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686B1 - 신축 붐 장치 - Google Patents

신축 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686B1
KR100659686B1 KR1020057016280A KR20057016280A KR100659686B1 KR 100659686 B1 KR100659686 B1 KR 100659686B1 KR 1020057016280 A KR1020057016280 A KR 1020057016280A KR 20057016280 A KR20057016280 A KR 20057016280A KR 100659686 B1 KR100659686 B1 KR 10065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lide pad
cross
mounting portion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481A (ko
Inventor
오사무 고키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7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guiding devices for telescopic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제1 붐(1), 제1 붐(1) 내에 신축 가능하게 수납된 제2 붐(2), 및 신축 실린더로 신축 붐 장치를 구성한다. 붐(1, 2)을 각각 메인부(1a, 2a)와, 메인부(1a, 2a)의 일단에 격벽(1b, 2b)을 통하여 일체로 설치된 보스 설치부(1c, 2c)와, 메인부(1a, 2a)의 타단에 격벽(1d, 2d)을 통하여 일체로 설치된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 2e)와, 보스 설치부(1c, 2c)에 설치된 보스(1f, 2f)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 2e)에 설치된 슬라이드패드(1g, 2g)로 구성한다. 메인부(1a)보다 폭 치수 및 높이 치수가 크게 형성된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의 내면에 복수 개의 슬라이드패드(1g)를 장착하는 동시에, 메인부(2a)보다 폭 치수 및 높이 치수가 작게 형성된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의 외면에 복수 개의 슬라이드패드(2g)를 장착하여, 슬라이드패드(1g, 2g)를 설치한 경우에도 단면 외형 치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신축, 붐, 슬라이드패드, 결벽, 메인부, 신축 실린더, 장착부

Description

신축 붐 장치 {TELESCOPIC BOOM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리프트 트럭이나 고소 작업차 등의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는 신축 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신축 붐 장치의 각 붐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리프트 트럭이나 고소 작업차 등의 유압 작업기에는, 신축 실린더를 신축함으로써 텔레스코프형으로 신축되는 신축 붐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2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이러한 종류의 신축 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종래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일단이 개방된 직선형인 통형의 기단 붐(21a)과, 이 기단 붐(21a)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직선형인 통형의 중간 붐(21b)과, 이 중간 붐(21b)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직선형인 통형의 선단 붐(21c)과, 기단 붐(21a)과 중간 붐(21b) 사이에 설치되어 기단 붐(21a)에 대하여 중간 붐(21b)을 신축 작동시키는 신축 실린더(22)와, 신축 실린더(22)의 신축 작동에 따라 중간 붐(21b)에 대하여 선단 붐(21c)을 신축 작동시키는 와이어-풀리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개평5-82986호 공보 (도 2) 참조).
상기 구성의 신축 붐 장치는 신축 실린더(22)를 신장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 써, 기단 붐(21a), 중간 붐(21b) 및 선단 붐(21c)으로 이루어지는 붐 본체(21)를 신장시킬 수 있고, 또한 신축 실린더(22)를 수축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붐 본체(21)를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신축 붐 장치에는 붐 본체(21)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붐 본체(21)의 내구성의 향상 및 붐 본체(21)로부터의 이상음 발생의 방지 등을 도모하기 위해, 각 붐(21a, 21b, 21c) 사이에 예를 들면 슬라이딩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패드가 슬라이딩 접촉 부재로서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공지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각 붐(21a, 21b, 21c)이 직선형인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붐(21a, 21b, 21c)의 내면 또는 외면에 슬라이드패드를 설치하면, 각 붐(21a, 21b, 21c) 사이에 슬라이드패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12에 나타내는 선단 붐(21c)의 J-J 단면 형상(이하 이것을 단순히「단면 형상」이라고 함)을 유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각 붐 사이에 슬라이드패드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 슬라이드패드의 두께만큼 중간 붐(21b) 및 기단 붐(21a)의 단면 형상이 커져 붐 본체가 대형화된다. 극단적으로는, 붐 본체(21)의 차체 레이아웃이 곤란해 지는 경우도 생긴다. 반대로, 기단 붐(2l)a의 단면 형상을 유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패드의 두께만큼 중간 붐(21b) 및 선단 붐(21c)의 단면 형상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들 각 붐(21b, 21c)의 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단면 외형 치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슬라이딩 접촉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신축 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수단은 외측통과, 이 외측통 내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1개 이상의 내측통으로 이루어지는 통체군과, 상기 외측통 및 상기 1개 이상의 내측통을 상대적으로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기구와, 상기 외측통과 상기 1개 이상의 내측통의 각각 인접하는 간극에 배치되고, 인접하는 통체 간의 슬라이딩 동작을 완화시키는 슬라이딩 접촉 부재를 가지는 신축 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통의 내면에는 인접하는 내측통의 외면에 대하여 이격되고 상기 내측통의 외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제1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통과 인접하는 상기 내측통의 외면에는 상기 외측통의 내면에 대하여 이격되고 상기 외측통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제2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외측통의 한쪽 단부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내측통의 상기 제1 장착부와는 반대쪽의 단부 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 상기 내측통의 내면에 인접하는 제2 내측통의 외면 측에는 상기 내측통의 내면에 대하여 이격되고 상기 내측통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제3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내측통의 외면에 인접하는 상기 내측통의 내면측에는 상기 제2 내측통의 외면에 대하여 이격되고 상기 제2 내측통의 외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제4 장착부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외측통의 한쪽 단부 측에,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내측통의 상기 제1 장착부와는 반대쪽의 단부 측에, 상기 제3 장착부는 상기 제2 내측통의 상기 제1 장착부 측의 단부 측에, 상기 제4 장착부는 상기 내측통의 상기 제2 장착부 측의 단부 측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장착부는 상기 각 통체의 슬라이딩 동작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장착부의 단부와 상기 제2 장착부의 단부에 상기 신축 구동기구의 구동단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의 단부에 용접에 의해 장착된다.
제2 수단은, 최소한 2개의 붐과, 이들 최소한 2개의 붐을 텔레스코프형으로 신축시키는 신축 실린더를 가지는 신축 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2개의 붐의 각각을 직선형인 통형의 강도를 가진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에 비해 길이가 짧거나 또는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에는 그 외면에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에는 그 내면에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붐으로서, 제1 붐과 상기 제1 붐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제2 붐을 구비하고, 제1 붐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여 그 내면에 상기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제2 붐의 기단 측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여 그 외면에 상기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할 수 있다.
또, 상기 붐으로서, 제1 붐과 상기 제1 붐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1개 내지 복수 개의 제2 붐과 상기 제2 붐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제3 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붐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여 그 내면에 상기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제2 붐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붐의 기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여,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의 내면 및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의 외면에 상기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제3 붐의 기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여 그 외면에 상기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수단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2개의 붐 중, 상기 신축 실린더가 설치되는 2개의 붐의 각각을 직선형인 통형의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에 비해 길이가 짧거나 또는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와, 상기 메인부에 용접된 보스 설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보스 설치부의 내면에 상기 신축 실린더를 연결하기 위한 보스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단면 외형 치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슬라이딩 접촉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신축 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통은 제1 붐(1)으로, 내측통은 제2 붐(2)에, 슬라이딩 접촉 부재는 슬라이드패드(1g, 2g, 3g)에, 공간부는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 2e, 2e1, 2e2, 3e)에, 제1 장착부는 1e에, 제2 장착부는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 2e2)에, 제3 장착부는 슬라이드패드 장착부(3e)에, 제4 장착부는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1)에, 연결부는 보스 설치부(1c, 2c)에 각각 대응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의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D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E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F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G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H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I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신축 붐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로부터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제1 붐(1)과, 상기 제1 붐(1) 내에 신축 가능하게 수납된 제2 붐(2)과, 도시하지 않은 신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붐(1)은 직선형인 바닥이 없는 각통형으로 형성된 메인부(1a)와, 상기 메인부(1a)의 일단에 격벽(1b)을 통하여 일체로 설치된 보스 설치부(1c)와, 상기 메인부(1a)의 타단에 격벽(1d)을 통하여 일체로 설치된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와, 상기 보스 설치부(1c)에 설치된 보스(1f)와, 상기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에 설치된 슬라이드패드(1g)로 이루어진다.
보스 설치부(1c)는 도 1의 측면도 및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의 폭 치수 W와 높이 치수 H가 메인부(1a)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한 바닥이 없는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길이는 메인부(1a)의 전체길이보다 현저하게 짧고, 보스(1f)의 직경의 수배 정도, 바꿔 말하면 보스(1f)가 설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보스 설치부(1c)의 내면에는 2개의 보스(1f)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용접에 의해 보스 설치부(1c)에 장착되어 있다.
격벽(1b)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각형의 투과공(1h)을 가진다. 그 외형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는 메인부(1a)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보다 약간 크고, 그 내측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는 메인부(1a)의 내측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는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가 메인부(1a)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보다 커다란 직선형인 바닥이 없는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길이는 메인부(1a)의 전체길이보다 짧고, 슬라이드패드(1g)를 장착 가능한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의 내면에는 복수 개(도 8의 예에서는 6개)의 슬라이드패드(18)가 외주방향으로 대략 등분의 거리로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패드(18)는 예를 들면 폴리데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슬라이딩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에 의해 블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패드(1g)는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의 내면에 나사 고정 또는 접착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제1 붐(1)과 제2 붐(2) 사이의 슬라이딩을 완화시킨다. 또,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는 메인부(1a)에 비해 길이 방향의 치수가 짧고, 4매의 판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격벽(1d)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각형의 투과공(1i)을 가진다. 그 외형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는 메인부(1a)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보다 크고, 그 내측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는 메인부(1a)의 내측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 설치부(1c) 및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는 메인부(1a)에 대하여 격벽(1b, 1d)을 통하여 각각이 동심이 되도록 각각 용접에 의해서 일체화된다. 격벽(1b, 1d)은 메인부(1a)에 대하여 단면 형상이 상이한 보스 설치부(1c) 및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를 용접에 의해 장착하고, 일체화할 때의 공정수 저감을 위해 이용된다.
제2 붐(2)은 제1 붐(1)의 메인부(1a) 내에 삽입 가능한 외형을 가지는 직선형인 바닥이 없는 각통형으로 형성된 메인부(2a)와, 상기 메인부(2a)의 일단에 격벽(2b)을 통하여 일체로 설치된 보스 설치부(2c)와, 상기 메인부(2a)의 타단에 격벽(2d)을 통하여 일체로 설치된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와, 상기 보스 설치부(2c)에 설치된 보스(2f)와, 상기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에 설치된 슬라이드패드(2g )로 이루어진다.
보스 설치부(2c)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붐(1)의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와 대략 동일한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를 가지는 바닥이 없는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길이는 메인부(2a)의 전체길이보다 현저하게 짧고, 보스(2f)의 직경의 수배 정도로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보스(2f)가 설치되기에 충분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보스 설치부(2c)의 내면에는 2개의 보스(2f)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용접에 의해 보스 설치부(2c)에 장착되어 있다.
격벽(2b)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중앙부에 각형의 투과공(2h)을 가진다. 그 외형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는 메인부(2a)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보다 약간 크고, 내측의 폭 및 높이 치수는 메인부(2a)의 내측의 폭 및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가 메인부(2a)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보다 작은 바닥이 없는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길이는 메인부(2a)의 전체길이보다 현저하게 짧고, 슬라이드패드(29)를 장착 가능한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 의 외면에는 복수 개(도 4의 예에서는 6개)의 슬라이드패드(29)가 대략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패드(2g)는 제1 붐(1)에 구비되는 슬라이드패드(1g)와 같이 예를 들면 폴리데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슬라이딩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를 가지고 블록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의 외면에 나사 고정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 슬라이드패드(1g)와 슬라이드패드(2g)는 부품의 공용화를 꾀하여, 신축 붐 장치의 조립성의 개선과 저비용화를 도모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격벽(2d)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각형의 투과공(2i)을 가진다. 그 외형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는 메인부(2a)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보다 약간 크고, 투과공(2i)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는 메인부(2a)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 설치부(2c) 및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는 메인부(2a)에 대하여 격벽(2b, 2d)을 통하여 각각이 동심이 되도록 각각 용접에 의해서 일체화된다. 격벽(2b, 2d)은 메인부(2a)에 대하여 단면 형상이 상이한 보스 설치부(2c) 및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를 용접에 의해 장착하고, 일체화할 때의 공정수 저감을 위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붐(2)의 메인부(2a) 및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를 제1 붐(1)의 메인부(1a) 내 및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 내에 삽입하고, 제1 붐(1)의 보스 설치부(1c)에 설치된 보스 (1f)와 제2 붐(2)의 보스 설치부(2c)에 설치된 보스(2f)에 도시하지 않은 신축 실린더의 연결부를 연결함으로써 조립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립된 본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신축 실린더를 신축하여 제1 붐(1)과 제2 붐(2)을 상대적으로 신축시켰을 때, 각 붐(1, 2)의 메인부(1a, 2a)가 슬라이드패드(1g, 2g)를 통하여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이 감소되고, 신축 동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메인부(1a, 2a)에 상기 메인부(1a, 2a)보다 단면 형상이 크거나 또는 작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 2e)를 형성하고, 메인부(2a)보다 단면 형상이 작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에는 그 외면에 슬라이드패드(29)를 장착하고, 메인부(1a)보다 단면 형상이 큰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에는 그 내면에 슬라이드패드(1g)를 장착했기 때문에, 각 붐(1, 2)의 메인부(1a, 2a) 사이에 슬라이드패드(1g, 2g)를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붐(1, 2)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는 일없이 슬라이드패드(1g, 2g)를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붐 본체의 대형화에 의한 차체 레이아웃의 열화나 붐 단면 외형의 협소화에 수반하는 붐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신축 붐 장치의 동작을 원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제1 붐(1)과 상기 제1 붐(1)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제2 붐(2)을 구비했기 때문에, 2단 신축 붐 장치에 대해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메인부(1a, 2a)와 보스 설치부(1c, 2c)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각 붐을 제작하는 데에 있어서 작업성을 양호하 게 할 수 있다. 또, 각 보스 설치부(1c, 2c)를 보스(1f, 2f)가 설정할 수 있는 정도의 짧은 길이로 형성했기 때문에, 용접에 의한 보스(1f, 2f)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공지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기단 붐(21a)과 중간 붐(21b)과 신축 실린더(22)의 구동부를 연결해야 하지만, 공지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의 붐 본체(21)는 일단이 개방된 직선형인 각통형의 기단 붐(21a) 내에 중간 붐(21b) 및 선단 붐(21c)이 수납되어 있고, 기단 붐(21a)의 폐쇄 측의 단부에서 기단 붐(21a)과 중간 붐(21b)과 신축 실린더(22)를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나빴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 설치부(1c, 2c)를 양단이 개방된 각통형으로 형성하고, 작업용 투과공(1h, 1i)을 확보했기 때문에, 각 보스(1f, 2f)에 대한 신축 실린더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신축 붐 장치의 조립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로부터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3단 이상의 다단 신축 붐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신축 붐 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붐(1)과, 상기 제1 붐(1)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1개 내지 복수 개의 제2 붐(2)(도 11의 예에서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과, 상기 제2 붐(2)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제3 붐(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붐(1) 및 제2 붐(2)에 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 2e2)를 설치하고, 그 내면에 슬라이드패드(1g, 2g2)를 각각 장착하고, 제3 붐(3)에는 제2 붐(2)의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2)와 같이 하여 제2 붐(2)의 내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슬라이드패드 장착부(3e)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패드 장착부(3e)에 제2 붐(2)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드패드(3g)를 배치한다. 또, 제2 붐(2)의 제1 붐(1)의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 형성부 측의 단부의 제3 붐(3)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1)의 내면 측에는 제3 붐(3)의 외면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패드(2g1)가 장착되어, 제3 붐(3) 외면과 제2 붐(2) 내면의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킨다. 상기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g1)와 제3 붐(3)의 관계는 전술한 제1 붐(1)에 설치한 슬라이드패드 장착부(1e)와 제2 붐(2)의 관계와 동일하며, 상기 슬라이드패드 장착부(3)와 제2 붐(2)의 관계는 제2 붐(2)에 설치한 슬라이드패드 장착부(2e2)와 제1 붐(1)의 관계와 동일하다. 그 외의 각 부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3단 이상의 다단 신축 붐 장치에 대해, 붐 본체의 단면 외형 치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슬라이드패드(1g, 2g1, 2g2, 3g)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신축 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패드(1g, 2g1, 2g2, 3g)를 설치했다고 해도 대형화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대형화에 의한 차체 레이아웃성 의 열화를 초래하지도 않는다. 또한, 붐 단면 외형의 협소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붐 강도가 저하되는 일도 없다.
또, 상기 붐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단면 형상이나 치수에 관해서는 상기 각 실시예에 구애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붐의 단면 형상을 원통형으로 하는 등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2개 이상의 붐, 및 상기 2개 이상의 붐을 텔레스코프형으로 신축시키는 신축 실린더를 가지는 신축 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붐의 각각은, 직선형인 통형의 강도를 가진 메인부, 및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에 비해 길이가 짧거나 또는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에는 그 외면에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에는 그 내면에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한
    신축 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붐은, 제1 붐 및 상기 제1 붐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제2 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붐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여 그 내면에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제2 붐의 기단 측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여 그 외면에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붐은, 제1 붐 및 상기 제1 붐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1개 내지 복수 개의 제2 붐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제3 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붐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여 그 내면에 상기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제2 붐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붐의 기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의 내면 및 상기 메인부의 단면부의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의 외면에 상기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제3 붐의 기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를 설치하여 그 외면에 상기 슬라이드패드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붐 중에서 상기 신축 실린더가 설치되는 2개의 붐은 각각이, 직선형인 통형의 메인부, 상기 메인부의 단면 외형 길이에 비해 길이가 짧거나 길이가 기다란 슬라이드패드 장착부, 및 상기 메인부에 용접된 보스 설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보스 설치부의 내면에 상기 신축 실린더를 연결하기 위한 보스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 장치.
KR1020057016280A 2003-03-07 2004-03-08 신축 붐 장치 KR100659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1791 2003-03-07
JPJP-P-2003-00061791 2003-03-07
PCT/JP2004/002939 WO2004078633A1 (ja) 2003-03-07 2004-03-08 伸縮ブー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481A KR20050107481A (ko) 2005-11-11
KR100659686B1 true KR100659686B1 (ko) 2006-12-21

Family

ID=3295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280A KR100659686B1 (ko) 2003-03-07 2004-03-08 신축 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19650A1 (ko)
EP (1) EP1604943A4 (ko)
JP (1) JPWO2004078633A1 (ko)
KR (1) KR100659686B1 (ko)
CN (1) CN1756714A (ko)
WO (1) WO2004078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1354B2 (en) * 2011-03-30 2014-08-12 Terex South Dakota, Inc. Wearpad arrangement
FR3024720B1 (fr) * 2014-08-07 2018-11-16 Manitou Bf Dispositif telescopique de manutention comportant au moins deux elements montes a coulissement relatif
US9751550B2 (en) * 2015-07-28 2017-09-05 Aaron Crowley No-lift install system
CN105819354B (zh) * 2016-04-18 2018-05-11 太仓弘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船舶的可伸缩克令吊及其工作方法
US11111115B2 (en) * 2017-03-02 2021-09-07 Maniitowoc Crane Companies, LLC Wear pad with insert for telescoping boom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050Y2 (ja) * 1988-09-30 1994-09-21 株式会社タダノ 伸縮ブームにおけるスライド装置
JPH0315881U (ko) * 1989-06-26 1991-02-18
US5865328A (en) * 1993-06-16 1999-02-02 Ec Engineering + Consulting Spezialmaschinen Gmbh Telescopic boom
DE9308993U1 (ko) * 1993-06-16 1993-08-12 Ec Engineering + Consulting Spezialmaschinen Gmbh, 89079 Ulm, De
DE10158280B4 (de) * 2001-11-19 2006-09-28 Terex-Demag Gmbh & Co. Kg Bewegungsvorrichtung zur Bewegung eines Gegenstands, insbesondere der Ausleger eines Teleskopierauslegers für einen Kr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4943A1 (en) 2005-12-14
KR20050107481A (ko) 2005-11-11
US20060219650A1 (en) 2006-10-05
JPWO2004078633A1 (ja) 2006-06-08
EP1604943A4 (en) 2009-06-03
CN1756714A (zh) 2006-04-05
WO2004078633A1 (ja)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8262B (zh) 滑軌補強構造
KR100659686B1 (ko) 신축 붐 장치
EP1788186A3 (en) Barrier Means
WO2008125110A3 (en) Telescoping mast
KR20120068726A (ko) 크레인 지브 및 보조 지브용 신축 시스템
JP4687172B2 (ja) 伸縮ブーム
WO2015194268A1 (ja)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JPH11125214A (ja) 2連油空圧シリンダ
JPS61502677A (ja) 少くとも3つの移動自在に協同するように組合わされた部品から成る装置
KR200177136Y1 (ko) 4주식 리프트의 케이블 연결구조
EP2096075A1 (en) Telescopic boom
JP2022002958A (ja) 作業車のアウトリガ装置
JPH0718713Y2 (ja) 伸縮シリンダの座屈防止装置
JP3126657B2 (ja) ブーム伸縮装置
JP3283390B2 (ja) クレーン用多段伸縮ブーム
ATE330900T1 (de) Hubgerüst für einen hublader
JP2580596Y2 (ja) 多角形断面を有する多段式伸縮ブーム
JPH09323893A (ja) ブーム伸縮装置の滑車装置
CN214084183U (zh) 伸缩支腿以及车辆
JP2563999Y2 (ja) 多段伸縮ブーム
JPS6030294Y2 (ja) 多段伸縮ブ−ム
JPH0340863Y2 (ko)
JPH078547Y2 (ja) 伸縮ブームに内装される複動油圧シリンダ
JPH055796U (ja) 多段式伸縮ブーム
JP2001048477A (ja) 作業機械の伸縮式ブ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