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435B1 -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435B1
KR100646435B1 KR1020000052783A KR20000052783A KR100646435B1 KR 100646435 B1 KR100646435 B1 KR 100646435B1 KR 1020000052783 A KR1020000052783 A KR 1020000052783A KR 20000052783 A KR20000052783 A KR 20000052783A KR 100646435 B1 KR100646435 B1 KR 100646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eel
connecting shaft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115A (ko
Inventor
모리모토신이치
후로모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1007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연결축의 장착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릴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오실레이팅기구의 회전전달장치가 개시된다. 스피닝 릴의 회전전달기구(14)는 오실레이팅기구(6)에 핸들의 회전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피니언기어(12)와, 연결축(36)과, 제1베어링부(28)와, 제2베어링부(29)와, 제1기어(37)와, 제2기어(38) 및 제3기어(39)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축은, 피니언기어와 엇갈리는 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베어링부는, 릴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연결축의 일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제2베어링부는, 릴본체에 마련되어 연결축의 타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제1기어는, 연결축에 마련되어 피니언기어에 맞물린다. 제2기어는, 연결축에 제1기어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제3기어는, 오실레이팅기구에 연결되어 제2기어에 맞물린다.

Description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Torque transferring apparatus of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스피닝릴의 좌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단면도이고,
도 4는 회전전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스풀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2... 릴본체
2a... 릴몸체
2e... 팽창돌출부
2f... 관통공
2g... 플랜지부
3... 로우터
4... 스풀
6... 오실레이팅기구
12... 피니언기어
14... 회전전달기구
28... 제1베어링부
28a... 베어링
28b... 뚜껑부재
29... 제2베어링부
36... 연결축
37... 제1기어
38... 제2기어
39... 제3기어
본 발명은 회전전달장치, 특히 스피닝릴의 릴본체에 장착된 스풀을 앞뒤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기구에 핸들의 회전을 전달하는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릴의 오실레이팅기구(왕복이동기구의 일례)로서 트래버스캠 방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오실레이팅기구는 스풀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나사축과 나사축에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가지고 있으며, 슬라이더에 스풀축이 축방향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나사축에 핸들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장치는, 핸들의 회전 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중간기어를 가지고 있으며, 중간기어가 나사축의 일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래버스캠방식의 오실레이팅기구에서는, 로우터 1회전당의 스풀의 이동량은 나사축의 리드각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낚시줄사이의 공간이 많아져, 낚시줄을 스풀에 효과적으로 감기 어렵다.
따라서, 일본특허공개 평 11-86호에, 핸들의 회전에 대하여 스풀의 전후이동량을 적게 하여 낚시줄을 스풀에 촘촘히 감을 수 있는 오실레이팅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오실레이팅기구에 핸들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장치는, 피니언기어와, 오실레이팅기구를 향하도록 피니언기어와 엇갈리는 축을 따라 배치된 연결축과, 연결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나사기어와, 연결축의 타단에 고정된 워엄기어와, 나사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워엄기어에 맞물리는 워엄휠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축은, 릴본체의 뚜껑에 의해 봉지되는 개구부분과 스풀축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서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회전전달장치에서는, 연결축이 릴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 외에도 복수의 축을 지지하고 있는 복잡한 형상의 릴본체의 내부에서 연결축의 장착정밀도를 높게 유지하도록 내부를 가공하는 것이 곤란하다. 연결축의 장착정밀도를 높게 유지하지 않으면, 연결축과 스풀축 및 연결축과 나사축간의 축간거리가 변동한다. 축간거리가 변동하면, 피니언기어와 나사기어의 맞물림정밀도나 워엄휠과 워엄기어의 맞물림정밀도가 저하되어 회전전달효율이 저하된다. 게다가, 릴본체 내부에 연결축을 위한 지지구조를 마련하면, 그를 위한 리브나 보스부 등의 구조를 릴 본체 내부에 만들어 넣을 필요가 생기므로 릴본체의 중량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핸들의 회전을 연결축을 통해 왕복이동기구에 전달하는 회전전달장치에 있어서, 연결축의 장착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릴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회전전달장치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달효율을 높은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면 유지보수가 중요해진다. 유지보수시에는 기어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도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연결축이 스풀축의 안쪽 깊숙이에 감추어져 있으므로, 릴 본체의 뚜껑을 열어도 기어에 윤활제를 도포하기 어려워, 유지보수를 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회전전달장치의 유지보수를 행하기 쉽게 하는 데 있다.
발명 1에 따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는, 스피닝릴의 릴본체에 장착된 스풀을 앞뒤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기구에 핸들의 회전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피니언기어와, 연결축과, 제1베어링부와, 제2베어링부와, 제1기어와, 제2기어와, 제3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기어는 핸들의 회전이 전달되는 기어이다. 연결축은 왕복이동기구와 피니언기어를 연결가능하도록 피니언기어와 엇갈리는 축을 따라 배 치된 축이다. 제1베어링부는 릴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연결축의 일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제2베어링부는 릴 본체에 마련되어 연결축의 타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제1기어는 연결축에 마련되어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기어이다. 제2기어는 제1기어와 다른 위치에서 연결축에 마련된 기어이다. 제3기어는 왕복이동기구에 연결되어 제2기어에 맞물리는 기어이다.
이러한 회전전달장치에서는, 핸들이 회전하면 그에 따라 피니언기어가 회전한다. 피니언기어의 회전은 그에 맞물리는 제1기어에 전달되어 연결축이 회전한다. 이 연결축에는 제1기어에 더하여 제2기어가 마련되어 있으며, 연결축이 회전하면 제2기어도 회전한다. 그리고 제2기어가 회전하면 그에 맞물리는 제3기어도 회전하며, 왕복이동기구가 동작하여 스풀이 앞뒤로 왕복이동한다. 여기서는, 연결축의 일단이 릴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된 제1베어링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릴 본체에 마련된 제2베어링부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릴 본체에는 타단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부만을 만들어 넣으면 되고, 제1베어링부를 만들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작은 부품으로도 좋은 고정밀도의 제1베어링부를 간단히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잡한 형상의 릴본체 내부에 하나의 베어링부를 만드는 것만으로 좋고, 제1베어링부의 정밀도도 유지하기 쉬우며, 연결축의 장착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1베어링부는 릴본체 내부에 만드는 것보다 단순한 형상이 되므로, 릴전체로서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피니언기어는 나사기어이고, 제1기어는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나사기어이다. 이러 한 경우에는, 피니언기어와 제1기어가 엇갈려 배치되어 있어도 회전이 피니언기어로부터 제1기어로 확실하게 전달된다.
발명 3에 따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2기어는 워엄기어이고, 제3기어는 워엄휠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기어로부터 제3기어로 전달될 때의 회전을 크게 감속할 수 있고, 핸들의 회전에 대하여 스풀의 전후이동속도를 확실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발명 4에 따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2기어는 나사기어이고, 제3기어는 제2기어에 맞물리는 나사기어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감속비를 크게 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제조가 보다 용이해진다.
발명 5에 따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연결축은 릴본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결축을 마련하여도 수평(좌우)방향 및 수직(상하)방향의 사이즈를 균형있게 유지한 상태에서 릴 본체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왕복이동기구는 피니언기어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스풀을 왕복이동시키는 트래버스캠방식의 왕복이동기구이고, 제3기어는 나사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피니언기어의 회전을 나사축에 직접 전달하는 경우에 비하여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1베어링부는 릴 본체의 스피닝릴의 로우터 후방에 형성되어 제2기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공에 장착되고, 제2기어는 연결축의 일단측에 배치되며 또한 제1기어와 동일직경 또는 제1기어보다 큰 직경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베어링부가 로우터의 후방에 형성된 관통공에 장착되고, 또한 제1베어링부에 가까운 제2기어가 제1기어 이하의 지름이므로, 제1베어링부를 릴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만으로 연결축을 관통공으로부터 두 기어와 함께 떼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로우터를 떼내거나 릴본체의 다른 부분을 열어 스풀축이나 왕복이동기구의 부품을 떼어낼 필요가 없어져, 회전전달장치의 유지보수를 행하기가 쉬워진다.
발명 8에 따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피니언기어와 제3기어의 회전수비는 4:1 내지 24:1의 범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에 비해 왕복이동기구측이 감속되므로, 낚시줄을 스풀에 촘촘히 감을 수 있다.
발명 9에 따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1베어링부는 릴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뚜껑부재와, 뚜껑부재에 장착된 볼베어링을 가지며, 연결축의 일단은 볼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결축이 볼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므로, 회전효율이 높아진다.
[전체구성 및 릴본체의 구성]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스피닝릴은, 핸들(1)과, 핸들(1)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릴본체(2)와, 로우터(3) 및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우터(3)는 릴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시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으로서, 로우터(3)의 앞부분에 전후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릴본체(2)는, 측부에 개구(2c)를 갖는 릴몸체(2a)와, 릴몸체(2a)로부터 앞쪽 상방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는 T자형상의 낚시대장착다리(2b)와, 및 릴몸체(2a)의 개구(2c)를 막기 위한 뚜껑(2d)을 가지고 있다.
릴몸체(2a)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공간내에는 로우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우터구동기구(5)와 스풀(4)을 앞뒤로 이동시켜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기구(6)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몸체(2a)의 도2 우측면에는, 통형상의 보스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7a)는, 후술하는 핸들축(10)의 도2 우단을 지지하는 베어링(16a)을 수납하기 위해 릴몸체(2a)의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뚜껑(2d)의 보스부(17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보스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7b)는 핸들축(10)의 도2 좌측단을 지지하는 베어링(16b)을 수납하기 위해 릴몸체(2a)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핸들(1)이 장착된 측과 반대측의 보스부(도 2에서는 보스부(17a))는 축커버(19)에 의해 막혀 있다. 핸들(1)장착된 측의 보스부(도 2에서는 보스부(17b))는 구멍이 있는 커버(19b)에 의해 물의 침입이 방지되어 있다. 축커버(19) 및 구멍이 있는 축커버(19b)는 타원형부재이며, 각각 2개의 나사에 의해 보스부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은 보스부(17a)에는 축커버(19) 및 구멍이 있는 축커버(19b)를 동일면으로 장착하기 위한 타원형의 오목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릴몸체(2a)의 보스부(17a)의 전방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회전전달기구(도 3)(14)를 수납하기 위한 팽창돌출부(2e)가 형성되어 있다. 팽창돌출부(2e)는, 도2 하방측을 향해 서서히 돌출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팽창돌출부(2e)의 하단에는 회전전달기구(14)를 구성하는 제1베어링부(28)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팽창돌출부(2e)의 기단(基端)측에는 릴몸체(2a)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제2베어링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로우터 구동기구(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축(10)과,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기어(11)와, 이 페이스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10)의 양단은 베어링(16a, 16b)을 통해 릴몸체(2a)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핸들축(10)의 도2 우단은, 베어링(16a)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핸들축(10)의 중심부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에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된다. 핸들(1)의 선단면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장착나사(20)에 의해 핸들(1)이 핸들축(10)에 장착되어 있다.
[오실레이팅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고정된 스풀축(15)을 로우터(3)에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기구(6)에는 회전전달기구(14)를 통해 핸들(1)의 회전이 전달된다.
오실레이팅기구(6)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5)의 하방에 배치된 나사축(21)과, 나사축(2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 더(22)와, 슬라이더(22)를 안내하는 두 개의 가이드축(24a, 24b)을 가지고 있다. 나사축(21)은 스풀축(15)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릴몸체(2a)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나사축(21)의 외주부에는 나선형의 교차하는 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1a)의 리드각(θ)은 20°∼45°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홈(21a)의 리드각(θ)이란, 홈(21a)의 바닥지름을 D, 나사축(21)의 1회전으로 나아가는 축방향의 길이, 즉 리드를 L이라 한 경우,
리드각(θ)=cot-1(πD/L)
로 나타내어지는 각도이다. 이 리드각(θ)이 20°보다 작은 경우에는 홈사이의 두께가 얇아짐과 동시에 홈의 교차부의 수가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45°를 초과하면 회전운동으로부터 직선운동으로의 변환효율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슬라이더(22)는, 슬라이더 본체(25)와 슬라이더 본체(25)내에 수납된 결합부재(26)를 가진다. 슬라이더 본체(25)는 가이드축(24a, 24b)에 의해 스풀축(15)과 평행하게 안내된다. 결합부재(26)는 슬라이더 본체(25)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결합부재(26)의 선단은 나사축(21)의 홈(21a)에 맞물려져 있다.
회전전달기구(14)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돌출부(2e)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며, 피니언기어(12)와, 연결축(36)과, 연결축(36)의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부(28)와, 연결축(36)의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베어링부(29)와, 제1∼제3기어(37∼39)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기어(12)는, 로우터구동기구(5)를 구성함과 동시에 회전전달기구(14)도 구성하고 있다. 피 니언기어(12)는 뒷부분에 나사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부(12b)를 가지고 있으며, 이 기어부(12b)가 페이스기어(11)에 맞물려져 있다.
연결축(36)은 나사축(21)에 연결가능하도록 피니언기어(12)와 엇갈리는 축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된 축으로서, 팽창돌출부(2e)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축(36)은 피니언기어(12)와 나사축(21)에 각각 축교차각이 90도가 되도록 핸들축(10)과 교차하는 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즉 릴본체(2)에 대하여 수평(좌우)방향 및 수직(상하)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축(36)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연결축(36)을 마련하여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사이즈를 균형있게 유지한 상태에서, 릴본체(2)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제1베어링부(28)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릴몸체(2a)에 형성된 팽창돌출부(2e)의 밑면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베어링부(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돌출부(2e)의 기단부로부터 릴몸체(2a)의 안쪽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베어링부(28, 29)는, 연결축(36)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8a, 28b)을 각각 가지고 있다.
제1기어(37)는 피니언기어(12)의 기어부(12b)에 페이스기어(11)의 맞물림위치와 반대측의 면에서 맞물리는 나사기어로서, 연결축(36)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2기어(38)는 워엄기어로서, 연결축(36)에 제1기어(37)와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이 제2기어(38)는 연결축(36)과 일체형성되어 있다. 제3기어(39)는 제2기어(38)에 맞물리는 워엄휠로서, 나사축(21)의 앞쪽끝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회전전달기구(14)의 감속비(피니언기어(12)의 회전에 대한 나사축(21)의 회전의 비; NC)는, 로우터(3)의 1회전당의 스풀(4)의 이동량(RM)이 낚시줄지름(DL)과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로우터(3)의 1회전에 대하여 낚시줄의 지름(DL)만큼 어긋나게 하면서 스풀(4)에 낚시줄을 감도록 스풀(4)의 이동량(RM)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리드(나사축(21)의 1회전당의 이동량)를 L이라 하고, 낚시줄의 지름을 DL이라 하면, 로우터(3) 1회전에 대하여 낚시줄의 지름(DL)만큼 어긋나게 하면서 낚시줄을 스풀(4)에 감는 경우, 로우터(3)의 1회전에 대한 나사축(21)의 회전수의 비인 감속비(NC)는, NC=DL/L이 된다.
예컨대, 낚시줄지름(DL)이 0.2mm(1.5호), 리드(L)가 3.6mm이면, 감속비(NC)는 NC=0.2/3.6=1/18이 된다. 즉, 로우터(3)로부터 나사축(32)에의 감속비(NC)를 1/18로 설정하면, 로우터(3) 1회전에 대하여 스풀(4)은 0.2mm씩 이동하여 스풀(4)에 낚시줄이 촘촘히 감겨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컨대, 기어부(12b)와 제1기어(37)와의 사이에서 1/2로 감속하고, 제2기어(38)와 제3기어(39)와의 사이에서 1/9로 감속하면 전체의 감속비(NC)는 1/18로 설정할 수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터(3)의 1회전에 대하여 낚시줄이 낚시줄지름(DL)씩 어긋나게 스풀(4)에 감기고, 스풀(4)에 낚시줄이 촘촘히 감긴다. 한편, 나사축(21)의 홈(21a)이 단부에서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리드각이 다른 부분보다 작아져 있으므로, 그 부분에서는 나사축(21)의 리드(L)가 작아져 상술한 이동량(RM)도 작아진다.
또한, 스풀(4)을 한번 왕복시키는 데 필요한 나사축(21)의 회전수를 CN이라 한 경우, 이 수치는 반드시 정수일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응하는 로우터(3)의 회 전수가 정수(즉 회전위상이 2nπ)이면, 하층의 낚시줄과 상층의 낚시줄이 교차하는 점이 항상 동일한 위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스풀축심에 수직인 단면의 줄감김형상이 타원처럼 두 개의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버린다. 이는 회전위상이 (2n+1)π여도 동일하며, (2n+1/2)π이면 사각형에 가까운 단면이 된다. 원에 가까운 다각형에 근접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위상을 2nπ+ι로 하고, ι을 정수배한 경우 2nπ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도록 설정하면 좋다. 다만, ι이 너무 작으면 돌출부가 근접하여 연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줄감김형상이 나선모양으로 되어 버린다.
예컨대, 상기한 예에 따라 설명하면, 스풀(4)을 한번 왕복시키는 데 필요한 나사축(21)의 회전수를 10으로 하면, 이에 대응하는 로우터(3)의 회전수는 180이다. 그러나, 리드(L)를 3.6으로부터 3.666mm로 변경함으로써 감속비(NC)가 200/3666이 되어, 로우터(3)의 회전수를 183.3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풀축심에 수직인 단면의 줄감김형상을 원에 가까운 다각형으로 할 수 있다.
[로우터의 구성]
로우터(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로우터 아암(31, 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두 로우터아암(31, 32)은 일체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앞부분에는 앞벽(33)이 형성되어 있고, 앞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33a)의 관통공을 피니언기어(12)의 앞부분(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앞벽(33)의 전방측에는 너트(34)가 배치되어 있고, 이 너트(34)가 피니언기어(12)의 선단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있 다. 너트(34)의 내주부에는 너트(34)를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5)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로우터아암(31, 32)의 선단에는, 베일아암(44)이 줄감기자세와 줄개방자세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베일아암(44)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로우터아암(31, 32)의 선단의 내측에 각각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제1 및 제2베일지지부재(40, 42)와, 제1베일지지부재(40)의 선단에 기단이 고정된 고정축을 포함하는 고정축 커버(47)와, 낚시줄을 스풀(4)에 안내하는 라인롤러(41)와, 고정축커버(47)와 제2베일지지부재(42)를 연결하는 베일(43)을 가지고 있다. 제1베일지지부재(4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로우터아암(31)의 선단외측에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2베일지지부재(42)는, 제2로우터아암(32)의 선단내측에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라인롤러(41)는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라인롤러(41)는, 주면(周面)에 축방향의 중앙부가 작은직경이 되도록 두 개의 테이퍼면이 형성된 장고형상의 부재이다. 이 소경부에는 원주방향의 테두리홈(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홈(41a)의 홈폭은 2mm이하이며, 바람직하기로는 낚시줄지름의 2배 이하인 값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테두리홈(41a)의 테두리폭을 작게 함으로써 낚시줄이 스풀(4)의 축방향으로 어긋나기 어려워지고, 스풀(4)의 이동속도를 늦춘 경우에 낚시줄이 정밀하게 스풀(4)에 감긴다.
로우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로우터(3)의 역회전방지지구(50)가 배치 되어 있다. 역회전방지기구(50)는, 롤러형 일방향 클러치(51)와 일방향 클러치(51)를 작동상태 및 비작동상태로 절환하는 조작기구(52)를 가지고 있다. 일방향 클러치(51)는 외륜이 릴몸체(2a)에 고정되고, 내륜이 피니언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기구(52)는 릴몸체(2a)의 뒷부분에 배치된 조작레버(53)를 가지고 있고, 조작레버(53)를 요동시킴으로써 일방향 클러치가 두 개의 상태로 절환되어, 작동상태일 때 로우터(3)가 역회전할 수 없게 되고, 비작동상태일 때 로우터(3)가 역회전할 수 있게 된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로우터(3)의 제1로우터아암(31)과 제2로우터아암(3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래그기구(60)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낚시줄감김몸체부(4a)와 낚시줄감김몸체부(4a)의 뒷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낚시줄감김몸체부(4a)의 앞부분에 고정된 앞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낚시줄감김몸체부(4a)는 로우터(3)의 원통부(30)의 외주측까지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스커트부 및 앞플랜지부(4b, 4c)는, 낚시줄감김몸체부(4a)의 양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낚시줄이 스풀(4)의 낚시줄감김몸체부(4a)에 감길 때, 각 낚시줄감김단에서의 낚시줄의 감김수가 거의 같아진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이러한 스피닝릴에서는, 캐스팅시에는 베일아암(44)을 줄감기자세로부터 줄개방자세로 넘어뜨린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베일지지부재(40, 42)는 같은 방향으 로 요동한다.
낚시줄 감기시에는, 베일아암(44)을 줄감기자세로 넘어뜨린다. 이는, 핸들(1)을 낚시줄감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캠과 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핸들(1)을 낚시줄감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은 핸들축(10) 및 페이스기어(11)를 통해 피니언기어(12)에 전달된다. 이 피니언기어(1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기어(12) 앞부분(12a)을 통해 로우터(3)에 전달되고, 로우터(3)가 줄감기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피니언기어(12)에 맞물리는 제1기어(37)에 의해 연결축(36)이 회전하고, 제2기어(38)를 통해 제3기어(39)가 회전하여 나사축(21)이 상술한 감속비(NC)로 감속되어 회전한다. 이 결과, 나사축(21)의 홈(21a)에 맞물리는 슬라이더(22)가 가이드축(24a, 24b)에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의 스풀(4)의 이동량(RM)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줄지름(DL)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스풀축(15) 및 스풀(4)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베일(43) 및 라인롤러(41)에 의해 스풀(4)에 안내된 낚시줄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터(3)의 1회전에 대하여 낚시줄지름(DL)씩 어긋나도록 스풀(4)의 줄감김몸체부(4a)에 감겨, 스풀(4)에 낚시줄이 촘촘히 감긴다. 이 때문에, 스풀(4)에 낚시줄이 효과적으로 감긴다.
[다른 실시형태]
(a) 스피닝릴의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래그기구를 가지 않는 것이나 뒷부분에 갖는 것, 또는 역회전방지기구 대신 브레이크 레버를 갖는 제동기구를 장착한 것에도 본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제1 내지 제3기어의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나사기어나 베벨기어 또는 페이스기어 등 각종 형태의 기어를 적용할 수 있다. 나사기어를 사용하면, 워엄보다는 감속비는 작아지나, 제조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나사기어를 사용하면, 제1기어(37)의 지름을 제2기어(38)의 지름보다 작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전달기구(14)를 구성하는 제1기어(37), 제2기어(38) 및 제3기어(39)는 모두 나사기어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회전전달기구(14)의 감속비(NC)는, 예컨대 대략 1/5이다. 이러한 감속비(NC)의 범위는, 1/4∼1/24인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감속비(NC)가 1/4 미만이면 스풀(4)의 이동속도가 빨라져 스풀(4)에의 촘촘한 감김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또한 1/24를 넘게되면, 스풀(4)의 이동속도가 너무 느려져 가는 낚시줄이라도 로우터(3)의 1회전으로 두 번 감기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제2기어(38)는 제1기어(37)보다 외경이 작다. 또한, 피니언기어(12)의 피치원통비틀림각(이하, 비틀림각이라 한다)은, 예컨대 55도로, 제1기어(37)의 비틀림각은 35도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제2기어(38)의 비틀림각은, 예컨대 77.5도로, 제3기어(39)의 비틀림각은 13.5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니언기어(12) 및 제2기어(38)의 비틀림각을 제1기어(37) 및 제3기어(39)에 대하여 크게 하였으므로, 외경의 치수의 변화에 대하여 감속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이들 기어(12, 37∼39)를 개략적으로 그린 것으로서, 비틀림각이나 잇수 를 정확하게 그리지 않았다.
제1베어링부(28)는, 릴몸체(2a)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된 뚜껑부재(28b)와 뚜껑부재(28b)에 장착된 볼베어링(28a)을 가지고 있다. 뚜껑부재(28b)는, 로우터(3)의 원통부(30)의 후단부에서 덮여지도록 릴몸체(2a)의 앞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부(2g)보다 후방에서 릴몸체(2a)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뚜껑부재(28b)의 장착부분에 있어서, 릴몸체(2a)의 바닥부에는, 제2기어(38)의 최외경보다 큰 지름의 내주면을 갖는 관통공(2f)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f)에 뚜껑부재(28b)가 끼워져 들어간다. 뚜껑부재(28b)는, 나사(23)에 의해 릴몸체(2a)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제2기어(38)의 외경이 제1기어(37)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뚜껑부재(28b) 장착부분에 제2기어(38)의 외경보다 큰 지름의 관통공(2 f)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뚜껑부재(28b)를 열면, 연결축(36)과 함께 두 개의 기어(37, 38)를 떼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지보수시 이들 기어(37, 38)에 그리스 등을 도포하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 스풀축(15)이나 오실레이팅기구(6)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회전전달기구(14)의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나사축을 갖는 트래버스캠 방식의 오실레이팅기구를 예시하였으나, 회전캠기구에 의해 핸들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감속캠방식의 오실레이팅기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축의 일단이 릴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된 제1베 어링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릴본체에 마련된 제2베어링부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릴본체에는 타단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부만을 만들어 넣으면 되며 제1베어링부를 만들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작은 부품으로 좋은 고정밀도의 제1베어링부를 간단히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잡한 형상의 릴본체 내부에 하나의 베어링부를 만드는 것만으로 좋고, 제2베어링부의 정밀도도 유지하게 쉬우며, 연결축의 장착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1베어링부는 릴본체 내부에 만드는 것보다 단순한 형상이 되므로, 릴전체로서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발명에 따르면, 제1베어링부가 로우터의 후방에 형성된 관통공에 장착되고, 또한 제1베어링부에 가까운 제2기어가 제1기어 이하의 지름이므로, 제1베어링부를 릴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만으로, 연결축을 관통공으로부터 두 기어와 함께 떼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로우터를 떼어내거나 릴본체의 다른 부분을 열어 스풀축이나 왕복이동기구의 부품을 떼어낼 필요가 없어져, 회전전달장치의 유지보수를 행하기 쉬워진다.

Claims (9)

  1. 스피닝릴의 릴본체에 장착된 스풀을 앞뒤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기구에 핸들의 회전을 전달하는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로서,
    상기 핸들의 회전이 전달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왕복이동기구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피니언기어와 엇갈리는 축을 따라 배치된 연결축과,
    상기 릴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연결축의 일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베어링부와,
    상기 릴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축의 타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베어링부와,
    상기 연결축에 마련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연결축에 마련된 제2기어와,
    상기 왕복이동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리는 제3기어를 구비한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나사기어이고, 상기 제1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나사기어인 스피닝 릴의 회전전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워엄기어이고, 상기 제3기어는 워엄휠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나사기어이고, 상기 제3기어는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리는 나사기어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릴본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기구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평행하게 배치된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스풀을 왕복이동시키는 트래버스캠방식의 왕복이동기구이고,
    상기 제3기어는, 상기 나사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어링부는, 상기 릴본체의 상기 스피닝릴의 로우터 후방에 형성되 며 상기 제2기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공에 장착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연결축의 일단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기어와 동일직경 또는 상기 제1기어보다 큰 직경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3기어와의 회전수비는, 4:1 내지 24:1의 범위인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어링부는, 상기 릴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뚜껑부재에 장착된 볼베어링을 가지며, 상기 연결축의 일단은 상기 볼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KR1020000052783A 1999-09-09 2000-09-06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KR100646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541399 1999-09-09
JP11-255413 1999-09-09
JP2000038957A JP4572016B2 (ja) 1999-09-09 2000-02-17 スピニングリールの回転伝達装置
JP2000-038957 2000-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115A KR20010071115A (ko) 2001-07-28
KR100646435B1 true KR100646435B1 (ko) 2006-11-14

Family

ID=2654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783A KR100646435B1 (ko) 1999-09-09 2000-09-06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60792B1 (ko)
EP (1) EP1082899B1 (ko)
JP (1) JP4572016B2 (ko)
KR (1) KR100646435B1 (ko)
AT (1) ATE310385T1 (ko)
DE (1) DE60024182T2 (ko)
MY (1) MY126712A (ko)
TW (1) TW4494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2007B2 (en) * 2001-03-15 2004-01-27 Kabushiki Kaisha Johshuya Spinning reel having improved spool oscillating mechanism
JP3926198B2 (ja) * 2002-04-19 2007-06-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螺軸取付構造
JP2004081077A (ja) * 2002-08-26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US6655621B1 (en) * 2003-02-14 2003-12-02 Heligear Engineering (H.K.) Company, Ltd. Guid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US10004214B2 (en) * 2014-10-17 2018-06-26 Haibao Fishing Tackle Co., Ltd. Spinning reel with variable gear ratio transmission
CN106561590B (zh) * 2016-09-22 2022-07-05 宁波中源欧佳渔具股份有限公司 缓速手刹的渔线轮
JP6979844B2 (ja) * 2017-10-0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回転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07581169A (zh) * 2017-10-26 2018-01-16 宁波市北仑海伯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纺车式鱼线轮的齿轮传动机构
CN109315363B (zh) * 2018-09-20 2023-08-29 宁波海宝渔具有限公司 刹车机构以及采用该刹车机构的渔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8017A (en) * 1990-06-20 1994-05-03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US5232181A (en) * 1991-05-24 1993-08-03 Olympic Co., Ltd. Spinning reel for fishing
KR100304065B1 (ko) * 1993-10-21 2001-11-22 마쯔이 요시유끼 낚시용스피닝릴의드래그장치
US5890668A (en) * 1995-02-02 1999-04-06 Shimano Inc. Spinning reel having a roller-type one-way clutch
JP3556072B2 (ja) * 1997-06-12 2004-08-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9459B (en) 2001-08-11
JP4572016B2 (ja) 2010-10-27
US6460792B1 (en) 2002-10-08
ATE310385T1 (de) 2005-12-15
EP1082899B1 (en) 2005-11-23
DE60024182T2 (de) 2006-07-27
JP2001145441A (ja) 2001-05-29
EP1082899A2 (en) 2001-03-14
EP1082899A3 (en) 2002-04-10
KR20010071115A (ko) 2001-07-28
DE60024182D1 (de) 2005-12-29
MY126712A (en)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535B1 (ko) 스피닝릴의 왕복이동장치
KR100721105B1 (ko) 스피닝릴의 왕복 이동장치
KR100646435B1 (ko)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US5232181A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JP355607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KR100450629B1 (ko) 폭이 좁은 릴 본체 하우징을 갖는 스피닝 릴
EP1332670B1 (en) Fishing-reel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03225040A5 (ko)
JPH0523869U (ja) 魚釣用リールの変速装置
US6682007B2 (en) Spinning reel having improved spool oscillating mechanism
JP404753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525347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200212553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2000023600A (ja) 釣り用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4023802B2 (ja) 魚釣用リール
JP2570781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83267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765804B2 (ja) 釣用後方ドラグ型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往復装置
KR0112472Y1 (ko) 낚시대용 스피닝릴의 트래버스캠 구동장치
JPH0522816Y2 (ko)
JP200121178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19672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H0744132U (ja) 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往復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