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880B1 -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880B1
KR100653880B1 KR1020050098200A KR20050098200A KR100653880B1 KR 100653880 B1 KR100653880 B1 KR 100653880B1 KR 1020050098200 A KR1020050098200 A KR 1020050098200A KR 20050098200 A KR20050098200 A KR 20050098200A KR 100653880 B1 KR100653880 B1 KR 100653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avel
template
concrete base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245A (ko
Inventor
이사오 유키모토
기요노리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간쿄 고가쿠 겐큐쇼
주식회사 환경공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간쿄 고가쿠 겐큐쇼, 주식회사 환경공학연구소 filed Critical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1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each charge of material being compressed against previously formed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주위의 자연경관에 한층 더 조화시킬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해결수단으로는 콘크리트베이스(10)에 복수의 자연석(11)이 각각 부분적으로 매설되고 그 각 자연석(11)이 콘크리트베이스 표면(10a)에 돌출되어 있는 것이 제공된다. 그 콘크리트베이스 표면(10a)에는 자갈층(12)이 설치되어 있고 미소한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와 같은 자갈층(12)은 당해 토목구축물용 블록(9)을 복수의 자연석(11)과 협동시켜 주위의 자연경관에 대하여 조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동식물에게 바람직한 생식(生息)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토목구축물용 블록, 콘크리트베이스, 호안

Description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BLOCK FOR CONSTRUCTING EMBANKMENT}
도1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호안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2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부설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블록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5는 각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연결상태를 평면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6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7은 도6의 다음의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8은 살수 후의 혼합물층의 변화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9는 도7의 다음의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10은 도9에 도시한 공정에서의 자갈층, 모래층, 콘크리트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11은 도9의 다음의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12는 도11의 다음의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13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14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블록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15는 제4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블록을 설명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호안구조 9: 토목구축물용 블록
10: 콘크리트베이스 10a: 콘크리트베이스 표면
11: 자연석(돌) 12: 자갈층(표면층)
12a: 자갈 20: 지지대
21: 투수성 시트 23: 형판
27: 물 28: 콘크리트
29: 일체화물 31: 오목부
33: 고압수
본 발명은 토목구축물용 블록, 토목구축물용 블록 부품 및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목구축물용 블록에는 특허 문헌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베이스에 복수의 자연석을 부분적으로 돌출시키면서 매설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토목구축 물용 블록을 법면(法面) 등의 시공면에 부설하여 그 시공면을 덮게 되면, 호안(護岸) 등의 토목구축을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토목구축물을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토목구축물용 블록은 복수의 자연석에 의해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시킬 수 있다고는 하지만, 콘크리트베이스 표면은 여전히 콘크리트가 노출된 상태이고,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를 시키는 것에도 자연히 한계가 있다.
특허 문헌1 일본공개특허 특개평5-96517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술적 과제는 주위의 자연경관에 한층 더 조화시킬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6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콘크리트베이스에 복수의 돌이 부분적으로 매설되고 당해 각 돌이 콘크리트베이스의 표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당해 콘크리트베이스의 표면에, 상기 각 돌이 존재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자갈을 구성요소로 하는 자갈층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형판 내에, 당해 형판 하부에 자갈과 당해 자갈보다도 작은 모래의 혼 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혼합물층에 복수의 돌을 부분적으로 매설하여 당해 각 돌을 혼합물층에 돌출시킨 상태로 하고,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층에 외력(外力)을 부여하여 당해 혼합물층을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당해 모래층을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에 위치시키고,
다음으로 상기 형판 내에 당해 형판의 상측으로부터 콘크리트를 충전(充塡)시켜 당해 형판 내에서 상기 각 돌과 상기 자갈층을 일체화한 콘크리트베이스를 만드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6의 바람직한 형태가 청구항8 이하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7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콘크리트베이스의 표면에 자갈을 구성요소로 하는 자갈층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형판 내에 당해 형판 하부에 자갈과 당해 자갈보다도 작은 모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층을 전면(全面)에 깔고,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층에 외력을 부여하여 당해 혼합물층을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당해 모래층을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에 위치시키고,
다음으로 상기 형판 내에 당해 형판의 상측으로부터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당해 형판 내에서 상기 자갈층을 일체화한 콘크리트베이스를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7의 바람직한 태양이 청구항8 이하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 도12는 제1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그 제1실시형태에 관한 호안구조(1)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면(법면)(2)이 하천(5)측으로부터 육상측으로 향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경사져 있다. 그 시공면(2)의 하단 위치에는 기초블록(3)이 하천수의 흐름 방향(지면[紙面]직각방향)에 연장되어 배치되고, 그 시공면(2)의 상단 위치에는 천단(天端)블록(4)이 하천수의 흐름 방향(지면직각방향)에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시공면(2) 위에는, 그 전체에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출(吸出)방지 시트 또는 방초방근(防草防根) 시트로서 부설시트(8)가 부설되어 있다. 부설시트(8)는 투수성,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토사 등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식물의 뿌리가 땅 속으로 향해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강도[强度]), 방초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 기능을 발휘케 하기 위해 그 부설시트(8)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텔 등의 장(長)섬유부직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시공면(2) 위에는 도1 ~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안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상기 부설시트(8)를 끼워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블록(9)이 부설되어 있다. 이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블록(9)은 호안 표면에 배치되고, 시공면(부설시트(8))(2)의 거의 전체를 덮게 된다.
또한 도1에서는 시공면(2)의 하반분과 상반분에서 토목구축물용 블록(9)군이 상이한 상태로 보이지만, 그 어느쪽도 동일한 토목구축물용 블록(9)이 사용되고 있고,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상태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편의상 상반분의 토 목구축물용 블록(9)군에 대해서는 식물(6)이 부분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각 내용에 대해서는 뒤에 상술한다.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블록(9)은 도2 ~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베이스(10)와 복수의 돌로서 자연석(11)과 표면층으로서 자갈층(12)을 구비한다. 콘크리트베이스(10)는 일정 두께 이하로 평면이 대략 정방(正方)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께가 130mm 전후, 그 정방 형상의 한 변이 1000mm 전후로 되어 있다. 이 콘크리트베이스(10)의 둘레면은, 그 네 모서리에서 각부(角部)가 취해져서 각면(角面)(1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 각면(13)은 서로 대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평행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콘크리트베이스(10)에는 정방 형상의 각 변이 위치하는 둘레면에 오목부(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오목부(14)는 각 변의 연장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어 그 둘레면 부분이 안쪽으로 움푹팬 것 같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 오목부(14)는 각 변의 연장 방향 길이인 폭 간격이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게 되어 있다.
또한 콘크리트베이스(10)의 상면 주연(周緣)부에 면취(面取)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면취 부분을 부호34로 도시한다.
상기 복수의 자연석(11)은 도2 ~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베이스(10)에 당해 콘크리트베이스(10)의 표면(10a)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각 자연석(11)으로서는, 예를 들면 10 ~ 30cm 정도의 것이 사용되고, 그 자연석(11)의 2/3 정도 부분이 콘크리트베이스(10) 안에 파묻혀져 있고, 나머지 1/3 정도 부분(상부 : 50mm 정도)이 콘크리트베이스 표면(10a)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각 자연석(11)의 상부는 콘크리트베이스 표면(10a)에 모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자연석(11)에 대해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상태로 되어, 미관이 고려되어 있다.
상기 자갈층(12)은 도2 ~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표면(10a)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자갈층(12)은 본실시형태에서는 10mm이하의 자갈(작은 돌)(12a)로 층상(層狀)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자갈층(12)은 상기 복수의 자연석(11)이 존재하지 않는 콘크리트 표면(10a)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자갈층(12)의 각 자갈(12a)은, 콘크리트베이스(10)의 표면(10a)에 유지되고, 그 각 자갈(12a)에 의해 자갈층(12)의 표면에는 미소한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베이스(10)의 각 각면(角面)(13)에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5)가 돌출되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15)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연결부(15)에 대하여 다른 콘크리트베이스(10) 연결부(15)의 연결을 위해, 연결구로서 연결 코일(16)(도5 참조)이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배치된 각면(13)에서 돌출된 2개의 연결부(15)가 연결선부(17)로써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선부(17)는 콘크리트베이스(10) 내에서 대향배치된 각면(13) 사이에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토목구축물용 블록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설시트(8)(시공면(2)) 위에서 서로 이웃하게 되는 토목구축물용 블록(9)에 대해 각 변이 맞대어지게 배치되고, 각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각부(角部)에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을 포함하는 4개의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각면(13)이 구획공간(18)을 형 성하고, 그 구획공간(18) 내에 그 4개의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연결부(15)가 배치되게 되어 있다. 이 4개의 연결부(15)는 연결코일(16)에 의해 일체화되어 각 토목구축물용 블록(9)은 서로 연결되게 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한 각 토목구축물용 블록(9)은 그 각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오목부(14)가 협동하여 구획공간(19)을 형성하게 되어 있고, 그 각 구획공간(19)에는 흙이 투입되어 식물(6)이 생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공면(2)의 하부에 관해서는, 당해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부설 후 다시 매립되어 그 상방측에 상면(床面)(하상[河床] 등)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호안구조(1)에 있어서, 각 콘크리트베이스 표면(10a)에 설치되어 있는 표면(10a)층이 자갈층(12)을 갖고 미소한 요철면을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갈(12a)의 자연석(11)으로서의 색채, 특성을 살리고, 평탄한 면에 비하여 자연적인 변화라는 인상을 주게 되고, 복수의 자연석(11)과 협동하여 당해 토목구축물용 블록(9)을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자갈층(12)의 미소한 요철면에 의해 식물, 조류(藻類)(포자[胞子]를 포함한다)의 착생, 태류(苔類)의 발생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저생(底生)동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각 자연석(11)의 주위를 동식물의 생식공간으로서, 한층 바람직한 것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0)상에 투수성 시트(21)를 깔고 그 투수성 시트(21)상에 형판(23)을 설치한다.
상기 지지대(20)로는 그 상부(20a)에 배수공(도시 생략)을 가지는 것이 사용되어 그 지지대(20)의 상부(20a)에 물이 공급되어도 그 물은 하방측에 배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 지지대(20)는 하역반송(荷役搬送)의 소위 팔레트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지지대(20)에는 그 상부(20a)와 하부(20b) 사이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부를 삽입하기 위한 포크부 삽입구(22)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상부(20a)에는 포크부 삽입구(22)에 상부(20a) 상방이 닿도록 해야 되고, 구성재(構成材)를 사용하여 상기 배수공으로서 슬릿(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수성 시트(21)로서는 상기 부설시트(8)와 같이, 통기성, 투수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토사 등의 통과를 규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 형판(23)로서는, 상기 콘크리트베이스(10)를 형성하도록 한 변이 1,000mm 전후로 된, 평면을 볼 때 정방 형상으로 되고, 그 상하면이 개구(開口)된 것이 사용된다. 이 형판(23)의 하면(20b) 개구는 지지대(20)에 대한 설치시에 투수성시트(21)에 의해 덮어지게 되고, 그 경우 그 투수성시트(21)는 형판(23)의 바닥면을 구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판(23) 내에, 당해 형판(23) 하부에서 자갈(12a)과 당해 자갈(12a)보다도 작은 모래(24a)로 이루어진 혼합물층(25)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혼합물층(25)에 복수의 자연석(11)을 부분적으로 매설하여 당해 각 자연석(11)을 혼합물층(25)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한다.
이 경우 복수의 자연석(11)을 형판(23) 내에 배치하기 때문에, 자갈(12a), 모래(24a)로 이루어진 혼합물층(25)을 형판(23) 내 하부에 형성해도 좋고, 혼합물 층(25)을 형판(23) 내 하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그 혼합물층(25)에 각 자연석(11)의 일부가 매설되도록 해서 당해 각 자연석(11)을 혼합물층(25)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판(23) 내의 혼합물층(25)에 대하여, 외력을 부여하도록 살수(撒水)한다. 혼합물층(25)을 모래층(24)과 자갈층(12)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그 모래층(24)을 자갈층(12)보다도 하측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살수는 통상의 공급호스(26)를 통하여 물(24)을 혼합물층(25)에 공급하게 되며, 그 물(27)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물층(25), 투수성 시트(21), 지지대(20)의 상부(20a)(배수공(슬릿))를 통과하여 외부에 배수되게 된다.
이 경우, 혼합물층(25)에 물(27)이 공급되면, 자갈(12a)보다도 지름이 작은 모래(24a)가 물(27)의 흐름을 타고 하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자갈(12a)은 지름이 모래(24)보다도 크기 때문에, 서로 충돌하여 하방으로 흐르는 것이 규제되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래층(24)이 자갈층(12)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자갈층(12)에서는 비교적 커다란 공극(空隙)을 형성하면서 공극률이 커지게 되고, 모래층(24)에서는 모래(24a)가 자갈(12a)보다도 상당히 작은 것에 의해 공극률은 작아지게 된다(밀도가 높아진다).
다음으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판(23)의 상측으로부터, 당해 형판(23) 내에 콘크리트(28)을 충전(充塡)한다. 형판(23)의 공간 부분에 콘크리트(28)을 충전하여 콘크리트베이스(10)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자갈층(12)의 공극률이 비교적 커다란 공극으로 인해 커지게 되고, 모래층(24)은 치밀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28)는 자갈층(12) 내에 진입하는 한편, 모래층(24)에 의해 그 아래로의 흐름이 멈춰지고, 자갈층(12)의 각 자갈(12a)은 콘크리트(28)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도9에서 부호 32는 삽이다.
다음으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판(23) 내의 콘크리트(28) 경화를 기다려 탈형(脫型)을 행한다. 이 탈형에서는 콘크리트(28)가 모래층(24) 내에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자갈층(12)과 콘크리트베이스(10)의 일체화물(29)이 탈형되게 된다.
이 탈형을 할 때에는, 일체화물(29)은 잠시 동안 자갈층(12) 측을 하방에 향하게 하면서, 매달린 상태로 되고, 그 매달린 상태에서 외력으로서 고압수(33)를 상기 일체화물(29)의 자갈층(12)에 부여한다. 콘크리트베이스(10)의 표면(10a)에 대하여 약한 일체화력으로써 일체화하고 있는 자갈(12a)을 털어버리고, 자갈층(12a)으로서 콘크리트베이스(10)의 표면(10a)에 강고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것(일정한 일체화 강도 이상의 것)만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 경우 이 일체화물(29)의 매달린 상태는, 형판(23)의 상방 영역에서 유지된다. 고압수(27)에 의해 털어지는 모래(24)를 형판(23) 내(지지대(20))에서 받아내어 모래(24)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다음,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화물(29)을 자갈층(12)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반전시킨 상태로 소정 위치에 두어서 당해 토목구축물용 블록(9)을 얻는 다.
도13은 제2실시형태, 도14는 제3실시형태, 도15는 제4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각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3에 도시한 제2실시형태는, 콘크리트베이스(10)의 표면(10a) 전체에 걸쳐 자갈층(12)이 일체적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대해서도 자갈(12a)(작은 돌)의 자연석으로서의 색채, 특성을 살릴 수 있게 되고,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자갈층(12)의 표면(10a)에서, 미소한 요철면, 미소한 공극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식물, 조류(포자를 포함한다)의 착생, 태류의 발생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저생동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그 자갈층(12) 위에서의 활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14에 도시한 제3실시형태는, 토목구축물용 블록(9)을 제조할 때, 상기 제1실시형태에 관한 제조방법과는 상이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한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부품(30)을 보여준다. 이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부품(30)은 콘크리트베이스(10)의 표면(10a)에, 자연석(11)의 일부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31)가 복수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각 오목부(31)를 제외한 콘크리트베이스 표면(10a)에 자갈층(12)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토목구축물용 블록(9)의 부품(30)은, 토목구축물용 블록(9)을 제조할 때, 그 각 오목부(31) 내에 접착제, 콘크리트 등(도시 생략)이 투입됨과 동시에 자연석(11)의 일부(전체의 2/3 정도)가 수납되어, 콘크리트베이스(10)에 각 자연석(11)이 고착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크리트베이스(10)의 표면(10a)에 각 자연석(11)의 일부가 돌출됨과 동시에, 그 콘크리트베이스(10)의 표면(10a)에 자갈층(12)이 일체적으로 설치된 토목구축물용 블록(9)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제3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31)가 자갈층(12)과 콘크리트베이스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자갈층(12)의 두께가 두꺼워질 때에는 자갈층(12)만 오목부(31)를 형성해도 좋다.
도15에 도시한 제4실시형태는 콘크리트베이스(10)의 주연부에서의 일부 오목부(14)를 비교적 커다란 원호상으로 형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당해 콘크리트베이스(10)를 사용한 토목구축물용 블록(9)을 시공면(2)(부설시트(8)) 위에 부설한 경우에는 서로 이웃한 콘크리트베이스(10)간에, 커다란 원상의 구획공간(19)이 형성되게 되고, 그 구획공간에 흙을 투입하여 식물을 무성하게 자라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포함한다.
(1) 돌로서, 자연석(11) 외에, 의석(擬石) 등을 사용한 것.
(2) 하천(5)에서 호안(1)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호수, 바다에서 호안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
(3) 혼합물층(25)을 모래층(24)과 자갈층(12)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모래층(24)을 자갈층(12)의 하측에 위치시키기 위해 외력부여 수단으로서 바이블레이터 등을 사용하고, 그 바이블레이터 등에 의한 진동을 혼합물층(25)에 부여하는 것.
(4) 세라믹스, 기와, 슬래그, 유리 등을 단일적 또는 복합적으로 10mm이하로 파쇄하고, 그것을 구성요소로서 표면층을 형성하는 것.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혹은 이점(利點)으로서 기재된 것에 대응한 것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한다.
청구항6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형판 내에 당해 형판 하부에서 자갈과 당해 자갈보다도 작은 모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혼합물층에 복수의 돌을 부분적으로 매설하여 당해 각 돌을 혼합물층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한 다음, 그 형판 안으로 콘크리트를 충전하기 전에 혼합물층에 외력을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외력에 의해 혼합물층의 각 입자 중 큰 입자인 자갈이 혼합물층의 상측에 남아 있는 한편, 각 입자의 작은 입자인 모래가 혼합물층의 하측에 이동하게 되어 혼합물층은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그 층들은 자갈층이 모래층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 다음에 형판 안에 콘크리트를 위에서부터 충전하면, 콘크리트는 각 돌의 상부를 에워쌈과 동시에, 모래층에 비해 밀도가 작은(큰 틈이 많다) 자갈층에서는 그 각 자갈 주위에 널리 퍼져 각 자갈을 유지하고, 반면에 밀도가 큰 모래층에서는 그 콘크리트의 통과가 규제되어(유하규제[流下規制]), 형판 내의 콘크리트(콘크리트베이스)에 대해 각 돌과 자갈층이 일체화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형판 안의 콘크리트의 경화 후, 그것을 탈형하면 모래층이 형판 안에 남아 있는 한편, 각 돌과 자갈층이 일체화한 콘크리트베이스가 형판 안으로부터 꺼내어져 청구항2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블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 경우,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모래와 자갈의 혼합물에 대해 외력을 미쳐서, 그 양자의 크기 및 무게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하고, 그 분리상태의 모래층의 특성(밀도)과 자갈층의 특성(밀도)이 교묘하게 이용된다. 즉 자갈층에 대해서는 그 밀도가 작은 것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진입하기 쉽게 되고, 그 자갈층 하측에 위치한 모래층에 대해서는 그 밀도가 큰 것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진입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흔하게 있는 물질, 현상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베이스에 자갈층을 적확(的確)하게 일체화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7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형판 내에 당해 형판 하부에서 자갈과 당해 자갈보다도 작은 모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층을 전면에 깐 상태로 한 다음에, 그 형판 안으로 콘크리트를 충전하기 전에 혼합물층에 외력을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외력에 의해 혼합물층의 각 입자 중 큰 입자인 자갈이 혼합물층의 상측에 남아 있는 한편, 각 입자의 작은 입자인 모래가 혼합물층의 하측에 이동하게 되 어 혼합물층은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그 층들은 자갈층이 모래층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 다음에 형판 안에 콘크리트를 위에서부터 충전하면, 콘크리트는 각 돌의 상부를 에워쌈과 동시에, 모래층에 비해 밀도가 작은(큰 틈이 많다) 자갈층에서는 그 각 자갈 주위에 널리 퍼져 각 자갈을 유지하고, 반면에 밀도가 큰 모래층에서는 그 콘크리트의 통과가 규제되어(유하규제), 형판 내의 콘크리트(콘크리트베이스)에 대해 각 돌과 자갈층이 일체화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형판 안의 콘크리트의 경화 후, 그것을 탈형하면 모래층이 형판 안에 남아 있는 한편, 자갈층이 일체화한 콘크리트베이스가 형판 안으로부터 꺼내어져, 청구항4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블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모래와 자갈의 혼합물에 대해 외력을 미쳐서 그 양자의 크기 및 무게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하고, 그 분리상태의 모래층의 특성(밀도)과 자갈층의 특성(밀도)이 교묘하게 이용된다. 즉 자갈층에 대해서는 그 밀도가 작은 것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진입하기 쉽게 되고, 그 자갈층 하측에 위치한 모래층에 대해서는 그 밀도가 큰 것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진입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흔하게 있는 물질, 현상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베이스에 자갈층을 적확하게 일체화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8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혼합물층을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당해 모래층을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당해 혼합물층에 대해 살수(撒水)하는 것이기 때문에, 형판 안에서 혼합층 내를 유하(流下)하는 흐름을 타고 입자 반지름이 작은 모래 입자가 입자 반지름이 큰 자갈에 비해 하방 측에 이동하게 되어 혼합층이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되고, 당해 모래층이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살수라는 극히 간단하고도 흔히 있는 방법에 의해 구체적으로 혼합물층을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당해 모래층을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9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형판으로서 상하 개구(開口)를 가지는 것이 사용되고 그 형판이 배수공을 가지는 지지대 위에 투수성 시트를 끼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형판 내의 혼합물층에 살수된 물은 투수성 시트, 지지대의 배수공을 거쳐 배수되게 되고, 그 연속적인 물의 흐름을 타고 혼합물층의 모래를 혼합물층의 하측 영역에 적확하게 모으는(이동시키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10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혼합물층을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당해 모래층과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당해 혼합층에 대해 진동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그 진동에 의해 입자 지름이 작은 모래 입자가 입자 지름이 큰 자갈에 비해 하방측에 이동하게 되어 혼합층이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되고, 당해 모래층이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진동이라는 극히 간단하고도 흔히 있는 방법에 의해, 구체적으로 혼합물을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당해 모래층을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1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형판 안으로부터 콘크리트베이스를 탈형시킬 때, 당해 형판의 상방 영역에서 해당 콘크리트베이스룰 상기 자갈층이 하측을 향하게 하면서 매달고, 그 상태에서 당해 콘크리트베이스에 일체화한 자갈층에 외 력을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갈은 콘크리트베이스에 강고하게 고착되어 있는 것만이 남게 되고, 콘크리트베이스에 대하여 일체화력이 약한 것은 형판 안에 이탈하게 된다. 그러므로 콘크리트베이스에 대한 자갈층의 일체화 강도를 소정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탈된 자갈을 형판 안에 회수하여 그 자갈을 재차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삭제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콘크리트베이스에 복수의 돌이 부분적으로 매설되고 당해 각 돌이 콘크리트베이스의 표면에 돌출되며, 당해 콘크리트베이스 표면에 상기 각 돌이 존재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자갈을 구성요소로 한 자갈층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형판 내에, 당해 형판 하부에 자갈과 당해 자갈보다 작은 모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혼합물층에 복수의 돌을 부분적으로 매설하여 당해 각 돌을 혼합물층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하고,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층에 외력을 부여하여 당해 혼합물층을 모래층과, 콘크리트의 진입이 가능한 공극이 형성된 층상(層狀)의 자갈층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당해 모래층을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에 위치시키고,
    다음으로 상기 형판 내에 당해 형판의 상측으로부터 콘크리트를 충전시켜서 상기 자갈층의 공극을 콘크리트로 채움으로써 당해 형판 내에서 상기 각 돌과 상기 자갈층을 일체화한 콘크리트베이스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층을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당해 모래층을 당해 자갈층에 비해 하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당해 혼합물층에 대해 살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형판으로서 상하 개구를 가지는 것이 사용되고 상기 형판이 배수공을 가지는 지지대 위에 투수성 시트를 끼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층을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당해 모래층을 당해 자갈에 비해 하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당해 혼합물층에 대해 진동을 줌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판 내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베이스를 탈형할 때, 당해 형판의 상방 영역에서 당해 콘크리트베이스를 상기 자갈층이 하측을 향하게 하면서 매달고, 그 상태에서 당해 콘크리트베이스에 일체화한 자갈층에 외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050098200A 2004-12-17 2005-10-18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KR100653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5425 2004-12-17
JP2004365425A JP3791692B1 (ja) 2004-12-17 2004-12-17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97A Division KR20060069386A (ko) 2004-12-17 2006-05-09 토목구축물용 블록 및 토목구축물용 블록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245A KR20060069245A (ko) 2006-06-21
KR100653880B1 true KR100653880B1 (ko) 2006-12-06

Family

ID=366709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200A KR100653880B1 (ko) 2004-12-17 2005-10-18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060041497A KR20060069386A (ko) 2004-12-17 2006-05-09 토목구축물용 블록 및 토목구축물용 블록 부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97A KR20060069386A (ko) 2004-12-17 2006-05-09 토목구축물용 블록 및 토목구축물용 블록 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91692B1 (ko)
KR (2) KR100653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256A (zh) * 2014-07-25 2014-10-08 上海嘉洁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和生态化的输水渠道及其护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6307B (zh) * 2014-06-18 2016-09-07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基于底栖动物群落结构响应的景观格局尺度识别系统
CN104008467B (zh) * 2014-06-18 2017-01-18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基于底栖动物群落结构响应的景观格局阈值识别系统
KR101864262B1 (ko) * 2017-07-10 2018-06-04 백명산업(주) 토목건축용 블록
CN109958102B (zh) * 2019-04-09 2021-02-02 重庆交通大学 一种抗冲刷植生型混凝土结构及其制作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5322A (ja) * 1975-03-03 1976-09-17 Torayoshi Sakaeda Konkuriitohyomennokiborikeshokakoho
JPS5385814A (en) * 1977-01-10 1978-07-28 Tadanaru Kawanami Method of making decorative cement plate
JPS63299901A (ja) * 1987-05-30 1988-12-07 Kunio Watanabe 表面に自然石を現出するコンクリ−ト製品の成形方法
JPH03203506A (ja) * 1989-12-29 1991-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浮上装置
JPH05245819A (ja) * 1992-03-06 1993-09-24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人造大理石の製造方法
JPH06198613A (ja) * 1992-12-28 1994-07-19 Maeda Seikan Kk コンクリート製化粧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H11179711A (ja) * 1997-12-23 1999-07-06 Chika Nakaya 擁壁等の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361711Y1 (ko) * 2004-06-18 2004-09-13 강정용 기능성 천연재료로 표면처리된 생태블럭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5322A (ja) * 1975-03-03 1976-09-17 Torayoshi Sakaeda Konkuriitohyomennokiborikeshokakoho
JPS5385814A (en) * 1977-01-10 1978-07-28 Tadanaru Kawanami Method of making decorative cement plate
JPS63299901A (ja) * 1987-05-30 1988-12-07 Kunio Watanabe 表面に自然石を現出するコンクリ−ト製品の成形方法
JPH03203506A (ja) * 1989-12-29 1991-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浮上装置
JPH05245819A (ja) * 1992-03-06 1993-09-24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人造大理石の製造方法
JPH06198613A (ja) * 1992-12-28 1994-07-19 Maeda Seikan Kk コンクリート製化粧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691842B2 (ja) * 1992-12-28 1997-12-17 前田製管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化粧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H11179711A (ja) * 1997-12-23 1999-07-06 Chika Nakaya 擁壁等の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361711Y1 (ko) * 2004-06-18 2004-09-13 강정용 기능성 천연재료로 표면처리된 생태블럭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619861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256A (zh) * 2014-07-25 2014-10-08 上海嘉洁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和生态化的输水渠道及其护砌方法
CN104088256B (zh) * 2014-07-25 2015-11-18 上海嘉洁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和生态化的输水渠道及其护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386A (ko) 2006-06-21
JP3791692B1 (ja) 2006-06-28
KR20060069245A (ko) 2006-06-21
JP2006169860A (ja)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609B1 (en) Water storing block and connecting member for water storing block and rain water storing/infiltrating structure
KR100653880B1 (ko)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JP4210312B2 (ja) 建築物
JP2006169957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及び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部品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JP4967105B2 (ja) 建築物における免震方法
JP2665144B2 (ja) 補強土構造物
JP5513067B2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JP3131171B2 (ja) 立体枠状ブロックの型枠装置及び同ブロックの使用方法並びに同ブロックによる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101755590B1 (ko)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
JP3316507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護岸構造体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JP2008048645A (ja) コケ緑化用コンクリート体及びコンクリート体のコケ緑化構造
KR200236283Y1 (ko) 말뚝지주형 식생대
JPH0949202A (ja) 化粧板
JP2006183287A (ja) 盛土用発泡樹脂ブロック体
KR200450476Y1 (ko) 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조
KR100954606B1 (ko)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303590B1 (ko) 입방틀형블록,입방틀형블록제조장치및사용방법
KR20090061532A (ko)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JPH11172704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24050B2 (ja) 雨水貯留排水構造
KR101529830B1 (ko)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24030459A (ja) 軽量地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