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337B1 - 가열처리용 포장체 - Google Patents

가열처리용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337B1
KR100675337B1 KR1020020064131A KR20020064131A KR100675337B1 KR 100675337 B1 KR100675337 B1 KR 100675337B1 KR 1020020064131 A KR1020020064131 A KR 1020020064131A KR 20020064131 A KR20020064131 A KR 20020064131A KR 100675337 B1 KR100675337 B1 KR 10067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heat
pain
content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074A (ko
Inventor
다쿠지 스기야마
다이스케 우라타니
도모히토 하야마
마사후미 오이시
소이치로 가타야마
가즈오 아리요시
데쓰로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선 에이. 가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선 에이. 가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선 에이. 가켄
Priority to KR102002006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3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4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areas coated with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과제) 가열조리시의 포장체의 파열을 방지할 수가 있는 동시에, 제대(製袋) 혹은 내용물충전 밀봉포장을 간단히 행하여, 포장식품 등을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는 가열처리용 포장체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플라스틱 필름(1)에 의해 그의 동일면 측을 서로 맞대어 히트 실에 의해 장방형상으로 제대하는 동시에, 이들 히트 실의 일개소에 합장상(合掌狀)의 통증(通烝)접합부(2)를 마련하여, 그 제대 내부에 가열처리용의 내용물(5)을 밀봉포장시키는 가열처리용 포장체(A)로서, 플라스틱 필름(1)은, 그 접합면 전체가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이고, 통증접합부(2)는, 장방형상의 포장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통증접합부는, 내용물의 가열처리시에 있어, 포장체의 상면 측에 위치하여, 가열에 의해 상기 포장체의 내부압력이 상승한 때 그의 압력방출을 행하는 이개봉성(易開封性) 실이다.
포장체

Description

가열처리용 포장체 {PACKAGING BODY FOR HEATING PROCESSING}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1 실시예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제조과정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제대(製袋)상태의 일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가열상태를 보이는 종단도로서, (a)는 장변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이고, (b)는 단변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타의 통증(通烝)접합부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가열처리용 포장체와 종래품에 있어서의 비교예의 성적을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2 실시예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통증접합부를 보이는 각 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통증접합부의 부착위치를 보이는 각 예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제대상태의 일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통증접합부를 확대하여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플라스틱 필름 2 : 통증접합부
3 : 저부 접합부 4 : 대체(袋體)
5 : 내용물 6 : 상부 접합부
A : 가열처리용 포장체
본 발명은, 식품 등을 충전하는 포장체에 있어서, 식품 등의 내용물을 포장 그대로, 전자 레인지에 의해 가열조리할 수 있는 동시에, 내부의 가열상승압에 의한 포장체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처리용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기술)
종래부터, 조리한 또는 반 조리한 식품을, 내열성 플라스틱 포장대에 충전하 여, 먹기 직전에, 전자 레인지에 의해 가열조리하는 포장식품이 많이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포장식품은 전자 레인지에 의해 가열하면, 주머니 내부의 수증기나 내부공기의 열팽창에 의해 내압이 상승하며, 결국에는, 이 팽창압에 의해 주머니가 파열하여 내용물이 비산하고, 또한, 전자 레인지 안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이들 포장대에는, 상기 결점을 방지할 수단이 마련되고 있다.
예를 들면, 주머니 안에 있어서 상기 내압이 일정이상에 상승한 때, 히트 실의 일부개소가 박리하여 압력을 방출하는 통증(通烝)수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대를 위한 주위의 히트 실 부는, 용이하게 박리함이 없이 내용물을 확실하게 밀봉포장하기 위해 높은 히트 실 강도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한편, 상기 통증 히트 실 부는, 가열조리시에 발생하는 주머니의 내압에 대하여는 비교적 용이하게 박리되는 구성이어서, 양자의 히트 실 강도는 각각 다른 설정에 의해, 즉, 주머니 내압에 의해 통증하는 히트 실 부는, 제대를 위한 주위의 히트 실 부보다 약한 히트 실 강도에 제대되어 있었다.
따라서, 제대시나 내용물의 충전포장시에 있어서는, 상기 다른 히트 실 강도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통증 히트 실 부의 구성이 주머니의 플라스틱 필름 기재로서, 이지 오픈 필름이 되는 실런트 층으로서 적당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복합한 것을 사용하거나 하였다.
이 작업은, 주머니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손이 많이 가, 제대 혹은 내용물충전 밀봉포장에 있어서 제조코스트가 올라가서, 포장식품 등을 염가로 시장 에 공급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그의 동일면 측을 서로 맞대어, 히트 실에 의해 장방형상에 제대하는 동시에, 이들 히트 실의 일개소에 합장상(合掌狀)의 통증접합부를 마련하여, 그 제대 내부에 가열처리용의 내용물을 밀봉포장시키는 가열처리용 포장체로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그의 접합면 전체가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이고, 통증접합부는 장방형상의 포장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시켜 있어서, 상태(常態)에 있어서는, 히트 실 강도가 3kgf/15mm 이상으로서, 이개봉성(易開封性)은 있지 않고, 충분한 내용물의 보호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 통증접합부는 내용물의 가열처리시에 있어서 포장체의 상면 측에 위치하여, 예를 들어, 전자 레인지 등에 의한 가열에 의해 상기 포장체의 내부압력이 상승한 때, 그의 압력방출을 행하는 이개봉성 실 임에 의해, 가열조리시의 포장체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대 혹은 내용물충전 밀봉포장을 간단히 행할 수 있어, 포장식품 등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가열처리용 포장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그의 동일면 측을 서로 맞대어 히트 실에 의해 장방형상으로 제대하는 동시에, 이들 히트 실의 일개소에 합장상의 통증접합부를 마련하여, 그 제대 내부에 가열처리용의 내용물을 밀봉포장시키는 가열처리용 포장체로 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그의 접합면 전체가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이고,
상기 통증접합부는 상기 장방형상의 포장체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시켜 있어서,
그 통증접합부는 내용물의 가열처리시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상면 측에 위치하여, 가열에 의해 상기 포장체의 내부압력이 상승한 때, 그의 압력방출을 행하는 이개봉성 실인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구성에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그의 동일면 측을 서로 맞대어 히트 실에 의해 제대하는 동시에, 이들 히트 실의 일개소에 합장상의 통증접합부를 마련하여, 그 제대 내부에 가열처리용의 내용물을 밀봉포장시키는 가열처리용 포장체로서,
상기 통증접합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을 개재시켜 만들고,
그 통증접합부는 내용물의 가열처리시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상면 측에 위치하여, 가열에 의해 상기 포장체의 내부압력이 상승한 때, 그의 압력방출을 행하는 이개봉성 실인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구성에 있다.
이개봉성 실은 상태(常態)시의 박리력이 3kgf/15mm 이상이며, 90℃열 시의 박리력이 0∼1200g/15mm이다.
통증접합부에 있어서의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삽입되는 테이프이다.
(실시예)
다음은 이 발명에 관한 가열처리용 포장체의 실시의 일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 및 도 9∼도 12에 있어서 A는 가열처리용 포장체로서, 그의 내부에 소정의 가열을 주는 것으로 사용하는 물품을 수용하여, 적의 그의 사용시에 전자 레인지 등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처리하고, 그의 일부를 찢어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것이다.
이 포장체(A)의 형태는 삼방(三方) 실이나 사방 실, 인플레이션, 합장평대(合掌平袋), 합장 거싯 등 임의 것을 선정할 수 있다.
또, 제대하면서 내용물을 자동충전하는 포장체를 전제로 하는 것이지만, 미리 제대된 주머니라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열처리용 포장체(A)의 구성은,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각상(角狀)의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단변 m과 장변 n의 길이 비율은, m:n=1:1.1 이상이 되도록 마련된다.
더구나, 그 단변과 장변의 길이 비율이 1:1.1 미만이면(정방형에 가까운 형태이면), 주머니 내부에 소정의 가열을 주었을 때의 통증작용이 임의위치의 히트 실 부에서 행해져, 후기하는 통증접합부(2)에서의 통증이 행해지기 어렵게 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 1(a)에 보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1)에 의해, 그의 양단 변(1a, 1b)을 그 일측 면(그림에 있어서는 상면의 동일 면)을 서로 맞대어, 소정폭의 히트 실에 의해 통증접합부(2)를 마련하여, 그 필름(1)을 통상(筒狀)으로 하고, 도 1(b)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통상의 하부를 히트 실에 의해 저부 접합부(3)을 마련하여 합장상의 대체(4)를 형성한 후, 그의 내부에 내용물(5)을 충전하여, 상기 통상의 상부를 히트 실에 의해 상부 접합부(6)를 형성하여 밀봉포장시킨다.
또, 이 가열처리용 포장체(A)는 상기와 같이 제대된 포장체(A)를 이용하는 경우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대하면서 내용물을 충전하여 밀봉포장하는 경우(종 필로 식이나 횡 필로 식)가 있는 것으로, 이 경우, 포재(包材)롤(7)에서 연속 혹은 간헐적으로 끌어 내어진 플라스틱 필름(1)을 충전투입구(8)에 감아대면서 그의 양 단부를 각각 겹치고, 이 겹침 부를 종 실 바(9)에 의해 히트 실 하여 통상으로 하면서, 저부를 횡 실 바(10)에 의해 히트 실 하여 대상으로 하여, 이 통상내부에 충전투입구(8)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다.
내용물(5)의 충전후에는, 통상대(筒狀袋)의 상부를 상기 횡 실 바(10)에 의해 히트 실 하여 밀봉하면서, 다음의 통상대의 저부를 히트 실 하여, 이 횡 실 바(10)에 부설한 절단도(11)에 의해 컷 함으로써, 내용물(5)이 충전된 포장체(A)가 완성된다.
더구나, 상기 플라스틱 필름(1)은,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재(1a) 및 그 기재(1a)의 일측 면에 실런트 층(1b)을 가지는 것이며, 그 기재(1a)는 전자 레인지의 가열에 대한 내열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으 로 이루어지는 이축연신 필름, 염화비닐리덴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 필름, 산화알루미증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메타크실렌아디파미드계 폴리아미드 연신 필름(6-나일론과의 공압출 적층 필름을 포함한다)등의 기재가 이용된다.
상기의 실런트 층(1b)은,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 예를 들면,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계의 것으로, 단층보다 공압출 다층타이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이란, 히트 실 되었을 때, 상태시(가열되지 않은 통상의 온도하)의 박리력은, 3kgf/15mm 이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확실한 내용물의 밀봉성을 발휘하나, 가열조리시에 있어서의 가열온도가 80℃∼ 90℃에 달하면, 바람직하게는, 90℃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 부가 연화하는 구성의 필름으로서, 그의 박리력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의 통증접합부(2)는 이개봉성 실로 되는 것이고,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장방형상의 포장체(A)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n변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 대략 중앙부 위치(일측 변에 치우치게 하여도 좋다.)에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5)의 가열처리시에 있어서는 포장체(A)에 있어서 상면 측에 위치한다.
즉, 플라스틱 필름(1)의 양단 변(1a, 1b)을 접합한 통증접합부(2)는, 포장체(A)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에 마련하는 것으로, 그 통증접합부(2)의 전체 길이가 가급적으로 연장되어, 내용물(5)이 가열된 때, 내부의 압력상승에 의해 용이하게 이 통증접합부(2)가,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립하는 동시에, 가열팽창한 때 가장 압력이 걸리기 쉬운 포장체(A)에 있어서의 대략 팽창 정상부(X)에 최초로 박리를 개시시키므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양단 변(1a, 1b)의 접합이 박리하기 쉽게 되어, 통증작용이 촉진된다.
또, 이 정상부(X)에 있어서 박리가 생기어 통증하므로, 내용물(5)이 식은 후에는 기립한 통증접합부(2)가 경도하여 통증부를 폐색하는 동시에, 내용물(5)의 누출을 방지한다.
특히, 이 통증접합부(2)의 이개봉성 실은, 상태시의 박리력이 3kgf/15mm 이상이기 때문에, 내용물(5)의 확실한 밀봉성을 발휘하는 동시에, 90℃열 시의 박리력이 0∼1200gf/15mm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자 레인지에 의해서 가열된 때, 포장체(A)의 내부의 수증기나 내부공기의 열팽창에 의해서 상승한 내압은, 즉시, 이 통증접합부(2)를 박리하여 압력방출하여, 팽창압에 기인하는 주머니의 파열에 의해 내용물의 비산이 생기게 하지 않으므로, 전자 레인지 내를 오염시는 일이 없다.
상기 박리력이 1200gf/15mm 이상인 경우는, 안정적인 자동통증이 되지 않기 때문에, 포장체(A)의 적당한 곳에서 팽폭(膨爆)하여, 내용물을 먹을 수가 없을 뿐 아니라 전자 레인지 내를 오염시키기도 한다.
더구나, 이 통증접합부(2) 및 타의 히트 실 부에 있어서의 그 실 부의 박리강도는 0∼1200gf/15mm, 바람직하기는, 약 100∼800gf/15mm가 적당하다. (단, 박리강도는, 식품위생법에 기초하는 밀봉포장대의 시험방법 Z0238에 따라, 인장속도 300mm/min으로 측정된 값이다.)
또, 상기의 통증접합부(2)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통증접합부(2)에 있어서 포장체(A)의 전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의 대략 중앙부의 위치에 있어서, 그 통증접합부(2)의 폭방향에 있어서, 그의 외연측에 반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등의 비 실 부나 절제부 등의 이(易)방출압부(12)를 성형하고 있어, 어느 것이나, 이들 이방출압부(12)의 분 만큼 통증접합부(2)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사실로, 가열시의 희망 내부압력에 달한 때, 통증접합부(2)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여 신속하게 이 압력이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통증접합부(2)와 타의 히트 실 부(3, 6)의 히트 실 강도를 다르게 하여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그 수단은, 히트 실 온도를 변화시키거나(그 히트 실 온도는, 통증접합부(2)<타의 히트 실 부(3, 6)가 되도록 설정), 통증접합부(2)의 히트 실을 1본을 포함하여 복수본으로 이루어지는 선(線) 실로 하거나 하는 것이다.
게다가, 도 5에 있어서 13은, 포장체(A)의 적소에 마련한 개봉시의 찢음용의 노치로, 그 포장체(A)에 있어서의 단변 측의 적소에 마련하여, 포장체(A)에 있어서의 장변 측에 향하여 평행으로 개구가 얻어지는 것이며, 이는, 내용물(5)을 접시 등의 용기에 옮길 때에, 포장체(A)를 거꾸로 하여, 그 노치로부터 개구하면 내용물(5)이 새지 않고, 삼방대와 마찬가지로 내용물(5)의 꺼내기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다음은, 후기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의한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가와시마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제 종 필로 충전포장기를 이용하여, 매분 60대(袋)의 충전속도로 제대하면서, 조리마침스파 게티를 대 내부에 충전하고, 그 다음, 그 대 개구부를 히트 실 하여 밀봉포장하였다.
그리하여 각각의 충전마침 포장체를 도시바 가부시키가이샤 제 500W 전자 레인지로 6분간 가열하여, 약 100℃에 데운 재조리 스파게티를 만들었다.
이하, 그 실시예와 비교예의, 포장체의 히트 실 성 및 가열시의 자연 통증성을 비교시험하였다.
(실시예 1)
기재(1a):
이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15μ두께(도요보가부시키가이샤 제 "하덴N1102")
실런트 필름(1b):
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노바텍 FX-4")35μ두께와, 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노바텍 FX-4")60중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수지(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 "다후마 A4085")20중량%, 메탈로센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가넬 KC650")20중량%의 블렌드물 5μ두께를 공압출하여 T다이에 의해 필름캐스트해, 실런트 필름 40μ두께를 얻었다.
그리고, 이들 기재(1a)와 실런트 필름(1b)을 드라이래미네이터에 의해 첩합(貼合)하여, 복합 플라스틱 필름(1)을 작성하였다.
(실시예 2)
기재(1a):
이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15μ두께(도요보가부시키가이샤 제 "하덴N1102")
실런트 필름(1b):
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노바텍 FX-4")35μ두께와, 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노바텍 FX-4")60중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수지(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 "다후마 A4085")20중량%, 메탈로센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가넬 KC650")20중량%의 블렌드물 5μ두께를 공압출하여 T다이에 의해 필름캐스트해, 실런트 필름 40μ두께를 얻었다.
그리고, 이들 기재(1a)와 실런트 필름(1b)을 드라이래미네이터에 의해 첩합하여, 복합 플라스틱 필름(1)을 작성하였다.
(비교예 1)
기재:
이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15μ두께(도요보가부시키가이샤 제 "하덴N1102")
실런트 필름: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 40μ두께(도레이고세이가브시키가이샤 제 "도레판 NO3931")
이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하기의 표 1 및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공히, 충전포장기에 의한 히트 실 성은 양호하여, 상태시에 있어서의 확실한 내용물 밀봉성이 발휘되었다.
특히, 주머니에의 내용물의 충전시에 있어서, 히트 실 부에 스파게티의 조미 액이 부착한 상태대로, 당해부분의 히트 실이 행해져도, 실시예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함에 의해 충분한 히트 실 강도가 얻어지기 때문에, 히트 실 부의 협잡물(夾雜物)을 밀어낸 상태로 히트 실을 완료시킬 수가 있었다.
특히,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조리시에, 즉, 내용물(5) 및 포장체(A)의 온도가 90℃에 달한 때에는, 히트 실 된 통증접합부(2)의 박리강도는 1200gf/15mm 이하로 되므로, 그 통증접합부(2)는 자연통증하여 내부의 수증기 등이 외부에 빠져나가, 포장체(A) 내부의 승압을 억제할 수가 있었다.
더구나, 이 통증접합부(2)는 내용물(5)의 가열처리시에 있어서, 도 4(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체(A)의 상면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포장체(A) 내에 걸린 내압에 의해, 그 통증접합부(2)가 기립하고, 내부팽창에 의해, 동도에 보이는 화살표(p)의 방향으로 잡아 당겨 벗기는 힘이 걸리어, 한층 용이하게 압력방출 할 수가 있었다.
한편, 하기의 표 1 및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공히, 내열성 및 히트 실 개시온도가 높기 때문에, 히트 실 온도폭이 좁아, 충전포장기에 의한 히트 실 성이 불량하여, 히트 실 되지 않는 실 얼룩이 생기었다.
특히, 주머니에의 내용물의 충전시에 있어서, 히트 실 부에 상기 협잡물이 개재한 경우에는, 한층 히트 실 성을 저하시켜, 내용물 밀봉성은 불완전해져 상품가치를 잃었다.
또,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조리시에, 즉, 내용물 및 포장체의 온도가 90℃에 달한 때에도, 히트 실 부의 박리강도는, 비교예 2에 있어서 2000gf/15mm 정도, 비교예 1에서는 아직 2700gf/15mm 이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히트 실 부는 자연통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에 기인하여, 내압이 상승하고 포장체가 파열하여, 전자 레인지 내에 내용물이 비산되고 말았다.
히트 실 성 전자 레인지 자동통증성
실시예 1 원활히 통증
실시예 2 원활히 통증
비교예 1 약간불량 주머니가 파열함
비교예 2 주머니가 파열함

다음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가열처리용 포장체(A)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가열처리용 포장체(A)의 구성은, 플라스틱 필름(1)에 의해 그의 동일면 측을 서로 맞대어 히트 실에 의해 제대하는 동시에, 이들 히트 실의 일개소에 합장상의 통증접합부(2)를 마련하여, 그 제대 내부에 가열처리용의 내용물(5)을 밀봉포장시키는 가열처리용 포장체로서, 통증접합부(2)는 플라스틱 필름(1)의 사이에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을 개재시켜 있고, 그 통증접합부(2)는, 내용물(5)의 가열처리시에 있어서, 포장체(A)의 상면 측에 위치하여, 가열에 의해 포장체(A)의 내부압력이 상승한 때, 그의 압력방출을 행하는 이개봉성 실이다.
즉, 통증접합부(2)에 있어서의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은,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1)의 사이에 삽입되는 테이프(20)이다.
이 테이프(20)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계나 폴리에틸렌계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혹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이용된다.
그리고, 이 이개봉성 실은 상태시의 박리력이 3kgf/15mm 이상이고, 90℃열 시의 박리력이 0∼1200g/15mm인 것으로, 그의 성상이나 작용에 관하여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성취된다.
게다가, 플라스틱 필름(1)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재(1a) 및 그 기재(1a)의 일측 면에 실런트 층(1b)을 가진다.
또, 포장체(A)의 구성은, 도 9(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종 필로 식이나, 도 9(b)에 보이는 바와 같이, 횡 필로 식 등,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고, 합장상의 통증접합부(2)의 위치는 중앙부가 일반적이지만,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포장체(A)의 좌우 또는 상하 방향에 소정량 변경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게다가, 도 9(b) 및 도10(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대시의 히트 실은 측부 접합부(21, 21)를 실시하여 성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포장체(A)의 제대에 있어서는, 제대하면서 내용물(5)을 충전하여 밀봉포장하는 경우(종 필로 식이나 횡 필로 식)는 ,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포재 롤(7)에서 연속 혹은 간헐적으로 끌어 내어진 플라스틱 필름(1)을, 충전투입구(8)에 감아 겹치면서 양 단부를 겹쳐 합한다.
한편, 테이프(20)는, 투입구(8)의 근방에 있어서 롤상(狀)으로 감은 것을 현가하여 놓고, 상기 겹침부에 물리도록 끌어 내면서 삽입한 후, 이 겹침부를 종 실 바(9)에 의해, 상기 겹친 플라스틱 필름(1)과 삽입 테이프(2)를 히트 실 하여 통상(筒狀)으로 하면서, 저부를 횡 실 바(10)에 의해 히트 실 하여 대상(袋狀)으로 하여, 이 통상 내부에 충전투입구(8)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다.
내용물(5)의 충전후는, 통상대의 상부를 상기 횡 실 바(10)에 의해 히트 실하여 밀봉하면서, 다음의 통상대의 저부를 히트 실 하여, 이 횡 실 바(10)에 부설한 절단도(11)에 의해 커트함으로써, 내용물(5)이 충전된 포장체(A)가 완성되는 것이며, 도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합장상의 통증접합부(2)에는, 겹친 플라스틱 필름(1)의 사이에 테이프(20)가 삽입되어서, 이 테이프(20)에 의해 내용물(5)의 가열조리시에 이개봉성을 발휘한다.
다음은, 후기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시예 3 및 실시예 4와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의한 복합필름을 사용하여, 상기의 제 1 실시예에서 행한 비교시험과 마찬가지 조건에 의해, 그 실시예 3, 4와 비교예 3,4의, 포장체의 히트 실 성 및 가열시의 자연통증성을 비교시험하였다.
(실시예 3)
주머니 본체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필름(1)
기재(1a):
이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15μ두께(도요보가부시키가이샤 제 "하덴N1102")
실런트 필름(1b):
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필름 50μ두께(도레이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제 "도레판 NO3931")
그리고, 이들 기재(1a)와 실런트 필름(1b)을 드라이래미네이터에 의해 첩합하여, 주머니 본체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필름(1)을 작성하였다.
또, 삽입 테이프(20):
①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노바텍 FX-4")25μ두께와, 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노바텍 FX-4")60중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 "다후마 A4085")20중량%, 메탈로센 선상(線狀)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가넬 KC650")20중량%의 블렌드물 5μ두께를 공압출하여 T다이에 의해 필름캐스트하여, 삽입 테이프 30μ두께를 얻었다.
여기서, 플라스틱 필름(1)을 사용하여, 도 10(b)에 보이는 바와 같은, 변형합장대를 작성하였다. 그 때, 통상접합부(2)에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의 ①구성의 삽입테이프(20)를 끼우면서 히트 실을 행하였다.
(실시예 4)
주머니 본체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필름(1)
기재(1a):
이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15μ두께(도요보가부시키가이샤 제 "하덴N1102")
실런트 필름(1b):
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필름 50μ두께(도레이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제 "도레판 NO3931")
그리고, 이들 기재(1a)와 실런트 필름(1b)을 드라이래미네이터에 의해 첩합하여, 주머니 본체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필름(1)을 작성하였다.
또, 삽입 테이프(20):
②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노바텍 FX-4")25μ두께와, 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노바텍 FX-4")60중량%,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 "다후마 XR1011T")20중량%, 메탈로센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폴리켐가부시키가이샤 제 "가넬 KC650")20중량%의 블렌드물 5μ두께를 공압출하여 T다이에 의해 필름캐스트해, 삽입 테이프 30μ두께를 얻었다.
여기서, 플라스틱 필름(1)을 사용하여, 도 10(b)에 보이는 바와 같은, 변형합장대를 작성하였다. 그 때, 통상접합부(2)에 상기 실시예 4에 있어서의 ②구성의 삽입테이프(20)를 끼우면서 히트 실을 행하였다.
(비교예 4)
주머니 본체 필름
기재:
이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15μ두께(도요보가부시키가이샤 제 "하덴N1102")
실런트 필름:
랜덤공중합 폴리프로필렌 필름 50μ두께(도레이고세이가브시키가이샤 제 "도레판 NO3931")
그리고, 이들 기재와 실런트 필름을 드리이래미네이터에 의해 첩합하여, 주머니 본체 필름을 작성하고, 이 주머니 본체 필름을 사용하여, 도 10(b)에 보이는 바와 같은, 변형합장대를 작성하였다.
이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행한 비교시험과 마찬가지 의 결과가 얻어진 것이며, 실시예 3 및 실시예 4 공히, 상태시에 있어서의 확실한 내용물 밀봉성이 발휘되는 동시에,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시에, 즉, 내용물(5) 및 포장체(A)의 온도가 90℃에 달한 때에는, 히트 실 된 통증접합부(2)의 박리강도는 1200gf/15mm 이하로 되므로, 하기의 표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통증접합 부(2)는 자연통증하여 내부의 수증기 등이 외부에 빠져나가, 포장체(A) 내부의 승압을 억제할 수가 있었다.
전자레인지 자동통증성
실시예 1 원활히 통증
실시예 2 원활히 통증
비교예 1 주머니가 파열함
비교예 2 주머니가 파열함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식품 등을 충전하는 포장체에 있어서, 식품 등의 내용물을 포장 그대로, 전자 레인지에 의해 가열조리할 수 있는 동시에, 내부의 가열상승압에 의한 포장체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포장체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대 혹은 내용물충전 밀봉포장에 있어서, 제조코스를 저감시켜, 포장식품 등을 염가로 시장공급할 수가 있는 등의 특유한 효과를 이룩하는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그의 동일면 측을 서로 맞대어 히트 실에 의해 제대하는 동시에, 이들 히트 실의 일개소에 합장상의 통증접합부를 마련하여, 그 제대 내부에 가열처리용의 내용물을 밀봉포장시키는 가열처리용 포장체로서,
    상기 통증접합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을 개재시켜 만들고,
    그 통증접합부는 내용물의 가열처리시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상면 측에 위치하여, 가열에 의해 상기 포장체의 내부 압력이 상승한 때, 그의 압력방출을 행하는 이개봉성 실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처리용 포장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이개봉성 실은 상태시의 박리력이 3kgf/15mm 이상이며, 90℃열시의 박리력이 0∼1200g/15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처리용 포장체.
  4. 제 2 항에 있어서,
    통증접합부에 있어서의 온도 의존성이 높은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삽입되는 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처리용 포장체.
KR1020020064131A 2002-10-21 2002-10-21 가열처리용 포장체 KR10067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131A KR100675337B1 (ko) 2002-10-21 2002-10-21 가열처리용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131A KR100675337B1 (ko) 2002-10-21 2002-10-21 가열처리용 포장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074A KR20040034074A (ko) 2004-04-28
KR100675337B1 true KR100675337B1 (ko) 2007-01-29

Family

ID=3733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131A KR100675337B1 (ko) 2002-10-21 2002-10-21 가열처리용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33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864A (ja) * 1995-11-29 1997-06-10 Sun A Kaken Co Ltd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加熱処理用包装体の逃圧方法
JPH1191052A (ja) * 1997-09-19 1999-04-06 Idemitsu Petrochem Co Ltd 易裂性シュリンク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袋製品
JPH1191837A (ja) * 1997-09-19 1999-04-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体
JP2000185777A (ja) * 1998-12-22 2000-07-04 Sun A Kaken Co Ltd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自立包装体,包装体
JP2001058681A (ja) * 1999-08-25 2001-03-06 Tokuyama Corp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袋
JP2001334620A (ja) * 2000-05-30 2001-12-04 Japan Polychem Corp 積層体及びそれからなる包装袋
JP2003012033A (ja) * 2001-04-23 2003-01-15 Sun A Kaken Co Ltd 加熱処理用包装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864A (ja) * 1995-11-29 1997-06-10 Sun A Kaken Co Ltd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加熱処理用包装体の逃圧方法
JPH1191052A (ja) * 1997-09-19 1999-04-06 Idemitsu Petrochem Co Ltd 易裂性シュリンク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袋製品
JPH1191837A (ja) * 1997-09-19 1999-04-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体
JP2000185777A (ja) * 1998-12-22 2000-07-04 Sun A Kaken Co Ltd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自立包装体,包装体
JP2001058681A (ja) * 1999-08-25 2001-03-06 Tokuyama Corp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袋
JP2001334620A (ja) * 2000-05-30 2001-12-04 Japan Polychem Corp 積層体及びそれからなる包装袋
JP2003012033A (ja) * 2001-04-23 2003-01-15 Sun A Kaken Co Ltd 加熱処理用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074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0513B2 (ja) 加熱処理用包装体
KR102579018B1 (ko) 가열용 파우치
GB2414226A (en) Food packaging bag having a point seal part to permit venting
JP4968769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多重包装袋
JP2000185777A (ja)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自立包装体,包装体
JP4384317B2 (ja) 自動調圧機能を有する包装袋および包装体
JP2005041557A (ja)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加熱処理用包装体における内容物の包装方法
JP2000190912A (ja) 電子レンジ対応包装材料、それを用いた包装袋及び容器
JP2005324846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KR100675337B1 (ko) 가열처리용 포장체
JP2004106868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5280736A (ja) 包装袋
JP3923616B2 (ja) 包装袋
JPH09150864A (ja)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加熱処理用包装体の逃圧方法
JP2002249177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3808541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食品の包装用シート材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4232246B2 (ja) 包装袋
JP2012071847A (ja) 電子レンジ用蒸気抜き包装袋
JP2020175933A (ja) 包装袋の製造方法及び包装袋
JP2020029299A (ja) 加熱処理包装袋及び加熱処理包装袋の製造方法
JP2005067642A (ja)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食品の加熱処理方法
JP2003205978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12006652A (ja) 電子レンジ用合掌袋
JP2001146276A (ja) 電子レンジ用密封包装袋
JP2017024745A (ja) 蒸気抜き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