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640B1 -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640B1
KR100637640B1 KR1020007012861A KR20007012861A KR100637640B1 KR 100637640 B1 KR100637640 B1 KR 100637640B1 KR 1020007012861 A KR1020007012861 A KR 1020007012861A KR 20007012861 A KR20007012861 A KR 20007012861A KR 100637640 B1 KR100637640 B1 KR 10063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polyurethane
isocyanate group
prepolymer
re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2359A (ko
Inventor
사이또조이찌
가시와메조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66Polyethers having a low unsaturation valu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12Mixtures of polyetherdiols with polyether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 고분자량 활성 수소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및 사슬 연장제 (B) 를 용매중에서 반응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로서, 특정한 폴리올 (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특정한 폴리올 (2) 를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POLYURETHANE/POLYURETHANE-UREA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아민계 등의 사슬 연장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이하, PTMG 라고 함)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이하, PES 라고 함) 이라고 하는 고분자량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계 예비중합체로 하고, 이 예비중합체를 용매중에서 사슬 연장제와 반응시켜 수지 용액을 조제하고, 그 후 이 수지 용액을 가공 처리하여 합성 피혁용 또는 탄성사 (彈性絲) 용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를 제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용액 중합법).
그리고, 상기 용액 중합법으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는 고탄성, 고신장, 고내구성 등의 특징에서 신축성이 있는 의료 섬유용의 탄성 섬유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 파단 강도가 약하다는 이유에서,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탄성사에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 등의 2 급 수산기 말단을 갖는 폴리올을 PTMG 또는 PES 와 병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WO 98-16568). 이 국제 공개 특허에는, 제품의 물성, 성형성, 경제성 등의 이유에서,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과 PTMG 의 혼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얻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올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상기 국제 공개 특허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폴리올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반응성의 차이에서, 1 급 수산기 말단을 가지는 PTMG 가 최초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고, 그 결과 수지의 강도 물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은 2 급 수산기 말단을 가지므로, 예비중합체 합성시의 반응 속도가 늦고, 그래서 예비중합체 제조 시간이 매우 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말단 부분에 30 중량% 이하의 옥시에틸렌기를 갖는 폴리옥시프로필렌/옥시에틸렌 폴리올의 대부분은 1 급 수산기 말단이다. 그러나, 2 급 수산기 말단도 소량 존재하므로, 이러한 폴리올을 사용해도 상기와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을 PTMG 또는 PES 와 병용한 경우에도,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강도와 내열성을 대폭 개량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는 고분자량 활성 수소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및 사슬 연장제 (B)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가, 하기 폴리올 (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하기 폴리올 (2) 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폴리올 (1) : 수산기 값 70 이하, 총 불포화도 0.07 이하, 옥시프로필렌기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폴리올 (2) :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PTMG),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에서 선택되는 폴리올.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량 활성 수소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및 사슬 연장제 (B) 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가, 상기 폴리올 (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상기 폴리올 (2) 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은, 고분자량 활성 수소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및 사슬 연장제 (B) 를 용매중에서 반응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로서, 상기 폴리올 (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상기 폴리올 (2) 를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폴리올 (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킨 후, 다시 상기 폴리올 (2)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반응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강도와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는, 예를 들어 합성 피혁 또는 탄성사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는 사슬 연장제로서 주로 디아민 화합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와, 사슬 연장제로서 주로 폴리올 화합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폴리우레탄 수지」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 (1) 은 수산기 값 70 이하, 총 불포화도 0.07 이 하, 옥시프로필렌기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이다. 폴리올 (1) 은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수산기 값, 총 불포화도, 옥시프로필렌기 함유량이 상기 범위외인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과 병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평균적인 수산기 값, 평균적인 총 불포화도, 평균적인 옥시프로필렌기 함유량이 상기 범위내에 들어 있을 필요가 있다.
폴리올 (1) 은 수산기 값이 5∼6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 값이 70 을 초과하면 충분한 유연성을 얻을 수 없고, 5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총 불포화도는 0.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폴리올 (1) 의 수산기 값이 비교적 높은 (예를 들어, 수산기 값이 28∼70) 경우에는, 0.02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총 불포화도가 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잔류 탁크의 증가, 강도의 저하 등이 일어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옥시프로필렌기 함유량은 85 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 (1) 은 디에틸아연, 염화철, 금속 포르피린, 복합 금속 시안화물 착체 등을 촉매로 사용하여, 다관능의 개시제에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와 다른 모노에폭시드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합 금속 시안화물 착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아연 헥사시아노코발테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그의 에테르 및/또는 알코올 착체가 바람직하다. 그의 조성은 본질적으로 일본 특허 공보 소46-27250 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테르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글라임),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글라임) 등이 바람직하고, 착체 제조시의 취급면에서 글라임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로는, t-부탄올, t-부틸셀로솔브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촉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특히 고분자량체에 있어서 불포화도가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노에폭시드란, 에폭시 고리를 1 개 갖는 화합물로서,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와 다른 모노에폭시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옥시드와 병용할 수 있는 다른 에폭시드로는, 에틸렌 옥시드, 1,2-부틸렌옥시드, 2,3-부틸렌옥시드, 스티렌옥시드,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에틸렌옥시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들은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개시제로는, 2∼10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2∼4 개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2∼3 개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린, 수크로스, 및 여기에 모노에폭시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목적물 보다 저분자량인 폴리올, 및 모노아민, 폴리아민, 알카노일아민 등에 모노에폭시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목적물 보다 저분자량인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 (2) 은 PTMG, PES,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에서 선택되는 폴리올이다.
폴리올 (2) 의 수산기 값은 5∼7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8∼7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6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올 (2) 의 수산기 수는 2∼4 가, 바람직하게는 2 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PTMG 로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개환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PES 로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세바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등의 2 염기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과,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6-헥산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1 급 수산기만을 갖는 디올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 상기 2 염기산과 상기 디올 화합물과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1 급 수산기만을 갖는 3 관능 이상의 알코올 화합물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에서 얻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산기에 대하여 카르복실기가 과잉된 비율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이 폴리에스테르에,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디올, PTMG, 폴리옥시펜타메틸렌 디올 등의 폴리에스테르 디올을 더욱 반응시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락톤 폴리올로는, 개시제로서 ε-카프로락톤 등의 고리 형상 에스테르를 개환 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올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로는, 알킬렌카보네이트류와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등과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프로판-1,3-카보네이트)디올, 폴리(부탄-1,4-카보네이트)디올, 폴리(펜탄-1,5-카보네이트)디올, 폴리(헥산-1,6-카보네이트)디올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에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ㆍ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1,3-프로판 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5-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헥산-1,6-디이소시아네이트 및 3,3-디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등.
ㆍ고리 형상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1,3- 및 1,4-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
ㆍ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m- 및 p-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p-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하, MDI 라고 함), 4,4'-디페닐에테르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주석 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이하, 간 단히「예비중합체」라고 함) 를 제조하는 경우, 폴리올 (1) 과 (2) 의 사용 비율은, (1)/(2) 의 중량비가 5/95∼70/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90∼60/40 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로, 폴리올 (1) 1 몰에 대하여, 폴리올 (2) 는 1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 몰, 나아가 1∼20 몰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 (1) 및 폴리올 (2) 에 함유되는 수산기의 합계 1 몰에 대하여,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1.2∼3.0 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4∼2.0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값이 1.2 몰 미만일 때에는, 예비중합체의 점도가 매우 높아지므로 취급하기 곤란해지고, 3.0 몰을 초과하면 생성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강도, 신장 특성 등이 불충분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폴리올 (1) 의 수산기 수는 총 불포화도에서 계산한 불포화기 함유 모노올 성분의 수산기 수를 고려한 평균 수산기 수 (이하, 실질적인 평균 수산기 수)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의 실질적인 평균 수산기 수 (f) 는 하기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단, 폴리올중에 함유되는 불포화기 함유 모노올의 수평균 분자량을 Mnm,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을 Mnp, 폴리올의 개시제의 활성 수소 원자수 (N) 로서 Mnm = Mnp/N 으로 가정한다.
A = Mnm ×USV/1000.
Mnp = 56.11 ×1000 ×N/OHV
f = ((1-A) ×N/Mnp + A/Mnm)/((1-A)/Mnp + A/Mnm)
단, 수산기 값 : OHV, 총 불포화도 : USV.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0.5∼5 중량% 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슬 연장제 (B) 로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디아민 화합물 또는 폴리올 화합물이 사용되고, 특히 디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ㆍ디아민 화합물
방향족 고리를 갖는 디아민 화합물, 및 지방족 디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방향족 고리를 갖는 디아민 화합물로는, 방향족 고리에 직접 아미노기가 결합한 방향족계 디아민 화합물, 및 방향족 고리에 알킬렌기를 통하여 아민기가 결합된 디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즉, 방향족 고리를 갖는 디아민 화합물로는, 디아미노벤젠, 2,4-디아미노톨루엔, 2,6-디아미노톨루엔,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디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디에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5-디에틸-2,4-디아미노톨루엔, 3,5-디에틸-2,6-디아미노톨루엔, m-크실릴렌디아민, p-크실릴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으나, m-크실릴렌디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밖에, 지방족 디아민으로는,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 지환족 디아민으로는 이소포론디아민, 1,4-시클로헥산디아민, 피페라진, 피페라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ㆍ폴리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활성 수소 함유기를 2 이상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1,4-비스(2-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을 들 수 있으나, 1,4-부탄디올, 1,4-비스(2-히드록시에톡시)벤젠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매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 물에 용해되는 극성 용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고분자량 활성 수소 화합물인 폴리올 (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먼저 반응시키고, 그 반응 종료후, 다시 폴리올 (2) 를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켜, 본 발명에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를 합성한다. 이것을, 예를 들면 용매에 용해시켜 예비중합체 용액을 얻고, 그 후 이 예비중합체 용액에 사슬 연장제 (B) 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시키고, 농도가 15∼40 중량% 인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용액를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용액에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사슬 연장제 (B) 의 양은, 사슬 연장제 (B) 에 있어서의 아미노기 또는 수산기가 예비중합체 또는 예비중합체 용액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양의 80∼105 몰%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외에서는, 중합체 분자량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작아지는 등 성형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고강도의 수지 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이때, 중합체의 분자량 조절제로서, 예를 들면 디에틸아민, 디부틸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 등의 말단기 정지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중합체를 용액중에서, 사슬 연장제 (B) 와 반응시키는 사슬 연장 반응 (용액 중합) 시의 온도는 0∼30 ℃ 가 바람직하다. 이 미만의 온도이면, 예비중합체의 용해성이 저하되어 반응계가 불균일해지고, 반대로 이를 초과하는 온도이면,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아미노기의 반응이 이상하게 빨라져 반응을 제어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폴리올 (1), 폴리올 (2) 및 사슬 연장제 (B) 에 함유된 활성 수소 함유기의 몰수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함유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의 비가, 하기 식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활성 수소 함유기의 몰수) = 0.95∼1.10
상기 비의 값이, 상기 수치의 범위외이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어 내구성이 열화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밖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는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를 합성 피혁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용액을 용매 제거함으로써 합성 피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를 탄성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용액으로부터, 건식 방사법 또는 습식 방사법에 의하여 탄성사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각 예의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원료로서 하기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을 사용하였다.
폴리올 (A, B, D~F) 은, 분자량 400∼600 의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을 개시제로 하고, 아연 헥사시아노코발테이트 착체를 촉매로 하여 프로필렌 폴리옥시드를 부가하고, 이어서 이 촉매를 제거하여 제조된 것이다.
폴리올 (C) 은, 동일하게 프로필렌 옥시드를 부가하고, 이어서 이 촉매의 활성을 상실시킨 후, 알칼리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 옥시드를 부가하고, 그 후 정제하여 촉매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의 개시제의 활성 수소 원자수 (N'), 옥시프로필렌기 함유량 (PO), 수산기 값 (X) 및 총 불포화도 (Y), 실질적인 평균 수산기 수 (f') 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중, 폴리올 (PTMG) 은 호도가야 가가꾸사 제조의 PTMG, 상품명 "PTG 2000 SN" (분자량 2,000, 수산기 값 56) 을 말한다.


명칭 N' PO (중량%) X (㎎KOH/g) Y (meq/g) f'
폴리올 (A) 2 99.8 11 0.029 1.742
폴리올 (B) 3 99.1 17 0.025 2.575
폴리올 (C) 2 89.6 28 0.019 1.927
폴리올 (D) 3 98.2 33 0.019 2.818
폴리올 (E) 2 99.1 56 0.013 1.974
폴리올 (F) 3 96.9 56 0.013 2.924
폴리올 (G) 2 89.6 28 0.008 1.968
(실시예 1)
폴리올 (A) (177 부) 과 폴리올 (B) (78 부) 을 혼합하고, 실질적인 평균 수산기 수를 2.0 으로 하고, 여기에 MDI (147 부) 를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하에, 80 ℃ 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생성물의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11.55 중량% 이었다. 여기에 폴리올 (PTMG) (597 부) 를 첨가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다시 3 시간 동안 반응시킨 결과,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 2.14 중량% 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예비중합체 (P1)) 가 얻어졌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폴리올 화합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모두 반응한 경우의 이론치 2.25 중량% 보다 낮은 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반응은, 우레탄화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가능했다.
얻어진 예비중합체 (P1) 를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이하, DMAc 라고 함) 에 용해시켜, 고형분 30 중량% 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m-크실릴렌디아민 (0.75 부) 과 디에틸아민 (0.09 부) 의 혼합물을 30 % 의 농도가 되도록 DMAc 에 용해시킨 것을 경화제 용액으로 하여, 실온하에서 세게 교반한 상기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 (100 부) 에 적하하고, 중합 반응을 행하지 않고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얻었다.
DMAc 를 증발시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건고 (乾固) 시키고, 두께 200 ㎛ 의 필름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올 (C) (227 부) 과 폴리올 (D) (25 부) 을 혼합하고, 실질적인 평균 수산기 수를 2.0 으로 하고, 여기에 MDI (161 부) 를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하에, 80 ℃ 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생성물의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11.75 중량% 이었다. 여기에 N-4042 (니혼폴리우레탄 고오교샤 제조, 아디프산과 1,4-부탄디올과 에틸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 PES, 분자량 2,000, 수산기 값 56) (587 부) 을 첨가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다시 3 시간 동안 반응시킨 결과,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 2.35 중량% 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예비중합체 (P2)) 가 얻어졌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폴리올 화합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모두 반응한 경우의 이론치 2.39 중량% 보다 낮은 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반응은, 우레탄화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가능했다.
얻어진 예비중합체 (P2) 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이하, DMF 라고 함) 에 용해시켜, 고형분 30 중량% 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에틸렌디아민 (0.32 부) 과 디에틸아민 (0.2 부) 의 혼합물을 30 % 의 농도가 되도록 DMF 에 용해시킨 것을 경화제 용액으로 하여, 세게 교반한 15 ℃ 의 상기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 (100 부) 에 적하하고, 중합 반응을 행하지 않고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얻었다.
DMF 를 증발시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건고시키고, 두께 200 ㎛ 의 필름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올 (E) (235 부) 과 폴리올 (F) (10 부) 을 혼합하고, 실질적인 평균 수산기 수를 2.0 으로 하고, 여기에 MDI (184 부) 를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하에, 80 ℃ 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생성물의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11.90 중량% 이었다. 여기에 폴리올 (PTMG) (571 부) 를 첨가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다시 3 시간 동안 반응시킨 결과,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 2.60 중량% 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예비중합체 (P3)) 가 얻어졌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폴리올 화합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모두 반응한 경우의 이론치 2.71 중량% 보다 낮은 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반응은, 우레탄화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가능했다.
얻어진 예비중합체 (P3) 를 DMAc 에 용해시켜, 고형분 30 중량% 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m-크실릴렌디아민 (0.91 부) 과 디에틸아민 (0.11 부) 의 혼합물을 30 % 의 농도가 되도록 DMAc 에 용해시킨 것을 경화제 용액으로 하여, 세게 교반한 실온하의 상기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 (100 부) 에 적하하고, 중합 반응을 행하지 않고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얻었다.
DMAc 를 증발시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건고시키고, 두께 200 ㎛ 의 필름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올 (G) (227 부) 에 MDI (161 부) 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 80 ℃ 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생성물의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11.75 중량% 이었다. 여기에 PTMG (분자량 2,000, 수산기 값 56) (588 부) 를 첨가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다시 3 시간 동안 반응시킨 결과,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 2.35 중량% 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예비중합체 (P4)) 가 얻어졌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폴리올 화합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모두 반응한 경우의 이론치 2.39 중량% 보다 낮은 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반응은, 우레탄화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가능했다.
얻어진 예비중합체 (P4) 를 DMAc 에 용해시켜, 고형분 30 중량% 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m-크실릴렌디아민 (0.98 부) 과 디에틸아민 (0.16 부) 의 혼합물을 30 % 의 농도가 되도록 DMAc 에 용해시킨 것을 경화제 용액으로 하여, 실온하에서 세게 교반한 상기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 (100 부) 에 첨가하고, 중합 반응을 행하지 않고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얻었다.
DMAc 를 증발시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건고시키고, 두께 200 ㎛ 의 필름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올 (A) (177 부), 폴리올 (B) (78 부), 폴리올 PTMG (597 부) 및 MDI (147 부) 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 80 ℃ 에서 40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생성물 (예비중합체 (Q1)) 의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2.2 중량% 이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폴리올 화합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모두 반응한 경우의 이론치 2.2 중량% 가 되었기 때문에 반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나, 매우 장시간을 소요하였다.
얻어진 예비중합체 (Q1) 를 DMAc 에 용해시켜, 고형분 30 중량% 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m-크실릴렌디아민 (0.77 부) 과 디에틸아민 (0.092 부) 의 혼합물을 30 % 의 농도가 되도록 DMAc 에 용해시킨 것을 경화제 용액으로 하여, 세게 교반한 실온하의 상기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 (100 부) 에 적하하고, 중합 반응을 행하지 않고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얻었다.
DMAc 를 증발시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건고시키고, 두께 200 ㎛ 의 필름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올 (A) (659 부), 폴리올 (B) (292 부) 및 MDI (490 부) 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 80 ℃ 에서 30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생성물 (예비중합체 (Q2)) 의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0.72 중량% 이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은, 폴리올 혼합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모두 반응한 경우의 이론치 0.73 중량% 이하로 되었기 때문에 반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나, 매우 장시간을 소요하였다.
얻어진 예비중합체 (Q2) (30 부), 및 폴리올 (PTMG) 와 MDI 를 반응시켜 얻어진 이소시아네이트 함유율 2.1 중량% 의 예비중합체 (예비중합체 (Q3)) (70 부) 를 DMAc 에 용해시켜, 고형분 30 중량% 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m-크실릴렌디아민 (0.59 부) 과 디에틸아민 (0.07 부) 의 혼합물을 30 % 의 농도가 되도록 DMAc 에 용해시킨 것을 경화제 용액으로 하여, 세게 교반한 실온하의 상기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 (100 부) 에 적하하고, 중합 반응을 행하지 않고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얻었다.
DMAc 를 증발시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건고시키고, 두께 200 ㎛ 의 필름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예비중합체 (Q2) (30 부) 및 예비중합체 (Q3) (70 부) 를 DMF 에 용해시켜 고형분 30 중량% 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에틸렌디아민 (0.23 부) 과 디에틸아민 (0.14 부) 의 혼합물을 30 % 의 농도가 되도록 DMAc 에 용해시킨 것을 경화제 용액으로 하여, 세게 교반한 15 ℃ 의 상기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 (100 부) 에 적하하고, 중합 반응을 행하지 않고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얻었다.
DMAc 를 증발시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건고시키고, 두께 200 ㎛ 의 필름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각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에서 제조한 필름 형상의 시료를 실온에서 10 일 동안 양생하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또 한, 100 ℃ 에서 1 주일 동안 가열하고, 그의 파단 강도를 측정하여 파단의 유지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신장 (%) 100 % 모듈러스 (㎏/㎠) 파단 강도 (㎏/㎠)
실시예 1 950 15 290
실시예 2 900 23 350
실시예 3 930 28 450
실시예 4 960 23 430
비교예 1 650 13 90
비교예 2 850 14 210
비교예 3 800 10 80
파단 강도 (㎏/㎠) 파단 강도의 유지율 (%)
실시예 1 203 70
실시예 2 284 81
실시예 3 293 65
실시예 4 340 79
비교예 1 27 30
비교예 2 74 35
비교예 3 8 10
표 2 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는 비교예 1 에 비하여, 특히 신장, 파단 강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총 불포화도가 낮은 폴리올 (E, F, G) 을 사용한 실시예 3, 4 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는 신장, 100 % 모듈러스, 파단 강도의 모든 면에 있어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표 3 으로부터, 실시예 1 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는 비교예 1 에 비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40 ℃ 로 가열한 실시예 1 의 예비중합체 (P1) (100 부) 에, 40 ℃ 로 가열한 1,4-부탄디올 (이하, 1,4-BD 라고 함) (2.3 부) 을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 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120 ℃ 의 금속형 내에서 12 시간 반응시킨 후, 분쇄하여 단축 압출기로 펠릿화하고, 이것을 압출 성형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의 3 ㎜ 두께의 시이트를 얻었다.
(실시예 6)
90 ℃ 로 가열한 실시예 2 의 예비중합체 (P2) (100 부) 에, 110 ℃ 로 가열한 1,4-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이하, BHEB 라고 함) (5.5 부) 을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2 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120 ℃ 의 금속형 내에서 12 시간 반응시킨 후, 분쇄하여 단축 압출기로 펠릿화하였다. 이것을 압출 성형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의 3 ㎜ 두께의 시이트를 얻었다.
(실시예 7)
40 ℃ 로 가열한 실시예 3 의 예비중합체 (P3) (100 부) 에, 40 ℃ 로 가열한 1,4-BD (2.8 부) 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120 ℃ 의 금속형 내에서 12 시간 반응시킨 후, 분쇄하여 단축 압출기로 펠릿화하고, 이것을 압출 성형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의 3 미리 두께의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8)
40 ℃ 로 가열한 실시예 4 의 예비중합체 (P4) (100 부) 에, 40 ℃ 로 가열한 1,4-BD (2.5 부) 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120 ℃ 의 금속형 내에서 12 시간 반응시킨 후, 분쇄하여 단축 압출기로 펠릿화하고, 이것을 압출 성형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의 3 미리 두께의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4)
90 ℃ 로 가열한 비교예 1 의 예비중합체 (Q1) (100 부) 에, 110 ℃ 로 가열한 BHEB (5.2 부) 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2 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120 ℃ 의 금속형 내에서 12 시간 반응시킨 후, 분쇄하여 단축 압출기로 펠릿화하고, 이것을 압출 성형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의 3 미리 두께의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5)
예비중합체 (Q2) (30 부) 와 예비중합체 (Q3) (70 부) 를 40 ℃ 로 가열하고, 여기에 40 ℃ 로 가열한 1,4-BD (1.81 부) 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120 ℃ 의 금속형 내에서 12 시간 반응시킨 후, 분쇄하여 단축 압출기로 펠릿화하고, 이것을 압출 성형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의 3 미리 두께의 시트를 얻었다.
상기의 각 실시예 5∼7 및 비교예 4∼5 에서 제조한 시트 형상의 시료를 실온에서 10 일 동안 양생하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내었다. 또한, 100 ℃ 에서 1 주일 동안 가열하고, 그의 파단 강도를 측정하여 파단 강도의 유지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내었다.
신장 (%) 100 % 모듈러스 (㎏/㎠) 파단 강도 (㎏/㎠)
실시예 5 1050 17 270
실시예 6 950 20 320
실시예 7 970 21 350
실시예 8 980 20 350
비교예 4 650 11 60
비교예 5 500 10 30


파단 강도 (㎏/㎠) 파단 강도의 유지율 (%)
실시예 5 175 65
실시예 6 224 70
실시예 7 210 60
실시예 8 200 57
비교예 4 18 30
비교예 5 7 23
표 4 에서, 실시예 5 의 폴리우레탄 수지는 비교예 4 에 비하여, 특히 신장 및 파단 강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 5 로부터, 실시예 4 의 폴리우레탄 수지는 비교예 4 에 비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폴리올로서, 폴리올 (E), 폴리올 (F) 및 폴리올 (PTMG) 을 병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그 때, 폴리올 (E), 폴리올 (F) 및 폴리올 (PTMG) 의 혼합 비율을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실시예 9-1 ∼ 9-5 는 반응계에 모든 폴리올을 일괄하여 투입하고, MDI 와 반응시킨 일괄 합성 (비교예에 상당) 이며, 실시예 9-6 ∼ 9-8 은 폴리올 (E) 와 폴리올 (F) 만을 먼저 MDI 와 반응시키고, 반응 종결 후, 다시 폴리올 (PTMG) 를 반응시키는 2 단 합성 (실시예에 상당) 이다. 어느 것이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은 1.9 중량% 로 하였다.



실시예 폴리올 (E) (부) 폴리올 (F) (부) 폴리올 (PTMG) (부) MDI (부) 신장 (%) 파단 강도 (㎏/㎠)
9-1 80.0 3.4 0 16.6 750 230
9-2 64.0 2.7 16.7 16.6 790 250
9-3 40.0 1.7 41.7 16.7 820 305
9-4 16.0 0.7 66.6 16.7 850 380
9-5 0 0 83.3 16.7 890 450
9-6 64.0 2.7 16.7 16.6 810 305
9-7 40.0 1.7 41.7 16.7 905 390
9-8 16.0 0.7 66.6 16.7 920 430
얻어진 예비중합체를 각각 DMAc 에 용해시켜, 고형분 30 % 의 우레탄 예비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m-크실릴렌디아민 (0.83 부) 과 디에틸아민 (0.10 부) 의 혼합물을 30 % 의 농도가 되도록 DMAc 에 용해시킨 것을 경화제 용액으로 하여, 실온하에서 세게 교반한 상기 예비중합체 용액 (100 부) 에 적하하고, 중합 반응을 행하지 않고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얻었다.
DMAc 를 증발시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용액을 건고시키고, 두께 200 ㎛ 의 필름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필름상의 시료를 실온에서 10 일 동안 양생하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7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2 와 예 9-6 의 비교, 예 9-3 과 예 9-7 의 비교, 및 예 9-4 와 예 9-8 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성이 같아도 제조 방법의 차이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의 물성이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얻을 때,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을 PTMG 또는 PES 화합물과 병용해도 반응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강도와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고분자량 활성 수소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및 사슬 연장제 (B)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가, 하기 폴리올 (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하기 폴리올 (2) 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폴리올 (1) : 수산기 값 5 이상 70 이하, 총 불포화도 0.07 이하, 옥시프로필렌기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폴리올 (2) :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에서 선택되는 폴리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1) 이,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복합 금속 시안화물 착체 촉매를 사용하여 모노에폭시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인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합성 피혁 또는 탄성사에 사용되는 폴리우 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4. 고분자량 활성 수소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및 사슬 연장제 (B) 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가, 하기 폴리올 (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하기 폴리올 (2) 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
    폴리올 (1) : 수산기 값 5 이상 70 이하, 총 불포화도 0.07 이하, 옥시프로필렌기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폴리올 (2) :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에서 선택되는 폴리올.
  5. 고분자량 활성 수소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및 사슬 연장제 (B) 를 용매중에서 반응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로서, 하기 폴리올 (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하기 폴리올 (2) 를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다 존재하는 조건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
    폴리올 (1) : 수산기 값 5 이상 70 이하, 총 불포화도 0.07 이하, 옥시프로필렌기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폴리올 (2) :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에서 선택되는 폴리올.
  6. 제 5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 및 사슬 연장제 (B) 를 용매중에서, 0∼30 ℃ 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
  7.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1) 이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복합 금속 시안화물 착체 촉매를 사용하여 모노에폭시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인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
  8.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1) 과 상기 폴리올 (2) 의 사용 비율이, (1)/(2) 의 중량비가 5/95∼70/40 이 되는 비율인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
  9.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 피혁 또는 탄성사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0007012861A 1999-03-17 2000-03-17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37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71584 1999-03-17
JP7158499 1999-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359A KR20010052359A (ko) 2001-06-25
KR100637640B1 true KR100637640B1 (ko) 2006-10-23

Family

ID=1346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861A KR100637640B1 (ko) 1999-03-17 2000-03-17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03997B1 (ko)
EP (1) EP1110984B1 (ko)
JP (1) JP4586271B2 (ko)
KR (1) KR100637640B1 (ko)
CN (1) CN1136246C (ko)
AU (1) AU763608B2 (ko)
CA (1) CA2331753A1 (ko)
DE (1) DE60021999T2 (ko)
HK (1) HK1035547A1 (ko)
TW (1) TWI247762B (ko)
WO (1) WO2000055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0846B2 (ja) * 1999-06-10 2009-08-26 旭硝子株式会社 光硬化性組成物
US20030092848A1 (en) * 2001-09-11 2003-05-15 Ashok Sengupta Sprayable liner for supporting the rock surface of a mine
JPWO2003074582A1 (ja) * 2002-03-07 2005-06-30 旭硝子株式会社 熱硬化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06163B2 (en) 2002-05-30 2005-06-14 Bayer Materialscience Llc Prepolymer catalysts suitable for preparing spandex fibers
US6903179B2 (en) * 2002-05-30 2005-06-07 Bayer Materialscience Llc Polyurethane/ureas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spandex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CN100415794C (zh) * 2003-07-24 2008-09-03 旭硝子株式会社 聚氨酯树脂及其制造方法
EP2955567A1 (en) * 2003-09-09 2015-12-16 Insight Equity A.P.X., LP Photochromic polyurethane laminate
US20050215748A1 (en) * 2004-03-29 2005-09-29 Milbocker Michael T Surgical adhesiv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CN100484981C (zh) * 2004-03-30 2009-05-06 东丽株式会社 片状物和内装饰材料
JP3905895B2 (ja) * 2004-04-05 2007-04-18 住化バイエルウレタン株式会社 低硬度熱硬化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304712C (zh) * 2004-06-04 2007-03-14 何建 聚氨酯弹性地板砖
WO2006043568A1 (ja) * 2004-10-20 2006-04-27 Asahi Glass Company, Limited ウレタン樹脂溶液、その製造方法及び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
EP1803757A4 (en) * 2004-10-21 2009-05-06 Asahi Glass Co Ltd POLYURETHANE RES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URETHANE RESIN SOLUTION
PL2106415T3 (pl) * 2007-01-19 2016-10-31 Trzeciorzędowe aminy zablokowane kwasami polimerowymi
DE102008043218A1 (de) * 2008-09-24 2010-04-01 Evonik Goldschmidt Gmbh Polymere Werkstoffe sowie daraus bestehende Kleber- und Beschichtungsmittel auf Basis multialkoxysilylfunktioneller Präpolymerer
WO2015084635A1 (en) * 2013-12-02 2015-06-1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Stable Polyol Composition for Polyurethane Elastomers
CA2971169A1 (en) 2014-12-30 2016-07-07 Telomere Diagnostics, Inc. Multiplex quantitative pcr
JP7300314B2 (ja) * 2019-05-27 2023-06-29 東レ・オペロンテ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010894B (zh) * 2022-06-30 2023-09-19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合成革用聚氨酯-聚脲水分散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3712A (ja) 1989-04-25 1990-11-21 Asahi Glass Co Ltd ポリウレタン系エラストマーおよびその製造法
US5106874A (en) 1989-06-16 1992-04-21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elastomeric polyurethane or polyurethane-urea polymers, and polyurethanes so prepared
JPH07206965A (ja) 1994-01-20 1995-08-08 Sanyo Chem Ind Ltd ポリウレタン系硬化性組成物
US5677413A (en) * 1995-06-15 1997-10-14 Arco Chemical Technology, L.P. Polyurethane elastomers exhibiting improved demold green strength and water absorption and haze-free polyols suitable for their preparation
US5670601A (en) 1995-06-15 1997-09-23 Arco Chemical Technology, L.P. Polyurethane elastomers having improved green strength and demold time and polyoxyalkylene polyols suitable for their preparation
US5648447A (en) * 1995-12-22 1997-07-15 Arco Chemical Technology, L.P. Elastomeric polyurethanes with improved properties based on crystallizable polyols in combination with low monol polyoxpropylene polyols
AU3540997A (en) * 1996-07-10 1998-02-02 Basf Aktiengesellschaft Compositions of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s and polyoxy alkylene polyether polyols having a low degree of unsaturation
US5998574A (en) * 1996-07-10 1999-12-07 Basf Corporation Compositions of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s and polyoxy alkylene polyether polyols having a low degree of unsaturation
US5691441A (en) * 1996-10-11 1997-11-25 Arco Chemical Technology, L.P. Spandex elastomers
JPH10130360A (ja) 1996-10-25 1998-05-19 Asahi Glass Co Ltd 反応硬化性組成物
EP0881244A3 (de) 1997-05-27 2000-01-19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Polyuretha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1999T2 (de) 2006-05-18
JP4586271B2 (ja) 2010-11-24
CA2331753A1 (en) 2000-09-21
WO2000055230A1 (fr) 2000-09-21
DE60021999D1 (de) 2005-09-22
EP1110984B1 (en) 2005-08-17
HK1035547A1 (en) 2001-11-30
TWI247762B (en) 2006-01-21
AU3194400A (en) 2000-10-04
EP1110984A4 (en) 2003-01-02
EP1110984A1 (en) 2001-06-27
CN1296502A (zh) 2001-05-23
US6503997B1 (en) 2003-01-07
AU763608B2 (en) 2003-07-31
KR20010052359A (ko) 2001-06-25
CN1136246C (zh)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640B1 (ko) 폴리우레탄계/폴리우레탄우레아계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EP1546229B1 (en)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urea elastomers from polytrimethylene ether glycol
US5340902A (en) Spandex fibers made using low unsaturation polyols
US5959059A (en) Thermoplastic polyether urethane
US5545706A (en) PTMEG polyurethane elastomers employing monofunctional polyethers
EP0631593A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and polyurea elastomers
JPH06501506A (ja) ポリオールを使用して製造される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及びポリ尿素エラストマー
US3997514A (en) Polyurethane elastomers having a compression set of 50 or less
WO2005010068A1 (ja) ポリウレタン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32737A (ko) 개선된 물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탄/우레아열-경화 및 수분-경화 엘라스토머
RU219889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эластомеры типа спандекса
JP2000072840A (ja) 合成皮革用または弾性糸用ポリウレタンウレア樹脂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4027054A (ja) 新規なポリオールによるポリウレタン樹脂
JP4106827B2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系樹脂の製造方法、及び合成皮革・弾性糸用ポリウレタンウレア系樹脂
JP4106828B2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系樹脂の製造方法、及び合成皮革・弾性糸用ポリウレタンウレア系樹脂
JP2000086740A (ja) 合成皮革用または弾性糸用ポリウレタンウレア樹脂の製造方法
US5166299A (en) Polyurethanes comprising the reaction product of an isocyanate prepolymer and isomers of di(methylthio)-diaminotoluene
JP2000103831A (ja) 合成皮革用または弾性糸用ポリウレタンウレア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30613B2 (ko)
JP2008174761A (ja) 新規なポリオールによるポリウレタン樹脂
JPH03281659A (ja) 高剛性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S60135422A (ja) ポリウレタン系エラストマ−の製造法
JPH09316153A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系エラスト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