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738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738B1
KR100673738B1 KR1020050034366A KR20050034366A KR100673738B1 KR 100673738 B1 KR100673738 B1 KR 100673738B1 KR 1020050034366 A KR1020050034366 A KR 1020050034366A KR 20050034366 A KR20050034366 A KR 20050034366A KR 100673738 B1 KR100673738 B1 KR 10067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guide
guide groove
inser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694A (ko
Inventor
료이치로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log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삽입형 버클에 있어서, 버클 본체와 삽입체 사이에 덜거덕거림이 없고, 충격음이나 진동음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한다.
하우징(20)으로 형성된 버클 본체(1)와 양측에 삽입 다리부(31)를 설치한 삽입체(2)로 이루어진 수지제의 버클에 있어서, 버클 본체(1)는 하우징(20)의 상면판(21)과 하면판(22)의 내면의 중앙 종방향으로 오목 형상의 안내홈(5)을 설치하고, 삽입체(2)는 기간(30)의 중앙에 하우징(20)내에 설치된 안내홈(5)으로 삽입할 수 있는 안내핸들(6)을 설치하고, 안내홈(5) 또는 안내핸들(6) 또는 안내홈(5)과 안내핸들(6)의 쌍방의 일부에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융기된 슬라이딩 접촉부(8)를 설치하고, 안내핸들(6)을 안내홈(5)에 삽입하였을 때, 버클이 덜거덕거리는 것을 저지한다.
본체, 다리부, 삽입체, 안내홈, 안내핸들, 융기부, 슬라이딩 접촉부

Description

버클{BUCKLE}
도1은 삽입형 버클에 대한 버클 본체와 삽입체의 사시도.
도2는 버클에 대한 버클 본체를 2분할한 사시도.
도3은 버클에 대한 삽입체의 정면도.
도4는 버클에 대한 버클 본체의 평면단면도.
도5는 버클에 대한 버클 본체와 삽입체의 종단면도.
도6은 버클에 대한 삽입시의 정면도.
도7은 버클에 대한 도6의 선Ⅶ-Ⅶ을 따른 단면도.
도8은 버클의 안내홈과 안내핸들의 삽입시의 요부단면도.
도9는 실시예2의 버클의 안내홈과 안내핸들의 삽입시의 요부단면도.
도10은 실시예3의 버클의 안내홈과 안내핸들의 삽입시의 요부단면도.
도11은 버클에 대한 버클 본체의 평면단면도.
도12는 공지의 삽입형 버클의 정면도.
도13은 또 다른 공지의 삽입형 버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삽입체
5: 안내홈 6: 안내핸들
8: 슬라이딩 접촉부 11: 융기부
12: 오목부 16: 기부
17: 선단부
본 발명은 하우징형의 버클 본체와 삽입용 다리부를 구비한 삽입체에 의한 삽입형 버클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의복, 가방, 스포츠용품 등에 이용되는 벨트 체결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우징형 버클 본체(101)와 좌우 양측에 삽입 다리부(131)를 구비한 삽입체(102)로 형성된 삽입형 버클에 있어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본체(101)의 하우징(120)에 대한 내면 중앙의 종방향에 한쌍의 벽체(150)를 상하판 사이에 가설하고, 상기 벽체(140)는 개구측이 넓고, 깊이가 좁아지는 쐐기형의 안내홈(105)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05)의 심부에 안내홈(105)내로 돌출되는 쐐기형의 소돌기부(151)를 설치하고, 안내홈(105)의 개구측에는 얕게 소형의 쐐기형 소안내홈(152)을 오목하게 설치한다. 삽입체(102)는 기간(130)의 중앙에 안내홈(105)으로 삽입가능한 안내부재(106)를 전방을 향하여 돌출설치하고, 안내부재(106)의 선단에 버클 본체(101)에 돌출설치한 소돌기부(151)에 삽입가능한 쐐기형의 소안내홈(153)을 설치하며, 또한 안내부재(106)의 기부에 대한 표면에 버클 본체(101)의 안내홈(105)내에 설치한 소안내홈(152)과, 삽입가능한 쐐기형의 소돌기부(154)를 중합형으로 일체로 설치하여, 3개소에서 협착가능한 삽입형 버클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본체(201)의 하우징(220)의 내면에 대한 중앙 종방향으로 한쌍의 안내편(255)을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설치하여, 오목형상의 안내홈(205)을 대향 상태로 설치하며, 삽입체(202)는 기간(230)의 중앙에 H형 단면의 안내핸들(206)을 전방으로 돌출설치하고, 안내핸들(206)은 안내홈(205)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 삽입형 버클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1] 특개평 제8-131215호 공보
[특허문헌2] 미국특허 제5.794.316호
상술의 도12에 도시된 삽입형 버클은 버클 본체(101)의 하우징(120)내에 설치된 안내홈(105) 및 소돌기부(151), 소안내홈(152)은 모두 쐐기 형상이며, 또한 삽입체(102)에 설치된 안내부재(106) 및 소안내홈(153), 소돌기부(154) 또한 모두 쐐기 형상이기 때문에, 일정한 삽입범위에서 협착하여 버클의 전후방향에서의 위치규제가 가능한 삽입형 버클이지만, 버클의 표리방향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버클 본체(101)의 하우징(120)으로 삽입체(102)의 삽입 다리부(131) 및 안내부재(106)를 삽입하여 사용하였을 때, 덜거덕거림이 발생하여 가방 등에 이용될 경우, 충격음 또는 진동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삽입형 버클은 버클 본체(201)의 하우징(220)의 내면에 형성한 안내홈(205)에 삽입체(202)의 안내핸들(206)을 삽입하였을 때, 안내핸들(206)의 두께가 일정하기 때문에, 안내홈(205)에 안내핸들(206)을 부드럽게 삽입하 기 위해서는 안내홈(205)과 안내핸들(206) 사이에 여유있는 간극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간극을 설치하면 덜거덕거림이 발생되고 진동음이 발생된다. 또한, 안내핸들(206)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면, 버클 본체(201)의 하우징(220)에 삽입체(202)의 안내핸들(206)을 삽입했을 경우, 마찰저항이 커져 삽입 조작이 부드럽게 실행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하우징으로 형성된 버클 본체와, 양측에 삽입 다리부와 중앙에 안내 핸들을 구비한 삽입체로 형성되는 삽입형 버클에 있어서, 삽입체의 삽입 다리부 및 안내핸들을 버클 본체의 하우징으로 삽입하였을 때, 버클 본체와 삽입체의 표리방향으로의 간극을 제공하지 않고 일부에 압접하는 습접면을 설치하여 버클의 요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충격음이나 진동음의 발생을 저지하고, 또한 삽입 조작이 매우 부드럽게 실행될 수 있으며, 게다가 구조도 간단한 품질좋은 삽입형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의 목적은 상기 제1실시예의 목적에 부가하여, 버클 본체의 하우징에 삽입체의 안내핸들을 삽입하였을 때 양자가 압접하는 습접면은 한쪽이 평탄면이고 다른쪽이 팽창한 융기부, 또는 한쪽이 폐쇄된 오목부이고 다른쪽이 팽창한 융기부로 형성되어 버클 본체와 삽입체와의 요동을 방지하고, 충격음이나 진동음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 삽입형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6실시예의 목적은 상기 제1실시예의 목적에 부가하여, 안내홈과 안내핸들에 위치된 습접면을 안내홈과 안내핸들의 어느 위치에 설치하던지, 그 위치를 특정하여 버클 본체의 하우징과 삽입체의 안내핸들의 요동을 방지하고, 버클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음이나 진동음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삽입형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및 제8실시예의 목적은 상기 제1실시예의 목적에 부가하여, 안내홈 및 안내핸들에 위치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습접면을 양면 또는 편면, 즉, 안내홈의 상하 양면과 안내핸들의 상하 양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안내홈의 한쪽 대향면과 안내핸들의 한쪽 대향면에 설치하여, 버클 본체의 하우징과 삽입체의 안내핸들의 요동을 방지하고, 버클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음이나 진동음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삽입형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으로 형성된 버클 본체와, 양측에 삽입 다리부를 설치한 삽입체로 이루어진 수지제 버클에 있어서, 버클 본체는 하우징의 상면판 및 하면판의 내면에 대한 중앙 종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안내홈을 설치하고, 한쪽 삽입체는 기간의 중앙에 하우징내에 설치한 안내홈으로 삽입할 수 있는 안내핸들을 전방을 향하여 돌출설치하고, 하우징내의 안내홈 또는 삽입체에 설치된 안내핸들, 또는 하우징내의 안내홈 및 삽입체에 설치된 안내핸들의 쌍방의 일부에,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할 수 있는 습접면을 설치한 삽입형 버클을 주요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한쪽이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다른쪽이 대향면으로 팽창되는 융기부로 이루어진 삽입형 버클이 제공된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한쪽이 폐쇄된 오목부로 형성되고, 다른쪽이 대향면으로 팽창되는 융기부로 이루어진 삽입형 버클이 제공된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 삽입체에 설치된 안내핸들의 기부 및 하우징내에 설치된 안내홈의 말단부측, 여기서 말단부측이라 함은 안내홈에서 삽입체의 안내핸들을 삽입하였을 때, 안내핸들의 선단부와 대응하는 부위를 밀단부측이라 하지만, 상기 말단부측에 대한 대향면에 각각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습접면을 설치한 삽입형 버클이 제공된다.
제5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 삽입체에 설치된 안내핸들의 기부 및 선단부와 대면하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안내홈의 대향면에 각각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습접면을 설치한 삽입형 버클이 제공된다.
제6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설치된 안내홈의 삽입구 및 말단부측과, 삽입체에 설치된 안내핸들의 기부에 각각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를 설치한 삽입형 버클이 제공된다.
제7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 삽입체에 설치된 안내핸들에 배치된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하 즉, 표리 양면에 형성하고, 하우징내에 설치된 안내홈에 설치되는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하 내면에 형성한 삽입형 버클이 제공된다.
제8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 삽입체에 설치된 안내핸들에 설치되는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하 즉, 표리 한쪽의 편면에 형성하고, 하우징내에 설치된 안내홈에 설치되는 상대하는 대향면을 압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삽입체에 설치된 안내핸들에 형성한 슬라이딩 접촉부와 대향하는 측의 편면에 형성한 삽입형 버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버클 본체와 삽입체를 결합시켰을 때, 하우징내에 설치된 안내홈에 삽입체의 안내핸들을 삽입하였을 때, 안내홈과 안내핸들이 버클의 표리방향으로 압접되고, 요동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의 물품과 마찬가지로 버클 본체와 삽입체 사이에서 습동하여 충격음이나 진동음을 발생하지 않고; 또는 버클의 좌우로의 요동은 탄발성을 구비한 삽입 다리부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충격음이나 진동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안내홈과 안내핸들의 슬라이딩 접촉부가 압접되는 부위는 안내핸들을 삽입조작의 최후 단계에서 압접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안내핸들의 삽입 조작이 매우 부드럽게 실행될 수 있다.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본체의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안내홈 및 삽입체에 설치되는 안내핸들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접촉부의 형태는 매우 간단한 구조이지만, 압접되는 동작은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고, 충격음이나 진동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제4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본체의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안내홈 및 삽입체에 설치되는 안내핸들에 설치한 슬라이딩 접촉부의 부위를 안내홈 및 안내부의 일부에만 설치하여 압접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고, 충격음이나 진동음의 발생을 정확하게 저지할 수 있다.
제7 및 제8실시예에 따르면, 안내핸들과 안내홈에 배치되는 습동부는 서로 상대하는 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압접기능을 효과적으로 또한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 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는 현저하다.
본 발명의 버클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본체(1)와, 상기 버클 본체(1)로의 삽입을 실행할 수 있는 삽입체(2)로 이루어진 삽입형 버클이며; 버클 본체(1)와 삽입체(2)는 함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수단에 의해 성형된다. 버클 본체(1)는 하우징(20)으로 형성되며, 하우징(20)의 한쪽 단부는 삽입체(2)의 삽입 다리부(31), 안내핸들(6)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24), 다른쪽 단부에는 벨트 부착부(28)를 설치하고, 양측에는 삽입 다리부(31)의 조작부(33)가 표출될 수 있는 원호형으로 절결된 개구부(25)를 설치한다.
하우징(20)의 내부는 상면판(21)의 중앙 종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안내홈(5)을 설치하고, 밀단부측(15)에 안내핸들(6)의 선단부(17)가 접촉하여 압접할 수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접촉부(8)를 설치한다. 또한, 하면판(22)내의 중앙 종방향으로 상면판(21)의 안내홈(5)에 대응하도록 안내홈(5)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면판(21)의 슬라이딩 접촉부(8)에 대응하여 말단부측(15)에 경사면의 슬라이딩 접촉부(8)를 설치하고, 또한 안내홈(5)의 중앙부에 안내홈(5)의 삽입구부(14)를 향하여 융기되는 돌기부(26)를 설치하여 안내핸들(6)의 오목 홈부(35)를 삽입하여 안내한다. 하우징(20)내의 벨트 부착부(28)측에는 삽입 다리부(31)의 결합 돌출부(32)와 결합될 수 있는 후크형 결합부(27)를 상면판(21) 및 하면판(22)에 돌출설치한다.
삽입체(2)는 기간(30)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 다리부(31),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하우징(20)의 안내홈(5)으로 삽입할 수 있는 안내핸들(6)을 돌출설치하고, 상기 안내핸들(6)의 상하 표면은 평탄한 평탄면(10)을 형성한다. 또한, 안내핸들(6)의 기부(16)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융기부(11)를 형성하여 슬라이딩 접촉부(8)를 설치하고, 안내홈(5)의 삽입구부(14)에 압접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안내핸들(6)의 상면은 기부(16)로부터 선단부(17)를 향하여 선단이 폐쇄된 폐쇄 오목부(36)를 설치하고, 하면은 기부(16)로부터 선단부(17)까지 선단이 개방된 U형 오목 홈부(35)를 오목하게 설치하여 안내홈(5)에 설치한 돌기부(26)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안내핸들(6)의 근원부분에는 보강부(37)를 다른쪽을 향하여 내어붙이는 형태로 형성하고, 그 양측에 간극을 두고 기간(30)의 양측부분으로부터 도중에 두꺼운 조작부(33)를 구비한 삽입 다리부(31)를 전방으로 돌출설치하고, 삽입 다리부(31)의 선단에 대한 상하 양면에 결합부(27)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출부(32)를 설치하며, 삽입 다리부(31)는 하우징(20)의 삽입구(24)로부터 폐쇄되었을 때 외측방향으로 탄발하여 측벽(23)에 압접하는 형태로 형성한다.
삽입형 버클의 조작은 버클 본체(1)에 삽입체(2)의 삽입 다리부(31) 및 안내핸들(6)을 삽입하면,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핸들(6)의 기부(16)의 상하 표면에 형성한 융기부(11)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접촉부(8)가 하우징(20)의 상면판(21) 및 하면판(22)에 설치된 안내홈(5)의 삽입구부(14)에 압접하고, 또한 안내핸들(6)의 선단부(17)는 안내홈(5)에 설치된 말단부측(15)의 상하 내면의 경사면의 슬라이딩 접촉부(8)에 압접하고, 안내핸들(6)은 상향 양면의 기부(16)우ㅘ 선단부(17)로 상하 양면의 안내홈(5)에 대한 삽입구부(14)와 말단측부(15)로 강고히 지지하고, 삽입체(2)는 하우징 본체(1)내에서 상하방향 즉, 표리방향으로 덜거덕거림이 없기 때문에, 충격음이나 진동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실시예1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실시예의 삽입형 버클에 대해 설명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이라 칭하는 버클 본체(1)와, 상기 버클 본체(1)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라 칭하는 삽입체(2)로 형성되며; 버클 본체(1)와 삽입체는 함께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사출성형수단으로 버클 본체(1)와 삽입체(2)를 성형한다.
버클 본체(1)는 상면판(21), 하면판(22), 측벽(23)으로 둘러싸인 하우징(20)으로 형성되고, 하우징(20)의 일단은 삽입체(2)에 설치된 삽입 다리부(31)와 안내핸들(6)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24)를 형성하고, 타단은 측벽(23)에 벨트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핸들(29)을 가설하여 벨트 부착부(28)를 형성하고, 하우징(20)의 양측에는 삽입 다리부(31)에 설치한 조작부(33)가 표면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원호형상으로 절결한 개구부(26)를 설치한다. 하우징(20)의 내부는 상면판(21)의 내면의 중앙 종방향으로 오목 형상을 이루는 안내홈(5)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홈(5)의 말단부측(15)에 안내핸들(6)의 선단부(17)가 접촉하여 압접될 수 있는 경사면을 설치하여 습접면(8)을 형성한다.
하우징(20)의 하면판(22)의 내면의 중앙 종방향으로 상면판(21)에 설치한 안내홈(5)에 대응하도록 안내홈(5)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면판(21)의 슬라이딩 접촉부(8)에 대응하여 말단부측(15)에 경사면을 이루는 습접면(8)을 설치하여 삽입체(2)의 안내핸들(6)과 습접한다. 또한 오목한 형상의 안내홈(5)의 중앙에는 안내홈(5)의 삽입구부(14)를 향하여 중앙부분이 상방향으로 융기되는 돌기부(26)를 설치하고, 안내핸들(6)에 설치된 오목 홈부(35)와 결합하여 안내핸들(6)을 안내한다. 하우징(20)의 상면판(21)과 하면판(22)의 벨트 부착부(28)측에 삽입체(2)의 삽입 다리부(31)의 선단에 형성한 결합 돌출부(32)와 결합할 수 있는 후크형의 결합부(27)를 간극을 두고 돌출설치한다.
삽입체(2)는 측부 프레임(34)에 가설된 기간(30)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 다리부(31)를 돌출설치하고, 기간(30)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하우징(20)에 설치한 안내홈(5)으로 삽입할 수 있는 안내핸들(6)을 돌출설치하고, 상기 안내핸들(6)의 상하 양면은 평탄한 평탄면(10)으로 형성한다. 단, 안내핸들(6)의 기부(16)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융기부(11)를 설치하므로써, 슬라이딩 접촉부(8)를 형성하고, 안내홈(5)의 삽입구부(14)를 압접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안내핸들(6)의 상면은 기부(16)로부터 선단부(17)를 향해 선단이 폐쇄된 오목 형상의 오목부(36)를 설치하고, 하면은 기부(16)로부터 선단부(17)까지 선단이 개방되어 전체가 U형 홈을 이루는 오목 홈부(35)를 오목하게 설치한다. 상기 오목 홈부(35)는 하우징(20)의 안내홈(5)에 설치된 돌기부(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안내한다.
안내핸들(6)의 근원부분에는 측방향으로 내어붙임 보강부(37)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37)의 양측에 간극을 두고 기간(30)의 양측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 출되는 삽입 다리부(31)를 돌출설치하고, 상기 삽입 다리부(31)는 도중에 두꺼운 조작부(33)를 설치하여 하우징(20)의 개구부(25)로부터 표출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삽입 다리부(31)의 선단의 상하 양면에는 하우징(20)에 설치된 결합부(27)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출부(32)를 설치한다. 삽입 다리부(31)는 하우징(20)의 삽입구(24)로부터 삽입되었을 때 외측방향으로 탄발하여 측벽(23)에 압접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측부 프레임(34)에는 벨트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핸들(39) 및 벨트를 가압하여 활동을 저지하기 위한 가압부(40)를 가설하여 벨트 부착부(38)를 형성한다.
삽입형 버클의 조작은 버클 본체(1)에 삽입체(2)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여 삽입하면, 삽입 다리부(31)가 전지하면 선단이 후크형의 결합부(27)의 내연을 따라 내측으로 가압하여 진행하고, 종단에서 삽입 다리부(31)가 외측으로 탄발하여 결합부(27)로 결합 돌출부(32)를 결합시켜 자물쇠를 채운 상태를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핸들(6)의 기부(16)의 상하면에 설치된 팽창하는 융기부(11)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접촉부(8)가, 하우징(20)에 설치된 상하 내면의 안내홈(5)에 대한 삽입구부(14)에 압접되고, 또한 안내핸들(6)의 선단부(17)는 안내홈(5)에 설치된 말단부측(15)의 상하 내면의 경사면의 슬라이딩 접촉부(8)에 압접하고, 안내핸들(6)은 상하 양면의 기부(16)와 선단부(17)의 상하 양면으로 안내홈(5)에 대한 삽입구부(14)와 말단부측(15)의 양면으로 강고히 지지하고, 삽입체(2)는 버클 본체(1)내에서 상하방향 즉, 표리방향으로 덜거덕거림이 없기 때문에, 충격음이나 진동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2
도9에 도시된 실시예의 삽입형 버클은 버클 본체(1)의 하우징(20)에 설치된 안내홈(5)과 삽입체(2)에 설치된 안내핸들(6)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접촉부(8)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버클 본체(1)의 하우징(20)에 대한 상면판(21)과 하면판(23)의 내면에 형성하는 안내홈(5)은 삽입체(2)의 안내핸들(6)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부(14)에, 내측을 향하여 원호형으로 돌출되는 융기부(11)를 설치하므로써 슬라이딩 접촉부(8)를 형성하고, 또한 상하 내면의 안내홈(5)의 말단부측(15)에 경사면을 이루는 슬라이딩 접촉부(8)를 형성한다.
삽입체(2)의 안내핸들(6)은 상면 및 하면은 기부(156)로부터 선단부(17)까지 모두 평탄한 평탄면(10)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안내핸들(6)을 하우징(20)의 상하 내면의 안내홈(5)에 삽입하면 안내홈(5)에 설치된 삽입구부(14)에 대한 융기부(11)의 슬라이딩 접촉부(8)는 기부(16)와 압접된다. 또한, 말단부측(15)의 경사면 형상의 슬라이딩 접촉부(8)는 안내핸들(6)의 선단부(17)와 압접하므로써, 안내핸들(6)은 하우징(20)내의 전후에 대한 슬라이딩 접촉부(8)와 압접되고, 강고히 지지되어 덜거덕거리지 않고 충격음이나 진동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3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삽입형 버클은 버클 본체(1)의 하우징(20)에 설치된 안내홈(5)과, 삽입체(2)에 설치된 안내핸들(6)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접촉부(8)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버클 본체(1)의 하우징(20)에 대한 상면판(21)과 하면판(22)의 내면에 형성되는 안내홈(5)은 삽입체(2)의 안내핸들(6)을 삽입하는 삽입구부(14)에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정점면에 오목부(12)를 구비한 융기부(11)를 설치하므로써 슬라이딩 접촉부(8)를 형성한다. 또한, 상하 내면의 안내홈(5)의 말단부측(15)에 경사면을 이루는 슬라이딩 접촉부(8)를 형성한다.
삽입체(2)의 안내핸들(6)은 상면과 하면의 기부(16)에 외측으로 팽창되는 융기부(1)를 설치하여 슬라이딩 접촉부(8)를 형성하고, 안내홈(5)에 형성된 오목부(12)는 융기부(11)로부터 형성된 슬라이딩 접촉부(8)와 압접하고, 또한 안내핸들(6)의 선단부(17)는 안내홈(5)의 말단부측(15)에 경사면을 형성한 슬라이딩 접촉부(8)에 압접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삽입체(2)를 하우징(20)에 삽입하였을 때, 안내핸들(6)이 안내홈(5)에 설치한 삽입구부(14)의 슬라이딩 접촉부(78) 및 말단부측(15)의 슬라이딩 접촉부(8)와 압접하므로써, 안내핸들(6)은 하우징(20)내의 전후의 슬라이딩 접촉부(8)와 압접되고, 안내핸들(6)은 강고히 전후로 지지되어 덜거덕거리지 않으며 충격음이나 진동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삽입형 버클은 버클 본체와 삽입체를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고, 의복, 가방 등의 체결용으로 이용하여, 사용중에 충격음이나 진동음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 품질좋은 삽입형 버클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하우징(20)으로 형성된 버클 본체(1)와 양측에 삽입 다리부(31)를 설치한 삽입체(2)로 이루어진 수지제의 버클에 있어서,
    버클 본체(1)는 하우징(20)의 내면의 중앙 종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안내홈(5)을 설치하고, 삽입체(2)는 기간(30)의 중앙에 안내홈(5)으로 삽입가능한 안내핸들(6)을 설치하며,
    상기 안내홈(5) 또는 안내핸들(6) 또는 이들중 일부에, 대향면을 압접하는 슬라이딩 접촉부(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접촉부(8)는 안내홈(5) 및 안내핸들(6)에 형성된 평탄면(10); 및 상대하는 안내핸들(6) 및 안내홈(5)의 상기 평탄면(10)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된, 상대하는 평탄면(10)을 향하여 돌출하는 융기부(1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접촉부(8)는 안내홈(5) 및 안내핸들(6)에 형성된 오목부(12); 및 상대하는 안내핸들(6) 및 안내홈(5)의 상기 오목부(12)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된, 상대하는 오목부(12)를 향하여 돌출하는 융기부(1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안내핸들(6)의 기부(16) 및 안내홈(5)의 말단부측(15)에 대한 대향면에 슬라이딩 접촉부(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안내핸들(6)의 기부(16) 및 선단부(17)와 대면하는 안내홈(5)의 대향면에 슬라이딩 접촉부(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안내홈(5)의 삽입구부(14) 및 말단부측(15)과 안내핸들(6)의 기부(16)에 슬라이딩 접촉부(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1항에 있어서, 안내핸들(6)에 설치된 슬라이딩 접촉부(8)는 상하 양면에 형성되고, 안내홈(5)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접촉부(8)는 상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1항에 있어서, 안내핸들(6)에 설치된 슬라이딩 접촉부(8)는 편면에 형성되고, 안내홈(5)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접촉부(8)는 안내핸들(6)의 슬라이딩 접촉부(8)와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50034366A 2004-04-27 2005-04-26 버클 KR100673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30924A JP4376113B2 (ja) 2004-04-27 2004-04-27 バックル
JPJP-P-2004-00130924 2004-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694A KR20060046694A (ko) 2006-05-17
KR100673738B1 true KR100673738B1 (ko) 2007-01-24

Family

ID=3493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366A KR100673738B1 (ko) 2004-04-27 2005-04-26 버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18259B2 (ko)
EP (1) EP1591033B1 (ko)
JP (1) JP4376113B2 (ko)
KR (1) KR100673738B1 (ko)
CN (1) CN100427003C (ko)
TW (2) TWM3238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438B1 (ko) 2009-05-23 2012-04-30 백지숙 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0004B2 (ja) * 2007-09-05 2012-09-05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N102164519B (zh) * 2008-10-03 2014-02-26 Ykk株式会社 带扣
US8286311B2 (en) * 2008-10-31 2012-10-16 Jisook Paik Buckle
CN102361569B (zh) 2009-03-31 2014-05-28 Ykk株式会社 旁开扣
CN103238991B (zh) * 2009-09-30 2015-12-09 Ykk株式会社 旁开扣
DE112009005297B4 (de) 2009-09-30 2013-12-05 Ykk Corporation Durch lateralen Druck lösbare Schnalle
JP5469542B2 (ja) * 2010-06-07 2014-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2013063149A (ja) * 2011-09-16 2013-04-11 Nifco Inc バックル
CN104125786B (zh) * 2012-02-16 2016-08-24 Ykk株式会社 带扣
US9833720B2 (en) * 2015-06-22 2017-12-05 Kma Concepts Limited Clip launcher system with interconnecting projectile
KR101777109B1 (ko) * 2015-11-05 2017-09-12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버클
USD799370S1 (en) * 2016-01-12 2017-10-10 Woojin Plastic Co., Ltd Female receptacle of buckle
USD814968S1 (en) * 2016-09-06 2018-04-10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Buckle
USD814969S1 (en) * 2016-09-06 2018-04-10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Buckle
CN208144600U (zh) * 2018-03-21 2018-11-27 香港多耐福有限公司 一种插扣
CN113660881B (zh) * 2019-04-19 2023-03-24 Ykk株式会社 带扣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464A (en) * 1977-08-10 1979-04-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SE447696B (sv) 1982-09-20 1986-12-08 Fixfabriken Ab Av handel och hondel bestaende sticklas
JPH0542728Y2 (ko) * 1987-12-28 1993-10-27
IT220555Z2 (it) 1990-07-10 1993-10-04 Itw Fastex Italia Spa Fibbia sganciabile in due elementi
US5737810A (en) * 1994-08-02 1998-04-14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Side release buckle with increased holding strength
JPH08131215A (ja) 1994-11-02 1996-05-28 Yoshio Tokuda プラスチック製バックル
US5584105A (en) * 1996-01-11 1996-12-17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Quick disconnect buckle
US5794316A (en) * 1996-06-24 1998-08-18 National Molding Corp. Side-release buckle having improved locking feature
JP3009366B2 (ja) 1997-01-30 2000-02-14 美生 徳田 バックル
US5855057A (en) * 1997-12-29 1999-01-05 National Molding Corp. Buckle assembly
US5991985A (en) * 1998-07-31 1999-11-30 Galbreath; John Alexander Safety snap buckle
JP4299941B2 (ja) * 2000-02-10 2009-07-22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US6311374B1 (en) 2000-03-03 2001-11-06 Joseph Anscher High security buckle assembly
US6446314B1 (en) * 2000-08-09 2002-09-10 Joseph Anscher Push release buckle with improved latching capability
JP3701187B2 (ja) * 2000-09-27 2005-09-2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6684466B2 (en) * 2001-12-17 2004-02-03 Ykk Corporation Of America Three point release buckle assembly
JP4148836B2 (ja) 2002-09-20 2008-09-1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7089633B2 (en) * 2004-09-15 2006-08-15 Kim Ging Hui Enterprise Co., Ltd. Side release buck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438B1 (ko) 2009-05-23 2012-04-30 백지숙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18259B2 (en) 2008-01-15
CN1689474A (zh) 2005-11-02
CN100427003C (zh) 2008-10-22
US20050235470A1 (en) 2005-10-27
TW200600028A (en) 2006-01-01
JP4376113B2 (ja) 2009-12-02
KR20060046694A (ko) 2006-05-17
EP1591033A2 (en) 2005-11-02
EP1591033A3 (en) 2007-03-28
TWM323825U (en) 2007-12-21
JP2005312503A (ja) 2005-11-10
EP1591033B1 (en)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738B1 (ko) 버클
JP4148836B2 (ja) バックル
US7055226B2 (en) Buckle
US7979966B2 (en) Buckle
JP3090583B2 (ja) バックル
JP3394849B2 (ja) 紐止め具
US6571433B2 (en) Buckle
JP4299941B2 (ja) バックル
JP3566597B2 (ja) 着脱の方向性を有するテープ付きスナップファスナ
JP3494588B2 (ja) 側部押圧開放型バックル
US20190037973A1 (en) Buckle
TWI619444B (zh) 帶扣
JP3892363B2 (ja) バックル
JP2000106916A (ja) バックル
US5950286A (en)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of slide fastener
JP4101920B2 (ja) 二つの部材の連結具
JP4520655B2 (ja) バックル
JP2002177043A (ja) 化粧料容器
JP2005058442A (ja) バックル
JPH0724105U (ja) バックル
JP4102485B2 (ja) 紐の留め具
JPH08299030A (ja) バックル
KR20240044402A (ko) 버클형 벨트 클립
JPH0710542U (ja) なす環
JP2001336015A (ja) 寸法調整機能付き係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