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231B1 - 도난방지장치,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난방지장치,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231B1
KR100656231B1 KR20040025204A KR20040025204A KR100656231B1 KR 100656231 B1 KR100656231 B1 KR 100656231B1 KR 20040025204 A KR20040025204 A KR 20040025204A KR 20040025204 A KR20040025204 A KR 20040025204A KR 100656231 B1 KR100656231 B1 KR 100656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nitoring
computer
theft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9572A (ko
Inventor
세이케야스시
사카이나오키
마에노요시히코
기시모토사토루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9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으로의 불법침입자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에 있으며, 차량M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91)에 있어서, 차량M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센서(9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차량M의 주위 및/또는 차량M내를 감시하기 위한 모션센서(94)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불심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불심자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인디케이터(38)를 점등시키는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수단을 장비한다.
도난방지장치, 주변감시센서, 모션센서, 차량, 접근물, 불심자.

Description

도난방지장치,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ANTITHEFT DEVICE, MONITORING DEVICE AND ANTITHEFT SYSTEM}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는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3도는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4도는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5도는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6도는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7도는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8도는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9도는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10도는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11도는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12도는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13도는 주변감시센서의 검출범위와, 모션센서의 검출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14도는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15a도는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15b도는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16도는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17도는 모션센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18도는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19도는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20도는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1도는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22도는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23도는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4도는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25도는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26도〔(a), (b)〕는 모션센서로 검지되는 신호 파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7도는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28도는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29도는 종래의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61, 71, 81, 91, 111 : 도난방지장치
22, 42, 62, 72, 82, 92, 102, 112 : 마이크로컴퓨터
132, 142 : 마이크로컴퓨터
36 : 침입검출센서
37 : 호흡검출센서
41, 101 : 멀티미디어기기
63 : 경사센서
73 : 지문정보기억수단
74 : 성문정보기억수단
75 : 지문취득수단
76 : 음성취득수단
93, 133 : 주변감시센서
94, 121, 144 : 모션센서
95, 134 : 충격센서
96, 145 : 카메라
103 : 하드디스크
131, 141 : 감시장치
본 발명은 도난방지장치,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도난의 방지를 도모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 차량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도난, 차량털이 등의 사건은 발생건수, 발생율 모두가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이 때문에 근년에 들어 차량도난(차량털이도 포함함)을 방지하기 위한 갖가지의 도난방지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1-7561호 공보, 일본 특개 2000-231691호 공보).
제29도는, 종래의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중 (1)은 도난방지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난방지장치(1)는 CPU(3), ROM(4), 및 RAM(5)을 포함한 마이크로컴퓨터(2)와, 각 차량마다 설정된 ID코드가 기억된 EEPROM(6)과, 정규 운전자가 휴대하는 휴대용송신기(1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ID코드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8)와, 도어의 잠금, 잠금해제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잠금상태검출센서(9)와, 차량으로 의 침입물을 검출하기 위한 침입검출센서(10)와,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음발생장치(11)와, 경찰이나 경비회사 등으로 통보하기 위한 통신수단(12)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는 휴대용송신기(13)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와, EEPROM(6)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와, 도어의 잠금, 잠금해제상태에 의거하여, 차량도난 등을 경계하기 위한 경계모드를 설정하거나, 혹은 해제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모든 도어가 잠궈져 있을 때, 올바른 ID코드, 즉 EEPROM(6)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경계모드를 설정하고, 한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있을 때, 올바른 ID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경계모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는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침입검출센서(10)에 의해 차량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면, 경보음발생장치(11)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통신수단(12)을 제어함으로써 차량도난이 발생한 것을 경비회사 등으로 통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침입검출센서(10)에 의해 차량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경보음을 울리거나, 경비회사 등으로 통보하거나 함으로써, 만일 차량도난 등의 피해를 입었다고 할지라도, 그 피해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종래의 침입자검출센서로서는, 유리가 깨어진 것을 검출하는 진동센서나, 차 량내에 불법 침입한 사람의 움직임을 초음파로 검출하는 센서를 들 수 있지만, 이들 센서로는, 오류 검출이 빈발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루프를 걷는 고양이나 차량의 근처를 지나가는 사람을 침입자로 검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오류 검출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이들 센서의 감도 등을 낮게 설정하면 좋지만, 그러면 반대로, 검출해야할 침입자를 검출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침입검출센서(10)에 의해 차량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경보음을 울리거나 경비회사 등으로 통보하거나 함으로써, 만일 차량도난 등의 피해를 입었다고 할지라도, 그 피해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도난자는 경보음이 그치는 것을 기다리거나, 미리 경보음이 울리지 않도록 잔꾀를 부리거나, 그 수법이 교묘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방범성이 높은 도난방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차량으로의 접근물을 적절하게 감시하는 것도 도난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발명으로, 차량으로의 불법침입자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도난방지장치, 보다 방범성이 높은 도난방지장치, 차량을 적절하게 감시하는 것이 가능한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도난방지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1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不審者)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불심자판단수단과, 상기 제1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및 인디케이터 점등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1처리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의 주위(예를 들면, 0∼1m정도의 범위내)에 존재하는 물체가 불심자(예를 들면, 상기 주위감시수단에 의해 검지되고 있는 시간이 길 경우,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서성거리고 있거나, 무언가 작업을 행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가 있다)인지의 여부 뿐만이 아니라, 상기 물체가 상기 차량의 주변(예를 들면, 1∼30m 정도의 범위내)으로 접근해 온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되어, 상기 차량의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가 불심자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2도난방지장치는, 상기 제1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제1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주위감시수단에 의한 감시를 개시시키는 감시개시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주위감시수단에 의한 감시가 개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3도난방지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에 대한 도난을 검지하는 도난검지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1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불심자판단수단과, 상기 제1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및 인디케이터 점등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1처리수단과, 상기 제1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와, 상기 도난검지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1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외부 통보 및 상기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이상 상태로의 설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2처리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도난검지수단(예를 들면, 상기 차량에 미치는 충격을 검지하는 충격검지센서, 상기 차량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경사검지센서, 상기 차량에 있어서의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검지센서)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뿐만이 아니라,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는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4도난방지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2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주위감시수단에 의한 감시대상으로 상기 접근물이 인간일 가능성의 유무 검지를 포함하도록 하는 감시대상제어수단과, 상기 제2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와, 감시대상으로 상기 접근물이 인간일 가능성의 유무 검지가 포함된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불심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불심자판단수단과, 상기 제2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3처리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주위감시수단이 체온검출수단이고, 상기 제2접근물판단수단이 상기 주위감시수단인 체온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에서의 온도 상황으로부터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감시대상제어수단이 상기 접근물이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위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유무에 관한 정보뿐만이 아니라, 상기 접근물이 인간일 가능성이 있는지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와, 상기 접근물이 인간일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모든 정보는,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이기 때문에, 다른 감시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4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 상기 접근물이 불심자 특유의 움직임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시킴으로써, 상기 접근물이 인간일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의 상기 주위감시수단인 체온검출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센서를 들 수 있고,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서 적외선센서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작동시키는 검출소자의 수를 줄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유무를 검지시키고(예를 들면, 35∼40℃의 물체를 검지시킨다), 한편,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할 경우에는, 작동시키는 검출소자의 수를 늘려 상기 접근물의 움직임을 검지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5도난방지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위를 화상촬영하는 촬영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움직임이 상하 방향의 움직임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접근물이 불심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불심자판단수단과, 상기 제3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4처리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둑질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차량의 옆을 지나가는 자는,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는 거의 이동하지 않고, 상기 차량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뿐이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또는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큰 것)은, 도난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가 있다. 상기 제5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움직임으로부터, 그 접근물이 불심자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6도난방지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에 미치는 충격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충격검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2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5처리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2도난상태판단수단이 상기 충격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차량도난에는, 그 현장으로부터 도난차 그 자체를 운전하여 사라지는 경우 이외에, 견인차 등을 사용하여 실어가는 경우 등이 있다. 차량을 견인차에 실을 경우, 아주 조심스럽게 취급하지 않는 이상, 상기 차량에는 큰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6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에 미치는 충격의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충격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견인차 등을 사용한 차량도난에 대하여서도 적절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7도난방지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경사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경사검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2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5처리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제2도난상태판단수단이 상기 경사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속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차량의 경사정도가 레커차에 실려있다고 인정되는 크기 이상이고, 또한 상기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이 도난 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견인차의 대부분은, 운반할 차량의 전부를 짐받이에 싣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전방부분만을 짐받이에 싣고, 차량의 후방부분은 짐받이에 싣지 않는 타입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후륜은 도로 위에 있고, 견인차가 이동하면, 상기 차량의 후륜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의 후륜의 회전으로 상기 차량의 속도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7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경사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속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견인차 등을 사용한 차량도난에 대한 검출을 보다 더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8도난방지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의 생체에 관한 생체정보를 기억하는 생체정보기억수단과, 상기 차량의 사용희망자의 생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생체정보취득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생체정보취득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생체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희망자가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과, 상기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기기의 사용 허가 제어를 수행하는 제6처리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이 2이상의 생체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희망자가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 여부의 인증을 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6처리수단이 상기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2이상의 생체 전부에 인증한 경우, 상기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기기의 전부의 사용을 허가하고, 상기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해 일부의 생체에만 인증한 경우, 상기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기기의 일부의 사용을 허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8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생체(예를 들면, 지문, 성문, 얼굴 등)에 관한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의 인증이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사용희망자는, 인증용으로 특별한 것을 소지하지 않아도 좋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지문이나 성문 등은, 사람마다 각자 다르기 때문에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현시점에서는, 생체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는 인증기술에 불완전한 부분이 많고,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의 사용희망자가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이었다고 하더라도, 사용권한자로 인정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상기 제8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2개 이상의 생체(예를 들면, 지문과 성문)에 관한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인증을 실행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가 사용권한자인 것으로 인정될 가능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2개의 생체에 관한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인증을 실행하였을 경우, 한쪽의 인증으로는 사용권한자인 것으로 인정되고, 또 한쪽의 인증으로는 사용권한자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한 것처럼, 다른 인증 결과가 얻어질 우려가 있지만, 상기 제8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생체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권한자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기기의 전부, 혹은 그 일부, 또는 기기 기능의 전부, 혹은 그 일부의 사용이 허가되기 때문에, 사용권한자가 기기의 사용이 전혀 허가되지 않는다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반대로 말하면, 정규의 사용권한자가 아닐 우려가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기기의 사용에 제한을 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감시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서의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변을 화상촬영하는 촬영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4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개시시키는 제2촬영개시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의 주변(예를 들면, 1∼30m정도의 범위내)을 감시하기 위한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의 주변의 촬영이 개시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에 해를 끼치는 것(예를 들면, 타차량, 인간)을 화상으로써 촬영하여 둘 수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면 뺑소니 행위를 한 사람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 등의 촬영수단의 소비전력은 높고, 상기 차량의 정지중에 계속하여 상시 작동시키는 것은 어렵지만,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이 개시되는 것은, 상기 접근물이 검지되었을 때이기 때문에, 상기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2감시장치는, 상기 제1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타(他)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타차량판단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타차량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타차량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2촬영개시제어수단이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개시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접근물이 타차량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접근물이 타차량이 아니라 인간일 경우에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은 개시되지 않기 때문에, 피해가 보다 커질 경우(즉, 촬영이 더 필요하게 될 경우)에 한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접근물이 타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의 속도를 산출하여, 속도가 20km/h 이상일 경우, 상기 접근물이 타차량인 것으로 판단한다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3감시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또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또는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의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상황을 산출하는 제1접근상황산출수단과, 상기 제1접근상황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접근물의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빈도를 제어하는 촬영빈도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접근물의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빈도가 제어되기 때문에, 소비전력과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상기 접근물을 보다 적절하게 촬영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근물의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비교적 짧은 간격으로 촬영을 하고, 한편, 상기 접근물의 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비교적 긴 간격으로 촬영을 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4감시장치는, 상기 제3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접근상황산출수단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또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또는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변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제1접근상황산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촬영빈도제어수단이 촬영빈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촬영수단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소정의 영역내(예를 들면, 상기 차량으로부터 5m 이하의 범위내)로 진입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접근물의 촬영빈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차량에 충돌할 위험성이 높아지면, 촬영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소비전력과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상기 접근물의 촬영을 보다 더 적절하게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5∼30m의 범위내에 존재할 경우에는, 1초마다 촬영을 하고, 한편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5m의 범위내에 존재할 경우에는, 가능한 한 연속 촬영을 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5감시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의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위를 화상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의 안면(顔面) 등의 신체적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화상정보기억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5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개시시키는 제3촬영개시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화상정보, 및 상기 화상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과, 상기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적어도 차량도난을 경계하는 경계모드의 해제, 운전자석의 도어잠금의 해제,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7처리수단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작업중판단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1작업중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7처리수단이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제5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의 주위를 화상촬영하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의 개시가 제어된다. 즉,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 것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위의 촬영을 개시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줄일 수가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5감시장치에 의하면, 신체적 특징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의 인증이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사용희망자는 인증용으로 특별한 것을 소지하지 않아도 좋도록 할 수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5감시장치에 의하면, 화상인증의 결과,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고, 게다가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차량의 주위에 불심자가 존재한다고 판정되어, 불심자가 존재할 경우에 해야 할 처리(예를 들면, 경보음의 발생, 인디케이터의 점등, 경비회사 등으로의 연락)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 소정의 레벨 L1 이상의 신호를 검지하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동안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거나, 소정의 레벨 L2(>L1) 이상의 신호가 소정의 횟수 이상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6감시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의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위를 화상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의 안면(顔面) 등의 신체적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화상정보기억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5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개시시키는 제3촬영개시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화상정보, 및 상기 화상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과, 상기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적어도 차량도난을 경계하는 경계모드의 해제, 운전자석의 도어잠금의 해제,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7처리수단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작업중판단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2작업중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7처리수단이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6감시장치에 의하면, 화상인증의 결과,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고, 게다가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차량의 주위에 불심자가 존재한다고 판정되어, 불심자가 존재할 경우에 해야 할 처리(예를 들면, 경보음의 발생, 인디케이터의 점등, 경비회사 등으로의 연락)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동작한 궤적(軌跡)이 얻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이 동작의 주체가 인간으로 보이는지의 여부를 함께 판단하도록 하면, 판단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7감시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서의 이상(異常)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접근상황을 산출하는 제2접근상황산출수단과, 상기 제2접근상황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접근물의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주변감시수단에 의한 감시빈도를 제어하는 감시빈도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7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접근물의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예를 들면, 1∼30m의 범위내)을 감시하기 위한 상기 주변촬영수단에 의한 감시빈도가 제어되기 때문에, 소비전력과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상기 접근물을 적절하게 감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8감시장치는, 상기 제7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접근상황산출수단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변에서의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제2접근상황산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감시빈도제어수단이 감시빈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주변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8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소정의 영역내(예를 들면, 상기 차량으로부터 5m 이하의 범위내)로 진입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접근물의 감시빈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차량에 충돌할 위험성이 높아지면, 감시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소비전력과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상기 접근물의 감시를 보다 더 적절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9감시장치는,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서의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산출수단과,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복수로 존재할 경우, 상기 위험도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위험도에 의거하여 위험도가 높은 접근물을 우선적으로 감시하도록 상기 주변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감시우선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파센서나 카메라 등을 들 수가 있고, 전파센서나 카메라는 다수를 차량에 장비하였을 경우가, 모든 방향에 존재하는 물체 등을 적절하게 감시 가능하게 되지만, 상기 차량에 장비할 수 있는 전파센서나 카메라의 수는 제약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주변에 존재하는 접근물을 모두 적절하게 감시하는 것은 어렵다.
상기 제9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접근물의 위험도가 산출되어, 그 위험도가 높은 접근물을 우선적으로 감시한다. 따라서, 감시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전파센서나 카메라 등을 많이 장비하고 있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접근물을 적절하게 감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0감시장치는, 상기 제9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산출수단이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거리, 상기 접근물의 종류, 및 상기 접근물의 접근상황 중 1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0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거리, 상기 접근물의 종류, 및 상기 접근물의 접근상황 중 1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의 위험도가 산출되기 때문에, 그 위험도를 적절하게 산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쪽이 위험도는 높고, 인간보다도 차량 쪽이 위험도는 높으며, 또한 상기 접근물의 속도가 큰 쪽이 위험도는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1감시장치는, 상기 제9 또는 제10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우선제어수단이 상기 위험도의 레벨이 있는 크기 이상인 접근물이 감시대상에 포함되도록, 상기 주변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1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위험도의 레벨이 상기 어느 크기 이상인 접근물이 감시대상에 포함되기 때문에, 감시의 중요성이 높은 것을 적절하게 감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2감시장치는, 상기 제9 또는 제10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우선제어수단이 상기 위험도의 레벨이 있는 크기 이상인 접근물을 최우선적으로 감시하도록, 상기 주변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2감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위험도가 최대인 접근물의 위험도의 레벨이 상기 어느 크기 이상일 경우, 상기 접근물을 최우선적으로 감시한다. 즉, 최대한의 주위를 기울여야 할 접근물이 존재할 경우에는, 그 접근물의 감시가 최우선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대한의 주위를 기울여야 할 접근물을 적절하게 감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도난방지시스템은,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3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제8소정처리를 수행하는 제8처리수단이 구성된 도난방지장치와,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에 장비되는 전자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8처리수단에는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도난신호를 출력하는 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를 이상상태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가 이상상태로 설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상품가치를 저하시킬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을 도난하려는 자의 도난할 의욕을 감퇴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2도난방지시스템은, 상기 제1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램프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면, 램프의 점등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도난차량을 램프가 정상적으로 점등하지 않는 결함차량으로 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을 도난하려는 자의 도난할 의욕을 감퇴시킬 수가 있다. 또한, 차량도난은 주간보다도 야간에 발생하는 케이스가 많지만, 램프가 정상적으로 점등하지 않는 도난차량으로의 야간주행은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도난차량의 이동을 저지할 수가 있어, 도난차량의 포획을 실현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3도난방지시스템은, 상기 제1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미터(meter)의 가동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면, 미터의 가동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도난차량을 미터(예를 들면, 차속미터나 태코미터)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결함차량으로 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을 도난하려는 자의 도난할 의욕을 감퇴시킬 수가 있다. 또한, 미터가 정상적으로 점등하지 않는 도난차량으로의 주행은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도난차량의 이동을 저지할 수가 있어, 도난차량의 포획을 실현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4도난방지시스템은,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차량도난을 경계하는 경계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경계모드설정수단과, 상기 경계모드를 해제하는 경계모드해제수단과,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4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9처리수단이 구성된 도난방지장치와,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에 장비되는 전자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장치가,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상기 경계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하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경계신호를 출력하는 경계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주행이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실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상기 경계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시트위치를 앞쪽으로 이동시켜, 차량에 올라타기 어려운 상태를 만든다. 또한, 상기 소정의 조건에, 상기 경계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도난이 검지되었을 때(즉, 침입자가 검지되었을 때)가 아니라,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즉, 정규의 이용자가 차량으로부터 떠났을 때)에 실현할 수가 있다.
따라서, 만일 도난자가 침입검출센서 등을 잔꾀를 부려, 차량으로의 침입을 검출할 수 없게 하였다 하더라도, 도난자는 정상적인 상태의 차량을 손에 넣을 수가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을 도난하려는 자의 도난할 의욕을 감퇴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5도난방지시스템은, 상기 제4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차량도난을 경계하는 경계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경계모드설정수단과, 상기 경계모드를 해제하는 경계모드해제수단과,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4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9처리수단이 구성된 도난방지장치와,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에 장비되는 전자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장치가,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경계신호를 출력하는 경계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주행이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고, 상기 소정의 조건에 상기 경계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고 있는 것, 및 상기 경계모드의 설정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의 실현/해제에 필요로 하는 전력 소비량이 미미한 것이며, 또한, 상기 상태의 실현/해제를 순간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으면,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들 처리에 필요로 하는 전력 소비량이 크거나, 이들 처리에 장시간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차량을 떠나 있는 시간이 짧은 경우, 차량을 재빠르게 스타트시킬 수가 없게 될 우려가 있다.
(2) 배터리의 쓸데없는 소비.
상기 제5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조건에, 상기 경계모드의 설정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3분)이 경과하고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3분 이내에 정규의 이용자가 차량에 되돌아올 경우에는,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가 실현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6도난방지시스템은, 상기 제4 또는 제5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장치가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상기 경계모드해제수단에 의해 상기 경계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해제신호를 출력하는 해제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주행이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해소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6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경계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상기 해제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가 해제된다. 예를 들면, 시트위치가 통상의 위치로 돌려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규의 이용자에게는 시간의 낭비가 없이 차량주행을 개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7도난방지시스템은, 상기 제4 ~ 제6도난방지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시트를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시트의 위치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것, 또는 시트의 등받이부분을 앞으로 숙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7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시트위치를 앞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시트의 등받이부분을 앞쪽으로 숙이거나 함으로써, 차량주행에 불편한 상태가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8도난방지시스템은, 상기 제4 ~ 제6도난방지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윈도(window)를 스모그화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윈도를 스모그화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8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윈도를 스모그화함으로써, 차량주행에 불편한 상태가 실현된다. 더욱이 윈도의 스모그화를 실현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액정유리를 이용하여, 유리를 셔터 제어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9도난방지시스템(9)은, 상기 제4 ~ 제6도난방지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엔진, 또는 트랜스미션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기어의 고정, 또는 변속의 제한을 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9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기어를 고정, 또는 변속을 제한함으로써, 차량주행에 불편한 상태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기어를 주차위치나 뉴트럴위치에 고정하거나, 트랜스미션의 쉬프트 체인지 등을 금지함으로써, 도난차량의 가속이나 속도를 제한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난차량의 이동을 저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도난차량의 포획을 실현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0도난방지시스템은, 상기 제4 ~ 제6도난방지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핸들의 잠금상태, 또는 프리상태를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핸들을 잠금상태, 또는 프리상태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0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핸들을 잠금상태, 또는 프리상태로 함으로써, 차량주행에 불편한 상태가 실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난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다 하더라도, 도난자가 차량을 운전할 수가 없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핸들을 프리상태로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핸들의 움직임을 타이어에 전달하는 전달계의 일부를 절단(즉, 핸들을 조작하여도, 타이어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1도난방지시스템은, 상기 제4 ~ 제6도난방지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도어미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도어미러의 열기 조작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1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도어미러의 열기 조작을 금지함으로써, 차량주행에 불편한 상태가 실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난차를 결함차량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2도난방지시스템은, 상기 제4 ~ 제6도난방지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배터리의 충전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2도난방지시스템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을 금지함으로써, 차량주행에 불편한 상태가 실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난자에 의해 이그니션이 직결되어 엔진이 걸어졌다고 하더라도,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지 않기 때문에, 주행을 계속할 수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중 (21)은 도난방지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난방지장치(21)는 마이크로컴퓨터(22)와, 각 차량마다 설정된 ID코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되는 EEPROM(23)과, 정규 운전자가 휴대하여야 할 휴대용송신기(26)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ID코드와, 잠금지령코드, 또는 잠금해제지령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테나(25)는 수신수단(24)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2)에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27)와, 도어의 잠금, 잠금해제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잠금상태검출센서(28)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22)에서는 도어의 개폐상태, 및 도어의 잠금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2)는 버스라인 BL에 접속되어 있고, 버스라인 BL을 통하여, 자기차량(이하, "차량M"으로 한다)의 도어잠금이나 윈도를 제어하기 위한 보디ECU〔Electronic Control Unit (29)〕나, 차량M의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ECU(30),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시트위치의 이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시트ECU(33), 핸들의 고정 등을 행하기 위한 스티어링록ECU(34), 도어미러의 개폐 등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미러ECU(35) 등과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각 ECU에는 각자의 식별번호가 할당되어져 있고, 보디ECU(29)에는 식별번호 "01", 엔진ECU(30)에는 식별번호 "02", 에어컨ECU(31)에는 식별번호 "03", 에어백ECU(32)에는 식별번호 "04", 시트ECU(33)에는 식별번호 "05", 스티어링록ECU(34)에는 식별번호 "06", 도어미러ECU(35)에는 식별번호 "07"이 할당되어져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2)는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을 때에, 올바른 ID코드〔즉 EEPROM(23)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와 잠금지령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보디ECU(29)를 제어함으로써, 모든 도어를 잠금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22)는 올바른 ID코드와 잠금해제지령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보디ECU(29)를 제어함으로써, 모든 도어를 잠금해제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2)에는, 차량M의 실내에 설치되어,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을 검출하기 위한 침입검출센서(36)와, 차량M의 실내에 설치되어,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이 호흡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호흡검출센서(37)와, 인디케이터(38)와,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음발생장치(3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2)는 멀티미디어기기(41)의 마이크로컴퓨터(42)와도 접속되어 있어, 마이크로컴퓨터(42) 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침입검출센서(36)로서는, 전력 소비량이 적은 센서가 적합하고, 예를 들면 차량M으로의 침입물이나 접근물을 검출하는 초음파센서나, 유리가 깨어진 것을 검출하는 진동센서 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호흡을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가슴의 미소한 변화(예를 들면, 2mm/sec)를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멀티미디어기기(41)는 마이크로컴퓨터(42)와, 지도데이터 등이 기억된 DVD-ROM(43)으로부터 지도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DVD데크(44)와, 버튼스윗치(45a)를 가진 리모콘(45)과, 버튼스윗치(46a), 및 표시패널(46b)를 가진 표시장치(4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패널(46b)의 상하좌우에는 복수의 적외선 LED와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가 대향하여 배치되며, 손가락이 표시패널(46b)에 닿은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검출된 결과에 대해서는 마이크로컴퓨터(42)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42)에 접속되어 있는 GPS수신기(47)는, 안테나(48)를 통하여 위성으로부터의 GPS신호를 수신하는 것이고, 마이크로컴퓨터(42)는 GPS신호에 의거하여 자차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2)에는 휴대전화 등의 이동통신장치(49)가 접속되어 있고, 이동통신장치(49)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연결하여 정보의 교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2)에는 차량M의 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차속센서(50)와, 차량M의 진행방향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쟈이로센서(5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기기(41)는, 도난방지장치(21)로부터 도난발생신호를 수신하면, 이동통신장치(49)를 사용하여, 경찰이나 경비회사 등에 차량M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 것을 통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외부와의 정보의 교환이나, 경찰이나 경비회사 등으로의 통보에 대해서는, 토요타자동차주식회사가 개발한 정보 네트워크 서비스 "G-BOOK" 등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 정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면, 멀티미디어기기(41)는 물론 이거니와, 도난방지장치(21)에 대해서의 원격조작을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음은,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메인동작(①)을 제2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휴대용송신기(26) 등의 송신기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수신한 신호에 EEPROM(23)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와 일치하는 ID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
일치하는 ID코드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상기 수신한 신호에 잠금지령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3)〕, 잠금지령코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27)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M의 모든 도어가 닫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4)〕.
차량M의 모든 도어가 닫혀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보디ECU(29)에 도어잠금지시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어를 잠그고〔스텝(S5)〕, 플래그(f1)를 1로 함으로 써, 경계모드를 설정하고〔스텝(S6)〕, 침입검출센서(36)을 작동시켜〔스텝(S7)〕, 경계모드설정중처리를 수행하고〔스텝(S8), 제3도 참조〕, 그 후 다른 처리로 이동한다〔스텝(S9)〕.
한편, 모든 도어가 닫혀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플래그(f1)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0)〕, 플래그(f1)가 1이라(즉, 경계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8)으로 진행하여, 경계모드설정중처리를 수행하고, 한편 플래그(f1)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8)을 건너뛰고, 스텝(S9)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S3)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신호에 잠금지령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잠금해제지령코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보디ECU(29)에 도어잠금해제지시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어를 잠금해제하여〔스텝(S11)〕, 플래그(f1)를 0으로 함으로써, 경계모드를 해제하여〔스텝(S12)〕, 침입검출센서(36)의 작동을 종료시키고〔스텝(S13)〕, 그 후 다른 처리로 이동한다〔스텝(S9)〕.
또한, 스텝(S1)에 있어서, 휴대용송신기(26) 등의 송신기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경우나, 스텝(S2)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에 EEPROM(23)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와 일치하는 ID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10)으로 진행하여, 플래그(f1)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은,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경계모드설정중처리" 동작(①-a)을 제3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2)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1)〕.
플래그(f2)가 1이 아니(즉,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은 검출되어 있지 않다)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침입검출센서(36)에 의해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22)〕, 침입물, 또는 접근물이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플래그(f2)를 1로 하여〔스텝(S23)〕, 타이머 t1을 0으로 하고 스타트시켜〔스텝(S24)〕, 호흡검출센서(37)를 작동시킨다〔스텝(S25)〕. 또한, 침입물, 또는 접근물을 위협하기 위해서, 인디케이터(38)를 점등시키거나〔스텝(S26)〕, 경보음발생장치(39)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킨다〔스텝(S27)〕.
다음은, 호흡검출센서(37)에 의해 호흡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28)〕, 호흡이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이 절도범이라고 간주하여, 멀티미디어기기(41)에 대해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부에 통보한다〔스텝(S29)〕. 또한, 멀티미디어기기(41)의 표시패널로 경고표시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호흡이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타이머 t1이 소정의 기간 t1'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30)〕, 타이머 t1이 소정의 기간 t1'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호흡검출센서(37)의 작동을 종료시키고〔스텝(S31)〕, 인디케이터(38)를 소등시켜〔스텝(S32)〕, 경보음발생장치(39)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시키고〔스텝(S33)〕, 그 후 플래그(f2)를 0으로 한다〔스텝(S34) 〕. 한편, 스텝(S30)에 있어서, 타이머 t1이 소정의 기간 t1'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①-a)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21)에 있어서, 플래그(f2)가 1이라(즉,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이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22∼S27)을 건너뛰고, 스텝(S28)으로 진행하여, 호흡검출센서(37)에 의해 호흡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스텝(S22)에 있어서,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은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①-a)을 종료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침입검출센서(36)로부터의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의 유무에 관한 정보뿐만이 아니라, 호흡검출센서(37)로부터의 호흡의 유무에 관한 정보(즉, 차량M으로의 침입물, 또는 접근물이 적어도 인간일 가능성이 있는지의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M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적어도 침입물, 또는 접근물이 인간일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호흡검출센서를 채용하고 있지만, 상기 수단은 호흡검출센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온도(예를 들면, 35∼40℃)를 검출하는 체온검출센서나, 차량M(예를 들면, 도어핸들)으로의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센서,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등이어도 좋다.
상기 수단으로서 카메라를 채용할 경우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적이 되는 침입물, 또는 접근물의 움직임(특히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검증함으로써, 침입물, 또는 접근물이 차량을 도난하려고 하고 있는 자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보다 더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둑질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차량M의 옆을 지나가는 자는, 차량M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는 거의 이동하지 않고, 차량M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차량M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또는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큰 것)은, 도난을 하려고 하고 있는 자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기 수단으로서 카메라를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절도범이 찍힌 화상데이터를 경비회사 등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차량M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하면, 경비회사 등으로 통보할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판단을 하였을 경우의 처치로서는, 외부로의 통보로 한정할 필요는 없고,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보디ECU(29)나, 엔진ECU(30),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각종 램프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램프ECU(도시하지 않음), 각종 미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미터ECU(도시하지 않음) 등에 도난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어의 잠금해제를 수행할 수 없게 하거나, 변속할 수 없게 하거나, 난방의 지시를 내려도 냉방이 구동하거나, 에어백을 열게 하거나, 램프의 점등을 금지하거나, 미터(예를 들면, 스피드미터, 태코미터)의 가동을 금지하거나 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이들 금지 제어 등을 실현하려면, 각 ECU를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에, 이들 제어를 행하는 수단을 가진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기기(41)의 표시패널(46b)에 표 시된 화면 등을 통해서, 침입검출센서(36)나 호흡검출센서〔(37) 체온검출센서, 접촉센서, 카메라〕에 의한 검출 에리어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제4도는,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여기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도난방지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61)은 도난방지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난방지장치(61)는 마이크로컴퓨터(62)와, EEPROM(23)과, 휴대용송신기(26)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테나(25)는 수신수단(24)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62)에는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27)와, 도어잠금상태검출센서(28)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22)로는 도어의 개폐상태, 및 도어의 잠금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62)는 버스라인 BL에 접속되어 있고, 버스라인 BL을 통하여, 보디ECU(29)나, 엔진ECU(30),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시트ECU(33), 스티어링록ECU(34), 도어미러ECU(35) 등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62)에는, 차량M의 경사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경사센서(63)와, 인디케이터(38)와, 경보음발생장치(3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62)는 멀티미디어기기(41)의 마이크로컴퓨터(42)와도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4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62)가 행하는 메인동작(②)을 제5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메인동작(②)은,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메인동작(①)과 스텝(S7, S8, S13)을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5도는,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6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62)가 행하는 메인동작(②)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단, 마이크로컴퓨터(62)가 행하는 메인동작(②)은, 제2도에 나타낸 스텝(S7, S8, S13)을 제외하고,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처리동작(①)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다른 스텝〔(S7a), (S8a) 제6도 참조, (S13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S7a)에서는, 경사센서(63)를 작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하고, 스텝(S13a)에서는, 경사센서(63)의 작동을 종료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6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62)가 행하는 "경계모드설정중처리" 동작(②-a)을 제6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경사센서(63)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M의 경사정도θ를 산출하고〔스텝(S41)〕, 산출한 경사정도θ는 소정값θ'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42)〕.
경사정도θ가 소정값θ'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차량M이 견인차 등으로 도난당하려 하고 있다고 간주하여, 절도범을 위협하기 위해서, 인디케이터(38)를 점등시키거나〔스텝(S43)〕, 경보음발생장치(39)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스텝(S44)〕, 멀티미디어기기(41)에 대해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부에 통보한다〔스텝(S45)〕. 한편, 경사정도θ가 소정값θ'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②-a)을 종료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차량M의 경사정도θ에 의거하여, 차량M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견인차 등을 사용한 차량도난을 정밀도가 좋게 검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견인차 등을 사용한 차량도난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경사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경사정도에 의거하여 행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차량M에 미치는 충격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충격검출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충격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판단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사정도나 충격정도 뿐만이 아니라, 차량M의 속도정보를 고려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견인차 등에 의한 도난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보다 정밀도가 좋게 할 수가 있다.
제7도는,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여기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도난방지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71)은 도난방지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난방지장치(71)는 마이크로컴퓨터(72)와, EEPROM(23)과, 휴대용송신기(26)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24)과, 차량M의 사용권한자의 지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지문정보기억수단(73)과, 차량M의 사용권한자의 성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성문정보기억수단(7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테나(25)는 수신수단(24)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72)에는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27)와, 도어잠금상태검출센서(28)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72)로는 도어의 개폐상태, 및 도어의 잠금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72)는 버스라인 BL에 접속되어 있고, 버스라인 BL을 통하여, 보디ECU(29)나, 엔진ECU(30),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시트ECU(33), 스티어링록ECU(34), 도어미러ECU(35) 등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72)에는, 침입검출센서(36)와, 호흡검출센서(37)와, 인디케이터(38)와, 경보음발생장치(39)와, 차량M의 사용희망자의 지문을 취득하기 위한 지문취득수단(75)과, 차량M의 사용희망자의 음성을 취득하기 위한 음성취득수단〔마이크 (76)〕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72)는 멀티미디어기기(41)의 마이크로컴퓨터(42)와도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4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7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72)가 행하는 메인동작(③)을 제8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마이크로컴퓨터(72)가 행하는 메인동작(③)은, 제2도에 나타낸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처리동작(①)과 일부를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72)는, 스텝(S6)에서 플래그(f1)를 1로 함으로써, 경계모드를 설정한 후, 보디ECU(29), 엔진ECU(30),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시트ECU(33), 스티어링록ECU(34), 도어미러ECU(35) 등에 대하여, 작동금지신호를 송신하고〔스텝(S51)〕, 그 후 스텝(S7)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작동금지신호는, 각 ECU에 할당되어진 식별번호에 부가하여 송신되도록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식별번호 "01"로 작동금지신호를 부가한 신호가 버스라인 BL로 공급되면, 보디ECU(29)의 작동은 금지되며, 또한 식별번호 "02"로 작동금지번호를 부가한 신호가 버스라인 BL로 공급되면, 엔진ECU(30)의 작동이 금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72)는, 스텝(S12)에서 플래그(f1)를 0으로 함으로써, 경계모드를 해제하고, 스텝(S13)에서 침입검출센서(36)의 작동을 종료시킨 후, 경계모드해제후처리를 수행하여〔스텝(S52), 제9도 참조〕, 그 후 스텝(S9)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7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72)가 행하는 "경계모드해제후처리" 동작(③-a)을 제9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지문취득수단(75)으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M의 사용희망자의 지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스텝(S61)〕, 다음은 취득한 지문정보, 및 지문정보기억수단(73)에 기억되어 있는 지문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의 사용희망자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2)〕.
차량M의 사용희망자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은, 사용희망자가 사용권한자인 것이 지문에 의해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3)를 1로 하고〔스텝(S63)〕, 이어서 음성취득수단(76)으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M의 사용희망자의 성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스텝(S64)〕, 다음은 취득한 성문정보, 및 성문정보기억수단(74)에 기억되어 있는 성문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의 사용희망자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5)〕. 한편, 스텝(S62)에 있어서, 지문으로는 인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63)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64)으로 진행한다.
스텝(S65)에 있어서, 차량M의 사용희망자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은 사용희망자가 사용권한자인 것이 성문에 의해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4)를 1로 하고〔스텝(S66)〕, 그 후 스텝(S67)으로 이동한다. 한편, 성문으로는 인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66)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67)으로 진행한다.
스텝(S67)에서는, 플래그(f3, f4)가 모두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플래그(f3, f4)가 모두 1이라(즉, 지문, 성문 모두가 인증되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스텝〔(S51) 제8도 참조〕에서 작동금지제어한 모든 ECU에 대하여, 작동허가신호를 송신하고〔스텝(S68)〕, 그 후 플래그(f3, f4)를 0으로 한다〔스텝(S69)〕.
더욱이, 작동허가신호는, 작동금지신호와 동일하게, 각 ECU에 할당되어진 식별번호에 부가하여 송신되도록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식별번호 "01"에 작동허가신호를 부가한 신호가 버스라인 BL로 공급되면, 보디ECU(29)의 작동은 허가되며, 또 한 식별번호 "02"에 작동허가번호를 부가한 신호가 버스라인 BL로 공급되면, 엔진ECU(30)의 작동이 허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텝(S67)에 있어서, 플래그(f3, f4) 중 어느 한쪽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플래그(f3, f4) 중 어느 한쪽이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70)〕, 플래그(f3, f4) 중 어느 한쪽이 1이라(즉, 지문, 성문 모두가 인증되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스텝〔(S51) 제8도 참조〕에서 작동금지제어한 ECU의 일부에 대하여, 작동허가신호를 송신하고〔스텝(S71)〕, 그 후 플래그(f3, f4)를 0으로 한다〔스텝(S69)〕. 또한, 스텝(S70)에 있어서, 플래그(f3, f4) 모두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어느 ECU에 대하여서도 작동허가신호를 송신하는 일 없이, 플래그(f3, f4)를 0으로 한다〔스텝(S69)〕.
상기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생체(여기에서는, 지문 및 성문)에 관한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의 인증이 실행되기 때문에, 차량M의 사용희망자는 인증용으로 특별한 것을 소지하지 않아도 좋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지문이나 성문은, 사람마다 각자 다르기 때문에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생체에 관한 생체정보로서, 지문정보, 성문정보를 채용하고 있지만, 생체정보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얼굴 등의 화상정보 등이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스텝(S71)에 있어서, 도어잠금기능이나, 네비게이션장치(또는 오디오장치) 등의 입력부를 가진 장치의 일부의 기능(입력기능 등)을 해제하고, 미리 설정하여 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할 수가 있는 상태로 하여, 정규의 비밀번호가 입력이 되(즉, 개인인증에 의해 차량M의 사용희망자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 것으로 인정된다)면, 평상시대로 차량M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도록(예를 들면, 모든 ECU에 대하여 작동허가신호를 송신한다) 하여도 좋다. 더욱이, 개인인증에 대해서는,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미리 설정하여 둔 CD 등의 삽입동작 등이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보조적인 의미가 강한 개인인증으로, 차량M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였을 경우(즉, 경계모드를 해제하였을 경우)에는, 무선통신수단 등을 사용하여, 경비회사나 차량M의 사용권한자(예를 들면, 차량M의 소유자) 등에게 확인할 목적으로 그 취지를 연락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복수의 다른 생체(여기에서는, 지문, 성문)에 관한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의 인증을 실행하여, 모든 생체에서 인증되었을 경우에, 모든 ECU의 작동을 허가하고, 한편, 일부의 생체에서만 인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일부의 ECU만의 작동을 허가하도록 하여, 작동허가범위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하나의 생체(예를 들면, 성문)에 관한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그 인증 레벨에 의해, 작동허가범위의 차별화를 도모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차량M의 사용희망자가, 99% 이상의 레벨로 차량M의 사용권한자로 인정되는 경우, 모든 ECU의 작동을 허가하고, 차량M의 사용희망자가, 90% 이상 99% 미만의 레벨로 차량M의 사용권한자로 인정되는 경우, ECU의 일부만의 작동을 허가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주차시의 파워오프모드에서는, 절전하기 위해서는 생체인증용기기(예를 들면, 지문취득수단(75), 음성취득수단(76), 안면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등)는 OFF상태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차량M의 주위를 감시하는 센서 등을 설치하여,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검지되었을 때에 이들 기기의 작동을 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특히 카메라는 소비전력이 크기 때문에, 작동시간을 제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생체인증을 함으로써, 차량M으로의 접근자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생체에 의한 인증이 얻어졌을 경우에는 경계모드를 해제하거나, 도어잠금을 해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순조로운 승차를 실현할 수가 있다.
제10도는,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여기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도난방지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81)은 도난방지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난방지장치(81)는 마이크로컴퓨터(82)와, EEPROM(23)과, 휴대용송신기(26)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테나(25)는 수신수단(24)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82)에는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27)와, 도어잠금상태검출센서(28)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82)로는 도어의 개폐 상태, 및 도어의 잠금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82)는 버스라인 BL에 접속되어 있고, 버스라인 BL을 통하여, 보디ECU(29A)나, 엔진ECU(30A),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시트ECU(33A), 스티어링록ECU(34A), 도어미러ECU(35A) 등과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각 ECU에는 각자의 식별번호가 할당되어 있고, 보디ECU(29A)에는 식별번호 "01", 엔진ECU(30A)에는 식별번호 "02", 에어컨ECU(31)에는 식별번호 "03", 에어백ECU(32)에는 식별번호 "04", 시트ECU(33A)에는 식별번호 "05", 스티어링록ECU(34A)에는 식별번호 "06", 도어미러ECU(35A)에는 식별번호 "07"이 할당되어 있다.
보디ECU(29A)는,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윈도를 스모그화하는 기능을 가지며, 한편,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윈도의 스모그화를 해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엔진ECU(30A)는,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기어를 주차에 고정하는 기능을 가지며, 한편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기어의 고정을 해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트ECU(33A)는,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시트위치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는(또는 시트의 등받이부분을 앞으로 숙인다) 기능을 가지며, 한편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시트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티어링록ECU(34A)는,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경계신호를 수신 하면, 핸들을 잠그는 기능을 가지며, 한편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핸들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어미러ECU(35A)는,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도어미러를 닫는 기능(또는 도어미러의 열기 조작을 금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한편 자신의 ECU 앞으로 보내져 온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도어미러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82)에는, 침입검출센서(36)과, 호흡검출센서(37)와, 인디케이터(38)와, 경보음발생장치(3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82)는 멀티미디어기기(41)의 마이크로컴퓨터(42)와도 접속되어 있어, 마이크로컴퓨터(4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8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82)가 행하는 메인동작(④)을 제11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마이크로컴퓨터(82)가 행하는 메인동작(④)은, 제2도에 나타낸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처리동작(①)과 일부를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82)는, 스텝(S6)에서 플래그(f1)를 1로 함으로써, 경계모드를 설정한 후, 타이머 t2를 0으로 하여 스타트시키고〔스텝(S81)〕, 그 후 스텝(S7)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82)는, 스텝(S10)에서 플래그(f1)가 1이라(즉, 경계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2가 소정의 기간 t2'(예를 들면, 3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82)〕, 타이머 t2가 소정의 기간 t2'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서, 보디ECU(29A), 엔진ECU(30A), 시트ECU(33A), 스티어링록ECU(34A), 도어미러ECU(35A) 등에 대하여, 경계신호를 송신하고〔스텝(S83)〕, 그 후 스텝(S8)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타이머 t2가 소정의 기간 t2'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스텝(S8)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경계신호는, 각 ECU에 할당되어진 식별번호에 부가하여 송신되도록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식별번호 "01"에 경계신호를 부가한 신호가 버스라인 BL로 공급되면, 보디ECU(29A)에 의해 윈도가 스모그화 되고, 또한 식별번호 "02"에 경계신호를 부가한 신호가 버스라인 BL로 공급되면, 엔진ECU(30A)에 의해 기어가 주차에 고정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82)는, 스텝(S12)에서 플래그(f1)를 0으로 함으로써, 경계모드를 해제하고, 스텝(S13)에서 침입검출센서(36)의 작동을 종료시킨 후, 보디ECU(29A), 엔진ECU(30A), 시트ECU(33A), 스티어링록ECU(34A), 도어미러ECU(35A) 등에 대하여, 해제신호를 송신하고〔스텝(S84)〕, 그 후 스텝(S9)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경계모드가 설정되고 나서, 소정의 기간 t2'가 경과하면, 각 ECU에 대하여, 경계신호가 출력되고, 각 ECU에 의해,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예를 들면, 시트위치가 앞쪽으로 이동되어, 차량에 타기 어려운 상태)가 실현된다.
또한,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도난이 검지되었을 때(예를 들면, 침입자가 검지되었을 때)가 아니라, 도난이 검지되기 전에 실현할 수가 있다. 따라서, 만일 도난자가 침입검출센서 등을 잔꾀를 부려, 차량으로의 침입을 검출되지 않게 하였다 하더라도, 정상적인 상태로 차량을 손에 넣을 수가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을 도난하려는 자의 도난할 의욕을 감퇴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경계모드를 설정한 후, 소정의 기간 t2'가 경과하고 나서, 경계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계모드를 설정한 후, 소정의 기간 t2'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경계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서, 윈도를 스모그화시키거나, 기어를 고정시키거나, 시트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핸들을 잠그거나, 도어미러를 닫거나 하는 경우에 대하여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는 이러한 상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외의 상태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배터리의 충전을 금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경계모드에 다른 2단계 이상의 레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레벨에 따라, 차량 환경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경계모드에 다른 2단계의 레벨을 설치하여, 레벨이 높은 쪽에서는, 경계모드의 설정시 시트나 스티어링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주행에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실현하고, 한편 레벨이 낮은 쪽에서는, 경계모드의 설정시에는 시트나 스티어링의 위치는 이동시키지 않고, 그 후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예를 들면, 차량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시트나 스티어링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시트의 등받이부분을 앞으로 숙이거나 하여, 침입자를 잡을 수가 있는 상태를 실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경계모드가 설정된 타이밍이나, 차량M이 도난상태에 처한 타이밍 등으로, 도어윈도를 스모그화시키거나, 램프의 점등을 금지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 제어지시를 통신수단을 통하여, 외부(예를 들면, 경비회사나 소유자 등)로부터 원격조작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원격조작에 대해서는, 상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도난상태가 검지되었을 경우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도는,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여기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도난방지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91)은 도난방지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난방지장치(91)는 마이크로컴퓨터(92)와, EEPROM(23)과, 휴대용송신기(26)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테나(25)는 수신수단(24)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92)에는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27)와, 도어잠금상태검출센서(28)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92)로는 도어의 개폐 상태, 및 도어의 잠금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92)는 버스라인 BL에 접속되어 있고, 버스라인 BL을 통하여, 보디ECU 29나, 엔진ECU 30,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시트ECU(33), 스티어링록ECU(34), 도어미러ECU(35) 등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92)에는, 차량M의 주변(예를 들면, 1∼30m정도의 범위내)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센서(93)와, 차량M의 주위(예를 들면, 0∼1m정도의 범위내)를 감시하기 위한 모션센서〔(94) 예를 들면, 전파식센서〕와, 인디케이터(38)와, 경보음발생장치(39)와, 차량M에 미치는 충격을 검지하기 위한 충격센서(95)와, 차량M의 주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96)가 접속되어 있다. 제13도는, 주변감시센서(93)의 검출범위와, 모션센서(94)의 검출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92)는 멀티미디어기기(101)의 마이크로컴퓨터(102)와도 접속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10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멀티미디어기기(101)는 하드디스크(103)를 가지고 있으며, 각종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92)가 행하는 메인동작(⑤)을 제14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메인동작(⑤)은,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메인동작(①)과 스텝(S7, S8, S13)을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다른 스텝〔(S7b), (S8b) 제15도 참조, (S13b)〕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S7b)에서 는, 주변감시센서(93)를 작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하고, 스텝(S13b)에서는, 주변감시센서(93)의 작동을 종료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은,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9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92)가 행하는 "경계모드설정중처리" 동작(⑤-a)을 제15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플래그(f5)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플래그(f5)가 1일 경우,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 접근물이 검출된 것을 나타낸다)〔스텝(S91)〕.
플래그(f5)가 1이 아니(즉, 차량M으로의 접근물T는 검출되어 있지 않다)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주변감시센서(93)에 의해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92)〕, 접근물T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주변감시센서(9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접근물T가 인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3)〕. 더욱이, 접근물T가 인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접근물T의 속도가 10km/h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스텝(S93)에 있어서, 접근물T가 인간이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접근물T가 차량M에 이상 접근하고 있는지의 여부(예를 들면, 차량M으로부터 2m의 범위내에 들어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94)〕, 접근물T가 이상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 접근물T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5)를 1로 하여〔스텝(S95)〕, 차량M의 주위를 감시하는 모션센서(94)를 작동시키고〔스텝(S96)〕, 그 후 모션센서(94)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접 근물T가 차량M의 주위에서 어떠한 작업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텝(S97)〕.
더욱이, 모션센서(94)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접근물T가 차량M의 주위에서 어떠한 작업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모션센서(94)로 접근물T가 검지되는 시간이 긴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검지시간이 길 경우에는, 접근물T는 단순한 통행인이 아니라, 주위를 배회하고 있는 사람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접근물T가 차량M의 주위에서 어떠한 작업을 행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접근물T를 불심자로 판정하여, 불심자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6)를 1로 하고〔스텝(S98)〕, 카메라(96)를 ON으로 하여, 차량M의 주위를 정기적으로 촬영하고〔스텝(S99)〕, 불심자를 위협하기 위해서 인디케이터(38)를 점등시키거나〔스텝(S100)〕, 경보음발생장치(39)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키고〔스텝(S101)〕, 그 후 스텝〔(S106) 제15b도〕으로 진행한다. 더욱이, 카메라(96)로부터 얻어진 화상데이터에 대해서는, 멀티미디어기기(101)로 출력하여, 하드디스크(103)에 일시 보존하도록 한다.
한편, 스텝(92)에 있어서, 접근물T는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거나, 스텝(S93)에 있어서, 접근물T는 인간이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스텝(S94)에 있어서, 접근물T는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지는 않다고 판단하거나, 또한 스텝(S97)에 있어서, 접근물T는 불심자가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동작(⑤-a)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91)에 있어서, 플래그(f5)가 1이라(즉,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 접근물T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플래그(f6)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2)〕. 플래그(f6)가 1이라(즉, 불심자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106) 제15b도〕으로 진행한다. 한편, 플래그(f6)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접근물T는 지금도 여전히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3)〕.
접근물T가 지금도 여전히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스텝(S97)으로 진행하여, 접근물T가 불심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접근물T는 차량M으로부터 멀어졌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모션센서(94)을 OFF로 하여〔스텝(S104)〕, 플래그(f5)를 0으로 하고〔스텝(S105)〕, 그 후 처리동작(⑤-a)을 종료한다.
스텝〔(S106) 제15b도〕에서는, 여기에서의 도난검지수단이 되는 충격센서(95)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에 충격이 미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M에 충격이 미치고 있다고 판단하면, 차량M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간주하고, 멀티미디어기기(101)에 대해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부에 통보한다〔스텝(S103)〕. 또한, 멀티미디어기기(101)의 표시패널로 경고표시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차량M에 충격이 미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접근물T는 지금도 여전히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04)〕, 접근물T가 지금도 여전히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 리동작(⑤-a)을 종료하고, 한편 접근물T는 차량M으로부터 멀어졌다고 판단하면, 하드디스크(103)에 기억시킨 화상데이터를 소거시키고〔스텝(S105)〕, 인디케이터(38)를 소등시켜〔스텝(S106)〕, 경보음발생장치(39)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시켜〔스텝(S107)〕, 모션센서(94)를 OFF로 하고〔스텝(S108)〕, 플래그(f5, f6)를 0으로 하여〔스텝(S109)〕, 처리동작(⑤-a)을 종료한다.
상기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차량M의 주위(예를 들면, 0∼1m정도의 범위내)에 존재하는 물체가 불심자인지의 여부(예를 들면, 모션센서(94)에 의해 검지되어 있을 시간이 긴지의 여부)라는 것 뿐만이 아니라, 상기 물체가 차량M의 주변(예를 들면, 1∼30m정도의 범위내)에 접근해 온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되고, 차량M의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가 불심자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모션센서(94)에 의한 감시가 개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충격센서(95)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뿐만이 아니라,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는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M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도난검지수단으로서, 충격센서(95)를 채용하고 있지만, 도난검지수단은 충격센서(95)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센서로도 좋고, 예를 들면 차량M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경사센서나, 차량M에 있어서의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센서 등이어도 좋다.
제16도는,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 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여기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도난방지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111)은 도난방지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난방지장치(111)는 마이크로컴퓨터(112)와, EEPROM(23)과, 휴대용송신기(26)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테나(25)는 수신수단(24)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12)에는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27)와, 도어잠금상태검출센서(28)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12)로는 도어의 개폐상태, 및 도어의 잠금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12)는 버스라인 BL에 접속되어 있고, 버스라인 BL을 통하여, 보디ECU(29)나, 엔진ECU(30),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시트ECU(33), 스티어링록ECU(34), 도어미러ECU(35) 등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12)에는, 차량M의 주위(예를 들면, 0∼1m정도의 범위내)를 감시하기 위한 모션센서〔(121) 예를 들면, 전파식센서〕와, 인디케이터(38)와, 경보음발생장치(3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12)는 멀티미디어기기(41)의 마이크로컴퓨터(42)와도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4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7도는, 모션센서(12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모션센서(121)는 안테나(122)와, 수신회로(123)와, 주파수 100Hz 이하의 신호를 취득하기 위한 필터(124)와, 주파수 1Hz 이하의 신호를 취득하기 위한 필터(125)와, 스윗치(126)와, 스윗치(127)와, 마이크로컴퓨터(12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28)는 스윗치(126, 127)의 ON/OFF를 변환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스윗치(127)를 ON상태로 하였을 경우에는, 100Hz이하의 대역의 신호를 취득하여, 20∼100Hz의 신호로 나타나는 사람의 손의 움직임을 검지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에, 차량M으로의 접근물T를 검지할 수가 있고, 한편 스윗치(126)를 ON상태로 하였을 경우에는, 1Hz 이하의 대역의 신호를 취득하여, 사람이 호흡시에 0.5Hz정도의 신호로 나타나는 가슴의 움직임을 검지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에, 접근물T의 호흡을 검지할 수가 있다.
다음은,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행하는 메인동작(⑥)을 제18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메인동작(⑥)은,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메인동작(①)과 스텝(S7, S8, S13)을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다른 스텝〔(S7c), (S8c) 제19도 참조, (S13c)〕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S7c)에서는, 모션센서〔(121) 이 때, 스윗치(126)을 OFF상태로 하고, 스윗치(127)을 ON상태로 한다〕을 작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하고, 스텝(S13c)에서는, 모션센서(121)의 작동을 종료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은,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1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행하는 "경계모드설정중처리" 동작(⑥-a)을 제19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7) 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11)〕.
플래그(f7)가 1이 아니라(즉, 차량M으로의 접근물T는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모션센서(121)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12)〕, 접근물T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플래그(f7)를 1로 하고〔스텝(S113)〕, 타이머 t3을 0으로 하여 스타트시키고〔스텝(S114)〕, 접근물T를 위협하기 위해서, 인디케이터(38)를 점등시키거나〔스텝(S115)〕, 경보음발생장치(39)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키고〔스텝(S116)〕, 스윗치(127)를 OFF상태로 하고, 스윗치(126)를 ON상태로 함으로써, 접근물T의 호흡을 검지 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스텝(S117)〕.
다음은, 모션센서(121)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호흡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18)〕, 호흡이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절도범이라고 간주하고, 멀티미디어기기(41)에 대해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부에 통보한다〔스텝(S119)〕. 또한, 멀티미디어기기(41)의 표시패널로 경고표시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호흡이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타이머 t3이 소정의 기간 t3'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20)〕, 타이머 t3이 소정의 기간 t3'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스윗치(126)를 OFF상태로 하고, 스윗치(127)를 ON상태로 함으로써, 차량M으로의 접근물을 검지 할 수 있는 상태로 하여〔스텝(S121)〕, 인디케이터(38)를 소등시키고〔스텝(S122)〕, 경보음발생장치(39)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시키고〔스텝(S123)〕, 그 후 플래그(f7)를 0으로 한다〔스텝(S124)〕. 한편, 스텝(S120)에 있어서, 타이머 t3이 소정의 기간 t3'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⑥-a)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111)에 있어서, 플래그(f7)가 1이라(즉,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112∼S117)을 건너뛰고, 스텝(S118)으로 진행하여, 호흡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스텝(S112)에 있어서,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⑥-a)을 종료한다.
상기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차량M으로의 접근물T의 유무에 관한 정보뿐만이 아니라, 접근물T가 인간일 가능성이 있는 것인지의 정보(여기에서는, 호흡의 유무)를 고려하여,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불심자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와, 접근물T가 인간일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는 모두, 모션센서(121)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이기 때문에, 다른 감시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때, 검지하고 싶은 움직임의 종류(예를 들면, 손의 움직임이나 가슴의 움직임 등)에 따라, 모션센서의 필터를 전환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도가 높은 검지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접근물검지와 호흡검지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들 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차량M의 주위감시수단으로서, 모션센서(121)를 채용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체온검출수단(예를 들면, 적외선센서)을 채용하여, 35∼40℃정도의 물체의 접근을 검지하고, 접근물을 검지한 후에는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인간일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때, 적외선센서의 검출소자를 복수로 설치하여, 초기의 감시상태에서는 검출소자를 부분적으로 동작시켜, 소수의 검출소자로 생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생물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모든 검출소자를 동작시켜 생물의 형태나 움직임을 검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시킴은 물론 검지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0도는,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여기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도난방지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131)은 감시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감시장치(131)는 마이크로컴퓨터(132)와, EEPROM(23)과, 휴대용송신기(26)으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테나(25)는 수신수단(24)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32)에는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27)와, 도어잠금상태검출센서(28)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32)로는 도어의 개폐상태, 및 도어의 잠금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32)는 버스라인 BL에 접속되어 있고, 버스라인 BL을 통하여, 보디ECU(29)나, 엔진ECU(30),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시트ECU(33), 스티어링록ECU(34), 도어미러ECU(35) 등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32)에는, 차량M의 주변(예를 들면, 1∼30m정도의 범위내)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센서(133)와, 인디케이터(38)와, 경보음발생장치(39)와, 차량M에 미치는 충격을 검지하기 위한 충격센서(134)와, 차량M의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3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32)는 멀티미디어기기(101)의 마이크로컴퓨터(102)와도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0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멀티미디어기기(101)는 하드디스크(103)를 가지고 있고, 각종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행하는 메인동작(⑦)을 제21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메인동작(⑦)은,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메인동작(①)과 스텝(S7, S8, S13)을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다른 스텝〔(S7d), (S8d) 제22도 참조, (S13d)〕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S7d)에서는, 주변감시센서(133)를 작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하고, 스텝(S13d)에서는, 주변감시센서(133)의 작동을 종료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은,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13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행하는 "경계모드설정중처리" 동작(⑦-a)을 제22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 차량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8)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31)〕.
플래그(f8)가 1이 아니라(즉,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 차량은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주변감시센서(133)에 의해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32)〕, 접근물T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주변감시센서(9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접근물T가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33)〕. 더욱이, 접근물T가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접근물T의 속도가 10km/h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스텝(S133)에 있어서, 접근물T가 차량이라고 판단하면, 카메라(135)를 ON으로 하여〔스텝(S134)〕, 차량M의 주변을 정기적(예를 들면, 1초마다)으로 촬영한다〔스텝(S135)〕. 다음은 접근물T인 타차량이 차량M에 이상 접근하고 있는지의 여부(예를 들면, 차량M으로부터 5m의 범위내에 들어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36)〕, 접근물T인 타차량이 이상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타차량이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8)를 1로 하고〔스텝(S137)〕, 더욱 짧은 간격으로 차량M의 주변을 연속적으로 촬영한다〔스텝(S138)〕. 더욱이, 카메라(135)로부터 얻어진 화상데이터에 대해서는, 멀티미디어기기(101)로 출력하여, 하드디스크(103)에 일시 보존하도록 한다.
다음은, 여기에서의 충돌검지수단이 되는 충격센서(134)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에 충격이 미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39)〕, 차량M에 충격이 미치고 있다고 판단하면, 접근물T인 타차량이 차량M에 충돌하였다고 간주하여, 멀티미디어기기(101)에 대해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부에 통보한다〔스텝(S140)〕. 또한, 멀티미디어기기(101)의 표시패널로 경고표시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차량M에 충격이 미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접근물T인 타차량은 지금도 여전히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41)〕, 접근물T인 타차량이 지금도 여전히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⑦-a)을 종료하고, 한편 접근물T인 타차량은 차량M으로부터 멀어졌다고 판단하면, 하드디스크(103)에 기억시킨 화상데이터를 소거시키고〔스텝(S142)〕, 플래그(f8)를 0으로 하여〔스텝(S143)〕, 처리동작(⑦-a)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132)에 있어서, 접근물T는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거나, 스텝(S133)에 있어서, 접근물T는 차량이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또한 스텝(S136)에 있어서, 접근물T인 타차량은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지는 않다고 판단하였을 경우는, 그대로 처리동작(⑦-a)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131)에 있어서, 플래그(f8)가 1이라(즉, 차량M에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는 타차량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주변감시센서(13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지금도 여전히 타차량이 차량M에 접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44)〕, 타차량이 차량M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135)으로 진행하여 화상촬영을 행한다. 한편, 타차량은 차량M에 접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카메라(134)를 OFF로 하여〔스텝(S145)〕, 플래그(f8)를 0으로 하고〔스텝(S146)〕, 처리동작(⑦-a)을 종료한다.
상기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 의하면, 차량M의 주변(예를 들면, 1∼30m정도의 범위내)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센서(13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에 접근하는 타차량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차량M에 접근하는 타차량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카메라(135)에 의해 차량M의 주변의 촬영이 개시된다. 따라서, 차량M에 해를 끼치는 것을 화상으로써 촬영하여 둘 수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면, 뺑소니 행위를 한 사람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35)의 소비전력이 높기 때문에 차량M의 정지중에 계속하여 상시 작동시키는 것은 어렵지만, 카메라(135)에 의한 촬영이 개시되는 것은, 차량M에 접근하는 타차량이 검지되었을 때이기 때문에, 상기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서는, 접근물T인 타차량과 차량M과의 위치관계에 의거하여, 카메라(135)에 의한 촬영빈도를 변경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서는, 접근물T인 타차량의 속도에 의거하여, 카메라(135)에 의한 촬영빈도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서는, 접근물T가 차량일 경우에만, 카메라 촬영하도록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근물T의 종류에 관계없이, 예를 들면 접근물T가 인간일 경우에도 촬영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M에 못된 짓을 한 보행자를 특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충돌검지수단으로서, 충격센서(134)를 채용하고 있지만, 충돌검지수단은 충격센서(134)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센서이어도 좋고, 예 를 들면, 차량M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경사센서나, 차량M에 있어서의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센서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는, 차량M에 대한 뺑소니 등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지만, 도난방지장치로서 채용할 수도 있다.
제23도는,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여기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도난방지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141)은 감시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감시장치(141)는 마이크로컴퓨터(142)와, EEPROM(23)과, 휴대용송신기(26)로부터 송신 되어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24)과, 차량M의 사용권한자의 안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안면정보기억수단(14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테나(25)는 수신수단(24)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42)에는 도어개폐상태검출센서(27)와, 도어잠금상태검출센서(28)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42)로는 도어의 개폐상태, 및 도어의 잠금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42)는 버스라인 BL에 접속되어 있고, 버스라인 BL을 통하여, 보디ECU(29)나, 엔진ECU(30), 에어컨ECU(31), 에어백ECU(32), 시트ECU(33), 스티어링록ECU(34), 도어미러ECU(35) 등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42)에는, 차량M의 주위(예를 들면, 0∼1m정도의 범위내)를 감시하기 위한 모션센서〔(144) 예를 들면, 전파식센서〕와, 인디케이터(38) 와, 경보음발생장치(39)와, 차량M의 주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4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42)는 멀티미디어기기(101)의 마이크로컴퓨터(102)와도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0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멀티미디어기기(101)는 하드디스크(103)를 가지고 있고, 각종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142)가 행하는 메인동작(⑧)을 제24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메인동작(⑧)은, 도난방지장치(2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2)가 행하는 메인동작(①)과 스텝(S7, S8, S13)을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다른 스텝〔(S7e), (S8e) 제25도 참조, (S13e)〕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S7e)에서는, 모션센서(144)를 작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하고, 스텝(S13e)에서는, 모션센서(144)의 작동을 종료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은,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14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142)가 행하는 "경계모드설정중처리" 동작(⑧-a)을 제25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모션센서(144)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51)〕,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카메라(145)를 ON으로 하여 촬영을 개시하고〔스텝(S152)〕, 카메라(145)를 ON시킨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9)를 1로 한다〔스텝(S153)〕.
다음은 카메라(145)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정보, 및 안면정보기억수단(143)에 기억되어 있는 안면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접근물T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54)〕, 접근물T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즉, 생체에 의한 인증이 얻어졌다) 것으로 판단하면, 보디ECU(29)에 도어잠금해제지시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어를 잠금해제하고〔스텝(S155)〕, 플래그(f1)를 0으로 함으로써, 경계모드를 해제하고〔스텝(S156)〕, 카메라(145)를 OFF시켜〔스텝(S157)〕, 플래그(f9)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158)〕, 모션센서(144)를 OFF시켜〔스텝(S159)〕, 처리동작(⑧-a)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154)에 있어서, 접근물T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은 모션센서(144)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접근물T가 차량M의 주위에서 어떠한 작업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즉, 의심스러운 움직임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60)〕. 예를 들면, 제26도〔(a)〕에 나타낸 것처럼, 소정의 레벨 L1 이상의 신호를 검지하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 Δt1 이상일 경우나, 제26도〔(b)〕에 나타낸 것처럼, 소정의 레벨 L2 이상의 신호를 소정의 기간 Δt2 이내에 소정의 횟수 이상 검지하였을 경우, 접근물T가 차량M의 주위를 배회하고 있는 등의 어떠한 작업을 행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접근물T가 차량M의 주위에서 어떠한 작업을 행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접근물T는 불심자로 간주하여, 불심자를 위협하기 위해서, 인디케이터(38)를 점등시키고〔스텝(S161)〕, 경보음발생장치(39)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키고〔스텝(S162)〕, 인디케이터(38)를 점등시킨 것 등을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f10)를 1로 하여〔스텝(S163)〕, 멀티미디어기기(101)에 대해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함으 로써, 외부에 통보한다〔스텝(S164)〕. 또한, 멀티미디어기기(101)의 표시패널로 경고표시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S160)에 있어서, 접근물T는 차량M의 주위에서 작업은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예를 들면, 접근물T는 단순한 보행자이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플래그(f10)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65)〕, 플래그(f10)가 1이라고 판단하면, 인디케이터(38)를 소등시키고〔스텝(S166)〕, 경보음발생장치(39)를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시키고〔스텝(S167)〕, 플래그(f10)를 0으로 되돌려〔스텝(S168)〕, 처리동작(⑧-a)을 종료한다. 한편, 플래그(f10)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⑧-a)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151)에 있어서,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플래그(f9)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69)〕, 플래그(f9)가 1이라고 판단하면, 카메라(145)를 OFF로 하고〔스텝(S170)〕, 플래그(f9)를 0으로 되돌려〔스텝(S171)〕, 처리동작(⑧-a)을 종료한다. 한편, 플래그(f9)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⑧-a)을 종료한다.
상기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 의하면,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 것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카메라(145)를 ON으로 하여, 차량M의 주위의 촬영을 개시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신체적 특징인 안면화상에 의거하여, 접근물T가 차량M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의 인증을 실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차량M의 사용희망자는 인증용으로 특별한 것을 소지하지 않아도 좋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카메라(145)는 인증용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불심자의 검지에도 이용하기 때문에 매우 유익성이 높은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서는, 접근물T가 차량M의 주위에서 어떠한 작업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즉, 의심스러운 움직임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모션센서(144)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행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에서는, 카메라(145)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판단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감시장치는, 차량M의 주위에 존재하는 불심자 등을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난방지장치로서 이용하는 것도 할 수가 있다.
상기 제5∼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 또는 감시장치에서는, 차량M의 정지중에 주변감시센서(93, 133)이나, 모션센서(121, 144)를 ON으로 하고, 차량M의 주변을 감시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들 주변감시센서(93, 133)나, 모션센서(121, 144)를 계속하여 상시 작동시키면 소비전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들 센서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내리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송신신호의 송신시간이나 OFF시간에 대해서는, 감시해야할 최대거리(예를 들면, 30m)나 감시대상이 되는 물체의 속도(예를 들면, 60km/h) 등에 의거하여 설정함으로써, 적절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차량M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으로서, 주변감시센서나 모션센서를 채용하고 있지만, 다른 센서 등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카메라 등이어도 좋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근물T의 차량M으로의 접근상황(예를 들면, 접근물T의 속도, 접근물T의 거리, 접근물T가 차량, 인간중 어느 하나인지 등의 종류)에 의거하여, 간헐적인 작동의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접근물T가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간헐적으로 작동시키고, 한편 접근물T가 상기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는 경우에는 간헐적으로 작동을 중지하여, 연속적으로 작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비전력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접근물T를 적절하게 감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5∼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 또는 감시장치에서는, 차량M의 정지중에 주변감시센서(93, 133)나, 모션센서(121, 144)를 ON으로 하고, 차량M의 주변을 감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센서는 차량M에 많이 장비하였을 경우가, 360° 모든 방향에 존재하는 물체 등을 적절하게 감시 가능하게 되지만, 차량M에 장비할 수 있는 센서의 수는 제약된다. 그렇기 때문에 차량M의 주변에 존재하는 접근물을 모두 적절하게 감시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복수로 존재할 경우, 이들 접근물의 위험도를 산출하여, 위험도가 높은 접근물을 우선적으로 감시하도록 이들 센서를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차량M으로의 접근물의 감시를 복수의 센서로 분담하여 행하는 구성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소정의 센서로의 감시영역에 접근물이 복수로 존재할 경우에 상기 제어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차량M으로의 접근물이 복수로 존재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센서로의 감시영역에 존재하는 접근물이 1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상기 다른 제9실시예 및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91A, 91B)의 처리동작의 일부를 각각, 제27도 및 제28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91A)가 행하는 "경계모드설정중처리" 동작의 일부를 제27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주변감시센서(9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81)〕,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접근물T가 복수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82)〕. 한편,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이 처리동작을 종료한다.
접근물T는 복수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유일한 접근물T에 조준을 맞추어 감시하도록 주변감시센서(93)를 제어한다〔스텝(S183)〕. 한편, 접근물T는 복수로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이들 접근물T의 위험도를 산출하여〔스텝(S184)〕, 최대의 위험도를 가지는 접근물Tmax의 주위에 다른 접근물Tmin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85)〕.
더욱이, 접근물T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주변감시센서(9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으로부터의 거리, 접근물T의 종류(차량, 인간), 접근물T의 접근상황(접근물T의 속도) 등을 산출하여, 이들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차량M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쪽이 위험도가 높고, 인간보다 차량쪽이 위험도가 높고, 또한 접근물T의 속도가 큰쪽이 위험도가 높아진다.
접근물Tmax의 주위에 다른 접근물Tmin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접근물Tmax와 그 주위에 존재하는 다른 접근물Tmin을 감시할 수 있도록 주변감시센서(93)를 제어 한다〔스텝(S186)〕. 한편, 접근물Tmax의 주위에 다른 접근물Tmin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접근물Tmax에 조준을 맞추어 감시하도록 주변감시센서(93)를 제어한다〔스텝(S187)〕.
다음은,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91B)가 행하는 "경계모드설정중처리" 동작의 일부를 제28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주변감시센서(9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91)〕,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접근물T의 위험도를 산출한다〔스텝(S192)〕. 한편, 차량M으로의 접근물T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이 처리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은, 산출한 위험도에 의거하여, 위험도가 레벨 X 이상의 접근물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93)〕, 위험도가 레벨 X 이상의 접근물T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위험도가 레벨 X 이상의 접근물T가 복수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94)〕. 한편, 위험도가 레벨 X 이상의 접근물T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이 처리동작을 종료한다.
위험도가 레벨 X 이상의 접근물T는 복수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위험도가 레벨 X 이상인 유일한 접근물T에 조준을 맞추어 감시하도록 주변감시센서(93)를 제어한다〔스텝(S195)〕. 한편, 위험도가 레벨 X 이상인 접근물T는 복수로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최대의 위험도를 가지는 접근물Tmax의 위험도가 레벨 Y(>X)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96)〕.
접근물Tmax의 위험도가 레벨 Y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접근물Tmax에 조준을 맞추어, 연속적으로 감시하도록 주변감시센서(93)를 제어한다〔스텝(S197)〕. 한편, 접근물Tmax의 위험도가 레벨 Y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위험도가 레벨 X 이상의 접근물T를 차례대로 감시해 나가도록 주변감시센서(93)를 제어한다〔스텝(S198)〕.
상기 제9실시예 및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접근물T의 위험도가 산출되어, 그 위험도가 높은 접근물을 우선적으로 감시한다. 따라서, 감시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감시센서를 많이 장비하고 있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접근물T를 적절하게 감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주변감시센서를 제어함으로써, 접근물의 감시를 차별화하는 경우에 대하여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접근물의 감시의 차별화는 주변감시센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감시수단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차량M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등을 상기와 동일하게 제어하였을 경우에도 접근물의 감시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주위(예를 들면, 0∼1m정도의 범위내)에 존재하는 물체가 불심자(예를 들면, 상기 주위감시수단에 의해 검지되고 있는 시간이 길 경우,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서성거리고 있거나, 무언가 작업을 행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가 있다)인지의 여부 뿐만이 아니라, 상기 물체가 상기 차량의 주변(예를 들면, 1∼30m 정도의 범위내)으로 접근해 온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되어, 상기상기의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가 불심자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그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 있다.

Claims (43)

  1.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1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不審者)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불심자판단수단과,
    상기 제1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및 인디케이터 점등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1처리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제1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주위감시수단에 의한 감시를 개시시키는 감시개시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3.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에 대한 도난을 검지하는 도난검지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1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불심자판단수단과,
    상기 제1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및 인디케이터 점등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1처리수단과,
    상기 제1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와, 상기 도난검지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1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외부 통보 및 상기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이상 상태로의 설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2처리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2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주위감시수단에 의한 감시대상으로 상기 접근물이 인간일 가능성의 유무 검지를 포함하도록 하는 감시대상제어수단과,
    상기 제2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와, 감시대상으로 상기 접근물이 인간일 가능성의 유무 검지가 포함된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불심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불심자판단수단과,
    상기 제2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3처리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주위감시수단이 체온검출수단이고,
    상기 제2접근물판단수단이 상기 주위감시수단인 체온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에서의 온도 상황으로부터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감시대상제어수단이 상기 접근물이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위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7.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위를 화상촬영하는 촬영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움직임이 상하 방향의 움직임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접근물이 불심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불심자판단수단과,
    상 제3불심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불심자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4처리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8. 삭제
  9.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에 미치는 충격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충격검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2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5처리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2도난상태판단수단이 상기 충격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0.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경사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경사검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2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5처리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제2도난상태판단수단이 상기 경사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속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차량의 경사정도가 레커차에 실려있다고 인정되는 크기 이상이고, 또한 상기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이 도난 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1.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의 생체에 관한 생체정보를 기억하는 생체정보기억수단과,
    상기 차량의 사용희망자의 생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생체정보취득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생체정보취득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생체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희망자가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과,
    상기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기기의 사용 허가 제어를 수행하는 제6처리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이 2이상의 생체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희망자가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 여부의 인증을 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6처리수단이 상기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2이상의 생체 전부에 인증한 경우, 상기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기기의 전부의 사용을 허가하고,
    상기 제1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해 일부의 생체에만 인증한 경우, 상기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기기의 일부의 사용을 허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서의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변을 화상촬영하는 촬영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4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개시시키는 제2촬영개시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타(他)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타차량판단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타차량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타차량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2촬영개시제어수단이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개시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또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또는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의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상황을 산출하는 제1접근상황산출수단과,
    상기 제1접근상황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접근물의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빈도를 제어하는 촬영빈도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근상황산출수단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또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또는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변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제1접근상황산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촬영빈도제어수단이 촬영빈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촬영수단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의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위를 화상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의 안면(顔面) 등의 신체적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화상정보기억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5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개시시키는 제3촬영개시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화상정보, 및 상기 화상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과,
    상기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적어도 차량도난을 경계하는 경계모드의 해제, 운전자석의 도어잠금의 해제,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7처리수단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작업중판단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1작업중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7처리수단이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24.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의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위 또는 상기 차량내, 또는 상기 차량의 주위 및 상기 차량내를 감시하기 위한 주위감시수단과,
    상기 차량의 주위를 화상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의 안면(顔面) 등의 신체적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화상정보기억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위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접근물판단수단과,
    상기 제5접근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개시시키는 제3촬영개시제어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화상정보, 및 상기 화상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과,
    상기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한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적어도 차량도난을 경계하는 경계모드의 해제, 운전자석의 도어잠금의 해제,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7처리수단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작업중판단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2사용권한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사용권한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2작업중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위에서 작업중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7처리수단이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25.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서의 이상(異常)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접근상황을 산출하는 제2접근상황산출수단과,
    상기 제2접근상황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접근물의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주변감시수단에 의한 감시빈도를 제어하는 감시빈도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근상황산출수단이 상기 주변감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이 상기 차량의 주변에서의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제2접근상황산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근물이 상기 소정의 영역내로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감시빈도제어수단이 감시빈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주변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27. 컴퓨터를 구비한 차량에서의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주변감시수단이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산출수단과,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물이 복수로 존재할 경우, 상기 위험도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위험도에 의거하여 위험도가 높은 접근물을 우선적으로 감시하도록 상기 주변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감시우선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산출수단이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거리, 상기 접근물의 종류, 및 상기 접근물의 접근상황 중 1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접근물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우선제어수단이 상기 위험도의 레벨이 있는 크기 이상인 접근물이 감시대상에 포함되도록, 상기 주변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우선제어수단이 상기 위험도의 레벨이 있는 크기 이상인 접근물을 최우선적으로 감시하도록, 상기 주변감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31.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3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제8소정처리를 수행하는 제8처리수단이 구성된 도난방지장치와,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에 장비되는 전자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8처리수단에는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도난신호를 출력하는 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를 이상상태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램프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면, 램프의 점등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미터(meter)의 가동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도난신호를 수신하면, 미터의 가동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34.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차량도난을 경계하는 경계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경계모드설정수단과,
    상기 경계모드를 해제하는 경계모드해제수단과,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4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9처리수단이 구성된 도난방지장치와,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에 장비되는 전자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장치가,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상기 경계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하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경계신호를 출력하는 경계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주행이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실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35.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차량도난을 경계하는 경계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경계모드설정수단과,
    상기 경계모드를 해제하는 경계모드해제수단과,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도난상태판단수단과,
    상기 제4도난상태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적어도 경보음 발생, 인디케이터 점등, 및 외부 통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9처리수단이 구성된 도난방지장치와,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에 장비되는 전자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장치가,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경계신호를 출력하는 경계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주행이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고,
    상기 소정의 조건에 상기 경계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경계모드가 설정되고 있는 것, 및 상기 경계모드의 설정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장치가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상기 경계모드해제수단에 의해 상기 경계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장치에 대하여 해제신호를 출력하는 해제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주행이 불편하게 되는 상태를 해소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시트를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시트의 위치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것, 또는 시트의 등받이부분을 앞으로 숙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윈도(window)를 스모그화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윈도를 스모그화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엔진, 또는 트랜스미션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기어의 고정, 또는 변속의 제한을 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핸들의 잠금상태, 또는 프리상태를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핸들을 잠금상태, 또는 프리상태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도어미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도어미러의 열기 조작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경계신호를 수신하면, 배터리의 충전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시스템.
  4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난상태판단수단이 상기 충격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속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도난상태에 처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KR20040025204A 2003-04-14 2004-04-13 도난방지장치,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 KR100656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8723 2003-04-14
JP2003108723 2003-04-14
JP2003199420A JP2005001642A (ja) 2003-04-14 2003-07-18 盗難防止装置、監視装置、及び盗難防止システム
JPJP-P-2003-00199420 2003-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572A KR20040089572A (ko) 2004-10-21
KR100656231B1 true KR100656231B1 (ko) 2006-12-13

Family

ID=3349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5204A KR100656231B1 (ko) 2003-04-14 2004-04-13 도난방지장치,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91301B2 (ko)
JP (1) JP2005001642A (ko)
KR (1) KR100656231B1 (ko)
CN (1) CN1537756A (ko)
DE (1) DE10200401783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42B1 (ko) 2006-06-19 2009-03-2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탑재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89138B1 (ko) * 2013-04-10 2015-02-11 주식회사 슈프리마 근접 객체 검출 장치 및 방법
WO2022010047A1 (ko) * 2020-07-09 2022-01-13 (주)씨에스 랩톱 pc 도난 감시 시스템
KR20220006867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씨에스 이동감지센서가 내장된 도난 감시용 부속품 및 이를 적용한 랩톱 pc 도난 감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5163B3 (de) * 2004-02-02 2005-06-02 Braun, Uwe Peter, Dipl.-Ing. Vorrichtung zur Erfassung der Fahrtüchtigkeit eines Fahrers in einem Fahrzeug
US7031809B2 (en) * 2004-05-21 2006-04-18 Jens Erik Sorensen Remote control of automobile component arrangements
US20060122750A1 (en) * 2004-12-07 2006-06-08 Choi Yeon J Telematics equipment having preference extraction function
JP4501737B2 (ja) * 2005-03-15 2010-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防犯装置
DE202005004422U1 (de) * 2005-03-18 2005-12-22 Huis, Wolfgang Fahrzeugüberwachung durch einen Funkbewegungsmelder mit integriertem Neigungsschalter und Kontaktschleife
JP4470803B2 (ja) * 2005-04-20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装置
DE102005018487B4 (de) * 2005-04-21 2008-09-25 Daimle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Überwachungs- und Alarmvorrichtung bei parkenden Fahrzeugen sowie Überwachungs- und Alarmvorrichtung
JP2007036928A (ja) * 2005-07-29 2007-02-08 Sharp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US7492255B1 (en) * 2005-10-26 2009-02-17 Morris David E Alarm and tracking system for mobile units
JP2007145200A (ja) * 2005-11-28 2007-06-14 Fujitsu Ten Ltd 車両用認証装置及び車両用認証方法
CN101042869B (zh) * 2006-03-24 2011-07-13 致胜科技股份有限公司 鼻骨传导活体声纹辨识装置
US8228177B1 (en) * 2006-03-31 2012-07-24 Stanley Toshio Yamada Automobile security device
US7617042B2 (en) * 2006-06-30 2009-11-10 Microsoft Corporation Computing and harnessing inferences about the timing, duration, and nature of motion and cessation of motion with applications to mobi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JP4890993B2 (ja) * 2006-08-02 2012-03-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車両の蓄電池装置
JP4807313B2 (ja) * 2007-05-01 201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盗難防止装置、盗難防止方法
KR100871441B1 (ko) * 2007-08-31 2008-12-03 이은진 차량용 보안 시스템
KR100887688B1 (ko) * 2007-11-29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드 셰이프에 의한 도어개폐 제어장치
JP5345350B2 (ja) * 2008-07-30 2013-11-2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5359361B2 (ja) * 2008-09-25 2013-12-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ドア開度制御装置
US20100265100A1 (en) * 2009-04-20 2010-10-21 Lsi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lighting
US8443202B2 (en) 2009-08-05 2013-05-14 Daon Holding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users
US20110037577A1 (en) * 2009-08-11 2011-02-17 Chiu Pei-Cheng Remote-controlled vehicle gear stick locking device
US20110227712A1 (en) * 2010-03-18 2011-09-22 Atteck Marvin R Computerized multiple technology based vehicle alarm system and method
JP2012066689A (ja) * 2010-09-24 2012-04-05 Fujitsu Ten Ltd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エンジン制御装置
KR101172227B1 (ko) 2010-11-18 2012-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내 운전자 얼굴 인증을 통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76368B2 (en) * 2010-12-13 2017-06-13 Mediatek Singapore Pte. Ltd. In-vehicle protection system using multiple processing units and/or using communication module to send positioning information
DE102010055795A1 (de) * 2010-12-23 2012-06-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Ausgabe von Informationen
CN103177520B (zh) * 2011-12-26 2016-03-3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防盗终端震动检测报警方法、系统以及智能平台
CN104010914B (zh) * 2011-12-29 2017-11-07 英特尔公司 用于辨识车辆乘员的系统、方法和装置
TW201348036A (zh) * 2012-05-31 2013-12-01 Yottastor Information Technology Inc 車輛監控系統
KR101265468B1 (ko) * 2012-07-10 2013-05-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3198338B (zh) * 2013-03-15 2016-03-02 深圳市亚视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物流运输监控系统及方法
JP6108892B2 (ja) * 2013-03-18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源制御方法
CN103324185B (zh) * 2013-07-15 2015-08-19 孟凡忠 家居安防监控系统及监控方法
US9227595B2 (en) * 2013-10-31 2016-0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that a vehicle has been accessed
FR3020616B1 (fr) * 2014-04-30 2017-10-27 Renault Sas Dispositif de signalisation d'objets a un module de navigation de vehicule equipe de ce dispositif
CN104044556B (zh) * 2014-06-30 2017-06-23 汪仁和 车用智能防盗报警装置
DE102015002618A1 (de) * 2015-03-03 2016-09-08 Man Truck & Bu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Nutzfahrzeugs
CN104842931A (zh) * 2015-05-20 2015-08-19 王方圆 汽车防盗器主机
CN104828012A (zh) * 2015-05-22 2015-08-12 陈元喜 汽车防盗报警系统
US10147257B2 (en) * 2015-10-23 2018-12-04 Faraday&Futu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based vehicle access control
CN105667451A (zh) * 2015-12-20 2016-06-15 黔东南州龙达再生能源开发有限责任公司 汽车防盗系统
DE102016200004A1 (de) * 2016-01-04 2017-07-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m Anzeigen eines Status einer Zugangseinrichtung eines Fahrzeugs
CN109644153B (zh) * 2016-04-12 2020-10-13 伽德诺克斯信息技术有限公司 具有被配置为实现安全锁定的相关设备的特别编程的计算系统及其使用方法
US9896020B2 (en) * 2016-05-23 2018-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US10118593B2 (en) * 2016-06-16 2018-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lice vehicle monitor
CN106453493A (zh) * 2016-08-31 2017-02-22 重庆市朗信智能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基于can总线方案智能车联网控制系统
KR101730773B1 (ko) 2016-11-04 2017-04-26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원격 차량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
DE102017205383A1 (de) * 2017-03-30 2018-10-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Umfelds eines Kraftfahrzeugs
WO2018209533A1 (zh) * 2017-05-15 2018-11-22 深圳市永恒丰科技有限公司 车辆防盗的方法及装置
US11072311B2 (en) 2017-09-05 2021-07-27 Future Mobility Corporation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user recognition and expression for an automobile
DE102017217978A1 (de) 2017-10-10 2019-04-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Zugangssystem und Verfahren zur Zugangsverifizierung
CN109842714B (zh) * 2017-11-24 2021-06-15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防盗处理方法、装置和移动终端
JP7020077B2 (ja) * 2017-11-24 2022-02-16 株式会社アイシン 盗難防止装置
WO2019107210A1 (ja) * 2017-12-01 2019-06-0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電子制御装置、不正検知サーバ、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車載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及び車載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
KR20190086601A (ko) 2018-01-02 2019-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1383676B2 (en) 2018-05-31 2022-07-12 Shanghai Sensetime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Vehicles, vehicle door unlocking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es, and vehicle door unlocking systems
CN108846924A (zh) * 2018-05-31 2018-11-20 上海商汤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及车门解锁控制方法、装置和车门解锁系统
DE102018210027A1 (de) * 2018-06-20 2019-12-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elektrischen Geräts
CN111052193B (zh) * 2018-06-29 2022-08-19 百度时代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运输货物的自动驾驶车辆的防盗技术
US10745018B2 (en) * 2018-09-19 2020-08-18 Byton Limited Hybrid user recognition systems for vehicle access and control
CN110009852B (zh) * 2018-11-27 2021-03-09 杭州朗泽安防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商品安全的监控装置
GB2581331B (en) * 2019-02-05 2021-06-02 Ford Global Tech Llc A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protection
US10807564B2 (en) 2019-03-18 2020-10-20 Honda Motor Co., Ltd. Seat haptic system and method of deterring vehicle theft
WO2020222319A1 (ko) * 2019-04-29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98725B1 (ko) * 2019-04-30 2021-09-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차장 내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EP3736147A1 (en) * 2019-05-06 2020-11-11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feature
CN112238836A (zh) * 2019-07-17 2021-01-19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10940832B1 (en) * 2019-09-18 2021-03-09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Identifying suspicious events relating to a vehicle
US11017620B1 (en) * 2019-12-20 2021-05-25 Karma Automotive Llc Vehicle monitoring system
JP7419122B2 (ja) * 2020-03-18 2024-0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用プログラム
US11667265B2 (en) * 2020-07-14 2023-06-06 Micron Technology, Inc. Activating a security mode for a vehicle based on driver identification
US11436864B2 (en) 2020-07-14 2022-09-06 Micron Technology, Inc. Driver recognition to control vehicle systems
US20220135077A1 (en) * 2020-10-29 2022-05-05 Waymo Llc Increasing awareness of passengers during pullovers and drop offs for autonomous vehicles
CN113175280B (zh) * 2021-05-19 2022-06-14 宁波诚林汽配有限公司 一种具有自吸功能的汽车门锁
CN114407832A (zh) * 2022-01-24 2022-04-2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车身防刮防盗的监控方法、车身控制器及车辆
CN114435304A (zh) * 2022-01-30 2022-05-0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监控方法、装置及车辆
CN115158223B (zh) * 2022-07-26 2023-07-07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器的防拆控制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285A (en) * 1987-01-21 1994-05-24 Electronic Security Products Of California, Inc. Alarm system for sensing and vocally warning a person approaching a protected object
JPH117561A (ja) 1997-06-17 1999-01-12 Toshiba Corp 車両の鍵システムと料金収受方法
JP2000231691A (ja) 1999-02-09 2000-08-22 Toshiba Corp 物流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4013191A (ja) * 2002-06-03 2004-01-15 Omron Corp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US7350615B2 (en) * 2003-03-26 2008-04-01 Fujitsu Ten Limited Vehicle anti theft system, vehicle anti thef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42B1 (ko) 2006-06-19 2009-03-2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탑재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89138B1 (ko) * 2013-04-10 2015-02-11 주식회사 슈프리마 근접 객체 검출 장치 및 방법
WO2022010047A1 (ko) * 2020-07-09 2022-01-13 (주)씨에스 랩톱 pc 도난 감시 시스템
KR20220006867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씨에스 이동감지센서가 내장된 도난 감시용 부속품 및 이를 적용한 랩톱 pc 도난 감시 시스템
KR102492758B1 (ko) 2020-07-09 2023-02-03 주식회사 씨에스 이동감지센서가 내장된 도난 감시용 부속품 및 이를 적용한 랩톱 pc 도난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63323A1 (en) 2004-12-30
JP2005001642A (ja) 2005-01-06
US7391301B2 (en) 2008-06-24
KR20040089572A (ko) 2004-10-21
CN1537756A (zh) 2004-10-20
DE102004017835A1 (de) 200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231B1 (ko) 도난방지장치, 감시장치 및 도난방지시스템
US7471192B2 (en) Anti-theft system for vehicle
US7532107B2 (en) Anti-theft system for vehicle
JP4227743B2 (ja) 盗難防止システム
US8854197B2 (en) Method of monitoring vehicle surrounding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ehicle surroundings
CN103693012A (zh) 一种汽车防盗系统
CN110027509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车辆防盗监控设备及方法
WO2005082687A1 (en) Anti-theft system and anti-theft device for vehicle detecting radio wave jamming
JP2009023448A (ja) 盗難防止装置、電子制御ユニット、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盗難防止方法
CN203819187U (zh) 一种非正常进入车辆反馈装置
JP4984521B2 (ja) 車載カメラの制御装置
JP2006027356A (ja) 車両用異常報知システム
JP4270080B2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4862278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4019381A (ja)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5001643A (ja) 運転支援装置
CN111994036A (zh) 一种汽车状态异常报警系统
Powale et al. Real time Car Antitheft System with Accident Detection using AVR Microcontroller; A Review
JP3797237B2 (ja) 車室内モニタ装置、車室内モニタ制御装置、車両泥棒特定システム
JP4534196B2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2166823A (ja) 盗難検知装置
JP3925395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US20230406265A1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202405221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等
JP2024052218A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