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930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930B1
KR100636930B1 KR1020040114106A KR20040114106A KR100636930B1 KR 100636930 B1 KR100636930 B1 KR 100636930B1 KR 1020040114106 A KR1020040114106 A KR 1020040114106A KR 20040114106 A KR20040114106 A KR 20040114106A KR 100636930 B1 KR100636930 B1 KR 100636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lock
data strobe
strobe signal
signal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5332A (ko
Inventor
하성주
조호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11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930B1/ko
Priority to US11/115,351 priority patent/US7161856B2/en
Priority to JP2005134007A priority patent/JP4394607B2/ja
Publication of KR2006007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930B1/ko
Priority to US11/606,928 priority patent/US723086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스레이턴시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주파수의 tCK의 변화에 따라 tDQSS 마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는,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신호 각각에 의해 제어되어 내부클럭신호를 지연하는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와, 입력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데이터래치 제어신호 및 상기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의 출력을 논리조합하는 논리조합부와, 상기 논리조합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 펄스를 갖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 1a 도 1b는 종래의 클럭과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와의 타이밍도 및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에 의해 래치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동작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동작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동작 타이밍도.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스레이턴시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주파수의 tCK의 변화에 따라 tDQSS 마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DRAM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의 시스템 클럭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싱크로너스 DRAM(synchronous DRAM; 이하 SDRAM)이 개발되었다. 또한, 데이터 처리 속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 클럭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 동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중데이터 율(Double Data Rate; 이하, DDR) SDRAM과 램버스 디램(Rambus DRAM)이 개발되었다.
DDR SDRAM의 경우 데이터가 고속으로 전송되므로 소스 싱크로너스 인터페이스(source synchronous interface)를 사용한다. 이는 데이터의 입출력이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와 같이 만들어진 데이터 스트로브신호(data strobe signal: 이하, DQS)에 동기되어 전달된다.
도 1a 도 1b는 종래의 클럭과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와의 타이밍도 및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에 의해 래치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종래의 클럭신호 CLK, 데이터스트로브신호 DQS1, DQS2의 타이밍도를 도시하고 있다. JEDEC 규격에서 DDR1의 tDQSS(클럭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의 첫 라이징 에지까지의 시간)는 0.75*tCK ~ 1.25*tCK로 규정하고, DDR2의 tDQSS는 WL(Write Latency: 라이트 명령이 입력된 후 데이터가 입력되기까지의 시간)-0.25*tCK~ WL+0.25*tCK로 규정하고 있다.
이하, DDR1의 예를 이용하여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와 tDQSS 마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DDR1의 경우 데이터스트로브신호 DQS의 하강 엣지 또한 0.75*tCK ~ 1.25*tCK의 범위 즉, 0.5*tCK 만큼의 마진을 가질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스트로브신호간의 스큐는 tDQSS로 나타나는데, 가장 빠른 데이터 스트로브신호(DQS1)의 경우 라이트 명령으로부터 0.75 tCK 후 인에이블될 수 있고, 가장 늦은 데이터 스트로브신호(DQS2)의 경우 라이트 명령으로부터 1.25 tCK 후 인에이블되어 동작한다. 즉, 하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도 라이트 동작이 수행될 때마다 항상 동일한 타이밍에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환경변화에 따라 빠르게 혹은 늦게 입력된다.
이 경우, 각각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에 정렬된 데이터(align_first/second_data)는 0.5 tCK 만큼의 스큐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라이트 명령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가장 늦은 데이터는 제 2 라이트 명령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중 가장 빠른 데이터가 인에이블되기 전에 클럭 도메인의 제어신호가 아닌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래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에 정렬된 데이터는 도메인 크로스 부분(데이터 스트로브 도메인에서 클럭 도메인으로 데이터가 전이되는 부분)에서 0.5 tCK 만큼의 타이밍 마진을 갖게 되고, tDQSS 값은 0.25 tCK 만큼의 셋업홀드(setup/hold) 마진을 갖게 된다.
그러나, 메모리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tCK값이 달라지므로 모든 동작주파수의 tCK에서 충분한 tDQSS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도 2는 종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세부 구성도이다.
종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는 인버터 IV1, IV2, 지연부(10), 낸드 게이트 ND1, 및 펄스발생부(20)를 구비한다.
인버터 IV1는 내부클럭신호 ICLK를 반전하고, 인버터 IV2는 데이터 래치제어신호 DLC를 반전한다. 여기서, 내부클럭신호 ICLK는 외부클럭신호 CLK를 지연시킨 신호로서 내부 동작의 기준이 되는 클럭신호이고, 데이터 래치제어신호 DLC는 라이트 동작시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지연부(10)는 인버터 IV1의 출력신호를 지연시킨다. 이때, 지연부(10)의 지연시간에 따라 tDQSS가 조절되고, 지연부(10)는 지연시간을 미리 설정한다.
낸드게이트 ND1는 인버터 IV2의 출력신호와 지연부(10)의 출력신호를 낸드연산한다.
펄스발생부(20)는 낸드게이트 ND1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펄스를 갖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DSTB를 출력한다. 즉, 펄스발생부(20)는 내부클럭신호 ICLK가 하이레벨로 천이하면 내부에 지정된 딜레이 만큼의 폭을 갖는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클럭신호 ICLK가 인가되고, 데이터 래치제어신호 DLC가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면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DSTB가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된다. 즉, 데이터 래치제어신호 DLC가 로우레벨인 동안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DSTB가 생성된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동작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tCK 값의 변화와 무관하게 지연부(10)에 설정된 지연시간에 따라서 tDQSS를 조절함으로써, 동작 주파수가 변화하여 tCK값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충분한 tDQSS 마진을 확보하는 것에 한계가 있 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스레이턴시 신호를 이용하여 tCK의 변화에 따라 각 tCK에 대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각각 조절하도록 하여 각 tCK에 대하여 충분한 tDQSS 마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는,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신호 각각에 의해 제어되어 내부클럭신호를 지연하는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와, 입력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데이터래치 제어신호 및 상기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의 출력을 논리조합하는 논리조합부와, 상기 논리조합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 펄스를 갖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는 내부클럭지연부(100~ 300), 논리조합부(400), 및 펄스발생부(500)를 구비한다.
내부클럭지연부(100)는 낸드게이트 ND2, 지연부(101), 및 전송게이트 T1를 구비한다. 낸드게이트 ND2는 내부클럭신호 ICLK와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를 낸드연 산한다. 지연부(101)는 낸드게이트 ND2의 출력신호를 지연하여 출력한다. 전송게이트 T1는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 CL1b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부(101)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내부클럭지연부(200)는 낸드게이트 ND3, 지연부(201), 및 전송게이트 T2를 구비한다. 낸드게이트 ND3는 내부클럭신호 ICLK와 카스레이턴시 신호 CL2를 낸드연산한다. 지연부(201)는 낸드게이트 ND3의 출력신호를 지연하여 출력한다. 전송게이트 T2는 카스레이턴시 신호 CL2, CL2b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부(201)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내부클럭지연부(300)는 낸드게이트 ND4, 지연부(301), 및 전송게이트 T3를 구비한다. 낸드게이트 ND4는 내부클럭신호 ICLK와 카스레이턴시 신호 CL6를 낸드연산한다. 지연부(301)는 낸드게이트 ND4의 출력신호를 지연하여 출력한다. 전송게이트 T3는 카스레이턴시 신호 CL6, CL6b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부(301)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이때, 내부클럭지연부(100~300)의 각각의 지연부(101~ 301)는 카스레이턴시신호 CL1~ CL6에 따라 지연시간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도록 한다.
논리조합부(400)는 인버터 IV3 및 낸드게이트 ND5를 구비한다.
인버터 IV3는 데이터 래치제어신호 DLC을 반전시키고, 낸드게이트 ND5는 인버터 IV3의 출력신호와 선택적으로 수신한 전송게이트 T1~ T3의 출력을 낸드연산한다. 여기서, 내부클럭신호 ICLK는 외부클럭신호 CLK를 지연시킨 신호로서 내부 동작의 기준이 되는 클럭신호이고, 데이터 래치제어신호 DLC는 라이트 동작시 외부에 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이때,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 CL6는 리드명령이 입력된 후 데이터를 출력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즉, 리드명령이 입력된 후 데이터가 출력되기까지의 일정 소요시간을 클럭수로 환산하면 동작주파수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들어, 리드명령이 입력되고 데이터가 출력되는데 10ns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자. 한 클럭주기 tCK가 2ns일 경우 10ns의 시간을 위해서 5클럭(CL5)이 필요하고, tCK가 3ns일 경우 4클럭(CL4)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카스레이턴시신호 CL1~ CL6는 모드레지스터셋팅부(mode register setting;이하,MRS)(미도시)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들어, MRS(미도시)에 CL2를 사용하도록 설정되면 MRS(미도시)를 다시 설정하여 변경할때 까지 CL2신호만 계속 하이레벨값을 갖고 지연부(200)만 구동되어 전송게이트 T2를 통해 지연부(200)의 출력이 낸드게이트 ND5의 입력단으로 전달된다.
낸드게이트 ND5는 인버터 IV3의 출력과 전송게이트 T1~ T3의 출력신호를 낸드연산하여 출력한다.
펄스발생부(400)는 낸드게이트 ND7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내부에 지정된 딜레이 만큼의 폭을 갖는 펄스를 생성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도 5는 도 4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동작 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MRS(미도시)가 카스레이턴시 CL2를 설정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카스레이턴시 신호 CL2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고 나머지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 CL3~ CL6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된다.
그에 따라, 카스레이턴시 신호 CL2에 의한 내부클럭지연부(200)의 전송게이트 T2만 구동되어 지연부(201)의 출력신호를 낸드게이트 ND5의 입력으로 출력한다.
즉,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는 카스레이턴시 신호 CL2에 따른 지연부(201)에 의해 내부클럭신호 ICLK를 지연시켜 데이터스트로브신호 DSTB를 출력함으로써 tDQSS의 마진을 확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는 카스레이턴시 조합부(600), 내부클럭지연부(700, 800), 논리조합부(900), 및 펄스발생부(1000)를 구비한다.
카스레이턴시 조합부(600)는 제 1 및 제 2 카스레이턴시 조합부(601, 602)를 구비한다. 제 1 카스레이턴시 조합부(601)는 노아게이트 NOR1 및 인버터 IV5를 구비한다. 노아게이트 NOR1는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 CL3를 노아연산하여 조합바신호 CL123b를 출력하고, 인버터 IV5는 조합바신호 CL123b를 반전시켜 조합신호 CL123를 출력한다.
제 2 카스레이턴시 조합부(602)는 노아게이트 NOR2 및 인버터 IV6를 구비한다. 노아게이트 NOR2는 카스레이턴시 신호 CL4~ CL6를 노아연산하여 조합바신호 CL456b를 출력하고, 인버터 IV6는 조합바신호 CL456b를 반전시켜 조합신호 CL456를 출력한다.
내부클럭지연부(700)는 낸드게이트 ND6, 지연부(701), 및 전송게이트 T4를 구비한다. 낸드게이트 ND6는 내부클럭신호 ICLK와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23를 낸드연산하고, 지연부(701)는 낸드게이트 ND6의 출력을 지연하여 출력한다. 전송게이트 T4는 조합신호쌍 CL123, CL123b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부(701)의 출력신호를 전달한다.
내부클럭지연부(800)는 낸드게이트 ND7, 지연부(801), 및 전송게이트 T5를 구비한다. 낸드게이트 ND7는 내부클럭신호 ICLK와 카스레이턴시 신호 CL456를 낸드연산하고, 지연부(801)는 낸드게이트 ND7의 출력을 지연하여 출력한다. 전송게이트 T5는 조합신호쌍 CL456, CL456b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부(801)의 출력신호를 전달한다.
논리조합부(900)는 인버터 IV4 및 낸드게이트 ND8를 구비한다.
인버터 IV4는 데이터 래치 제어신호 DLC를 반전하고, 낸드게이트 ND8는 인버터 IV4의 출력신호 및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전송게이트 T4, T5의 출력을 낸드연산한다.
펄스발생부(1000)는 낸드게이트 ND8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내부에 지정된 딜레이 만큼의 폭을 갖는 펄스신호 DSTB를 생성시킨다.
이하, 도 7의 동작타이밍도를 참조하여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MRS(미도시)가 카스레이턴시 CL2를 설정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카스레이턴시 신호 CL2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고 나머지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 CL3~ CL6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어, 조합신호 CL123는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고 조합신호 CL456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된다.
그에 따라,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23에 의한 내부클럭지연부(700)의 전송게이트 T4만 구동되어 지연부(701)의 출력신호를 낸드게이트 ND6의 입력으로 출력한다.
즉,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는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23에 따른 지연부(701)에 의해 내부클럭신호 ICLK를 지연시켜 데이터스트로브신호 DSTB를 출력함으로써 tDQSS의 마진을 확보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동작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카스레이턴시 신호 CL1~ CL6에 따라 내부클럭신호 ICLK의 지연시간을 조절함으로써 tDQSS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스레이턴시 신호를 이용하여 tCK의 변화에 따라 각 tCK에 대한 데이터 스트로브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각각 조절하도록 하여 각 tCK에 대하여 충분한 tDQSS 마진을 확보할 수 있어 페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신호 각각에 의해 제어되어 내부클럭신호를 지연하는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
    입력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데이터래치 제어신호 및 상기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의 출력을 논리조합하는 논리조합부; 및
    상기 논리조합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 펄스를 갖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는,
    상기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신호 중 하나와 상기 내부클럭신호를 논리연산하는 논리연산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을 지연하는 지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신호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송게이트;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연산부는 낸드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조합부는,
    상기 데이터래치 제어신호와 상기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의 출력을 낸드연산하는 낸드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5.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조합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내부클럭신호를 지연하는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
    입력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데이터래치 제어신호 및 상기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의 출력을 논리조합하는 논리조합부;
    상기 논리조합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 펄스를 갖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 및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조합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조합부는,
    상기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신호를 논리조합하는 논리연산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연산부는 노아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는,
    상기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조합신호 중 하나와 상기 내부클럭신호를 논리연산하는 논리연산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을 지연하는 지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카스레이턴시 조합신호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송게이트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연산부는 낸드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조합부는,
    상기 데이터래치 제어신호와 상기 복수개의 내부클럭지연부의 출력을 낸드연 산하는 낸드게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KR1020040114106A 2004-12-28 2004-12-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KR100636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06A KR100636930B1 (ko) 2004-12-28 2004-12-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US11/115,351 US7161856B2 (en) 2004-12-28 2005-04-27 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5134007A JP4394607B2 (ja) 2004-12-28 2005-05-02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データストローブ信号発生回路
US11/606,928 US7230864B2 (en) 2004-12-28 2006-12-01 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06A KR100636930B1 (ko) 2004-12-28 2004-12-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332A KR20060075332A (ko) 2006-07-04
KR100636930B1 true KR100636930B1 (ko) 2006-10-19

Family

ID=3661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106A KR100636930B1 (ko) 2004-12-28 2004-12-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161856B2 (ko)
JP (1) JP4394607B2 (ko)
KR (1) KR100636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8307B2 (en) * 2005-09-29 2010-06-15 Hynix Semiconductor, Inc. Data transmission devic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549092B2 (en) * 2005-09-29 2009-06-16 Hynix Semiconductor, Inc. Output controller with test unit
KR100784905B1 (ko) 2006-05-04 2007-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US7948812B2 (en) 2006-11-20 2011-05-24 Rambus Inc. Memory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hase adjusting a write strobe and data to account for receive-clock drift
US8504788B2 (en) 2006-12-20 2013-08-06 Rambus Inc. Memory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for read signal timing calibration
KR100930401B1 (ko) * 2007-10-09 2009-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898176B1 (ko) * 2012-05-25 2018-09-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제어회로
US9230621B2 (en) 2013-03-05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ignal reshaping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89861B1 (ko) * 2018-07-30 2019-06-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제어회로
US11575385B2 (en) * 2020-11-06 2023-02-07 U-Blox Ag Controlling synchronous I/O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705B1 (ko) 1999-03-03 2001-10-29 윤종용 포스티드 카스 레이턴시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카스 레이턴시 제어 방법
US6275441B1 (en) * 1999-06-11 2001-08-14 G-Link Technology Data input/output system for multiple data rate memory devices
JP4113338B2 (ja) * 2001-04-10 2008-07-09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KR100448702B1 (ko) 2001-08-01 2004-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라이트 레이턴시 제어방법
JP2003059298A (ja) * 2001-08-09 2003-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00403635B1 (ko) * 2001-11-06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 및 데이터입력 방법
US6909315B2 (en) 2002-03-20 2005-06-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robe signals (DQS) for high spe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 (DRAMs)
JP2003272382A (ja) * 2002-03-20 2003-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760261B2 (en) 2002-09-25 2004-07-06 Infineon Technologies Ag DQS postamble noise suppression by forcing a minimum pulse length
JP4181847B2 (ja) 2002-10-25 2008-11-19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タイミング調整回路、半導体装置及びタイミング調整方法
KR100468776B1 (ko) 2002-12-10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락 지터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기식 반도체메모리장치
KR100522433B1 (ko) 2003-04-29 2005-10-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도메인 크로싱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30864B2 (en) 2007-06-12
US7161856B2 (en) 2007-01-09
JP2006190433A (ja) 2006-07-20
US20070076493A1 (en) 2007-04-05
KR20060075332A (ko) 2006-07-04
JP4394607B2 (ja) 2010-01-06
US20060140021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4607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データストローブ信号発生回路
KR102403339B1 (ko) 데이터 정렬 장치
KR101589542B1 (ko) 라이트드라이빙 장치
KR20100041199A (ko)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83140B1 (ko) 데이터 출력 제어회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US7715252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557636B1 (ko) 클럭신호를 이용한 데이터 스트로브 회로
US8483005B2 (en) Internal signal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50101858A (ko) 디디알 에스디램의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US779196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929845B1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668829B1 (ko) 메모리 장치용 데이타 출력 제어 회로
KR100951657B1 (ko)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버퍼 장치
KR100668517B1 (ko) 테스트장치를 구비하는 출력 제어장치
KR100818709B1 (ko) 프리앰블 구간 제어회로
US8248863B2 (en) Data buffer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8000197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회로
KR100853465B1 (ko) 내부리드신호 생성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20060054609A (ko) 동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499632B1 (ko) 출력인에이블 신호 발생장치
KR100930403B1 (ko) 모드 레지스터 세트 신호 생성 회로
KR100600049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KR100870422B1 (ko) 패스트신호제어회로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장치
KR20090093305A (ko)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
KR20090103497A (ko) 데이터 입력 버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