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569B1 -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569B1
KR100623569B1 KR1020040072123A KR20040072123A KR100623569B1 KR 100623569 B1 KR100623569 B1 KR 100623569B1 KR 1020040072123 A KR1020040072123 A KR 1020040072123A KR 20040072123 A KR20040072123 A KR 20040072123A KR 100623569 B1 KR100623569 B1 KR 10062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uled line
printing
ruled lines
tabl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032A (ko
Inventor
가지하라미키히로
사카이마모루
오노히로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41J11/003Paper-size detection, i.e. automatic detection of the length and/or width of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공급장치(DS)는, 테이프 인쇄장치(1)에 의해 보고된 장착 테이프 폭(TW)에 의거하여, 인쇄 표 화상(GT)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를 설정하는 폭 치수 설정수단과, 표 괘선의 행 수 및 열 수를 입력하는 표 구성 입력수단과, 설정된 인쇄 표 화상(GT)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와 입력된 행 수 및 열 수에 의거하여, 기준 표 괘선(421)을 작성하는 기준 표 괘선 작성수단과, 기준 표 괘선(421)의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421b) 및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421a)을 편집하여,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인쇄 표 화상 데이터 편집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PRINT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인쇄 시스템의 제1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인쇄 시스템의 제2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 1과 동일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테이프 인쇄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테이프 인쇄장치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쇄 시스템의 제2 시스템 구성예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은 테이프 인쇄장치의 제어 전체의 개략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인쇄를 할 때의 일례를 도시하는 표시화면 및 그 표시화면상에서의 전형적인 조작의 설명도(7a), 그 인쇄에 의한 인쇄 결과를 도시하는 설명도(7b)이다.
도 8a 및 도 8b는 기준 표 괘선의 편집 과정이 표시된 레이아웃 편집화면을 도시하는 설명도(8a), 기준 표 괘선을 편집하여 편집된 인쇄 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인쇄 표 화상을 도시하는 설명도(8b)이다.
도 9는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로의 입력 내용에 대응하여 작성된 기준 표 괘선이 표시된 레이아웃 편집화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기준 표 괘선을 구성하는 바깥 틀 이외의 기준 세로 괘선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이 표시된 레이아웃 편집화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기준 표 괘선을 구성하는 바깥 틀의 기준 세로 괘선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이 표시된 레이아웃 편집화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인쇄 시스템의 제3 시스템구성예를 도시하는, 도 1과 동일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3 구성예 중, 테이프 인쇄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테이프 인쇄장치 141 테이프 식별 센서
340 모니터 디스플레이 350 입력장치
421 기준 표 괘선
450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
451 행 수 입력 텍스트 박스 452 열 수 입력 텍스트 박스
CD-ROM 501 DS 데이터 서버
GT 인쇄 표 화상 IF 인터페이스
LW 설정 길이 PC 퍼스널 컴퓨터
SYS 인쇄 시스템 T 테이프
TW 장착 테이프 폭
본 발명은, 다수의 가로 괘선 및 다수의 세로 괘선에 의해 행 및 열을 구획지어 이루어지는 표 괘선의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 가능한 공급장치와 공급된 인쇄 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인쇄 표 화상을 테이프에 인쇄 가능한 테이프 인쇄장치를 구비한 세퍼레이트 타입의 테이프 인쇄장치인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컨대 공급장치인 퍼스널 컴퓨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함으로써, 테이프 인쇄장치를 단체(單體)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성이 좋고, 다채로운 인쇄 화상의 작성·편집이 가능하다. 그리고, 인쇄 표 화상이 되는 표 괘선을 작성·편집하는 경우에는, 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가 갖는 묘화 오브젝트(직선, 직사각형, 화살표, 타원 등)를 묘화하는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쇄 시스템에서는, 직선, 직사각형 등의 각 묘화 오브젝트를 조합하여 표 괘선을 작성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개개의 묘화 오브젝트의 위치 및 사이즈를 규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특히, 인쇄 폭이 좁고 또한 인쇄 길이가 자유로운 테이프에 대하여, 표 괘선을 작성하는 데 장시간을 요하여,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세퍼레이트 타입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테이프에 대하여 인쇄 표 화상이 되는 표 괘선을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은, 다수의 가로 괘선 및 다수의 세로 괘선에 의해 행 및 열을 구획지어 이루어지는 표 괘선의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 가능한 공급장치와, 공급된 인쇄 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인쇄 표 화상을 테이프에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장치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한 인쇄 시스템으로서, 테이프 인쇄장치는 장착된 테이프의 테이프 폭을 장착 테이프 폭으로서 공급장치에 보고하는 테이프 폭 보고수단을 갖고, 공급장치는 장착 테이프 폭에 의거하여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를 설정하는 폭 치수 설정수단과, 표 괘선의 행 수 및 열 수를 입력하는 표 구성 입력수단과, 설정된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와 입력된 행 수 및 열 수에 의거하여,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으로 이루어지는 기준 표 괘선을 작성하는 기준 표 괘선 작성수단과, 상기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상기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의 길이 및 위치를 각각 변경하고 편집하여,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인쇄 표 화상 데이터 편집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방법은, 다수의 가로 괘선 및 다수의 세로 괘선에 의해 행 및 열을 구획지어 이루어지는 표 괘선의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 가능한 공급장치와, 공급된 인쇄 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인쇄 표 화상을 테이프에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장치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인쇄장치에 의해, 장착된 테이프의 테이프 폭을 장착 테이프 폭으로서 공급장치에 보고하는 테이프 폭 보고공정과, 공급장치에 의해, 장착 테이프 폭에 의거하여,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를 설정하는 폭 치수 설정공정과, 공급장치에 의해, 표 괘선의 행 수 및 열 수를 입력하는 표 구성 입력공정과, 공급장치에 의해, 설정된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와 입력된 행 수에 의거하여,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으로 이루어지는 기준 표 괘선을 작성하는 기준 표 괘선 작성공정과, 상기 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의 길이 및 위치를 각각 변경하고 편집하여,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인쇄 표 화상 데이터 편집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인쇄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에서는, 입력된 행 수 및 열 수에 의거하여,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의 개수가 설정되고, 또한, 장착 테이프 폭에 따라서 설정되는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와 입력된 행 수에 의거하여,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의 상호의 간격(예컨대, 등 간격) 및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의 길이가 설정되어, 기준 표 괘선이 작성된다. 이 때문에, 원하는 표 괘선을 구성하는 가로 괘선 및 세로 괘선을 개개로 묘화하지 않고서, 이와 동일한 개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기준 세로 괘선으로 이루어지는 기준 표 괘선을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는 동시에,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의 치수(장착 테이프 폭)의 범위 내에 기준 표 괘선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준 표 괘선을 기준으로 하여, 각 기준 가로 괘선 및 각 기준 세로 괘선의 길이 및 위치를 각각 변경함으로써, 기준 표 괘선에 의해 구획되는 각 행의 높이 및 각 열의 폭이 원하는 행 높이 및 열 폭을 구획하도록, 기준 표 괘선을 편집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 공급장치는,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를 입력하는 길이 치수 입력수단을 더 갖고, 기준 표 괘선 작성수단은, 입력된 열 수와 입력된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에 의거하여, 기준 표 괘선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를 설정 길이(定長)로서 설정하는 경우, 입력된 열의 열 수와 입력된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에 의거하여,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의 상호의 간격(예컨대, 등 간격) 및 다수의 가로 괘선의 길이가 설정되어, 기준 표 괘선이 작성된다. 이 때문에, 설정 길이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설정 길이의 범위 내로 기준 표 괘선을 작성할 수 있어, 첨부 대상물에 맞춘 표 첨부 테이프를 작성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상기 중 어느 하나의 인쇄 시스템의 각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프로그램은, 상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시스템에 의해서 처리됨으로써, 세퍼레이트 타입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표 화상이 되는 표 괘선을 간편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기억매체는, 상술한 각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시스템에 의해서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이 기억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세퍼레이트 타입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표 화상이 되는 표 괘선을 간편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인쇄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 시스템은, 테이프 인쇄장치 및 데이터 서버를 구비하고 있고, 테이프 인쇄장치 단체의 형태로, 원하는 문자, 숫자, 기호, 간이도형 등의 캐릭터를 편집하여 인쇄용 테이프에 인쇄할 수 있는 동시에, 데이터 서버에 준비(기억)된 인쇄 화상 데이터를 테이프 인쇄장치에 공급하여 인쇄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테이프 인쇄장치는, 인쇄 후의 테이프를 절단하도록 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라벨을 작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인쇄 시스템(SYS)은, 전체로서 1개의 테이프 인쇄장치(세퍼레이트 타입의 테이프 인쇄장치)라고 볼 수도 있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서버(DS)(공급장치)와, 테이프 인쇄장치(1)를 구비하고, 인터페이스 (IF)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우선, 데이터 서버(DS)는, 테이프 인쇄장치(1)에 대하여, 인쇄대상인 인쇄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데이터 서버(DS)는,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시스템 구성에서는, 네트워크(NW)를 중심으로, 단말이 되는 다수의 워크스테이션(WS1∼3)(퍼스널 컴퓨터(PC) 등)이나 터미널 어댑터(TA)(라우터, 리피터, 허브 등을 포함한다) 등을 접속하여 구성되어, 이들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또는 네트워크(NW)로부터 직접의 인터페이스(IF)로서, 테이프 인쇄장치(1)와 접속된다.
이 경우의 네트워크(NW)로는, IEEE 표준 LAN 준거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것, 예컨대 소위 인터넷이나 각종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예컨대 이더넷(등록상표), 10/100 베이스(Base)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을 통하는 인터페이스(IF)로는, 직렬 데이터 통신(RS-232C, USB, IEEE1394 등)이어도 되고, 병렬 데이터 통신(센트로닉스 등)이어도 된다. 또, 이들은 유선통신의 규격이지만,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서, 데이터 서버(DS)를, 스탠드 얼론(stand alone) 타입의 장치로 하여도 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하는 제2 시스템 구성에서는, 스탠드 얼론의 퍼스널 컴퓨터(PC)와 테이프 인쇄장치(1)를, USB 등의 인터페이스(IF)로 접속하는 것만으로, 인쇄 시스템(SYS)을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테이프 인쇄장치(1)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는, 장치 케이스(2)에 의해 외각(外殼)이 형성되고, 장치 케이스(2)의 앞부분 상면에는 각종 입력키로 이루어지는 키보드(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뒷부분 상면에는, 그 왼쪽 부분에 개폐뚜껑(21)이 장착되고, 그 오른쪽 부분에는 디스플레이(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케이스(2)의 좌측부에는, 테이프 장착부(6)와 장치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 형상의 테이프 배출구(22)가 형성되고, 이 테이프 배출구(22)에는, 송출한 인쇄용 테이프(T)(이하, 간단히 「테이프」라고 한다. )를 절단하는 테이프 커터(132)(도 3 및 도 4에서는 도시 생략)가 면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는, 단체의 테이프 인쇄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데이터 공급 인터페이스(DS-IF)(16)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S-IF(16)는,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제2 시스템구성에서는, USB 사양에 의거하여 인터페이스(IF)로부터 USB 커넥터(25)를 통하여 데이터 서버(DS)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고, 데이터 서버(DS)로부터 인쇄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버퍼(161)를 갖고 있다.
즉, 테이프 인쇄장치(1)는, 제어계로부터 본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키보드(3)나 디스플레이(4)를 가지고 유저와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조작부(11)와, 서멀 헤드로 구성되는 인쇄 헤드(7)나 테이프 이송부(120)를 가지고 테이프 장착부(6) 내에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C)의 테이프(T)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12)와, 테이프 커터(132)에 의해 인쇄 후의 테이프(T)의 절단을 행하는 절단부(13)와, 각종 센서를 가지고 테이프(T) 등에 관한 각종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14)와, 각종 드라이버를 가지고 각 부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부(15)와, 상기 DS-IF(16)와, 테이프 인쇄 장치(1) 내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는, 테이프 인쇄장치(1)를 단체로서 이용하여 원하는 캐릭터 등이 인쇄된 라벨(L)을 작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테이프 장착부(6)에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한 후, 디스플레이(4)에 의해 입력·편집 결과를 확인하면서 키보드(3)에 의해 원하는 문자 등의 인쇄정보를 입력하여, 인쇄를 지시하면, 테이프 이송부(120)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C)로부터 테이프(T)가 풀어 내져, 인쇄 헤드(7)에 의해 테이프(T)에 원하는 인쇄가 행하여지고, 인쇄가 끝난 부분은 테이프 배출구(22)로부터 수시로 외부에 송출된다. 원하는 인쇄가 완료되면, 테이프 이송부(120)는, 여백만큼을 포함하는 테이프 길이의 위치까지 테이프(T)의 이송을 행한 뒤, 절단을 위해 그 이송을 정지한다.
테이프 카트리지(C)에 수용된 테이프(T)는, 폭이 상이한 다수 종의 것(예컨대, 4mm, 6mm, 9mm, 12mm, 18mm, 24mm 및 36mm의 7종)이 준비되어 있고, 도시는 하지 않으나, 상이한 폭의 테이프(T)의 종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테이프 카트리지(C)의 이면에 작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장착부(6)에는, 이 구멍의 유무를 검출하는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된 테이프 식별 센서(141)가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테이프(T)의 폭을 포함하는 테이프의 종류를 검출한다. 즉, 다수의 구멍과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비트 수만큼의 식별이 가능해지고 있다.
테이프 이송부(120)는, 테이프 장착부(6)의 이면에 설치되어, 액츄에이터로서 이송 모터(121)를 구비하고 있고,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을, 인쇄동작에 동 기시키도록 관통개구(55)의 위치에서 서로 겹친 상태로 주행시킨다. 그리고, 인쇄 헤드(7)를 통과 후, 인쇄가 끝난 테이프(T)만이, 테이프 배출구(22)로부터 외부에 배출되고, 잉크 리본(R)은 U턴하여 테이프 카트리지(C)의 내부에서 권취되도록 되어 있다.
절단부(13)는, 테이프 커터(132)와, 이것을 절단 동작시키는 커터 모터(13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커터 모터(131)의 구동 개시는 모드설정에 의해서 자동/수동이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입력된 캐릭터열 등의 길이에 따른 테이프 길이(임의 길이)의 범위 내에 인쇄를 행하는 임의 길이 인쇄 모드의 경우에는, 수동의 커트 키의 조작(매뉴얼 조작)으로, 유저에 의해 지정된 테이프 길이(설정 길이)의 범위 내에 인쇄를 행하는 설정 길이 인쇄 모드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커터 모터(131)를 구동한다.
검출부(14)는, 상기의 테이프 식별 센서(141)를 구비하는 것 외에, 장치 내 각 부에 각종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15)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와, 헤드 드라이버(152)와, 모터 드라이버(153)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는,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그 지시에 따라, 조작부(11)의 디스플레이(4)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헤드 드라이버(152)는, 인쇄부(12)의 인쇄 헤드(7)를 구동하고, 모터 드라이버(153)는 인쇄부(12)의 이송 모터(121)나 절단부(13)의 커터 모터(131)등의 각 모터를 구동한다.
조작부(11)는, 키보드(3)와 디스플레이(4)를 구비하고 있다. 키보드(3)는, 각종 키에 의해 여러 가지 지령 및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4)는, 표시화상 데이터를 표시 가능한 표시화면(41)과, 각종 설정상황 등을 표시하는 18개의 인디케이터(도시 생략)를 가지고, 유저가 키보드(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여, 캐릭터열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편집하거나, 그 결과 등을 시인(視認)하거나, 키보드(3)로부터 각종 지령·선택 지시 등을 입력할 때 등에 이용된다.
제어부(20)는, CPU(210), ROM(220), RAM(230), 주변제어회로(P-CON)(240)를 구비하고, 서로 내부 버스(25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ROM(220)은, CPU(210)에서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제어 프로그램 영역(221) 외에, 장치 내에서 준비하고 있는 캐릭터의 폰트 데이터나 색 변환 테이블, 문자 수식 테이블 등을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영역(222)을 갖고 있다. RAM(230)은, 전원 오프 시의 백업이 되어 있고, 텍스트 데이터 영역 등의 영역을 가지고, 각종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P-CON(240)에는, CPU(210)의 기능을 보충하는 동시에 주변회로와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취급하기 위한 논리회로나 여러 가지 시간 경과(經時)를 행하는 타이머 등의 기능회로 등이, 게이트 어레이나 커스텀 LSI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P-CON(240)은 검출부(14)의 각종 센서, 키보드(3)나 DS-IF(16)와 접속되어, 검출부(14)로부터의 각종 검출신호, 키보드(3)로부터의 각종 지령이나 입력 데이터 등 이외에,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데이터 서버(DS)로부터의 제어신호나 각종 다운로드 데이터 등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내부 버스(250)에 취입하는 동시에, CPU(210)와 연동하여, CPU(210) 등으로부터 내부 버스(250)에 출력된 데이터나 제어신호를,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구동부(15)나 DS-IF(16)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210)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ROM(220)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P-CON(240)을 통하여 각종 검출신호, 각종 지령,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하고, ROM(220)이나 RAM(230) 내의 각종 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P-CON(240)을 통하여 구동부(15)나 DS-IF(16)에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데이터 서버(DS)와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각종 제어신호나 각종 데이터의 통신(송수신)을 행하면서, 인쇄의 위치 제어나 표시화면(41)의 표시 제어 등을 행하는 동시에, 인쇄 헤드(7)를 제어하여 소정의 인쇄조건에서 테이프(T)에 인쇄하는 등, 테이프 장치(1)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으로, 테이프 인쇄장치(1)의 제어 전체의 처리 플로우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키를 누름(전원 온)으로써 처리가 시작되면, 우선, 전회의 전원 오프 시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 저장하고 있던 각 제어 플래그를 복구하는 등의 초기 설정을 행하고(S1), 다음으로, 전회의 표시화면(41)을 초기화면으로서 표시한다(S2).
동일 도면의 그 후의 처리, 즉 키 입력인가 아닌가의 판단분기(S3)및 각종 인터럽트 처리(S4)는, 개념적으로 도시한 처리이다. 실제로는,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초기화면표시(S2)가 종료하면, 키 입력 및 기타에 의한 인터럽트를 허가하여, 어떠한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까지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S3:No), 어떠한 인터럽트가 발생하면(S3:Yes), 각각의 인터럽트 처리로 이행하여(S4), 그 인터럽트 처리가 종료하면, 재차 그 상태를 유지한다(S3:No).
이와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주된 처리를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행하므로, 인쇄 화상작성 등의 준비가 되어 있으면, 유저가 임의의 시점에서 인쇄키를 누름으로써, 인쇄처리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인쇄처리가 기동되어, 인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 화상의 인쇄를 할 수 있다. 즉, 인쇄에 이르기까지의 조작순서는, 유저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키보드(3)의 문자 키에 의해 캐릭터 「A」「B」「C」「D」「E」를 순서대로 입력하여, 표시화면(41)(텍스트 편집화면)에 있어서 커서(K)까지의 첫째 줄의 캐릭터열「ABCDE」를 입력 후의 상태(화면 D10:이하, 표시화면(41)의 상태를 화면Dxx라고 한다)에서, 유저에 의해 인쇄키가 눌러지면, 「인쇄 중」의 메시지의 표시와 동시에(D11), 캐릭터열「ABCDE」를 인쇄 화상(G1)으로서 인쇄하고, 설정에 따라서 커트하여 라벨(L1)을 작성하고(도 7b 참조),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텍스트 편집화면으로 되돌아간다(D12:D10과 동일). 또,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유저는, 키 입력에 의한 각종 지시를 취소키에 의해 취소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상태(D11)로부터 취소키를 누름으로써, 원래의 텍스트 편집화면의 표시상태(D10)로 되돌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단체의 형태로, 원하는 캐릭터열(상기의「ABCDE」등)을 편집하여 인쇄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버(DS) 측에서 준비한 인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할 수도 있어, 상기의 제1 시스템 구성(도 1의 구성)에서는, 데이터 서버(DS) 내의 각 장치(WS1∼3, TA 등)에 준비(기억)된 인쇄 화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등에 의해 공급하여 인쇄하는 구성이 되고, 상기의 제2 시스템 구성(도 2의 구성)에서는, 예컨대, 데이터 서버(DS)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에 기억된 인쇄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여 인쇄하는 구성이 된다. 이하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제2 시스템 구성의 인쇄 시스템(SYS)에 관해서, 주로 설명한다.
퍼스널 컴퓨터(PC)는,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다수의 가로 괘선 및 다수의 세로 괘선에 의해 행 및 열을 구획지어 이루어지는 표 괘선을 나타내는 인쇄 표 화상 데이터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테이프 인쇄장치(1)에 공급 가능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 기억 가능한 기억영역을 가지고, 제어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330)과, 각종 기억영역을 가지고,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하드디스크(320)와, 하드디스크(320)에 기억된 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각종 데이터를 연산처리하는 CPU(31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버스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PC)는, 각종 데이터나 메시지 등을 표시하여, 유저의 시인에 이용되는 모니터 디스플레이(340)나, 키보드(351)나 마우스(352)(도 2 참조) 등의 주지의 입력장치(350), 컴팩트디스크(CD, CD-ROM) 드라이브(361)나 FD드라이브(362) 등의 주지의 각종 드라이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드디스크(320)에는, 키보드(351) 및 마우스(352)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나 CD-ROM(501)(도 2 참조)에 의해 독출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기준 표 괘선(421)(후술한다)을 작성·편집하여,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인쇄 표 화상 작성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되어 있다.
또, 퍼스널 컴퓨터(PC)에서의 각 기능키의 누르기나 마우스(352)로 대표되는 각종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포인팅을, 이하, 마우스 포인터로 지시하여 왼쪽 클릭하는 조작으로 대표하여, 간단히 「클릭」이라고 표현한다. 또한, 마우스 포인터로 지시하여 오른쪽 클릭하는 조작을, 「오른쪽 클릭」이라고 표현한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PC)의 모니터 디스플레이(340)에서는, 소위 윈도우 화면으로서 레이아웃 편집화면(401)이 표시되고, 이 레이아웃 편집화면(401) 상에서, 인쇄 표 화상 데이터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PC)에서는, 실제로 테이프 인쇄장치(1)에 장착된 테이프(T)의 테이프 폭(이하「장착 테이프 폭(TW)」)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전술한 테이프 식별 센서(141)에 의해서, 테이프 폭을 포함하는 테이프(T)의 종별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그 검출 결과를 퍼스널 컴퓨터(PC)에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보고한다.
또, 이 경우에 보고하는 정보의 형태는, 장착된 테이프(T)의 종류(실제로는 테이프 카트리지(C)를 통하여 검출된다)에 의거하여 테이프 인쇄장치(1)에 있어서 장착 테이프 폭(TW)까지 취득(분석)하고 나서 「장착 테이프 폭(TW)」의 정보로서 보고하여도 되고, 테이프(T)의 종류의 정보를 그대로 보고하여, 퍼스널 컴퓨터(PC) 측에서 분석하여도 된다. 또한, 보고의 타이밍은, 테이프 인쇄장치(1)에 있어서 새로운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할 때마다 보고하고, 퍼스널 컴퓨터(PC) 측에서 그 정보를 유지해 두어도 되고, 퍼스널 컴퓨터(PC) 측에서 필요해진 시점에서 테이프 인쇄장치(1)에 대하여 요구하고, 그 시점에서 보고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의 레이아웃 편집화면(401)의 메뉴 바(431)의 메뉴인 「파일」의「테이프 설정」에 있어서, 임의 길이 인쇄와 설정 길이 인쇄를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어, 유저에 의해 설정 길이 인쇄가 선택된 경우에는, 원하는 설정 길이(LW)(예컨대, 「84mm」)이 입력된다. 또한, 이「테이프 설정」 메뉴에 있어서는, 테이프(T)에 인쇄가 행하여질 때의 여백치수(예컨대, 상하 각 「1.9mm」, 좌우 각 「3.6mm」)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설정 길이 「84mm」, 여백치수: 상하 각 「1.9mm」, 좌우 각 「3.6mm」, 및 상기 장착 테이프 폭(TW) 「12mm」에 의거하여, 인쇄 표 화상(GT)의 사이즈「높이 8.2mm×폭 76.8mm」가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의 레이아웃 편집화면(401) 상에는, 장착 라벨 폭(TW) 및 설정 길이(LW)에 의거하여, 라벨 이미지(411)가 표시되고, 또한, 인쇄 표 화상(GT)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인쇄 가능 영역(412)이 표시된다. 이 인쇄 가능 영역(412) 내에서, 유저에 의해, 기준 세로 괘선(421a) 및 기준 가로 괘선(421b)으로 이루어지는 기준 표 괘선(421)이 편집되어(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인쇄 표 화상 데이터가 편집된다. 또 편집된 기준 표 괘선(421)(표 괘선)의 각 셀 내에, 텍스트 화상(426)(예컨대, 「관리번호」,「C-001-001」,「비품명」,「퍼스널 컴퓨터」,「구입 년월일」,「2003.3.20」,「관리 부서명」,「정보 시스템부」)이 각각 배치되어, 인쇄 텍스트 화상 데이터가 편집된다.
레이아웃 편집화면(401) 상에서 표 괘선(인쇄 표 화상 데이터) 및 캐릭터 화상(인쇄 텍스트 화상 데이터)을 편집한 상태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예컨대 메뉴 바의 메뉴인 「파일」의 「인쇄」가 지시(선택, 클릭)되어, 지정 프린터로서 테이 프 인쇄장치(1)가 선택되면, 퍼스널 컴퓨터(PC)에서는, 「인쇄 중」의 메시지 등과 함께 또는 백그라운드(비 표시)로, 지시된 「인쇄」를 실행하여, 상기의 인쇄 표 화상 데이터 및 인쇄 텍스트 화상 데이터로부터 작성한 인쇄 화상 데이터와, 원하는 커트의 종류 및 타이밍(도 8b에서는, 테이프 이송 방향의 후단에 대하여 풀 커트)을 지시하는 커트 지시 데이터(커트 지시 신호)를,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DS-IF(16)에 의해서 상기의 인쇄 화상 데이터 및 커트 지시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인쇄 표 화상(GT) 및 인쇄 텍스트 화상(GX)으로 이루어지는 인쇄 화상(G2)을 인쇄하고, 후단의 풀 커트에 의해 라벨(L2)을 작성한다.
또, 사양 상, 인쇄 화상(G2)을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인쇄 표 화상 데이터 등)를, 그대로, 퍼스널 컴퓨터(PC)로부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테이프 인쇄장치(1)에 송신하여, 테이프 인쇄장치(1)측에서 인쇄 화상 데이터의 작성으로부터 라벨(L2)의 작성까지를 실행하도록 규정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C)와 테이프 인쇄장치(1)와의 인터페이스(IF)는, 각종 데이터인지 제어신호인지에 상관없이, 인터페이스(IF)를 통하는 것으로 하지만, 각종 제어신호의 수수(지시, 송수신)의 계통을 인터페이스(IF)와는 별도로 설치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PC)에서는, 표 괘선의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작성·편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하, 이 표 괘선의 인쇄 표 화상 데이터의 작성·편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 레이아웃 편집화면(401)을 표시 중에, 메뉴 바의 메뉴인 「삽입」의 「표 만들기」가 지시(선택, 클릭)되거나, 또는 툴바(432)의 「표 만들기」버튼(441)이 클릭되면(도 8a 참조),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450)가 표시된다. 유저는, 이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450)에 있어서, 대화형식에 의해, 인쇄 표 화상(GT)이 되는 표 괘선의 기준으로서, 기준 표 괘선(421)을 작성. 편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450)에 있어서, 행 수 입력 텍스트 박스(451)에 표시되는 수치가 원하는 표 괘선의 행 수가 되도록, 행 수 입력 텍스트 박스(451)에 그 수치(예컨대 「2」)를 입력하거나, 또는, 그 수치와 일치하도록 그 화살표 버튼(451a, 451b)을 클릭한다. 마찬가지로, 열 수 입력 텍스트 박스(452)에 표시되는 수치가 원하는 표 괘선의 열 수가 되도록, 열 수 입력 텍스트 박스(452)에 그 수치(예컨대, 「4」)를 입력하거나, 또는 그 수치와 일치하도록 그 화살표 버튼(452a, 452b)을 클릭한다.
또한, 행 수 입력 텍스트 박스(451)의 디폴트값은 「3」이고, 1 내지 20의 수치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열 수 입력 텍스트 박스(452)의 디폴트값은 「2」이고, 1 내지 20의 수치(정수)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입력 가능한 수치 이외의 수치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에러를 표시하도록 하고, 입력 가능한 수치의 최대값(또는 최소값)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위 화살표 버튼(451a, 452a)(또는 아래 화살표 버튼(451b, 452b))을 클릭하여도 수치가 증가(또는 감소)하지 않도록 한다. 단, 행 수 입력 텍스트 박스(451)에 입력 가능한 수치의 최대 값(최대 행 수)은, 테이프 인쇄장치(1)에 의해 보고된 장착 테이프 폭(TW)에 의거하여 규제되도록 하여도 되고(예컨대, 장착 테이프 폭(TW)이 9mm인 경우에 최대값은 「3」,장착 테이프 폭(TW)이 18mm인 경우에 최대값은 「6」으로 한다), 열 수 입력 텍스트 박스(452)에 입력 가능한 수치의 최대값(최대 열 수)은, 설정 길이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에 의거하여 규제되도록 하여도 된다(예컨대,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가 30mm인 경우에 최대값은 「10」,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가 60mm인 경우에 최대값은 「20」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인쇄 표 화상에서의 각 행 및 각 열이 적정한 행 높이(예컨대 「3mm」) 및 열 폭(예컨대 「3mm」)을 확보하도록,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421b) 및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421a)이 작성된다. 즉, 다수의 행의 행 높이·다수의 열의 열 폭을 지나치게 좁게 해버리는 행 수·열 수를 입력하는 불필요한 입력조작이 억제된다. 또, 이 경우, 행 높이 및 열 폭 「3mm」은, 최소 폰트 사이즈 「6 포인트」에 의거하여 억제된 것으로, 각 셀 내에 6포인트의 캐릭터가 1개씩 들어가게 되어 있다.
또한,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450)의 표 만들기 종별 선택 화면(453)에 있어서, 기준 표 괘선(421)의 표 만들기 종별(F)(기준 표 괘선(421)의 서식)을 지정한다. 이 표 만들기 종별 선택 화면(453)에는, 예컨대, 바깥 틀을 형성하는 기준 표 괘선(421)이, 다른 기준 표 괘선(421)과 비교하여 굵은 선으로 되어있는 표 만들기 종별(Fa)이나, 또한 가로 괘선이 점선으로 되어 있는 표 만들기 종별(Fc), 또, 바깥 틀을 형성하는 기준 표 괘선(421)이 모퉁이가 둥근 사각형으로 되어있는 표 만들기 종별(Fe) 등이 준비되어 있고, 임의의 표 만들기 종별(F)(예컨 대, 표 만들기 종별(Fa))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세로 괘선 종류 선택 리스트 박스(454), 세로 괘선 굵기 입력 텍스트 박스(455), 가로 괘선 종류 선택 리스트 박스(456), 및 가로 괘선 굵기 입력 텍스트 박스(457)에 의해, 기준 표 괘선(421)을 구성하는 기준 세로 괘선(421a) 및 기준 가로 괘선(421b)(바깥 틀을 제외한다)의 종류(예컨대, 실선, 점선, 파선, 일점쇄선, 선없음(투명선) 등) 및 굵기를 각각 개별로 지정할 수 있고, 또한, 바깥 틀 굵기 입력 텍스트 박스(458)에 의해, 바깥 틀을 형성하는 기준 표 괘선(421)의 굵기를 지정할 수도 있게 된다. 이들 텍스트 박스에 의해, 표 만들기 종별(F) 선택화면에 준비되어 있는 표 만들기 종별(F)에 의거하여, 보다 다채로운 기준 표 괘선(421)의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450)에 있어서, 기준 표 괘선(421)의 행 수, 열 수 및 서식이 입력된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OK 버튼(459)이 클릭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450)가 폐쇄되고, 레이아웃 편집화면(401) 상에, 라벨 이미지(411) 및 인쇄 가능 영역(412)이 표시되는 동시에,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450)에 있어서 지정한 기준 표 괘선(421)의 행 수 「2」, 열 수 「4」 및 서식 「표 만들기 종별(Fa)」, 및 상기의 장착 테이프 폭(TW) 「12mm」 및 설정 길이(LW) 「84mm」에 의거하여, 기준 표 괘선(421)이 표시된다. 즉, 장착 테이프 폭(TW)「12mm」(실제로는, 여백을 고려한 인쇄 표 화상(GT)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8.2mm」) 및 입력된 행 수「2」에 의거하여, 3개의 기준 가로 괘선(421b)의 상호 간격(각 행의 높이, 예컨대「4.1mm」씩 등 간격으로) 및 5개의 기준 세로 괘선(421a)의 길이 「8.2mm」이 설정 되고, 설정 길이 「84mm」(실제로는, 여백을 고려한 인쇄 표 화상(GT)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 「76.8mm」) 및 입력된 열 수 「4」에 의거하여, 5개의 기준 세로 괘선(421a)의 상호 간격(각 열의 폭, 예컨대「19.2mm」씩 등 간격으로) 및 3개의 기준 가로 괘선(421b)의 길이「76.8mm」이 설정되고, 또한 기준 표 괘선(421)의 서식「표 만들기 종별(Fa)」에 의거하여, 각 기준 표 괘선(421) 및 각 기준 가로 괘선(421b)의 종류 및 굵기가 설정된다. 이에 의하면, 원하는 표 괘선을 구성하는 가로 괘선 및 세로 괘선을 개개로 묘화하지 않고도, 이와 동일한 개수의 기준 가로 괘선(421b) 및 기준 세로 괘선(421a)으로 이루어지는 기준 표 괘선(421)을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는 동시에, 인쇄 표 화상(GT)의 테이프 폭의 치수(장착 테이프 폭(TW))의 범위 내에 기준 표 괘선(421)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임의 길이 인쇄의 경우에는, 각 기준 세로 괘선(421a)의 상호의 간격은 소정의 값(예컨대, 10mm)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 값에 의거하여, 각 기준 세로 괘선(421a)의 상호의 간격 및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421b)의 길이가 설정되어, 기준 표 괘선(421)이 작성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 표 괘선(421)의 각 기준 세로 괘선(421a) 및 각 기준 가로 괘선(421b)의 길이 및 위치를 각각 변경하여, 이 기준 표 괘선(421)을 편집한다. 예컨대, 레이아웃 편집화면(401) 상에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기준 세로 괘선(421a)을 더블클릭하면, 기준 표 괘선(421)의 바깥 틀의 주위가 사선으로 둘러싸이는 동시에, 그 기준 세로 괘선(421a)의 양단에 핸들(422)이 표시되어, 기준 세로 괘선의 위치가 변경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11a 참 조). 계속해서, 그 기준 세로 괘선(421a)을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도 11b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도 8에 도시한 원하는 표 괘선이 되도록, 기준 표 괘선(421)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하여, 기준 표 괘선(421)중 바깥 틀을 형성하고 있는 좌우의 기준 세로 괘선(421a) 및 상하의 기준 가로 괘선(421b) 중 어느 하나(예컨대, 동일 도면에서는 우측의 기준 세로 괘선(421a))를 기준 표 괘선(421)의 내측(동일 도면에서는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시킨 기준 세로 괘선(421a) 또는 기준 가로 괘선(421b)에 직교하는 기준 가로 괘선(421b) 또는 기준 세로 괘선(421a)(동일 도면에서는, 3개의 기준 가로 괘선(421b))의 길이도, 그에 따라 짧아진다.
또한, 기준 표 괘선(421)을 오른쪽 클릭하여 「속성(property)」 메뉴를 선택하여 속성 화면을 호출하고, 속성 화면상의 위치 탭을 클릭하면, 위치편집화면이 나타나, 기준 표 괘선(421)의 전체의 크기와 위치(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표 괘선(421)을 기준으로 하여, 각 기준 세로 괘선(421a) 및 각 기준 가로 괘선(421b)의 길이 및 위치를 각각 변경함으로써, 기준 표 괘선(421)에 의해 구획되는 각 행의 높이 및 각 열의 폭이, 원하는 행 높이 및 열 폭을 구획하도록, 기준 표 괘선(421)을 편집하여, 그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또, 상기 속성 화면의 괘선 탭을 클릭하면,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450)와 동일한 괘선편집화면이 나타나, 표 만들기 작성 다이얼로그 박스(450)상에서 설정한 것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일단 작성된 기준 표 괘선(421)의 행 수, 열 수 또는 서식을 변경하여, 기준 표 괘선(421)을 편집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행 수 「2」, 열 수 「4」, 서식 「표 만들기 종별(Fa)」로 설정된 기준 표 괘선(421)에 대하여, 괘선편집화면에 있어서, 행 수를 「4」로 변경하면, 행 수 「4」에서 각 기준 가로 괘선(421b)의 상호의 간격(각 행의 폭)이 균등해지도록, 각 기준 가로 괘선(421b)이 재배치된 기준 표 괘선(421)이 편집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모니터 디스플레이(340) 상에 있어서, 기준 표 괘선(421) 및 그 편집과정이 표시되므로, 유저는 그 표시결과를 참조하면서 용이하게 기준 표 괘선(421)을 편집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C) 측에서 인쇄 화상 데이터(또는 그 원인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준비하도록 하고, 준비의 방법으로서, 퍼스널 컴퓨터(PC) 내에서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를 들었으나, 외부로부터 CD-ROM(501) 등에 의해 이미 작성이 끝난 인쇄 화상 데이터로서 공급할 수도 있어, 이 경우, CD-ROM(501)를 바꾸어 넣는 것만으로, 여러 가지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고, 또는 목적 등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표 화상 작성 소프트에 관해서도, 퍼스널 컴퓨터(PC) 내에 미리 준비(기억)해 두어도 되고, 인쇄 표 화상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파일 등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CD-ROM(501) 내에 기억해 두고, 그것을(다운로드 등을 하고 나서) 기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일반적인 오퍼레이션 시스템(OS)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두면, 그 OS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CD-ROM(501)를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CD-ROM(501)을 예로 들었으나, FD, MO, DVD 등, 그 밖의 기억매체를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제2 시스템 구성이 아니라, 제1 시스템 구성과 같이 네트워크(NW)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네트워크(NW)를 통하여 또는 테이프 인쇄장치(1)의 직접접속의 장치(공급장치: 도시의 예에서는 PC1 또는 TA)를 통하여, 그 네트워크(NW)에 접속된 각종 다른 장치(도시의 예에서는 WS2나 WS3 등)로부터 각종 데이터 파일이나 각종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각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각종 데이터 파일이나 프로그램을 기억(준비)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경우, 데이터 서버(DS) 측의 프로그램에는, 그 일부를 테이프 인쇄장치(1) 측에 다운로드하여 이용 가능한 테이프 인쇄장치(1) 측의 프로그램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키보드(3)나 디스플레이(4) 등을 갖는 조작부(11)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장치(1)를 예시하였으나, 모든 또는 대부분의 동작을 데이터 서버(DS)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 테이프 인쇄장치(1) 측에 조작부(11)등을 요하지 않으므로, 이들의 기능을 생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테이프 인쇄장치이기는 하더라도,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테이프 인쇄장치(1C)와 같이, 조작부(11) 등을 생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인쇄 시스템(SYS)의 각종 처리방법(각종 라벨작성방법이나 데이터 처리방법 등)은,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각종 인쇄 시스템에 의해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으로서도 적용할 수 있고, 그 종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상술한 각종 기억매체 등에도 적용할 수 있어, 이 종류의 프로그램을 기억해 두거나, 또는 기억매체 등으로부터 독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 등 하여 실행함으로써, 세퍼레이트 타입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표 화상이 되는 표 괘선을 간편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에 의하면, 세퍼레이트 타입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표 화상이 되는 표 괘선을 간편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7)

  1. 다수의 가로 괘선 및 다수의 세로 괘선에 의해 행 및 열을 구획지어 이루어지는 표 괘선의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 가능한 공급장치와, 공급된 상기 인쇄 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인쇄 표 화상을 테이프에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장치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한 인쇄 시스템으로서,
    상기 테이프 인쇄장치는, 장착된 테이프의 테이프 폭을 장착 테이프 폭으로서 상기 공급장치에 보고하는 테이프 폭 보고수단을 갖고,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장착 테이프 폭에 의거하여, 상기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를 설정하는 폭 치수 설정수단과,
    상기 표 괘선의 행 수 및 열 수를 입력하는 표 구성 입력수단과,
    설정된 상기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와 입력된 상기 행 수 및 상기 열 수에 의거하여,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으로 이루어지는 기준 표 괘선을 작성하는 기준 표 괘선 작성수단과,
    상기 다수의 기준 표 괘선의 상기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상기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의 길이 및 위치를 각각 변경하고 편집하여, 상기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인쇄 표 화상 데이터 편집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를 입력하는 길이 치수 입력수단을 더 갖고,
    상기 기준 표 괘선 작성수단은, 입력된 상기 열 수와 입력된 상기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치수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 표 괘선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3. 다수의 가로 괘선 및 다수의 세로 괘선에 의해 행 및 열을 구획지어 이루어지는 표 괘선의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 가능한 공급장치와, 공급된 상기 인쇄 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인쇄 표 화상을 테이프에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장치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인쇄장치에 의해, 장착된 테이프의 테이프 폭을 장착 테이프 폭으로서 상기 공급장치에 보고하는 테이프 폭 보고공정과,
    상기 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장착 테이프 폭에 의거하여, 상기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를 설정하는 폭 치수 설정공정과,
    상기 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표 괘선의 행 수 및 열 수를 입력하는 표 구성 입력공정과,
    상기 공급장치에 의해, 설정된 상기 인쇄 표 화상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와 입력된 상기 행 수에 의거하여,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으로 이루어지는 기준 표 괘선을 작성하는 기준 표 괘선 작성공정과,
    상기 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다수의 기준 가로 괘선 및 상기 다수의 기준 세로 괘선의 길이 및 위치를 각각 변경하고 편집하여, 상기 인쇄 표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인쇄 표 화상 데이터 편집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기재된 인쇄 시스템의 각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시스템에 의해서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7. 제3항에 기재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시스템에 의해서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KR1020040072123A 2003-09-12 2004-09-09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KR100623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1761A JP4215604B2 (ja) 2003-09-12 2003-09-12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JP-P-2003-00321761 2003-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032A KR20050027032A (ko) 2005-03-17
KR100623569B1 true KR100623569B1 (ko) 2006-09-19

Family

ID=3438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123A KR100623569B1 (ko) 2003-09-12 2004-09-09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03343B2 (ko)
JP (1) JP4215604B2 (ko)
KR (1) KR100623569B1 (ko)
CN (1) CN100399319C (ko)
TW (1) TWI265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3000B2 (ja) * 2006-02-01 2011-10-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データ編集装置及び印刷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US20070234205A1 (en) * 2006-03-29 2007-10-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Defining virtual shapes to position text and graphics
JP4697062B2 (ja) * 2006-06-15 2011-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データ編集装置
EP1955856B1 (en) * 2007-02-09 2013-04-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printer, tape printing program and tape cassette
GB0706788D0 (en) * 2007-04-05 2007-05-16 Dymo Nv Tape printing apparatus
JP6859871B2 (ja) * 2017-06-28 2021-04-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印刷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11483232B (zh) * 2020-04-15 2021-02-09 赞同科技股份有限公司 针式打印机及其字符打印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4579B2 (ja) 1994-02-03 2007-05-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H07314802A (ja) * 1994-05-30 1995-12-05 Casio Comput Co Ltd 印刷装置
DE69530134T2 (de) * 1994-12-07 2003-11-06 King Jim Co Ltd Zeicheninformationsprozessor zum Drucken von Zeichen
JP3549343B2 (ja) * 1996-11-15 2004-08-04 株式会社キングジム 文字情報処理装置
JPH11232266A (ja) * 1998-02-17 1999-08-27 Seiko Epson Corp 画像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1030546A (ja) * 1999-07-19 2001-02-06 Casio Comput Co Ltd 印刷装置
JP4131084B2 (ja) * 2000-12-14 2008-08-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98810A (zh) 2005-03-23
CN100399319C (zh) 2008-07-02
JP2005092334A (ja) 2005-04-07
US7303343B2 (en) 2007-12-04
JP4215604B2 (ja) 2009-01-28
KR20050027032A (ko) 2005-03-17
TW200513876A (en) 2005-04-16
TWI265435B (en) 2006-11-01
US20050073720A1 (en)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495B2 (en) Label creating apparatus and program
US8262196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user-customizable flush patterns in an ink-based printing system
JP2008080588A (ja) 2次元コード印刷装置
JP4599827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
JP2007038588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149453B2 (en) Print data-editing apparatus and print data-editing program stored in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0623571B1 (ko)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0623569B1 (ko) 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JP5910050B2 (ja) 定型印字情報処理プログラム、定型印字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4858171A (en) Word processor with selective placement of printhead for printing of newly input print data after interruption of printing
JP2011143648A (ja) テープ印字装置、ラベル作成方法及びラベルを作成する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KR100623568B1 (ko)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19016015A (ja) 表示制御装置、印刷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40104367A (ko)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표시 방법, 인쇄 시스템, 인쇄시스템의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
JP6536231B2 (ja) ラベル作成装置、ラベル作成方法、およびラベル作成プログラム
JP2004351872A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7004676A (ja) 印刷データ編集装置及び印刷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JP7238532B2 (ja) 印刷装置及び画像編集プログラム
JPH06143690A (ja) テープ印刷装置
JP2019008733A (ja) 表示制御装置、印刷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355510A (ja)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の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10221714A (ja) テープ印刷装置、テープ印刷装置の印刷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600334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22143735A (ja) 情報処理装置、テープ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034339B2 (ja) 文書編集印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