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948B1 -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0948B1 KR101460948B1 KR1020140078736A KR20140078736A KR101460948B1 KR 101460948 B1 KR101460948 B1 KR 101460948B1 KR 1020140078736 A KR1020140078736 A KR 1020140078736A KR 20140078736 A KR20140078736 A KR 20140078736A KR 101460948 B1 KR101460948 B1 KR 101460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mesh
- wire
- unit
- wire net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777 Corchorus aestu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862 Corchorus capsul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491 Corchorus aestu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792 Corchorus capsul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상황에 맞게 쉽게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한 철망유닛 및 그 세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석재공간(S)과 식생공간(N)을 구현할 수 있는 철망유닛(100)으로서, 상기 철망유닛(100)은: 석재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서 상호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측면철망(110); 및 상기 측면철망(110)에 의해 규정된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면철망(1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부철망(120);을 구비하되, 상기 측면철망(110)의 적어도 일측은 규정된 석재공간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13)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113)는 다른 철망유닛의 측면철망과 체결되어 다른 철망유닛의 측면철망과 함께 식생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석재공간(S)과 식생공간(N)을 구현할 수 있는 철망유닛(100)으로서, 상기 철망유닛(100)은: 석재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서 상호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측면철망(110); 및 상기 측면철망(110)에 의해 규정된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면철망(1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부철망(120);을 구비하되, 상기 측면철망(110)의 적어도 일측은 규정된 석재공간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13)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113)는 다른 철망유닛의 측면철망과 체결되어 다른 철망유닛의 측면철망과 함께 식생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상황에 맞게 쉽게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한 철망유닛 및 그 세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돌망태(개비온)는 제방이나 둑, 옹벽 등을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이는 철망 안에 석재를 채워 넣어 블록화 하는 것인데, 이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부감이 적고 환경친화적인 이미지를 주면서도, 자연석 쌓기 공법보다 재료를 구하거나 시공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돌망태는 주로 사각형이나 육각형 철망을 사용하는데, 그 내부에 석재를 채워 넣어 축조하고, 또 작업현장 주변이 토사를 활용하여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돌망태는 단순히 직육면체나 육각기둥 형태인 것이 사용되어 왔고, 이렇게 단순한 돌망태들을 사용하여 하천,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 등에서 범람을 방지하고 수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돌망태들을 결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돌망태들은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현장에서 이를 제작하고 설치함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인건비를 높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숙련된 사람이 아니고서는 불규칙적인 형상을 가지는 시공 현장에서 임기응변으로 돌망태를 제작 설치하는 과정이 상당히 까다로울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현장에서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철망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반에 고정하기 용이한 철망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석재를 채워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철망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망유닛을 모듈화하여 규칙적인 배열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철망유닛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된 철망 유닛을 다양하게 배열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석재공간과 식생공간 형성이 가능한 철망유닛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설치 환경에 모두 적용 가능한 철망유닛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과 면적의 석재공간(S)과 식생공간(N)을 구현할 수 있는 철망유닛(100)으로서,
상기 철망유닛은: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석재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측면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날개부(113) 및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 형성된 호 형상의 만곡부(115)를 포함하는 측면철망(110)과;
상기 측면철망(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철망(120);을 포함하고,
상기 철망유닛은:
상기 측면철망(110)을 3개 이상 상호 체결하되, 한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일단부가 다음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타단부와 맞닿도록 측면철망(110)들을 차례차례 연결하여, 상기 측면부(111)들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측면부(111)들이 석재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각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는 폐루프 형상의 석재공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배치되며;
상기 석재공간을 이루는 측면부(111)들의 하단부에 하부철망(120)을 연결하여 상기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한 구조이며,
한 철망유닛의 상기 날개부(113)는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체결되어 다른 철망유닛과 함께 식생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측면철망(110) 내에서 측면부(111)와 날개부(11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석재공간의 크기와 식생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철망유닛은: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석재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측면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날개부(113) 및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 형성된 호 형상의 만곡부(115)를 포함하는 측면철망(110)과;
상기 측면철망(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철망(120);을 포함하고,
상기 철망유닛은:
상기 측면철망(110)을 3개 이상 상호 체결하되, 한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일단부가 다음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타단부와 맞닿도록 측면철망(110)들을 차례차례 연결하여, 상기 측면부(111)들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측면부(111)들이 석재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각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는 폐루프 형상의 석재공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배치되며;
상기 석재공간을 이루는 측면부(111)들의 하단부에 하부철망(120)을 연결하여 상기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한 구조이며,
한 철망유닛의 상기 날개부(113)는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체결되어 다른 철망유닛과 함께 식생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측면철망(110) 내에서 측면부(111)와 날개부(11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석재공간의 크기와 식생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철망유닛은, 상기 측면철망(110)에 의해 규정된 석재공간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면철망(11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부철망(1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철망(110)은 체결되는 측면철망들의 적어도 중심부를 서로 엮어 당겨주면서 석재공간에 배치되는 측면지지와이어(140)에 의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철망유닛의 상기 만곡부(115)는 다른 철망유닛의 만곡부와 맞대어지며 체결되어, 체결된 만곡부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지반고정용 앵커(320)를 박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철망의 측면부(111)와 날개부(113) 사이에는 절곡부(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철망의 날개부(113)는 한 철망유닛(100) 내에서 이웃하는 측면철망의 날개부(113)와 상호 맞대어지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철망유닛들을 상호 체결하여 형성된 철망유닛 조립체로서,
상기 철망유닛은 복수개의 측면철망(110)이 상호 체결되어 다각형의 석재공간이 형성되되,
석재공간들 사이에는, 이웃하는 철망유닛들을 연결하는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와,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에 의해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철망유닛은 복수개의 측면철망(110)이 상호 체결되어 다각형의 석재공간이 형성되되,
석재공간들 사이에는, 이웃하는 철망유닛들을 연결하는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와,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에 의해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철망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측면철망(110)의 소정 위치를 소정 각도로 절곡하여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룰 측면부(111)와, 석재공간 외측으로 돌출될 날개부(113)를 형성하는 단계;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를 서로 맞대어 고정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석재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철망(110)의 하단부에 하부철망(120)을 연결하여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측면철망(110)의 소정 위치를 소정 각도로 절곡하여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룰 측면부(111)와, 석재공간 외측으로 돌출될 날개부(113)를 형성하는 단계;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를 서로 맞대어 고정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석재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철망(110)의 하단부에 하부철망(120)을 연결하여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철망유닛을 이용한 사면 보강 방법으로서,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룰 측면부(111)와 석재공간 외측으로 돌출될 날개부(113)를 형성하며, 측면철망(110)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측면철망(110)의 하단부에 하부철망(120)을 연결하여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석재공간에 석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철망유닛의 날개부(113)를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연결하며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식생공간에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룰 측면부(111)와 석재공간 외측으로 돌출될 날개부(113)를 형성하며, 측면철망(110)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측면철망(110)의 하단부에 하부철망(120)을 연결하여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석재공간에 석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철망유닛의 날개부(113)를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연결하며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식생공간에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와 날개부(113)는 절곡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철망의 날개부(113)는 한 철망유닛(100) 내에서 이웃하는 측면철망의 날개부(113)와 상호 맞대어지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날개부(113)의 단부에는 호 형상의 만곡부(115)가 절곡 형성되며,
한 철망유닛의 상기 만곡부(115)는 다른 철망유닛의 만곡부와 맞대어지며 체결되고,
체결된 만곡부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지반고정용 앵커(320)를 박아 철망유닛을 지반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한 철망유닛의 상기 만곡부(115)는 다른 철망유닛의 만곡부와 맞대어지며 체결되고,
체결된 만곡부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지반고정용 앵커(320)를 박아 철망유닛을 지반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철망유닛(100)의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은 정해진 측면철망(110)의 길이 내에서 측면부(111)와 날개부(113)의 길이 조절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철망 양쪽의 날개부(113)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철망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철망유닛(100)들의 배열이 곡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된 철망유닛들의 외곽 부분에서, 외곽으로 노출된 철망유닛들의 날개부와 마감철망(200)을 연결하여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이 필요한 사면에 철망유닛의 하부철망(120)이 면접하도록 하며 복수의 행과 열로 철망유닛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이 필요한 사면에 철망유닛의 측면철망(110)이 접하도록 하며 복수의 층으로 철망유닛(100)을 적층하되, 상층의 철망유닛(100)을 하층의 철망유닛(100)에 대해 계단식으로 적층하고, 아울러 상층의 철망유닛(100)의 석재공간과 하층의 철망유닛의 석재공간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석재공간에 석재를 채운 후 철망유닛(100)을 인양할 때에는, 하부철망(120)의 하면에 2열 이상의 철근을 설치한 후 철근의 양단을 들어올려 철망유닛(100)을 인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망유닛의 날개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다르게 연출할 수 있어 현장 상황에 매우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망유닛을 모듈화하여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망유닛의 제작 과정에서 철망유닛을 구성하는 철망들의 결합과 철망유닛 보강이 함께 이루어져 철망유닛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망유닛을 지면에 고정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철망유닛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철망유닛들을 다양한 형태로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맞게, 그리고 다양한 형태로 옹벽이나 사면 보강을 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미려한 미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인양이 편리한 철망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사각형의 철망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철망유닛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의 동일한 구성품으로부터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다르게 조절한 철망유닛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삼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육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팔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철망유닛으로 곡선구간에 적용 가능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철망유닛에 마감철망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완만한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을 경사가 큰 하천변의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5는 도 14와 같이 철망유닛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식생공간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망에 덧대어지는 망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7은 철망유닛에 석재를 채운 상태에서 철망유닛을 인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철망유닛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의 동일한 구성품으로부터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다르게 조절한 철망유닛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삼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육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팔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철망유닛으로 곡선구간에 적용 가능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철망유닛에 마감철망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완만한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을 경사가 큰 하천변의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5는 도 14와 같이 철망유닛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식생공간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망에 덧대어지는 망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7은 철망유닛에 석재를 채운 상태에서 철망유닛을 인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철망유닛]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사각형의 철망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철망유닛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100)은 직육면체의 석재공간(S)이 철망으로 커버되고 각 모서리에서 방사상으로 날개부(113)가 외향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철망유닛(100)은 호환 가능한 측면철망(110)들과 하부철망(120) 및 상부철망(130)으로 조립 가능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4개의 측면철망(110)의 양측을 소정 위치에서 45도 절곡하여 측면부(111)와 날개부(113)를 형성하고, 날개부(113)의 단부를 외측으로 만곡하여 만곡부(115)를 형성한 후, 복수의 측면철망의 측면부(111)가 서로 대향하도록 하면서, 이웃하는 측면철망의 날개부(113)가 서로 접하도록 맞대어 4각형의 석재공간(S) 측면을 형성하며 측면철망(110)들을 결합한다. 이 때 측면철망(110)들의 중심부에 측면지지와이어(140)을 엮어 4개의 측면철망을 석재공간(S) 쪽으로 조여준다. 여기서 맞대어진 날개부(113)들을 철사 등으로 엮어 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철망(120)을 석재공간(S)의 하면에 위치시키며 하부철망(120)의 네 단부와 측면철망의 측면부(111) 하단을 스프링 등의 연결구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석재공간(S) 내부에 석재를 채운 후 상부철망(130)을 석재공간(S)의 상면에 위치시키며 상부철망(130)의 네 단부와 측면철망의 측면부(111) 상단을 스프링 등의 유닛연결구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 석재공간(S)에 석재가 채워진 기본적인 철망유닛(100)이 완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날개부(113) 단부의 유닛연결구(310)는 후술할 철망유닛 조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철망유닛을 이웃하는 다른 철망유닛과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철망유닛 조립체]
도 3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서 살펴본 철망유닛(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4개씩 서로 맞대어 스프링 등의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함으로써 매트릭스 형태의 철망유닛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사각형 형태의 석재공간(S) 사이에, 날개부(113)들이 연결되며 생성되는 새로운 공간이 발생하고, 이 공간은 식생공간(N)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식생공간(N)은 날개부(113)와, 측면부(111) 외면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는 매트릭스 형태로 석재공간(S)이 위치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을 식생공간(N)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날개부(113)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만곡된 만곡부(1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만곡부들이 서로 맞대어지면서 맞대어지는 부분의 중심에 중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으로 지반고정용 앵커(320)를 끼워 넣으면 앵커는 유닛연결구인 스프링(310)에 의해 결속된 4개의 날개부(113)를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로 사면 등 경사가 급한 사면을 보강할 때에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사면에 거치하고 상기 만곡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을 통해 앵커(320)를 지반에 박아 넣을 수 있어 철망유닛 조립체를 견고하게 지반에 고정할 수 있다.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 조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의 동일한 구성품으로부터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다르게 조절한 철망유닛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측면철망(110)의 절곡부(11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석재공간(S)과 식생공간(N)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에 특징이 있다.
즉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측면철망(110)이라 하더라도,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2)를 측면철망(110)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하면 측면부(111)가 짧아지고 날개부(113)가 길어지게 되어 석재공간(S)은 좁아지고 식생공간(N)은 넓어지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2)를 측면철망(110)의 양단에 가깝게 형성하면 측면부(111)가 길어지고 날개부(113)가 짧아지게 되어 석재공간(S)은 넓어지고 식생공간(N)은 좁아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동일한 치수의 측면철망을 가지고도 절곡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철망유닛의 형상 변경을 통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매트릭스 형상 변경]
상술한 철망유닛은 직육면체 형상의 석재공간을 형성하는 사항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석재공간이 직육면체 형상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단순히 측면철망(110)의 절곡부(112)의 절곡 각도를 변화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형상의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을 가지는 철망유닛과 그 조립체를 제작하고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삼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육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팔각형의 철망유닛들을 체결한 철망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사용된 철망유닛(100)은, 3개의 측면철망(110)의 절곡부(112)를 30도로 절곡시키고, 이웃하는 측면철망들의 날개부(113)을 서로 맞대어 삼각형 형상의 석재공간(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씩 서로 맞대어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하면, 앞서 도 3의 철망유닛 조립체와는 다른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구조에서도 앞서 도 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절곡부(112)의 위치를 조정하여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사용된 철망유닛(100)은, 6개의 측면철망(110)의 절곡부를 60도로 절곡시키고, 이웃하는 측면철망들의 날개부(113)을 서로 맞대어 육각형 형상의 석재공간(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씩 서로 맞대어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하면 앞서 도 3과 도 5의 철망유닛 조립체와는 다른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구조에서도 앞서 도 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절곡부(112)의 위치를 조정하여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철망유닛 조립체에 사용된 철망유닛(100)은, 4개의 측면철망(110)의 절곡부는 45도로 절곡시키고, 4개의 측면철망(110)의 절곡부는 90도로 절곡시키며, 서로 다른 각도로 절곡된 측면철망들을 교호로 배치하면서 이웃하는 측면철망들의 날개부(113)을 서로 맞대어 팔각형 형상의 석재공간(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씩 서로 맞대어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하면 앞서 도 3과 도 5와 도 6의 철망유닛 조립체와는 다른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구조에서도 앞서 도 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절곡부(112)의 위치를 조정하여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철망유닛보다 절곡부의 위치를 측면철망의 중심에 가깝에 배치하면 (b)와 같이 석재공간의 면적은 줄어들고 식생공간의 면적은 늘어나며, 도 7의 (a)에 도시된 철망유닛보다 절곡부의 위치를 측면철망의 양단에 가깝에 배치하면 (c)와 같이 석재공간의 면적은 늘어나고 식생공간의 면적은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부의 절곡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철망유닛과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다.
[철망유닛의 연결 위치 변경을 통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매트릭스 형상 변경]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형상의 철망유닛들 간의 연결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철망유닛 조립체의 매트릭스 형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철망유닛을 복수개 연결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 단부를 2개씩 서로 맞대어 유닛연결구(310)로 체결하면, 동일한 철망유닛(100)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앞서 도 3의 철망유닛 조립체와는 다른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하였던 것처럼 날개부의 단부만을 서로 연결하여 철망유닛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유닛(100)들의 날개부(113)가 다른 철망유닛들의 측면부(111)와 결합되도록 하면서 철망유닛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서처럼 체결되어 가는 철망유닛 조립체의 중간 중간 있는 철망유닛(100)을 45도 돌려 그 날개부(113)를 다른 철망유닛의 측면부(111)에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또 다른 형태의 철망유닛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은 철망유닛들 간의 결합 규칙을 달리 함으로써 철망유닛 조립체의 매트릭스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매트릭스 형상을 변경하는 철망유닛들의 체결 구조에서도 절곡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날개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곡선구간에 적용 가능한 철망유닛 조립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은 하나의 측면철망 양단에 형성된 날개부의 길이를 서로 달리 함으로써 곡선구간의 사면이나 옹벽에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도 1의 철망유닛으로 곡선구간에 적용 가능한 철망유닛 조립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과 같이 가상의 중심(O)을 기준으로 사면이 호의 형상을 이룬다 하였을 때, 그 사면 상에 사면의 호 형상과 대응하도록 철망유닛 조립체를 호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철망유닛(100)의 날개부(113)들 중 가상의 중심에 가까운 날개부의 길이는 짧게 하고 가상의 중심에서 먼 위치의 날개부의 길이를 길게 하며 측면을 따라 철망유닛들을 연결하여야 한다. 이렇게 날개부를 형성하여 철망유닛들을 연결하면 곡선을 이루는 구간에서도 철망유닛을 규칙적으로 설치해 나아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 구간에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철망유닛 구성으로 인해 우수한 미감을 주는 철망유닛 조립체를 시공할 수 있다.
[철망유닛 조립체의 단부의 처리]
앞서 설명한 철망유닛 조립체에 있어서, 철망유닛들 사이에 있는 식생공간은 날개부와 측면부에 의해 둘레가 규정되어 있어 식생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지만, 철망유닛 조립체의 테두리에 있는 부분은 외측으로 트여 있어 그 상태로는 식생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는 마감철망(200)을 체결함으로써 철망유닛 조립체의 외곽에도 식생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 12는 도 1의 철망유닛에 마감철망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마감철망(200)의 양단이 이웃하는 두 날개부(113)에 체결되도록 하면 철망유닛 조립체의 둘레에도 모두 식생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철망유닛 조립체의 시공]
앞서 설명한 철망유닛들을 사용하여 철망유닛 조립체를 사면 등에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를 완만한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을 경사가 큰 하천변의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5는 도 14와 같이 철망유닛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식생공간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망에 덧대어지는 망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7은 철망유닛에 석재를 채운 상태에서 철망유닛을 인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의 경사가 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철망유닛(100)의 하부철망 부분이 사면에 접하도록 하며 철망유닛 조립체를 사면 위에 시공한다. 사면에 경사가 있어 철망유닛 조립체가 사면을 따라 흘러 내려갈 염려가 있을 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날개부의 단부들을 서로 체결하며 형성된 만곡부 사이의 중공을 통해 앵커(320)를 삽입하여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철망유닛 조립체를 사면에 시공할 때에는 먼저 사면에 철망유닛 조립체를 설치한 후 석재공간(S)에 석재를 채우고 식생공간(N)에 토양을 채우고 식재할 수도 있고, 먼저 철망유닛의 석재공간(S)에 석재를 채운 상태에서 이를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철망유닛을 사면 위에 설치해 나아갈 수 있다.
석재공간(S)에 석재를 채운 상태에서 철망유닛을 크레인으로 인양할 때에는, 철망유닛이 석재의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유닛의 하부철망(120) 하면에 스프링 등의 연결구로 철근을 연결하고, 측면부의 양쪽 단부 하단과 철근들의 사이사이를 각각 잇는 트러스형 철선이나 로프를 설치하며, 이를 인양 로프에 연결하여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철망유닛을 들어올려 옮김으로써 철망유닛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변의 급경사 부분에 철망유닛(100)을 시공할 때에는, 보강이 필요한 사면에 철망유닛의 측면철망(110)이 접하도록 하며 복수의 층으로 철망유닛(100)을 적층한다. 철망유닛을 적층함에 있어서는, 상층의 철망유닛(100)을 하층의 철망유닛(100)에 대해 계단식으로 적층하고, 아울러 상층의 철망유닛(100)의 석재공간과 하층의 철망유닛의 석재공간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적층하면, 안정적으로 사면을 보강하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평수위(W)까지는 식생공간에도 석재를 채움으로써 토양이 유수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초를 단단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생공간 중 특히 철망유닛 조립체의 단부에 위치하는 식생공간은 외부와 노출되므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철망(200)에 토사유출방지용 PE메쉬(502), 황마 또는 코이어 네트(504), 씨앗 펄프 또는 PLA 씨앗 매트(506) 등을 적층하여 수분은 공급되면서도 토사가 유실되는 것은 방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유닛 조립체는 석재공간(S)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서도, 식생공간은 서로 접하여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공간 간에 수분이 공급됨은 물론 생태 이동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철망유닛
110: 측면철망
111: 측면부
112: 절곡부
113: 날개부
115: 만곡부
120: 하부철망
130: 상부철망
140: 측면지지와이어
200: 마감철망
310: 유닛연결구(스프링)
320: 앵커(지반고정용)
400: 철근
410: 철선
502: 토사유출방지용 PE 메쉬
504: 황마 또는 코이어 네트
506: 씨앗 펄프 또는 PLA씨앗 매트
S: 석재공간
N: 식생공간
110: 측면철망
111: 측면부
112: 절곡부
113: 날개부
115: 만곡부
120: 하부철망
130: 상부철망
140: 측면지지와이어
200: 마감철망
310: 유닛연결구(스프링)
320: 앵커(지반고정용)
400: 철근
410: 철선
502: 토사유출방지용 PE 메쉬
504: 황마 또는 코이어 네트
506: 씨앗 펄프 또는 PLA씨앗 매트
S: 석재공간
N: 식생공간
Claims (18)
- 다양한 형상과 면적의 석재공간(S)과 식생공간(N)을 구현할 수 있는 철망유닛(100)으로서,
상기 철망유닛은: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석재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측면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날개부(113) 및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 형성된 호 형상의 만곡부(115)를 포함하는 측면철망(110)과;
상기 측면철망(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철망(120);을 포함하고,
상기 철망유닛은:
상기 측면철망(110)을 3개 이상 상호 체결하되, 한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일단부가 다음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의 타단부와 맞닿도록 측면철망(110)들을 차례차례 연결하여, 상기 측면부(111)들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측면부(111)들이 석재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각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는 폐루프 형상의 석재공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배치되며;
상기 석재공간을 이루는 측면부(111)들의 하단부에 하부철망(120)을 연결하여 상기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한 구조이며,
한 철망유닛의 상기 날개부(113)는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체결되어 다른 철망유닛과 함께 식생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측면철망(110) 내에서 측면부(111)와 날개부(11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석재공간의 크기와 식생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망유닛은, 상기 측면철망(110)에 의해 규정된 석재공간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면철망(11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부철망(1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철망(110)은 체결되는 측면철망들의 적어도 중심부를 서로 엮어 당겨주면서 석재공간에 배치되는 측면지지와이어(140)에 의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철망유닛의 상기 만곡부(115)는 다른 철망유닛의 만곡부와 맞대어지며 체결되어, 체결된 만곡부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지반고정용 앵커(320)를 박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철망의 측면부(111)와 날개부(113) 사이에는 절곡부(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면철망의 날개부(113)는 한 철망유닛(100) 내에서 이웃하는 측면철망의 날개부(113)와 상호 맞대어지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철망유닛들을 상호 체결하여 형성된 철망유닛 조립체로서,
상기 철망유닛은 복수개의 측면철망(110)이 상호 체결되어 다각형의 석재공간이 형성되되,
석재공간들 사이에는, 이웃하는 철망유닛들을 연결하는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와,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1)에 의해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조립체.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철망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측면철망(110)의 소정 위치를 소정 각도로 절곡하여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룰 측면부(111)와, 석재공간 외측으로 돌출될 날개부(113)를 형성하는 단계;
측면철망(110)의 날개부(113)를 서로 맞대어 고정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석재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철망(110)의 하단부에 하부철망(120)을 연결하여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철망유닛을 이용한 사면 보강 방법으로서,
석재공간의 측면을 이룰 측면부(111)와 석재공간 외측으로 돌출될 날개부(113)를 형성하며, 측면철망(110)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측면철망(110)의 하단부에 하부철망(120)을 연결하여 석재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석재공간에 석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철망유닛의 날개부(113)를 다른 철망유닛의 날개부와 연결하며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식생공간에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철망(110)의 측면부(111)와 날개부(113)는 절곡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철망의 날개부(113)는 한 철망유닛(100) 내에서 이웃하는 측면철망의 날개부(113)와 상호 맞대어지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13)의 단부에는 호 형상의 만곡부(115)가 절곡 형성되며,
한 철망유닛의 상기 만곡부(115)는 다른 철망유닛의 만곡부와 맞대어지며 체결되고,
체결된 만곡부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지반고정용 앵커(320)를 박아 철망유닛을 지반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철망유닛(100)의 석재공간과 식생공간의 면적은 정해진 측면철망(110)의 길이 내에서 측면부(111)와 날개부(113)의 길이 조절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측면철망 양쪽의 날개부(113)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철망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철망유닛(100)들의 배열이 곡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철망유닛들의 외곽 부분에서, 외곽으로 노출된 철망유닛들의 날개부와 마감철망(200)을 연결하여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보강이 필요한 사면에 철망유닛의 하부철망(120)이 면접하도록 하며 복수의 행과 열로 철망유닛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보강이 필요한 사면에 철망유닛의 측면철망(110)이 접하도록 하며 복수의 층으로 철망유닛(100)을 적층하되, 상층의 철망유닛(100)을 하층의 철망유닛(100)에 대해 계단식으로 적층하고, 아울러 상층의 철망유닛(100)의 석재공간과 하층의 철망유닛의 석재공간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석재공간에 석재를 채운 후 철망유닛(100)을 인양할 때에는, 하부철망(120)의 하면에 2열 이상의 철근을 설치한 후 철근의 양단을 들어올려 철망유닛(100)을 인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유닛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736A KR101460948B1 (ko) | 2014-06-26 | 2014-06-26 |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736A KR101460948B1 (ko) | 2014-06-26 | 2014-06-26 |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0948B1 true KR101460948B1 (ko) | 2014-11-12 |
Family
ID=5228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8736A KR101460948B1 (ko) | 2014-06-26 | 2014-06-26 |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094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9830B1 (ko) * | 2014-10-08 | 2015-06-17 | 허영철 |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
KR101539400B1 (ko) * | 2015-02-12 | 2015-07-27 | (주)에이치디건설 |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
KR101625949B1 (ko) * | 2015-08-07 | 2016-06-13 | 정해상 |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게비온 구조물 |
KR20160124390A (ko) * | 2015-04-17 | 2016-10-27 | 주식회사 빌드 | 해안 침식 방지용 개비온 구조 |
KR20190107801A (ko) * | 2018-03-13 | 2019-09-23 | 이주용 |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38480A (ja) * | 2000-11-01 | 2002-05-14 | Koiwa Kanaami Co Ltd | 植生構造体と植生方法 |
KR100925415B1 (ko) * | 2009-07-03 | 2009-11-06 | 주식회사 비엠테크 | 경사면 자연석 보강 블록 및 그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 녹화 시공법 |
KR101373904B1 (ko) * | 2013-07-08 | 2014-03-12 | 라정란 | 절첩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
-
2014
- 2014-06-26 KR KR1020140078736A patent/KR1014609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38480A (ja) * | 2000-11-01 | 2002-05-14 | Koiwa Kanaami Co Ltd | 植生構造体と植生方法 |
KR100925415B1 (ko) * | 2009-07-03 | 2009-11-06 | 주식회사 비엠테크 | 경사면 자연석 보강 블록 및 그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 녹화 시공법 |
KR101373904B1 (ko) * | 2013-07-08 | 2014-03-12 | 라정란 | 절첩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9830B1 (ko) * | 2014-10-08 | 2015-06-17 | 허영철 |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
KR101539400B1 (ko) * | 2015-02-12 | 2015-07-27 | (주)에이치디건설 |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
KR20160124390A (ko) * | 2015-04-17 | 2016-10-27 | 주식회사 빌드 | 해안 침식 방지용 개비온 구조 |
KR101692041B1 (ko) * | 2015-04-17 | 2017-01-05 | 주식회사 빌드 | 해안 침식 방지용 개비온 구조 |
KR101625949B1 (ko) * | 2015-08-07 | 2016-06-13 | 정해상 |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게비온 구조물 |
KR20190107801A (ko) * | 2018-03-13 | 2019-09-23 | 이주용 |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
KR102139853B1 (ko) * | 2018-03-13 | 2020-07-30 | 이주용 |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0948B1 (ko) |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
JP3817676B2 (ja) | モジュールブロック擁壁構造及び構成要素 | |
KR101162547B1 (ko) |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 |
JP6192763B1 (ja) |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 |
KR101219570B1 (ko) |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 |
JP2017155574A (ja) | 擁壁の構築方法 | |
KR101394208B1 (ko) |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 |
KR101539400B1 (ko) |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 |
KR100636085B1 (ko) | 조립식 옹벽 구조체 | |
JP2011219919A (ja) | 擁壁ユニット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 |
KR101348584B1 (ko) | 복합 보강토 블록 구조물 | |
KR101529830B1 (ko) | 철망 유닛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102153322B1 (ko) |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 |
KR100641287B1 (ko) |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 |
KR100694874B1 (ko) |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 |
KR20090001058U (ko) | 석재 판넬 | |
JP2003119787A (ja) | 構造物の緑化構造 | |
JP2023526340A (ja) | 侵食防止の改善および侵食防止に関連する改善 | |
WO2015190417A1 (ja) | 擁壁構造 | |
KR101012655B1 (ko) | 옹벽용 식생블록 | |
KR100994426B1 (ko) |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 |
KR101204308B1 (ko) | 통나무 돌바구니 | |
KR200375686Y1 (ko) | 옹벽의 철판망 개비온 구조 | |
JP3665896B2 (ja) | 補強盛土堤体とその施工方法 | |
KR100593181B1 (ko) |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