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386B1 - 광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386B1
KR100661386B1 KR1020050055463A KR20050055463A KR100661386B1 KR 100661386 B1 KR100661386 B1 KR 100661386B1 KR 1020050055463 A KR1020050055463 A KR 1020050055463A KR 20050055463 A KR20050055463 A KR 20050055463A KR 100661386 B1 KR100661386 B1 KR 10066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ddress
area
synchronization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534A (ko
Inventor
사토루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6004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2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distor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11B7/0053Reproducing non-user data, e.g. wobbled address, prepits, BC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이즈 등의 외란(disturbance)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확한 동기 검출 및 물리 어드레스 검출을 실현하기 위해서, 4개의 워블이 하나의 입력을 형성하도록 가산하고, 노이즈 등의 외란의 영향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해서, 외란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입력 비트(S561)를 이용하여, SYNC 패턴의 앞에 배치된 무변조 영역(Unity)의 카운트값(S563)을 동기 신호 검출을 위한 게이트 신호(S564)의 생성에 이용한다. 이에 따라, 동기 신호(S56)의 오류 검출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장치 {OPTICAL DIS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픽업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에 있어서의 신호 판독시의 신호 파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에 의해 처리될 광 디스크의 기록 트랙의 주변 레이아웃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에 의해 처리될 광 디스크의 워블 신호의 물리 어드레스 포맷(차세대 DVD 물리 어드레스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 회로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동기 검출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워블 신호의 내용예(단위 영역, 동기 패턴 및 어드레스 영역의 배열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동기 검출의 타이밍(예 1)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동기 검출의 타이밍(예 2)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 검출부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어드레스 검출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광 디스크
12 : RF 증폭기 회로
13 : 스핀들 모터
14 : 모터 제어 회로
15 : 광 픽업
16 : PLL 회로
17 : 에러 정정 회로
36 :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
37 : 포커싱 제어부
38 : 트랙킹 제어부
40 : CPU(또는 MPU)
41 : RAM
42 : ROM
43 : 인터페이스 회로
44 : 호스트 장치
51 : 워블 PLL 회로
56 : 동기 신호 검출부
57 : 어드레스 영역 선두 검출부
58 : 물리 어드레스 유지부
561, 571 : 워블 4 파 가산 회로
562, 572 : 2치화 회로
563, 573 : 카운터
564, 574 :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
565, 575 : 시프트 레지스터
566, 576 : 패턴 연산 회로(에지 상태 레벨 검출 회로)
567 : 비교 판정 회로(SYNC 검출 회로)
577 : 비교 판정 회로(어드레스 검출 회로)
568, 578 : AND 게이트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디스크 장치에서의 동기 신호 검출 및 물리 어드레스 검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록 매체로서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 디스크가 보급되고 있고, 이들을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장치에서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광 디스크에 있어서는 기억 영역이 나선형 트랙상에 설치되어 있고, 그 어드레스 정보에 트랙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재생시의 빨리 감기/빨리 되감기 등의 처리시에는 모터 드라이브로 광 픽업을 전송한 후에, 액츄에이터로 대물 렌즈를 적절하게 기울임으로써 1 트랙마다의 미세 조정을 수행하고 있다. 트랙 점프시에도 목표 어드레스에 정확하게 점프했는지 어떤지를 판단할 때에, 트랙 번호가 원하는 번호로 되어 있는지 어떤지가 판단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9756호 공보 문헌에는 트랙 점프 처리 명령에 응답하여 점프 처리를 수행하고, 점프 처리가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광 디스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목표 트랙에 도달되지 않은 것이라고 판단되면, 다시 점프 처리를 반복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DVD는 규격 자체도 진화하고 있어 멀지않아 하이비젼(Hi-Vision) 대응의 차세대 DVD 규격도 완성될 예정으로 있다. 차세대 DVD 규격으로서는, 현세대의 DVD 규격보다도 기록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재생 신호의 CN 비가 저하되기 쉽고, 이 재생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할 때에 상대적으로 노이즈 등의 외란의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87457호 공보 문헌에서는 1 비트 입력 신호를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시프트하여 패턴과의 대조를 행함으로써 동기 신호를 얻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9756호 공보 문헌에서는, 점프후의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점프 처리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1 트랙 점프후에 물리 어드레스를 검출하고 있다. 이러한 검출에 의해, 1 트랙 점프한 인접 트랙의 물리 어드레스를 검출한 것인지 아닌지 알 수 없고, 또 다른 트랙의 물리 어드레스 검출의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1 트랙 점프후, 2번 물리 어드레스를 검출하여 비교하지 않으면, 물리 어드레스가 정확한지 어떤지 모르기 때문에, 신뢰성이 있는 물리 어드레스 검출에 시간이 걸린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87457호 공보 문헌에서는 1 비트 입력 신호를 위해 노이즈 등의 외란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또한, 차세대 규격의 경우, 동기(SYNC) 패턴과 물리 어드레스 패턴이 서로 유사한 경우도 있어, 예를 들면 물리 어드레스를 SYNC로서 오류 검출할 가능성이 있게 되어, 오동작이 종종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87457호 공보 문헌의 회로 구성에서는 노이즈 등의 외란이 없을 때는, 소정의 SYNC 패턴 위치의 워블 신호중 SYNC 패턴 특유의 부분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고, 소정의 위치로 SYNC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가 출력된다. 그에 대하여, 소정의 어드레스 위치에 있는 어드 레스 패턴 신호의 일부가 노이즈 등의 외란에 의해 신호가 무너지면, SYNC로서 오류 검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SYNC를 오류 검출하면, 오류 검출한 SYNC에 계속되는 신호를 잘못 물리 어드레스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정확한 물리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없게 된다. 그에 따라, 디스크 상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할 수 없게 되어, 오동작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 또는 물리 어드레스 검출을 위한 회로/방법에서는, 1 입력을 복수 비트의 구성(예컨대, 4개의 워블로 1 입력을 구성함)으로 하여, 예컨대 에지 변화점의 레벨 검출 및 상태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 등 외란의 영향을 억제시킨다. 또한, SYNC 및 물리 어드레스 영역의 앞에 있는 무변조 영역(Unity)을 SYNC 검출에 이용함으로써, SYNC의 오류 검출을 막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효율성이 가장 좋고, 또한 노이즈 등의 외란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정확한 동기 검출/물리 어드레스 검출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픽업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광 디스크(D)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또는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판독 전용의 광 디스크이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기록(또는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로서 설명을 한다. 기록 또는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로서는, 예컨대, 파장 405 nm 전후의 블루 레이저를 이용한 차세대 DVD-RAM, DVD-RW, DVD-R 등(또는 파장 650 nm의 레이저를 이용한 현세대 DVD-RAM, DVD-RW, DVD-R 등)의 광 디스크가 잘 알려져 있다.
광 디스크(D)의 표면에는 나선형으로 랜드 트랙(land track) 및 그루브 트랙(groove track)이 형성되어 있고, 이 디스크(D)는 스핀들 모터(13)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광 디스크(D)에 대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은 픽업(15)에 의해 행해진다. 픽업(15)은 스레드 모터(thread motor)(30)와 기어(gear)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이 스레드 모터(30)는 데이터 버스(39)에 접속되는 스레드 모터 드라이버(31)에 의해 제어된다. 스레드 모터(30)의 고정부에 도시하지 않은 영구 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 코일이 여자되는 것에 의해 픽업(15)이 광 디스크(D)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픽업(15)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 렌즈(22)가 설치된다. 대물 렌즈(22)는 구동 코일(21)의 구동에 의해 포커싱 방향(렌즈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대물 렌즈(22)는 구동 코일(20)의 구동에 의해 트랙킹 방향(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레이저광의 빔 스폿을 이동함으로써 트랙 점프 동작을 구성할 수 있다.
변조 회로(19)는 정보 기록시에 호스트 장치(44)로부터 인터페이스 회로(43)를 통해 공급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예컨대 8-14 변조(EFM)하여, EFM 데이터를 제공한다. 레이저 제어 회로(18)는 정보 기록시(마크 형성시)에 변조 회로(19)로부터 공급되는 EFM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용 신호를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28)에 제공한다. 또한, 레이저 제어 회로(18)는 정보 판독시에 기록 신호보다 작은 판독용 신호를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28)에 제공한다.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28)는 레이저 제어 회로(18)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서 레이저 빔을 발생한다.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28)로부터 발생하는 레이저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25), 하프 프리즘(24) 및 대물 렌즈(22)를 통해 광 디스크(D) 상에 조사된다. 광 디스크(D)로부터의 반사광은 대물 렌즈(22), 하프 프리즘(24) 및 집광 렌즈(27)를 통해 광 검출기(26)에 유도된다.
광 검출기(26)는 4분할의 광 검출 셀로 이루어져서, 신호 A, B, C 및 D를 RF 증폭기(12)에 공급한다. RF 증폭기(12)는 (A + D) - (B + C)에 대응하는 트랙킹 에러 신호(TE)를 트랙킹 제어부(38)에 공급하고, (A + C) - (B + D)에 대응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포커싱 제어부(37)에 공급한다. 또한, RF 증폭기(12)는 (A + D) - (B + C)에 대응하는 워블 신호(WB)를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36)에 공급하고, (A + D) + (B + C)에 대응하는 RF 신호를 데이터 재생부(35)에 공급한다.
한편, 포커싱 제어부(37)의 출력 신호는 포커싱 구동 코일(21)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빔이 광 디스크(D)의 기록막 상에 항상 포커스가 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트랙킹 제어부(38)는 트랙킹 에러 신호(TE)에 따라서 트랙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트랙킹 방향의 구동 코일(20)에 공급한다.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광 검출기(26)의 광 검출 셀의 출력 신호의 합 신호(RF)는 기록 정보에 대응하여 광 디스크(D)의 트랙 상에 형성된 피트 등으로부터의 반사율의 변화가 반영된다. 이 신호는 데이터 재생부(35)에 공급된다.
데이터 재생부(35)는 PLL 회로(16)로부터의 재생용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데이터 재생부(35)는 신호 RF의 진폭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이 측정치는 CPU(40)에 의해서 판독된다.
상기 트랙킹 제어부(38)에 의해서 대물 렌즈(22)가 제어되는 동안에, 대물 렌즈(22)가 광 디스크의 최적 위치가 되도록 스레드 모터(30)가 제어됨으로써 픽업(15)이 제어된다.
모터 제어 회로(14), 레이저 제어 회로(18), PLL 회로(16), 데이터 재생부(35), 포커싱 제어부(37), 트랙킹 제어부(38) 등은 서보 제어 회로로서 하나의 LSI 칩 내에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회로는 버스(39)를 통해 CPU(40)에 의해서 제어된다. CPU(40)는 인터페이스 회로(43)를 통해 호스트 장치(44)로부터 제공되는 동작 커맨드에 따라서 이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를 종합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CPU(40)는 RAM(41)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여, ROM(42)에 기록된 본 발명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1의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36)에 대응하는 회로 구성(워블 신호에 기초하여 물리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구성을 포함한다)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의 주요부는 크게 말해서 워블 PLL 회로(51), 동기 신호 검출부(SYNC 검출 회로)(56) 및 어드레스 영역 선두 검출부(어드레스 검출 회로)(57)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워블 PLL 회로(51)는 워블 신호(WB)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회로(52)와, 상기 A/D 회로(52)로부터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 회로(SIN 동기 위상 검출 회로)(53)와, 상기 적분 회로(53)로부터의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회로(55)와, D/A 회로(55)로부터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주기가 제어되는 발진 신호를 A/D 회로(52)에 공급하는 VCO 회로(54)를 가지고 있다.
워블 PLL 회로(51)에서는 워블 입력 신호(WB)와 SIN 파의 적분 연산이 행하여져, 후술하는 도 8, 도 10 또는 도 11에 예시되는 것과 같은 SIN 동기 위상 검출 회로 신호(S51)가 생성된다. 여기서, SIN 동기 위상 검출 회로 신호(S51)는 반전 위상 워블 부분(IPW 부분)은 "+" 값으로 출력되고, 통상의 위상 워블 부분(NPW 부분)은 “-" 값으로 출력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신호 S51로부터 SYNC 패턴의 검출 및 어드레스 패턴의 검출이 행하여진다. 도 3의 구성에서는 특히 회로 블록(56 과 57)에 특징이 있지만, 이들 회로 블록의 상세에 관해서는 도 7 및 도 12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36)는 워블 PLL 회로(51), 동기 신호 검출부(56) 및 어드레스 영역 선두 검출부(57) 외에도, 어드레스 유지부(58)와, 1 트랙 점프전 어드레스 유지부(59)와, 어드레스 비교부(60)와, 신뢰성 판정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36)는 워블 신호(WB)에 기초하여 트랙 점프시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물리 어드레스 출 력(AD)과 함께 신뢰성 플래그 F를 데이터 버스(39)에 출력할 수 있다.
도 3의 회로 블록(51∼61)(또는 적어도 도 7 및 도 12의 56∼58)은 분리된 전자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양산시에는 IC(컨트롤러 LSI)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고서 재생 처리 및 기록 처리를 수행하는 광 디스크 장치는 이하와 같이, 트랙 점프 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이 트랙 점프 처리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에서의 신호 판독시의 신호 파형예를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에 의해 취급하는 광 디스크의 기록 트랙의 주변 레이아웃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에 의해 취급하는 광 디스크의 워블 신호의 물리 어드레스 포맷(차세대 DVD 물리 어드레스 포맷)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광 디스크(기록 매체)(D)의 어드레싱 방법으로서 기록 트랙을 워블 변조에 의해 구성했을 때의 각각의 신호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사행(zigzag)하는 기록 트랙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해 가지만(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해 가지만), 이 때 기록된 데이터는 지정된 위치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위치를 결정하는 물리 어드레스 정보는 기록 트랙의 워블(71)에 대응하는 워블 신호(WB)를 판독하여 복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도 4는 트랙 상의 판독 빔(72)과, 검출된 워블 신호(WB) 및 워블 변조에 의해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의 변조 규칙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워블 신호(WB)의 사인파(통상 위상 워블: NPW)를 비 트 정보 "0"으로 하고, 코사인파(반전 위상 워블: IPW)를 "1"로서 이용하여,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져 있다.
도 5는 광 디스크 기록 매체의 기록 트랙이 랜드/그루브에 대해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구조에 대한 물리 어드레스 정보의 레이아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워블 변조에 기초한 어드레싱은 그루브 트랙으로 행하기 때문에, 랜드 트랙에 대한 기록/재생에서도 정확한 어드레싱이 구성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존 방식(zone method)이라는 구조가 채용되어, 광 디스크(D)를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존 내는 기록 용량이 일정한 세그먼트 패킷을 구성하고, 거기에 물리 어드레스 정보인 "존 번호", "트랙 번호" 및 "세그먼트 번호"가 그루브 트랙의 워블 변조로 저장된다. 존이 변하면, 기록 밀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위로 세그먼트를 구성하도록 분할 각도를 변경하여, 기록 용량을 최적화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랜드/그루브 방식으로도, 그루브 워블에 의한 어드레스 정보 값은 트랙 번호를 제외하면 인접 트랙 사이에서는 동일한 값이 가정되어, 랜드 트랙으로도 물리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트랙 번호는 랜드용과 그루브용을 배치함으로써 랜드라도 그루브라도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도 6은 물리 어드레스의 데이터 구조를 전체의 관계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물리 어드레스 정보는 17개의 WDU(Wobble Data Unit)(81∼83)로 구성된 WAP(Wobble Address in Periodic position)라고 불리는 집합체(84∼86)에 저장된다. 이 WAP가 연결되어 트랙 워블을 완성하기 때문에, WAP에 의해 결정되는 주기가 물리 어드레 스 데이터의 저장된 주기가 된다.
물리 어드레스 데이터(85)는 39 비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세그먼트 정보(Segment Information)", "세그먼트 어드레스(Segment address)", "존 어드레스 (Zone address)", "패리티 어드레스(Parity address)", "그루브 어드레스(Groove address)" 및 "랜드 어드레스(Land address)"의 정보 비트군(87)은 3 비트씩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WDU에 분배되어, 변조 처리에 의해서 저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존 번호(89), 트랙 번호(90) 및 세그먼트 번호(91)가 저장된다.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는 WDU(82)는 3 비트로 어드레스 정보를 구성하고 있고, 각각의 1 비트는 4 워블에 대응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WDU의 선두 4 워블은 IPW 구성으로서, WDU의 선두 식별이 용이하게 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WDU의 어드레스 정보의 저장 이후 68 워블은 NPW로 규정하고 있다.
어드레스 데이터 전체는 39 비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필요한 WDU(82)는 13 유닛이 된다. 선두측 WDU에는 WAP의 동기 신호(84)가 배치되고, 후방측 3 유닛은 무변조 유닛(Unity field)(8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트랙 워블 변조로 물리 어드레스가 저장된 기록 트랙에는 정보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경우의 기록 데이터는 77376 바이트의 데이터에 대하여 선두에 71 바이트의 VFO 영역(재생 동작시, 데이터 복조용 채널 클록을 생성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일정 주파수 신호), 후방에는 데이터 블록 접속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PA 영역(PA field)", "예약 영역(Reserved fie1d)" 및 "버퍼 영역(Buffer fie1d)"의 합계 22 바이트가 기록된다. 총 77469 바이트가 7 물리 세그먼트(9996 워블 상당)에 기록된다. 이러한 규칙에 따라, 정보 데이터가 "물리 세그먼트" 어드레스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정된 장소에 기록되게 된다. 이 때문에, 물리 세그먼트의 정확한 어드레스 데이터 판독이 중요해진다.
광 디스크(D)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트랙 워블을 변조하는 것에 의해 물리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광 디스크(D)의 워블로부터 물리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워블 신호(WB)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이 동기 신호에 따른 타이밍 신호를 생성시켜서, 이 타이밍 신호에 따라서 어드레스 정보를 워블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그 어드레스 정보를 복조해서 취득한다.
다음에, 상기한 워블 신호(WB)에 기초하는 어드레스 정보의 취득 타이밍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처음에, 현재의 트랙 포인트(P1)로부터 인접한 트랙 포인트(P2)에 1 트랙 점프하는 경우, 물리 어드레스의 검출은 트랙 포인트(P2)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 트랙 포인트(P2)가 물리 어드레스 영역 밖의 장소였던 경우, 트랙 포인트(P3)로부터 물리 어드레스 검출을 개시하게 된다. 그리고, 물리 어드레스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추가로 트랙 포인트(P4)의 물리 어드레스를 검출하여 트랙 포인트(P3)와의 비교에 의해 트랙 점프의 도달점이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광 디스크의 워블 신호의 차세대 DVD 물리 어드레스 포맷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어드레스는 "존 번호", "트랙 번호" 및 "세그먼트 번호"로 구성되어 있고, 1 WAP에서 1 물리 어드레스를 구성하고 있다. 그 중 트랙 번호는 동일 존 내에서는 인접하는 트랙 번호의 해밍 간격(Hamming distance) = 1 이라는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1 트랙 점프시의 물리 어드레스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어드레스 정보의 취득은 도 3의 어드레스 검출부(36)에 의해 행해진다. 처음에, 현재의 기록 트랙 포인트(PA)의 각각의 물리 어드레스가 레지스터 등을 이용해서 항상 어드레스 유지부(58)에 유지된다. 다음에, 예컨대 사용자의 빨리 감기 또는 빨리 되감기 조작에 따라서 스레드 모터(30) 등에 의해 픽업(15)이 이동된 후에 트랙 점프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 CPU(40) 등으로부터 위치 트랙 점프 명령(J)의 커맨드가 어드레스 검출부(36)의 1 트랙 점프전 어드레스 유지부(59)에 의해 공급되어, 어드레스 유지부(58)에 유지된 점프전의 어드레스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CPU(4O) 등으로부터 위치 트랙 점프 명령(J)의 커맨드가 트랙킹 제어부(38)에 공급됨으로써 트랙킹 제어부(38)에 의해 트랙킹 제어 신호(CTR)가 구동 코일(2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대물 렌즈(22)가 변위하여 빔 스폿이 트랙 포인트(PA)에서 트랙 포인트(PB)로 트랙 점프된다.
그 후, 어드레스 비교부(60)는 1 트랙 점프전 어드레스 유지부(59)로부터의 1 트랙전의 어드레스와, 어드레스 유지부(58)로부터의 1 트랙 점프후의 어드레스를 비교함으로써, 트랙 번호를 비교한다. 이 때, 광 디스크(D)의 외주측으로의 빔 스폿의 이동시에는 어드레스 정보에 포함되는 트랙 번호가 이동분 만큼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광 디스크(D)의 내주측으로의 빔 스폿의 이동시에는 트랙 번호가 이동분 만큼 감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비교부(60)의 판단 결과가 신뢰성 판정부(61)에 공급된다. 신뢰성 판정부(61)가 트랙 번호가 1 트랙의 변화를 확인하면, 신뢰성 플래그 F를 예컨대 "1"로 설정하여, CPU(40) 또 는 트랙킹 제어부(38)에 공급한다. 그 결과, 점프가 성공한 경우에는 점프 처리를 종료하고, 점프가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트랙 점프 처리를 실행한다.
즉, 트랙 점프에 의한 트랙 포인트(PB)가 물리 어드레스 영역이라면, 트랙 포인트(PB)에서의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트랙 점프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트랙 점프에 의한 트랙 포인트(PB)가 물리 어드레스 영역 밖이라면, 트랙 포인트(PC)에서의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트랙 점프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어드레스 정보의 취득 방법에 따르면, 트랙 점프의 신뢰성을 보다 신속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더욱 더 1 트랙 점프 위치가 정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부(SYNC 검출 회로)(56)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SYNC 검출 회로(56)의 블록 구성은 크게 말해서, SYNC 검출부[시프트 레지스터(565) + 패턴 연산 조작(상태 + 에지 레벨 산출)부(566) + 비교 판정(SYNC 검출)부(567)]와 무변조 영역 검출부[4 워블 가산(561) + 2치화 회로(562) + 카운터(563) +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564)]로 나누어진다.
SYNC 검출부(565∼567)는 소정의 SYNC 패턴 위치(도 6의 WAP "0" 번째 위치)의 84 워블 신호 중 SYNC 패턴 특유의 부분인 6개의 IPW 워블 + 4개의 NPW 워블 + 6개의 IPW 워블 부분(특유의 패턴 부분)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우선 최초로 SIN 동기 위상 검출 신호(S51)를 시프트 레지스터부(565)로 시프트 처리한다. 그 처리 결 과는 패턴 연산부(566)에 입력되고, 거기서 시프트 처리한 신호의 부호 변화점(IPW → NPW/NPW → IPW: 에지 검출)의 차분 연산 및 에지 변화점 이외에서의 신호의 부호 비교에 의한 상태의 상태 안정도(부호 일치) 검출을 수행한다. 비교 판정부(567)는 패턴 연산부(566)에서의 에지 검출치가 임계치 이상이며, 또한 상태가 SYNC와 일치하면 판정 가능한 경우에,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하여, 신호 S567을 출력한다.
한편, 무변조 영역 검출부(561∼564)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게이트 신호(S564)를 생성하는 회로이다. 우선 최초로 SYNC 및 물리 어드레스의 신호에 공통인 최대 변화 단위인 4 워블 가산을 행한다. 4 워블은 SYNC 및 물리 어드레스 신호에 공통인 변조 부호 비트 클록 단위이며, 각각 4 워블 단위로 상태가 변화되기 때문에 가장 검출 효율이 높은 단위이다.
각각 4 워블 단위로 가산하면 그 중의 1 워블이 노이즈(Nx) 등에 의해 변화되더라도, 4 워블분의 가산 결과에서는 나머지 3개의 워블의 정상 결과가 우세해져서 오류 검출이 방지된다(도 10에서는, 원래 "----"가 되어야 하는 4 워블 대응 신호(S51)의 비트 내용이 노이즈(Nx)에 의한 워블 파형 이상의 결과로서 "---+"로 변경되어 버렸지만, 4 워블 가산의 결과로서 일종의 다수결 원리에 의해 "-"로서 정확하게 검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4 워블 분의 내용이 예컨대 "++--"와 같이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동수가 되는 부분은 4 워블 가산 결과가 부정이 되지만, 그와 같은 부분은 워블 파형이 IPW에서 NPW로 변화되는 장소 또는 NPW에서 IPW로 변화되는 장소를 제외하고는 발생 확률이 낮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노이즈에 영향을 받기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이 가산 결과 부정을 회피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홀수파 가산(예컨대, 워블 3 워블 또는 5 워블 가산)을 채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7의 구성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워블 신호 정도의 오류 검출(Nx 부분)이 발생되더라도, 연속 NPW로서의 무변조 영역에서의 오류 검출을 막고, SYNC 검출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 4 워블 가산 결과의 2치화 신호(도 10의 무변조 영역(320-NPW의 단위 영역)에서의 S561의 "-" 부호)를 카운터(563)에 의하여 카운트 업한다("+" 부호시에는 무변조 영역 밖이기 때문에 카운터(563)를 클리어한다). SYNC 영역의 앞에 있는 무변조 영역(Unity)은 도 6에서 3개의 "14∼16번째" WAP(Unity)(84 워블×3) + "13번째" WAP의 어드레스의 68 워블 = 320 워블이 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카운터(563)의 카운트값 = 316이고, 게이트 신호 생성부(564)를 온(게이트 신호 S564 발생)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게이트 신호(S564)가 발생하는 동안에만, 상기 SINC 검출부(567)로부터의 출력 신호(S567)를 SYNC 출력(S56)으로서 추출한다. 이와 같이 하면, 만일 게이트 신호(S564)가 발생하지 않는 기간에(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유사 SYNC 패턴의 발생 등에 의해) 신호(S567)가 잘못 발생하더라도, 이 잘못된 신호(S567)가 SYNC 출력(S56)으로서 추출되는 일은 없다.
도 7의 회로 구성은 무변조 영역(86), 동기 영역(84) 및 어드레스 영역(85)의 배열이 반복된 동기 위상 신호(S51)가 수신되어, 이 동기 위상 신호(S51) 중의 상기 무변조 영역(86)으로부터 상기 동기 영역(84)의 위치에 대응하는 게이트 신호 (S564)를 생성하는 제1 회로 시스템(도 7의 561∼564)와, 상기 동기 위상 신호(S51)가 입력되어 이 동기 위상 신호(S51) 중의 상기 동기 영역(84)으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영역(85)의 선두(AHS)를 나타내는 동기 신호(S567)를 생성하는 제2 회로 시스템(도 7의 565∼567)와, 상기 게이트 신호(S564)가 생성되어 있을 때만 상기 동기 신호(S567)를 통과시켜 동기 출력(S56)을 제공하는 제3 회로 시스템(도 7의 568)을 구비한 동기 신호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동기 검출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워블 신호의 내용예(단위 영역, 동기 패턴 및 어드레스 영역의 배열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기 신호 검출부(56)에 입력되는 신호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Unity(86), SYNC(84) 및 어드레스 영역(85)의 시퀀스가 반복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로부터 어드레스 영역(85)의 선두 AHS를 검출하기 위해서, SYNC(84)의 고유의 패턴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S567(S56)]를 생성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SYNC 패턴은 6개의 IPW 워블(SIN 동기 위상 검출의 상태 판정은 "+"임)와, 4개의 NPW 워블(SIN 동기 위상 검출의 상태 판정은 "-"임)와, 6개의 IPW 워블(SIN 동기 위상 검출의 상태 판정은 "+"임)로 이루어지는 고유의 패턴을 갖는다. 6개의 IPW 워블과 4개의 NPW 워블과 6개의 IPW 워블의 단락은 워블 입력(WB)의 위상 변화 또는 SIN 동기 위상 검출 신호 S51의 에지 레벨 변화에 기초해서 판정할 수 있다. 이 에지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값을 갖고, 또한 검출된 패턴이 SYNC의 고유 패턴(6/4/6)에 합치하면, 패턴 대조(패턴 연산 조 작)의 결과 S566은 "SYNC 패턴"으로서 판정되어, 동기 신호[S567(S56)]가 출력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동기 검출의 타이밍(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4개의 워블에 대응하는 SIN 동기 위상 검출 신호 S51로부터 4개의 워블분을 가산(또는 적분)하여 카운트용 신호("-") S561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4개의 워블 분 중 하나가 노이즈에 영향을 받더라도 4개의 워블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보면 노이즈의 영향은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노이즈의 영향이 제외된 카운트용 신호("-") S561을 Unity Field 분 카운트(여기서는 "316" 카운트)함으로써, SYNC 패턴이 존재하는 위치를 산출하여, 게이트 신호 S564를 생성한다. 이 게이트 신호 S564의 신호 폭은 SYNC 패턴의 폭보다 약간 넓게 하고, 게이트 신호 S564의 신호 폭 이내로 SYNC 패턴(적어도 그 말미 위치)이 수습되도록 한다. 그리고, SYNC 패턴의 말미로 동기 신호 S567을 발생시킨다. 이 신호 S567을 게이트 신호 S564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에 AND 게이트(568)를 통과시켜서, 정규의 동기 신호 S56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하면, 게이트 신호 S564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 잘못 발생되는 신호 S567이 동기 신호 S56으로서 AND 게이트(568)로부터 출력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도 11은 게이트 신호 S564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 잘못 발생되는 신호 S567이 AND 게이트에 의해 블록화되어, 동기 신호 S56으로서 출력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어드레스 패턴이 노이즈 등의 외란(Nx1, Nx2)에 의해 SYNC 패턴으로 서 오류 검출된 경우(유사 SYNC 패턴의 오류 검출)라도, 그 시점에서는 무변조 영역(Unity Field)의 카운트값이 소정치(도 10의 예에서는 "316")가 되는 일은 없고, 게이트 신호 S564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사 SYNC 패턴에 기초하여 발생된 신호 S567은 AND 게이트(568)로 블록화된다. 이 때문에, 잘못 발생된 신호 S567이 동기 신호 S56으로서 AND 게이트(568)로부터 출력되어 버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SYNC의 오류 검출은 회피될 수 있다.
도 12는 무변조 영역을 이용한 SYNC 검출의 변형예로서 물리 어드레스 검출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어드레스(85)는 SYNC 패턴(84)의 직후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SYNC 검출을 행한 후가 아니면 정확한 물리 어드레스를 검출할 수는 없다. 그래서, 도 7의 동기 신호 검출부[AND 게이트(568)](56)로부터 출력된 SYNC 출력 S56에 기초하여 "SYNC 검출이 행하여진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SYNC 검출이 행하여진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물리 어드레스 검출을 행한다. 여기서, 어드레스 영역(85)의 선두 AHA의 위치를 포착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무변조 영역으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NC 패턴(도 6의 81로 표시되는 6개의 IPW 워블 + 4개의 NPW 워블 + 6개의 IPW 워블) 뒤의 68개의 NPW 워블을 이용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회로 구성에 있어서, SYNC 출력 S56을 카운터/비교 인에이블 생성 회로(579)에 입력하여, "SYNC 검출이 행하여진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S579(="1")를 설정한다. 이 플래그가 액티브(플래그 S579 = "1")일 때에, SIN 동기 위상 신호 S51의 워블 4 워블 가산 결과 S571의 2치화 신호 S572를 카운터(573)에 의해 카운트한다. 이 카운트값 S573이 예컨대 65에 도달되면,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574)가 게이트 신호 S574를 발생한다.
한편, 도 7의 회로 구성과 마찬가지로, SIN 동기 위상 신호 S51을 시프트 레지스터(575)와 패턴 연산부(576)에 의해 처리한다. 그리고, 시프트 처리를 실시한 신호의 부호 변화점(IPW → NPW/NPW → IPW: 에지 검출)의 차분 연산 및 에지 변화점 이외에서의 신호의 부호 비교에 의한 상태의 안정도(부호 일치) 검출을 실시한다. 비교 판정부(577)는 플래그 S579 = "1"일 때에, 패턴 연산부(576)에서의 에지 검출치가 임계치 이상이며, 또한 상태가 어드레스 선두와 일치하고 있다(예컨대, SIN 동기 위상 검출 신호 S51 = "++++"임)고 판정된 경우에는 어드레스 선두 AHA가 검출된 것으로 판정하여, 신호 S577을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출력된 신호 S577은 상기 게이트 신호 S574의 발생 기간 동안에 AND 게이트(578)를 통과하여, 어드레스 영역 선두 위치 AHA를 포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호 S57로서 물리 어드레스 유지부(58)에 입력된다(게이트 신호 S574가 발생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 신호 S577이 발생되었을 때는, 이 신호 S577은 오류 검출에 의한 것으로서, AND 게이트(578)에 의해 블록화된다). 물리 어드레스 유지부(58)는 신호 S57을 수신하면, 그 수신 직후부터의 SIN 동기 위상 신호 S51을 물리 어드레스 정보로서 취득하여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유지된 물리 어드레스 정보[3 비트의 어드레스 비트(2∼O)]가 물리 어드레스 출력 S58로서 사용된다.
도 13은 전술한 도 12에 도시된 회로 구성에 의해 어드레스 검출의 타이밍을 예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도 12의 카운터(573)의 카운트값 = 65에 응답하여 게 이트 신호 생성 회로(574)를 온하여 AND 게이트(578)를 개방하고 있다. 어드레스 선두 AHA가 성공적으로 검출된 경우, 다음에 오는 SIN 동기 위상 신호 S51의 비트 2, 비트 1 및 비트 0의 각각 4 워블 가산치 부호를 어드레스로서 물리 어드레스 유지부(58)로 래치하여, 어드레스 출력 S58을 취득한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은 도 7의 568로부터 제공되는 동기 출력(S56)에 기초하여 동기 위상 신호(S51) 중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85)의 선두(AHA)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선두 신호(S577)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검출 회로 시스템(도 12의 575∼577, 579)과, 상기 어드레스 선두 신호(S577) 후에 계속되는 상기 어드레스 영역(85)의 내용(도 13의 어드레스 비트 0∼2; 또는 어드레스 영역에서의 S51)을 이 어드레스 영역(85)의 물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S58)로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물리 어드레스 유지 회로(58)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에 의한 효과의 개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변조 영역의 검출에서는 SYNC 및 물리 어드레스 신호의 공통의 변조 부호 비트 클록 단위인 4 워블 가산치의 2치화(부호) 신호로 위치 검출을 위한 카운트를 행한다. 이에 따라, 가장 검출 효율성이 좋고, 또한 노이즈 등의 외란에 강한 간단한 회로에 의하여 무변조 영역을 사용하여 SYNC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SYNC 오류 검출을 막을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은 SYNC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 의해 신뢰성 높은 SYNC 검출을 행한 후, 물리 어드레스 검출을 행하기 때문에 신뢰성 높은 물리 어드레스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SYNC의 오류 검출은 SYNC 직후부터 기록되는 물리 어드레스의 오류 검출로 이어진다. 그 때문에, SYNC의 오류 검출이 발생되면 디스크 상의 정확한 위치(어드레스)를 검출할 수 없고, 또한 정확한 데이터의 취득 또는 기록을 할 수 없다. 따라서, SYNC는 반드시 정확한 위치에서 검출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등의 외란에 대하여 보다 강하고 보다 정확한 SYNC 검출/물리 어드레스 검출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또는 장래의 실시 단계에서는 그 시점에서 이용 가능한 기술에 기초하여 그 기술적 사상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는 가능한 한 적절하게 조합하여 실시해도 좋고, 그와 같은 경우에 조합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는 여러 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되는 복수 개의 구성 요소에서 적절한 조합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발명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들이 삭제되더라도, 이 구성 요소가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 검출 효율성이 좋으며, 또한 노이즈 등의 외란에 강하고 보다 정확한 SYNC 검출/물리 어드레스 검출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0)

  1. 무변조 영역(non-modulated field), 동기 영역 및 어드레스 영역의 배열을 반복해서 형성된 동기 위상 신호를 수신하여, 이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무변조 영역에 따라서 상기 동기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회로 시스템과;
    상기 동기 위상 신호를 수신하여, 이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동기 영역에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선두를 나타내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회로 시스템과;
    상기 게이트 신호가 생성되는 동안 상기 동기 신호를 통과시켜서 동기 출력을 제공하는 제3 회로 시스템
    을 구비한 동기 신호 검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위상 신호는 광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워블 변조파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회로 시스템은 복수 개의 워블을 하나의 단위로서 가산하기 위하여 구성된 워블 가산 회로와, 상기 워블 가산 회로의 가산 결과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구성된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결과가 상기 동기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값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동기 신호 검출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동기 영역은 독특한 패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회로 시스템은 상기 독특한 패턴을 검출하기 위하여 구성된 패턴 검출 회로와, 상기 패턴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패턴이 소정의 동기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구성된 비교 판정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동기 신호 검출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동기 출력에 따라서 상기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선두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선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구성된 어드레스 검출 회로 시스템과;
    상기 어드레스 선두 신호 후에 계속되는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내용을 이 어드레스 영역의 물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유지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물리 어드레스 유지 회로
    를 더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 회로.
  5. 무변조 영역, 동기 영역 및 어드레스 영역의 배열이 반복해서 형성된 동기 위상 신호가 워블 변조에 의하여 기록된 광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상기 동기 위상 신호를 재생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기 위상 신호를 수신하여, 이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무변조 영역에 따라서 상기 동기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회로 시스템과;
    상기 동기 위상 신호를 수신하여, 이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동기 영역에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선두를 나타내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회로 시스템과;
    상기 게이트 신호가 생성되는 동안 상기 동기 신호를 통과시켜서 동기 출력을 제공하는 제3 회로 시스템
    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위상 신호는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워블 변조파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회로 시스템은 복수 개의 워블을 하나의 단위로서 가산하기 위하여 구성된 워블 가산 회로와, 상기 워블 가산 회로의 가산 결과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구성된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결과가 상기 동기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값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동기 영역은 독특한 패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회로 시스템은 상기 독특한 패턴을 검출하기 위하여 구성된 패턴 검출 회로와, 상기 패턴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패턴이 소정의 동기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구성된 비교 판정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동기 출력에 따라서 상기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선두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선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구성된 어드레스 검출 회로 시스템과;
    상기 어드레스 선두 신호 후에 계속되는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내용을 이 어드레스 영역의 물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유지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물리 어드레스 유지 회로
    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9. 무변조 영역, 동기 영역 및 어드레스 영역의 배열이 반복해서 형성된 동기 위상 신호를 이용하여, 이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무변조 영역에 따라서 상기 동기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위상 신호를 이용하여, 이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동기 영역에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선두를 나타내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신호가 생성되는 동안 상기 동기 신호를 통과시켜서 동기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동기 위상 신호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선두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선두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어드레스 선두 신호 후에 계속되는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내용을 이 어드레스 영역의 물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유지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KR1020050055463A 2004-06-30 2005-06-27 광 디스크 장치 KR100661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3768A JP2006018892A (ja) 2004-06-30 2004-06-30 光ディスク装置
JPJP-P-2004-00193768 200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534A KR20060048534A (ko) 2006-05-18
KR100661386B1 true KR100661386B1 (ko) 2006-12-27

Family

ID=3551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463A KR100661386B1 (ko) 2004-06-30 2005-06-27 광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02265A1 (ko)
JP (1) JP2006018892A (ko)
KR (1) KR100661386B1 (ko)
CN (1) CN100347761C (ko)
TW (1) TW2006030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3395A (ja) * 2003-03-14 2004-10-28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とその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JP2011175707A (ja) * 2010-02-24 2011-09-08 Toshiba Corp 信号検出方法及び信号検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9937A (ja) 2001-09-21 2003-04-04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
KR20030049008A (ko) * 2001-12-13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블 위상 동기 루프에서의 워블신호 검출장치 및 방법
JP2004303395A (ja) 2003-03-14 2004-10-28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とその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KR20060038498A (ko) * 2004-10-30 200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엠에스케이 마크 검출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2629B2 (ja) * 1989-11-21 1998-06-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該記録媒体の再生装置
KR100345817B1 (ko) * 1997-03-25 2002-07-24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재생 장치와 정보 기록 장치 및 기준 마크 검출 회로
JP4211158B2 (ja) * 1999-10-20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3762629B2 (ja) * 2000-09-29 2006-04-05 富士通株式会社 トラックジャンプ方法及び記憶装置
WO2002033699A1 (fr) * 2000-10-19 2002-04-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upport optique sous forme de disque et procede de reproduction de signal
JP5175413B2 (ja) * 2001-03-12 2013-04-0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装置
TWI229854B (en) * 2001-03-16 2005-03-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 carrier and apparatus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JP3899861B2 (ja) * 2001-07-13 2007-03-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情報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JP3897095B2 (ja) * 2001-12-19 2007-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情報記録媒体
US7376056B2 (en) * 2002-01-21 2008-05-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ddress information from an optical disc medium
US7075873B2 (en) * 2002-03-22 2006-07-11 Ricoh Company, Ltd. Optical disc apparatus with disc selecting function
US7099244B2 (en) * 2002-10-10 2006-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obble demodulator and wobble demodulation method
JP4087224B2 (ja) * 2002-11-08 2008-05-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2005190561A (ja) * 2003-12-25 2005-07-14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US6983514B2 (en) * 2004-05-11 2006-01-10 Shin Zu Shing Co., Ltd. Pivot hinge with position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9937A (ja) 2001-09-21 2003-04-04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
KR20030049008A (ko) * 2001-12-13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블 위상 동기 루프에서의 워블신호 검출장치 및 방법
JP2004303395A (ja) 2003-03-14 2004-10-28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とその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KR20060038498A (ko) * 2004-10-30 200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엠에스케이 마크 검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5310A (zh) 2006-01-25
JP2006018892A (ja) 2006-01-19
CN100347761C (zh) 2007-11-07
US20060002265A1 (en) 2006-01-05
KR20060048534A (ko) 2006-05-18
TW200603085A (en) 200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091B1 (en) Information record disc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EP0871169A1 (en) Pre-pit detect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552375B1 (ko) 정보 기록 재생 장치
JPH09265641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US6421308B1 (en) State detecting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US20030072230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pre-pit detecting method
KR100661386B1 (ko) 광 디스크 장치
JP4329731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682365B1 (ko) 동기 신호 검출 장치 및 동기 신호 검출 방법
US8934325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JP440334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20050117483A1 (en) Optical disk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US6956800B2 (en) Pre-pit detecting apparatus detecting pre-pit signal from only signals input during period of applying light beam having reproducing power
EP1225571B1 (en) Pre-pit detecting apparatus
JP3714117B2 (ja) プリピット検出装置、プリピット検出方法、位置及び周波数信号の検出回路
JP4281717B2 (ja) 光ディスク装置
US7301866B2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140463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及びウォブル信号検出方法
US7016285B2 (en) Linking gap detecting device and method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62592B1 (ko)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618454B2 (ja) タイミング信号生成装置
JP2004087029A (ja)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WO2005104106A1 (ja) 情報記録媒体
JPH04356730A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0003555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