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626B1 - 광 정보 기록 매체,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광 정보 기록 매체,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626B1
KR100659626B1 KR1020007006018A KR20007006018A KR100659626B1 KR 100659626 B1 KR100659626 B1 KR 100659626B1 KR 1020007006018 A KR1020007006018 A KR 1020007006018A KR 20007006018 A KR20007006018 A KR 20007006018A KR 100659626 B1 KR100659626 B1 KR 100659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pit
chang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2729A (ko
Inventor
세이지 고바야시
쯔또무 이시모또
히사유끼 야마쯔
로데릭 쾰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6Recording strategies, e.g. pulse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8Visual features other than those contained in record tracks or represented by sprocket holes the visual signals being auxiliary signals
    • G11B23/40Identifying or analogous means applied to or incorporated in the record carrier and not intended for visual display simultaneously with the playing-back of the record carrier, e.g. label, leader, photograp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4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dr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11B5/55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 G11B5/5521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across disk tracks
    • G11B5/5526Control therefor; circuits, track configurations or relative disposition of servo-information transducers and servo-information tracks for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94Indication parts or information parts f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1Preparing a master, e.g. exposing photoresist, electrofor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8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optical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나 DVD의 기록 장치, 그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적용할 수 있어, 광 디스크에 있어서, 문자나 도형 등의 제2 정보를 명료하고, 또한 2개의 기록 레벨 사이를 원활하게 기록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제2 정보는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 및 각도 방향에서 규정되는 소정 영역에 기록되고, 제2 정보는 레이저빔의 광량 변화, 온-오프에 기초하는 피트 폭, 피트 길이의 변화, 피트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변화에 의해 기록되며, 디스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워터마크 또는 가시 영상 등의 제2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광 정보 기록 매체, 광 정보 기록 장치, 광 정보 기록 방법, CD, DVD, 워터마크

Description

광 정보 기록 매체,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 방법{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 방법 및 광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CD)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의 기록 장치, 그 기록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극 좌표에 의한 레이저빔 조사 위치의 위치 정보를 직교 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이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레이저빔의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CD 등의 정보 기록면에, 문자, 화상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간이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CD나 DVD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방법에 따라서, 기록 레이저를 온-오프함으로써 음악이나 비디오 신호 등의 정보를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한다. 또한 동시에, 기록 레이저의 출력을 원활하게 변화시킴으로써,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지 않은 제2 정보도, 동일한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CD나 DVD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방법에 따라서, 기록 레이저를 온-오프함으로써 음악이나 비디오 신호 등의 정보를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한다. 또한 동시에, 기록 레이저의 발광 펄스를 2분할 또는 오목부형으로 함으로써,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지 않은 제2 정보도, 동일한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CD나 DVD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음악이나 비디오 신호 등 외에, 디스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워터마크 또는 가시 영상(可視像) 등의 새로운 정보가 기록된다.
종래, 예를 들면, 이 종류의 광 정보 기록 매체로 되는 컴팩트 디스크에 있어서는, 기록에 기여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한 후,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변조함으로써, 소정의 기본 주기 T에 대해 주기 3T∼11T의 피트 열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 등이 기록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대해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는, 컴팩트 디스크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이 반사광의 광량에 따라서 신호 레벨이 변화하는 재생 신호를 얻고, 이 재생 신호를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에 의해 2치화하여 2치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이 2치화 신호에 의해 PLL 회로를 구동하여 재생 클록을 생성함과 함께, 이 재생 클록에 따라 2치화 신호를 순차 래치하고, 이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에 형성된 피트 열에 대응하는 주기 3T∼11T의 재생 데이터를 생성한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는, 이와 같이 하여 생성한 재생 데이터를 기록 시의 데이터 처리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에 의해 복호하고, 컴팩트 디스크 기판에 피트 열이 형성되고, 이 디스크 기판에 반사막이 형성되어 정보 기록면이 형성된다. 또한 이 정보 기록면에 타이틀, 곡명, 제조사명 등의 문자, 화상이 스크린 인쇄에 의 해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인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발명의 개시>
예를 들면, 동일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평성 8년 7월 16일 출원의 특허 출원(특원평8-205292호)에 따르면, 기록되는 모든 신호 패턴에 대응하여, 재생 신호의 엣지 위치의 이상적인 편차량을 구하여 테이블을 작성하고, 이 테이블을 사용하여 기록 신호의 패턴에 따라서 기록 신호의 엣지 위치를 변화시켜 기록함으로써 지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컴팩트 디스크 (CD)의 신호 기록부에 문자나 도형 등, CD의 규격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제2 정보를 중첩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평성 9년 3월 5월 출원의 특허 출원(특원평9-67843호)에 따르면, 광 디스크의 리드인 또는 신호 기록부에 워터마크에 의한 바코드 등의 ID 패턴을 기록하고, 그 패턴을 전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디스크 ID 혹은 암호를 판독하여 복사나 해적판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평성 9년 10월 30일 출원의 특허 출원(특원평9-298328호)에 따르면, 컷팅 중의 위치를 나타내는 반경(트랙 번호)과 회전 속도(FG 펄스의 수)의 극 좌표를 실시간으로 직교 좌표로 변환하는 회로를 설치함으로써, 직교 좌표계에서 나타낸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컷팅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물론 이들 광 디스크 장치에서는, 문자나 도형 등의 정보 외에, 컴팩트 디스크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EFM 변조된 신호도 동시에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플레이어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디스크의 신호부에 문자나 도형이 기록되고, 부가 가치를 높인 디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출원(특원평9-347532호)에는, 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문자나 도형 등 제2 정보를 큰 레이저의 출력차로서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 결과 명료한 제2 정보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 광 정보 기록 방법 및 광 정보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출원(특원평9-173811호)에는 9T 이상의 피트를 4T+1T+4T로 분할하여 한가운데의 1T는 피트를 대신하여 스페이스를 기록함으로써, 피트를 2분할하는지의 여부로, 새로운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광 디스크 기록 장치, 광 디스크 및 광 디스크 재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 출원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레이저의 출력이 변화하는 경계 부분에서는, 신호 특성이 변동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레이저의 출력 변화를 아주 크게 취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 결과, 기록된 문자나 도형 등의 제2 정보가, 그다지 명료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CD나 DVD와 같은 광 디스크의 생산 및 판매에 있어서, 중요한 관심은 불법 복사와 이들 디스크의 확판(擴販)이다. 불법 복사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지폐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디스크 상에 워터마크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 워터마크는 눈에 보이는 것이나, 흐릿한 상으로, 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서명을 특별한 하드웨어에 의해 검출되는 디스크의 정보층 상에 떠오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워터마크가 들어간 디스크는 종래의 기술에서 복사된 경우에도 전사되지 않으므로 디스크의 정품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개평10-31825호 공보에는, 정보 피트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광 디스크 상에 워터마크를 기록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정보 피트의 크기가 다른 2개의 디스크 상의 영역에 있어서, 반사광의 콘트라스트는 관측자의 눈에 보이게 된다. 이러한 디스크를 만들기 위해, 마스터링 프로세스 중의 레이저의 광 강도는 기록되어야 되는 패턴에 따라서 변조된다.
이 디스크의 판독 시에는, 결과로서 발생되는 재생 신호는 변조된 피트 크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종래의 재생 장치에서, 이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재생 장치가 디스크를 정확하게 재생 처리할 수 있도록 재생 신호를 정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피트 엣지의 위치가 보정되게 된다. 또한, 안전한 재생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어떤 전력 레벨로부터 다른 전력 레벨로의 변화는, 갑자기 전압을 전환하는 대신에 마스터링 머신의 광 변조의 입력 전압을 천천히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변조 전압의 변화 기능은, 원하는 원활한 변화에 의한 영향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에 진술하는 3가지 이유에 의해 신중히 선택되지 않으면 안된다.
첫번째로, 광 강도를 변조시키기 위한 광 변조기는 고려하여야 할 비선형의 특성을 갖는다. 둘째로, 광 변조기의 광 강도 레벨과 정보 피트의 엣지의 적정 시프트는 상호 영향을 미쳐, 적정하게 선택되지 않으면 안된다. 셋째로, 광 변조기의 특성은 마스터링 머신의 얼라인먼트에 의존하며 또한 이에 따라 변화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 경우에 대해 생각해 본다. 어떤 광 강도로부터 다른 광 강도로 이행할 때에, 광 변조기의 전압을 같은 전압의 스텝으로 조금씩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각각의 변조 전압에 있어서 피트 엣지의 위치를 직선 보간으로 구한 값에 따라서 조금씩 움직여 간다. 이 방법은, 광 변조기의 비선형 특성이 없으면, 잘 작동한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보간을 이용하여 컷팅을 행하면, 비선형 특성을 갖는 광 변조기를 사용한 경우에, 완성된 광 디스크의 재생 RF 신호는 엔벌로프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오버슈트가 발생하여 지터가 악화된다.
종래의 워터마크의 패턴을 기록하는 적당한 방법은, 디스크의 마스터링 중에 일거에 기록 레이저의 광 강도 레벨을 전환함으로써 실현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서는, 만일 기록 전력이 마스터링 중에 일거에 바뀌면, 재생 신호의 파형에는 변화점 부근에서 부정합 부분이 발생하여, 플레이어에 따라서는 변화점 부근에서 에러율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개평10-31825호 공보에는, 기록 전력의 레벨에 의존하는 피트 엣지의 작은 치환에 의한 재생 신호의 신호가 나타내는 도형을 보정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것은 신호 특성 중의 변화에 따라서, 재생 장치에 허용되는 워터마크의 변화에 있어서, 레이저 전력을 천천히 바꾸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광 변조 장치의 특성의 비선형성에는 특별한 주의를 요해야만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개평7-201079호 공보에는, 상변화층의 상변화 영역을 문자, 그림, 모양 등의 가시 정보 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비가시 정보로서 카드 본체의 표면에 반사층을 적층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개평7-201079호 공보는 상술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컴팩트 디스크에 있어서, 기록된 문자나 도형 등의 제2 정보를 명료하게 정보 기록면에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2개의 기록 레벨 사이의 완만한 변화의 범위를 기록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광 정보 기록 매체의 회전을 기준으로 한 극 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를 직교 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로 좌표 변환하고, 이 직교 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를 어드레스로 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레이저빔의 광량을 변화시킨다.
극 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에 따라서 레이저빔의 광량을 변화시켜 피트 폭을 변화시키면, 광 정보 기록 매체의 회전에 동기하여 정보 기록면의 반사율을 변화시킬 수 있어, 문자, 화상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극 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를 직교 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액세스하면, 여러가지의 정보 기기로 이용되는 직교 좌표를 어드레스로 하여 이루어지는 예를 들면 2치의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여, 이들 문자, 화상을 기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눈으로 확인 가능한 문자, 화상을 간이하게 기록할 수 있다.
또한 , 본 발명은 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문자나 도형 등 제2 정보를 큰 레이저의 출력차로서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 결과 명료한 제2 정보의 기록 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2 정보에 의한 피트의 폭의 변화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2 정보가 보다 명료하게 확인된다.
본 발명은, 제1 정보에 따라서 변화하는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정보에 따라서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변화 신호를 제작하고, 시간 변화 신호에 따라서 레이저의 광량을 변화시켜, 광량 변화에 의해 얻어지는 레이저광을 변조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함으로써, 제2 정보에 의한 레이저 광량의 변화가 완만하게 행해지도록 한다. 제1 정보는 주로 피트의 길이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기록된다. 또한, 제2 정보는 주로 피트의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기록된다. 이에 따라, 제2 정보에 의한 피트 폭의 변화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기본 주기의 정수배의 주기로 신호 레벨을 전환함으로써, 제1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픽업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서의 상대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대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변조 신호의 일부분을 변경하고, 제2 변조 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광을 변조한다.
제1 정보는 주로 상기 피트의 길이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기록되고, 제2 정보는 주로 상기 피트 중 소정의 길이를 초과하는 피트가 2개로 분할 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도록 하여 기록되며, 제2 정보는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 2차원적인 모양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시에 있어서 2치로 슬라이스했을 때에 지터가 생기지 않도록, 미리 기록 신호의 시간을 보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정보에 기초하는 피트 변화의 천이 영역은, 0.1㎜로부터 1㎜의 사이이기 때문에, 제2 정보의 문양이 희미해지지 않고,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조된 레이저광의 레이저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의 구동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신호의 미리 정해진 한쌍의 진폭에 대한 레이저광의 강도의 특성을 측정하고, 상기 특성을 역 연산하여, 어떤 광 강도와 대응하는 구동 신호인 상기 역 연산치를 저장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광 강도 레벨에서의 타이밍치를 직선 보간함으로써, 변위 기간에 있어서 중간의 광 강도 레벨에 관한 타이밍 보정치를 결정하고, 원하는 광 강도 출력을 달성하기 위한 역 연산 특성을 저장하는 역 연산에 의해 구해진 구동 진폭에 기초한 광 강도 출력의 변화의 기간 동안, 레이저의 광 강도는 직접 제어되고, 또한 그 결과 생성된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는, 기록 광 강도가 변화하는 임의의 기록 범위에서 완만한 변화를 지니고,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가 안정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직교 좌표 위치 검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좌표 변환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좌표 변환 회로에서의 좌표 변환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 이며, 도 4A는 극 좌표계의 위치 정보, 도 4B는 직교 좌표계의 위치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의 문자 신호 발생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A는 디스크 상에 묘사한 패턴, 도 5B는 문자 신호 발생 회로 내부의 메모리에 기록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의 엣지 위치 보정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상승 엣지 보정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100%의 레이저빔의 광량에 의한 피트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85%의 레이저빔의 광량에 의한 피트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
도 10은 본 실시예의 광량의 차이에 의한 슬라이스 레벨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
도 11은 본 실시예의 도 1의 광 디스크 장치에 의해 생성된 컴팩트 디스크에 의한 재생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
도 12는 본 실시예의 엣지 위치 보정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본 실시예의 계단 파형 발생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5는 본 실시예의 계단 파형 발생 회로의 카운트업 동작 및 카운트다운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며, 도 15의 (a)는 제2 정보 SE, 도 15의 (b)는 업 신호 UP 및 다운 신호 DN, 도 15의 (c)는 카운트치 SF, 도 15의 (d)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 SX, 도 15의 (e)는 기준 클록 FK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실시예의 제2 정보의 피트 폭의 천이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실시예의 전압 변환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9는 본 실시예의 제2 변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본 실시예의 제2 변조 회로에서의 신호 중첩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1은 본 실시예의 제2 변조 회로의 출력 신호와, 그 결과 얻어지는 피트 및 그와 같은 피트로부터 예상되는 재생 신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의 (a)는 출력 신호 SD, 도 21의 (b)는 기록 피트, 도 21의 (c)는 재생 신호, 도 21의 (d)는 2분할 출력 신호 SD, 도 21의 (e)는 2분할 기록 피트, 도 21의 (f)는 재생 신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실시예의 제2 변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한 경우의 재생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실시예의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피트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3A는 통상 기록 피트, 도 23B는 2분할 기록 피트, 도 23C는 오목부 기록 피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5는 본 실시예의 전력 변조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6은 본 실시예의 CPU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7은 본 실시예의 어떤 전력 레벨로부터 다른 전력 레벨로의 변화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7A는 저 레벨로부터 고 레벨로의 제2 정보 SE의 변화에 대한 계단 신호 SF 및 제어 전압 ENV, 도 27B는 고 레벨로부터 저 레벨로의 제2 정보 SE의 변화에 대한 계단 신호 SF 및 제어 전압 ENV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실시예의 구동 전압이라고 측정된 레이저광 강도의 관계의 측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실시예의 구동 전압에 대한 광학 음향 변조기의 표준화된 레이저광 강도의 측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본 실시예의 재생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0A는 본 발명의 기록 방법을 이용하지 않은 도면, 도 30B는 본 발명의 기록 방법을 이용한 도면.
도 31은 본 실시예의 보정치 테이블의 작성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2는 본 실시예의 컴퓨터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양호한 형태〉
[제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광 디스크 장치(1)는, 디스크 원판(2)을 노광하여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3)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SA를 기록한다. 이 때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의해 노광에 기여하는 레이저빔 L의 광량을 변화시키고, 컴팩트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소정의 화상, 문자를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기록한다. 광 디스크의 제조 공정에서는, 이 디스크 원판(2)을 현상한 후, 전주(電鑄) 처리함으로써, 마스터 디스크를 작성하고, 이 마더 디스크에 의해 스탬퍼를 작성한다. 또한 광 디스크의 제조 공정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작성한 스탬퍼로부터 디스크 기판을 작성하고, 이 디스크 기판에 반사막, 보호막을 형성하여 컴팩트 디스크를 작성한다.
즉 이 광 디스크 장치(1)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14)는 디스크 원판(2)을 회전 구동하고, 바닥부에 보유한 FG 신호 발생 회로로부터, 소정의 각도 회전을 할 때마다 신호 레벨이 상승하는 FG 신호 FG를 스핀들 서보 회로(13) 및 직교 좌표 위치 검출 회로(5)로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FG 신호 FG는 디스크 원판(2)이 1회전할 때마다 4200펄스가 출력된다. 스핀들 서보 회로(13)는 디스크 원판(2)의 노광 위치에 따라서, 이 FG 신호 FG의 주파수가 소정 주파수가 되도록 스핀들 모터(14)를 구동하고, 이에 따라 디스크 원판(2)을 선속도 일정 조건으로 회전 구동한다.
기록용 레이저(9)는 가스 레이저 등에 의해 구성되며, 디스크 원판 노광용의 레이저빔 L을 사출한다. 광 변조기(10A)는 전기 음향 광학 소자로 구성되며, 제2 정보 SE에 따라서 레이저빔 L의 광량을 변화시켜 출력한다.
광 변조기(10B)는 전기 음향 광학 소자로 구성되며, 이 레이저빔 L을 변조 신호 S1에 의해 온-오프 제어하여 사출한다. 미러(11)는 이 레이저빔 L의 광로를 꺾어서 디스크 원판(2)을 향하여 사출하고, 대물 렌즈(12)는 이 미러(11)의 반사광을 디스크 원판(2)에 집광한다. 이들 미러(11) 및 대물 렌즈(12)는, 도시하지 않은 쓰레드(thread) 기구에 의해 디스크 원판(2)의 회전에 동기하여 디스크 원판(2)의 외주 방향으로 순차 이동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빔 L에 의한 조사 위치를 순차적으로 디스크 원판(2)의 외주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에 따라 이 광 디스크 장치(1)에서는, 디스크 원판(2)을 회전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미러(11) 및 대물 렌즈(12)의 이동에 의해 나사형으로 트랙을 형성하고, 이 트랙에 변조 신호 S1에 대응하여 순차 피트를 형성한다. 또한 이 때 제2 정보 SE에 따라서 피트 폭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소정의 문자, 화상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기록한다.
도 2는 이상과 같이 하여 기록되는 제2 정보 SE를 생성할 때에 사용되는 직교 좌표 위치 검출 회로(5)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도 2에 있어서, 1회전 카운트 회로(20) 및 트랙 카운트 회로(21)는 도시하지 않은 시스템 컨트롤러로부터의 클리어 펄스 CLR에 의해 기록 개시 시에 클리어되어 그 초기치가 0으로 되게 된다. 스핀들 모터(14)로부터의 FG 신호는, 예를 들면 스핀들 모터(14)가 1회전할 때마다 4200펄스가 출력된다. 이 펄스는 1회전 카운터(20)에 의해 4200 카운트되고, 카운트치 RX로서 출력된다. 이 카운트치 RX는 0부터 4199까지의 값을 취하고, 스핀들 모터(14)가 4200분의 1회전할 때마다 1카운트씩 증가되기 때문에, 스핀들 모터(14)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스핀들 모터(14)가 1회전하면, 이 카운터가 리세트된다. 이 리세트가 발생할 때마다 신호 RT로서 펄스가 발생하여, 이 펄스가 트랙 카운터(21)에 입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트랙 카운트 회로(21)는 1회전에 1펄스의 신호 RT를 계수해감으로써, 현재 기록 중의 트랙 번호 TK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CD)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반경 23㎜부터 기록이 시작되고, 반경 58㎜까지 트랙 피치 1.6미크론으로 기록이 행해지므로, 트랙 카운트 회로(21)의 값은 0부터 약 22000카운트까지 변화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1회전 카운트 회로(20)의 카운트치 RX 및 트랙 카운트 회로(21)의 카운트치 TK는, 현재 기록 중인 위치를 극 좌표에서 나타낸 경우의 각도 정보와 반경 정보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들 2개의 값을 이용하여 좌표 변환 회로(22)에서는, 직교 좌표계에서의 위치 정보 X 및 Y를 계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직교 좌표계의 위치 정보 X 및 Y는 이와 같이 하여 변환된 후, 화상(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 보내진다.
좌표 변환 회로(22)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구성으로 실현된다. 이 도면에서는, CPU(30)에 대해 입력 포트(31 및 32)가 접속되고, 동시에 출력 포트(33 및 34)가 접속되어 있다. 1회전 카운트 회로(20) 및 트랙 카운트 회로(21)의 카운트치, RX와 TK는 각각 입력 포트(31 및 32)에 접속되고, CPU(30)가 각각의 값을 취득할 수 있다.
CPU(30)는, 이들 2개의 값으로부터,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1, 수학식 2에 따라서 직교 좌표계에서의 위치 정보 X 및 Y를 계산하여, 출력 포트(33 및 34)로 출력한다.
Figure 112000011239011-pct00001
Figure 112000011239011-pct00002
여기서, A, B는 좌표계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상수이고, Tb는 기록 개시의 반경을 나타내며, 또한 Tp는 트랙 피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변환을 행한 결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 좌표계(RX, TK)로 나타내고 있는 위치 정보는, 도 4B와 같은 직교 좌표계 (X, Y)로 변환된다.
화상(문자) 신호 발생 회로(6)는 화상 데이터를 보유하는 화상 메모리나, 문자 데이터를 보유하는 ROM(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직교 좌표 위치 검출 회로(5)의 출력(X, Y)을 어드레스 입력으로 하여, 메모리의 출력을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는 제2 정보 SE로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패턴을 디스크 상에 묘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화상(문자) 신호 발생 회로(6) 내부의 메모리에는 도 5B와 같은 패턴이 기록된다. 즉, 이 화상 데이터는 컴팩트 디스크에 기록하는 문자, 화상을 구성하고, X, Y 좌표를 어드레스로 하여 이루어지는 비트맵 형식의 2치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며, 이 화상 메모리에 로드되고, 또한 스캐너 등을 이용한 화상 판독에 의해 이 화상 메모리에 세트된다.
이에 따라 광 디스크 장치(1)에서는, 이 제2 정보 SE에 따라서 레이저빔 L의 광량을 100%의 광량으로부터 85%의 광량으로 변화시키고,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국소적으로 피트 폭을 변화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에 있어서, 폭이 좁은 피트의 부분과 통상의 피트 폭에 의한 피트의 부분에서 반사율이 변화하여, 화상 데이터에 의한 문자,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피트 폭을 변화시켜 디지털 오디오 신호 SA를 기록함에 따라, 변조 회로(4)는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3)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SA를 받아, 대응하는 서브코드 데이터를 이 오디오 데이터 SA에 부가한다. 또한 변조 회로(4)는, 이 오디오 데이터 SA 및 서브 코드 데이터를 컴팩트 디스크의 포맷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하고, 변조 신호 SB를 생성한다. 즉 변조 회로(4)는 오디오 데이터 SA 및 서브 코드 데이터에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한 후에, 인터리브 처리, EFM 변조 처리한다. 이에 따라 변조 회로(4)는, 피트 형식의 기본 주기 T에 대해, 이 기본 주기 T의 정수배의 주기(주기 3T∼11T)로 신호 레벨이 변화하는 EFM 변조 신호 SB를 출력한다.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 및 7B)는 EFM 변조 신호 SB의 변화 패턴을 검출하고, 이 변화 패턴에 따라서 재생 시의 부호간 간섭을 저감하도록, EFM 변조 신호 SB의 타이밍을 보정하여, 그 타이밍 보정 결과로 이루어지는 변조 신호 S1A 및 S1B를 출력한다. 이 때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는, 광 변조기(10A)로부터 출력되는 100% 광량의 레이저빔 L에 대응하는 광 변조 신호 S1A를 출력하는 것이며, 엣지 위치 보정 회로(7B)는 광 변조기(10A)로부터 출력되는 85% 광량의 레이저빔 L에 대응하는 광 변조 신호 S1B를 출력한다.
즉 이와 같이 하여 레이저빔 L의 광량을 100%의 광량으로부터 85%의 광량으로 변화시켜 피트 폭을 변화시키면, 그 만큼 재생 신호의 신호 레벨도 변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100%의 광량 및 85%의 광량에 의한 경우에 대해, 도 8 및 도 9에 재생 신호 RF의 아이 패턴을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신호 RF의 진폭 W1 및 W2가 변화한다.
이것을 연속한 파형으로서 관찰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재생 신호를 2치화하기 위한 슬라이스 레벨 S11 및 S12가, 100%의 광량에 의한 경우와, 85%의 광량에 의한 경우가 다르게 된다. 즉 100%의 광량에 의한 부분과, 85%의 광량에 의한 부분에서 비대칭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100%의 광량에 의한 경우의 일정한 슬라이스 레벨 S11에 의해 재생 신호 RF를 2치화하면, 정확한 타이밍(즉 기본 주기 T에 동기한 타이밍)에 의해 2치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재생 클록에 큰 지터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정확하게 재생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85%의 광량에 의한 재생 신호를, 100%의 광량에 대해 설정한 슬라이스 레벨 S11에 의해 슬라이스한 경우, 예를 들면 주기 3T의 재생 신호와 같이, 재생 신호의 진폭이 작은 경우에는, 재생 신호의 신호 레벨 자체 슬라이스 레벨 S11을 통과하지 않게 되어, 이에 따라 지터가 증대할 뿐만 아니라, 2치화 신호보다 재생하는 재생 데이터에 비트 오류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이러한 비대칭 변화에 대응하여 슬라이스 레벨을 보정하는 슬라이스 레벨 자동 조정 회로를 구비하고는 있지만, 급격한 광량 변화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여, 결국 레이저빔 L의 광량을 전환한 직후의 부분에서, 매우 긴 버스트 에러가 발생된다.
이 때문에, 광 디스크 장치(1)에 있어서,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 및 7B)는, 디스크 원판(2)에 형성되는 피트 길이를 보정하여, 각각 100% 및 85%의 광량에 있어서의 재생 신호 RF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슬라이스 레벨 S1에 의해 재생 신호를 2치화하여 정확한 타이밍으로부터 2치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EFM 변조 신호 SB의 타이밍을 보정하여 이루어지는 변조 신호 S1A 및 S1B를 출력한다.
또한 이 때 각각 EFM 변조 신호 SB의 변화 패턴을 검출하고, 이 변화 패턴에 따라서, 인접 부호로부터의 부호간 간섭을 저감시키도록 변조 신호 S1A 및 S1B를 선택 출력한다.
즉 레이저빔 L의 광량이 변화하면, 피트 길이가 변화함으로써, 각 광량에 있어서의 부호간 간섭의 정도도 변화한다. 이 점으로부터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 및 7B)는 각 광량에 있어서, 부호간 간섭에 의한 재생 신호 RF의 지터가 저감하도록 EFM 변조 신호 SB의 타이밍을 보정한다.
데이터 셀렉터(8)는 화상(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정보 SE에 기초하여 레이저빔 L의 광량의 전환에 연동하여 대응하는 변조 신호 S1A 및 S1B를 선택 출력한다.
도 6은,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엣지 위치 보정 회로(7B)는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 및 하강 엣지 보정 회로(60B)에 저장하는 보정 데이터가 다를 뿐,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에 있어서, PLL 회로(61)는 EFM 변조 신호 SB로부터 채널 클록 CK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변조 신호 SB에 있어서는, 기본 주기 T의 정수배의 주기로 신호 레벨이 변화함으로써, PLL 회로(61)는 이 변조 신호 SB에 동기한 기본 주기 T에 의해 신호 레벨이 변화하는 채널 클록 CK를 생성하여,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 및 하강 엣지 보정 회로(60B)에 공급한다.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록 CK에서 동작하는 13개의 래치 회로(70A∼70M)를 직렬로 접속하고, 이 직렬 회로에 EFM 변조 신호 SB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는 EFM 변조 신호 SB를 채널 클록 CK의 타이밍으로부터 샘플링하고, 연속하는 13점의 샘플링 결과에 의해 EFM 변조 신호 SB의 변화 패턴을 검출한다. 즉, 예를 들면「0001111000001」의 래치 출력이 얻어진 경우, 길이 5T의 스페이스에 계속해서 길이 4T의 피트가 연속하는 변화 패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0011111000001」의 래치 출력이 얻어진 경우, 길이 5T의 스페이스에 계속해서 길이 5T의 피트가 연속하는 변화 패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보정치 테이블(71)은, 복수의 보정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로 형성되고, 래치 회로(70A∼70M)의 래치 출력이 어드레스의 하위 13비트로서 입력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의 상위 3비트로 하여,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단 신호 SF가 입력된다. 계단 신호 SF는 현재 기록을 행하고 있는 레이저의 광 전력을 반영하고 있다. 즉 보정치 테이블(71)은 변조 신호 SB의 변화 패턴 및 기록 전력의 변화의 양방에 대응하는 보정치 데이터 DF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이저 출력을 계단형으로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계단 신호 SF는 전부 0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 72)는 직렬 접속된 13개의 래치 회로 중, 중앙의 래치 회로(70G)로부터 래치 출력을 받아, 이 래치 출력의 상승의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기간 동안(주기 3T보다 충분히 짧은 기간), 신호 레벨이 상승하는 상승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지연 회로(74)는, 15단의 탭 출력을 지니고, 각 탭 사이의 지연 시간 차가 이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에 있어서의 변조 신호의 타이밍 보정의 분해능으로 설정된다. 지연 회로(74)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2)로부터 출력되는 상승 펄스 신호를 순차 지연시켜 각 탭으로부터 출력한다. 셀렉터(73)는, 보정치 데이터 DF에 따라서 지연 회로(74)의 탭 출력을 선택 출력하고, 이에 따라 보정치 데이터 DF에 따라서 지연 시간이 변화하여 이루어지는 상승 펄스 신호 SS를 선택 출력한다.
즉,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는, EFM 변조 신호 SB의 신호 레벨의 상승에 대응하여 신호 레벨이 상승하고, 또한 EFM 변조 신호 SB에 대한 각 상승 엣지의 지연 시간 Δr(3, 3), Δr(4, 3), Δ(3, 4), Δr(5, 3), …가, EFM 변조 신호 SB의 변화 패턴 및 기록 중의 레이저 전력에 따라서 변화하는 도 12의 (d)에 도시한 상승 엣지 신호 SS를 생성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변조 신호 SB의 변화 패턴을, 클록(즉 채널 클록으로 이루어진다) CK1 주기를 단위로 한 피트 길이 p와, 피트 간격 b로 나타내며, 상승 엣지에 대한 지연 시간을 Δr(p, b)에 의해 나타낸다. 따라서 도 12의 (d)에 있어서, 2번째로 기술된 지연 시간 Δr(4, 3)는 길이 4클록의 피트 전에, 3클록의 블랭크가 있는 경우의 지연 시간이다. 이에 따라 보정치 테이블에는, 이들 p 및 b의 모든 조합에 대응하는 보정치 데이터 DF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는 기본 주기 T를 단위로 한 주기 12T의 범위에 대해, 광 디스크에 형성되는 피트의 패턴, 및 기록 중의 레이저 전력을 검출한다. 그리고 기록 패턴 및 기록 중의 레이저빔에 따라서 상승 엣지 신호 SS를 생성하게 된다.
하강 엣지 보정 회로(60B)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2)가 래치 출력의 하강 엣지를 기준으로 하여 동작하는 점과, 보정치 테이블(71)의 내용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강 엣지 보정 회로(60B)는 EFM 변조 신호 SB의 신호 레벨 하강에 대응하여 신호 레벨이 하강하고, 또한 EFM 변조 신호 SB에 대한 각 하강 엣지의 지연 시간 Δf(3, 3), Δf(4, 4), Δf(3, 3), Δf(5, 4), …가, EFM 변조 신호 SB의 변화 패턴 및 기록 중의 레이저 전력에 따라서 변화하는 도 12의 (c)에 도시한 하강 엣지 신호 SR을 생성한다. 또한, 상승 엣지에 대한 지연 시간과 마찬가지로, 피트 길이 p와, 피트 간격 b로부터 나타내며, 하강 엣지에 대한 지연 시간을 Δf (p, b)에 의해 나타낸다.
즉, 하강 엣지 보정 회로(60B)에서도, 기본 주기 T를 단위로 한 주기 12T의 범위에 대해, 광 디스크에 형성되는 피트의 패턴 및 기록 중의 레이저 전력을 검출하고, 이 패턴 및 전력에 따라서 레이저빔의 조사 종료의 타이밍으로 이루어지는 변조 신호 SB의 하강 엣지의 타이밍을 보정하여, 하강 엣지 신호 SR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6에 도시한 플립플롭(F/F: 62)은, 상술한 상승 엣지 신호 SS 및 하강 엣지 신호 SR을 합성하여 출력한다. 즉 플립플롭(62)은, 상승 엣지 신호 SS 및 하강 엣지 신호 SR을 각각 세트 단자 S, 리세트 단자 R에 입력하고, 이에 따라 상승 엣지 신호 SS의 신호 레벨의 상승 신호 레벨이 상승한 후, 하강 엣지 신호 SR의 신호 레벨의 상승 신호 레벨이 하강하는 변조 신호 S1A(S1B)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EFM 변조 신호 SB에 있어서는, 상승 엣지 및 상승 또한 엣지의 타이밍의 전후의 피트의 길이 및 간격에 따라서, 또한 반경 방향의 노광 위치에 따라서 보정되어 출력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디스크 원판(2)에 대해 레이저빔 L을 조사하는 타이밍도, 전후의 피트의 길이 및 간격, 반경 방향의 노광 위치에 대응하여 보정된다.
이에 따라 광 디스크 장치(1)에서는, 재생 시, 부호간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지터를 저감하도록, 각 피트의 전방 엣지 및 후방 엣지의 위치를 보정한다. 또한, 각각 레이저빔 L의 광량에 대응한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 및 7B)에 의해, 전방 엣지 및 후방 엣지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레이저빔 L의 광량을 하강시킨 경우에도, 재생 신호를 일정한 슬라이스 레벨에 의해 2치화하여, 피트 길이에 의해 기록한 오디오 데이터 SA를 확실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각 피트의 전방 엣지 및 후방 엣지의 위치를 보정한다.
즉, 레이저빔 L의 광량이 100%인 경우에는,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신호 S1A에 의해 전방 엣지 및 후방 엣지의 위치를 보정하고, 이에 따라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에 의해 정확하게 2치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레이저빔 L의 광량이 85%인 경우에는, 엣지 위치 보정 회로(7B)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신호 S1B에 의해 전방 엣지 및 후방 엣지의 위치를 보정하고, 100%의 경우와 동일한 슬라이스 레벨에 의해 정확하게 2치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극 좌표에 의한 레이저빔 조사 위치의 위치 정보를 직교 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이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레이저빔의 광량을 변화시킴으로써,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면에, 문자, 화상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간이하게 기록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정보 SE는 계단 파형 발생 회로(130)에 입력된다. 계단 파형 발생 회로(130)에서는, 제2 정보 SE의 변화를 검출하고, 시간과 함께 단계적으로 그 출력치가 변화하는 3비트의 계단 신호 SF를 제작한다. 계단 신호 SF는 전압 변환 회로(132)에 의해 계단형의 전압을 갖는 신호 SX로 변환되고, 광 변조기(10A)에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계단 신호 SF는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에도 입력된다.
광 변조기(10A)는 문자나 도형의 정보 SE에 따라서 계단형으로 그 전압이 변화하는 계단 신호 SF에 따라서, 레이저빔 L1의 출력을 변화시킨다. 즉, 제2 정보 SE가 장시간 레벨 1을 유지하고 있던 경우에는, 레이저빔 L2의 출력이 100%가 되도록 레이저빔 L1을 통과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제2 정보 SE가 장시간 레벨 0을 유지하고 있던 경우에는, 레이저빔 L2의 출력이 85%가 되도록 레이저빔 L1을 감쇠시켜 통과시킨다. 제2 정보 SE가 레벨 0으로부터 레벨 1로 천이한 경우에는 레이저빔 L1을, 85%의 전력으로부터 100%의 전력으로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간다. 마찬가지로, 제2 정보 SE가 레벨 1로부터 레벨 0으로 천이한 경우에는, 레이저빔 L1을 100%의 전력으로부터 85%의 전력으로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간다.
광 변조기(10A)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계단 파형 발생 회로(130)의 출력 SF에 추종함으로써, 광 출력이 100%와 85% 사이에서 변동하는 레이저빔 L2를 출력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레이저빔 L2는 광 변조기(10B)에 의해 온-오프된다. 즉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로부터의 신호 SC가 레벨 1일 때에는 레이저빔 L3은 온으로 되고, 반대로 신호 SC가 레벨 0일 때에는 레이저빔 L3은 오프 상태가 된다.
미러(11)는, 이 레이저빔 L3의 광로를 절곡시켜 디스크 원판(2)을 향하여 사출하고, 대물 렌즈(12)는, 이 미러(11)의 반사광을 디스크 원판(2)에 집광한다. 이들 미러(11) 및 대물 렌즈(12)는 도시하지 않은 쓰레드 기구에 의해, 디스크 원판(2)의 회전에 동기하여 디스크 원판(2)의 외주 방향으로 순차 이동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빔 L3에 의한 노광 위치를 순차 디스크 원판(2)의 외주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에 따라 이 광 디스크 기록 장치(1)에서는, 디스크 원판(2)을 회전 구동한 상태에서, 미러(11) 및 대물 렌즈(12)의 이동에 의해 나선형으로 트랙을 형성하고, 이 트랙에 변조 신호 SC 및 문자나 도형의 제2 정보 SE에 대응하여 순차 피트를 형성한다.
변조 회로(4)는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3)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SA를 받아, 대응하는 서브 코드 데이터를 이 오디오 데이터 SA에 부가한다. 또한 변조 회로(4)는, 이 오디오 데이터 SA 및 서브 코드 데이터를 컴팩트 디스크의 포맷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하고, 변조 신호 SB를 생성한다. 즉 변조 회로(4)는, 오디오 데이터 SA 및 서브 코드 데이터에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한 후, 인터리브 처리, EFM 변조 처리한다. 이에 따라 변조 회로(4)는 피트 형성의 기본 주기 T에 대해, 이 기본 주기 T의 정수배의 주기(주기 3T∼11T)로 신호 레벨이 변화하는 EFM 변조 신호 SB를 출력한다.
종래 이용되고 있던 광 디스크 기록 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망 FM 변조 신호 SB가 그대로 광 변조기(10B)에 보내지고, 레이저(9)로부터 얻어지는 광선을 온-오프하여 광 디스크 원판(2) 상에 노광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제작된 디스크에 있어서는, 기록 신호의 패턴에 의해 재생 신호의 상태가 변화하고, 지터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종래의 광 디스크 기록 장치에서 기록된 디스크에서는, 3T 신호에 상당하는 최소 사이즈의 피트가, 언제나 이상적인 크기보다도 작아져서 기록되는 현상이 관측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3T 신호에 대응하는 피트로부터의 신호를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로 2치화한 후에 관측하면, 펄스 폭이 3T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관측되고, 지터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기록 레이저의 전력이 변동하면, 재생 신호에 있어서의 최적 2치화 레벨도 변동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는 제2 정보 SE에 따라서 레이저 전력을 100%와 85%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에는, 레이저 전력에 따라서 플레이어가 2치화 레벨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2치화 레벨의 변동이 어떠한 원인으로 잘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종래의 방식에서는 에러가 발생되어, 이러한 기록 방식은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변조 회로(4)의 출력 신호 SB가,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로 보내진다.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에 있어서는, EFM 변조 신호 SB의 변화 패턴의 검출이 행해진다. 동시에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에는 계단 신호 SF가 보내진다. 따라서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는 기록 중의 EFM 신호 SB의 변화 패턴 및 기록 중의 레이저 전력 양쪽의 정보에 따라서, 엣지 위치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2종류의 정보 모두에 따라서, 엣지 위치의 미세 조정을 행한 변조 신호 SC를 출력한다. 즉,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에서는 출력 신호 SC의 변화 타이밍이, 기록 중의 레이저 전력(85%로부터 100%까지의 값) 및 기록 중의 EFM 신호 SB의 변화 패턴(피트 길이 및 스페이스 길이가 3T로부터 11T까지의 범위에서 변화한다)의 양방에 따라서, 미묘하게 조정되고, 항상 지터가 최량이 되는 변조 신호 SC로서 출력된다. 또한,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의 구성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를 통과한 변조 신호 SC를 계단 신호 SF로 나타내는 소정의 레이저 전력으로 기록하고, 그 결과 얻어진 디스크를 재생한 경우, 재생 신호를 소정의 2치화 레벨 VL에서 2치화하면 지터가 포함되지 않은 신호가 얻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계단 신호 SF는 제2 정보 SE로부터 제작된 신호이다. 제2 정보 SE는, 디스크 상에 기록된 것을 눈으로 확인하여 관측한 경우, 문자나 도형을 형성하는 신호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기록된 디스크에서는, 제2 정보 SE에 따라서 피트의 폭이 변화하고, 이 결과 문자나 도형의 정보를, 디스크면을 눈으로 확인하여 관찰함으로써 관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이저 전력의 변화가 천천히 행해지고, 또한 변화 중의 레이저 전력에 대응하여 항상 적절한 보정이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에 의해 실시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재생 장치에 있어서도 지터의 악화가 없이 재생 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레이저 전력의 변화를 종래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결과 종래보다도 명료하게 눈으로 확인하여 관측할 수 있는 문자나 도형의 정보를 디스크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모든 기록 레이저 전력에 있어서, 항상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에 의한 보정이 행해지고 있으므로, 패턴마다 피트의 완성된 상태가 미묘하게 다르다고 하는 문제점이 제거되어, 재생 신호의 지터가 종합적으로 저하된 디스크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된 패턴마다 엣지 위치를 조정하기 때문에, 패턴에 의존한 지터, 즉 부호간 간섭에 의한 지터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의 출력 신호 SC에 의해, 출력 레벨이 100%로부터 85% 사이에서 변화하는 레이저빔 L2는 광 변조기(10B)에 의해서 온-오프 제어되고, 레이저빔 L3으로서 광 디스크 원판(2)에 조사되는 바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 신호 발생 회로(6) 내부의 ROM에는, 묘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직교 좌표계를 사용하여 2치화하여 기록해 놓는다. 이 ROM에 기록된 정보는, 좌표계가 직교 좌표 위치 검출 회로(5)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환되어 입력되므로, 그대로 판독되어 순차 기록 레이저 전력의 변화로서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간다. 단, 문자 신호 발생 회로(6)의 출력이 레벨 0으로부터 레벨 1로, 혹은 레벨 1로부터 레벨 0으로 변화한 경우에는, 그 변화를 완만하게 하도록 계단 파형 발생 회로(130)가 계단형의 파형 SF를 생성한다.
도 14는 이러한 계단 파형 발생 회로(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제2 정보 SE의 레벨 0으로부터 레벨 1로의 변화는 상승 엣지 검출 회로(140)에 의해 검출되고, 일정 시간 동안 레벨이 1로 되어 있는 신호 UP으로서 업다운 카운터(142)에 공급된다. 업다운 카운터(142)는, 업 신호 입력 UP이 레벨 1의 사이, 기준 발진기(143)로부터의 기준 클록 FK를 카운트하여 출력치 SF를 카운트업시켜 가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2 정보 SE가 레벨 1로부터 레벨 0으로 변화한 경우에는 하강 엣지 검출 회로(141)에 의해 검출되고, 일정 시간 동안 레벨이 1로 되어 있는 신호 DN으로서 업다운 카운터(142)에 공급된다. 업다운 카운터(142)는, 다운 신호 DN이 레벨 1의 사이, 기준 발진기(143)로부터의 기준 클록 FK를 카운트하여 출력치 SF를 카운트다운시켜 가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하는 상승 엣지 검출 회로(140) 및 하강 엣지 검출 회로(141)는, 예를 들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의 계단 파형 발생 회로(130)의 동작예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 전반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정보 SE의 상승 엣지가 발생하면,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간 T의 동안에만 레벨 1이 되는 펄스 UP가 상승 엣지 검출 회로(140)로부터 출력된다. 업다운 카운터(142)는 도 1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준 클록 FK의 주기로 카운트업을 행하여, 그 카운트치 SF를 0으로부터 7까지 순차 증대시켜 간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업다운 카운터(142)는, 그 카운트치가 7이 되면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 이상의 카운트업을 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15의 (a) 후반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정보 SE의 하강 엣지가 발생한 경우에는,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 DN이 하강 엣지 검출 회로(141)로부터 출력된다. 이 경우에는, 업다운 카운터(142)는 도 1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준 클록 FK의 주기로 카운트다운을 행하고, 그 카운트치 SF를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7로부터 0까지 순차 감소시켜 간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업다운 카운터(142)는, 그 카운트치가 0이 되면 언더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 이상의 카운트다운을 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은 본 실시예의 제2 정보의 피트 폭의 천이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계단 파형 발생 회로(130)의 출력 SF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광 디스크 원판(2) 상에 도 16에 도시한 제2 정보에 따라서 폭이 변화하는 피트 열이 형성된다. 도 16 중, 피트 P1∼P7 중의 숫자는 피트 폭의 크기의 단계 레벨을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피트 P1, P2는 최소 피트 폭「1」이고, 피트 P3은 보다 큰 피트 폭「2」, 피트 P4는 보다 큰 피트 폭「3」, 피트 P5는 보다 큰 피트 폭「4」, 그리고 피트 P6, P7은 최대 피트 폭「5」이다. 여기서, 피트 P2의 종단∼피트 P6의 선단이 제2 정보의 피트 폭의 단계적 변화의 천이 영역 W가 된다. 이 때, 천이 영역 W는 소정 범위(예를 들면, W<1.0㎜)에서 컴팩트 디스크 상에 제2 정보로서 기록된 문자, 화상의 기록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다. 천이 영역이 너무나 긴 상태(W> 1.0㎜)에서는,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된 제2 정보가 불명확하고, 눈으로 확인하여 광 디스크의 표면을 관찰한 경우에, 제2 정보로서 기록된 화상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천이 영역을 매우 짧게 한 경우(W<0.1㎜)에는, 천이 영역의 효과가 적어진다. 그래서, 천이 영역의 길이에서는, 「0.1㎜<W<1㎜」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출원인의 실험에 따르면, 최량의 천이 영역은, Wo=0.5㎜의 경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천이 영역이 되도록, 계단 파형 발생 회로(130)의 출력 SF가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업다운 카운터(142)의 출력에는, 제2 정보 SE의 변화에 따라 그 값이 0으로부터 7까지 순차 변화하는 바와 같은 계단 신호 SF가 얻어진다. 이러한 계단 신호 SF는, 도 17에 그 구성을 나타내는 전압 변환 회로(132)에 의해, 광 변조기(10A)를 제어하는 아날로그 전압 SX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된 신호 SX는, 예를 들면 도 1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정보 SE의 변화점 부근에서, 조금씩 그 값을 변화시키는 계단형의 파형이 된다.
도 17에 그 구성을 나타내는 전압 변환 회로(15)에서는, 계단 신호 SF가 ROM(Read Only Memory: 170)의 어드레스 신호로서 접속되어 있다. ROM(170)의 내부에는, 미리 레이저의 기록 전력이 0으로부터 7까지의 계단 신호 SF에 대응하여 어떠한 값을 취해야 될지가 계산되어 기록되어 있다. 가장 간단한 예로서 본 실시예의 전반에서 진술한 레이저 전력을 100%로부터 85%로 변화하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계단 신호 SF의 값이 7인 경우에는 100%의 레이저 전력이 기대되기 때문에, 어드레스 7에 대응하여 수치 100이 기록된다. 그리고 계단 신호 SF가 0인 경우에 대응해서는, 85%의 레이저 전력이 기대되기 때문에, 수치 85가 기록된다. 그리고 계단 신호 SF가 1 내지 6 사이인 경우에는, 100부터 85까지의 사이에서 비례 배분으로부터 계산된 값이 기록된다.
물론, 이상의 예는 ROM(170)의 출력이 100인 경우에 100%의 전력이 출력된다고 간단하게 가정한 경우를 말한다. 실제로는 D/A 변환기(171)의 변환 이득이나, 광 변조기(10A)의 변환 효율 등을 고려하여 ROM(170)에 기록하는 값을 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레이저의 출력 전력과, 광 변조기(10A)에의 입력 전압과는 직선 관계가 아닌 경우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적절하게 변경한 값을 ROM(170)에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ROM(170)으로부터 판독된 레이저의 출력치는, D/A 변환기(171)에 의해 아날로그의 전압치 SX로서 변환되고, 광 변조기(10A)에 공급되어 레이저(9)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레이저 광선 L2는, 그 출력 전력의 변화가 계단 신호 SF에 따라서 서서히 단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변화로 되어 있다(도 15의 (d) 참조).
또한, 엣지 위치 보정 회로(131) 내부에 놓여진 보정치 테이블(71)에는, 상위 어드레스로서 입력된 계단 신호 SF의 값에 따라서, 미리 보정치가 기록되어 있다.
이 보정치 테이블은 8단계의 기록 전력의 전부에 대해 평가용의 광 디스크를 제작하고, 재생 신호로부터 보정치 테이블을 직접 계산함으로써 미리 계산된다. 또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예를 들면 평가용의 광 디스크는 2종류의 다른 기록 전력만으로 하고, 그 밖의 기록 전력의 보정치 테이블은 보간 혹은 외삽 등의 수학적 연산에 의해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변조 회로(4)는 제1 정보 SA에 따라서 변화하는 변조 신호 SB를 생성하는 변조 신호 제작 수단을 구성하고, 계단 파형 발생 회로(130)는 제2 정보 SE에 따라서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변화 신호 SF를 제작하는 시간 변화 신호 작성 수단을 구성하고, 광 변조기(10A)는 시간 변화 신호 SF에 따라서 레이저의 광량을 변화시키는 광량 변화 수단을 구성하고, 광 변조기(10B)는 광량 변화 수단(10A)에 의해 얻어지는 레이저광 L1을 변조 신호 SB에 따라서 온-오프하는 광 변조 수단을 각각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장치는, 제1 정보에 따라서 변화하는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 신호 제작 수단과, 제2 정보에 따라서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변화 신호를 제작하는 시간 변화 신호 작성 수단과, 상기 시간 변화 신호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의 광량을 변화시키는 광량 변화 수단과, 상기 광량 변화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레이저광을 상기 변조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하는 광 변조 수단으로 구성되고, 제2 정보에 의한 레이저 광량의 변화가 완만하게 행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음악이나 비디오 등의 정보(제1 정보) 외에,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지 않은 제2 정보도, 동일한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해 제작된 광 디스크는, 제2 정보의 변화점 부근에서 재생 신호의 특성이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고, 안정된 재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장치의 변조 신호 제작 수단은, 제1 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기본 주기의 정수배의 주기로 신호 레벨을 전환함으로써, 제1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변조 신호 제작 수단과, 상기 제1 변조 신호의 변화 패턴을 검출하는 변화 패턴 검출 수단과, 상기 시간 변화 신호 및 상기 변화 패턴의 양쪽에 따라서 상기 제1 변조 신호의 변화 타이밍을 보정하고, 제2 변조 신호를 제작하는 타이밍 보정 수단으로 구성되고, 레이저 광량의 변화와 기록 신호의 변화 패턴의 양방에 따라서 기록 신호의 변화 타이밍을 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장치에서 기록된 광 디스크는, 그 신호 특성이 매우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제2 정보를 기록하는 광 출력의 변화량을 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결과적으로 명료한 제2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방법에서는, 제1 정보를 주로 상기 레이저빔을 온-오프시킴으로써 기록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주로 상기 레이저빔의 광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기록하여, 상기 레이저빔의 광 강도 변화가 시간적으로 완만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레이저빔을 온-오프시키는 타이밍은,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레이저빔의 광 강도의 양방에 따라서 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방법은, 예를 들면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음악이나 비디오 등의 정보(제1 정보) 외에,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지 않은 제2 정보를 동일한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2 정보를 기록하는 광 출력의 변화량을 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결과적으로 명료한 제2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매체는, 제1 정보는 주로 피트의 길이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기록되어 있고, 제2 정보는 주로 피트의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제2 정보에 의한 피트 폭의 변화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피트의 길이 및 위치는, 피트로서 기록된 신호 패턴 및 피트의 폭에 의해 미세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음악이나 비디오 등의 정보(제1 정보) 외에,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지 않은 제2 정보를 기록한 매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정보로서 디스크의 신호부에 문자나 도형 등의 눈으로 확인 가능한 도형 정보를 기록하면, 부가 가치를 높인 디스크를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의 도형 정보는, 종래 방법에 비교하여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제3 실시예]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하겠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에서, 도 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변조 회로(180)는 EFM 변조 신호 SB와 제2 정보 SE를 입력으로 하고, EFM 신호로서 기록되는 기록 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제2 정보 SE를 EFM 신호 SB에 중첩하여, 신호 SD를 출력시킨다.
이러한 제2 변조 회로(18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실현된다. 여기서 PLL 회로(190)는 EFM 신호 SB의 최소 변화 단위마다 변화하는 채널 클록 CK를 재생시켜, 신호 중첩 회로(191) 및 타이밍 보정 회로(192)로 공급한다. 신호 중첩 회로(191)에서는, 제2 정보 SE가 논리 0인 경우에는, 입력된 EFM 신호 SB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그대로 신호 SC로서 출력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제2 정보 SE가 논리 1인 경우에는, 입력된 EFM 신호의 신호 패턴으로 형성되는 피트의 길이를 조사하고, 형성되는 피트의 길이가 9T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본래 1개의 피트로서 기록되는 신호를, 2개의 피트와 1개의 스페이스로 치환하도록 변환하여 신호 SC로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제2 정보 SE가 중첩된 신호 SC는, 타이밍 보정 회로(192)로 보내져, 재생 신호의 품질을 향상(지터의 저감)시키도록 신호의 변화 타이밍이 미세 조정되어, 신호 SD로서 출력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정보 SE는 광 변조기(10A)에 의해 레이저 광선 L2의 광량 변화로서 디스크 원판(2) 상에 기록된다. 동시에 제2 정보 SE에 따라 제2 변조 회로(180)가 신호를 변환하고, 이 신호에 따라 광 변조기(10B)가 레이저 광선을 온-오프함으로써 디스크 원판(2) 상에 기록이 행해진다. 즉 제2 정보 SE에 따라 2중으로 신호가 변조되어 디스크 원판(2) 상에 기록되므로, 종래의 방법보다도 높은 콘트라스트로 제2 정보 SE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타이밍 보정 회로(192)에 의해 기록 신호의 변화 타이밍이 보정되므로, 지터가 적고, 양호한 디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신호의 변환을 행하는 신호 중첩 회로(191)의 구성을 도 20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EFM 신호 SB는, 채널 클록 CK로 동작하고, 직렬로 접속된 13개의 래치 회로(200A∼200M)로 입력된다. 13개의 래치 회로(200A∼200M)에 의 해, EFM 신호 SB를 채널 클록 CK의 타이밍에 의해 샘플링하고, 연속하는 13점의 샘플링 결과로부터, EFM 신호 SB의 변화 패턴을 검출한다. 즉, 예를 들면 「0011111111100」의 래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경우, 길이 9T의 피트가 형성되는 패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AND 게이트(201∼203)는, 13개의 래치 회로(200A∼200M)의 출력으로부터 9T 이상의 길이의 피트를 검출한다. 즉 AND 게이트(201)는, 13개의 래치 회로(200A∼200M)의 출력이 「0011111111100」인 경우에 논리 『1』을 출력함으로써 길이 9T의 피트가 기록되는 것을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함으로써 AND 게이트(202)는, 13개의 래치 회로(200A∼200M)의 출력이「0111111111100」인 경우에 논리 『1』을 출력함으로써, 길이 10T의 피트가 기록되는 것을 검출한다. 또한 AND 게이트(203)는, 13개의 래치 회로(200A∼200M)의 출력이 「0111111111110」인 경우에 논리 『1』을 출력함으로써, 길이 11T의 피트가 기록되는 것을 검출한다.
OR 게이트(204)의 출력 신호 MD는, AND 게이트(201, 202 및 203)의 출력의 논리 OR을 연산함으로써, 길이 9T, 10T, 11T의 임의의 피트가 기록될 때에 논리『1』이 된 신호 MD를 출력한다.
또한, 래치 회로(200F)의 출력에는, EFM 신호 SB가 7클록만큼 지연되어 나타난다.
그래서, 예를 들면 9T의 길이의 피트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래치 회로(200F)의 출력이 9T 피트의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9T 피트 신호의 거의 중앙 부분에서 신호 MD가 논리 『1』이 된다.
NAND 게이트(205)는, 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부터의 제2 정보 SE와, OR 게이트(204)로부터의 9T 이상의 피트 검출 신호 MD와의 논리곱을 연산한 후, 논리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즉 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부터의 제2 정보 SE가 논리 『0』인 경우에는 NAND 게이트(205)의 출력은 항상 논리 『1』이 된다. AND 게이트(206)는, NAND 게이트(205)와 래치 회로(200F)의 출력과의 논리곱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부터의 제2 정보 SE가 논리 『0』인 경우에는, AND 게이트(206)의 출력으로는 래치 회로(200F)의 출력이 그대로 나타난다.
즉, 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부터의 제2 정보 SE가 논리 『0』인 경우에는, AND 게이트(206)의 출력은 단순히 입력 EFM 신호 SB가 지연되게 된다.
한편, 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부터의 제2 정보 SE가 논리 『1』인 경우에는, AND 게이트(206)의 출력은, 9T 이상의 피트 검출 신호 MD가 논리 『1』인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논리 『0』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9T 이상의 피트가 검출된 경우에는 그 중앙부가 0이 된 신호로 변환된다.
래치 회로(207)는, AND 게이트(206)의 출력을 채널 클록 CK 단위로 래치함으로써 파형 성형하여, 출력 신호 SC로서 타이밍 보정 회로(192)로 송출한다. 이 결과, 예를 들면 도 21의 (a)에 도시된 길이 9T의 펄스는, 도 2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길이 4T의 펄스 2개와, 그 중앙 부분에 1T의 블랭크로 변경되고 기록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길이 10T의 펄스는 길이 5T의 펄스와, 1T의 블랭크와, 길이 4T의 펄스로 변경되고 기록된다. 이러한 펄스에 따라 피트가 기록되면, 예를 들면 도 21의 (b)와 도 2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펄스에 따른 피트가 기록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도 21의 (c)와 도 21의 (f)는, 예상되는 재생 신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피트 2개와, 그 중앙 부분에 1T의 블랭크로서 기록된 피트 열은, 통상의 픽업으로 판독한 경우 도 21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생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재생 신호는, 통상의 임계치 레벨 ST와 대소 비교되어 2치화된다. 이 때, 임계치 레벨 ST를 교차하는 타이밍은, 도 21의 (c)와 전혀 다름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상 진술한 방법에 따라, 9T 이상의 피트를 2분할하여 기록해도, 지터를 악화시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EFM 신호 SB로서 기록된 정보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트를 2분할하는 실험을 행하고, 실제로 얻어진 재생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예상대로, 임계치 레벨 부근에서는, 신호에 대해 전혀 영향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9T 이상의 피트를 2분할함으로써, 제2 정보 SE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록된 피트 열을 비교하면, (예를 들면 도 21의 (b)와 도 21의 (e)를 비교하면), 9T 이상의 피트를 2분할한 경우에는, 피트의 통합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정보 SE가 디스크 상이 있는 영역에서 다른 영역과는 다른 값으로 설정되고, 위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피트가 기록되면, 그와 같은 영역은, 피트의 통합 면적이 다른 영역과는 다르게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디스크를 사람이 눈으로 확인하여 관찰한 경우, 피트의 통합 면적에 비례한 광량이 관측된다. 따라서, 눈으로 확인하여 관찰하는 사람에게는, 제2 정보 SE에 따라, 디스크면 상의 특정한 영역만이 다른 색을 갖는 것처럼 관측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EFM 신호 SB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디스크면 상에 문자나 문양 등의 모양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술된 방법으로는, 기록 레이저 광선 L2의 강도가, 미리 제2 정보 SE에 따라 변조되고 있다. 즉,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제2 정보 SE가 논리 『1』인 경우에는, 레이저 광선 L2의 강도가 85%까지 저하되고, 또한 제2 정보 SE가 논리 『0』인 경우에는, 레이저 광선 L2의 강도는, 100% 상태이다. 여기서,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피트의 폭은, 레이저 광선의 강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제2 정보 SE가 논리 『1』인 경우에는, 레이저 광선의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피트의 폭이 좁아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정보 SE가 논리 『1』인 경우에는 9T 이상의 피트는 2분할된다. 이들 2개의 효과가 양쪽 모두에 피트의 통합 면적을 저하시키도록 작용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에 기록된 제2 정보 SE는, 종래의 방법보다도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식의 피트의 모양을 모식도로 나타내어 도 23에 도시하였다. 제2 정보 SE가 논리 『0』인 경우에는, 피트의 분할도 행해지지 않고, 기록 레이저의 출력도 100%이므로, 통상대로 피트 열(도 23A)이 기록된다. 그런데 제2 정보 SE가 논리 『0』인 경우에는, 9T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피트가 2분할되고, 또한 기록 레이저의 출력이 85%까지 저하되므로, 상대적으로 피트의 폭이 감소한다. 즉, 도 23A인 경우의 피트 폭(W1)은, 도 23B의 경우의 피트 폭(W2)보다도 넓어지고 있다. 또한, 도 23B와 같이 기록 피트를 2개로 구획하여 완전히 2분할로 하지 않아도,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기록 피트의 중앙에 오목부를 갖도록 하여 광 디스크 상에 제2 정보를 기록해도 문자, 화상의 정보를 충분히 눈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2개의 기록 피트의 중앙을 볼록부를 갖도록 함으로써 광 디스크 상에 제2 정보를 기록해도 마찬가지로 문자, 화상의 정보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2개의 기록 피트 사이를 기록 피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폭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트 폭의 변화가 행해진 경우, 재생 신호에 지터를 발생시킬 가능성도 있다. 또한, 광 디스크로부터의 재생 신호에는, 전후에 기록된 패턴으로부터의 부호간 간섭이 있고, 이 때문에 지터를 생기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문제를 해결하고, 더욱 고품질의 디스크를 제작하기 위해, 신호 중첩 회로(191)로부터 얻어진 신호를 타이밍 보정 회로(192)로 보내고, 기록 신호의 변화점의 위치를 보정한 신호 SD를 작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신호 SD에 따라, 광 변조기(10B)가 레이저빔 L2를 온-오프함으로써,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와, 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부터 얻어지는 제2 정보 SE의 양방을 디스크 표면에 기록한다.
타이밍 보정 회로(192)에서는, 신호 SC의 변화 패턴의 검출이 행해진다. 동시에 타이밍 보정 회로(192)에는, 제2 정보 SE가 보내진다. 따라서 타이밍 보정 회로(192)는 기록 중의 신호 SC의 변화 패턴 및 기록 중의 레이저 전력의 양방의 정보에 따라, 타이밍 보정을 행할 수 있다.
타이밍 보정 회로(192)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2종류의 정보의 양 방에 따라, 엣지 위치의 미세 조정을 행한 변조 신호 SD를 출력한다. 즉, 타이밍 보정 회로(192)에서는 출력 신호 SD의 변화 타이밍이, 기록 중의 레이저 전력(85% 또는 100%의 값) 및 기록 중의 신호 SC의 변화 패턴(피트 길이 및 스페이스 길이가 변화함)의 양방에 따라, 미묘하게 조정되고, 항상 지터가 최량이 되는 변조 신호 SD로서 출력된다. 또, 타이밍 보정 회로(192)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엣지 위치 보정 회로(7)와 동일하다.
즉, 타이밍 보정 회로(192)를 통과한 변조 신호 SD를 제2 정보 SE로 정해지는 소정의 레이저 전력으로 기록하고, 그 결과 얻어진 디스크를 재생시킨 경우, 재생 신호를 소정의 2치화 레벨로 2치화하면 지터가 포함되지 않은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모든 기록 레이저 전력에서, 항상 타이밍 보정 회로(192)에 의한 보정이 행해지므로, 패턴마다 피트의 상태가 미묘하게 다르다는 문제점이 제거되어, 재생 신호의 지터가 종합적으로 저하된 디스크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된 패턴마다 엣지 위치를 조정하므로, 패턴에 의존한 지터, 즉 부호간 간섭에 따른 지터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타이밍 보정 회로(192)로 공급된 변조 신호 SC 및 제2 정보 SE는, 도 6에 도시된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 및 하강 엣지 보정 회로(60B)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신호 SD에서는, 상승 엣지 및 하강 엣지의 타이밍이 기록 패턴(피트 및 스페이스의 길이로 정해짐) 및 기록 전력에 따라 보정된 신호 SD가 되어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얻어진 타이밍 보정 회로(192)의 출력 신호 SD에 의해, 출력 레벨이 100%로부터 85% 사이에서 변화하는 레이저빔 L2는 광 변조기(10B)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고, 레이저빔 L3으로서 디스크 원판(2)에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직교 좌표 위치 검출 회로(5)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전 카운트 회로(20)의 카운트치 RX 및 트랙 카운트 회로(21)의 카운트치 TK는, 현재 기록 중인 위치를 극 좌표에서 나타낸 경우의 각도 정보와 반경 정보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들 두개의 값이 입력되는 좌표 변환 회로(22)에서는, 직교 좌표계에서의 위치 정보 X 및 Y를 계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직교 좌표계의 위치 정보 X 및 Y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변환된 후, 문자 신호 발생 회로(6)로 보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 신호 발생 회로(6) 내부의 ROM에는, 묘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직교 좌표계를 사용하여 2치화하여 기록해둔다. 이 ROM에 기록된 정보는, 좌표계가 직교 좌표 위치 검출 회로(5)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환되어 입력되므로, 그대로 판독되어 순차 기록 레이저 전력의 변화, 및 긴 피트의 분할로서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간다.
도 17에 도시된 전압 변환 회로에서는, 제2 정보 SE가 판독 전용 메모리(ROM: 170)의 어드레스 신호로서 공급되고 있다. ROM(170)의 내부에는, 미리 레이저의 기록 전력이 0 또는 1의 값을 갖는 제2 정보 SE에 대응하여, 어떠한 값을 취해야 될지가 계산되고, 그 값이 기록되어 있다. 가장 간단한 예로서 본 실시예의 전반에 진술한 레이저 전력을 100%로부터 85%로 변화시키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2 정보 SE의 값이 0인 경우에는 100%의 레이저 전력이 기대되므로, 어드레스(0)에 대응해서는 수치 100이 기록된다. 그리고 제2 정보 SE가 1인 경우에 대응해서는, 85%의 레이저 전력이 기대되므로, 수치 85가 기록된다.
물론, 이상의 예는 ROM(170)의 출력이 100인 경우에 100%의 전력이 출력된다고 간단히 가정한 경우의 이야기이다. 실제로는 D/A 변환기(171)의 변환 이득이나, 광 변조기(10A)의 변환 효율 등을 고려하여 ROM(170)에 기록하는 값을 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레이저의 출력 전력과, 광 변조기(10A)에의 입력 전압과는 직선 관계에 없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적절하게 변경한 값을 ROM(170)에 기록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ROM(170)으로부터 판독된 레이저의 출력치는, D/A 변환기(171)에 의해 아날로그의 전압치 SX로서 변환되고, 광 변조기(10A)로 공급되어 레이저 광선 L2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전력이 2단계로 변화하도록 구성했지만, 레이저 전력의 변화가 천천히 행해지도록, 예를 들면 레이저 전력의 변화를 8단계 정도로 하여, 순서대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변화 중의 레이저 전력에 대응하여 항상 적절한 보정이 타이밍 보정 회로(192)에 의해 실시되도록, 타이밍 보정 회로(192) 내부의 보정치 데이터를 전력에 대응하여 변화하도록 보정치 테이블(71)의 상위 어드레스로서, 레이저 전력의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레이저 전력의 변화를 종래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결과 더욱 명료하게 눈으로 확인하여 관측할 수 있는 문자나 도형의 정보를 디스크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장치는, 제1 정보 SA에 따라, 소정의 기본 주기 T의 정수배의 주기로 신호 레벨을 전환함에 따라, 제1 변조 신호 SB를 생성하는 제1 변조 신호 제작 수단(변조 회로: 4)과, 픽업의 광 정보 기록 매체(디스크 원판: 2) 상에서의 상대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직교 좌표 위치 검출 회로: 5)과, 상대 위치 정보에 따라 제2 정보 SE를 생성하는 제2 정보 생성 수단(문자 신호 발생 회로: 6)과, 제2 정보 SE에 따라 변조 신호 SB의 일부분을 변경하는 제2 변조 수단(제2 변조 회로(180))과, 제2 변조 수단(8)의 출력 SD에 따라, 레이저광 L2를 변조하는 광 변조 수단(광 변조기: 10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음악이나 비디오 등의 정보(제1 정보 SA)가 기록되는 영역에,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지 않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제2 정보 SE를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 변조 수단(제2 변조 회로(180))은, 변조 신호 SB에 제2 정보 SE를 중첩하고 중첩 신호 SC를 작성하는 신호 중첩 수단(신호 중첩 회로: 191)과, 중첩 신호 SC의 타이밍을 보정하여 제2 변조 신호 SD를 작성하는 타이밍 보정 수단(타이밍 보정 회로: 192)으로 구성된다. 또한 신호 중첩 수단(191)은, 변조 신호 SB의 패턴을 검출하는 패턴 검출 수단(래치 회로(200A∼200M), AND 게이트(201∼203), OR 게이트(204))과, 패턴 검출 수단의 출력 MD와 제2 정보 SE에 따라, 소정의 시간 폭을 넘는 펄스를 2개 이상의 펄스 SC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펄스 분할 수단(NAND 게이트(205), AND 게이트(206), 래치 회로(207))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높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제2 정보 SE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보다도 양호한 신호 특성의 광 디스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방법에서는, 제1 정보 SA로부터 소정의 주기 T의 정수배의 간격으로 변화하는 제1 변조 신호 SB를 제작하고, 레이저빔의 광 정보 기록 매체(디스크 원판: 2) 상에서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고, 상대 위치에 따라 제2 정보 SE를 생성하고, 제1 변조 신호 SB에서, 얼마 동안 변화가 없는 부분을 검출하고, 제2 정보 SE에 따라 제1 변조 신호 SB 중 신호 변화가 없는 부분을 변경한 제2 변조 신호 SD를 제작하고, 제2 변조 신호 SD에 따라 레이저빔 L2를 변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방법은, 예를 들면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음악이나 비디오 등의 정보(제1 정보 SA) 외에,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지 않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제2 정보 SE를, 동일한 디스크 영역 중에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신호 변화가 없는 부분의 변경은, 소정의 길이를 넘는 기록 펄스를 2개의 펄스와 하나의 스페이스로 분할하도록 행해진다. 따라서, 명료한 제2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제1 정보 SA는 주로 피트의 길이 및 위치를 변화시킴에 따라 기록되고 있고, 제2 정보 SE는 주로 피트 중 소정의 길이를 넘는 피트가 2개로 분할 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도록 하여 기록되고 있으며, 제2 정보 SE는 광 정보 기록 매체(디스크 원판(2)) 상에서 2차원적인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음악이나 비디오 등의 정보(제1 정보 SA) 외에,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지 않은 제2 정보 SE를 기록한 매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정보 SE로서 디스크의 신호부에 문자나 도형 등의 눈으로 확인 가능한 도형 정보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부가 가치를 높인 디스크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기록 매체의 도형 정보는, 종래 방법에 비교하여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에서, 도 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장치는, EFM 신호 SB를 처리하고, 그리고 마스터링 머신에의 제어 신호 S3을 출력함으로써, EFM 신호 SB와, 워터마크나 화상 정보 등의 제2 정보 SE를 동시에 기록한다. EFM 신호 SB는, 디스크 상에 저장되는 정보, 예를 들면 음악이나 컴퓨터 데이터이다. 제2 정보 SE는, 화상 정보 등이다. 출력 신호 S3은, 디스크 상에 저장되는 정보를 전하기 위해 온-오프 변조되고, 그리고 제2 정보 SE에 의해 진폭 변조된다. 스핀들 모터로부터의 동기 신호 FG는, 직교 좌표 위치 검출 회로(5)로 입력되어, 직교 좌표 X, Y를 생성한다. 직교 좌표 X, Y에 의해 화상 신호 발생 회로(6)가 제2 정보 SE를 발생시킨다.
CPU(247)는, 이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CPU(247)는, 정보의 기록에 앞서, 광 변조기(10)의 입출력 특성을 측정한다. 즉, 광 변조기(10)에 인가하는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부터 점차로 높은 전압으로 변위시키고, 그 시점에서의 광 변조기의 출력을 측정함으로써,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출력 특성을 미리 측정한다. 이 특성을 측정할 때, 하프 미러(11)는 CPU(247)에서 광 강도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보내기 위해 광 검출기에 레이저빔의 일부분을 반사시킨다.
이 CPU(247)는, 또한 메모리 버스를 통해 보정치 테이블(71) 또는 전력 레벨 제어 테이블(263)에 액세스한다.
마스터링 머신은 본질적으로 레이저(9), 광 변조기(10) 및 스핀들 모터(14)로 이루어진다. 레이저(9)는 광 변조기(10)에 의해 변조되는 광 강도의 레이저빔 L1을 방사한다. 변조된 레이저빔 L2는 그 부분에서 박막의 감광 시트로 피복된 디스크 원판(2)을 노광시킨다. 노광 후에, 디스크 원판(2)은 형태를 뜨기 위해 현상되어, 디스크 스탬퍼가 작성된다. 이 스탬퍼로부터 사출 성형에서 광 디스크가 작성된다.
완성된 광 디스크 상에 화상 등의 상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광 강도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 강도의 변화는 완만하게, 연속적으로 행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제2 정보 SE는 CPU(247)의 업/다운 카운터 기능에 따라 계단 신호 SF로 변환된다.
제2 정보 SE에 의한 화상 등의 정보는, 정보 피트의 엣지를 조정함과 함께 피트 폭을 변조함으로써 기록된다. 따라서 EFM 신호 SB는 2개의 스텝에서 처리된다. 제1 스텝에서, 피트 엣지의 위치는 엣지 위치 보정 회로(243)에 의해 보정된다. 이 회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를 시프트 레지스터(70)에 저장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2)는 신호의 변화 엣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각각의 엣지 전후의 신호 패턴에 의존하여, 지연 회로(74) 및 데이터 셀렉터(73)는 검출된 펄스를 시프트시킨다. 이 때, 시프트시키는 양은 보정치 테이블(71)에 저장되어 있다.
제2 스텝에서, 엣지 보정 신호 SC는 도 25에 도시된 전력 변조 회로(244)에 의해 진폭 변조되어 출력 변조 신호 S3으로서 출력된다. 전력 변조 회로(244)는, 계단 신호 SF에 의존하여, 전력 레벨 제어 테이블(263)을 참조함으로써, 광 변조를 위해 적당한 제어 전압 ENV를 선택하여, D/A 변환기(264)를 통해 출력한다. 정보 신호 SC와 제어 전압 ENV를 아날로그 멀티플렉서(265)에 의해 다중함으로써, 출력 변조 신호 S3을 형성한다.
도 26은 CPU(247)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다. 제2 정보 SE는 광 강도의 변화를 지시한다. 광 검출기(270)와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271)는, 광 변조기(10)의 입출력 특성의 측정시 레이저의 광 강도의 측정에 이용된다. 제어 신호의 모드 선택 신호 MODE는, 통상의 컷팅 동작과, 광 변조기(10)의 특성 측정의 전환을 지시한다. 메모리 버스 신호 MEMORY I/O는, 보정치 테이블(71) 및 전력 레벨 제어 테이블(263)의 메모리를 액세스하기 위한 CPU(272)의 판독 및 기입 신호를 공급한다.
도 27의 타이밍차트는, 임의의 전력 레벨로부터 다른 전력 레벨에의 변화 시의 전력 변조의 동작을 나타낸다. 저 레벨로부터 고 레벨에의 제2 정보 SE의 변화에 대해, 기록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계단 신호 SF는 1로부터 8로 천천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제어 전압 ENV도 증가한다. 이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 레벨로부터 저 레벨에의 제2 정보 SE의 변화의 경우에는, 계단 신호 SF 및 제어 전압 ENV는 천천히 감소한다. 각 전력 레벨의 전압은 전력 레벨 제어 테이블(263)에 저장되어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보정치 테이블(71) 및 전력 레벨 제어 테이블(263)에 관한 보정 테이블을 결정하는 점이다. 보정치 테이블(71)에 대해, 특개평10-31825호 공보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에 의해 특정한 기록 전력에 관한 적절한 시프트치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추측된다. 특개평10-31825호 공보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에 의해 디스크 재생 장치로부터 샘플 디스크의 재생 신호의 측정 및 해석이 행해지고, 그에 따라 필요한 보정 시프트가 행해지도록 구동된다. 이 처리는, 제2 정보의 기록에 이용되는 고전력과 저전력의 양방의 전력 레벨 사이에 적용된다. 중간 전력 레벨의 시프트치는, 선형 보간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N 종류의 전력 레벨의 합계에 대해, EFM의 패턴을 P로서 나타내고, 계단 신호 SF가 i라는 값이었다고 하자. 그렇게 하면 중간 전력 레벨에서의 보간된 시프트치 Si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낸다.
Figure 112004017870810-pct00003
보간 시프트치의 S1(P)과 SN(P)은, 저전력 기록 및 고전력 기록에 대한 각각의 시프트치이다. 이 보간의 결과는, 이 값을 최상위 어드레스로하여 보정치 테이블(71)에 저장된다. 전력 레벨 제어 테이블(263)에 대해서도 동일한 수법이 취해진다. 그러나, 광 변조기(10)는 비선형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제어 전압의 단순한 선형 보간으로는 결과적으로 완만한 변화는 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도 28에서의 특성을 예로서 생각해 본다. 도 28은 구동 전압에 대한 광학 음향 변조기의 레이저광 강도의 측정예를 나타낸다(가변 광 변조기의 원리 및 특성에 대해서는, Goodman. Introduction to Fourier Optics. McGrow-Hill, 1996.을 참조하면 됨.). 이 예에서는, 0.5V의 구동 전압일 때, 경사는 급경사이지만, 1V의 구동 전압일 때, 특성은 피크가 된다. 0.5V의 구동 전압일 때, 동일 전압 스텝은 레이저광 강도의 큰 변화를 야기하지만, 1V일 때, 레이저광 강도는 거의 동일해진다.
컷팅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전압이 스텝형으로 변화함에 따라, 엣지의 보정량도 변화해간다. 그러나,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선형 특성이 광 변조기(10)에 있으면, 엣지 위치의 보정량과 기록 전력의 변화량 사이에 부적합이 발생한다. 이 부적합은, 도 30A에서의 재생 신호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신호의 전환 부근에서의 오버슈트로서 관측되고, 결과적으로 지터의 악화를 야기한다.
그래서, 레이저 전력에 관해서도 보정을 행한다. 이 보정은,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은 2개의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제1 스텝으로서, 중간의 광강도치 Pi를 이하의 수학식 4와 같이 단부의 전력 Pl 및 PN사이의 선형 보간에 의해 구한다.
Figure 112000011239011-pct00004
이어서 요구되는 광 변조기(10)의 입출력 특성을 사용하여, 각 Pi로부터 구동 전압치를 구한다. 이 구동 전압은, 먼저 구하는 광 변조기의 특성(예를 들면 도 28)으로부터 역연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즉, 어떤 전력치 PI에 대해, 특성의 곡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고, 이 좌표로부터 전압 V를 구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광 변조기의 입출력 특성을 역연산하여 얻어진 전압 V를, 전력 레벨 제어 테이블(263)에 저장하는 구동 전압 V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구해진 엣지 타이밍의 보정 및 구동 전압을 그래프에 플롯하면, 도 29에서 도시된 "나비"형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력 보간은 결과적으로 출력 전압축 상에 불균등한 간격의 전압이 되어 관측된다.
도 30B에서 본 실시예의 보정 기술을 이용하여 기록된 샘플 디스크의 재생 신호의 엔벌로프 신호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명확히 할 수 있듯이, 엔벌로프는 도 30A에 나타낸 예와는 달리, 오버슈트없이 순조롭게 증폭되도록 변화한다.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장치에서는,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준 기간의 정수배의 기간에서의 레이저 광원의 온-오프 변조에 따라, 제1 정보 신호를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로서, 또한 상기 레이저 광원의 광 강도를 변화시킴에 따라 제2 정보 신호와 함께, 시간에 대해 거의 직선적인 광 강도의 경사가 된 미소한 등간격 스텝에서 유도된, 어떤 미리 정해진 광 강도 레벨로부터 다른 광 강도 레벨까지의 변화를,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조되는 레이저광의 레이저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의 구동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구동 신호의 미리 정해진 한쌍의 진폭에 대한 레이저광의 강도의 특성을 측정하는 특성 측정 수단과, 상기 특성을 역연산하고, 임의의 광 강도에 대응하는 구동 진폭을 구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는 특성 반전 수단과, 상기 레이저의 광 강도 레벨에 따른 상기 변조 신호의 타이밍을 보정하는 타이밍 보정 수단을 구비하고, 원하는 광 강도 출력을 이루기 위한 구동 진폭을 저장하는 상기 특성 반전 수단에 의해 구해진 구동 진폭에 기초한 광 강도 출력의 변화의 기간 동안, 레이저의 광 강도는 직접 제어되고, 또한 그 결과 생긴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는, 기록 광 강도가 변화한 임의의 기록 범위에서 완만한 변화를 갖고,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가 안전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광 변조기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고, 중간 기록 레벨에 의존하는 적절한 피트 엣지의 치환을 선택하고, 또한 2개의 기록 레벨의 광 강도차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2개의 기록 레벨간의 완만한 변화의 범위를 기록하고, 2개의 워터마크의 범위사이의 바람직한 완만한 변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2개의 광 강도의 차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분명해진 「워터마크」를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는, 레이저 광원의 온-오프 변조에 따라, 제1 정보 신호를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또한 상기 레이저 광원의 광 강도를 변화시킴에 따라 제2 정보 신호와 함께, 시간에 대해 거의 직선적인 광 강도의 경사가 되도록 유도된, 어떤 미리 정해진 광 강도 레벨로부터 다른 광 강도 레벨까지의 변화를,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광 강도 레벨에 따른 상기 제1 정보 신호에 적용되는 타이밍 보정 스텝을 갖는 광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의 레이저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스텝과,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의 구동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과, 상기 측정 스텝 및 상기 제어 스텝에 따른 상기 구동 신호의 미리 정해진 한쌍의 진폭에 대한 레이저광의 강도의 특성을 측정하고, 상기 특성을 역연산하고, 어떤 광 강도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인 상기 역연산치를 저장하는 역연산 스텝과, 상기 미리 정해진 광 강도 레벨에서의 타이밍치를 직선 보간함에 따른 변위 기간에서의, 중간의 광 강도 레벨에 관한 타이밍 보정치를 결정하는 타이밍 보정치 결정 스텝을 구비하고, 원하는 광 강도 출력을 달성하기 위한 역연산 특성을 저장하는 상기 역연산 스텝에 의해 구해진 구동 진폭에 기초한 광 강도 출력의 변화의 기간 중, 레이저의 광 강도는 직접 제어되고, 또한 그 결과 생긴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는, 기록 광 강도가 변화한 임의의 기록 범위에서 완만한 변화를 갖고,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가 안정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광 변조기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고, 중간 기록 레벨에 의존하는 적절한 피트 엣지의 치환을 선택하고, 또한 2개의 기록 레벨의 광 강도의 바람직한 차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2개의 기록 레벨간의 완만한 변화의 범위를 기록하고, 2개의 워터마크의 범위사이의 바람직한 완만한 변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레이저 광원의 온-오프 변조에 따라, 정보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광 정보 기록 매체로서, 원하는 정보가 기록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피트를 형성하고, 미리 정해진 복수의 폭 중에서 선택된 피트 폭을 갖는 피트로 함으로써 제2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복수의 폭을 갖는 피트 폭의 선택은, 소정의 관측 시간에서의 레이저광의 광 강도가 일정한 기울기가 되도록 행하고, 재생 시간에서의 피트 폭의 차이에 따라 생기는 상기 반사광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피트의 엣지 위치에는 위치 조정을 행하고, 그에 따라 제2 정보인 워터마크 또는 가시 영상이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포함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정보 신호가 재생되도록 했으므로, 광 변조기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고, 중간 기록 레벨에 의존하는 적절한 피트 엣지의 치환을 선택하고, 또한 2개의 기록 레벨의 광 강도의 바람직한 차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2개의 기록 레벨간의 완만한 변화의 범위를 기록하고, 2개의 워터마크의 범위사이의 바람직한 완만한 변화를 실현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보정치 테이블의 생성]
도 31은, 각각 상술된 제1∼제4 실시예의 광 디스크 장치에서의 엣지의 타이밍 보정에 사용되는 보정치 테이블(71)의 생성의 설명에 따른 공정도이다. 이하, 제1 실시예에서의 보정치 테이블에 관해서만 설명하겠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보정치 테이블(71)은, 상승 엣지용의 보정 회로(60A) 및 하강 엣지용의 보정 회로(60B) 양방에 존재하고 있다. 이들 테이블을 정확하고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레이저빔 L의 광량, 피트 길이, 전후의 피트 간격이 변화한 경우에도, 또한 도형이나 문자의 정보 SE에 따라 기록 레이저 전력이 변화한 경우에도, 클록 CK에 동기한 정확한 타이밍으로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을 재생 신호가 통과하는 (즉 지터가 적은) 디스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보정치 테이블(71)은, 상승 엣지용의 보정 회로(60A) 및 하강 엣지용의 보정 회로(60B)로 설정되지만, 생성의 조건이 다른 것 외에, 모두 생성 방법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공정에서는, 광 디스크 장치(1)에 의해 평가용의 디스크 원판(2)을 작성하고, 이 디스크 원판(2)으로 작성되는 컴팩트 디스크의 재생 결과에 기초하여, 보정치 테이블(326)을 설정한다.
여기서 이 평가용의 디스크 원판 작성시에, 도 1에 도시된 광 디스크 장치(1)에는, 평가 기준용의 보정치 테이블(326)이 설정된다. 이 평가 기준용의 보정치 테이블(326)은, 도 1에 도시된 셀렉터(8)에 있어서, 항상 지연 회로(74)의 센터 탭 출력을 선택 출력하도록, 보정치 데이터 DF가 설정되고 형성된다. 또한 화상 신호 발생 회로(6)에는, 평가 기준용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에 따라 이 공정에서는, 각각 100% 및 85%의 레이저 출력에 의해 EFM 변조 신호 S2에서 광 변조기(10B)를 구동하고, 통상의 컴팩트 디스크 작성 공정과 동일한 조건에 따라 디스크 원판(2)을 노광한다.
이 공정에서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노광한 평가용 디스크 원판(2)을 현상한 후, 전기 주조 처리하여 마더 디스크를 작성하고, 이 마더 디스크로부터 스탬퍼를 작성한다. 또한, 이 스탬퍼로부터 통상의 컴팩트 디스크 작성 공정과 마찬가지로, 평가용 컴팩트 디스크를 작성한다.
또, 제2 실시예에서는, 이 공정에서는, 타이밍 보정 회로(131)의 효과는 전혀 없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타이밍 보정 회로(131)의 효과가 전혀 없는 상태의 신호 SC가 광 변조기(10B)로 보내지고, 통상의 컴팩트 디스크 작성과 마찬가지로 함으로써 100% 전력의 레이저광 L2에 의해 디스크 원판(2)을 노광한다.
도 31에서, 컴팩트 디스크플레이어(CD 플레이어)(322)는, 컴퓨터(324)의 지시에 따라, 상술된 바와 같이 작성된 평가용의 컴팩트 디스크(321)를 재생시킨다. 이 때 CD 플레이어(322)는, 컴퓨터(324)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을 전환하고, 컴팩트 디스크(321)로부터 얻어지는 반사광의 광량에 따라 신호 레벨이 변화하는 재생 신호 RF를 내장의 신호 처리 회로로부터 디지털 오실로스코프(323)로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 컴팩트 디스크는, 레이저빔 L의 광량의 변화에 따라 피트 폭이 변화함에 따라,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로 재생 신호 RF를 관찰하면, 피트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재생 신호의 진폭이 변화하여 관찰된다.
또한 이 피트 폭의 변화에 따라 피트의 전방 엣지, 후방 엣지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진폭의 변화에 따라 큰 지터가 관찰되고, 비대칭도 크게 변화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영역 등의 저레벨의 레이저빔에 의해 피트를 형성한 부분에서도, 전후의 피트로부터 부호간 간섭에 의한 지터가 관찰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통상의 컴팩트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재생 신호의 2치화 레벨이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않는다. 또한, 피트의 성형이 완전히 이상적으로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지터가 관찰된다.
디지털 오실로스코프(323)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을 전환하고, 채널 클록의 20배의 샘플링 주파수에서, 이 재생 신호 RF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디지털 신호를 컴퓨터(324)로 출력한다.
컴퓨터(324)는, CD 플레이어(322) 및 디지털 오실로스코프(323)의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디지털 오실로스코프(323)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신호 처리하고, 이에 따라 보정치 데이터 DF를 순차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컴퓨터(324)는, ROM 라이터(325)를 구동하여, 계산한 보정치 데이터 DF를 순차 판독 전용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보정치 테이블(326)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완성된 보정치 테이블(326)에 의해 최종적으로 광 디스크를 제조한다.
도 32는, 이 컴퓨터(324)에서, 보정치 데이터 DF를 제작하는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 순서에서, 컴퓨터(324)는, 스텝 SP1로부터 스텝 SP2로 옮기고, 지터 검출 결과 Δr(p, b), 지터 계측 횟수 n(p, b)을 값 0으로 세트한다. 여기서 컴퓨터(324)는, 지터 검출 대상인 엣지의 전후에 대해, 피트 길이 p, 피트 간격 b의 조합때마다, 지터 검출 결과 Δr(p, b)을 산출하고, 또한 지터 계측 횟수 n(p, b)을 카운트한다. 이 때문에 컴퓨터(324)는, 스텝 SP2에서, 이들 모든 지터 검출 결과 Δr(p, b), 지터 계측 횟수 n(p, b)을 초기치로 세트한다.
계속해서 컴퓨터(324)는, 스텝 SP3으로 이동하고, 디지털 오실로스코프(323)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 VL과 비교함으로써, 재생 신호 RF를 2치화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2치화 신호를 생성한다. 또 컴퓨터(324)는, 이 처리에서, 슬라이스 레벨 이상이 값 1, 슬라이스 레벨에 미치지 않는 부분에서는 값 0이 되도록, 디지털 신호를 2치화한다.
계속해서 컴퓨터(324)는, 스텝 SP4로 이동하고, 이 디지털 신호로 이루어지는 2치화 신호로부터 재생 클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컴퓨터(324)는, 2치화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연산 처리에 따라 PLL 회로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고, 이에 따라 재생 클록을 생성한다.
또한 컴퓨터(324)는, 계속되는 스텝 SP5에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생성한 재생 클록의 각 하강 엣지의 타이밍에서, 2치화 신호를 샘플링하고, 이에 따라 변조 신호를 복호한다(이하 복호한 이 변조 신호를 복호 신호라고 함).
계속해서 컴퓨터(324)는, 스텝 SP6으로 이동하고, 2치화 신호의 상승 엣지의 시점으로부터, 이 엣지에 가장 근접한 재생 클록의 하강의 시점까지의 시간차 e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이 엣지에서의 지터를 시간 계측한다. 계속해서 컴퓨터(324)는, 스텝 SP7에서, 스텝 SP6에서 시간 계측한 엣지에 대해, 복호 신호보다 전후의 피트 길이 p 및 피트 간격 b를 검출한다.
컴퓨터(324)는, 계속해서 스텝 SP8에서, 전후의 피트 길이 p 및 피트 간격 b에 대응하는 지터 검출 결과 Δr(p, b)에 대해, 스텝 SP6에서 검출한 시간차 e를 가산하고, 또한 대응하는 지터 계측 횟수 n(p, b)을 값 1만큼 증가시킨다. 계속해서 컴퓨터(324)는, 스텝 SP9로 이동하여, 모든 상승 엣지에 대해, 시간 계측을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스텝 SP5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컴퓨터(324)는, 스텝 SP5-SP6-SP7-SP8-SP9-SP5의 처리 순서를 반복하고, 재생 신호 RF에 나타나는 변화 패턴마다, 시간 계측한 지터 검출 결과를 누적 가산하고, 또한 가산수를 카운트한다. 또 이 변화 패턴은,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에서의 래치 회로(70A∼70M)의 단수에 대응하도록, 지터 검출 대상의 엣지보다 기본 주기 T를 기준으로 한 전후 6샘플의 기간(전체적으로 주기 12T의 기간) 에 의해 분류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모든 엣지에 대해, 지터의 시간 계측을 완료하면, 컴퓨터(324)는, 스텝 SP9에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음에 따라, 스텝 SP10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재생 신호 RF에 나타나는 변화 패턴마다, 시간 계측한 지터 검출 결과를 평균치화한다. 즉 스텝 SP6에서 검출되는 지터에서는, 노이즈의 영향을 받고 있음에 따라, 컴퓨터(324)는, 이와 같이 하여 지터 검출 결과를 평균치화하고, 지터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컴퓨터(324)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지터 검출 결과를 평균치화하면, 계속해서 스텝 SP11로 이동하고, 이 검출 결과로부터, 각 변화 패턴마다 각각 보정치 데이터 DF를 생성하고, 각 보정치 데이터 DF를 ROM 라이터(325)로 출력한다. 여기서 이 보정치 데이터 DF는, 지연 회로(74)에서의 탭간의 지연 시간차를 τ로 두고,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5의 연산 처리를 실행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00011239011-pct00005
또 여기서 Hr1(p, b)은, 보정치 데이터 DF에 의해 선택되는 지연 회로(74)의 탭이고, 값 0인 경우가 센터 탭이다. 또한 Hr0(p, b)은, 초기치로 이루어지는 보정치 데이터 DF에 의해 선택되는 지연 회로(74)의 탭이고, 이 실시예에서, Hr0(p, b)은, 값0으로 설정되게 된다. 또한 a는 상수이다. 여기서 이 실시예에서, a는 1이하의 값(예를 들면 0.7 등)으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노이즈 등의 영향이 있어도, 확실하게 보정치 데이터를 수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324)는, 디지털 오실로스코프(323)를 통해 검출되는 재생 신호 RF의 신호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레이저빔 L의 광량이 100%의 광량에 따른 경우와, 85%의 광량에 따른 경우에, 각각 상술한 보정치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실행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빔 L의 광량을 하강시킨 경우에도, 통상의 슬라이스 레벨에 따라 재생 신호 RF를 2치화하여, 정확한 타이밍에 의해 2치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보정치 데이터 DF를 생성한다.
제2 실시예 이후에는, 컴퓨터(324)는, 컴팩트 디스크(321)의 정보 기록면을 동심원형으로 분할하여 이루어지는 8개의 영역마다 상술된 연산 처리를 실행하고, 이에 따라 각 영역마다 다른 보정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8개의 영역은 각각이 8 단계의 레이저 출력 중 1개에 대응하고 있다.
컴퓨터(324)는, 이와 같이 하여 생성한 보정치 데이터 DF를 ROM 라이터(325)의 소정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하면, 스텝 SP12로 이동하여 이 처리 순서를 종료 한다. 계속해서 컴퓨터(324)는, 동일한 처리 순서를 다른 기록 전력에 대해 실행한다. 모든 전력(계단 신호 SF가 0∼7에 대응하는 8종류의 전력)에 대해 이상의 처리를 실행한 후, ROM 라이터(325)에 의해 기록하고, 상승 엣지 보정 회로(60A) 내부의 보정치 테이블(326)(도 7에서는 71로 나타냄)을 완성시킨다.
또한, 동일 처리를 디지털 2치화 신호의 하강 엣지에 대해 실행하고, 이에 따라 하강 엣지 보정 회로(60B) 내부의 보정치 테이블(326)을 완성시킨다.
이상의 구성에서, 제1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광 디스크 장치에서는, 엣지 위치 보정 회로(7A 및 7B)에서의 보정치 테이블을 초기치로 설정하여, 종래의 컴팩트 디스크(321)의 작성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 따라 평가용의 디스크 원판(2)이 작성되고, 이 디스크 원판(2)으로 평가용의 컴팩트 디스크(321)가 작성된다.
이 컴팩트 디스크(321)는, 기본 주기 T의 정수배의 주기로 신호 레벨이 변화하는 변조 신호 S2에 의해 레이저빔 L이 온-오프 제어되어 디스크 원판(2)이 순차 노광되고, 이에 따라 피트 길이 및 피트 간격에 따라 평가용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평가 기준용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저빔 L의 광량이 하강되고, 이에 따라 국소적으로 폭이 좁은 피트의 영역이 형성되고, 더욱 이 피트 폭의 변화에 따라 피트 길이가 변화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 평가용의 컴팩트 디스크(321)로부터 얻어지는 재생 신호는, 일정한 광량에 따라 피트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인접 피트의 부호간 간섭에 따라 지터가 관찰되게 된다. 또한, 피트 폭이 변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인접 피트의 부호간 간섭 외에 피트 폭의 변화에 따라, 큰 지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 피트 폭이 변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재생 신호의 진폭이 크게 변화하여, 비대칭이 심하게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 컴팩트 디스크(321)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 신호는, 앞과 뒤 피트의 길이 및 간격에 대응하는 변조 신호 S2의 변화 패턴, 반경 방향의 노광 위치, 노광 시의 레이저빔 광량에 따라, 슬라이스 레벨이 통과하는 타이밍이 변화하여, 이 재생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재생 클록에서는 큰 지터가 발생하게 된다.
이 컴팩트 디스크(321)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322)에 의해 재생되고, 재생 신호 RF가 디지털 오실로스코프(32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컴퓨터(324)에 의해 2치화 신호, EFM 복조 신호, 재생 클록이 생성된다. 또한 컴팩트 디스크(321)는, 2치화 신호의 각 엣지마다, 2치화 신호로부터 전후의 피트 길이 및 간격이 검출되어 변조 신호의 변화 패턴이 검출되고, 각 변화 패턴마다, 2치화 신호의 각 엣지의 지터량이 시간 계측된다.
또한, 이들 시간 계측 결과가 각 변화 패턴마다 평균화되고, 레이저빔 L의 각 광량에 따른 지터량이 부호간 간섭에 따른 지터량과 함께 각 변화 패턴마다 검출된다. 컴팩트 디스크(321)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검출한 지터량에 따라, 정보 기록면을 동심원형으로 분할하여 이루어지는 8개의 영역마다 지연 회로(74)의 탭간 지연 시간차 t를 기준으로 한 수학식 5의 연산 처리가 실행되고, 지연 회로(74)의 센터 탭을 기준으로 하여, 이 검출한 지터량을 상쇄시킬 수 있는 지연 회로(74)의 탭 위치가 검출된다. 이 검출한 탭 위치를 특정하는 데이터가 보정치 데이터로서 판독 전용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에 따라 지연 회로(74)의 탭간 지연 시간차 τ를 지터 보정 단위로 설정하여, 보정치 테이블(32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321)는, 오디오 데이터 SA가 인접 피트로부터의 부호간 간섭을 저감시키도록, 인접 피트와의 조합에 따른 패턴에 따라 전방 엣지 및 후방 엣지의 위치가 보정된 피트 길이 및 피트 간격에 따라 기록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국소적으로 폭이 좁은 피트가 형성되고, 이 피트 폭의 변화에 따른 피트 길이의 변화를 상쇄하도록, 전방 엣지 및 후방 엣지의 위치도 보정되게 된다.
이 일련의 처리에서, 이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321)에서는, 화상 데이터에 따른 문자,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피트 폭을 변화시켜도, 이 피트 폭의 변화에 따른 피트 길이의 변화를 상쇄하도록, 전방 엣지 및 후방 엣지의 위치가 보정됨에 따라, 일정한 슬라이스 레벨에 따라 재생 신호 RF를 2치화하여, 정확한 타이밍에 의해 2치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레이저빔 L의 광량의 변화에 따른 재생 클록 CK의 지터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도록, 2치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호간 간섭에 대해서도, 이것을 저감하도록 지터의 위치가 보정됨에 따라, 부호간 간섭에 따른 지터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피트 폭을 변화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정확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극 좌표에 따른 노광 위치의 위치 정보를 직교 좌표에 따른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이 화상 데이터에 따라 피트 폭을 변화시킴에 따라, 비트맵 형식의 화상 데이터를 단순히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만큼, 간이한 작업으로 이 화상 데이터에 의한 문자, 화상을 컴팩트 디스크(321)의 정보 기록면에 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간이하게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피트 폭의 변화에 따르는 피트 길이의 변화를 보정하도록, 또한 인접하는 피트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저감시키도록, 레이저빔 조사의 타이밍을 보정함으로써, 원하는 데이터를 고밀도로 기록한 경우라도, 오디오 데이터를 확실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또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할당한 피트에 대해, 피트 폭을 변화시켜 문자, 화상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 기술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T0C의 데이터를 할당하는 피트의 피트 폭을 변화시켜 리드인 영역에 화상 등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평가용의 컴팩트 디스크(321)로부터 작성한 보정치 테이블(326)을 직접 사용하여 컴팩트 디스크(321)를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 상술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평가용의 컴팩트 디스크로부터 작성한 보정치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시 평가용의 컴팩트 디스크를 작성하고, 다시 작성한 평가용의 컴팩트 디스크에 의해 보정치 테이블을 수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반복 보정치 테이블을 수정하면, 그 만큼 확실하게 지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변조 신호를 샘플링하여 변화 패턴을 검출하는 경우에 대해 진술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샘플링수를 증대시켜도 되고, 이에 따라 긴 기록 정보 패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기본의 클록을 기준으로 한 2치화 신호의 시간 계측에 의해 지터량을 계측하고, 이 계측 결과로부터 보정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 진술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실용상 충분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시간 계측에 따른 지터량의 계측을 대신하여, 기본의 클록을 기준으로 한 재생 신호의 신호 레벨 검출에 의해 보정치 데이터를 생성해도 좋다. 또 이 경우, 검출한 재생 신호의 신호 레벨로부터 슬라이스 레벨까지의 오차 전압을 계산하고, 이 오차 전압과 재생 신호의 과도 응답 특성에 의해 보정치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테이블화한 보정치 데이터에 따라 변조 신호의 타이밍을 보정하는 경우에 대해 진술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실용상 충분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미리 검출한 보정치 데이터를 대신하여, 연산 처리에 의해 보정치 데이터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변조 신호의 타이밍을 보정해도 좋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좌표 변환 회로(22)(중앙 처리 장치)의 연산 처리에 따라 좌표 변환하는 경우에 대해 진술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판독 전용 메모리(ROM)에 의한 테이블에 의해 좌표 변환해도 좋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FG 신호를 카운트하여 극좌표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 진술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동기한 여러 기준 신호로부터 극좌표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해도 되고, 또한 직접 위치 검출에 따라 이들 위치 정보를 검출해도 좋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원판을 선속도 일정 조건에 따라 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대해 진술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각속도 일정 조건에 따라 회전 구동해도 좋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를 컴팩트 디스크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진술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피트에 따라 여러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즉, 재생 신호의 과도 응답 특성의 장치에 의해 여러 데이터를 다중값 기록하도록 이루어진 광 디스크 장치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광 디스크 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완성한 보정치 테이블(326)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 장치(1)에서 광 디스크의 제조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완성된 광 디스크에서는, 제2 정보 SE에 따라 기록 전력이 단계적으로 변화된 경우라도, 전력의 변화에 따라 피트가 이상의 길이가 되고, 디스크 전면에 걸쳐 매우 작은 지터에 따라 재생된다. 또한, 제3 실시예의 광 디스크 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완성된 보정치 테이블(326)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 장치(1)에서 광 디스크의 제조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완성한 광 디스크에서는, 제2 정보 SE에 따라 기록 전력이 2단계로 변화하게 된 경우라도, 전력의 변화에 따라 피트가 이상의 길이가 되고, 디스크 전면에 걸쳐 매우 작은 지터에 의해 재생된다.
본 발명은, 컴팩트 디스크(CD)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의 기록 장치, 그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극 좌표에 따른 레이저빔 조사 위치의 위치 정보를 직교 좌표에 따른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이 화상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빔의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CD 등의 정보 기록면에, 문자, 화상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간이하게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D나 DVD의 규격에 정해져 있는 방법에 따라, 기록 레이저를 온-오프함으로써 음악이나 비디오 신호 등의 정보를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한다. 또한 동시에, 기록 레이저의 출력을 완만히 변화시킴에 따라, 또한 기록 레이저의 발광 펄스를 2분할 또는 오목형 또는 볼록형으로 함으로써, CD나 DVD 등의 규격에 정해져 있지 않은 디스크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는 워터마크 또는 가시 영상 등의 제2 정보도, 동일한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21)

  1. 광 정보 기록 매체에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조사하여 순차 피트 열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정보에 가시적인 제2 정보를 중첩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의 반경 방향 및 각도 방향으로 규정되는 소정 영역에 기록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 변화에 기초한 피트 폭의 변화, 상기 레이저빔의 온-오프에 기초한 피트 길이의 변화, 또는 상기 레이저빔의 온-오프에 가까운 광량 변화에 기초한 피트의 오목 또는 볼록의 변화에 따라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얻어지는 재생 신호를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로 2치화하여 2치화 신호를 생성했을 때에, 소정의 기본 주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2치화 신호가 변화하도록 상기 레이저빔의 조사의 타이밍을 보정하고,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에 따른 피트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피트의 변화를 시간 축을 따라 서서히 행하도록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피트의 변화의 천이 영역은 0.1㎜부터 1㎜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의 극 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로 나타내고,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시간 축에 대해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이 변화되도록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보정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한 보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의 조사의 타이밍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
  7. 광 정보 기록 매체에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조사하여 순차 피트 열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정보에 가시적인 제2 정보를 중첩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의 반경 방향 및 각도 방향으로 규정되는 소정 영역에 기록하도록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 변화에 기초한 피트 폭의 변화, 상기 레이저빔의 온-오프에 기초한 피트 길이의 변화, 또는 상기 레이저빔의 온-오프에 가까운 광량 변화에 기초한 피트의 오목 또는 볼록의 변화에 따라 기록하도록 레이저빔의 광량을 변화시키는 광 변조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얻어지는 재생 신호를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로 2치화하여 2치화 신호를 생성했을 때에, 소정의 기본 주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2치화 신호가 변화하도록 상기 레이저빔의 조사의 타이밍을 보정하고,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에 따른 피트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피트의 변화를 시간 축을 따라 서서히 행하도록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피트의 변화의 천이 영역은 0.1㎜부터 1㎜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의 극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로 나타내고,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시간 축에 대해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이 변화되도록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보정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한 보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의 조사의 타이밍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
  13.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조사하여 순차 피트 열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정보에 가시적인 제2 정보를 중첩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의 반경 방향 및 각도 방향으로 규정되는 소정 영역에 기록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 변화에 기초한 피트 폭의 변화, 상기 레이저빔의 온-오프에 기초한 피트 길이의 변화, 또는 상기 레이저빔의 온-오프에 가까운 광량 변화에 기초한 피트의 오목 또는 볼록의 변화에 따라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얻어지는 재생 신호를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로 2치화하여 2치화 신호를 생성했을 때에, 소정의 기본 주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2치화 신호가 변화하도록 상기 레이저빔의 조사의 타이밍을 보정하고,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에 따른 피트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피트의 변화를 시간 축을 따라 서서히 행하도록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피트의 변화의 천이 영역은 0.1㎜부터 1㎜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의 극좌표에 의한 위치 정보로 나타내고,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시간 축에 대해 상기 레이저빔의 광량이 변화되도록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8. 제14항에 있어서,
    보정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한 보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의 조사의 타이밍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19.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준 기간의 정수배의 기간에서의 레이저 광원의 온-오프 변조에 의해 제1 정보 신호를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레이저 광원의 광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2 정보 신호와 함께, 시간에 대해 거의 직선적인 광 강도의 경사가 되도록 하는 미소한 등간격 스텝으로 유도된, 임의의 미리 정해진 광 강도 레벨로부터 다른 광 강도 레벨까지의 변화를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의 레이저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의 구동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구동 신호의 미리 정해진 한쌍의 진폭에 대한 레이저광의 강도의 특성을 측정하는 특성 측정 수단과,
    상기 특성을 역연산하고, 임의의 광 강도에 대응하는 구동 진폭을 구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는 특성 반전 수단과,
    상기 레이저의 광 강도 레벨에 따른 상기 변조 신호의 타이밍을 보정하는 타이밍 보정 수단
    을 구비하고,
    원하는 광 강도 출력을 달성하기 위한 구동 진폭을 저장하는 상기 특성 반전 수단에 의해 구해진 구동 진폭에 기초한 광 강도 출력의 변화의 기간 동안 레이저의 광 강도는 직접 제어되고, 그 결과 생긴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는 기록 광 강도가 변화한 임의의 기록 범위에서 완만한 변화를 가지며,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안전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장치.
  20. 레이저 광원의 온-오프 변조에 의해 제1 정보 신호를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레이저 광원의 광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2 정보 신호와 함께, 시간에 대해 거의 직선적인 광 강도의 경사가 되도록 하는 미소한 등간격 스텝으로 유도된, 임의의 미리 정해진 광 강도 레벨로부터 다른 광 강도 레벨까지의 변화를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광 강도 레벨에 따른 상기 제1 정보 신호에 적용되는 타이밍 보정 단계를 갖는 광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의 레이저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와,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의 구동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측정 단계 및 상기 제어 단계에 의한 상기 구동 신호의 미리 정해진 한쌍의 진폭에 대한 레이저광의 강도의 특성을 측정하고, 상기 특성을 역연산하여, 임의의 광 강도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인 상기 역연산치를 저장하는 역연산 단계와,
    상기 미리 정해진 광 강도 레벨에서의 타이밍치를 직선 보간함에 따른 변위 기간에서의 중간의 광 강도 레벨에 관한 타이밍 보정치를 결정하는 타이밍 보정치 결정 단계
    를 구비하고,
    원하는 광 강도 출력을 달성하기 위한 역연산 특성을 저장하는 상기 역연산 단계에 의해 구해진 구동 진폭에 기초한 광 강도 출력의 변화의 기간 동안 레이저의 광 강도는 직접 제어되고, 그 결과 생긴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재생 신호는 기록 광 강도가 변화한 임의의 기록 범위에서 완만한 변화를 가지며,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안정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방법.
  21. 레이저 광원의 온-오프 변조에 의해 정보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원하는 정보가 기록되도록 복수의 피트를 형성하고, 미리 정해진 복수의 폭 중에서 선택된 피트 폭을 갖는 피트로 함으로써 제2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복수의 폭을 갖는 피트 폭의 선택은 소정의 관측 시간에서의 레이저광의 광 강도가 일정한 기울기가 되도록 행하고,
    재생 시간에서의 피트 폭의 상위(相違)에 의해 생기는 상기 반사광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피트의 엣지 위치에는 위치 조정을 행하고,
    그에 따라, 제2 정보인 워터마크 또는 가시 상이 상기 광 정보 기록 매체 상에 포함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정보 신호가 재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KR1020007006018A 1998-10-02 1999-04-28 광 정보 기록 매체,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방법 KR100659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142298A JP4265002B2 (ja) 1998-10-02 1998-10-02 光情報記録装置及び光情報記録方法
JP1998-281422 1998-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729A KR20010032729A (ko) 2001-04-25
KR100659626B1 true KR100659626B1 (ko) 2006-12-20

Family

ID=1763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018A KR100659626B1 (ko) 1998-10-02 1999-04-28 광 정보 기록 매체,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754158B1 (ko)
JP (1) JP4265002B2 (ko)
KR (1) KR100659626B1 (ko)
CN (2) CN1312669C (ko)
WO (1) WO2000021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4781B1 (en) * 1998-09-11 2005-08-02 Visible Tech-Knowledgy, Inc. Smart electronic label employing electronic ink
JP4278820B2 (ja) 2000-03-31 2009-06-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ディスク
JP2001283470A (ja) * 2000-03-31 2001-10-12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情報記録方法
EP1577885A3 (en) * 2000-09-22 2007-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and a reproduction method,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for the same
CN1747038B (zh) * 2000-11-14 2011-10-1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带水印的记录载体
US20020152436A1 (en) * 2001-02-05 2002-10-17 O'dea James Orrin Digital error mapping circuit and method
US20020146147A1 (en) * 2001-04-06 2002-10-10 Levy Kenneth L. Digitally watermarking physical media
US20030053656A1 (en) * 2001-04-06 2003-03-20 Levy Kenneth L. Digitally watermarking physical media
US7248715B2 (en) * 2001-04-06 2007-07-24 Digimarc Corporation Digitally watermarking physical media
EP1267340A3 (en) * 2001-06-11 2006-12-06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956756B2 (ja) * 2001-10-31 2007-08-08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972741B2 (ja) * 2002-06-21 2007-09-05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7260044B2 (en) * 2002-09-06 2007-08-21 Ricoh Company, Ltd. Recording method for a phase-change optical recording medium
JP3888289B2 (ja) 2002-11-15 2007-02-28 ヤマハ株式会社 画像描画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描画システム
US7307649B2 (en) 2002-12-12 2007-1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disc non-cartesian coordinate system
US20040165523A1 (en) * 2002-12-18 2004-08-26 Akira Shimofuku Optical recording medium with visible pattern formed in ROM area
JP4029976B2 (ja) * 2002-12-26 2008-01-09 株式会社リコー パルス形状調整方法、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4020021B2 (ja) * 2003-05-30 2007-12-12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4066927B2 (ja) * 2003-09-30 2008-03-26 ヤマハ株式会社 可視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可視画像形成システム
CN1894741A (zh) * 2003-12-11 2007-01-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信号中的水印的方法和设备
JP4052239B2 (ja) * 2003-12-16 2008-02-27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20050141479A1 (en) * 2003-12-31 2005-06-30 Timucin Ozugur Presence-based rout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nvironment
US20050141687A1 (en) * 2003-12-31 2005-06-30 Timucin Ozugur Call treatment in a communications system based on instant messaging
WO2005071677A1 (en) * 2004-01-23 2005-08-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sual watermark in both data area and inner-ring area of record carrier
US7675903B2 (en) * 2004-02-06 2010-03-09 Alcatel Lucent Dynamic contact lis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636295B2 (en) * 2004-06-24 2009-12-22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system
WO2006003574A2 (en) * 2004-06-28 2006-01-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in an optical record
US20060007970A1 (en) * 2004-07-06 2006-01-12 Paul Colbourne Coherence reduction of diode lasers
US7668216B2 (en) * 2004-07-06 2010-02-23 Jds Uniphase Corporation Coherence reduction of diode lasers
US8144558B1 (en) * 2004-09-14 2012-03-27 Doug Carson & Associates, Inc. Hidden patterns on a data storage medium
JP2006099817A (ja) * 2004-09-28 2006-04-13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この光ピックアップ装置におけるフォーカス制御方法
US7268795B2 (en) * 2004-10-29 2007-09-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abeling methods and apparatus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7680024B2 (en) * 2005-03-08 2010-03-16 Shanghai Xiangzhang Electronics Co., Ltd. Multilevel read-only optical disk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06129221A2 (en) * 2005-06-03 2006-12-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marks in an information layer of an optical disc
US7991045B2 (en) * 2005-06-10 2011-08-0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signal-receiving sensitivity of an electronic subassembly
WO2007038081A2 (en) * 2005-09-21 2007-04-05 Doug Carson Associates Storage medium with separate image and data tracks
JP2009509285A (ja) * 2005-09-22 2009-03-05 モーザー ベイアー インディア リミテッド デュアルビームのレーザビーム記録器及びデュアルビームのレーザビーム記録器を制御する方法
EP1979786B1 (en) * 2006-01-30 2011-11-02 3dcd, Llc Optically variable device mastering system, method of authenticating articles employing the same, and resultant article
JP4561911B2 (ja) * 2008-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レーザ駆動装置、光装置
US8189446B2 (en) * 2008-09-16 2012-05-29 Lite-On It Corporation Optical record carrier as well a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writing image data from/at a visually detectable pattern at an optical record carrier
US8339912B2 (en) * 2008-09-16 2012-12-25 Lite-On It Corporation Record carrier as well a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image data as a visually detectable pattern at an optical record carrier
US8234507B2 (en) 2009-01-13 2012-07-31 Metrologic Instruments, Inc. Electronic-ink display device employing a power switching mechanism automatically responsive to predefined states of device configuration
US8457013B2 (en) 2009-01-13 2013-06-04 Metrologic Instruments, Inc. Wireless dual-function network device dynamically switching and reconfiguring from a wireless network router state of operation into a wireless network coordinator state of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WO2010134151A1 (ja) * 2009-05-18 2012-11-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19003A (ja) * 2009-12-07 2011-06-16 Panasonic Corp 集積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BR112017010746A2 (pt) * 2014-11-25 2018-01-09 Samsung Pay Inc método para modular imagens de exibição para simulação de código de barras e sistema para a modulação de imagens de exibição para simulação de código de barras
KR20160141891A (ko) * 2015-06-01 2016-12-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 회로 및 클럭 데이터 복원 회로
CN112203135B (zh) * 2020-10-07 2022-01-25 爱云保(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双录方法、系统及服务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618A (ja) * 1994-09-07 1996-03-22 Nippon Columbia Co Ltd 光ディスク原盤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原盤記録装置
JPH09312021A (ja) * 1996-05-21 1997-12-02 Sony Corp 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媒体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H1031825A (ja) * 1996-07-16 1998-02-03 Sony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514A (ja) 1992-07-14 1994-02-10 Taiyo Yuden Co Ltd 光ディスクの情報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72325A (ja) * 1994-03-30 1995-10-20 Hitachi Ltd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利用システム並びにその複製品識別方法
JPH07320274A (ja) 1994-05-20 1995-12-08 Hitachi Ltd 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情報記録方法
JPH09138691A (ja) 1995-11-15 1997-05-27 Brother Ind Ltd 楽曲検索装置
JP3467575B2 (ja) * 1996-05-16 2003-11-17 日立コンピュータ機器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データ消去装置
US6088323A (en) * 1996-07-16 2000-07-11 Sony Corporation Optical disk, optical disk device, and optical disk recording method
KR100472335B1 (ko) * 1996-12-19 2005-02-2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 디스크, 광 디스크의 추기정보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광 디스크의 기록 재생장치, 광 디스크의추기정보 기록장치 및 광 디스크의 기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618A (ja) * 1994-09-07 1996-03-22 Nippon Columbia Co Ltd 光ディスク原盤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原盤記録装置
JPH09312021A (ja) * 1996-05-21 1997-12-02 Sony Corp 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媒体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H1031825A (ja) * 1996-07-16 1998-02-03 Sony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08104A1 (en) 2004-10-21
CN1312669C (zh) 2007-04-25
US7319656B2 (en) 2008-01-15
JP2000113451A (ja) 2000-04-21
JP4265002B2 (ja) 2009-05-20
US6754158B1 (en) 2004-06-22
CN1209750C (zh) 2005-07-06
US20070153666A1 (en) 2007-07-05
KR20010032729A (ko) 2001-04-25
WO2000021078A1 (fr) 2000-04-13
US7522498B2 (en) 2009-04-21
CN1632866A (zh) 2005-06-29
CN1266527A (zh) 200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626B1 (ko) 광 정보 기록 매체,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기록방법
KR100542513B1 (ko) 광 디스크 제조 방법
US20050185543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with recorded sub-data
KR100497706B1 (ko) 광정보기록장치, 광정보재생장치 및 광정보기록매체
US6219322B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6259666B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804844B2 (ja) 光情報記録装置、光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製造方法
US5654953A (en) Optical di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166560A (ja) 光情報記録方法及び光情報記録装置
JPH11345418A (ja) 光情報媒体、光情報記録方法及び光情報記録装置
JPH11213390A (ja) 光情報記録装置、光情報記録方法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3998037B2 (ja)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方法
JP3703097B2 (ja)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H11120559A (ja) 光情報記録媒体、光情報記録方法及び光情報記録装置
JP4244978B2 (ja) 光情報記録装置、光情報記録方法、光ディスク製造方法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4045599B2 (ja)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H0877627A (ja) 光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