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465B1 -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465B1
KR100639465B1 KR1020040117160A KR20040117160A KR100639465B1 KR 100639465 B1 KR100639465 B1 KR 100639465B1 KR 1020040117160 A KR1020040117160 A KR 1020040117160A KR 20040117160 A KR20040117160 A KR 20040117160A KR 100639465 B1 KR100639465 B1 KR 100639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interlayer insulating
tunnel oxide
insulating film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649A (ko
Inventor
김점수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4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167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 H01L21/28176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with a treatment, e.g. annealing, after the formation of the definitive gate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167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 H01L21/28211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in a gaseous ambient using an oxygen or a water vapour, e.g. RTO, possibly through a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 층간 절연막 및 컨트롤 게이트로 구성된 스택 게이트를 형성한 후, 소오스 영역의 트랜치 산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소오스 영역에 소오스 저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오스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의 일측벽이 손상 받는다.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의 일측벽에 손상 받은 부분을 제거하여 리세스를 형성한다. 상기 터널 산화막 및 층간 절연막의 리세스 부분을 산화시켜 순수 산화막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소오스 이온 주입시 손상 받은 소오스 영역의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 부분을 습식식각으로 제거한 후 다시 순수 산화막을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유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오스 이온 주입, 습식 식각, 플래쉬 메모리

Description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NOR type flash memory device}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워드 라인 단면도들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비트 라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택 게이트를 갖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공통 소스(Common Source)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0.25㎛ 혹은 0.18㎛ 이하의 디자인 룰을 갖는 반도체 소자는 소자 분리(Isolation) 기술로 얕은 트랜치 소자 분리(STI, Shallow Trench Isolation)를 사용한다. 그리고,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0.35㎛ 이하의 디자인 룰에서 셀프 얼라인 소오스(SAS, Self Aligned Source) 기술로 셀 크기를 급격하게 줄이고(Shrink)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얕은 트랜치 소자 분리 및 셀프 얼라인 소오스 기술을 사용하면 셀 크기는 축소되고 이에 따라 칩 크기도 줄일 수 있지만,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10년 이상의 유지 시간(Retention 시간)을 갖기가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한편, LOCOS(Local oxidation of silicon, 실리콘의 국부 산화) 소자 분리 및 SAS 기술을 적용할 경우 셀당 소오스 저항이 200∼300옴(Ohm)인데 반해, 얕은 트랜치 소자 분리(STI) 및 셀프 얼라인 소오스 기술을 적용하면 셀당 소오스 저항이 약 1000옴 정도로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소오스 저항의 증가는 칩 면적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소오스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불순물을 과도하게 사용해야 한다.
특히,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셀을 줄이기(Shrink) 위해 적용된 얕은 트랜치 분리 기술과 SAS 기술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 산화막 식각 및 고도즈의 이온주입을 사용하면서 스택 게이트를 구성하는 터널 산화막이나 ONO 층간 절연막이 손상(damage)을 받게 된다. 이렇게 손상 받은 터널 산화막이나 ONO 층간 절연막은 후속의 열 공정을 진행하여도 초기의 터널 산화막 및 ONO 절연막과 같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없으므로 강한 전계(Field)를 사용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경우에는 쉽게 노화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지 시간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얕은 트랜치 분리 기술과 셀프 얼라인 소오스 기술 채용으로 인한 터널 산화막이나 ONO 층간 절연막의 손상 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실리콘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 층간 절연막 및 컨트롤 게이트로 구성된 스택 게이트를 형성한 후, 소오스 영역의 트랜치 산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소오스 영역에 소오스 저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오스 이온주입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의 일측벽이 손상 받는다.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의 일측벽에 손상 받은 부분을 제거하여 리세스를 형성한다. 상기 터널 산화막 및 층간 절연막의 리세스 부분을 산화시켜 순수 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 영역은 상기 스택 게이트 사이 및 트랜치 산화막이 제거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의 손상 부분은 BOE(buffered oxide etchant)나 DHF(diluted HF)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의 손상 부분은 상기 순수 산화막을 형성하기 전에 수행하는 세정 공정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순수 산화막은 노에서 800∼900℃의 온도, 산소 가스, 또는 산소 및 질소의 혼합 가스 분위기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순수 산화막은 급속 열 산화(rapid thermal oxidation)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오스 이온 주입시 손상 받은 소오스 영역의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 부분을 습식식각으로 제거한 후 다시 순수 산화막을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유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워드 라인 단면도들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비트 라인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100) 상에 터널 산화막(102), 플로팅 게이트(104), 층간 절연막(106) 및 컨트롤 게이트(108)로 구성된 스택 게이트(110)를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06)은 ONO막으로 형성한다. 도 5에 도시한 비트 라인 단면도에는 실리콘 기판(100)에 트랜치 산화막(101)이 형성된 상태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프 얼라인 소오스 마스크 패턴(112)을 이용하여 소오스 영역의 트랜치 산화막(101)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트랜치(113)를 노출시킨다. 이어서, 상기 셀프 얼라인 소오스 마스크 패턴(112)을 마스크로 하여 스택 게이트(110) 사이 및 트랜치 산화막(101)이 제거된 부분의 소오스 영역에 소오스 저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오스 이온주입, 즉 N+ 이온주입을 실시한다.
그런데, 도 2의 참조번호 11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치 산화막의 식각시나 소오스 이온 주입시 상기 스택 게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터널 산화막(102)나 층간 절연막(106)이 손상을 받게 된다.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은 약 10 ∼200Å 정도의 두께로 손상을 받는다. 이렇게 손상 받은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은 소자의 유지(retention) 특성을 취약하게 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소오스 이온 주입에 의하여 손상 받은 터널 산화막(102)이나 층간 절연막(106)을 제거하기 위하여 습식 식각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습식 식각시 습식 식각 용액은 BOE(buffered oxide etchant)나 DHF(diluted HF)를 이용한다. 이렇게 되면, 터널 산화막(102)의 일측벽 및 층간 절연막(106)의 일측벽에 10∼200Å 정도의 깊이로 리세스(11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상 받은 터널 산화막(102)이나 층간 절연막(106)을 습식 식각 용액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후속의 스택 게이트(110)의 측벽에 순수 산화막을 형성하기 전에 수행하는 세정공정시 제거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리세스된 터널 산화막(102) 및 층간 절연막(108)을 포함하는 스택 게이트(110)가 형성된 실리콘 기판(100)을 산화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택 게이트(110)를 둘러싸는 순수 산화막(118)이 형성된다.
상기 순수 산화막(118)은 10∼200Å 정도의 깊이로 리세스된 터널 산화막(102) 및 층간 절연막(106)의 일측벽에 10∼200Å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30∼100Å의 두께로 성장되어 초기에 형성한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리세스된 터널 산화막(102) 및 층간 절연막(106)의 리세스(116) 부분은 손상이 회복되어 소자의 유지(retention)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순수 산화막(118)은 노에서 800∼900℃의 온도와, 산소 가스 또는 산소 및 질소의 혼합 가스 분위기의 형성한다. 또는, 상기 순수 산화막(118)은 노가 아닌 급속 열 산화(rapid thermal oxidation)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이후에는 통상적인 접합, 제2 층간 절연막 형성, 금속 콘택 형성을 통하여 플래쉬 메모리 소자를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오스 이온 주입시 손상 받은 소오스 영역의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 부분을 습식식각으로 제거한 후 다시 순수 산화막을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유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실리콘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 층간 절연막 및 컨트롤 게이트로 구성된 스택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소오스 영역의 트랜치 산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상기 소오스 영역에 소오스 저항을 확보하기 위한 소오스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소오스 이온 주입을 통해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의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여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택 게이트를 산화시켜 상기 리세스 부분을 메우는 순수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영역은 상기 스택 게이트 사이 및 트랜치 산화막이 제거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10∼2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의 손상 부분은 BOE(buffered oxide etchant)나 DHF(diluted HF)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산화막이나 층간 절연막의 손상 부분은 상기 순수 산화막을 형성하기 전에 수행하는 세정 공정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수 산화막은 노에서 800∼900℃의 온도, 산소 가스, 또는 산소 및 질소의 혼합 가스 분위기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수 산화막은 급속 열 산화(rapid thermal oxidation)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40117160A 2004-12-30 2004-12-30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39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160A KR100639465B1 (ko) 2004-12-30 2004-12-30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160A KR100639465B1 (ko) 2004-12-30 2004-12-30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649A KR20060077649A (ko) 2006-07-05
KR100639465B1 true KR100639465B1 (ko) 2006-10-26

Family

ID=3716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160A KR100639465B1 (ko) 2004-12-30 2004-12-30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4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649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27161A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KR100953034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7041554B2 (en) Methods of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s having self aligned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s
KR100397176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평탄화 방법
JP460083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32654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39465B1 (ko) Nor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70059324A (ko) Nand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7013170A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その駆動方法および製造方法
US2008025458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KR100697295B1 (ko) 스플릿 게이트형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23694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구조물의 형성 방법
KR101051953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384794B1 (ko) 플래쉬 메모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63896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 방법
JP2005183916A (ja) フラッシュ素子の製造方法
KR20030049781A (ko)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100590378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10041809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51685B1 (ko)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624947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3443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65023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방법
KR20090123514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20574A (ko)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패턴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