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475B1 -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 고정용 바이스를 구비한 벤딩머신 다이 - Google Patents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 고정용 바이스를 구비한 벤딩머신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475B1
KR100661475B1 KR1020050068777A KR20050068777A KR100661475B1 KR 100661475 B1 KR100661475 B1 KR 100661475B1 KR 1020050068777 A KR1020050068777 A KR 1020050068777A KR 20050068777 A KR20050068777 A KR 20050068777A KR 100661475 B1 KR100661475 B1 KR 100661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movable jaw
bending machine
hydraulic cylind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847A (ko
Inventor
알레싼드로 카포루쏘
Original Assignee
씨엠엘 인터내셔널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엘 인터내셔널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씨엠엘 인터내셔널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06004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 B21D7/063Pliers with form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벤딩 머신의 다이(2) 상에 만곡되는 기다란 가공물을 고정하는 바이스는, 그 다이(2)의 원주홈(4)에 대해 접근가능하고 착탈가능한 클램핑부(51)가 구비된 가동형 조(35)를 구비한다. 그 가동형 조(35)는, 피벗팅 단부(7)와 이 피벗팅 단부(7)에 대향하는 리테이닝 단부(8)를 갖는다. 피벗팅 단부(7)는, 다이(2)의 회전축(Y)에 직각인 축(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스핀들(9)에 단단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가동형 조(35)의 클램핑부(51)는, 가공되는 기다란 가공물로부터 멀리 있는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클램핑부(51)가 상기 기다란 가공물을 고정하는 폐쇄위치까지 조작장치(90)에 의해 변위된다. 리테이닝 장치(28)는 가동형 조(35)의 리테이닝 단부(8)를 잡고 그 가동형 조(35)를 폐쇄위치로 유지한다.
바이스, 벤딩 머신, 다이, 클램핑부, 피벗팅

Description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 고정용 바이스를 구비한 벤딩 머신 다이{BENDING MACHINE DIE PROVIDED WITH A VISE FOR CLAMPING AN ELONGATED WORKPIECE TO BE BENT}
도 1은 기다란 가공물을 고정하는 바이스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머신 다이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확대 상세도,
도 3은 개방위치에서 도 1 및 도 2의 클램핑 바이스의 측정면도,
도 4는 폐쇄위치에서 도 1 및 도 2의 클램핑 바이스의 측정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개폐위치에서 클램핑 바이스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머신 다이의 제 2 실시예의 측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머신 다이의 제 2 실시예에서 제 1 다른 예의 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기 다른 예의 분해 측정면도,
도 9는 도 7의 상기 다른 예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머신 다이의 제 2 실시예의 제 2 다른 예의 조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상기 제 2 다른 예의 조의 측정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머신의 제 2 변형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와 전방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다이 4: 다이 홈
7: 피벗팅 단부 8: 리테이닝 단부
9: 회전 스핀들 28: 리테이닝 장치
35: 가동형 조 50: 바이스
90: 조작장치
본 발명은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을 고정하는 바이스가 구비된 벤딩 머신 다이(die)에 관한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바이스(vise)가 워싱턴(USA), 타코마, 제시(Jesse) 엔지니어링에서 생산되고 있다. 제시 엔지니어링의 바이스는, 벤딩(bending) 머신의 다이(die)의 상부에 지지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다이 홈 보다 위에 위치된 피벗팅 축을 정면으로 유지한다. 조(jaw)는, 이러한 피벗팅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조의 클램핑부는 피벗팅 축 아래에 있고, 피벗팅 축보다 위에, 상기 조의 동일한 지지부재 뒤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의 로드(rod)에 연결부가 있다.
상술한 종류의 클램핑 바이스는, 작은 직경을 갖고, 낮은 변형 작업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소위 아래에서 튜브라고 불리는 기다란 가공물에 대해 확실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다이 홈 내의 튜브를 보유하는 것이 조를 압박하는 실린더 로드라는 것을 고려하면, 동일한 조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는 유압 실린더가 유일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제시 엔지니어링에서 선택한 유압 실린더는, 작지 않고 벤딩 머신의 작업 구역에서 커다란 공간을 차지한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대형 튜브용 다이에 대해서도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의 견고하고 신뢰성 있는 자동 고정을 확실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튜브에 대해서도 구부러지는 튜브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축소시키는데 있다.
상기 내용 및 다른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을 고정하는 바이스를 구비한 벤딩 머신 다이에 의해 달성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머신 다이를 구체화한 종래의 벤딩 머신이 도시되어 있다. 다이(2)와, 구부러지는 튜브 T에 대하여 반작용하는 롤러(3)의 그룹이, 벤딩 머신(1)에 지시되어 있다. 튜브 T는 바이스(5)에 의해 다이 홈(4)에 맞게 꼭 끼워진다.
상기 바이스(5)는, 도 2 내지 4의 사시도 및 측면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바이스(5)는, 피벗팅 단부(7)와 그 피벗팅 단부(7)에 대향하는 리테이닝(retaining) 단부(8)를 갖는 가동형 조(6)를 구비한다. 가동형 조(6)는, 다이(2)의 회전축 Y에 대해 직각인 X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X축은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에 대해 보다 낮게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그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해서, 가동형 조(6)를 다이를 지지한 고정 스핀들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데 충분하다. 머신을 조작하는 작업자의 안전상의 이유로, 피벗팅 단부(7)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것처럼, X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스핀들(9)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스핀들 위에서, 아래에 설명된 것처럼, 원격 제어 조작장치(90)는 동작할 수 있다. 회전 스핀들(9)은, 다이(2)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갖는 회전 커플링에 의해 다이의 하부측(40)에 장착된다.
총괄적으로 10으로 나타낸 리테이닝 장치는, 바깥쪽을 마주보는 측에 적절하게 함몰된 가동형 조(6)의 리테이닝 단부(8)를 잡아, 그 가동형 조(6)를 폐쇄위치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가동형 조(6)의 중심부(60)에는, 튜브 T와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60)가 다이 홈(4)으로부터 멀어지고 다이 홈을 향하여 회전될 수 있는 가동형 조의 조작장치(90)는, 다이(2)에 결합된다. 상기 조작장치(90)는, 다이 (2)의 하부측(40)에 연결된 고정 유압 실린더(11)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실린더(11)의 로드(12)에는, 안내부재(14)에 활주하게 장착된 랙(13)이 연결되어 있고, 이 안내부재도 다이(2)의 하부측(4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랙(13)은 가동형 조(6)의 피벗팅 스핀들(9)의 X축에 대해 직각으로 활주가능하다. 또한 상기 랙(13)은 피벗팅 스핀들(9)에 쐐기로 잠겨진 피니언(15)과 맞물린다.
상기 유압 실린더(11)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가동형 조(60)는 다이(2)의 홈(4)을 향하고 그 홈으로부터 멀어지는 X축에 대해서 회전된 후, 튜브 T는 그 홈(4) 내부에 수납된다. 가동형 조에 대해 설명된 조작장치(90)는, 또 다른 동일한 장치, 예를 들면 리드 스크류 장치, 모터, 캠 및 실린더 장치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가동형 조(6)의 리테이닝 장치(10)는, 스윙방식으로 다이(2)의 상부측(41)에 장착된 제 2 유압 실린더(16)를 구비한다. 이 유압 실린더(16)는, 미도시된 유압 저장소에 의해 유압이 공급된다. 유압 실린더(16)의 로드(17)(도 3)는, 양측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가동형 조(6)의 함몰된 리테이닝 단부(8)와 맞물리는 단부 핀(19)에서 유지하는 각주부(18)가 구비되어 있다. 화살표 F와 G는, 바이스를 완전히 닫기 위한 각각 가동형 조(6)와 리테이닝 장치(10)의 이동을 나타낸다. 상기 리테이닝 단부(8)는 핀(19)을 수납하기 위한 후크로서 적절하게 성형된다.
스윙 유압 실린더(16)는 총괄적으로 20으로서 나타낸 지지부재에 의해 지탱된다. 이 지지부재(20)는, 다이(2)의 상부측(41)에 장착하기 위한 기저판(21)과, 그 기저판(21)으로부터 연장되고 스윙방식으로 유압 실린더(16)를 지탱하도록 구성된 서스테이닝(sustaining)부재(22)를 갖는다. 상기 유압 실린더(16)는, 유압 실린더(16)를 스윙하는 피벗팅 축 X' 때문에 지지된다. 피벗팅 축 X'은, 실린더 로드(17)를 향하는 단부에서 유압 실린더(16)로부터 돌출하는 구멍난 트러니언(24)을 통과하는 굴대 꼭지(gudgeon)(23) 내에 매입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16)의 지지는, 그들의 위치에 있는 핀(19)을 가동형 조(6)의 리테이닝 단부(8)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에 의해 완료된다. 이러한 안내수단은, 실린더 로드(17)의 각주부(18)의 양쪽 대향측에 만들어진 홈(25)을 구비한다. 이 홈(25)은, 거싯 플레이트(gusset plate) 또는 브라켓(27)을 사용하여 지지부재(20)에 연결된 각각의 스터드(26)를 수납하도록 설계된다. 각 홈(25)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평행한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또한 동등한 대체부로 설치될 수 있다.
측면도와 사시도인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총괄적으로 28로 나타낸 리테이닝장치를 갖는 바이스(50)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머신 다이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8에서, 도 1 내지 4의 부분과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상기 가동형 조는, 아래에 설명할 대체안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조(6)와 실질적으로 같다. 상이점은 상세히 설명할 리테이닝 수단이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 유압 실린더(29)를 스윙하는 피벗팅 축 X'은, 실린더 로드(31)를 통과하고, 전체 지지부(39)의 32로서 나타낸 서스테이닝 수단 내의 동축 구멍에 맞물리는 피벗(30)을 구비한다.
스윙식 유압 실린더(29)의 안내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리테이닝 부재(32)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안내부재(33)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29)의 대향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피벗(330)은, 안내부재(33) 내측에서 활주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가동형 조(6)의 리테이닝 단부(8)와 맞물리는 핀(34)은, 유압 실린더(29)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벤딩 머신 다이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대해 간편하고 동일하게 효과적이므로 제 1 실시예에 비해 아주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특히 사시도인 도 9를 참조하면, 35로서 총괄적으로 나타낸 가동형 조의 제 1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고, 이 제 1의 다른 예의 가동형 조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 선행하는 상기 가동형 조(6)와 서로 다르다. 상기 가동형 조(35)는, 대략 U자형 조 부재(36)를 구비하고, 이 조 부재 내측에는, 클램핑부(51)가 키(38)에 의해 조 부재(36)와 접속이 풀릴 수 있게 삽입부(37)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7)는, 상기 삽입부(37)의 일측 상에서 적어도 실행된 각주 커플링에 의해 다이(2) 상에 보유된다. 이러한 측면에, 플레이트(53)를 위한 시팅부(seating)(52)는, 그 플레이트(53)가 스크류(54)로 고정되는 삽입부(37)의 측면으로부터 정면으로 돌출한다. 이 돌출 플레이트(53)는, 상부측(41)의 다이(2)에 만들어진 (어떠한 참조번호로도 지정되지 않은) 대향 시팅부에 있는 정면 에지와 함께 수납되도록 설계된다. 가동형 조(35)가 완전히 다이(2)에 접근된 경우, 그들 모두는 함께 단단히 조여지고, 이것은 바이스의 저항을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 또는 튜브 T가 필요로 하는 축 방향 응력까지 증가시키는데 유용하다.
상기 삽입부(37)는, 클램핑부(51)의 내부 직경이 서로 다른 다른 삽입부와 상호교환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쉽게 분해되는 동일한 바이스는 상대적인 다이 상에 서로 다른 튜브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그것의 용도에 있어서 그 바이스에 공통한다.
각각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인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면, 총괄적으로 55로 나타낸 제 2 다른 예의 가동형 조가 도시되어 있고, 이 가동형 조는 선행하는 가동형 조(35)와 서로 다르다. 이 가동형 조(55)는, 예를 들면, 내부적으로 하프 슬리브(60')를 보유하는 다른 것 중의 하나와 나란하게 설치된 오메가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조 부재(56)를 구비한다. 상기 하프 슬리브(60') 내측에는, 상기 하프 슬리브(60')를 따르고 동축인 하프 관형 삽입부(57) 내에 형성된 가동형 조의 클램핑부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프 관형 삽입부(57)에는, 하프 슬리브(60') 내측에 돌출부(58)를 따르고 이 돌출부와 일치하는 함몰부(59) 내에 수납되도록 설계된 하프 원주 돌출부(58)가 외부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단면이 계단형인 것처럼 도시된 돌출부(58)와 함몰부(59)는, 하프 슬리브(60')에 대해 삽입부(57)의 원주 활주 안내부재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프 관형 삽입부(57)는, 하프 슬리브(60')에 대해 회전을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다른 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들 회전은 제한된다. 실제로, 상기 하프 관형 삽입부(57)의 가운데에 나사산이 있는 구멍(67)을 만들고, 그 하프 슬리브(60')의 가운데에도 관통 슬롯(68)을 만든다. 작은 블록(61)은, 나사(65)와 와셔(66)로 삽입부(57)의 나사산이 있는 구멍까지 죄어지고, 그 나사는 하프 슬리브(60')의 관통 슬롯(68)을 통과한다. 상기 작은 블록(61)은, 상기 하프 슬리브(60')에 대향하고, 이 슬리브에 형성된 안내 홈(63)과 일치하는 표면(62)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상대적인 회전, 또는 상기 하프 슬리브(60')에 대해 삽입부(57)의 스윙을 제한하는 스크류 잠금이 달성된다.
이러한 다른 예의 조는, 많은 이점을 갖는다. 상기 삽입부(57)의 하프 원통형상은, 그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재료의 낭비를 감소시킨다. 사용시에, 삽입부는 고정되는 튜브에 가장 잘 맞고, 임의의 오프셋, 편심률 및 다른 결함을 수반한다. 또한, 튜브를 고정하는 조(55)의 회전시에, 삽입부(57)가, 화살표 E 또는 E'에 따라 도 11의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약간의 각도(degree)로 스윙하는 경우, 하부 단부(70)에 대해서 회전시에 일어나는 상기 조의 튜브로의 초기 접근은, 최상의 방식으로 조정되므로, 튜브 클램핑에 해롭거나 튜브를 손상시키는 조기 접촉을 막는다. 튜브가 벤딩 동작시에 가동형 조에 압력을 가하는 축방향 응력은, 상기 하프 슬리브(60')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연장함으로써 반작용될 수 있어 상기 다이(2) 상에 설치된 대응한 돌출부에 접촉부를 구성한다. 또한, 반대로 행해질 수 있는 즉, 다이(2) 내의 돌출부가 상기 하프 슬리브(60')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위와 같은 구조는, 당업자가 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도면들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머신 다이의 제 2 변형 실시예의 각각 측면도와 정면도인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한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들과 같은 참조번호로 나타낸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유압 실린더(29)로부터 돌출하여 견고하게 설치된 스러스팅(thrusting) 돌기부(71)를 끌어내는 것에 주목하여, 상기 스러스팅 돌기부(71)는 가동형 조(55)의 상단부에 대향한다. 이에 따라, 유압 실린더(29)는 오메가형 플레이트(56) 사이에 있고, 스러스팅 돌기부(71)는 상기 오메가형 플레이트(56)의 앞에 위치한다. 이때 스러스팅 돌기부(71)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삭제
일단 튜브가 구부러지면, 다이를 사용해야 할 때, 튜브에 있는 잔여 응력은, 가동형 조(55)의 개방 움직임을 막는 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후자가 상술한 유사하게 위치지정된 조작장치 90과 유사한 조작장치 91을 사용하여 상기 리테이닝 장치(28)로부터 풀렸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유압 실린더(29)는, 실린더(29)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안내부재(33)를 통해 활주하는 피벗(330)에 의해 화살표 H를 따라 앞으로 진행된다. 상기 안내부재(33)는 거의 수평축인 슬롯부(72)와 경사진 슬롯부(73)를 갖도록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먼저 슬롯부(72)의 축에 동축인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유압 실린더(29)의 제 1 왕복운동시에, 스러스팅 돌기부(71)는 가동형 조(55)를 밀어서 가동형 조(55)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다이(2)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 이 가동형 조(55)는, 조작장치(91)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회전한다. 명백한 것은, 가동형 조(55)의 아주 근소한 변위가 튜브 T로부터 가동형 조의 분리를 하는데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는, 상기 조작장치(91)에 의해 행해진 개방 동작을 크게 줄인다.
또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다이 상에 고정된 조는 삽입부(74)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74)가 다이(2)에 보다 잘 보유되도록, 서스테이닝 수단 (32)의 기저부(21)는 채널로서 성형된다. 상기 채널형 기저부(21)의 플랜지(75)는, 삽입부(74)와 다이(2) 양쪽의 대응한 홈들에 맞도록 설계된다.
상기 조작장치 91은, 조작장치 90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작장치 91은 유압 실린더(92)와 랙(93)으로 구성되는데도, 그 구성을 용이하게 하고 사이즈를 축소시키며, 상호 위치는 상기 조작장치 90에 대해 반대로 되어 있다.
조작장치(91)의 유압 실린더(92)는, 스러스팅 돌기부(71)를 사용하여, 다이(2)로부터 멀리 가동형 조(55)의 회전, 즉 가동형 조(55)의 개방은 중력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동식 실린더이어야 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이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것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대형 튜브용 다이에 대해서도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의 견고하고 신뢰성 있는 자동 고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 튜브에 대해서도 구부러지는 튜브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을 고정하는 바이스가 설치된 벤딩 머신 다이(2)로서, 상기 다이(2)는 그의 하부측 및 상부측(40,41) 사이에 원주 홈(4)을 갖고, 상기 바이스(5; 50)는 상기 다이(2)의 상기 원주 홈(4)에 접근가능하고 상기 원주 홈(4)으로부터 제거가능한 클램핑부(60; 51)가 설치된 가동형 조(6; 35; 55)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형 조(6; 35; 55)의 클램핑부(60; 51)와 상기 다이(2)의 상기 원주 홈(4)은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T)을 대향 부분으로부터 둘러싸도록 구성된 오목한 프로파일을 갖는 벤딩 머신 다이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5; 50)는,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다이(2)의 회전축(Y)에 대해 직각인 축(X)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피벗팅 단부(7; 70)와, 상기 피벗팅 단부(7; 70)에 대향하는 리테이닝 단부(8)를 구비하며, 상기 바이스(5; 50)의 가동형 조(6; 35; 55)의 클램핑부(60;51)가 구부러지는 상기 기다란 가공물(T)로부터 먼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기다란 가공물(T)과 결합하는 폐쇄위치로, 그리고 이와 반대의 위치로 변위하는 가동형 조(6; 35; 55)와,
    상기 가동형 조(6; 35; 55)의 리테이닝 단부(8)를 붙잡고, 그 가동형 조(6; 35; 55)를 폐쇄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리테이닝 장치(10;28)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T)로부터 먼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기다란 가공물(T)과 결합하는 폐쇄위치로의 상기 바이스(5; 50)의 가동형 조(6; 35; 55)의 클램핑부(60;51)의 변위는,
    상기 다이(2)의 제 1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형 조(6; 35; 55)의 피벗팅 단부(7; 70)에 단단히 접속되고 상기 다이(2)에 고정된 시팅부에 선회가능하게 접속된 스핀들(9)의 축(X)에 대해 수직으로 활주하도록 장착된 랙(13;93)을 가지며, 실린더 로드(12)에 연결된 제 1 유압 실린더(11; 92)와,
    상기 가동형 조(6)의 스핀들(9)에 잠겨지고, 상기 랙(13;93)과 맞물리는 피니언(15)을 구비하는, 상기 다이(2)에 결합된 가동형 조(6; 35; 55)의 조작장치(90;91)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2)의 상기 제 1 측면은, 상기 다이(2)의 하부측(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2)에 결합된 상기 가동형 조(6; 35; 55)의 상기 리테이닝 장치(10;28)는,
    상기 가동형 조(6; 35; 55)의 리테이닝 단부(8)에 맞물리도록 핀 수단(19,34)에 설치된 제 2 유압 실린더(16; 29)와,
    상기 다이(2)의 제 2 측면에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를 장착하기 위한 기저판(21)과, 상기 기저판(2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16;29)를 스윙방식으로 지탱할 수 있고,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16; 29)를 스윙하는 피벗팅 축(X')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형 조(6; 35; 55)의 리테이닝 단부(8)에 대해 제 2 유압 실린더(16;29)의 핀 수단(19; 34)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된 서스테이닝 부재(22; 32)를 구비한,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16; 29)용 지지부재(20; 3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2)의 제 2 측면은 상기 다이(2)의 상부측(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16)를 스윙하는 피벗팅 축(X')은, 실린더 로드(17)를 향하는 단부에서의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16)로부터 돌출하는 구멍이 있는 트러니언(24)을 통과하는 굴대 꼭지(23)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수단은, 실린더 로드(17)의 각주부(18)의 양쪽 반대측에 만들어지고, 상기 서스테이닝 부재(22)에 연결된 각각의 스터드(26)를 수납하도록 설계된 홈(25)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형 조(6)의 상기 리테이닝 단부(8)에 맞물리는 상기 핀 수단(19)은, 각주부(18)의 자유 단에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29)를 스윙하는 피벗팅 축(X')은, 실린더 로드(31)를 통과하고 상기 서스테이닝 수단(32)에 있는 동축 구멍들에 맞물리는 피벗(30)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수단은, 슬롯의 형태로 상기 지지부재(39)의 상기 리테이닝 부재(32) 양쪽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안내부재(33)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형 조(35)의 상기 리테이닝 단부(8)에 맞물리는 핀 수단(34)은 유압 실린더(29)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게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조(6)는, 다이(2)의 홈(4)에 대응하는 클램핑부(60)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조(35)는 U자형 조 부재(36)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클램핑부(51)가 상기 조 부재(36)에 풀릴 수 있게 연결된 삽입부(37)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7)는, 키(38)에 의해 상기 조 부재(36)에 풀릴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7)는, 적어도 하나의 자신의 일측면에, 플레이트(53)를 스크류(54)로 고정된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레이트(53)용 시팅부(52)를 갖고, 상기 돌출 플레이트(53)는 상기 다이(2)에 만들어진 대향 시팅부 내에 정면 에지를 수납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조(55)는, 내부에 하프 슬리브(60')를 보유하는 오메가형 조 부재(56)를 구비하고, 그 하프 슬리브가 클램핑부(51)를 갖는 하프 관형 삽입부(57)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관형 삽입부(57)는, 상기 하프 슬리브(60') 내측의 돌출부(58)를 따라 이 돌출부에 대응하게 만들어진 함몰부(59) 내에 수납되도록 설계된 하프 원주 돌출부(58)가 외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하프 슬리브(60')에 대한 상기 하프 관형 삽입부(57)의 회전을 가능케 하고, 상기 회전은, 상기 하프 슬리브(60')의 슬롯(68)을 통과하고 상기 하프 관형 삽입부(57)의 나사산이 있는 구멍(67) 내에 죄어지는 스크류 잠금부재(65)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14. 제 4 항에 있어서,
    스러스팅 돌기부(71)는 상기 유압 실린더(29)로부터 고정되게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형 조(55)의 상단부에 마주하여 그 상단부를 상기 가동형 조(55)의 개방 동작시에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머신 다이.
KR1020050068777A 2004-08-05 2005-07-28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 고정용 바이스를 구비한 벤딩머신 다이 KR100661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402A ITRM20040402A1 (it) 2004-08-05 2004-08-05 Morsa per il bloccaggio di un elemento allungato da curvare su di una matrice di macchina curvatrice.
ITRM2004A000402 2004-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847A KR20060048847A (ko) 2006-05-18
KR100661475B1 true KR100661475B1 (ko) 2006-12-27

Family

ID=3542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777A KR100661475B1 (ko) 2004-08-05 2005-07-28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 고정용 바이스를 구비한 벤딩머신 다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131306B2 (ko)
EP (1) EP1623772B1 (ko)
JP (1) JP4091623B2 (ko)
KR (1) KR100661475B1 (ko)
CN (1) CN100368110C (ko)
AT (1) ATE390222T1 (ko)
AU (1) AU2005203532B2 (ko)
CA (1) CA2514009C (ko)
DE (1) DE602005005575T2 (ko)
ES (1) ES2302168T3 (ko)
IT (1) ITRM20040402A1 (ko)
MX (1) MXPA05008239A (ko)
RU (1) RU2299776C2 (ko)
TW (1) TWI26583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502B1 (ko) 2008-04-04 2015-10-22 씨엠엘 인터내셔널 에스. 피. 에이. 파이프 벤딩머신 다이에 있어서 분리된 접근 및 클램핑 단계를 갖는 이동가능한 죠오장치를 구비한 바이스
KR20180043546A (ko) * 2016-10-20 2018-04-30 박성탁 파이프 밴딩머신의 파이프 파지장치
KR102484199B1 (ko) * 2022-07-01 2023-01-03 대한정밀공업(주) 끼임 방지 기능을 구비한 피팅 벤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871A (ko) * 2007-02-21 2009-10-06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관재의 프레스 굽힘 가공 장치 및 방법
FR2922127B1 (fr) * 2007-10-15 2010-03-05 Jaubjaub Consulting Machine a cintrer un profile et outillage de cintrage pour une telle machine
ITRM20080078A1 (it) * 2008-02-12 2009-08-13 Cml Intarnational S P A Metodo di verifica e comando per curvare in modo continuo un pezzo allungato secondo raggi di curcatura variabili e macchina cosi' comandata
SE534834C2 (sv) * 2010-05-17 2012-01-17 Bengt Forsberg Hållaranordning för att fasthålla ett trådämne
JP5572474B2 (ja) * 2010-08-02 2014-08-13 三桜工業株式会社 パイプの曲げ加工装置
KR101165531B1 (ko) * 2010-08-27 2012-07-16 하나로테크 주식회사 스윙링 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20033035A (ko) * 2010-09-29 2012-04-06 하나로테크 주식회사 스윙링 플레이트용 벤딩장치
ITRM20120620A1 (it) * 2012-12-06 2014-06-07 Libero Angelo Massaro Contromatrice ad inserti, per macchine di curvatura di tubi metallici.
CN103878215A (zh) * 2012-12-19 2014-06-25 漳州市昌龙汽车附件有限公司 一种简易电动弯管机
ITRM20130259A1 (it) * 2013-05-02 2014-11-03 Cml Int Spa Macchina curvatrice del tipo a matrice e contromatrice per curvare a destra e a sinistra un pezzo allungato
CN103394568A (zh) * 2013-08-15 2013-11-20 赵咪咪 一种制冷铜管折弯凸轮
CN103691765A (zh) * 2013-12-23 2014-04-02 陈焕祥 一种车闸闸带整形器
CN104998939B (zh) * 2015-08-28 2017-03-22 重庆五洲龙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型材弯弧装置
CN105414278B (zh) * 2015-12-16 2017-08-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盘管机
CN106425426A (zh) * 2016-11-25 2017-02-22 昆山烨科自动化有限公司 一种拧紧机
MX2020005903A (es) * 2017-12-11 2020-08-20 Cml Int S P A Maquina dobladora de tubos rotatoria accionada hidraulicamente.
CN109047408A (zh) * 2018-09-04 2018-12-21 贵州航天新力铸锻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薄壁管弯曲坯料的弯管机构夹头
IT201800010409A1 (it) * 2018-11-16 2020-05-16 Cml Int S P A Macchina per curvare un pezzo allungato senza formazione di grinze
CN111283029B (zh) * 2020-05-11 2020-09-11 广东高谱弯曲技术有限公司 一种冷凝管滚弯成型设备
CN113601109B (zh) * 2021-06-30 2022-10-14 北京航星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扩口式管路的弯制工装、方法及一种管路的成型方法
CN113814303B (zh) * 2021-09-24 2023-06-02 津上精密机床(浙江)有限公司 一种校直折弯设备
CN114433674B (zh) * 2021-12-28 2023-12-26 吴江市高瑞庭园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金属家具加工用零配件可调角折弯装置
CN117046939B (zh) * 2023-10-13 2023-12-26 南通日旭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手动弯管机
CN117139435A (zh) * 2023-10-25 2023-12-01 南通沿江管业有限公司 一种应用于船舶管道加工用折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6609A (en) * 1958-11-18 1960-10-18 Pedrick Tool & Machine Company Bending machines
US3296849A (en) * 1964-12-08 1967-01-10 John G Pahl Switch arm bending and punching machine
US3545247A (en) * 1968-10-08 1970-12-08 Maclodyne Corp Bending machine
DE9103368U1 (ko) * 1991-03-19 1991-06-20 Hewing Gmbh, 4434 Ochtrup, De
IT1278066B1 (it) * 1995-05-12 1997-11-17 Cml Costr Mecc Liri Srl Gruppo di bloccaggio e traino di un tubo o profilato per macchine curvatubi con o senza anima interna e piegaferri, e macchine per il
US5617753A (en) * 1995-10-06 1997-04-08 Pines Manufacturing Low force auto-open tooling for tube bending machi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502B1 (ko) 2008-04-04 2015-10-22 씨엠엘 인터내셔널 에스. 피. 에이. 파이프 벤딩머신 다이에 있어서 분리된 접근 및 클램핑 단계를 갖는 이동가능한 죠오장치를 구비한 바이스
KR20180043546A (ko) * 2016-10-20 2018-04-30 박성탁 파이프 밴딩머신의 파이프 파지장치
KR101880169B1 (ko) * 2016-10-20 2018-07-20 이승창 파이프 밴딩머신의 파이프 파지장치
KR102484199B1 (ko) * 2022-07-01 2023-01-03 대한정밀공업(주) 끼임 방지 기능을 구비한 피팅 벤딩장치
WO2024005282A1 (ko) * 2022-07-01 2024-01-04 대한정밀공업(주) 끼임 방지 기능을 구비한 피팅 벤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14009C (en) 2008-12-30
CA2514009A1 (en) 2006-02-05
JP4091623B2 (ja) 2008-05-28
TWI265832B (en) 2006-11-11
ATE390222T1 (de) 2008-04-15
EP1623772B1 (en) 2008-03-26
EP1623772A3 (en) 2006-05-17
DE602005005575T2 (de) 2009-05-07
CN1730191A (zh) 2006-02-08
KR20060048847A (ko) 2006-05-18
AU2005203532A1 (en) 2006-02-23
US20060027008A1 (en) 2006-02-09
CN100368110C (zh) 2008-02-13
JP2006043774A (ja) 2006-02-16
DE602005005575D1 (de) 2008-05-08
US7131306B2 (en) 2006-11-07
ITRM20040402A1 (it) 2004-11-05
RU2299776C2 (ru) 2007-05-27
ES2302168T3 (es) 2008-07-01
EP1623772A2 (en) 2006-02-08
AU2005203532B2 (en) 2008-02-21
TW200610596A (en) 2006-04-01
MXPA05008239A (es)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475B1 (ko) 구부러지는 기다란 가공물 고정용 바이스를 구비한 벤딩머신 다이
JP4789006B2 (ja) クランプ装置
US6199847B1 (en) Cylinder apparatus
JP5542795B2 (ja) パイプベンダーのダイ内においてアプローチ工程及びクランプ工程を独立して実施するための可動式把持装置を備えているバイス
PT100249B (pt) Alicate compressor para a compressao de ligacoes de tubos
US20080185761A1 (en) Pressure Device for a Clamping System
TWI642495B (zh) 拉桿張緊系統及彎管機
TW201313402A (zh) 用於彎管鉗之可替換式匣
AU2022202155A1 (en) Subsea clamp connector and subsea clamp connector arrangement comprising such a clamp connector
CN105252031A (zh) 卡盘和具有快速更换功能的夹紧装置
CN109312568A (zh) 用于垂直模板的锚固件和垂直模板
US93211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 drilling/rivet countersinking process carried out by a drilling/feed unit
DK2640533T3 (en) FLANGING TOOL HOLDER AND FLANGING TOOL FLANGING TOOL
JP2000263462A (ja) 樹脂管の接続工具
CN219854070U (zh) 一种模具固定快速夹具
EP4052886A1 (en) Chuck for gripping and moving cylindrical bodies, in particular fittings and pipe segment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chuck
KR100643721B1 (ko) 공작물 바이스
JP2023010080A (ja) フレアツール
PL229634B1 (pl) Mechanizm blokują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