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311B1 - 광 데이터 매체 판독장치 및 그의 판독방법 - Google Patents

광 데이터 매체 판독장치 및 그의 판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311B1
KR100650311B1 KR1020007003732A KR20007003732A KR100650311B1 KR 100650311 B1 KR100650311 B1 KR 100650311B1 KR 1020007003732 A KR1020007003732 A KR 1020007003732A KR 20007003732 A KR20007003732 A KR 20007003732A KR 100650311 B1 KR100650311 B1 KR 10065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alue
error signal
reading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5703A (ko
Inventor
칼만요세푸스에이.에이치.엠
코에네빌렘엠.제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1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30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 G11B20/1034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sub-information or auxiliary signals different from the normal recording marks, e.g. signals reproduced from wobble trac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 데이터 매체(1) 판독 장치는, 데이터 매체의 거의 평행한 데이터 트랙들 내에 기록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변환기(5)를 포함한다. 이 변환기(5)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패턴을 나타내는 판독신호(S0(t))를 발생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매체(1)에 대해 그 변환기(5)의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장치는 접선 방향의 경사(αT)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정수단(16, 17, 18)과 그 정정수단용 오차신호(SE(t))를 발생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을 갖는다. 본 장치는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이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에 대한 그 판독신호(S0(t))의 응답의 일시적인 비대칭으로부터 오차신호(SE(t))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 데이터 매체, 판독장치, 광학장치, 오차신호, 정정수단, 통지수단

Description

광 데이터 매체 판독장치 및 그의 판독방법{APPARATUS FOR READING AN OPTICAL DATA CARRIER AND METHOD FOR READING THEREOF}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두에 기재된 것과 같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데이터 매체의 판독 동안에 변환기는 그 데이터 매체상의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패턴들을 주사하기 위한 방사빔을 발생한다. 데이터가 광 데이터 매체 상에 기록될 때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직각으로부터의 입사각의 편차(기울어짐)가 줄어든다. 이와 같은 기울기는 반경방향의 성분과 접선방향의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접선방향의 성분(접선방향의 기울어짐)은 판독하려는 트랙에 평행하고 데이터 매체에 가로질러 배향된 평면에서의 편차의 성분으로서 정의된다. 반경방향의 성분(반경방향의 기울어짐)은 판독하려는 트랙을 횡단하고 데이터 매체를 횡단하여 배향된 평면에서의 편차의 성분에 해당한다.
서두에 기재된 형태의 장치는 EP 569 597 Al에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변환기는 방사원으로부터 데이터 매체로의 광 경로에 배치된 투명판을 구비한다. 투명판의 방향은 데이터 매체의 반경방향 및/또는 접선방향의 기울어짐의 측정값인 오차신호에 의존한다. 이를 위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빔은 데이터 매체로부터 반사된 빔으로 나뉘어진다. 서브빔은 빔의 중심부를 차단하는 스크린을 통해 4개의 사분면 검출기(four-quadrant detector) 위에 상이 형성된다. 오차신호는 검출기를 사용하여 발생된 4개의 신호 사이의 차이로부터 유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는 투명판의 배향을 결정하는 보조 수단과, 데이터 매체의 배향을 결정하는 보조 수단을 구비한다. 이들 양자의 보조 수단은, 별도의 방사원과 4개의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오차신호는 2가지 세트의 4개의 신호로부터 유도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접선방향의 기울어짐을 교정할 목적으로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추가적인 광학수단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서두에 기재된 것과 같은 형태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특징을 갖고, 방법은 청구항 9에 기재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정정수단용 오차신호가 데이터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미리 발생된 판독 신호로부터 도출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어떤 추가적인 광 수단도 필요하지 않다.
가변 등화기에 의해 신호내의 왜곡을 검출하고 그 왜곡을 정정하는 장치가 EP 583 818 Al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은 데이터 매체에 대하여 변환기의 접선 방향의 경사와 판독신호의 특성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지 않는다. 오차 신호가 접선 방향의 경사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정수단을 위해 어떻게 발생되는지가 상기 문헌으로부터 명백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과 같은 착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변환기에 의해 발생된 방사빔의 입사가 직각인 경우에 판독 신호는 데이터 매체에 기록된 광학 적으로 판독 가능한 패턴에 정확히 해당된다. 접선 방향으로 수직 배향으로부터 편향하는 입사각에 대해 방사빔은 데이터 매체 상에 비대칭 광 스폿으로서 형성된다. 이 광 스폿의 비대칭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패턴에 대한 판독 신호의 응답에 있어서 일시적인 비대칭을 일으킨다. 광 패턴에 대한 판독 신호 S0(t)의 응답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S0(t)=τ·∑{i=-M, i=M}βi·x(t-i)
이때, x()는 데이터 매체 상에 기록된 신호, τ는 이득 인자 및 βi는 계수 그리고 β0 = 1 이다.
다음의 근사값을 이용한다.
S0(t)=τ(β-1·x(t-1) + (1-β-11)·x(t) + β1·x(t+1)),
예를 들어 0 에서 1°까지 정도의 미소한 경사에 대해 계수 β-1 와 β1 간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경사의 값에 비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접선 방향의 경사의 크기가 감소되기 때문에, 비트 검출수단이 판독신호 S0(t)로부터 데이터 매체 상에 기록된 신호 x(t)의 신뢰할 만한 예상값([]로 나타냄)인 신호 S2(t)를 도출하는 것이 역시 가능하다.
Figure 112000006828749-pct00001
데이터 매체 상에 기록된 신호를 신뢰할 만한 방법으로 예상할 수 있다면, 접선 방 향의 경사에 의해 왜곡된 신호로부터 경사의 방향과 크기를 나타내는 오차신호를 도출하기 위해 기록된 신호 내에 스텝(step)이 나타나는 순간에 가능하다. 오차신호 SE(t)의 계산은 (S2(t-1), S2(t), S2(t+1)) =(0,0,1) 또는 (1,0,0)을 만족하는 순간들 t로 매우 간단하다. 이들 두 개의 경우에 대해 판독신호의 순간값은 연속적으로 다음을 만족한다.
S0' = τ·β1,
S0" = τ·β-1
S0'와 S0" 간의 차이는 접선 방향의 경사 정정을 위한 적합한 오차신호를 형성한다.
그러나, (S2(t-1), S2(t), S2(t+1)) =(0,0,1) 또는 (1,0,0)을 만족하는 순간에 판독신호로부터 오차신호에 대한 예상값을 도출하는 것이 역시 가능하다. 이들 두 경우에 판독신호의 순간값은 연속적으로 다음을 만족한다.
S0' = τ(1-β-1),
S0" = τ(1-β1)
마찬가지로, S0' 와 S0" 간의 차이는 적합한 오차신호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오차신호는 스텝의 부근에 있는 판독신호의 시퀀스(sequence) 값들로부터 계산된다. 이것은 스텝 응답에서의 변동 결과로 오차신호의 변화가 감소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제 실시예가 기재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실시예에서는, 오차신호 발생 수단이 판독신호에 모든 단계에 대해 다시 오차신호를 계산하여, 결과적으로 접선 방향의 경사의 빠른 정정을 달성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4에서 언급된 채널 디코딩 수단은 예를 들어 RLL 코드를 위한 디코딩 수단, 예를 들면 EFM이 있다. 예를 들어, 오차검출수단은 리드-솔로몬(Reed-Solomon) 코드, 교차-삽입 리드-솔로몬(Cross-Interleaved Reed-Solomon) 코드에 근거를 둘 수 있다. 오차검출수단의 사용은 데이터 매체 상에 기록된 신호(x)t의 예상값 S2(t)에 있는 오차를 정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접선 방향의 경사를 정정할 수 있는 범위 이내의 각의 범위를 연장 가능하게 한다.
한편, 검출된 스텝이 적은 주기의 길이를 갖는 규칙적인 패턴의 부분을 형성하면 오차신호의 최고의 정확도를 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패턴들은 판독신호 내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한다. 다른 한편, 패턴이 짧으면 짧을수록 더 드물다. 따라서, 이러한 패턴들의 검출은 오차신호를 더 드물게 적용하게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실시예에서는 RLL 코드 데이터를 위한 매력적인 타협을 제공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매체 상에 기록된 신호가 EFM 채널 코드로 변조될 경우에 좋다.
접선 방향의 경사의 정정은 판독될 트랙들의 방향으로 데이터 밀도를 증가시켜서 가능하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밀도가 수직방향으로 역시 증가되게 한다. 일 예는,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한 출원 PHN 117048에 설명되어 있는 그 이상의 오차신호의 발생을 위한 수단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출원은 인 용문에 의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된 것과 같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데이터 매체로부터 판독 및/또는 데이터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판독용 변환기와 기록용 변환기는, 예를 들어 공통 방사원 및/또는 공통 광 수단을 공통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미리 포맷된 데이터 매체의 경우에 광 데이터 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매체의 헤더들에 특정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교대로 데이터 매체에 정보를 기록 및 헤드들로부터 어드레스 정보와 같은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판독하는 동안에 이 장치는 데이터 매체를 배타적으로 판독하기 위해 예정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는 것에 해당한 방법으로 오차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발명내용 및 또 다른 발명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접선 방향의 경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의 장치의 오차신호 발생수단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차신호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일부 신호들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실시예에서 오차신호 발생수단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오차신호 발생수단의 일부 신호들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접선 방향의 경사 αT의 함수로서 오차신호 SE(t)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 실시예에서 오차신호 SE(t)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4 실시예에서 오차신호 발생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광 데이터 매체(1)로부터 판독 및/또는 광 데이터 매체 위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매체(1)는 (재)기록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이를 위해, 데이터 매체는 투명 기판(2) 상에 적층된 방사선 감지층(3)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방사선 감지 염료층 또는 소위 상변화층과 같은 방사선 감지층 내부 또는 이 감지층 위에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데이터 매체(1)는 판독 전용 형태일 수 있으며,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은 예를 들어 다이의 도움으로 프레싱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1의 장치는 실제로 데이터 매체의 평행한 데이터 트랙들 내에 기록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을 나타내는 판독신호 S0(t)를 발생하기 위한 변환기(5)를 포함한다. 변환기(5)는, 예를 들면 반도체 레이저와 같은 형태를 지닌 방사원(6)과, 렌즈(7), 빔 스플리터(9), 초점부재(8) 및 비점수차 부재(11)를 포함하는 광학수단을 구비한다. 광학수단은, 데이터 매체(1)를 통해 방사원(6)으로부터 센서(10)로 방사빔을 안내한다. 이 센서는 센서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4개의 사분면(미도시)을 갖는다. 전처리기(12)는 4개의 센서 신호들에 근거하여 판독신호 S0(t)를 발생한다. 이 경우에, 판독신호 S0(t)는 4개의 센서 신호들의 평균값이다. 판독신호 S0(t) 이외에, 전처리기(12)는 검출신호로부터 초점 오차신호 FE를 유도한다. 초점 오차신호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초점 오차를 최소화하는 제어회로(13)로 인가된다. 더구나, 전처리기는 FM 복조기(14)로 인가되는 반경방향의 푸시풀 신호 ATRP를 발생한다.
이 장치는 회전축(4)에 대해서 데이터 매체(1)를 회전하여 그 회전축(4)에 적어도 거의 수직으로 변환기(5)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단은 데이터 매체(1)에 대한 변환기(5)의 상대적인 이동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접선 방향의 경사αT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 각 IT은 과장하여 나타낸 것이다. 실제 1°정도의 경사는 미리 데이터 매체의 판독 및/또는 기록의 처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접선 방향의 성분 5' 은 판독될 트랙에 평행하게 그리고 데이터 매체(1)에 가로질러 배향된 평면 V의 편차 성분으로 정의된다.
이 장치는 접선 방향의 경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정정 수단(16, 17, 18)을 포함한다. 또한, 이 경우에 정정 수단(16)은 광 수단의 부분으로 구성하는 투명판을 포함한다. 그 투명판(16)의 배향은 액추에이터(17, 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액추에이터(17, 18)는 오차신호 SE(t)에 따라 구동장치(19)에 의해 제어된다. 다른 실시예서는 전술한 것과 같은 투명판을 이용하지 않고 전체 변환기(5)의 배향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들을 포함하는 정정수단을 갖는다. 이 장치는 정정 수단(16-18)용 오차신호 SE(t)의 발생을 위한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이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에 대한 판독신호 S0(t)의 응답의 일시적인 비대칭으로부터 오차신호 SE(t)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다. 이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은 그 판독신호 SO(t)로부터 다원자가(multivalent)의 보조신호 SH(t)를 발생하기 위한 보조신호 발생수단(21, 22, 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원자가는 2 값 이상을 갖는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보조신호 발생수단은 제 1 지연수단(21)을 포함한다. 이들 수단은 입력신호 SO(t)로부터 4개의 클록 주기만큼 그것을 지연함으로써 제 1 추가 다원자가 신호 Z-4S0(t)를 얻는다. 제 2 지연수단(22)은 그 제 1 추 가 다원자가 신호 Z-4S0(t)로부터 입력신호 SO(t)에 대해 6 클록 주기만큼 지연된 제 2 추가 다원자가 신호 Z-6S0(t)를 얻는다. 보조 신호 발생수단은 제 1 및 제 2 추가 다원자가 신호로부터 다원자가 보조신호 SH(t)를 유도하는 신호 합성수단(23)을 더 포함한다. 오차신호 발생수단은 다원자가 보조신호 SH(t)의 값을 샘플링하고 그 샘플링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샘플 홀드(Sample and Hold) 수단(24)을 더 포함한다.
이 오차신호 발생수단은 통지수단(25, 26.1-26.10 및 27)을 더 포함한다. 이 통지수단은 비트 검출기(25)를 갖는다. 이 경우에 비트 검출기(25)는 다원자가 판독신호 S0(t)로부터 그 판독신호 SO(t)를 기준 레벨과 비교함으로써 2진 신호 S2(t)를 유도하는 레벨 검출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비트 검출기는, 예를 들면, PRML(Partial Response Maximum Likelihood)형 또는 FRML(Full Response Maximum Likelihood)형의 검출기이다. 기준 레벨은, 예를 들어 다원자가 판독신호 SO(t)의 평균값을 결정함으로써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2진 신호는 1 클록 주기 만큼 지연을 각각 생성하는 10개의 지연 소자들을 갖는 지연선(26.1-26.10)에 인가된다. 이 지연선에 인가된 신호 S2(t)와 지연소자에 의해 공급된 신호들 Z-1S2(t)-Z-10S2(t)은 11배의 신호 S3(t)를 함께 구성한다. 비교기(27)는 이 11배의 신호 S3(t)를 2진 패턴 01110001110과 비교한다. 이 2진 패턴이 11배의 신호 S3(t)에서 검출될 경우 비교기(27)는 샘플 홀드 수단(24)을 위한 제어신호 S4(t)를 발생한다. 이 신호 S2는 샘플 홀드 수단이 보조신호 SH(t)의 값을 샘플 및 홀드하도록 한다. 샘플 홀드 수단(24)에 의해 공급된 신호 SE'(t)에 따라 저역 필터(28)는 오차신호 SE(t)를 정정수단(16-18)의 구동장치(19)에 공급한다. 저역필터는 모든 경우에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이 오차신호는 샘플 홀드 수단(24)에 의해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정정수단(16-18)이 예를 들어 너무 느리므로 오차신호의 저주파 성분에만 응답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데이터 매체 상에 기록된 신호 x(t)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데이터 매체의 관련 트랙이 판독될 때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입사각이 편차를 갖는 경우에 변환기에 의해 발생된 판독신호 SO(t)를 나타낸다. 따라서, 판독신호 SO(t) =τ(β-1·x(t-1) + (1-β-1)·x(t)). 예를 들기 위해, 이 경우에 이득 τ은 1인 것으로 가정한다. β-1의 값은 이 경우에 0.25이다. 도 4c는 신호 S0(t)로부터 레벨 검출에 의해 얻은 신호 S2(t)를 나타낸다. 이 신호는 x(t)에 대한 예상값이다. t=0인 순간에 신호값 S2(-10),.... S2(0)의 시퀀스는 2진 패턴 01110001110에 해당하고 통지수단은 도 4g에 도시된 제어신호 S4(t)를 발생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신호값 S2(-16), ...., S2(-6) 및 S2(-22), ...., S2(-12)의 시퀀스는 제어신호 S4(t)가 t=-6 및 t=-12인 순간에 발생된 결과로서 상기 2진 패턴에 해당한다. 도 4d 및 도 4e는 연속적으로 4 및 6 클록 주기 만큼 지연된 판독신호 S0(t)를 연속적으로 나타낸다. 도 4f는 도 4d와 도 4e에 도시된 신호들 사이의 차이를 나타낸 신호 SH(t)를 나타낸다. 도 4h에 도시된 신호는 샘플 홀드 수단(24)에 의해 그 차이신호 SH(t)로부터 얻는다. 이 신호는 접선 방향의 경사의 측정값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실시예에서 오차신호 발생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들에 해당하는 부분은 100 만큼 증가된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통지수단은 판독신호 S0(t)의 네가티브 스텝을 통지하기 위한 제 1 통지수단(127.1)과 판독신호 S0(t)의 포지티브 스텝을 통지하기 위한 제 2 통지수단(127.2)을 포함한다. 제 1 통지수단(127.1)은 제 1 제어신호 S41(t)를 발생한다. 제 1 제어신호는 판독신호 S0(t)에서 네가티브 스텝에 대해, 즉 2진 패턴 011100011을 갖는 비트 시퀀스가 검출신호 S2(t)에 나타날 때의 값 "1"을 갖는다. 또 다른 경우에는, 제어신호 S41(t)가 값 "0"를 갖는다. 제 2 통지수단(127.2)은 제 2 제어신호 S42(t)를 발생한다. 이 제어신호는 판독신호 S0(t)에서 포지티브 스텝이 검출될 때, 즉 2진 패턴 110001110을 갖는 비트 시퀀스가 검출신호 S2(t)에서 발생할 때의 값 "1"을 갖는다. 또 다른 경우에는, 제 2 제어신호 S42(t)의 값은 "0"이다.
본 경우에, 보조신호 발생수단은 4 클록 주기 만큼 다원자가 입력신호 S0(t)를 지연시키는 지연소자(121)를 포함한다. 보조신호 발생수단은 그 지연된 다원자가 신호와 인자 c1를 곱하기 위한 제 1 승산기(130.1)와, 제 1 추가신호 S51(t)를 인자 c2와 곱하기 위한 제 2 승산기(132.1)와 그리고 그 두 개의 곱 신호들로부터 보조신호 SH1(t)를 계산하기 위한 제 1 가산기(132.1)를 더 구비한다.
보조신호 발생수단은 그 지연된 판독신호를 인자 c1와 곱하기 위한 제 3 승산기(130.2) 그리고 제 2 추가신호 S52(t)를 인자 c2와 곱하기 위한 제 4 승산기(131.2)를 더 구비한다. 제 2 가산기(132.2)는 제 3 및 제 4 승산기(130.2, 131.2)에 의해 얻은 신호들로부터 그 이상의 보조신호 SH2(t)를 계산한다.
오차신호 발생수단은 제 1 샘플 홀드 수단(122.1)을 포함한다. 이 제 1 샘플 홀드 수단(122.1)은 제 1 통지수단(127.1)이 네가티브 스텝을 검출할 때 다원자가 보조신호 SH1(t)의 값을 샘플링하고 그 샘플링된 값을 저장한다. 이 샘플 홀드 수단(122.1)은 그 제 1 추가신호 S51(t)를 공급한다.
오차신호 발생수단은 제 2 샘플 홀드 수단(122.2)을 더 포함한다. 이들 수단들은 제 2 통지수단(127.2)이 포지티브 스텝을 검출할 때 상기 그 이상의 보조신호 SH2(t)의 값을 샘플링하고 그 샘플링된 값을 저장한다. 이 샘플 홀드 수단(122.2)은 그 제 2 추가신호 S52(t)를 공급한다. 신호 합성수단(124)은 제 1 추가신호 S51(t) 및 제 2 추가신호 S52(t)로부터 오차신호를 계산한다. 이 경우에, 신호 합성수단은 제 1 추가신호 S51(t)와 제 2 추가신호 S52(t)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도록 구성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a는 데이터 매체 내에 기록된 인(in) 신호 x(t)를 나타낸다. 도 6b는 접선 방향의 경사로 어려움을 겪는 판독신호 SO(t)를 나타낸다. 검출 레벨 T를 갖는 레벨 검출은 도 6c에 도시된 2진 신호 S2(t)를 산출한다. 지연수단(121)은 판독신호 S0(t)로부터 도 6d에 도시된 지연 판독신호 Z-4S0(t)를 발생한다. 도 6e 및 도 6f는 제 1 제어신호 S41(t)와 제 2 제어신호 S42(t)를 연속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 제 1 제어신호의 값이 "1"일 경우 그 지연 판독신호 Z-4S0(t)의 값이 인자 β1에 대응한다는 것은 도 6d 및 도 6e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제 2 제어신호의 값이 "1"일 경우 그 지연 판독신호 Z-4S0(t)의 값이 인자 β-1에 대응한다는 것은 도 6d 및 도 6f로부터 명백하다. 이와 같이 선택된 판독신호 S0(t)의 값은 접선 방향의 경사도의 양호 표시를 결과적으로 제공한다.
검사시에 접선 방향의 경사αT 는 -1.1 과 1.0 도 사이에서 변화된다. 도 7은 경사αT의 함수로서 오차신호 SE(t)를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부터 오차신호 SE(t)는 경사 αT의 함수를 -1.0에서 0.7 도의 범위로 나누어 단조롭게 감소시키고 따라서 정정수단용 제어신호로서 적합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검사를 위해 사용된 장치의 광학계는 작은 비대칭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오차신호 SE(t)는 경사 αT의 0과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값의 매력적인 효과는 판독신호가 결과적으로 비대칭이 제거되는 값까지 정정수단이 경사 αT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이것은 광학계의 비대칭을 보상하는 값까지 접선 방향의 경사가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오차신호를 계산할 필요는 없다. 제 3 실시예에서 본 하드웨어는 적합하게 프로그램된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대신한다. 프로그램의 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프로그램부 P1에서 가변 및 배열 수를 다음과 같이 초기화한다.
2진 패턴 1[9] = {0,1,1,1,0,0,0,1,1}
2진 패턴 2[9] = {1,1,0,0,0,1,1,1,0}
2진 S3[9] = {0,0,0,0,0,0,0,0,0}
정수 S0DEL[5] = {0,0,0,0,0}
정수 S51 = 0
정수 S52 = 0
S3는 S3[0]가 S2의 순간값이고 S3[n](n=1,...,8)가 Z-nS2(t)의 값에서 도 5의 신호 S3(t)에 해당한다.
패턴 1 및 패턴 2는 이 신호 S3(t)가 통지수단(127.1, 127.2)에 의해 비교된 비트 시퀀스들에 연속적으로 대응한다.
S0DEL은 판독신호 S0의 마지막 5 값을 나타내고, 이때의 SODEL[0]은 신호 SO(t)에 해당하고, S0DEL[4]은 신호 Z-4S0(t)의 순간값에 해당한다. 도 5에서 S51 및 S52는 신호 S51(t) 및 S52(t)의 순간값에 해당한다.
제 2 프로그램부 P2 에서 S0(t)의 순간값, 즉 S0는 판독중이다.
제 3 프로그램부 P3 에서 배열 S3[]를 다음과 같이 다시 계산한다.
For J = 7 to 0, step -1
S3[J+1] = S3[J]
EndFor
S3[0] = threshold(S0)
여기에서, 함수 임계값()은 레벨 검출을 수행하여, 그 함수값은 만약 값 S0가 검출 레벨 이하이면 0이 되고 그 값 S0가 검출 레벨 이상이면 1이 된다. 예를 들면, 이 검출 레벨은 신호 S0(t)의 연속 평균에 해당한다.
제 4 프로그램부 P4에서 배열 S0DEL을 다시 계산한다. 이 계산은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For J = 3 to 0, step -1
S0DEL[J+1] = S0DEL[J]
EndFor
S0DEL[0] = S0
제 5 프로그램부 P5에서 제 1 추가신호 S51는 배열 S3[]와 제 1의 2진 패턴 패턴1[]의 내용이 해당될 경우 적용된다.
If S3[] = pattern 1[] then
S51 = C*S0DEL[4]+(1-C)*S51
EndIf
따라서, 제 6 프로그램부 P6에서 제 2 추가신호 S52는 배열 S3()와 제 2의 2진 패턴 패턴2[]의 내용이 서로에 해당될 경우 적용된다.
적용되는 가변율 S51 및 S52는 파라미터 C의 선택에 좌우된다. 이 파라미터 C의 적합한 값은 0.001 내지 0.02의 정도의 예가 있다.
If S3[] = pattern2[] then
S52 = C*S0DEL[4]+(1-C)*S52
EndIf
제 7 프로그램부 P7에서 오차신호 SE를 다음에 따라 계산한다:
SE = S51 - S52
제 8 프로그램부 P8에서 오차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에 인가한다.
일련의 프로그램부들 P2 내지 P8를 데이터 매체 상의 데이터 재생이 멈출때까지 반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4 실시예에서 오차신호 발생수단(220)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부분에 해당한 부분은 200 만큼 증가된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5의 부분들에 해당한 부분은 100 만큼 증가된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지수단(225, 226.1 - 226.5, 227.1, 227.2)은 판독신호 S0(t)의 네가티브 스텝과 포지티브 스텝을 포함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제 1 통지수단(227.1)과 제 2 통지수단(227.2)을 각각 포함한다. 특히, 제 1 통지수단(227.1)은 비트 시퀀스 111000가 발생할 때 판독신호 S0(t)의 네가티브 스텝을 통지한다. 제 2 통지수단(227.2)은 비트 시퀀스가 000111을 발생할 때 판독신호 S0(t)의 포지티브 스텝을 통지한다. 가산기 트리(tree)(240.1 - 240.5)는 검출된 비트 시퀀스의 비트들에 해당하는 판독신호 S0(t)의 합 값을 결정한다. 보조신호 SH(t)는 제어가능한 인버터(241)의 도움으로 그 가산기 트리에 의해 계산된 합으로부터 발생된다. 그 통지수단(227.2)에 의해 발생된 신호 S42가 만약 "0"일 경우, 보조신호 SH(t)는 가산기 트리에 의해 공급된 신호에 해당한다. 그 통지수단(227.2)에 의해 발생된 신호 S42가 만약 "1"일 경우, 보조신호 SH(t)는 가산기 트리에 의해 공급된 신호의 반전이다. 샘플 홀드 수단(222)은 만약 제어신호들 S41, S42중 하나가 1이면 보조신호 SH(t)를 샘플링한다.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수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장치는 예를 들어 테이프 형태로 광 데이터 매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고자 한다.
더구나, 본 발명은 신규한 특징부와 이들 특징부의 신규한 조합에도 관련된다.

Claims (9)

  1. 삭제
  2. - 데이터 매체의 평행한 데이터 트랙들 내에 기록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패턴을 나타내는 판독신호(S0(t))를 발생하기 위한 변환기(5)와,
    - 데이터 매체(1)에 대해 변환기(5)의 상대적인 운동을 일으키는 수단과,
    - 접선 방향의 경사(αT)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정수단(16, 17, 18)과,
    - 상기 정정수단용 오차신호(SE(t))를 발생하고,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에 대한 판독신호 (S0(t))의 응답의 일시적인 비대칭으로부터 오차신호(SE(t))를 유도할 수 있는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을 포함하는 광 데이터 매체 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은,
    - 지연수단(21, 22)을 포함하고, 상기 판독신호(SO(t))로부터 다원자가의 보조신호(SH(t))를 발생하기 위한 보조신호 발생수단(21, 22, 23)과,
    - 상기 보조신호(SH(t))의 값을 샘플링하고 그 샘플링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샘플 홀드 수단(24)과,
    - 그 판독신호(S0(t))의 스텝을 통지할 때 상기 샘플 홀드 수단(24)용 제어신호(S4(t))를 발생하기 위한 통지수단(25, 26.1 - 26.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125, 126.1 - 126.8, 127.1, 127.2)은, 서로 독립하여 상기 판독신호(S0(t))의 네가티브 스텝과 포지티브 스텝을 각각 통지하는 제 1 통지수단(127.1)과 제 2 통지수단(12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채널 디코딩 수단 및 오차 정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125, 126.1 - 126.8, 127.1, 127.2)은, 값 0의 비트, 값 1의 n 비트, 값 0의 n 비트 및 값 1의 1비트를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비트 시퀀스가 발생하면 상기 판독신호(S0(t))에서의 네가티브 스텝을 통지하고, 값 1의 1비트, 값 0의 n 비트, 값 1의 n 비트 및 값 0의 1 비트를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비트 시퀀스가 발생하면 상기 판독신호(S0(t))에서의 포지티브 스텝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n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의 경사의 측정인 오차신호를 더 발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기록신호에 따라서 데이터 매체의 평행한 데이터 트랙 내에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을 광학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변환기(5)를 포함하고,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데이터 매체에 대해 판독 및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9. 광 데이터 매체(1)를 판독하는 방법으로서, 변환기(5)가 상기 데이터 매체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데이터 트랙 내에 기록된 광학 패턴을 판독하고,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의 지시인 판독신호(S0(t))가 발생되고, 상기 변환기(5)가 상기 데이터 매체(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정정수단(16, 17, 18)이 접속방향 경사(αT)를 감소시키고,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이 상기 정정수단에 대한 오차신호(SE(t)를 발생하고, 상기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에 대한 상기 판독신호 (S0(t))의 응답의 일시적인 비대칭으로부터 상기 오차신호(SE(t))를 유도하는 판독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차신호 발생수단(20)이 상기 판독신호(S0(t))로부터 다원자가의 보조신호(SH(t))를 유도하고, 상기 보조신호(SH(t))의 값을 샘플하고, 상기 판독신호(S0(t))에서의 스텝이 통지되었을 때 상기 샘플된 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방법.
KR1020007003732A 1998-08-10 1999-07-29 광 데이터 매체 판독장치 및 그의 판독방법 KR100650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9829 1998-08-10
NL1009829 1998-08-10
PCT/EP1999/005515 WO2000010165A1 (en) 1998-08-10 1999-07-29 Apparatus for reading an optical data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703A KR20010015703A (ko) 2001-02-26
KR100650311B1 true KR100650311B1 (ko) 2006-11-28

Family

ID=1976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732A KR100650311B1 (ko) 1998-08-10 1999-07-29 광 데이터 매체 판독장치 및 그의 판독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18096B1 (ko)
EP (1) EP1042749A1 (ko)
JP (1) JP2002522868A (ko)
KR (1) KR100650311B1 (ko)
CN (1) CN1171208C (ko)
MY (1) MY122428A (ko)
TW (1) TW463161B (ko)
WO (1) WO2000010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8801A1 (de) * 1999-04-26 2000-11-02 Thomson Brandt Gmbh Gerät zum Lesen oder Beschreib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WO2001091121A1 (en) * 2000-05-25 2001-11-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tector, reproduction system, receiver and method
TW483038B (en) 2000-05-26 2002-04-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JP2004192754A (ja) * 2002-12-13 2004-07-08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JP2004199779A (ja) * 2002-12-18 2004-07-15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US20070030780A1 (en) * 2003-05-20 2007-02-08 Alexander Padiy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the tangential tilt of an optical data carrier...
US7307930B2 (en) * 2003-10-31 2007-12-11 Sony Corporation Optical disk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2685A1 (en) * 1994-01-10 1995-07-12 Sony Corporation Disc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disc-shaped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method
US5703855A (en) * 1993-04-06 1997-12-30 Hitachi, Ltd. Optical disk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ading method for an optical disk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842B2 (ja) * 1989-05-10 1997-01-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的読取り信号のクロストーク量検出装置
US5442615A (en) * 1991-11-20 1995-08-15 Sony Corporation Optical plate for correcting comatic aberration
EP0583818B1 (en) 1992-08-06 1998-10-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eiving arrangement for receiving a digital signal from a transmission medium, including variable equalizer means
JP3526142B2 (ja) * 1996-07-18 2004-05-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ピックアップ装置
US6041030A (en) * 1996-09-18 2000-03-21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device with eccentric and incline chuck control
JPH10302285A (ja) * 1997-04-23 1998-11-13 Pioneer Electron Corp サーチ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3855A (en) * 1993-04-06 1997-12-30 Hitachi, Ltd. Optical disk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ading method for an optical disk using the same
EP0662685A1 (en) * 1994-01-10 1995-07-12 Sony Corporation Disc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disc-shaped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703A (ko) 2001-02-26
JP2002522868A (ja) 2002-07-23
WO2000010165A1 (en) 2000-02-24
CN1287662A (zh) 2001-03-14
CN1171208C (zh) 2004-10-13
US6418096B1 (en) 2002-07-09
EP1042749A1 (en) 2000-10-11
MY122428A (en) 2006-04-29
TW463161B (en) 200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7505A (en) Optical medium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pulse width delay and/or advancement
US5663942A (en) Jitter measurement apparatus detecting amplitude of phase errors between information signal and synchronized clock signal
EP0138273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from an optically readable record carrier
EP0238162B1 (en)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EP0612063B1 (en) Focus balance automatic adjusting device and method
US6577568B1 (en) Optical disk apparatus using tilt and aberration correction control system
US6510130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50311B1 (ko) 광 데이터 매체 판독장치 및 그의 판독방법
JP4423670B2 (ja) 情報記録媒体の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または再生を行う装置
JP3762356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0111371A (ja) デジタル情報再生装置
KR100622589B1 (ko) 광 데이터 매체로부터/광 데이터 매체 상에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EP0986052A1 (en) Information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US20040264313A1 (en) Skew detection method,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c device
US6198085B1 (en) Repeat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EP1548712A2 (en) Data reading device and pre-pit detection circuit
US58125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back optical recording having high linear density
JP2001307359A (ja) 光ディスク傾き検出方法、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H08249665A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及び光ディスク
JPH07320270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10302398A (ja) 記録信号再生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2000030260A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20064762A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JPH0896388A (ja) 光学式記録再生装置
JPH04245067A (ja) 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