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037B1 -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 - Google Patents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037B1
KR100676037B1 KR1020000046162A KR20000046162A KR100676037B1 KR 100676037 B1 KR100676037 B1 KR 100676037B1 KR 1020000046162 A KR1020000046162 A KR 1020000046162A KR 20000046162 A KR20000046162 A KR 20000046162A KR 100676037 B1 KR100676037 B1 KR 10067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nductor
conductor
wire
insulator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031A (ko
Inventor
사토카즈히로
요코이키요노리
와타나베타쿠노리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7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 H02G1/12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using radiant energy, e.g. a lase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7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 H02G1/128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removing metallic 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95Devices for splitting and dismantling flat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3Co-axial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36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 Y10T29/5137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 Y10T29/5139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sever work prior to disassembling
    • Y10T29/514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sever work prior to disassembling comprising means to strip insulation from wi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중심도체를 노출시킬때에, 외부도체를 굴곡시켜도 중심도체의 강도이 저하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은, 중심도체(11), 절연체(12), 외부도체(13), 금속증착필름(14), 및 외피(15)가 동축형상으로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전선(10)의 외부도체(13)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외부도체(13)의 노출부의 2개소를 금속박(2a),(2b) 및 고정구(3),(4)에 의해 각각 사이에 끼워서 집어 유지하고, 고정구(4) 및 금속박(2b)을 개재해서 외부도체(13)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면서, 고정구(4)를 지점S를 중심으로해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외부도체(13)를 굴곡시켜서 둘레방향으로서 절단시키고, 절단한 외부도체(13)의 일부를 제거해서 절연체(12)를 노출시키고, 그 절연체(12)의 일부를 제거해서 중심도체(1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IC WIRE PROCESSED ARTICLE, AND ELECTRIC WIRE PROCESSED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에 사용되는 전선의 일실시형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전선가공품을 제조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모식도(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가공품의 제조장치에 관한 일실시형태의 구성을 표시한 측면도인 동시에,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전선가공품을 제조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전선가공품을 제조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모식도(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전선가공품을 제조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모식도인 동시에,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을 표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랫케이블(전선가공품) 2a, 2b: 금속박(고정수단)
3, 4: 고정구(고정수단) 5: 진동자(가진수단)
6: 전원회로(가진수단) 7: 구동장치(굴곡수단)
11: 중심도체 12: 절연체
13: 외부도체 15: 외피
20: 제조장치(전선가공품의 제조장치)
S: 지점 X: 축방향(전선의 축방향)
θ: 각도(전선의 축방향에 대한 외부도체를 굴곡시키는 각도)
본 발명은,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중심도체 및 그 중심도체의 주위를 덮고있는 절연체와, 그 절연체의 주위를 덮고 있는 외부도체와, 그 외부도체를 덮고있는 외피를 구비한 전선의 중심도체가 노출되어서 이루어진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형의 개인컴퓨터(Personal computer)는 개인컴퓨터중에서도 큰 셰어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이동체통신단말로서의 소위 이동성컴퓨터(mobile computer)가 보급되기 시작하여, 개인컴퓨터는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 개인컴퓨터이외의 계산기에 있어서도, 연산처리 등의 고속화에 따라서, 부품의 실장밀도의 고도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개인컴퓨터나 다른 계산기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다수심을 가진 플랫케이블화가 추진되고, 또한 점점 좁은 스페스에의 배선이 요구되고, 또한 그 위에, 지금까지 이상으로 높은 정밀도에서의 특성임피던스의 조화(matching)가 절실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접속작업에 있어서, 다수심케이블의 개개의 전선에 대해서, 전선을 구성하는 외부도체를 확실하게 접지접속하고, 동중심도체를 소정피치의 커넥터단자 또는 회로기판의 접속점에 확실하게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접속작업을 효율좋게 실시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개평 10-144145호 공보에는, 극세(極細)전선의 다수심으로 이루어진 플랫케이블의 전선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은, 상기 외부도체를 기계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절단되고, 그것을 제거해서 중심도체를 노출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전선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외부도체를 굴곡시킬때에 동시에 굴곡되는 중심도체에 축적되는 변형(굽힘변형)이 현저해져, 중심도체의 굴곡부위에 소위 「가늘어짐」이 발생해서, 중심도체의 강도가 저하해버리거나, 때로는 중심도체가 파단할 염려가 있었다. 또, 중심도체가 연선(撚線)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일부가 흐트러져, 소위 「수염모양의 소선」이 발생하게 되어, 커넥터단자 등에 접속할때의 작업성이 악화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품검사에 있어서 불합격품으로 되어버려, 수율이 저하하는 일이 있었다. 여기서 말하는 「가늘어짐」이란,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개소의 중심도체의 외경이 굴곡을 받지 않은 부위의 외경보다 예를 들면 5%정도 감소하여, 응력집중을 받기쉽게된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외경의 변화를 받는 경우에는, 중심도체를 구성하는 금속의 구조도 변화하고, 파단항장력이 저하해서 취약해지는 경향에 있다. 또 「수염모양의 소선」이란,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일부가 말단에서 다른 소선으로부터 떨어져 버린 상태의 것을 말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전선의 중심도체를 노출시킬때에, 외부도체를 굴곡시켜도 중심도체의 강도의 저하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하고, 전선의 굴곡방법과, 굴곡부위에 있어서의 중심도체의 기계적강도의 변화가 밀접하게 관계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은, 중심도체, 및 그 중심도체의 주위를 덮고 있는 절연체와, 그 절연체의 주위를 덮고 있는 외부도체와, 그 외부도체를 덮고있는 외피를 구비한 전선의 중심도체의 일부가 노출되어서 이루어진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외부도체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외부도체의 노출부의 적어도 2개소를 적어도 2개의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유지하고, 적어도 1개의 고정수단을 개재해서 외부도체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면서, 적어도 1개의 고정수단을, 그 고정수단과 그 고정수단에 인접하는 고정수단과의 사이를 지점으로해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외부도체를 굴곡시켜서 둘레방 향으로 절단시키고, 절단한 외부도체의 일부를 제거해서 절연체를 노출시키고, 노출한 절연체의 일부를 제거해서 중심도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외부도체에 가해지는 초음파진동이 외부도체의 굴곡부위의 변형을 촉진시키고, 동시에 굴곡을 행함으로써, 외부도체에 균열이 들어가기 쉽게되어서 외부도체를 종래보다 절단하기 쉽게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외부도체의 굴곡부위가 미소하고도 극히 고속의 (주기가 짧은)기계운동을 하는 것과 굴곡과의 상호영향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초음파진동을 가하면서 굴곡시키면, 종래의 굴곡각도에 비해서 작은 각도로 굴곡시켜도, 외부도체를 확실하게 또한 간단용이하게 절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도체와 함께 굴곡되는 중심도체가 과도하게 굴곡되는 것에 의한 변형의 축적이 억제되어, 종래 발생하고 있던 바와 같은 중심도체의 굴곡부위에 있어서의 「가늘어짐」이나, 중심도체가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염모양의 소선」의 발생이 현격하게 저감된다.
여기서, 전선의 축방향에 대한 외부도체를 굴곡시키는 각도가 상기 지점을 중심으로해서 30°미만,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되도록, 외부도체를 굴곡시켜서 절단시키면 썩알맞다. 이 굴곡각도가 30°이상이면, 외부도체가 절단될때까지 중심도체의 굴곡부위에 있어서의 변형의 축적이 현저해지는 경향에 있다. 따라서, 이 굴곡각도를 30°미만으로 함으로써, 종래 발생하고 있었던 것과 같은 중심도체의 굴곡부위에 있어서의 「가늘어짐」이나, 중심도체가 연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수염모양의 소선」의 발생이 한층더 저감된다. 또, 이 굴곡각도를 10°이하로하면, 이와 같은 「가늘어짐」이나 「수염모양의 소선」의 발생을 더 한층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서는, 외부도체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면서 외부도체를 굴곡시킴으로써, 외부도체만을 종래보다 현격하게 절단하기 쉽게되므로, 상기의 굴곡각도를 30°미만으로해서, 외부도체의 절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종래보다 단축해서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장치는,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을 양호하게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며, 중심도체 및 그 중심도체의 주위를 덮고 있는 절연체와, 그 절연체의 주위를 덮고 있는 외부도체와, 그 외부도체를 덮고 있는 외피를 구비한 전선의 중심도체의 일부가 노출되어서 이루어진 전선가공품의 제조장치로서, 외부도체의 노출부의 적어도 2개소를 각각 유지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수단과, 적어도 1개의 고정수단을 개재해서 외부도체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는 가진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적어도 1개의 고정수단을, 그 고정수단과 그 고정수단에 인접하는 고정수단과의 사이를 지점으로해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외부도체를 굴곡시키는 굴곡수단을 더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은, 중심도체, 및 그 중심도체의 주위를 덮고 있는 절연체와, 그 절연체의 주위를 덮고 있는 외부도체와, 그 외부도체를 덮고 있는 외피를 구비한 전선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전선의 중심도체의 일부가 노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초음파」란, 주파수가 20㎑이상의 탄성파를 포 함한 음파이며, 주파수 및/또는 강도는 일정해도 되고,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해도 된다. 또, 주파수성분으로서 가청주파수대역의 음파를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에 사용되는 전선의 일실시형태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전선(10)은, 소선(11a)이 복수개 맞꼬아진 중심도체(11)와, 그 중심도체(11)의 주위를 덮고있는 절연체(12)와, 이 절연체(12)의 주위를 덮고있는 외부도체(13)가 동축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외주가 외피(15)로 덮여진 것이다. 또, 외부도체(13)와 외피(15)의 층사이에는 금속증착필름(14)이 감겨져 있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가공품의 제조장치에 관한 일실시형태의 구성을 표시한 측면도이다(일부 단면을 표시함.).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조장치(20)(전선가공품의 제조장치)에는, 전선(10)의 외피(15)에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외피(15) 및 금속증착필름(14)에 슬릿을 형성하는 일이 가능한 레이저장치(8)와, 외부도체(13)의 노출부의 2개소를 각각 사이에 끼워서 집는 금속박(2a),(2b)과, 이들 금속박(2a),(2b)를 각각 사이에 끼워집어서 외부도체(13)를 유지하는 고정구(3),(4)가 배설되어 있다. 즉, 금속박(2a) 및 고정구(3)와, 금속박(2b) 및 고정구(4)에 의해, 2개의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이저장치(8)는, 절연체(12)에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슬릿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고정구(3)는, 도시생략의 전원에 접속된 구동장치(7)(굴곡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동장치(7)에 의해, 고정구(3) 및 금속박(2a)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그것에 인접하는 고정구(3) 및 금속박(2a)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과의 사이를 지점S로 하여 전선(10)의 축방향X(긴쪽방향)에 대해서 각도θ의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또, 구동장치(7)는, 축방향X를 따른 도시의 화살방향으로 고정구(3)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고정구(4)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압전소자를 가진 진동자(5)에 음향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진동자(5)는, 압전소자가 초음파에 상당하는 주파수로 진동하여 초음파를 발생하는데 충분한 전압을 진동자(5)에 인가하는 전원회로(6)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전원회로(6)는 도시생략의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자(5), 전원회로(6) 및 전원에 의해 가진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자(5)로부터 발하게 되는 초음파진동은, 고정구(4) 및 금속박(2b)을 개재해서 외부도체(13)에 전파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으로서, 도 1에 표시한 전선(10)을 복수개 사용한 전선가공품을 제조장치(20)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도 5는,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전선가공품을 제조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모식도이며, 도 2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고(일부단면을 표시함.), 도 5는 평면도이다.
① 먼저, 복수개의 전선(10)을 소정의 피치로 병렬시켜,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31)에 의해 고정한다. 이들 전선(10)의 단부근처의 외피(15) 및 금속증착필름(14)에, 상기 레이저장치(8)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전선(10)의 배열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주사시키면서 조사하여 슬릿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테이프(31)와 외피(15)와 금속증착필름(14)을 일괄해서 어긋나게하여, 외부도체(13)의 일부를 노출시킨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44145호 공보참조).
② 다음에, 외부도체(13)의 노출부의 2개소를,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금속박(2a),(2b)에 의해 각 전선(10)의 외부도체(13)를 일괄해서 사이에 끼워서 집고, 이들 금속박(2a),(2b)을 땜납에 의해 외부도체(13)에 고정한다. 그리고, 금속박(2a)의 전체를 고정구(3)에 의해 다시 사이에 끼워서 집고, 또, 금속박(2b)의 전체를 고정구(4)에 의해 다시 사이에 끼워서 집음으로써, 외부도체(13)를 유지한다.
③ 이어서, 도 3에 표시한 진동자(5)에 전원회로(6)를 통해서 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자(5)로부터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초음파는, 고정구(4) 및 금속박(2b)을 개재해서 외부도체(13)에 전파되어, 금속박(2b)근처를 중심으로해서 외부도체(13)에 초음파진동이 가해진다. 그리고, 외부도체(13)에 초음파진동이 가해진 상태에서, 구동장치(7)를 운전하고, 고정구(3)를 도 3에 표시한 각도θ(전선의 축방향에 대한 외부도체를 굴곡시키는 각도)가 30°미만,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되도록 왕복운동시켜, 외부도체(13)를, 지점S를 중심으로해서 반복하여 굴곡시킨다. 굴곡이 반복되면, 외부도체(13)의 지점S근처에는 균열이 발생하고, 이윽고 둘레방향으로 절단된다. 여기서, 상기의 초음파의 주파수, 강도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또, 외부도체(13) 및/또는 중심도체(11)의 재질, 외경, 강도 등에 의해서 최적의 조건은 다르나, 주파수가 바람직하게는 20∼28㎒, 특히 바람직하게는 24∼28㎒, 진동자(5)의 출력이 바람직하게는 31∼45W, 특히 바람직하게는 38∼40W이면 아주 적합하다.
④ 외부도체(13)를 절단시킨 후, 진동자(5)에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여 초음파의 발생을 정지시키고, 또, 구동장치(7)의 운전을 중지하여 고정구(3)의 왕복운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구동장치(7)에 의해 고정구(3)와 외부도체(13)를 일괄해서 축방향X를 따른 방향의 단부쪽으로 어긋나게하여, 각 외부도체(13)의 일부(절단부보다 단부쪽의 부분)를 제거해서 절연체(12)의 일부(단부쪽의 부분)를 노출시킨다.
⑤ 다음에,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연체(12)에 플라스틱테이프(32)를 열융착시켜서 전선(10)의 각 절연체(12)의 피치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구(4)와 플라스틱테이프(32)와의 거의 중간의 절연체(12)에 대해서, 레이저장치(8)로부터의 레이저광L을 전선(10)의 배열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주사하면서 조사해서 슬릿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각 절연체(12)의 일부(슬릿보다 단부쪽의 부분)를 축방향X를 따라서 어긋나게해서 제거하고, 중심도체(11)의 일부(단부쪽)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플라스틱테이프(32)보다도 단부쪽의 중심도체(11)를 모두 절단하여, 도 5에 표시한 플랫케이블(1)(전선가공품)을 얻는다.
이와 같은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외부도체(13)에 가해지는 초음파진동에 의해, 굴곡부위에 있어서의 외부도체(13)의 변형이 촉진되고, 종래의 굴곡각도에 비해서 작은 각도로 굴곡시켜도, 외부도체(13)를 절단하기 쉽게된다. 이것은, 초음파진동에 의해서 외부도체(13)의 굴곡부위가 미소하고도 극히 고속의 (주기가 짧은)기계운동을 하는 것과 굴곡과의 상호영향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종래에 비해서 작은 각도로 굴곡시켜도, 외부도체(13)를 절단하기 쉬우므로, 중심도체(11)가 과도하게 굽혀져서 변형이 축적되어 버리는 일이 억제된다. 따라서, 연선으로 이루어진 중심도체(11)에 있어서의 「수염모양의 소선」의 발생이 현격하게 저감되므로, 중심도체(11)의 굴곡부위에 있어서의 강도의 저하나 파단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마찬가지의 효과에 의해서, 중심도체(11)가 단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가늘어짐」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전선(10)의 축방향에 대한 외부도체를 굴곡시키는 각도θ가 상기 지점S를 중심으로해서 30°미만, 바람직하게는 10°이하로 되어 있으므로, 이 굴곡각도가 30°이상의 경우에 현저해지는 경향에 있는 중심도체(11)의 굴곡부위에 있어서의 변형의 축적이 충분히 억제된다. 그 결과, 중심도체(11)에 있어서의 「수염모양의 소선」의 발생이 한층더 저감되므로, 중심도체(11)의 굴곡부위에 있어서의 강도의 저하나 파단을 더한층 충분히 방지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중심도체(11)가 단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중심도체(11)의 「가늘어짐」을 더한층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 굴곡각도 θ를 보다 작게할 수 있으므로, 외부도체(13)를 절단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가공품의 생산성도 향상시키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구(3),(4)에 의해서 금속박(2a),(2b)을 개재해서 외부도체(13)를 사이에 끼워서 집을때의 압접강도는, 외부도체(13) 및 중심도체(11)에 과도한 측압이 걸리지않게 되는 강도로 되어있다. 또, 고정구(4)는 초음파를 전파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재질에 제한은 없다. 또, 진동자(5)로서는, 압전소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를 발하는 것이라면 여러가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PZT소자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압전소자로서는, 압전세라믹등이 바람직하게는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을 외피(15)위에 주사시킬려면, 레이저장치(8)에 PZT미러 등의 레이저광주사기구를 설치하고, 전선(10)쪽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레이저광의 조사각도를 변화시켜도 되고, 레이저광의 조사방향을 고정하고, 전선(10)을 주사시켜도되고, 또는, 레이저광을 파이버전송해서 선단부의 조사프로브를 이동시키면서 조사를 행하는 등, 여러가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표시한 플랫케이블(1)의 중심도체(11)의 단부를, 용융된 땜납에 담그어서 땜납피복을 실시해도 매우 적합하다.
또, 고정구(3),(4)중, 고정구(4)에만 가진수단을 접속하고 있으나, 고정구(3), 또는 고정구(3),(4)의 양쪽에 가진 수단을 접속해서 외부도체(13)에 초음파진동을 가해도 된다. 또, 전선가공품으로서 복수의 전선(10)으로 구성되는 플랫케이블(1)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전선(10)단선의 중심도체를 노출시키는데,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을 적용해도 상관없으며, 즉, 전선가공품은 복수심의 케이블이어도 단심의 케이블이어도 된다. 또한, 전선(10)의 중심도체(11)는 연선이 아니고 단선이라도 물론된다. 또한, 전선(10)에는 반드시 외피(15) 및/또는 금속증착필름(14)이 형성되어 있지않아도 되고, 이 경우에는, 외부도체(13)를 노출시키는 공정은 불필요하다. 또한, 외부도체(13)의 일부가 미리 노출되어 있는 전선을 전선가공품의 재료로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제조장치(20)에는, 전선(10)의 외피(15) 및 금속증착필름(14)을 일괄해서 어긋나게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절연체(12)를 어긋나게해서 뽑아내어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외피(15) 및 금속증착필름(14)과 절연체(12)를 각각 사이에 끼워서 집는 고정구와, 이들 고정구를 전선(10)의 축방향 X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들 수 있다. 또, 제조장치(20)에는, 구동장치(7)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수동으로 외부도체(13)를 반복하여 굴곡시켜서 절단시킨 후, 수동으로 외부도체(13)를 어긋나게해서 뽑아내어 제거해도 상관없다. 또한, 절연체(12)의 제거는, 슬릿보다도 단부쪽의 절연체(12)를 고정구(3)로 사이에 끼워집어서 유지하고, 구동장치(7)에 의해 고정구(3)를 이동시킴으로써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부도체(13)를 유지하는 개소 및 유지하는 고정수단은 2이상이어도 상관없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① 0.03㎜ø주석도금구리합금선으로 이루어진 소선(11a)을 7개 꼬임한 연선을 중심도체(11)로하고, 이 중심도체(11)의 주위를 두께 0.06㎜의 불소계수지로 피복해서 절연체(12)를 형성하고 이 절연체(12)의 주위에 0.03㎜ø주석도금구리합금선을 가로감기 실드해서 외부도체(13)로하고, 이 외부도체(13)의 주위에 구리증착폴리에스테르테이프(금속증착필름(14))를 구리증착면이 안쪽이 되도록 또 감아붙이고, 외피(15)로서 폴리에스테르테이프로 피복해서, 외경 0.33㎜ø의 극세동축케이블(전선(10))을 얻었다. 이 동축케이블을 12개, 0.5㎜피치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상면, 하면에 점착테이프(31)(도 2참조)를 맞붙여서 피치를 고정했다.
② 이와 같이 테이프형상으로한 동축케이블을 길이 180㎝로 절단했다. 다음에 양단부로부터 각각 15㎜의 위치에 레이저광L을 조사해서 슬릿을 형성한 후, 점착테이프(31)와 외피(15)와 구리증착폴리에스테르테이프를 일괄해서 어긋나게하여, 외부도체(13)를 노출시켰다. 외부도체(13)의 노출부를 겉과 뒤로부터 2개의 폭 1㎜, 두께 0.5㎜의 주석도금인청동의 글랜드바(금속박(2a),(2b))로 일괄해서 사이에 끼워서 집고, 납땜에 의해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했다. 이 글랜드바를 각각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3),(4)에 의해 또 사이에 끼워서 집어 고정해서 외부도체(13)를 유지했다.
③ 이 상태에서,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전소자를 가진 진동자(5)로부터 초음파(주파수 26㎒, 출력 40W)를 발생시키고, 고정구(4) 및 글랜드바를 개재해서 외부도체(13)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면서, 고정구(3)를 상하로 왕복이동시켜, 글랜드바의 거의 중간점을 지점으로해서 외부도체(13)를 굴곡시켜 절단시켰다. 이때의 굴곡각도θ는 최대 10°로 했다. 그리고, 외부도체(13)의 단부쪽을 일괄해서 제거하여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연체(12)를 노출시켰다.
④ 다음에, 각 절연체(12)의 피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연필름(플라스틱테이프(32))을 절연체(12)에 열융착시켜서 피치를 고정했다. 이 절연필름과 남은 글랜드바와의 사이의 절연체(12)에 레이저광L을 조사해서 슬릿을 형성한 후, 절연필름에 의해 피치를 고정한 쪽의 절연체(12)를 단부쪽으로 어긋나게해서 뽑아내어, 중심도체를 노출시켰다. 그리고, 중심도체(11)의 단부쪽의 선단부를 절단에서 가지런히 일치시킴으로써, 전선가공품으로서의 플랫케이블(1)을 얻었다.
이 플랫케이블(1)을 3000개 제작하였던바, 중심도체(11)를 구성하는 소선의 일부가 다른소선으로부터 떨어져서 「수염모양의 소선」이 발생한 것, 또는, 중심도체(11)에 「가늘어짐」이 발생한 것은, 7개 있고, 불량률은 0.23%로 극히 작고, 수율은 거의 100%였다. 또, 외부도체(13)의 절단에 소용된 평균굴곡회수는 3회(3왕복)이고, 실제작업상 전혀 문제없는 시간이였다.
<실시예 2>
굴곡각도를 25°로한 것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플랫케이블을 3000개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불량률을 평가했다. 그 결과, 불량률은, 실시예 1보다 약간 커졌지만, 0.6%로 양호하였다. 한편, 외부도체의 절단에 이르기까지의 평균굴곡회수는 1.5회이고, 실시예 1과 비교해서 작업시간은 짧아졌다. 이들 실시예 1 및 2의 결과와 하기 비교예 1 및 2와의 비교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우위성을 이해할 수 있다.
<비교예 1>
외부도체에 초음파진동을 가하지 않고 외부도체를 굴곡시키는 각도θ를 35°로한 것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플랫케이블을 3000개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불량률을 평가했다. 그 결과, 외부도체의 절단에 소요되는 평균굴곡회수는 7회를 넘고, 또 「가늘어짐」, 「수염모양의 소선」의 발생이 현저해지고, 불량률이 4%를 넘어서 작업성 및 제조성의 면에서 부적합했다.
<비교예 2>
외부도체에 초음파진동을 가하지 않고 외부도체를 굴곡시키는 각도θ를 10°로 한 것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플랫케이블을 3000개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불량률을 평가했다. 그 결과, 외부도체의 절단에 이르기까지의 평균굴곡회수는 10회를 넘고, 굴곡에 의한 소선의 움직임의 영향때문에 「수염모양의 소선」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불량률은 15%를 넘는 결과가 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에 의하면, 외부도체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면서, 외부도체를 굴곡시켜서 절단시키므로, 굴곡각도를 작게해도 외부도체를 절단하기 쉽게된다. 따라서, 굴곡각도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동시에 굴곡되는 중심도체의 굴곡부위에 있어서의 변형의 축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의 중심도체를 노출시킬때에, 외부도체를 굴곡시켜도 중심도체의 강도의 저하나 파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중심도체 및 이 중심도체의 주위를 덮고있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주위를 덮고있는 외부도체와, 이 외부도체를 덮고있는 외피를 구비한 전선의 상기 중심도체의 일부가 노출되어서 이루어진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외부도체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외부도체의 노출부의 적어도 2개소를 적어도 2개의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유지하고,
    적어도 1개의 상기 고정수단을 개재해서 상기 외부도체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고정수단을, 이 고정수단과 이 고정수단에 인접하는 상기 고정수단과의 사이를 지점으로해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외부도체를 굴곡시켜서 둘레방향으로 절단시키고,
    절단한 상기 외부도체의 일부를 제거해서 상기 절연체를 노출시키고,
    노출한 상기 절연체의 일부를 제거해서 상기 중심도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축방향에 대한 외부도체를 굴곡시키는 각도가 상기 지점을 중심으로해서 30°미만이 되도록 상기 외부도체를 굴곡시켜서 절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3. 중심도체, 및 이 중심도체의 주위를 덮고있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주위를 덮고있는 외부도체와, 이 외부도체를 덮고있는 외피를 구비한 전선의 상기 중심도체의 일부가 노출되어서 이루어진 전선가공품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외부도체의 노출부의 적어도 2개소를 각각 유지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수단과,
    적어도 1개의 고정수단을 개재해서 상기 외부도체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는 가진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가공품의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고정수단을, 이 고정수단과 이 고정수단에 인접하는 상기 고정수단과의 사이를 지점으로해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외부도체를 굴곡시키는 굴곡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가공품의 제조장치.
  5. 중심도체, 및 이 중심도체의 주위를 덮고있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주위를 덮고있는 외부도체와, 이 외부도체를 덮고있는 외피를 구비한 전선으로 이루어진 전선가공품으로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상기 전선의 중심도체의 일부가 노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가공품.
KR1020000046162A 1999-08-24 2000-08-09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 KR100676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36971 1999-08-24
JP23697199A JP3185208B2 (ja) 1999-08-24 1999-08-24 電線加工品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及び電線加工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031A KR20010050031A (ko) 2001-06-15
KR100676037B1 true KR100676037B1 (ko) 2007-01-29

Family

ID=1700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162A KR100676037B1 (ko) 1999-08-24 2000-08-09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31554B1 (ko)
JP (1) JP3185208B2 (ko)
KR (1) KR100676037B1 (ko)
CN (1) CN1181500C (ko)
HK (1) HK1032140A1 (ko)
TW (1) TW4542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02607A1 (de) * 2001-06-15 2004-03-31 Schleuniger Holding AG Bearbeitungsvorrichtung für kabel oder drähte
JP5032006B2 (ja) * 2005-07-05 2012-09-26 株式会社潤工社 フラットケーブル
JP5159136B2 (ja) * 2007-03-28 2013-03-0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5163865B2 (ja) * 2007-11-14 2013-03-13 日立電線株式会社 多芯ケーブ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656389B (zh) * 2008-08-21 2011-03-16 上海慧高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盘头引线加工设备
CN101656390B (zh) * 2008-08-21 2011-01-26 上海慧高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玻封二极管导线成型机
US20100065327A1 (en) * 2008-09-17 2010-03-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assembly with molded grounding ba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404028B2 (en) * 2013-07-22 2019-09-03 Frisimos, Ltd. System for automatic robotic cable connector assembly using a cartridge
WO2015125129A1 (en) * 2014-02-24 2015-08-27 Frisimos Ltd. Removing a metal shield from electrical cable
EP3322053B1 (de) * 2016-11-15 2022-03-16 Schleunig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einer umhüllung elektrischer leiter
EP3447865B1 (de) 2017-08-23 2022-10-05 Komax Holding Ag Verfahren zum entfernen eines teils einer schirmfolie eines mantelleitungskabels und folienentfernungsvorrichtung zum entfernen eines teils einer schirmfolie eines mantelleitungskabels an einer sollbruchstelle von dem mantelleitungskabel
US11476628B2 (en) 2019-11-12 2022-10-18 Frisimos, Ltd. System for automatic robotic cable connector assembly using a cartridge
CN112845976A (zh) * 2020-12-31 2021-05-28 重庆平安标牌制作有限公司 金属丝螺旋结构成型工艺
US20230290544A1 (en) * 2022-03-11 2023-09-14 Maybell Quantum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of flexible shielded ribbon cabl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911A (en) * 1973-04-30 1975-10-07 Orthodyne Electronics Method for removing insulating and shielding materials from flat conductors, circuits and components
IT7820426A0 (it) * 1978-02-21 1978-02-21 Sits Soc It Telecom Siemens Procedimento per la predisposizione di un cavo coazziale a basso livello di diafonia all'attestatura ad un connettorecoassiale.
JP2633722B2 (ja) * 1990-11-13 1997-07-2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の端末心線折り曲げ装置
JPH04183211A (ja) * 1990-11-13 1992-06-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のストリップ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電線ほぐし装置
US5522130A (en) * 1994-10-13 1996-06-04 Artos Engineering Company Laser positioning system for wire cutting and stripping apparatus
JP3719693B2 (ja) * 1996-11-07 2005-11-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加工品の製造方法
JP3725722B2 (ja) * 1999-02-18 2005-12-14 日立電線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電線の端末加工方法及び電線加工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69629A (ja) 2001-03-16
CN1181500C (zh) 2004-12-22
JP3185208B2 (ja) 2001-07-09
TW454210B (en) 2001-09-11
CN1285595A (zh) 2001-02-28
HK1032140A1 (en) 2001-07-06
US6631554B1 (en) 2003-10-14
KR20010050031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037B1 (ko) 전선가공품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전선가공품
US6824630B2 (en) Flexible flat cable connecting method and a horn construction of an ultrasonic welding machine
JP3725722B2 (ja) 電線の端末加工方法及び電線加工品の製造方法
JP2012124078A (ja) 線材と撚り線の接続方法および電動機もしくは発電機のステータ
US20190165532A1 (en) Ultrasonic bonding method of conductor of electric wire, method of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ultrasonic bonding apparatus for conductor of electric wire and electric wire
JP2014211953A (ja) 電線の接続方法,接続装置
JP2007280772A (ja) 多心ケーブル、コネクタ付き多心ケーブル、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20047423A (ja) 電線の接合方法及び接合電線
JPH10144145A (ja) 電線加工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92222A (ja) 電線の接続方法
EP0507817A1 (en) Method for joining transformer coil conductors
JP6989560B2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電線の制振方法
US58966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nding materials to terminal elements
JP5786378B2 (ja) 超音波溶接方法
JP2000102132A (ja) 被覆電線の中剥ぎ装置および方法
JP4134809B2 (ja) 極細同軸ケーブルの端末加工方法
JP4324136B2 (ja) 電線の端末加工方法及び電線加工品の製造方法
JP4281271B2 (ja) 電線の端末接続部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H0831469A (ja) 電線のスプライス部構造
JP2002025357A (ja) 極細同軸ケーブル、極細同軸フラットケーブル、電線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44870A (ko) 래커 와이어들을 전기전도 방식으로 연결하는 방법
JPH05259587A (ja) フィルムキャリア
JP2022136634A (ja) 導体の接合構造および導体の超音波接合方法
CN117712794A (zh) 电线的连结方法和电线的连结结构
JP2022136643A (ja) 導体の接合構造および導体の超音波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