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830B1 -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830B1
KR101529830B1 KR1020140136196A KR20140136196A KR101529830B1 KR 101529830 B1 KR101529830 B1 KR 101529830B1 KR 1020140136196 A KR1020140136196 A KR 1020140136196A KR 20140136196 A KR20140136196 A KR 20140136196A KR 101529830 B1 KR101529830 B1 KR 10152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ire mesh
wire
wire net
indepe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철
Original Assignee
허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철 filed Critical 허영철
Priority to KR102014013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상황에 맞게 쉽게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한 철망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독립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측면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날개부(113)를 포함하는 측면철망(110)과; 상기 측면철망(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철망(12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철망(110)을 3개 이상 상호 체결하되, 한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일단부가 다음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타단부와 맞닿도록 측면철망(110)들을 차례차례 연결하여, 상기 측면부(111)들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측면부(111)들이 독립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각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는 폐루프 형상의 독립공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한 철망유닛의 상기 날개부(113)는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체결되어 다른 철망유닛과 함께 연결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측면철망(110) 내에서 측면부(111)와 날개부(11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독립공간의 크기와 연결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철망유닛을 서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로서, 복수개의 측면철망(110)이 상호 체결되어 다각형의 독립공간이 형성되되, 독립공간들 사이에는, 이웃하는 철망유닛들을 연결하는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와, 독립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에 의해 연결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A Gabion Unit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상황에 맞게 쉽게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한 철망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돌망태(개비온)는 제방이나 둑, 옹벽 등을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이는 철망 안에 석재를 채워 넣어 블록화 하는 것인데, 이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부감이 적고 환경친화적인 이미지를 주면서도, 자연석 쌓기 공법보다 재료를 구하거나 시공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돌망태는 주로 사각형이나 육각형 철망을 사용하는데, 그 내부에 석재를 채워 넣어 축조하고, 또 작업현장 주변이 토사를 활용하여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돌망태는 단순히 직육면체나 육각기둥 형태인 것이 사용되어 왔고, 이렇게 단순한 돌망태들을 사용하여 하천,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 등에서 범람을 방지하고 수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돌망태들을 결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돌망태들은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현장에서 이를 제작하고 설치함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인건비를 높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숙련된 사람이 아니고서는 불규칙적인 형상을 가지는 시공 현장에서 임기응변으로 돌망태를 제작 설치하는 과정이 상당히 까다로울 수밖에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701300호 공개특허공보 제2004-108502호 등록특허공보 제870034호 등록특허공보 제4252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현장에서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철망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망유닛을 모듈화하여 규칙적인 배열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철망유닛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된 철망 유닛을 다양하게 배열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석재공간과 식생공간 형성이 가능한 철망유닛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설치 환경에 모두 적용 가능한 철망유닛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독립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독립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측면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날개부(113)를 포함하는 측면철망(110)과; 상기 측면철망(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철망(12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철망(110)을 3개 이상 상호 체결하되, 한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일단부가 다음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타단부와 맞닿도록 측면철망(110)들을 차례차례 연결하여, 상기 측면부(111)들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측면부(111)들이 독립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각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는 폐루프 형상의 독립공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한 철망유닛의 상기 날개부(113)는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체결되어 다른 철망유닛과 함께 연결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측면철망(110) 내에서 측면부(111)와 날개부(11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독립공간의 크기와 연결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철망유닛을 이용 이용한 하천 호안 보강 공법으로서, 독립공간의 측면을 이룰 측면부(111)와 독립공간 외측으로 돌출될 날개부(113)를 형성하며, 측면철망(110)을 서로 연결하여 독립공간(O)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철망유닛의 날개부(113)를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연결하며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면의 저면부에서 고면부로 올라올수록, 독립공간의 면적과 연결공간의 면적이 달라지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상기 측면부와 날개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강 공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독립공간과 연결공간의 면적 조절 구간은, 독립공간의 면적이 가장 크고 연결공간의 면적이 가장 작은 제1구간, 독립공간의 면적이 중간 크기이고 연결공간의 면적이 중간 크기인 제2구간 및 독립공간의 면적이 가장 작고 연결공간의 면적이 가장 큰 제3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간은 하천 바닥에서 저수위까지, 상기 제2구간은 저수위에서 고수위까지, 상기 제3구간은 고수위에서 홍수위까지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구간에서는 상기 독립공간에 석재를 채우고, 상기 연결공간에 석재를 채우거나 식재하며, 상기 제2구간과 제3구간에서는, 상기 독립공간에 석재를 채우고, 상기 연결공간에 식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독립공간과 연결공간의 면적 조절 구간은, 독립공간의 면적이 가장 작고 연결공간의 면적이 가장 큰 제1구간, 독립공간의 면적이 중간 크기이고 연결공간의 면적이 중간 크기인 제2구간 및 독립공간의 면적이 가장 크고 연결공간의 면적이 가장 작은 제3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간은 하천 바닥에서 저수위까지, 상기 제2구간은 저수위에서 고수위까지, 상기 제3구간은 고수위에서 홍수위까지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구간에서는 상기 연결공간에 석재를 채우고, 상기 독립공간에 석재를 채우거나 식재하며, 상기 제2구간과 제3구간에서는, 상기 연결공간에 석재를 채우고, 상기 독립공간에 식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철망유닛을 서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로서, 복수개의 측면철망(110)이 상호 체결되어 다각형의 독립공간이 형성되되, 독립공간들 사이에는, 이웃하는 철망유닛들을 연결하는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와, 독립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에 의해 연결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독립공간에는 식재하고, 상기 연결공간에는 석재를 채울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독립공간은 식생공간 또는 흡읍공간으로 활용하고, 상기 독립공간들 사이의 연결공간들 중 적어도 일부 연결공간들에는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연결공간 중 그 측면에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공간에는 석재를 채울 수 있으며, 상기 독립공간들 사이의 연결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지주(60)의 하단부 일부분을 매립하여 타설하고, 양생 후 지주 사이에 펜스(62)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망유닛 조립체를 하천 바닥과 호안 사면 사이의 위치에 기초로서 매립하는 호안 보강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망유닛의 날개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독립공간과 연결공간의 면적을 달리함으로써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다르게 연출할 수 있어 현장 상황에 매우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망유닛을 모듈화하여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망유닛의 제작 과정에서 철망유닛을 구성하는 철망들의 결합과 철망유닛 보강이 함께 이루어져 철망유닛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철망유닛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철망유닛들을 다양한 형태로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맞게, 그리고 다양한 형태로 옹벽이나 사면 보강을 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미려한 미감을 제공한다.
아울러 철망유닛의 측면철망의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독립공간과, 이웃하는 철망유닛들의 날개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공간의 활용을 다양하게 하여, 식생공간과 콘크리트타설공간과 석재공간 등을 하나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사각형의 철망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철망유닛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의 동일한 구성품으로부터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다르게 조절한 철망유닛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삼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육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팔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철망유닛으로 곡선구간에 적용 가능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철망유닛에 마감철망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완만한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을 경사가 큰 하천변의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5는 도 14와 같이 철망유닛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식생공간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망에 덧대어지는 망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철망유닛에 석재를 채운 상태에서 철망유닛을 인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을 활용하여 하천 호안을 보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식재용으로 활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펜스 기초용으로 활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방음벽으로 활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철망유닛]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사각형의 철망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철망유닛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100)은 직육면체의 석재공간(S)이 철망으로 커버되고 각 모서리에서 방사상으로 날개부(113)가 외향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철망유닛(100)은 호환 가능한 측면철망(110)들과 하부철망(120) 및 상부철망(130)으로 조립 가능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4개의 측면철망(110)의 양측을 소정 위치에서 45도 절곡하여 측면부(111)와 날개부(113)를 형성하고, 날개부(113)의 단부를 외측으로 만곡하여 만곡부(115)를 형성한 후, 복수의 측면철망의 측면부(111)가 서로 대향하도록 하면서, 이웃하는 측면철망의 날개부(113)가 서로 접하도록 맞대어 4각형의 석재공간(S) 측면을 형성하며 측면철망(110)들을 결합한다. 이 때 측면철망(110)들의 중심부에 측면지지와이어(140)을 엮어 4개의 측면철망을 석재공간(S) 쪽으로 조여준다. 여기서 맞대어진 날개부(113)들을 철사 등으로 엮어 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철망(120)을 석재공간(S)의 하면에 위치시키며 하부철망(120)의 네 단부와 측면철망의 측면부(111) 하단을 스프링 등의 연결구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석재공간(S) 내부에 석재를 채운 후 상부철망(130)을 석재공간(S)의 상면에 위치시키며 상부철망(130)의 네 단부와 측면철망의 측면부(111) 상단을 스프링 등의 유닛연결구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 석재공간(S)에 석재가 채워진 기본적인 철망유닛(100)이 완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날개부(113) 단부의 유닛연결구(310)는 후술할 철망유닛 조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철망유닛을 이웃하는 다른 철망유닛과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철망유닛 조립체]
도 3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서 살펴본 철망유닛(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4개씩 서로 맞대어 스프링 등의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함으로써 매트릭스 형태의 철망유닛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사각형 형태의 석재공간(S) 사이에, 날개부(113)들이 연결되며 생성되는 새로운 공간이 발생하고, 이 공간은 식생공간(N)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식생공간(N)은 날개부(113)와, 측면부(111) 외면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는 매트릭스 형태로 석재공간(S)이 위치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을 식생공간(N)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날개부(113)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만곡된 만곡부(1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만곡부들이 서로 맞대어지면서 맞대어지는 부분의 중심에 중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으로 지반고정용 앵커(320)를 끼워 넣으면 앵커는 유닛연결구인 스프링(310)에 의해 결속된 4개의 날개부(113)를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로 사면 등 경사가 급한 사면을 보강할 때에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사면에 거치하고 상기 만곡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을 통해 앵커(320)를 지반에 박아 넣을 수 있어 철망유닛 조립체를 견고하게 지반에 고정할 수 있다.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 조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의 동일한 구성품으로부터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다르게 조절한 철망유닛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측면철망(110)의 절곡부(11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석재공간(S)과 식생공간(N)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에 특징이 있다.
즉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측면철망(110)이라 하더라도,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2)를 측면철망(110)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하면 측면부(111)가 짧아지고 날개부(113)가 길어지게 되어 석재공간(S)은 좁아지고 식생공간(N)은 넓어지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2)를 측면철망(110)의 양단에 가깝게 형성하면 측면부(111)가 길어지고 날개부(113)가 짧아지게 되어 석재공간(S)은 넓어지고 식생공간(N)은 좁아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동일한 치수의 측면철망을 가지고도 절곡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철망유닛의 형상 변경을 통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매트릭스 형상 변경]
상술한 철망유닛은 직육면체 형상의 석재공간을 형성하는 사항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석재공간이 직육면체 형상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단순히 측면철망(110)의 절곡부(112)의 절곡 각도를 변화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형상의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을 가지는 철망유닛과 그 조립체를 제작하고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삼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육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팔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사용된 철망유닛(100)은, 3개의 측면철망(110)의 절곡부(112)를 30도로 절곡시키고, 이웃하는 측면철망들의 날개부(113)을 서로 맞대어 삼각형 형상의 석재공간(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씩 서로 맞대어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하면, 앞서 도 3의 철망유닛 조립체와는 다른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구조에서도 앞서 도 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절곡부(112)의 위치를 조정하여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사용된 철망유닛(100)은, 6개의 측면철망(110)의 절곡부를 60도로 절곡시키고, 이웃하는 측면철망들의 날개부(113)을 서로 맞대어 육각형 형상의 석재공간(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씩 서로 맞대어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하면 앞서 도 3과 도 5의 철망유닛 조립체와는 다른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구조에서도 앞서 도 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절곡부(112)의 위치를 조정하여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사용된 철망유닛(100)은, 4개의 측면철망(110)의 절곡부는 45도로 절곡시키고, 4개의 측면철망(110)의 절곡부는 90도로 절곡시키며, 서로 다른 각도로 절곡된 측면철망들을 교호로 배치하면서 이웃하는 측면철망들의 날개부(113)을 서로 맞대어 팔각형 형상의 석재공간(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씩 서로 맞대어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하면 앞서 도 3과 도 5와 도 6의 철망유닛 조립체와는 다른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구조에서도 앞서 도 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절곡부(112)의 위치를 조정하여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철망유닛보다 절곡부의 위치를 측면철망의 중심에 가깝에 배치하면 (b)와 같이 석재공간의 면적은 줄어들고 식생공간의 면적은 늘어나며, 도 7의 (a)에 도시된 철망유닛보다 절곡부의 위치를 측면철망의 양단에 가깝에 배치하면 (c)와 같이 석재공간의 면적은 늘어나고 식생공간의 면적은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부의 절곡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철망유닛과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다.
[철망유닛의 연결 위치 변경을 통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매트릭스 형상 변경]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형상의 철망유닛들 간의 연결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철망유닛 조립체의 매트릭스 형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2개씩 서로 맞대어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하면, 동일한 철망유닛(100)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앞서 도 3의 철망유닛 조립체와는 다른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하였던 것처럼 날개부의 단부만을 서로 연결하여 철망유닛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가 다른 철망유닛들의 측면부(111)와 결합되도록 하면서 철망유닛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서처럼 체결되어 가는 철망유닛 조립체의 중간 중간 있는 철망유닛(100)을 45도 돌려 그 날개부(113)를 다른 철망유닛의 측면부(111)에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또 다른 형태의 철망유닛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은 철망유닛들 간의 결합 규칙을 달리 함으로써 철망유닛 조립체의 매트릭스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매트릭스 형상을 변경하는 철망유닛들의 체결 구조에서도 절곡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날개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곡선구간에 적용 가능한 철망유닛 조립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은 하나의 측면철망 양단에 형성된 날개부의 길이를 서로 달리 함으로써 곡선구간의 사면이나 옹벽에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도 1의 철망유닛으로 곡선구간에 적용 가능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과 같이 가상의 중심(O)을 기준으로 사면이 호의 형상을 이룬다 하였을 때, 그 사면 상에 사면의 호 형상과 대응하도록 철망유닛 조립체를 호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철망유닛(100)의 날개부(113)들 중 가상의 중심에 가까운 날개부의 길이는 짧게 하고 가상의 중심에서 먼 위치의 날개부의 길이를 길게 하며 측면을 따라 철망유닛들을 연결하여야 한다. 이렇게 날개부를 형성하여 철망유닛들을 연결하면 곡선을 이루는 구간에서도 철망유닛을 규칙적으로 설치해 나아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 구간에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철망유닛 구성으로 인해 우수한 미감을 주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시공할 수 있다.
[철망유닛 조립체의 단부의 처리]
앞서 설명한 철망유닛 조립체에 있어서, 철망유닛들 사이에 있는 식생공간은 날개부와 측면부에 의해 둘레가 규정되어 있어 식생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지만, 철망유닛 조립체의 테두리에 있는 부분은 외측으로 트여 있어 그 상태로는 식생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는 마감철망(200)을 체결함으로써 철망유닛 조립체의 외곽에도 식생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 12는 도 1의 철망유닛에 마감철망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마감철망(200)의 양단이 이웃하는 두 날개부(113)에 체결되도록 하면 철망유닛 조립체의 둘레에도 모두 식생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철망유닛 조립체의 시공]
앞서 설명한 철망유닛들을 사용하여 철망유닛 조립체를 사면 등에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완만한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을 경사가 큰 하천변의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5는 도 14와 같이 철망유닛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식생공간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망에 덧대어지는 망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7은 철망유닛에 석재를 채운 상태에서 철망유닛을 인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의 경사가 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철망유닛(100)의 하부철망 부분이 사면에 접하도록 하며 철망유닛 조립체를 사면 위에 시공한다. 사면에 경사가 있어 철망유닛 조립체가 사면을 따라 흘러 내려갈 염려가 있을 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날개부의 단부들을 서로 체결하며 형성된 만곡부 사이의 중공을 통해 앵커(320)를 삽입하여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철망유닛 조립체를 사면에 시공할 때에는 먼저 사면에 철망유닛 조립체를 설치한 후 석재공간(S)에 석재를 채우고 식생공간(N)에 토양을 채우고 식재할 수도 있고, 먼저 철망유닛의 석재공간(S)에 석재를 채운 상태에서 이를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철망유닛을 사면 위에 설치해 나아갈 수 있다.
석재공간(S)에 석재를 채운 상태에서 철망유닛을 크레인으로 인양할 때에는, 철망유닛이 석재의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유닛의 하부철망(120) 하면에 스프링 등의 연결구로 철근을 연결하고, 측면부의 양쪽 단부 하단과 철근들의 사이사이를 각각 잇는 트러스형 철선이나 로프를 설치하며, 이를 인양 로프에 연결하여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철망유닛을 들어올려 옮김으로써 철망유닛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변의 급경사 부분에 철망유닛(100)을 시공할 때에는, 보강이 필요한 사면에 철망유닛의 측면철망(110)이 접하도록 하며 복수의 층으로 철망유닛(100)을 적층한다. 철망유닛을 적층함에 있어서는, 상층의 철망유닛(100)을 하층의 철망유닛(100)에 대해 계단식으로 적층하고, 아울러 상층의 철망유닛(100)의 석재공간과 하층의 철망유닛의 석재공간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적층하면, 안정적으로 사면을 보강하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평수위(W)까지는 식생공간에도 석재를 채움으로써 토양이 유수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초를 단단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생공간 중 특히 철망유닛 조립체의 단부에 위치하는 식생공간은 외부와 노출되므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망(200)에 토사유출방지용 PE메쉬(502), 황마 또는 코이어 네트(504), 씨앗 펄프 또는 PLA 씨앗 매트(506) 등을 적층하여 수분은 공급되면서도 토사가 유실되는 것은 방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는 석재공간(S)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서도, 식생공간은 서로 접하여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공간 간에 수분이 공급됨은 물론 생태 이동도 가능하다.
[호안 보강 공법]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하나의 철망유닛 내에서 측면철망(110)들을 서로 결속하여 형성되는 독립공간(O)을 석재공간(S)으로서 활용하고, 이웃하는 철망유닛들을 연결하면서 형성되는 연결공간(R)을 식생공간(N)으로 활용한 예들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독립공간(O)을 식생공간(N)으로 사용하고, 연결공간(R)을 석재공간(S)으로 활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독립공간(O) 또는 연결공간(R)을 콘크리트 타설공간(C)으로 활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을 활용하여 하천 호안을 보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하천은, 가물 때나 겨울에 흐르는 물의 수위인 저수위(L.W.L), 통상적인 비가 왔을 때 흐르는 물의 수위인 고수위(H.W.L), 그리고 여름철 태풍이나 장마와 같이 큰 비가 왔을 때 흐르는 물의 수위인 홍수위(F.W.L)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하천 바닥에서 저수위까지의 구간을 제1구간, 저수위에서 고수위까지의 구간을 제2구간, 고수위에서 홍수위까지의 구간을 제3구간이라고 하면, 제1구간은 항상 물에 잠겨 있는 구간이 되고, 제2구간은 통상적인 비가 왔을 때에만 잠기고 평상시에는 수면 위로 노출되는 구간이 되며, 제3구간은 통상적이지 않은 큰 비가 왔을 때에만 물에 잠기고 그 외에는 늘 노출되는 구간이 된다.
본 발명의 철망유닛은, 독립공간과 연결공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천호안 조성시 수위별로 유량과 유속을 감안하여, 상시 물속에 잠겨 있거나 빠른 유속에 대응할 부분이나, 장마 또는 집중 호우시에만 물과 접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석재 부분과 녹화할 부분의 비율을 조절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독립공간과 연결공간 중 어떠한 공간을 석재공간으로 활용할지, 또 식생공간으로 활용할지에 따라, 구간별로 독립공간과 연결공간의 면적을 달리할 수 있다.
먼저 독립공간을 석재공간으로 활용하고 연결공간을 식생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독립공간의 바닥과 상부에 하부철망(120)과 상부철망(130)을 체결하여 석재나 사석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고(필요에 따라서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재된 식물의 생착을 돕기 위해 연결공간의 바닥과 상부에도 하부철망과 상부철망을 연결할 수 있음), 하천 바닥에 가까워질수록 석재공간인 독립공간의 면적을 점점 더 크게 하고 식생공간인 연결공간의 면적을 점점 더 작게 할 수 있다. 가령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간에서는 전체면적 대비 독립공간의 면적을 90% 정도로, 제2구간에서는 전체면적 대비 독립공간의 면적을 70% 정도로, 제3구간에서는 전체면적 대비 독립공간의 면적을 30% 정도로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간 내지 제3구간에서 독립공간에 석재를 채워 넣고, 연결공간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부직포 등을 바닥과 측면에 깔고 토사를 채워 넣어 식재한다. 이 때 필요하다면 제1구간의 연결공간에는 식재를 하는 대신 석재공간으로서 사석을 채워 넣을 수가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사석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공간의 바닥과 상부에도 하부철망과 상부철망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위와 같이 독립공간을 석재공간으로 활용하고 연결공간을 식생공간으로 활용하는 경우와 반대로, 독립공간을 식생공간으로 활용하고 연결공간을 석재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연결공간의 바닥과 상부에 하부철망과 상부철망을 체결하여 석재나 사석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고(필요에 따라서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재된 식물의 생착을 돕기 위해 독립공간의 바닥과 상부에도 하부철망과 상부철망을 연결할 수 있음), 하천 바닥에 가까워질수록 석재공간인 연결공간의 면적을 점점 더 크게 하고 식생공간인 독립공간의 면적을 점점 더 작게 할 수 있다. 가령 제1구간에서는 전체면적 대비 연결공간의 면적을 90% 정도로, 제2구간에서는 전체면적 대비 연결공간의 면적을 70% 정도로, 제3구간에서는 전체면적 대비 연결공간의 면적을 30% 정도로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간 내지 제3구간에서 연결공간에 석재를 채워 넣고, 독립공간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부직포 등을 바닥과 측면에 깔고 토사를 채워 넣어 식재한다. 이 때 필요하다면 제1구간의 독립공간에는 식재를 하는 대신 석재공간으로서 사석을 채워 넣을 수가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사석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독립공간의 바닥과 상부에도 하부철망과 상부철망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달리하는 것이 반드시 수위별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령 굽이치는 하천의 내측 호안과 외측 호안을 비교하였을 때, 외측이 내측보다 상대적으로 유속이 빠르므로, 동일한 수위라 하더라도 하천의 곡선 구간에서 내측 호안인가 외측 호안인가에 따라 면적을 달리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천호안 조성시 수위별로 유량과 유속을 감안하여, 해당 위치에 가장 최적의 조건으로 석재 부분과 녹화할 부분의 비율을 조절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과다설계를 피할 수 있어 자원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비 절감에 탁월하다.
또한 이러한 시공 방법을 도로 사면의 침식 유실부 보강 및 복구 공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유실부의 침출수 양에 따라 석재 및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하여 시공하는 것이다.
[식재용 식생 철망유닛 조립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식재용으로 활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독립공간을 식생공간으로 활용하고, 연결공간을 석재공간으로 활용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하 도 19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철망유닛을 일렬로 연결하면, 도 19의 (a)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공간(O)과, 독립공간 사이의 연결공간(R)은 구획이 완성된다. 그리고 외측에 마감철망(200)을 연결하면 외측과 접하는 연결공간(R) 역시 구획이 완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철망유닛 조립체를 구성한 후, 각 연결공간(R)에는 석재를 채워 넣고, 독립공간(O)에 부직포 등으로 바닥과 측면을 감싼 후 토사를 채워 식재를 하면, 각각 석재공간(S)과 식생공간(N)이 완성된다. 이 때 적어도 석재공간의 하부와 상부에는 하부철망과 상부철망을 연결한다. 물론 도 19에는 석재공간(S)뿐만 아니라 식생공간(N)에도 하부철망과 상부철망을 연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풀 종류와 같이 줄기의 직경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 식물을 심을 때에는 식생공간에 상부철망을 연결해도 무방할 것이다.
도 19에 도시한 철망유닛 조립체는, 독립공간을 석재공간으로, 연결공간을 식생공간으로 활용하던 앞서 실시예들과는 다른 방향의 실시예이다.
한편 도 19에서는 철망유닛을 일렬로만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2열로 철망유닛 조립체를 연결하는 것 역시 가능하고, “ㅇ”이나 ”ㅁ”자와 같이 중간이 비어 있는 형태로 철망 유닛을 도넛 내지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ㅇ”형태로 연결할 때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철망유닛 내에서 날개부의 길이를 달리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9와 같은 형태를 활용하면, 도 19의 (b)의 정면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식생공간(N)에 식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사면에 설치하면, 자연친화적인 구조물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로 사면에 도 19의 철망유닛 조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현장에서 석재와 토사 등을 조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자재 가격과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식생 철망유닛 조립체는 하천 호안 조성에도 활용할 수 있다. 가령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유닛 조립체를 하천 바닥과 사면 사이의 위치에 기초로 매립하면, 외부에 배치된 석재공간이 내부의 식생공간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식생이 가능하게 하고, 이미 뿌리가 형성된 갈대나 부들 등을 식재하면 조기에 하천의 자연 회기를 앞당길 수 있다.
[펜스 기초용 식생 철망유닛 조립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펜스 기초용으로 활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한 철망유닛 조립체 역시 도 19와 유사하게 제작된다. 즉 일렬로 철망유닛을 연결하면서, 독립공간은 식생공간(N)으로, 외측과 마주하는 연결공간은 석재공간(S)으로 활용하는 점에서 도 19와 유사하다. 다만 도 20의 실시예에서는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에 비닐 또는 부직포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철망유닛 조립체의 높이가 높을 때에는 철근 콘크리트를, 그리 높지 않을 때에는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60)의 하단을 일부 매립하여 양생하면 펜스의 기초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지주(60)에는 철재 네트와 같은 펜스(62)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0의 (b)에는 모든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지주를 매립하여 양생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모든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마찬가지로 모든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에 지주(60)를 매립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모든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된 상태이지만 지주는 모든 연결공간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씩 또는 둘씩 건너뛰어 매립될 수도 있고,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을 하나씩 건너뛰며 콘크리트 타설공간으로 활용하고, 그 외의 연결공간은 석재공간이나 식생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도 20의 (c)와 같이 도로의 측면에 있는 사면에 설치하면, 사면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낙석방지책, 야생동물의 도로 접근 방지책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식생공간(N)에 식재를 하여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도 2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보강에 활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20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있어서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에는 상부철망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식생공간(N)이나 석재공간(S)은 필요에 따라 상부철망을 연결할 필요가 있다. 가령 식생공간과 석재공간에 연결하는 상부철망은, 석재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공간(C)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무게나 압력 등에 의해 철망유닛 조립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성을 유지해 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는 외부와 접하는 공간에 석재를 채워 콘크리트가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종전의 통상적인 콘크리트 형태의 펜스 기초와 달리 삭막한 느낌을 탈피할 수 있고, 또한 식생공간에 식재를 하여 녹생공간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열섬 현상을 저감하고 도시 주변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
[방음벽용 식생 철망유닛 조립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방음벽으로 활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한 철망유닛 조립체 역시 도 19 내지 도 20과 유사하게 제작된다. 즉 일렬로 철망유닛을 연결하면서, 외측과 마주하는 연결공간은 석재공간(S)으로 활용하고,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R)은 콘크리트 타설공간(C)으로 활용하는 점에서 각각 도 19 및 도 20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도 21의 실시예에서는 독립공간(O)의 폭을 줄이고, 이 부분에 부직포 등을 설치하고 모래 등의 흡음재를 채워 넣어 흡음공간(A)으로 활용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철망유닛 조립체의 높이가 높을 때에는 철근 콘크리트를, 그리 높지 않을 때에는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할 수 있음은 도 20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21의 (a)를 참조하면, 철망유닛에서 외부로 향하는 측면철망(110a)은 앞서 실시예에서와 같은 통상적인 길이의 측면철망을 사용하고, 철망유닛에서 이웃하는 철망유닛과 접하는 측면철망(110b)은 길이가 짧은 측면철망을 사용하였다. 물론 두 측면철망(110a, 110b)의 날개부(113)의 길이는 서로 일치하고, 단지 측면부(111)의 길이에 차이를 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1의 실시예에서는 모든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모든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벽체의 강성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 경우라면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을 하나씩 건너뛰며 콘크리트 타설공간으로 활용하고, 그 외의 연결공간은 흡음공간이나 식생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21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있어서 독립공간(O) 사이의 연결공간에는 상부철망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식생공간(S)이나 흡음공간(A)은 필요에 따라 상부철망을 연결할 필요가 있다. 가령 흡음공간과 석재공간에 연결하는 상부철망은, 석재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공간(C)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무게나 압력 등에 의해 철망유닛 조립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성을 유지해 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흡음공간에는 모래와 같은 흡음재가 채워지는데, 그 상부 일부에 토사 등을 채워 넝쿨식물을 키우게 되면,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넝쿨식물이 자라 측벽을 따라 자라도록 할 수 있어, 일반적인 방음벽보다 훨씬 환경 친화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즉 외부와 접하는 공간에 석재를 채워 콘크리트가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종전의 통상적인 콘크리트 형태의 펜스 기초와 달리 삭막한 느낌을 탈피할 수 있고, 또한 앞서 설명한 넝쿨식물에 의해 녹생공간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열섬 현상을 저감하고 도시 주변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철망유닛
110: 측면철망
111: 측면부
112: 절곡부
113: 날개부
115: 만곡부
120: 하부철망
130: 상부철망
140: 측면지지와이어
200: 마감철망
310: 유닛연결구(스프링)
320: 앵커(지반고정용)
400: 철근
410: 철선
502: 토사유출방지용 PE 메쉬
504: 황마 또는 코이어 네트
506: 씨앗 펄프 또는 PLA씨앗 매트
60: 지주
62: 펜스
S: 석재공간
N: 식생공간
C: 콘크리트 타설공간
A: 흡음공간
O: 독립공간
R: 연결공간
a: 제1구간
b: 제2구간
c: 제3구간

Claims (8)

  1. 삭제
  2. 독립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독립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측면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날개부(113)를 포함하는 측면철망(110)과; 상기 측면철망(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철망(12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철망(110)을 3개 이상 상호 체결하되, 한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일단부가 다음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타단부와 맞닿도록 측면철망(110)들을 차례차례 연결하여, 상기 측면부(111)들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측면부(111)들이 독립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각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는 폐루프 형상의 독립공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한 철망유닛의 상기 날개부(113)는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체결되어 다른 철망유닛과 함께 연결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측면철망(110) 내에서 측면부(111)와 날개부(11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독립공간의 크기와 연결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철망유닛을 이용 이용한 하천 호안 보강 공법으로서,
    독립공간의 측면을 이룰 측면부(111)와 독립공간 외측으로 돌출될 날개부(113)를 형성하며, 측면철망(110)을 서로 연결하여 독립공간(O)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철망유닛의 날개부(113)를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연결하며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면의 저면부에서 고면부로 올라올수록, 독립공간의 면적과 연결공간의 면적이 달라지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상기 측면부와 날개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강 공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서 홍수위까지의 구간을, 적어도, 하천 바닥에서 저수위까지 제1구간, 저수위에서 고수위까지 제2구간, 및 고수위에서 홍수위까지 제3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구간에서는 상기 독립공간과 상기 연결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석재를 채우고, 나머지 하나의 공간에 석재를 채우거나 식재하며,
    상기 제2구간과 제3구간에서는, 상기 독립공간과 상기 연결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석재를 채우고, 나머지 하나의 공간에 식재하되,
    제1구간에서 석재가 채워진 공간의 면적이 제2구간에서 석재가 채워진 공간의 면적보다 크고, 제2구간에서 석재가 채워진 공간의 면적이 제3구간에서 석재가 채워진 공간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보강 공법.

  4. 독립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독립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측면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날개부(113)를 포함하는 측면철망(110)과; 상기 측면철망(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철망(12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철망(110)을 3개 이상 상호 체결하되, 한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일단부가 다음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타단부와 맞닿도록 측면철망(110)들을 차례차례 연결하여, 상기 측면부(111)들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측면부(111)들이 독립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각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는 폐루프 형상의 독립공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한 철망유닛의 상기 날개부(113)는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체결되어 다른 철망유닛과 함께 연결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측면철망(110) 내에서 측면부(111)와 날개부(11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독립공간의 크기와 연결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철망유닛을 서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로서,
    복수개의 측면철망(110)이 상호 체결되어 다각형의 독립공간이 형성되되, 독립공간들 사이에는, 이웃하는 철망유닛들을 연결하는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와, 독립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에 의해 연결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독립공간에는 식재하고, 상기 연결공간에는 석재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조립체.
  6. 청구항 5의 철망유닛 조립체를 하천 바닥과 호안 사면 사이의 위치에 기초로서 매립하는 호안 보강 공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독립공간은 식생공간 또는 흡읍공간으로 활용하고, 상기 독립공간들 사이의 연결공간들 중 적어도 일부 연결공간들에는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연결공간 중 그 측면에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공간에는 석재를 채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독립공간들 사이의 연결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지주(60)의 하단부 일부분을 매립하여 타설하고,
    양생 후 지주 사이에 펜스(6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조립체.
KR1020140136196A 2014-10-08 2014-10-08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52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196A KR101529830B1 (ko) 2014-10-08 2014-10-08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196A KR101529830B1 (ko) 2014-10-08 2014-10-08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830B1 true KR101529830B1 (ko) 2015-06-17

Family

ID=5351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196A KR101529830B1 (ko) 2014-10-08 2014-10-08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8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480A (ja) * 2000-11-01 2002-05-14 Koiwa Kanaami Co Ltd 植生構造体と植生方法
KR100925415B1 (ko) * 2009-07-03 2009-11-06 주식회사 비엠테크 경사면 자연석 보강 블록 및 그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 녹화 시공법
KR101373904B1 (ko) * 2013-07-08 2014-03-12 라정란 절첩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460948B1 (ko) * 2014-06-26 2014-11-12 허영철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480A (ja) * 2000-11-01 2002-05-14 Koiwa Kanaami Co Ltd 植生構造体と植生方法
KR100925415B1 (ko) * 2009-07-03 2009-11-06 주식회사 비엠테크 경사면 자연석 보강 블록 및 그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 녹화 시공법
KR101373904B1 (ko) * 2013-07-08 2014-03-12 라정란 절첩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460948B1 (ko) * 2014-06-26 2014-11-12 허영철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460948B1 (ko)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1529830B1 (ko)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539400B1 (ko)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KR20050019569A (ko)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200419609Y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호안의 식생 축조에 적합한 유공관조립체
KR10064128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JPS5820338B2 (ja) 法面安定工法
JP3357641B2 (ja) 護岸ブロック
JP4013210B2 (ja) 河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CN219260878U (zh) 一种阶梯式生态护岸结构
CN218466576U (zh) 一种装配式挡土墙
KR200324519Y1 (ko) 호안블럭
KR200429330Y1 (ko) 와이어 매트리스 축조블록
KR200321439Y1 (ko)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KR100712437B1 (ko)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KR100701482B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유공관을 이용한 호안의 식생 축조공법과 이에 적합한 유공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