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066B1 -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 Google Patents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066B1
KR100591066B1 KR1020050112346A KR20050112346A KR100591066B1 KR 100591066 B1 KR100591066 B1 KR 100591066B1 KR 1020050112346 A KR1020050112346 A KR 1020050112346A KR 20050112346 A KR20050112346 A KR 20050112346A KR 100591066 B1 KR100591066 B1 KR 100591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underground parking
hole
parking lo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수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Priority to KR102005011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일반 건축물 또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을 출입하는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이 제공된다.
제공된 충돌방지시설은 램프벽과 램프벽의 사이에 차량출입로가 마련되고, 상기 각 램프벽과 상기 차량출입로의 사이에는 보강용 단턱이 시공된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단턱의 측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형성되는 다수의 설치공간과, 상기 각 설치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매설고정되며 볼트결합공을 갖는 삽입홈이 마련된 다수의 지주바와, 상기 각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지니며 그 일단에는 상기 볼트결합공과 대응하는 수평관통홀이 천공되고 그 타단 전면에는 매설형 너트가 결합된 다수의 연결바와, 상기 각 연결바가 상기 삽입홈내에서 소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결합공과 상기 수평관통홀을 통해 너트고정된 힌지볼트와, 상기 매설형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머리수용홈을 갖는 체결공이 그 후방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천공되며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다수의 설치봉과,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그 후방면에 마련되고 그 전면에는 다수의 반사필름이 소정간격을 두고 접착고정된 충격흡수부재로 구성된다.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Description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COLLISION PREVENT APPARATUS OF CONCRETE RAMP OF UNDERGROUND PARKING LOT FOR BUILDING}
도 1은 기존의 지하주차장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돌방지시설물 2 : 설치공간
3 : 지주바 4 : 연결바
5 : 힌지볼트 6 : 설치봉
7 : 충격흡수부재 10 : 진입램프
10a : 램프벽 10b : 차량출입로
10c : 보강용 단턱
31 : 삽입홈 41 : 수평관통홀
42 : 매설형 너트 61 : 체결공
62 : 슬라이드홈 63 : 체결볼트
71 : 삽입돌기 72 : 반사필름
311 : 볼트결합공 631 : 볼트머리
본 발명은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소형 건물 또는 공동주택은 작은 공간 안에서 최대한의 공간 활용도를 이끌어 내고자 지하주차장 배치를 필수 요건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하주차장(100)은 차량이 출입할 수 있도록 지상과 지하 주차공간을 연결하는 진입램프(2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진입램프(200)는 차량의 출/입로가 구분되어 있는 차량출입로(200b)와, 이 차량출입로(200b)의 소정부에 설치된 경광등(200d)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차량은 진입램프(200)를 통해 지하주차장(100)에 진입한 후 비어 있는 주차공간에 차량을 주차하고, 이러한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은 진입램프(200)를 통해 지상으로 이동하며, 상기한 경광등(200d)은 차량들이 진입램프(200) 에 입,출입하는 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기존의 지하주차장(100)은 진입램프(200)의 차량출입로(200b)가 협소하게 형성됨에 따라서 차량의 출입시 램프벽(200a) 또는 램프벽(200a)과 차량출입로(200b) 사이에 시공된 보강용 단턱(200c)에 차량이 부딪히는 접촉사고가 다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진입램프(200)의 차량출입로(200b) 폭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지만, 차량출입로(200b)의 폭을 충분히 확보할 경우에는 시공비가 많이 소요됨과 아울러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실제 건물 또는 주택의 시공시에는 차량이 출입할 수 있는 최소폭으로 차량출입로(200b)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진입램프(200)를 통한 차량의 출입시 접촉사고가 발생하면, 차량에 흠집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므로, 차량운전자는 차량을 수리하기 위한 불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투자해야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지하주차장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입램프를 통해 지하주차장에 차량을 출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접촉사고시 충격을 완충하여 차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램프벽과 램프벽의 사이에 차량출입로가 마련되고, 상기 각 램프벽과 상기 차량출입로의 사이에는 보강용 단턱이 시공된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단턱의 측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형성되는 다수의 설치공간;
상기 각 설치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매설고정되며, 볼트결합공을 갖는 삽입홈이 마련된 다수의 지주바;
상기 각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지니며, 그 일단에는 상기 볼트결합공과 대응하는 수평관통홀이 천공되고, 그 타단 전면에는 매설형 너트가 결합된 다수의 연결바;
상기 각 연결바가 상기 삽입홈내에서 소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결합공과 상기 수평관통홀을 통해 너트고정된 힌지볼트;
상기 매설형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머리수용홈을 갖는 체결공이 그 후방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천공되며,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다수의 설치봉;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그 후방면에 마련되고, 그 전면에는 다수의 반사필름이 소정간격을 두고 접착고정된 충격흡수부재; 를 포함하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각 연결바는 적어도 상기 삽입홈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하고, 상기 설치봉의 체결공은 적어도 2개를 천공하되, 각 체결공의 천공간격은 상기 설치공간의 형성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1)은 보강용 단턱(10c)에 형성되는 설치공간(2)과, 지주바(3)와, 연결바(4)와, 힌지볼트(5)와, 설치봉(6) 및 충격흡수부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공간(2)은 진입램프(10)의 보강용 단턱(10c), 즉 램프벽(10a)과 차량출입로(10b) 사이에 시공된 보강용 단턱(10c)의 측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형성된다. 이와 같은 각 설치공간(2)은 직사각홈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각 설치공간(2)은 상기 보강용 단턱(10c)의 양생과정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바(3)는 상기 각 설치공간(2)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매설고정된다. 이와 같은 각 지주바(3)는 상기 설치공간(2)에 매설되는 부위가 사각지주형태로 구성되며, 이러한 사각지주형태의 상부에는 삽입홈(31), 예컨대 "ㄷ"자 형태의 삽입홈(31)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삽입홈(31)의 양측면에는 볼트결합공(311)이 수평천공된다. 이때, 상기 각 지주바(3)는 철재를 그 구성재질로 적용함이 바람 직하며, 상기 보강용 단턱(10c)의 양생과정에서 상기한 각 설치공간(2)에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4)는 상기 각 삽입홈(31)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지니며, 적어도 상기 삽입홈(31)의 길이보다 긴 사각바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각 연결바(4)는 그 일단에 상기 볼트결합공(311)과 대응하는 수평관통홀(41)이 천공되고, 그 타단 전면에는 매설형 너트(42)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각 연결바(4)는 상기 각 지주바(3)를 상기 설치공간(2)에 매설할 때 힌지볼트(5)에 의해 각 지주바(3)에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각 연결바(4)는 그 일단에 천공된 수평관통홀(41)을 상기 각 지주바(3)의 볼트결합공(311)과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볼트(5)를 너트결합함으로써 각 지주바(3)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각 연결바(4)는 상기 힌지볼트(5)를 축으로 하여 상기 지주바(3)의 삽입홈(31)상에서 소정각도, 예컨대 90도의 각도로써 회동된다. 이때. 상기 각 연결바(4)는 적어도 상기 삽입홈(31)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봉(6)은 그 전면이 개방되어 그 내경에 슬라이드홈(62)이 마련되는 원형봉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설치봉(6)은 직선형태 또는 곡선형태(보강용 단턱과 대응하는 곡선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후방면에는 체결공(61)이 천공되는데, 이러한 체결공(61)의 외둘레에는 볼트머리수용홈(611), 즉 오목홈형태로 구성되는 볼트머리수용홈(6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봉(6)의 체결공(61)은 상기 설치봉(6)의 후방면에 2개를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체결공(61)의 천공간격은 상기 설치공간(2)의 형성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체결공(61)을 통해서는 체결볼트(63)가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체결볼트(63)의 볼트머리(631)는 상기 볼트머리수용홈(611)에 수용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7)는 차량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경도를 공유하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충격흡수부재(7)는 그 후방면에 상기 슬라이드홈(62)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돌기(71)가 마련되고, 그 전면에는 다수의 반사필름(72), 즉 운전자의 육안확인용 반사필름(72)이 소정간격을 두고 접착고정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의 시공상태와 이에 따른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충돌방지시설(1)은 보강용 단턱(10c)에 마련되는 각 설치공간(2)에 지주바(3)를 각각 매설하되, 이러한 각 지주바(3)의 삽입홈(31)에는 힌지볼트(5)에 의해 연결바(4)를 설치한 상태로써 매설한다. 이후, 체결볼트(63)를 통해 각 연결바(4)의 매설형 너트(42)에 각 설치봉(6)을 연결하는데, 이때에는 체결공(61)을 통해 매설형 너트(42)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63)의 볼트머리(631)가 볼트머리수용홈(611)에 수용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설치봉(6)은 인접한 2개의 연결바(4)에 각각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각 설치봉(6)의 슬라이드홈(62)에 충격흡수부 재(7)의 삽입돌기(71)를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충동방지시설(1)의 시공이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충돌방지시설(1)은 차량(도면상 미도시됨)이 진입램프(10)의 차량출입로(10b)에 진입할 때 운전자의 부주의에 인해 램프벽(10a) 또는 램프벽(10a)과 차량출입로(10b) 사이에 시공된 보강용 단턱(10c)에 부딪힐 경우 충격흡수부재(7)가 차량에 우선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완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충돌방지시설(1)의 충격흡수부재(7)에 부딪히면, 운전자는 현재 차량의 진입위치가 올바르지 못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므로 차량과 램프벽(10a) 또는 보강용 단턱(10c)의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차량에 흠집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돌방지시설(1)은 충격흡수부재(7)가 설치된 각 설치봉(6) 및 각 연결바(4)가 힌지볼트(5)에 의해 지주바(3)의 삽입홈(31)에서 소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각 설치봉(6)은 지주바(3)의 삽입홈(31)보다 길게 구성됨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각 연결바(4)와 각 설치봉(6) 및 충격흡수부재(7)를 보강용 단턱(10c)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은 보강용 단턱에 마련된 설치공간상에 지주바를 매설하되, 이 지주바에는 설치봉과 연결된 연결바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설치봉에는 충격흡수부재를 결합하여 차량이 진입램프를 통해 지하주차장에 출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접촉사고시 충격흡 수부재로 하여금 충격을 완충토록 하여 차량의 흠집발생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연결바가 지주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충격흡수부재의 위치를 보강용 단턱의 측면에서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램프벽과 램프벽의 사이에 차량출입로가 마련되고, 상기 각 램프벽과 상기 차량출입로의 사이에는 보강용 단턱이 시공되며, 충격흡수형 부재가 볼트로 체결설치되고 충격흡수형 부재에 반사필름이 부착된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단턱(10c)의 측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형성되는 다수의 설치공간(2);
    상기 각 설치공간(2)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매설고정되며, 볼트결합공을 갖는 삽입홈(31)이 마련된 다수의 지주바(3);
    상기 각 삽입홈(31)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지니며, 그 일단에는 상기 볼트결합공과 대응하는 수평관통홀이 천공되고, 그 타단 전면에는 매설형 너트(42)가 결합된 다수의 연결바(4);
    상기 각 연결바(4)가 상기 삽입홈(31) 내에서 소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결합공과 상기 수평관통홀을 통해 너트고정된 힌지볼트(5);
    상기 매설형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63)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머리수용홈을 갖는 체결공이 그 후방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천공되며, 슬라이드홈(62)이 형성된 다수의 설치봉(6);
    상기 슬라이드홈(6)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돌기(71)가 그 후방면에 마련e된 충격흡수부재(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바(4)는 적어도 상기 삽입홈(31)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고, 상기 설치봉(6)의 체결공은 적어도 2개를 천공하되, 각 체결공의 천공간격은 상기 설치공간의 형성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KR1020050112346A 2005-11-23 2005-11-23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KR100591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346A KR100591066B1 (ko) 2005-11-23 2005-11-23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346A KR100591066B1 (ko) 2005-11-23 2005-11-23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066B1 true KR100591066B1 (ko) 2006-06-20

Family

ID=3718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346A KR100591066B1 (ko) 2005-11-23 2005-11-23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0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06B1 (ko) 2014-03-26 2014-10-22 주식회사 다함포스텍 도로용 충격완화장치
CN107067815A (zh) * 2016-12-31 2017-08-18 成都育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车辆入库智能防撞报警装置
CN108487752A (zh) * 2018-04-03 2018-09-04 芜湖华佳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停车入库防碰撞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06B1 (ko) 2014-03-26 2014-10-22 주식회사 다함포스텍 도로용 충격완화장치
CN107067815A (zh) * 2016-12-31 2017-08-18 成都育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车辆入库智能防撞报警装置
CN108487752A (zh) * 2018-04-03 2018-09-04 芜湖华佳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停车入库防碰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749B1 (ko) 어긋나게 형성되는 리브의 변형을 통한 단계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시설물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100610571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로 개선구조
AU2006269700A1 (en) Cable barrier system
KR100591066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WO2007008414A2 (en) Cable-release anchor assembly
KR101542365B1 (ko)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253076B1 (ko) 가드빔이 결합된 보강가드레일 및 보강가드레일 시공방법
KR100876654B1 (ko) 내충격 디자인 펜스
JP2005299121A (ja) 侵入規制装置
KR20080095371A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0590823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방호구조물
KR101473818B1 (ko) 충격흡수식 차량용 방호울타리
KR200408057Y1 (ko) 차량 주차 스톱퍼
KR200307144Y1 (ko) 내 충격성을 갖는 볼라드
KR101302709B1 (ko) 주차장 곡선진출입로의 차량보호용 회전형 주차가드레일
KR101422598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50071444A (ko) 교량의 조립식 콘크리트 방호벽
KR200430532Y1 (ko) 난간지지봉 결합구조
KR20060035554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629730B1 (ko) 건축단지 지하주차장 기둥보호 시설
JP2021055327A (ja) 車止め
JP4170800B2 (ja) 防護柵設置対応型擁壁ブロック
CN220414079U (zh) 一种市政交通防撞柱
KR102536282B1 (ko) 무볼팅식 카스토퍼
KR100635644B1 (ko) 도로용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