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586B1 -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586B1
KR100668586B1 KR1020050029758A KR20050029758A KR100668586B1 KR 100668586 B1 KR100668586 B1 KR 100668586B1 KR 1020050029758 A KR1020050029758 A KR 1020050029758A KR 20050029758 A KR20050029758 A KR 20050029758A KR 100668586 B1 KR100668586 B1 KR 10066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ight source
display device
terminal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154A (ko
Inventor
겐따로오 아오끼
겐이찌 이와모또
요시끼 다까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광원과 전력 공급선을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하여 광원의 보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39)이며, 양단부에 전극 단자(28a, 28b)를 설치한 광원(28)과, 광원(2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33)의 단부에 부착된 커넥터(32)와, 광원(28)의 단부에 배치되는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29)와, 섀시(29)에 개구된 삽입부(29c)를 구비하고, 삽입부(29c)의 내측에 광원(28)의 전극 단자(28a, 28b)를 배치하고, 커넥터(32)를 외측으로부터 삽입부(29c)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커넥터(32) 내의 단자(38)를 전극 단자(28a, 28b)에 접속시킨다.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전극 단자, 커넥터, 광원, 섀시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for Display}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4는 제1 실시 형태의 광원과 커넥터의 접속을 도시한 평면도.
도5는 제1 실시 형태의 커넥터 내의 단자의 주요부 사시도.
도6a는 제2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6b는 평면도.
도7은 제3 실시 형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8은 제4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9는 제4 실시 형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10은 변형예의 주요부 사시도.
도11은 제5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12는 제6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13은 제7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14는 제7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측면도.
도15a 및 도15b는 제7 실시 형태의 광원의 전극 단자와 커넥터 단자와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
도16은 제7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17은 제8 실시 형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18은 제9 실시 형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19는 제10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20은 제10 실시 형태의 광원과 커넥터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
도21은 제10 실시 형태의 광원과 커넥터의 접속을 도시한 주요부 확대도.
도22는 제11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23은 제1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24는 제13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25는 제14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26a는 제15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26b는 측면도.
도27은 제16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28은 제17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29는 제18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30은 제19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31은 제20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
도32는 제21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33은 제22 실시 형태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도34는 제22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35는 제23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36은 제24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37은 제25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38a는 제26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38b는 정면도.
도39a는 제27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39b는 정면도.
도40a는 제28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40b는 정면도.
도41은 제29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42는 제30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43은 제31 실시 형태의 압접 단자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44는 제32 실시 형태의 압접 단자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45는 제33 실시 형태의 압접 단자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46은 제34 실시 형태의 압접 단자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47a는 제35 실시 형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47b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47c는 측면도.
도48a 및 도48b는 제35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49는 제36 실시 형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50a 및 도50b는 제36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51은 제37 실시 형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52는 제37 실시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53a 내지 도53d는 본 발명의 조명 장치로 조명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제어 방식을 바꾼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54는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55는 종래의 엣지 라이트(사이드 라이트)형 후방 라이트의 광원을 도시한 도면.
도56은 종래예를 도시한 도면.
도57은 종래의 직하(다이렉트)형 후방 라이트의 광원을 도시한 도면.
도58a는 광원의 축선 방향의 전위를 나타낸 그래프, 도58b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70 : 액정 표시 장치
21, 71 : 베젤
22 : 액정 패널(표시 패널)
23, 72 : 전방 섀시
24, 26 : 확산 시트
25 : 프리즘 시트
27 : 광학 시트군
28, 51, 53, 76 : 선 형상 광원
28a, 28b : 전극 단자(제1 단자)
29, 47, 58, 65 :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
29c, 47a, 58c, 65a : 삽입부
29d : 피계지부
29e, 58c : 삽통 구멍
30, 68 : 반사 복합재
31, 59, 66, 73 : 후방 섀시
32, 40, 48, 60, 64, 79 : 커넥터
33 : 전력 공급선
34 : 반사 시트
35 : 금속판
36 : 인버터
37, 41 : 하우징
37a, 37b : 계지부
37c : 오목부
38, 62 : 단자(제2 단자)
38b : 배럴부
38c : 랜스부
38d, 38e : 탄성 설편부
39 : 조명 장치(후방 라이트)
41f : 부착 구멍
42 : 단자
43 : 소형 커넥터
56 : 조인트 버스 바아
68c : 가이드 오목부(가이드부)
77 : 반사판
74 : 반사 시트
78 : 홀더
85 : 섀시
85b : 삽입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0796호 공보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광원에 전력 공급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로서 브라운관을 사용한 CRT(Cathode Ray Tube)보다 얇고, 또한 평면인 FPD(Flat Panel Display)라 불리워지는 디스플레이가 큰 시장을 개척해 왔다. FPD로서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액정 디스플레이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양자 모두 각각 특징을 갖고 있으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대화면, 고휘도를 실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액정 모니터는 소형부터 큰 사이즈까지 대응시킬 수 있고, 소형, 저소비 전력, 경량, 고콘트라스트를 실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저소비 전력, 박형, 경량, 종류별 사이즈에 대응 가능한 액정 모니터는, 도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배치하는 2매의 유리 기판(400A, 400B)의 내면에 각각 바둑판 눈 형상으로 투명 전극(401A, 401B) 및 배향막(402A, 402B)을 배치하고, 배향막(402A와 402B) 사이에 전계를 걸면 그 분자의 방향을 변화시켜 통과하는 빛의 편광 특성과 변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액정 재료(403)를 봉입하고, 또한 상기 2매의 유리 기판(400A, 400B)의 외측에 편광판(404A, 404B)을 접착하고 있다.
또한,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라이트 배치측과 반대측인 표시측의 유리 기판(400B)과 투명 전극(401B)의 사이에 R, G, B 등의 색을 띈 컬러 필터(405)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액정 모니터에서는, 액정 재료(403)를 TFT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그 각 소자 내를 통과하는 빛의 편광 특성을 제어하고, 또한 빛이 통과하는 양을 편광판으로 제어하고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재료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곳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 특성을 제어하고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자기 자신이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가 아닌, 외부로부터의 어떠한 빛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수동형 소자이며, 상기 수동형 소자에 대해 전방 라이트나 후방 라이트로서 조명 장치는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빛에 의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을 갖는 장치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명 장치를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라 칭하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조명 장치로서는, 크게 나누어 고휘도, 고효율, 대형화 가능한 직하(直下)(다이렉트) 방식과, 소형, 박형, 저소비 전력인 엣지 라이트(사이드 라이트) 방식의 2 종류가 있다. 상기 직하 방식은, 액정 패널의 배면에 램프를 배열하여 직접광을 이용함으로써 고휘도, 고효율인 면 광원이 되지만, 상기 직하 방식은 박형화가 곤란하거나 소비 전력이 크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엣지 라이트 방식은 도광판(라이트 가이드)이라 불리워지는 아크릴로 제작된 판의 측면에 광원을 1개 이상 배치하고, 빛을 도광판 내에서 확산 및 산란시켜 면 광원으로 함으로써 박형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화면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서 도광판 사이즈도 커지고 중량도 무거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로 인해, 엣지 라이트 방식은 소형이며 소비 전력이 중시되는 모바일 용도로 많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엣지 라이트 방식은 다시 2개로 분류되며, 액정 표시 장치의 배면에 조명 장치를 배치하는 후방 라이트 방식과, 전방면에 배치하여 반사 또는 반투과(반사 및 투과의 하이브리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반사광을 이용하는 전방 라이트 방식이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수명은 광원의 수명에 거의 의존하고 있어, 고장난 광원을 신품으로 교환하는 보수를 행하면 액정 표시 장치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55는 엣지 라이트(사이드 라이트)형 후방 라이트의 선 형상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선 형상 광원(1)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단자(2A, 2B)에 인버터와 접속된 전력 공급선(3, 4)의 코어선을 땜납 접속하고 있고, GND측(저압측)의 전극 단자(2B)에 땜납 접속된 전력 공급선(3)은 선 형상 광원(1)을 둘러싸는 반사판(5)의 배면측을 통해 HOT측(고압측)까지 복귀시키도록 배선되어 있다. 또한, 직하(다이렉트)형 후방 라이트의 선 형상 광원으로의 전력 공급 구조도 상기와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전력 공급선(3, 4)과 전극 단자(2A, 2B)가 땜납 접속되어 있고, 또한 GND측의 전력 공급선(3)이 반사판(5)의 배면을 우회하여 배선되어 있으므로, 선 형상 광원(1)의 고장 발생시의 보수에 있어서 선 형상 광원(1)만을 떼어 내는 것이 어려워져 보수성 및 재활용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선 형상 광원으로서 유해 물질인 수은을 포함하는 램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램프만을 안전하게 떼어 내어 용이하게 신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시에 있어서는 선 형상 광원(1)의 전극 단자(2A, 2B)에 전력 공급선(3, 4)을 납땜하는 작업이 필요해져, 작업 수고 및 작업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0796호 공보에서는, 도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라이트용 형광관(9)과 전력 공급선(12)을 무땜납으로 접속하는 접점 부재(6)가 제안되어 있다.
접점 부재(6)는 외면을 피복 부재(8)로 덮은 도전성 수지제의 베이스 부재(7)의 양단부에 제1 구멍(15) 및 제2 구멍(16)을 마련하고 있고, 후방 라이트용 형광관(9)은 선단부의 전극 단자(10)를 도전성 부재(11)로 외부 끼움하고 있는 동시 에, 전력 공급선(12)은 선단부의 도선(13)을 도전성 부재(14)로 덮고 있다. 그리고, 후방 라이트용 형광관(9)의 선단부의 도전성 부재(11)를 제1 구멍(15)에 삽입하는 동시에, 전력 공급선(12)의 선단부의 도전성 부재(14)를 제2 구멍(16)에 삽입함으로써 접점 부재(6)의 베이스 부재(7)를 거쳐서 후방 라이트용 형광관(9)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접점 부재(6)에 따르면 도전성 수지로 도통을 도모하고 있으므로 금속에 비해 도전율이 낮아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고, 또한 후방 라이트용 형광관(9) 및 전력 공급선(12)의 도전성 부재(11, 14)를 제1 구멍(15) 및 제2 구멍(16)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전기 접속 신뢰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력 공급선(12)의 도선(13) 및 후방 라이트용 형광관(9)의 전극 단자(10)에 도전성 부재(11, 14)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 공정수가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접점 부재(6)나 후방 라이트 형광관(9)이나 전력 공급선(12)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위치 결정 보유 지지의 신뢰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한편, 도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선 형상 광원(1)이 평행하게 배치된 직하(다이렉트)형 후방 라이트의 경우에는, 한 쪽에 HOT측(고압측)이 집중되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쪽에 GND측(저압측)이 집중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HOT측과 GND측에서의 전류 밀도의 차이에 의해 휘도가 높은 영역(H)과 휘도가 낮은 영역(G)이 발생되어, 선 형상 광원(1)의 축선 방향의 휘도 불균일 등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도5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 형상 광원(1)은 HOT측에서는 전위가 높지만 GND측에서는 전위가 감쇠되어 낮아지므로, 도5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18)에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발생되는 휘도 불균일이 발생되어 표시 품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선 형상 광원(1)에 급전되는 전류가 동일 위상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선 형상 광원(1)의 플리커(flicker)가 동일 주기가 되어 후방 라이트 전체적인 플리커가 커지는 동시에, 액정 패널에의 전기적인 노이즈가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079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광원과 전력 공급선을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하여 광원의 보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쪽 단부에 제1 단자를 갖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과,
상기 전력 공급선과 도통된 제2 단자를 내부에 갖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를 갖는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섀시를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제1 단자 와 제2 단자가 접속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전력 공급선을 커넥터를 거쳐서 광원의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광원에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등에 커넥터를 광원의 단자로부터 뽑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광원을 취출하여 신품의 광원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섀시의 삽입부에 끼워 맞춤 보유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홀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광원을 인발하면 커넥터와 분리되어 용이하게 광원만을 취출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단자와 전력 공급선을 커넥터 접속하여 무땜납으로 하고 있으므로, 조립시의 작업 공정수 및 작업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섀시는 조명 장치의 하우징이 되는 섀시의 일부라도 좋고, 광원 보유 지지용의 별개의 부재라도 좋다.
또한, 상기 섀시는 적어도 상기 광원의 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 내의 제2 단자는 압접 단자로 하여, 상기 광원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제1 단자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자가 상기 압접 단자에 압접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 단자에 압접 단자를 이용함으로써 광원의 단자에 대해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광원 단자의 커넥터 단자로부터의 빠짐 방지에도 공헌한다.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섀시의 커넥터의 삽입부 내면에는 피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삽입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계지부가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섀시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섀시의 커넥터의 삽입부 내면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는 피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계지부가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섀시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는 섀시의 삽입부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계지 고정되므로, 커넥터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어 위치 어긋남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광원의 교환시에 있어서 작업자가 커넥터를 보유 지지하지 않고 광원만을 잡고 인발해도 커넥터와 용이하게 분리되어 광원만을 취출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계지 해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지부와 상기 피계지부와의 계지를 해제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계지 해제 수단을 이용하여 커넥터와 섀시와의 계지를 해제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된 커넥터를 광원 교환의 보수시에 간단히 이탈시킬 수 있어 작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섀시의 상기 삽입부를 상기 광원의 취출구로서 겸용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를 떼어 냄으로써 개구되는 섀시의 삽입부를 통 해 광원을 취출할 수 있으므로, 섀시를 분해하는 일 없이 보수를 행할 수 있어 작업 공정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광원은 선 형상 광원으로 하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선 형상의 광원은 열음극관, 냉음극관 혹은 크세논관으로 이루어지는 방전관, 혹은 선 형상 광원화한 LED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광원은 선 형상으로 복수개가 병렬 배치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광원의 일단부측의 단자는 서로 전기 접속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병렬 배치된 복수의 선 형상 광원이 꺾임 형상으로 직렬 접속된 상태가 되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광원의 단자의 HOT측(고압측)과 GND측(저압측)이 같은 측에 배치되게 된다. 즉, 전류 밀도가 커 휘도가 높은 HOT측과, 전류 밀도가 작아 휘도가 낮은 GND측이 같은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선 형상 광원의 축선 방향의 전류 밀도 분포의 차이가 없어져 휘도 불균일 및 색도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HOT측과 GND측이 같은 측이 됨으로써 인접하는 광원의 플리커를 상쇄할 수 있어, 조명 장치 전체적인 플리커를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적층되는 액정 패널에의 전기적 노이즈도 저감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광원은 꺾임 형상으로 만곡되어 양단부의 단자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적합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상기 마찬가지로 광원 양단부의 단자를 같은 측에 배치시켜 휘도 불균일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광원끼리 직렬 접속시키는 작업 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꺾임 형상의 광원은 대략 U자 형상 혹은 대략 W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광원의 복수의 단자에 대해 상기 커넥터로 일괄하여 접속하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1개의 광원의 단자에 대해 1개의 커넥터를 개별로 접속시키면 단자의 수만큼 커넥터 끼워 맞춤 작업이 발생하지만, 상기 구성으로 하면 단자의 수가 다수 존재해도 1 액션으로 일괄하여 커넥터 접속을 행할 수 있어 작업 공정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력 공급선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상기 전력 공급선의 단부에 소형 커넥터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배면측에 부착 구멍을 마련하여, 상기 소형 커넥터를 상기 부착 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소형 커넥터 내의 단자와 상기 커넥터 내의 단자를 접속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소형 커넥터를 부착 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전력 공급선만을 커넥터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상기 소형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부착 구멍의 내면에는 피계지부를 설치하여 상기 소형 커넥터를 상기 부착 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계지부가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되어 상기 소형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전력 공급선에 인장 부하가 발생되어도 소형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섀시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광원의 축선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를 떼어 내어 개구된 삽입부를 통해 광원을 슬라이드시켜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섀시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광원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부착 공간 등의 문제로부터 커넥터의 탈착 작업이 광원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행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도 작업성을 유지할 수 있어 적합하다.
상기 섀시에는 상기 광원의 축선 방향으로 광원용 취출구를 개구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커넥터를 떼어 낸 후에 상기 취출구를 통해 광원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분해하지 않고 광원을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구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커넥터에 의해 폐쇄되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커넥터를 삽입부에 끼워 맞춤 삽입한 상태에서는 취출구가 폐쇄되므로, 취출구를 통해 먼지 등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전상, 외관상도 양호해진다.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수지 혹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재료로 성형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므로 섀시의 삽입부로의 탈착을 행하기 쉬워진다. 특히, 커넥터와 삽입부 사이에 계지 구조가 있는 경우에는, 그 탈착시에 커넥터의 계지부가 탄성에 의해 휘어 용이하게 계지 및 해제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는 강성을 갖는 내장 부재를 내부 끼움하여, 상기 전력 공급선의 단말에 접속된 단자를 상기 내장 부재에 계지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 내에 강성을 갖는 내장 부재가 내부 끼움된 하이브리드 사양으로 하고 있으므로, 커넥터 하우징의 탄성이 큰 경우라도 강성이 있는 내장 부재에 의해 전력 공급선 단말의 단자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 부재로서는 금속이나 강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하면 좋다.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단면 직사각 형상, 단면 원 형상, 단면 삼각 형상 혹은 단면 다각 형상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 하우징 내에 보유 지지되는 단자의 수 및 배열이나, 섀시의 삽입부의 개구 가능 형상에 맞추어 최적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는 위치 결정용 가이드 돌기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섀시의 삽입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을 마련하고 있다. 혹은,
상기 삽입부에 위치 결정용 가이드 돌기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을 마련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에 위치 결정용 가이드 돌기부를 설치함으로써, 커넥터를 삽입부에 끼워 맞춘 상태에 있어서의 덜걱거림이나 회전 방향의 어긋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상기 계지부는 계지 돌기로 하고 있는 한편, 상기 섀시의 상기 피계지부는 커넥터 삽입측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내면을 따라 절결된 피계지 홈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피계지 홈은 굴곡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삽입부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계지 돌기를 상기 피계지 홈에 슬라이드 삽입하고, 상기 커넥터를 축선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계지 돌기를 상기 굴곡부에 계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를 삽입부에 삽입한 후에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계지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커넥터를 큰 힘으로 압입할 필요가 없어 작업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의 교환시에는 상기와 반대의 동작으로 커넥터를 회전시켜 인발하는 것만으로 계지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피계지 홈의 종단부는 커넥터 삽입 방향과 역방향을 향해 굴곡된 꺾임부를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의 계지 돌기를 피계지 홈의 종단부에 계지한 상태에서는 계지 돌기가 상기 꺾임부에 위치되므로, 진동 등이 발생되어도 계지가 해 제되기 어려워 커넥터의 뜻하지 않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계지 홈의 굴곡부는 둔각으로 굴곡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피계지 홈이 비스듬히[유선형상(流線型狀)] 형성되므로, 피계지 홈에 추종된 커넥터의 회전 동작과 함께 커넥터를 광원의 단자에 근접 및 이반(離反)시킬 수 있어, 전극 단자와의 접속 거리를 조정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피계지 홈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계지 돌기가 피계지 홈에 추종되도록 커넥터를 삽입부에 회전시키면서 삽입하므로, 광원의 단자와 커넥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단자에 대해 일정한 접촉압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피계지 홈이 나선 형상이므로 진동 등이 있어도 커넥터가 쉽게 빠지지는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압접 단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 설편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단자를 상기 탄성 설편부로 압접 협지하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탄성 설편부는 단자 선단부측으로부터 역U자 형상으로 대향하여 꺾여 있으면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광원의 단자를 상기 한 쌍의 탄성 설편부 사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탄성 설편부의 대향측으로의 협지력에 의해 단자가 압접되어, 전기 접속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교환시에는 광원을 인발하는 것만으로 전극 단자를 탄성 설편부 사이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압접 단자는 상기 광원의 단자를 삽입하는 슬롯부를 절결하고 있 는 구성으로 해도 적합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광원의 단자를 상기 단자의 슬롯부에 슬라이드 삽입하는 것만으로 압접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압접 단자는 상기 광원과 동일한 축선 방향을 갖는 대략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단자를 상기 대략 원통부의 내부에 밀하게 끼움 삽입하여 압접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광원의 단자가 대략 원통부에 내부 끼움되어 저어널되므로, 단자와 압접 단자를 주상(周狀)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대략 원통부는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방 단부측으로 내부 공간을 좁히는 구성으로 하면, 광원의 단자의 삽입에 따라서 접촉압을 높일 수 있다.
표시 패널의 배면측에 광학 부재를 거쳐서 상기 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직하형(다이렉트형) 후방 라이트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바로 아래에 배치된 광원에 의해 표시 패널에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대화면이라도 고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병렬 배치된 상기 광원의 양측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상기 섀시에 삽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삽통 구멍은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삽통 구멍에 광원의 단부를 삽통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상기 광원의 단부는 삽통 구멍에 위치 결정되므로, 광원의 단자가 섀시의 삽입부에 끼워 맞추어진 커넥터의 단자에 합치되도록 얼라인먼 트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의 배면측의 부재로부터 광원 위치 결정용 가이드부를 돌출시키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광원을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위치 결정하고 있으므로, 광원의 탈착 작업을 행할 때에 광원의 단자가 섀시의 삽입부에 끼워 맞추어진 커넥터의 단자에 합치되도록 얼라인먼트할 수 있다.
혹은, 표시 패널의 배면측에 광학 부재를 거쳐서 도광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 중 적어도 일측단부면에 상기 광원을 배치하고 있는 엣지 라이트(사이드 라이트)형 후방 라이트로 해도 바람직하다.
혹은, 표시 패널의 전방면측에 광학 부재를 거쳐서 도광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 중 적어도 일측단부면에 상기 광원을 배치하고 있는 엣지 라이트(사이드 라이트)형 전방 라이트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사이드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도광판 내를 전파하여 면 형상으로 발광하고, 액정 패널의 배면 혹은 전방면을 면 형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단면 대략 역ㄷ자 형상의 반사판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광원을 보유 지지한 홀더를 상기 반사판 내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위치 결정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광원이 반사판 내에서 홀더에 의해 위치 결정되므로, 광원의 단자가 섀시의 삽입부에 끼워 맞추어진 커넥터의 단자에 합치되도록 얼라인 먼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그 표시 장치가 전기적으로 전자파의 편향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재료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곳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 특성을 제어하고 있지만, 빛은 380 ㎚ 내지 780 ㎚의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가시광 영역의 전자파이므로, 상기 범위의 전자파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전자파의 편향성을 제어하는 방식의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자파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p파, s파)의 2개의 파형의 합성파로 이루어지고, 2개의 파형의 위상을 각각 옮김으로써 합성된 전자파(빛)의 파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합성된 파형이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는 상태, 즉 전자파의 편향성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표시 장치도 상기한 본 발명의 조명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가, 그 표시 장치가 물리적, 기계적 셔터링 방식에 의해 전자파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로서, 상기한 액정에 전압을 걸어 전기적으로 전자파(빛)의 편향성을 제어하는 방식 이외의 표시 장치에서, 물리적, 기계적 셔터링 방식에 의해 전자파(빛)의 강도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에도 상기 본 발명의 조명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패널로 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 치로 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명 장치와, 광학 부재와, 자발광 소자를 갖지 않는 수동형 표시 패널을 적층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는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20)로 하고, 액정 패널(22)의 주연부를 프레임 형상의 전방 섀시(23)와 베젤(21)로 협지하고, 액정 패널(22)의 하방에 광학 부재인 광학 시트군(27)을 배치하고 있다. 광학 시트군(27)의 하방에는 복수의 선 형상 광원(28)을 병렬 배치하고, 각 선 형성 광원(28)의 단부(28a, 28b)를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29)로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하방으로부터 반사 복합재(30) 및 후방 섀시(31)로 폐쇄하고 있다. 후방 섀시(31)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인버터(36)에 접속된 전력 공급선(33)의 단말에는 커넥터(32)가 접속되어 있고, 이 커넥터(32)를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29)의 삽입부(20c)에 내부 끼움 삽입함으로써 선 형상 광원(28)에 급전하고 있다.
선 형상 광원(28)은, 단부에 제1 단자가 되는 전극 단자(28a, 28b)를 돌출시킨 냉음극관을 사용하고 있다.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29)는 수지의 성형품으로, 복수개의 선 형상 광원(28)의 양단부(28a)를 일괄하여 위치 결정 보유 지지하도록 한 쌍 설치되고, 그 대향면이 되는 내측면(29b)으로부터 선 형상 광원(28)을 관통하여 위치 결정 보유 지 지하는 삽통 구멍(29e)을 마련하고 있는 동시에, 외측면(29a)으로부터 삽입부(29c)를 삽통 구멍(29e)과 연통시켜 설치하고 선 형상 광원(28)의 축선 방향을 같은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한, 삽입부(29c)의 상하면에는 피계지부를 오목 설치하고 있다.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29)의 하단부 내측에는 반사 복합재(30)의 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절결부(29f)를 형성하고 있다.
커넥터(32)는, 전력 공급선(33)에 압착된 제2 단자가 되는 압접 단자(38)를 하우징(37) 내에 계지 고정하고 있다.
압접 단자(38)는 금속제로, 도2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부(38a)의 일부로부터 후방 단부측으로 전력 공급선(33)의 코어선을 코오킹 압착하는 배럴부(38b)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기판부(38a)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역U자 형상에 대향하여 꺾인 한 쌍의 탄성 설편부(38d, 38e)를 돌출시키고 있고, 이 한 쌍의 탄성 설편부(38d, 38e)가 전극 단자(28a, 28b)에 맞추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38a)의 하면에는 하우징(37)과 계지하는 랜스부(38c)를 꺾어 세우고 있다.
하우징(37)은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의 상하면에 계지부(37a, 37b)를 돌출시키고 있는 동시에, 단자 수용 공간의 하면에 압접 단자(38)의 랜스부(38d)가 계지되는 오목부(37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37)의 재질은 수지나 고무재 등으로 해도 적합하다.
광학 시트군(27)은 각각 투과광의 확산 및 집광 등을 행하는 수지 시트로, 상층으로부터 확산 시트(24), 프리즘 시트(25), 확산 시트(26)로 적층 배치되어 있다. 광학 시트군의 매수나 조합은 임의이며, 예를 들어 상층으로부터 DBEF-D, 프 리즘 시트, 확산 시트를 적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반사 복합재(3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35)의 상면에 수지제의 반사 시트(34)를 접착 접합한 반사율 90 % 이상의 아세트(미쯔비시 주시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이용하고 있다.
후방 섀시(31)는 금속제로,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과 방열의 역할을 하고 있다.
베젤(21)은 단면 역L자의 프레임 형상이며, 그 측면의 삽입부(29c)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1a)를 설치하고 있다.
전방 섀시(23)는 단면 역L자의 프레임 형상이며, 그 측면의 삽입부(29c)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3a)를 설치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20)를 조립할 때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형상 광원(28)의 양단부를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29)의 삽통 구멍(29e)에 관통 보유 지지시킴으로써 삽입부(29c)에 전극 단자(28a, 28b)를 돌출시키고, 전력 공급선(33)의 단말에 접속된 커넥터(32)를 측방으로부터 삽입부(29c)에 내부 끼움 삽입한다. 그러면,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32) 내의 단자(38)의 탄성 설편부(38d, 38e)에 의해 모든 전극 단자(28a, 28b)가 일괄하여 압접 협지되어 전기 접속되는 동시에, 커넥터(32)의 하우징(37)의 계지부(37a, 37b)가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29)의 피계지부(29d)에 계지 고정된다.
선 형상 광원(28)의 고장시에 신품으로 교환하는 보수의 순서는, 커넥터(32)를 삽입부(29c)로부터 외측으로 인장함으로써 수지로 이루어지는 계지부(37a, 37b) 를 휘게 하여 계지 해제하고 인발하면, 커넥터(32)와 선 형상 광원(28)이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 때, 베젤(21) 및 전방 섀시(23)에는 삽입부(29c)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1a, 23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베젤(21) 및 전방 섀시(23)를 분해하지 않고도 커넥터(32)의 착탈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선 형상 광원(28)을 한 쪽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29)의 삽입부(29c)를 통해 외부로 취출한다. 즉, 삽입부(29c)를 선 형상 광원(28)의 취출구로서 겸용하고 있다. 계속해서, 신품의 선 형상 광원(28)을 상기와 역순으로 삽입부(29c)로부터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하여, 다른 쪽에서 대기하고 있던 커넥터(32)에 선 형상 광원(28)의 타단부의 전극 단자(28a)를 접속하고, 한 쪽 삽입부(29c)에 다시 커넥터(32)를 내부 끼움 삽입하면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선 형상 광원(28)의 교환 작업은 삽입부(29c)를 통하지 않고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29)를 분해하여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6a 및 도6b는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커넥터(40)와 전력 공급선(33)을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전력 공급선(33)의 단부에 소형 커넥터(43)를 접속하고, 그 소형 커넥터(43)를 커넥터(40)의 부착 구멍(41f)에 내부 끼움 계지하고 있다.
커넥터(40)의 하우징(41)은 상하 외면에 계지부(41a, 41b)를 설치하고 내면에 오목부(41c)를 설치하고 있고, 후방측을 소형 커넥터(43)의 부착 구멍(41f)으로 하고 부착 구멍(41f)의 내면에 피계지부(41d)를 설치하고 있다. 압접 단자(42)는 기판부(42a)의 일부로부터 후방 단부측으로 슬롯부(42c)가 절결된 압접 탭(42b)을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기판부(42a)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역U자 형상에 대향하여 꺾인 한 쌍의 탄성 설편부(42d, 42e)를 돌출시키고 있고, 이 한 쌍의 탄성 설편부(42d, 42e)가 전극 단자(28a, 28b)에 맞추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42a)의 하면에는 하우징(41)의 오목부(41c)와 계지되는 랜스부(42f)를 꺾어 세우고 있다.
소형 커넥터(43)의 하우징(44)은 상하 외면에 계지부(44a, 44b)를 설치하고 있다. 소형 커넥터(43) 내에 계지된 탭 형상 단자(45)는 기판부(45a)의 후방 단부에 전력 공급선(33)을 압착하는 배럴부(45b)를 설치하고 있다.
소형 커넥터(43)를 커넥터(40)의 부착 구멍(41f)에 끼워 맞추어 계지부(44a, 44b)를 피계지부(41d, 41e)에 계지 고정함으로써, 탭 형상 단자(45)가 압접 단자(42)의 슬롯부(42c)에 압접 접속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전력 공급선(33)에 접속되는 커넥터(48)를 선 형상 광원(28)의 수에 맞추어 1 : 1로 설치하고 있다.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47)는 선 형상 광원(28)의 수에 맞추어 삽입부(47a)를 개별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커넥터(48)를 삽입부(47a)에 내부 끼움 삽입하여 계지부(48a)를 삽입부(47a) 내면의 피계지부(도시하지 않음)에 계지 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8 및 도9는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선 형상 광원(51)이 대략 U자 형상으로 꺾여 만곡되고, 양단부의 전극 단자(51a, 51b)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선 형상 광원(51)의 굴곡부(51c)는 지지 부재(50)의 대향면의 상면측에 절결된 오목부(50a)에 적재되고, 전력 공급선(33)에 접속된 1개의 커넥터(52)로 전극 단자(51a, 51b)와 끼워 맞춤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52)의 변형예로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형상 광원(51)의 굴곡부(51c)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부착 구멍(52a)을 지지 부재(52)의 대향면보다 오목하게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HOT측(고압측)의 전극 단자(51a)와 GND측(저압측)의 전극 단자(51b)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류 밀도가 커 휘도가 높은 HOT측과 전류 밀도가 작아 휘도가 낮은 GND측이 같은 측에 배치되므로, 선 형상 광원(51)의 축선 방향의 전류 밀도 분포의 차이가 없어져 전체적으로 선 형상 광원(51)의 플리커가 억제되어 휘도 및 색도 불균일이 저감된다. 또한, HOT측과 GND측이 같은 측이 됨에 따라 인접하는 광원의 플리커를 상쇄할 수 있으므로, 적층되는 액정 패널(22)에의 전기적 노이즈도 저감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은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선 형상 광원(53)에 3 부위의 굴곡부(53c, 53d, 53e)를 설치하여 대략 W자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양단부의 전극 단자(53a, 53b)를 같은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전극 단자(53a, 53b)와 반대측의 굴곡부(53c, 53e)는 지지 부재(50)의 오목부(50a)에 적재되고, 전력 공급선(33)에 접속된 1개의 커넥터(54)에 의해 전극 단자(53a, 53b)와 끼워 맞춤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2는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인접하는 직선 형상의 선 형상 광원(28)의 타단부의 전극 단자(28b)끼리를 조인트 버스 바아(56)의 압접 탭(56a)으로 접속하여 유사적으로 U자관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극 단자(28b)를 접속하는 부재는 조인트 버스 바아(56)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선이나 기판 등에 의해 행해도 좋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3 내지 도16은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58)의 삽입부(58c)를 선 형상 광원(28)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58)는, 내측면(58b)으로부터 광원 보유 지지용 삽통 구멍(58e)을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하면(58a)으로부터 삽입부(58c)를 형성하여 삽통 구멍(58e)과 연통시키고 있고, 외측면으로부터 광원용 취출구(58f)를 개구하고 있다. 또한, 삽입부(58c)의 상방면에는 후술하는 커넥터(60)의 돌기부(61g)를 끼워 맞추는 오목부(58g)를 형성하고 있다.
후방 섀시(59)에는 삽입부(58c)와 연통되는 개구부(59a)를 형성하고 있다.
커넥터(60)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선(33)에 압착된 압접 단자(62)를 하우징(61) 내에 계지 고정하고 있다.
압접 단자(62)는 기판부(62a)의 일부로부터 후방 단부측으로 전력 공급선(33)의 코어선을 코오킹 압착하는 배럴부(62b)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기판부(62a)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슬롯부(62d)를 갖는 압접 탭(62c)이 전극 단자(28a, 28b)에 맞추어 복수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62a)의 하면에는 하우징(61)과 계지되는 랜스부(62e)를 꺾어 세우고 있다.
하우징(61)은 수지 혹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고, 측단부면에 계지부(61a, 61b)를 돌출시키고 있는 동시에 단자 수용 공간의 내면에 압접 단자(62)의 랜스부(62e)가 계지되는 오목부(61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압접 탭(62c)의 슬롯부(62d)와 대응하는 위치에 슬롯부(61d)를 절결하고 있고, 슬롯부(61d)의 상단부 양측에는 테이퍼부(61e)를 형성하고 있다. 슬롯부(61d)는 외측방을 폐쇄면(61f)에 의해 폐쇄하고 있는 동시에, 폐쇄면(61f)의 상방 선단부측을 돌출시킨 돌기부(61g)를 설치하고 있다.
조립 순서는 선 형상 광원(28)의 양단부를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58)의 삽통 구멍(58e)에 관통 보유 지지시킴으로써, 삽입부(58c)에 전극 단자(28a, 28b)를 돌출시킨 상태로부터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선(33)의 단말에 접속된 커넥터(60)를 후방 섀시(59)의 개구부(59a)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삽입부(58c)에 내부 끼움 삽입한다. 그러면, 도15a 및 도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60) 내의 압접 단자(62)의 슬롯부(62d)에 전극 단자(28a, 28b)가 일괄하여 압접 협지되어 전기 접속되고, 커넥터(60)의 하우징(61)의 계지부(61a, 61b)가 삽입부(58c) 내면의 피계지부(도시하지 않음)에 계지 고정되는 동시에, 돌기부(61g)가 오목부(58g)에 끼워 맞추어져 폐쇄면(61f)에서 취출구(58f)가 폐쇄된다.
선 형상 광원(28)의 교환 순서는 커넥터(60)를 후방 섀시(59)의 개구부(59a)를 통해 삽입부(58c)로부터 하방으로 인장함으로써 계지부(61a, 61b)를 휘게 하여 계지 해제하고, 인발하여 커넥터(60)와 선 형상 광원(28)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베젤(21) 및 전방 섀시(23)의 개구부(21a, 23a)와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58)의 취출구(58f)를 통해 선 형상 광원(28)을 신품으로 교환하고, 상기와 역순으로 다시 조립하면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7은 제8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방으로부터 접속하는 커넥터(64)를 선 형상 광원(28)의 수에 맞추어 1 : 1로 설치하고 있다.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65)는 선 형상 광원(28)의 수에 맞추어 삽입부(65a)를 개별로 하방으로부터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삽입부(65a)에 대응하는 위치의 후방 섀시(66)에 형성된 개구부(66a)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커넥터(64)를 삽입부(65a)에 내부 끼움 삽입하고, 계지부(64a)를 삽입부(65a) 내면의 피계지부(65c)에 계지 고정하는 동시에, 커넥터(64)의 슬롯부(64b)에 전극 단자(28a)를 슬라이드 끼워 맞춤하고 있다. 이 때, 커넥터(64)의 선단부측의 돌기부(64d)가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65)의 오목부(65d)에 끼워 맞추어지는 동시에, 커넥터(64)의 폐쇄면(64c)이 취출구(65b)를 폐쇄함으로써 베젤(67)의 개구부(67a)도 커넥터(64)에 의해 덮개가 덮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8은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선 형상 광원(28)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반사 복합재(68)의 바닥면(68a)에 선 형상 광원(28)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조부(68b)를 돌출 설치하고 있고, 이 돌조부(68b)의 상단부에 소요 간격을 두고 광원 위치 결정용 가이드부(68c)를 절결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선 형상 광원(28)의 탈착 작업을 행할 때에 선 형상 광원(28)의 전극 단자(28a, 28b)가 커넥터의 단자에 합치되도록 얼라인먼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19 내지 도21은 제10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70)는, 조명 장치(83)를 엣지 라이트(사이드 라이트)형 후방 라이트로 하고 있다.
액정 패널(22)의 주연부를 프레임 형상의 전방 섀시(72)와 베젤(71)로 협지하고, 액정 패널(22)의 하방에 광학 시트군(27)을 거쳐서 조명 장치(83)를 배치하고 있다. 조명 장치(83)는 도광판(75)의 측단부면에 2개의 선 형상 광원(76)을 배치하고, 단면 대략 역ㄷ자 형상의 반사판(77)으로 선 형상 광원(76)을 둘러싸고 있는 동시에, 도광판(75)의 배면측에 반사 시트(74)를 배치하여 후방 섀시(73)로 폐쇄하고 있다.
도20 및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형상 광원(76)의 양단부는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78)로 위치 결정 보유 지지되고 반사판(77) 내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되어 있다.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78)는 선 형상 광원(76)을 위치 결정하는 삽통 구멍(78a, 78b)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삽통 구멍(78a, 78b)과 연통되도록 삽입부(78c)가 개구되어 있고, 삽입부(78c)의 내면에는 피계지부(78d, 78e)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79)는 전력 공급선(80)에 압착된 압접 단자(82)를 하우징(81) 내에 계지 고정하고 있다.
압접 단자(82)는 기판부(82a)의 일부로부터 후방 단부측에 전력 공급선(80)의 코어선을 코오킹 압착하는 배럴부(82d)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기판부(82a)의 선단부측(82c)을 갖는 압접 탭(82b)이 2개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81)은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고, 측면 선단부로부터 꺾임 형상으로 가요 부재(81a, 81b)(계지 해제 수단)를 돌출시키고 있고, 가요 부재(81a, 81b)의 외면에 계지부(81c, 81d)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커넥터(79)를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78)의 삽입부(78c)에 끼워 맞추면, 계지부(81c, 81d)가 피계지부(78d, 78e)에 계지 고정되어, 선 형상 광원(76)의 전극 단자(76a)가 압접 단자(82)의 슬롯부(82c)에 협지된다. 커넥터(79)를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요 부재(81a, 81b)를 잡고 근접 방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계지부(81c, 81d)와 피계지부(78d, 78e)와의 계지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79)가 이탈된 상태로부터 선 형상 광원(76)을 측방으로 슬라 이드시킴으로써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78)와 함께 용이하게 취출하여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22는 제1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후방 섀시(85)의 측벽(85a)을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로서 이용하여 삽입부(85b)를 설치하고 있다. 삽입부(85b)의 내면에는 피계지부(85c)를 설치하고 있다.
각 선 형상 광원(76)은 홀더(84)에 의해 위치 결정 보유 지지되어 반사판(77) 내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되어 있다.
커넥터(86)는 삽입부(85b)에 끼워 맞춤으로써 그 계지부(86a)가 피계지부(85c)에 계지 고정되는 동시에, 선 형상 광원(76)의 전극 단자(76a)와 전기 접속된다. 선 형상 광원(76)의 교환 작업은 그 역순으로 커넥터(86)를 삽입부(85b)로부터 발취한 후, 선 형상 광원(76)을 홀더(84)마다 삽입부(85b)를 통해 외부로 취출하여 행한다. 또한, 선 형상 광원(76)끼리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84)를 폐지하여 섀시의 측벽(85) 자체에 광원용 홀드 구멍을 마련해도 좋다. 다른 구성은 제10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23은 제1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선 형상 광원(88)이 대략 U자 형상으로 꺾여 만곡되고, 양단부의 전극 단자(88a, 88b)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선 형상 광원(88)은, 그 굴곡부(88c)측을 홀드 구멍(90a, 90b)을 갖는 홀더 (90)에 의해 위치 결정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0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24는 제1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선 형상 광원(94)을 대략 W자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양단부의 전극 단자(94a, 94b)를 같은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0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25는 제14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인접하는 직선 형상의 선 형상 광원(76)의 타단부의 전극 단자(76b)끼리를 전선(96)으로 접속하여 유사적으로 U자관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극 단자(76b)를 접속하는 부재는 전선(96)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인트 버스 바아나 기판 등에 의해 행해도 좋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0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26a 및 도26b는 제15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98)는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하우징의 상하 외면에 경사면(98a-1)을 갖는 단면 삼각 형상의 계지부(98a)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또한, 계지부(98a)의 배치는 하우징의 좌우면이라도 좋고, 또한 계지부(98a)의 수도 1개 이상의 몇 개라도 좋다.
도27은 제16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0)는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하우징의 외면에 삼각 기둥 형상의 계지부(100a)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도28은 제17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2)는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하우징의 외면에 원 기둥 형상의 계지부(102a)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도29는 제18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4)는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하우징의 외면에 사각 기둥 형상의 계지부(104a)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도30은 제19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6)는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하우징(107)의 내부에 강성을 갖는 내장 부재(108)를 내부 끼움하고, 그 내장 부재(108)에 전력 공급선 단말에 접속된 압접 단자(109)를 계지하고 있다.
하우징(107)은 수지나 고무 등의 고분자 재료이며, 외면에 계지부(107a)를 돌출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내면에 계지 돌기부(107c)를 설치하고 있다.
내장 부재(108)는 금속제이며, 계지 돌기(107c)를 계지하는 피계지 구멍(108a)과, 압접 단자(109)를 계지하는 피계지 구멍(108b)을 구비하고 있다.
압접 단자(109)는 금속제로, 기판부(109)의 일부로부터 후방 단부측으로 전력 공급선의 코어선을 코오킹 압착하는 배럴부(109b)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기판부(109a)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역U자 형상으로 대향하여 꺾인 한 쌍의 탄성 설편부(109d, 109e)를 돌출시키고 있고, 기판부(109a)의 하면에는 내장 부재(108)의 피계지 구멍(108b)에 계지되는 랜스부(109c)를 꺾어 세우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섀시와 계지되는 계지부(107a, 107b)는 탄성을 갖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압접 단자(109)를 강성 강도가 있는 내장 부재(108)에 의해 확실하게 보유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7)은 고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을 갖는 것이면 수지, 실리콘 등의 다른 재료라도 상관없다. 또한, 내장 부재(108)는 금속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성을 갖는 것이면 수지 등의 다른 재료라도 상관없다.
도31은 제20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10)는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계지 해제 수단이 되는 가요 설편부(110a)를 설치하고 있다.
커넥터(110)의 하우징은 수지로 성형되어 외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가요 설편부(110a)를 돌출시키고 있고, 가요 설편부(110a)의 외면에 계지부(110b)를 설치하고 있다. 이 계지부(110b)를 삽입부의 피계지부(도시하지 않음)에 계지한 상태에서 가요 설편부(110a)의 후방 단부(110c)를 하방으로 압박함으로써 계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32는 제2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12)는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하우징 외면에 대략 U자 형상의 슬릿(112a)을 절결하여 가요부(112b)를 형성하고, 가요부(112b)의 후방 단부에 계지부(112c)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도33 및 도34는 제2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14)는 단면 원 형상으로, 외면에 계지 돌기(114a)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115)의 원통 형상의 삽입부(116)의 내면에는 커넥터 삽입 관통측 단부면으로부터 피계지 홈(117)을 절결하고 있다. 피계지 홈(117)은 L자 형상으로 축선 방향을 따른 수평부(117a)에 연속하여 굴곡부(117c)를 거쳐서 수직부(117b)를 설치하고 있다.
커넥터(114)를 삽입부(116)에 삽입하는 동시에 계지 돌기(114a)를 피계지 홈(117)의 수평부(117a)에 슬라이드 삽입하고, 계지 돌기(114a)가 굴곡부(117c)에 도달한 시점에서 커넥터(114)를 축선 주위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계지 돌기(114a)를 수직부(117b)로 이동시켜 계지한다. 커넥터(114)를 떼어 낼 때에는, 상기 역순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인발함으로써 간단히 이탈시킬 수 있다.
도35는 제2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제22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은,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119)의 삽입부(120)의 피계지 홈(121)의 종단부에 꺾임부(121c)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피계지 홈(121)은 축선 방향에 따른 수평부(121a)에 연속하여 수직부(121b)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수직부(121b)의 선단부에서 커넥터 삽입 방향과 역방향을 향한 꺾임부(121c)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계지 돌기(114a)가 꺾임부(121c)에 도달함으로써 커넥터(114)의 빠짐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36은 제24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제23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은,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123)의 삽입부(124)의 피계지 홈(125)의 굴곡부(125d)를 둔각으로 굴곡시키고 있는 점이다.
피계지 홈(125)은 축선 방향을 따른 수평부(125a)로부터 둔각의 굴곡부(125d)를 거쳐서 경사부(125b)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경사부(125b)의 선단부에서 커넥터 삽입 방향과 역방향을 향한 꺾임부(125c)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피계지 홈(125)이 기울어진 유선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피계지 홈(125)에 추종한 커넥터(114)의 회전 동작과 함께 커넥터(114)를 선 형상 광원(28)의 전극 단자(28a)에 근접 및 이반시킬 수 있어, 전극 단자(28a)와의 접속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37은 제25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제22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은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127)의 삽입부(128)의 피계지 홈(129)을 나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커넥터(114)를 삽입부(128)에 회전시키면서 삽입함으로써, 계지 돌기(114a)를 피계지 홈(129)에 슬라이드 삽입하여 나사 부착한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커넥터(114)의 회전 동작과 함께 커넥터(114)를 선 형상 광원(28)의 전극 단자(28a)에 접근 및 이반시킬 수 있어, 전극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계지 홈(129)이 나선 형상이므로 커넥터(14)가 뜻하지 않게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38a 및 도38b는 제26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31)는 제22 내지 제25 실시 형태 이외의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며, 커넥터(131)의 형상은 단면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외면에 계지부(131a, 131b)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커넥터(131) 가 끼워 맞추어지는 커넥터 삽통부(도시하지 않음)도 동일한 단면 삼각 형상으로 한다.
도39a 및 도39b는 제27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33)는 제22 내지 제25 실시 형태 이외의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며, 커넥터(133)의 형상은 단면 다각 형상(본 실시 형태에서는 육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외면에 계지부(133a 내지 133d)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커넥터(133)가 끼워 맞추어지는 커넥터 삽입 관통부(도시하지 않음)도 동일한 단면 다각 형상으로 한다.
도40a 및 도40b는 제28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35)는 제22 내지 제25 실시 형태 이외의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며, 단면 직사각 형상의 하우징의 좌우 외면에 한 쌍의 위치 결정용 가이드 돌기부(135c, 135d)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하우징 상하 외면에는 계지부(135a, 135b)를 설치하고 있다.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136)의 삽입부(136a)에는 가이드 돌기부(135c, 135d)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136b, 136c)을 절결하고 있는 동시에, 피계지부(136a)를 설치하고 있다.
도41은 제29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제22 내지 제25 실시 형태 이외의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며, 제28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은 단면 원 형상의 커넥터(138)의 하우징 외면에 한 쌍의 가이드 돌기부(138c, 138d)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또한, 하 우징 외면에는 계지부(138a, 138b)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도42는 제30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제22 내지 제25 실시 형태 이외의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며, 제28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은 단면 삼각 형상의 커넥터(140)의 하우징 외면에 1개의 가이드 돌기부(140c)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또한, 하우징 외면에는 계지부(140a, 140b)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도43은 제3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전력 공급선의 단말에 압착되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압접 단자(142)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압접 단자(142)는 음차(tuning fork) 형상으로 한 쌍의 대향편(142a, 142b)을 돌출시키고 있고, 대향편(142a, 142b)의 소요 위치에 있어서 이반 방향으로 팽출하는 원호부(142c, 142d)를 설치하여 가상 원통부를 형성하고 있다. 선 형상 광원(28)의 전극 단자(28a)는 대향하는 원호부(142c, 142d)에 밀하게 끼움 삽입함으로써 전기 접속을 행한다.
도44는 제3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압접 단자(144)는 한 쌍의 만곡한 원호부(144a, 144b)를 대향하여 돌출시키고 있는 동시에, 원호부(144a, 144b)의 서로의 선단부를 근접시켜 원통부를 형성하고 있다. 선 형상 광원(28)의 전극 단자(28a)는, 원호부(144a, 144b)의 내부 원통 공간에 밀하게 끼움 삽입됨으로써 전기 접속된다.
도45는 제3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압접 단자(146)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돌출된 탄성 설편부(146a, 146b)의 선단부를 향해 근접시키고 있고, 선단부(146c, 146d)를 외측으로 젖히고 있다. 선 형상 광원(28)의 전극 단자(28a)는 대향하는 한 쌍의 선단부(146c, 146d) 사이에 삽입하여 압접 접속시킨다. 이 때, 선단부(146c, 146d)가 젖혀져 있으므로, 전극 단자(28a)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46은 제34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압접 단자(148)는 선 형상 광원(28)과 동일한 축선 방향을 갖는 대략 원통부(148a)를 구비하고, 대략 원통부(148a)의 내부 공간(148b)은 선단부 개구로부터 종단부(148c)측으로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선 형상 광원(28)의 전극 단자(28a)를 압접 단자(148)의 내부 공간(148b)에 삽입함으로써 전극 단자(28a)의 선단부측이 밀하게 끼워져 전기 접속이 확보된다.
도47a 내지 도47c는 제35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커넥터(150)측의 외면에 단면 삼각 형상의 피계지부(150a)를 오목하게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151)의 삽입부(151a)에 단면 삼각 형상의 계지부(151b)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변형예로서 도48a와 같이 커넥터(153) 피계지부(153a)를 삼각 기둥 형상의 오목부로 하거나, 도48b와 같이 커넥터(155)의 피계지부(155a)를 원 기둥 형상의 오목부로 하는 등 모든 형상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광원 보유 지지 섀시측에 설치하는 계지부의 형상도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49는 제36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57)는 상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며, 단면 직사각 형상의 하우징의 좌우 외면에 한 쌍의 위치 결정용 가이드 홈(157b)을 절결하고 있는 동시에, 하우징 상하 외면에는 계지부(157a)를 설치하고 있다.
광원 보유 지지용 섀시(158)의 삽입부(158a)에는 가이드 홈(157a)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기부(158b)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피계지부(158c)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변형예로서 도50a와 같이 커넥터(160)를 단면 원 형상으로 하여 그 상하 외면에 계지부(160a)를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좌우 외면에 가이드 홈(160b)을 마련하도록 하거나, 도50b와 같이 커넥터(162)를 단면 삼각 형상으로 하여 그 외면에 계지부(162a)를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가이드 홈(162b)을 마련하도록 하는 등 모든 형상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그 때에 광원 보유 지지 섀시측에 설치하는 계지부의 형상도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51 및 도52는 제37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엣지 라이트(사이드 라이트)형의 조명 장치를 후방 라이트로 한 액정 표시 장치이며, 반사판(167)으로 둘러싸인 선 형상 광원(28)의 전극 단자(28a)의 하방에 있어서 섀시(165)에 삽입부(165a)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선 형상 광원(28)의 축선 방향으로 취출구(165b)를 개구하고 있고, 삽입부(165a) 내의 측면에는 피계지부(165c)를 구비하고 상면에 후술하는 커넥터(166)의 돌기부(166d)를 끼워 맞추는 오목부(165d)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섀시(165)를 덮는 베젤(164)에도 취출구(165b)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164a)를 설치하고 있다.
커넥터(166)는 전극 단자(28a)를 삽입하는 슬롯부(166b)가 절결되어 있는 동시에 측단부면에 계지부(166a)를 돌출시키고 있고, 슬롯부(166b)는 외측방을 폐쇄면(66c)에 의해 폐쇄하고 있는 동시에 폐쇄면(166c)의 상방 선단부측을 돌출시킨 돌기부(166d)를 설치하고 있다.
조립 순서는 커넥터(166)를 섀시(165)의 삽입부(165a)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내부 끼움 삽입하여, 전극 단자(28a)가 커넥터(166)의 슬롯부(166b)에 삽입됨으로써 커넥터(166) 내부의 단자에 전극 단자(28a)가 압접 접속되고, 커넥터(166)의 계지부(166a)가 삽입부(165a) 내면의 피계지부(165c)에 계지 고정되는 동시에 돌기부(166d)가 오목부(165d)에 끼워 맞추어져, 폐쇄면(166c)에서 섀시(165)의 취출구(165b) 및 베젤(164)의 개구부(164a)가 폐쇄된다.
선 형상 광원(28)의 교환 순서는, 커넥터(166)를 섀시(165)의 삽입부(165a)로부터 하방으로 인발함으로써 계지부(166a)를 휘게 하여 계지 해제하고, 커넥터(166)와 선 형상 광원(28)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베젤(164)의 개구부(164a) 및 섀시(165)의 취출구(165b)를 통해 선 형상 광원(28)을 신품으로 교환하고, 상기와 역순으로 다시 조립하면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로 조명되는 표시 장치는, 도5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에 전압을 걸어 전기적으로 빛의 편광을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이지만, 도53b 내지 도5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적, 기계적 으로 빛을 셔터링하여 빛의 강도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53b는 1 화소를 나타내고, 도53c에서는 1 화소를 미세한 사각 형상 셔터의 체크 배치로 하고, 도53d는 미세한 원 형상 셔터의 체크 배치하여, 1 화소 중에 투과부(200)와 광차단부(30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셔터 형상은 사각 형상이나 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 형상을 포함하는 다각형 등으로 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공급선이 커넥터를 거쳐서 광원의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므로, 광원의 고장시 등에 광원을 전력 공급선 등과 분별하여 취출할 수 있어 보수성 및 재활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넥터는 섀시의 삽입부에 끼워 맞추어져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되므로, 광원을 인발하면 커넥터와 분리되어 용이하게 광원만을 취출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광원의 전극 단자와 전력 공급선을 커넥터 접속하여 무땜납으로 하고 있으므로, 조립시의 작업 공정수 및 작업 비용도 저감된다.

Claims (45)

  1. 적어도 한 쪽 단부에 제1 단자를 갖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과,
    상기 전력 공급선과 도통되어 상기 광원의 제1 단자와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부를 구비한 제2 단자를 내부에 갖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를 갖는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섀시를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복수의 상기 광원의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복수의 접속부가 일괄되어 접속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적어도 상기 광원의 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내의 제2 단자는 압접 단자로 하고, 상기 광원의 단부에서 돌출하는 제1 단자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자가 상기 압접 단자에 압접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 단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 설편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단자를 상기 탄성 설편부로 압접 협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설편부는 단자 선단부측으로부터 역U자 형상으로 대향하여 꺾여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 단자는 상기 광원의 단자를 삽입하는 슬롯부를 절결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 단자는 상기 광원과 동일한 축선 방향을 갖는 대략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단자를 상기 대략 원통부의 내부에 밀하게 끼움 삽입하여 압접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원통부는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방 단부측으로 내부 공간을 좁히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섀시의 커넥터의 삽입부 내면에는 피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삽입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계지부가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섀시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계지 해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지부와 상기 피계지부와의 계지를 해제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커넥터의 삽입부 내면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는 피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계지부가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섀시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계지 해제 수단에 의해 상기 계지부와 상기 피계지부와의 계지를 해제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상기 삽입부를 상기 광원의 취출구로서 겸용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선 형상 광원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광원은 열음극관 및 냉음극관 혹은 크세논관으로 이루어지는 방전관, 혹은 선 형상 광원화된 LED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 명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선 형상으로 복수개가 병렬 배치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광원의 일단부측의 단자는 서로 전기 접속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꺾임 형상으로 만곡되고, 양단부의 단자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 형상의 광원은 대략 U자 형상 혹은 대략 W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력 공급선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상기 전력 공급선의 단부에 소형 커넥터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배면측에 부착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소형 커넥터를 상기 부착 구멍에 끼워 맞춤 으로써 상기 소형 커넥터 내의 단자와 상기 커넥터 내의 단자를 접속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부착 구멍의 내면에는 피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소형 커넥터를 상기 부착 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계지부가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되어 상기 소형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광원의 축선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광원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는 상기 광원의 축선 방향에 광원용 취출구를 개구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커넥터에 의해 폐쇄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수지 혹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재료로 성형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는 강성을 갖는 내장 부재를 내부 끼움하고, 상기 전력 공급선의 단말에 접속된 단자를 상기 내장 부재에 계지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단면 직사각 형상, 단면 원 형상, 단면 삼각 형상 혹은 단면 다각 형상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는 위치 결정용 가이드 돌기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섀시의 삽입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을 마련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위치 결정용 가이드 돌기부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을 마련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기 계지부는 계지 돌기로 하고 있는 한편, 상기 섀시의 상기 피계지부는 커넥터 삽입측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내면을 따라 절결된 피계지 홈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피계지 홈은 굴곡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삽입부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계지 돌기를 상기 피계지 홈에 슬라이드 삽입하고, 상기 커넥터를 축선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계지 돌기를 상기 굴곡부에 계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 홈의 종단부는 커넥터 삽입 방향과 역방향을 향해 굴곡된 꺾임부를 형성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 홈의 굴곡부는 둔각으로 굴곡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 홈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5. 제1항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배면측에 광학 부재를 거쳐서 상기 광원을 배치하여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직하형(다이렉트형) 후방 라이트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병렬 배치된 상기 광원의 양측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상기 섀시에 삽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삽통 구멍은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삽통 구멍에 광원의 단부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위치 결정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배면측 부재로부터 광원 위치 결정용 가이드부를 돌출시키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8. 제1항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배면측에 광학 부재를 거쳐서 도광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 중 적어도 일측단부면에 상기 광원을 배치하고 있는 엣지 라이트(사이드 라이트)형 후방 라이트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단면 대략 역ㄷ자 형상의 반사판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광원을 보유 지지한 홀더를 상기 반사판 내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위치 결정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40. 제1항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전방면측에 광학 부재를 거쳐서 도광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 중 적어도 일측단부면에 상기 광원을 배치하고 있는 엣지 라이트(사이드 라이트)형 전방 라이트로 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단면 대략 역ㄷ자 형상의 반사판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광원을 보유 지지한 홀더를 상기 반사판 내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위치 결정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42.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전자파의 편향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43. 제1항에 있어서, 물리적, 기계적 셔터링 방식에 의해 전자파의 강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44. 제1항에 있어서, 액정 패널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45. 제1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와, 광학 부재와, 자발광 소자를 갖지 않는 수동형 표시 패널을 적층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50029758A 2004-04-12 2005-04-11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KR100668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7295A JP4306521B2 (ja) 2004-04-12 2004-04-12 表示装置用照明装置
JPJP-P-2004-00117295 2004-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154A KR20060047154A (ko) 2006-05-18
KR100668586B1 true KR100668586B1 (ko) 2007-01-16

Family

ID=3506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758A KR100668586B1 (ko) 2004-04-12 2005-04-11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85100B2 (ko)
JP (1) JP4306521B2 (ko)
KR (1) KR100668586B1 (ko)
CN (1) CN100433471C (ko)
TW (1) TWI3229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3908A1 (en) * 2006-01-03 2008-01-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tal internal reflection prism mount
JP4406935B2 (ja) * 2006-03-03 2010-02-0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放電管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放電管
JP4433205B2 (ja) 2006-03-27 2010-03-17 船井電機株式会社 直下型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
US7637625B2 (en) * 2006-05-23 2009-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mp fix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61547B1 (ko) * 2006-06-27 2013-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EP2045887A4 (en) 2006-06-30 2013-01-09 Sharp Kk RELAY CONNECTOR, RELAY CONNECTOR AND CHASSIS ASSEMBLY STRUCTURE, RELAY CONNECTOR AND DISCHARGE CONNECTOR ASSEMBLY STRUCTURE, RELAY CONNECTOR AND POWER SOURCE ASSEMBLY STRUCTURE, TUBE ASSEMBLY STRUCTURE DISCHARGE AND POWER SOURCE FOR A CONNECT
EP2048743A4 (en) * 2006-06-30 2014-04-02 Sharp Kk POWER CARD, CARD CONNECTOR, LUMINAIRE, DISPLAY, AND TELEVISION RECEIVER
CN101473165B (zh) * 2006-06-30 2012-01-04 夏普株式会社 背光源组件、背光源组件的制造方法、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ZA200900698B (en) * 2006-06-30 2010-04-28 Sharp Kabushiki Kaisha Japan A Relay connector, relay connector and chassis assembling structure, relay connector and discharge tube assembling structure, relay connector and power source assembling structure, discharge tube and power source assembling structure for relay connector,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V receiving device
US8482680B2 (en) * 2006-06-30 2013-07-09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board, on-board connector,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08001562A1 (fr) * 2006-06-30 2008-01-03 Sharp Kabushiki Kaisha Tube à décharge électrique, raccord, dispositif d'éclairage, dispositif d'affichage, et récepteur de télévision
JP4601585B2 (ja) * 2006-07-06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の組立方法
JP4698511B2 (ja) * 2006-07-06 2011-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の組立方法
KR100764849B1 (ko) * 2006-09-19 2007-10-09 금호전기주식회사 열음극 형광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유닛
JP5022666B2 (ja) * 2006-10-23 2012-09-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315867B1 (ko) * 2006-10-23 2013-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8116835A (ja) * 2006-11-07 2008-05-22 Funai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172597B2 (ja) * 2006-11-13 2008-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256185B1 (ko) * 2007-01-25 2013-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가이드와 이를 구비한 램프 유닛 및 백라이트어셈블리
KR101002152B1 (ko) * 2006-11-30 2010-12-1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PL1933194T3 (pl) * 2006-12-13 2014-06-30 Lg Display Co Ltd Jednostka podświetleniowa i zawierający ją moduł wyświetlacza ciekłokrystalicznego
KR100842705B1 (ko) 2006-12-14 2008-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유닛용 소켓
KR100842715B1 (ko) * 2006-12-14 2008-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유닛용 소켓
KR101263252B1 (ko) * 2006-12-19 201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수납용 카세트
JP5048689B2 (ja) * 2007-02-06 2012-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TW200834157A (en) * 2007-02-15 2008-08-16 K Bridge Electronics Co Ltd Backlighting module, and the lamp tubes thereof
JP5069922B2 (ja) * 2007-02-22 2012-11-07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8243415A (ja) * 2007-03-26 2008-10-09 Ushio Inc 蛍光ランプ及び当該蛍光ランプ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装置
US8223292B2 (en) * 2007-05-17 2012-07-17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for use with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4412358B2 (ja) 2007-06-21 2010-02-10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
EP2012176A1 (en) * 2007-07-02 2009-01-07 Hee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direct type backlight unit
JP4985154B2 (ja) * 2007-07-03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光源装置、表示装置および光学部材
KR100849458B1 (ko) * 2007-08-10 2008-07-30 희성전자 주식회사 측면형 백라이트 장치의 램프 리드선 전원 연결장치
JP5055067B2 (ja) * 2007-08-31 2012-10-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CN102864749A (zh) * 2007-10-05 2013-01-09 托马斯达德利有限公司 反射路标
WO2009050928A1 (ja) * 2007-10-17 2009-04-23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KR20090054224A (ko) * 2007-11-26 2009-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5055382B2 (ja) * 2007-12-27 2012-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中継コネクタ、中継コネクタとシャーシの組み付け構造、中継コネクタと電源の組み付け構造、中継コネクタに対する放電管及び電源の組み付け構造、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09170135A (ja) * 2008-01-11 200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ランプユニット、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090967B2 (ja) * 2008-03-05 201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Lcdモジュー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181895A (ja) * 2008-03-28 2008-08-07 Sanken Electric Co Ltd 放電管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放電管
WO2010004795A1 (ja) * 2008-07-08 2010-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0021189A1 (ja) * 2008-08-20 2010-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00066234A1 (en) * 2008-09-12 2010-03-18 Sanken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CFL, CCFL with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CN101676773B (zh) * 2008-09-19 2011-12-2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用于液晶显示器的荧光灯组装体
US20120057097A1 (en) * 2009-06-15 2012-03-08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063659B2 (ja) * 2009-10-20 2012-10-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30070170A1 (en) * 2010-05-14 2013-03-21 Yuuki Namekat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JP2012084614A (ja) * 2010-10-07 2012-04-26 Sumitomo Electric Device Innovations Inc 光デバイス
JP5608042B2 (ja) * 2010-10-27 2014-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
TWI435294B (zh) * 2010-12-03 2014-04-21 Wistron Corp 無膠框結構的平面顯示器
TWI456460B (zh) 2011-06-02 2014-10-11 Pixart Imaging Inc 光路徑調整組件及使用其之光學觸控裝置
US9429309B2 (en) 2011-09-26 2016-08-30 Ideal Industries, Inc. Device for securing a source of LED light to a heat sink surface
US9249955B2 (en) 2011-09-26 2016-02-02 Ideal Industries, Inc. Device for securing a source of LED light to a heat sink surface
US9423119B2 (en) 2011-09-26 2016-08-23 Ideal Industries, Inc. Device for securing a source of LED light to a heat sink surface
TWI460495B (zh) * 2011-11-07 2014-11-11 Au Optronics Corp 顯示模組
EP2807422B1 (en) * 2012-01-27 2017-08-30 Ideal Industries, Inc. Device for securing a source of led light to a heat sink surface
CN102628567B (zh) * 2012-03-28 2013-10-30 达运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背光模组及应用其的显示装置
KR101957139B1 (ko) * 2012-07-06 2019-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3179073U (ja) * 2012-08-02 2012-10-11 オリオン電機株式会社 表示パネルアッセンブリまたは該表示パネルアッセンブリを有する表示装置。
CN103885226B (zh) * 2014-01-27 2017-01-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固定显示器的量子条的装置
KR102330130B1 (ko) * 2015-07-17 2021-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6704925A (zh) * 2017-01-17 2017-05-24 江苏宜美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灯具卡扣结构及新型超薄led吸顶灯
CN116718817B (zh) * 2023-08-08 2023-11-07 泉欣电力(福建)有限公司 多功能环保电力仪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6841A (en) * 1960-12-28 1964-11-10 Gen Electric Electric lamp base end structure
US3360765A (en) * 1966-05-27 1967-12-26 British Lighting Ind Ltd Mounting of tungsten-halogen lamps
US4928210A (en) * 1986-10-24 1990-05-22 Kabushiki Kaisha Hybec Linear lamp unit with contacts at both ends
US4918582A (en) * 1987-12-16 1990-04-17 F.L. Industries, Inc. Mating terminal and socket assembly
JPH0648778Y2 (ja) * 1989-07-14 1994-12-1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蛍光灯用防水ソケット
JPH04132178A (ja) 1990-09-20 1992-05-06 Hino Motors Ltd 電気コネクタ
JPH0676901A (ja) 1992-08-31 1994-03-1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
JP3166428B2 (ja) 1993-06-30 2001-05-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ルブソケット
US6135620A (en) * 1996-04-10 2000-10-24 Re-Energy, Inc. CCFL illuminated device
US5879203A (en) * 1997-01-27 1999-03-09 Micron Industries Corporation Fuse holder clip
US5968397A (en) * 1997-06-06 1999-10-19 Amana Company, L.P. Apparatus for cooling a quartz halogen lamp with heat conducting convector secured to the lamp terminal or socket
KR100760933B1 (ko) * 2000-12-30 2007-09-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램프장치
JP2002258281A (ja) 2001-03-01 2002-09-11 Furuno Electric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輝度調整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2260796A (ja) 2001-03-05 2002-09-13 Shinsei Kagaku Kogyo Co Ltd バックライト用蛍光管の接点部材
JP3786403B2 (ja) 2001-06-07 2006-06-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組立体
JP4045097B2 (ja) * 2001-12-28 2008-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0937704B1 (ko) * 2003-02-12 2010-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962637B1 (ko) * 2003-09-18 201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06521B2 (ja) 2009-08-05
US7585100B2 (en) 2009-09-08
TW200540528A (en) 2005-12-16
US20050226002A1 (en) 2005-10-13
CN1684318A (zh) 2005-10-19
CN100433471C (zh) 2008-11-12
TWI322911B (en) 2010-04-01
JP2005302533A (ja) 2005-10-27
KR20060047154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586B1 (ko)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KR101261547B1 (ko) 램프 소켓,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780654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8047528A (ja) ランプアセンブリ、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JP2007165320A (ja) ランプ固定部材、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114873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223292B2 (en) Lighting device for use with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10153771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0796536B1 (ko) Lcd 모듈
WO2011158554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070023324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US20100182768A1 (en) Display device with a ground electrode physically contacting a receptacl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US8277066B2 (en)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08034387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20040014086A (ko)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WO2011016292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該バックライト装置を備える表示装置
JP4913216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294349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010370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H10208535A (ja) 簡易交換型照明装置
KR20080071359A (ko) 램프 소켓,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8212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20060136042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8003228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4818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