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296B1 - 운전실창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실창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296B1
KR100630296B1 KR1020060057836A KR20060057836A KR100630296B1 KR 100630296 B1 KR100630296 B1 KR 100630296B1 KR 1020060057836 A KR1020060057836 A KR 1020060057836A KR 20060057836 A KR20060057836 A KR 20060057836A KR 100630296 B1 KR100630296 B1 KR 10063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release lever
locking
strik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946A (ko
Inventor
마사노리 소고
다다시 모리
히로유끼 시오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657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91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924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735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8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3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s
    • E05B65/085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s with a bolt under compression for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2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bifurcated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overhead or roll-up doors, e.g. garag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5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ingle pivoted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working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3Vehicle do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41Door latch separation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62Swinging and hooked end, multiple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9Rig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76Link and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잠금장치를, 회전식의 래치와 그 래치의 해제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해제레버의 조합 구조로 형성하고, 해제레버에 의한 래치의 잠금 해제위치에서 그 해제레버와 걸어맞추는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를 가지고, 이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는 래치가 소요 회전각도로 회전운동하면 해제레버를 해방하도록 구성한다. 또,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로 안내되어 이동가능한 창틀을 기립 폐창위치에서 상방으로 이동시켜 격납하는 인상 개방식 창에 있어서, 창틀의 상측 양단부에서 그 창틀보다도 외측이면서 가이드 레일보다도 내하측 위치에, 걸림노치를 두 방향으로 소요 회전각도로 변위한 위치에 설치된 회전운동이 가능한 래치와 그 래치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면서 또 해제하는 해제레버를 갖춘 잠금기구를 형성하고, 또 창틀 기립 정위치 상부와 격납 위치의 종단부에 래치의 걸림노치와 걸어맞추어 창틀을 유지시키는 스트라이커를 래치의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지지구조체에 각각 배열설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잠금장치

Description

운전실창 잠금장치{LOCK SYSTEM OF WINDOW FOR CABIN}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의 전체사시도,
도 2 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의 종단면도,
도 3 은 제 1 실시예의 잠금장치의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4 는 도 3 에서 나타내는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 (a)(b)(c) 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작동설명도 (1),
도 6 (a)(b)(c)(d) 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작동설명도 (2),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일부 절결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일부 절결정면도,
도 9 는 도 8 의 A-A 에서 본 단면도,
도 10 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설명도,
도 11 (a)(b)(c) 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작동설명도 (1),
도 12 (a)(b)(c) 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작동설명도 (2),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일부 절결측단면도,
도 14 는 제 4 실시예의 잠금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는 도 13 의 B-B 에서 본 도면,
도 16 은 도 2 의 C-C 에서 본 확대단면도,
도 17 (a)(b) 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작동설명도 (1),
도 18 (a)(b) 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작동설명도 (2),
도 19 (a)(b)(c) 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작동설명도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운전실 본체 2 : 프론트 필러
3 : 천정측부 4 : 가이드 레일
5 : 앞창 6 : 창틀
7 : 가이드 롤러 8,8' : 창개폐용 손잡이
10 : 잠금기구 11 : 브래킷
13 : 래치 15 : 해제레버
본 발명은, 주로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설치된 운전실창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들어올림 조작에 의해 개방할 수 있는 앞창과 같은 운전실창을 소요 위치에서 잠글 수 있도록 한 운전실창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운전실에서는, 그 전면에 전방 작업을 수행할 시에 작업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개방가능한 앞창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앞창은, 통상 운전실의 내측에서 일단 앞으로 당긴 후 상방으로 들어올려 운전실 내의 천정측으로 이동시켜 격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앞창은, 통상시에 운전실의 앞측에 외부로부터의 빗물이나 분진이 실내로 침투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또 개방시에는 격납위치에서 안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 이러한 종류의 앞창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110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창틀의 상부 양단부분에 운전실의 프론트 필러 등에 설치한 걸림구멍에 대해 걸어맞추는 빗장식의 잠금기구를 설치하여, 창의 개폐시에 그 잠금기구의 빗장 (잠금 핀) 을 뽑아서 잠금 해제 또는 걸림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선행 기술에서는, 창틀을 격납위치까지 이동시키면 그 종단부에서 유지용의 레버가 자동적으로 롤러축에 걸어맞추어져, 창틀이 격납위치에서 되돌아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기구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빗장식의 잠금기구를 대신하여, 래치를 회전운동시켜서 구조체 (운전실 본체)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춘 형식의 잠금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11062호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이 잠금기구에 있어서는, 운전실 본체측에 コ 자형으로 되어 고착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에 대해, 이동시키는 창의 틀 측에 브래킷을 통해 2 개의 걸어맞춤 홈을 갖춘 판부재를 함께 움직여 회전운동하도록 상하 위치에 설치하고, 이들 판부재를 1 개의 해제레버에 의해 걸림을 해제하면, 부대시킨 비틀림 스프링의 힘으로 대향하여 설치된 양 판부재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홈이 상기 스트라이커를 향하여 개구하고, 스트라이커를 삼키는 듯 이들 걸어맞춤 홈 내에 수용하면, 걸어맞춤 홈과 스트라이커가 걸어맞춤 상태에서 잠궈지도록 되어 있고, 잠금을 해제하는 데에는 해제레버에 의해 양 판부재를 걸어맞춤시와 반대로 회전운동시켜 걸림 (잠금) 이 해제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12220호에 있어서는, 하나의 래치로 정위치와 이동한 위치에서 각각의 이동체를 거는 잠금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것은,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잠금 판에 방향이 다른 두방향으로 잠금 홈 (노치) 을 설치한 것과, 상기 잠금 판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잠금 해제레버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슬라이드 도어를 개폐할 때 핸들을 조작하면 잠금 해제레버에 의한 잠금 판의 규제가 해제되어, 도어의 이동과 함께 잠금 편에 걸어맞추어져 있던 잠금 판의 잠금 홈을 벗어나고, 이어서 도어의 슬라이드단 위치에 도달하면 이번에는 해당위치에서 잠금 편에 상기 잠금 홈이 걸어맞추어져 잠기는 구조의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11061호에 기재된 빗장식의 잠금기구에서는 잠금 핀을 잠금 구멍에 위치맞춤하여 삽입하지 않으면 안되고, 빗장을 멈추기 위해 그 잠금 핀을 회전시켜 정지시킨다고 하는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잠금 핀과 핀 구멍 (잠금 구멍) 의 위치맞춤을 하는데에 핀 구멍의 직경과 핀의 직경에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간극을 갖출 필요가 있어, 이 때문에 앞창틀이 진동으로 덜컹거려 소음이 발생하거나, 핀 구멍이 마모되어 진동이 보다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 공보에서는, 앞창의 정위치에서의 잠금기구와 격납위치에서의 유 지기구를 구조가 다른 것으로 하여 별개의 것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잠금 혹은 위치유지를 행하는 방향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잠금 혹은 잠금 해제에 있어서의 조작도 별개의 조작이 되어, 역시 조작성에 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11062호에 기재된 래치 구조의 잠금기구에서는 걸어맞춤 홈을 갖는 2 장의 판부재를 상하로 대향시켜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을 함께 움직여서 걸어맞춤 홈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기 때문에, 기구가 복잡해지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이 잠금기구에서는, 창이 기립한 자세에서의 잠금에 대해서만 유효하고, 자세를 바꾼 경우에는 안정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12220호에 기재된 잠금기구에서는, 두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점에서는 유효한 것이지만, 이러한 하나의 래치 (잠금 판) 를 사용하여 상하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자세를 바꿔서 이동하는 창틀을 그 이동종단에서 각각 잠그거나 혹은 유지시키는 데에는, 이 공보에 기재된 구성으로는 문제가 있다. 즉, 목적으로 하는 창틀을 기립상태에서 상방까지 횡방향으로 자세를 바꾸는 경우에는 기립위치에서는 창틀을 창부 가장자리에서 지지구조체에 대해 누르도록 하여 잠글 필요가 있고, 또 상측에 격납하는 위치에서는 중력으로 내려가려고 하는 것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되돌아가지 않도록 유지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다른 기능이 요구되는 것이지만, 이러한 기능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는 운전실창에 대해 상기 공보에 기재된 래치 기구를 그대로 전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첫째로 간단한 구조로서 안정된 잠금 동작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잠금 해제조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운전실창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둘째로, 인상(引上) 개방식의 창에 있어서 폐창(閉窓)위치와 상측 격납위치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폐창고정 혹은 격납유지를 할 수 있는 운전실창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에 의한 운전실창 잠금장치는,
회전운동식의 래치와 그 래치의 해제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해제레버로 이루어지는 운전실창 잠금장치로서,
상기 해제레버에 의한 상기 래치의 잠금 해제위치에서 그 해제레버와 걸어맞추고 그 해제레버의 해제상태를 유지하는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를 갖고, 이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는, 상기 래치가 소요 회전각도로 회전운동하면 해제레버를 해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래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해제레버를 조작하여 래치와 해제레버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그 해제레버에 의한 래치의 잠금 해제에 연동하여 병설된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가 그 해제레버의 복귀를 저지하여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래치가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부대시켜 있는 회전 운동조작력으로 회전운동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래치의 해제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그 래치와 해제레버의 걸림 개소가 변위함에 따라 상기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도 래치에 의해 조작되어 해제레버의 해제유지가 해제되고, 이어서 래치가 스트라이커 (폐쇄 볼트) 와 걸어맞추어 잠금기능을 발휘할 때에는 해제레버를 래치의 걸림 개소에 걸어맞출 수 있는 자세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잠금을 해제하여 해방조작을 행함에 있어서, 래치의 해제레버를 조작하여 래치의 잠금을 해제하면 자동적으로 래치가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이후 해제레버를 유지하는 등의 과정을 더하지 않고 해방할 수 있게 되어, 복수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는, 상기 래치의 지지축 상에 지지되고 그 래치의 해제방향으로의 회전운동시에만 함께 회전운동하도록 된 해제레버용 래치와, 상기 해제레버의 걸림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해제레버 유지를 위한 스트라이커와, 상기 해제레버용 래치를 복귀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갖추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해제레버의 해제유지를 행하는 기구를 래치와 동일축상에 배열설치할 수 있어 전체가 컴팩트하게 정리되고,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해제레버용 래치는 상기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추러 상기 해제레버를 거는 걸림오목부와 그 걸림오목부에 연접하여 형성되는 돌출부를 갖추고, 이 돌출부 선단은 상기 해제레버에 의한 래치 걸림상태에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그 돌출부 선단의 회전 반경내에 위치하고, 상기 해제레버에 의한 래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위치까지 변위시키면 상기 스트라이커가 그 돌출부 선단의 회전 반경을 초과하는 위치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해제레버의 선단부에 붙어있는 스트라이커를 해제레버용 래치에 형성된 돌출부 선단에 의해, 해제레버에 의한 래치의 잠금 해제조작이 행해지는 순간에, 그 해제레버의 복귀 동작을 저지할 수 있어, 해제레버를 확실하게 해제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래치의 잠금 해제후에 있어서의 회전운동에 의해 해제레버의 스트라이커를 복귀가능하게 되돌리고, 다음의 래치에 의한 잠금 조작시에는 그 스트라이커를 상기 돌출부 선단의 회전 반경내로 억제하여 해제레버를 잠금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는, 상기 해제레버의 걸림단부 근방에 기부를 피벗지지하여 선단부가 상기 해제레버의 선단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잠금 클로편과, 이 잠금 클로편에 부설되어 상기 래치의 회전운동에 의해 그 잠금 클로편을 조작하는 조작핀과, 상기 잠금 클로편을 항상 래치의 회전운동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갖추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잠금 클로편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래치 걸림상태에서 상기 잠금 클로편의 선단의 회전 반경내에 위치하고, 래치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위치까지 변위시키면 그 잠금 클로편의 선단의 회전 반경을 초과하는 위치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해제레버를 조작하여 래치의 걸림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잠금을 해제하면 이 해제레버의 래치 걸림단부에 있어서의 외측면부에 돌출 설치된 돌기가 잠금 클로편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외측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그 잠금 클로편은 기부의 피벗지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운동되고, 해제레버의 래치 걸림단부 측면의 돌기와의 접촉이 끊겨, 그 돌기가 잠금 클로편의 선단보다 외측으로 이행하여 고정된다. 이 결과, 래치는 탄성지지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 등에 의한 회전력으로 잠금 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스트라이커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잠금장치 부설의 구조체 (도어나 창 등) 를 해방할 수 있다. 또한, 래치의 회전운동에 의해 그 둘레면에 의해 조작부편이 바깥쪽을 향해 눌리고 잠금 클로편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해제레버를 자유롭게 함으로써, 그 해제레버가 래치측으로 복귀되고, 이어서 래치가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추는 상태로 되면 래치의 걸림부에 걸림단부를 걸어맞추어 잠글 수 있도록 된다. 이렇게, 래치의 해제조작에 연동시켜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에 의해 해제레버를 무리하지 않고 확실하게 해방할 수 있고, 그 후에 있어서는 래치의 해방에 연동하여 해제레버를 다음의 잠금 조작시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2 발명에 의한 운전실창 잠금장치는,
지지구조체에 부설되어 있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로 안내되어 이동가능한 창틀을 기립 정위치에서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립 정위치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자세를 바꾼 격납위치에 격납되는 운전실창 잠금장치로서,
상기 창틀의 상측 양단부에서, 그 창틀보다 폭방향으로 외측이면서 상기 가 이드 레일보다도 내측위치에, 두개의 걸림노치를 소요각도로 변위한 위치에 갖는 회전운동이 가능한 래치와 그 래치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면서 또한 해제하는 해제레버를 갖춘 잠금기구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창틀의 기립 정위치의 상부와 격납위치의 종단부에, 상기 래치의 걸림노치와 걸어맞추어 창틀을 유지시키는 스트라이커가 상기 래치의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지지구조체에 각각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창틀의 상측 양단부에 설치되는 잠금기구의 회전운동이 가능한 래치에는 걸림방향이 상이하도록 두 방향으로 걸림노치가 설치되어, 폐창상태에서의 잠금 위치 혹은 개창(開窓)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의 격납위치에 있어서, 지지구조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래치의 걸림노치와의 걸어맞춤 방향을 창틀의 자세 변화에 따라 그대로 변경시킴으로써 각각의 위치에서 창틀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한 개의 래치를 가지고 창틀유지상태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안전하고 확실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잠금기구는 한 개의 회전운동이 가능한 래치와 그 래치의 회전운동을 규제(잠금)하고 또한 해제하는 해제레버에 의한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기립 상태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려 격납하는 데 있어서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폐창시에는 지지구조체에 고착 지지되어 돌출한 제 1 스트라이커를 회전지지축보다 상측에서 걸어맞추어 잠글 수 있는 걸림노치와, 개창 격납시에 해당 위치에서 지지구조체에 고착 지지되어 돌출한 제 2 스트 라이커를 회전지지축보다 하측에서 걸어맞추어 유지할 수 있는 걸림노치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폐창 위치에서는 창틀을 폐창을 위해 앞측으로 미는 듯이 이동시킨 다음, 래치의 한쪽 걸림노치를 해당 위치의 제 1 스트라이커에 걸어맞추는 자세를 취함으로써 이 래치와 해제레버 등을 창틀에 근접시켜 맞붙게 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부피가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그 래치의 걸림노치를 2 개소에서 반경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설치해둠과 동시에, 폐창 위치에서는 제 1 스트라이커의 위치를 래치의 회전지지축보다 상측에 위치시키고, 또 격납위치에서는 제 2 스트라이커의 위치를 래치의 회전지지축보다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창틀을 들어올려 개창 후에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면, 래치의 다른 쪽의 걸림노치이 별도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격납위치에서의 제 2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추어 잠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창틀을 들어올려 그대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면 자동적으로 잠기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래치의 걸림노치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스트라이커가둠측 단부가 스트라이커유지측 단부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잠금상태에서의 스트라이커의 걸림 유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에서 본 발명에 의한 운전실창 잠금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의 전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에는 운전실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3 에는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의 요부를 잘라내어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 4 에는 도 3 에서 나타낸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운전실의 전면에 설치되는 인상 개방식 앞창의 잠금장치에 적용된 것이다. 운전실 본체 (1) 에는 그 앞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필러 (2,2) 에서 천정부 (3,3) 에 걸친 실내측에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 (4,4) 이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 레일 (4,4) 을 따라 앞창이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앞창 (5) 의 창틀 (6) 양측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가이드 롤러 (7) 가 그 창틀 (6) 의 측면에서 돌출한 지지축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부설되고, 이들 가이드 롤러 (7) 를 상기 가이드 레일 (4) 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앞창 (5) 을 운전실 본체 (1) 의 전면에서 천정부 (3) 하면위치에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앞창 (5) 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서 창틀 (6) 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창개폐용 손잡이(8,8)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운전실 본체 (1) 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4,4) 은 그 하단부 (4a) 가 프론트 필러 (2) 를 따라 설치되는 부분보다도 앞측으로 굴곡되어 돌출되고, 또 프론트 상부위치에서는 운전실 본체 (1) 의 천정부 (3) 으로 만곡하는 만곡부 (4c) 에서 앞쪽으로 돌출한 분기부 (4b) 를 가지고 있다.
상기 앞창 (5) 에는, 주지 구조의 창틀 (6) 의 앞측에 소요의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는 설치부재 (도시 생략) 에 의해 유리 (6a) 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앞창 (5) 은, 폐창위치에서는 하부의 가이드 롤러 (7) 가 가이드 레일 (4) 의 하단 (4a) 에 받아지고, 상부의 가이드 롤러 (7) 가 가이드 레일 (4) 의 분기부 (4b) 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앞창 (5) 이 프론트 필러 (2,2) 측으로 눌려지면, 운전실 본체 (1) 측에 부설되어 있는 시일부재에 유리 (6a) 의 전면둘레 가장자리가 맞닿아 물이 새어들지 않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앞창 (5) 의 실내측 상부에는, 좌우 양측에 잠금장치 (10,10) 가 각각 창틀 (6) 에 지지되어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잠금장치 (10,10) 에 있어서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 (14) 가 각 창틀 (6) 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앞창 (5) 을 닫은 위치에서의 운전실 본체 (1) 측에 설치금구 (31) 를 통해 상기 래치 (14) 의 지지축 (13) 과 평행하게 스트라이커 (30) 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 (10) 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한쪽 (구체적으로는 운전석측에서 보아 좌측의 것) 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잠금장치 (10) 는, 창틀 (6) 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창 유리 (6a) 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브래킷 (11) 과, 이 브래킷 (11) 에 기부를 볼트 (33) 에 의해 부착되는 두개의 부편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프레임 (12) 과, 이 프레임 (12) 에 양단부가 지지되어 창 유리 (6a) 와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지지축 (13) 주위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는 래치 (14) 와, 운전실 본체 (1) 측에서 상기 지지축 (13) 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스트라이커 (30) 와, 상기 래치 (14) 와 스트라이커 (30) 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해제레버 (15) 와, 래치 (14) 의 잠금 해제후에 그 해제레버 (15) 를 해제 유지하는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 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래치 (14) 에는 회전 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걸림노치 (14a) 가 형성되고, 이 걸림노치 (14a) 의 형성 개소와 지지축 (13) 을 사이에 끼워 정반대측의 주위부에 걸림오목부 (14b) 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래치 (14) 의 지지축 (13) 에는 비틀림 스프링 (17) 이 끼워지고, 그 일단이 프레임 (12) 측에, 타단이 래치 (14) 의 적소에 각각 걸림되며, 이로 인해 래치 (14) 에 항상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래치 (14) 에 대해, 이 지지축 (13) 의 축심을 통과하는 직립면 (도면에서는 창틀 (6) 과 평행한 면) 상에 피벗지지축 핀 (16) 의 축심이 위치하도록 하여 해제레버 (15) 가 부설되어 있다. 이 해제레버 (15) 는 그 피벗지지축 핀 (16) 에서 선단측에 걸림단부 (15a) 로 되고, 이 걸림단부 (15a) 가 상기 래치 (14) 에 형성된 걸림오목부 (14b) 에 걸어맞추면 래치 (14) 가 잠겨지는 관계로 되어 있다. 또, 이 해제레버 (15) 에는 되돌림용의 비틀림 스프링 (17') 이 고정단이 프레임 (12) 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걸림 해제후에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에 가까운 측면에서는 피벗지지축 핀 (16) 과 평행하게 스트라이커 (18) 가 돌출 설치되어, 후술하는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 에 관련하도록 되어 있다.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 는 상기 래치 (14) 의 지지축 (13) 상에서 그 래치 (14) 에 평행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해제레버용 래치 (21) 를 주체로 하고, 이 해제레버용 래치 (21) 를 항상 닫는 방향으로 (항상 도면상의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운동력을 탄성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 (24) 을 갖추고, 상기 해제레버용 래치 (21) 의 걸림오목부 (21a) 가 해제레버 (15) 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 (18) 와 걸어맞추는 상태로 래치 (14) 의 잠금이 유지되고, 래치 (14) 의 해제시에는 해제레버 (15) 의 스트라이커 (18) 를 래치 (14) 로부터 멀리하여 그 래치 (14) 가 자유롭게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해제레버용 래치 (21) 는 지지축 (13) 상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 (18) 와 걸어맞춤으로써 그 해제레버 (15) 를 거는 걸림오목부 (21a) 와, 이 걸림오목부 (21a) 에 연접하여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갈고리형 의 돌출부 (22) 와, 이 돌출부 (22) 에서 소요 회전각도로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축선에 평행하게 되도록 래치 (14) 의 둘레면측으로 굴곡된 걸림편 (23) 을 갖추고, 통상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도 3 에서 나타냄), 해제레버 (15) 의 스트라이커 (18) 가 걸림오목부 (21a) 에 걸어맞추어 비틀림 스프링 (24) 의 축적력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해제레버용 래치 (21) 에 있어서 돌출부 (22) 는, 선단 (22a) 을 뾰죡하게 하고 있고, 상기 해제레버 (15) 에 부설된 스트라이커 (18) 가 해제조작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 반경 (r) 으로 이 해제레버 (15) 를 프레임 (12) 에 설치된 스토퍼 (19) 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키면, 상기 해제레버용 래치 (21) 에 있어서의 돌출부 (22) 의 선단 (22a) 의 회전운동범위 (회전 반경 (R)) 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18) 가 밖으로 나와, 그 돌출부 (22) 의 선단 (22a) 에 의해 복귀가 저지되는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해제레버용 래치 (21) 에 있어서의 걸림편 (23) 은, 해제레버 (15) 에 의한 래치 (14) 의 해제조작이 행해져서 스트라이커 (18) 가 상기 걸림오목부 (21a) 에 연접하는 돌출부 (22) 와의 걸어맞춤에서 떨어진 시점에서, 해제레버용 래치 (21) 가 비틀림 스프링 (24) 의 축적력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걸림편 (23) 이 래치 (14) 의 상기 걸림오목부 (14b) 와 걸림노치 (14a) 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부 (14c) 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전을 멈추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되어 있는 래치 (14) 와 해제레버 (15) 및 그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 를 지지하는 프레임 (12) 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개의 프레임부편 (12a,12b) 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프레임부편 (12a,12b) 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공간부내에 상기 래치 (14), 해제레버 (15) 및 그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 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 (14) 와 구체(軀體)측의 스트라이커 (30) 의 걸어맞춤·이탈이 행해지도록 프레임 (12)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대해 상측이 해방되어 있다. 또, 해제레버 (15) 를 조작하는 핸들 (15b) 은 프레임 (12) 의 하측에 절결된 개구부 (12d) 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부호 12e, 12e' 는 래치 (14) 의 지지축 (13) 의 설치구멍, 12f 는 해제레버 (15) 의 피벗지지축 핀 (16) 의 지지구멍, 12g 은 브래킷 (11) 으로의 설치볼트구멍이다.
다음에서, 제 1 실시예의 잠금장치의 작동을 도 5, 도 6 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앞창 (5) 을 들어올려 개창함에 있어서, 잠금장치 (10) 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해제레버 (15) 의 핸들 (15b) 을 도 5(a) 에서 회살표 (a) 방향으로 당기면, 해제레버 (15) 가 피벗지지축 핀 (16) 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하여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단부 (15a) 가 래치 (14) 의 걸림오목부 (14b) 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해제레버 (15) 를 더 추가로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그 선단부측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 (18) 가 해제레버용 래치 (21) 의 걸림오목부 (21a) 로부터 떨어진다. 그리고, 이 해제레버 (15) 가 스토퍼 (19) 에 접촉하여 회전운동이 규제되기까지 이동하면, 도 5(c)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18) 가 해제레버용 래치 (21) 의 돌출부 (22) 의 선단 (22a) 의 회전 반경 (R) 을 초과하는 상태가 된다.
도 5(c) 에 나타낸 상태가 되면 해제레버 (15) 에 대해 래치 (14) 는 완전히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그 래치 (14) 는 부대되는 비틀림 스프링 (17: 도 4 참조) 의 복귀력으로 도 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상의 시계방향 (화살표 b 의 방향) 으로 회전운동한다. 동시에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가 래치 (14) 의 걸림오목부 (14b) 와 걸림부 (14c) 의 사이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래치 (14) 를 다시 잠그지 않는다.
그리고, 래치 (14) 가 화살표 (b) 의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이때까지 떨어져 있던 래치 (14) 외주의 걸림부 (14c) 에 비틀림 스프링 (24) 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 (14) 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해제레버용 래치 (21) 의 단부의 걸림편 (23) 이 걸어맞추어져, 래치 (14) 와 함께 해제레버용 래치 (21) 가 회전운동하여 되돌아오게 된다 (도 6(b) 참조).
이렇게 해서 래치 (14) 가 회전운동함으로써, 그 걸림노치 (14a) 에 걸어맞추어져 있던 스트라이커 (30) 는 그 걸림노치 (14a) 로부터 이탈 개시상태가 된다. 따라서, 앞창 (5) 을 열기 위한 창개폐용 손잡이 (8,8') 를 가지고 창틀 (6) 을 들어올리는 조작을 더하면, 그 인상 조작력으로 도 6(c)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래치 (14) 의 걸림노치 (14a) 에 걸어맞추어져 있던 스트라이커 (30) 에 반력을 취해 래치 (14) 가 적극적으로 회전운동되고, 이어서 스트라이커 (30) 로부터 떨어져서 (도 6(d) 참조) 창틀 (6) 을 가이드 레일 (4) 을 따르게 하여 천정부 하측으로 들어올려 (밀어올려) 격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잠금장치 (10) 가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는, 도 6(d)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가 그 래치 (14) 의 둘레면에 맞닿아 걸림오목부 (14a)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고, 래치 (14) 와 해제레버용 래치 (21) 는 걸림부 (14c) 에 걸림편 (23) 이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하여, 다음으로 앞창 (5) 을 닫기까지 이 자세를 유지한다.
앞창 (5) 을 닫아 잠그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d) 로 나타냄) 해방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잠금장치 (10) 의 래치 (14) 에 대해 창틀 (6) 을 잠금 위치까지 완전히 밀도록 하면, 정위치에 있는 스트라이커 (30) 에 래치 (14) 의 걸림노치 (14a) 의 개구부내 가장자리 (14a') 가 접촉하여 스트라이커 (30) 에 의해 눌리고 되돌려져 (도 6(c) 참조), 그 반동으로 래치 (14) 가 전술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스트라이커 (30) 를 걸림노치 (14a) 내로 받아들인다.
이렇게 되면, 래치 (14) 의 역전에 의해 그 둘레면에 접촉하고 있던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는 래치 (14) 의 둘레면이 중간에 끊어지는 위치까지 변위하고, 이 해제레버 (15) 의 피벗지지축 핀 (16) 에 끼워져 부설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 (17') 의 축적력에 의해 되돌려져 래치 (14) 의 걸림오목부 (14b) 에 걸어맞추어지고, 그 결과 래치 (14) 가 해제레버 (15) 에 의해 잠겨진다.
(제 2 실시예)
도 7 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일부 절결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예의 잠금장치 (10A) 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그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지만,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A) 에 있어서의 해제레버용 래치 (21A) 의 형상과 해제레버 (15) 에 부설되는 스트라이커 (18A) 의 형상이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A) 는 해제레버용 래치 (21A) 의 걸림오목부 (21a') 가 상기 실시예의 경우보다도 깊게 도려내도록 되고, 이에 수반하여 연접하는 돌출부 (22A) 가 좁고 긴 갈고리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해제레버용 래치 (21A) 에 설치되는 걸림편 (23) 을 항상 래치 (14) 의 걸림부 (14c) 에 접하여 래치 (14) 와 함께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해제레버 (15) 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 (18A) 는 해제레버용 래치 (21A) 를 향 하는 측을 절삭한 반월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 2 실시예의 잠금장치 (10A) 에서는, 그 작동시에 있어서의 각부의 동작에 대해 상기 설명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 제 2 실시예의 구조에서는 해제레버용 래치 (21A) 에 설치된 걸림오목부 (21a') 를 깊게 형성하여 래치 (14) 의 잠금상태에서 그 해제레버용 래치 (21A) 에 설치되는 걸림편 (23) 이 래치 (14) 의 걸림부 (14c) 에 항상 맞닿아 해제레버용 래치 (21A) 도 함께 작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 (14) 가 잠금상태에서 해제레버 (15) 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 (18A) 와 해제레버용 래치 (21A) 는 비접촉상태로 유지되고, 창틀 (6) 측에서의 외력을 받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제 3 실시예의 잠금장치 (10B) 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에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잠금장치의 일부 절결정면도가, 도 9 에는 도 8 의 A-A 에서 본 단면도가, 도 10 에는 해제레버 유지기구의 설명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예의 잠금장치 (10B) 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잠금장치 (10) 와 동일하지만,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B) 가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창의 걔폐를 잠그는 래치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래치 (14) 에는 회전 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걸림노치 (14a) 가 형성되고, 이 걸림노치 (14a) 의 형성개소와 지지축 (13) 을 사이에 끼우고 정반대측의 주위부에 2 개소의 제 1 걸림오목부 (14b) 및 제 2 걸림오목부 (14d)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래치 (14) 의 지지축 (13) 에는 비틀림 스프링 (17) 이 피감되어, 그 일단을 프레임 (12) 측에, 타단을 래치 (14) 의 적소에 각각 걸어서 설치하고, 항상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래치 (14) 에 대해, 그 지지축 (13) 의 축심을 통과하는 직립 면 (도면에 있어서는 창틀 (6) 과 평행한 면) 상에 피벗지지축 핀 (16) 의 축심이 위치하도록 하여 해제레버 (15) 가 부설되어 있다. 이 해제레버 (15) 는 피벗지지축 핀 (16) 으로부터 선단측을 걸림단부 (15a) 로 되고, 이 걸림단부 (15a) 를 상기 래치 (14) 에 설치한 제 1 걸림오목부 (14b) 에 걸어맞추면 래치 (14) 가 잠겨지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해제레버 (15) 에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걸림 해제후에 복귀할 수 있는 비틀림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
또, 상기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에 가까운 측면에는, 피벗지지축 핀 (16) 과 평행하게 스트라이커 (18) 가 돌출 설치되어, 후술하는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B) 에 관련하도록 되어 있다.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B) 는, 상기 래치 (14) 의 측방위치에서 지지축 (13) 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피벗지지축 (25) 에 기부가 지지되어 회전운동이 가능한 잠금 클로편 (26) 을 주체로 하고, 이 잠금 클로편 (26) 을 항상 래치 (14) 의 지지축 (13) 측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력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도시 생략) 이 잠금장치 (10B) 의 요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12) 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 다. 이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설치 수단으로는 비틀림 스프링을 피벗지지축 (25) 에 끼우거나 혹은 잠금 클로편 (26) 의 적소와 프레임 (12) 의 적소와의 사이에 인장 스프링을 팽팽하게 가설하는 등의 조작으로 설치된다.
상기 잠금 클로편 (26) 은, 그 선단 (26a) 을 뾰족하게 하여, 도 10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부의 피벗지지축 (25) 축심에서 선단 (26a) 까지의 길이 (L) 를, 상기 해제레버 (15) 에 부설되는 스트라이커 (18) 가 해제 조작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 반경 (r) 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또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가 래치 (14) 의 제 1 걸림오목부 (14b) 에 걸어맞추어져 잠금상태에 있을 때, 그 잠금 클로편 (26) 의 선단 (26a) 부 측면이 상기 스트라이커 (18) 에 접하여 있도록 관계되어 있다.
또, 상기 잠금 클로편 (26) 에는 피벗지지축 (25) 에서 적정치수로 선단쪽의 중간위치에 조작핀 (27) 이 그 피벗지지축 (25) 과 평행하게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핀 (27) 은 통상 래치 (14) 의 상기 제 1 걸림오목부 (14b) 와 제 2 걸림오목부 (14d) 의 사이의 둘레면에 접촉시켜 잠금 클로편 (26) 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19 는 해제레버 (15) 의 회전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이다.
다음으로, 제 3 실시예의 잠금장치 (10B) 의 작동을 도 11, 도 12 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앞창 (5) 을 들어올려 개창함에 있어서는, 잠금장치 (10B) 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기 위해 해제레버 (15) 의 핸들 (15') 을 도 11(a) 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로 당기면 해제레버 (15) 의 피벗지지축 핀 (16) 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되어, 도 1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단부 (15a) 가 래치 (14) 의 걸림오목부 (14b) 로부터 떨어진다.
이어서, 해제레버 (15) 를 더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그 선단부측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 (18) 가 잠금 클로편 (26) 의 선단부측면에 접하고, 그 잠금 클로편 (26) 을 복귀용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밀어 되돌린다. 이 후, 해제레버 (15) 의 중간부가 스토퍼 (19) 에 접촉하여 회전운동이 규제되기까지 이동하면, 그 스토퍼 (19) 에 의한 규제직전에 상기 스트라이커 (18) 의 측면을 밀어 되돌리고 있는 잠금 클로편 (26) 의 선단 (26a) 의 회전 반경 (L: 기부 피벗지지축 (25) 의 축심에서 선단까지의 길이) 를 초과하여, 스트라이커 (18) 가 잠금 클로편 (26) 의 외측의 측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도 11(c) 참조). 그 결과, 해제레버 (15) 는 잠금 클로편 (26) 에 의해 유지되고, 래치 (14) 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래치 (14) 는 걸림상태에서 해방되기 (잠금의 해제) 때문에, 탄성지지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 (17: 도 9 참조) 의 복귀력에 의해 도 12(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 (b) 의 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동시에, 잠금 클로편 (26) 에 부속하는 조작핀 (27) 이 래치 (14) 의 인접부 외주면에 접촉한다.
자유롭게 된 래치 (14) 는 앞창 (5) 을 열기 위해서 창개폐용 손잡이 (8,8') 를 가지고 창틀 (6) 을 들어올리기 위해 바로 앞으로 끌어당기는 조작력에 의해, 도 (12b)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래치의 걸림노치 (14a) 에 걸어맞추어져 있던 스트라이커 (30) 에 반력을 취하여 적극적으로 회전운동되고, 이어서 스트라이커 (30) 로부터 떨어져 (도 12(c) 참조), 창틀 (6) 을 가이드 레일 (4) 을 따르게 하여 천정부 하측으로 들어올려 (밀어올려) 격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자유롭게 된 래치 (14) 가 회전운동함에 수반하여, 제 1 걸림오목부 (14b) 가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와의 걸어맞춤 위치에서 적정량 회전운동 변위하면, 앞서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 (20B) 의 잠금 클로편 (26) 에 의한 해제레버 (15) 의 해제조작위치에서의 고정에 동반하지 않는 래치 둘레면에 접촉하여 있던 잠금 클로편 (26) 부속의 조작핀 (27) 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제 2 걸림오목부 (14d) 에 인접하는 래치 (15) 둘레면의 돌출부 (14e) 에 의해 압출되게 된다. 그러면, 이번에는 해제레버 (15) 선단부의 스트라이커 (18) 에 대한 잠금 클로편 (26) 의 선단 (26a) 이 스트라이커 (18) 를 밀어 물러나게 하고, 그 스트라이커 (18) 를 다시 래치 (14) 측으로 되돌린다. 이 결과,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는 도 12(b)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 (14) 의 주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래치 (14) 의 걸림노치 (14a) 와 스트라이커 (30) 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잠금장치 (10B) 가 완전하게 해제되면, 그 래치 (14) 는 탄성지지되어 있던 비틀림 스프링 (17) 의 복귀력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래치 둘레면에 맞닿아 있는 해제레버 (15) 의 걸림단부 (15a) 와 제 2 걸림오목부 (14d) 의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운동이 정지되어, 그대로 유지된다 (도 12(c) 참조).
이렇게 해서, 래치 (14) 의 걸림노치 (14a) 은 스트라이커 (30) 의 받아들임 방향으로 개구한 상태로 다음번 창을 닫을 때에 신속하게 스트라이커 (30) 와 걸어 맞출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 폐창시에 잠금장치 (10B) 를 작동시켜 창틀 (6) 을 잠글 때에는, 래치 (14) 가 전술한 잠금 해제 작동시와 반대로 작동하기 때문에, 해제레버 (15) 는 아무런 외부로부터 조작할 필요가 없어 잠금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이렇게 구성되는 잠금장치 (10B) 에서는,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와는 상이한 해제레버 해제유지기구를 갖추고, 해제레버 (15) 에 의한 래치 (14) 의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제 4 실시예)
본 실시예는 인상 개방식의 운전실창에 있어서, 폐창 위치와 상측 격납위치 (개창 위치) 에서 각각 폐창 고정 및 격납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3 에서는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14 에는 잠금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고, 도 15 에서는 도 13 의 B-B 에서 본 도면이, 도 16 에는 도 2 의 C-C 에서 본 확대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래치 (14) 에 있어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운전석에서 보아 우측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것과 같이 회전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걸림노치 (14a,14b) 이 거의 90。 회전각 변위한 위치에서 2 개소에 형성되고, 각 걸림노치 (14a,14b) 의 저부는 반원형으로 되며, 개구측에 있어서 개구단부 (14c,14d) 및 개 구단부 (14e,14f) 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또 후술하는 스트라이커 (30) 의 받아들임 후방측의 개구단부 (스트라이커가둠측 단부: 14d, 14f) 가 그 반대측의 개구단부 (스트라이커유지측 단부: 14c,14e) 보다도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각 걸림노치 (14a,14b) 의 형성부와 회전중심을 사이에 끼우고 반대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걸림오목부 (14g,14h)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치 (14) 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축 (13) 의 축심을 통과하는 직립면 상에 피벗지지축 핀 (16) 의 축심이 위치하도록 하여 폐창 위치에서의 스트라이커 걸어맞춤부와 반대측에 해제레버 (15) 가 부설되고, 이 해제레버 (15) 의 선단부 (15a) 를 상기 래치 (14) 의 걸림오목부 (14g,14h) 에 걸어맞추면 래치 (14) 의 회전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해제레버 (15) 의 피벗지지축 핀 (16) 에는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비틀림 스프링을 끼워, 그 일단을 정지부재측에 연결하고, 타단을 해제레버 (15) 의 적소에 연결하여 걸림 해제후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해두는 것이 좋다.
이러한 래치 (14) 는, 도 1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 (13) 상에서 창틀 (6) 의 가이드 레일 (4) 이 배열설치되는 위치의 바로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되고, 또 이 래치 (14) 에는 지지축 (13) 에 끼워 일단이 브래킷 (11) 측에 걸리고 타단이 적소에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 (17) 이 부설되어, 이 비틀림 스프링 (17) 에 의해 회전운동 복귀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렇게 된 래치 (14) 및 해제레버 (15) 등은 분할 가능한 커버를 겸한 프레임 (12) 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둘러싸여 보호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부호 19 는 해제레버 (15) 의 회전을 멈추게 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또, 운전실 본체 (1) 의 천정부 내측에는 가이드 레일 (4) 의 종단부 근방에서,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가이드 레일 (4) 의 하측위치에 스트라이커 (40) 가 운전실 본체 (1) 에 설치된 설치금구 (41) 에 의해 폭 방향으로 수평 상태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트라이커 (40) 는 가이드 레일 (4) 에 의해 안내되는 창틀 (6) 이 격납위치 종단에 까지 이동했을 때에 상기 창틀 (6) 상부에 설치한 잠금기구 (10C) 의 래치 (14) 에 있어서 타방의 걸림노치 (14b) 가 걸어맞추어지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앞창 (5) 을 개폐하는 동작을 도 17 ∼ 도 19 에 의해 설명한다. 또, 이들 도면은 도 13 에 나타내는 창측 단면과 반대측에서 본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폐창하기 위해, 잠금기구 (10C,10C) 의 각 해제레버 (15) 를 도 17(a)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화살표 (a: 도 13 에 있어서 화살표 a) 의 방향으로 조작하여 이동시키면, 피벗지지축 핀 (16) 을 기점으로 하여 해제레버 (15) 가 회전운동하고, 그 선단부 (15a) 가 래치 (13) 의 걸림오목부 (14g) 에서 떨어진다 (도 17(b) 참조). 또, 해제레버 (15) 는 프레임 (12) 에 설치된 스토퍼 (19) 에 의해 그 회전운동 범위가 규제되어 필요 이상으로 회전운동하지 않는다.
그러면, 래치 (14) 는 그 지지축 (13) 상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 (17) 의 복귀력으로 회전운동되고, 스트라이커 (30) 에 반력을 취하여 바로 앞측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그 결과, 도 18(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 (14) 의 걸림 노치 (14a) 는 걸어맞추어져 있는 스트라이커 (30) 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 변위되고, 이어서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잠금기구 (10C) 가 설치된 창틀 (6) 의 상부가 후퇴할 수 있어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또, 이 시점에서 해제레버 (15) 의 선단부 (15a) 는 래치 (14) 의 또 다른 한쪽의 걸림오목부 (14h) 에 걸어맞춘 상태가 되어, 당해 위치에서 회전운동을 저지하여 유지된다.
이렇게 잠금기구 (10C) 에 의한 창틀 (6) 의 고정이 해제되면, 창틀 (6) 은 그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롤러 (7) 가 가이드 레일 (4) 의 하단부 (4a) 에 끼워져 지지되기 때문에 (도 13 참조), 그 하부의 가이드 롤러 (7) 를 지점으로 상부를 실내측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 18(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 (6) 은 폐창위치 (P) 에서의 스트라이커 (30) 로부터 걸림노치 (14a) 이 외탈하여 크게 후퇴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창틀 (6) 의 하부창 개방용 손잡이 (8') 와 상부창 개방용 손잡이 (8) 를 손에 잡고 창틀 (6) 의 상부를 바로 앞으로 당겨 동시에 들어 올리면 상측의 가이드 롤러 (7) 가 가이드 레일 (4) 의 분기부 (4b) 로부터 만곡부 (4c: 도 2 참조) 로 이행하여 그대로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렇게 창틀 (6) 을 들어 올리면, 창틀 (6) 은 가이드 레일 (4) 에 상하 위치의 가이드 롤러 (7,7) 가 안내되어 운전실 본체 (1) 의 전면에서 천정부로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창틀 (6) 이 그 격납위치에 도달하면 그 직전에 있어서 잠금기구 (10C) 의 래치 (14) 가 도 19(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의 걸림노치 (14b) 을 당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 (40) 에 대향하도록 개 구부를 향하여 이동된다.
래치 (14) 의 걸림노치 (14b) 의 개구단부 (14f) 가 스트라이커 (40) 와 접촉하면, 도 19(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개구단부 (14f) 의 원호면으로 안내되어 래치 (14) 가 그 스트라이커 (40) 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동시에 해제레버 (15) 의 선단부 (15a) 가 래치 (14) 의 걸림오목부 (14h) 로부터 떨어진다. 이어서, 창틀 (6) 이 격납 종단위치까지 도달하면 도 19(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 (14) 는 그 걸림노치 (14b) 내로 스트라이커 (40) 를 받아들이고, 해제레버 (15) 의 선단부 (15a) 가 걸림오목부 (14g) 에 걸어맞추어 해당 위치에서 잠겨지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창틀 (6) 은 격납 위치에 있어서 잠금기구 (10C) 에 의해 잠기게 되므로, 운전실 본체 (1) 에 외부로부터 진동을 받아도 전방으로 미끌어지거나 하는 일 없이 안전하고 확실하게 격납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들러올려 개방된 앞창 (5) 을 폐창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개방 조작과 반대로 조작함으로써 창틀 (6) 을 내려 개구된 창을 닫을 수 있다. 즉, 창틀 (6) 을 내리는 데에는 격납위치에 있어서 잠겨 있는 창틀 (6) 의 잠금기구 (10C,10C) 에서 해제레버 (15) 의 핸들을 도 19(c) 에 나타낸 상태에서 하향으로 끌어내리면, 피벗지지축 핀 (16) 을 지점으로 하여 선단부 (15a) 와 래치 (14) 의 걸림오목부 (14g) 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래치 (14) 가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따라서, 창틀 (6) 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창개폐용 손잡이 (8,8') 를 잡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창틀 (6) 을 이동시키면 잠금기구 (10C) 의 래치 (14) 가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스트라이커 (40) 로부터 떨어질 때 탄성지지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 (17) 의 회복력에 의해 역전되고, 해제레버 (15) 의 선단부 (15a) 가 다시 걸림오목부 (14h) 에 걸어맞추어 래치 (14) 가 도 19(a) 에 나타내는 자세에서 창틀 (6) 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창틀 (6) 을 운전실 본체 (1) 의 전면까지 되돌리면, 이 앞창 (5) 의 창틀 (6)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롤러 (7) 가 가이드 레일 (4) 의 하단부 (4a) 에 맞추어져서, 자세를 정리하여 그 창틀 (6) 상부를 전방으로 밀어 누르면, 상측의 가이드 롤러 (7) 가 가이드 레일의 분기부 (4b) 안으로 이행하여 폐창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폐창위치에 이동하기 직전에서는 잠금기구 (10C) 는 창틀 (6) 과 함께 기립상태에 있어, 도 1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 (14) 의 걸림노치 (14a) 가 당해 위치의 스트라이커 (30) 를 향하여 개구하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측의 창개폐용 손잡이 (8) 를 잡고 창틀 (6) 을 전방으로 밀어누르듯이 하면, 도 18(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30) 에 래치 (14) 의 개구하는 걸림노치 (14a) 의 개구단부 (14d) 가 접촉하여 창틀 (6) 의 전진이동과 함께 래치 (14) 를 역전시키고, 이어서 그 걸림노치 (14a) 내에 스트라이커 (30) 를 받아들여 폐창위치에 도달한다. 이것과 동시에 도 17(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 (14) 의 걸림노치 (14a) 내에 스트라이커 (30) 가 완전히 받아들여진다. 그 동안 해제레버 (15) 는, 그 선단부 (15a) 가 걸림오목부 (14h) 의 위치에서 떨어져서 다른 쪽의 걸림오목부 (14g) 에 걸어맞추어지고, 동시에 래치 (14) 에 부가 되는 비틀림 스프링 (17) 이 복귀력에 대항하여 회전운동되어 반대로 축세되어, 이 비틀림 스프링 (17) 의 축적력으로 인해 걸림노치 (14g) 에 걸어맞추어지는 해제레버 (15) 의 선단부 (15a) 에 의한 걸림력이 유지되어 래치 (14) 의 회전운동이 걸린다. 바꿔말하면, 래치 (14) 가 잠겨지고, 앞창 (5) 은 창부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앞창 (5) 을 개폐함에 있어서, 창틀 (6) 에 부속하는 잠금기구 (10C) 는, 회전하는 래치 (14) 에 폐창위치에서 스트라이커 (30) 와 걸어맞추어지는 걸림노치 (14a) 와 개방시의 격납위치에서 스트라이커 (40) 와 걸어맞추어지는 걸림노치 (14b) 를 소정의 회전각도로 변위시켜 설치한 것으로, 창틀 (6) 의 자세가 기립상태에서 쓰러짐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걸어맞춤 위치를 바꾸고 동시에 부대하는 해제레버 (15) 의 선단부 (15a) 와 래치 (14) 측의 걸림오목부 (14g) 또는 걸림오목부 (14h) 의 걸어맞춤 위치를 바꿈으로써, 각각의 위치에서 스트라이커 (30) 또는 스트라이커 (40) 와, 그때마다 외부로부터 조작하지 않고 각각 걸림노치 (14a) 또는 걸림노치 (14b) 가 걸어맞추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해제레버 (15) 에 의한 래치 (14) 와 스트라이커 (30) 또는 스트라이커 (40) 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조작만으로 창틀 (6) 을 이동시켜 앞창 (5) 의 개폐가 행해지게 되고, 폐창위치 혹은 격납위치에서 창틀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래치 (14) 의 걸림노치 (14a) 또는 걸림노치 (14b) 가 각각 스트라이커 (30) 또는 스트라이커 (40) 과 걸어맞추어져 거는 과정에서, 임의의 걸림노치 (14a,14b) 에 대해서도 접촉 초기 단계에서 최초로 접하는 개구단부 (14d) 또는 개구단부 (14f) 가 반대측의 개구단부 (14c) 또는 개구단부 (14e) 보다 약간 길어져 있기 때문에, 스트라이커 (30) 또는 스트라이커 (40) 의 받아들임을 용이하게 하고,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폐창위치에서는, 스트라이커 (30) 가 래치 (14) 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관계되어져 있기 때문에 창틀 상부를 전방으로 밀어붙여 무리없이 잠글 수 있고, 스트라이커 (30) 가 래치 (14) 를 하방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창틀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격납위치에서는 스트라이커 (40) 가 래치 (14) 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관계되어져 있기 때문에, 격납위치에서 잠금부가 창틀 (6) 을 잡아 올리는 자세로 잠기기 때문에, 진동 등을 받더라도 잠금부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어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설치되는 앞창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취지에 의하면, 가옥 등의 인상 개방식의 창으로서 채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서도 창의 잠금기구를 작은 부피로 구성하여 취급이 용이한 구조이기 때문에, 창틀을 들어올려 격납하는 데에 위화감이 없고 편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4)

  1. 지지구조체에 부설되어 있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가능한 창틀을 기립 정위치에서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립 정위치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자세를 바꾼 격납위치에 격납되는 운전실창 잠금장치로서,
    상기 창틀의 상측 양단부에서, 그 창틀보다도 폭방향으로 외측이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도 내측위치에, 두개의 걸림노치를 소요 각도로 변위한 위치에 갖는 회전운동이 가능한 래치와 그 래치의 회전운동을 규제하고 또한 해제하는 해제레버를 갖춘 잠금기구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창틀의 기립 정위치의 상부와 격납위치의 종단부에, 상기 래치의 걸림노치와 걸어맞춰져 창틀을 유지시키는 스트라이커가 상기 래치의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지지구조체에 각각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창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폐창시에는 지지구조체에 고착 지지되어 돌출하는 제 1 스트라이커를 회전지지축보다 상측에서 걸어맞추어 잠글 수 있는 걸림노치와, 개창 격납시에 당해 위치에서 지지구조체에 고착 지지되어 돌출하는 제 2 스트라이커를 회전지지축보다 하측에서 걸어맞추어 지지할 수 있는 걸림노치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창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걸림노치가, 반경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창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걸림노치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스트라이커감금측 단부가 스트라이커유지측 단부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창 잠금장치.
KR1020060057836A 1999-04-02 2006-06-27 운전실창 잠금장치 KR100630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57999A JP3889180B2 (ja) 1999-04-02 1999-04-02 引上げ開放式窓の構造
JPJP-P-1999-00096579 1999-04-02
JP11924099A JP4097355B2 (ja) 1999-04-27 1999-04-27 運転室窓ロック装置
JPJP-P-1999-00119240 1999-04-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124A Division KR100632757B1 (ko) 1999-04-02 2000-04-01 운전실창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946A KR20060083946A (ko) 2006-07-21
KR100630296B1 true KR100630296B1 (ko) 2006-10-02

Family

ID=264377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124A KR100632757B1 (ko) 1999-04-02 2000-04-01 운전실창 잠금장치
KR1020060057836A KR100630296B1 (ko) 1999-04-02 2006-06-27 운전실창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124A KR100632757B1 (ko) 1999-04-02 2000-04-01 운전실창 잠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474705B1 (ko)
EP (2) EP1512816B1 (ko)
KR (2) KR100632757B1 (ko)
DE (2) DE6002926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536B1 (ko) 2014-02-02 2015-08-24 주식회사 성진테크 굴착기용 래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022A (ko) * 2000-12-27 2002-07-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의 하부유리 착탈장치
GB0119508D0 (en) * 2001-08-10 2001-10-03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mechanism
JP3778147B2 (ja) * 2002-08-27 2006-05-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前窓ロック装置
US20050156447A1 (en) * 2003-10-24 2005-07-21 Bryan Bishop Pop-up striker
KR100552770B1 (ko) * 2004-05-14 2006-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JP4500352B2 (ja) * 2005-05-13 2010-07-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用キャブ
EP1739239A1 (en) * 2005-06-30 2007-01-03 Komatsu Utility Europe S.p.A. An earth moving machine
DE112006002705T5 (de) * 2005-10-12 2008-08-21 Magna Closures Inc., Newmarket Verschlussdrehbetätigungsglied
JP4185540B2 (ja) * 2006-11-27 2008-11-2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キャブロック機構
DE102006056442B4 (de) * 2006-11-28 2010-10-28 Eurocopter Deutschland Gmbh Türschloss für Türen von Luftfahrzeugen, insbesondere von Hubschraubern
JP4157583B1 (ja) * 2007-04-16 2008-10-0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キャブロック装置
JP4711440B2 (ja) * 2007-05-21 2011-06-29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キャブの前窓ロック装置
US20090192682A1 (en) * 2008-01-30 2009-07-30 Caterpillar Inc. Operator enclosure including movable top and machine using same
US7909389B2 (en) * 2008-01-31 2011-03-22 Cnh America Llc Protection device for a pivotable cab structure
FR2936544A1 (fr) 2008-09-30 2010-04-02 Renault Sas Dispositif de verrouillage d'ouv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8931813B2 (en) * 2009-06-04 2015-01-13 A.L. Hansen Manufacturing Co. Rotary lock providing positive latching indicia
US8485570B2 (en) * 2010-03-29 2013-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lock assembly with inertia lock
US8333036B2 (en) * 2010-05-28 2012-12-18 Ibis Tek, Llc Emergency egress assembly embedded in a vehicle door
JP5634239B2 (ja) * 2010-12-06 2014-12-03 株式会社アンセイ 引上げ開放式窓のロック装置
CN201998846U (zh) 2011-03-03 2011-10-05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童安全座椅头靠调整机构
US8720237B2 (en) * 2011-10-19 2014-05-13 Daws Manufacturing Company, Inc. Rotary latch
WO2013191308A1 (ko) * 2012-06-18 2013-12-2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운전실 보호장치
JP5465345B1 (ja) 2013-01-18 2014-04-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CN103485613B (zh) * 2013-08-28 2015-06-17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交通领域车辆门的解锁装置
US9260890B2 (en) 2014-05-13 2016-02-16 Daws Manufacturing Co., Inc. Latch mechanism
US9551179B2 (en) * 2015-04-11 2017-01-24 Tata Technologiė Pte Limited Emergency exit arrangement
PL3118398T3 (pl) * 2015-07-16 2018-12-31 Opacmare S.R.L. Wodoszczelne drzwi lub okno
DE202016005501U1 (de) * 2015-09-11 2016-11-21 Hyster-Yale Group, Inc. Zubehörarm für einen Gabelstapler
US11214989B2 (en) * 2015-10-02 2022-01-04 Kiekert Ag Motor vehicle lock
EP4028618B1 (en) * 2019-09-12 2024-01-03 Southco, Inc. Rotary latch assembly with multiple striker engag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97014A (fr) * 1921-08-10 1922-11-16 Pellaton Jules Dispositif de fermeture de porte, fenêtre etc.
US1580666A (en) * 1925-06-10 1926-04-13 A L Hansen Mfg Company Sliding-door latch
GB1099649A (en) * 1966-02-01 1968-01-17 Ford Motor Co Locks
US3612593A (en) * 1970-03-27 1971-10-12 Gen Motors Corp Vehicle body door lock
US3905626A (en) * 1973-12-26 1975-09-16 Caterpillar Tractor Co Windshield storage latch
IT1083523B (it) * 1977-06-15 1985-05-21 Fiat Veicoli Ind Serratura per l'ancoraggio di una cabina di tipo ribaltabile di un veicolo
US4835997A (en) * 1984-03-14 1989-06-06 A. L. Hansen Manufacturing Company Two-way rotary lock
DE3819383A1 (de) * 1988-06-07 1989-12-14 Trumpf Schloss & Beschlag Verschlusseinrichtung fuer eine heissgeraetetuer
DE3821308C1 (ko) * 1988-06-24 1989-05-24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De
JP2508956Y2 (ja) * 1989-07-12 1996-08-2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キャブロック装置
US5096253A (en) * 1990-05-31 1992-03-17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Cabs of heavy construction vehicles with an openable front window and a locking device therefor
JPH08312220A (ja) 1995-05-17 1996-11-26 Kyowa Sangyo Kk スライドドアとそのロック解除機構及びロック装置
DE19617428C2 (de) * 1996-05-01 1998-06-1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elektrischem Türschloß und elektrische Zuziehhilfe für die zugeordnete Kraftfahrzeugtür
JP3252100B2 (ja) * 1997-05-09 2002-01-2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の前窓固定装置
JPH10311061A (ja) 1997-05-09 1998-11-2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用キャブの前窓保持装置
JP3640517B2 (ja) * 1997-12-17 2005-04-2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の手動開閉式フロントウインド装置
JP2979392B1 (ja) * 1998-05-11 1999-11-15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キャブの前面窓開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536B1 (ko) 2014-02-02 2015-08-24 주식회사 성진테크 굴착기용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2816A1 (en) 2005-03-09
KR20060083946A (ko) 2006-07-21
EP1041229B1 (en) 2006-07-12
US6688658B2 (en) 2004-02-10
DE60043713D1 (de) 2010-03-04
EP1041229A2 (en) 2000-10-04
DE60029267D1 (de) 2006-08-24
EP1041229A3 (en) 2000-12-27
US6474705B1 (en) 2002-11-05
DE60029267T2 (de) 2007-06-14
US20030025338A1 (en) 2003-02-06
EP1512816B1 (en) 2010-01-13
KR100632757B1 (ko) 2006-10-11
KR20000071538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296B1 (ko) 운전실창 잠금장치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JP2014505617A (ja) 座席の折り畳み式背もたれ用ロック装置
KR100836121B1 (ko) 차량 도어의 열림 방지 도어래치 어셈블리
JP2012021326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のストッパ構造
JP3889180B2 (ja) 引上げ開放式窓の構造
JP4097355B2 (ja) 運転室窓ロック装置
JP5517347B2 (ja) ドアストッパ装置
JP4345432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機構
JP4649079B2 (ja) ウイングロック装置
JP7359691B2 (ja) 避難扉
JP4602092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施錠装置
JP2005036535A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100339087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3115529B2 (ja) 扉ロック機構
JP3040775U (ja) スーツケースの施錠機構
JP4181538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2505252Y2 (ja) オ―プンカ―の幌格納用ロック装置
JP2006283492A (ja) 開き戸のロック装置
US8820573B2 (en) Mechanism to hold cover open or closed
JPH0315369Y2 (ko)
JP3886688B2 (ja) あおり支持装置
JP2603178Y2 (ja) 車両の前面窓体のロック装置
JP4343097B2 (ja) ドアガード
JP2522056Y2 (ja) 荷台の鎖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