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611B1 - 전자밸브 - Google Patents

전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611B1
KR100678611B1 KR1020050112770A KR20050112770A KR100678611B1 KR 100678611 B1 KR100678611 B1 KR 100678611B1 KR 1020050112770 A KR1020050112770 A KR 1020050112770A KR 20050112770 A KR20050112770 A KR 20050112770A KR 100678611 B1 KR100678611 B1 KR 100678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magnetic plate
cap
movable iron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037A (ko
Inventor
신이치 요시무라
마사루 나리타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16K31/0627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 positioned between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가동 철심이 보빈과 자기 플레이트의 내공 내를 슬라이딩하는 타입의 전자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동 철심과 자기 플레이트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전자 조작부(2)의 가동 철심(35)의 선단부에 합성 수지제의 캡(42)을 부착하고, 이 캡(42)의 기단부에 자기 플레이트(33)의 위치까지 연장하는 슬라이딩부(45)를 형성하고, 상기 자기 플레이트(33)의 내주부에는 상기 자기 플레이트(33)의 두께의 1/2이하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용의 오목 단차부(47)를 형성하고, 이 오목 단차부(47) 내에 상기 슬라이딩부(4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가동 철심(35)과 자기 플레이트(33)를 서로 비접촉 상태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전자밸브{SOLENOID VALV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밸브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밸브의 전자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자기 플레이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주밸브부 2 전자조작부 4 밸브부재
30 자기 프레임 31 보빈 32 코일
34 고정 철심 35 가동 철심 36a,36b 내공
39 철심복귀 스프링 42 캡 43 캡 본체
44 스프링 시트부 45 슬라이딩부 45a 구성 부분
45b 노치 47 오목 단차부 d 오목 단차부의 깊이
t 자기 플레이트의 두께 h 돌출벽부의 높이
본 발명은, 유로전환용의 밸브부재를 전자조작부의 가동 철심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자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유로전환용의 밸브부재를 구비한 주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전자조작부로 이루어지는 전자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자밸브는, 상기 전자조작부가, U자형을 한 자기 프레임의 내부에, 여자 코일이 감긴 중공의 보빈과, 이 보빈의 축방향의 일단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자기 프레임에 자기결합된 자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빈의 내공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서 상기 자기 프레임에 자기결합된 고정 철심과, 상기 보빈 및 자기 플레이트의 내공 내에 가동으로 배치되고, 상기 여자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흡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 철심에 흡착되는 가동 철심과, 이 가동 철심을 고정 철심으로부터 이탈하는 초기 위치에 복귀시키는 철심복귀 스프링을 갖고 있고, 상기 가동 철심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156709호 공보
그런데, 이 종류의 전자밸브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철심이 보빈과 자기 플레이트의 내공 내를 이동하지만, 그 때, 자기 플레이트와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으면, 금속끼리의 슬라이딩 접속에 의한 저항이 커지고, 상기 가동 철심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금속끼리가 슬라이딩 접속함으로써 상기 가동 철심 및 자기 플레이트의 표면이 흠집나거나 마모하는 등의 손상을 받기 쉬운 문제도 생기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철심이 보빈과 자기 플레이트의 내공 내를 슬라이딩하는 타입의 전자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동 철심과 자기 플레이트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로전환용의 밸브부재를 갖는 주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전자조작부를 갖고, 이 전자조작부가 자기 프레임의 내부에 여자 코일이 감긴 중공의 보빈과, 이 보빈의 내공에 연결되는 내공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축방향의 일단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자기 프레임에 자기결합된 자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빈의 내공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서 상기 자기 프레임에 자기결합된 고정 철심과, 상기 보빈 및 자기 플레이트의 내공 내에 가동으로 배치되어, 상기 여자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흡인력으로 상기 고정 철심에 흡착되는 가동 철심과, 이 가동 철심을 상기 고정 철심으로부터 이탈하는 초기 위치에 복귀시키는 철심복귀 스프링을 갖고 있고, 상기 가동 철심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자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동 철심의 선단부에, 합성수지제의 캡이 끼워 부착됨과 아울러, 이 캡의 기단부에, 상기 자기 플레이트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기 플레이트의 내주부에는, 상기 캡과 마주하는 측의 면에, 상기 자기 플레이트의 두께의 1/2이하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용의 오목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오목 단차부 내에 상기 캡의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가동 철심과 자기 플레이트가 서로 비접촉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캡이, 상기 철심복귀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시트를 겸하고 있고, 가동 철심의 선단부 외주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캡 본체와, 이 캡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시트부와, 상기 캡 본체의 기단에 형성되어서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상기 슬라이딩부를 갖고, 이 슬라이딩부는, 축선방향의 노치에 의해 복수의 구성 부분으로 구분되고, 이들의 각 구성부분이 환상을 한 상기 오목 단차부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 플레이트의 내주부에는, 상기 보빈과 접촉하는 측의 면에 환상의 돌출벽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벽부의 높이가 상기 오목 단차부의 깊이와 동등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밸브의 하나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전자밸브는 유로를 전환하기 위한 밸브부재(4)를 구비한 주밸브부(1)와, 상기 밸브부재(4)를 조작하기 위한 전자 조작부(2)를 갖고 있고, 이들 주밸브부(1)와 전자 조작부(2)가 전자밸브의 축선(L)방향으로 직렬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주밸브부(1)는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비자성 재제의 하우징(6)을 갖고 있다. 이 하우징(6)의 하나의 측면에는 공급 포트(P)와 출력 포트(A)와 배출 포트(E)가 설치되고, 하우징(6)의 내부에는, 상기 축선(L) 상의 위치에 원형의 밸브실(7)이 형성되고, 이 밸브실(7)에 상기 각 포트(P,A,E)가 연통하고 있다. 이 중 공급 포트(P)와 배출 포트(E)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밸브실(7)에 연통하고, 출력 포트(A)는 그들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밸브실(7)에 연통하고 있다. 즉, 상기 공급 포트(P)는 밸브실(7)의 저벽에 있어서의 축선(L) 상의 위치에 형성된 공급 오리피스(10)를 통해서 상기 밸브실(7) 내에 연통하고, 상기 배출 포트(E)는 밸 브실(7)의 천정벽에 있어서의 축선(L) 상의 위치에 형성된 배출 오리피스(11)를 통해서 상기 밸브실(7) 내에 연통하고, 상기 출력 포트(A)는 밸브실(7)의 측벽에 형성된 출력 오리피스(12)를 통해서 상기 밸브실(7) 내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밸브실(7) 내에는, 포핏식의 상기 밸브부재(4)가 축선(L)방향으로 변이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이 밸브부재(4)를 상기 전자 조작부(2)에서 구동 조작하고, 상기 공급 오리피스(10) 주위의 공급 밸브시트(10a)와 배출 오리피스(11) 주위의 배출 밸브시트(11a)에 접촉 이간시킴으로써, 이들의 오리피스(10,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밸브부재(4)가 상기 배출 오리피스(11)를 폐쇄했을 때에는, 공급 오리피스(10)로부터 밸브실(7) 및 출력 오리피스(12)를 통해서 공급 포트(P)와 출력 포트(A)가 연통하고, 공급 오리피스(10)를 폐쇄했을 때에는, 출력 오리피스(12)로부터 밸브실(7) 및 배출 오리피스(11)를 통해서 출력 포트(A)와 배출 포트(E)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급 오리피스(10) 및 공급 밸브시트(10a)는, 상기 밸브실(7)의 끝부를 구획하는 리테이너(14)에 설치되어져 있다. 이 리테이너(14)는 짧은 원기둥상을 한 부재로서, 상기 밸브실(7)의 일단에 연결되는 부착구멍(15) 내에, 2개의 밀봉부재(16a,16b)를 통하여 하우징(6)의 끝부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6)에 거는 고정판(17)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지지됨으로써 상기 하우징(6)에 부착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14)의 내부에는, 상기 2개의 밀봉부재(16a,16b) 사이의 위치에, 상기 공급 포트(P)에 통하는 연통 구멍(18)이 지름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연통 구멍(18)이 상기 공급 오리피스(10)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4)는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짧은 원기둥상을 한 부재로서, 원통형상을 한 합성수지제의 밸브홀더(20) 내에 끼움장착됨으로써 이 밸브홀더(20)에 유지되고, 상기 리테이너(14)와의 사이에 끼움 설치된 밸브 복귀 스프링(21)의 스프링력에 의해 배출 밸브시트(11a)측을 향해서 탄발되어 있다. 상기 밸브홀더(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서로 평행하면서 축선(L)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푸시로드(20a)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들의 푸시로드(20a)의 선단이 상기 하우징(6)과 전자 조작부(2) 사이에 형성된 철심실(22) 내에, 상기 하우징(6)에 형성된 로드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고 있다. 상기 철심실(22)은 하우징(6)에 설치된 오목부 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 조작부(2)는 도 2에서도 분명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주밸브부(1)의 하우징(6)에 결합된 철 등의 자성재제의 자기 프레임(30)을 갖고, 이 자기 프레임(30)의 내부에 여자 코일(32)이 감긴 비자성 재제로 중공의 보빈(31)과, 이 보빈(31)의 일단과 상기 하우징(6) 사이에 개재하고, 외주부가 상기 자기 프레임(3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자기 프레임에 자기결합된 자성재제의 자기 플레이트(33)와, 상기 보빈(31) 및 자기 플레이트(33)에 걸쳐 연장되는 내공(36a,36b)과, 이 내공(36a,36b) 내에 설치된 자성재제의 고정 철심(34) 및 가동 철심(3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보빈(3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공(36a)과 자기 플레이트(33)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공(36b)을 구별해서 설명할 필요가 있을 때 이외는, 이들 내공에 공통의 부호「36」를 첨부해서 설명한다.
상기 자기 프레임(30)은 대략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각통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축선(L)방향의 일단측을 덮는 천판부(30a)와, 장경방향의 측판부(30b,30b) 및 단경방향의 측판부(30c,30c)를 갖고, 장경방향의 양측판부(30b,30b)의 하단부에는, 노치를 넣어서 형성한 걸림부(30d)가 구비되고, 이 걸림부(30d)를 내측으로 변형시켜서 상기 하우징(6)의 측면의 걸림 오목부(6a)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6)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빈(31)은, 대략 타원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며, 외주에 상기 코일(32)이 감겨 있는 중앙의 보빈 본체(31a)와, 이 보빈 본체(31a)의 축선(L)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31b) 및 제2플랜지부(31c)를 갖고 있다. 상단의 제1플랜지부(31b)는 밀봉부재(37)를 통하여 상기 자기 프레임(30)의 천판부(30a)에 접촉하고, 하단의 제2플랜지부(31c)는 밀봉부재(38)를 통하여 상기 자기 플레이트(33)에 접촉하고 있고, 이 자기 플레이트(33)와 상기 하우징(6) 사이에 상기 철심실(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공(36)도 대략 타원형상의 단면형상을 갖고 있다. 이 중 보빈(31)의 내부를 연장하는 내공(36a)은 그 단면형상 및 치수가 상기 보빈(31)의 축선(L)방향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거의 균일하지만, 양단부에 있어서는 구멍지름이 약간 확대되어, 양플랜지부(31b,31c)의 내부의 위치에 단차부(36c,36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방의 제2플랜지부(31c)측의 단차부(36d)에는, 상기 자기 플레이트(33)의 상기 보빈(31)과 접촉하는 면의 내주부 즉 내공(36b) 주위에 형성된 환상의 돌출벽부(33a)가 끼워 맞춰져 있다.
상기 고정 철심(34)과 가동 철심(35)은 동일소재에 의해 서로 동일형상 및 동일치수로 형성됨과 아울러, 같은 자기적 성질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서로 호환성을 갖고 있고, 어느쪽의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이들의 철심(34,35)은 모두, 종횡의 지름이 다른 대략 타원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단면형상이 균일한 주체부(40)와, 이 주체부(40)의 축선(L)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 상의 대경부(41)를 갖고, 이 대경부(41)의 축선(L)방향 길이는 상기 주체부(40)의 축선(L)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철심(34,35)은 상기 보빈(31) 및 자기 플레이트(33)의 내공(36a,36b) 내부에, 주체부(40,40)의 끝면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중 고정 철심(34)은 대경부(41)측의 끝면이 상기 자기 프레임(30)의 천판부(30a)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자기 프레임(30)과 자기적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대경부(41)가 상기 보빈(31)의 상방의 제1플랜지부(31b)측의 단차부(36c)에 걸리는 것에 의해, 이들의 단차부(36c)와 천판부(30a) 사이에 상기 대경부(41)를 끼워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철심(35)은 그 대경부(41)측의 선단부가 상기 내공(36)으로부터 철심실(22) 내로 연장되어 있고, 이 선단부에 합성수지제의 캡(42)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캡(42)은 상기 가동 철심(35)을 가이드하는 기능과, 철심복귀 스프링(39)을 위한 스프링 시트의 기능을 겸비한 것으로, 가동 철심(35)의 선단부 외주를 둘러싸는 단면이 타원형인 통형상의 캡 본체(43)와, 이 캡 본체(43)의 선단으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된 스프링 시트부(44)와, 상기 캡 본체(43)의 기단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슬라이딩부(45)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캡(42)의 내공(46)의 선단에는, 상기 가동 철심(35)의 대경부(41)에 맞춰서 내경이 확대된 확대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캡(42)을 상기 가동 철심(35)에 그 기단부측에서 끼워 부착하고, 확대부(46a)의 후단의 단차부가 상기 대경부(41)의 후단부에 걸리는 위치까지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철심(35)의 선단부에 그 이상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시트부(44)와 상기 자기 플레이트(33) 사이에는, 상기 가동 철심(35)을 고정 철심(34)으로부터 이탈하는 초기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코일상의 상기 철심복귀 스프링(39)이 끼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45)는 상기 자기 플레이트(33)의 캡(42)과 마주하는 측의 면(철심실(22)측의 면)의 내주부에 형성된 오목 단차부(47)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이 슬라이딩부(45)는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노치(45b)에 의해 복수의 구성 부분(45a)으로 구분되고, 이들의 각 구성 부분(45a)이 상기 오목 단차부(47)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고, 이처럼 오목 단차부(47)에서 상기 슬라이딩부(45)를 가이드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철심(35)이 자기 플레이트(33) 및 보빈(31)의 어느 것과도 비접촉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 플레이트(33)의 오목 단차부(47)의 깊이(d)는 상기 자기 플레이트(33)의 두께(t)의 1/2 이하이도록, 바꾸어 말하면, d ≤t/2가 되는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오목 단차부(47)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상기 자기 플레이트(33)와 가동 철심(35) 사이의 자기손실을 매우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벽부(33a)의 높이(h)를 상기 오목 단차부(47)의 깊이(d)와 동등 이상(d≤h)으로 형성해 둠으로써, 상기 오목 단차부(47)에 의한 자기손실을 이 돌출벽부(33a)에서 보충할 수도 있다.
또, 도면 중 48은, 상기 하우징(6)과 자기 플레이트(33) 사이에 끼워진 밀봉부재이다.
상기 전자 조작부(2)에 있어서, 상기 여자 코일(32)이 비통전의 상태에서는, 도1의 좌반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철심(35)이 철심복귀 스프링(39)의 스프링력으로 고정 철심(34)으로부터 이간하는 초기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때, 상기 가동 철심(35)에 의해 푸시로드(20a)가 밀려, 밸브부재(4)가 공급 밸브시트(10a)에 밀착되기 때문에, 공급 오리피스(10)가 폐쇄되어 배출 오리피스(11)가 개방하고, 출력 포트(A)와 배출 포트(E)가 밸브실(7)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여자 코일(32)에 통전하면, 도1의 우반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동 철심(35)이 고정 철심(34)에 흡착되어서 작동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상기 밸브부재(4)는 밸브복귀 스프링(21)의 스프링력으로 배출 밸브시트(11a)에 밀착되어, 공급 오리피스(10)가 개방되어 배출 오리피스(11)가 폐쇄된다. 이 때문에, 공급 포트(P)와 출력 포트(A)가 밸브실(7)을 통하여 서로 연통한다.
상기 여자 코일(32)을 비통전으로 하면, 상기 가동 철심(35)은 철심 복귀 스프링(39)의 스프링력으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상기 가동 철심(35)은 합성수지제의 캡(42)의 슬라이딩부(45)가 자기 플레이트(33)의 오목 단차부(47)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가이드되고, 상기 가동 철심(35) 자신은 자기 플레이트(33)에 대하여 미세한 갭을 유지해서 비접촉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이들의 가동 철심(35)과 자기 플레이트(33)가 직접 서로 접촉할 일은 없다. 이 때문에, 금속끼리의 접촉에 따른 슬라이딩 저항의 증대라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가동 철심(35)의 동작은 원활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동 철심(35) 및 자기 플레이트(33)의 표면이 흠집나거나 마모하거나 하는 등의 손상을 받을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오목 단차부(47)의 깊이(d)를 자기 플레이트(33)의 두께(t)의 1/2이하로 함으로써, 이 오목 단차부(47)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자기 플레이트(33)와 가동 철심(35) 사이의 자기손실을 매우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자밸브의 측면에는, 상기 전자 조작부(2)에 통전하기 위한 단자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부(50)는 자기 프레임(30)과 하우징(6)에 걸쳐 부착된 단자대(51)와, 이 단자대(51)에 유지된 인쇄 기판(52)과, 이들의 단자대(51)와 기판(52)을 덮는 착탈 가능한 단자 커버(5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자대(51)는 직사각형의 얇은 접시형을 하고 있고, 그 배면에 형성된 4개의 훅(55)과, 하단부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걸림용 돌기(56)를 갖고, 상기 훅(55)을 자기 프레임(30)의 측판부(30b)의 4개의 걸림 구멍(57)에 걸리게 함과 아울러, 상기 돌기(56)를 하우징(6)의 측면의 좌우 한쌍의 돌출벽부(6b)에 형성된 걸림 구멍(6c)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자기 프레임(30)과 하우징(6)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프린트 기판(52)에는, 외부접속단자(59)나 표시 램프(60)의 기타의 전자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이 중 외부접속단자(59)는 상기 보빈(31)으로부터 연장되는 코일 단자(32a)에, 상기 기판(52) 상의 프린트 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선단부가 상기 단자 커버(53)에 형성된 삽입구(53a) 내로 연장되어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포핏식의 3포트 밸브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전자밸브의 전환방식이나 포트수는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환방식이 스풀식이어도 좋고, 또한 포트수는 2포트 또는 4포트 혹은 5포트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철심의 선단에 끼워 부착된 합성수지제의 캡과 자기 플레이트의 오목 단차부가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가동 철심의 동작이 가이드되고, 상기 가동 철심 자신은 자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비접촉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가동 철심과 자기 플레이트가 직접 슬라이딩 접속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가동 철심의 동작은 원활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동 철심 및 자기 플레이트의 표면이 흠집나거나 마모하거나 하는 등의 손상을 받을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오목 단차부의 깊이를 자기 플레이트의 두께의 1/2이하로 함으로써, 이 오목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자기손실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

  1. 유로전환용의 밸브부재를 갖는 주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전자조작부를 갖고, 이 전자조작부가 자기 프레임의 내부에 여자 코일이 감긴 중공의 보빈과, 이 보빈의 내공에 연결되는 내공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축방향의 일단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자기 프레임에 자기결합된 자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빈의 내공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서 상기 자기 프레임에 자기결합된 고정 철심과, 상기 보빈 및 자기 플레이트의 내공 내에 가동으로 배치되고, 상기 여자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흡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 철심에 흡착되는 가동 철심과, 이 가동 철심을 상기 고정 철심으로부터 이탈하는 초기위치에 복귀시키는 철심복귀 스프링을 갖고 있고, 상기 가동 철심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자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동 철심의 선단부에는, 합성수지제의 캡이 끼움 부착됨과 아울러, 이 캡의 기단부에, 상기 자기 플레이트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기 플레이트의 내주부에는, 상기 캡과 마주하는 측의 면에, 상기 자기 플레이트의 두께의 1/2이하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용의 오목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 단차부 내에 상기 캡의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가동 철심과 자기 플레이트가 서로 비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철심복귀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시트를 겸하고 있고, 가동 철심의 선단부 외주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캡 본체와, 이 캡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연장되는 시트부와, 상기 캡 본체의 기단에 형성되어서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상기 슬라이딩부를 갖고, 이 슬라이딩부는 축선방향의 노치에 의해 복수개의 구성 부분으로 구분되고, 이들의 각 구성 부분이 환상을 한 상기 오목 단차부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플레이트의 내주부에는 상기 보빈과 접촉하는 측의 면에 환상의 돌출벽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벽부의 높이가 상기 오목 단차부의 깊이와 동등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
KR1020050112770A 2004-11-24 2005-11-24 전자밸브 KR100678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39207 2004-11-24
JP2004339207A JP4207209B2 (ja) 2004-11-24 2004-11-24 電磁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037A KR20060058037A (ko) 2006-05-29
KR100678611B1 true KR100678611B1 (ko) 2007-02-02

Family

ID=3637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770A KR100678611B1 (ko) 2004-11-24 2005-11-24 전자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04473B2 (ko)
JP (1) JP4207209B2 (ko)
KR (1) KR100678611B1 (ko)
CN (1) CN100360848C (ko)
DE (1) DE102005055781B4 (ko)
TW (1) TWI2966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9371B2 (ja) * 2005-04-28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ニアソレノイド
US20070176720A1 (en) * 2006-02-02 2007-08-02 Mac Valves, Inc. Flux bushing for solenoid actuator
JP4310548B2 (ja) * 2007-02-26 2009-08-12 Smc株式会社 電磁弁組立体
JP4465536B2 (ja) * 2007-06-13 2010-05-19 Smc株式会社 電磁弁
JP4465537B2 (ja) * 2007-06-14 2010-05-19 Smc株式会社 電磁弁
JP4453044B2 (ja) * 2007-06-18 2010-04-21 Smc株式会社 電磁弁
DE102008008735B4 (de) * 2008-02-12 2010-05-20 Hydraulik-Ring Gmbh Elektromagnetischer Antrieb
TW200938756A (en) * 2008-03-14 2009-09-16 Delta Electronics Inc Solenoid valve
US8342479B2 (en) * 2010-12-29 2013-01-01 Shih Shih Technology Co., Ltd. Solenoid controlled valve for fluid media
CN102568741A (zh) * 2011-12-30 2012-07-11 成都威特电喷有限责任公司 带有衔铁滑枕的快速电磁铁
CN102693813A (zh) * 2011-12-30 2012-09-26 成都威特电喷有限责任公司 电控燃油喷射快速电磁铁
CN104465012B (zh) * 2014-12-14 2016-08-17 成都大学 一种变通磁面积比例电磁铁
CN108825856A (zh) * 2018-07-17 2018-11-16 宁波飞泰工业自控设备有限公司 一种电磁阀线圈
JP7041414B2 (ja) 2018-10-31 2022-03-24 Smc株式会社 電磁弁
JP7244259B2 (ja) * 2018-11-20 2023-03-22 株式会社Taiyo 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4076A (en) * 1968-06-13 1969-12-16 John R Naumann Solenoid valve with o-ring seat and bell spring bias
US4341241A (en) * 1980-10-20 1982-07-27 Brunswick Corporation Position indicating valve means
DE3479436D1 (en) * 1983-08-25 1989-09-21 Ckd Corp Miniature solenoid valve
US5441233A (en) * 1994-03-18 1995-08-15 Sm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valve
DE19504100A1 (de) * 1995-02-08 1996-08-22 Schultz Wolfgang 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magneten
JP3664631B2 (ja) * 2000-03-17 2005-06-29 Smc株式会社 電磁弁
JP3590765B2 (ja) * 2000-12-21 2004-11-17 Smc株式会社 電磁弁
JP4096029B2 (ja) 2002-11-06 2008-06-04 Smc株式会社 電磁弁
JP2004293675A (ja) * 2003-03-27 2004-10-21 Pacific Ind Co Ltd 制御弁及び制御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07209B2 (ja) 2009-01-14
US20060108551A1 (en) 2006-05-25
DE102005055781B4 (de) 2007-03-15
CN100360848C (zh) 2008-01-09
TW200619538A (en) 2006-06-16
JP2006145007A (ja) 2006-06-08
CN1779308A (zh) 2006-05-31
KR20060058037A (ko) 2006-05-29
TWI296689B (en) 2008-05-11
DE102005055781A1 (de) 2006-06-01
US7204473B2 (en)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611B1 (ko) 전자밸브
KR100642766B1 (ko) 전자밸브
US6158713A (en) Electromagnetic valve
JPS6152474A (ja) 油圧制御用電磁バルブ
EP1318340A2 (en) Solenoid-operated valve
TW201512572A (zh) 電磁閥
JP5128224B2 (ja) 電磁弁
US6184766B1 (en) Solenoid valve
CN113302425B (zh) 气体用电磁阀
JPH0893947A (ja) 電磁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14096A (ja) 小型ソレノイド
CN109154401B (zh) 电磁阀
JPH08285114A (ja) ソレノイドバルブのヨーク構造
JP2006266375A (ja) 電磁弁
JP3825311B2 (ja) 電磁弁
JPH0447926Y2 (ko)
JP4129213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CN113767239A (zh) 电磁阀
CN217177611U (zh) 螺线管装置
JP2000130628A (ja) 電磁弁
JP4620703B2 (ja) 電磁弁
JP2000074251A (ja) 電磁弁装置
JP2005337284A (ja) 三方電磁弁
JP2000130632A (ja) 電磁弁
JP2001059581A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