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238B1 - 입금기 - Google Patents

입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238B1
KR100675238B1 KR1020057000002A KR20057000002A KR100675238B1 KR 100675238 B1 KR100675238 B1 KR 100675238B1 KR 1020057000002 A KR1020057000002 A KR 1020057000002A KR 20057000002 A KR20057000002 A KR 20057000002A KR 100675238 B1 KR100675238 B1 KR 10067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conveyance
conveying
rotational fo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265A (ko
Inventor
미나미신하야또
기무라아쯔노리
고지마아끼노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07D7/162Length or wid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7Apparatu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or by means responsive to positio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입금기(31)의 투입부(32) 직후의 반송로(35)에는 간이 감별을 행하기 위한 센서(33)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33)는 반송 방향의 지폐의 위치 및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지폐의 폭을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제어부(36)에 출력한다. 제어부(36)는 지폐의 사행 정도 및 지폐의 폭을 계산하여, 이들의 값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감별한다. 지폐의 사행 정도, 혹은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을 때에는, 모터를 역회전시켜 반송로(35)의 반송 방향을 통상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환한다. 이에 의해, 사행의 정도, 혹은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는 지폐를 투입부(32)로 복귀시킬 수 있어, 장치 내부의 반송로에 있어서의 지폐의 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임금기, 투입부, 반송로, 제어부, 센서

Description

입금기{MONEY INPUTTING MACHINE}
본 발명은, 금융 기관 등에서 이용되는 입금기에 관한 것이다.
은행 등에서 현금을 입금하기 위해, 혹은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입금기나 자동 입출금기가 이용되고 있다.
도4는 종래의 입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투입부(12)의 상부에는 셔터가 설치되어, 입금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그 셔터가 개방되어 지폐의 입금이 가능해진다.
입금 풀링(pooling)부(13)는, 투입부(12)로부터 투입되어 내부로 반송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풀링한다.
감별부(14)는, 반송로(a1 및 b1)를 경유하여 반송된 지폐의 진위를 감별한다. 감별부(14)에서 진짜 지폐로 감별된 지폐는, 반송로(c1)를 경유하여 1만엔짜리를 수납하는 1만엔용 스태커(15) 또는 천엔짜리를 수납하는 천엔짜리용 스태커(16)로 반송된다.
직원 카세트(17, 18)는 외부로부터 착탈할 수 있는 카세트로, 보충용 지폐가 수납된다.
현금 보관 박스(19)는 고객이 출금기에서 꺼내는 것을 잊어버린 현금을 보관 하기 위한 것으로, 출금된 지폐가 일정 시간 이상 투입부(12)로부터 취출되지 않은 경우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투입부(12)에 있는 지폐를 보관 박스(219)까지 반송시켜 현금을 보관한다.
리젝트 박스(20)는 감별부(14)에 있어서 진짜 지폐로 감별되었지만, 오염 및 파손 등이 심한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고객에 의해 투입부(12)에 투입되는 지폐는 정렬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 많고, 또한 그 입금기에서는 처리할 수 없는 지폐가 투입되는 경우도 있어 그에 의해 반송로의 도중에서 잼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장치 내부의 반송로에서 잼이 발생되면, 수리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금기에 있어서 반송 도중의 지폐의 잼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금기는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지폐를 내부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의 사행 정도, 또는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간이 감별부와, 상기 간이 감별부에 의해 사행의 정도 또는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다고 감별되었을 때에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 방향을 통상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와,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는 감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의 사행 및 지폐의 폭 등을 간이 감별하여 사행의 정 도, 혹은 폭이 기준치를 넘는 지폐를 투입부로 복귀시킴으로써 후방단의 반송로에 있어서의 지폐의 잼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지폐의 사행 또는 지폐의 폭 등의 간이 감별을, 지폐의 진위의 감별을 행하는 감별부와 달리 투입부 직후의 반송로 상에서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감별부가 설치되어 있는 반송로에 있어서, 잼이 발생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입금기는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지폐를 내부로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와,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후방단에 설치되는 제2 반송 기구와, 상기 제1 반송 기구 내부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지폐의 사행 정도, 또는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간이 감별부와, 상기 제2 반송 기구 내부에 설치되는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는 감별부와, 상기 간이 감별부에 의해 사행의 정도, 또는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다고 감별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반송 방향을 통상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의 사행 및 지폐의 폭 등을 간이 감별하여 사행의 정도, 혹은 폭이 기준치를 넘는 지폐를 투입부로 복귀시킴으로써 후방단의 반송로에 있어서의 지폐의 잼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지폐의 사행 또는 지폐의 폭 등의 간이 감별을, 지폐의 진위의 감별을 행하는 감별부와 달리 투입부 직후의 반송로 상에서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감별부가 설치되어 있는 반송로에 있어서 잼이 발생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입금기는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지폐를 내부로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와,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후방단에 설치되는 제2 반송 기구와, 상기 제1 반송 기구 내부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지폐의 사행 정도, 또는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간이 감별부와, 상기 제2 반송 기구 내부에 설치되는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는 감별부와, 제1 및 제2 반송 기구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반송 기구에 전달하는 일방향성의 회전 전달 특성을 갖는 제1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반송 기구에 전달하는 상기 제1 회전력 전달부와 반대인 일방향성의 회전 전달 특성을 갖는 제2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간이 감별부에 의해 사행의 정도, 또는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다고 감별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반송 방향을 통상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의 사행 및 지폐의 폭 등을 간이 감별하여 사행의 정도, 혹은 폭이 기준치를 넘는 지폐를 투입부로 복귀시킴으로써 후방단의 반송로에 있어서의 지폐의 잼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반대의 회전 전달 특성을 갖는 회전력 전달부를 사용함으로써, 제1 반송로의 반송 방향을 절환하여 바꾸기 위해 모터를 역회전시켰을 때에, 제2 반송 기구의 반송 방향을 통상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반송 기구를 구동하는 모터를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도1은 실시 형태의 입금기 반송로의 설명도이다.
도2의 (a) 및 도2의 (b)는 반송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반송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종래의 입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입금기(31)의 반송로의 설명도이다. 또한, 입금기에는 자동 입출금기도 포함된다.
이 입금기(31)의 기본적 구성은, 도4에 나타낸 종래의 입금기와 동일하다. 도4와 다른 점은, 투입부(32) 직후의 반송로(35) 상에 간이 감별을 행하기 위한 센서(33)를 설치하는 동시에, 투입부(32) 직후의 반송로(35)의 반송 방향을 통상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환되도록 한 점이다.
투입부(32)에 투입된 지폐는 1장씩 조출되고, 반송로(35) 상을 도1의 좌측 방향으로 반송된다. 반송로(35)의 도중에는 간이 감별을 위한 센서(33)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33)는 광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반송 방향의 지폐의 위치 및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지폐의 폭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36)에 출력하는 제어부(36)는 검출된 지폐의 위치와 폭으로부터 사행의 정도 및 지폐의 폭을 산출하여, 이들의 값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감별한다. 이들 센서(33)와 제어부(36)로 간이 감별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부(36)에 의해 지폐의 사행 정도, 혹은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으 다고 감별된 경우에는, 반송로(35)의 반송 방향이 통상과 반대 방향이 되도록 절환되어 지폐가 투입부(32)로 복귀된다. 고객은 투입부(32)로 복귀된 지폐를 정렬하거나, 혹은 처리 대상 밖인 것이 통지된 경우에는 그 지폐를 꺼낸다. 이에 의해, 장치 내부의 반송로에 있어서의 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반송로(37)의 도중에는 감별부(34)가 설치되어 있다. 감별부(34)는 지폐의 진위 감별 등을 행한다.
이 감별부(34)에서 진짜 지폐로 감별된 지폐는, 천엔짜리를 수납하는 스태커(38), 오천엔짜리를 수납하는 스태커(39) 및 1만엔짜리를 수납하는 스태커(40) 중 해당되는 스태커로 반송되어 수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입부(32) 직후의 반송로(35)에 설치한 간이 감별부에서 사행량이 많은 지폐나 기준보다 폭이 넓은 지폐를 감별하여, 해당되는 지폐를 투입부(32)로 복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후방단의 반송로(37)의 감별부(34)에 있어서 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2의 (a) 및 도2의 (b)는 반송로(35 및 37)의 반송 기구(51)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터(52)의 축(53)에는 풀리(54)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풀리(54)는 벨트(55)에 의해 풀리(56)와 연결되어 있다.
풀리(56)는 축(57)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축(57)은 프레임(5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프레임(58)에는 후술하는 반송로 롤러(65a 내지 65c)가 고정되는 축(64) 및 반송 롤러(75a 내지 75c)가 고정되는 축(74) 등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축(57)에는 풀리(59, 60, 61)가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풀리(61)는 벨트(62)에 의해 풀리(63)와 연결되어 있고, 풀리(63)는 축(64)의 우단부[도2의 (a)의 정면으로부터 보아]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축(64)에는 3개의 반송 롤러(65a 내지 65c)가 고정되어 있다. 이 3개의 반송 롤러(65a 내지 65c)는, 도1의 반송로(35)의 반송 롤러이다. 반송 롤러(65a 내지 65c)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반송 벨트가 설치되는 홈이 마련되어 있다.
곧, 모터(52)가 정회전(도2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의 회전을 정회전이라 함)하고 있을 때에는, 풀리(56, 61, 63)도 도2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이하, 이 방향을 단순히 시계 방향이라 함)으로 회전하고, 반송 롤러(65a 내지 65c)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지폐는 도2의 (a)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상부 방향, 즉 통상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한편, 모터(52)가 역회전(도2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역회전이라 함)하고 있을 때에는, 풀리(56, 61, 63)도 도2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이하, 이 방향을 단순히 반시계 방향이라 함)으로 회전하고, 반송 롤러(65a 내지 65c)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지폐는 도2의 상부 방향으로부터 하부 방향, 즉 통상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되어, 지폐는 투입부(32)로 복귀된다.
즉, 제어부(36)에 의해 지폐의 사행 정도, 혹은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다고 감별된 경우에는, 모터(52)의 회전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지폐를 투입부(32) 로 복귀시켜, 고객에게 지폐를 다시 지급함으로써 장치 내부의 반송로에 있어서의 잼을 방지할 수 있다.
풀리(59)는 벨트(66)에 의해 원웨이 풀리(67)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풀리(60)는 벨트(68)에 의해 원웨이 풀리(69)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원웨이 풀리(67, 69)라 함은 어떤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로크된 상태가 되어 회전력을 축으로 전달하고, 그와는 반대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회전력을 축으로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성의 회전력의 전달 특성을 갖는 풀리이다. 이들 원웨이 풀리(67 및 69)가 제1 및 제2 회전력 전달부에 대응한다.
한 쪽 원웨이 풀리(67)는 축(70)에 부착되어 있고, 그 축(70)의 우단부에는 풀리(71)가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풀리(71)는 벨트(72)에 의해 풀리(73)와 연결되어 있다. 풀리(73)는 축(74)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그 축(74)에는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3개의 반송 롤러(75a 내지 75c)가 고정되어 있다. 이 3개의 반송 롤러(75a 내지 75c)는 도1의 반송로(37)의 반송 롤러이다.
다른 쪽 원웨이 풀리(69)는 축(76)에 부착되어 있고, 그 축(76)에는 기어(77)가 고정되어 있다. 기어(77)는 축(70)에 고정된 기어(78)와 결합되어 있어, 기어(77)의 회전이 기어(78)에 전달된다.
원웨이 풀리(67)와 원웨이 풀리(69)는 서로 반대 방향의 회전 전달 특성을 갖고 있고, 예를 들어 원웨이 풀리(67)가 로크 상태가 되는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원웨이 풀리(69)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원웨이 풀리(69)에 가해지는 회전은 축(76)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원웨이 풀리(69)가 로크 상태가 되는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원웨이 풀리(67)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원웨이 풀리(67)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축(7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현재, 모터(52)가 정회전(도2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의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풀리(59, 6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원웨이 풀리(67)는 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로크되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시계 방향의 회전이 축(70)에 전달되어, 축(70)에 고정되어 있는 풀리(71)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회전이 벨트(72)를 거쳐서 풀리(73)에 전달되고, 반송 롤러(75a 내지 75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지폐가 도2의 (a)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반송된다.
모터(52)가 역회전(도2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의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풀리(59, 6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원웨이 풀리(69)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로크되고, 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는 회전 전달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축(76)에 전달되어 축(76)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7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기어(77)의 회전은 기어(78)에 전달된다.
도2의 (b)는 기어(77)와 기어(78)의 회전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기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7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7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7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술한 모터(52)가 정회전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풀리(7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이 벨트(72)에 의해 풀리(73)에 전달되어 반송 롤러(75a 내지 75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지폐가 도2의 (a)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반송된다.
즉, 모터(52)가 정회전한 경우나, 역회전한 경우라도 반송로(37)의 반송 롤러(75a 내지 75c)는 항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폐를 도2의 (a)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다음에, 도3의 (a) 내지 도3의 (c)는 반송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3의 (a)는 투입부(32)에 지폐가 투입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3의 (b)는 지폐를 조출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3의 (c)는 지폐를 투입부(32)로 복귀시킬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35)에는 3개의 반송 롤러(65a 내지65c)[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반송 롤러(65)라 함]와 반송 롤러(84)가 상하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 롤러(85)와 반송 롤러(86)가 상하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하측의 반송 롤러(65)와 반송 롤러(85) 및 상측의 반송 롤러(84)와 반송 롤러(86)는, 각각 반송 벨트(87)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 반송 벨트(87)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폐가 반송된다.
반송로(37)에는 반송로 롤러(75a 내지 75c)[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반송 롤러(75)라 함]와 반송 롤러(88)가 상하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고, 반송 롤러(89)와 반송 롤러(90)가 상하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하측의 반송 롤러(75)와 반송 롤러(89) 및 상측의 반송 롤러(88)와 반송 롤러(90)는, 각각 반송 벨트(9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반송 벨트(91)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지폐가 반송된다.
반송로(35) 상의 지폐가 센서(33) 및 제어부(36)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감별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52)가 정회전하여 반송 롤러(6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지폐는 반송로(35) 상을 도3의 (b)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도3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좌측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도3은 반송로를 도2의 (a)의 좌측[모터(52)측으로부터]으로부터 본 경우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반송 롤러(65 및 75)의 회전 방향은 도2에서 설명한 경우의 반대로 되어 있다. 즉, 도2의 시계 방향이 도3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이 된다. 이하, 도3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 때, 반송로(37)의 반송로 롤러(7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반송로(35)로부터 송출된 지폐는 반송로(37)를 도3의 (b)에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도3의 (b)의 좌측 방향]으로 반송된다.
한편, 센서(33) 및 제어부(36)에 의해 지폐의 폭, 혹은 사행의 정도가 기준치를 넘고 있다고 감별된 경우에는, 모터(52)가 역회전하여 반송 롤러(6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송로(35)의 반송 방향이 통상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환된다. 그 결과, 반송 벨트(87)에 끼워져 있는 지폐는 도3의 (c)의 우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때, 조출 롤러(83)도 통상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조출부(82) 도 통상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폐가 투입부(32)로 복귀된다. 동시에 고객에 대해, 투입한 지폐가 간이 감별부에서 NG가 된 것이 통지되기 때문에, 고객이 지폐를 정렬하여 다시 넣거나, 혹은 부적절한 지폐를 빼냄으로써 장치 내부의 반송로에서 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52)가 역회전하는 경우도, 반송로(37)의 반송로 롤러(75)는 동일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반송로(37)에 있는 지폐는 통상과 동일한 방향, 즉 도3의 (c)에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반송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센서(33)와 제어부(36)로 이루어지는 간이 감별부에 의해 반송로(35) 상의 지폐의 사행 정도, 지폐의 폭(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감별하고, 기준치를 넘고 있을 때에는 반송로(35)의 반송 방향을 통상의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환하여, 지폐를 투입부(32)로 복귀시켜 고객에게 지폐를 다시 지급하거나 혹은 부적절한 지폐를 제거해 줌으로써 장치 내부의 반송로에서의 잼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원웨이 풀리를 이용함으로써 1개의 모터로 반송로(35)의 반송 기구와 반송로(37)의 반송 기구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1) 실시 형태는 1개의 모터로 반송 롤러(65a 내지 65c)와 반송 롤러(75a 내지 75c)를 구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각각 다른 모터로 구동해도 좋다. 그 경우, 반송로(35)와 후방단의 반송로(37)의 반송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원웨이 풀리를 사용할 필요는 없어진다.
(2) 모터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켰을 때 반송로(37)의 반송 롤러(75a 내지 75c)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구는, 원웨이 풀리를 사용하는 데 한정되지 않으며,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구동 기구를 절환하도록 해도 좋다.
(3) 지폐의 조출 기구 및 반송 기구는 실시 형태에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다른 기구를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의 사행 및 지폐의 횡폭 등을 간이 감별하여 사행의 정도, 혹은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 지폐를 투입부로 복귀시킴으로써 장치 내부의 반송로에 있어서의 지폐의 잼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지폐를 내부로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와,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후방단에 설치되는 제2 반송 기구와,
    상기 제1 반송 기구 내부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지폐의 사행 정도 또는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간이 감별부와,
    상기 제2 반송 기구 내부에 설치되는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는 감별부와,
    상기 간이 감별부에 의해 사행의 정도, 또는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 다고 감별되었을 때에,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반송 방향을 통상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입금기.
  3.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지폐를 내부로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와,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후방단에 설치되는 제2 반송 기구와,
    상기 제1 반송 기구 내부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지폐의 사행 정도, 또는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감별하는 간이 감별부와,
    상기 제2 반송 기구 내부에 설치되는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는 감별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반송 기구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반송 기구에 전달하는 일방향성의 회전 전달 특성을 갖는 제1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반송 기구에 전달하는 상기 제1 회전력 전달부와 반대인 일방향성의 회전 전달 특성을 갖는 제2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간이 감별부에 의해 사행의 정도, 또는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다고 감별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반송 방향을 통상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입금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력 전달부는 제1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로크된 상태가 되어 회전력을 상기 제2 반송 기구에 전달하고, 제2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성의 회전 전달 특성을 갖고,
    상기 제2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제1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상기 제2 반송 기구에 대해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상기 제2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로크된 상태가 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방향성의 회전 전달 특성을 갖는 입금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이 감별부에 의해 반송 중인 지폐의 사행 정도 및 지폐의 폭이 기준치 이하라 감별되었을 때, 상기 모터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방향의 회전에 대해 로크 상태가 되는 상기 제1 회전력 전달부를 거쳐서 회전력을 상기 제2 반송 기구에 전달하고, 상기 간이 감별부에 의해 상기 지폐의 사행 정도 또는 지폐의 폭이 기준치를 넘고 있다고 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모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반송 방향을 통상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방향의 회전에 대해 로크 상태가 되는 상기 제2 회전력 전달부를 거쳐서 회전력을 상기 제2 반송 기구로 전달하여, 상기 지폐를 통상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입금기.
KR1020057000002A 2002-08-30 2002-08-30 입금기 KR100675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8818 WO2004023406A1 (ja) 2002-08-30 2002-08-30 入金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265A KR20050013265A (ko) 2005-02-03
KR100675238B1 true KR100675238B1 (ko) 2007-01-30

Family

ID=3197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002A KR100675238B1 (ko) 2002-08-30 2002-08-30 입금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91937B2 (ko)
JP (1) JP4219897B2 (ko)
KR (1) KR100675238B1 (ko)
CN (1) CN100533494C (ko)
AU (1) AU2002332277A1 (ko)
WO (1) WO2004023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9897B2 (ja) * 2002-08-30 2009-02-04 富士通株式会社 入金機
SE527837C2 (sv) * 2004-01-08 2006-06-20 Unjo Ab Styrsystem för sedelhanterare
JP4768329B2 (ja) * 2005-06-17 2011-09-07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AU2006202180A1 (en) * 2005-06-17 2007-01-11 Aruze Corp. Bill handling device
JP4951251B2 (ja) * 2006-02-27 2012-06-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CN101482990B (zh) * 2008-01-07 2010-07-28 吉鸿电子股份有限公司 纸钞接收机的入口闸门装置
KR101462893B1 (ko) * 2008-12-24 2014-11-1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입금장치
JP5327962B2 (ja) * 2009-03-23 2013-10-30 サンデン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JP5719563B2 (ja) * 2010-11-01 2015-05-2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6490482B2 (ja) * 2015-04-09 2019-03-2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引装置、動力伝達機構
GB2557213B (en) * 2016-11-30 2019-12-04 Innovative Tech Ltd A banknote storage unit
CN112446912B (zh) * 2021-02-01 2021-06-04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金融票据宽度计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287A (en) * 1979-07-19 1981-02-17 Laurel Bank Machine Co Bill type discriminator for bill counter
JPS58221487A (ja) * 1982-06-16 1983-12-23 株式会社東芝 入出金装置
US4596924A (en) * 1982-06-16 1986-06-24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depositing apparatus
JPS5911490A (ja) * 1982-07-12 1984-01-21 株式会社東芝 入出金装置
US4639582A (en) * 1984-05-16 1987-01-27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irculating-type bill depositing and disbursing machine
JPS61276089A (ja) * 1985-05-31 1986-12-0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搬送制御装置
DE3639755A1 (de) * 1985-11-22 1987-05-27 Oki Electric Ind Co Ltd Selbstdiagnoseverfahren fuer ein geraet
JP2737167B2 (ja) 1988-09-19 1998-04-08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H0283847U (ko) * 1988-12-19 1990-06-28
JP3038943B2 (ja) * 1991-02-20 2000-05-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US6736251B2 (en) * 1992-09-04 2004-05-18 Coinstar, Inc. Coin counter and 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JP2942126B2 (ja) * 1993-12-13 1999-08-3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葉類入出金機における紙葉類収納繰出機構
JP4264997B2 (ja) * 1998-08-06 2009-05-20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2001344635A (ja) * 2000-06-02 2001-12-14 Birukon Kk 紙葉類識別計数機およびその識別計数方法
JP3955440B2 (ja) * 2001-01-23 2007-08-0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出金処理機
JP4022582B2 (ja) * 2001-10-09 2007-12-19 旭精工株式会社 紙幣受入装置
JP4219897B2 (ja) * 2002-08-30 2009-02-04 富士通株式会社 入金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3406A1 (ja) 2004-03-18
US20050127163A1 (en) 2005-06-16
AU2002332277A1 (en) 2004-03-29
US7191937B2 (en) 2007-03-20
AU2002332277A8 (en) 2004-03-29
JPWO2004023406A1 (ja) 2006-01-05
CN1639743A (zh) 2005-07-13
JP4219897B2 (ja) 2009-02-04
KR20050013265A (ko) 2005-02-03
CN100533494C (zh)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582B1 (ko) 지폐수납방출고
JP4135238B2 (ja) 紙幣入出金機
JP3815651B2 (ja) 紙幣入出金機
RU2171770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документов в электронном банковском автомате и электронный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со съемными контейнерами повтор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арианты)
US7191937B2 (en) Cash depository
WO2013172083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S61276090A (ja) 循環式入出金装置
JPS61276089A (ja) 紙葉類搬送制御装置
WO2014155645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325886B2 (ja) 紙幣入出金機
JP5153530B2 (ja) 紙幣入出金機
JP4366434B2 (ja) 自動取引装置
JP6834248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423344B2 (ja) 自動取引装置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9151703A (ja) 紙幣処理装置
JP5498516B2 (ja) 紙幣入出金機
JP4110183B2 (ja) 紙幣収納放出庫
JP5498549B2 (ja) 紙幣入出金機
JPH06219596A (ja) 紙幣自動支払装置
JP2002145462A (ja) 紙幣処理装置
CN111105551B (zh) 钞箱及现金循环处理设备
JP2763192B2 (ja) 紙幣入出金装置の紙幣集積方法
JP2023109472A (ja) 紙葉類幅寄せ装置、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幅寄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