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542B1 -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체 - Google Patents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542B1
KR100632542B1 KR1020047006806A KR20047006806A KR100632542B1 KR 100632542 B1 KR100632542 B1 KR 100632542B1 KR 1020047006806 A KR1020047006806 A KR 1020047006806A KR 20047006806 A KR20047006806 A KR 20047006806A KR 100632542 B1 KR100632542 B1 KR 10063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lastic holder
circuit component
elastic
gaske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059A (ko
Inventor
마츠모토슈조
Original Assignee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464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523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595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577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431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060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2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31295A/ja
Application filed by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코인 타입의 버튼 전지(2)를 수납하는 탄성 홀더(10)와, 탄성 홀더(10)의 저면 외주에 배열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20)를 구비한다. 그리고, 탄성 홀더(10)를 절연성의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성형해서 그 바닥부와 복수의 접속 단자(20)를 일체 성형하고, 각 접속 단자(20)를 탄성 홀더(10)의 바닥부에 성형되는 절연성의 탄성 고무(21)와, 탄성 고무(21)내에 나란히 매설되어서 탄성 홀더(10)의 바닥부 두께 방향으로 지향하고,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으로 구성한다. 부품수의 절감, 조립의 간소화, 신속화,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예컨대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여도 오작동할 우려 등이 없다.

Description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체{CIRCUIT COMPONENT CONNECTOR, ITS CONNECTION STRUCTURE, AND GASKET}
본 발명은 자동차나 주택용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 각종 전자 회로기기, 음향 기기, 휴대전화, 카메라, 시계, 전자계산기 등에 사용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도어나 트렁크를 개폐 조작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손바닥 사이즈의 소형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내장되어서 미세한 회로 부품이 설치되는 회로 기판과, 이 회로 기판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급전용의 버튼 전지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는 서로 결합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들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사이에는 오물, 먼지, 물방울 등의 침입을 규제하는 무한(endless) 개스킷이 개재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에는 스위치 기구가 내장되고, 이 스위치 기구가, 택트(tact) 스위치와, 이 택트 스위치를 피복하는 조작용의 필름 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튼 전지는 일반적으로 코인 타입이 채용되며, 케이스에 홀더 등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내장되는 동시에, 회로 기판에 납땜 고정된 복수의 금속판 스프링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적인 도통이 확보된다.
종래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며, 개스킷이나 홀더 등이 각각 별개의 부품이므로, 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없고, 또한 조립성이 매우 좋지 않으므로, 조립에 시간과 인력을 요하는 큰 문제가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회로 부품이 노출된 상태이므로, 스위치 기구를 조작해서 상부 케이스와 변형된 필름 키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면, 이 간극으로부터 오물, 먼지, 물방울 등이 내부로 침입하여, 회로 부품을 손상시키거나, 단락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버튼 전지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회로 기판에 대한 급전만이 중시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한 고려가 없었다. 따라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가 과오 등에 의해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하여 금속판 스프링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거나, 버튼 전지로부터 금속판 스프링에 진동이나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없다. 이 결과, 금속판 스프링과 버튼 전지의 도통이 단속화하고, 채터링(chattering)에 의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가 오작동하는 큰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를 떨어뜨리면, 닫혀있던 자동차의 트렁크가 갑자기 개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회로 기판, 금속판 스프링 및 버튼 전지가 단지 접촉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의 외부로부터 전극 사이에 진애가 용이하게 침입하고, 이것이 단락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회로 기판에 복수의 금속판 스프링 등을 세세하게 납땜 고정하지 않으면, 버튼 전지의 도통을 확보할 수 없으 므로, 조립성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제조 작업의 현저한 지연이나 번잡화, 복잡화 등을 초래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수의 절감, 조립의 간소화, 신속화,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여도 오작동할 우려가 없고, 또한 오물, 먼지, 물방울 등의 침입에 따라 부품 등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 방지할 수 있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대략 바닥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회로 부품을 수납하는 절연성의 탄성 홀더와, 이 탄성 홀더에 수납된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속 단자를 탄성 홀더의 바닥부 중앙 부근과 바닥부 외주중, 적어도 바닥부 외주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를, 탄성 홀더에 설치되는 절연성의 탄성체와, 이 탄성체에 설치되어서 적어도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도전자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의 탄성체를 대략 직사각형 또는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하고, 이 탄성체의 장변부를 탄성 홀더의 저면 폭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의 양단부중, 적어도 탄성 홀더의 바닥부 외주측에 위치하는 탄성체의 외측 단부를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속 단자의 도전자를 도전 세선, 도전 핀, 도전성 엘라스토머, 도전 스프링, 금속박, 또는 탄성 홀더의 바닥부 두께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도전 프로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 홀더의 외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를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스킷 플랜지의 일부를 러버(rubber) 스위치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러버 스위치를, 개스킷 플랜지의 표면측에 형성되는 키 톱(key top)과, 이 키 톱으로 개스킷 플랜지의 이면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에 설치되는 도전 접점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탄성 홀더용의 유지구를 구비하고, 이 유지구를 탄성 홀더를 둘러싸서 덮는 형태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유지구에 복수의 레그를 형성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기 접합물과 회로 부품의 전극 사이를 청구범위 제 17 항, 제 20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로 부품용 커넥터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기 접합물을 내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와, 이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는 청구범위 제 23 항 또는 제 25 항에 기재된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접속부 사이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개스킷 플랜지를 끼우고, 전기 접합 물과 회로 부품의 전극 사이를 접속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기 접합물을 내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와, 이 제 1 및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청구범위 제 26 항에 기재된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접속부 사이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개스킷 플랜지를 끼워서 그 러버 스위치의 키 톱을 제 2 케이스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켜, 러버 스위치의 도전 접점을 전기 접합물의 전극에 간극을 두고 접촉 가능하게 대향시켜, 전기 접합물과 회로 부품의 전극 사이를 접속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대략 바닥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절연성의 탄성 홀더와, 이 탄성 홀더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개스킷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개스킷 플랜지의 주연부를 전기 접합물을 내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 사이에 끼워,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개스킷 플랜지의 일부의 두께를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해서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탄성 홀더는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대략 볼록형 단면의 바닥을 갖는 중공형, 바닥을 갖는 원통형, 4각형, 6각형, 8각형 등의 각통형, 다각형의 통형, 타원의 통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대략 바닥을 갖는 통형상이라고 하는 용어에는 바닥을 갖는 통형상과, 대략 바닥을 갖는 통형상으로 인정되는 형상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이 용어의 해석은 대략 직사각형과 대략 사다리꼴에 관해서도 준용된다. 또한, 회로 부품으로서는 적어도 마이크로폰, 스피커, 버튼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버튼 전지는 얇고 큰 것도 좋고, 두껍고 작은 것도 좋다.
접속 단자는 단수여도 좋지만, 2, 3, 4, 5, 6개 등의 복수로 탄성 홀더의 바닥부나 개구부에 적절히 설치될 수 있다. 이 접속 단자는 음극용과 양극용으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음극용과 양극용의 단자에 대해서는 이방 도전 성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탄성 홀더의 바닥부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일체화하고, 각 접속 단자를 탄성 홀더의 저면 외주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이 탄성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도전자로 구성할 수 있다.
탄성 홀더의 바닥부와 접속 단자를 일체화할 경우에는 탄성 홀더의 바닥부와 접속 단자를 일체 성형하는 방법, 탄성 홀더와 접속 단자를 각기 형성한 후, 이것들을 조합하여 일체화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탄성 홀더의 바닥부 중앙 부근이라고 하는 용어에는 탄성 홀더의 바닥부 중앙과, 탄성 홀더의 바닥부 중앙의 근방 부분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탄성체는 각종의 고무여도 좋고, 엘라스토머여도 좋으며, 또한 탄성 홀더의 경도와 동일한 경도치이거나 동일하지 않은 경도치여도 좋다. 탄성 홀더, 탄성체, 도전자는 한번에 정리해서 일체 성형하여도 좋고,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스킷 플랜지의 주연부 부근에는 단면이 대략 원형, 반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인 리브를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러버 스위치는 개스킷 플랜지의 일부에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유지구에 있어서의 복수의 레그는 탄성 홀더의 바닥부측과 개구부측의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접합물에는 적어도 각종의 회로 기판(예를 들면, 프린트 회로 기판이나 고밀도 플렉시블 기판 등)이나 전기 전자 부품이 포함된다. 또한,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는 자동차나 주택용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에 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종의 전자 회로 기기, 음향 기기, 휴대전화, 모바일 기기, 카메라, 시계, 전자계산기 등에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개스킷은 전기, 전자, 반도체의 분야에 그치지 않고, 기계, 음향, 건축의 분야 등에서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이 개스킷은 사용의 양태에 따라, 상하 반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 및 그 접속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전체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버튼 전지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 홀더 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 홀더 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 홀더 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 홀더 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 및 그 접속 구조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버튼 전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단면 설명도,
도 15는 도 13의 저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문제점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양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양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양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양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양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탄성 홀더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24는 도 23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음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음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음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음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의 양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양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양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양극용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11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7은 도 36의 단면 설명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전체 설명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2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3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4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5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6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6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45는 도 44의 저면도,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7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8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9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19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 및 개스킷의 제 20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개스킷 커넥터 및 그 접속 구조의 제 2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전체 설명도,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개스킷 커넥터의 제 2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5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개스킷 커넥터의 제 2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개스킷 커넥터의 제 21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개스킷 커넥터의 제 22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개스킷 커넥터의 제 23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개스킷 커넥터의 제 24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정면도,
도 58은 도 57의 단면도,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개스킷 커넥터의 제 25 실시예를 도시 하는 요부 단면도,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 및 그 접속 구조의 제 26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 및 그 접속 구조의 제 26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 설명도,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설치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6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 홀더와 유지구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도 6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 및 그 접속 구조의 제 27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6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28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지구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도 6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29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지구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30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지구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도 6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30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지구의 레그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30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30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30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설명도,
도 7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의 제 30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설명도,
도 7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의 제 30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7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30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도 75는 도 74의 부분 단면 설명도,
도 7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32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설명도,
도 7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의 제 32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제 32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로 부품용 커넥터 및 그 접속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부품(1)인 소형의 버튼 전지(2)를 수납하는 탄성 홀더(10)와, 이 탄성 홀더(10)의 저면 외주의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20)를 별도로 구비하고, 탄성 홀더(10)를 절연성이며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성형해서 그 저면과 복수의 접속 단자(20)를 일체화하도록 하고 있다.
버튼 전지(2)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코인 타입의 이산화망간 리튬 전지로 구성되고, 얇고 둥근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이 버튼 전지(2)는 예를 들면 표면인 저면의 중심부가 원형의 음극(3)으로 형성되고, 저면의 외주연부, 주위면 및 이면인 상면에 걸치는 부분이 양극(4)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전지(2)의 저면 외주연부, 주위면 및 상면에 걸친 부분을 양극(4)으로 하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버튼 전지(2)의 저면 중심부가 원형의 양극(4)이어도 좋다.
탄성 홀더(10)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고무 재료를 사용해서 버튼 전지(2)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지만, 예를 들면 가요성이나 완충성 등을 갖는 단면이 대략 볼록형인 중공형으로 성형되고, 개구된 상방의 축소 직경부(11)로부터 하방의 확대 직경부(12)에 버튼 전지(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수납한다. 소정의 고무 재료로는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온도 의존성이나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 등이 최적이다. 이 탄성 홀더(10)의 경도는 완충 기능, 성형성, 취급 등의 관점에서, 10∼90°Hs, 바람직하게는 20∼70°Hs,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Hs의 범위로 한다.
각 접속 단자(20)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홀더(10)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일체화되고, 상하면이 탄성 홀더(10)의 바닥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절연성의 탄성 고무(21)와, 이 탄성체인 탄성 고무(21)내에 나란히 매설되어서 탄성 홀더(10)의 바닥부 두께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도전자인 복수의 도전 세선(22)으로부터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트랙형으로 구성된다. 탄성 고무(21)는 압축 변형이 필요하게 되는 관계상,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으로 구성되지만, 특히 경도가 낮고 온도의존성이나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 등이 최적이다.
탄성 고무(21)의 경도는 압축성이나 유연성 확보 등의 관점에서, 10∼30°Hs,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25°Hs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 탄성 고무(2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장변부(장변이나 장축일 수도 있음)가 탄성 홀더(10)의 저면 폭방향, 즉 반경방향을 향할 수 있어, 내측 단부(21a)와 외측 단부(21b)가 저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 형성된다.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고무(21)의 중앙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병설되어, 상하의 양단부가 탄성 고무(21)의 상하 양면에서 각각 약간 노출된다. 각 도전 세선(22)은 가요성 및 굴곡성을 갖는 와이어 등으로 구성되고, 주위면에 도금이 실시되어 있어, 이 도금이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며, 동시에 환경변화에 따르는 접속 부분의 부식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이러한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하단부가 전기 접합물인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랜드(전극)(41)에 접촉하고, 상단부가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각각 접촉해서 도통을 확보한다. 회로 기판(4O)의 각 랜드(41)에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도금이 실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 세선(22)으로 구성되는 도전자를 도시하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전 핀이어도 좋다.
상기에 있어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를 구성하는 버튼 전지(2)와 회로 기판(40)을 전기적으로 도통할 경우에는 탄성 홀더(10)가 개구된 축소 직경부(11)를 확대해서 버튼 전지(2)를 확대 직경부(12)에 결합하고, 각 접속 단자(20)의 복수의 도전 세선(22)에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을 각각 압접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 단자(20)에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을 압접하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의 케이스(50)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52)내의 결합 리브(53)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결합하고, 케이스(50)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51)상의 회로 기판(40)의 랜드(41)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단자(20)를 압접하고, 그 후,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를 결합하면, 버튼 전지(2)와 회로 기판(40)을 도통하여 버튼 전지(2)의 출력을 외부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 홀더(10)가 진동 흡수 기능 및 완충 기능 및 감쇠 기능을 발휘하므로, 예컨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가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하여도, 회로 기판(40), 접속 단자(20), 버튼 전지(2)의 전극 등에 진동이나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매우 유효하게 억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로 기판(4O), 접속 단자(20), 버튼 전지(2)의 도통이 단속하여 ON-OFF하는 일이 없고, 채터링에 의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가 오작동하는 문제를 매우 유효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접속시에 탄성 홀더(10)나 탄성 고무(21)가 변형 또는 압축되어 밀봉 기능을 발휘하므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의 외부로부터 전극 사이 등에 진애가 침입하여, 단락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탄성 홀더(10)와 일체화된 접속 단자(20)를 압접하는 것만으로 회로 기판(40), 도전 세선(22), 버튼 전지(2)를 확실하게 도통할 수 있으므로, 하등 납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성의 향상 이외에, 가공이나 제조 작업의 현저한 원활화, 신속화, 간소화, 용이화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탄성 고무(21)를 대략 트랙형으로 형성하고, 탄성 고무(21)의 장변부를 탄성 홀더(10)의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방향성을 특별히 정하여 도전 세선(22)을 정확하게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압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적어도 탄성 고무(21)의 외측 단부(21b)를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 형성하므로, 탄성 고무(21)를 탄성 홀더(10)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될 수 있는 한 외측의 외주연부에 배치할 수 있어, 도전 세선(22)을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각각 적절하게 압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전 세선(22) 자체를 입수하는 것이 실로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절감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홀더(10)의 축소 직경부(11)와 확대 직경부(12)의 경계부가 버튼 전지(2)를 안정시켜, 적절하게 위치 결정 가압함으로써, 각 접속 단자(20)에 버튼 전지(2)를 적절하게 압접할 수 있고, 더구나 버튼 전지(2)의 흔들림을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정리해서 탄성 고무(21)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했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버튼 전지(2)의 음극(3)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탄성 고무(21)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하는 동시에, 버튼 전지(2)의 양극(4)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다른 탄성 고무(21)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접속 단자(20)의 탄성 고무(21)내에,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일렬이 아니라, 복수열로 나란히 매설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도전 세선(22)의 개수를 늘리므로, 보다 확실한 도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접속 단자(20)의 탄성 고무(21)를 기본적으로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하고, 탄성 홀더(10)의 저면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탄성 고무(21)의 내측 단부(21a)를 직선적으로 형성하고, 폭이 넓은 외측 단부(21b)를 반원형으로 만곡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탄성 고무(21)의 내측 단부(21a)를 만곡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공이나 제조가 용이해지는 것은 명확하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탄성 고무(21)를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대략 세미 트랙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그 표면의 일부에는 도전 세선(22)을 "U"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접착하고,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탄성 고무(21)로부터 복수의 도전 세선(22)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도전 세선(22)의 상태 확인이 용이하게 되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접속 단자(20)를 도전자인 도전성 엘라스토머(23)와 탄성체인 절연성 엘라스토머(24)를 횡방향으로 교대로 포개서 병설함으로써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탄성 고무(21)중에, 도전자인 복수의 도전판 스프링(도전 스프링)(25)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하도록 하고 있다. 굴곡 가능한 도전판 스프링(25)은 직선적인 대략 "I"자형 단면이어도 좋고, "V"자형 등이어도 좋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더구나 입수하기 쉬운 저렴한 도전판 스프링(25)을 이용하므로, 비용 절감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탄성체를 절연성을 갖는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의 하우징(26)으로 하고, 이 하우징(26)중에 탄성 홀더(10)의 바닥부 두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소형의 도전 프로브(27)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병설하도록 하고 있다.
도전자인 각 도전 프로브(27)는 하우징(26)의 구멍내에 결합 고정되는 대략 "U"자형 단면의 도전 토우 핀(28)과, 이 캡형의 도전 토우 핀(28)에 그 개구된 상방으로부터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 가능한 도전 핀(29)과, 이들 도전 토우 핀(28)과 도전 핀(29) 사이에 개재되어서 버튼 전지(2)에 도전 핀(29)을 압접하는 도전성의 코일 스프링(30)으로 구성된다. 도전 토우 핀(28)에 대해서는 하우징(26)내에 결합 고정하여도 좋지만,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여도 좋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더구나 안정적인 자세에서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는 코일 스프링(30)을 이용하므로, 커넥터의 높이 치수를 문제없이 낮출 수 있고(예를 들면, 1.50mm∼1.75mm 정도), 저 저항이나 저 하중 접속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통해서 최근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박형화, 경량화 및/또는 소형화의 요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러 실시예는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및 제 7 실시예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5 등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회로 부품(1)인 버튼 전지(2)를 수납하는 탄성 홀더(10A)를 구비하고, 이 탄성 홀더(10A)의 접속 단자(20)를 버튼 전지(2)로부터 돌출한 음극(3A)에 접촉하는 음극용 접속 단자(20A)와, 버튼 전지 표면의 음극(3A) 이외의 양극(4)에 접촉하는 양극용 접속 단자(20B)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버튼 전지(2)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표면인 저면의 중앙으로부터 원형의 음극(3A)이 돌출하고, 저면의 외주부, 주위면 및 이면인 상면에 걸치는 부분이 양극(4)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들 음극(3A)과 양극(4) 사이에 단차(D)가 형성된다. 이 단차(D)는 버튼 전지(2)의 종류에도 의존하지만, 예를 들면 0.15mm 이나 1mm 이상의 크기다.
또한, 버튼 전지(2)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원형의 양극(4)을 돌출시켜, 저면의 외주부, 주위면 및 이면인 상면에 걸치는 부분을 음극(3A)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탄성 홀더(10A)는 도 11이나,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고무 재료를 사용해서 버튼 전지(2)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지만,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는 가요성이나 완충성 등을 갖는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주벽의 일부에 작은 직사각형부(13)가 일체화되어 있고, 버튼 전지(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수납한다. 이 탄성 홀더(10A)는 저면 둘레방향으로 저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돌기부(14)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돌출 형성되어, 개구된 내주연부에서 버튼 전지(2)의 상면에 걸리는 플랜지(15)가 반경 내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된다. 돌기부(14)는 삽입된 버튼 전지(2)가 기울고, 접속 단자(20)가 편압축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탄성 홀더(10A)를 상기 실시예와 같이 중공의 대략 볼록한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극용 접속 단자(20A)는 도 11이나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 중앙을 관통하여 일체화되고, 상하면이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원판형으로 절연성의 탄성 고무(21)와, 이 탄성체인 탄성 고무(21)내의 직경방향으로 나란히 매설되어,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 두께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으로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형으로 구성된다. 이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탄성 고무(21)내에 복수열로 설치할 수도 있고, 일렬로만 설치할 수도 있다.
양극용 접속 단자(20B)는 도 11, 도 15,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홀더(10A)의 직사각형부(13)에 바닥부 외주측에서 관통하여 일체화되어, 상하부가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각기둥형으로 절연성의 탄성 고무(21)와, 이 탄성체인 탄성 고무(21)의 버튼 전지(2)측의 내면에 병설되어서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 두께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으로부터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압축 하중의 증가를 따르는 일없이, 편압축에 따르는 접속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이 점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면, 접속 단자(20)가 단일이어서 버튼 전지(2)의 단차(D)가 클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D)를 흡수할 수 없고, 양극(4)의 접속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거기에서, 버튼 전지(2)의 단차(D)를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접속 단자(20)를 두껍고 높게 하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극(3A)에 접촉하는 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압축되어, 하중이 증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접속 단자(20)로 대응하는 것은 아니고, 접속 단자(20)를 음극용 접속 단자(20A)와 양극용 접속 단자(20B)로 분할하고, 압축율이 높은 양극용 접속 단자(20B)를 버튼 전지 주위면의 양극(4)에 횡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키므로, 하나의 접속 단자(20)와 같이 버튼 전지(2)의 단차(D)를 흡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압축 하중의 증가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편압축에 따르는 접속 불량을 매우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 고무(21)의 내면에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병설해서 도 18의 양극용 접속 단자(20B)를 구성했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고무(21)를 대략 세미 트랙형 단면으로 형성해서 그 표면의 일부에는 도전 세선(22)을 "U"자형으로 접착하고,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구비한 도 7의 양극용 접속 단자(20B)여도 좋다. 또한, 탄성 고무(21)의 하나의 입면(立面)에 도전성 엘라스토머(23)와 절연성 엘라스토머(24)를 횡방향으로 교대로 병설하므로써 양극용 접속 단자(20B)를 구성하여도 좋다(도 20 참조).
또한, 탄성 고무(21)를 대략 세미 트랙형 단면으로 형성하여 그 표면에는 시트 형상의 도전성 엘라스토머(23)나 금속박(31)을 "U"자형으로 부착하여, 양극용 접속 단자(20B)를 구성하여도 좋고(도 21 참조), 탄성 고무(21)를 블록형이나 대략 판형 단면으로 형성하여 그 하나의 입면에는 대략 판형 단면의 도전성 엘라스토머(23)나 금속박(31)을 접착하여, 양극용 접속 단자(20B)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 참조). 또한, 양극용 접속 단자(20B)를 도 23이나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홀더(10A)의 직사각형부(13) 부근에 관통하여 일체화되어, 상하부가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대략 트랙형인 절연성의 탄성 고무(21)와, 이 탄성체인 탄성 고무(21)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매설되어,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 두께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지향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음극용 접속 단자(20A)를 대략 판형 단면의 한쌍의 탄성 고무(21) 사이에 시트 형상의 도전성 엘라스토머(23)나 금속박(31)을 끼워 접착함으로써 구성 하여도 좋고(도 25 참조), 음극용 접속 단자(20A)를 원주형의 도전성 엘라스토머(23)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26 참조). 또한, 음극용 접속 단자(20A)나 양극용 접속 단자(20B)로서 제 6 및 제 7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절연성 엘라스토머(24)에 도전 입자를 배합한 도전성 조성물인 도전성 엘라스토머(23)를 사용해서 음극용 접속 단자(20A)를 대략 6각형 단면으로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절연성 엘라스토머(24)로는, 경화전에 유동성을 갖고, 경화되는 것에 의해 크로스-링크(cross-links) 구조를 형성하는 각종의 엘라스토머(상온 부근에서 고무 형 탄성을 갖는 것의 총칭)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프로필렌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폴리에스터계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copolymer) 고무,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의 독립 및 연포의 발포체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전기 절연성, 내열성, 압축 영구 줄음율, 가공성 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가 최적이다.
도전 입자로서는 적어도 표면이 금속으로 피복되는 입상 또는 플레이크 형상의 입자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 은, 동, 백금, 팔라듐, 니켈, 알루미늄 등의 금속 단체,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입상 또는 플레이크 형상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이들의 소성품, 카본, 세라믹, 실리카 등의 무기 재료를 핵으로 하여 그 표면이 금속으로 도금, 증착, 스퍼터 등의 방법으로 피복된 것이 해당한다.
또한, 도전 입자는 플레이크 형상인 것을 단체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또한,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의 음극용 접속 단자(20A)는 도 28에 도시하는 직방체로 성형하여도 좋고, 도 29에 도시하는 대략 다각형 평면의 블록체 등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극용 접속 단자(20A)를 대략 직사각형 평면으로 성형해서 대략 반원형의 평면을 갖는 한쌍의 탄성 고무(21) 사이에 일체적으로 끼워, 전체 형상이 원판 모양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도 31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절연성 엘라스토머(24)에 도전 입자를 배합한 도전성 조성물인 도전성 엘라스토머(23)를 사용해서 탄성의 양극용 접속 단자(20B)를 직방체(도 31 참조), 평면 대략 다각형의 블록체(도 32 참조), 대략 세미 트랙형 단면의 블록체(도 33 참조), 또는 대략 "L"자형 단면의 블록체(도 34 참조)로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으로, 도 35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소형의 버튼 전지(2)를 수납하는 탄성 홀더(10A)의 접속 단자(20)를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대략 직사각형 평면의 절연성 기판(32)과, 이 절연성 기판(32)의 중앙부 부근에 기립 상태에서 결합 지지되어, 버튼 전지(2)로부터 돌출한 음극(3A)에 접촉하는 짧은 음극용 접속 단자(20A)와, 절연성 기판(32)의 일단부 부근에 기립 상태로 결합 지지되어, 버튼 전지 표면의 음극(3A) 이외의 양극(4)에 접촉하는 크고 긴 양극용 접속 단자(20B)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절연성 기판(32)의 재료로는 유리 에폭시나 공지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면 PET, PEN, PEI, PPS, PEEK, 액정 폴리머,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중에서도, 열팽창 계수가 작고,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이미드가 최적이다. 이 절연성 기판(32)은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에 접착되거나, 또는 관통구(33)가 천공되어서 인터로크(interlock) 구조로 함으로써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에 일체화된다.
음극용 접속 단자(20A)와 양극용 접속 단자(20B)에 대해서는 상기 제 8, 제 9, 제 10 실시예 등이 적절히 채용되어, 도 36 또는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횡방향 일렬로 배열된다. 이들 탄성을 갖는 음극용 접속 단자(20A)와 양극용 접속 단자(20B)는 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면에 무한 이탈 방지 기구(34)가 절결되어 있고, 이 이탈 방지 기구(34)가 절연성 기판(32)에 천공된 관통 구멍(35)의 주연부에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지지된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설계의 자유도가 현저하게 향상한다.
다음으로, 도 38과 도 39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전자 회로 기기의 케이스(50)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회로 부품(1)을 수납하는 탄성 홀더(10)를 구비하고, 이 탄성 홀더(10)를 절연성의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그 외주면에서 개스킷 플랜지(70)를 연장하고, 탄성 홀더(10)의 저면 외주에 복수의 접속 단자(20)를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케이스(50)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51)와, 이 하부 케이스(51)의 개구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52)가 서로 대향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 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들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는 소정의 수지나 금속을 사용해서 기본적으로는 단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주벽의 접촉면에는 대략 반원형 단면의 무한 결합 홈(54)이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51)는 프린트 기판이나 고밀도 플렉시블 기판 등으로 이루어진 랜드(41)를 갖는 회로 기판(40)을 내장하고, 이 회로 기판(4O)상에는 미세한 복수의 회로 부품(예를 들면, 저항기, 콘덴서, 코일, 트랜스,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42)이 설치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52)는 예를 들면 복수의 유통 구멍(55)을 구비하고, 내면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원통의 결합 리브(53)가 돌출 형성된다.
회로 부품(1)은 예를 들면 스피커 등의 전기 음향 부품이나 버튼 전지(2) 등으로 구성된다. 이 회로 부품(1)은 예를 들면 버튼 전지(2)의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저면의 중심부가 음극(3)으로 형성되고, 중심부 이외의 외주부가 양극(4)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음향 부품 등으로 이루어진 회로 부품(1)을 결합 수납하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기, 전자, 반도체, 기계 관계 등의 각종 부품이어도 좋다.
탄성 홀더(10)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고무 재료를 사용해서 회로 부품(1)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지만, 예를 들면 가요성이나 완충성 등을 갖는 중공의 대략 볼록형 단면으로 성형되어, 개구된 상방의 축소 직경부(11)보다도 하방의 확대 직경부(12)에 회로 부품(1)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 수납한다. 소정의 고무 재료로는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온도 의존성이나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 등이 최적이다. 이 탄성 홀더(10)의 경도는 완충 기능, 성형성, 취급 등의 관점에서 10∼90°Hs, 바람직하게는 20∼70°Hs,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Hs의 범위로 설정된다.
개스킷 플랜지(70)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홀더(10)의 축소 직경부(11)와 확대 직경부(12)의 경계부 부근의 외주면으로부터 탄성 홀더(10)의 축방향(도 38의 상하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외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전체적으로는 케이스(5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형으로 성형된다(도 39 참조). 이 개스킷 플랜지(70)는 그 주연부에 단면 대략 원형의 리브(71)가 돌출 형성되어, 이 리브(71)가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의 결합 홈(54)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케이스(50)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 구획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스킷 플랜지(70)를 원형으로 형성하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트랙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접속 단자(20)는 탄성 홀더(10)의 바닥부를 관통해서 일체화되고, 상하면이 탄성 홀더(10)의 바닥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절연성의 탄성 고무(21)와, 이 탄성체인 탄성 고무(21)내에 나란히 매설되어서 탄성 홀더(10)의 바닥부 두께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지향하는 도전자인 복수의 도전 세선(22)으로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세미 트랙형으로 구성된다. 탄성 고무(21)는 압축 변형이 요구되는 관계상,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특히 경도가 낮고 온도 의존성이나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 등이 최적이다.
탄성 고무(21)의 경도는 압축성이나 유연성 확보 등의 관점에서 10∼20°Hs,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Hs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 탄성 고무(21)는 기본적으로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장변부(장변이나 장축일 수도 있음)가 탄성 홀더(10)의 저면 폭방향, 즉 반경방향을 향할 수 있고, 외측 단부(21b)가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 형성된다.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도 38 또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고무(21)의 중앙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병설되어, 상하의 양단부가 탄성 고무(21)의 상하 양면에서 각각 약간 노출된다. 각 도전 세선(22)은 가요성 및 굴곡성을 갖는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지고, 주위면에 도금이 실시되어 있어, 이 도금이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며, 동시에 환경변화에 따르는 접속 부분의 부식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이러한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하단부가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랜드(41)에 접촉하고, 상단부가 회로 부품(1)의 음극(3)과 양극(4)에 각각 접촉해서 도통을 확보한다. 회로 기판(40)의 각 랜드(41)에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 세선(22)으로 이루어진 도전자를 도시하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전자를 복수의 도전 핀, 도전성 엘라스토머(23), 도전판 스프링(25), 도전 프로브(27)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전자 회로 기기를 구성하는 회로 부품(1)과 회로 기판(40)을 전기적으로 도통할 경우에는, 우선 탄성 홀더(10)가 개구된 축소 직경부(11)를 확대해서 회로 부품(1)을 확대 직경부(12)에 결합하고, 각 접속 단자(20)의 복수의 도전 세선(22)에 회로 부품(1)의 음극(3)과 양극(4)을 압접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 단자(20)에 회로 부품(1)의 음극(3)과 양극(4)을 압접하면, 상부 케이스(52)내의 결합 리브(53)에 탄성 홀더(10)의 축소 직경부(11)를 결합하는 동시에, 상부 케이스(52)의 결합 홈(54)에 개스킷 플랜지(70)의 리브(71)를 결합하고, 그 후 하부 케이스(51)의 결합 홈(54)에 개스킷 플랜지(70)의 리브(71)를 결합하여 회로 기판(40)의 랜드(41)에 접속 단자(20)를 압접하면, 회로 부품(1)과 회로 기판(40)을 도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 홀더(10)와 개스킷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전자회로 기기의 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부품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므로, 조립의 원활화, 신속화, 간소화, 용이화 등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부 케이스(52)의 유통 구멍(55)으로부터 도 38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오물, 먼지, 물방울 등이 케이스의 내부에 침입하여도, 개스킷 플랜지(70)가 케이스(5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차단하므로, 오물, 먼지, 물방울 등이 아래쪽의 회로 기판(40)에 도달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회로 부품(1)이 손상되거나, 단락 등을 초래할 우려가 없다.
또한, 개스킷 플랜지(70)의 리브(71)를 활용하면, 위치 결정이나 결합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의 조립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 홀더(10)가 완충 기능을 발휘하므로, 예컨대 전자 회로 기기가 낙하하여도, 회로 부품(1)에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매우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로 부품(1)으로서 버튼 전지(2)를 탄성 홀더(10)에 수납해서 그 높이를 낮게 하고, 개스킷 플랜지(70)의 리브(71)를 대략 트랙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탄성 홀더(10)의 저면 외주에는 단일의 접속 단자(20)를 일체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더구나 접속 단자(20)의 수를 절감해서 비용 저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다음으로,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스킷 플랜지(70)의 표면의 일부의 두께를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도 두껍고 높게 해서 상부 케이스(52)의 내면 일측부에 접촉하는 스페이서(인서트)(72)를 돌출 형성하고, 개스킷 플랜지(70)의 리브(71)를 대략 반 트랙형 단면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스페이서(72)가 상부 케이스(52)의 결합시에 위치 결정 기능이나 유지 기능을 발휘하므로, 상부 케이스(52)를 조립의 기준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개스킷 플랜지(70)을 조립의 기준으로 해서 그 리브(71)에 하부 케이스(51)나 상부 케이스(52)의 가는 결합 홈(54)을 간단히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의 자유도나 작업의 편의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성의 향상을 크게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또한, 상부 케이스(52)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탄성의 스페이서(72)가 매립하므로,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케이스(50)를 얇게 형성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 케이스(50)나 상부 케이스(52)의 강도, 강성,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스킷 플랜지(70)의 두께를 두껍고 높게 하여 상부 케이스(52)의 내면 양측부에 접촉하는 복수의 스페이서(72)를 각각 돌출 형성하고, 접속 단자(20)를 생략하도록 하고 있다. 스페이서(72)는 개스킷 플랜지(70)의 이면측에만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하여도 좋고, 개스킷 플랜지(70)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상부 케이스(52)의 위치 결정 유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회로 부품(1)의 도통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 접속 단자(20)를 생략해서 비용 저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으로, 도 43 내지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자동차용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에 있어서의 손바닥 사이즈의 케이스(50)내에 배치되어서 소형의 버튼 전지(2)를 수납하는 탄성 홀더(10)를 구비하고, 이 탄성 홀더(10)를 절연성의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해서 그 외주면에서 개스킷 플랜지(70A)를 전후 좌우로 연장하고, 탄성 홀더(10)의 저면 외주와 접속 단자(20)를 일체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케이스(50)는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들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 12 실시예와 대략 같지만, 상부 케이스(52)에는 스위치 기구(80)가 내장된다. 이 스위치 기구(80)는 개스킷 플랜지(70A)상의 회로 기판(40A)에 설치되는 택트 스위치(81)와, 이 택트 스위치(81)를 상방으로부터 피복하는 가압 조작용의 필름 키(82)를 구비하고, 이 가요성을 갖는 필름 키(82)의 상부가 상부 케이스(52)의 관통 구멍(56)을 관통해서 조작 가능하게 노출한다.
버튼 전지(2)는 도 2나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코인 타입의 이산화망간 리튬 전지로 구성되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얇고 둥근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이 버튼 전지(2)는 예를 들면 저면의 중심부가 원형의 음극(3)으로 형성되어, 저면의 외주연부, 주위면 및 상면에 걸친 부분이 양극(4)으로 형성된다.
탄성 홀더(10)와 개스킷 플랜지(70A)에 대해서는 도 44 또는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와 같지만, 개스킷 플랜지(70A)는 전체적으로 케이스(5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대략 직사각형 평면으로 성형된다. 이 개스킷 플랜지(70A)는 그 주연부에 대략 세미 트랙형 단면의 리브(71)가 돌출 형성되고, 이 리브(71)가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의 결합 홈(54)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케이스(50)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 구획한다. 접속 단자(20)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 있어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의 버튼 전지(2)와 회로 기판(40)을 전기적으로 도통할 경우에는, 우선 탄성 홀더(10)가 개구된 축소 직경부(11)를 확대해서 버튼 전지(2)를 확대 직경부(12)에 결합하고, 각 접속 단자(20)의 복수의 도전 세선(22)에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을 각각 압접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 단자(20)에 버튼 전지(2)를 압접하면, 스위치 기구(80)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52)내의 결합 리브(53)에 탄성 홀더(10)의 축소 직경부(11)를 결합하는 동시에, 상부 케이스(52)의 결합 홈(54)에 개스킷 플랜지(70A)의 리브(71)를 결 합하고, 그 후 하부 케이스(51)의 결합 홈(54)에 개스킷 플랜지(70A)의 리브(71)를 결합해서 회로 기판(40)의 랜드(41)에 접속 단자(20)를 압접하면, 버튼 전지(2)와 회로 기판(40)을 도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 홀더(10)와 개스킷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의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 관리가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하므로, 조립의 원활화, 신속화, 간소화, 용이화 등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위치 기구(80)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부 케이스(52)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오물, 먼지, 물방울(도 43의 화살표 참조) 등이 케이스(50)의 내부에 침입하여도, 개스킷 플랜지(70A)가 케이스(5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차단하고 있으므로, 오물, 먼지, 물방울 등이 하방의 회로 기판(40)에 도달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미세한 회로 부품(1)이 손상되거나, 단락 등을 초래할 우려가 없다. 또한, 개스킷 플랜지(70A)의 리브(71)를 활용하면, 위치 결정이나 결합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의 조립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 홀더(10)가 진동 흡수 기능 및 완충 기능 및 감쇠 기능을 발휘하므로, 예컨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가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하여도, 회로 기판(40), 접속 단자(20), 버튼 전지(2)의 전극 등에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매우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40), 접속 단자(20), 버튼 전지(2)의 도통이 단속되어 ON-OFF하는 일이 없고, 채터링에 의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가 오작동할 우려를 매우 유효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접속시에 탄성 홀더(10)나 탄성 고무(21)가 변형 또는 압축해서 밀봉 기능을 발휘하므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의 외부로부터 전극 사이 등에 진애가 침입하여, 단락을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탄성 홀더(10)와 일체화한 접속 단자(20)를 압접 하 것만으로 회로 기판(40), 도전 세선(22), 버튼 전지(2)를 확실하게 도통할 수 있으므로, 하등 납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성의 향상 이외에, 가공이나 제조 작업의 현저한 원활화, 신속화, 간소화, 용이화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탄성 고무(21)의 장변부를 탄성 홀더(10)의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방향성을 특별히 정해서 도전 세선(22)을 정확하게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압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탄성 고무(21)의 외측 단부(21b)를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 형성하므로, 탄성 고무(21)를 탄성 홀더(10)의 저면 중심부로부터 될 수 있는 한 외측의 외주연부에 배치할 수 있고, 도전 세선(22)을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적절하게 압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전 세선(22) 자체를 입수하기가 실로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절감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홀더(10)의 축소 직경부(11)와 확대 직경부(12)의 경계부가 버튼 전지(2)를 안정시키고, 동시에 적절하게 위치 결정 가압하므로, 각 접속 단자(20)에 버튼 전지(2)를 적절히 압접할 수 있고, 더구나 버튼 전지(2)의 흔들림을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접속 단자(20)의 탄성 고무(21)를 대략 트랙형 평면으 로 형성하고, 이 탄성 고무(21)의 내부에,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일렬이 아니라, 복수열로 나란히 매설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도전 세선(22)의 개수를 늘리므로, 더욱 확실한 도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다음으로,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접속 단자(20)의 탄성 고무(21)를 기본적으로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하고, 탄성 홀더(10)의 저면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탄성 고무(21)의 내측 단부(21a)를 직선적으로 형성하고, 폭이 넓은 외측 단부(21b)를 반원형으로 만곡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탄성 고무(21)의 내측 단부(21a)를 만곡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공이나 제조가 용이해지는 것은 명확하다.
다음으로, 도 48, 도 49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탄성 고무(21)를 직사각형 단면 또는 대략 반 트랙형 단면으로 형성해서 그 표면의 일부에는 도전 세선(22)을 "U"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접착하고,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으로, 도 50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체를 절연성을 갖는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의 하우징(26)으로 하고, 이 하우징(26)중에 탄성 홀더(10)의 바닥부 두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소형 도전 프로브(27)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하도록 하고 있다.
도전자인 각 도전 프로브(27)는 하우징(26)의 구멍중에 결합 고정되는 단면 대략 "U"자형의 도전 토우 핀(28)과, 이 캡형의 도전 토우 핀(28)에 개구된 상방으로부터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 가능한 도전 핀(29)과, 이들 도전 토우 핀(28)과 도전 핀(29) 사이에 개재되어서 버튼 전지(2)에 도전 핀(29)을 압접하는 도전성의 코일 스프링(30)으로 구성된다. 도전 토우 핀(28)은 하우징(26)중에 결합 고정하여도 좋지만,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정리해서 탄성 고무(21)의 길이방향으로 병설했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버튼 전지(2)의 음극(3)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탄성 고무(21)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하는 동시에, 버튼 전지(2)의 양극(4)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다른 탄성 고무(21)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여러 실시예는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자로서, 복수의 도전 핀, 도전성 엘라스토머(23), 도전판 스프링(25)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1 또는 도 54는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자동차용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를 구성하는 케이스(50)에 내장되어서 소형의 버튼 전지(2)를 수납하는 탄성 홀더(10)를 구비하고, 이 탄성 홀더(10)를 절연성의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성형해서 그 외주면에서 개스킷 플랜지(70A)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 개스킷 플랜지(70A)의 일부를 클릭형의 러버 스위치(90)에 돌출 성형하고, 탄성 홀더(10)의 저면 외주에는 복수의 접속 단자(20)를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화하도록 하고 있다.
케이스(50)는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하부 케이스(51)와, 이 하부 케이스(51)의 개구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52)가 서로 대향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손바닥 사이즈의 소형으로 형성된다. 이들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는 소정의 수지나 금속을 사용해서 기본적으로는 대략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대향하는 주벽의 접촉면에는 무한 결합 홈(54)이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51)는 프린트 기판이나 고밀도 플렉시블 기판 등으로 이루어진 랜드(41)를 갖는 회로 기판(40)을 내장하고, 이 회로 기판(40)상에는 미세한 복수의 회로 부품(예를 들면, 저항기, 콘덴서, 코일, 트랜스,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42)이나 러버 스위치용 전극(43)이 설치되어 있고, 이 러버 스위치용 전극(43)에는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환경 변화에 따르는 접속 부분의 부식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도금이 실시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52)는 내면 상부의 일측에 아래쪽으로 지향하는 원통의 결합 리브(53)가 돌출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러버 스위치용의 조작 구멍(57)이 천공된다.
버튼 전지(2)는 상기 여러 실시예와 같이 예를 들면 코인 타입의 이산화망간 리튬 전지로 구성되고, 얇고 둥근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이 버튼 전지(2)는 예를 들면 저면의 중심부가 원형의 음극(3)으로 형성되고, 저면의 외주연부, 주위면 및 상면에 걸친 부분이 양극(4)으로 형성된다.
탄성 홀더(10)는 도 51 또는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고무 재료를 사용해서 버튼 전지(2)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가요성이나 완충성 등을 갖는 중공의 대략 볼록형 단면으로 성형되어, 개구된 상방의 축소 직경부(11)보다도 하방의 확대 직경부(12)에 버튼 전지(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수납한다. 소정의 고무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온도 의존성이나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 등이 최적이다. 이 탄성 홀더(10)의 경도는 완충 기능, 성형성, 취급 등의 관점에서 10∼90°Hs, 바람직하게는 20∼70°Hs,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Hs의 범위로 설정된다.
개스킷 플랜지(70A)는 도 51, 도 52,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홀더(10)의 확대 직경부(12)의 외주면 하부로부터 탄성 홀더(10)의 축방향(도 51의 상하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외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나오며, 전체적으로는 케이스(50)에 대응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으로 성형된다. 이 개스킷 플랜지(70A)는 그 주연부에 대략 원형 또는 반원형 단면의 무한 리브(71)가 돌출 형성되고, 이 리브(71)가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의 결합 홈(54)에 밀봉 상태로 밀착 결합됨으로써, 케이스(50)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 구획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스킷 플랜지(70A)를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케이스(5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트랙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러버 스위치(90)는 도 51, 도 52,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스킷 플랜지(70A)의 표면 외측부에 굴곡 가능한 복귀용의 탄성 컵(91)을 거쳐 일체적으로 접속 지지되는 가압 조작 가능한 키 톱(92)과, 이 고무제의 키 톱(92)의 하면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70A)의 이면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볼록부(93)의 선단에 설치되는 고무제의 도전 접점(94)으로 구성된다. 이 러버 스위치(90)는 키 톱(92)의 상부 표면에 숫자나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모양이 인쇄되며, 이 키 톱(92)의 상부가 상부 케이스(52)의 조작 구멍(57)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 도전 접점(94)이 하방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40)의 러버 스위치용 전극(43)에 간극을 거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한다. 이러한 러버 스위치(90)는 탄성적인 키 톱(92)이 가압 조작되어서 하강하면, 도전 접점(94)이 러버 스위치용 전극(43)에 접촉하고, 회로 기판(40)에 소정의 신호를 전달한다.
각 접속 단자(20)는 도 52,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홀더(10)의 바닥부를 관통해서 일체화되고, 상하면이 탄성 홀더(10)의 바닥부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절연성의 탄성 고무(21)와, 이 탄성체인 긴 탄성 고무(21)내에 나란히 매설되어서 탄성 홀더(10)의 바닥부 두께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도전자인 복수의 도전 세선(22)으로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세미 트랙형으로 구성된다. 탄성 고무(21)는 압축 변형이 요구되는 관계상,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고무, 실리콘 고무 등으로 되지만, 특히 경도가 낮고 온도 의존성이나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 등이 최적이다.
탄성 고무(21)의 경도는 압축성이나 유연성 확보 등의 관점에서 10∼20°Hs,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Hs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 탄성 고무(21)는 기본적으로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장변부(장변 또는 장축일 수도 있음)가 탄성 홀더(10)의 저면 폭방향, 즉 반경방향을 향할 수 있고, 외측 단부(21b)가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 형성된다.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도 52 내지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고무(21)의 중앙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병설되고, 상하의 양단부가 탄성 고무(21)의 상하 양면에서 각각 약간 노출한다. 각 도전 세선(22)은 가요성 및 굴곡성을 갖는 와이어 등으로 구성되고, 주위면에 도금이 실시되어 있어, 이 도금이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환경 변화에 따른 접속 부분의 부식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이러한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하단부가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랜드(41)에 접촉하고, 상단부가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접촉해서 도통을 확보한다. 회로 기판(40)의 각 랜드(41)에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 세선(22)으로 이루어진 도전자를 도시하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전자가 복수의 도전 핀, 도전성 엘라스토머(23), 도전판 스프링(25) 등이어도 좋다.
상기에 있어서, 전자 회로 기기를 구성하는 회로 기판(40)과 버튼 전지(2)를 전기적으로 도통할 경우에는, 우선 탄성 홀더(10)가 개구된 축소 직경부(11)를 확대해 버튼 전지(2)를 확대 직경부(12)에 결합하고, 각 접속 단자(20)의 복수의 도전 세선(22)에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을 압접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 단자(20)에 버튼 전지(2)를 압접하면, 하방을 향한 상부 케이스(52)내의 결합 리브(53)에 탄성 홀더(10)의 축소 직경부(11)를 결합하는 동시에, 상부 케이스(52)의 조작 구멍(57)에 러버 스위치(90)의 키 톱(92)을 결합하고, 상부 케이스(52)의 결합 홈(54)에 개스킷 플랜지(70A)의 리브(71)를 결합한다.
그리고, 그 후 하부 케이스(51)의 결합 홈(54)에 개스킷 플랜지(70A)의 리브(71)를 결합하여 회로 기판(40)의 랜드(41)에 접속 단자(20)를 압접하고, 동시에 회로 기판(40)의 러버 스위치용 전극(43)에 러버 스위치(90)의 도전 접점(94)을 대향시킨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40)과 버튼 전지(2)를 도통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스위치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 홀더(10), 개스킷 플랜지(70A), 러버 스위치(90)가 별개가 아니라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의 부품수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부품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므로, 조립의 원활화, 간소화, 신속화, 용이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키 톱(92)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부 케이스(52)의 조작 구멍(57)으로부터 오물, 먼지, 물방울(도 51의 화살표 참조) 등이 케이스(50)의 내부 상방에 침입하여도, 개스킷 플랜지(70A)가 케이스(5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차단하고, 회로 기판(40), 랜드(41), 회로 부품(42), 러버 스위치용 전극(43)을 상방으로부터 덮으므로, 오물, 먼지, 물방울 등이 하방의 회로 기판(4O)에 도달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미세한 회로 부품(42)이 손상되거나, 단락 등을 초래할 우려가 없고, 더구나 러버 스위치(90)의 키 톱(92)과 러버 스위치용 전극(43) 사이에, 오물, 먼지, 물방울 등이 침입하여, 스위치 입력이 불가능해질 우려도 매우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스킷 플랜지(70A)의 리브(71)를 활용하면, 위치 결정이나 결합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의 조립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탄성 홀더(10)가 진동 흡수 기능 및 완충 기능 및 감쇠 기능을 발휘하므로, 예컨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가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하여도, 회로 기판(40), 버튼 전지(2), 접속 단자(20) 등에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매우 유효하게 억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40), 버튼 전지(2), 접속 단자(20)의 도통이 단속되어 ON-OFF하는 일이 없고, 채터링에 의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가 오작동할 우려를 유효하게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접속시에 탄성 홀더(10)나 탄성 고무(21)가 변형 또는 압축해서 밀봉 기능을 발휘하므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의 외부로부터 전극 사이 등에 진 애가 침입하거나, 단락을 발생하게 하는 일이 없다. 또한, 탄성 홀더(10)와 일체화된 접속 단자(20)를 압접하는 것만으로 회로 기판(40), 버튼 전지(2), 도전 세선(22)을 확실하게 도통할 수 있으므로, 하등 납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성의 향상 이외에, 가공이나 제조 작업의 현저한 원활화, 신속화, 간소화, 용이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고무(21)의 장변부를 탄성 홀더(10)의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방향성을 특별히 정해서 도전 세선(22)을 정확하게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압접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고무(21)의 외측 단부(21b)를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 형성하므로, 탄성 고무(21)를 탄성 홀더(10)의 저면 중심부로부터 될 수 있는 한 외측의 외주연부에 배치할 수 있고, 도전 세선(22)을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적절하게 압접할 수 있다. 또한, 도전 세선(22) 자체를 입수하는 것이 실로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홀더(10)의 축소 직경부(11)와 확대 직경부(12)의 경계부가 버튼 전지(2)를 안정시키고, 동시에 적절하게 위치 결정 가압하므로, 각 접속 단자(20)에 버튼 전지(2)를 적절하게 압접할 수 있고, 또한 버튼 전지(2)의 흔들림을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릭형의 러버 스위치(90)를 채용하므로, 러버 콘택트 특유의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5는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2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접속 단자(20)의 탄성 고무(21)를 대략 트랙형으로 형성하고, 이 탄성 고무(21)의 내부에,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일렬이 아니라, 복수열로 나란히 매설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도전 세선(22)의 개수를 늘리므로, 더욱 확실한 도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다음으로, 도 56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2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접속 단자(20)의 탄성 고무(21)를 기본적으로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하고, 탄성 홀더(10)의 저면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탄성 고무(21)의 내측 단부(21a)를 직선적으로 형성하고, 폭이 넓은 외측 단부(21b)를 반원형으로 만곡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탄성 고무(21)의 내측 단부(21a)를 만곡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공이나 제조가 용이해지는 것은 명확하다.
다음으로, 도 57 및 도 58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2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탄성 고무(21)를 직사각형 단면 또는 대략 세미 트랙형으로 형성해서 그 표면의 일부에는 도전 세선(22)을 "U"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접착하고,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제 22 및 제 23 실시예를 채용할 수 없을 경우 등에 의미가 있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으로, 도 59는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21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체를 절연성을 갖는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의 하우징(26)으로 하고, 이 하우징(26)중에 탄성 홀더(10)의 바닥부 두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소형 도전 프로브(27)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하도록 하고 있다.
도전자인 각 도전 프로브(27)는 하우징(26)의 구멍에 결합 고정되는 대략 "U"자형 단면의 도전 토우 핀(28)과, 이 캡형의 도전 토우 핀(28)에 개구된 상방으로부터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 가능한 도전 핀(29)과, 이들 도전 토우 핀(28)과 도전 핀(29) 사이에 개재되어서 버튼 전지(2)에 도전 핀(29)을 압접하는 도전성의 코일 스프링(30)으로 구성된다. 도전 토우 핀(28)은 하우징(26)중에 결합 고정하여도 좋지만,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할 수도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제 23 실시예를 채용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유익한 것은 명백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버튼 전지(2)의 음극(3)과 양극(4)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정리해서 탄성 고무(21)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했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버튼 전지(2)의 음극(3)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탄성 고무(21)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하는 동시에, 버튼 전지(2)의 양극(4)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을 다른 탄성 고무(21)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여러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개스킷 플랜지(70A)는 모두가 동일한 두께이어도 좋고, 적어도 일부의 두께가 다른 것과 상이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클릭형의 러버 스위치(90) 외에, 키 프레스(key press) 내구성이 뛰어난 오버 스트로크형의 러버 스위치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키 톱(92)의 상부에 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캡을 접착 등의 수단으로 부착하거나, 키 톱(92)의 표면을 필름으로 피복하거나, 또는 키 톱(92)을 중공의 원기둥이나 각기둥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러버 스위치(90)의 볼록부(93)와 각 접속 단자(20)를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볼록부(93)를 원기둥이나 각기둥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0 내지 도 63은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발신기 등으로 이루어진 소형의 전자 회로 기기의 프린트 회로 기판 등의 회로 기판(40)에 세트되는 소형의 버튼 전지(2)를 결합 수납하는 탄성의 탄성 홀더(10A)와, 이 탄성 홀더(10A)에 수납되는 버튼 전지 표면의 전극에 압접하고, 버튼 전지(2)의 출력을 외부의 회로 기판(40)으로 유도하는 접속 단자(20)와, 탄성 홀더(10A)에 저면측으로부터 결합하여 회로 기판(40)에 버튼 전지(2)를 위치 결정 고정하는 유지구(100)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회로 기기는 도 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는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들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 사이에는 조작용의 러버 스위치(90)와 회로 기판(40)이 각각 내장된다.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는 절연성을 갖는 소정의 수지나 금속 재료 등을 사용해서 기본적으로는 각각 대략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51)의 내부 저면에는 회로 기판(40)용의 복수의 지지 리브(58)가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매설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52)에는 조작 구멍(57)이 필요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 천공된다.
러버 스위치(90)는 소정의 고무 재료를 사용해서 기본적으로는 전자 회로 기기의 크기에 대응한 대략 판형 단면으로 성형되고, 완충 기능, 성형성, 취급성의 관점에서 10∼90°Hs, 바람직하게는 20∼70°Hs,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Hs의 범위의 경도로 성형된다. 소정의 고무 재료로는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지만, 온도 의존성이나 절연성 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가 최적이다.
러버 스위치(90)는 도 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상부 케이스(52)의 조작 구멍(57)으로부터 노출되는 가압 조작용의 키 톱(92)이 돌출 형성되고, 이면에는 키 톱(92)의 하방에 위치하는 볼록부(9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93)의 선단면에는 고무제의 도전 접점(94)이 설치된다. 러버 스위치(90)의 주연부 하면에는 복수의 지지 리브(58)에 지지된 회로 기판(40)에 결합 위치 결정하는 단차수용부(95)가 돌출 형성되고, 이 단차 수용부(95)로부터는 플랜지(96)가 수평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플랜지(96)가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 사이에 끼워져 개스킷 기능을 발휘한다.
회로 기판(40)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미세한 복수의 회로 부품(예를 들면, 저항기, 콘덴서, 코일, 트랜스,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42)과,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위치 결정 고정하는 복수의 관통구(through hole)가 각각 설치된다. 이 회로 기판(40)은 그 표면에 러버 스위치(90)의 도전 접점용 전극(44)이 설치되고, 이 도전 접점용 전극(44)에는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환경 변화에 따르는 접속 부분의 부식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도금이 실시된다. 이것에 대하여, 회로 기판(40)의 이면에는 버튼 전지용의 전극부인 복수의 랜드(41)가 형성되며, 각 랜드(41)에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도금이 실시된다.
버튼 전지(2)는 도 60 또는 도 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코인 타입의 이산화망간 리튬 전지로 구성되고, 얇고 둥근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이 버튼 전지(2)는 예를 들면 표면의 돌출한 중심부가 원형의 음극(3A)으로 형성되고, 표면의 외주연부, 주위면 및 이면에 걸친 부분이 양극(4)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전지(2)의 표면의 외주연부, 주위면 및 이면에 걸친 부분을 양극(4)으로 하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버튼 전지(2)의 표면 중심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양극(4)으로 하여도 좋다.
탄성 홀더(10A)는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고무 재료를 사용해서 버튼 전지(2)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지만, 예를 들면 가요성이나 완충성 등을 갖는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성형되며, 개구면에서 버튼 전지(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수납한다. 소정의 고무 재료로는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온도 의존성이나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 등이 최적이다. 이 탄성 홀더(10A)의 경도는 완충 기능, 성형성, 취급 등의 관점에서 10∼90°Hs, 바람직하게는 20∼70°Hs,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Hs의 범위로 설정된다.
접속 단자(20)는 탄성 홀더(10A)에 수납된 버튼 전지(2)의 노출면인 표면에 접촉하는 대략 원판형의 탄성 고무(21)와, 이 탄성 고무(21)내에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매설되어,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얇은 원판형으로 구성된다. 탄성 홀더(10A)의 개구면에 결합하는 절연성의 탄성 고무(21)는 압축 변형이 필요하므로,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특히 경도가 낮고 온도 의존성이나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 등이 최적이다. 이 탄성 고무(21)의 경도는 압축성이나 유연성 확보 등의 관점에서 10∼40°Hs,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30°Hs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탄성 홀더(10A)와 접속 단자(20)는 동일한 소재나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도 61 또는 도 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고무(21)내의 XY방향으로 고밀도로 병설(일렬, 이열, 복수열 등일 수 있음)되고, 상하의 양단부가 탄성 고무(21)의 표면 및 이면에서 각각 약간 노출한다. 각 도전 세선(22)은 예를 들면 가요성 및 굴곡성을 갖는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지고, 주위면에 도금이 실시되고 있어, 이 도금이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환경 변화에 따르는 접속 부분의 부식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이러한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일단부가 버튼 전지(2)의 음극(3A)과 양극(4)에 접촉하는 동시에, 타 단부가 전기 접합물인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랜드(41)에 접촉하고, 버튼 전지(2)와 회로 기판(40)의 도통을 확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 세선(22)으로 이루어진 도전자를 도시하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도전 핀, 도전성 엘라스토머(23), 도전판 스프링(25), 또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도전 프로브(27)로구성되는 도전자이어도 좋다.
유지구(100)는 도 6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 전지(2)의 유지 고정에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서 탄성 홀더(10A)의 적어도 저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둘러싸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접착 등에 의해 탄성 홀더(10A)와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료로는 예를 들면 표면이 도금 처리되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동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종의 수지, 구체적으로는 강도나 미끄러짐성이 뛰어난 테프론 수지, 강도가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LCP, 저렴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지구(100)는 도 60, 도 61, 도 6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라인의 가늘고 긴 레그(101)를 구비하고, 각 레그(101)가 굴곡되어서 탄성 홀더(10A) 주위면의 저면측에서 개구측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각 레그(101)의 자유 단부가 회로 기판(40)의 관통구에 이면측에서 삽입되고, 동시에 내측 방향으로 굴곡 결합된다.
또한, 레그(10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나 6개 등이어도 좋지만, 대략 Y자형 평면을 갖는 3개를 갖는 것이 최적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로 기판(40)에 버튼 전지(2)를 세트할 경우에는 우선, 개구를 확대한 탄성 홀더(10A)에 버튼 전지(2)를 밀착 결합하여 그 표면을 노출시키고, 이 버튼 전지(2)의 표면의 음극(3A)과 양극(4)에 접속 단자(20)를 포개고,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랜드(41)에 버튼 전지(2)의 음극(3A)과 양극(4)을 각각 접촉시키고, 그 후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관통구에 유지구(100)의 레그(101)를 각각 삽입해서 매우 깊게 굴곡 결합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접속 단자(20)가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압축해서 회로 기판(40)과 버튼 전지(2)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회로 기판(40)에 버튼 전지(2)가 적합하게 세트되어, 버튼 전지(2)의 출력이 외부로 유도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진동 흡수 기능, 완충 기능 및 감쇠 기능을 발휘하는 탄성 홀더(10A)가 버튼 전지(2)를 결합 보호해서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 방지하므로, 예컨대 전자 회로 기기가 과오 등에 의해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하더라도, 버튼 전지(2)에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버튼 전지(2)의 도통이 단속화하고, 채터링에 의해 전자 회로 기기가 오작동할 우려가 없다. 또한, 탄성 홀더(10A)와 일체화되는 접속 단자(20)를 압접하는 것만으로, 회로 기판(40), 버튼 전지(2), 도전 세선(22)을 확실하게 도통할 수 있으므로, 하등 납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회로 기판(40)에 복수의 금속판 스프링 등을 하나씩 납땜 고정하지 않아도, 버튼 전지(2)의 도통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의 악화나 제조 작업의 지연이나 번잡화, 복잡화 등을 매우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러버 스위치(90)와 유지구(100) 등이 일체인 경우에는 전자 회로 기기의 밀봉성을 손상시킬 우려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러버 스위치(90)와 유지구(100)를 별도의 부재로 하여 유지구(100)만을 강하게 가압 고정함으로써, 회로 기판(40)에 버튼 전지(2)를 압접하므로, 전자 회로 기기의 밀봉성의 유지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탄성 홀더(10A)와 유지구(100)를 일체화하므로, 부품수의 절감이나 부품 관리의 용이화를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시에 러버 스위치(90)의 플랜지(96)가 변형 또는 압축하여 실링 기능을 발휘하므로, 전자 회로 기기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진애가 침입하여, 단락을 발생하게 하는 일도 없다. 또한, 도전 세선(22) 자체를 입수하는 것은 실로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절감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4는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러버 스위치(90)를 생략해서 전자 회로 기기의 하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2) 사이에 무한 개스킷(110)을 개재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러버 스위치(90)를 필요로 하지 않는 여러 전자 회로 기기에도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5는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유지구(100)를 탄성 홀더(10A)의 저면을 덮는 원형의 가압판(102)과, 이 가압판(l02)의 주연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병설되는 3개의 레그(101)로 구성하고, 각 레그(101)를 탄성 홀더(10A) 주위면의 저면측에서 개구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각 레그(1O1)의 자유 단부를 회로 기판(40)의 관통구에 이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동시에 굴곡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가압판(102)의 면적이 넓으므로, 탄성 홀더(10A)에 가압력을 안정적인 상태로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또한, 레그(10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나 6개 등도 좋지만, 3개인 것이 최적이다.
다음으로, 도 66은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유지구(100)를 탄성 홀더(10A)에 저면측으로부터 결합하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통체(103)와, 이 통체(103)의 주연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병설되는 3개의 레그(101)로 구성하고, 각 레그(101)를 탄성 홀더(10A) 주위면의 저면측에서 개구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각 레그(1O1)의 자유 단부를 회로 기판(4O)의 관통구에 이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동시에 굴곡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탄성 홀더(10A)의 저면뿐만 아니라, 주위면도 보호하므로, 탄성 홀더(10A)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또한, 레그(10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나 6개 등도 좋지만, 3개인 것이 좋다.
다음으로, 도 67 및 도 68은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 29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지구(100)의 각 레그(101)의 자유 단부에, 관통구에 결합하는 이탈 방지용의 결합 클로(104)를 돌출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각 레그(101)의 결합 클로(104)에 의해 탄성 홀더(10A)의 이탈이나 느슨함 등을 매우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그(101)의 결합 클로(104)는 도 67 또는 도 68에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도 69와 같이 테이퍼진 대략 스피어헤드 형상으로 하거나, 도 70과 같이 각 레그(101)를 한쌍으로 분할하여 스프링성을 부여하고, 분할한 각 레그(101)의 자유 선단부에 결합 클로(104)를 돌출 형성하거나, 또는 다른 형상[예를 들면, 앵커 볼트형, 렛 티스형 기믈릿(rat teeth like gimlet)형, 국화모양 기믈릿형, 스크류 기믈릿형 등]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버튼 전지(2)의 음극(3A)과 양극(4)에 단일 접속 단자(20)를 접촉시켰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버튼 전지(2)의 음극(3A)과 양극(4)에 따라 복수의 접속 단자(20)를 각각 개별적으로 접촉시켜도 좋다. 또한, 부품수의 절감이나 부품 관리의 용이화를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라면, 탄성 홀더(10A)와 유지구(100)를 일체화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으로, 도 71 내지 도 75는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탄성 홀더(10A)에 버튼 전지(2)를 결합 수납하여 그 전극인 음극(3A)과 양극(4)을 탄성 홀더(10A)의 내부 저면측을 향해,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에 축소 형성한 접속 단자(20)를 일체화하고, 또한 탄성 홀더(10A)에 그 개구면측에서 결합하여 회로 기판(40)에 버튼 전지(2)를 위치 결정 고정하는 유지구(100)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탄성 홀더(10A)는 상기 고무 재료를 사용해서 버튼 전지(2)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지만, 예를 들면 가요성이나 완충성 등을 갖는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과 직사각형의 블록를 일체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성형되어, 개구면의 내주연부에서 링형의 플랜지(15)가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개구면에서 버튼 전지(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수납하여 그 이면의 외주연부에 플랜지(15)를 결합시킨다(도 72 내지 도 74 참조). 또한, 접속 단자(20)는 도 71 내지 도 7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 중심으로부터 외주에 걸쳐서 일체화되는 작은 대략 타원형의 탄성 고무(21)와, 이 탄성 고무(21)내에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매설되어,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복수의 도전 세선(22)(도전자)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도전 세선(22)은 탄성 고무(21)내의 중심 길이방향으로 병설(일렬, 이열, 복수열 등일 수도 있음)되고, 상하의 양단부가 탄성 고무(21)의 표면 및 이면에서 각각 약간 노출된다. 또한, 유지구(100)는 버튼 전지(2)의 유지 고정에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탄성 홀더(10A)의 개구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둘러싸서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접착 등에 의해 탄성 홀더(10A)와 일체화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다. 이 유지구(100)는 복수 라인의 가늘고 긴 레그(101)를 구비하고, 각 레그(101)가 굴곡되어서 탄성 홀더(10A) 주위면의 개구측에서 저면측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각 레그(101)의 자유 단부가 회로 기판(40)의 관통구에 삽입되고, 동시에 내측 방향으로 굴곡 결합된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버튼 전지(2)의 수납후에 탄성 홀더(10A)의 개구면에 별개의 접속 단자(20)를 하등 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성이나 취급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다음으로, 도 76 내지 도 78은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플랜지(15)를 생략한 탄성 홀더(10A)에, 버튼 전지(2)를 결합 수납하여 그 전극인 음극(3A)과 양극(4)을 탄성 홀더(10A)의 내부 저면측을 향해, 탄성 홀더(10A)의 바닥부에 축소 형성한 접속 단자(20)를 일체화하고, 동시에 탄성 홀더(10A)에 그 개구면측에서 절연 시트(16)를 거쳐서 결합하고, 회로 기판(40)에 버튼 전지(2)를 위치 결정 고정하는 유지구(100)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절연 시트(16)는 소정의 절연 재료 등을 사용해서 얇은 원판형으로 성형되어, 탄성 홀더(10A)의 개구면을 폐색한다. 이 절연 시트(16)를 형성하는 소정의 절연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온도 의존성이나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 무 등이 최적이다. 절연 시트(16)의 소정의 절연 재료로서는 상기 고무 재료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PET, PEI, PP, PS 등이어도 좋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탄성 홀더(10A)와 유지구(100) 사이에 평탄한 절연 시트(16)가 개재되므로, 절연 시트(16)의 요철에 따라 유지구(100)가 기울거나 하는 것을 매우 유효하게 억제 방지할 수 있고, 유지구(100)의 자세 등이 대단히 안정적인 것은 명백하다.
또한, 제 31 및 제 32 실시예는 상기 양태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31 및 제 32 실시예와 제 26 내지 제 30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수의 절감, 조립의 간소화나 신속화,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컨대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오작동할 우려를 유효하게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물, 먼지, 물방울 등의 침입에 따라 부품 등이 손상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회로 부품용 커넥터에 있어서,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 부품을 수납하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성의 탄성 홀더와, 상기 탄성 홀더에 수납된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접속 단자를, 탄성 홀더의 바닥부 중앙 부근과 바닥부 외주에 설치하는 동시에, 접속 단자를, 탄성 홀더에 설치되는 절연성의 탄성체와, 이 탄성체에 설치되어 적어도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도전자로 구성하며, 또한 탄성 홀더와 접속 단자를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
  18. 삭제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의 탄성체를 대략 직사각형 또는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하고, 이 탄성체의 장변부를 탄성 홀더의 저면 폭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회로 부품용 커넥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의 탄성체의 양단부중 적어도 탄성 홀더의 바닥부 외주측에 위치하는 탄성체의 외측 단부를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한
    회로 부품용 커넥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의 도전자는 도전 세선, 도전 핀, 도전성 엘라스토머, 도전 스프링, 금속박 또는 탄성 홀더의 바닥부 두께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도전 프로브인
    회로 부품용 커넥터.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홀더의 외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를 연장시키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홀더용의 유지구를 구비하고, 이 유지구를 탄성 홀더를 둘러싸서 덮는 형태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유지구에 복수의 레그를 형성한
    회로 부품용 커넥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 플랜지의 일부를 러버 스위치(rubber switch)로 형성한
    회로 부품용 커넥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스위치를 개스킷 플랜지의 표면측(obverse side)에 형성되는 키 톱(key top)과, 이 키 톱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의 이면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에 설치되는 도전 접점으로 형성한
    회로 부품용 커넥터.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전기 접합물을 내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와,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 부품을 수납하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성 탄성 홀더와, 상기 탄성 홀더에 수납된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탄성 홀더의 외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를 연장시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접속부 사이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개스킷 플랜지를 끼워 유지하고, 전기 접합물과 회로 부품의 전극 사이를 접속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
  34.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전기 접합물을 내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와,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 부품을 수납하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성 탄성 홀더와, 상기 탄성 홀더에 수납된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개스킷 플랜지의 일부를 러버 스위치(rubber switch)로 형성하고, 러버 스위치를 개스킷 플랜지의 표면측에 형성되는 키 톱(key top)과, 이 키 톱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의 이면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에 설치되는 도전 접점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접속부 사이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개스킷 플랜지를 끼워 유지시켜 그 러버 스위치의 키 톱을 제 2 케이스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키고, 러버 스위치의 도전 접점을 전기 접합물의 전극에 간극을 두고 접촉가능하게 대향시켜, 전기 접합물과 회로 부품의 전극 사이를 접속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
  35.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전기 접합물을 내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와,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 부품을 수납하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성 탄성 홀더와, 상기 탄성 홀더에 수납된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탄성 홀더의 외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를 연장시켜서, 상기 개스킷 플랜지의 주연부를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개스킷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접속부 사이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개스킷 플랜지를 끼워 유지하고, 전기 접합물과 회로 부품의 전극 사이를 접속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
  36.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전기 접합물을 내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와,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 부품을 수납하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성 탄성 홀더와, 상기 탄성 홀더에 수납된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탄성 홀더의 외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를 연장시켜서, 상기 개스킷 플랜지의 주연부를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시키며, 상기 개스킷 플랜지의 일부의 두께를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여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접속부 사이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개스킷 플랜지를 끼워 유지하고, 전기 접합물과 회로 부품의 전극 사이를 접속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
  37.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전기 접합물을 내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와,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 부품을 수납하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성 탄성 홀더와, 상기 탄성 홀더에 수납된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탄성 홀더의 외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를 연장시켜서, 상기 개스킷 플랜지의 주연부를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개스킷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며,
    개스킷 플랜지의 일부를 러버 스위치(rubber switch)로 형성하고, 러버 스위치를 개스킷 플랜지의 표면측에 형성되는 키 톱(key top)과, 이 키 톱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의 이면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에 설치되는 도전 접점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접속부 사이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개스킷 플랜지를 끼워 유지시켜 그 러버 스위치의 키 톱을 제 2 케이스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키고, 러버 스위치의 도전 접점을 전기 접합물의 전극에 간극을 두고 접촉가능하게 대향시켜, 전기 접합물과 회로 부품의 전극 사이를 접속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
  38.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전기 접합물을 내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와,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 부품을 수납하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성 탄성 홀더와, 상기 탄성 홀더에 수납된 회로 부품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탄성 홀더의 외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를 연장시켜서, 상기 개스킷 플랜지의 주연부를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시키며, 상기 개스킷 플랜지의 일부의 두께를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여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며,
    개스킷 플랜지의 일부를 러버 스위치(rubber switch)로 형성하고, 러버 스위치를 개스킷 플랜지의 표면측에 형성되는 키 톱(key top)과, 이 키 톱으로부터 개스킷 플랜지의 이면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에 설치되는 도전 접점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접속부 사이에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개스킷 플랜지를 끼워 유지시켜 그 러버 스위치의 키 톱을 제 2 케이스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키고, 러버 스위치의 도전 접점을 전기 접합물의 전극에 간극을 두고 접촉가능하게 대향시켜, 전기 접합물과 회로 부품의 전극 사이를 접속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부품용 커넥터의 접속 구조체.
KR1020047006806A 2001-11-05 2002-10-31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체 KR100632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39537 2001-11-05
JPJP-P-2001-00339537 2001-11-05
JPJP-P-2001-00346477 2001-11-12
JP2001346477A JP2003152346A (ja) 2001-11-12 2001-11-12 ガスケット、回路部品用ガスケット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JP-P-2001-00359537 2001-11-26
JP2001359537A JP2003157740A (ja) 2001-11-26 2001-11-26 回路部品用ガスケット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JP-P-2002-00114910 2002-04-17
JP2002114910 2002-04-17
JPJP-P-2002-00134131 2002-05-09
JP2002134131 2002-05-09
JPJP-P-2002-00143107 2002-05-17
JP2002143107A JP2004006068A (ja) 2002-04-17 2002-05-17 ボタン電池用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2002192484A JP2004031295A (ja) 2001-11-05 2002-07-01 ボタン電池用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JP-P-2002-00192484 2002-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059A KR20050042059A (ko) 2005-05-04
KR100632542B1 true KR100632542B1 (ko) 2006-10-11

Family

ID=2756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806A KR100632542B1 (ko) 2001-11-05 2002-10-31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53121A4 (ko)
KR (1) KR100632542B1 (ko)
CN (1) CN100355112C (ko)
NO (1) NO20042322L (ko)
TW (1) TWI269497B (ko)
WO (1) WO2003041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3158A1 (de) * 2010-12-15 2012-06-21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euergeräts
JP5817328B2 (ja) * 2011-08-22 2015-11-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時計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CN103051039A (zh) * 2011-10-11 2013-04-1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高压电池充电系统及其适用的充电器
CN102545310A (zh) * 2011-11-29 2012-07-04 卢小平 水中电动玩具的供电方法及供电装置
EP2859832A4 (en) * 2012-06-08 2016-03-02 Olympus Corp CAPTURED MEDICINE PRODUCT
CN108352462B (zh) * 2015-09-30 2021-10-01 福西尔集团公司 使用导电壳体用于电池触点的系统、设备和方法
US10033050B2 (en) 2016-09-19 2018-07-2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Key fob battery fretting corrosion inhibitor
CN108198963B (zh) * 2018-01-11 2020-11-27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结构的立式电池底座承载方法及电池底座
CN108223795A (zh) * 2018-02-08 2018-06-29 深圳垦拓流体控制有限公司 一种密封件安装结构、动铁结构与电磁阀
KR102562442B1 (ko) * 2018-02-09 2023-08-03 주성엔지니어링(주) 전극 접속 소자,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TWI655891B (zh) * 2018-03-08 2019-04-01 綠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模組及其製造方法及電子裝置的殼體及其製造方法
CN108550752B (zh) * 2018-06-08 2021-04-13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伸缩结构的立式电池底座
JP7262099B2 (ja) * 2018-12-26 2023-04-21 株式会社サンメディカル技術研究所 血液ポンプコントローラ及び補助人工心臓システム
KR20210123923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EP3911132B1 (en) 2020-05-12 2024-07-03 AT & S Austria Technologie & Systemtechnik Aktiengesellschaft Component carrier with a solid body protecting a component carrier hole from foreign material ingression
JP7384880B2 (ja) * 2021-10-19 2023-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9774A (en) * 1981-02-05 1984-05-22 Shin-Etsu Polymer Co., Ltd. Electroconductive rubbery member and elastic connector therewith
JPH05166501A (ja) * 1991-12-16 1993-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ン形電池の防水収納装置
JP2603688Y2 (ja) * 1992-04-24 2000-03-15 東芝電池株式会社 コイン形電池用ホルダ
JPH09283105A (ja) * 1996-04-17 1997-10-31 Pentel Kk 電池ホルダ−
EP0880299A1 (en) * 1997-05-23 1998-11-25 Fuji Polymer Industries Co,, Ltd. Miniature microphone arrangement
JPH1141683A (ja) * 1997-05-23 1999-02-12 Fuji Kobunshi Kogyo Kk 小型マイク組立品
KR100565935B1 (ko) * 1997-09-03 2006-05-25 신에츠 포리마 가부시키가이샤 캐패시터마이크로폰용일체형홀더-커넥터, 그 제조방법 및 그 장착방법
JP2000299146A (ja) * 1999-04-13 2000-10-24 Shin Etsu Polymer Co Ltd マイクロフォンホルダ一体型コネクタ
JP2001067942A (ja) * 1999-08-31 2001-03-16 Jsr Corp 異方導電性シート
JP3427086B2 (ja) * 2000-02-23 2003-07-14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Ic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3121A4 (en) 2007-11-21
NO20042322L (no) 2004-07-26
EP1453121A1 (en) 2004-09-01
TW200300301A (en) 2003-05-16
TWI269497B (en) 2006-12-21
KR20050042059A (ko) 2005-05-04
CN100355112C (zh) 2007-12-12
CN1613158A (zh) 2005-05-04
WO2003041192A1 (en) 200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542B1 (ko) 회로 부품용 커넥터와 그 접속 구조체
US20040253867A1 (en) Circuit part connector structure and gasket
US6195267B1 (en) Gel structure for combined EMI shielding and thermal control of microelectronic assemblies
CN101436775B (zh) 再充电电池的保护电路模块和包括该模块的再充电电池组
KR20090033072A (ko) 전지팩
US7118393B1 (en) Bonded elastomeric connector
US20100081309A1 (en) Sealed, solderless i/o connector
CN102396208B (zh) 具有用户识别模块的便携式组件
US6748091B2 (en) Capacitor microphone and portable telephone using the capacitor microphone
JP2004031295A (ja) ボタン電池用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2002216724A (ja) 保護回路付き電池パック
JP2003157740A (ja) 回路部品用ガスケット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US8064209B2 (en) Portable assembly having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JP2003152346A (ja) ガスケット、回路部品用ガスケット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US8066530B2 (en) Portable assembly having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JP2004006068A (ja) ボタン電池用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2012022568A (ja) カード型電子回路モジュール
US20020172388A1 (en) Microphone set
JP3748810B2 (ja) マイクロホン
JP2004134271A (ja) ボタン電池ホルダー及びその接続構造
US7824223B1 (en) Portable assembly having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JP4070527B2 (ja) 電気コネクタ
US7142684B2 (en) Microphone assembly
CN113839247A (zh) 插塞元件、用于制造这种插塞元件的方法以及电池模块
JP2000228592A (ja) 電子機器の接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