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525B1 -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광학장치 - Google Patents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525B1
KR100598525B1 KR1020020059087A KR20020059087A KR100598525B1 KR 100598525 B1 KR100598525 B1 KR 100598525B1 KR 1020020059087 A KR1020020059087 A KR 1020020059087A KR 20020059087 A KR20020059087 A KR 20020059087A KR 100598525 B1 KR100598525 B1 KR 100598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optics
indicator
observation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855A (ko
Inventor
히루누마켄
가네코아츠미
요네야마수지
가나이모리야스
후나츠고우지
시라이마사미
Original Assignee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Abstract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광학 장치에 있어서, 물체를 관찰하기 위한 관찰 광학계와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이 케이싱에 수용된다. 수동 조작가능한 회전 휠이 케이싱에 제공되어 피사체가 관찰 광학계를 통해 포커싱되어지도록 회전 휠의 일부분이 케이싱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그 표시화면상에 물체를 동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는, 표시기의 표시화면이 케이싱의 벽면에 근접한 수납위치와, 표시기의 표시화면이 관찰 광학계의 접안 렌즈계로 향해진 표시위치간에 이동가능하도록 케이싱에 장착된다. 회전 휠은 수동 조작가능한 회전 휠의 노출부가 수납위치에 있게 된 경우 표시기의 뒤에 숨겨지도록 배열된다.
Figure 112002031856931-pat00001
관찰 광학계, 디지털 카메라, 표시기, 접안 렌즈계, 대물 렌즈계, 피사체, 쌍안경

Description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광학장치{OPTICAL VIEWER INSTRUMENT WITH PHOTOGRAPH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는 쌍안경의 제1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2는 가동 케이싱부가 케이싱 본체부에 대해 수납위치에 있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보았을 때의 단면도.
도 3은 가동 케이싱부가 케이싱 본체부에 대해 인출된 위치에 있음을 도시하는, 도 2와 마찬가지의 단면도.
도 4는 지지판 구조체가 주 및 가동 케이싱부에 의해 형성된 케이싱에 수용된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지지판 구조체상에 설치된 좌우측 장착판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라 보았을 때의 입면도.
도 7은 도 1의 VII-VII선을 따라 보았을 때의 단면도.
도 8은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는 쌍안경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LCD 표시기가 수납위치에 있음을 도시하는 도.
도 9는 도 8과 마찬가지의 평면도로서, LCD 표시기가 표시위치에 있음을 도시하는 도.
도 10은 도 7과 마찬가지의 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수정을 나타내는 도.
도 11은 LCD 표시기가 수납위치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는 쌍안경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8과 유사한, 평면도.
도 12는 LCD 표시기가 표시위치에 위치된, 도 11과 유사한, 평면도.
도 13은 도11 및 1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수정을 나타내는, 도 12와 유사한, 평면도.
본 발명은 촬영기능을 구비한 관찰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쌍안경, 단안경과 같은 관찰 광학 장치는 스포츠 관람 또는 야생조류 관찰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관찰 광학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촬영하고 싶은 대상을 보게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장면을 촬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는 사용자가 관찰 광학 장치를 위한 카메라를 교환해야하고 이 동안 촬영기회를 잃는다. 이러한 이유로,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관찰 광학 장치가 제안되고, 이렇게하여 관찰 광학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이 찍힐 수 있고 한편 관찰 광학 장치에 의해 관찰을 계속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KOKAI) 제6-2330호는 카메라가 쌍안경에 단순히 장착된, 카메라와 쌍안경의 조합체를 개시하고 있다. 물론, 쌍안경은 한 쌍의 망원 렌즈계를 포함하며, 카메라는 촬영 렌즈계를 포함한다. 피사체가 한 쌍의 망원 렌즈계를 통하여 관찰되는 동안, 관찰된 피사체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를 구비한 상기 쌍안경은 부피가 크고,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데, 이는 카메라가 단순히 쌍안경에 부가되기 때문이다.
디지털 카메라가 관찰 광학 장치와 조합된 경우, 종래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하게, 액정 표시(LCD)기와 같은 표시기를,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에 통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기의 위치는,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고려한 후, 결정하여야 한다. 즉, 표시기는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상에 손쉬운 위치에 위치되어야 한다.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가 표시기를 갖는 경우,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표시 모드 또는 비표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를 부착한 관찰 광학 장치의 케이싱에 표시 선택 위치를 배열할 것이 필요하다. 즉, 표시 선택 위치를 ON 시켜서 표시 모드가 선택된 경우,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는 표시기상에서 동영상으로 표시된다. 표시 선택 스위치를 OFF 시켜서 비표시 모드가 선택된 경우, 표시기상에서 표시되어야 할 동영상은 취소된다.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는 전자가 쌍안경 또는 단안경과 같은 일반적인 관찰 광학장치로서 이용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관찰 광학 장치와 상이하다. 그러므로,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는 흔히 커버 케이스로 부터 벗겨져서 노출되어 이송되고, 표시 선택 스위치는 비의도적으로 동작되는 경우가 있다. 표시 선택 스위치는 비의도적으로 ON된 경우,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에 장착된 배터리는 불필요하게 소모된다.
더욱이, 망원 렌즈계중의 하나에 포함된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다른 유형의 쌍안경이 공지되어 있고, 여기엔 대물 렌즈계 시스템이 촬영 렌즈계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이용된다.
특히, 망원 렌즈계의 각각은 피사체 렌즈계, 정립 프리즘계, 및 접안 렌즈계를 포함한다. 하프 미러는 관련 망원 렌즈계의 광축에 대해 45°각도를 정의하기 위해 피사체 렌즈계와 정립 프리즘계 사이에 배치되도록 망원 렌즈계중의 하나에 통합된다. 피사체 렌즈계에 입사하는 광 빔은 하프 미러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된다. 즉, 광 빔의 일부는 하프 미러를 지나 접안 렌즈계를 향하고, 광 빔의 나머지는 촬영 렌즈계에 도입되도록 하프 미러에 의해 반사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상기 유형의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은 상기 공보 제 6-2330호에 개시된,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과 비교할 때 더욱 콤팩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촬영 렌즈계에 입사하는 광량이 감소된다는점에서 유익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표시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 장치에서 표시기는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가 편리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하게 부피가 클 필요없이 콤팩트하게 배열될 수 있는, 상기 유형의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관찰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촬영기능을 구비한 관찰 광학 장치는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한 관찰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 광학계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이동가능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은 피사체가 촬영광학계를 통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상의 촬영 이미지로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된 이미지 센서와 촬영광학계를 포함한다. 케이싱은 관찰 광학계와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을 수용하고, 수동조작가능한 회전 휠이 케이싱에 구비되어 회전 휠의 부분은 케이싱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측에 노출된다. 포커싱 매커니즘이 관찰 광학계와 결합되어 회전 휠의 회전운동은 피사체가 관찰 광학계를 통하여 포커싱되어 지도록 하기 위해 관찰 광학계의 두 부분사이에서 상대적-직선이동으로 변환된다. 그 표시 화면상에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는 표시기의 표시화면이 케이싱의 벽면에 근접한 수납위치와 표시기의 표시화면이 관찰 광학계의 광학 접안 렌즈계 측을 향한 표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케이싱에 장착된다. 회전 휠은 수동조작가능한 회전 휠이 수납위치에 있을 때 표시기 뒤에 숨겨지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관찰 광학계의 제1 부분은 케이싱의 이동불가능한 위치에 제공되고, 관찰 광학계의 제2 부분은 관찰 광학계의 제1 부분에 대해 직선이동가능하고, 따라서 관찰 광학계의 제2 부분은 관찰 광학계의 제1 부분에 최근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케이싱에 완전하게 수납된다. 또한, 표시기는 케이싱의 최상부벽에 배치된다.
표시 선택 스위치는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가 표시기의 표시 화면상에 동화상으로 표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선택하기 위해 케이싱상에 제공될 수 있고, 회전 휠은 수납위치에 있게되는 경우 표시 선택 스위치가 회전 휠과 함께 표시기의 뒤에 숨겨지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표시기는 그로부터 뻗는 일체로 된 돌출부를 갖고, 표시 선택 스위치는 표시기가 수납위치에 있게되는 경우 돌출부 뒤로 숨겨진다.
바람직하게, 회전휠은 관형상 축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고, 촬영 광학계는 관형상 축에 수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촬영 광학계는 관형상 축내에서 이미지 센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이동가능하고, 촬영 광학계를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은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상에 피사체를 포커싱하기 위해 관형상 축의 회전운동을 촬영 광학계의 직선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관형상 축과 촬영 광학계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한 관찰 광학계의 대체물로서 제1 관찰 광학계와 제2 관찰 광학계가 있을수 있다.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각각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피사체는 제1 관찰 광학계 및 제2 관찰 광학계를 통하여 관찰된다. 이 경우, 케이싱은 이동가능하게 맞물림되는 두 개의 케이싱부를 갖고, 각각의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는 케이싱부에서 조립되어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광축간의 거리는 케이싱부중의 하나를 나머지 케이싱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정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케이싱부중의 하나는 나머지 케이싱부와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림되어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광축은 케이싱부중의 하나를 나머지 케이싱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럼시켜서 공통 기하평면에서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각각의 제1 부분은 케이싱부의 이동불가능한 위치에 제공되고,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각각의 제2 부분은 상기 각각의 제1 부분에 대해 직선이동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각각의 제2 부분은 상기 각각의 제1 부분에 최근접하게 되는 경우 케이싱부에 완전하게 수납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양호하게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쌍안경의 제1 실시예의 내부 배열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다.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쌍안경은 케이싱 본체부(10A)와 가동 케이싱부(10B)를 포함하는 케이싱(10)과, 서로 광학적으로 동일한, 케이싱(10)에 수용된 한 쌍의 관찰 광학계(12R 및 12L)로 구성된다. 각각의 관찰 광학계(12R 및 12L)는 사람의 좌우측 눈을 위해 제공되고, 그들간의 중간 라인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우측 관찰 광학계(12R)는 케이싱 본체부(10A)에 조립되고, 대물 렌즈계(14R), 광학 프리즘계(16R)및 접안 렌즈계(18R)를 포함한다. 케이싱 본체부(10A)의 전방벽은 우측 관찰 광학계의 대물 렌즈계(14R)와 정렬된, 관찰창(19R)이 형성된다.
좌측 관찰 광학계(12L)는 가동 케이싱부(10B)에 조립되고, 대물 렌즈계(14L), 광학 프리즘계(16L)및 접안 렌즈계(18L)를 포함한다. 가동 케이싱부(10B)의 전방벽은 좌측 관찰 광학계의 대물 렌즈계(14L)와 정렬된, 관찰창(19L)이 형성된다.
가동 케이싱부(10B)는 케이싱 본체부(10A)와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리고, 따라서 그것들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즉, 가동 케이싱부(10B)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위치와 도 3에 도시된 최대인출된 위치사이에서 케이싱 본체부(10A)와 관련하여 이동된다.
적절한 마찰력이 케이싱부(10A 및 10B)의 미끄럼면에 작용하고, 이에따라 가동 케이싱부(10B)가 케이싱 본체부(10A)로부터 인출될 수 있기 이전에 가동 케이싱부(10B)에 대해 일정한 인출력이 가해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가동 케이싱부(10B)가 케이싱 본체부(10A)에 수납될 수 있기 이전에 가동 케이싱부(10B)에 대해 일정한 추출력이 가해져야 한다. 따라서, 적절한 마찰력이 케이싱부(10A 및 10B)의 미끄럼면에 작용하는 것에 의해, 수납위치(도 2)와 최대인출 위치(도 3)사이의 선택 위치에 가동 케이싱부(10B)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가동 케이싱부(10B)가 케이싱 본체부(10A)로부터 신장되는 경우, 좌측 관찰 광학계(12L)는 가동 케이싱부(10B)와 함께 이동되지만, 우측 관찰 광학계(12R)는 케이싱 본체부(10A)에 유지된다. 따라서, 케이싱 본체부(10A)로부터 가동 케이싱부(10B)를 인출시킴으로써,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의 광축(OR 및 OL)간의 거리가 사용자의 안폭간격과 일치되도록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동 케이싱부(10B)를 케이싱 본체부(10A)에 대해 약간 미끄럼이동시킴으로써 안폭간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대물 렌즈계(14R)는 케이싱 본체부(10A)에 대해 고정위치에 수용되지만, 광학 프리즘계(16R)및 접안 렌즈계(18R)는 대물 렌즈계(14R)에 대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고, 이에의해 우측 관찰 광학계(12R)를 통해 관찰되어야 할 물체는 포커싱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대물 렌즈계(14L)는 가동 케이싱부(10B)에 대해 고정 위치에 수용되지만, 광학 프리즘계(16L)및 접안 렌즈계(18L)는 대물 렌즈계(14L)에 대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고, 이에의해 좌측 관찰 광학계(12L)를 통해 관찰되어야 할 물체는 포커싱된다.
안폭간 조정 및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L 및 12R)의 포커싱을 위해, 케이싱(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 구조체(20)가 구비되고,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L 및 12R)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지지판 구조체(20)상에 장착된다. 도 1에는, 지지판 구조체(20)가 보일수 있을지라도,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지 않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 구조체(20)는 장방형 고정판(20A), 장방형 고정판(20A)에 미끄럼가능하게 놓인 슬라이드판(20B)으로 구성된다. 장방형 고정판(20A)은 세로방향 길이와 이 세로방향 길이 보다 짧은 가로방향 길이를 갖는다. 슬라이드판(20B)은 장방형 고정판(20A)의 가로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장방형 부(22)와 장방형 부(22)로부터 일체로 뻗는 부(24)를 포함하고, 상기 두 부(22 및 24)는 모두 장방형 고정판(20A)의 세로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세로방향 길이를 갖는다.
슬라이드판(20B)에는 장방형 부(22)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 슬롯(26)과, 신장부(24)에 형성된 안내 슬롯(27)이 구비된다. 반면에, 한 쌍의 안내 핀(26') 및 안내핀(27')은 장방형 고정판(20A)에 체결되어, 한 쌍의 안내 핀(26')은 안내 슬롯(26)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고, 안내핀(27')은 안내 슬롯(27)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된다. 안내 슬롯(26 및 27)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도록 신장되고, 각각의슬롯은 수납위치(도 2)와 최대 인출위치(도 4)사이에서 가동 케이싱부(10B)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 구조체(20)는 케이싱(10)의 바닥부로부터 간격을 이루도록 케이싱(10)에 배열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장방형 고정판(20A)은 적절한 방식으로 케이싱 본체부(10A)에 고정된다. 슬라이드판(20B)은 장방형 부(22)로부터 일체로 돌출하는 돌출부(28)를 갖고, 돌출부(2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케이싱부(10B)에 구비된 격벽(29)에 고정된다. 따라서, 가동 케이싱부(10B)가 케이싱 본체부(10A)에 대해 이동되는 경우, 슬라이드판(20B)은 가동 케이싱부(10B)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대물 렌즈계(14R)는 부재번호(14R')로 지시된 빗금친 영역에서 장방형 고정판(20A)에 고정되고,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대물 렌즈계(14L)는 부재번호(14L')로 지시된 빗금친 영역에서 장방형 고정판(20B)에 고정된다.
도 5는 지지판 구조체(20) 위에 배열된 우측 및 좌측 장착판(30R,30L)을 도시하고, 광학 프리즘계(16R,16L)의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장착판(30R,30L)에 장착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장착판(30R,30L) 각각은 그 후방측 에지를 따라 제공된 직립판(32R 및 32L)을 갖고, 접안 렌즈계(18R 및 18L)의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판(32R 및 32L)에 부착된다.
우측 장착판(30R)은 장방형 고정판(20A)에 의해 가동 지지되어 광학 프리즘계(16R) 및 접안 렌즈계(18R) 모두가 대물 렌즈계(14R)에 대해 전후 이동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좌측 장착판(30L)은 슬라이드판(20B)에 의해 가동 지지되어 광학 프리즘계(16L) 및 접안 렌즈계(18L) 모두가 대물 렌즈계(14L)에 대해 전후 이동가능하다.
특히, 우측 장착판(30R)에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우측 에지 근방에서 그 하부측에 체결된 안내 슈(34R)가 구비된다. 안내 슈(34R)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고정판(20A)의 우측 에지를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는, 홈(36R(도 6))이 형성된다. 또한, 우측 장착판(30R)은 그 좌측 에지를 따라 제공된 측벽(38R)을 갖고, 측벽(38R)의 하부는 안내 로드(42R)를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는 관통 보어를 갖는 비대부(40R)로서 형성된다. 안내 로드(42R)의 단부는 장방형 고정판(20A)(도 1 및 4)으로부터 일체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고정 피스(44R)에 의해 체결식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프리즘 렌즈계(16R) 및 접안 렌즈계(18R)를 이송하는 우측 장착판(30R)은 대물 렌즈계(14R)에 대해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좌측 장착판(30L)에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좌측 에지 근방에서 그 하부측에 체결된 안내 슈(34L)가 구비된다. 안내 슈(34L)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20B)의 좌측 에지를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는, 홈(36L(도 6))이 형성된다. 또한, 좌측 장착판(30L)은 그 우측 에지를 따라 제공된 측벽(38L)을 갖고, 측벽(38L)의 하부는 안내 로드(42L)를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는 관통 보어를 갖는 비대부(40L)로서 형성된다. 안내 로드(42L)의 단부는 슬라이드판(20B)(도 1 및 4)으로부터 일체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고정 피스(44L)에 의해 체결식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프리즘 렌즈계(16L) 및 접안 렌즈계(18L)를 이송하는 좌측 장착판(30L)은 대물 렌즈계(14L)에 대해 직선으로 전후 이동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판 구조체(20)가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을 지라도, 고정 피스(44R 및 44L)가 예시되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한 배열로, 가동 케이싱(10B)을 케이싱 본체부(10A)로부터 및 본체부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의 안폭간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장착판(30R)을 대물 렌즈계(14R)에 대해 전후로 직선이동시킴으로써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고, 장착판(30L)을 대물 렌즈계(14L)에 대해 전후로 직선이동시킴으로써 우측 관찰 광학계(12L)의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우측 장착판(30R)과 좌측 장착판(30L)간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우측 장착판(30R)과 좌측 장착판(30L)을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 장착판(30R,30L)은 확장가능 커플러(46)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특히, 도 5에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가능 커플러(46)는 장방형 판재형부재(46A) 및 판재형부재(46A)가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는 두 갈래진 부재(46B)를 포함한다. 판재형부재(46A)는 전방단부에서 측벽(38R)의 비대부(40R)의 하부측에 부착되고, 두 갈래진 부재(46B)는 전방단부에서 측벽(38L)의 비대부(40L)의 하부측에 부착된다. 부재(46A 및 46B)는 수납위치(도 2)와 그 최대 인출위치(도 3)사이에서, 가동 케이싱부(10B)의 이동거리 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즉, 가동 케이싱부(10B)가 수납위치(도 2)로부터 그 최대 인출위치(도 3)로 뻗는 경우에도, 미끄럼가능한 맞물림 부재(46A과 46B) 사이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두 장착판(30R 및 30L) 및 , 따라서 우측 광학계(16R,18R) 및 좌측 광학계(16L,18L)의동시 직선이동이 언제나 보장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형부재(46A)는 장방형 보어(47)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도 7은 도 1의 선 VII-VII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부(10A)는 그 전방벽에 형성된 원형 개구부(48)를 갖고, 원형 개구부(48)는 가동 케이싱부(10B)가 수납위치(도 2)에 있는 경우 케이싱(10)의 전방벽의 중앙 위치에 있다.
도 1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부(10A)는 원형 개구부(48)를 둘러싸기 위해 그 전방벽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하는 내부 전방 슬리브 부 재(50)를 갖고, 내부 전방 슬리브 부재(50)는 케이싱 본체부(10A)의 최상부벽과 일체로 된다. 또한, 내부 후방 슬리브 부재(52)는 케이싱 본체부(10A)의 최상부벽으로부터 일체로 현수되고, 내부 전방 슬리브 부재(50)와 정렬된다.
관형상 축(54)은 내부 전방 및 후방 슬리브 부재(50 및 52)에 의해 지지 및 그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일체로 형성된 회전 휠(56)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개구부(58)가 케이싱 본체부(10A)의 최상부벽에 형성되고, 회전 휠(56)의 부분이 장방형 개구부(58)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와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회전 휠(56)의 노출부분을 수동 조작함으로써 관형상 축(54)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관형상 축(54)은 회전 휠(56)과 전방단부사이의 그 외연 벽면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60)를 갖고, 환형 부재(62)가 관형상 축(54)의 수나사(60)와 나사결합된다. 도 2,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부재(62)는 일체로 형성된 방사상 돌기부(4)를 갖고, 장방형 돌기부(65)는 돌기부(4)로부터 일체로 돌출된다. 장방형 돌기부(65)는 확장가능 커플러(46)의 판재형부재(46A)에 형성된 장방형 보어(47)내로 삽입되어 정합된다.
상기한 배열로, 관형상 축(54)이 회전 휠(56)을 수동으로 구동시켜서 회전되는 한편, 환형 부재(62)는 관형상 축(5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되고, 장착판(30A 및 30B)의 동시 직선이동이 되고 따라서 우측 광학계(16R 및 18R) 및 좌측 광학계(16L 및 18L)가 동시에 직선이동되는 결과로 된다. 즉, 서로 나사결합된 관형상 축(54)과 환형 부재(62)는 회전 휠(56)의 회전운동을 우측 광학계(16R 및 18R) 및 좌측 광학계(16L 및 18L)의 직선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이동-변환 매커니즘을 형성하고, 이동-변환 매커니즘은 우측 및 좌측 망원 관찰계(12R 및 12L)를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으로서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우측 및 좌측 망원 관찰계(12R 및 12L)는 광학적으로 설계되어 디지털 카메라 앞 40미터에 위치된 피사체는 정립 프리즘계(16R 및 16L) 및 접안 렌즈계(18R 및 18L)가 대응하는 대물 렌즈계(14R 및 14L)에 최근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포커싱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 앞 40미터에 위치된 피사체가 포커싱될 수 있기 이전에, 정립 프리즘계(16R 및 16L) 및 접안 렌즈계(18R 및 18L)가 대응하는 대물 렌즈계(14R 및 14L)로부터 멀어져 이동될 것이 필요하다. 정립 프리즘계(16R 및 16L) 및 접안 렌즈계(18R 및 18L)가 대응하는 대물 렌즈계(14R 및 14L)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경우, 예를들어 디지털 카메라 앞 2.0미터에 위치된 피사체는 포커싱되어 질 수 있다.
무한대에 있는 피사체가 우측 및 좌측 망원 관찰계(12R 및 12L)에 의해 포커싱되는 경우, 즉 정립 프리즘계(16R 및 16L) 및 접안 렌즈계(18R 및 18L)가 대응하는 대물 렌즈계(14R 및 14L)에 최근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접안 렌즈계(18R 및 18L)의 각각은 케이싱부(10R 및 10L)에 완전히 수납되고,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쌍안경은 매우 콤팩트하게 된다. 이 콤팩트한 상태는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쌍안경의 휴대에 적절하다.
도 1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경통(66)이 관형상 축(54) 내부에 제공되고, 제1 렌즈계(68) 및 제2 렌즈계(70)를 포함하는 촬영 광학계(67)는 렌즈 경통(66)에 유지된다. 반면에, 이미지 센서 제어 회로기판(72)은 케이싱 본체부(10A)의 후방벽의 내벽에 부착되고, CCD 이미지 센서(74)는 이미지 센서 제어 회로기판(72)에 장착되어, CCD 이미지 센서(74)의 수광면은 렌즈 경통(66)에 유지된 촬영 광학계(67)와 정렬된다. 내부 후방 슬리브 부재(67)는 그 후방 단부에 형성된 내부 환형 플랜지(75)를 갖고, 광학적 로우패스 필터(76)는 내부 환형 플랜지(75)와 정합된다. 간략히 하면, 촬영 광학계(67), CCD 이미지 센서(74) 및 광학적 로우패스 필터(76)는 디지털 카메라를 형성하고,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는 촬영 광학계(67)와 광학적 로우패스 필터(76)를 통하여 CCD 이미지 센서(74)의 수광면상에 포커싱된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광학계(67)는 회전 휠(56)을 갖는 관형상 축에 수용되기 때문에,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을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쌍안경은 한 쌍의 관찰 광학계를 포커싱하기 위해,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포커싱 회전 휠을 필요로 하고, 포커싱 회전 휠은 축상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축은 촬영 광학계(67)를 수용하기 위해 관형상 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크기가 상당히 클 필요없이 쌍안경에 촬영 광학계를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지털 카메라의 2.0 미터 앞에 위치된 피사체가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와 유사하게, 포커싱된 이미지로서 촬영될 수 있기 이전에, 포커싱 매커니즘을 촬영 광학계(67)에 통합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촬영 광학계(67)를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은 우측 및 좌측 망원 관찰계(12R 및 12L)를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에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링크되는 데 이는, 망원 관찰계(12R 및 12L)가 부착된 디지털 카 메라를 위한 광학 관찰 뷰 파인더 시스템으로서 이용된다. 즉, 피사체가 우측 및 좌측 망원 관찰계(12R 및 12L)를 통하여 포커싱 이미지로서 관찰되는 경우, 관찰된 피사체는 촬영 광학계(67)를 통하여 CCD 이미지 센서(74)의 수광면상에 포커싱되어야 한다.
이를위해, 암나사 및 수나사 각각은 관형상 축(54)의 내연 벽면과 렌즈경통(66)의 외연 벽면 둘레에 형성되어, 렌즈 경통(66)은 관형상 축(54)과 나사 맞물림된다. 렌즈 경통(66)의 전방 단부는 내부 전방 슬리브 부재(50)에 삽입되고, 한 쌍의 키 홈(78)은 렌즈 경통(66)의 전방 단부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되고, 키 홈(78)의 각각은 그 전방단부로부터 측정된 소정 거리를 지나 뻗는다. 한편, 한 쌍의 보어는 내부 전방 슬리브 부재(50)에의 내벽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핀 부재(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홈(78)에 맞물림되도록 쌍을 이룬 보어에 심어지고, 이에의해 렌즈 경통(55)의 회전운동을 방지한다. 즉, 렌즈 경통(55)의 외연 벽면과 관형상 축(54)의 내연 벽면 둘레에 형성된, 암나사 및 수나사는, 회전휠(56)의 회전운동을 렌즈 경통(66)의 직선 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동-변환 매커니즘을 구성하고, 이 이동-변환 매커니즘은 촬영 광학계(67)를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으로서 이용된다.
관형상 축(54)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60)는, 관형상 축(54)의 내연 벽면 둘레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해 반대를 향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정립 프리즘계(16R 및 16L) 및 접안 렌즈계(18R 및 18L)가, 회전휠(56)을 수동 구동하여 대응하는 대물 렌즈계(14R 및 14L)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렌즈 경통(66)은 CCD 이미지 센서(74)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정립 프리즘계(16R 및 16L) 및 접안 렌즈계(18R 및 18L)의 후방 이동이 가까이 있는 피사체를 관찰 광학계(12R 및 12L)에 포커싱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수행되는 경우, 렌즈 경통(66)의 전방 이동 및 촬영 광학계(67)로 인해 가까이 있는 피사체를 CCD 이미지 센서(74)의 수광면에 포커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관형상 축(54)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60)는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의 광학특성에 따라 결정된, 나사산을 나타내고, 관형상 축(54)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암나사는 촬영 광학계(67)의 광학특성에 따라 결정된, 나사산을 나타낸다.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은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의 안폭간 조정을 위한 목적으로 미끄럼가능 케이싱(10)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의 광축(OR 및 OL)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촬영 광학계(67)의 광축(OS)에 평행하다.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의 광축(OR 및 OL)은 기하평면(P)(도 2 및 도 3)을 정의하고, 케이싱부(10A 및 10B)는 서로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림되어,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의 안폭간 조정을 위한 목적으로, 케이싱부(10A 및 10B)중의 하나를 나머지 케이싱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럼시킴으로써 공통 기하평면(P)에서 이동가능하다.
도 2, 3 및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암-나사산 보어(81)는 케이싱 본체부(10A)의 바닥벽에 형성되고, 3각대에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을 장착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즉,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이 3각대에 장착되는 경우, 암-나사산 보어(81)는 3각대의 수나사와 나사산 맞물림된다.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가동 케이싱부(10B)가 수납위치에 있는 경우, 암-나사산 보어(81)는 수납된 케이싱(10)의 중간지점 및 촬영 광학계(67)의 광축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암-나사산 보어(81)는 케이싱 본체부(10A)의 전방 하부 에지와 연속한다.
도 1,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원 회로기판(82)이 케이싱 본체부(10A)의 우측 단부에 제공되고, 케이싱 본체부(10A)에 고정 수용된 프레임 구조체(83)에 부착된다. 또한, 도 2, 3 및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 제어 회로기판(84)은 케이싱 본체부(10A)에 제공되고, 지지판 구조체(20) 하부에 배열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 제어 회로기판(84)은 케이싱 본체부(10A)의 바닥부에 의해 적절하게 지지된다. 마이크로컴퓨터, 메모리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부품이 주 제어 회로기판(84)상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3 및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CD(액정 디스플레이)표시기(86)는 케이싱 본체부(10A)의 최상부벽에 제공되고, 장방형 및 편평형 구성을 갖는다. LCD 표시기(86)는 전방 측 에지에서 피벗축(8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피벗축(88)은 케이싱 본체부(10A)의 최상부에 의해 적절하게 지지되고, 그 최전방 단부를 따라 뻗는다. 즉, LCD 표시기(86)는 촬영 광학계(67)의 광축에 수직인, 피벗축(88)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LCD 표시기(86)는 통상적으로 도 7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위치에 위치되어,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은 케이싱 본체부(10A)의 최상부 벽면을 마주하도록 방향지워진다. 따라서, LCD 표시기(86)가 그 수납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 또는 관찰자가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을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LCD 표시기(86)가 도 7의 점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위치로부터 표시위치로 수동으로 회전된 경우,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100)은 접안 렌즈계(18R 및 18L) 측을 향하고, 따라서 사용자 또는 관찰자가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케이싱부(10B)의 좌측 단부는 격벽(29)에 의해 분할되어, 두 배터리(92)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실(90)을 형성한다. 전원회로기판(82)에는 가요성 전력 공급 코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배터리(9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이미지-센서 제어 회로기판(72), 주 제어 회로기판(84), LCD 표시기(86)등에는 가요성 전력 공급 코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원회로기판(82)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도 2 및 3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커넥터 단자(94 및 95)가 전원회로기판(82)에 장착되고, 케이싱 본체부(10A)의 전방벽에 형성된 두 액세스 개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도 1에서, 커넥터 단자(95)를 위해 제공된, 두 액세스 개구중 하나만이 부재번호(95')로 지시되어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단자(94)는 디지털 카메라를 TV 셋트에 접속하기 위한 비디오 접속 단자로서 사용되고 커넥터 단자(95)는 디지털 카메라를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커넥터 단자로서 사용된다. 도 1,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원회로기판(82)은 구리, 강철등과 같은 적절한 전기 도체재로 된 전자 차폐재(96)로, 커넥터 단자(94 및 95)와 함께 피복된다.
도 2, 3 및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F(Compact Flash) 카드 드라이버(97)와 같은 적절한 메모리 카드 드라이버가 주 제어 회로기판(84)의 하부측에 장착되고, 케이싱 본체부(10B)와 주 제어 회로기판(84) 사이의 공간에 배열된다. 메모리 카드 또는 CF 카드는 착탈가능하게 CF 카드 드라이버(97)에 장전된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쌍안경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부재번호(18R' 및 18L')는 접안 렌즈계(18R 및 18L)를 수용하기 위한 렌즈 경통을 나타내고, 렌즈 경통(18R' 및 18L')은 장방형 단면을 갖는다. 렌즈 경통(18R' 및 18L')의 각각은 우측 및 좌측 장착판(30R 및 30L)의 직립판(32R 및 32L)에 의해 부착 지지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정립 프리즘계 (16R 및 16L) 및 접안 렌즈계(18R 및 18L)가 대응하는 대물 렌즈계(14R 및 14L)에 최근접하게 되는 경우, 렌즈 경통(18R' 및 18L')의 각각은 케이싱부(10R 및 10L)에 완전히 수납되고,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 부착 쌍안경은 매우 콤팩트하게 된다.
또한, 부재번호(98)는 가동 케이싱부(10B)의 최상부벽에 형성된 초승달 형태의 얕은 오목부를 지시하고 얕은 오목부(98)에는 가동 케이싱부(10B)가 케이싱 본체부(10A)로부터 뻗는 경우 그 위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 가동 케이싱부(10B)가 케이싱 본체부(10A)로부터 용이하게 뻗을 수 있게 한다.
도 8에서, LCD 표시기(86)는 수납위치에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9 에서, LCD 표시기(86)가 표시위치에 있음을 도시하고 있고, LCD 표시기(86)가 표시화면은 부재번호 100으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위치에서,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100)은 접안 렌즈계(18R 및 18L) 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관찰자가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100)을 용이하게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를 통한 관찰 동안,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을 단순히 약간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 또는 관찰자는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100)을 즉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을 간단하게 약간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를 통해 피사체의 관찰동작으로 즉각 되돌아 올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사용자는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를 통한 피사체를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100)에서 피사체를 관찰하는 것으로, 및 그 반대로 즉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LCD 표시기(86)가 수납위치에 있는 경우, 회전휠(56)은 LCD 표시기(86)의 후면에 숨겨져서,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렌즈 경통((18R' 및 18L')이 케이싱(10)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는)이 손으로 운반되는 동안 회전휠(56)이 부주의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말로 하면,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이 손으로 운반되는 동안 렌즈 경통((18R' 및 18L')이 케이싱(10)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 및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에는, 케이싱 본체부(10A)의 최상부벽에 적절히 배열된, 릴리즈 스위치(102), 표시 선택 스 위치(104), 메뉴 표시 스위치(106), 4개의 메뉴 선택 시프트 스위치(108SK1,108SK2 ,108SK3,108SK4)로 된 셋트, 및 메뉴 지정 스위치(108SS)가 구비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에는 케이싱 본체부(10A)의 바닥부벽에 배열될 수 있는, 전원 ON/OFF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들 스위치는 주 제어회로 기판(84)상에 장착된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된다.
전원 ON/OFF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ON-상태와 OFF-상태 위치에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스위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원 ON/OFF스위치가 OFF-상태 위치에 있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는 슬립-모드 상태 또는 최소 전력-소비 상태로 되고, 여기서 전원 ON/OFF스위치가 동작되었는 지의 여부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즉, 전원 ON/OFF스위치를 제외한 기타 스위치의 모든 동작이 슬립-모드 상태에서 디스에이블된다. 전원 ON/OFF스위치가 OFF-상태 위치로부터 ON-상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여러 스위치의 각각이 동작되었는 지의 여부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릴리즈 스위치(102)는 자기복귀 유형 누름 스위치로서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두 개 스위치 요소로 구성된다. 두 개 스위치 요소중 하나는 광도측정 스위치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다른 스위치 요소는 릴리즈 스위치요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릴리즈 스위치(102)가 반 눌려졌을 때 광도측정 스위치요소는 ON으로되어, 광도측정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릴리즈 스위치(102)가 완전히 눌려졌을 때, 릴리즈 스위치 요소(118B)는 ON되어, 촬영동작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된다.
표시 선택 스위치(102)는 자기복귀 유형 누름 스위치로서 형성된다. 전원 ON/OFF스위치의 ON-상태 동안, 표시 선택 스위치(102)가 ON된 경우,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는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100)에 동화상으로 표시된다.
특히,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가 촬영 렌즈계(67) 및 광학 로우-패스 필터(76)를 통해 CCD 이미지 센서(74)의 수광면상에 포커싱되고, 포커싱된 물체 이미지는 CCD 이미지 센서(74)에 의해 아날로그 이미지-픽셀 신호의 프레임으로 변환된다. 표시 선택 스위치(104)가 ON되어 있는 동안, 얇아진 아날로그 이미지-픽셀 신호의 프레임은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CCD 이미지 센서(74)로부터 연속적으로 판독되고, 각각의 프레임의 얇아진 아날로그 이미지-픽셀 신호는 적절히 처리되어 디지털 이미지-픽셀 신호의 프레임으로 변환된다. 디지털 이미지-픽셀 신호의 프레임은 주 제어회로 기판(84)상에 제공된 프레임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되고,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서 판독된다.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물체 이미지는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100)에 동화상으로 재현된다. 즉, 사용자가 LCD 표시기(86)상에 촬상되어야 할 물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물론, LCD 표시기(86)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 표시기상에서 동화상의 표시는 취소됨을 주의해야 한다.
릴리즈 스위치(102)가 완전히 눌려져서 릴리즈 스위치 요소가 ON으로 된 경우, 풀 아날로그 정지 이미지-픽셀 신호의 프레임이 희박해지지 않고 CCD 이미지 센서(74)로부터 판독되고, 적절히 처리되어 풀 디지털 정지 이미지-픽셀 신호의 프레임으로 변환된다. 그후, 풀 디지털 정지 이미지-픽셀 신호의 프레임은 주 제어회로 기판(84)의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고, 적절하게 이미지 처리된다. 그후 처리된 한 프레임을 위한 디지털 정지 이미지-픽셀 신호는 CF 카드 메모리에 저장되고, 주어진 포맷에 따라 CF 카드 메모리 드라이버(97)에 적재된다.
메뉴 표시 스위치(106)도 자기복귀 유형 누름 스위치로서 형성된다. 전원 ON/OFF 스위치의 ON-상태 동안, 메뉴 표시 스위치(106)가 ON으로 되면, 다양한 메뉴 항목이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에 표시되고, 지시된 메뉴 항목이 반대순서로 표시되는 커서에 의해 임의의 메뉴 항목이 지시되어 선택된다. 커서는 4개의 메뉴 선택 시프트 스위치(108SK1,108SK2 ,108SK3,108SK4)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시프트될 수 있고, 이에의해 소망하는 메뉴 항목이 커서에 의해 지시되어 선택될 수 있다. 그후, 메뉴 지정 스위치(108SS)를 눌러서, 지시되어 선택된 메뉴 항목이 정해지고, 지시되어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들어, 재현모드가 다양한 메뉴 항목중에서 선택되고, 재현모드가 메뉴 지정 스위치(108SS)를 눌러서 정해지는 경우, 각각의 프레임내의 디지털 정지 이미지-픽셀 신호가 흐릿해지고 CF 카드 메모리 드라이버(97)의 CF 카드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그후, 촬영된 이미지는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LCD 표시기(86)의 표시화면(100)상에 정지 이미지로서 재현된다.
선택적으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접속 단자(94)를 통해 TV 셋트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의 디지털 정지 이미지-픽셀 신호는 USB 커넥터 단자를 통해 CF 카드 메모리로부터 프린터 부착된 개인용 컴퓨터로 공급되어, 프린터를 사용하여 하드 카피로서 촬영된 이미지를 프린트한다. 물론, 개인용 컴퓨터에 CF 카드 메모리 드라이버가 구비된 경우, CF 카드 메모리 드라이버(97)로부터 로드되지 않은 CF 카드 메모리는 개인용 컴퓨터에 CF 카드 메모리에 로드될 수 있다.
도 10은, 도 7과 유사하게,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의 상기 실시예에 대한 수정예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도 7의 구성요소와 마찬가지의 것은 동일 부재번호로 표기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수정 실시예에서,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L 및 12R)의 포커싱을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 또는 이동-변환 매커니즘은 환형상 부재(62)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캠 홈(110)에서 맞물림되는, 스터브류 캠 종동자(112), 및 관형상 축(54)의 외벽면 둘레로 형성된 캠 홈(110)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에서, 캠 홈(110)은 전개되어 평면 위에 펼쳐짐에 따라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회전휠(56)의 회전운동은 우측 광학계(16R 및 18R) 및 좌측 광학계(16L 및 18L)의 직선이동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수정된 실시예에서, 촬영 렌즈계(67)를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 또는 이동-변환 매커니즘은, 렌즈 경통(66)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캠 홈(114)에서 맞물림되는, 스터브류 캠 종동자(116), 및 관형상 축(54)의 내벽면 둘레로 형성된 캠 홈(114)에 의해 형성된다.
캠 홈(110)과 유사하게, 캠 홈(114)은 전개되어 평면 위에 펼쳐짐에 따라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회전휠(56)의 회전운동은 렌즈 경통(66)의 직선이동으로 변환된다.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캠 홈(110 및 114)은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방향을 이룬다. 따라서, 정립 프리즘계(16R,16L) 및 접안 렌즈계(18R,18L)는 회전휠(56)을 수동으로 구동시켜서 대응하는 대물렌즈계(14R,14L)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져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정립 프리즘계(16R,16L) 및 접안 렌즈계(18R,18L)의 후방 이동은 가까이 있는 피사체가 관찰 광학계(12L 및 12R)를 통해 포커싱되어지도록 수행되는 경우, 가까이 있는 피사체가 촬영 렌즈계(67)의 전방 이동에 의해 CCD 이미지 센서(74)의 수광면상에서 관찰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L 및 12R)를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 및 이동-변환 매커니즘은 수나사 및 암나사에 의해 형셩되고, 우측 광학계(16R 및 18R) 및 좌측 광학계(16L 및 18L)의 직선이동과 회전휠(56)의 회전운동간에 선형관계가 있다. 마찬가지로, 촬영 렌즈계(67)의 포커싱 매커니즘과 이동-변환 매커니즘은 수나사 및 암나사에 의해 형성되고, 촬영 렌즈계(67)의 직선이동과 회전휠(56)의 회전운동간에 선형관계가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우측 광학계(16R 및 18R) 및 좌측 광학계(16L 및 18L)의 포커싱 위치와 우측 및 좌측 광학계(16R;18R 및 16L;18L)의 포커싱 위치로부터 대물 렌즈계(14R 및 14L)까지 측정된 거리간에는 반드시 선형관계가 있는 것은 아 니다. 마찬가지로, 촬영 렌즈계(67)의 포커싱 위치와 촬영 렌즈계(67)의 포커싱 위치로부터 CCD 이미지 센서(74)의 수광면까지 측정된 거리간에는 반드시 선형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우측 및 좌측 광학계(16R;18R 및 16L;18L)와 촬영 렌즈계(67)가 그것들의 각각의 포커싱 위치에 정밀하게 위치되기 이전에, 이동-변환 매커니즘의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홈(110 및 114)과 캠 종동자(112,116)에 의해 형성되어야 하는 데, 이는 우측 및 좌측 광학계(16R;18R 및 16L;18L)와 촬영 렌즈계(67)가 대물 렌즈계(14R 및 14L)와 CCD 이미지 센서(74)에 대해 비선형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간략히 말하면, 캠 홈(110 및 114)과 캠 종동자(112,116)를 사용함으로써, 우측 및 좌측 광학계(16R;18R 및 16L;18L)와 촬영 렌즈를 그것들의 포커싱 위치에 정밀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우측 및 좌측 광학계(12R 및 12L)와 촬영 렌즈계(67)가 일정량의 초점깊이를 갖기 때문에, 수나사 및 암나사와 대응하는 이동-변환 매커니즘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불편도 없다. 그러나, 포커싱되어야 할 피사체가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에 더욱 가까이 됨에 따라, 광학계(16R;18R;16L;18L 또는 67)의 포커싱 위치와 대응하는 거리간의 관계가 선형으로 근접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 예를들어,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의 앞 1.0 미터 미만으로 위치된, 가장 가까운 피사체가 포커싱될 수 있도록, 우측 및 좌측 광학계(12R 및 12L)와 촬영 렌즈계(67)가 설계된 경우, 광학계(16R;18R;16L;18L 또는 67)의 포커싱 위치와 대응하는 거리간의 관계가 선형으로 근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캠 홈(110 및 114)과 각각의 캠 종동자(112,116)로 포커싱 매커니즘 또는 이동-변환 매커니즘을 형성할 것이 필요하다.
도 8 및 도 9와 유사한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이 실시예는 표시기(86)가 그로부터 일체로 뻗는 확장부(118)을 갖는 것을 제외하곤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1 및 12에서, 도 8 및 9의 구성요소와 마찬가지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재번호로 표기되었다.
도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LCD 표시기(86)가 수납위치에 있는 경우, 표시 선택 스위치(118)는 돌출부(118) 뒤로 숨겨진다. 다른 말로 하면, 표시 선택 스위치(118)는 LCD 표시기(86)가 수납위치에 있게 되는 경우 돌출부(118)로 커버되도록 하기 위해 LCD 표시기(86) 옆에 위치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이, 전원 ON/OFF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 의해 운반되는 경우, 표시 선택 스위치(114)는 부주의하게 ON으로 되는 것이 방지되는 데, 이는 LCD 표시기(86)가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이 운반되는 동안 수납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즉, 배터리(92)는 낭비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선택 스위치(114)가 그 수납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또는 스스로 LCD 표시기(86) 뒤에 숨겨지도록 배열되는 경우, 돌출부(118)는 LCD 표시기(86)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가 디지털 카메라 부착된 쌍안경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단안경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기타 광학 관찰 장치에 구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케이싱이 우측 및 좌측 광학계의 안폭간 조정을 위해 서로가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림된 케이싱 본체부와 가동 케이싱에 의해 형성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의 개념은 우측 및 좌측 광학계가 우측 및 좌측 광학계의 안폭간 조정을 위해 포커싱 회전 휠의 축 둘레로 회전가능한 쌍안경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 부착한 쌍안경의 기타 유형에도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당업자는 상기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그것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구현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단안경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기타 광학 관찰 장치에 구현될 수 있고, 케이싱이 우측 및 좌측 광학계의 안폭간 조정을 위해 서로가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림된 케이싱 본체부와 가동 케이싱에 의해 형성되었을 지라도,우측 및 좌측 광학계가 우측 및 좌측 광학계의 안폭간 조정을 위해 포커싱 회전 휠의 축 둘레로 회전가능한 쌍안경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 부착한 쌍안경의 기타 유형에도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3)

  1.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이동가능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한 관찰 광학계;
    피사체가 촬영 광학계를 통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상에 촬영 이미지로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된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촬영 광학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상기 관찰 광학계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을 수용하는 케이싱;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회전 휠의 일부분이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상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회전 휠;
    피사체가 관찰 광학계를 통해 포커싱되어지도록, 상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회전 휠의 회전운동이 상기 관찰 광학계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상대적-직선이동으로 변환되도록 상기 관찰 광학계와 결합된 포커싱 매커니즘; 및
    표시기의 표시화면이 상기 케이싱의 벽면에 근접한 수납위치와 상기 표시기의 표시화면이 상기 관찰 광학계의 접안 렌즈계 측을 향한 표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고, 상기 표시화면상에 상기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표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회전 휠은 상기 표시기가 상기 수납위치에 있게되는 경우 상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회전 휠의 노출된 부분이 상기 표시기 뒤에 숨겨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 광학계의 제1 부분은 상기 케이싱의 고정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관찰 광학계의 제2 부분은 상기 관찰 광학계의 제1 부분에 대해 직선이동가능하고, 상기 관찰 광학계의 제2 부분은 상기 관찰 광학계의 제1 부분에 가장 가까이 있게 되는 경우 상기 케이싱에 완전히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케이싱의 최상부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촬영되어야 할 피사체가 상기 표시기의 표시화면상에 동화상으로서 표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에 제공된 표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회전 휠은 상기 표시기가 상기 수납위치에 있게되는 경우 상기 표시 선택 스위치가 상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회전 휠과 함께 상기 표시기 뒤에 숨겨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일체로 뻗은 돌출부를 갖고, 상기 표시 선택 스위치는 상기 표시기가 상기 수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돌출부 뒤로 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회전 휠은 관 형상 축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는 상기 관 형상 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광학계는 상기 관 형상 축내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이동가능하고,
    피사체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상에 포커싱되도록 상기 관 형상 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촬영 광학계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관 형상 축과 상기 촬영 광학계 사이에 제공된 상기 촬영 광학계를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 광학계는 제1 관찰 광학계로서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이동가능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관찰 광학계를 더 포함하고, 피사체는 상기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를 통하여 관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서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림된 두개의 케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 의 광축간의 거리가 상기 케이싱부중의 하나를 나머지 케이싱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중의 하나는, 상기 케이싱부중의 하나를 상기 나머지 케이싱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광축이 공통 기하평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나머지 케이싱부와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각각의 제1 부분은 상기 케이싱내의 고정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각각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각각의 제1 부분에 대해 직선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각각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관찰 광학계의 각각의 제1 부분에 가장 가까이 있게되는 경우 상기 케이싱부에 완전히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회전 휠은 관 형상 축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촬영 광학계는 상기 관 형상 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광학계는 상기 관 형상 축내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이동가능하고,
    피사체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상에 포커싱되도록 상기 관 형상 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촬영 광학계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관 형상 축과 상기 촬영 광학계 사이에 제공된 상기 촬영 광학계를 위한 포커싱 매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 광학 장치.
KR1020020059087A 2001-09-28 2002-09-28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광학장치 KR100598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1664 2001-09-28
JP2001301664 2001-09-28
JP2002035031A JP3887242B2 (ja) 2001-09-28 2002-02-13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JPJP-P-2002-00035031 2002-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855A KR20030027855A (ko) 2003-04-07
KR100598525B1 true KR100598525B1 (ko) 2006-07-10

Family

ID=2662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087A KR100598525B1 (ko) 2001-09-28 2002-09-28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광학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14636B2 (ko)
JP (1) JP3887242B2 (ko)
KR (1) KR100598525B1 (ko)
CN (1) CN1267762C (ko)
DE (1) DE10245094B4 (ko)
FR (1) FR2830336B1 (ko)
GB (1) GB2381151B (ko)
TW (1) TW569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4046B (en) * 2001-09-28 2004-06-21 Pentax Corp Optical viewer instrument with photographing function
JP2003241112A (ja) * 2002-02-14 2003-08-27 Pentax Corp 撮影機能付双眼鏡
JP3843034B2 (ja) * 2002-04-02 2006-11-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光学装置
JP2003302580A (ja) * 2002-04-09 2003-10-24 Pentax Corp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JP2003315889A (ja) * 2002-04-24 2003-11-06 Pentax Corp 携帯機器
JP2004138954A (ja) * 2002-10-21 2004-05-13 Pentax Corp 携帯電子機器
JP2004166055A (ja) * 2002-11-14 2004-06-10 Pentax Corp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双眼鏡
US6990888B2 (en) * 2003-07-25 2006-01-31 Greenlee Textron Inc.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closed and open center hydraulic systems
JP4217137B2 (ja) 2003-09-24 2009-01-28 Hoya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双眼鏡
CN100409666C (zh) * 2005-02-02 2008-08-06 河南中光学集团有限公司 同步调焦式数码望远照相机
CN100373206C (zh) * 2005-04-15 2008-03-05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数位影像撷取望远镜
CN100437197C (zh) * 2005-10-14 2008-11-26 河南中光学集团有限公司 同步调焦式数码望远照相机
DE202008014830U1 (de) * 2008-11-07 2009-06-10 Ing. Klaus Ebinger Sensor-Bedienkopf
JP2012220742A (ja) * 2011-04-08 2012-11-12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14179540A1 (en) * 2013-05-01 2014-11-06 Bio-Rad Laboratories, Inc. Adjustable digital microscope display
TWI817748B (zh) * 2022-09-29 2023-10-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98A (en) * 1860-05-29 Improvement in corn-planters
US4369A (en) * 1846-01-30 Improvement in coloring daguerreotype-plates
US4067027A (en) * 1976-08-31 1978-01-03 Asia American Industries Ltd. Binocular telescope containing a camera
JPS55140806A (en) * 1979-04-23 1980-11-04 Hoya Corp Binoculars provided with automatic focus mechanism
US4400065A (en) * 1981-05-18 1983-08-23 Albert Nagler Multi-purpose telescope
JP2624556B2 (ja) 1990-02-09 1997-06-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再生機能付双眼鏡
US5235458A (en) * 1990-02-20 1993-08-1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Binocular
JP2897314B2 (ja) 1990-02-20 1999-05-31 ミノルタ株式会社 双眼鏡
DE4244161A1 (en) * 1991-12-26 1993-07-01 Asahi Optical Co Ltd Automatic focus field glasses - have lens which can be moved in direction of optical axis for sharp adjustment and lenses movable along optical axis for varying refractory force
JP3563773B2 (ja) * 1993-06-03 2004-09-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双眼鏡
DE69513224T2 (de) * 1994-05-12 2000-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kamera
US5729390A (en) * 1995-06-19 1998-03-1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Objective lens system
US5963369A (en) * 1996-06-03 1999-10-05 Steinthal; Gregory Digital solid-state binoculars
US6088053A (en) * 1996-07-15 2000-07-11 Hammack; Jack C. Digital record and replay binoculars
JP3842876B2 (ja) * 1996-09-27 2006-11-08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
JPH10239733A (ja) * 1997-02-25 1998-09-11 Asahi Optical Co Ltd 実像式ファインダーを有するカメラ
JP4017701B2 (ja) 1997-03-25 2007-1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GB9716343D0 (en) 1997-08-02 1997-10-08 Rotacon Plc Novel action replay binoculars
JPH1164743A (ja) 1997-08-18 1999-03-05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付き双眼鏡
JPH11112851A (ja) 1997-09-30 1999-04-23 Canon Inc 電子カメラ付双眼鏡
JP3674275B2 (ja) * 1997-11-28 2005-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装置
JPH11218692A (ja) * 1998-01-29 1999-08-10 Canon Inc 双眼鏡
JPH11248996A (ja) * 1998-03-04 1999-09-17 Canon Inc 双眼鏡
GB2372663B (en) * 1998-05-08 2002-11-27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JP2000147372A (ja) * 1998-11-10 2000-05-26 Canon Inc 撮影機能付き双眼鏡
US6255650B1 (en) * 1998-12-11 2001-07-03 Flir Systems, Inc. Extreme temperature radiometry and imaging apparatus
AU1792101A (en) 1999-11-22 2001-06-04 Sl3D, Inc. Stereoscopic telescope with camera
JP3546784B2 (ja) 1999-12-1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010043395A1 (en) * 2000-02-03 2001-11-22 Costales Bryan L. Single lens 3D software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S20030063383A1 (en) * 2000-02-03 2003-04-03 Costales Bryan L. Software out-of-focus 3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JP2001281555A (ja) * 2000-03-31 2001-10-10 Nikon Corp 撮像機能付き双眼鏡
JP2001305634A (ja) * 2000-04-24 2001-11-02 Ricoh Co Ltd カメラ
US6564012B2 (en) * 2000-09-12 2003-05-13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camera having lens movement control with pivotable grip surfaces and adjacent shutter rel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81151B (en) 2005-08-10
DE10245094A1 (de) 2003-04-17
GB0222637D0 (en) 2002-11-06
FR2830336A1 (fr) 2003-04-04
GB2381151A (en) 2003-04-23
US20030063189A1 (en) 2003-04-03
JP3887242B2 (ja) 2007-02-28
CN1267762C (zh) 2006-08-02
JP2003172865A (ja) 2003-06-20
CN1409152A (zh) 2003-04-09
TW569035B (en) 2004-01-01
US6914636B2 (en) 2005-07-05
KR20030027855A (ko) 2003-04-07
FR2830336B1 (fr) 2005-10-14
DE10245094B4 (de)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525B1 (ko) 촬영기능을 갖춘 관찰광학장치
KR100599108B1 (ko)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
KR100598506B1 (ko)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KR20030027854A (ko) 촬영기능을 갖는 관찰광학장치
JP2004138954A (ja) 携帯電子機器
US6930829B2 (en) Structure for assembly of binocular telescope with photographing function
JP4181368B2 (ja) 撮影機能付双眼鏡
US20030202118A1 (en) Portable apparatus
US20040081422A1 (en) Display-provid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3244505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185938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3998961B2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172884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241111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241110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KR100252679B1 (ko) 회전가능한촬영부를갖는카메라
JP2003107368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172883A (ja)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KR20030081063A (ko)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JPH0196617A (ja) 内視鏡用ビデオ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