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590B1 -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 - Google Patents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5590B1 KR101755590B1 KR1020160113520A KR20160113520A KR101755590B1 KR 101755590 B1 KR101755590 B1 KR 101755590B1 KR 1020160113520 A KR1020160113520 A KR 1020160113520A KR 20160113520 A KR20160113520 A KR 20160113520A KR 101755590 B1 KR101755590 B1 KR 1017555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minated
- perforated plate
- stacked
- laminated perforated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4—Foundations produced by soil stabilis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함체형상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적층되는 적층타공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 적층타공판들은 물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적층되고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 적층타공판들은 흙과 자갈 등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부 적층타공판 위에 가로질러 얹혀서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자갈과 같은 투수성재료를 채워넣을 필요없이 적층타공판만 적층하면 되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또 적층타공판에 투수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물빠짐이 용이하며, 적층타공판 만으로 유공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유공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비용의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맹암거를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별도의 유공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맹암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및 조경공사에 포함되는 도로건설이나 운동장, 잔디광장 등의 공사시에 널리 시공되는 배수공법 중 심토층 배수공사로 시공하고 있는 맹암거는 토양 공극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을 적게하거나 지하수위를 차단 혹은 저하시켜서 토질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토질의 내구력을 증진시키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한 배수공법이다.
이때 암거의 매설은 불투수층까지 굴착한 후 투수성재료를 채워넣어 상부를 복토하여 심토층내에 함유된 수량을 배수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종래의 맹암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표층을 굴착하여 터파기를 한 후 부직포(3)를 깔고 부직포(3)상에 유공관(1)을 부설하고 그 위에 투수층을이루도록 골재(2)를 투입하여 구거를 충진시킨후 부직포(3)를 봉합하고 그 위에 복토를 하여 지표층을 만들어 시공을 완료하는 구조이다.
상기 부직포(3)는 토질조건상 토양입자가 물과 같이 흘러서 유공관(1)의 내부로 유입되어 유공관(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로서 기능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우천시 지표층에서 심토층으로 흡수되는 물은 부직포(3)와 골재(2)를 거쳐 배수망이 형성된 유공관(1)의 통공을 통해서 내부로 모여졌다가 유공관(1)을 따라 배수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맹암거는 터파기 작업에 있어서, 골재의 투입시 과량의 골재가 투입되거나 과소의 골재가 투입되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가 곤란하고 부직포로 유공관 및 골재를 둘러 싸야 하므로 부직포가 많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인해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되고 자재관리 노무관리등의 시공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고, 다량의 필터용 골재가 필요하게 되므로 설치비가 높아지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통수공(39)이 천공된 가요성 유공관(31)을 형성하고, 상기 가요성유공관(31)의 외주면에 환상(環狀)의 돌부(32) 및 요부(33)가 반복형성되는 발포다공체로 형성된 상광하협의 제형 판체인 상부판체(10)와 하부판체(20)가 접합되어 판상모듈(1)을 밀착 배열되어 맹암거를 구성하는 조립식 맹암거가 등록특허 10-1032677호로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역시 다수의 통수공(39)이 천공된 가요성 유공관(31)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구조여서 시공비가 높아지고, 시공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가요성 유공관(31)은 단면이 원형상이어서 상기 가요성유공관(31)의 외주면에 결합하기 위한 판상모듈을 발포다공체로 제작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고 또 일정하지 못한 발포다공체의 다공을 통해 물을 배수시키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등록특허 10-1032677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성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가요성 유공관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모듈식으로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배수도 용이한 구조의 조립식 맹암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함체형상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적층되는 적층타공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 높이의 중간 보다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 적층타공판들로는 물이 흐를 수 있는 유공통로를 형성하도록 좌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하고 상기 유공통로의 높이보다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 적층타공판들은 흙과 자갈 등이 쏟아지지 않도록 서로 좌우측에 이격되게 적층한 하부 적층타공판 위에 가로질러 얹혀서 적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층타공판은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층타공판은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비는 1: 3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게 적층된 하부 적층타공판은 세로로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상부 적층타공판은 가로 길이방향으로 하부 적층타공판 위에 반복적으로 얹히도록 적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층타공판은 다수개의 수직통수공을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자갈과 같은 투수성재료를 채워넣을 필요없이 적층타공판만 적층하면 되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또 적층타공판에 투수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물빠짐이 용이하며, 적층타공판 만으로 유공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유공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비용의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이고 조립식이어서 현장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환경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고, 또 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게 되면 얼마든지 원하는 길이의 맹암거를 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도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배치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적층타공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X-X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적층타공판을 적층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도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배치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적층타공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X-X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적층타공판을 적층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도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배치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적층타공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X-X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의 적층타공판을 적층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100)는, 체결구(111)에 의해 결합되어 함체형상을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적층되는 적층타공판(1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111) 높이의 중간부보다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 적층타공판(B)들은 물이 흐를 수 있는 유공통로(A)를 형성하도록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하고 상기 유공통로(A)의 높이보다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 적층타공판(C)들은 흙과 자갈 등이 쏟아지지 않도록 좌우측에 서로 이격되게 적층한 하부 적층타공판(B) 위에 가로질러 얹혀서 적층되도록 한다.
이로인해 상기 하부 적층타공판(B)의 이격틈 사이로는 물이 흐를 수 있게 되고, 이는 종래 맹암거의 유공관을 대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부와 상부 적층타공판의 적층구조로 인해 유공관의 기능을 하는 유공통로(A)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적층타공판(B)의 이격틈 사이에 흙과 자갈 등이 들어가서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해 하부 적층타공판(B)의 이격틈 위를 상부 적층타공판(C)에 의해 커버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부 적층타공판(C)으로 하부 적층타공판(B)의 이격틈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적층타공판(120)의 가로세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였다.
물론 반대로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안정적인 적층을 위해서 상기 적층타공판(120)은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비는 1: 3로 형성됨을 바람직하다. 즉 이는 하부 적층타공판(B)은 세로로 길게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두줄로 배치하고, 이격거리는 적층타공판(120)의 가로길이 만큼 형성하게 되면 정확하게 하부 적층타공판(B)의 끝에서 끝까지 거리는 적층타공판(120)의 세로 길이가 된다.
즉 하부 적층타공판(B) 위에 상부 적층타공판(C)을 가로방향으로 세개 얹으면 하부 적층타공판(B)의 세로 길이와 같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적층타공판은 상당한 높이로 쌓아서 하부 적층타공판(B)과 상부 적층타공판(C)을 이루게 된다. 상기 하부 적층타공판(B)과 상부 적층타공판(C) 적층높이는 공사현장의 상황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타공판(120)의 구조는 다수개의 수직통수공(121a)을 구비하는 기판(121)과, 상기 기판(121)의 하부에 돌출되는 지지대(123)와, 상기 기판(121)의 상단에 형성되는 삽입홈(122)과, 상기 삽입홈(122)에 삽입되고 지지대(123)의 하단에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삽입홈(122)과 삽입돌기(124)는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삽입돌기(124)가 기판(121)의 상단에 형성되고 삽입홈(122)이 지지대(123)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될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123)와 지지대(123) 사이의 오목홈(121b,121c)은 적층타공판이 서로 적층되었을 때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수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통수공(121a)을 통해서 물이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고, 지지대(123)와 지지대(123) 사이의 오목홈(121b,121c)을 통해서 물이 좌우 측면방향으로 통과되는 구조이다.
이처럼 본 발명 맹암거를 사용하게 되면 자갈과 같은 투수성재료를 채워넣을 필요없이 적층타공판만 적층하면 되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또 적층타공판(120)의 적층에 의해 유공통로(A)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유공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비용의 절감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조립식 맹암거
110: 프레임
111: 체결구
120: 적층타공판
A: 유공통로
B: 하부 적층타공판
C: 상부 적층타공판
110: 프레임
111: 체결구
120: 적층타공판
A: 유공통로
B: 하부 적층타공판
C: 상부 적층타공판
Claims (5)
- 체결구(111)에 의해 결합되어 함체형상을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적층되는 적층타공판(120)으로 이루어지는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 높이의 중간부보다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 적층타공판(B)들은 물이 흐를 수 있는 유공통로(A)를 형성하도록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하고,
상기 유공통로(A)의 높이보다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 적층타공판(C)들은 흙과 자갈이 쏟아지지 않도록 좌우측에 서로 이격되게 적층한 하부 적층타공판(B) 위에 가로질러 얹혀서 적층하며,
상기 적층타공판은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되,
상기 하부 적층타공판은 세로로 길게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두줄로 배치하고,
상부 적층타공판은 이격되게 적층된 하부 적층타공판 위에 가로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얹히도록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3520A KR101755590B1 (ko) | 2016-09-02 | 2016-09-02 |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3520A KR101755590B1 (ko) | 2016-09-02 | 2016-09-02 |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5590B1 true KR101755590B1 (ko) | 2017-07-19 |
Family
ID=5942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3520A KR101755590B1 (ko) | 2016-09-02 | 2016-09-02 |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559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12242A (zh) * | 2020-09-17 | 2020-12-22 | 安徽林海园林绿化股份有限公司 | 基于雨水调蓄系统的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15872A (ja) * | 2008-02-14 | 2009-09-24 | Yoshihara Kako:Kk | 地下水排除構造 |
-
2016
- 2016-09-02 KR KR1020160113520A patent/KR1017555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15872A (ja) * | 2008-02-14 | 2009-09-24 | Yoshihara Kako:Kk | 地下水排除構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12242A (zh) * | 2020-09-17 | 2020-12-22 | 安徽林海园林绿化股份有限公司 | 基于雨水调蓄系统的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845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 |
EP1311727B1 (en) | Pavement with structural module | |
JP4772662B2 (ja) | 浸透システ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4833916B2 (ja) | 貯留浸透システム | |
KR101510615B1 (ko) |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JP2012057441A (ja) |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 |
JP5878402B2 (ja) | 地盤の液状化対策構造 | |
KR101755590B1 (ko) |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 | |
JP2014012981A (ja) | 液状化対策構造 | |
KR100653880B1 (ko) |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 |
JP2006169957A (ja) |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及び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部品 | |
KR100964893B1 (ko) | 개수로와 배수재가 결합 형성된 초연약 지반의 집배수장치 | |
KR100804066B1 (ko) |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며 그 구조강도가 개선되는인공지반의 배수구조 | |
JP2006274628A (ja) | 雨水流出抑制排水路構造 | |
JP2662823B2 (ja) | 雨水浸透構造 | |
JP6839438B2 (ja) | 雨水浸透貯留槽の構築方法 | |
KR101024354B1 (ko) |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배수장치 | |
CN203821546U (zh) | 一种生态雨水井构造 | |
JP2012052349A (ja) |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 |
CN207761012U (zh) | 一种景观卵石排水盲沟 | |
JP2008057130A (ja) | 透水型土留柵渠及びその設置工法 | |
JP6924050B2 (ja) | 雨水貯留排水構造 | |
JPH0434142A (ja) | ハニカム形状板による地中の貯溜・浸透工法 | |
JPH0344819Y2 (ko) | ||
KR200364453Y1 (ko) | 조립식 이중필터 맹암거 우수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