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554B1 -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 Google Patents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554B1
KR100665554B1 KR1020037001263A KR20037001263A KR100665554B1 KR 100665554 B1 KR100665554 B1 KR 100665554B1 KR 1020037001263 A KR1020037001263 A KR 1020037001263A KR 20037001263 A KR20037001263 A KR 20037001263A KR 100665554 B1 KR100665554 B1 KR 100665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klift
wheels
front whee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396A (ko
Inventor
스가타타카시
Original Assignee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2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pivoted bogies
    • B62D7/02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pivoted bogie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more than one bogie, e.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al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09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with different steering modes, e.g. crab-steering, or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Handcart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2)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3)과 좌우 한쌍의 후차륜(4)을 90도상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설치했다. 전차륜(3)은 각각 차체(2)측에 대하여 종축심(23)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선회부재(24)에 부착함과 아울러, 선회부재(24)의 회동을 행하는 회동수단(40)을 설치했다. 전차륜(3)을 각각 선회부재(24)에 부착한 주행구동수단(30)에 연동했다. 주행구동수단(30)을 전차륜(3)의 내측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설치했다. 차체(2)의 전단측에 마스트(6)를 설치하고, 마스트(6)측에 포크(13)를 설치했다. 전차륜을 직각방향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있는 형식이며, 주행구동수단을 위해 마스트를 전차륜에 대하여 필요이상으로 전방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자체무게를 무겁게 하는 일없이 전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FORKLIFT WITH TRANSVERSE TRAVEL SYSTEM}
본 발명은,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수 있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차량으로서는, 대형의 운반차, 일부의 적재기 등에 보여지며, 포크리프트에 있어서는 리치식 전기차에 존재한다. 또한, 차량의 이동에 대하여 마스트(mast)나 포크가 가로방향으로 부착되고, 긴 물건을 취급하는 사이드포크리프트가 있다. 그러나, 카운터 타입의 포크리프트에 있어서는, 보통의 작업에 더하여, 가로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이드포크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포크리프트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륜인 전차륜을 직각방향으로 향하도록 조타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도 8에서 나타내는 종래의 포크리프트(1)는 그 차체(2)의 전방부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구동륜)(3)이 설치됨과 아울러, 후방부에 좌우 한 쌍의 후차륜(방향전환륜)(4)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체(2)의 전방부에서 상방에는 운전석(5)이 설치된다. 상기 차체(2)의 전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한 마스트(6)가 차폭방향의 전차륜(7)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전후회동을 행하게 하는 틸트실린더(8)가 차체(2)와 마스트(6)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6)는 포크리프트(1)측의 좌우 한 쌍의 외부프레임(9)과, 이 외부프레임(9)에 안내되어 승강가능한 좌우 한쌍의 내부프레임(10)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외부프레임(9)과 내부프레임(10) 사이에 리프트실린더(11)가 설치된다. 또 내부프레임(10)측에 안내되어 승강가능한 리프트브래킷(12)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리프트브래킷(12)에 상하 한 쌍의 핑거바(finger bar)를 통해, 좌우 한 쌍의 포크(13)가 설치된다.
상기 운전석(5)에는 좌석(15)이나, 이 좌석(15)의 전방에 위치되는 핸들(16) 등이 설치되고, 그리고 상방에는 본체(2)측으로부터 기립된 프론트파이프(17)나 리어파이프(18)를 통해 헤드가드(19)가 설치된다. 더욱이 좌석(15)의 후방에서 본체(2) 상에는 카운터웨이트(20)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포크리프트(1)에서는 좌우의 전차륜(3)이 공통의 주행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있는 것 등으로부터, 이들 전차륜(3)을 직각형상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없고, 이로써 가로주행은 행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차륜 및 후차륜을 직각방향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있고, 또한 전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트리프트는, 차체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이, 각각 90도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차체측에 대하여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재에 부착됨과 아울러, 선회부재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선회부재에 부착된 주행구동수단에 연동됨과 아울러, 이들 주행구동수단은 전차륜의 내측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설치되고, 차체의 전단측에는 마스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마스트측에는 포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통 주행시에는 좌우의 전차륜 및 좌우의 후차륜은 전후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용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포크를 마스트에 따라 승강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소기의 포크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의 전차륜 및 좌우의 후차륜이 전후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보통 주행시로부터 가로주행으로 변환했을 때, 예를 들면 레버식의 가로주행모드 스위치를 조작하여 회동수단을 작동시킨다. 즉, 회동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전차륜을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시켜 차체에 대하여 90도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할 수 있고, 이로써 전차륜을 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한 후, 포크리프트를 좌우로 가로주행할 수 있다.
또 전차륜을 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했을 때, 선회부재와 일체로 주행구동수단도 회동하고, 전차륜의 내측방에 걸쳐 설치한 부분을 마스트의 후면에 접근할 수 있고, 그 때에, 전차륜의 내측방에 걸쳐 설치한 부분의 내측면으로부터 종축심까지의 주행구동수단 내측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종축심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마스트와의 간섭범위)을 주행구동수단의 내측폭에 상당한 좁은(작은)것으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차륜을 직각방향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있는 형식이면서, 주행구동수단을 위해 마스트를, 전차륜 등에 대하여 필요이상으로 전방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즉 마스트는 종래의 비가로주행식의 포크리프트와 같이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자체무게를 무겁게 하는 일없이 전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주행구동수단은 전차륜의 후방에 위치되는 회전구동부와, 이 회전구동부를 전차륜에 연동시키기 위한 전차륜의 내측방에 위치되는 회전전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적합한 실시예에 의하면, 큰 형상의 회전구동부를 전차륜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그리고 전차륜의 내측방에는 얇은 형상의 회전전달부를 위치할 수 있음으로서, 종축심으로부터 회전전달부의 내측면까지의 주행구동수단 내측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주행구동수단을 강조한 개략평면도로서, (a)는 보통 주행시, (b)는 가로주행시.
도 2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보통 주행시의 측면도.
도 3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전차륜부분의 측면도.
도 4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전차륜부분의 일부절개 정면도.
도 5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후차륜부분의 일부절개 평면도.
도 6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후차륜부분의 배면도.
도 7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회동수단을 강조한 개략평면도로서, (a)는 보통 주행시, (b)는 가로주행시.
도 8은 종래예를 나타내며, 포크리프트의 측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 1∼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예(도 8)와 동일한 구성물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물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1은 포크리프트, 2는 차체, 3은 전차륜(구동륜), 4는 후차륜(방향전환륜), 5는 운전석, 6은 마스트, 8은 틸트실린더, 9는 외부프레임, 10은 내부프레임, 11은 리프트 실린더, 12는 리프트브래킷, 13은 포크, 15는 좌석, 16은 핸들, 17은 프론트파이프, 18은 리어파이프, 19는 헤드가드, 20은 카운터 웨이트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마스트(6)는 차체(2)측에 대하여, 차폭방향의 연결축(28)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각각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차체(2)측에 대해서, 축받이장치(21)와 종축(22)을 통해 종축심(23)의 둘레로 회동가능한 선회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선회부재(24)는 역L자 형상으로서, 그 횡판부분이 종축(22)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종판부분에는 축받이장치(25)를 통해 차축(26)이 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차축(26)에 전차륜(3)의 림(3A)이 연결되어 있다. 그 때에 종축심(23)의 거의 바로아래부분에 전차륜(3)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각각 선회부재(24)에 부착된 주행구동수단(30)에 연동되고, 여기서 주행구동장치(30)는 전차륜(3)의 내측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즉, 전차륜(3)의 후방에는 전동모터(회전구동부의 일례)(31)가 그 출력축(32)을 내측을 향해 위치됨과 아울러, 브래킷(33)을 통해 선회부재(24)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차륜(3)의 내측방에는 전동모터(31)의 출력축(32)을 전차륜(3)의 차축(26)에 연동시키기 위해 체인전달기구(회전전달부의 일부)(34)가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체인전달기구(34)는 출력축(32)에 부착된 구동기어(35)와, 차축(26)에 부착된 수동기어(36)와, 양 기어(35, 36) 사이에 감긴 체인(37)과, 케이스체(38) 등에 의해 구성되고, 이 케이스체(38)가 선회부재(24)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에, 큰 형상의 전동모터(31)는 전차륜(3)의 후방에 위치되고, 그리고 전차륜(3)의 내측방에는 얇은 형상의 체인전달기구(34)가 위치됨으로써, 종축심(23)으로부터 체인전달기구(34)의 내측면까지의 주행구동수단 내측폭(W)은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체(2)측에는 상기 선회부재(24)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전륜회동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전륜회동수단(40)은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를 갖고, 이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는 그 본체(41a)가 차체(2)측에 종 핀(42)을 통해 요동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피스톤로드(41b)가 한쪽의 선회부재(24)에 고정된 링크(43)에 세로방향의 연결핀(44)을 통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선회부재(24)로부터 연장설치된 암(45) 사이가 링크체(46)와 연결핀(47)을 통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링크(43)를 통해 선회부재(24)를 회동시킴으로써, 한쪽의 전차륜(3)을 종축심(23)의 둘레로 방향전환하여 직각형상으로 향하게 함과 아울러, 암(45)이나 링크체(46) 등을 통해 다른 쪽의 전차륜(3)을 종축심(23)의 둘레로 방향전환하여 직각형상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전륜회동수단(40)에 의하면, 공통의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좌우의 전차륜(3)이 서로 역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직각형상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41∼47 등에 의해, 전륜회동수단(40)의 일례가 구성된다.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각각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의 림(4A)은 각각 역L자형상의 선회부재(50)에 있어서의 종판부분에 가로방향의 차륜(51) 등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선회부재(50)에 있어서의 횡판부분은 축받이장치(52)와 종축(53)을 통해, 차체(2)측에 대하여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에 종축심(54)의 거의 바로 아래부분에 후차륜(4)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을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시키는 후륜 회동수단(60)이 설치되고, 이 후륜회동수단(60)은 방향전환용 실린더(61)나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등으로 구성된다.
즉, 방향변환용 실린더(61)는 그 본체(61a)가 차폭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그 피스톤(61b)에 연결된 피스톤로드(61c)는 차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로드(61c)의 돌출된 양단부가 각각 유지프레임체(62)를 통해 차체(2)측에 고정되고, 이로써 본체(61a)가 차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는 좌우 한 쌍으로서, 각각의 본체(63a)는 연결재(64)를 통해 상기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본체(61a)에 일체화(연결)되어 있다. 그 때에 이들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피스톤(63b)에 연결된 피스톤로드(63c)는 각각 차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축(53)의 상단에 연장설치된 암체(65)와 피스톤로드(63c)의 돌출단 사이가 링크(66)나 세로방향의 연결핀(67, 68) 등을 통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 후륜 회동수단(60)에 의하면,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작동은 고정된 피스톤로드(61c)에 대해서 본체(61a)가 차폭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행해지고, 그리고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본체(61a)와 일체로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본체(63a)가 차폭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때에 유지프레임체(62) 사이에는 연결재(64)를 관통하는 가이드체(도시생략)가 설치되고, 이로써 가이드체에 의해, 본체(61a, 63a)의 이동안내와 회전방지가 행해진다.
상기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작동은 핸들(16)을 돌림으로써 궤도롤(전체유 압식 파워스티어링)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는 방향전환용 실린더(61)가 중립형상일 때에 콘트롤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후차륜(4)을 각별히 회동가능하게 하여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작동시에는 소정의 비작동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작동에 의해, 링크(66)나 암체(65) 등을 통해 종축(53)을 회동시킴으로써, 선회부재(50) 등을 통해 후차륜(4)을 종축심(54)의 둘레로 방향전환하여 직각형상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작동에 의해, 좌우의 후차륜(4)은 서로 역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직각형상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61∼71 등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을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시키는 후륜 회동수단(60)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차체(2)측에는 배터리(75)가 탑재되고, 이 배터리(75)에는 콘트롤러(76)가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콘트롤러(76)로부터의 케이블(동력원 공급부품)(77)이 상기 전동모터(3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의 (a)나 도 2∼도 6의 실선, 및 도 7의 (a)는 보통 주행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좌우의 전차륜(3) 및 좌우의 후차륜(4)은 전후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석(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종함으로써 주행이동할 수 있다.
즉, 배터리(75)의 전력을 콘트롤러(76)에 의해 제어한 후 케이블(77)을 통해 전동모터(31)에 각각 공급하고, 이 전동모터(31)를 구동함으로써, 체인전달기구(34) 등을 통해 전차륜(3)을 정반대로 구동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을 전후로 주행이동할 수 있다. 그 때에 전동모터(31)에 있어서의 출력축(32)의 회전을 구동기어(35), 체인(37), 수동기어(36), 차축(26)을 통해 전차륜(3)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용 레버를 조작하여 리프트 실린더(11)를 작동시킴으로써, 리프트브래킷(12) 등을 통해, 포크(13)를 마스트(6)에 따라 승강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소기의 포크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틸트용 레버를 조작하여 틸트실린더(8)를 작동시킴으로써, 마스트(6)를 연결축(28)의 둘레로 회동(경도)시킬 수 있고, 이로써 리프트브래킷(12) 등을 통해 포크(13)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주행이동시에 핸들(16)의 조종에 따라서 선회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핸들(16)을 좌측으로 돌림으로써,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본체(61a)는 궤도롤(70)로 좌측으로 작동되고, 연결재(64)를 통해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본체(63a)가 일체로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는 소정의 수축한계에서 비작동자세에 있어서 링크형상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좌측으로의 이동은 링크(66)를 통해 암체(65)에 전달되고, 이로써 선회부재(50)를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시키고, 후차륜(4)을 방향전환시켜 좌선회할 수 있다.
또,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를 중도까지 수축이동시켰을 때에는, 양 선회부재(50)를 종축심(54)의 둘레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좌우의 후차륜(4)을 도 1의 (a)의 가상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연이 조금 전방이 되도록 비스듬히 방향전환시킬 수 있고, 이로써 그 곳에서의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이 하여, 예를 들면 핸들(16)을 우측으로 돌림으로써 우선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통 주행시로부터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때, 우선 방향전환용 실린더(61)가 도 5에 나타내는 중립형상(직진형상)의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레버식의 가로주행모드 스위치(도시생략)를 조작하고, 전륜 회동수단(40)과 후륜 회동수단(60)을 작동시킨다.
즉 전륜 회동수단(40)에서는, 레버식의 가로주행모드 스위치를 조작하여 레버를 기울임으로써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를 작동시키고, 링크(43)를 통해 선회부재(24)를 종축심(23)의 둘레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도 1의 (b)나 도 3, 도 4의 가상선, 및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시킨다. 이 때, 선회부재(24)와 일체로 주행구동수단(30)도 회동되고, 각각의 체인전달기구(34)가 외부프레임(9)의 후면에 접근된다. 또한 종축심(23)의 거의 바로 아래부분에 전차륜(3)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전차륜(3) 등은 간략하게 90도상의 방향전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후륜 회동수단(60)에서는 콘트롤밸브에 의해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가 수축이동되고, 피스톤로드(63c)의 돌출이동이 링크(66)를 통해 암체(65)에 전달되고, 선회부재(50)를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도 1의 (b), 도 6의 가상선, 및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차륜(4)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전차륜(3)이나 후차륜(4)의 방향전환을 행한 것, 즉 전차륜(3)이나 후차륜(4)이 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한 것을 센서로 감지하고, 인디케이터램프를 점등시키고, 이로 인해 가로주행모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석(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종함으로써, 상술과 같이 하여, 배터리(75)의 전력을 콘트롤러(76)에 의해 제어한 후 케이블(77)을 통해 전동모터(31)에 각각 공급하고, 이 전동모터(31)를 구동함으로써, 체인전달기구(34) 등을 통해 전차륜(3)을 정반대로 구동회전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좌우로 가로주행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추종회전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로주행을 행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긴 물건의 반송을 포크(13)를 통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로주행에 있어서의 직진성의 보정은 레버를 전후로 기울여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를 미세하게 작동시키고, 전차륜(3)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크리프트(1)에 있어서는 종축심(23)으로부터 체인전달기구(34)의 내측면까지의 주행구동수단 내측폭(W)을 좁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전륜 회동수단(40)에 의해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으로 방향전환시키고, 주행구동수단(30)도 일체로 회동시켜 체인전달기구(34)를 외부프레임(9)의 후면에 접근시켰을 때에, 종축심(2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마스트(6)와의 간섭범위)이 상기 주행구동수단 내측폭(W)에 상당한 좁은(작은) 것이 된다.
이로 인해, 전차륜(3)을 직각형상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있는 형식이면서, 주행구동수단(30)을 위해 마스트(6)를 전차륜(3) 등에 대하여 필요이상으로 전방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즉 마스트(6)는 종래의 비가로주행식의 포크리프트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자체무게를 무겁게 하는 일없이 전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체무게를 무겁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터리(75)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카운터타입의 포크리프트(1)가 나타나 있지만, 사이드포크리프트 등이라도 마찬가지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구동부로서 전동모터(31)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은 유압모터라도 된다. 그 경우, 포크리프트(1)의 구동형식으로서, 2펌프 2모터 타입의 유압구동 시스템이나, 1펌프 2모터 타입의 유압구동 시스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을 동시에 회동시키는 공통의 전륜 회동수단(40)이 설치된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을 각각의 전륜 회동수단에 의해 각별히 회동시키는 형식이라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을 동시에 회동시키는 공통의 후륜 회동수단(60)이 설치된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좌우 한 쌍의 후차륜(4) 중, 한 쪽의 후차륜(4)을 핸들휠에 의한 스티어형식, 다른 쪽의 후차륜(4)을 선회 캐스터형식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가로주행으로 변환했을 때, 한쪽의 후차륜(4)을 실린더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방향전환시킨다. 또 양 후차륜(4) 모두 캐스터형식으로 해도 된다.

Claims (2)

  1. 차체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이 각각 90도상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차체측에 대하여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재에 부착됨과 아울러, 선회부재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선회부재에 부착된 주행구동수단에 연동됨과 아울러, 이들 주행구동수단은 전차륜의 내측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설치되고, 차체의 전단측에는 마스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마스트측에는 포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구동수단은 전차륜의 후방에 위치되는 회전구동부와, 이 회전구동부를 전차륜에 연동시키기 위해 전차륜의 내측방에 위치되는 회전전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20037001263A 2000-08-01 2001-06-28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0665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32536A JP3874595B2 (ja) 2000-08-01 2000-08-01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JP-P-2000-00232536 2000-08-01
PCT/JP2001/005600 WO2002010059A1 (fr) 2000-08-01 2001-06-28 Chariot elevateur a fourche pourvu d'un systeme a deplacement later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396A KR20030046396A (ko) 2003-06-12
KR100665554B1 true KR100665554B1 (ko) 2007-01-09

Family

ID=1872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263A KR100665554B1 (ko) 2000-08-01 2001-06-28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66113B2 (ko)
EP (1) EP1325883A4 (ko)
JP (1) JP3874595B2 (ko)
KR (1) KR100665554B1 (ko)
CN (1) CN1239379C (ko)
TW (1) TW585830B (ko)
WO (1) WO2002010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50716A1 (it) * 2005-10-10 2007-04-11 Mariotti S R L V Carrello elevatore ad azionamento elettrico 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US8871869B2 (en) 2005-12-09 2014-10-28 Dsm Ip Assets B.V. Hydrophilic coating
JP5120535B2 (ja) 2006-04-03 2013-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
US20070289791A1 (en) * 2006-06-17 2007-12-20 Manfred Kaufmann Sideloader with improved visual operability
US20070289798A1 (en) * 2006-06-17 2007-12-20 Manfred Kaufmann Sideloader forklift with all wheel steering
DE102006038396A1 (de) * 2006-08-15 2008-02-21 Kordel Antriebstechnik Gmbh Frontachsgetriebe
US20080277890A1 (en) * 2007-05-07 2008-11-13 Boster Ii Roger D Four-Way Forklift With Outwardly Pivoting Wheel Arms
DE102008014402A1 (de) * 2008-03-14 2009-09-17 Volkswagen Ag Elektromechanische Lenkung
US8312957B1 (en) * 2008-07-08 2012-11-20 Stoltzfus Daniel R Apparatus for moving concrete pump hoses
DE102010016470B4 (de) * 2010-04-16 2012-03-08 Hubtex Maschinenbau Gmbh & Co. Kg Lenkverfahren und Lenksysteme für ein Flurförderzeug
US9623891B2 (en) * 2011-04-19 2017-04-18 Power Handling, Incorporated Pallet jack power assembly
JP5812913B2 (ja) * 2012-03-27 2015-11-17 住友ナコ マテリアル ハンドリング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の支持ブラケットおよびフォークリフト
CN104554491A (zh) * 2013-10-12 2015-04-29 宁波如意股份有限公司 四向行驶叉车驾驶室
CN103754284A (zh) * 2014-01-28 2014-04-30 浙江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可以四向行驶的工业车辆及该种工业车辆的行走机构
CN107405431B (zh) * 2015-03-31 2021-02-02 东丽株式会社 抗血栓性金属材料
US9789902B1 (en) 2017-04-05 2017-10-17 Kan Cui Simultaneous manuvering system for vehicles
CN108178105B (zh) * 2018-01-18 2018-12-18 浙江华港染织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仓储物流的搬运机器人
CN108190792B (zh) * 2018-01-18 2019-01-18 合力叉车有限公司 一种仓储物流搬运机器人
CN109160455A (zh) * 2018-11-12 2019-01-08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大吨位电动叉车及其双电机驱动装置
DE102019108589A1 (de) * 2019-04-02 2020-10-08 Hubtex Maschinenbau Gmbh & Co. Kg Lenkverfahren eines Flurförderzeugs und Flurförderzeu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7839A (en) * 1961-03-29 1962-12-11 Raymond Corp Material handling vehicle
GB1158621A (en) * 1965-07-30 1969-07-16 Shaw & Sons Ltd Joshua Improvements relating to Steering Means for Lift Trucks
US3534825A (en) * 1968-08-05 1970-10-20 Eaton Yale & Towne Vehicle drive and steer mechanism
IL60722A (en) * 1980-08-01 1983-11-30 Feldman Joseph Forklift trucks having improved drives
US4823899A (en) * 1986-07-10 1989-04-25 Ashot Ashkelon Industries Ltd. Steering apparatus
US4754837A (en) * 1987-04-30 1988-07-05 The Raymond Corporation Lift truck steering apparatus
US5222568A (en) * 1989-03-31 1993-06-29 Kabushiki Kaisha Shikoku Sogo Kenkyujo Electric vehicle
JPH0764272B2 (ja) * 1989-05-22 1995-07-12 有限会社カーネル 自走式作業台車
DE4110792C2 (de) * 1991-04-04 1995-01-26 Fraunhofer Ges Forschung Lenkbarer Radantrieb
JPH05246346A (ja) * 1992-03-09 1993-09-24 Mitsubishi Heavy Ind Ltd 運搬台車
US5727644A (en) * 1995-07-17 1998-03-17 Roberts; Brock F. Parallel-aligned all-wheel steered vehicle II
JPH10244951A (ja) 1997-03-07 1998-09-14 Meidensha Corp フォークリフト
EP1215162A1 (en) * 1999-04-26 2002-06-19 TCM Corporation Fork lift with laterally moving system
US6378883B1 (en) * 2000-01-11 2002-04-30 Aaron J. Epstein Motorized walker/wheelchair and method
WO2001060733A1 (fr) * 2000-02-15 2001-08-23 Tcm Corporation Vehicule de travail a systeme transversal
JP3919429B2 (ja) * 2000-08-01 2007-05-23 Tcm株式会社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3995412B2 (ja) * 2000-12-25 2007-10-24 Tcm株式会社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5883A4 (en) 2005-04-13
US20040007414A1 (en) 2004-01-15
WO2002010059A1 (fr) 2002-02-07
KR20030046396A (ko) 2003-06-12
EP1325883A1 (en) 2003-07-09
US6866113B2 (en) 2005-03-15
CN1446176A (zh) 2003-10-01
TW585830B (en) 2004-05-01
JP2002046995A (ja) 2002-02-12
CN1239379C (zh) 2006-02-01
JP3874595B2 (ja)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554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0781655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KR100735602B1 (ko) 가로주행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KR100665552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KR100700390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0735598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보유한 작업차량
JP3140012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21806B1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40005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21809B1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919427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3140013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272339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2002029446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030949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マスト装置
JP2002274791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