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233B1 -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 Google Patents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233B1
KR100632233B1 KR1020050041210A KR20050041210A KR100632233B1 KR 100632233 B1 KR100632233 B1 KR 100632233B1 KR 1020050041210 A KR1020050041210 A KR 1020050041210A KR 20050041210 A KR20050041210 A KR 20050041210A KR 100632233 B1 KR100632233 B1 KR 10063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joint structure
connection body
sleeve
branch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964A (ko
Inventor
기쿠오 아사다
Original Assignee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02M55/005Joints; Sealings for high pressure conduits, e.g. connected to pump outlet or to injector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일면 및 분기 접속체에서의 축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분기 접속체의 굽힘 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나사 슬리브가 본관 레일의 시트면과 동심으로 장착되어, 미리 분기 접속체에 일체로 외측에서 끼워넣어 고착된 슬리브 와셔를 통해 상기 분기 접속체를 본관 레일에 접속하는 방식의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부 내주면과 분기 접속체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JOINT STRUCTURE OF BRANCH CONNECTOR FOR COMMON R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와셔의 간극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만 원호면으로 된 테이퍼면을 도시하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종 슬리브 와셔의 간극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b)는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와 내측 단부가 원호면으로 된 테이퍼면을 도시하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종 슬리브 와셔 간극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 조인트 구조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 다.
도 8은 상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 와셔의 간극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소경 곡율반경과 대경 곡율반경의 2개의 원호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간극부를 보여주는 상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종 슬리브 와셔의 간극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9(b)는 대경 곡율반경의 원호면으로 형성한 간극부를 보여주는 상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종 슬리브 와셔의 간극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대상으로 하는 종래의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마찬가지로 종래의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마찬가지로 종래의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본관 레일
2 : 분기 접속체
3 : 슬리브 니플
4 : 체결용 캡너트
5a ~ 5d : 슬리브 와셔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젤 내연 기관에 있어서의 축압식 연료 분사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압 연료 다기관(多岐管) 등과 같은 커먼레일에 있어서의 분기 지관 혹은 분기 금구(金具) 등에 의한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유형의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로서는 예컨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10-213044호 공보 참조). 이 분기 접속체의 접속 구조는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본관 레일(11) 측의 주벽부에 마련된 내부의 유통로(11-1)로 통하는 분기 구멍(11-2)부에 외측으로 개구되는 수압(受壓) 시트면(11-3)이 형성되어, 이 수압 시트면 부근의 본관 레일(11)의 외주벽에 나사 슬리브(통 형상의 슬리브 니플; 13)가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유통로(11-1)로 통하는 유로(12-1)를 구비하는 분기 접속체(12)의 선단부에 마련된 접속 두부(12-2)로 이루어져 있는 가압 시트면(12-3)을 상기 수압 시트면(11-3)에 접촉 결합시켜, 미리 분기 접속체 측에 헐겁게 끼운 슬리브 와셔(15)에 외장된 체결용 캡너트(14)를 상기 나사 슬리브(1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 두부(12-2) 머리 아래로 가압함에 따라 조임 부착하여 분기 접속체(12)를 접속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른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로서 도 11에 도시하는 것이 있다(일본 특허 공개 2001-82664호 공보 참조). 이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는, 기본 구 조는 상기 도 10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관 레일(21)에 설치한 내부의 유통로(21-1)로 통하는 분기 구멍(21-2)부에 외측으로 개구되는 수압 시트면(21-3)이 형성되고, 이 수압 시트면의 주위면에 나사 슬리브(통 형상의 슬리브 니플)(23)가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유통로(21-1)로 통하는 유로(22-1)를 구비하는 분기 접속체(22)의 선단부에 마련된 접속 두부(22-2)로 이루어져 있는 가압 시트면(22-3)을 상기 수압 시트면(21-3)에 접촉 결합시켜, 미리 분기 접속체 외측에 끼워넣은 슬리브 와셔(25)에 외장된 체결용 캡너트(24)를 상기 나사 슬리브(23)에 나사 결합하여 분기 접속체(22)를 접속하는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와셔(25)를 분기 접속체(22)에 코오킹(calking) 방식 등에 의해 일체로 외측에 끼워넣어 고착함으로써 분기 접속체(22)를 접속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로서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일본 특허 출원 2000-174009호 참조). 이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는 상기 슬리브 와셔를 이분할 구조로 하여 양 와셔를 그 접촉면에서 서로 옆으로 어긋날 수 있게 분기 접속체 외측에 끼워넣는 동시에, 너트 측의 와셔는 유동(遊動) 가능하게 되고, 본관 레일 측의 와셔는 분기 접속체에 코오킹으로 고착한 것으로, 그 구성은 축심 방향 내부에 유통로(31-1)를 갖는 본관 레일(31)의 축 방향의 주벽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한 분기 구멍(31-2)의 주위면에 형성한 외측으로 개구되는 수압 시트면(31-3)을 둘러싸도록 그 수압 시트면과 동심으로 나사 슬리브(통 형상의 슬리브 니플; 33)를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본관 레일(31)에 장착하고, 상기 유통로(31-1)로 통하는 유로(32-1)를 갖는 분기 접속체(32)의 단부에 형성한 접속 두 부(32-2)로 이루어져 있는 가압 시트면부(32-3)를 상기 수압 시트면(31-3)에 접촉 결합시켜, 미리 분기 접속체(32) 외측에 끼워넣은 이분할 구조의 유동형 슬리브 와셔(35)에 외장한 체결용 캡너트(34)를 상기 나사 슬리브(3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 두부 머리 아래로 가압함에 따라 조임 부착하여 분기 접속체를 접속하는 방식으로 이룬 것이다.
한편, 상기한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의 시일면은 테이퍼면뿐만 아니라 구면(球面)도 있고, 또, 체결용 너트의 가압면은 평면뿐 만아니라 구면도 있으며, 구면의 경우 슬리브 와셔의 수압면(受壓面)은 체결용 너트의 가압면과 동일한 구면으로 시일면과 동심이다.
나사 슬리브(13, 23, 33)는 납땜 또는 용접의 예를 나타냈지만, 단조 등에 의해 본관 레일(11, 21, 31)과 일체로 성형한 것이더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213044호 공보에 기재한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는 슬리브 와셔가 분기 접속체에 헐겁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슬리브 와셔가 유동하여 이 접속 두부 배면과의 맞물림이 변동되기 때문에 안정된 축력을 전달할 수 없다는 것, 슬리브 와셔의 두께가 얇으면 접속 두부 배면에 상기 와셔가 잠식하여, 빠짐 토크가 낮아 축력을 높일 수 없다는 것, 체결용 너트의 체결에 따라 슬리브 와셔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축력을 높일 수 없다는 것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1-82664호 공보에 기재한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는, 슬리브 와셔가 분기 접속체에 코오킹 방식 등에 의해 일체로 외측에 끼워넣 어 고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관 등의 분기 접속체가 기울어 굽힘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분기 접속체의 굽힘 피로 강도를 약하게 하는 것 등의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일본 특허 출원 2000-174009호에 기재된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는 이분할 구조의 유동형 슬리브 와셔의 축심이 틀어져 있는 상태일 때에 축력이 주어지면, 양 슬리브 와셔의 경계면(접촉면)에서 넘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여 축력이 손실되는 것, 분기 접속체가 기울어 굽힘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 그 분기 접속체에 코오킹으로 고착한 쪽의 와셔의 외측 개구 단부 가장자리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그 분기 접속체의 굽힘 피로 강도를 약하게 하는 것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1-8266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시일면 및 슬리브 와셔에의 축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이나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분기 접속체에 굽힘력이나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단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아 분기 접속체의 굽힘 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는, 나사 슬리브가 본 관 레일의 시트면과 동심으로 장착 혹은 형성되어, 미리 분기 접속체에 일체로 외측에 끼워넣어 고착된 슬리브 와셔를 통해 상기 분기 접속체를 본관 레일에 접속하는 방식의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부 내주면과 분기 접속체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은 상기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부 내주면을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된 테이퍼면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그 테이퍼면은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가 원호면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와 내측 단부가 원호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테이퍼면의 꼭지각으로서는 4 내지 15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의 다른 형성의 방법으로서, 상기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를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된 큰 원호면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작은 원호면과, 이 원호면과 연속해 있는 내측에 형성된 큰 원호면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간극의 축심 방향 길이는 분기 접속체의 외경(D)의 0.5D∼1.2D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의 슬리브 와셔로서는, 두부에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 부착 슬리브 와셔를 이용하더라 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즉 본 발명은, 나사 슬리브와, 분기 접속체에 일체로 외측에 끼워넣어 고착된 슬리브 와셔를 이용한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슬리브 와셔의 외측 내주면과 분기 접속체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을 둠으로써,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단부 부근에서 분기 접속체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 접속체에 굽힘력이나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여도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단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아 분기 접속체의 굽힘 피로 강도를 확보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슬리브 와셔의 외측 내주면의 테이퍼면의 꼭지각은 4 내지 15도가 바람직하다고 한 것은, 4도 미만이면 분기 접속체의 접속 두부 성형시에 상기 틈을 완전히 메우는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한편, 15도를 넘으면 간극이 지나치게 커져, 맞물림 면이 작아져 분기 접속체의 축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이 테이퍼면의 축심 방향 길이는 분기 접속체의 외경(D)의 0.5D∼1.2D가 바람직한 것으로 한 것은, 0.5 D 미만이면 상기 간극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분기 접속체의 접속 두부 성형시에 상기 간극을 확보할 수 없고, 한편, 1.2D를 넘으면 상기 슬리브 와셔가 분기 접속체를 유지하기 위한 고착 부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의 슬리브 와셔로서, 두부에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 부착 슬리브 와셔를 이용한 경우에는 체결용 너트와 맞물리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 없는 슬리브 와셔에 비해 보다 큰 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는, 나사 슬리브와, 분기 접속체 외측에 끼워넣어 고착된 슬리브 와셔를 이용한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슬리브 와셔의 외측 내주면과 분기 접속체의 외주면 사이에 테이퍼면 또는 원호면에 의해서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단부 부근에서 분기 접속체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어, 분기 접속체에 굽힘 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단부에 응력 집중이 일어나지 않아 분기 접속체의 굽힘 피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면에서, 1은 본관 레일, 2는 분기 접속체, 3은 슬리브 니플, 4는 체결용 캡너트, 5a∼5d는 슬리브 와셔, 6a, 6b는 간극이다.
커먼레일로서의 본관 레일(1)은 예컨대 직경 28 mm, 두께 9 mm의, 비교적 두꺼운 관상부를 갖는 재질 SCM435 등의 고압배관용의 강관으로서, 그 축심 내부에 유통로(1-1)가 있다.
이 본관 레일(1)의 외주벽에, 외주면에 분기 접속체(2)측에 내장되는 체결용 캡너트(4)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면(3-1)이 마련된 통 형상의 슬리브 니플(3)을 조인트 금구로 하여 그 기단부를 직접 용접 또는 납땜하여 부착한다(단조에 의해 본관 레일(1)과 일체로 설치하더라도 좋다). 계속해서, 마무리 가공 공정에 있어서, 본관 레일(1)의 상기 슬리브 니플(3)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기 본관 레일(1)의 유통로(1-1)로 통하여 그 유통로에 연통되는 원추형의 외측으로 개구되는 주위면을 수압 시트면(1-3)으로 하는 분기 구멍(1-2)을 형성한다.
한편, 분기 접속체(2)는 분기 지관 혹은 분기 금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 본관 레일(1)의 유통로(1-1)로 통하는 유로(2-1)를 구비하여 그 단부에 예컨대 끝이 가는 원추형의 좌굴 성형에 의한 직경이 확장된 접속 두부(22)로 이루어져 있는 가압 시트면(2-3)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관하는 따른 와셔(5a∼5d)는 분기 접속체(2)의 본체부에 견고하게 외측에 끼워넣어 고착된다. 이 슬리브 와셔(5a∼5d)의 고착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분기 접속체(2)의 내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분기 접속체(2)의 외주면에 압착시키거나, 슬리브 와셔의 원통부를 외부보다 직경을 작게 하거나, 분기 접속체(2)의 접속 두부(2-2)를 가압 성형할 때에 그 분기 접속체(2) 직경을 확장시키거나, 혹은 이들을 조합시키는 방법 등의 코오킹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분기 접속체(2)의 외주면 혹은 슬리브 와셔(5a∼5d)의 내주면을 조면화(粗面化)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나아가서는 슬리브 와셔를 분기 접속체(2)에 나사 부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슬리브 와셔(5a, 5b)는 도 4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외측 내주면이 외측으로 직경 확장된 테이퍼면(5a-1, 5b-1)을 구비하고,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슬리브 와셔(5a)는 일단에 플랜지부를 구비하지 않는 스트레이트형의 통형체로 이루어지며, 도 2, 도 3에 도시하는 슬리브 와셔(5b)는 일단에 플랜지(5b-2)를 갖는 플랜지 부착 통형체로 이루어진다. 이 플랜지가 없는 슬리브 와셔(5a) 및 플랜지를 구비하는 슬리브 와셔(5b)의 고착 수단으로서는, 도 1, 도 2에서는 분기 접속체(2)의 접속 두부(2-2)를 가압 성형할 때에 그 분기 접속체(2)를 직경 확장시켜 압착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도 3에서는 분기 접속체(2)의 내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슬리브 와셔(5b)를 분기 접속체(2)의 외주면에 압착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가 없는 슬리브 와셔(5a) 및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 와셔(5b)의 테이퍼면(5a-1, 5b-1)의 꼭지각(θ)은 4 내지 15도로 하고, 상기 테이퍼면의 축심 방향 길이(L)은 분기 접속체의 외경(D)의 0.5D∼1.2D로 한다.
상기 플랜지 없는 슬리브 와셔(5a) 및 플랜지를 구비하는 슬리브 와셔(5b)의 간극부를 형성하기 위한 테이퍼면으로는, 상기 평탄면만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퍼면 이외에,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면(5a-1, 5b-1)과 소경 곡율반경의 R1으로 구성한 것(도 5(a))이나, 테이퍼면(5a-1, 5b-1)과 소경 곡율반경의 R2 및 대경 곡율반경의 R3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도 5(b)). 이 경우, 각 곡율반경의 크기는 임의라도 좋다.
또한, 도 6∼도 7에 도시하는 슬리브 와셔(5c, 5d)는 도 8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직경 확장된 곡율반경 R4의 원호면(5c-1, 5d-1)을 구비하고,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슬리브 와셔(5c)는 일단에 플랜지부를 갖지 않는 스트레이트형의 통형체로 이루어지며, 도 7에 도시하는 슬리브 와셔(5d)는 일단에 플랜지부(5d-2)를 갖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통형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슬리브 와셔(5c, 5d)의 간극부를 형성하기 위한 원호면으로서는 상기 곡율반경 R4의 원호면(5c-1, 5d-1) 이외에, 도 9(a), 도 9(b)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경 곡율반경 R5의 원호면(5c-11, 5d-11) 및 대경 곡율반경 R6의 원호면(5c-12, 5d-12)으로 구성한 것(도 9(a))이나, 대경 곡율반경 R7의 원호면(5c-13, 5d-13)만으로 구성(도 9(b))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도, 각 곡율반경의 크기는 임의로 하여도 좋다.
상기 슬리브 와셔(5a∼5d)의 재질은 본관 레일(1)과 동일 재질 또는 그 이상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S45C, SCM435 등을 열처리한 경질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분기 접속체(2)의 조인트 구조는 분기 접속체(2) 측의 접속 두부(2-2)로 이루어져 있는 가압 시트면(2-3)을 본관 레일(1) 측의 수압 시트면(1-3)에 접촉 결합시키고, 미리 분기 접속체(2) 측에 슬리브 와셔(5a∼5d)를 통해 내장한 체결용 캡너트(4)를 상기 슬리브 니플(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 두부(2-2) 머리 아래로 체결용 캡너트(4)를 가압함에 따라서 조임 부착하여 접속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조인트 구조는, 각각 플랜지 없는 슬리브 와셔(5a),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 와셔(5b)의 각 외측 개구부에, 상기 슬리브 와셔에 마련한 테이퍼면(5a-1, 5b-1)에 의해 간극(6a)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상기 간극(6a)이 형성되도록 플랜지 없는 슬리브 와셔(5a),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 와셔(5b)를 각각 분기 접속체(2)에 일체로 외측에 끼워넣어 고착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인트 구조의 경우는, 분기 접속체(2)와 플랜지 없는 슬리브 와셔(5a),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 와셔(5b)와의 압착면에서 분기 접속체(2)에 축력이 주로 작용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조인트 구조는, 각각 플랜지 없는 슬리브 와셔(5c),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 와셔(5d)의 각 외측 개구부에, 상기 슬리브 와셔에 형성한 큰 원호면(5c-1, 5d-1)에 의해 간극(6b)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상기 간극(6b)이 형성되도록 플랜지 없는 슬리브 와셔(5c),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 와셔(5d)를 각각 분기 접속체(2)에 일체로 끼워넣어 고착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인트 구조의 경우도, 분기 접속체(2)와 플랜지 없는 슬리브 와셔(5)c,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 와셔(5d)와의 압착면에서 분기 접속체(2)에 축력이 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본관 레일의 주벽부에 나사 슬리브(통 형상의 슬리브 니플)가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장착된 조인트 금구 별개 형태의 커먼레일에 한하지 않고, 본관 레일의 주벽부에 나사 슬리브용의 보스부가 일체로 설치된 조인트 금구 일체 형태의 커먼레일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8)

  1. 나사 슬리브가 본관 레일의 시트면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미리 분기 접속체에 일체로 외측에 끼워넣어 고착된 슬리브 와셔를 통해 상기 분기 접속체를 본관 레일에 접속하는 방식의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부 내주면과 분기 접속체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부 내주면을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된 테이퍼면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가 원호면으로 되어 있는 것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와 내측 단부가 원호면을 이루고 있는 것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의 꼭지각을 4 내지 15도로 하는 것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를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된 큰 원호면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슬리브 와셔의 외측 개구 내부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작은 원호면과, 상기 원호면과 연속해 있는 내측에 형성된 큰 원호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축심 방향 길이를 분기 접속체의 외경(D)의 0.5D 내지 1.2D로 하는 것인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KR1020050041210A 2004-05-19 2005-05-17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KR100632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9393 2004-05-19
JP2004149393A JP4357362B2 (ja) 2004-05-19 2004-05-19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継手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964A KR20060047964A (ko) 2006-05-18
KR100632233B1 true KR100632233B1 (ko) 2006-10-12

Family

ID=3545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210A KR100632233B1 (ko) 2004-05-19 2005-05-17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68736B2 (ko)
JP (1) JP4357362B2 (ko)
KR (1) KR100632233B1 (ko)
CN (1) CN100497932C (ko)
DE (1) DE10200502253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7362B2 (ja) 2004-05-19 2009-11-0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継手構造
FR2872252B1 (fr) * 2004-06-25 2008-03-14 Senior Automotive Blois Sas So Dispositif de connexion
EP1914418B1 (en) * 2005-08-04 2012-01-25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pressure fuel injection accumulator distributor for automob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177777A (ja) * 2005-12-28 2007-07-1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高圧燃料噴射管の接続構造
FR2914390B1 (fr) * 2007-04-02 2012-08-10 Senior Automotive Blois Sas Dispositif pour fixer un tube haute pression sur une connexion rapportee d'une rampe commune
CN101139033B (zh) * 2007-10-17 2010-06-09 郑卫星 浮动式对轨机构
US20090144959A1 (en) * 2007-12-11 2009-06-11 Colletti Michael J Method for assembly of a direct injection fuel rail
US8196967B2 (en) * 2009-02-04 2012-06-12 Robert Bosch Gmbh Improvements to high pressure fuel fittings
AT509177B1 (de) * 2009-11-23 2013-09-15 Bosch Gmbh Robert Druckrohrstutzen für common-rail-einspritzsystem
US8561593B2 (en) * 2010-03-05 2013-10-22 Caterpillar Inc. Range of engines using common rail fuel system with pump and rail assemblies having common components
EP3097303B1 (de) 2014-03-03 2018-03-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nusverschraubung einer brennstoffleitung
US10030619B2 (en) * 2016-07-07 2018-07-24 Caterpillar Inc. Connector for mounting sensor in pressurized fluid system
CN107288788A (zh) * 2017-06-30 2017-10-24 东风(十堰)汽车管业有限公司 一种高压油管结构的设计方法
DE102018126757A1 (de) * 2018-10-26 2020-04-30 Man Truck & Bus Se Ventiltrieb für mindestens ein Hubventil einer Brennkraftmaschine
US11143154B2 (en) * 2020-03-13 2021-10-12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system having a connection between a fuel injector and a fuel distribution condu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155A (ja) 2000-12-05 2002-06-21 Usui Internatl Ind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燃料噴射管
JP2003120465A (ja) 2001-10-09 2003-04-23 Toyota Motor Corp 燃料供給装置の蓄圧用配管
JP2005330879A (ja) 2004-05-19 2005-12-0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継手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7783C (ko)
AT217783B (de) * 1959-07-18 1961-10-25 Johannes Guido Rohrdichtkegel für Einspritzleitungen bei Dieselmotoren
US4266577A (en) 1979-07-25 1981-05-12 Usui Kokusai Sangyo Kabushiki Kaisha Collared fuel injection pipe for engines
DE3316979C2 (de) 1983-05-09 1986-10-23 Jürgen Dipl.-Ing. 8402 Neutraubling Guido Druckanschluß einer Kraftstoff-Einspritzleitung für Dieselmotoren
JPS63185987U (ko) 1987-05-23 1988-11-29
JPS63185988U (ko) 1987-05-23 1988-11-29
JPH0533833Y2 (ko) 1987-06-29 1993-08-27
JP2898384B2 (ja) 1989-09-27 1999-05-31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高圧燃料レール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US5172939A (en) 1989-10-14 1992-12-2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Connection structure for branch pipe in high-pressure fuel rail
JP2529032Y2 (ja) 1990-05-22 1997-03-12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高圧燃料多岐管における分岐枝管の接続構造
JP2915099B2 (ja) 1990-06-30 1999-07-0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高圧燃料多岐管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JPH04175462A (ja) 1990-11-06 1992-06-23 Usui Internatl Ind Co Ltd 高圧燃料ブロック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DE19523287C2 (de) 1994-06-28 1998-07-02 Usui Kokusai Sangyo Kk Anordnung zum Verbinden eines Kraftstoff-Abzweigelementes mit einer Kraftstoff-Sammelschiene
US5887910A (en) 1994-12-08 1999-03-30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Connection structure for branching connector in high-pressure fuel rail
JPH09317599A (ja) 1996-05-22 1997-12-09 Usui Internatl Ind Co Ltd コモンレ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82964B2 (ja) 1996-11-30 2007-02-21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コモンレールにおける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US5979945A (en) 1996-12-07 1999-11-09 Usuikokusai Sangyo Kaisha Ltd. Common rail
JPH10169873A (ja) 1996-12-07 1998-06-26 Usui Internatl Ind Co Ltd 高圧流体用分岐管継手
US6045162A (en) * 1997-01-14 2000-04-04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Joint head for high-pressure metal piping, and common rail to which the piping is to be joined
JP3841372B2 (ja) 1997-02-26 2006-11-01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高圧燃料噴射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322920B (en) 1997-03-03 2002-02-27 Usui Kokusi Sangyo Kaisha Ltd Common 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126208A (en) 1997-03-03 2000-10-03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Common 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322819B (en) 1997-03-03 2000-12-13 Usui Kokusi Sangyo Kaisha Ltd Method for improving fatique strength due to repeated pressure at branch hole part in member for high pressure fluid.
JP3352350B2 (ja) 1997-03-04 2002-12-03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コモンレール
JP3768043B2 (ja) 1999-09-10 2006-04-19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GB2358898B (en) 1999-12-09 2002-04-24 Usui Kokusai Sangyo Kk Diesel engine fuel injection pipe
JP4497435B2 (ja) * 1999-12-10 2010-07-0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接続頭部を有する高圧金属配管およびその頭部成形方法並びに接続頭部用スリーブワッシャ
US6463909B2 (en) 2000-01-25 2002-10-15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Common rail
US6494183B2 (en) 2000-01-26 2002-12-17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Common rail for diesel engine
DE10010944A1 (de) * 2000-03-06 2001-09-20 Bosch Gmbh Robert Kraftstoffhochdruckspeicher
US6736431B2 (en) * 2000-03-06 2004-05-18 Robert Bosch Gmbh High-pressure fuel accumulator
JP2002130076A (ja) 2000-10-25 2002-05-09 Usui Internatl Ind Co Ltd 接続頭部を有する高圧燃料噴射管
DE10212876A1 (de) * 2002-03-22 2003-10-23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Schwingungsdämpfung an Kraftstoffeinspritzsystemen mit Hochdrucksammelraum
JP3995526B2 (ja) 2002-05-20 2007-10-2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接続頭部を有する高圧燃料噴射管
JP4046334B2 (ja) * 2003-06-18 2008-02-13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JP4498693B2 (ja) 2003-06-20 2010-07-0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高圧燃料噴射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155A (ja) 2000-12-05 2002-06-21 Usui Internatl Ind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燃料噴射管
JP2003120465A (ja) 2001-10-09 2003-04-23 Toyota Motor Corp 燃料供給装置の蓄圧用配管
JP2005330879A (ja) 2004-05-19 2005-12-0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継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68736B2 (en) 2009-08-04
DE102005022531B4 (de) 2012-12-27
DE102005022531A1 (de) 2006-01-05
CN1699739A (zh) 2005-11-23
US20050275218A1 (en) 2005-12-15
KR20060047964A (ko) 2006-05-18
JP4357362B2 (ja) 2009-11-04
CN100497932C (zh) 2009-06-10
JP2005330879A (ja) 200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233B1 (ko) 커먼레일용 분기 접속체의 조인트 구조
CN101965238B (zh) 制造安装就绪的管联接器的方法
CN100359158C (zh) 高压燃料喷射管
JPH0533832Y2 (ko)
WO2016175077A1 (ja) ガソリン直噴エンジン用燃料レールの端末シール構造
JP3841370B2 (ja) コモンレール
US4621843A (en) Tube coupling
JP2000320424A (ja) ディーゼル機関用高圧燃料噴射管
JP5046280B2 (ja) コモンレール端末のシール構造
JP4046334B2 (ja)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HUE026629T2 (en) Fuel distribution line
WO2016021687A1 (ja) ガソリン直噴エンジン用燃料レールの端末シール構造
WO2016010079A1 (ja) ガソリン直噴エンジン用燃料レールの端末シール構造
CN101389851B (zh) 高压燃料喷射管的连接头部结构
JP3768043B2 (ja) コモンレール用分岐接続体の接続構造
WO2016010078A1 (ja) ガソリン直噴エンジン用燃料レールの端末シール構造
JP2007056816A (ja) 分岐接続管の接続構造
US20150089929A1 (en) Exhaust system for diesel vehicles
EP2420666A1 (en) Fuel injection tube for diesel engine
JP3916176B2 (ja) コモンレール
JP3916178B2 (ja) コモンレール
JP4236723B2 (ja) コモンレール
JPH10318085A (ja) コモンレールの製造方法
JP4332877B2 (ja) コモンレールのシール方法
CN101329002B (zh) 一种连接管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