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150B1 -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외틀화상 작성 장치, 외틀 화상 작성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외틀화상 작성 장치, 외틀 화상 작성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150B1
KR100634150B1 KR1020050004934A KR20050004934A KR100634150B1 KR 100634150 B1 KR100634150 B1 KR 100634150B1 KR 1020050004934 A KR1020050004934 A KR 1020050004934A KR 20050004934 A KR20050004934 A KR 20050004934A KR 100634150 B1 KR100634150 B1 KR 100634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ne
outline
parenthesis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930A (ko
Inventor
다나카세이지
츠지아키노리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57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02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579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3411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전후 한 쌍의 한쪽을 구성하는 괄호형상 화상의 괄호형상 외형부와 그 개구 양단을 연결하는 결선부로 이루어지는 단일 폐곡선을 외형선으로 하는 원외형(原外形)을 나타내는 아웃라인 폰트의 원외형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높이와 선폭을 결정하여, 결정된 높이로 내부를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한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과, 그보다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선폭분만큼 작은 제2 사이즈의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고,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선폭분만큼 어긋나게 하여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을 갖는 괄호형상 화상을 작성한다.

Description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외틀 화상 작성 장치, 외틀 화상 작성 방법 및 기억매체{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BRACKET IMAG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OUTER FRAME IMAGE,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 인쇄 장치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b는 인쇄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시 화면, 그 표시 화면 상에서의 전형적 조작, 및, 그 인쇄에 의한 인쇄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a 내지 도 4c는 괄호형상 화상, 인쇄 화상, 라벨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a 내지 도 5d는 괄호형상 화상의 작성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a 내지 도 6c는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5a 내지 도 5d와 동일한 설명도,
도 7a 내지 도 7d는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5a 내지 도 5d와 동일한 설명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동일하게 작성 가능한 괄호형상 화상의 각종예를 도시하 는 설명도,
도 9a 내지 도 9c는 장식용의 외틀 화상을 포함하는 인쇄 화상의 각종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a 내지 도 9c에서 이용되는 전후 캐릭터 화상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윤곽 조정 화상 및 그것에 의한 윤곽 조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11a 내지 도 11c와 동일한 설명도,
도 13a, 도 13b는 윤곽 조정 화상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11a 내지 도 11c와 동일한 설명도,
도 15a 내지 도 15d는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11a 내지 도 11c와 동일한 설명도,
도 16a 내지 도 16d는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11a 내지 도 11c와 동일한 설명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11a 내지 도 11c와 동일한 설명도,
도 18a, 도 18b는 윤곽 조정 화상 및 그 원(元)데이터의 각종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인쇄 장치 2 : 장치 케이스
3 : 키보드 4 : 디스플레이
7 : 인쇄 헤드 11 : 조작부
12 : 인쇄부 13 : 절단부
14 : 검출부 15 : 구동부
20 : 제어부 C : 테이프 카트리지
LDxx : 하부 괘선 LUxx : 상부 괘선
Fxx : 전부 캐릭터(괄호) 화상 Rxx : 후부 캐릭터(괄호) 화상
FxxD, RxxD : 하부 인출선
FxxU, RxxU : 상부 인출선
T : 테이프
본 발명은, 외틀 화상의 일부 등으로서 이용되는 괄호형상 화상을 작성하는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전부 캐릭터 화상과 후부 캐릭터 화상과 그 사이를 연결하는 상하의 괘선으로 이루어지는 외틀 화상을 작성하는 외틀 화상 작성 장치, 외틀 화상 작성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인장 화상 등을 작성하는 경우에, 전후 한 쌍의 괄호의 화상을 배치해 두고, 그 사이를 괘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외틀의 화상을 작성하는 방법이나, 전후 한 쌍의 괄호형상 화상을 캐릭터 화상(전부 캐릭터 화상과 후부 캐릭터 화상)으로서 배치해 두고, 그 사이를 괘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외틀 화상을 작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9-234848호 공보의 도 35 및 단락 [0145]∼[0147] 등 참조).
이 종류의 외틀의 화상(외틀 화상)을 필요에 따라서 각종의 사이즈로 작성하는 경우, 그 길이방향의 사이즈는 괘선의 길이로 조정한다고 해도, 폭 방향의 사이즈는 괄호형상의 화상(괄호형상 화상)의 높이 방향의 사이즈(괄호의 선의 상부 가장자리단∼하부 가장자리단 사이의 사이즈: 이하「높이」)로 결정하기 때문에, 각종의 높이의 괄호형상 화상을 준비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괄호형상 화상을, 각종의 높이 마다 비트맵 폰트의 데이터로 준비한다면, 방대한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하고, 또, 비트맵 폰트에 기초하여 확대/축소하여 작성한다면, 곡선부 등을 포함하는 괄호의 그 곡선부 등이 매끄럽게 되기 어려워서,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하기 어렵다.
이 점,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는 경우, 비교적 자유로운 높이의 괄호형상 화상을 화상 전개에 의해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지만, 화상 전개시의 확대율은, 괄호의「높이」뿐만 아니라 「선폭」의 확대율로도 되기 때문에, 임의의 높이로 하면 선폭이 결정되어 버려서 임의가 되지 않아,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확대율에 따라서는, 확대 후의 선폭이, 규정의 괘선의 폭에 맞지 않고, 괘선과의 이음매가 맞지 않는(계단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외틀 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전부 캐릭터 화상이나 후부 캐릭터 화상으로서, 장식용의 말하자면 그림을 설치한 것이 있고(예를 들면 도 9a 내지 도 9c, 도 10a 내지 도 10c 참조), 이들을 이용한 외틀 화상을 작성하는 경우, 그 길이방향의 사이즈는 괘선의 길이로 조정한다고 해도, 폭방향의 사이즈는, 외틀의 폭이 되는 캐릭터 화상의 높이 방향의 사이즈이고, 구체적으로는 괘선 접속용의 상부 인출선(F60U∼F80U)(또는 R60U∼R80U) 등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인출선(F60D∼F80D)(또는 R60D∼R80D) 등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사이즈(예를 들면 도 11a의 n[도트] 참조 : 이하「높이」)로 결정하기 때문에, 각종의 높이의 캐릭터 화상을 준비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캐릭터 화상을, 각종의 높이마다 비트맵 폰트의 데이터로 준비한다면, 방대한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하고, 또, 비트맵 폰트에 기초하여 확대/축소하여 작성한다면, 곡선부 등이 매끄럽에 되기 어려워서,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하기 어렵다.
이 점,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는 경우, 비교적 자유로운 높이의 캐릭터 화상을 화상 전개에 의해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지만, 화상 전개시의 확대율은, 「높이」뿐만 아니라「선폭」의 확대율로도 되기 때문에, 임의의 높이로 하면 선폭이 결정되어 버려서 임의가 되지 않고, 인출선을 임의의 선폭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확대율에 따라서는, 계산상의 라운딩(rounding) 오차 등에 의해, 동일하게 괘선과의 이음매가 되는 상부 인출선(F60U) 등의 선폭과 하부 인출선(F60D) 등의 선폭이, 도트 단위로 다른(라운딩 오차에 의해 1도트 다르다) 것 등, 언밸런스한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고, 또, 확대 후의 인출선의 선폭이, 규정의 괘선의 폭에 맞지 않고, 괘선과의 이음매가 맞지 않는(계단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는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및 전후 캐릭터 화상의 인출선과 괘선 사이의 이음매를 원활하게 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는 외틀 화상 작성 장치, 외틀 화상 작성 방법, 및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는, 전후 한 쌍의 한쪽을 구성하는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으로 작성하는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괄호형상 화상의 괄호형상 외형부와 그 개구 양단을 연결하는 결선부로 이루어지는 단일 폐곡선을 외형선으로 하는 원외형을 나타내는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를, 원외형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원외형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괄호형상 외형부의 높이 및 선폭을 결정하는 사이즈 결정 수단과, 결정된 상기 높이를 가지고 상기 원외형의 내부를 논리「1」의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한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는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 작성 수단과, 상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상기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보다 상기 선폭분만큼 작은 제2 사이즈를 갖는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는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 작성 수단과, 상기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과 상기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상기 선폭분만큼 어긋나게 하여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괄호형상 화상을 작성하는 배타적 논리합 연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은, 전후 한 쌍의 한쪽을 구성하는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으로 작성하는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괄호형상 화상의 괄호형상 외형부와 그 개구 양단을 연결하는 결선부로 이루어지는 단일 폐곡선을 외형선으로 하는 원외형을 나타내는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를, 원외형 데이터로서 기억해 두고, 상기 높이와 상기 선폭을 결정하여, 결정된 상기 높이를 가지고 상기 원외형의 내부를 논리「1」의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한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고, 상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상기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보다 상기 선폭분만큼 작은 제2 사이즈를 갖는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고, 상기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과 상기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상기 선폭분만큼 어긋나게 하여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괄호형 상 화상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및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에서는, 전후 한 쌍의 한쪽을 구성하는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으로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괄호를 나타내는 괄호형상 외형부와 그 개구 양단을 연결하는 결선부로 이루어지는 단일 폐곡선을 외형선으로 하는 원외형을 나타내는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를, 원외형 데이터로서 기억해 둔다. 이 경우의 원외형으로서는, 외형(최저한, 괄호형상 외형부만)의 윤곽선만이 있으면 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를 논리「1」의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한 화상을 작성하기 때문에, 그 취지(내부가 유효 화소인 취지)를 나타내는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음에, 결정된 높이로 또한 그 외형 내를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한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화상 전개에 의해) 작성한다. 이 경우, 원외형 데이터는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높이(괄호의 개구폭 방향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지정해도, 곡선부 등도 매끄럽게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외형의 윤곽선만을 그리는 경우, 그 윤곽선의 선폭도 상기의 높이를 결정하였을 때의 확대율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여기에서는, 그 내부가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해지기 때문에, 윤곽선의 선폭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동일한 방법으로,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보다 지정된 선폭분만큼 작은 제2 사이즈의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작성한다. 이 경우에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기 때문에, 곡선부 등도 매끄럽게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고, 또, 내부가 빈틈없이 칠해지기 때문에, 윤곽선의 선폭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다음에,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선폭분만큼 어긋나게 하여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하면, 양 화상의 사이즈 차분만 남는다. 즉,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지정된 선폭분만이 남는다. 바꿔 말하면, 지정된 높이 및 지정된 선폭의 괄호형상 외형부만이 남아서, 소망의 괄호형상 화상이 된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높이와 선폭을 지정하고,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괄호형상 화상을, 일부에 원호 등의 곡선부를 포함한다고 해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상술의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외형 데이터는, 상기 원외형의 내부가 상기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해지는 취지의 정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에서는, 원외형 데이터는, 원외형(윤곽선)뿐만 아니라, 그 외형 내가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이나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작성하는 경우에, 그것들의 외형(윤곽선) 내를 주사한 결과에 따라서 내부를 빈틈없이 칠하는 처리를, 처리 플로우로서 새롭게 준비(삽입하여 추가)하지 않아도,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전개하는 것 만으로, 내부가 빈틈없이 칠해진(전체를 칠한)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외틀 화상 작성 장치는, 외틀 전단부가 되는 전부 캐릭터 화 상의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과 외틀 후단부가 되는 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의 사이를 상부 괘선 및 하부 괘선을 이용하여 결선함으로써 외틀 화상을 작성하는 외틀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과 상기 상부 괘선의 이음매, 상기 전부 캐릭터 화상의 하부 인출선과 상기 하부 괘선의 이음매, 상기 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과 상기 상부 괘선의 이음매, 및, 상기 후부 캐릭터 화상의 하부 인출선과 상기 하부 괘선의 이음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음매를 조정 대상 이음매로 하고, 상기 조정 대상 이음매를 구성하는 조정 인출선과 조정 괘선의 윤곽을 단차없이 하기 위한 윤곽 조정을 행하는 윤곽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조정전의 외틀 화상에 대해서, 상기 조정 대상 이음매, 상기 조정 인출선 단부 및 상기 조정 괘선 단부를 포함하는 화상 조정 영역을 설정하는 화상 조정 영역 설정 수단과, 상기 화상 조정 영역의 상기 조정 인출선측의 단과 상기 조정 인출선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과의 인출선측 상부 교점 및 인출선측 하부 교점을 구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 조정 영역의 상기 조정 괘선측의 단과 상기 조정 괘선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과의 괘선측 상부 교점 및 괘선측 하부 교점을 구하는 교점 규정 수단과, 상기 인출선측 상부 교점과 항기 괘선측 상부 교점을 단차없이 연결하는 상부 윤곽을 갖는 동시에, 상기 인출선측 하부 교점과 상기 괘선측 하부 교점을 단차없이 연결하는 하부 윤곽을 갖는 접속 화상을, 상기 조정전의 외틀 화상의 상기 화상 조정 영역 내의 화상 대신에 배치하는 접속 화상 배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외틀 화상 작성 방법은, 외틀 전단부가 되는 전부 캐릭터 화 상의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과 외틀 후단부가 되는 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의 사이를 상부 괘선 및 하부 괘선을 이용하여 결선함으로써 외틀 화상을 작성하는 외틀 화상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과 상기 상부 괘선의 이음매, 상기 전부 캐릭터 화상의 하부 인출선과 상기 하부 괘선의 이음매, 상기 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과 상기 상부 괘선의 이음매, 및 상기 후부 캐릭터 화상의 하부 인출선과 상기 하부 괘선의 이음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음매를 조정 대상 이음매로 하고, 상기 조정 대상 이음매를 구성하는 조정 인출선과 조정 괘선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을 무단차(無段差)로 윤곽 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틀 화상 작성 장치 및 외틀 화상 작성 방법에서는, 외틀 전단부가 되는 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과 외틀 후단부가 되는 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의 사이를 상부 괘선 및 하부 괘선을 이용하여 결선함으로써 외틀 화상을 작성하지만, 전후 캐릭터 화상의 인출선과 괘선 사이의 이음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음매를 조정 대상 이음매로 하고, 조정 대상 이음매를 구성하는 조정 인출선과 조정 괘선의 윤곽을 단차없이 하기 위한 윤곽 조정을 행하기 때문에, 그 이음매의 윤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전후의 캐릭터 화상을 배치할 때에, 선폭에 관계없이, 임의의 높이로 배치하고, 괘선을 배치할 때에는, 이음매의 원활함은 다소 무시하여 예를 들면 외부 가장자리측(외틀의 외측)만을 일치시켜서(면일하게 하여) 배치하는 등에 의해, 일단, 조정전의 외틀 화상을 작성하고, 그 후에, 이음매의 원활함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임의 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다. 또, 조정전의 외틀 화상에 대해서, 조정 대상 이음매를 포함하는 화상 조정 영역을 설정하고, 화상 조정 영역의 상기 조정 인출선측의 단과 조정전의 상부 인출선 또는 하부 인출선(조정 인출선)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의 인출선측 상부 교점 및 인출선측 하부 교점을 구하여, 화상 조정 영역의 조정 괘선측의 단과 상부 괘선 또는 하부 괘선(조정 괘선)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의 괘선측 상부 교점 및 괘선측 하부 교점을 구하여, 접속 화상으로서, 인출선측 상부 교점과 괘선측 상부 교점을 단차없이 연결하는 상부 윤곽을 갖는 동시에, 인출선측 하부 교점과 괘선측 하부 교점을 단차없이 연결하는 하부 윤곽을 갖는 접속 화상을, 조정전의 외틀 화상의 화상 조정 영역 내의 화상 대신에 배치하기 때문에, 조정 대상 이음매의 윤곽을 조정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이 선을 직선 또는 매끄러운 곡선 등에 의해 단차없이 연결함으로써, 조정 대상 이음매를 구성하는 조정 인출선과 조정 괘선의 윤곽을 단차없이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또는 상술한 외틀 화상 형성 장치의 각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 혹은, 상술한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또는 상술한 외틀 화상 작성 방법을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장치에 의해서 처리됨으로써,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혹은, 전후 캐릭터 화상의 인출선과 괘선 사이의 이 음매를 원활하게 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기억매체는, 상술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장치에 의해서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 이 기억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또, 전후 캐릭터 화상의 인출선과 괘선 사이의 이음매를 원활하게 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장치 케이스(장치 본체)(2)에 의해 외각이 형성되고, 장치 케이스(2)의 전부 상면에는 각종 입력 키로 이루어지는 키보드(3)를 구비하고 있다. 또, 후부 상면에는, 그 좌측부에 개폐덮개(21)가 장착되고, 그 우측부에는 디스플레이(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장치 케이스(2)의 좌측부에는, 포켓(테이프 장착부)(6)과 장치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형상의 테이프 배출구(22)가 형성되고, 테이프 배출구(22)에는, 송출한 인쇄용 테이프(이하, 간단히「테이프」)(T)를 절단하는 테이프 커터(132)가 향하고 있다.
또, 제어 시스템에서 본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키보드(3)나 디스플레이(4)를 갖고 유저와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조작부(11)와, 인쇄 헤드(서멀 헤드)(7)나 테이프 이송부(120)를 갖고 포켓(6) 내에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C)의 테이프(T)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12)와, 인쇄후의 테이프(T)의 절단을 행하는 절단부(13)와, 각종 센서를 갖고 각종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14)와, 각종 드라이버를 갖고 각부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부(15)와, 테이프 인쇄 장치(1) 내의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치 케이스(2)의 내부에는, 인쇄부(12), 절단부(13), 검출부(14) 등의 외에, 도면 이외의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에는, 전원 유닛 외에, 구동부(15)나 제어부(20)의 각 회로 등이 탑재되고, AC 어댑터 접속구나 외부로부터 착탈 가능한 니카드 전지 등의 전지(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유저가, 포켓(6)에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한 후, 디스플레이(4)에 의해 입력·편집 결과를 확인하면서 키보드(3)에 의해 소망의 문자 등(문자, 숫자, 기호, 간이 도형 등의 캐릭터)의 인쇄 정보를 입력하여, 인쇄를 지시하면, 테이프 이송부(120)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C)로부터 테이프(T)를 풀어 내어, 인쇄 헤드(7)에 의해 테이프(T)에 소망의 인쇄를 행하고, 인쇄 완료 부분은 테이프 배출구(22)로부터 수시로 외부에 송출된다. 소망의 인쇄가 완료하면, 테이프 이송부(120)는, 여백분을 포함하는 테이프 길이의 위치까지 테이프(T)의 이송을 행한 후, 그 이송을 정지한다.
인쇄부(12)에는, 개폐덮개(21)의 내측에,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하기 위한 포켓(6)이 설치되어 있고, 테이프 카트리지(C)는 이 개폐덮개(21)를 개방한 상태로 포켓(6)에 대해서 착탈된다. 또, 테이프 카트리지(C)의 이면에는, 상이한 폭 등의 테이프(T)의 종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작은 다수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포켓(6)에는, 이 구멍의 유무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테이프 식별 센서(141)가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프(T)의 유무(정확하게는 테이프 카트리지(C)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테이프(T)의 종별(정확하게는 테이프 카트리지(C)의 종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에는,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부에 일정한 폭(4.5㎜∼48㎜ 정도)의 테이프(T)와 잉크리본(R)이 수용되어 있고, 인쇄 헤드(7)가 향하는 관통 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T)는, 이면에 점착면이 형성되고, 그것이 박리지에 의해서 덮여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테이프(T)와 잉크리본(R)이 겹쳐지는 부분에는, 헤드 유닛(61)에 내장된 인쇄 헤드(7)에 대응하여, 플래튼 롤러(플래튼)(56)가 수납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가 장착된 상태로, 인쇄 헤드(7)가 관통 개구(55)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잉크리본(R)의 이면에 맞닿아, 발열 구동되어 소망의 문자 등이 테이프(T)의 표면에 인쇄된다.
테이프 이송부(120)는, 포켓(6)의 옆쪽으로부터 아래쪽에 걸친 공간에 배치되고, 동력(구동)원으로서 이송 모터(121)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가 포켓(6)에 장착되고, 그 상태로 개폐덮개(21)가 폐색되면, 이송 모터(121)를 구동원으로 하여, 테이프 릴(52)로부터 테이프(T)가 풀려 나오고, 리본 풀림 릴(53)로부터 잉크리본(R)이 풀려 나와서, 관통 개구(55)의 위치에서 인쇄 헤드(7)가 테이프(T)와 잉크리본(R)을 사이에 끼워서 플래튼(56)에 맞닿게 하여, 테이프(T)와 잉크리본(R)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주행하고, 동기하여 인쇄 헤드(7)가 구동되어 인쇄가 행해진다. 그 후, 잉크리본(R)이 내부에서 테이프 권취 릴(54)에 감겨지는 동시에, 테이프(T)만이 슬릿(59)을 통해서 테이프 카트리지(C)의 외부로 배출되고, 플래튼(56)의 회전(리본 권취 릴(54)도 동기 회전한다)이 소정 시간 속행함으로써, 테이프(T)의 테이프 이송이 속행되고, 테이프 배출구(22)를 통해서 장치 외부로 송출되어, 테이프(T) 상의 소정의 절단 위치가 테이프 커터(132)의 위치까지 보내어진다.
절단부(13)는, 테이프 커터(132)와, 이것을 절단 동작시키는 커터 모터(131)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모드 설정에 의해서, 자동/수동을 전환 가능하고, 임의 길이의 인쇄 등의 경우에는 수동(매뉴얼)의 커트 키의 조작으로, 일정한 길이의 인쇄 등의 경우에는 자동(오토)으로, 커터 모터(131)를 구동한다. 검출부(14)는, 전술한 테이프 식별 센서(141)를 구비하는 것 외에, 장치의 내 각부에 각종의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15)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와, 헤드 드라이버(152)와, 모터 드라이버(153)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는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그 지시에 따라서, 조작부(11)의 디스플레이(4)를 구동한다. 동일하게, 헤드 드라이버(152)는, 인쇄부(12)의 인쇄 헤드(7)를 구동하고, 모터 드라이버(153)는, 인쇄부(12)의 이송 모터(121)나 절단부(13)의 커터 모터(131) 등의 각 모터를 구동한다.
조작부(11)는, 키보드(3)와 디스플레이(4)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4)는, 가로방향(X방향) 약 6㎝×세로방향(Y방향) 12㎝의 직사각형 형상의 내측에, 96 도트×128도트의 표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가능한 표시 화면(41)과, 각종 설정 상황 등을 표시하는 18개의 인디케이터(도시 생략)를 갖고, 유저가 키보드(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여, 캐릭터열 화상 데이터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편집하거나, 그 결과 등을 시인하거나, 키보드(3)로부터 각종 지령·선택 지시 등을 입력하거나 할 때 등에 이용된다.
키보드(3)에는, 알파벳 키군, 숫자 키군, 히라가나나 가타카나 등의 가나 키군, 및 외래어를 호출하여 선택하기 위한 외래어 키군 등을 포함하는 문자 키군(31) 외에, 각종의 동작 모드 등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 키군(32) 등이 배열되어 있다.
기능 키군(32)에는, 전원 키, 인쇄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인쇄 키, 텍스트 입력시의 데이터 확정이나 개행 및 선택 화면에서의 각종 모드의 선택 지시를 위한 선택 키, 각종 조작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키, 각종 처리를 중지하거나 확정후의 문자 등을 필요에 따라서 삭제하는 삭제 키, 인쇄를 위한 서식 그 밖의 각종 스타일 설정을 위한 폼 키, 전술한 수동 커트를 위한 커트 키, 및, 각각 상하 좌우의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이나 표시 화면(41)의 표시 범위를 이동시키기 위한 4개의 커서 키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들은, 각 키 입력마다 개별로 키를 설치하여 입력해도 되고, 시프트 키 등과 조합하여 보다 적은 수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해도 된다. 키보드(3)는, 이들의 각종 키에 의해 여러가지의 지령 및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입력한다.
제어부(20)는, CPU(210), ROM(220), RAM(230), 주변 제어 회로(P-CON)(240) 를 구비하고, 서로 내부 버스(25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ROM(220)은, CPU(210)에서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제어 프로그램 영역(221) 외에, 장치 내에서 준비하고 있는 문자 등(숫자,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한다)의 폰트 데이터나 색변환 테이블이나 문자 수식 테이블 등을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영역(222)을 갖고 있다. RAM(230)은, 전원 오프시의 백업이 이루어져 있고, 각종 플래그·레지스터군(231), 텍스트 데이터 영역(232), 표시 화상 데이터 영역(233), 인쇄 화상 데이터 영역(234), 묘화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35), 외래어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36), 문자 전개 버퍼, 인쇄 버퍼 등의 각종 버퍼 영역(237) 등의 영역을 갖고, 각종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P-CON(240)에는, CPU(210)의 기능을 보충하는 동시에 주변 회로와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취급하기 위한 논리 회로나 여러가지의 계시를 행하는 타이머 등의 기능 회로 등이, 게이트 어레이나 커스텀 LSI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P-CON(240)은, 검출부(14)의 각종 센서나 키보드(3)와 접속되고, 각종 검출 신호나 각종 지령이나 입력 데이터 등을 그대로 혹은 가공하여 내부 버스(250)에 취입하는 동시에, CPU(210)와 연동하여, CPU(210) 등으로부터 내부 버스(250)에 출력된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그대로 혹은 가공하여 구동부(15)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210)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ROM(220) 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P-CON(240)을 통해서 각종 검출 신호, 각종 지령,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하고, ROM(220)이나 RAM(230) 내의 각종 데이터 등을 처리하여, P-CON(240)을 통해 서 구동부(1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인쇄의 위치 제어나 표시 화면(41)의 표시 제어 등을 행하는 동시에, 인쇄 헤드(7)를 제어하여 소정의 인쇄 조건으로 테이프(T)에 인쇄하는 등, 테이프 인쇄 장치(1)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주된 처리를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행한다. 이 때문에, 인쇄 화상 작성 등의 준비를 할 수 있으면, 유저가 임의의 시점에서 인쇄 키를 누름으로써, 인쇄 처리 인터럽트가 발생하고, 인쇄 처리가 기동되어, 인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화상의 인쇄를 할 수 있다. 즉, 인쇄에 도달할 때까지의 조작 순서는, 유저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서(K)까지의 1행째의 문자(캐릭터)열「ABCDE」를 입력후의 텍스트 편집 화면 표시의 상태에서(화면 D10 :이하, 표시 화면(41)의 상태를 화면 Dxx로 하고, Dxx만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유저에 의해 인쇄 키가 눌러지면,「인쇄중」의 메세지의 표시와 함께(D11), 문자열「ABCDE」의 문자열 화상을 인쇄 화상(G00)으로서 인쇄하여, 설정에 따라서 커트하고, 테이프폭(라벨폭)(TW)으로 인쇄길이(=라벨 작성시의 라벨길이=테이프 길이방향의 라벨폭)(LW)의 라벨(L00)을 작성하여(도 3b 참조),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텍스트 편집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12 : D10과 동일).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유저는, 키 입력에 의한 각종 지시를 취소 키에 의해 취소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술한 상태(D11)로부터 취소 키를 누름으로써, 원래의 텍스트 편집 화면의 표시 상태(D10)로 되돌릴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상태에서(D10), 유저에 의해 기능 키의 폼 키가 눌러 지면, 각종 폼의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그 상태로부터, 커서 키 및 선택 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지의 1개인 「외틀 첨부」가 선택되면, 각종의「외틀」의 후보를 선택지로서 표시하여, 그 상태로부터, 유저는 소망의「외틀」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후에, 재차, 상기의 텍스트 편집 화면으로 되돌아간 상태로(도 3a의 D10), 인쇄 키가 눌러지면,「인쇄중」의 메세지의 표시와 함께(D11),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외틀」의 외틀 첨부 문자열「ABCDE」의 화상을 인쇄 화상(G10)으로서, 도 4c와 같이 인쇄하여, 라벨(L10)을 작성하고,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텍스트 편집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12 : D10과 동일).
이 경우, 내부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ABCDE」의 문자열 화상의 전후 양단에, 지정된 타입의 외틀의 전부 캐릭터 화상(괄호형상 화상 : [ )(F10)과, 후부 캐릭터 화상(괄호 형상 화상: ] )(R10)을 배치하고, 그 사이를 괘선으로 연결하여,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정(선택)된 외틀을 작성하고, 그 후, 인쇄 처리로 이행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괄호형상 화상(F10) 등을 그 크기(사이즈 : 높이나 선폭 등)마다 비트맵 폰트로 준비한다면, 방대한 기억 용량이 되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로운 사이즈로 확대·축소하기 쉬운 아웃라인 폰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아웃라인 폰트를 이용한다고 해도, 각부의 사이즈마다 개별로 설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틀의 폭이 되는 괄호형상 화상(F10)의 높이를 n[도트]로 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해도, 그 경우 의 선폭을 m[도트]로 하기 위해서는, 높이 : 선폭=n : m(혹은 선폭/높이=m/n 등)의 비율을 나타내는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이들을 각종 갖춘다면, 일부러 아웃라인 폰트를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억 용량의 절약을 그다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하에 상술한다.
예를 들면 도 4a에서 전술한 전부 캐릭터 화상(F10)과 후부 캐릭터 화상(R10)의 전후 한 쌍의 한쪽을 구성하는 괄호형상 화상(F10)(또는 R10 : 여기에서는 F10의 예로 한다)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지정된 높이(n)[도트] 및 지정된 선폭(m)[도트]으로 작성하는 경우, 우선,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괄호의 개구폭 방향의 사이즈)가 n[도트]로 그 외형내를 흑색(논리「1」의 유효 화소)으로 빈틈없이 칠한 화상(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M10)을, 화상 전개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이 경우, 기초가 되는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원외형 데이터)로서는, 최저한, 괄호형상 외형부만의 윤곽선을 나타내는 데이터(B10-3), 혹은 괄호형상 외형부와 그 개구 양단을 연결하는 결선부로 이루어지는 단일 폐곡선을 윤곽선으로 하는 데이터(B10-2)여도 되지만, 여기에서는, 또한 외형내가 흑색(유효 화소)으로 빈틈없이 칠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원외형 데이터(B10)를 준비(예를 들면 ROM(220)의 제어 데이터 영역(222) 내에 기억)해 두고, 그것에 기초하여 높이(n)[도트]로 화상 전개한다(도 5a에 원외형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 이미지를 나타낸다).
또, 이 경우, 원외형 데이터(B10) 등은,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높이(n)[도트]를 자유롭게 지정해도, 곡선부 등도 매끄럽게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외형의 윤곽선만을 그리는 경우(예를 들면 도 5d의 괄호형상 화상(F10)을 직접,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화상 전개하여 작성하는 경우), 상기의 높이(n)[도트]를 결정하였을 때의 확대율에 의해서, 윤곽선의 선폭(m)[도트]도 일률적으로 결정되고, 임의로는 (지정)할 수 없지만, 도 5b의 화상(M10)에서는, 그 내부가 흑색으로 빈틈없이 칠해지기 때문에, 윤곽선의 선폭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화상(M10)으로부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지정된 선폭(m)[도트]분만큼 작은(즉 높이가 (n-2m)[도트]인) 제2 사이즈의 화상(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S10)을 작성한다. 이 경우에도, 원외형 데이터(B10) 등(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기 때문에, 곡선부 등도 매끄럽게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고, 또, 내부가 빈틈없이 칠해지기 때문에, 윤곽선의 선폭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음에, 화상(M10)과 화상(S10)을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선폭(m)[도트]분만큼 어긋나게 하여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하면,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화상의 사이즈 차분(도 5c에 도시한 점선 부분)만 남는다. 즉,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지정된 선폭(m)[도트]분만이 남는다. 바꿔 말하면, 지정 높이(n)[도트] 및 지정된 선폭(m)[도트]의 괄호형상 외형 부만이 남아서, 소망의 괄호형상 화상(F10)이 된다.
따라서, 이상의 방법에 의하면, 높이(n)[도트]와 선폭(m)[도트]을 지정하여, 임의의 높이(n)[도트] 또한 임의의 선폭(m)[도트]의 괄호형상 화상(F10) 등을, 일부에 원호 등의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아웃라인 폰트의 원외형 데이터(B10) 등에 기초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경우, 원외형 데이터(B10)는, 원외형(윤곽선)뿐만 아니라, 그 외형 내가 흑색(유효 화소)으로 빈틈없이 칠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화상(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M10)이나 화상(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S10)을 작성하는 경우에, 그것들의 외형(윤곽선) 내를 주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내부를 빈틈없이 칠하는 처리를, 처리 플로우로서 새롭게 준비(삽입하여 추가)하지 않아도, 원외형 데이터(B10)에 기초하여 화상 전개하는 것 만으로, 내부가 빈틈없이 칠해진(전체를 칠한)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경우, 유저에 의해 소망의「외틀」이 선택된 직후에, 텍스트 편집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 전에, 그「외틀」의 폭(혹은 그것에 상당하는 괄호형상 화상(F10) 등의「높이」)이나, 그 선폭 등을, 수치에 의해 직접 지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수치 입력을 재촉하는 메시지나 입력 개소를 나타내는 커서(K)를 화면 표시하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또, 수치 입력의 단위로서는, 일반적인 길이의 단위(예를 들면 인치나 센티미터 등) 외에,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도트 단위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이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입력한 문자열 화상 등의 문자 사이즈나, 장착한 테 이프(T)의 테이프폭(TW) 등에 기초하여, 외틀의 폭 등(혹은 괄호형상 화상의 높이)이나 선폭을, 자동적으로(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결정하고, 그것들을 상기의 지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c에서 상술한 괄호형상 화상(F10)의 내측에, 동일 원외형 데이터(B10)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화상(F10)의 내측(화상(S10)의 사이즈)으로부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선폭(m)[도트]분만큼 더 작게, 높이(n-4m)[도트]로 화상 전개하여 화상(M20)을 작성하고(도 6a 참조), 또한 동일하게, 화상(M20)으로부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선폭(m)[도트]분만큼 작게, 높이(n-6m)[도트]의 화상(S20)을 작성하여, 동일하게 어긋나게 하여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내부에 괄호형상 화상(F20)을 작성하고, 전체로서 2중선의 외틀용의 괄호형상 화상(F30)을 작성할 수 있다. 물론, 3중선 이상의 다중선도 동일한 반복으로, 1종의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아웃라인 폰트이기 때문에, 곡선부 등도 매끄럽게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다.
또, 도 5a 내지 도 5c나 도 6a 내지 도 6c에서 상술한 [ 의 타입의 괄호형상 화상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 등의 다른 타입의 괄호형상 화상(F50) 등에 대해서도, (제1 사이즈 전체칠 외형) 화상(M50)이나 (제2 사이즈 전체칠 외형) 화상(S50)을, 아웃라인 폰트의 원외형 데이터(B50) 등에 기초하여 화상 전개에 의해 작성하여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곡선부 등도 매끄럽게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것 외에, 예를 들면 도 8a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각종의 괄호형상 화상(F51∼F5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1 사이즈나 제2 사이즈의 전체칠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의 원외형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화상 전개에 의해 작성하여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곡선부 등도 매끄럽게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외틀의 전후 한 쌍의 괄호형상 화상을 괘선으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외틀 화상의 예를 나타내고, 이 때문에, 전부 캐릭터 화상도 후부 캐릭터 화상도 비교적 단순한 괄호형상 화상이었지만, 외틀 화상에는, 상기한 종류 외에, 보다 복잡한 장식, 예를 들면 어떠한 외관상 보기좋은 캐릭터 등의 화상 등을 이용한 말하자면 장식용의 외틀 화상도 있다.
예를 들면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종류의 외틀 화상의 경우에도, 예를 들면「ABCDE」의 문자열 화상의 전후 양단에, 지정된 타입의 전부 캐릭터 화상(F60∼F80) 등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후부 캐릭터 화상(R60∼R80) 등을 배치하고, 그 사이를 괘선으로 연결하여 작성하여, 전체로 외틀 첨부의 인쇄 화상(G60∼G80) 등으로서 작성하고, 그 후, 인쇄 처리로 이행한다.
이 경우, 각 캐릭터 화상(F60∼F80, R60∼R80) 등(이하 대표하여「F70 등」)은, 각각, 캐릭터 본체 화상(F60M∼F80M, R60M∼R80M)(이하 대표하여「F70M 등」)에 더하여, 상측의 괘선(상부 괘선)과 접속하기 위한(상부 괘선의 접속 상대가 된다) 상부 인출선(F60U∼F80U, R60U∼R80U)(이하 대표하여「F70U 등」)과, 하측의 괘선(하부 괘선)의 접속 상대가 되는 하부 인출선(F60D∼F80D, R60D∼R80D)(이하 대표하여「F70D 등」)을 갖고 있다.
또, 이를 위해, 각 캐릭터 화상(F70) 등의 사이즈(n)[도트]는, 상부 인출선(F70U) 등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인출선(F70D) 등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사이즈(예를 들면 도 11a 내지 도 11b의 n[도트] 참조: 이하「높이」)로 지정·결정된다.
또한, 이들의 경우의 외틀 화상에 대해서도, 전술한 괄호형상 화상에 의한 것과 동일하게, 그「외틀」의 폭(혹은 그것에 상당하는 각 캐릭터 화상(F70) 등의「높이」)이나, 그 선폭 등을, 수치에 의해 직접 지정하여, 소망의 사이즈(높이, 선폭)의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일반적인 길이의 단위 외에, 동일하게 도트 단위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이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문자열 화상 등의 문자 사이즈나, 장착한 테이프폭(TW) 등에 기초하여,「높이」나「선폭」을, 자동적으로 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결정하고 상기의 지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술한 장식용의 각 캐릭터 화상(이하, 적당히「장식 화상」이라고 한다)에 의한 외틀 화상 작성의 경우에도, 비교적 자유로운 사이즈로 확대·축소할 수 있고, 또한 매끄럽게 할 수 있는 아웃라인 폰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래도, 제1 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각종의 괄호형상 화상과 동일하게, 캐릭터 화상을 임의의 높이로 또한 그 인출선을 임의의 선폭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확대율에 따라서는, 계산상의 라운딩 오차 등에 의해, 동일하게 괘선과 의 이음매가 되는 상부 인출선(F70U) 등의 선폭과 하부 인출선(F70D) 등의 선폭이, 도트 단위로 다른(라운딩 오차에 의해 1도트 다른) 것 등, 언밸런스한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고, 또, 확대후의 인출선의 선폭이, 규정의 괘선의 폭에 맞지 않고, 괘선과의 이음매가 계단이 되어 윤곽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 전후 캐릭터 화상의 인출선과 괘선 사이의 이음매를 원활하게 하고,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하에 제2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다.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기본적으로, 전부 캐릭터 화상이 갖는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과 후부 캐릭터 화상이 갖는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의 사이를 상부 괘선 및 하부 괘선을 이용하여 결선함으로써, 외틀 화상을 작성하지만, 이음매의 원활함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음매 근방의 외틀 화상의 윤곽의 조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전의 외틀 화상에 있어서, 지정된 높이(n)[도트]의 전부 캐릭터 화상(F70)의 상부 인출선(F70U)이나 하부 인출선(F70D)의 선단(이음매)이, 지정된 선폭(m)[도트]의 상부 괘선(LU70)이나 하부 괘선(LD70)보다 가는(선폭이 작은) 경우, 우선, 조정전의 외틀 화상 중의 조정 대상 이음매를 포함하는 화상 영역을 화상 조정 영역으로 한다.
도시의 경우, 상부 인출선(F70U)이나 하부 인출선(F70D)이 높이 방향으로 선폭(m)[도트]이 되는 위치로부터 선단까지의 미소 길이(dt)를 가로 폭으로 하는 가 로(dt)[도트]×세로(n)[도트]의 영역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 11b에 나타내는 가로(dt)[도트]×세로(m)[도트]의 윤곽 조정 화상(논리합 화상)(E70T)을 준비하고(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전개에 의해 작성하여 기억하고), 이것을 이음매에 배치하여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윤곽을 원활하게 조정한다(도 11c 참조).
즉, 도 11a 내지 도 11c에서 상술한 예에서는, 윤곽 조정 화상으로서, 논리합 화상(E70T)을 이용한다. 또한, 상술한 경우, 높이 방향이 선폭(m)[도트]이 되는 위치가, 상부 인출선(F70U)과 하부 인출선(F70D)에서 일치한 예이지만, 일치하지 않은 경우, 화상 조정 영역을 개별로(상측과 하측으로 개별로) 설치해도 된다. 또, 어느 하나의 인출선의 높이 방향이 선폭(m)[도트]이 되는 일이 없는 경우나, 그 위치에 상술한 바와 같은 말하자면 직사각형의 논리합 화상(E70T)을 배치한다면 위화감이 생기는(부자연스러운) 경우에는,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를 갖는(사다리꼴 형상의) 논리합 화상(E70T-2, E70T-3) 등이나, 혹은 경사 대신에 곡선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의 논리합 화상(E70T) 등은, 공통하여, 괘선폭(m)[도트]에 일치하는 길이의 괘선측변과, 인출선폭(mt)에 일치하는 길이의 인출선측변을 갖고, 그것들의 양단끼리를 결선한 단일 폐곡선을 윤곽선으로 하고, 그 윤곽선을 따른 외형내를 흑색(논리「1」의 유효 화소)으로 빈틈없이 칠한, 말하자면 전체칠 화상이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괘선측변을 괘선폭에 맞추고, 인출선측변를 인출선폭에 맞추어, 외틀 화상에 대해서 논리합 연산을 하면, 외틀 화상에 논리합 화상을 겹치게(부가하게) 되어, 조정 대상 이음매를 덮도록, 괘선과 인출선의 윤곽이 원활하게 연결되고, 외틀 화상의 윤곽을 원활하게 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전의 외틀 화상에 있어서, 지정된 높이(n)[도트]의 전부 캐릭터 화상(F70)의 상부 인출선(F70U)이나 하부 인출선(F70D)의 선단이, 지정된 선폭(m)[도트]보다 굵은(선폭이 큰) 경우, 동일하게 화상 조정 영역을 상정(설정)하지만, 이 경우에는, 높이 방향의 사이즈가 선폭(m)[도트]이 될 때까지 상부 인출선(F70U)이나 하부 인출선(F70D)을 깎아내어도 윤곽(곡선 등)이 부자연스럽게 되지 않는 위치로부터 선단까지의 미소 길이(df)를 가로 폭으로 하는 가로(df)[도트]×세로(n)[도트]의 영역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 12b에 도시하는 가로(df)[도트]×세로(n-2m)[도트]로 윤곽선을 포함하는 내부가 모두 흰색(논리「0」의 무효 화소)으로 빈틈없이 칠해진, 소위 공백 화상의 윤곽 조정 화상(논리곱 화상)(E70F)을,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전개에 의해 작성하여 준비(기억)하고, 이것을 이음매에 배치하여 논리곱 연산을 행함으로써, 윤곽을 원활하게 조정한다(도 12c 참조).
즉, 도 12a 내지 도 12c에서 상술한 예에서는, 윤곽 조정 화상으로서, 논리곱 화상(E70F)을 이용한다. 또한, 도 11a 내지 도 11c에서 상술과 것과 동일하게, 화상 조정 영역을 상측과 하측으로 개별로 설치해도 된다. 또, 어느 하나의 인출선의 윤곽이 부자연스럽고 위화감이 생기는 경우에는, 상변이나 하변에 경사를 형성하거나 곡선 등으로 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이들의 경우의 논리곱 화상(E70F) 등은, 공통하여, 외측 가장자리측(외틀의 외측)만을 일치시켜서(면일(面一)하게 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즉, 외틀 화상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상부 인출선(F70U)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부 괘선(LU70)의 상부 가장자리가 일치하도록 결선하고, 외틀이 되는 하부 인출선(F70D)의 하부 가장자리와 하부 괘선(LD70)의 하부 가장자리가 일치하도록 결선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외틀은 원활하게 되기 때문에, 이음매가 눈에 띄는 것은 내측 가장자리가 되고, 그것에 적합한 윤곽 조정 화상으로서, 논리곱 화상(E70F) 등을 준비(기억)한다.
이 경우의 논리곱 화상(E70F) 등은, 외틀의 내부가 되는 상부 괘선(LU70)과 하부 괘선(LD70)의 내부 가장자리측끼리의 사이의 거리에 일치하는 길이(즉 (n-2m)[도트])의 괘선측변과, 상부 인출선(F70U)과 하부 인출선(F70D)의 내부 가장자리측끼리의 사이의 거리에 일치하는 길이의 인출선측변을 갖고, 괘선측변과 인출선측변의 양단끼리를 결선한 단일 폐곡선을 윤곽선으로 하고, 그 윤곽선을 포함하는 내부가 모두 흰색(무효 화소)의 공백 화상이다.
즉, 괘선측변을 괘선의 내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맞추고, 인출선측변을 인출선의 내부 가장자리의 사이에 맞추어, 외틀 화상에 대해서 논리곱 연산을 하면, 외틀 화상 중의 논리곱 화상(E70F) 등과 겹쳐지는 부분을 삭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논리곱 화상(E70F) 등으로서 원활한 윤곽을 갖는 논리곱 화상을 준비해 두면, 그 윤곽을 따라서 외틀 화상의 윤곽을 깎아내어 괘선과 인출선의 윤곽을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고,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a 내지 도 11c와 도 12a 내지 도 12c에서 상술한 예에서는, 화상 조정 영역을 캐릭터 화상(F70) 등의 인출선측에 상정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11a에 대응하여 도 13a, 도 12a에 대응하여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조정 영역을 괘선측에 상정, 예를 들면 도 11a의 예에 대해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경사를 갖는 논리곱 화상(E70F-2)에 의해서 괘선(도시에서는 상부 괘선(LU70))에 대해서 논리곱 연산을 행함으로써, 내부 가장자리측의 단차를 깎아내어 원활한 윤곽으로 하고, 예를 들면 도 12a의 예에 대해서는, 도 13b에 도시하는 경사를 갖는 논리곱 화상(E70T-3)을 괘선(도시에서는 상부 괘선(LU70)) 상에 재차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경사를 부가하여 원활한 윤곽으로 할 수 있고, 이들에 의해, 괘선과 인출선의 윤곽을 원활하게 연결하여,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12a와 동일 상태로부터,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조정 영역 내를 흑색으로 빈틈없이 칠한 상태로 두면, 윤곽 조정 화상으로서 전술(도 14b)한 논리곱 화상(E70F)을 준비하여 논리곱 연산을 행하는 대신에, 동일 사이즈로 내부가 흑색인 도 14c의 배타적 논리합 화상(E71F)를 윤곽 조정 화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이것을 준비하여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술한 논리곱 화상(E70F) 대신에, 도 1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윤곽이 곡선이기 때문에 더욱 원활화하기 쉬운 형상의 논리곱 화상(E72F)을 이용해도 된다.
또, 도 14a 내지 도 14d에서 상술한 방법을 더욱 진행시켜서, 상부 인출선(F70U)과 하부 인출선(F70D)이 상술한 예와 같이 그 근본에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등, 상부 인출선(F70U)과 하부 인출선(F70D)이 직접의 접속점을 갖는 경우에, 예를 들면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괘선(LU70)의 상부 가장자리 의 1점(도시의 예에서는 이음매의 상측의 1점)과 하부 괘선(LD70)의 하부 가장자리의 1점(도시의 예에서는 이음매의 하측의 1점)을 결선한 n[도트]의 길이의 제1 괘선측변과, 접속점까지의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으로 이루어지는 단일 폐곡선을 제1 윤곽선으로 하고, 그 외형내를 흑색(유효 화소)으로 빈틈없이 칠하여, 화상 조정 영역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시점에서, 확대후의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F70U)이나 하부 인출선(F70D)의 선폭이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상기의 제1 괘선측변보다 양단이 선폭(일정 선폭)(m)[도트]분씩 짧은(즉 (n-2m)[도트]의 길이의) 제2 괘선측변을 갖고, 다른 부분은 제1 윤곽선을 따른 외형보다 선폭(m)[도트]분만큼 좁은 사이즈의 단일 폐곡선을 제2 윤곽선으로 하며, 그 제2 윤곽선을 포함시켜서 모두를 흰색으로 한 공백 화상의 논리곱 화상(E74F), 혹은, 제2 윤곽선을 따른 외형 내를 흑색(유효 화소)으로 빈틈없이 칠한 배타적 논리합 화상(E75F)을, 윤곽 조정 화상으로서 준비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 여기에서, 다음에, (n-2m)[도트]의 길이의 제2 괘선측변을 제1 괘선측변에(이 경우 중앙에서) 맞추고, 그 외에는 제1 윤곽선을 따라서 선폭(m)[도트]분만큼 어긋나게 하여, 논리곱 화상(E74F)이면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논리곱 연산, 배타적 논리합 화상(E75F)이면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하면, 화상 조정 영역의 사이즈와 윤곽 조정 화상(논리곱 화상(E74F) 또는 배타적 논리합 화상(E75F))의 사이즈의 사이즈 차분만 남는다.
즉, 이들의 경우, 제1 실시 형태에서 전술의 각종의 괄호형상 화상과 동일한 작성 방법이 되고(도 5a 내지 도 5d∼도 8a 내지 도 8c 참조),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윤곽선을 따라서 선폭(일정 선폭)(m)[도트]분만이 남아서, 그 상태의 선폭(일정 선폭)(m)[도트]의 상부 괘선(LU75)이나 하부 괘선(LD75)과 연결되기 때문에, 괘선과 인출선의 윤곽을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고,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경우, 윤곽 조정 화상의 윤곽의 형상(곡선)을 연구하면, 상부 인출선(F75U)이나 하부 인출선(F75D)의 선폭을 일률적으로 하지 않고, 선단만 선폭(m)[도트]으로 하여, 원래의 캐릭터 화상(F70)의 상부 인출선(F70U)이나 하부 인출선(F75D)과 동일한 인출선으로서 남길 수도 있다.
또, 도 15a 내지 도 15d에서 상술한 방법을 더욱 단순화하여,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조정 영역의 형상을 단순한 형상으로 하여, 예를 들면 도 14b에서 전술한 논리곱 화상(E70F)에 의한 논리곱 연산으로 완전히 조정 가능(도 12c와 동일하게 조정 가능)한 영역을 상정하고, 외형내를 흑색(유효 화소)으로 빈틈없이 칠해서 화상 조정 영역으로 해도 된다. 또, 이 경우, 전술한 논리곱 화상(E70F)에 의한 논리곱 연산 대신에, 동일 사이즈로 내부가 흑색인 배타적 논리합 화상(E73F)에 의한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도 16d 참조 : 도 12c와 동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더욱 단순화하여, 화상 조정 영역은 도 15a와 동일 상태로 하여(도 17a 참조), 일부에 흑색이 남는 것(도 16d의 화상(F76) 참조)을 무시하고, 상술한 논리곱 화상(E70F)에 의한 논리곱 연산이나 배타적 논리합 화상(E73F)에 의한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일단, 외틀 화상을 작성하고, 그것을 조정전의 외틀 화상으로 하여, 전후 캐릭터 화상의 인출선과 괘선 사이의 이음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음매를 조정 대상 이음매로 하고, 괘선의 적어도 중앙부의 선폭을 유지한 상태로, 조정 대상 이음매의 윤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윤곽 조정을 행하기 때문에, 그 이음매의 윤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전후의 캐릭터 화상을 배치할 때에는, 선폭에 관계없이, 임의의 높이로 배치하고, 괘선을 배치할 때에는, 이음매의 원활함은 다소 무시하고 예를 들면 외부 가장자리측(외틀의 외측)만을 일치시켜서(면일하게 하여) 배치하는 것 등에 의해, 일단, 조정전의 외틀 화상을 작성하고, 그 후에, 이음매의 원활함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다.
또,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정전의 외틀 화상 중의 조정 대상 이음매를 포함하는 화상 영역을 화상 조정 영역으로 하고, 그 화상 조정 영역에 배치 가능한 윤곽 조정을 위한 윤곽 조정 화상을 기억해 두고, 조정전의 외틀 화상에 대해서 화상 조정 영역에서 윤곽 조정 화상을 이용한 화소 대응의 논리 연산을 행한다. 이를 위해, 조정 대상 이음매의 형상, 즉 원활함을 따르지 않는 형태로서 생길 수 있는 각종의 형상을 상정하고, 그것을 조정 가능한 형상의 화상을, 윤곽 조정 화상으로서 각종 준비(기억)해 두고, 그것을 이용한 적절한 논리 연산을 외틀 화상에 행함으로써, 조정 대상 이음매의 윤곽을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 또는 후의 캐릭터 화상(F70) 등을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로 준비하는 경우, 도 18a 내지 도 1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각 윤곽 조정 화상(E70T, E70F∼E75F) 등도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내부를 유효 화소인 흑색으로 하는 것은 B∼, 공백 화상으로서 내부를 무효 화소인 흰색으로 하는 것은 W∼의 부호로 나타낸다)(B70, W70, B71, W72, B73, W74, B75) 등으로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해 두면, 전 또는 후의 캐릭터 화상 등의 확대율에 맞추어 동일하게 확대하여 이용할 수 있어서, 이용하기 쉽다.
또, 상술한 (제1,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 채용된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나 외틀 화상 작성 장치의 기능 혹은 그것들에 의한 각종 처리 방법(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외틀 화상 작성 방법 등)은, 테이프 인쇄 장치(1)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각종의 장치에 의해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적용할 수 있고, 그 종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예를 들면 CD, MD, DVD 등의 기억매체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종류의 프로그램을 기억해 두거나, 혹은 기억매체 등으로부터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혹은, 전후 캐릭터 화상의 인출선과 괘선 사이의 이음매를 원활하게 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좋게 작성할 수 있다. 물론, 그 외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 인 폰트에 기초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또한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으며, 전후 캐릭터 화상의 인출선과 괘선 사이의 이음매를 원활하게 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의 외틀 화상을 외관상 보기 좋게 작성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후 한 쌍의 한쪽을 구성하는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으로 작성하는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괄호형상 화상의 괄호형상 외형부와 그 개구 양단을 연결하는 결선부로 이루어지는 단일 폐곡선을 외형선으로 하는 원외형을 나타내는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를, 원외형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원외형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괄호형상 화상의 높이 및 선폭을 결정하는 사이즈 결정 수단과,
    결정된 상기 높이를 가지고 상기 원외형의 내부를 논리「1」의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한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는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 작성 수단과,
    상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상기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보다 상기 선폭분만큼 작은 제2 사이즈를 갖는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는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 작성 수단과,
    상기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과 상기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상기 선폭분만큼 어긋나게 하여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괄호형상 화상을 작성하는 배타적 논리합 연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외형 데이터는, 상기 원외형의 내부가 상기 유효 화 소로 빈틈없이 칠해지는 취지의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3. 전후 한 쌍의 한쪽을 구성하는 괄호형상 화상을, 아웃라인 폰트에 기초하여 임의의 높이 및 임의의 선폭으로 작성하는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괄호형상 화상의 괄호형상 외형부와 그 개구 양단을 연결하는 결선부로 이루어지는 단일 폐곡선을 외형선으로 하는 원외형을 나타내는 아웃라인 폰트의 데이터를, 원외형 데이터로서 기억해 두고, 상기 높이와 상기 선폭을 결정하여, 결정된 상기 높이를 가지고 상기 원외형의 내부를 논리「1」의 유효 화소로 빈틈없이 칠한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고, 상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상기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보다 상기 선폭분만큼 작은 제2 사이즈를 갖는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원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고, 상기 제1 사이즈 전체칠 화상과 상기 제2 사이즈 전체칠 화상을 상기 괄호형상 외형부를 따라서 상기 선폭분만큼 어긋나게 하여 대응하는 화소끼리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괄호형상 화상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4. 제1항에 기재된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의 각 수단을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장치에 의해서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5. 제3항에 기재된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을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장치에 의해서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6. 외틀 전단부가 되는 전부 캐릭터 화상이 갖는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과 외틀 후단부가 되는 후부 캐릭터 화상이 갖는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의 사이를 상부 괘선 및 하부 괘선을 이용하여 결선함으로써 외틀 화상을 작성하는 외틀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과 상기 상부 괘선의 이음매, 상기 전부 캐릭터 화상의 하부 인출선과 상기 하부 괘선의 이음매, 상기 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과 상기 상부 괘선의 이음매, 및, 상기 후부 캐릭터 화상의 하부 인출선과 상기 하부 괘선의 이음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음매를 조정 대상 이음매로 하고, 상기 조정 대상 이음매를 구성하는 조정 인출선과 조정 괘선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을 무단차로 윤곽 조정하는 윤곽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윤곽 조정 수단은,
    조정전의 외틀 화상에 대해서, 상기 조정 대상 이음매, 상기 조정 인출선 단부 및 상기 조정 괘선 단부를 포함하는 화상 조정 영역을 설정하는 화상 조정 영역 설정 수단과,
    상기 화상 조정 영역의 상기 조정 인출선측의 단과 상기 조정 인출선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과의 인출선측 상부 교점 및 인출선측 하부 교점을 구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 조정 영역의 상기 조정 괘선측의 단과 상기 조정 괘선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과의 괘선측 상부 교점 및 괘선측 하부 교점을 구하는 교점 규정 수단과,
    상기 인출선측 상부 교점과 상기 괘선측 상부 교점을 단차없이 연결하는 상부 윤곽을 갖는 동시에, 상기 인출선측 하부 교점과 상기 괘선측 하부 교점을 단차없이 연결하는 하부 윤곽을 갖는 접속 화상을, 상기 조정전의 외틀 화상의 상기 화상 조정 영역 내의 화상 대신에 배치하는 접속 화상 배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틀 화상 작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조정 수단은, 상기 화상 조정 영역에 배치 가능한 상기 윤곽 조정을 위한 윤곽 조정 화상을 기억하는 윤곽 조정 화상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접속 화상 배치 수단은, 상기 조정전의 외틀 화상에 대해서 상기 화상 조정 영역에서 상기 윤곽 조정 화상을 이용한 화소 대응의 논리 연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접속 화상을 작성하는 논리 연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틀 화상 작성 장치.
  8. 외틀 전단부가 되는 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과 외틀 후단부가 되는 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 및 하부 인출선의 사이를 상부 괘 선 및 하부 괘선을 이용하여 결선함으로써 외틀 화상을 작성하는 외틀 화상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과 상기 상부 괘선의 이음매, 상기 전부 캐릭터 화상의 하부 인출선과 상기 하부 괘선의 이음매, 상기 후부 캐릭터 화상의 상부 인출선과 상기 상부 괘선의 이음매, 및, 상기 후부 캐릭터 화상의 하부 인출선과 상기 하부 괘선의 이음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음매를 조정 대상 이음매로 하고, 상기 조정 대상 이음매를 구성하는 조정 인출선과 조정 괘선의 외부 윤곽 및 내부 윤곽을 무단차로 윤곽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틀 화상 작성 방법.
  9. 제6항에 기재된 외틀 화상 작성 장치의 각 수단을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장치에 의해서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10. 제8항에 기재된 외틀 화상 작성 방법을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장치에 의해서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KR1020050004934A 2004-03-02 2005-01-19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외틀화상 작성 장치, 외틀 화상 작성 방법 및 기억매체 KR100634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57962A JP4400256B2 (ja) 2004-03-02 2004-03-02 外枠画像作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JP-P-2004-00057961 2004-03-02
JP2004057961A JP4333411B2 (ja) 2004-03-02 2004-03-02 括弧状画像作成装置、括弧状画像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4-00057962 2004-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930A KR20050088930A (ko) 2005-09-07
KR100634150B1 true KR100634150B1 (ko) 2006-10-13

Family

ID=3491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934A KR100634150B1 (ko) 2004-03-02 2005-01-19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외틀화상 작성 장치, 외틀 화상 작성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869080B2 (ko)
KR (1) KR100634150B1 (ko)
CN (1) CN100343047C (ko)
TW (1) TWI2725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8763A (zh) * 2011-05-05 2012-11-07 方正国际软件(北京)有限公司 一种文字勾边方法及装置
CN105050821B (zh) * 2013-03-22 2017-06-16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带盒和带打印装置
CN104423909A (zh) * 2013-08-26 2015-03-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5857769A (zh) * 2021-09-24 2023-03-28 广州腾讯科技有限公司 消息的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4872449B (zh) * 2022-04-22 2023-10-10 珠海趣印科技有限公司 一种标签打印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716A (ko) * 1999-01-06 2000-09-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다각형 묘화 방법, 및 다각형 묘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0754A (ja) 1983-06-14 1984-12-25 Canon Inc 電子機器
JPH067309B2 (ja) 1983-06-14 1994-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S63136084A (ja) 1986-11-28 1988-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文字処理装置
US5289823A (en) 1992-05-12 1994-03-01 Colin Electronics Co., Ltd. Non-invasive aortic blood flow sensor and method for non-invasively measuring aortic blood flow
JPH06236441A (ja) 1993-02-08 1994-08-23 Nec Off Syst Ltd 画像処理装置
JP2864412B2 (ja) 1993-05-18 1999-03-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装置
JPH07334648A (ja) * 1994-06-10 1995-12-22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256640B2 (ja) 1994-12-07 2002-02-12 株式会社キングジム 文字情報処理装置
JP3483946B2 (ja) 1994-08-19 2004-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ォント処理装置及びフォント処理方法
JP3007001B2 (ja) * 1994-10-17 2000-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DE69530134T2 (de) 1994-12-07 2003-11-06 King Jim Co Ltd Zeicheninformationsprozessor zum Drucken von Zeichen
JPH09134158A (ja) * 1995-11-09 1997-05-20 Fujitsu Ltd 文字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3523969B2 (ja) * 1995-12-28 2004-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章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3481799B2 (ja) * 1995-12-28 2003-1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文字割付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300703A (ja) 1996-05-20 1997-11-25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JP2000259845A (ja) * 1999-01-06 2000-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角形描画方法、および多角形描画装置
US7280258B2 (en) * 2001-01-05 2007-10-09 Seiko Epson Corporation Logo data generating system, logo data generating method, and data storage medi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716A (ko) * 1999-01-06 2000-09-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다각형 묘화 방법, 및 다각형 묘화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penGL을 이용한 컴퓨터 그래픽스, 제2판, 2000년2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3047C (zh) 2007-10-17
US20110102846A1 (en) 2011-05-05
US7869080B2 (en) 2011-01-11
US8451491B2 (en) 2013-05-28
TW200530948A (en) 2005-09-16
US8102562B2 (en) 2012-01-24
US20120327438A1 (en) 2012-12-27
US20050196038A1 (en) 2005-09-08
KR20050088930A (ko) 2005-09-07
TWI272546B (en) 2007-02-01
CN1663791A (zh)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593B2 (e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label producing method for the tape printing apparatus
KR100634150B1 (ko) 괄호형상 화상 작성 장치, 괄호형상 화상 작성 방법, 외틀화상 작성 장치, 외틀 화상 작성 방법 및 기억매체
JP5092614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3736127B2 (ja) 画像印刷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081171A (ko)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
JP3731364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9300703A (ja) 印刷装置
JP3514056B2 (ja) 画像作成装置
JP3667133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画像表示方法
JP4400256B2 (ja) 外枠画像作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333411B2 (ja) 括弧状画像作成装置、括弧状画像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736126B2 (ja) 画像作成装置
JPH11157162A (ja) テープ印刷装置における分割画像作成方法および分割画像印刷方法並びにそれらの装置
JP5125204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07034633A (ja) 印刷画像作成装置、印刷画像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1157136A (ja) テープ印刷装置における分割画像作成方法および分割画像印刷方法並びにそれらの装置
JP2000177151A (ja) 画像印刷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449209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画像表示方法
US6747756B1 (en) Color printing apparatus
JP2006080989A (ja) 画像処理装置
JP2606589B2 (ja) データ出力装置
JPH0422666A (ja) 情報出力装置
JP2001353914A (ja) シールのプリント・カッ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900647B2 (ja) 文書処理装置
JP3117982B2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