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455B1 - 화상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455B1
KR100650455B1 KR1020050022994A KR20050022994A KR100650455B1 KR 100650455 B1 KR100650455 B1 KR 100650455B1 KR 1020050022994 A KR1020050022994 A KR 1020050022994A KR 20050022994 A KR20050022994 A KR 20050022994A KR 100650455 B1 KR100650455 B1 KR 10065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heet
fixing device
recording material
shee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459A (ko
Inventor
세이이찌로오 가메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1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nd/or cooling areas or units, two step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06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re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45Variable fixing spe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7Type of toner image to be fixed 
    • G03G2215/2083Type of toner image to be fixed  duple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시트의 이송 경로의 상류측 상에 배치된 제1 정착 장치(9a)에 의한 시트의 이송 속도를 Vu로서 정의하고, 제1 정착 장치(9a)와 제2 정착 장치(9b) 사이에 제공된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에 의한 시트의 이송 속도를 Vm으로서 정의하며, 하류측 상에 배치된 제2 정착 장치(9b)에 의한 시트의 이송 속도를 Vl로서 정의하면, Vu, Vm 및 Vl은 Vu < Vm < Vl의 관계로 설정된다.
화상 형성 장치, 화상 담지 부재, 전사 부재, 정착 장치, 시트 이송 경로, 시트 이송 수단

Description

화상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IMAGE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정착 수단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정착 수단의 제1 실시예의 기록재의 두께와 토너의 담지량의 차이에 의한 기록재의 이송 속도의 격차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부에서의 기록재의 이송 속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정착 수단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정착 수단의 제2 실시예의 기록재의 두께와 토너의 담지량의 차이에 의한 기록재의 이송 속도의 격차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화상 정착 장치,
Pa, Pb, Pc, Pd: 화상 형성부
S: 기록재
Vu, Vm, Vl: 기록재의 이송 속도
1a, 1b, 1c, 1d: 현상 장치
2a, 2b, 2c, 2d: 드럼 대전 장치
3a, 3b, 3c, 3d: 감광 드럼
4a, 4b, 4c, 4d: 세척기,
9a: 제1 정착 장치
9b: 제2 정착 장치
9c, 9d: 벨트 정착 장치
lOa, lOb: 공급 카셋트
11: 2차 전사 롤러
12: 정합 롤러
13, 14, 15: 인장 롤러
19: 세척 웨브
24a, 24b, 24c, 24d: 1차 전사 대전 장치
31, 32, 33: 이송 롤러
51: 정착 롤러
52: 가압 롤러
53, 54, 55: 인장 롤러
56: 할로겐 램프 히터
57: 정착 벨트
58: 가압 패드
일본 특허 공개 평04-245275호
일본 특허 공개 평05-002352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0-075710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1237호
일본 특허 공개 소63-116181호
본 발명은 토너 화상을 시트 상에 정착시키기 위한 화상 정착 장치와, 이 화상 정착 장치가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정착 수단을 구비한 화상 정착 장치로서 이하가 공지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4-245275호에서, 서로 대항하여 가압되는 한 쌍의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2세트의 정착 롤러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기록지가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 압력 접촉부를 통과하여 광택(gloss)이 정착 후 토너 화상에 주어지도록 설계된 장치가 개시되며, 광택 화상은 2세트의 정착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음이 설명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5-002352호에서, 서로 대항하여 가압되는 한 쌍의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2세트의 정착 롤러 장치로 이루어지고, 2세트의 정착 롤러 장치는 2세트의 정착 롤러 장치의 각각의 닙(nip) 부분이 사실상 직선인 이송 경로를 따를 수 있도록 배치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2세트의 정착 롤러 장치의 가열 롤러에 대한 각각의 가압 롤러의 가압력은 주름을 형성하지 않을 정도로 작아야 하며, 정착 특성은 작은 가압력에 의한 정착 특성의 저하에 대응하여 2번 정착시킴으로써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 특허 출원에서, 전술된 구성에 의해, 기록 매체는 제1 정착 롤러의 닙 위치를 떠나 제2 정착 롤러의 닙 위치로 직선으로 안내되어, 기록 매체의 선단 에지는 제2 정착 롤러에 대항하여 충돌하지 않고 닙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제1 정착 롤러에 의해 니핑된(nipped) 기록 매체의 일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은 제거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075710호는, 상류측 상에 제공된 제1 정착 수단에 의한 기록재의 이송 속도가 하류측 상에 제공된 제2 정착 수단에 의한 기록재의 이송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어 불필요한 장력이 2개의 정착 수단 사이의 기록재에 인가되지 않을 수 있고, 화상 오정렬과 종이의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정착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된 종래의 예들과 같이, 2개의 정착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광택의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예들이 제안되어 있으며, 기록재의 주름 또는 충격 에 기인한 화상 오정렬과 같은 문제가 2개의 정착 장치에 의해 초래되는 많은 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 복사기와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얇은 시트에서 두꺼운 시트까지와 같이 이전보다 더욱 다양한 종류의 기록재에 대하여 기록재 상의 미정착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것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록재에 대하여, 작업처리량(throughput)을 감소시키지 않고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예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기록재의 충격에 의한 화상 오정렬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시도하는 정착 장치에 의해서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류측 상에 제공된 제l 정착 수단에 의한 기록재의 이송 속도가 하류측 상에 제공된 제2 정착 수단에 의한 기록재의 이송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하여 2개의 정착 수단에 의해 기록재에 불필요한 장력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기록재가 얇은 시트라면 기록재는 2개의 정착 수단 사이에서 휘어져 효과적이지만, 기록재가 두꺼운 시트라면 기록재가 휘어지기 어렵고 제2 정착 수단으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제1 정착 수단에 전달되어 화상 오정렬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1237호에는, 2개의 정착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재가 상류측 정착 수단과 하류측 정착 수단 모두에 의해 이송될 때, 기록재 내에 루프 어마운트 형상(loop amount form)이 검출되고,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2개의 정착 수단의 이송 속도가 결정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루프 어마운트를 검출하기 위한 기구와 루프 어마운트에 기초하여 이송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하며, 장치의 구성은 복잡해지고 장치의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소63-116181호에는, 2쌍의 정착 롤러가 제공되고 하류측 상의 정착 롤러의 속도가 상류측 상의 정착 롤러의 속도보다 빠르게 구성되지만, 기록재가 2개의 정착 롤러 모두에 의해 이송될 때 기록재에 장력이 인가될 수 있어 기록재 상의 토너 화상을 교란시키고 이에 따라 불완전한 정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며, 그 목적은, 예컨대 편의 중량(basis weight)이 큰 시트(두꺼운 시트)에서도 기록재의 이송 성능에 기인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복수의 정착 장치를 갖춘 화상 정착 장치와, 이러한 화상 정착 장치가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정착 장치는,
토너 화상을 시트 상에 정착시키는 제1 정착 장치와,
상기 제1 정착 장치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토너 화상을 상기 제1 정착 장치를 통과한 시트 상에 정착시키는 제2 정착 장치와,
상기 제1 정착 장치와 상기 제2 정착 장치 사이에 제공되고, 그 길이가 이송될 수 있는 가장 긴 시트의 길이보다 긴 시트 이송 경로와,
시트 이송 경로 상에 제공되어, 시트를 이송하는 시트 이송 수단을 구비하 며,
상기 제1 정착 장치, 상기 시트 이송 수단 및 상기 제2 정착 장치의 시트 이송 속도 사이의 관계는,
Vu < Vm < Vl
로 설정되고, 여기서 Vu는 상기 제1 정착 수단의 시트 이송 속도이고, Vm은 상기 시트 이송 수단의 시트 이송 속도이며, Vl은 상기 제2 정착 장치의 시트 이송 속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정착 장치를 갖춘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의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정착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정착 장치의 제l 실시예의 기록재의 두께의 차이와 토너의 담지량 차이에 의한 기록재의 이송 속도의 격차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정착 장치에서의 기록재의 이송 속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정착 장치(F)를 갖춘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이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l, 제2, 제3, 제4 화상 형성부(Pa, Pb, Pc, Pd)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나란하게 제공된다. 화상 형성부 (Pa, Pb, Pc, Pd)에서, 상이한 색상의 토너 화상들이 잠상 형성 프로세스, 현상 프로세스 및 전사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된다.
화상 형성부(Pa, Pb, Pc, Pd)에는 독점적으로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 감광 드럼(3a, 3b, 3c, 3d)이 각각 제공된다. 각각의 색상의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3a, 3b, 3c, 3d)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감광 드럼(3a, 3b, 3c, 3d) 주위에는, 대전 수단인 드럼 대전 장치(2a, 2b, 2c, 2d), 현상 수단인 현상 장치(1a, 1b, 1c, 1d), 1차 전사 수단인 1차 전사 대전 장치(24a, 24b, 24c, 24d), 및 세척 수단인 세척기(4a, 4b, 4c, 4d)가 제공되고, 광원 장치(도시 안됨)와 다각형 거울(도시 안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 추가로 설치된다.
각각의 광원 장치로부터 방사된 레이저 비임은 회전하는 다각형 거울에 의해 스캐닝되고, 스캐닝된 비임은 편향 거울에 의해 편향되고 fθ 렌즈에 의해 보정되어 이의 광 경로 길이는 일정해질 수 있으며, 각각의 감광 드럼(3a, 3b, 3c, 3d)의 모선(generatrix) 상에 모아져서 이들 드럼을 비임에 노출시키며, 이럼으로써 화상 신호에 합치되는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3a, 3b, 3c, 3d) 상에 형성된다.
현상 장치(1a, 1b, 1c, 1d)는 현상제 공급 장치(도시 안됨)에 의해 현상제로서 시안, 마젠타, 옐로우 및 블랙 토너 각각의 소정의 양으로 채워진다. 현상 장치(1a, 1b, 1c, 1d)는 각각의 감광 드럼(3a, 3b, 3c, 3d)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이들 잠상을 시안 토너 화상, 마젠타 토너 화상, 옐로우 토너 화상 및 블랙 토너 화상으로서 시각화한다.
감광 드럼(3a, 3b, 3c, 3d)에 인접하게, 감광 드럼(3a, 3b, 3c, 3d)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종이,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인 기록재(S) 상으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부재인 중간 전사 부재(130)가 설치된다.
중간 전사 부재(130)는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감광 드럼(3a 내지 3d)과 동일한 주연 속도(peripheral speed)로 회전식 구동된다. 감광 드럼(3a) 상에 담지되는 제1 색상인 시안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3a)과 중간 전사 부재(130) 사이의 닙 부분을 통과하는 프로세스에서 1차 전사 대전 장치(24a)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130)에 인가되는 1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과 압력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130)의 외부 주연면 상으로 중간 전사된다.
유사하게, 각각 감광 드럼(3b 내지 3d) 상에 담지되는 제2 내지 제4 색상인 마젠타 토너 화상, 옐로우 토너 화상 및 블랙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3b 내지 3d)과 중간 전사 부재(130) 사이의 닙 부분을 통과하는 프로세스에서 1차 전사 대전 장치(24b 내지 24d)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130)에 인가되는 1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과 압력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130)의 외부 주연면 상으로 연속적으로 중첩되어 전사됨으로써, 요구되는 컬러 화상에 대응하는 조합된 컬러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2차 전사 수단인 2차 전사 롤러(11)는 인장 롤러(13, 14, 15) 위로 통과되는 중간 전사 부재(130)와 마주보는 관계로 평행하게 지지되며, 중간 전사 부재(130)의 하부측 부분과 접촉하게 배치된다. 요구되는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은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 공급원에 의해 2차 전사 롤러(11)에 인가된다.
중간 전사 부재(130) 상으로 중첩되어 전사된 조합된 컬러 토너 화상은 기록재(S)에 전사된다. 기록재(S)는 공급 카세트(10a 또는 10b)로부터 각 쌍의 롤러로 이송되고, 한 쌍의 정합 롤러(12)와 전-전사 안내부(ante-transfer guide)(도시 안됨)를 지난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중간 전사 부재(130)와 2차 전사 롤러(11) 사이의 접촉 닙으로 공급된다. 기록재(S)가 중간 전사 부재(130)와 2차 전사 롤러(11) 사이의 접촉 닙 부분으로 공급된 때,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 공급원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11)로 인가된다.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조합된 컬러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130)로부터 기록재(S)로 전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3a, 3b, 3c, 3d) 상에 형성된 각각의 색상의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부재(130) 상으로 1차로 전사되고, 2차 전사 롤러(11)가 배치된 2차 전사부 내의 기록재(S) 상으로 2차로 전사된다.
한편, 1차 전사가 완료된 감광 드럼(3a 내지 3d)은 각각의 세척기(4a 내지 4d)에 의해 그 상의 전사되지 않은 모든 토너가 제거되고, 후속 정전 잠상 형성 프로세스를 위하여 계속하여 사용된다. 중간 전사 부재(130) 상에 잔류하는 모든 토너 및 기타 외부 물질은 중간 전사 부재(130)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세척 웨브(부직포 직물)(19)에 의해 닦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정착 장치(F)에는 기록재(S)가 이송되는 동안 기록재(S)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복수의 정착 수단으로서 제1 정착 장치(9a)와 제2 정착 장치(9b)가 제공된다. 화상 정착 장치(F)는 제1 정착 장치(9a)와 제2 정착 장치(9b) 사이의 시트 이송 수단인 이송 롤러의 쌍(31, 32, 33)을 구비한다. 이송 롤러의 쌍(31, 32, 33)의 각각은 이송 회전 부재와, 이송 회전 부재와 마주하는 관계로 제공된 구동 회전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130)에 의해 전사되는 기록재(S)는 각각의 제1 정착 장치(9a)와 제2 정착 장치(9b)에 제공된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해 그 사이에 니핑되면서 이송된다. 기록재(S)는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해 이송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그 위에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그 후, 기록재(S)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기록된 화상으로서 토출된다. 화상을 기록재(S)의 배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기록재는 기록재 반전 경로(91)에 의해 반전시킨 후, 다시 양면 이송 경로(5)를 통해 2차 전사부로 이송하여, 화상이 배면 상에 형성된다. 이송 방향에 관련하여 상류측 상에 제공된 제1 정착 장치(9a)는 본 발명의 제1 정착 수단을 구성하고, 하류측 상에 제공된 제2 정착 장치(9b)는 본 발명의 제2 정착 수단을 구성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기록재(S)는 제1 정착 장치(9a)와 제2 정착 장치(9b) 상으로 연속적으로 도입되고, 열과 압력이 기록재(S)에 인가되어,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도2는 정착 장치(9a, 9b)의 구체적인 예로서 가열 롤러 유형 정착 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각각의 제1 정착 장치(9a)와 제2 정착 장치(9b)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 롤러(51)와, 정착 롤러(51)와 마주하는 관계로 배치된 가압 롤러(52)를 구비한다. 정착 롤러(51)는 가열 부재인 할로겐 램프 히터(56)를 내장한 원통형 맨드릴(71)의 표면 상에 제공된 이형 층(mold releasable layer; 70)을 구비한다. 가압 롤러(52)는 바아형(bar-shaped) 맨드릴(73) 둘레에 제공된 내열 고무 층(72)을 구비하며, 이형 층(70)이 그 표면 상에 추가로 형성된다. 기록재(S)의 이송은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 사이의 닙 부분에 의해 달성되며, 동시에 토너 화상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재(S) 상에 정착된다.
정착 롤러(51)는 이와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배치된 서미스터(thermistor)(도시 안됨)를 구비하고, 할로겐 램프(56)에 대한 전압은 온도 조절 회로를 통해 제어되어, 정착 롤러(51)의 표면의 온도 조절을 달성한다.
정착 장치에서, 실리콘 오일이 주입된 실리콘 고무 층이 이형 층(70) 대신에 정착 롤러(51)의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본 실시예의 정착 장치의 구성이 도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정착 장치(9a)와 제2 정착 장치(9b)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정착 롤러(51)에는 원통형 맨드릴(71) 상에 철(Fe)로 형성된 1.0 mm의 두께를 갖고 78.0 mm의 외경(φ)(외형 직경(configurational diameter))을 갖는 실리콘 고무가 제공된다. 정착 롤러(51)는 실리콘 고무의 표면을 30 ㎛의 두께를 갖는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알킬 에테르 코폴리머) 튜브로 추가로 덮음으로써 80 mm의 외경(φ)(외형 직경)을 갖는다. 또한, 할로겐 램프 히터(56)는 정착 롤러(51)의 내부에 사용되며, 정착 롤러의 표면 온도는 170℃로 조절된다.
가압 롤러(52)는 철(Fe)로 형성되고 20 mm의 외경(외형 직경)(φ)을 갖는 바아형 맨드릴(73) 둘레에 제공된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스폰지 층인 내열 고무 층 (72)을 갖는다. 내열 고무 층(72)의 표면은 30 ㎛의 두께를 갖는 PFA 튜브로 덮인다. 가압 롤러(52)의 외경(φ)(외형 직경)은 80 mm이다. 가압 롤러(52)는 686.5 N(70 kgf)의 총 압력으로 정착 롤러(51)에 대항하여 가압되며, 정착 롤러(51)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기록재(S)의 이송 경로의 상류측(도1의 우측) 상에 배치된 제1 정착 장치(9a)와 기록재(S)의 이송 경로의 하류측(도1의 좌측) 상에 배치된 제2 정착 장치(9b)는 화상이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재들 중 가정된 가장 긴 기록재(S)의 길이보다 큰 간격으로 제공된다. 즉, 제1 정착 장치(9a)로부터 제2 정착 장치(9b)까지의 경로 길이는 이송되도록 가정된 가장 긴 기록재(S)의 길이보다 길다. 기록재(S)를 이송하기 위한 시트 이송 회전 부재인 이송 롤러(31, 32, 33)의 쌍은 제1 정착 장치(9a)와 제2 정착 장치(9b) 사이에 제공된다.
도3은 기록재(S)의 두께와 토너의 담지량의 차이로 인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의 격차를 도시한다. 도3에 나타낸 "토너를 갖는"(with toner)는 100%의 시안 화상과 100%의 마젠타 화상의 중실(solid) 화상이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200%의 화상 퍼센트를 갖는다(단일 색상 토너의 최대 담지량이 100%이고, 4개의 색상의 최대 담지량이 400%인 경우).
정착 장치(9a, 9b) 내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는, 높은 닙 압력에 기인하여 정착 롤러(51)의 변형량이 기록재가 얇은 시트에서 두꺼운 시트로 변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더 높아지며, 중실 화상인 경우 정착 롤러(51)와 토너가 정착 중에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기 때문에 토너가 없 는 경우와 비교하여 낮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의 격차는 약 2.5%로 발생한다. 한편, 정착 장치(9a, 9b)들 사이에 배치된 이송 롤러(31 내지 33)의 쌍에 의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의 격차는 시트의 종류와 토너의 유무와 관계없이 0.1% 이하인데, 이는 가압력이 낮고 토너가 용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전술된 이송 속도의 격차를 고려하면, 동일한 기록재(S)가 이송되는 이송 속도는 이하의 관계로 설정되며,
Vu < Vm < Vl ... (1)
여기서, Vu는 기록재(S)의 이송 경로의 상류측 상에 배치된 제1 정착 장치(9a) 내에 제공된 한 쌍의 제1 정착 회전 부재인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해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이고, Vm은 제1 정착 장치(9a)와 제2 정착 장치(9b) 사이에 제공된 이송 롤러(31, 32, 33)의 쌍에 의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이며, Vl은 기록재(S)의 이송 경로의 하류측 상에 배치된 제2 정착 장치(9b) 내에 제공된 한 쌍의 제2 정착 장치(9b)인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이송 속도 차이는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의 격차 2.5%, 정착 장치(9a, 9b)의 정착 온도의 변동 1.5%, 및 부품들의 격차 1%를 고려하여 5%로 설정된다.
즉, 전술한 이송 속도(Vu, Vm, Vl) 사이의 관계에서, 동일한 기록재(S)가 이 송되는 전술한 이송 속도는 이하의 관계로 추가로 설정된다.
Vm/Vu ≤ 1.05 및 Vl/Vm ≤ 1.05 ... 식(2)
각각의 이송 속도 차이가 너무 크면, 기록재(S)에는 기록재(S)가 당겨질 때의 각각의 롤러의 미끄러짐에 의한 롤러의 자취(trace)가 남게 될 것이다. 또한, 기록재(S)의 인장력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기록재(S)가 이송 안내부(도시 안됨)에 대해 강하게 마찰되어, 양면 경로(5)를 통해 양면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서 제2 면의 정착 중에, 제1 면 상의 화상은 이송 안내부에 대해 강하게 마찰되므로 안내부의 손상, 토너의 박리(peeling) 등을 초래한다.
도4는 정착부 내에서의 기록재(S)의 이송 속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에서, 종축은 기록재(S)의 통과 지점을 나타내며, 횡축은 통과 시간을 나타내고, 도면의 기울기는 이송 속도를 나타낸다. 기록재(S)가 제1 정착 장치(9a)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니핑된 때, 기록재(S)는 제1 정착 장치(9a)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해 이송 속도(Vu)로 이송된다.
기록재(S)의 선단 에지가 정착 장치(9a, 9b)들 사이의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니핑되는 경우에도, 제1 정착 장치(9a)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의 이송력은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의 이송력보다 강하고, 따라서 이송 롤러(31, 32, 33)들의 쌍은 미끄러지고 기록재(S)는 제1 정착 장치(9a)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해 이송 속도(Vu)로 손상없이 이송된다. 즉, 제1 정착 장치(9a)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 및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 모두에 의해 기록재(S)가 니핑된다. 기록재와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은 서로 마찰식으로 접촉한다.
기록재(S)의 후단 에지가 제1 정착 장치(9a)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 사이의 닙 부분에 남겨진 때, 기록재(S)는 제1 정착 장치(9a)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한 이송 속도(Vu)보다 5% 빠른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에 의한 이송 속도(Vm)로 이송된다.
다음에, 기록재(S)의 선단 에지가 제2 정착 장치(9b)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니핑된 때, 기록재(S)는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에 의한 이송 속도(Vm)보다도 5% 더 빠른 제2 정착 장치(9b)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한 이송 속도(Vl)로 이송된다.
이 경우도,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에 의한 이송력보다 제2 정착 장치(9b)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한 이송력이 강하고, 따라서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이 미끄러지고 기록재(S)는 제2 정착 장치(9b)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해 이송 속도(Vl)로 손상없이 이송된다. 즉, 기록재(S)가 제2 정착 장치(9b)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 및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 모두에 의해 니핑된 때, 기록재와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은 서로 마찰식으로 접촉한다.
여기서,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은 이들이 상류측 및 하류측 상의 각각의 정착 장치(9a, 9b)를 당길 때 기록재(S)가 미끄러지게 하기 위하여, 이송 롤러의 쌍들의 통상의 니핑력보다 낮은 니핑력으로 설정되고, 따라서 시트 이송 수단인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과 복수의 정착 수단인 정착 장치(9a, 9b)들 사이 에 제공된 이송 회전 부재의 쌍들의 가압력의 총 압력은 1N 이하로 설정된다.
기록재(S)의 이송 속도(Vu, Vm, Vl)를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기록재(S)가 정착 장치(9a, 9b)들 사이에서 느슨해지는 현상은 결코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기록재(S)의 토너 정착면이 이송 안내부에 대항하여 가압됨으로 인한 화상 손상의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기록재(S)의 선단 에지가 제2 정착 장치(9b)의 입구에서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 사이의 닙 부분과 접촉하여, 기록재(S)의 루프를 초래하는 불균일한 광택과 같은 문제점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착 수단인 정착 장치(9a, 9b) 사이에 제공된 시트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 안내부(G)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S)의 토너 정착면 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도1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송 안내부(G)를 토너 정착면 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기록재의 토너 정착면 측이 이송 안내부(G)에 대해 강하게 마찰되는 현상을 결코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화상 손상과 같은 문제점이 양호하게 해결된다.
이는 높은 생산성을 목적으로 복수의 정착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에 특히 효과적인데, 이는 이러한 장치에서, 제1 정착 장치(9a)만을 통과한 기록재(S) 상의 토너 화상은 충분하게 정착되지 않고, 기록재(S)의 토너 정착면이 이송 안내부(G)의 안내면에 대해 마찰된 때, 화상 손상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종이의 2가지의 종류, 즉 소정 조건 하에서 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기록재(S)의 최대 크기인 A3 크기이고 250 g/m2의 편의 중량을 갖는 고광택지 및 A3 크기이고 310 g/m 2 의 편의 중량을 갖는 양면 코트지에 대하여, 시안 화상 100%와 마젠타 화상 100%, 이에 따라 총 200%의 화상 퍼센트의 중실 화상이 (단일 색상 토너의 최대 담지량이 100%이고, 4개의 색상의 최대 담지량이 400%인 경우) 분당 60 시트, 300 mm/초의 프로세스 속도, 15℃의 실내 온도, 및 10%의 습도의 환경 하에서 형성된다.
전술한 실험 조건 하에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생하는 제2 정착 장치(9b)로의 기록재(S)의 충돌 중의 제1 정착 장치(9b)에 대한 충격으로 인한 화상 오정렬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광택을 갖는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이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정착 장치를 갖춘 화상 형성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5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공된 정착 수단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공된 정착 수단의 제2 실시예의 기록재의 두께와 토너의 담지량의 차이에 의한 기록재의 이송 속도의 격차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전술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지고 설명은 생략된다.
전술한 제l 실시예에서는, 정착 수단으로서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의 쌍에 의해 구성된 정착 장치(9a, 9b)가 적용된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지 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1의 정착 장치(9a, 9b) 대신, 3개의 인장 롤러(53, 54, 55) 위로 통과되는 정착 벨트(57)가 할로겐 램프 히터(56)를 내장한 정착 롤러(51)와 접촉하게 되고, 정착 롤러(51)가 가압 부재인 가압 패드(58)에 의해 정착 벨트(57)의 내측으로부터 가압되는 구성의 벨트 정착 장치(9c, 9d)가 적용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송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상에 제공된 제1 벨트 정착 장치(9c)와 하류측 상에 제공된 제2 벨트 정착 장치(9d) 각각은 도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정착 롤러(51), 복수의 인장 롤러(53, 543, 55) 위로 통과되어 정착 롤러(51)와 가압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순환 벨트를 포함하는 정착 벨트(57), 정착 벨트(57)를 정착 롤러(51)와 가압 접촉하게 하는 가압 패드(58), 및 가압 패드(58)를 지지하기 위한 가압 패드 지지부(74)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이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 상에 제공된 제1 벨트 정착 장치(9c)는 본 발명의 제1 정착 수단을 구성하고, 하류측 상에 제공된 제2 벨트 정착 장치(9d)는 본 발명의 제2 정착 수단을 구성한다.
정착 롤러(51)는 알루미늄(Al) 또는 철(Fe)로 형성된 원통형 맨드릴(71)이 실리콘 고무, 불소 수지 등의 탄성 재료 층을 포함하는 이형 층(70)으로 덮인 구성을 갖는다. 정착 벨트(57)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수지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등의 탄성 재료 층으로 덮인 구성을 갖는다.
할로겐 램프 히터(56)는 정착 롤러(51)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서미스터 (도시 안됨)가 정착 롤러와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고, 할로겐 램프 히터(56)에 대한 전압은 온도 조절 회로를 통해 제어되어, 정착 롤러(51)의 표면의 온도 제어가 달성된다.
인장 롤러(55)는 금속으로 형성된 분리 롤러로서 구성되며, 정착 벨트(57)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정착 롤러(51) 내로 개입되어 가압됨으로써 정착 롤러(51)의 탄성 재료를 변형시키고 기록재(S)를 정착 롤러(5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착 닙 부분이 정착 롤러(51), 정착 벨트(57) 및 가압 패드(58)에 의해 형성된 경우, 정착 롤러(51)의 외부 주연부 상에 감기도록 넓은 닙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는 고속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의 쌍에 의해 제공된 정착 장치(9a, 9b)의 경우, 탄성 재료 층은 닙 폭이 넓게 고정된 때 탄성 재료 층이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고, 탄성 재료 층에 의한 열전달 손실이 크며, 이는 에너지 절약에 있어 불리하게 되는 반면, 전술한 정착 벨트(57)를 사용하는 벨트 정착 장치(9c, 9d)에서는, 정착 롤러(51)의 탄성 재료 층을 두껍게 할 필요없이 넓은 닙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탄성 재료 층에 의한 열전달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는 에너지 절약에 있어 효과적이다.
도6은 벨트 정착 장치(9c, 9d)에서의 기록재(S)의 두께와 토너 담지량의 차이로 인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의 격차를 도시한다. 벨트 정착 장치(9c, 9d)에서, 정착 닙 부분은 가압 패드(58)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전술한 제l 실시예의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한 롤러 정착에서와 같이 정착 롤러(51) 내로 가압부가 개입되는 현상은 결코 일어나지 않고, 가압 패드(58)와 정착 벨트(57) 사이의 마찰 저항이 크므로, 가압부의 부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가압 롤러(52)에 의한 가압보다 크며, 구동성이 나쁘다.
그러므로, 벨트 정착 장치(9c, 9d) 내의 기록재(S)의 이송 속도는 느려지는데, 이는 가압부의 부하가 더 커지고 정착 롤러(51)와 기록재(S)는 기록재가 얇은 시트에서 두꺼운 시트로 변경됨에 따라 더욱 미끄러지기 때문이다. 또한, 토너의 유무와 관련하여, 중실 화상의 경우, 정착 롤러(51)와 토너가 기록재(S)의 두께와 무관하게 정착 중에 미끄러지고, 따라서 이송 속도는 토너가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균등하게 느려진다.
그러므로, 벨트 정착 장치(9c, 9d) 내의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의 격차는 약 1.5%까지 발생한다. 다시, 벨트 정착 장치(9c, 9d)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정착 장치(9a, 9b)와 같이 정착 온도의 1.5%의 변동과 부품의 1%의 격차를 고려하면, 동일한 기록재(S)가 이송되는 이송 속도는 Vu < Vm < Vl의 관계로 설정되고, 여기서, Vu는 기록재의 이송 경로의 상류측 상에 배치된 제1 정착 장치(9c) 내에 제공된 한 쌍의 제1 정착 회전 부재인 정착 롤러(51)와 정착 벨트(57)에 의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이고, Vm은 제1 벨트 정착 장치(9c)와 제2 벨트 정착 장치(9d) 사이에 제공된 시트 이송 수단이고 이송 회전 부재의 쌍인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에 의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이고, Vl은 기록재(S)의 이송 경로의 하류측 상에 배치된 제2 벨트 정착 장치(9d) 내에 제공된 한 쌍의 제2 정착 회전 부재인 정착 롤러(51)와 정착 벨트(57)에 의한 기록재(S)의 이송 속도이다.
또한, 이송 속도(Vu, Vm, Vl) 간의 관계에서, 전술된 이송 속도는 Vm/Vu ≤ 1.05 및 Vl/Vm ≤ 1.05의 관계로 추가로 설정된다.
전술한 이송 속도 사이의 차이를 5%로 설정함으로써,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생하는 제2 벨트 정착 장치(9d)로의 기록재(S)의 충돌 시의 제1 벨트 정착 장치(9c)에 대한 충격으로 인한 화상 오정렬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광택의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구성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최근, 매우 두꺼운(super-thick) 시트(300 g/m2 이상) 등의 기록재(S)를 화상 형성 장치의 사양에 포함시키기 위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각각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정착 수단 사이의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의 가압력이 낮게 설정되고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은 이들이 각각의 정착 수단에 의해 기록재(S)를 당길 때 미끄러지도록 설계된 구성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시트 두께가 증가된 때, 가압력이 낮으면,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의 이송력의 부족이 발생하고, 가압력이 높으면,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은 이송력이 높은 상태에서 기록재(S)에 대해 마찰되므로 롤러의 자취가 기록재(S) 상에 남게 될 것이다.
또한, 기록재(S)의 인장력이 높아지므로 기록재(S)는 이송 안내부(도시 안됨)에 대해 강하게 마찰되며, 따라서 양면 경로(5)를 사용하는 양면 화상 형성 중 의 제2 면의 정착 중에, 제1 면의 토너 화상은 이송 안내부에 대해 강하게 마찰됨으로써, 안내부의 손상 또는 토너의 박리 등을 초래한다. 또한, 이송 롤러(31, 32, 33)의 쌍들은 기록재(S)의 표면 상에서 미끄러지게 되어, 구동 시스템의 부하기 현저하게 상승하는 폐해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S)에 대한 부하를 제한하기 위한 부하 제한 수단인 토오크 제한기(131a, 132a, 133a)가 기록재(S)의 이송 경로에 대해 정착 수단인 제1 정착 장치(9a)의 하류측에 배치된 시트 이송 수단 또는 이송 회전 부재인 이송 롤러(131, 132, 133)의 쌍들의 구동 수단으로 제공된다. 도7에서, 전술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된 부재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지고, 설명은 생략된다.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벨트 정착 장치가 정착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 롤러(131, 132, 133)의 쌍들의 구동 수단으로 제공된 토오크 제한기(131a, 132a, 133a)에 의해, 미리 설정된 또는 보다 큰 인장력이 이송 롤러(131, 132, 133)의 쌍들의 롤러들 간에 생성된 때, 토오크 제한기(131a, 132a, 133a)가 작동됨으로써, 구동 시스템이 미끄러지고 롤러들은 기록재(S)의 표면을 롤러들이 파지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시트의 두께 등에 의해 이송 롤러(131, 132, 133)의 쌍들의 가압력을 조절하지 않고 항상 균일한 광택의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시트 이송 경로에 대해 정착 수단의 하류측에 배치된 시트 이송 수단으로서 정착 장치들 사이의 이송 수단인 이송 롤러(131, 132, 133) 의 쌍들을 위하여 부하 제한 수단을 사용하는 효과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부하 제한 수단이 기록재의 이송 경로에 대해 정착 수단의 하류측에 배치된 시트 이송 수단인 이송 롤러들을 위하여 제공된 경우에도, 기록재(S)의 초과의 당김 또는 느슨해짐은 방지될 수 있고, 항상 균일한 광택의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된 제1 실시예에서, 2개의 정착 수단인 상류측(또는 하류측) 정착 수단으로서, 벨트 정착 장치가 한 쌍의 롤러에 의해 구성된 정착 장치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모든 실시예에서, 이송 롤러(31, 32, 33)가 제1 정착 장치와 제2 정착 장치 사이의 시트 이송 수단으로서 제공된 구성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이송 벨트가 시트 이송 수단으로서 제1 정착 장치와 제2 정착 장치 사이에 제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트를 이송 벨트로 흡인시키기 위하여, 이송 벨트 상에 구성이 형성되고, 흡인 팬이 설치된다.
전술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정착 수단 사이의 시트의 느슨해짐은 결코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트의 토너 정착면이 이송 안내부 등에 대해 강하게 마찰되는 현상도 일어나지 않으므로, 토너 화상에 대한 화상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시트 이송 경로의 하류측 상에 배치된 정착 수단의 입구에서의 기록재에 대한 충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화상 오정렬의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정착 장치의 입구에서의 기록재에 대한 루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불균일한 광택의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 이럼으로써, 복수의 정착 장치 사이의 기록재의 거동은 안정화되며, 정착 장치 내로의 충돌 중의 충격으로 인한 화상 오정렬 또는 화상 얼룩 또는 토너의 박리가 없는 균일한 광택의 화상을 항상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화상 정착 장치이며,
    토너 화상을 시트 상에 정착시키는 제1 정착 장치와,
    상기 제1 정착 장치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토너 화상을 상기 제1 정착 장치를 통과한 시트 상에 정착시키는 제2 정착 장치와,
    상기 제1 정착 장치와 상기 제2 정착 장치 사이에 제공되는 시트 이송 경로와,
    시트 이송 경로 상에 제공되어, 시트를 이송하는 시트 이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이송 경로의 상기 제1 정착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정착 장치까지의 길이는 화상 정착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긴 시트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정착 장치, 상기 시트 이송 수단 및 상기 제2 정착 장치의 시트 이송 속도 사이의 관계는,
    Vu < Vm < Vl
    로 설정되고, 여기서 Vu는 상기 제1 정착 장치의 시트 이송 속도이고, Vm은 상기 시트 이송 수단의 시트 이송 속도이며, Vl은 상기 제2 정착 장치의 시트 이송 속도이고,
    상기 제1 정착 장치의 이송력은 상기 시트 이송 수단의 이송력보다 크며, 상기 제2 정착 장치의 이송력은 시트 이송 수단의 이송력보다 큰 화상 정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 이송 속도 사이의 관계는,
    Vm/Vu ≤ 1.05 및 Vl/Vm ≤ 1.05로 추가로 설정되는 화상 정착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송 수단은 시트를 이송하는 시트 이송 회전 부재를 구비하며,
    시트에 대한 부하를 제한하기 위한 토오크 제한기가 상기 시트 이송 회전 부재에 접속되는 화상 정착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송 수단은 시트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시트 이송 회전 부재 쌍을 구비하고,
    시트가 상기 제1 정착 장치와 상기 시트 이송 수단 모두에 의해 이송될 때 시트와 상기 시트 이송 수단은 서로 마찰식으로 접촉하고, 시트가 상기 시트 이송 수단과 상기 제2 정착 장치 모두에 의해 이송될 때 시트와 상기 시트 이송 수단은 서로 마찰식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시트 이송 회전 부재 쌍의 시트에 대한 가압력이 설정되는 화상 정착 장치.
  9. 컬러 토너 화상을 시트에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전사 부재에 의해 전사된 컬러 토너 화상을 시트에 정착하는 제1항의 화상 정착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가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시트의 토너 전사면측이 볼록한 형상이 되도록 시트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삭제
KR1020050022994A 2004-03-22 2005-03-21 화상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650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2315 2004-03-22
JP2004082315A JP4442866B2 (ja) 2004-03-22 2004-03-22 画像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59A KR20060044459A (ko) 2006-05-16
KR100650455B1 true KR100650455B1 (ko) 2006-11-29

Family

ID=3485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994A KR100650455B1 (ko) 2004-03-22 2005-03-21 화상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51425B2 (ko)
EP (1) EP1580621B1 (ko)
JP (1) JP4442866B2 (ko)
KR (1) KR100650455B1 (ko)
CN (1) CN10043738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7001B2 (en) * 2004-03-29 2006-09-12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heating members for he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rotating member
US7664454B2 (en) * 2005-01-07 2010-02-16 Oki Da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4609124B2 (ja) * 2005-03-16 2011-01-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267343A (ja) * 2005-03-23 2006-10-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4636440B2 (ja) * 2006-02-16 2011-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74577B2 (ja) * 2007-04-20 2009-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5142582B2 (ja) * 2007-04-20 2013-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5398172B2 (ja) * 2008-05-27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5402314B2 (ja) 2009-03-17 2014-01-2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81490B2 (ja) * 2009-08-19 2014-01-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075780A (ja) * 2009-09-30 2011-04-14 Seiko Epson Corp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17591B2 (ja) * 2009-12-14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6039284B2 (ja) 2012-07-25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47001B2 (ja) 2016-03-25 2020-08-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38226B2 (ja) * 2017-05-31 2021-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6181A (ja) 1986-11-04 1988-05-20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圧力定着装置
JPH04245275A (ja) 1991-01-31 1992-09-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複写機の定着装置
JPH052352A (ja) 1991-06-24 1993-01-08 Ricoh Co Ltd 定着装置
JPH1138819A (ja) * 1997-07-14 1999-02-12 Toray Ind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075710A (ja) 1998-09-01 2000-03-14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
JP2001192139A (ja) * 1999-10-29 2001-07-17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692941B2 (ja) * 2001-01-23 2005-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用オプション装置
JP2002351237A (ja) 2001-05-22 2002-12-06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150019A (ja) * 2001-11-16 2003-05-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086038A (ja) * 2002-08-28 2004-03-18 Murata Mach Ltd 定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07771A1 (en) 2005-09-22
EP1580621A2 (en) 2005-09-28
JP4442866B2 (ja) 2010-03-31
EP1580621B1 (en) 2013-11-06
KR20060044459A (ko) 2006-05-16
CN1673894A (zh) 2005-09-28
CN100437383C (zh) 2008-11-26
JP2005266659A (ja) 2005-09-29
EP1580621A3 (en) 2010-06-09
US7251425B2 (en) 200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455B1 (ko) 화상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7343130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and fixing apparatus
JP5517591B2 (ja) 定着装置
US7392005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JP4609124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5490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92567A5 (ko)
JP200607196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86543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52194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24895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93121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473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75710A (ja) 定着装置
JP5147306B2 (ja) 画像加熱装置
JP2000172103A (ja) 定着装置
JP3670701B2 (ja) 画像形成装置
US11714370B2 (en) Fixing apparatus
JPH09281824A (ja) ベルト定着装置
JP2005055787A (ja) 画像形成装置
JP7006147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78998A (ja) 画像加熱装置
JP2005055469A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手段
JP2024071351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89704A (ja) 定着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