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999B1 -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앤쇄용 필름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앤쇄용 필름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999B1
KR100640999B1 KR1020030098922A KR20030098922A KR100640999B1 KR 100640999 B1 KR100640999 B1 KR 100640999B1 KR 1020030098922 A KR1020030098922 A KR 1020030098922A KR 20030098922 A KR20030098922 A KR 20030098922A KR 100640999 B1 KR100640999 B1 KR 10064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image
film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889A (ko
Inventor
공남용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999B1/ko
Priority to US10/953,433 priority patent/US7403216B2/en
Publication of KR2005006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02Exposure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 G03B27/04Copying apparatus without a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light source during exposure, e.g. printing frame or printing box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02Exposure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 G03B27/14Details
    • G03B27/16Illumination arrangements, e.g. positioning of lamps, positioning of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2Controlling or varying light intensity, spectral composition, or exposure time i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3Controlling exposure by variation of spectral composition, e.g. multicolor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G03F7/2057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n addressed light valve, e.g. a liquid crystal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판인쇄 공정의 제조비용 및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인쇄용 필름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을 출사하는 노광기와; 상기 노광기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받아, 표시부에 표현되는 영상에 따라 상기 광의 광량을 조절하여 출사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조절된 광을 전달받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표시부에 표현된 영상에 대한 패턴이 형성되는 R, G, B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출판인쇄, 노광기, 원고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앤쇄용 필름 제작방법{A printing apparatus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a printing film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옵셋 인쇄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옵셋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장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R, Y, B 색채로 표현된 종래의 원고에 대한 도면
도 3은 원고에 표현된 각 색채에 대한 마스크의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출판인쇄에서의 필름제작방법에 대한 공정단면도
도 5는 마스크의 패턴 및 농도판에 의해서 패터닝된 R, Y, B 필름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액정표시패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하나의 영상을 이루는 각 농도별 영상패턴에 대한 도면
도 9는 R 영상패턴에 대한 도면
도 10은 G 영상패턴에 대한 도면
도 11은 B 영상패턴에 대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 설명
200a : R 필름 200b : G 필름
200c : B 필름 100 : 액정표시패널
300 : 노광기 400 : 데이터 입력부
500 : 모니터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판용 문서등의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용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인쇄용 필름 제작방법에 대한 것이다.
인쇄는 물, 공기 등을 제외한 모든 물체를 사용하여 지식과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량으로 전달하고 보전함으로써 인류의 문화발전에 이바지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또한 인류의 전 역사과정을 통하여 오늘날과 같이 인류문화가 발전하게 된 것은 조상으로부터 문화를 이어받아 이를 발전시켜 후손에게 전달하여 왔기 때문인데, 이처럼 문화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인쇄물이다. 오늘날에는 인쇄문화의 수준이 향상되고 사용범위도 다양해 질 뿐만 아니라 가치 인식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어 새로운 기술개발 및 향상에 주력하여 왔고 앞으로도 인류의 문화발전과 각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면서 발전할 것 이다.
인쇄란 활판, 옵셋, 그라비아 등의 인쇄방식에 의하여 각종 자료들을 인쇄하는 것으로 활판인쇄는 활자조판이나 지형, 연판을 인쇄판으로 하여 서적, 신문 등 각종 책자물을 인쇄하고, 옵셋인쇄는 다양한 규격과 색상으로 서적, 잡지, 팜플렛 및 캘린더 등을 인쇄하며, 그라비아 인쇄는 판 실린더를 인쇄판으로 하여 상품 포장지로 쓰이는 폴리에틸렌지, 비닐지, 셀로판지, 합판 등에 인쇄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옵셋 인쇄는 활판 인쇄와 같이 판면에 오목이나 볼록한 형태를 만들지 않고 평면 위에서 기름과 물이 서로 반발하는 원리를 이용해 인쇄한다. 옵셋 인쇄는 처음으로 판에 묻은 잉크를 블링킷 고무판에 옮겨지므로 오프(off )라하고 블링킷 고무판에 묻은 잉크가 다시 종이에 묻게 되는 것을 셋(set )이라 하여 옵셋이라 한다. 옵셋 인쇄는 다양한 규격과 색상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서적, 잡지, 팜플렛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옵셋 인쇄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옵셋 인쇄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옵셋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장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종래의 옵셋 인쇄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하고자 하는 원본을 촬영하여 원고를 제작하는 원고과정(11s), 상기 원고를 인쇄 목적에 맞도록 가공처리 및 재현하여 생산할 인쇄물의 윤곽을 결정하는 기획과정(12s), 상기 기획과정에서 가공된 원고를 기초로 하여 상기 원고의 전체적인 색감을 결정하여 교정물(실제 인쇄물과 동일)을 제조하는 교정과정(13s), 복제의 기본이 되는 원고를 재현하여 종이 등 피인쇄체에 잉크를 옮기는 매개물인 판을 만드는 제판과정(14s), 상기 제판과정에 만들어진 판을 이용하여 피인쇄물에 상기 원고의 내용을 인쇄하는 인쇄과정(15s)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판과정(14s)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출판인쇄에서는 R(적), Y(황), B(청)의 색채의 조합에 의해서 원고(20)의 모든 색이 표현된다.
따라서, 상기 원고(20)에 표현된 색을 R, Y, B 의 색채별로 구분하고, 다시 각 R, Y, B의 색채를 각 색채에 대한 농도별로 구분함으로써, 상기 원고에 표현된 모든 색을 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판공정시 상기 원고(20)의 R, Y, B 색채의 농도는 그레이 스케일(흑백 농도)로 표현되며, 상기 원고에 대한 피인쇄체는 후술할 인쇄공정에서 각 색채에 대한 컬러물질을 사용하여, 각 그레이 스케일에 따라 상기 색채의 농도가 컬러로 표현된다.
도 2는 R, Y, B 색채로 표현된 종래의 원고에 대한 도면이고, 도 3은 원고에 표현된 각 색채에 대한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고(20)가 R 색채에 대해서는 R1, R2, R3의 3 가지 농도를 가지는 3 개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고, Y 색채에 대해서는 Y1의 1 가지 농도를 가지는 1 개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B 색채에 대해서는 B1, B2 의 두 가지 농도를 가지는 2 개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 자.
또한, 상기 R1의 농도는 10%이고, 상기 R2의 농도는 20%이며 그리고, 상기 R3의 농도는 30%라고 가정하자.
먼저, 각 색채의 각 농도별로 백색 종이를 다수개 준비하고, 상기 각 백색 종이를 상기 각 패턴의 모양대로 선택적으로 오려내어, 각 색채의 각 농도별로 다수개의 마스크를 만든다.
예를 들어, 상기 R 색채에 대한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R 색채는 다시 R1, R2, R3의 세 가지 농도로 구별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원고(20)에 표현된 R 색채의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R1, R2, R3에 대한 각각의 마스크를 따로 만들어야 하므로, 상기 마스크를 만들기 위한 백색 종이도 3장이 필요하다.
먼저, 하나의 백색 종이를 선택한 다음, 상기 백색 종이를,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에 대한 패턴으로 오려내어 제 1 마스크(M1)를 만든다.
이어서, 다른 백색 종이를 선택한 다음, 상기 백색 종이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2에 대한 패턴으로 오려내어 제 2 마스크(M2)를 만든다.
다음으로, 또 다른 백색 종이를 선택한 다음, 상기 백색 종이를,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R3에 대한 패턴으로 오려내어 제 3 마스크(M3)를 만든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원고(20)에 표현된 Y 색채 및 B 색채에 대한 각 마스크도 농도별로 각각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각 R, Y, B 색채의 농도별로 다수개의 농도판(도시되지 않음)을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농도판은 상기 각 색채의 농도별로 만들어진 마스크와 동일한 수로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원고(20)는 R 색채에 대하여 3개의 패턴, Y 색채에 대하여 1개의 패턴 그리고, B 색채에 대한 2개의 패턴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농도판은 상기 각 패턴에 대한 수와 동일한 6개가 필요하다.
상기 R 색채에 대한 마스크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R 색체에 대한 마스크는 R1에 대한 제 1 마스크(M1), R2에 대한 제 2 마스크(M2) 그리고, R3에 대한 제 3 마스크(M3)로 구분되므로, 3 개의 농도판이 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농도판의 농도는 표현하고자 하는 원고(20)의 색채 농도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제 1 마스크(M1)에 대응하는 농도판은 10%의 농도를 가지게 되고, 상기 제 2 마스크(M2)에 대응하는 농도판은 20%의 농도를 가지게 되며, 상기 제 3 마스크(M3)에 대응하는 농도판은 30%의 농도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Y 색채의 마스크에 대한 농도판 및 상기 B 색채의 마스크에 대한 마스크에 대한 농도판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R, Y, B 필름을 준비하고, 각 필름상에 상기 준비된 마스크 및 농도판을 사용하여 각 마스크의 패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R 색채에 대한 각각의 마스크(M1, M2, M3) 및 농도판을 사용하 여 상기 R 필름상에 R 색채에 대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의 출판인쇄에서의 필름제작방법에 대한 공정단면도이고, 도 5는 마스크의 패턴 및 농도판에 의해서 패터닝된 R, Y, B 필름에 대한 평면도이다.
먼저, 노광기(30)를 준비하고, 상기 노광기(30)의 상부에 R1의 패턴이 형성된 제 1 마스크(M1), 상기 R1에 대한 농도(10%)를 가지는 제 1 농도판(22a) 그리고, 상기 R1의 패턴을 형성할 R 필름(23)을 차례로 정렬한다.
이어서, 상기 노광기(30)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마스크(M1), 제 1 농도판(22a) 및 상기 R 필름(23)상에 광을 조사한다.
그러면, 상기 노광기(30)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제 1 마스크(M1) 및 상기 제 1 농도판(22a)을 통해 상기 R 필름(23)상에 조사됨에 따라, 상기 R 필름(23)상에는 상기 제 1 농도판(22a)의 농도(10%)를 가지는 R1의 패턴이 형성된다.
이어서, R2에 대한 패턴이 형성된 제 2 마스크(M2) 및 상기 R2에 대한 농도(20%)를 가지는 제 2 농도판(22b)을 상기 노광기(30)의 상부에 차례로 정렬하고, 이전에 R1 패턴이 형성된 R 필름(23)상에 상기 제 2 농도판(22b)의 농도(20%)를 가지는 R2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R3에 대한 패턴이 형성된 제 3 마스크(M3) 및 상기 R3에 대한 제 3 농도판(22c)을 상기 노광기(30)의 상부에 차례로 정렬하고, 이전에 R1, R2 패턴이 형성된 R 필름(23)상에 상기 제 3 농도판(22c)의 농도(30%)를 가지는 R3패턴을 형성하여,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 색채에 대한 모든 패턴이 형성 된 R 필름(23)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Y 필름(24)상에는 Y1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Y 색채에 대한 모든 패턴이 형성된 Y 필름(24)을 완성하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 필름(25)상에는 상기 B1, B2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B 색채에 대한 모든 패턴이 형성된 B 필름(25)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패터닝된 R, Y, B 필름(23, 24, 25)을 아연이나 철 합금판에 넣고 중크롬산암모늄 성분의 감광액을 부은 후, 상기 각 필름을 통해 상기 아연판이나 철 합금판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각 필름에 형성된 패턴을 상기 아연판이나 철 합금판에 그대로 옮기는 제판공정을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제판공정에서 만들어진 판을 인쇄기계에 걸고 피인쇄체에 인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옵셋 인쇄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옵셋 인쇄장치를 사용한 인쇄방법에서는, 각 색체의 농도별로 다수개의 마스크 및 농도판이 필요하게 되므로 원고에 표현된 색채의 농도가 많아질수록 상기 마스크 및 농도판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제작과정에서 상기 마스크 및 농도판을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필름제작과정 중 각 필름상에 마스크의 인쇄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기 마스크가 오정렬 되어 상기 필름상에 하나의 농도라도 잘못 표현되게 되면, 상기 필름상에 인쇄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입력되는 영상에 따라 R, G, B의 그레이 스케일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노광기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각 필름상에 각 색채의 원고패턴을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인쇄용 필름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노광기와; 상기 노광기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받아, 표시부에 표현되는 영상에 따라 상기 광의 광량을 조절하여 출사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조절된 광을 전달받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표시부에 표현된 영상에 대한 패턴이 형성되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공간을 갖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R, G, B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R, G, B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를 더 포함하 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PC(Personal Compute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그레이 스케일로 영상을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기판은 서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 및 다수개의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부근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 화소영역에 형성된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기판은 화소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가리기 위한 블랙매트릭스층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인쇄용 필름 제작방법은, 광을 출사하는 노광기와; 상기 노광기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받아, 표시부에 표현되는 영상에 따라 상기 광의 광량을 조절하여 출사하는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에 있어서, R, G, B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R 필름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부에 정렬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표시부에 상기 영상의 R 색채를 가지는 영상패턴만을 농도별 그레이 스케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노광기를 작동시켜 상기 노광기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상기 R 필름상에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R 색채의 영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G 필름상에 상기 영상의 G 색채를 가지는 영상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B 필름상에 상기 영상의 B 색채를 가지는 영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액정표시패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출사하는 노광기(300)와; 상기 노광기(300)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받아, 표시부에 표현되는 영상에 따라 상기 광의 광량을 조절하여 출사하는 액정표시패널(100)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부에 상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에 대한 R, G, B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를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400)와; 상기 액정표시패널(100)로부터 조절된 광을 전달받아,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부에 표현된 영상에 대한 패턴이 형성되는 R, G, B 필름(200a, 200b, 200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400)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는 모니터(500)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 표현되는 영상을 상기 모니터(500)에서 관찰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입력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영상에 대한 R, G, B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는 상기 모니터(500)에도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400)는 PC(Personal Computer)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을 갖고 합착된 제 1, 제 2 기판(101, 109)과, 상기 제 1, 제 2 기판(101, 109)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103)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101)에는, 일정 간격을 갖고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G)과, 상기 각 게이트 라인(G)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D)과, 상기 각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이 교차되어 정의된 각 화소영역(P)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106)과 상기 게이트 라인(G)의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D)의 신호를 상기 각 화소 전극에 전달하는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기판(109)에는, 상기 화소영역(P)을 제외한 부분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층(107)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공통전극(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패널(100)에 상기 데이터 입력부(400)로부터 출력된 R, G, B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데이터 라인(D)을 통해 상기 화소전극(106)에 전달되며, 이때, 상기 화소전극(106)과 공통전극(102)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여 상기 화소전극(106)과 공통전극(102) 사이에 전계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화소전극(106)과 공통전극(102)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03)의 액정분자가 상기 인가된 전계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배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는 컬러필터층이 없기 때문에,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부에는 상기 영상이 그레이 스케일로 표현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하고자 하는 원고에 해당한다.
한편, 종래의 출판인쇄에서는 R(적), Y(황), B(청)의 색채의 조합에 의해서 상기 원고(20)의 모든 색이 표현되지만,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서는 빛의 삼원색인 R(적), G(녹), B(청)의 색채의 조합에 의해서 상기 원고(영상)의 모든 색이 표현된다.
따라서, 상기 영상은 R 색채를 가지는 영상패턴(이하, R 영상패턴으로 표기), G 색채를 가지는 영상패턴(이하, G 영상패턴으로 표기) 및 B 색채를 가지는 영상패턴(이하, B 영상패턴으로 표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영상패턴은 각 색채의 농도에 따라 다수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영상패턴 및 농도를 가지는 영상(원고)에 대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하나의 영상을 이루는 각 농도별 영상패턴에 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R 영상패턴에 대한 도면이고, 도 10은 G 영상패턴에 대한 도면이며, 도 11은 B 영상패턴에 대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영상(200)이,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서로 다른 농도(R1, R2, R3)를 가지는 R 영상패턴(800a), 1개의 농도(G1)를 가지는 G 영상패턴(800b), 및 2개의 서로 다른 농도(B1, B2)를 가지는 B 영상패턴(800c)으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자.
먼저, R 영상패턴(800a), G 영상패턴(800b) 및 B 영상패턴(800c)을 형성할 R, G, B 필름(200a, 200b, 200c)을 각각 준비하고, 데이터 입력부(400)에는 인쇄하고자 하는 영상(원고)(200)을 스캔작업을 통해 미리 저장시켜 놓는다.
이어서, 상기 R 필름(200a)을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부상에 정렬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400)를 조작하여 상기 모니터(500)에 상기 영상(200)의 R 영상패턴(800a)을 표시하게 되면,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도 상기 영상(200) 중에 포함된 모든 색 중에서 R 색채에 해당하는 R 영상패턴(800a)이 농도(R1, R2, R3)별로 한번에 표시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500)를 통해 상기 영상(200)의 R 영상패턴(800a)을 컬러화면으로 보게 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는 상기 영상(200)의 R 영상패턴(800a)이 그레이 레벨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노광기(300)를 사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 광을 조사하면, 상기 광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을 통해 상기 영상(200)의 R영상패턴(800a)의 각 농도(R1, R2, R3)에 해당하는 광량을 가지도록 조절되어 상기 R 필름(200a)상에 조사된다.
즉,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내부에 있는 액정층(103)이 상기 R 영상패턴(800a)을 표현하도록 배열되게 되므로,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은 상기 노광기(300)의 광을 R 영상패턴(800a)에 상응하도록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일종의 마스크와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노광기(300)로부터 출사된 광은 액정표시패널(100)을 통과하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 표시된 R 영상패턴(800a)을 나타내도록 광량이 조절되어 상기 R 필름(200a)상에 조사되고, 이때, 상기 R 필름(200a)상에는 상기 R 영상패턴(800a)이 농도(R1, R2, R3)별로 한번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 표현되는 R 영상패턴(800a)은 각 농도(R1, R2, R3)별로 미세하게 표현되므로, 상기 R 필름(200a)상에는 종래에는 표현하기 어려웠던 아주 미세한 영상패턴(800a)까지 농도(R1, R2, R2)별로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G 필름(200b)을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부상에 정렬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400)를 조작하여 상기 모니터(500)에 상기 영상(200)의 G 영상패 턴(800b)을 표시하면,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부에도 상기 데이터 입력부(400)로부터 입력받은 G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상기 G 영상패턴(800b)이 그레이 스케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상기 노광기(300)를 사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 광을 조사하면, 상기 광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을 통해 상기 영상(200)의 G 영상패턴(800c)의 각 농도(G1) 해당하는 광량을 가지도록 조절되어 상기 G 필름(200b)상에 조사된다.
그러면, 상기 G 필름(200b)상에는 상기 G 영상패턴(800b)이 농도(G1)별로 한번에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B 필름(200c)을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부상에 정렬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400)를 조작하여 상기 모니터(500)에 상기 영상(200)의 B 영상패턴(800c)을 표시하면,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부에도 상기 데이터 입력부(400)로부터 입력받은 B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상기 B 영상패턴(800c)이 농도(B1, B2)별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노광기(300)를 사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에 광을 조사하면, 상기 광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을 통해 상기 B 영상패턴(800c)에 해당하는 광량을 가지도록 조절되어 상기 B 필름(200c)상에 조사된다.
그러면, 상기 B 필름(200c)상에는 상기 B 영상패턴(800c)이 농도(B1, B2)별로 한번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완성된 R, G, B 필름(200a, 200b, 200c)을 아연이나 철 합금판에 넣고 중크롬산암모늄 성분의 감광액을 부은 후, 상기 각 필름(200a, 200b, 200c)을 통해 상기 아연판이나 철 합금판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각 필름(200a, 200b, 200c)에 형성된 각 영상패턴(800a, 800b, 800c)을 상기 아연판이나 철 합금판에 그대로 옮기는 제판공정을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제판공정에서 만들어진 판을 인쇄기계에 걸고 피인쇄체에 인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출판인쇄용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제조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마스크 및 농도판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마스크 및 농도판을 제작하기 위한 시간 및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각 필름에 모든 농도의 영상(원고)패턴을 한번의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필름 제작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셋째, 미세한 농도의 영상(원고)패턴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인쇄물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1. 광을 출사하는 노광기와;
    상기 노광기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받아, 표시부에 표현되는 영상에 따라 상기 광의 광량을 조절하여 출사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조절된 광을 전달받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표시부에 표현된 영상에 대한 패턴이 형성되는 R, G, B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공간을 갖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R, G, B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R, G, B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PC(Personal Compute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그레이 스케일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판인쇄용 액정표시장치.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서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 및 다수개의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부근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 화소영역에 형성된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화소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가리기 위한 블랙매트릭스층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10. 광을 출사하는 노광기와; 상기 노광기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받아, 표시부에 표현되는 영상에 따라 상기 광의 광량을 조절하여 출사하는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인쇄용 필름제작방법에 있어서,
    R, G, B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R 필름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부에 정렬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표시부에 상기 영상의 R 색채를 가지는 영상패턴만을 농도별 그레이 스케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노광기를 작동시켜 상기 노광기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상기 R 필름상에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R 색채의 영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G 필름상에 상기 영상의 G 색채를 가지는 영상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B 필름상에 상기 영상의 B 색채를 가지는 영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인쇄용 필름제작방법.
KR1020030098922A 2003-12-29 2003-12-29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앤쇄용 필름 제작방법 KR100640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922A KR100640999B1 (ko) 2003-12-29 2003-12-29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앤쇄용 필름 제작방법
US10/953,433 US7403216B2 (en) 2003-12-29 2004-09-28 Film exposure method and apparatus using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922A KR100640999B1 (ko) 2003-12-29 2003-12-29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앤쇄용 필름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889A KR20050067889A (ko) 2005-07-05
KR100640999B1 true KR100640999B1 (ko) 2006-11-02

Family

ID=3469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922A KR100640999B1 (ko) 2003-12-29 2003-12-29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앤쇄용 필름 제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03216B2 (ko)
KR (1) KR100640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27B1 (ko) * 2013-02-13 2014-08-05 주식회사 에이앤디쓰리디 프로젝터용 디지털 입체필터
CN105182628A (zh) * 2015-10-26 2015-1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膜板、构图工艺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456A (ja) 2000-06-28 2002-01-18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製版システムおよび製版作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71701A1 (de) * 1964-03-06 1969-02-20 Basf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ruckformen
US4052217A (en) * 1971-11-09 1977-10-04 Howson-Algraphy Limited Bimetallic lithographic printing plates
US4675702A (en) * 1986-03-14 1987-06-23 Gerber Scientific Inc. Photoplotter using a light valve device and process for exposing graphics
GB8802025D0 (en) * 1988-01-29 1988-02-24 Minnesota Mining & Mfg Imaging method & apparatus
US5796421A (en) * 1993-08-13 1998-08-1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Positioning apparatus for an optical element in the form of a thin film and a scanning apparatus
US6963359B1 (en) * 1997-10-23 2005-11-08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still camera, instant printer and instant film
JP3073189B2 (ja) * 1998-06-01 2000-08-07 太陽工業株式会社 広告表示装置
US6417828B1 (en) * 1999-02-18 2002-07-0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composition, liquid crystal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apparatus
US6374060B1 (en) * 1999-04-22 2002-04-1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Hybrid camera selectively using photographic film and image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456A (ja) 2000-06-28 2002-01-18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製版システムおよび製版作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889A (ko) 2005-07-05
US20050140775A1 (en) 2005-06-30
US7403216B2 (en) 2008-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0741B1 (en) Method for preparing a flexographic printing plate comprising visible and non-printable information
KR950004330B1 (ko) 새로운 인쇄방법 및 인쇄물
KR100640999B1 (ko)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출판인쇄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앤쇄용 필름 제작방법
JPH0640142A (ja) 編織基材に対する多色印刷方法
JP3303628B2 (ja) ページデータ面付装置および刷版作成装置
US5074206A (en) Printing method and printed product
US3025627A (en) Color printing process
US6628425B1 (en) Method for application of colors and tonalities to various surfaces
JP3378997B2 (ja) 地図製版方法
JP2001088422A (ja) 印刷方法
JP2007062314A (ja) 印刷方法
JPH0630252A (ja) 特色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JPS63135283A (ja) 隠し印刷物の印刷方法
JPH09323471A (ja) ページデータ面付装置および刷版作成装置
JPH10297200A (ja) エンボス化粧シート
JP3918562B2 (ja) カラー刻印プレート
JP3449006B2 (ja) 水無しオフセット印刷方法
JPS6225520B2 (ko)
JPH06293145A (ja) 画像形成方法及び装置
JP2004138868A (ja) カラー画像印刷における色合わせ方法
JPH05204127A (ja) 版ラインにおける情報表示構造
JPH04118627A (ja) カラーフィルタ
JPH07295199A (ja) リトグラフ用原版の作製方法
Wilkinson Colour management and approval methods in lithographic printing
JPH0577493A (ja) 印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