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121B1 -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 - Google Patents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121B1
KR100610121B1 KR1020040106977A KR20040106977A KR100610121B1 KR 100610121 B1 KR100610121 B1 KR 100610121B1 KR 1020040106977 A KR1020040106977 A KR 1020040106977A KR 20040106977 A KR20040106977 A KR 20040106977A KR 100610121 B1 KR100610121 B1 KR 10061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main
bracket
strut assembly
coupl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319A (ko
Inventor
신성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1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메인브라켓트(31)의 하단결합면부(31b)와 수직면부(31c)는 두 개의 너트구멍(31d-1) 및 이 너트구멍(31d-1)사이에 가이드구멍(31d-3)이 형성된 메인평면부(31d)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서포트브라켓트(37)의 후방결합면부(37a) 및 전방결합면부(37b)는 상기 메인평면부(31d)상에 위치하면서 부분적으로 메인평면부(31d)에 덧대여져 결합됨과 동시에 너트구멍(37c-1)과 가이드구멍(37c-5)이 형성되는 서포트평면부(37c)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져,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의 상단 마운팅부의 강성이 증대됨으로써 상기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되고, 아울러 주행소음 및 아이들소음의 감소를 통해 차량의 NVH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upper mounting bracket of rear strut assembly}
도 1은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가 장착되는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구조에 따른 상단마운팅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Ⅰ-Ⅰ선 및 Ⅱ-Ⅱ선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마운팅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3과 도 4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도 5의 Ⅲ-Ⅲ선 및 Ⅳ-Ⅳ선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 31 - 메인브라켓트
31a - 상단결합면부 31b - 하단결합면부
31c - 수직면부 31d - 메인평면부
37 - 서포트브라켓트 37a - 후방결합면부
37b - 전방결합면부 37c - 서포트평면부
37c-3 - 평면돌출부 37c-7 - 평면함몰부
본 발명은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측이 결합되는 상단 마운팅부의 강성증대를 이룩하여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업소버 및 코일스프링의 조립체를 일컫는다.
여기서,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측 마운팅부의 종래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쿼터인너패널(1)의 내측면과 트렁크룸을 형성하는 리어플로어패널(2)에 용접결합을 통해 설치되는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과, 상기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면에 용접결합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과의 사이에 박스구조의 공간을 형성토록 하면서 스트럿볼트(21)를 통해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의 상단측이 결합되어지는 상단마운팅브라켓트(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단마운팅브라켓트(30)는 크게 메인브라켓트(31)와 서포트브라켓트(33)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브라켓트(31)는 차체의 위쪽을 향하는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 윗면과 리어플로어패널(2)쪽을 향하는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 측면 에 각각 덧대여져 용접결합되는 상단결합면부(31a) 및 하단결합면부(31b)와, 상기 상단결합면부(31a)에서 차체의 아래쪽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수직면부(31c)와, 상기 하단결합면부(31b)에서 차체의 측방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수직면부(31c)와 일체로 연결되는 메인평면부(31d)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평면부(31d)에는 두 개의 너트구멍(31d-1)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너트구멍(31d-1)사이에는 가이드구멍(31d-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브라켓트(33)는 상기 메인브라켓트(31)의 수직면부(31c) 및 하단결합면부(31b)에 각각 덧대여져 용접결합되는 후방결합면부(33a) 및 전방결합면부(33b)와, 상기 후방결합면부(33a)와 전방결합면부(33b)를 연결하는 서포트평면부(33c)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결합면부(33b)는 상기 메인브라켓트(31)의 하단결합면부(31b)와 함께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 측면에 덧대여져 용접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평면부(33c)는 상기 메인평면부(31d)로부터 차체의 위쪽을 향해 이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평면부(31d)와 상기 서포트평면부(33c)사이에는 박스형태의 폐공간(C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평면부(33c)와 상기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면 사이에도 박스형태의 폐공간(C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평면부(33c)에는 상기 메인평면부(31d)의 너트구멍(31d-1) 및 가이드구멍(31d-3)과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너트구멍(33c-1)과 가이드구멍(33c-3)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구멍(31d-1,33c-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너트(41)가 각각 삽입되어 용접결합되는 바, 상기 파이프너트(41)에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의 상단측을 결합시키기 위한 스트럿볼트(21)가 나사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구멍(31d-3,33c-3)은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가 스트럿볼트(21)를 매개로 파이프너트(41)에 결합될 때 장착위치의 기준을 설정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13은 양단이 차체의 전후방측을 향하도록 상기 리어플로어패널(2)의 밑면에 용접결합되는 리어플로어사이드멤버(13)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보통 스트럿볼트(21)와 파이프너트(41)가 체결되는 부위에 집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도 4를 참조로 종래의 구조를 살펴보면, 파이프너트(41)사이의 폐공간(C1)이 들떠있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대해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집중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하게 되면, 결국 상단 마운팅부의 전체적으로 강성이 약해지면서 주행소음(road noise)과 아이들소음(idle noise) 및 이로 인한 진동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메인브 라켓트와 서포트브라켓트사이에 다수개의 폐공간을 갖출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측 마운팅부의 강성을 전체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리어스트럿어셈블리로부터 전달되는 집중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주행소음과 아이들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켜 차량의 NVH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결합면부 및 하단결합면부를 통해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과 덧대여지도록 결합되는 메인브라켓트와, 상기 메인브라켓트의 수직면부 및 하단결합면부에 덧대여지도록 결합되는 후방결합면부 및 전방결합면부를 통해 상기 메인브라켓트상에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서포트브라켓트로 구성되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트의 하단결합면부와 수직면부는 두 개의 너트구멍 및 이 너트구멍사이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메인평면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브라켓트의 후방결합면부 및 전방결합면부는 상기 메인평면부상에 위치하면서 부분적으로 메인평면부에 덧대여져 결합됨과 동시에 너트구멍과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서포트평면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마운팅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도 5의 Ⅲ-Ⅲ선 및 Ⅳ-Ⅳ선 부분단면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 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측 마운팅부의 구조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쿼터인너패널(1)의 내측면과 트렁크룸을 형성하는 리어플로어패널(2)에 용접결합을 통해 설치되는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과, 상기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면에 용접결합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과의 사이에 박스구조의 공간을 형성토록 하면서 스트럿볼트(21)를 통해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의 상단측이 결합되어지는 상단마운팅브라켓트(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단마운팅브라켓트(30)는 크게 메인브라켓트(31)와 서포트브라켓트(37)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브라켓트(31)는 차체의 위쪽을 향하는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 윗면과 리어플로어패널(2)쪽을 향하는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 측면에 각각 덧대여져 용접결합되는 상단결합면부(31a) 및 하단결합면부(31b)와, 상기 상단결합면부(31a)에서 차체의 아래쪽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수직면부(31c)와, 상기 하단결합면부(31b)에서 차체의 측방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수직면부(31c)와 일체로 연결되는 메인평면부(31d)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평면부(31d)에는 두 개의 너트구멍(31d-1)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너트구멍(31d-1)사이에는 가이드구멍(31d-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브라켓트(37)는 상기 메인브라켓트(31)의 수직면부(31c) 및 하단결합면부(31b)에 각각 덧대여져 용접결합되는 후방결합면부(37a) 및 전방결 합면부(37b)와, 상기 메인평면부(31d)상에 위치하고 부분적으로 메인평면부(31d)에 덧대여져 용접결합되면서 상기 후방결합면부(37a)와 전방결합면부(37b)를 연결하는 서포트평면부(37c)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결합면부(37b)는 상기 메인브라켓트(31)의 하단결합면부(31b)와 함께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 측면에 덧대여져 용접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평면부(37c)는 상기 메인평면부(31d)의 너트구멍(31d-1)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너트구멍(37c-1)을 갖추고서 상기 메인평면부(31d)와의 사이에 박스형태의 폐공간(C3,C4)을 형성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평면돌출부(37c-3)와, 상기 메인평면부(31d)의 가이드구멍(31d-3)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가이드구멍(37c-5)을 갖추고서 상기 평면돌출부(37c-3)로부터 메인평면부(31d)를 향해 돌출되도록 굴곡 형성되어 메인평면부(31d)상에 덧대여져 결합되는 평면함몰부(37c-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평면부(37c)와 상기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의 안쪽면 사이에도 박스형태의 폐공간(C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구멍(31d-1,37c-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너트(41)가 각각 삽입되어 용접결합되는 바, 상기 파이프너트(41)에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의 상단측을 결합시키기 위한 스트럿볼트(21)가 나사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구멍(31d-3,37c-5)은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가 스트럿볼트(21)를 매개로 파이프너트(41)에 결합될 때 장착위치의 기준을 설정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13은 양단이 차체의 전후방측을 향하도록 상기 리어플로어패널(2)의 밑면에 용접결합되는 리어플로어사이드멤버(13)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의 상단 마운팅부의 강성증대를 이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구조는 서포트평면부(37c)의 평면함몰부(37c-7)가 메인평면부(31d)상에 덧대여져서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짐으로써, 파이프너트(41)가 결합되는 평면돌출부(37c-3)는 평면함몰부(37c-7)의 결합력에 의해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평면돌출부(37c-3)는 메인평면부(31d)상에 결합되는 평면함몰부(37c-7)에 의해 각각 별도의 폐공간(C3,C4)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별도로 형성되는 폐공간(C3,C4)은 한 개의 일체로 형성된 종래의 폐공간(C1;도4에 도시됨)보다 강성증대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강성이 증가된 평면돌출부(37c-3)에 파이프너트(41)가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너트(41)에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의 상단이 스트럿볼트(21)를 매개로 체결되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의 상단 마운팅부의 강성증대를 이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의 상단 마운팅부의 강성이 증대되면, 리어스트럿어셈블리(20)로부터 전달된 하중은 상기 스트럿볼트(21)와 파이프너트(41) 의 체결부위에서 집중되지 않고 차체측으로 효과적으로 분산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조는 주행소음(road noise)과 아이들소음(idle noise) 및 이로 인한 진동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NVH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는 상단마운팅브라켓트(30)에서 차체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든 하중에 대해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 마운팅부의 강성이 증대됨으로써 상기 리어스트럿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되고, 아울러 주행소음 및 아이들소음의 감소를 통해 차량의 NVH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상단결합면부 및 하단결합면부를 통해 리어휠하우징인너패널(11)과 덧대여지도록 결합되는 메인브라켓트와,
    상기 메인브라켓트의 수직면부 및 하단결합면부에 덧대여지도록 결합되는 후방결합면부 및 전방결합면부를 통해 상기 메인브라켓트상에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서포트브라켓트로 구성되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트(31)의 하단결합면부(31b)와 수직면부(31c)는 두 개의 너트구멍(31d-1) 및 이 너트구멍(31d-1)사이에 가이드구멍(31d-3)이 형성된 메인평면부(31d)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브라켓트(37)의 후방결합면부(37a) 및 전방결합면부(37b)는 상기 메인평면부(31d)상에 위치하면서 부분적으로 메인평면부(31d)에 덧대여져 결합됨과 동시에 너트구멍(37c-1)과 가이드구멍(37c-5)이 형성되는 서포트평면부(37c)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평면부(37c)는,
    상기 메인평면부(31d)의 너트구멍(31d-1)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너트구멍(37c-1)을 갖추고서 상기 메인평면부(31d)와의 사이에 폐공간(C3,C4)을 형성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평면돌출부(37c-3)와;
    상기 메인평면부(31d)의 가이드구멍(31d-3)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가이드구멍(37c-5)을 갖추고서 상기 평면돌출부(37c-3)로부터 메인평면부(31d)를 향해 돌출되도록 굴곡 형성되어 메인평면부(31d)상에 덧대여져 결합되는 평면함몰부(37c-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
KR1020040106977A 2004-12-16 2004-12-16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 KR10061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977A KR100610121B1 (ko) 2004-12-16 2004-12-16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977A KR100610121B1 (ko) 2004-12-16 2004-12-16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319A KR20060068319A (ko) 2006-06-21
KR100610121B1 true KR100610121B1 (ko) 2006-08-09

Family

ID=3716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977A KR100610121B1 (ko) 2004-12-16 2004-12-16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253B1 (ko) * 2017-07-26 2022-03-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772A (ja) 1997-03-19 1998-09-2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H10273073A (ja) 1997-03-31 1998-10-13 Nissan Motor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取付構造
JP2003312546A (ja) 2002-04-23 2003-11-0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772A (ja) 1997-03-19 1998-09-2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H10273073A (ja) 1997-03-31 1998-10-13 Nissan Motor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取付構造
JP2003312546A (ja) 2002-04-23 2003-11-0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319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466B1 (ko) 전방 차체 보강 구조
EP1479596B1 (en) Upper mounting structure of rear strut assembly
US6830289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JP4408818B2 (ja) マウント装置の取付構造
JP6721650B2 (ja) リヤサブフレーム構造
KR100610121B1 (ko) 리어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마운팅브라켓트
JP4921860B2 (ja) 車両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US7458594B2 (en) Lower arm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uspension
JP5556479B2 (ja) 車両前部構造
KR20020080077A (ko) 자동차의 변속기 마운팅부 구조
JP4427077B2 (ja) 前部車体構造
CN218505992U (zh) 前轮罩总成和具有其的车辆
JP2016188032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及びスタビライザの取付構造
JP3969160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部構造
KR100501375B1 (ko) 더블 위시본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팅구조
KR100736783B1 (ko) 쉬프트케이블 고정구조
JP4276518B2 (ja) 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
KR100410519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KR100398252B1 (ko) 자동차의 리어플로어조립체
KR20040029782A (ko) 자동차용 엔진룸의 변속기 마운팅부 결합구조
JP4154141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の取付構造
KR100471825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KR20100003549A (ko) 엔진 마운팅 브라켓의 보강구조
JPH0622592Y2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の取付構造
JP2568234Y2 (ja) ラジエータ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