 3, 상표, 분획분자량: 3500)에 충전하여, 증류수에 대해서 일주일 투석하였다. 얻어진 폴리머용액 1.5ℓ를 상법에 따라 동결건조함으로써, 백색의 고체를 얻었다. 수량은 31.7g(수율 76.2%)이었다. 얻어진 생성물의 1H-NMR과 IR의 측정결과를 하기에 표시한다.
1H-NMR((δppm), DMSO-d6/D2O=20/1, vol, TMS): 0.68-2.40, 2.60-4.60, 4.60-5.05.
IR(KBr, ㎝-1): 1680, 1180-900.
1H-NMR스펙트럼의 적분값으로부터 콜레스테릴기 유래의 피크면적(δ=0.6∼2.3) 및 풀루란 유래의 피크면적(δ=4.7∼5.1)을 구하고,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는 0.9개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은 109700이었다. 이상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화합물이 CHP 0.9인 것을 확인하였다.
합성예 3
풀루란 100단당당 0.1개의 콜레스테릴기를 도입한 풀루란-콜레스테롤유도체(이하, CHP 0.1이라 약기함)의 합성.
합성예 2와 동일한 반응조작에 의해, N-(6-이소시아나토헥실)콜레스테릴카르바메이트의 주입량만을 0.198g(0.357mmol)으로 변경해서 CHP 0.1을 합성하였다. 1H-NMR스펙트럼의 적분값으로부터 콜레스테릴기 유래의 피크면적 및 풀루란 유래의 피크면적을 구하고,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는 0.1개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은 108200이었다.
합성예 4
풀루란 100단당당 0.05개의 콜레스테릴기를 도입한 풀루란-콜레스테롤유도체(이하, CHP 0.05라 약기함)의 합성.
합성예 2와 동일한 반응조작에 의해, N-(6-이소시아나토헥실)콜레스테릴카르바메이트의 주입량만을 0.099g(0.178mmol)으로 변경해서 CHP 0.05를 합성하였다. 1H-NMR스펙트럼의 적분값으로부터 콜레스테릴기 유래의 피크면적 및 풀루란 유래의 피크면적을 구하고,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는 0.05개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은 108100이었다.
합성예 5
풀루란 100단당당 10개의 콜레스테릴기를 도입한 풀루란-콜레스테롤유도체(이하, CHP 10이라 약기함)의 합성.
합성예 2와 동일한 반응조작에 의해, N-(6-이소시아나토헥실)콜레스테릴카르바메이트의 주입량만을 29.7g(53.6mmol)으로 변경해서 CHP 10을 합성하였다. 1H-NMR스펙트럼의 적분값으로부터 콜레스테릴기 유래의 피크면적 및 풀루란 유래의 피크면적을 구하고,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는 10개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은 127400이었다.
합성예 6
풀루란 100단당당 15개의 콜레스테릴기를 도입한 풀루란-콜레스테롤유도체(이하, CHP 15라 약기함)의 합성.
합성예 2와 동일한 반응조작에 의해, N-(6-이소시아나토헥실)콜레스테릴카르바메이트의 주입량만을 49.5g(89.3mmol)으로 변경해서 CHP 15를 합성하였다. 1H-NMR스펙트럼의 적분값으로부터 콜레스테릴기 유래의 피크면적 및 풀루란 유래의 피크면적을 구하고,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는 15개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은 137000이었다.
합성예 7
만난 100단당당 0.9개의 콜레스테릴기를 도입한 만난-콜레스테롤유도체(이하, CHM이라 약기함)의 합성.
합성예 2와 동일한 반응조작에 의해, 풀루란을 만난(중량평균분자량 85000) 26.2g으로 변경하고, 또 N-(6-이소시아나토헥실)콜레스테릴카르바메이트의 주입량을 1.08g(1.95mmol), 피리딘의 주입량을 19.6㎖, 디메틸술폭시드의 주입량을 320㎖로 변경해서 21.5g의 만난-콜레스테롤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생성물의 1H-NMR과 IR의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화합물이 만난-콜레스테롤(CHM)인 것을 확인하였다. 1H-NMR스펙트럼의 적분값으로부터 콜레스테릴기 유래의 피크면적 및 만난 유래의 피크면적을 구하고,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100단당당의 콜레스테릴기의 치환도는 0.1개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은 85200이었다.
실시예 1
CHP 0.9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합성예 2에서 얻어진 CHP 0.9를 사용해서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O/W형 유액은, 하기의 1∼10에 표시한 원료를, 하기에 표시된 비율로 전량이 100g이 되도록 배합해서 조제하였다. 먼저 1∼3에 표시된 원료를 혼합하여, 70℃에서 교반용해한 후, 원료 4∼10을 첨가해서 분산시켰다. 이것을 탈기한 후, 소정의 용기에 충전하여 CHP 0.9함유 O/W형 유액 100g을 얻었다.
이하에, 사용한 원료를 일람으로서 표시한다. 배합비율은 중량부이다.
1. 스테아르산 1
2. 밀랍 2
3.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
4. CHP 0.9(합성예 2에서 얻은 것) 0.3
5. 프로필렌글리콜 5
6. 글리세린 5
7. 에틸알콜 2
8.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0.3
9. 향료 0.3
10. 정제수 잔부(殘部)
다음에, 조제한 CHP 0.9함유 O/W형 유액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평가시험으로서 이하의 전사시험, 인공적 피부거칠어짐 개선효과시험, 실사용시험 및 선번방지시험을 행하였다.
[전사시험]
2장의 여과지를 준비해서, 한쪽에는 물을, 또 한쪽에는 스쿠알렌을 스며들게 하였다. 스쿠알렌을 스며들게 한 여과지에 대해서, 상기의 CHP 0.9함유 O/W형 유액을 적정량 도포해서 건조시킨 무색의 나일론판을 꽉 눌러서, 10회의 상하운동을 행하였다. 물을 스며들게 한 여과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하운동을 행하였다. 상하운동을 종료한 후에, 나일론판으로부터 여과지상에의 시료의 전사량을 평가하기 위해, 전사된 화장료의 색의 농도를 1명의 실험관찰자에 의해서 육안판정하였다. 이 때, 전혀 전사되지 않은 경우를 1점, 약간 전사된 경우를 2점, 전사가 현저한 경우를 3점으로 하였다. 이 전사시험은, 물 또는 스쿠알렌을 스며들게 한 여과지를, 시험마다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서, 5회 반복하여 행하였다. 이 때, 5회의 전사시험의 시험 및 평가는 동일 인물에 의해서 행하여졌다. 물 또는 스쿠알렌을 스며들게 한 여과지에 대한 5회의 전사시험의 평점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O/W형 유액의 전사시험
전사시험(평점)
실시예 1 1.6
실시예 2 1.8
실시예 3 2.0
실시예 4 1.6
실시예 5 1.8
실시예 6 1.6
비교예 1 2.4
비교예 2 2.6
비교예 3 3.0
비교예 4 2.6
[인공적 피부거칠어짐 개선효과시험]
[실험방법]
일본 여성 10인(연령 20∼42세)을 피험자로 해서, 계면활성제에 의한 인공적인 피부거칠어짐에 대한 개선효과를 보기 위해, 각질층 수분유지량의 측정, 경피수분증산량의 측정, 피진(皮疹)의 판정의 3가지에 대해서 관측하였다.
먼저, 전완내측부의 피부를 대상으로 하여, 이것에 직경 3㎝의 유리컵을 밀착시키고, 거기에 10㎖의 5% 도데실황산나트륨(SDS)을 넣어 가볍게 흔들면서 10분간 방치한 후, 처리액을 회수하였다. 또 동일부위에, 마찬가지로 직경 3㎝의 유리컵을 밀착시키고, 10㎖의 5% 도데실황산나트륨(SDS)을 넣어 가볍게 흔들면서 20분간 방치한 후, 처리액을 회수해서 피부거칠어짐을 야기시켰다. 이 SDS처리의 1일후부터, 처리부위에 1일 2회, 상기 CHP 0.9함유 O/W형 유액을 1회당 5㎖ 도포하였다. 이 때, 각질층 유지수분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각질층 수분유지량의 측정
각질층의 수분유지량은 우에다 등의 각질층 수분 물부하시험법(프래그런스저널 1994년 임시증간, No 13 「피부보습효과측정법」)에 따라 고주파피부수분측정장치(IBS사 제품 MODEL SKICON-200, 상표)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측정은, SDS처리전, SDS처리 3일후, SDS처리 7일후, SDS처리 14일후에 행하였다. 측정에 있어서는 측정부위피부를 37℃의 온수에서 30초간 세정한 후, 20℃, 50% 상대습도하, 각 사람에 대해서 5회 측정하고, 각 사람마다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또 각 사람마다의 평균값을 합계하고, 이것을 피험자수로 나눠서 전체의 평균값을 내었다. 이 전체의 평균값은 SDS처리전, SDS처리 3일후, SDS처리 7일후, SDS처리 14일후에 대해서, 각각 구하였다. 다음에, 각 SDS처리후의 전체의 평균값을 SDS처리전의 전체의 평균값으로 나눠서 상대값을 산출하였다. 이 상대값을 표 2에 기재하였다. 상대값의 수치는 높을수록 각질층의 수분유지능력이 높은 것을 표시하고, 도포한 O/W형 유액이 우수한 것을 표시하고 있다.
O/W형 유액의 인공적 피부거칠어짐 개선효과시험
각질층 수분유지량 경피수분증산량 피진판정(판정점)
3일째 7일째 14일째 3일째 7일째 14일째
실시예 1 1.87 1.99 2.03 0.87 0.84 0.79 0.4
실시예 2 1.97 2.09 2.09 0.77 0.84 0.75 0.3
실시예 3 2.17 2.00 1.99 0.88 0.89 0.79 0.3
실시예 4 2.11 1.80 2.20 0.81 0.81 0.77 0.2
실시예 5 1.99 1.95 2.15 0.80 0.81 0.78 0.2
실시예 6 1.87 1.89 1.87 0.89 0.85 0.79 1.2
비교예 1 1.11 1.00 1.04 0.96 0.94 0.97 2.1
비교예 2 1.07 1.00 1.04 0.97 0.94 0.99 0.4
비교예 3 0.87 1.09 1.00 0.96 0.94 0.98 0.2
비교예 4 1.07 0.89 1.03 0.97 0.95 0.99 2.2
다음에, 경피수분증산량을 하기의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 경피수분증산량의 측정
각질층의 수분증산량은 경피수분증산량측정장치(C+K사 제품 MODEL TEWAMETER-TM200, 상표)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측정은, SDS처리전, SDS처리 3일후, SDS처리 7일후, SDS처리 14일후에 행하였다. 측정에 있어서는 상기 (1)의 각질층 수분유지량측정 직후에, 각 사람에 대해서 5회 측정하여 각 사람마다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또 각 사람마다의 평균값을 합계하고, 이것을 피험자수로 나눠서 전체의 평균값을 내었다. 이 전체의 평균값은 SDS처리전, SDS처리 3일후, SDS처리 7일후, SDS처리 14일후에 대해서, 각각 구하였다. 다음에, 각 SDS처리후의 전체의 평균값을 SDS처리전의 전체의 평균값으로 나눠서 상대값을 산출하였다. 이 상대값을 표 2에 기재하였다. 상대값의 수치는 낮을수록 수분배리어기능이 높은 것을 표시하고, 도포한 O/W형 유액이 우수한 것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의 (1) 및 (2)의 실험에서 CHP 0.9함유 O/W형 유액을 도포한 10인의 피험자의 피진을, 상기의 전실험종료후에, 하기 판정기준에 따라서 판정하였다.
(3) 피진판정
피진판정은 피부과 전문의의 의사의 입회하에 행하여, 하기 기준에 의해 피험자의 피진을 개별로 판정하였다.
0: 건조성 낙설(落屑)성 변화가 확인되지 않음.
1: 미미한 건조성 낙설성 변화가 확인됨(미미한 낙설 또는 광택).
2: 명료한 건조성 낙설성 변화가 확인됨(처리부의 경계가 명료하게 나타남, 명료한 낙설에 일부 광택, 균열).
3: 현저한 건조성 낙설성 변화가 확인됨(명료한 낙설에 명료한 광택, 균열).
이상의 기준에 의해 판정한 피험자 10인의 판정결과의 평균값을 표 2에 기재하였다. 판정은 숫자가 작을수록 피부에의 악영향이 작은 것을 표시하고, 도포한 O/W형 유액이 우수한 것을 표시하고 있다.
[실사용시험]
[실험방법]
평소부터 피부거칠어짐, 건조성의 증상을 호소하는 일본 여성 20인(연령 27∼42세)에게 CHP 0.9함유 O/W형 유액을 각각 1개월간 사용하게 하였다. 1개월후의 촉촉한 감(보수효과), 피부의 당김의 개선(부활효과) 등의 미기효과와 사용중의 감촉(매끄러운 감)에 대해서 조사하기 위해, 전문시험자와의 면담에 의해 「촉촉한 감」, 「당김의 개선」, 「매끄러운 감」에 대해서 청취조사하였다. 이에 대해서 긍정적 회답을 한 사람수를 표 3에 기재하였다.
O/W형 유액의 실사용시험
실사용시험 긍정회답인수/20인 중 선번방지
촉촉한 감 당김의 개선 매끄러운 감
실시예 1 18 15 18 19.0
실시예 2 17 16 18 14.5
실시예 3 18 17 18 12.2
실시예 4 19 14 17 19.4
실시예 5 17 16 15 20.0
실시예 6 13 15 13 19.6
비교예 1 14 11 9 10.5
비교예 2 11 10 10 8.6
비교예 3 7 9 7 2.9
비교예 4 8 11 8 5.1
[선번방지시험]
[실험방법]
선번방지시험은, 동물을 사용한 SPF(Sun Protection Factor)측정법에 의해 행하여, 선번방지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등부분의 털을 탈모크림으로 제거한 모르모트를 준비하였다. 이것에, 상기 CHP 0.9함유 O/W형 유액을 2㎕/㎠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15분후에 자외선램프(토시바 FL-SE형, 상표)를 사용해서, 일정 시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조사후 24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시료도포부분 및 시료미도포부분의 강반(江斑)을 관찰하여, 미미한 강반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최소의 자외선량을 구하였다. 구한 최소자외선량으로부터 SPF를 계산하였다. SPF는, 시료도포부분의 최소자외선량을 시료미도포부분의 최소자외선량으로 나눠서 얻어지는 값이다. SPF의 결과를 표 3에 표시하였다. 선번방지시험의 결과로부터, CHP 0.9함유 O/W형 유액은 선번방지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평가시험에 의해, CHP 0.9함유 O/W형 유액은, 각질층 수분유지량의 증가(수분유지기능의 회복), 경피수분증산량의 저하(수분배리어기능의 향상) 및 건조성 피진에 대해서 현저한 효과가 있고, 또한 매끄러운 감이 뛰어난 외에, 보수효과 및 부활효과 등의 미기효과, 및 선번방지효과에 대해서도 우수한 것이 실증되었다.
실시예 2
CHP 0.1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3에서 얻어진 CHP 0.1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CHP 0.05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4에서 얻어진 CHP 0.05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CHP 10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5에서 얻어진 CHP 10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CHP 15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6에서 얻어진 CHP 15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6
CHM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7에서 얻어진 CHM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기재하였다.
합성예 8
풀루란 100단당당 1.7개의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기를 도입한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풀루란(이하, TSP라 약기함)의 합성.
풀루란(중량평균분자량 108000) 10g을 N-메틸피롤리돈 300㎖에 용해하고, 촉매로서 트리에틸아민 0.01g을 첨가하고,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이소시아네이트 0.7g을 적하하여, 10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아세톤에 주입하고, 발생한 석출물을 메탄올로 세정한 후 건조하여,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풀루란 50g을 얻었다. 또한, 이 생성물의 풀루란 100단당당의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기의 치환도를, 원소분석값을 근거로 계산하였던 바 1.7개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은 111000이었다.
비교예 1
TSP 5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8에서 얻어진 TSP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풀루란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시판의 풀루란(중량평균분자량 108000)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3
CHP미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를 배합하지 않은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4
폴리비닐알콜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시판의 폴리비닐알콜(쿠라레이사 제품, 쿠라레포벌 PVA-224C, 상표)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1∼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7
CHP 0.001중량% 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의 배합비율을 0.3중량부로부터 0.001중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은 전사시험만 행하고, 다른 시험은 행하지 않았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O/W형 유액의 전사시험
전사시험(평점)
실시예 7 2.6
실시예 8 2.2
실시예 9 1.0
실시예 10 1.2
실시예 8
CHP 0.01중량% 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의 배합비율을 0.3중량부로부터 0.01중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은 전사시험만 행하고, 다른 시험은 행하지 않았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9
CHP 50중량% 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의 배합비율을 0.3중량부로부터 50중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은 전사시험만 행하고, 다른 시험은 행하지 않았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0
CHP 20중량% 함유 O/W형 유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의 배합비율을 0.3중량부로부터 20중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O/W형 유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은 전사시험만 행하고, 다른 시험은 행하지 않았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1
CHP 0.9함유 화장수의 조제
합성예 2에서 얻어진 CHP 0.9를 사용해서 화장수를 조제하였다. 화장수는, 하기의 1∼8에 표시한 원료를, 하기에 표시된 비율로 전량이 100g이 되도록 배합해서 조제하였다. 먼저 1∼4에 표시된 원료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용해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5∼8에 표시된 원료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용해하였다. 이 원료 5∼8의 용액에 원료 1∼4의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혼합하여 분산시켰다. 이와 같이 해서 미탁액상의 CHP 0.9함유 화장수 100g을 얻었다.
이하에, 사용한 원료를 일람으로서 표시한다. 배합비율은 중량부이다.
1. CHP 0.9(합성예 2에서 얻은 것) 0.25
2. 글리세린 1.5
3. 에탄올 6
4. 프로필렌글리콜 1.5
5. 시트르산 0.01
6. 시트르산나트륨 0.1
7. 향료 0.05
8. 정제수 잔부
실시예 12
CHP 0.9함유 크림의 조제
합성예 2에서 얻어진 CHP 0.9를 사용해서 크림을 조제하였다. 크림은, 하기의 1∼9에 표시한 원료를, 하기에 표시된 비율로 전량이 100g이 되도록 배합해서 조제하였다. 먼저 1∼3에 표시된 원료를 혼합하여, 70℃에서 용해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4∼9에 표시된 원료를 혼합하여, 70℃에서 용해하였다. 원료 1∼3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원료 4∼9의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25℃까지 냉각방치하여, 백색크림형상의 CHP 0.9함유 크림 100g을 얻었다.
이하에, 사용한 원료를 일람으로서 표시한다. 배합비율은 중량부이다.
1. 스쿠알렌 5
2. 2-에틸헥산산트리글리세라이드 1
3. 바셀린 0.5
4. CHP 0.9(합성예 2에서 얻은 것) 1.5
5. 글리세린 3
6. 1,3-부탄디올 4
7. 폴리글리세린폴리옥시부틸렌스테아릴에테르 2.5
8. 향료 0.2
9. 정제수 잔부
실시예 13
CHP 0.9함유 헤어크림의 조제
합성예 2에서 얻은 CHP 0.9를 사용해서 헤어크림을 조제하였다. 헤어크림은, 하기의 1∼15에 표시한 원료를, 하기에 표시된 비율로 전량이 100g이 되도록 배합해서 조제하였다. 먼저 1∼8에 표시된 원료를 혼합하여, 70℃에서 용해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9∼15에 표시된 원료를 혼합하여, 70℃에서 용해하였다. 이 원료 1∼8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원료 9∼15의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25℃까지 냉각방치하여, 백색크림형상의 CHP 0.9함유 헤어크림 100g을 얻었다.
이하에, 사용한 원료를 일람으로서 표시한다. 배합비율은 중량부이다.
1. 스쿠알렌 30.0
2. 바셀린 3.0
3. 밀랍 4.0
4. 스테아르산 4.0
5. 올리브오일 2.0
6.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5
7.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5
8. 부틸파라벤 0.1
9. CHP 0.9(합성예 2에서 얻은 것) 3
10. 1,3-부탄디올 2.5
11.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1.5
12. 트리에탄올아민 1.0
13.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0.1
14. 향료 0.2
15. 정제수 잔부
실시예 14
CHP 0.9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합성예 2에서 얻어진 CHP 0.9를 사용해서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헤어로션은, 하기의 1∼7에 표시한 원료를, 하기에 표시된 비율로 전량이 100g이 되도록 배합해서 조제하였다. 먼저 1∼6에 표시된 원료를 실온에서 용해한 후, 이 용액을 교반하면서 7에 표시된 정제수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미탁액상의 CHP 0.9함유 헤어로션 100g을 얻었다.
이하에, 사용한 원료를 일람으로서 표시한다. 배합비율은 중량부이다.
1. CHP 0.9(합성예 2에서 얻은 것) 0.1
2. 에탄올 10
3. 글리세린 3
4. 카르복시메틸키틴 0.01
5. 비타민 E 0.1
6. 색소 0.02
7. 정제수 잔부
이 CHP 0.9함유 헤어로션에 대해서 모발보호효과를 보기 위해 하기의 시험을 하였다.
[모발보호효과 측정시험]
[실험방법]
이제까지 펌, 블리치의 처리를 행한 적이 없는 일본 여성의 모발 10g(길이 10㎝)을 한 묶음으로 해서, 헤어샘플로 하였다. 이것에 CHP 0.9함유 헤어로션 3㎖를 도포한 후, 풍건해서 관능평가하였다. 관능평가는 당사내 전문평가원 5명에 의해 하기에 표시한 기준에 따라서 모발의 평활성, 윤기 및 촉촉한 감(보습성)에 대해서 헤어샘플의 관능평가를 하였다. 그 평균점을 표 5에 표시하였다.
「평활성」
1: 뒤떨어짐 2: 약간 뒤떨어짐 3: 보통 4: 약간 뛰어남 5: 뛰어남
「윤기」
1: 없음 2: 약간 없음 3: 보통 4: 약간 있음 5: 있음
「촉촉한 감」
1: 없음 2: 약간 없음 3: 보통 4: 약간 있음 5: 있음
헤어로션의 모발효과 측정시험
평활성 윤기 촉촉한 감
실시예 14 4.8 4.4 4.0
실시예 15 4.6 4.4 4.0
실시예 16 4.4 4.2 4.2
실시예 17 4.0 3.8 3.6
실시예 18 4.8 4.4 4.4
실시예 19 3.8 3.0 4.0
비교예 5 3.4 3.2 3.4
비교예 6 3.0 2.8 3.2
비교예 7 2.4 2.6 3.0
비교예 8 3.2 1.8 2.0
표 5의 결과에 표시된 바와 같이, CHP 0.9함유 헤어로션은 모발의 평활성, 윤기 및 촉촉한 감이 모두 우수한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실시예 15
CHP 0.1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3에서 얻어진 CHP 0.1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6
CHP 0.05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4에서 얻어진 CHP 0.05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7
CHP 10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5에서 얻어진 CHP 10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8
CHP 15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6에서 얻어진 CHP 15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9
CHM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7에서 얻어진 CHM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5
TSP 5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8에서 얻어진 TSP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6
풀루란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시판의 풀루란(중량평균분자량 108000)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7
CHP미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를 배합하지 않은 이외는,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8
폴리비닐알콜함유 헤어로션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시판의 폴리비닐알콜(쿠라레이사 제품, 쿠라레포벌 PVA-224C, 상표)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헤어로션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0
CHP 0.9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폴리디메틸실록산(신에쯔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품, KF96, 상표, 표준점도 10만㎟/s) 69중량부와, CHP 0.9(합성예 2에서 얻은 것) 15중량부를 혼합하고, 70∼80℃에서 교반용해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5.0중량부와 적색 226호 10.0중량부를 롤러처리하였다. 이 롤러처리한 것을 상기 CHP 0.9의 폴리디메틸실록산용액에 첨가해서 분산하였다. 이것을 탈기한 후, 적량의 향료를 첨가해서 전량 100g의 CHP 0.9함유 액상루즈를 얻었다. 이 CHP 0.9함유 액상루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하의 평가시험을 행하였다.
[전사시험]
2장의 여과지를 준비해서, 한쪽에는 물을, 또 한쪽에는 스쿠알렌을 스며들게 하였다. 스쿠알렌을 스며들게 한 여과지에 대해서, 상기의 CHP 0.9함유 액상루즈를 적량 도포해서 건조시킨 무색의 나일론판을 꽉 눌러서, 10회의 상하운동을 행하였다. 물을 스며들게 한 여과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하운동을 행하였다. 상하운동을 종료한 후에, 나일론판으로부터 여과지상에의 시료의 전사량을 평가하기 위해, 전사된 루즈의 색의 농도를 1명의 실험관찰자(당사내 전문평가원)에 의해서 육안판정하였다. 이 때, 전혀 전사되지 않은 경우를 1점, 약간 전사된 경우를 2점, 전사가 현저한 경우를 3점으로 하였다. 이 전사시험은, 물 또는 스쿠알렌을 스며들게 한 여과지를, 시험마다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서, 5회 반복하여 행하였다. 이 때, 5회의 전사시험의 시험 및 평가는 동일 인물에 의해서 행하여졌다. 물 또는 스쿠알렌을 스며들게 한 여과지에 대한 5회의 전사시험의 평점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6에 표시하였다.
액상 루즈의 전사시험
전사시험(평점)
실시예 20 2.2
실시예 21 2.0
실시예 22 2.4
실시예 23 1.8
실시예 24 1.8
실시예 25 2.4
비교예 9 2.6
비교예 10 3.0
비교예 11 3.0
비교예 12 2.8
실시예 21
CHP 0.1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3에서 얻어진 CHP 0.1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액상루즈를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2
CHP 0.05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4에서 얻어진 CHP 0.05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액상루즈를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3
CHP 10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5에서 얻어진 CHP 10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액상루즈를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4
CHP 15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6에서 얻어진 CHP 15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액상루즈를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5
CHM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7에서 얻어진 CHM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액상루즈를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9
TSP 5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8에서 얻어진 TSP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액상루즈를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0
풀루란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시판의 풀루란(중량평균분자량 108000)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액상루즈를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1
CHP미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를 배합하지 않은 이외는,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액상루즈를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2
폴리비닐알콜함유 액상루즈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시판의 폴리비닐알콜(쿠라레이사 제품, 쿠라레포벌 PVA-224C, 상표)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액상루즈를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6
CHP 0.9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니트로셀룰로스 10.82중량부와, 톨루엔술폰아미드포름알데히드수지(아쿠조사 제품, Ketjenflex MS80, 상표) 9.74중량부와,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화이자사 제품, CITROFLEX A4, 상표) 6.495중량부와, 톨루엔 30.91중량부와, 아세트산부틸 21.64중량부와, 아세트산에틸 9.27중량부와, 이소프로필알콜 7.72중량부와,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1.35중량부와, CHP 0.9(합성예 2에서 얻어진 것) 1.00중량부와, 시트르산 0.055중량부를 혼합용해시켜, 전량 100g의 착색매니큐어액을 얻었다. 이 CHP 0.9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부착성 평가]
CHP 0.9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을 평균연령 23.2세의 일반 여성 7명에게 1주일 사용하게 하고, 그 후에 전문조사원이 부착성에 대해서 개별로 질문을 행하였다. 그 때, 부착성이 좋다고 대답했을 때를 3점,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고 대답했을 때를 2점, 부착성이 나쁘다고 대답했을 때를 1점으로 해서, 전원의 대답을 합계하였다. 결과를 표 7에 표시하였다.
[광택평가]
CHP 0.9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을 평균연령 23.2세의 일반 여성 7명에게 1주일 사용하게 하고, 그 후에 전문조사원이 광택에 대해서 개별로 질문을 행하였다. 그 때, 광택이 좋다고 대답했을 때를 3점,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고 대답했을 때를 2점, 광택이 나쁘다고 대답했을 때를 1점으로 해서, 전원의 대답을 합계하였다. 결과를 표 7에 표시하였다.
착색매니큐어액의 평가시험
부착성평가(합계점) 광택평가(합계점)
실시예 26 17 16
실시예 27 15 18
실시예 28 13 15
실시예 29 19 16
실시예 30 18 14
실시예 31 14 15
비교예 13 11 14
비교예 14 12 7
비교예 15 9 8
비교예 16 11 10
실시예 27
CHP 0.1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3에서 얻어진 CHP 0.1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착색매니큐어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8
CHP 0.05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4에서 얻어진 CHP 0.05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착색매니큐어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9
CHP 10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5에서 얻어진 CHP 10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착색매니큐어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0
CHP 15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6에서 얻어진 CHP 15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착색매니큐어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1
CHM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7에서 얻어진 CHM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착색매니큐어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3
TSP 5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합성예 8에서 얻어진 TSP를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착색매니큐어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4
풀루란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시판의 풀루란(중량평균분자량 108000)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착색매니큐어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5
CHP미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를 배합하지 않은 이외는,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착색매니큐어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6
폴리비닐알콜함유 착색매니큐어액의 조제 및 평가시험.
CHP 0.9 대신에 시판의 폴리비닐알콜(쿠라레이사 제품, 쿠라레포벌 PVA-224C, 상표)을 사용한 이외는,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배합량 및 조제법에 의해 착색매니큐어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시험도 모두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습기능, 피부거칠어짐 방지기능, 피막형성능력 등에 의거한 피부에 대한 미기효과, 또 모발에 대한 미발효과가 현격히 뛰어나고, 또한 안전성상의 문제도 없고, 수분유지능력, 피막형성능력을 적절히 유지한, 신규의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스킨케어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및 메이크업화장료 등으로서 썩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화장료 재료와, 다당류-스테롤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2. 제 1항에 있어서, 다당류-스테롤유도체가,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의 스테릴기를 도입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3. 제 1항에 있어서, 다당류-스테롤유도체는,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1∼20개의 당단위의 수산기가 하기 식(1)
    (식 (1)중, R1은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를 표시함. R2는 스테릴기를 표시함.)
    로 표시되는 기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스테릴기의 도입개수가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05∼1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스테릴기의 도입개수가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단위 100개당 0.1∼1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당류-스테롤유도체가 풀루란-콜레스테롤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당류-스테롤유도체의 함유량이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0.001∼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스킨케어화장료, 메이크업화장료 또는 모발용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유액, 화장수, 루즈, 매니큐어 또는 헤어로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KR1020017011736A 1999-03-31 2000-03-30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KR100678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92401 1999-03-31
JP9240199 199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770A KR20020001770A (ko) 2002-01-09
KR100678827B1 true KR100678827B1 (ko) 2007-02-05

Family

ID=1405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736A KR100678827B1 (ko) 1999-03-31 2000-03-30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66745B1 (ko)
JP (1) JP3636073B2 (ko)
KR (1) KR100678827B1 (ko)
DE (1) DE60037014D1 (ko)
WO (1) WO2000057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8869B2 (ja) * 1999-08-31 2010-09-08 日油株式会社 保香剤
JP2002146100A (ja) * 2000-11-13 2002-05-22 Nof Corp ハイドロゲル用組成物、ハイドロゲル及びその用途
JP2002284693A (ja) * 2001-03-29 2002-10-03 Nof Corp ゲル状外用剤組成物
JP4947848B2 (ja) * 2001-05-16 2012-06-06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治療効果測定方法
JP2002338434A (ja) * 2001-05-21 2002-11-27 Kose Corp 固形棒状化粧料
MXPA04004614A (es) * 2001-11-15 2005-05-17 Takasago Perfumery Co Ltd Agente preventivo de deterioracion.
WO2004030638A2 (de) * 2002-10-01 2004-04-15 Beiersdorf Ag Kosmetische haarzubereitung mit saccharid-n-alkylurethanen
DE10260874A1 (de) * 2002-12-23 2004-07-01 Beiersdorf Ag Zubereitung enthaltend substituierte Saccharide und Konditionierer
US8058246B2 (en) * 2004-02-27 2011-11-15 Akzo Nobel N.V. Method and composition to achieve stable color of artificially colored hair
JP2006117746A (ja) * 2004-10-20 2006-05-11 Kao Corp 多糖誘導体
JP5165736B2 (ja) * 2010-08-06 2013-03-21 株式会社シャネル化粧品技術開発研究所 トラネキサム酸エステルの生理学的に許容される塩を含む外用組成物の製造方法
JP5860480B2 (ja) 2011-01-11 2016-02-16 キャプシュゲル・ベルジウム・エヌ・ヴィ プルランを含む新しい硬カプセル
JP6640483B2 (ja) * 2015-07-31 2020-02-05 ホーユー株式会社 染毛剤組成物
JP6614923B2 (ja) * 2015-11-04 2019-12-04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液状化粧料
US11576870B2 (en) 2017-04-14 2023-02-14 Capsugel Belgium Nv Pullulan capsules
EP3610028A1 (en) 2017-04-14 2020-02-19 Capsugel Belgium NV Process for making pullula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9801A (ja) * 1984-09-12 1986-04-10 Junzo Sunamoto 天然由来多糖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12310B2 (ja) * 1987-06-24 1996-07-03 エーザイ株式会社 被覆脂肪乳剤
JPH0661455B2 (ja) * 1988-11-25 1994-08-17 日本油脂株式会社 多糖誘導体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脂肪乳剤
JPH03292301A (ja) * 1990-04-11 1991-12-24 Nippon Oil & Fats Co Ltd 多糖類―ステロール誘導体とその製造法
JPH05139967A (ja) * 1991-02-20 1993-06-08 Nippon Oil & Fats Co Ltd 制癌剤
US5372814A (en) * 1992-02-05 1994-12-13 Kao Corporation Sterol derivativ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dermatologic external preparation
JPH05262645A (ja) * 1992-03-19 1993-10-12 Nippon Oil & Fats Co Ltd 脂肪乳剤
JPH0995418A (ja) * 1995-09-29 1997-04-08 Shiseido Co Ltd 抱水組成物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またその製造方法
JP3662654B2 (ja) * 1996-01-09 2005-06-22 株式会社ノエビア ゲル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固形状化粧料
JPH10231229A (ja) * 1997-02-19 1998-09-02 Nippon Fine Chem Co Ltd 化粧料
KR100541752B1 (ko) * 1998-08-31 2006-01-10 니혼유시 가부시기가이샤 고순도 소수성기함유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AU760260B2 (en) * 1999-03-31 2003-05-08 Nof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gglomerates of polysaccharide with hydrophobic grou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36073B2 (ja) 2005-04-06
DE60037014D1 (de) 2007-12-20
EP1166745A1 (en) 2002-01-02
EP1166745A4 (en) 2005-07-20
KR20020001770A (ko) 2002-01-09
WO2000057841A1 (fr) 2000-10-05
EP1166745B1 (en)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8561B2 (ja) 化粧料
US9308397B2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KR100678827B1 (ko) 다당류-스테롤유도체함유 화장료
EP2094227B1 (en) High gloss gel-based lipstick
KR101699552B1 (ko) 화장료
EP1740151B1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shine
JP4920815B2 (ja) 化粧料
JP4573690B2 (ja) 化粧料用油剤又は皮膚外用剤用油剤、並びに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DE60105485T2 (de) Verfahren zur Verlängerung der Dauer mindestens eines kosmetischen Effekts und/oder einer pflegenden Wirkung einer kosmetischen Zusammensetzung, kosmetische Zusammensetzung und ihre Verwendung
US9023324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are
EP3143984B1 (en) Stick-shaped cosmetic for moisture replenishment
KR20180005159A (ko) 무광택 화장품 조성물
EP0972512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s pigments, un agent antitranspirant et un organopolysiloxane solide élastomérique partiellement réticulé, utilisation d'une telle composition
EP1040816B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e particules d'organopolysiloxane reticulé à groupement oxalkyléné dans une composition de maquillage
EP3632406B1 (en) Oily humectant and topical sk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2000309504A (ja) 親水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有するメークアップまたは手入れ用組成物
JP4250551B2 (ja) 化粧料
KR20140030147A (ko) 고형 형상 화장료
JP3742984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3515873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04131475A (ja) デキストリンエステルでゲル化された組成物
JPH1067645A (ja) 親水性成分及び揮発性化合物とペースト状脂肪化合物との混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前記混合物の使用
JP4181976B2 (ja) 油性化粧料
JP2004506615A (ja) 天然又は再構築表皮を改善するためのセラミド前駆物質を含有する組成物と得られた皮膚等価物
JP4421831B2 (ja) 油性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