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091B1 - 시트 형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트 형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091B1
KR100639091B1 KR1020047018731A KR20047018731A KR100639091B1 KR 100639091 B1 KR100639091 B1 KR 100639091B1 KR 1020047018731 A KR1020047018731 A KR 1020047018731A KR 20047018731 A KR20047018731 A KR 20047018731A KR 100639091 B1 KR100639091 B1 KR 100639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eather
support
article according
oily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664A (ko
Inventor
요네다히사오
가나오슈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ublication of KR2004011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06M15/2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aromatic, e.g. styre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hydrocarb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06M15/568Reaction products of isocyanates with 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ultra-fine two-component fibres, e.g. island/sea, or ultra-fine one component fibres (< 1 deni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1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with styrene-butadiene copolymerisation products or other synthetic rubbers or elastomers except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62Textile, fabric, cloth, or pile containing [e.g., web, net, woven, knitted, mesh, nonwoven, matte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2Randomly noninterengaged or randomly contacting fibers, filaments, particles, or fl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86With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38Artificial wood or leather grain surfa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섬유질 기재의 적어도 내부에 30℃ 에서의 점도가 50∼10000mPaㆍs 의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시트 형상물은 천연피혁조의 유연성과 충실감을 겸비하고, 또한 오일의 이행이 적은 시트 형상물을 제공한다.
시트 형상물, 유상 물질

Description

시트 형상물 및 그 제조방법 {ARTICLE IN A SHEET FORM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천연피혁조의 유연성을 가지면서, 유연제의 이행이 매우 적은 시트 형상물에 관한 것이다.
쳔연피혁이 갖는 유연하고 충실감이 있는 감촉을 재현하기 위해, 종래부터 인공피혁에 대해 각종 첨가제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천연피혁에 가까운 것은 얻어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인공피혁을 천연피혁 정도로 유연하게 하기 위해 종래부터 어떠한 유연제를 사용하여 유연화를 도모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즉, 유연제로서 규소에멀젼처리, 왁스처리 등을 부가하여 천연피혁에 가까운 감촉을 구하고 있으나 천연피혁이 갖는 부드러움과 충실감이 있는 감촉을 충분히 낼 수 없었다. 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유상물질 및 그 지지체를 표면에 입모를 갖는 섬유질 기재표면에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참고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방법은 입모면의 터치 (오일감을 개량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표면의 입모 부분에 유상물질 및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부착시키는 기술로서, 본 발명과 같은 섬유질 기재 전체의 부드러움, 충실감은 얻을 수 없다. 즉 이들 종래의 방법에서는, 표면의 터치는 개량 되지만, 부드러움과 충실감을 겸비한 천연피혁 본래의 감촉을 재현하는데 까지는 도달해 있지 않다.
한편 천연피혁에서 처리하고 있는 가지제, 예컨대 어유, 식물유를 사용하여 유연처리하면 천연피혁에 가까운 감촉이 얻어지지만, 유지나 오일이 표면으로 이행하는 것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유지나 오일 등의 유상물질의 이행이 없고, 또한 유연성과 충실감이 우수한 천연피혁에 가까운 감촉을 갖는 것은 아직 얻어지고 있지 않다.
특허참고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1880호
본 발명은 섬유질 기재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 물질에 관하여, 천연피혁이 갖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충실감이 있는 감촉을 갖고, 또한 유상물질의 이행이 매우 적은 시트형상 물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검토를 거듭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시트형상 물질 및 그 제조방법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섬유질 기재의 적어도 내부에 30℃ 에서의 점도가 50∼10000mPaㆍs 의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물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섬유질 기재를 구성하는 섬유가 0.3dtex 이하의 극세섬유인 시트 형상물이고, 또 섬유질 기재가 섬유 낙합 부직포와 그 내부에 함침된 탄 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지지체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비닐 방향족계 엘라스토머, 주쇄를 구성하는 에틸렌 유닛에 대해 탄소수 1∼8 의 탄화수소기의 측쇄를 갖는 유닛을 5∼60몰% 갖는 에틸렌 중합체 또는 에틸렌 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 및 공액 디엔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 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첨가물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상물질과 지지체의 바람직한 질량비가 1/1∼20/1 이다.
또, 본 발명의 시트 형상물로 이루어지는 스웨이드조 피혁양(leathery) 시트, 또는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이고, 이들 피혁양 시트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스포츠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30℃ 에서의 점도가 50∼10000mPaㆍs 의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을 수분산액으로 하고, 섬유질 기재에 함침하여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물의 제조방법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구성하는 지지체란, 상온에서 엘라스토머의 성질을 나타내는 고분자물질, 소위 두께 0.5㎜ 의 시트로 한 경우에 상온에서 신도 100% 이상이고, 외력을 부여하면 용이하게 변형되지만, 제거하면 바로 거의 원형으로 회복되는 고분자 물질이다. 또한 이 고분자 물질의 분말을 그것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유상물질 중에 침지하여 24시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에 자연 여과한 후의 이 분말의 질 량증가가 유상물질을 흡수하여 200% 이상이 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혹은 비닐방향족 엘라스토머가 유상물질의 지지성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의 지지체의 적합한 예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란, 탄화수소쇄를 중심으로 한 수지를 말하고, 0℃ 이하의 유리전이점을 갖는 세그먼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예로는 예컨대 EPR (에틸렌프로필렌고무), EBR (에틸렌부틸렌고무), HBR (수첨 부탄디엔고무), 폴리이소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체의 제조법은 공지되어 있고, 그 주요 원료 모노머로서, 에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옥텐 등의 올레핀, 이소부틸렌, 시클로프로펜,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시클로옥타디엔, 부티디엔, 이소프렌, 노르보르넨 등의 환형 탄화수소 화합물이나 디엔계 탄화수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를 적절하게 배랍하여, 기존의 중합법, 예컨대 라디칼 중합, 아니온 중합, 카티온 중합에 의해 중합된다. 최종 물성, 특히 내후성을 높이기 위해 수소첨가를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실행된다.
특히 양호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으로는 예컨대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헵텐, 옥텐, 노넨 등을 들 수 있다. 중합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지글러-나타 (Zieglar-Natta) 촉매나 메타로센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탄소수 1∼8 의 탄화수소기의 측쇄를 갖는 유닛의 함유량이 주쇄를 구성하는 에틸렌 유닛에 대해 5∼60 몰% 인 에틸렌 중합체가, 특히 엘라스토머성과 유상물질 의 지지에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평균분자량으로 수 만∼수 십만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 α-올레핀 이외의 다른 모노머를 소량 공중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모노머로는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체의 적합한 예인 비닐방향족계 엘라스토머에 대해 설명한다. 비닐방향족 엘라스토머란 비닐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 및 0℃ 이하의 유리전이점을 갖는 중합체 블록 B 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블록 공중합체에서의 중합체 블록 A 와 중합체 블록 B 의 수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여기에서 중합체 블록 A 를 간단히 A, 중합체 블록 B 를 간단히 B 로 표시하면, 적합한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는 A-B, (A-B)n, (A-B)n-A, (B-A)n-B (단, 이들 구조식에서 n 은 1∼10 의 정수를 나타냄), (A-B)mX (X 는 m가의 커플링제의 잔기를 나타내고, m 은 2∼15 의 정수를 나타냄) 등의 구조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A-B-A 로 표시되는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유상물질의 지지성 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비닐방향족 화합물의 함유율은 5∼75 질량% 인 곳이 유상물질의 지지성 면에서 바람직하고, 10∼65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중합체 블록 B 를 구성하는 비닐방향족 화합물로는,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 m- 혹은 p-메틸스티렌, 1,3-디메틸스티 렌, 비닐나프탈렌, 비닐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이 유연성 면세서 바람직하다. 비닐방향족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 블록 공중합체에서의 중합체 블록 B 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0℃ 이하의 유리전이점을 갖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유연성 면에서 공액 디엔의 중합물 혹은 그 수첨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액 디엔으로는 예컨대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소프렌, 1,3-부타디엔 또는 이들 혼합물이 유연성 및 유상물질의 표면으로의 이행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액 디엔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SBS (스티렌 중합체 블록-부타디엔 중합체 블록-스티렌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SEBS (스티렌 중합체 블록-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블록-스티렌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SEPS (스티렌 중합체 블록-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 블록-스티렌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SIS (스티렌 중합체 블록-이소프렌 중합체 블록-스티렌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SEEPS (스티렌 중합체 블록-에틸렌ㆍ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 블록-스티렌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유상물질의 지지력 및 섬유기재의 감촉 면에서 바람직한 블록 공중합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만∼50 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만∼40만이다. 5만 미만인 경우에는 유상물질의 지지성이 저하되고, 또 50만을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블록 공중합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그 제조방법으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공지된 아니온 중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알킬리튬 화합물 등을 개시제로 하여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비닐방향족 화합물 및 공액 디엔을 중합시켜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한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테트라크롤실란 등의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블록 공중합체가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인 경우에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수소첨가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첨가하여 수첨 블록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체로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첨가물인 수첨 블록 공중합체가 사용되는데, 내열성, 내후성의 관점에서 수첨 블록 공중합체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수소첨가 전의 블록 공중합체에서의 공액 디엔에서 유래하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70% 이상이 수소첨가된 것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소첨가 블록 공중합체에서의 중합체 블록 B 중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함유량은, 요오드가 측정, 적외분광광도계, 핵자기공명법 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2종류의 블록 이외에 본 발명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모노머가 블록 형상으로 또는 랜덤 형상으로 공중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블록 공중합체 외에, SBR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등의 스티렌 함유 고무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지지체를 구성하는 수지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저해하지 않는 한, 분자쇄 중 또는 분자 말단에, 카르복실기, 수산기, 산무수물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지체에 배합되는 유상물질로는 30℃ 에서의 점도가 50∼10000mPaㆍs 의 액상 물질일 필요가 있고, 상온에서 물과는 실질적으로 상용성이 없고 상분리되는 물질이 사용된다. 점도가 50mPaㆍs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에 도포한 후에 유상물질의 이행이 발생된다. 또 10000mPaㆍs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지체와 섞이지 않고 오일감이 희박해지고 유연성이 결여되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유상물질의 종류의 구체예로는 파라핀계 또는 나프텐계의 프로세스오일, 화이트오일, 미네랄오일,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올리고머, 파라핀왁스, 유동 파라핀, 규소오일, 식물유, 방향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이 천연피혁의 오일감에 유사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체 (1) 와 유상물질 (2) 의 질량비는, (2)/(1)=1∼20 이 바람직하다. 이 질량비가 1 미만인 경우에는, 부드러운 감촉이 발현되기 어렵고, 2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상물질의 이행이 발생하기 쉽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1)=3∼12 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체 (1) 의 종류 및 분자량과, 유상물질 (2) 의 종류와 2종 이상의 유상물질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의 질량비, 그리고 (2)/(1) 의 비 율, 및 섬유질 기재 내부로의 부여량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천연피혁의 유연성과 충실감을 재현할 수 있다.
섬유질 기재 내부로의 부여방법으로는, 예컨대 30℃ 에서의 점도가 50∼10000mPaㆍs 의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을 양용제에 용해한 용액을 제작하여 섬유질 기재에 함침하고, 용제를 제거하여 고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30℃ 에서의 점도가 50∼10000mPaㆍs 의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을 수분산액으로 하여 섬유질 기재에 함침, 건조 처리하여 고착하는 방법을, 환경면 및 함침한 경우에 연속적인 피막형성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천연피혁 정도의 유연성이 우수하고, 충실감이 있는 감촉으로 마무리된다는 품질상의 관점에서, 선택할 필요가 있다.
섬유질 기재 내부에 부여하는 순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지체와 유상물질이 최종 제품 내부에 함유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그러나 극세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로 덮여져 있는 스웨드조 인공피혁으로 하는 경우는 염색 후에 처리하는 것이 염색 중의 유상성분의 탈리가 적어 공정관리가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섬유질 기재이지만 이것은 공지된 섬유질 기개를 사용할 수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편직포, 부직포, 편직포 또는 이들에 고분자 탄성체를 함침한 것, 낙합 부직포, 또는 이것에 고분자 탄성체를 함침한 것, 극세섬유 낙합 부직포, 또는 이것에 고분자 탄성체를 함침한 것 등 공지된 섬유질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0.3dtex 이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극세섬유 낙합 부직포에 고분자 탄성체가 함침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질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천연피혁조의 유연성을 갖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0001dtex 의 범위이다. 0.3dtex 를 초과하여 굵어지면, 스웨드조 피혁양 시트로 한 경우, 입모면의 감촉이 거칠어져 외관이 저하된다. 또, 0.0001dtex 미만에서는, 섬유의 파단강력이 저하되고, 층의 박리강력이나 파단강력이 저하되며, 또한 충분한 발색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극세섬유의 제조방법으로는 용융상태에서 상용성을 갖지 않고, 용해성 또는 분해성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혼합방사법, 해도형 복합방사법 등에 의해 해도구조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복합방사법에 의해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등에 의해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를 얻은 후, 그 일부 (예컨대 해성분) 을 추출 제거 또는 분해제거하여 극세섬유로 하는 방법, 혹은 분할형 복합섬유의 이종 폴리머끼리의 계면을 박리시켜 극세섬유로 하는 방법 등을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이외에, 용융 방사 노즐로부터 섬유형성성 폴리머를 토출한 직후에 고속기체로 불어 날려 섬유를 가늘게 하는, 소위 멜트블로우법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섬유 굵기의 관리나 극세섬유의 품질안정성으로부터, 상기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를 경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극세섬유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한 이들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 에스테르 등의 방향족 폴리 에스테르류나,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등의 폴리아미드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류나 폴리아미드류가, 천연피혁조의 인공피혁이 얻어지는 점, 또한 염색성도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들 수지에는, 방사시의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카본블랙으로 대표되는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나 자외선방지제 등으로 대표되는 공지된 안정제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를 구성하는 추출제법 또는 분해제거되는 수지성분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계 모노머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폴리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스티렌 또는 이들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 등이 추출의 용이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극세섬유 또는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로 이루어지는 낙합 부직포와 그 내부에 탄성 중합체가 함침된 섬유질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방법이 사용된다. 예컨대 극세 섬유 발생형 섬유로 이루어지는 낙합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 그 낙합 부직포에 탄성중합체 용액을 함침하여 응고하는 공정,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를 극세섬유로 변성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물론 극세섬유로 변성하는 공정과 탄성중합체 용액을 함침ㆍ응고시키는 공정을 역전시킬 수도 있다.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를 사용하여 낙합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극세 섬유 발생형 섬유를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방사, 연신, 열고정, 권축, 커트 등의 처리를 하여 동 섬유의 스테이플을 제작하고, 이와 같은 스테이플을 카드로 해섬하고, 웨이버로 랜덤 웹 또는 크로스랩 웹을 형성하여, 얻어진 웹을 필요에 따라 적층하고, 원하는 무게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의 웹의 무게는 목적하는 최종적인 용도분야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고, 일반적으로 100∼3000g/㎡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저비용화 등의 목적에서, 필요로 하는 질량의 약 2배의 낙합 부직포에 탄성중합체 용액을 함침ㆍ응고시킨 후에 밴드나이프 등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1번에 2장의 섬유질 기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웹의 적층에 이어서 공지된 방법, 예컨대 니들 펀칭법이나 고압수류분사법 등을 이용하여 낙합 처리를 실시하여 낙합 부직포를 형성한다. 니들 펀칭법의 경우에는, 사용 바늘의 형상이나 웹의 두께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200∼2500 펀치/㎠ 의 범위의 조건에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낙합 부직포에는, 탄성 중합체의 함침 처리에 앞서, 필요에 따라 열프레스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표면의 평활화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낙합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을 해성분으로 하고,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를 도성분으로 하는 해도구조 섬유인 경우에는, 열프레스에 의해 해성분의 폴리에틸렌을 융착시키고, 섬유끼리를 접착 고정함으로써 매우 표면평활성이 우수한 낙합 부직포로 할 수 있다. 또 낙합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일 성분을 용융 제거하여 극세섬유로 변성할 수 있는 해도구조 섬유가 아닌 경우에는, 함침시키는 탄성중합체가 섬유에 고착되어 감촉이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중합체의 함침처리에 앞서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가충전물질로 섬유 표면을 덮어 두고, 탄성중합체를 부여한 후에 가충전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1 성분을 용해제거 또는 분해제거함으로써 극세섬유로 할 수 있는 해도구조 섬유의 경우에도, 낙합 부직포의 단계에서 상기 가충전물질을 부여하여 다성분섬유의 표면을 덮어 탄성중합체를 부여한 후에 가충전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더 한층 유연한 시트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낙합 부직포에 함침시키는 수지로는,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그 외의 합성 고무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 공지된 탄성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감촉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한 폴리우레탄 수지로는 소프트세그먼트로서 디올과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형성성 유도체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디올, 폴리락톤계 디올, 폴리카보네이트계 디올, 폴리에테르계 디올, 및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수평균분자량이 500∼5000 의 적어도 1종류의 폴리머디올을 사용하고, 이것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저분자쇄 신장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소위 세그먼트화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소프트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상기 폴리머디올의 합성에 사용되는 디올 화합물로는, 내구성 혹은 피혁양의 감촉 면에서 탄소수 6 이상 10 이하의 지방족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 디카르복실산의 대표 예로서는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아젤라인산, 세바틴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머 디올의 수평균분자량이 500 미만인 경우에는, 유연성이 부족하고, 천연피혁양의 감촉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폴리머 디올의 수평균분자량이 500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우레탄기의 농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유연성 및 내구성, 내열성, 내가수분해성에서 균형잡힌 피혁양 시트가 얻어지기 어렵다.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계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저분자쇄 신장제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N-메틸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이소포론디아민 등의 분자량이 300 이하인 활성수소원자를 2개 갖는 저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의 합성방법으로는 원쇼트법이거나 프리폴리머법이어도 상관없다.
또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우레탄에는, 응고조절제, 안정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고, 추가로 다른 폴리머를 병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카본블랙이나 염료 등의 착색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낙합 부직포에 폴리우레탄을 함유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감촉의 균형 면에서 낙합 부직포에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으로 대표되는 폴 리우레탄의 양용매로 희석하는 폴리우레탄용액, 혹은 폴리우레탄의 수분산액을 직접 함침시켜, 필요에 따라 맹글(mangle)로 짜는 방법이나, 폴리우레탄 용액 혹은 폴리우레탄의 수분산액을 코터로 코팅하면서 스며들게 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다. 함침시킨 폴리우레탄액을 습식응고 또는 건식응고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을 낙합 부직포에 함유시키는데, 특히 천연피혁과 같은 감촉이나 촉감이 얻어지는 점에서 습식응고법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천연피혁과 같은 유연한 감촉 면에서, 섬유질 기재를 구성하는 섬유와 폴리우레탄과의 질량비율은 30/70∼90/1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65∼80/20 의 범위내이다. 이 범위보다 섬유의 비율이 너무 낮아지면, 피혁양 시트가 고무와 같은 감촉으로 되고, 섬유의 비율이 너무 높아지면 종이와 같은 감촉으로 되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천연피혁과 같은 감촉을 얻을 수 없다.
해도구조 섬유를 사용한 경우에는, 낙합 부직포에 폴리우레탄을 함침한 후에, 폴리우레탄 및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의 도성분에 대해서는, 비용제로 또한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의 해성분에 대해서는 용제 또는 분해제로서 작용하는 액체로 처리함으로써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를 극세섬유 다발로 변성하고, 극세섬유 낙합 부직포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질 기재로 한다. 물론, 폴리우레탄을 함침하기에 앞서, 극세섬유 발생형 섬유를 극세섬유 다발로 변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섬유질 기재로 할 수도 있다. 또 박리성의 분할형 복합 섬유를 사용한 경우에는, 박리를 촉진하는 액으로 처리함으로써 섬유 구성 폴리머의 계면에서 박리시키고, 극세섬유 다발로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얻어진 섬유질 기재는 적어도 편면이 기모된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나 고분자 탄성체로 조면된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 등의 공지된 마무리 기술로 표면가공을 실시한 피혁양 시트로 마무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얻어진 극세섬유의 낙합 부직포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질 기재의 기모는, 샌드페이퍼나 침포(針布)에 의한 버프, 정모(整毛) 등으로 대표되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기모되는 보풀 길이는 외관이나, 유상물을 함유시킨 지지체를 도포한 후의 외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버프나 정모의 조건, 예컨대 버프에 사용하는 샌드페이퍼의 번수나 연삭속도나 누르는 압력 등을 선택함으로써 보풀 길이를 조정한다. 입모는 시트의 편면의 전체면에 존재하거나 혹은 양면 모두 전체면에 존재하거나, 혹은 편면 혹은 양면의 일부에 스폿형상으로 존재해도 상관없다.
염색방법은 편직포 또는 부직포를 염색하는 공지된 염색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사용염료는 공지된 염료를 사용하면 되고, 일례로서 섬유질 기재의 입모부의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이면 분산염료, 폴리아미드이면 산성염료, 황화염료, 건염염료, 아크릴이면 카티온 염료 등을 사용하면 된다. 또 염색기는 서큘러, 윈스, 대시라인, 워셔 염색기, 타이코 염색기, 연속 염색기 등의 공지된 염색기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얻어진 섬유질 기재의 내부에 전술한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을 부여한다. 부여방법으로는 맹글에서의 함침-착액방법, 코팅방법, 스프레이방법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맹글에 의한 함침-착액(搾液)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이 섬유질 기재의 내부에 존재함으로써 비로소 달성되고, 이 지지체가 표면에만 존제하는 것만으로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천연피혁조의 유연성 및 충실감있는 우수한 감촉을 달성할 수는 없다.
또, 본 발명의 섬유질 기재와 전술한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의 비율은 섬유질 기재에 대해 5∼80% 의 범위가 천연피혁조의 유연성 및 감촉면에서 바람직하고, 10∼50% 가 보다 바람직하다. 5% 미만의 경우, 오일감이 부족하여 딱딱한 감촉으로 되는 경향이 있고, 80% 를 초과한 경우, 오일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형상물을 사용하여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로 한 경우, 이 배합물을 이 시트의 내부에 한정하여 존재시킴으로써 표면의 스웨이드감을 변경하지 않고 유연한 시트를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는, 구두뿐만 아니라, 장갑, 가방, 의료 등, 특히 스포츠용 장갑의 소재로 유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실시예 중의 부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질량에 관한 것이다.
섬유의 굵기는 섬유단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사용하여, 그 단면적의 평균값으로부터 구하였다.
또 실시예 중, 유연성, 충실감은 피혁양 시트를 손힘의 세기를 각각 달리하 여 쥐거나, 혹은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봉제한 스포츠 장갑을 손에 끼고 손을 쥐거나 펴거나 했을 때에 종합적으로 느껴지는 감촉을 발명자들이 판정하였다. 이들의 평가결과를 양호 : ○, 약간 양호 : △, 불량 : × 로 표현하였다.
또 오일의 블리드 (이행) 평가방법은, 피혁양 시트를 깨끗하게 씻은 손으로 세게 쥐었을 때에 손바닥에 오일형상물이 부착되는지 여부, 혹은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봉제한 스포츠 장갑을 깨끗하게 씻은 손에 끼고 세게 쥐거나 폈을 때에 손에 오일형상물이 부착되는지 여부, 또는 이들 부착상태의 정도로 판정하고, 이들 평가결과를 양호 : ○, 약간 양호 : △, 불량 : ×으로 표현하였다.
실시예 1
나일론-6 과 폴리에틸렌을 칩의 상태에서 50:50 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압출기에 의해 용융방사를 실행하여, 폴리에틸렌이 해성분이고 나일론-6이 도성분으로 되어 있는 해도구조 섬유를 방사하여, 연신, 권축, 커트하여, 4dtex, 51㎜ 길이의 스테이플을 제작하고, 웨이버로 크로스랩을 만들어 니들 펀칭기를 사용하여 700 펀치/㎠ 의 니들 펀칭을 실시하여 낙합 부직포를 얻었다. 이 부직포에, 평균분자량 2000 의 폴리3메틸펜탄아지페이트디올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소프트세그먼트용의 폴리머 디올로 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디메틸포름아미드 (이하 DMF 라 약칭하기도 함) 용액을 함침하고, 습식응고시킨 후, 섬유의 해성분인 폴리에틸렌을 퍼크롤에틸렌으로 추출하고, 단위면적당 중량 450g/㎡, 두께 1.3㎜, 폴리우레탄수지와 섬유의 비율이 40/60 인 섬유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기재의 나일론 극세섬 유의 섬도는 평균 0.006dtex 이었다. 얻어진 기재의 편면을 샌드페이퍼로 버프하여 이 나일론 극세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 표면을 가진 시트 형상물을 얻었다. 이 시트 형상물을 서큘러 염색기를 사용하여 다음 조건에서 염색하면 갈색의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가 얻어졌다.
염색조건
염료 : Lanacron Brown S-GR (Ciba Specialty Chemicals(주) 제조) 5% owf
Irgalan Yellow GRL (Ciba Specialty Chemicals(주) 제조) 2% owf
욕비 : 1:30
염색 온도 : 90℃
다음에 지지체로서 수평균분자량이 약 29만인 스티렌-(에틸렌ㆍ에틸렌ㆍ프로필렌)-스티렌의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셉톤 4055」주식회사 쿠라레 제조 엘라스토머 : 수소첨가비율 98% ; 하기 유상물 중에 24시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의 질량증가는 1600%) 을 사용하고, 이 지지체에 대해 유상물질로서 질량비로 8배의 파라핀계 오일 (「PW-90」이데미쓰흥산 주식회사 제조 ; 30℃ 에서의 점도 : 140mPaㆍs) 을 배합한 불휘발 성분 농도 30% 의 수분산액 (평균입경 1㎛) 을 조제하였다.
이 수분산액을, 상기의 갈색으로 염색되어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에 맹글을 사용하여 함침하고, 착액률을 70% 로 하여 60℃ 의 건조기로 건조시킴으로써 섬유질 기재에 대해 유상물질 및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의 질량비율이 20% 인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가 얻어졌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는, 천연 피혁조의 우수한 유연성과 충실감이 있는 감촉을 가졌다. 또 오일의 블리드도 없었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스포츠용 장갑을 제작한 결과, 부드러운 감촉을 갖고, 또한 표면에 대한 오일의 블리드가 없고, 손에 대한 피트감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이 장갑을 JIS L0884 의 A-1법의 조건에서 세탁하고, 70℃ 에서 건조시킨 후 착용시험을 하였는데, 부여한 배합물의 탈락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부드러운 감촉과 손에 대한 피트감은 유지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수분산액을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갈색으로 염색된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에 맹글을 사용하여 함침하고, 착액률을 60% 로 하여 90℃ 의 건조기로 건조시킴으로써 섬유질 기재에 대해 유상물질 및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의 질량비율이 18% 인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가 얻어졌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는, 천연피혁조가 우수한 유연성과 충실감이 있는 감촉을 가졌다. 또 오일의 블리드도 없었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스포츠용 장갑을 제작하였는데, 부드러운 감촉을 갖고, 또한 표면에 대한 오일의 블리드가 없고, 손에 대한 피트감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이 장갑을 JIS L0884 의 A-1법의 조건에서 세탁하고, 70℃ 에서 건조시 킨 후 착용시험을 하였는데, 부여한 배합물의 탈락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부드러운 감촉과 손에 대한 피트감은 유지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섬유질 기재를 슬라이서기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2장으로 분할하고, 다시 슬라이스면을 버프기에 의해 연삭하여, 두께 0.5㎜ 의 섬유질 기재를 얻었다. 이 섬유질 기재를 서큘러 염색기에 의해 이하의 조건에서 흑색으로 염색하고, 건조시켜 그레이색의 섬유질 기재를 얻었다.
염색조건
염료 : 카야카란 블랙 2RL (닛폰화약(주) 제조)
염료농도 : 2% OWF
균염제 : 2g/ℓ
염색온도 : 90℃
염색시간 : 60분
이 그레이색의 섬유질 기재에 이하의 조건에서 건식 조면(造面)을 실행하였다.
조면조건
이형지 : DE-123 (다이닛폰인쇄(주) 제조)
도프층 조성
NY-324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주) 제조) 100부
L-1770S (다이라크칼라,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주) 제조) 20부
DMF 35부
접착제조성
레자민UD8310 (다이니찌세이카공업(주) 제조) 100부
타케니이트D-110N (타께다약품공업(주) 제조) 10부
촉진제 액셀 QS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주) 제조) 2부
아세트산에틸 20부
얻어진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의 단면사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조면 (은부착) 부분의 수지층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도프층은 15㎛, 접착층은 35㎛ 이었다. 이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에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수분산액을 맹글로 함침하고, 착액률을 60% 로 하여 90℃ 의 건조기로 건조시키고, 섬유질 기재에 대해 유상물질 및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의 질량비율이 18% 인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가 얻어졌다. 그 후 탬블러 건조기로 비빔으로써 흑색의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가 얻어졌다. 얻어진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는, 천연피혁조의 우수한 유연성과 충실감이 있는 감촉을 가졌다. 또 오일의 블리드도 없었다. 또 의료용, 장갑, 포대류에 최적한 것이었다.
얻어진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스포츠용 장갑을 제작하였는데 부드러운 감촉을 갖고, 또한 표면에 대한 오일의 블리드가 없고, 손에 대한 피트감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이 장갑을 JIS L0884 의 A-1법의 조건에서 세탁하고, 70℃ 에서 건조시 킨 후 착용시험을 하였는데, 부여된 배합물의 탈락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부드러운 감촉과 손에 대한 피트감은 유지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질 기재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서 니들 후의 부직포의 질량을 700g/㎡ 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그 후의 폴리우레탄의 함침, 응고, 추출은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705g/㎡, 두께가 2.1㎜ 인 기재를 얻었다. 이 섬유질 기재 표면에 이하의 조건에서 코팅한 후, DMF 5% 수용액에 투입함으로써 폴리우레탄을 응고시켜 섬유질 기재의 편면에 흑색의 발포층 (두께 500㎛) 을 제작하였다.
코팅 조건
발포층 액조성
크리스본MP-105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주) 제조) 100부
DILAC L6001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주) 제조) 10부
크리스본아시스타 SD-7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주) 제조) 2부
크리스본아시스타 SD-11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주) 제조) 1부
크리스본아시스타 SD-17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주) 제조) 2부
DMF 60부
도포량 300g/㎡
이 발포층측에 엠보스기로 소가죽 상태의 형압을 하여, 은부착조 피혁양 시 트로 하였다. 이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를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수분산액을 사용하여 맹글로 함침하고, 착액률을 60% 로 하여 90℃ 의 건조기로 건조시켜, 섬유질 기재에 대해 유상물질 및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의 비율은 질량비로 18% 이었다. 그 후 탬블러 건조기로 비빔으로써 천연피혁조의 충실감이 있고 유연성이 우수한 감촉의 흑색의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가 얻어졌다. 얻어진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는 글러브용, 구두용 등에 최적한 것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 의 지지체 및 유상물질을 변경하여, 지지체로서 EPR (EP961SP : (주)JSR사 제조 엘라스토머 : 하기 유상물질 중에 24 시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의 질량중가율은 1500%, 측쇄 탄화수소기의 함유율은 20% 몰) 을 사용하고, 유상물질로서 질량비로 2배의 파라핀계 오일 (PW-380 : 이데미쓰흥산(주)사 제조 : 30℃ 에서의 점도는 600mPaㆍs) 을 배합하여 불휘발 성분 농도 30% 의 수분산액을 조제하였다. 그 수분산액을 실시예 1 에서의 배합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웨이드조 인공피혁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인공피혁을 구성하는 섬유질 기재에 대해 유상물질 및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의 질량비율은 20% 이었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는, 천연피혁조의 우수한 유연성과 충실감이 있는 감촉을 가졌다. 또 오일의 블리드도 없었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스포츠용 장갑을 제작하였는데 부드러운 감촉을 갖고, 또한 표면에 대한 오일의 블리드가 없고, 손에 대한 피트감 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이 장갑을 JIS L0884 의 A-1법의 조건에서 세탁하고, 70℃ 에서 건조시킨 후 착용시험을 하였는데, 부여한 배합물의 탈락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부드러운 감촉과 손에 대한 피트감은 유지되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의 배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는, 고무와 같고 오일감이 없으며 충실감이 부족한 감촉을 가져, 실시예 1 의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지는 감촉이었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스포츠용 장갑을 제작한 결과,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스포츠용 장갑에 비하여 충실감이 떨어져 딱딱한 감촉으로 되고, 또한 손의 피트감이 떨어졌다.
비교예 2
실시예 1 의 배합물 대신에 섬유질 기재에 규소계 유연제 (닛카화학주식회사 제조 「닛카실리콘 AM-204」고형분농도 20%) 수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의 감촉은, 유연성은 얻어졌지만, 오일의 독특한 충실감이 없고, 천연피혁조의 감촉과는 상당히 먼 것이었다.
또한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스포츠용 장갑을 제작한 결과,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스포츠용 장갑에 비하여 충실감이 떨어지는 감촉이었다.
또한 이 장갑을 JIS L0884 의 A-1법의 조건에서 세탁하고, 70℃ 에서 건조시킨 후 착용시험을 하였는데, 부여한 규소계 유연제가 거의 전부 탈락되었다. 그리고 그 장갑의 감촉은 딱딱하게 변화되어, 손에 대한 피트감이 떨어졌다.
비교예 3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배합물을 함침하지 않은 상태의 갈색으로 염색된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이 시트에 천연 피혁에서 사용하는 가지제 (술폰화 천연유) 를 함침하여 건조시켜, 이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질 기재에 대해 가지제를 질량비로 16% 함침시켰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의 감촉은, 충실감과 유연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그러나,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쥔 손은 물론이고 종이 위에 이 시트를 놓은 것만으로 종이에 다량으로 가지제가 부착되는 등, 가지제의 이행이 현저하였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스포츠용 장갑을 제작한 결과,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스포츠용 장갑에 떨어지지 않는 유연성이나 충실감이 있는 감촉을 가졌다. 그러나 벗은 후에 매우 불쾌한 끈적거림이 잔존하였다.
또한 이 장갑을 JIS L0884 의 A-1법의 조건에서 세탁하고, 70℃ 에서 건조시킨 후 착용시험을 하였는데, 부여한 가지제는 거의 탈락되었다. 그리고 그 장갑의 감촉은 딱딱하게 변화되어, 손에 대한 피트감이 떨어졌다.

비교예 4
실시예 1 과 동일한 유상물질과 지지체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비율로 배합한 후, 수분산액으로 하지 않고 톨루엔으로 용해하여, 톨루엔 용액 (불휘발 성분 20%) 을 조정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1 의 배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갈색의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갈색의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의 입모 표면에, 이 톨루엔 용액 (불휘발 성분 20%) 을 55 메시의 그라비아롤로 고형분 부착량 약 7g/㎡ 이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톨루엔을 증발시켰다.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는 입모 표면에만 배합물이 부착되었다. 그리고 오일의 블리드는 없었다. 그러나 감촉은 유연성, 충실감 모두 부족하고, 염색 후의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와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얻어진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를 사용하여 스포츠용 장갑을 제작한 결과,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것에 비하여 유연성이 떨어지고, 충실감이 느꺼지지 않는 감촉의 것으로, 피트감도 떨어졌다.
또한 이 장갑을 JIS L0884 의 A-1법의 조건에서 세탁하고, 70℃ 에서 건조시킨 후 착용시험을 한 결과 입모 표면에만 부착시킨 배합물의 탈락은 보이지 않지만, 세탁 전과 동일한 딱딱한 감촉에 변화는 없고, 손에 대한 피트감이 떨어졌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피혁양 시트의 성능을 표 1 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시트 형상물은 천연피혁과 동등한 충실감과 부드러운 감촉을 겸비한 것으로, 또한 세탁내구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트 형상물로 이루어지는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 및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는, 구두, 의료, 장갑, 혹은 가방이나 인테리어 등 모든 용도에 적합한 것이다. 특히 유연성, 충실감 및 피트감이 우수한 점에서 스포츠용 장갑으로의 응용에 유용하다.
항목 유연성 충실감 오일 이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

Claims (13)

  1. 섬유질 기재의 적어도 내부에 30℃ 에서의 점도가 50∼10000mPaㆍs 의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질 기재를 구성하는 섬유가 0.3dtex 이하의 극세섬유인 시트 형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질 기재가 섬유 낙합 부직포와 그 내부에 함침된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인 시트 형상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비닐 방향족계 엘라스토머인 시트 형상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주쇄를 구성하는 에틸렌 유닛에 대해 탄소수 1∼8 의 탄화수소기의 측쇄를 갖는 유닛을 5∼60몰% 갖는 에틸렌 중합체 또는 에틸렌 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인 시트 형상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 및 공액 디엔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 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첨가물인 시트 형상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유상물질과 지지체의 질량비가 1/1∼20/1 인 시트 형상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 형상물로 이루어지는 스웨이드조 피혁양 시트.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 형상물로 이루어지는 은부착조 피혁양 시트.
  11. 제 9 항에 기재된 피혁양 시트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스포츠용 장갑.
  12. 30℃ 에서의 점도가 50∼10000mPaㆍs 의 유상물질과 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을 수분산액으로 하여, 섬유질 기재에 함침하여,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물의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기재된 피혁양 시트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스포츠용 장갑.
KR1020047018731A 2002-05-20 2003-05-19 시트 형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39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4327 2002-05-20
JP2002144327 2002-05-20
PCT/JP2003/006212 WO2003097924A1 (fr) 2002-05-20 2003-05-19 Article sous forme de napp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ce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664A KR20040111664A (ko) 2004-12-31
KR100639091B1 true KR100639091B1 (ko) 2006-10-30

Family

ID=2954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731A KR100639091B1 (ko) 2002-05-20 2003-05-19 시트 형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07890B2 (ko)
EP (1) EP1518959B1 (ko)
KR (1) KR100639091B1 (ko)
CN (1) CN100359088C (ko)
TW (1) TWI307374B (ko)
WO (1) WO2003097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2069B2 (en) * 2006-03-31 2011-01-18 Milliken & Company Coated substrates and polymer dispersions suitable for use in making the same
US8431648B2 (en) * 2006-03-31 2013-04-30 Milliken & Company Coated substrates and polymer dispersions suitable for use in making the same
US7662461B2 (en) 2006-03-31 2010-02-16 Milliken & Company Synthetic leather article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FR2910478B1 (fr) * 2006-12-22 2009-03-06 Michelin Soc Tech Composition auto-obturante pour objet pneumatique
US8141667B2 (en) * 2008-06-17 2012-03-2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For And On Behalf Of Its Component Institution, The University Of Alabama Hybrid dinghy pusher
US10136695B2 (en) 2013-02-26 2018-11-27 Nike, Inc. Footwear upper having selectively located padding
CN105026640B (zh) * 2013-02-27 2019-03-08 可乐丽股份有限公司 人造革基材、粒面人造革、以及人造革基材的制造方法
MX2022004613A (es) * 2019-10-21 2022-05-06 Toray Opelontex Co Ltd Fibra elastica y estructura de fibra que comprende la misma.
US11591747B2 (en) * 2019-10-21 2023-02-28 Takemoto Oil & Fat Co., Ltd. Treatment agent for elastic fib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456A (en) 1975-01-23 1979-07-17 Bayer Aktiengesellschaft Base material for artificial leather
US4143198A (en) * 1975-01-23 1979-03-06 Bayer Aktiengesellschaft Base material for artificial leather
JPS5482495A (en) * 1977-12-14 1979-06-30 Toray Industries Production of plush fibrous sheet
JPH0830309B2 (ja) * 1987-04-17 1996-03-27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バツキング材組成物
JPH02234979A (ja) 1989-03-07 1990-09-18 Asahi Chem Ind Co Ltd アクリル系人工皮革及びその製造法
JPH0382872A (ja) 1989-08-28 1991-04-08 Toray Ind Inc 物性、風合ともに良好な人工皮革用繊維質シート
JPH06322664A (ja) * 1993-05-14 1994-11-22 Mitsubishi Yuka Badische Co Ltd 積層材の製造方法
DE69424918T2 (de) * 1993-10-29 2000-10-12 Kuraray Co Rauhlederartiges Kunstleder
TW440633B (en) * 1996-09-27 2001-06-16 Kuraray Co Suede-like artificial leather and its preparation
US6159581A (en) * 1997-09-24 2000-12-12 Kuraray Co., Ltd. Leather-like sheet
US6322851B1 (en) * 1998-06-30 2001-11-27 Kuraray Co., Ltd. Manufacturing process for leather-like sheet
JP4128312B2 (ja) * 1999-02-24 2008-07-30 株式会社クラレ 表面立毛を有する皮革様シート
TWI223019B (en) * 1999-03-16 2004-11-01 Kuraray Co Artificial leather sheet substrat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KR100349041B1 (ko) * 1999-03-30 2002-08-21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피혁형 시트의 제조방법
JP4156179B2 (ja) 1999-08-23 2008-09-24 株式会社クラレ オイル調皮革様シート
TW476834B (en) * 1999-08-23 2002-02-21 Kuraray Co Oil tone artificial leather sheet
TW526303B (en) * 2000-01-06 2003-04-01 Kuraray Co Artificial leather shoe and artificial leather suited therefor
JP2002302879A (ja) 2001-04-05 2002-10-18 Kuraray Co Ltd 皮革様シート
JP4212787B2 (ja) * 2001-07-02 2009-01-21 株式会社クラレ 皮革様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97924A1 (fr) 2003-11-27
EP1518959A1 (en) 2005-03-30
US8007890B2 (en) 2011-08-30
US20050266192A1 (en) 2005-12-01
EP1518959A4 (en) 2009-09-30
CN1668802A (zh) 2005-09-14
TW200408748A (en) 2004-06-01
CN100359088C (zh) 2008-01-02
KR20040111664A (ko) 2004-12-31
EP1518959B1 (en) 2013-07-31
TWI307374B (en)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4186B2 (ja) 立毛皮革様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284691B (en) Leather-like sheet material
KR100688693B1 (ko) 인공 가죽용 섬유성 기질과 이를 이용한 인공 가죽
KR101152038B1 (ko) 인공피혁용 기재, 인공피혁 및 인공피혁용 기재의제조방법
KR100639091B1 (ko) 시트 형상물 및 그 제조방법
JP4198523B2 (ja) 皮革様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69880B1 (ko) 오일풍 피혁형 시트
JP2007291565A (ja) 皮革様シート
JP4156179B2 (ja) オイル調皮革様シート
JP4387221B2 (ja) 皮革様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46494B2 (ja) 銀付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59426B2 (ja) 立毛皮革様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5781A (ja) 耐汗劣化性に優れた皮革様立毛シート状物
KR101027878B1 (ko) 피혁 모양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2302879A (ja) 皮革様シート
JPH0816311B2 (ja) オイル調皮革様シート
JP4338950B2 (ja) 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92977A (ja) 柔軟化スエード調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29751B2 (ja) 伸縮性を有する皮革様シート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73983A (ja) 皮革様シート
JP2001192976A (ja) 人工皮革用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91418A (ja) オイル調皮革様シート
JPH011435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