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389B1 - 과열증기조리기 - Google Patents

과열증기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389B1
KR100598389B1 KR1020040065568A KR20040065568A KR100598389B1 KR 100598389 B1 KR100598389 B1 KR 100598389B1 KR 1020040065568 A KR1020040065568 A KR 1020040065568A KR 20040065568 A KR20040065568 A KR 20040065568A KR 100598389 B1 KR100598389 B1 KR 10059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heated steam
water
exhaust
generat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063A (ko
Inventor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389B1/ko
Priority to CNB2005100832117A priority patent/CN100441126C/zh
Priority to DE602005000738T priority patent/DE602005000738T2/de
Priority to AT05255117T priority patent/ATE357633T1/de
Priority to JP2005237657A priority patent/JP4049787B2/ja
Priority to EP05255117A priority patent/EP1628079B1/en
Priority to US11/206,976 priority patent/US20070006864A1/en
Publication of KR2006001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04Air-treatment devices for ovens, e.g. regulating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열증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가열고를 갖는 조리기본체와; 상기 가열고 내로 공급하도록 과열증기를 발생하는 과열증기발생기와; 상기 조리기본체에 대해 마련되어 물을 주입하는 물주입부와, 상기 물주입부와 상기 과열증기발생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물을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파이프를 갖는 물공급장치와; 상기 가열고로 공급된 증기를 배출하도록 배기파이프를 갖는 배기장치와; 상기 배기파이프로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배기순환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순환파이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파이프로 배출되는 증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배기순환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선택부를 갖는 배기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배기순환장치를 마련하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체부피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과열증기조리기 { OVER-HEATING STEAM COOKER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과열증기조리기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과열증기오븐의 가열고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과열증기조리기의 과열증기발생기의 Ⅴ-Ⅴ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의 물공급장치의 작동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의 물병의 작동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과열증기조리기 10 : 조리기본체
11 : 본체커버 12 : 베이스프레임
13 : 전방프레임 16 : 관통부
19 : 배기덕트 21 : 조작패널
31 : 가열고 32 : 내부케이싱
33 : 외부케이싱 34 : 진공단열층
35 : 복수실드부재 41 : 히터
50 : 과열증기발생기 51 : 발생기본체
51a : 제1가열부 51b : 제2가열부
52 : 증기배출부 53 : 배기흡입부
54 : 물흡입부 56 : 발생기진공단열층
60 : 배기장치 61 : 배기파이프
62 : 외부덕트 63 : 배기열교환부
65 : 촉매재 70 : 배기순환장치
71 : 배기순환파이프 73 : 유로선택부
80 : 물공급장치 81 : 물주입부
82 : 물주입개구부 83 : 물공급도어
85 : 물안내부 86 : 돌기접촉부
87 : 물공급펌프 89 : 물공급파이프
90 : 물병 91 : 병마개
93 : 개폐밸브 94 : 물배출구
95 : 돌기부 96 : 밸브체
본 발명은 과열증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열증기발생기 및 과열증기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과열증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열증기조리기은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식품 등을 조리하는 장치로써, 열전도능력이 뛰어나며, 굽기, 삶기 및 해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열증기오븐은 조리실 내에서 거의 무산소 상태로 조리되기 때문에 산화가 일어나지 않아 조리된 식품의 맛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과열증기를 사용한 조리기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184964호의 과열증기조리기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과열증기조리기는 가열고와, 가열고에 식품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가열고의 벽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가열고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열고 온도측정수단과, 가열고 내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고내 온도표시수단과, 가열고의 벽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강열고벽 온도측정수단과, 과열증기를 발생하여 가열고에 주입하기 위한 과열증기발생수단과, 과열증기발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제어수단과, 과열증기발생수단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포함한다.
과열증기발생수단은 물 및 증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가열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회로와, 가열수단의 물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수단과, 가열수단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수단과, 발생한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과열증기 온도측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과열증기조리기는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 조리함으로써 수분의 증발 등이 없어 조리된 식품의 맛이 뛰어나며, 특히, 가정용 조리기로써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과열증기조리기는 과열증기발생수단으로 물을 공급하 기 위한 별도의 물탱크가 장착되어 전체부피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열증기조리기를 가정용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체부피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과열증기조리기는 과열증기발생수단의 가열수단으로 인버터회로 등을 사용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며 제작비가 증가하는 되는데, 이러한 과열증기조리기를 가정용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부피를 줄일 수 있는 과열증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비를 줄일 수 있는 과열증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과열증기조리기에 있어서, 물품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가열고를 갖는 조리기본체와; 상기 가열고 내로 공급하도록 과열증기를 발생하는 과열증기발생기와; 상기 조리기본체에 대해 마련되어 물을 주입하는 물주입부와, 상기 물주입부와 상기 과열증기발생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물을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파이프를 갖는 물공급장치와; 상기 가열고로 공급된 증기를 배출하도록 배기파이프를 갖는 배기장치와; 상기 배기파이프로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배기순환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순환파이프 사이에 마련되어 상 기 배기파이프로 배출되는 증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배기순환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선택부를 갖는 배기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주입부는 상기 조리기본체에 대해 마련된 물주입개구부와, 상기 물주입개구부를 개폐하는 물공급도어와, 상기 물공급도어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물주입개구부를 통해 주입된 물을 상기 물공급파이프로 안내하는 물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물주입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병은 상기 물주입부로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밸브가 장착된 병마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병의 용량은 500ml 정도 일 수 있다.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물주입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는 상기 물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제1가열부와, 상기 제1가열부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발생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제2가열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가열부 및 상기 제2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쉬스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는 상기 제1가열부 및 상기 제2가열부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발생기내부케이싱과, 상기 발생기내부케이싱와의 사이에 발생기진공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배치된 발생기외부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열증기발생기의 발생기진공단열층에는 상기 발생기내부케이싱으로 전달된 열이 상기 발생기외부케이싱으로 복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생기복사실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열고는 물품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의 외측에 이격 배치된 외부케이싱을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사이에는 진공단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고의 진공단열층에는 상기 내부케이싱으로 전달된 열이 상기 외부케이싱으로 복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복사실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열고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고내온도센서 및 상기 배기파이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기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내온도센서 및 상기 배기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유로선택부 및 상기 가열고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파이프 및 상기 배기순환파이프는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된 증기가 통과하는 내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와 사이에 파이프진공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배치된 외부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배기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하는 배기열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고에는 가열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히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열고 내에는 상기 과열증기발생기에 의해 공급된 증기를 분산시키는 증기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와 상기 배기순환장치 및 상기 과열증기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가열고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촉매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1)는 식품과 같은 물품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가열고(31)를 갖는 조리기본체(10)와, 가열고(31) 내로 공급하도록 과열증기를 발생하는 과열증기발생기(50)와, 조리기본체(10)에 대해 마련되어 물을 과열증기발생기(50)로 공급하는 물공급장치(80)와, 가열고(31)로 공급된 증기를 배출하도록 배기파이프(61)를 갖는 배기장치(60)와, 배기파이프(61)로 배출되는 증기를 과열증기발생기(50)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배기순환장치(70)를 포함한다. 과열증기조리기(1)는 배기장치(60)와 배기순환장치(70) 및 과열증기발생기(5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가열고(31)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촉매재(65)를 더 포함한다. 과열증기조리기(1)는 가열고(31)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고내온도센서(47) 및 배기파이프(61)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기온도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고내온도센서(47) 및 배기온도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후술할 배기순환장치(70)의 유로선택부(73) 및 가열고(31)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본체(10)는 가열고(31)의 상측과 측면 및 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된 본체커버(11)와, 가열고(31)의 전방에 마련된 전방프레임(13)과, 가열고(31)의 하측에 마련되어 가열고(31) 등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2)과, 전방프레임(13)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과열증기조리기(1)를 제어하는 조작패널(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조리기본체(10)의 전방에는 후술할 전방프레임(13)의 도어개구부(14)를 개폐하는 도어(5)가 마련된다.
전방프레임(13)에는 가열고(31)로 물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도어개구부(14)와, 도어(5)가 도어개구부(14)를 폐쇄할 때 도어(5)와 기밀을 유지하며 밀착되도록 고무재질이나 수지재질로 제작되어 도어개구부(14)에 장착된 도어실드(SHIELD)부재(15)가 마련된다. 전방프레임(13)에는 가열고(31) 내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가열고(31)와 연통가능하게 관통된 가열고배기구(17)와, 배기파이프(61)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배기파이프연결구(18)와, 가열고배기구(17) 및 배기파이프연결구(18)에 결합되어 가열고배기구(17)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배기파이프연결구(18)로 안내하는 배기덕트(19)가 마련된다. 전방프레임(13)에는 후술할 가열고(31)의 내부케이싱(32) 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고내온도센서(47)가 장착되며, 후술할 물공급장치(80)의 물주입부(81)를 수용하도록 관통부(16)가 마련된다. 도어(5)의 하측에는 전방프레임(13)의 하부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커버(23)가 마련된다.
배기덕트(19)는 전방프레임(13)에 착탈가능하게 스크루(24) 등으로 결합되어 가열고배기구(17)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배기파이프연결구(18)로 안내하게 된다.
조작패널(21)에는 과열증기조리기(1)를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버튼과 같은 다수의 버튼(22)과, 과열증기발생기(5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후술할 물공급장치 (80)의 물주입부(81)가 마련된다. 조작패널(21)에는 과열증기발생기(50)에 물부족 상태를 표시하는 물부족표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물부족표시부(미도시)를 확인한 후 물공급장치(80)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 된다.
가열고(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32)과, 내부케이싱(32)의 외측에 이격 배치된 외부케이싱(33)을 가지며, 내부케이싱(32)과 외부케이싱사이에는 진공단열층(34)이 형성된다. 가열고(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음식물과 같은 물품이 담긴 트레이(TRAY)(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해 전방으로 개구된 가열고개구부(36)와, 전방프레임(13)과 기밀을 유지하며 밀착되도록 고무재질이나 수지재질로 제작되어 가열고개구부(36)에 장착된 가열고실드(SHIELD)부재(37)와, 외부케이싱(33)에 외측 및 전방프레임(13)에 결합되어 가열고(31)를 전방프레임(13)에 대해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8)을 포함한다. 가열고(31)에는 가열고(31)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41)가 장착된다.
내부케이싱(32)의 내측에는 트레이(미도시)와 같은 용기를 장착할 수 있게 다단으로 형성된 와이어랙(WIRE RACK)(39)이 마련된다. 와이어랙(39)은 내부케이싱(32)의 좌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된다. 내부케이싱(32)에는 후술할 과열증기발생기(50)의 증기배출부(52)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바로 물품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증기를 분산시키는 증기커버(45)가 마련된다.
증기커버(45)는 내부케이싱(32)의 후방영역에 마련된 후술할 과열증기발생기(50)의 증기배출부(52)에 대응하여 증기배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 증기커버(45)는 내부케이싱(32)의 내측 후방영역에 스크루(46)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증기배출부(52)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먼저 증기커버(45)에 부딪히게 됨으로 배출된 증기가 직접 물품과 접촉하게 되어 증기배출부(52)에 근접한 물품을 과다하게 가열하는 것을 방지하며, 증기커버(45)에 부딪힌 증기가 증기커버(45)의 양측이나 하측 등으로 돌아서 가열고(31) 내부의 전체로 분산됨으로 가열고(31)에 수용된 물품을 고르게 가열하게 된다.
가열고실드부재(37)는 내부케이싱(32) 및 외부케이싱(33)사이의 공간이 거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부케이싱(32) 및 외부케이싱(33)의 전방 단부에 기밀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내부케이싱(32) 및 외부케이싱(33)의 전방 단부는 코킹(CAULKING)방식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케이싱(32) 및 외부케이싱(33)은 내열성이 강한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진공단열층(34)에 의해 내부케이싱(32)으로부터 외부케이싱(33)으로 전도 및 대류현상에 이해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공단열층(34)에는 내부케이싱(32)으로 전달된 열이 외부케이싱(33)으로 복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복사실드(SHIELD)부재(35)가 마련될 수 있다.
복사실드부재(35)는 내부케이싱(32) 및 외부케이싱(33)의 사이에 내부 및 외부케이싱(32,33)의 판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 판면에 가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복사실드부재(35)는 내부케이싱(32) 및 외부케이싱(33)의 판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상호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복사실드부재(35)는 일측이 내부 케이싱(32) 및 외부케이싱(33)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진공단열층(34)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사실드부재(35)는 내부케이싱(32)으로부터 복사된 열을 내부케이싱(32)방향으로 반사하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복사실드부재(35)는 내부케이싱(32)으로부터 복사된 열을 내부케이싱(32)방향으로 반사하도록 비금속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진공단열층(34)에 복사실드부재(35)를 마련함으로써 내부케이싱(32)으로부터 외부케이싱(33)으로 전도 및 대류형상 뿐만 아니라 복사현상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히터(41)는 가열고(31)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게 되며, 가열고(31) 내로 공급된 증기가 결로(結露)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히터(4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내부케이싱(32)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41)는 전방프레임(13)에 의해 지지 결합되어 내부케이싱(32)에 배치된다. 히터(41)는 파이프형상으로 길게 마련되며 원형으로 굴곡된 쉬스히터(SHEATH HEATER)이나, 다른 종류의 히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과열증기발생기(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장치(80)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제1가열부(51a)와, 제1가열부(51a)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발생하는 제2가열부(51b)를 포함한다. 과열증기발생기(50)는 과열증기를 발생하도록 제1가열부(51a) 및 제2가열부(51b)를 갖는 발생기본체(51)와, 발생기본체(51)를 조리기본체(10)의 베이스프레임(12)에 결합되는 발생기지지대(58)와, 발생기본체(51) 및 가열고(31)와 연결되어 과열증기를 가열고 (31)로 배출하는 증기배출부(52)와, 후술할 배기순환장치(70)의 배기순환파이프(71)와 연결되어 배기를 흡입하는 배기흡입부(53)와, 물주입부(25)와 물공급파이프(26)로 연결되어 물을 흡입하는 물흡입부(53)를 포함한다.
발생기본체(51)에는 제1가열부(51a) 및 제2가열부(51b) 등을 수용하여 과열증기를 발생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발생기내부케이싱(55)과, 발생기내부케이싱(55)과의 사이에 발생기진공단열층(56)이 형성되도록 이격 배치된 발생기외부케이싱(57)이 더 마련된다. 발생기본체(51)에는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센서(미도시)와, 물흡입부(53) 등에 장착되어 수위센서(미도시)에 의해 물공급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수위조절밸브(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열부(51a)는 제2가열부(51b)의 하측에 마련되며, 물공급장치(80)로부터 공급된 물에 의해 잠길 수 있다. 제1가열부(51a) 및 제2가열부(51b)는 코일형상으로 굴곡된 쉬스히터(SHEATH HEA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가열부(51a) 및 제2가열부(51b)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종류의 히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가열부(51b)는 물공급장치(80)로부터 공급된 물에 잠기지 않도록 제1가열부(51a)의 상측에 마련된다. 제2가열부(51b)는 제1가열부(51a)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과열증기로 가열하도록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이에, 제2가열부(51b)를 통과하여 발생된 과열증기는 증기배출부(52)를 통해 가열고(31) 내로 공급된다.
발생기내부케이싱(55) 및 발생기외부케이싱(57)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나, 사각통이나 다른 다각형 통 형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발생기진공단열층(56)에 의해 발생기내부케이싱(55)으로부터 발생기외부케이싱(57)으로 전도 및 대 류현상에 이해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과열증기발생기(50)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생기진공단열층(56)에는 발생기내부케이싱(55)으로 전달된 열이 발생기외부케이싱(57)으로 복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발생기복사실드(SHIELD)부재(59)가 마련될 수 있다.
발생기복사실드부재(59)는 발생기내부케이싱(55) 및 발생기외부케이싱(57)의 사이에 발생기내부 및 발생기외부케이싱(55,57)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며, 방사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발생기복사실드부재(59)의 장착 및 재질에 대해서는 전술한 복사실드부재(35)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과열증기발생기(50)의 온도조건이 가열고(31)의 온도조건과 다를 수 있으므로, 발생기진공단열층(56)은 가열고(31)의 진공단열층(34)과 다른 정도의 진공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발생기복사실드부재(59)는 가열고(31)의 복사실드부재(35)와 다른 종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발생기진공단열층(56)에 발생기복사실드부재(59)를 마련함으로써 발생기내부케이싱(55)으로부터 발생기외부케이싱(57)으로 전도 및 대류형상 뿐만 아니라 복사현상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배기장치(60)는 가열고(31)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배기장치(60)는 배기파이프(61)와, 배기파이프(61)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외부덕트(62)를 포함한다. 배기장치(60)는 배기파이프(61)와 연결되어 배기파이프(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하는 배기열교환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열교환부(63)는 배기파이프(61)와 외부덕트(62)사이에 마련되어 배기파이프(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를 냉각시켜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다. 배기열교환부(6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커버(11)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본체커버(11)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배기열교환부(63)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에 의해 외부덕트(62)의 표면온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파이프(61)는 그 일측이 전방프레임(13)의 배기파이프연결구(18)에 결합되며, 타측이 배기열교환부(63)에 대해 연결된다. 배기파이프(61)와 배기열교환부(63) 사이에는 후술할 배기순환장치(70)의 유로선택부(73)가 마련된다. 배기파이프(61)에는 배기파이프(61)를 통과하는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기온도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파이프(61)는 가열고(31)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통과하는 내부파이프(미도시)와, 내부파이프(미도시)의 외측에 마련되어 내부파이프(미도시)와 사이에 파이프진공단열층(미도시)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된 외부파이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진공단열층(미도시)에는 증기로부터 내부파이프(미도시)로 전달된 열이 외부파이프(미도시)로 복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복사실드(SHIELD)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배기파이프(61)는 파이프진공단열층(미도시)에 의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이프복사실드부재(미도시)를 마련함으로써 복사현상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배기순환장치(70)는 배기파이프(61)로 배출되는 증기를 과열증기발생기(50)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배기순환파이프(71)와, 배기파이프(61)와 배기순환파이프(71) 사이에 마련되어 배기파이프(61)로 배출되는 증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거나 배기순환파이프(71)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선택부(73)를 포함한다. 배기순환장치(70)는 가열고(31)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다시 과열증기발생기(50)로 환원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과열증기발생기(50)에 소비되는 물의 량을 많이 줄일 수 있다.
유로선택부(73)는 배기파이프(61)와 배기순환파이프(71) 및 배기열교환부(63) 사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배기파이프(61)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배기순환파이프(71) 및 배기열교환부(63) 중 적어도 하나로 배출하게 된다. 유로선택부(73)는 밸브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배기순환파이프(71)는 일측이 유로선택부(73)에 결합되고, 타측이 과열증기발생기(50)의 배기흡입부(53)에 대해 연결된다. 배기순환파이프(71)에도 역시 배기파이프(61)와 같이 파이프진공단열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파이프진공단열층(미도시)에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복사실드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배기순환파이프(71)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공급장치(8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본체(10)에 대해 마련되어 물을 주입하는 물주입부(81)와, 물주입부(81)와 과열증기발생기(50) 사이에 마련되어 물주입부(81)로부터 주입된 물을 과열증기발생기(50)로 공급하는 물공급파이프(89)를 포함한다. 물공급장치(80)는 물주입부(81)로 공급된 물을 과열증기발생기(50)로 공급하는 물공급펌프(8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물주입부(81)로 물을 공급하는 물병(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주입부(81)는 조리기본체(10)에 대해 마련된 물주입개구부(82)와, 물주입개구부를 개폐하는 물공급도어(83)와, 물공급도어(83)의 후방에 마련되어 물주입개구부(82)를 통해 주입된 물을 물공급파이프(89)로 안내하는 물안내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물주입개구부(82)와 물공급도어(83) 사이에는 물공급도어(83)가 전후방향으로 회동하여 물주입개구부(82)를 개폐하도록 힌지부(84)가 마련된다. 물주입부(81)에는 물병(90)이 물주입부(81)에 삽입될 때 후술할 병마개(91)의 개폐밸브(93)와 접촉가능하게 돌기접촉부(86)가 마련될 수 있다.
물주입개구부(82)는 조작패널(21)에서 관통 형성되며, 물병(90)의 일부영역이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안내부(85)는 물병(90)의 일영역을 수용하며, 물병(9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물안내부(85)는 일측이 물공급도어(83)와 결합되어 물공급도어(83)의 개방시 물병(90)이 수용되도록 개구되며, 타측이 물공급파이프(26)로 연결되어 물을 과열증기발생기(50)로 공급할 수 있다. 물안내부(85)와 물공급파이프(26) 사이에는 물안내부(85)가 물공급도어(83)와 일체로 회동시 물공급파이프(26)와 유연하게 연결되도록 플렉시블파이프(88)가 마련될 수 있다. 물안내부(85)에는 물안내부(85)에 수용된 물병(90)의 무게를 감지하여 소정의 이하의 무게인 경우 후술할 병마개(91)의 개폐밸브(93)를 폐 쇄하도록 중량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돌기접촉부(86)는 물안내부(85)의 내측에 후술할 병마개(91)의 개폐밸브(93)에 마련된 돌기부(95)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물공급펌프(87)는 물안내부(85)와 물공급파이프(89)사이에 마련되어 물안내부(85)로 주입된 물은 물공급파이프(89)로 공급하게 된다.
물병(90)은 물주입부(81)로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밸브(93)가 장착된 병마개(91)를 포함한다. 물병(90)은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페트(PET)병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병(90)은 500ml 정도의 용량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물병(90)의 용량은 과열증기발생기(50)에 공급될 물의 량과 비슷한 정도이다. 그러나, 물병(90)의 용량은 500ml 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병마개(91)는 물병(90)의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병마개(91)는 물병(90)에 회전하여 결합될 수 있다.
개폐밸브(93)는 물병(90)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도록 병마개(91)에 관통되어 마련된 물배출구(94)와, 물배출구(94)의 일측 단부를 개폐하는 밸브체(96)와, 일측이 밸브체(96)와 연결되며 타측이 물안내부(85)의 돌기접촉부(86)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된 돌기부(95)와, 밸브체(96)가 물배출구(94)를 폐쇄하도록 돌기부(95)를 상시 가압하는 탄성부재(97)를 포함한다. 이에, 돌기부(95)가 돌기접촉부(86)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부재(97)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이동하게 되면, 밸브체(96)가 물배출구(94)를 개방하게 되어 물병(90)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돌기부 (95)가 돌기접촉부(86)로부터 이탈되면 탄성부재(97)에 의해 이동하여 밸브체(96)가 물배출구(94)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물안내부(85)에 물이 차올라 개폐밸브(93)의 물배출구(94)보다 높게 되면, 물배출구(94)를 통해 물병(90)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물배출구(94)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물공급도어(83)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개방한 후, 물병(90)을 물안내부(85)에 삽입하여 물을 공급하면 물공급파이프(26)를 통해 과열증기발생기(5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촉매재(65)는 가열고(31)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에 포함된 기름이나 먼지 및 악취 등을 필터링하도록 증기의 배출 경로에 배치된다. 촉매재(65)는 배기덕트(19)의 내측에 수용되어 배기덕트(19)를 통과하는 증기를 필터링하게 되며, 배기덕트(19)를 전방프레임(13)으로부터 분해하여 교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촉매재(65)는 가열고(31)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필터링 할 수 있게 배기파이프(61)이나 가열고배기구(17) 등에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촉매재(65)는 과열증기발생기(50)의 증기배출부(52) 등에도 마련되어 가열고(31)내로 공급되는 증기를 필터링 할 수도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고내온도센서(47) 및 배기온도센서(미도시)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유로선택부(73) 및 가열고(31)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고내온도센서(47)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기초하여 히터(41) 및 과열증기발생기(50)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함으로써 가열고(31) 내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배기온도센서(미도시) 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면 배기파이프(61)를 통과하는 증기가 배기순환파이프(71)로 이동하도록 유로선택부(73)를 제어하며, 배기온도센서(미도시)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이면 배기파이프(61)를 통과하는 증기가 배기열교환부(63)로 이동하도록 유로선택부(7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1)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열고(31)내부에 조리하려는 식품을 수용하며, 과열증기조리기(1)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히터(41)가 가열되어 가열고(31)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과열증기발생기(50)로부터 과열증기가 발생되어 가열고(31)로 유입된다. 그러면, 과열증기에 의해 식품이 조리된다. 그리고, 가열고(31)내의 증기는 유로선택부(73)에 의해 배기파이프(61)를 통해 배기열교환부(63)로 배출되거나, 배기순환파이프(71)를 통해 다시 과열증기발생기(50)로 유입되어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패널(21) 등을 통해 과열증기발생기(50)에 물부족 상태를 확인하게 되면, 물공급장치(80)를 통해 과열증기발생기(50)에 물은 공급하며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는 배기순환장치를 마련하여 가열고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다시 과열증기발생기로 환원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과열증기발생기에 소비되는 물의 량을 많이 줄일 수 있으므로 물을 많이 소비하는 경우에 장착되는 별도의 물탱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전체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는 과열증기발생기에 마련된 제1가열 부 및 제2가열부를 쉬스히터 등으로 마련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는 가열고 및 과열증기발생기의 내부케이싱과 외부케이싱 사이에 진공단열층을 형성하여 내부케이싱으로부터 외부케이싱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공단열층에 복사실드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내부케이싱으로부터 외부케이싱으로 복사현상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조리기는 촉매재를 마련하여 가열고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순환장치를 마련하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체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과열증기발생기에 마련된 제1가열부 및 제2가열부를 쉬스히터 등으로 마련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가열고 및 과열증기발생기의 내부케이싱과 외부케이싱 사이에 진공단열층을 형성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공단열층에 복사실드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촉매재를 마련하여 가열고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Claims (17)

  1. 과열증기조리기에 있어서,
    물품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가열고를 갖는 조리기본체와;
    상기 가열고 내로 공급하도록 과열증기를 발생하는 과열증기발생기와;
    상기 조리기본체에 대해 마련되어 물을 주입하는 물주입부와, 상기 물주입부와 상기 과열증기발생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물을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파이프를 갖는 물공급장치와;
    상기 가열고로 공급된 증기를 배출하도록 배기파이프를 갖는 배기장치와;
    상기 배기파이프로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배기순환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순환파이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파이프로 배출되는 증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배기순환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선택부를 갖는 배기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부는 상기 조리기본체에 대해 마련된 물주입개구부와, 상기 물주입개구부를 개폐하는 물공급도어와, 상기 물공급도어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물주입개구부를 통해 주입된 물을 상기 물공급파이프로 안내하는 물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물주입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병은 상기 물주입부로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밸브가 장착된 병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의 용량은 500ml 정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물주입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는 상기 물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제1가열부와, 상기 제1가열부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발생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제2가열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가열부 및 상기 제2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쉬스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증기발생기는 상기 제1가열부 및 상기 제2가열부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발생기내부케이싱과, 상기 발생기내부케이싱와의 사이에 발생기진공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배치된 발생기외부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증기발생기의 발생기진공단열층에는 상기 발생기내부케이싱으로 전달된 열이 상기 발생기외부케이싱으로 복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생기복사실드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고는 물품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의 외측에 이격 배치된 외부케이싱을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사이에는 진공단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고의 진공단열층에는 상기 내부케이싱으로 전달된 열이 상기 외부케이싱으로 복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복사실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고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고내온도센서 및 상기 배기파이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기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내온도센서 및 상기 배기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유로선택부 및 상기 가열고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 및 상기 배기순환파이프는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된 증기가 통과하는 내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와 사이에 파이프진공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이격 배치된 외부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배기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하는 배기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고에는 가열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히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고 내에는 상기 과열증기발생기에 의해 공급된 증기를 분산시키는 증기커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와 상기 배기순환장치 및 상기 과열증기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가열고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촉매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조리기.
KR1020040065568A 2004-08-19 2004-08-19 과열증기조리기 KR10059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68A KR100598389B1 (ko) 2004-08-19 2004-08-19 과열증기조리기
CNB2005100832117A CN100441126C (zh) 2004-08-19 2005-07-07 过热蒸汽烹饪器
DE602005000738T DE602005000738T2 (de) 2004-08-19 2005-08-18 Kocher mit überhitztem Dampf
AT05255117T ATE357633T1 (de) 2004-08-19 2005-08-18 Kocher mit überhitztem dampf
JP2005237657A JP4049787B2 (ja) 2004-08-19 2005-08-18 過熱蒸気調理器
EP05255117A EP1628079B1 (en) 2004-08-19 2005-08-18 Overheat steam cooker
US11/206,976 US20070006864A1 (en) 2004-08-19 2005-08-19 Overheat steam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68A KR100598389B1 (ko) 2004-08-19 2004-08-19 과열증기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063A KR20060017063A (ko) 2006-02-23
KR100598389B1 true KR100598389B1 (ko) 2006-07-06

Family

ID=3607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568A KR100598389B1 (ko) 2004-08-19 2004-08-19 과열증기조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06864A1 (ko)
EP (1) EP1628079B1 (ko)
JP (1) JP4049787B2 (ko)
KR (1) KR100598389B1 (ko)
CN (1) CN100441126C (ko)
AT (1) ATE357633T1 (ko)
DE (1) DE60200500073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47B1 (ko) 2015-05-19 2016-10-04 황기진 증기 취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746B1 (ko) * 2006-06-19 2007-12-24 동양매직 주식회사 물통의 잔수 감지 구조를 갖는 스팀 오븐
DE102007040310A1 (de) 2007-08-24 2009-02-26 Miele & Cie. Kg Haushaltsgerät mit einem durch eine Tür verschließbaren Behandlungsraum und mit einer Einfüllvorrichtung
CN101485537B (zh) * 2008-01-16 2012-07-11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蒸汽产生装置
JP5203038B2 (ja) * 2008-05-12 2013-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0918267B1 (ko) * 2009-02-16 2009-09-18 주식회사3차버너 회전국솥의 배기가스 회수장치
JP2011002196A (ja) * 2009-06-22 2011-01-06 Omnibus:Kk 揚げ物調理装置及び揚げ物調理方法
JP5421681B2 (ja) * 2009-07-21 2014-02-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4707758B2 (ja) * 2009-10-08 2011-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蒸気発生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気調理器
DE102009055074B4 (de) 2009-12-21 2020-01-0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BR112012027798A2 (pt) * 2010-04-28 2016-08-09 Sharp Kk dispositivo de cozimento
KR101827831B1 (ko) * 2011-04-28 201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조리기기
WO2013088227A2 (en) * 2011-12-13 2013-06-20 Convotherm Elektrogerate Gmbh Cleaning cartridge for a heating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mechanism for opening cartridge
DE102012203268A1 (de) * 2012-02-29 2013-08-29 Miwe Michael Wenz Gmbh Gargerät mit Befüllöffnung zum Einfüllen von Reinigungsflüssigkeit sowie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Gargerätes mit Reinigungsflüssigkeit
KR101246681B1 (ko) * 2012-05-29 2013-03-25 (주)금성주방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JP6146799B2 (ja) * 2013-02-27 2017-06-14 株式会社 T.M.L 蒸気加熱庫内の蒸気温度の調整構造
CN104042104A (zh) * 2013-03-13 2014-09-17 东莞市微电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型电蒸装置
EP2878200A1 (en) * 2013-11-29 2015-06-03 ELECTROLUX PROFESSIONAL S.p.A. Cooking oven comprising a descaling apparatus
CN104523137A (zh) * 2014-12-23 2015-04-22 东莞市天倬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过热功能及外置热风循环功能的电蒸炉
WO2017116352A1 (en) * 2015-12-29 2017-07-06 Arcelik Anonim Sirketi An oven comprising a water tank
CN105495280A (zh) * 2016-02-18 2016-04-20 广州宝狮无线供电技术有限公司 一种高原食品加工系统
TR201618097A2 (tr) * 2016-12-08 2018-06-21 Arcelik As Su deposu i̇çeren bi̇r firin
CN112075833B (zh) * 2017-01-22 2021-10-2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及其煮饭控制方法
CN107048995A (zh) * 2017-06-14 2017-08-18 张毅蔚 一种加水真空容器炖煲
KR102046625B1 (ko) * 2017-11-06 2019-11-20 드라이스팀 주식회사 과열증기를 이용한 구이장치
CN108717750A (zh) * 2018-07-20 2018-10-30 北京七十五度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加热功能的售货机
CN108836102A (zh) * 2018-07-24 2018-11-20 广州六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可转换斜板位置的蒸柜
US10813490B2 (en) * 2019-01-31 2020-10-27 Whirlpool Corporation Water inlet connectivity for steam oven
JP7312041B2 (ja) * 2019-06-28 2023-07-20 エスペック株式会社 調理環境形成装置及び調理器
CN111166159B (zh) * 2020-01-14 2021-10-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汽外排结构及具有该结构的蒸制烹饪设备
DE102020202503A1 (de) 2020-02-27 2021-09-0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Dampfgar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Dampfgargeräts
DE102020212058A1 (de) 2020-09-24 2022-03-2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Dampfgargerät mit Überhitzer
DE102020215680A1 (de) 2020-12-10 2022-06-15 BSH Hausgeräte GmbH Dampfgargerät mit Spritze zum Zuführen oder Abführen von flüssigen Medium
KR102421938B1 (ko) * 2020-12-11 2022-07-15 김봉수 스팀토스터기
CN113093840B (zh) * 2021-03-12 2021-11-30 浙江盘毂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自动化环境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3215A (en) * 1977-12-05 1979-11-06 Mscan Metal Canada Limitee Apparatus for steaming foods
US4924072A (en) * 1987-05-14 1990-05-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Humidity control for oven chamber
US5158064A (en) * 1991-05-13 1992-10-27 Willis Thomas J Steam drying element for steam cooking device
JP3321845B2 (ja) * 1992-09-30 2002-09-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オーブン
DE4324507A1 (de) * 1993-07-21 1995-01-26 Bosch Siemens Hausgeraete Backofen
JPH07174340A (ja) * 1993-12-20 1995-07-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蒸気調理装置
DE4423557C2 (de) * 1994-07-05 2001-02-01 Wiesheu Gmbh Ofen zur Wärmebehandlung von Lebensmitteln
US5649476A (en) * 1994-08-22 1997-07-22 Production Engineered Designs, Inc. Steam generator assembly and steam cooking appliances using same
KR200229365Y1 (ko) * 2000-12-28 200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장착플레이트 장착구조
KR100437381B1 (ko) * 2000-12-28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 냉각구조
JP3936639B2 (ja) * 2002-06-05 2007-06-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JP3731816B2 (ja) * 2002-06-05 2006-0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の給水制御方法及び高周波加熱装置
KR20050056052A (ko) * 2003-12-09 2005-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기조리장치
KR101132331B1 (ko) * 2004-07-14 201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47B1 (ko) 2015-05-19 2016-10-04 황기진 증기 취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49787B2 (ja) 2008-02-20
CN100441126C (zh) 2008-12-10
KR20060017063A (ko) 2006-02-23
CN1736302A (zh) 2006-02-22
EP1628079A1 (en) 2006-02-22
DE602005000738T2 (de) 2007-12-06
ATE357633T1 (de) 2007-04-15
US20070006864A1 (en) 2007-01-11
JP2006058003A (ja) 2006-03-02
DE602005000738D1 (de) 2007-05-03
EP1628079B1 (en)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389B1 (ko) 과열증기조리기
JP4051384B2 (ja) 過熱蒸気調理器
EP1905330B1 (en) Steam generator and heating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891133B2 (en) Cooking apparatus
US7323662B2 (en) Heating apparatus for cooking
KR100629336B1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US7049550B2 (en) Overheated steam oven
US9788678B2 (en) Heating cooker
US6911626B2 (en) Overheated steam oven
US20060011071A1 (en) Heating apparatus for cook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0024381A1 (ja) 加熱調理器
KR20100030667A (ko) 증기 조리기
US20080017629A1 (en) Steam oven
US20050121019A1 (en) Overheated steam oven
JP5070999B2 (ja) 蒸気発生器及びそれを使用した加熱調理器
EP4048956B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JP4555805B2 (ja) 加熱調理器
JP5600475B2 (ja) 加熱調理器
KR100794597B1 (ko) 가열조리장치
KR10146138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14286A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JP5982196B2 (ja) 加熱調理器
JP2005155961A (ja) 高周波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