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629B1 - 폭이 좁은 릴 본체 하우징을 갖는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폭이 좁은 릴 본체 하우징을 갖는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629B1
KR100450629B1 KR1019970056431A KR19970056431A KR100450629B1 KR 100450629 B1 KR100450629 B1 KR 100450629B1 KR 1019970056431 A KR1019970056431 A KR 1019970056431A KR 19970056431 A KR19970056431 A KR 19970056431A KR 100450629 B1 KR100450629 B1 KR 10045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pool
rotor
reel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342A (ko
Inventor
유조 가와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1998003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릴 본체를 컴팩트하게 하기 위해, 낚시용 릴이, 원통형 부분(30)을 갖는 낚시대상에 장착되며; 상기 낚시용 릴에는, 회전가능한 로터(3), 릴 본체(2), 스풀 샤프트(20), 스풀(4), 핸들 샤프트(7), 피니언 기어(14), 및 진동기구(6)가 제공된다. 릴 본체(2)는 로터(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로터 지지부분(10c), 및 상기 로터 지지부분(10c)의 외측에서 상기 원통형 부분(30)의 후방 단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플랜지 부분(10d)을 갖는다. 릴 본체(2)의 하우징은 상기 플랜지 부분(10d)의 후방에서 상기 플랜지 부분(10d)의 직경의 20 내지 60%의 범위에 있는 측방향 폭을 갖는다. 스풀 샤프트(20)는, 릴 본체(2)의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왕복 및 회전이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스풀(4)은, 낚시줄이 낚시줄 안내부분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스풀(4)의 외주면 둘레에 감겨질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스풀 샤프트(20)의 일 단부에 고정된다. 진동기구(6)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스풀 샤프트(20)와 대체로 평행하게 상부에 배설되는 스크루우 샤프트(2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폭이 좁은 릴 본체 하우징을 갖는 스피닝 릴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고, 특히 핸들의 회전과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로터를 사용함으로써 스풀의 둘레에 낚시줄을 감기 위해 낚시대상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은 릴 본체, 상기 릴 본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터, 및 로터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그 둘레에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을 포함한다. 릴 본체는 로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로터 지지부분, 및 원통형 부분의 후방 단부 부분을 덮도록 상기 로터 지지부분의 외측에 형성되는 플랜지 부분을 갖는다. 로터는 전방 벽을 갖는 상기 원통형 부분, 및 상기 원통형 부분의 측면에 서로 대향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 부분들을 갖는다. 낚시줄 방출위치로 선회되거나 낚시줄 감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낚시줄 안내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아암 부분들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낚시줄 안내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아암 부분들상에서 각각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일(bail) 지지부재들, 상기 베일 지지부재들 중의 하나의 선단(tip end)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낚시줄 로울러, 및 상기 쌍을 이루는 베일 지지부재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베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일 및 낚시줄 로울러에 의해 안내되는 낚시줄을 스풀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들여감거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균일하게 풀어내기 위한 진동기구가 낚시용 릴에 제공된다. 진동기구는 일반적으로, 진동기어를 갖는 형태의 것과 스풀 샤프트와 스크루우 샤프트를 갖는 형태의 것으로 분류된다. 진동기어형 진동기구에 있어서는, 스풀의 대향 단부부분들과 중심부분사이에서의 권취(감김)밀도(winding density)가 서로 다르게 된다. 종종, 중심부분에서의 권취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권취된 낚시줄이 상기 중심부분에서 요부(recess) 또는 함몰부(depression)를 형성하며, 스풀의 축방향 단부들에 권취된 낚시줄의 두께가 중심부분에 권취된 낚시줄의 두께보다 두껍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스풀의 둘레에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을 수 있는 상기 스크루우 샤프트형 진동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크루우 샤프트형 진동기구에는, 스풀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스크루우 샤프트, 상기 스크루우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중간 기어, 및 상기 스크루우 샤프트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더가 제공된다. 스크루우 샤프트는 예컨대, 상기 스풀 샤프트의 경사면상에서 스풀 샤프트를 따라 배설된다. 십자형으로 교차되는 나선형 홈이 스크루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슬라이더의 일부분은 상기 나선형 홈에 걸어맞춰진다. 중간 기어는 스크루우 샤프트의 선단에 고정되며, 핸들과 동기화되어 회전된다. 슬라이더는 스크루우 샤프트에 걸어맞춰지는 부분과 대체로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서 스풀 샤프트의 후방 단부에 고정된다. 슬라이더가 스크루우 샤프트를 따라 왕복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풀 샤프트 및 스풀이 동일한 방식으로 왕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핸들이 회전됨에 따라 스풀이 왕복적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낚시줄이 스풀의 외주면 둘레에 균일하게 감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낚시대의 용이한 투척을 위해, 사이즈를 컴팩트화하고 무게를 경량화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낚시용 릴에서와 같은 스크루우 샤프트형 진동기구를 갖는 상기 구조에 있어서는, 스크루우 샤프트가 스풀 샤프트의 경사측면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릴 본체의 좌우방향 크기(횡방향 폭)가 증가되며, 대체로 플랜지 부분의 직경의 50% 이상으로 된다. 이러한 이유로, 릴 본체를 컴팩트하게 제조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는 릴 본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낚시용 릴의 부분단면 저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낚시용 릴의 배면도.
도 4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낚시용 릴의 슬라이더에 대한 부분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슬라이더의 부분측면도.
도 6은 도 5의 선 VI-VI를 따라 취한 슬라이더의 일 부분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핸들 2: 릴 본체
3: 로터 4: 스풀
4a: 낚시줄 권취 드럼 부분 4b: 후방 플랜지 부분
4c: 전방 플랜지 부분 5: 로터 구동기구
6: 진동기구 7: 핸들 샤프트
8: 핸들 지지부분 9,15,16,35,38,40a: 베어링
10: 하우징 10a,10b: 개구부
10c: 로터 지지부분 10d: 플랜지 부분
11a,11b: 커버 12: 낚시대 장착부분
12a: 낚시대 장착면 13: 마스터 기어
14: 피니언 기어 14a: 전방 부분
20: 스풀 샤프트 20a: 절췌부
21: 스크루우 샤프트 21a: 나선형 홈
22: 슬라이더 23: 중간 기어
24a,24b: 안내 샤프트 25: 슬라이더 본체
25a: 본체 부분 25b: 안내 부분
25c: 고정구 부분 25d: 연결 구멍
25e: 평탄 부분 26: 걸어맞춤 부재
26a: 걸어맞춤 부분 27: 횡방향 구멍
28: 스크루우 30: 원통형 부분
31,32: 로터 아암 33: 전방 벽
33a: 보스 34: 너트
36,37: 엉컴 방지부재 37a: 궁형 관통구멍
37b: 원통형 부분 39a,39b: 로터 유지부분
40,42: 베일 지지부재 41: 낚시줄 로울러
43: 베일 45: 베일 아암
50: 역회전 방지기구 51: 작동기구
52: 작동 레버 D: 직경
C1,C2: 스윙중심 M: 스윙축
P: 평면 W: 측방향 폭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낚시용 릴이 낚시대상에 장착가능하게 되며, 상기 낚시용 릴은 원통형 부분이 형성된 회전가능한 로터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부분에는 전방벽, 및 상기 원통형 부분의 대향 측면들상에 제공되는 아암 부분들이 형성된다. 낚시줄 안내 부분은 상기 아암 부분들 중의 하나의 일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릴 본체에는 하우징, 상기 로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로터 지지부분, 및 상기 로터 지지부분의 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는 로터의 상기 원통형 부분의 후방 단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다. 하우징은 상기 플랜지의 후방에 형성되고, 그 폭은 플랜지의 직경의 약 20 내지 60%로 된다. 스풀 샤프트는 릴 본체내에서 왕복 및 회전이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스풀은, 상기 낚시줄 안내 부분에 의해 안내되는 낚시줄이 스풀의 외주면 둘레에 감겨질 수 있도록, 스풀 샤프트의 일 단부에 고정된다. 회전가능한 핸들 샤프트가 스풀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에서 릴 본체내에 배열된다. 핸들 샤프트는 핸들, 및 상기 핸들 샤프트상에 장착되는 마스터 기어를 갖는다. 피니언 기어는 상기 마스터 기어와 걸어맞춰질 수 있도록 스풀 샤프트의 외주면상에 배열되며, 로터에 연결된다. 스풀 샤프트를 왕복시키기 위해, 왕복운동기구가 상기 하우징내에 배설된다. 왕복운동기구는 릴 본체내에서 스풀 샤프트를 따라 배열되는 스파이럴 샤프트를 포함하고; 그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홈, 상기 스파이럴 샤프트에 회전되지 않는 방식으로 장착되면서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 상기 나선형 홈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부재, 및 스풀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스파이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스풀 샤프트와 함께 왕복이동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파이럴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스풀 샤프트와 대체로 동일한 평면내에서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샤프트의 선단에 제공되고, 상기 마스터 기어는 상기 핸들 샤프트의 근단(proximal end)에 제공되며, 상기 핸들 샤프트는 그 중간 부분이 상기 릴 본체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파이럴 샤프트 및 상기 스풀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내에서 대체로 동일한 평면에 배설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마스터 기어에 대체로 평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면은 상기 하우징의 폭에 대응되는 방향에 대체로 수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 핸들이 회전되면, 핸들 샤프트가 회전되고, 마스터 기어가 회전된다. 이 때, 마스터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도 회전되어, 로터를 회전시키게 된다.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면,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도 회전된다. 중간 기어가 회전되면, 스풀 샤프트를 따라 배열되는 스크루우 샤프트가 회전되며, 스크루우 샤프트에 걸어맞춰지는 슬라이딩 부재가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면서 스풀 및 스풀 샤프트를 왕복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로터의 낚시줄 안내 부분으로 안내된 낚시줄이 스풀의 둘레에서 전후방향으로 균일하게 감겨진다.
플랜지 부분의 후방에서 릴 본체의 측방향 폭이 상기 플랜지 부분의 직경의 20 내지 60%의 범위내에 있기 때문에, 릴 본체의 측방향 폭이 짧아지게 되며 릴 본체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전체 구조 및 릴 본체의 구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에는 핸들(1), 로터(3) 및 스풀(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릴 본체(2)가 제공된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방 부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4)은 그 외주면 둘레에 낚시줄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되고, 로터(3)의 전방 부분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릴 본체(2)에는 로터(3)와 스풀(4)을 지지하는 하우징(10)이 형성된다. 한 쌍의 커버들(11a,11b)은 하우징(10)의 각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스크루우에 의해 고정된다. 낚시대 장착부분(12)은 하우징(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우징(10)은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는 얇은 부재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대향 측면상에는 개구부(10a,10b)가 형성된다. 상기 하나의 커버(11a)는 개구부(10a)를 덮고 다른 하나의 커버(11b)는 개구부(10b)를 덮는다. 하우징(10)은 또한 그 전방단부에서 로터(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로터 지지부분(10c), 및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형 플랜지 부분(10d)을 갖는다. 상기 원형 플랜지 부분(10d)은, 상기 로터(3)의 원통형 부분(30)(이하에 상술됨)의 후방 단부 개방부분에 대응되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 부분(10d)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원통형 부분(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원통형 부분(30)의 개방공간을 덮게 된다. 도 3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 부분(10d)과 상기 원통형 부분(30)의 후방 단부 부분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마련된다. 측방향 폭(W)은, 릴 본체(2)의 상기 플랜지 부분(10d)의 후방에서, 커버들(11a,11b)의 외측면으로부터 측정된다. 상기 측방향 폭(W)은 상기 플랜지 부분(10d)의 직경(D)의 20 내지 60%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기구(5), 및 스풀(4)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진동기구(6)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들(11a,11b)은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는 얇은 부재들이며, 하우징(10)의 개구 부분들(10a,10b)을 각각 덮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에 있어서 상부측에 제공되는) 커버(11a)상에는 원통형 핸들 지지부분(8)이 배설되며, 원통형 핸들 지지부분(8)은 핸들(1)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핸들 샤프트(7)를 지지하기 위해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핸들 지지부분(8)의 양단부에는 베어링(9)이 배열된다. 핸들 샤프트(7)는 상기 베어링(9)에 의해 상기 핸들 지지부분(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낚시대 장착부분(12)은, 도 1의 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방향으로 경사적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며; T형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T형 부분은 상기 하우징(10)과 일체로 된다. 낚시대 장착면(12a)은 상기 낚시대 장착부분(12)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로터 구동기구(5)는 핸들 샤프트(7)의 근단(proximal end)에서 핸들 샤프트(7)와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마스터 기어(13)(도 2 참조), 및 상기 마스터 기어(1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4)를 갖는다. 피니언 기어(14)는 원통형의 슬리이브로서 성형되며, 그 전방 부분이 로터(3)의 중심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스풀(4)의 내부로 연장된다.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피니언 기어(14)의 중간 부분 및 후방 단부부분은 각각 베어링(15,16)을 통하여 릴 본체(2)의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진동기구(6)는, 스풀(4)의 중심 부분이 고정되는 일 단부를 갖는 스풀 샤프트(20)를 축방향에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스풀(4)을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진동기구(6)는 스풀 샤프트(20)의 상부에 배설되는 스크루우 샤프트(21), 상기 스크루우 샤프트(21)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22), 및 스크루우 샤프트(21)의 선단에 고정되는 중간 기어(23)를 포함한다. 스크루우 샤프트(21)는, 그 단부 부분이 로터(3)의 내부에서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에서, 스풀 샤프트(20)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스크루우 샤프트(21)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홈(21a)이 형성된다. 스풀 샤프트(20)의 후방 단부는 슬라이더(21)에 고정된다. 중간 기어(23)는 스크루우 샤프트(21)의 전방 단부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14)에 걸어맞춰진다.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풀 샤프트(20) 및 스크루우 샤프트(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면(P)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평면(P)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이미지(image)에 수직하기 때문에, 선으로서 도시된다. 상기 평면(P)은 상기 마스터 기어(13)에 대체로 평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평면(P)은 상기 하우징(10)의 측정되는 폭(W)에 대체로 수직하게 된다.
슬라이더 구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는 슬라이더 본체(25) 및 슬라이더 본체(25)의 내부에 수납되는 걸어맞춤 부재(26)를 갖는다. 슬라이더 본체(2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루우 샤프트(21)의 측방향에 배설되는 본체 부분(25a), 상기 본체 부분(25a)의 (도 5의 상방 좌측 부분에 위치되는) 전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안내 부분(25b), 및 상기 본체 부분(25a)의 (도 5의 하방 우측 부분에 위치되는) 후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구 부분(25c)을 갖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 또는 횡방향 구멍(27)이 상기 스크루우 샤프트(21)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어맞춤 부재(26)는 상기 구멍(27)의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안내 부분(25b)은, 스크루우 샤프트(21)에 평행하게 그리고 스크루우 샤프트(21)의 상부에 배열되는, 안내 샤프트(24a)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구 부분(25c)은, 상기 스크루우 샤프트(21)에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스크루우 샤프트(21)의 하부에 배열되는, 안내 샤프트(24b)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동시에 안내 샤프트(24b)의 하방에 배열되는 스풀 샤프트(20)에 대하여, 스크루우(28)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 부분(25c)과 걸어맞춰지는 상기 스풀 샤프트(20)의 부분에는 절제부(20a)가 형성된다. 상기 절제부(20a)는, 그 후방 단부로부터 투영된 도면을 나타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평탄하게 된다. 고정구 부분(25c)의 연결 구멍(25d)은 횡간단면상 부분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갖게 되며, 상기 절제부(20a)에 대응되는 평탄 부분(25e)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걸어맞춤에 의해, 슬라이더 본체(25)는 스풀 샤프트(20)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없게 된다.
상기 걸어맞춤 부재(26)의 선단에는 걸어맞춤 부분(26a)이 형성되며, 걸어맞춤 부분(26a)은 스크루우 샤프트(21)의 상기 나선형 홈들(21a)에 걸어맞춤된다. 커버부재(29)는 상기 본체 부분(25a)의 구멍(27)의 근단에 고정되어 상기 걸어맞춤 부재(26)가 구멍(27)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 부재(26)가 상기 구멍(27)의 선단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특정의 정지구(도시안됨)가 구멍(27)의 선단에 제공된다.
로터 구조
도 1을 참조하면, 로터(3)는 원통형 부분(30), 및 상기 원통형 부분(30)의 대향 측면들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제 1 로터 아암(31)과 제 2 로터 아암(32)을 갖는다. 원통형 부분(30) 및 두 개의 로터 아암들(31,32)은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전방 벽(33)은 상기 원통형 부분(30)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고, 보스(33a)는 상기 전방 벽(33)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다. 피니언 기어(14)의 전방 부분(14a) 및 스풀 샤프트(20)는 상기 보스(33a)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면서 연장된다. 원통형 부분(30)의 후방 단부 부분은, 전기한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원형 플랜지 부분(10d)에 의해 덮여진다. 너트(34)는 상기 전방 벽(33)의 전방에 배설된다. 너트(34)는 상기 피니언 기어(14)의 선단에 형성되는 스크루우 부분에 체결된다. 스풀 샤프트(20)에 관하여 너트(3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너트(34)의 내부 원주방향 부분에는 베어링(35)이 배설된다.
제 1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6)는 로터(3)의 전방 벽(33)에 형성되고,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제 1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6)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릿(slit)이 형성된다. 제 1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6)는 낚시줄이 스풀(4)의 둘레에 감겨질 때 낚시줄이 로터(3)와 스풀(4)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들어가서 스풀 샤프트(20)의 둘레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 2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7)는, 낚시줄이 스풀(4)의 둘레에 감겨질 때 낚시줄이 로터(3)와 스풀(4)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들어가서 상기 스풀 샤프트(20)의 둘레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풀(4)과 로터(3)의 사이에서 상기 스풀(4)의 내부에 제공된다. 제 2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7)는 컵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제 2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7)에는 한 쌍의 궁형 관통구멍들(37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들(37a)을 통하여 제 1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6)가 연장된다. 상기 스풀 샤프트(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8)은 상기 제 2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7)의 중심 부분에 배설된다. 제 2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7)의 원주방향 연부 부분에는, 스풀(4)의 후방 단부 부분과 로터(3)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통형 부분(37b)이 제공된다. 또한, 한 쌍의 로터 유지부분(39a,39b)이 상기 원통형 부분(37b)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로터 유지부분들(39a,39b)은 로터(3)의 한 쌍의 로터 아암들(31,32)의 부분들에 걸어맞춰져, 상기 로터(3)와 동기적으로 제 2 낚시줄 엉킴방지부재(37)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 1 베일 지지부재(40)는 제 1 로터 아암(31)의 일단부의 내부 원주방향 부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 1 베일 지지부재(40)는 두 개의 베어링(40a)에 의해 상기 제 1 로터 아암(31)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낚시줄 로울러(41)는 상기 제 1 베일 지지부재(40)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낚시줄을 상기 스풀(4)상으로 안내하게 된다. 제 2 베일 지지부재(42)는 제 2 로터 아암(32)의 일단부의 내부 원주방향 부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예컨대, 상기 제 1 베일 지지부재(40) 및 낚시줄 로울러(41)에 의해 야기되는 회전시의 불균형을 제거하기 위해 다른 부품들의 비중보다 큰 비중을 갖는 재료로 상기 제 2 베일 지지부재(42)를 제조함으로써, 상기 제 2 베일 지지부재(42)로 하여금 균형추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베일(43)은, 제 1 베일 지지부재(40)의 단부에 있는 낚시줄 로울러(41)와 제 2 베일 지지부재(42)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베일 아암(45)은 상기 베일 지지부재들(40,42), 낚시줄 로울러(41) 및 베일(43)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베일 지지부재들(40,42)은 로터 아암들(31,32)의 내측 원주면에 장착되어, 베일 아암(45)의 회전 반경이 감소되도록 하고 베일 아암(45)이 낚시대를 잡고 있는 강태공의 손을 치는 일이 거의 없도록 한다. 따라서, 낚시대 장착부분(12)이 짧아지게 되며, 스풀(4) 및 낚시대를 서로 근접되도록 제조하여 전체 구조물이 선행기술에 따른 구조물보다 더욱 컴팩트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베일 지지부재들(40,42)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스윙축(swing axis)(M)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는 데에 주목하여야 한다. 스윙축(M)과 제 1 로터 아암(31)의 제 1 베일 지지부재 장착표면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을 스윙 중심(C1)이라 하며, 스윙축(M)과 제 2 로터 아암(32)의 제 2 베일 지지부재 장착표면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을 스윙 중심(C2)이라 한다. 전방을 도 1의 좌측방향이라 정의할 때, 상기 스윙 중심(C2)은 스윙 중심(C1)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즉, 스윙축(M)은 스풀 샤프트(20)에 수직한 축에 관하여 후방쪽으로 경사된다. 또한, 베일 지지부재(40,42)의 각각은 그 선회표면이 상기 스윙축(M)에 수직하게 되도록 배열된다.
역회전 방지기구(50)는 로터(3)의 상기 원통형 부분(30)의 내부에 제공된다. 역회전 방지기구(50)는 로울러형 일방향 클러치(도시안됨), 및 작동위치와 (양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비작동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를 절환하기 위한 작동기구(51)를 갖는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외부 레이스(outer race)는 하우징(10)에 고정되고, 그 내부 레이스(inner race)는 피니언 기어(14)에 고정된다. 상기 작동기구(51)는 하우징(10)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는 작동 레버(52)를 갖는다. 상기 작동 레버(52)는 선회되어, 일방향 클러치의 작동을 절환함으로써 양방향 회전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위치에서는, 로터(3)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게 되며; 비작동위치에서는, 로터(3)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스풀 구조
스풀(4)은 로터(3)의 제 1 로터 아암(31) 및 제 2 로터 아암(32)의 사이에 배설되며, 스풀 샤프트(20)의 단부에 고정된다. 스풀(4)은 둘레에 낚시줄이 감겨지게 되는 낚시줄 권취 드럼 부분(4a), 상기 낚시줄 권취 드럼 부분(4a)의 후방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후방 플랜지 부분(4b), 및 상기 낚시줄 권취 드럼 부분(4a)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는 전방 플랜지 부분(4c)을 갖는다. 상기 낚시줄 권취 드럼 부분(4a)은 로터(3)의 상기 원통형 부분(30)의 외측 원주면까지 연장되어, 그 드럼 길이가 선행기술에 따른 낚시용 릴의 드럼 길이보다 더 길게 되도록 한다. 후방 플랜지 부분(4b)의 높이 또는 직경 및 전방 플랜지 부분(4c)의 높이 또는 직경은 선행기술에 따른 낚시용 릴의 그것보다 작게 된다. 그러므로, 낚시줄을 방출시킬 때 저항이 작아지게 되며; 낚시줄 권취 드럼 부분(4a)의 둘레에 가늘은 낚시줄이 감겨지는 경우에도, 낚시줄이 뒤틀릴 염려가 줄어 들게 된다.
릴 작동
전기한 바와 같은 낚시용 릴을 투척할 때, 베일(43)은 수동적으로 선회되어, 스풀(4)의 낚시줄 권취 측면으로부터 낚시줄 방출 측면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베일 지지부재(40,42)는 동일 방향으로 스윙축(M)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베일 지지부재들(40,42)이 제 1 및 제 2 로터 아암들(31,32)의 내부에 배열되며 동시에 스윙축(M)이 스풀 샤프트(20)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경사됨으로써, 상기 제 1 베일 지지부재(40) 및 그 단부에 있는 낚시줄 로울러(41)가 낚시줄 권취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더욱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유로, 투척시 풀려나가는 낚시줄이 상기 제 1 베일 지지부재(40) 또는 낚시줄 로울러(41)의 둘레에 엉키는 일이 거의 없게 된다.
낚시줄을 감아 들일 때에는, 상기 베일(43)은 낚시줄 권취위치로 선회된다. 이와 같은 베일(43)의 권취위치로의 선회는, 핸들(1)이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될 때 캠 및 스프링(도시안됨)의 작용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핸들(1)이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될 때, 그 회전 토오크는 핸들 샤프트(7) 및 마스터 기어(13)를 통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14)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4)로 전달된 회전 토오크는 피니언 기어(14)의 전방 부분을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되어 상기 로터(3)를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피니언 기어(14)와 맞물리는 상기 중간 기어(23)에 의해 스크루우 샤프트(21)가 회전되며, 스크루우 샤프트(21)의 나선형 홈(21a)에 걸어맞춰져 있는 슬라이더(22)가 안내 샤프트(24a,24b)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유로, 스풀 샤프트(20) 및 스풀(4)은 축방향 전후로 왕복적으로 이동된다. 베일(43) 및 낚시줄 로울러(41)에 의해 스풀(4)로 안내되는 낚시줄은 스풀(4)의 낚시줄 권취 드럼 부분(4a)의 외주면 둘레에 축방향 전후로 대체로 균일하게 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두 개의 안내 샤프트들(24a,24b)의 안내에 의해 슬라이더(22)가 왕복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슬라이더(22)는 특정의 회전변위나 틸트(tilt)가 없이 매끄럽게 왕복이동된다. 이러한 이유로, 슬라이더 본체(25)가 스크루우 샤프트(21)의 전체 외주면을 덮을 필요가 없게 되어, 상기 걸어맞춤 부재(26)에 대향되는 공간을 작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릴 본체(2)의 후방 부분에서 측방향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릴 본체(2)를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루우 샤프트(21)가 스풀 샤프트(20)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플랜지 부분(10d)의 후방에서 릴 본체(2)의 부분의 측방향 폭(W)이 상기 플랜지 부분(10d)의 직경(D)의 20 내지 60%까지 줄어들 수 있게 되며, 측방향에서의 돌출량도 더욱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중간 기어(23)가 고정되는 스크루우 샤프트(21)의 일단부가 로터(3)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크루우 샤프트(21)의 후방 단부는 통상적인 구조에 비해 더욱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릴 본체(2)의 축방향 길이가 짧아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스크루우 샤프트형 낚시용 릴의 경우에 비해 전체 폭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릴 본체(2)를 더욱 컴팩트하게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25)에 있어서, 상기 스풀 샤프트(20)에의 고정 부분이 스크루우 샤프트(21)와의 걸어맞춤 부분보다 후방쪽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스크루우 샤프트(21)의 일 단부가 로터(3)의 내부에 배치되더라도, 전방으로 이동된 슬라이더(22)의 스풀 샤프트 고정부분이 상기 피니언 기어(14)의 작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게 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핸들 샤프트(7)가 상기 커버 부재(11a)에만 지지되기 때문에, 릴 본체(2)를 완전히 관통하여 통과하는 핸들 샤프트(7)를 제공할 필요는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스크루우 샤프트(21)를 스풀 샤프트(20)의 상부에 근접되게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릴 본체(2)의 수직 길이(높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릴 본체(2)를 컴팩트하게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핸들 샤프트(7)의 장착 정밀도가 증가되며, 핸들의 회전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의 실시예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방 또는 후방 부분에 드래그 기구를 갖는 낚시용 릴, 또는 역회전 방지기구를 대신하여 브레이크 레버를 갖는 브레이킹 기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에 본 발명을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b) 진동기구의 슬라이더 등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도시하고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플랜지 부분의 후방에서 릴 본체의 측방향 폭이 상기 플랜지 부분의 직경의 20 내지 60%의 범위 이내로 되기 때문에, 릴 본체의 측방향 폭이 짧아지게 되며, 릴 본체가 소형화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세부사항들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한 전기한 바와 같은 설명은 예시만을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제공된 것은 아니다.

Claims (5)

  1. 낚시대상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전방벽이 형성되는 원통형 부분과 상기 원통형 부분의 대향 측면들상에 제공되는 아암 부분들과 상기 아암 부분들 중의 하나의 일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낚시줄 안내 부분이 형성되는 회전가능한 로터;
    하우징과 상기 로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로터 지지부분과 상기 로터 지지부분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로터의 상기 원통형 부분의 후방 단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랜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직경의 20 내지 60%에 해당하는 폭을 갖게 되는, 릴 본체;
    상기 릴 본체내에서 왕복 및 회전이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스풀 샤프트;
    상기 스풀 샤프트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낚시줄 안내 부분에 의해 안내되는 낚시줄이 그 외주면 둘레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스풀;
    상기 스풀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릴 본체내에 배열되며, 핸들과 마스터 기어를 갖는, 회전가능한 핸들 샤프트;
    상기 스풀 샤프트의 외주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마스터 기어와 걸어맞춤되도록 배열되면서 상기 로터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스풀 샤프트를 왕복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내에 배설되며, 상기 릴 본체내에서 상기 스풀 샤프트를 따라 배열되고 그 외주면상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는 스파이럴 샤프트와 상기 스파이럴 샤프트에 회전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축방향에서 상기 스풀 샤프트에 관하여 고정되고 상기 스파이럴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스풀 샤프트와 함께 왕복이동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왕복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상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샤프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스풀 샤프트와 대체로 동일평면상에서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상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핸들 샤프트의 선단에 제공되고, 상기 마스터 기어는 상기 핸들 샤프트의 근접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핸들 샤프트는 그 중간부분이 상기 릴 본체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상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샤프트 및 상기 스풀 샤프트가 상기 하우징과 대체로 동일한 평면내에 배설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마스터 기어에 대체로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상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폭에 대응되는 방향에 대체로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상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
KR1019970056431A 1996-10-30 1997-10-30 폭이 좁은 릴 본체 하우징을 갖는 스피닝 릴 KR100450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88723 1996-10-30
JP28872396A JP3556058B2 (ja) 1996-10-30 1996-10-30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軸往復動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342A KR19980033342A (ko) 1998-07-25
KR100450629B1 true KR100450629B1 (ko) 2004-11-16

Family

ID=1773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431A KR100450629B1 (ko) 1996-10-30 1997-10-30 폭이 좁은 릴 본체 하우징을 갖는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84220A (ko)
EP (1) EP0839445B1 (ko)
JP (1) JP3556058B2 (ko)
KR (1) KR100450629B1 (ko)
CN (1) CN1096828C (ko)
DE (1) DE69709031T2 (ko)
DK (1) DK0839445T3 (ko)
MY (1) MY118780A (ko)
TW (1) TW3454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5094B2 (ja) 1999-10-27 2010-04-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3079291A (ja) * 2001-09-12 2003-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3913510B2 (ja) * 2001-10-04 2007-05-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JP2004081077A (ja) * 2002-08-26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3981325B2 (ja) * 2002-12-06 2007-09-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4015957B2 (ja) * 2003-01-20 2007-11-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US7028937B2 (en) * 2003-02-05 2006-04-18 Shimano Inc. Reel unit for spinning reel
US6655621B1 (en) * 2003-02-14 2003-12-02 Heligear Engineering (H.K.) Company, Ltd. Guid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4804279B2 (ja) * 2006-08-31 2011-11-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4921188B2 (ja) * 2007-01-25 2012-04-25 株式会社シマノ 片軸受リール
US7802744B2 (en) * 2007-09-14 2010-09-28 Shimano Inc. Spinning reel
JP6033099B2 (ja) * 2013-01-21 2016-11-3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N103734105B (zh) * 2013-12-31 2016-04-06 宁波中源欧佳渔具股份有限公司 防转主体盖的渔线轮
JP6656813B2 (ja) * 2015-03-10 2020-03-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釣り用リー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070U (ko) * 1986-07-21 1988-02-05
JPH0534861U (ja) * 1991-10-15 1993-05-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63079U (ja) * 1992-06-19 1994-01-1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H0767507A (ja) * 1993-08-31 1995-03-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JPH07241149A (ja) * 1994-03-03 1995-09-19 Daiwa Seik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4616A (en) * 1940-01-13 1943-03-23 Gaire Paul Edmond Fishing reel
FR1176814A (fr) * 1957-06-20 1959-04-16 Moulinet frontal pour la pêche
US3296731A (en) * 1964-01-06 1967-01-10 Bronson Specialties Inc Spinning reel
US3788570A (en) * 1970-12-12 1974-01-29 Ryobi Ltd Spinning reel for fishing
JPS5964663U (ja) * 1982-10-25 1984-04-28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スプ−ル摺動装置
GB2261354B (en) * 1991-10-15 1995-01-18 Shimano Kk Spinning reel
US5443571A (en) * 1992-07-15 1995-08-22 Zebco Corporation Wrap around side cover for a spinning fishing reel
JPH06245674A (ja) * 1993-02-26 1994-09-06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199351B2 (ja) * 1995-07-04 2001-08-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スピニングリール
JP3372809B2 (ja) * 1996-04-25 2003-02-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フレーム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070U (ko) * 1986-07-21 1988-02-05
JPH0534861U (ja) * 1991-10-15 1993-05-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63079U (ja) * 1992-06-19 1994-01-1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H0767507A (ja) * 1993-08-31 1995-03-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JPH07241149A (ja) * 1994-03-03 1995-09-19 Daiwa Seik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84220A (en) 1999-11-16
KR19980033342A (ko) 1998-07-25
EP0839445A1 (en) 1998-05-06
DE69709031T2 (de) 2002-09-26
CN1096828C (zh) 2002-12-25
TW345485B (en) 1998-11-21
MY118780A (en) 2005-01-31
JP3556058B2 (ja) 2004-08-18
DE69709031D1 (de) 2002-01-24
JPH10127215A (ja) 1998-05-19
CN1183212A (zh) 1998-06-03
DK0839445T3 (da) 2002-04-15
EP0839445B1 (en)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629B1 (ko) 폭이 좁은 릴 본체 하우징을 갖는 스피닝 릴
JP480427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737885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337280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フレーム構造
KR20000076723A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100656501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JP333952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55607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457201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回転伝達装置
KR20040097894A (ko)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JP339223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47085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装置
JP200412116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50484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52996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
JPH1011310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023600A (ja) 釣り用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371130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ライダ取付構造
JPH1120628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116288A (ja)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189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306561B1 (ko) 스피닝릴
JP200214262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12553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200101703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