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853B1 -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853B1
KR102139853B1 KR1020180028977A KR20180028977A KR102139853B1 KR 102139853 B1 KR102139853 B1 KR 102139853B1 KR 1020180028977 A KR1020180028977 A KR 1020180028977A KR 20180028977 A KR20180028977 A KR 20180028977A KR 102139853 B1 KR102139853 B1 KR 10213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rix
matrix block
support
foundation
b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801A (ko
Inventor
이주용
현상철
Original Assignee
이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용 filed Critical 이주용
Priority to KR102018002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8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방명은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을 설치하는 설치공법에 있어서, 상기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에 돌맹이나 자갈과 같은 충진재를 충진하고 그 외주연에 보호매쉬로 감싸는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을 가공하는 매트릭스블럭 가공공정과; 상기 매트릭스 블럭을 둑이나 기초를 축조하기 위하여 다수층으로 매트릭스블럭을 축조하는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과; 상기 다수층으로 축조된 매트릭스블럭이 고정되도록 말뚝형상의 지주로 지면에 고정시키는 매트릭스블럭 고정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천둑이나 토목의 기초를 축조하기 위하여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다수개 충진재가 탄력적으로 충진되어 토목의 기초로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내측에 충진된 충진재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태풍이나 홍수에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충진재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수생식물과 어폐류가 서식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큰 충격의 지진이나 동결 후 지지기반이 약해지더라도 안전하게 기초기반을 안전하게 지지하면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A Ceramic Welding Contact Tip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 same}
본 발명은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천둑이나 토목의 기초를 축조하기 위하여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다수개 충진재가 탄력적으로 충진되어 토목의 기초로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내측에 충진된 충진재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태풍이나 홍수에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충진재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수생식물과 어폐류가 서식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큰 충격의 지진이나 동결 후 지지기반이 약해지더라도 안전하게 기초기반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축조할 수 있는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둑(제방)은,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 주변으로 복토된 것으로 예전에는 주로 호안블럭, 석축쌓기 등으로 하천을 정비함으로써, 치수안전성을 확보하는 역활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하천의 제방을 블럭이나 석출을 쌓기는 작업공정이 많은시간이 소요되어 비용이 과다 지출되어 콘크리트 블럭 등으로 인위적인 방법으로 정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콘트리트블럭은 제방(하천둑)의 견고성은 어느정도 확보할 수 있었으나, 갈대, 갯버들, 수초 등 수생식물이 자생할 수 없는 환경여건이 조성되어 어패류가 폐사될 수 있으므로 하천생태계가 파괴되고, 자정능력이 상실되어 하천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천둑을 축조방법을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 10-116284호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하천둑과 그 축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반층(100)과, 지지층(110)과, 하부토사층(120)과, 상부토사층(130)과, 격자철망(140)과, 토사이탈방지망(150)과, 토목강화시트(160)로 구성되어 하천토사를 보호함과 동시에 수생식물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하천둑 및 그 축조방법은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 단계의 층을 축조하는 공법이 곤란하고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축조비용이 증가되고, 어폐류가 생식할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어폐류의 보전할 수 있는 공간확보가 요구되며, 동결후 해빙시 지지기반이 약해지면서 붕과될 우려가 있으므로 환경친하적인 하천둑 축조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링메트릭스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다수개 충진재가 탄력적으로 충진되어 토진재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태풍이나 홍수에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충진재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수생식물과 어폐류가 서식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와 보호매쉬의 외주연에 강도를 유지하면 녹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코팅된 코팅부가 형성되어 장시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충진재가 탄력적으로 유지되어 물리적인 지진이나 동결 후 지지기반이 약해지더라도 안전하게 기초기반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동시 휨 강도가 보강되어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축조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은, 폐침대에서 침대커버가 제거된 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하여 하천둑이나 토목의 기초를 축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용 매트릭에 있어서, 상기 침대에서 침대커버가 제거된 침대스프링메트릭스와;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중량물의 자갈이나 돌맹이로 다수개 충진되는 충진재와;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충진된 충진재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외주연을 감싸는 철망형상의 보호매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을 설치하는 설치공법은, 상기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돌맹이나 자갈과 같은 충진재를 충진하고 그 외주연에 보호매쉬로 감싸는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을 가공하는 매트릭스블럭 가공공정과; 상기 매트릭스 블럭을 둑이나 기초를 축조하기 위하여 다수층으로 매트릭스블럭을 축조하는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과; 상기 다수층으로 축조된 매트릭스 블럭이 고정되도록 말뚝형상의 지주로 지면에 고정시키는 매트릭스블럭 고정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에서 축조되는 매트릭스블럭은 상하에서 중심선이 지그재그로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 및 그 설치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탄성을 유지하면서 강도가 유지되도록 다수개 코일형상의 코일스프링과 고정와이어가 상호 연결된 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구비함으로써 하천둑이나 토목의 기초를 축조하여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둘째,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중량물의 자갈이나 돌맹이와 같은 일정한 크기로 다수개 충진재가 충진됨으로써 하천둑이나 토목공사의 기초로 용하게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내측에 충진된 충진재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태풍이나 홍수에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충진재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수생식물과 어폐류가 서식할 수 있으며,
셋째,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외주연을 감싸는 철망형상의 보호매쉬가 구비됨으로서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충진된 충진돌맹이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넷째,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와 보호매쉬의 외주연에 강도를 유지하면 녹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코팅된 코팅부가 형성되어 장시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다섯째,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충진재가 탄력적으로 유지되어 물리적인 지진이나 동결후 지지기반이 약해지더라도 안전하게 기초기반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의 내측에 다수개 봉형상의 보강바가 내재됨으로써 이동시 휨 강도가 보강되어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트릭스블럭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트릭스블럭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트릭스블럭의 축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트릭스블럭의 축조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트릭스블럭의 제조공정도.
도 6은, 종래의 하천둑 축조를 나타낸 개요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침대에서 침대커버가 제거된 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하여 둑이나 토목의 기초를 축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용 매트릭스(4)에 있어서, 상기 침대에서 침대커버가 제거된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과, 자갈이나 돌맹이로 다수개 충진되는 충진재(20)와,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외주연을 감싸는 철망형상의 보호매쉬(30)로 구성된다.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는 폐침대에서 침대커버가 제거되어 스프링에 내제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는 상하 한쌍의 장방형으로 형성된 베이스(11)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11) 내측에 안착되어 탄성을 유지하면서 강도가 유지되도록 다수개 코일형상으로 배열된 코일스프링(12)과, 상기 베이스(11)의 외주연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코일스프링을 고정시키는 고정와이어(13)로 구성된다.
상기 충진재(20)는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내측에 중량물의 자갈이나 돌맹이와 같은 일정한 크기로 다수개 충진되어 다수개를 안전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호매쉬(30)는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내측에 충진된 충진돌맹이(2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외주연을 감싸는 철망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와 보호매쉬(30)의 외주연에는 강도를 유지하면 녹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코팅된 코팅부(40,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내측에 충진되는 충진재(20)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내측에는 이동시 휨 강도가 보강되도록 다수개 봉형상의 보강바(50)가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도 5에서,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을 설치하는 설치공법에 있어서, 상기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에 돌맹이나 자갈과 같은 충진재(20)를 충진하고 그 외주연에 보호매쉬(30)로 감싸는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1)을 가공하는 매트릭스블럭 가공공정(S10)과, 상기 매트릭스 블럭(1)을 둑이나 기초를 축조하기 위하여 다수층으로 매트릭스블럭을 축조하는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S20)과, 상기 다수층으로 축조된 매트릭스블럭(1)이 고정되도록 말뚝형상의 지주(31)로 지면에 고정시키는 매트릭스블럭 고정공정(S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상기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S20)에서 축조되는 매트릭스블럭(1)은 상하에서 중심선이 지그재그로 축조되며, 도 4에서, 상기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S20)에서 축조되는 매트릭스블럭(1)은 상하로 계단형상으로 축조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 및 그 설치공법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에서 침대커버가 제거된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내측에 자갈이나 돌맹이로 다수개 형성된 충진재(20)가 충진되고,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외주연에는 철망형상의 보호매쉬(30)가 감싸게 되어 폐침대에서 침대커버가 제거된 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하여 하천둑이나 토목의 기초를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는 상하 한쌍의 장방형으로 형성된 베이스(11) 내측에 안착되어 탄성을 유지하면서 강도가 유지되도록 다수개 코일형상의 코일스프링(12)이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11)의 외주연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2)을 고정시키는 고정와이어(13)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하천둑이나 토목의 기초를 축조하여 매우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진재(20)는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내측에 중량물의 자갈이나 돌맹이와 같은 일정한 크기로 다수개 충진됨으로써 하천둑이나 토목공사의 기초로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내측에 충진된 충진재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태풍이나 홍수에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호매쉬(30)는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외주연을 감싸는 철망형상으로 형성됨으로서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내측에 충진된 충진돌맹이(2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축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와 보호매쉬(30)의 외주연에는 강도를 유지하면 녹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코팅된 코팅부(40,미도시)가 형성되어 장시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내측에 충진되는 충진재(20)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공간부(21)가 형성됨으로써 충진재가 탄력적으로 유지되어 물리적인 지진이나 동결후 지지기반이 약해지더라도 안전하게 기초기반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충진재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수생식물과 어폐류가 서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의 내측에는 다수개 봉형상의 보강바(50)가 내재됨으로써 이동시 휨 강도가 보강되어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축조할 수 있게 된다.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을 설치하는 설치공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블럭 가공공정(S10)을 통하여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에 돌맹이나 자갈과 같은 충진재(20)를 하고 그 외주연에 보호매쉬(30)로 감싸는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1)을 가공하고,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S20)을 통하여 다수층으로 매트릭스블럭을 둑이나 기초를 축조하게 되고, 매트릭스블럭 고정공정(S30)을 통하여 상기 다수층으로 축조된 매트릭스블럭(1)을 말뚝형상의 지주(31)를 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S20)에서 축조되는 매트릭스블럭(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서 중심선이 지그재그로 축조되어 물리적인 충격에도 안전하게 지지하게 되며, 상기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S20)에서 축조되는 매트릭스블럭(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계단형상으로 축조되어 더욱더 안전하게 축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메트릭스블럭
10 ; 침대스프링메트릭스 11 ; 베이스
12 ; 코일스프링 13 : 고정와이어
20 ; 충진재 21 : 공간부
30 ; 보호매쉬 31 : 지주
40 ; 코팅부 50 ; 보강바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을 설치하는 설치공법에 있어서,
    상하 한쌍의 장방형으로 형성된 베이스(11)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11) 내측에 안착되어 탄성을 유지하면서 강도가 유지되도록 다수개 코일형상으로 배열된 코일스프링(12)과, 상기 베이스(11)의 외주연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코일스프링을 고정시키는 고정와이어(13)로 이루어진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10)에 돌맹이나 자갈과 같은 충진재(20)를 충진하고 그 외주연에 보호매쉬(30)로 감싸는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블럭(1)을 가공하는 매트릭스블럭 가공공정(S10)과;
    상기 매트릭스 블럭(1)을 둑이나 기초를 축조하기 위하여 다수층으로 매트릭스블럭을 축조하는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S20)과;
    상기 다수층으로 축조된 매트릭스블럭(1)이 고정되도록 말뚝형상의 지주(31)로 지면에 고정시키는 매트릭스블럭 고정공정(S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S20)에서 축조되는 매트릭스블럭(1)은 상하에서 중심선이 지그재그로 축조되며,
    상기 매트릭스블럭 축조공정(S20)에서 축조되는 매트릭스블럭(1)은 상하로 계단형상으로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 설치공법.
  6. 삭제
  7. 삭제
KR1020180028977A 2018-03-13 2018-03-13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KR10213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977A KR102139853B1 (ko) 2018-03-13 2018-03-13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977A KR102139853B1 (ko) 2018-03-13 2018-03-13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01A KR20190107801A (ko) 2019-09-23
KR102139853B1 true KR102139853B1 (ko) 2020-07-30

Family

ID=6806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977A KR102139853B1 (ko) 2018-03-13 2018-03-13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183B1 (ko) * 2021-06-25 2022-01-18 허용국 재활용 침대스프링을 이용한 다목적 담장 및 그 설치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585Y1 (ko) * 2005-03-30 2005-06-13 주식회사 대승개비온 이중망 구조를 갖는 개비온
KR101460948B1 (ko) * 2014-06-26 2014-11-12 허영철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57B1 (ko) * 2016-06-29 2018-04-20 김현주 침대매트릭스를 이용한 넝쿨식물 팬스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585Y1 (ko) * 2005-03-30 2005-06-13 주식회사 대승개비온 이중망 구조를 갖는 개비온
KR101460948B1 (ko) * 2014-06-26 2014-11-12 허영철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01A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2431C2 (ru) Длинном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рских и речных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5862659B (zh) 一种高频泥石流护岸导流方法
KR102139853B1 (ko) 폐침대스프링메트릭스를 이용한 기초지지대용 매트릭스블럭 및 그 설치공법
CN111270698A (zh) 一种用于山区采砂河道内桥梁桩基外露病害的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024481B (zh) 河道岸坡防护结构及河道岸坡防护方法
JP4979797B2 (ja) ダムの天端高を高くするための上部構造物
JP2010180637A (ja) 水制工及びその構築方法
CN212077787U (zh) 一种水利水电工程岸墙
RU2321701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апруды
JPS5824008A (ja) 汀ブロックによる植生護岸工法
KR20060108900A (ko) 붕괴방지용 사면보호 중량블록체
KR200389250Y1 (ko) 붕괴방지용 사면보호 중량블록체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20120005503U (ko) 세굴방지 블록
US20200308790A1 (en) Modular marine foundation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101162842B1 (ko) 하천둑 및 그 축조방법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CN111236289A (zh) 桥梁群桩桩基防冲刷承台及其施工方法
KR100788950B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0180072B1 (ko) 비탈면 시공방법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CN111305255B (zh) 一种110kv/330kv高压线铁塔塔基外围结构及其建造方法
JP3080866U (ja) 土留め格子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