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086A -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086A
KR20040014086A KR1020020047258A KR20020047258A KR20040014086A KR 20040014086 A KR20040014086 A KR 20040014086A KR 1020020047258 A KR1020020047258 A KR 1020020047258A KR 20020047258 A KR20020047258 A KR 20020047258A KR 20040014086 A KR20040014086 A KR 20040014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power supply
lamp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양동철
안중현
박재각
김동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4086A/ko
Publication of KR20040014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0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9Arrangements or methods for testing or calibrating a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을 개시한다.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몸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걸림턱과 체결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일측이 전원공급라인과 고정 결합되며, 관통구의 일측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류를 도통시키는 전원 연결 터미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을 파괴하지 않고도 접속단자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단자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 불량 여부 및 접속단자와 전원공급라인과의 압착 상태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도 쉽게 판별할 수 있어 커넥터의 불량 원인 파악이 용이하고, 하우징의 파괴 작업 없이도 커넥터의 불량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CONNECTOR AND LAMP UNIT FOR BACKLIGHT ASSEMBLY DEVICE HAVING THE SAME }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하우징을 통해 커넥터의 불량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전자 제품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그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 등과 같은 전자 제품들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커넥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연결된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받는다.
커넥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자 제품 등과 같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장치간의 전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그 예로 소켓 및 플러그가 있다.
커넥터는 일측이 전원공급라인과 결합되어 전원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것으로서, 하우징 및 전극단자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관통구를 갖고 내측 바닥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몸체가 특정 색상을 갖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전극단자의 배면에는 하우징의 걸림턱과 맞물리는 위치에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전극단자의 일측이 전원공급라인과 고정 결합되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의 일측을 통해 하우징에 삽입된다. 이렇게 하우징에 삽입된 전극단자는 타측이 관통구의 타측을 통해 삽입되는 외부 전극단자와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을 통해 소켓에 결합된 전원공급라인과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된다.
이때, 외부 전극단자는 일측이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의 타측을 통해 커넥터와 결합되고, 타측이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 또는 전원공급라인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때, 전원은 커넥터로부터 외부전극단자로 제공되거나 또는 외부 전극단자로부터 커넥터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의 하우징은 몸체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과 전극단자와의 결합 또는 전극단자와 전원공급라인과의 결합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을 파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파괴 검사를 실시하여 하우징과 전극단자와의 결합 또는 전극단자와 전원공급라인과의 결합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더라도 하우징 파괴로 인해 해당 하우징의 재사용이 불가능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광이 출사되지 않아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에러가 발생할 경우, 램프의 불량인지 아니면 전원을 램프로 인가시키는 커넥터의 불량인지를 판별하기 어려우므로 액정 표시 장치를 분해하는 리워크 작업을 통해 램프를 검사하거나 커넥터의 하우징을 파괴하는 파괴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커넥터의 하우징을 통해 커넥터의 불량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커넥터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램프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를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커넥터와 전원공급라인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커넥터를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에 적용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 표시 모듈110 : 샤시
120 : 디스플레이 유닛122 : 액정 표시 패널
124, 126 : TCP128 : 통합 인쇄회로 기판
122a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22b : 컬러필터기판
130 : 백라이트 어셈블리132 : 도광판
134 : 광학 시트들136 : 반사판
140 : 몰드 프레임210 : 프론트 케이스
220 : 리어 케이스300 : 램프 유닛
310 : 램프320 : 램프 리플렉터
332, 334 : 램프 홀더340, 350 : 전원공급라인
360 : 커넥터361 : 하우징
365, 366 : 접속단자400 : 액정 표시 장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몸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과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일측이 전원공급라인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관통구의 일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류를 도통시키는 전원 연결 터미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은 양단에 전극을 갖고 광을 발생하는 램프; 도전성 전극선을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 및 일측이 상기전원공급라인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부터 상기 광을 발생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원 공급 라인으로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외장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에 의하면, 커넥터의 하우징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굳이 커넥터를 파괴시켜 검사하지 않더라도 커넥터와 전원공급라인과의 결합 상태 및 전원 연결 터미널과 하우징과의 결합 상태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400)는 화상신호가 인가되어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액정 표시 모듈(100)과 액정 표시 모듈(100)을 수납하기 위한 프론트 케이스(210) 및 리어 케이스(22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 모듈(100)은 화면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12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액정 표시 패널(122)과,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이하, TCP)(124, 126) 및, 통합 인쇄회로 기판(128)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히는, 액정 표시 패널(12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22a) 컬러필터기판(122b),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22a)과 컬러필터기판(122b)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도시 안됨)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22a)은 매트릭스 상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인듐 틴 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진 화소전극(미도시)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22a)에 대향하여 구비된 컬러필터기판(122b)은 광이 통과하면 소정의 색으로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이다. 이러한 컬러필터기판(122b)의 전면에는 ITO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도포 된다.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22a)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22a)과 컬러필터기판(122b)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 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 각에 따라서 광 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소를 얻게 된다.
그리고, 액정 표시 패널(122)의 소스 측에는 데이터 구동 신호의 인가 시기를 결정하는 데이터측 TCP(124)가 부착되고, 게이트측에는 게이트의 구동신호의 인가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게이트측 TCP(126)가 부착된다. 액정 표시 패널(122)의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통합 인쇄회로기판(128)은 액정표시패널(122)의 데이터측 TCP(124)에 각각 접속된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아래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130)가 구비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130)는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 유닛(300), 광을 디스플레이 유닛(120)쪽으로 안내하면서 광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도광판(132), 도광판(13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광학 시트들(134) 및 도광판(132)의 아래에서 도광판(132)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132)으로 반사시켜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판(136)을 포함한다.
특히, 램프 유닛(300)에 채용되어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의 하우징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도 2에서 이루어지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130)는 바닥판과 바닥판을 둘러싸는 측벽들로 구성된 수납 용기인 몰드 프레임(140)에 수납된다.
몰드 프레임(140)의 바닥판에는 통합 인쇄회로기판(128)을 몰드 프레임(140)의 외측벽을 따라서 절곡시켜서 안착시키기 위한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내측벽에 램프 유닛(30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서 램프 유닛(300)이 몰드 프레임(140)의 측벽에 안착된다.
상술한 몰드 프레임(140)은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몰드 프레임(140)과 서로 대향하는 샤시(110)와 결합된다.
샤시(110)는 상면이 개구된 꺽쇠 형상을 갖고, 액정 표시 패널(122)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이 개구되도록 덮으면서 내측벽이 몰드 프레임(140)의 외측벽과 접하도록 결합되며, 통합 인쇄회로기판(128)을 몰드 프레임(140)의 배면부에 고정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램프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300)은 램프(310), 램프 리플렉터(320), 램프 홀더(332, 334), 전원공급라인(340, 350) 및 커넥터(360)를 포함한다.
램프(310)는 양단에 형성된 전극부가 전원공급라인(340, 350)과 각각 연결되고, 도광판(132)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라인(340)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대응하여 광을 발생시킨다.
램프 리플렉터(320)는 램프(310)의 일부를 감싸며, 램프(310)와 함께 램프 홀더(332, 334)를 수납하고 램프(3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도광판(132)으로 반사한다.
램프 홀더(332, 334)는 관통공이 갖고 램프(310)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여 램프 리플렉터(320)에 수납되는 램프(310)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제1 및 제2 램프 홀더(332, 334)로 구성된다.
즉, 제1 램프 홀더(332)는 램프(310)의 일단을 수용하고, 제2 램프 홀더(334)는 램프(310)의 타단을 수용하여 램프(310)를 램프 리플렉터(320)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1 및 제2 램프 홀더(332, 334)형성된 별도의 관통공을 통해 램프(310)의 양 전극부와 연결된 전원공급라인(340, 350)이 외부로 노출된다.
전원공급라인(340, 350)은 일단이 램프(310)의 양단에 형성된 전극부와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커넥터(360)의 내부로 수용되는 핫 전극라인(340) 및 콜드 전극라인(350)을 갖는다. 핫 전극라인(340) 및 콜드 전극라인(350)은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커넥터(360)를 통해 공급받아 램프(310)로 제공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압이 인가되는 콜드 전극라인(164)이 고전압이 인가되는 핫 전극라인(340)보다 길게 형성되어 핫 전극라인(340) 쪽으로 인출되는데, 이는 핫 전극라인(340)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주변 회로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커넥터(360)는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의 외장재로 형성되고, 일측이 램프(310)와 연결된 전원공급라인(340, 350)의 타단을 수용하며, 타측이 광 발생을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전원공급라인(340, 350)을 통해 램프(310)로 제공한다.
도 3은 상기한 도 2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한 도 3의 커넥터를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60)는 하우징(361) 및 접속단자(365, 36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하우징(361)은 접속단자(365, 366)를 삽입하기 위한 핫측 관통구와 콜드측 관통구가 형성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 실리콘과 같은 재질에 외관의 견고성을 위해 경화제를 첨가시켜 하우징(361)을 생성할 수 있다.
접속단자(365, 366)는 일측이 핫 전극라인(340)의 일단과 고정 결합되는 제1 접속단자(365)와, 일측이 콜드 전극라인(360)의 일단과 고정 결합되는 제2 접속단자(366)를 갖고, 외부 접속단자(371, 37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핫 전극라인(340)과 콜드 전극라인(350)으로 제공한다.
제1 접속단자(365)는 내부에 도전성 전극선이 수용된 핫 전극라인(340)의 피복을 조임으로써 핫 전극라인(340)과 결합되는 제1 조임부(365a)와, 제1 조임부(365a)로부터 연장되고,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연장된 핫 전극라인(340)의 도전성 전극선을 조여서 고정하는 제2 조임부(365b), 및 제2 조임부(365b)로부터 연장되고 외부 접속단자(371)와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집게형태의 굴곡진 형상을 갖는 연결부(365c)를 포함한다. 따라서, 외부 접속단자(371)로부터 연결부(365c)로 인가되는 전원은 제2 조임부(365b)에 의해 핫 전극라인(340)으로 인가되며, 제2 조임부(365b)에 의해 핫 전극라인(340)과 제1 접속단자(365)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제2 접속단자(366)의 구성은 제1 접속단자(365)의 구성과 동일하며, 콜드 전극라인(350)과 제2 접속단자(366)의 결합 관계는 상술한 핫 전극라인(340)과 제1 접속단자(365)의 결합 관계를 따른다.
이와 같이 일측이 핫 전극라인(340) 및 콜드 전극라인(350)과 각각 결합된 제1 접속단자(365) 및 제2 접속단자(366)는 하우징(361)에 형성된 핫측 관통구와 콜드측 관통구를 통해 하우징(361) 내부로 삽입된다.
즉, 핫측 관통구의 제1 삽입구(362a)를 통해 핫 전극라인(340)과 고정 결합된 제1 접속단자(365)가 삽입되며, 콜드측 관통구의 제3 삽입구(362c)를 통해 콜드 전극라인(350)과 고정 결합된 제2 접속단자(366)가 삽입된다. 그리고, 핫측 관통구의 제2 삽입구(362b) 및 콜드측 관통구의 제3 삽입구(362d)를 통해 삽입되는 외부 접속 단자(371, 372)가 각각 제1 접속단자(365) 및 제2 접속단자(366)의 연결부(267)와 체결된다. 이러한, 각각의 외부 접속단자(371, 372)와 접속단자(365, 366)의 결합에 의해 접속단자(365, 366)는 외부 접속단자(371, 372)로부터 광 발생시키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라인(340, 350)을 통해 램프(310)로 제공한다.
하우징(361)에 형성된 핫측 및 콜드측 관통구는 제1 및 제2 접속단자(365, 366)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3 삽입구(362a, 362c)가 외부 접속단자(371, 372)가 삽입되는 제2 및 제4 삽입구(362b, 362d)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라인(340, 350)과 결합된 접속단자(365, 365)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361)에 삽입된 상태는 상기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한 도 4는 핫 전극라인(340)과 결합된 제1 접속단자(365)가 하우징(361)에 삽입된 상태를 일례로 한 것으로서,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임부(365a)에 의해 핫 전극라인(340)과 결합된 제1 접속단자(365)가 하우징(36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하우징(361)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턱(363)과 체결되기 위한 걸림편(367)이 제1 접속단자(365)의 연결부(365c) 배면에 형성된다. 이때, 걸림편(367)은 걸림턱(363)과 맞물리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턱(363)과 걸림편(367)의 체결을 통해 제1 접속단자(365)가 하우징(361)에 삽입 고정된다.
물론, 제2 접속단자(366)가 삽입되는 측의 하우징(361) 내측 바닥면에도 걸림턱이 형성되며, 제2 접속단자(366)의 연결부(366c) 배면에도 제1 접속단자(365)의 연결부(265c)와 같이 걸림편이 형성되어 걸림턱과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60)의 하우징(36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접속단자(365, 366)가 하우징(361)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접속단자(365, 366)의 제1 및 제2 조임부(365a, 366a, 365b, 366b)와 전원공급라인(340, 350)과의 결합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365, 366)의 걸림편과 하우징(361)의 걸림턱과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도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사전에 커넥터(360)의 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한 도 3의 커넥터와 전원공급라인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60)의 제1 접속단자(365)와 핫 전극라인(340)과의 결합이 바람직하게 형성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핫 전극라인(340)의 피복부분(a) 일측이 제1 접속단자(365)의 제1 조임부(365a)와 압착되고, 핫 전극라인(365)으로부터 연장되어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도전성 전극선 부분인 심선부(b)가 제1 접속단자(365)의 제2 조임부(365b)와 압착된다.
도 5b는 상기한 도 5a의 경우와 달리 제1 접속단자(385)와 핫 전극라인(340)과의 결합관계가 불량하게 형성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핫 전극라인(340)의 피복부분(a)이 제1 접속단자(385)의 제2 조임부(385b)까지 연장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핫 전극라인(340)의 심선부(b)가 제1 전압단자(385)의 제2 조임부(385b)에 압착될 수 없으므로, 제1 전압단자(385)로 인가된 전원이 핫 전극라인(340)으로 올바르게 인가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램프(310)에 광 발생을 위한 전원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없어 램프(310)의 간헐적인 점등 불량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 내부의 결합 불량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381)을 사용함에 따라 검사자 또는 사용자가 커넥터의 외관 검사를 통해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60)가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300)에 적용되는 것을 일례로하여 설명하였으나, 하기하는 도 6a 및 도 6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60)가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한 도 3의 커넥터를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에 적용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6a를 참조하면, 램프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4개의 램프(510, 520, 530, 540)가 병렬 연결되고, 각각의 램프(510, 520, 530, 540)의 양단에 형성된 전극부에 핫 전극라인(512, 522, 534, 544) 및 콜드 전극라인(514, 524, 534, 544)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핫 전극라인(512, 522, 532, 542)은 핫측 커넥터(552, 556)에 수용되고, 콜드 전극라인(514, 524, 534, 544)은 콜드측 커넥터(554, 558)에 수용된다.
즉, 제1 핫측 커넥터(552)는 일단이 제1 및 제2 램프(510, 520)의 전극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핫 전극라인(512, 522)이 수용되고, 제2 핫측 커넥터(556)는 일단이 제3 및 제4 램프(530, 540)의 전극부에 각각 연결된 제3 및 제4 핫 전극라인(532, 542)이 수용된다. 이와 같은, 제1 핫측 커넥터(552)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제1 및 제2 핫 전극라인(512, 522)을 통해 제1 및 제2 램프(510, 520)로 제공하고, 제2 핫측 커넥터(556)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제2 및 제3 핫 전극라인(532, 542)을 통해 제3 및 제4 램프(530, 540)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콜드측 커넥터(554)는 일단이 제1 및 제2 램프(510, 520)의 전극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콜드 전극라인(514, 524)이 수용되고, 제2 콜드측 커넥터(556)는 일단이 제3 및 제4 램프(530, 540)의 전극부에 각각 연결된 제3 및 제4 콜드 전극라인(534, 544)이 수용된다. 이와 같은, 제1 콜드측 커넥터(554)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저전압을 제1 및 제2 콜드 전극라인(514, 524)을 통해 제1 및 제2 램프(510, 520)로 제공하고, 제2 콜드측 커넥터(554)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저전압을 제2 및 제3 콜드 전극라인(534, 544)을 통해 제3 및 제4 램프(530, 540)로 제공한다.
이때, 핫 전극라인(512, 522, 532, 542)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주변 회로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전압이 인가되는 핫 전극라인(512, 522, 532, 542)이 저전압이 인가되는 콜드 전극라인(514,524, 534,544)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도 2에서는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340, 350)이 하나의 커넥터(360)에 수용되는 것과 달리, 도 6a에 도시된 커넥터(552, 554, 556, 558)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두개의 전원공급라인(512, 514, 522, 524, 532, 534, 542, 544)이 하나의 커넥터(552, 554, 556, 558)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복수의 램프(510, 520, 530, 540) 제공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 4 램프(510, 520, 530, 540)는 제1 및 제2 핫측 커넥터(552, 556)로부터 제공되는 고전압과 제1 및 제2 콜드측 커넥터(554, 558)로부터 제공되는 저전압을 통해 광을 발생시킨다.
물론, 도면상에서는 하나의 커넥터(552, 554, 556, 558)에 2개의 램프(510, 520. 530, 540)가 병렬 연결된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커넥터(552, 554, 556, 558)에 하나의 램프(510, 520, 530, 540)를 연결할 수도 있고, 하나의 커넥터(552, 554, 556, 558)에 3개 이상의 램프를 병렬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에서도 상기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커넥터에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수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b는 상기한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에 적용한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6b를 참조하면, 램프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4개의 램프(610, 620, 630, 640)가 병렬 연결되고, 각각의 램프(610, 620, 630, 640)의 양단에 형성된 전극부에 핫 전극라인(612, 622, 632, 642) 및 콜드 전극라인(614, 624, 634, 644)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핫 전극라인(612, 622, 634, 644)은 핫측 커넥터(651, 652)에 수용되고, 콜드 전극라인(514, 524, 534, 544)은 플러그 커넥터(653)에 수용된다.
플러그 커넥터(653)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저전압이 인가되는 제1 콜드측 연결 커넥터(654)와 결합된다. 이때, 제1 콜드측 연결 커넥터(654)는 일측에 삽입된 콜드 전극라인(614)을 통해 제2 콜드측 연결 커넥터(655)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공받는다.
즉, 제1 핫측 커넥터(651)는 일단이 제1 및 제2 램프(610, 620)의 전극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핫 전극라인(612, 622)이 수용되고, 제2 핫측 커넥터(652)는 일단이 제3 및 제4 램프(630, 640)의 전극부에 각각 연결된 제3 및 제4 핫 전극라인(632, 642)이 수용된다.
이와 같은, 제1 핫측 커넥터(65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제1 및 제2 핫 전극라인(612, 622)을 통해 제1 및 제2 램프(610, 620)로 제공하고, 제2 핫측 커넥터(652)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제2 및 제3 핫 전극라인(632, 642)을 통해 제3 및 제4 램프(630, 640)에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하우징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접속 단자의 외관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전에 이러한 외관 검사를 시행하여 불량의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램프의 점등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이상 발생의 원인이 램프에 있는지 아니면 커넥터에 있는지를 쉽게 판별하여 이에 맞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외관 검사 불가능으로 인해 램프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분해 및 재조립을 해야하는 리워크 작업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을 파괴하지 않고도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접속단자의 걸림편과의 체결 불량으로 인한 접속단자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 불량을 육안으로도 쉽게 판별할 수 있어 불량이 발생한 커넥터에 대한 문제점 파악이 용이하고, 커넥터 불량의 원인 및 불량 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단자와 전원공급라인의 피복부 및 심선부의 적절한 압착 상태가 형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 전원공급라인의 심선부가 압착되어야할 부분에 피복부가 압착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램프의 간헐적 점등 불량을 사전에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파괴 작업 없이도 커넥터의 불량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커넥터의 불량 확인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6)

  1.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육안으로 내부가 관찰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과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일측이 전원공급라인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관통구의 일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류를 도통시키는 전원 연결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원 연결 터미널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투명 또는 반투명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실리콘에는 경화제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 형성된 관통구의 타측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 연결 터미널은,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피복부에 압착되는 제1 조임부재;
    상기 제1 조임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심선부에 압착되어상기 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전원 연결 터미널간의 전류를 도통시키는 제2 조임부재; 및
    상기 제2 조임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를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전극을 갖고 광을 발생하는 램프;
    도전성 전극선을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 및
    일측이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부터 상기 광을 발생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원 공급 라인으로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외장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원 공급 라인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KR1020020047258A 2002-08-09 2002-08-09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KR20040014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258A KR20040014086A (ko) 2002-08-09 2002-08-09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258A KR20040014086A (ko) 2002-08-09 2002-08-09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086A true KR20040014086A (ko) 2004-02-14

Family

ID=3732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258A KR20040014086A (ko) 2002-08-09 2002-08-09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408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78B1 (ko) * 2006-09-05 2007-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799554B1 (ko) * 2006-08-14 2008-01-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42714B1 (ko) * 2006-12-14 2008-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및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에 백라이트 램프 단자를 중계하여 접속되게 하는 단자보호잭
KR100861107B1 (ko) * 2006-12-14 2008-09-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96532B1 (ko) * 2007-06-11 2009-05-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413A (ja) * 1995-08-03 1997-02-14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コネクタ
JPH10125384A (ja) * 1996-10-23 1998-05-15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ネクタ
JPH10172649A (ja) * 1996-12-16 1998-06-26 Nippon Atsuchiyaku Tanshi Seizo Kk コネクタ
JP2000030820A (ja) * 1998-07-14 2000-01-28 Jimbo Electric Co Ltd 配線器具
KR20020072456A (ko) * 2001-03-10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413A (ja) * 1995-08-03 1997-02-14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コネクタ
JPH10125384A (ja) * 1996-10-23 1998-05-15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ネクタ
JPH10172649A (ja) * 1996-12-16 1998-06-26 Nippon Atsuchiyaku Tanshi Seizo Kk コネクタ
JP2000030820A (ja) * 1998-07-14 2000-01-28 Jimbo Electric Co Ltd 配線器具
KR20020072456A (ko) * 2001-03-10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54B1 (ko) * 2006-08-14 2008-01-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762278B1 (ko) * 2006-09-05 2007-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42714B1 (ko) * 2006-12-14 2008-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및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에 백라이트 램프 단자를 중계하여 접속되게 하는 단자보호잭
KR100861107B1 (ko) * 2006-12-14 2008-09-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96532B1 (ko) * 2007-06-11 2009-05-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485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65372B1 (ko) 백라이트 유닛
JP2008084867A (ja) ランプソケット、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ランプモジュールの組立方法
JP2008034386A (ja) 一体型ランプソケット、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US7425133B2 (en) Display device
US8167477B2 (en)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lamp socket with elastomeric conductor
JP2002333606A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014086A (ko)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
KR200600196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206718B1 (ko)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318254B1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US20130070166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6917397B2 (en) Connector, backlight assembly lamp unit including the connec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070053056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1483670B1 (ko) 광공급 유닛과 이를 이용하는 표시장치
US9128325B2 (en) Display device with a ground electrode physically contacting a receptacl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KR2007011292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120149216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substrates to each oth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substrates to each other
US20100277404A1 (en)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269387B1 (ko) 백라이트 유닛
US20080157700A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078113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1872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78870A (ko) Emi 차폐를 위한 평판표시장치
US20120002117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