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290B1 - 다층 수지 연신필름 - Google Patents

다층 수지 연신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290B1
KR100588290B1 KR1020017012246A KR20017012246A KR100588290B1 KR 100588290 B1 KR100588290 B1 KR 100588290B1 KR 1020017012246 A KR1020017012246 A KR 1020017012246A KR 20017012246 A KR20017012246 A KR 20017012246A KR 100588290 B1 KR100588290 B1 KR 100588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stretched film
multilayer
amorph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633A (ko
Inventor
이시게아쯔시
기타무라가즈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Publication of KR2002000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8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5/00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e.g.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1/00Polyvinylesters
    • B32B2331/04Polymers of vinyl acetate, e.g. PV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10T428/249992Linear or thermo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10T428/249992Linear or thermoplastic
    • Y10T428/249993Hydrocarb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17Next to polyene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1Polyene monomer-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Abstract

본 출원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40~90중량% 및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10~60중량%를 함유하는 기재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0~85중량% 및 비결정성 수지 15~100중량%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를 갖고, 또한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공극률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개시한다. 상기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오프셋 인쇄를 시행했을 때에 오프셋 잉크속 비히클에 의해 필름이 요철형상이 되거나, 컬되는 것을 유효하게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인쇄성이 지극히 우수하다.
올레핀계 수지, 기재층, 비결정성 수지, 다층 수지 연신필름, 비히클

Description

다층 수지 연신필름{Multilayered stretched resin film}
본 발명은, 오프셋 인쇄했을 때에, 오프셋 잉크속 비히클에 의해 필름이 요철형상이 되거나, 컬(curl)되는 것을 방지하여, 잉크 건조성의 지연을 개량한 인쇄성이 우수한 다층 수지 연신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지도, 북커버, 포장지, 서적용지, 스티커용지, 포스터용지, 메뉴용지, 현수막, 라벨, 쇼핑백, 깔개, 카탈로그, 전식간판(電飾看板) 등의 소재로서 유용하다.
천연펄프 초조지(抄造紙) 대신에, 무기 미세분말을 5~40중량%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의 2축연신필름을 기재층으로 하여, 이 앞뒷면에 무기 미세분말을 8~65중량%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의 1축연신필름을 지상층(紙狀層)으로서 형성한 합성지가 제안되어, 실용화되어 있다(미국특허 제4,318,950호 명세서, 일본국특공소46-40794호 공보, 일본국특공소60-36173호 공보, 일본국특공소62-35412호 공보 등 참조).
통상, 오프셋 인쇄, 소위 리토그래프(lithograph)는, 다색인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종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폴리아미드필름, 도공지 등의 인쇄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범용의 건조형 오프셋 잉크는 아래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Figure 112001024672703-pct00017
Figure 112001024672703-pct00022
위에 기재된 비히클은, 인쇄잉크를 구성하는 성분 중 액체성분으로, 안료를 분산시켜 잉크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인쇄기상에서, 잉크통으로부터 각 롤러, 판, 블랭킷을 거쳐 피인쇄면으로 원활히 이동시키는 것과, 인쇄 후에 고체로 변화하여, 안료를 인쇄면에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인쇄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오프셋 잉크의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잉크의 비히클로서 건성유에 수지와 광유(고비점 석유계 용제)를 배합한 건조성 잉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속건형 오프셋 잉크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필름이나 폴리올레핀에 무기 미세분말을 함유시킨 필름의 연신물로 된 합성지에 인쇄를 행하면, 속건형 오프셋 잉크에 사용되고 있는 오프셋 잉크속 비히클에 의해 폴리올레핀 자체가 팽윤되어, 인쇄한 필름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요철을 생기게 하거나, 컬되거나 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는 것은 곤란했다. 따라서, 폴리올레핀필름용의 오프셋용 잉크로서, 속건성을 희생으로 한 광유가 배합되어 있지 않은 특수한 오프셋 잉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올레핀필름용 특수한 오프셋 잉크는, 건조시간이 긴 것과, 인쇄소나 잉크제조 메이커가 한정되기 때문에, 범용의 산화중합형(건조유형) 오프셋 잉크를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필름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었다.
즉, 일반 인쇄회사에서는, 상질지, 코팅지 등의 펄프계 종이에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속건성 잉크를 사용하여 오프셋 인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폴리올레핀필름 또는 합성지를 인쇄하려고 하면, 그 때만 특수한 비흡수성 소재용 오프셋 잉크로 교체하여 인쇄를 해야만 했었다. 이 잉크의 교체에는 많은 시간과 일손이 드는 것으로부터, 일반 인쇄회사에서는 합성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의 인쇄를 적극적으로 행하지 않아, 그것이 폴리올레핀필름 또는 폴리올레핀계 합성지의 오프셋 인쇄용으로의 보급을 방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비결정성 수지를 첨가하여 다층필름의 일부에 사용하는 시도가, 지금까지도 이루어지고 있다(일본국특개평8-333466호 공보). 그러나, 오프셋 잉크속 비히클(특히 광유 등의 고비점 석유계 용제)이 기재층에 도달하여 필름 전체가 팽윤되어 버리는 문제(이하「용제어택」이라 약칭한다)를 해결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범용의 속건성 오프셋 잉크를 사용하여 오프셋 인쇄를 행해도 표면에 요철이 생기거나, 필름 전체에 컬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잉크의 속건성이 있는 인쇄성이 우수한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 등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1층으로서 비결정성 수지를 적당한 비율로 배합하여, 이 층의 공극률이 낮아지도록 연신함으로써 용제어택을 개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특히 표층에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잉크의 속건성을 개량하여, 인쇄성이 우수한 다층 수지 연신필름이 얻어진다고 하는 사실 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40~90중량% 및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10~60중량%를 함유하는 기재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0~85중량% 및 비결정 수지 15~100중량%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갖고, 또한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공극률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에 사용하는 비결정 수지는 고리상 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전이온도는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결정 수지 함유층(B)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두께는 1~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갖는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30~85중량% 및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15~70중량%를 더 함유하는 표면층(C)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C)의 두께는 1~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무기 미세분말의 입경 또는 유기 충전제의 평균 분산입경은 0.01~6 ㎛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산칼슘, 특히 표면처리 탄산칼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C)의 평활도(JIS P8119)는 20000 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층(A),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및/또는 표면층(C)을 포함하는 층구성이, (C)/(B)/(A)/(B)/(C), (C)/(B)/(A)/(B), (C)/(B)/(A)/(C), (C)/(B)/(A), (B)/(A)/(B), (B)/(A)/(C) 또는 (B)/(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층(A)과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또는 표면층(C) 사이에, 무기 미세분말을 8~55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로 된 중간층(D)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D)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또는 에틸렌 ·초산비닐공중합체의 저융점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불투명도(JIS P8138)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표면상에 안료(pigment)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는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컬높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중, 1은 인쇄물, 2는 평탄한 책상, h는 컬높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40~90중량% 및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10~60중량%를 함유하는 기재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0~85중량% 및 비결정성 수지 15~100중량%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수지 함 유층(B)을 갖는 구조를 필수 구성요소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이러한 기재층(A)과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으로 된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30~85중량% 및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15~70중량%를 함유하는 표면층(C)을 갖는다. 그래서, 기재층(A),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표면층(C)에 대하여 기재한 다음,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재층(A)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기재층(A)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40~90중량% 및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충전제 10~60중량%를 함유한다.
기재층(A)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등의 탄소수 2~8의 α-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및 이들의 α-올레핀 2~5종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이더라도 블록 공중합체이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밀도가 0.89~0.97 g/㎤, 용융지수(melt flow rate)(190℃, 2.16 kg 하중)가 1~10 g/10분인 분지 폴리에틸렌, 직쇄상 폴리에틸렌;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0.2~20 g/10분인 프로필렌단독중합체, (4-메틸-1-펜텐)단독중합체, 프로필렌 ·에틸렌공중합체, 프로필렌 ·1-부텐공중합체, 프로필렌 ·에틸렌·1-부텐공중합체, 프로필렌 ·4-메틸-1-펜텐공중합체, 프로필렌 ·3-메틸-1-펜텐공중합체,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프로필렌 ·에틸렌 ·3-메틸-1-펜텐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프로필렌단독중합체, 프 로필렌 ·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저렴하고 성형가공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기재층(A)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융점(DSC곡선의 피크온도)이 130~2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융점(DSC곡선의 피크온도)이 155~174℃이고, 용융지수(JIS K7210)가 0.5~10 g/10분이며, 결정화도가 45~70%인 프로필렌단독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A)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1종류를 선택하여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기재층(A)에 사용하는 무기 미세분말은, 평균입경이 0.01~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5~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층(A)에 사용하는 유기 충전제는 평균 분산입경이, 0.01~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5~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미세분말로서는,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 소성 클레이, 탈크, 산화티탄,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규조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미세분말의 표면처리품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 및 그들의 표면처리품, 클레이, 규조토를 사용하면 저렴하고 연신시의 공극 형성성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기 충전제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멜라민 수지, 고리상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설파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에테르케톤, 폴리페 닐렌설파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보다도 융점 또는 유리전이점온도가 높아 비상용성 유기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공극 형성면에서 바람직하다.
기재층(A)에는, 상기의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이것을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충전제와 무기 미세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기재층(A)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의 배합비율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40~90중량%이고,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가 10~60중량%이다. 바람직한 배합비율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60~90중량%이고,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가 10~40중량%이다. 더욱 바람직한 배합비율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65~90중량%이고,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가 10~35중량%이다.
기재층(A)은 보이드를 다수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극률은 10~55%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A)의 공극률이란,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단면을 주사형(走査型)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구한, 기재층(A) 공극의 면적비율을 말한다. 이와 같이 보이드를 다수 가지고 있는 기재층(A)을 사용하면,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경량화에도 도움이 된다. 보이드는 연신에 의해 형성되지만, 연신방법은 1축연신이더라도 2축연신이더라도 좋다.
기재층(A)의 두께는 20~2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2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0~85중량% 및 비결정성 수지 15~100중량%를 함유한다.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의 기재층(A)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융점(DSC곡선의 피크온도)이 155~174℃이고, 용융지수(JIS K7210)가 0.5~20 g/10분이며, 결정화도가 45~70%인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융점(DSC곡선의 피크온도)이 120~135℃이고, 용융지수(JIS K6760)가 0.2~20 g/10분이며, 결정화도가 65~95%이고, 밀도가 0.945 g/㎤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표면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종류를 선택하여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에 사용하는 비결정성 수지로서는, 유리전이온도가 140℃ 이하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140℃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결정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70℃ 보다 낮으면 롤으로의 부착 등의 성형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140℃ 보다 높으면 연신시에 다수의 보이드가 형성되어, 공극률이 상승하기 때문에 용제어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성 수지 연신필름을 제조 할 때에는, 연신시의 온도를 비결정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결정성 수지의 종류로서는, 고리상 올레핀계 수지, 어택틱(atactic)폴리스티렌, 석유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 중에서는, 고리상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상 올레핀계 수지는, 다음의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고리상 올레핀계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개환중합체,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수소화물 및 다음의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고리상 올레핀계 모노머와 에틸렌의 부가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1024672703-pct00012
일반식(1)에 있어서, n은 0 또는 양의 정수이고, R1~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및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자 또는 기를 나타내고, R9~R12는 서로 결합하여 단환 또는 다환의 기를 형성하고 있더라도 좋으며, 또한, 상기 단환 또는 다환의 기는 2중 결합을 갖고 있더라도 좋으며, 또 한, R9와 R10, 또는 R11과 R12는 하나가 되어 알킬리덴기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고리상 올레핀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특개평2-227424호 공보, 일본국특개평2-276842호 공보, 일본국특개평5-97719호 공보, 일본국특개평7-41550호 공보, 일본국특개평8-72210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의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고리상 올레핀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시클로[2. 2. 1]헵트-2-엔유도체, 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유도체, 헥사시클로[6. 6. 1. 13,6. 110,13. O2,7 . O9,14]-4-헵타데센유도체, 옥타시클로[8. 8. 0. 12,9. 14,7. 111,18. 113,16. 03,8 . 012,17]-5-도코센(docosene)유도체, 펜타시클로[6. 6. 1. 13,6. O2,7. O9,14]-4-헥사데센유도체, 헵타시클로-5-에이코센(eicosene)유도체, 헵타시클로-5-헨에이코센유도체, 트리시클로[4. 3. 0. 12,5]-3-데센유도체, 트리시클로[4. 4. 0. 12,5]-3-운데센유도체, 펜타시클로[6. 5. 1. 13,6. 02,7. O9,13]-4-펜타데센유도체, 펜타시클로펜타데카디엔유도체, 펜타시클로[7. 4. 0. 12,5. 19,12. 08,13]-3-펜타데센유도체, 헵타시클로[8. 7. 0. 13,6. 110,17. 112,15. 02,7. 011,16]-4-에이코센유도체, 노나시클로[10. 9. 1. 14,7. 113,20. 115,18. 03,8. 02,10. 012,21. 014,19]-5-펜타코센유도체, 펜타시클로[8. 4. 0. 12,5. 19,12. 08,13]-3-헥사데센유도체, 헵타시클로「8. 8. 0. 14,7. 111,18. 113,16 . 03,8. 012,17」-5-헨 에이코센유도체, 노나시클로[10. 10. 1. 15,8. 114,21. 116,19. 02,11 . 04,9. 013,22. 015,20]-5-헥사코센유도체, 1,4-메타노-1,4,4a,9a-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유도체, 1,4-메타노-1,4,4a,5,10,10a-헥사히드로안트라센유도체 및 시클로펜타디엔-아세나프틸렌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시클로[2. 2. 1]헵트-2-엔, 6-메틸비시클로[2. 2. 1]헵트-2-엔, 5,6-디메틸비시클로[2. 2. 1]헵트-2-엔, 1-메틸비시클로[2. 2. 1]헵트-2-엔, 6-에틸비시클로[2. 2. 1]헵트-2-엔, 6-n-부틸비시클로[2. 2. 1]헵트-2-엔, 6-이소부틸비시클로[2. 2. 1]헵트-2-엔, 7-메틸비시클로[2. 2. 1]헵트-2-엔 등의 비시클로[2. 2. 1]헵트-2-엔유도체;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메틸테트라시클로[4. 4. O. 12,5. 17,10]-3-도데센, 8-에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프로필테트라시클로[4. 4. 0. 12,5. 1 7,10]-3-도데센, 8-부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이소부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헥실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 ]-3-도데센, 8-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스테아릴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5, 10-디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 7,10]-3-도데센, 2,10-디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9-디메틸테트라시클로 [4. 4. 0. 12,5. 17,10] -3-도데센, 8-에틸-9-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 17,10]-3-도데센, 11,12-디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2,7,9-트리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9-에틸-2,7-디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9-이소부틸-2,7-디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 17,10]-3-도데센, 9,11,12-트리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9-에틸-11,12-디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9-이소부틸-11,12-디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5,8,9,10-테트라메틸테트라시클로 [4. 4. 0. 12,5. 17,10]-3-도데센, 8-에틸리덴-9-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 17,10]-3-도데센, 8-에틸리덴-9-에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에틸리덴-9-이소프로필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에틸리덴-9-부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n-프로필리덴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n-프로필리덴-9-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 17,10]-3-도데센, 8-n-프로필리덴-9-에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n-프로필리덴-9-이소프로필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n-프로 필리덴-9-부틸테트라시클로[4. 4. O. 12,5. 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9-메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9-에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 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9-이소프로필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 ]-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9-부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클로로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브로모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플루오로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 ]-3-도데센, 8,9-디클로로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등의 테트라시클로[4. 4. O. 12,5. 17,10]-3-도데센유도체;헥사시클로[6. 6. 1. 13,6. 110,13. O2,7. O9,14]-4-헵타데센, 12-메틸헥사시클로[6. 6. 1. 13,6. 110,13. O2,7. O9,14]-4-헵타데센, 12-에틸헥사시클로 [6. 6. 1. 13,6. 110,13. O2,7. O9,14]-4-헵타데센, 12-이소부틸헥사시클로[6. 6. 1. 13,6. 110,13. O2,7. O9,14]-4-헵타데센, 1,6,10-트리메틸-12-이소부틸헥사시클로[6. 6. 1. 13,6. 110,13. O2,7. O9,14]-4-헵타데센 등의 헥사시클로[6. 6. 1. 13,6. 110,13. O2,7. O9,14]-4-헵타데센유도체;옥타시클로[8. 8. O. 12,9. 14,7. 111,18 . 113,16. O3,8. O12,17]-5- 도코센, 15-메틸옥타시클로[8. 8. O. 12,9. 14,7. 111,18. 113,16 . O3,8. O12,17]-5-도코센, 15-에틸옥타시클로[8. 8. 0. 12,9. 14,7. 111,18. 113,16. O 3,8. O12,17]-5-도코센 등의 옥타시클로[8. 8. O. 12,9. 14,7. 111,18. 113,16. O3,8 . O12,17]- 5-도코센유도체;펜타시클로 [6. 6. 1. 13,6. O2,7. O9,14]-4-헥사데센, 1,3-디메틸펜타시클로[6. 6. 1. 13,6. O2,7. O9,14]-4-헥사데센, 1,6-디메틸펜타시클로[6. 6. 1. 13,6. O2,7. O9,14 ]-4-헥사데센, 15,16-디메틸펜타시클로[6. 6. 1. 13,6. O2,7. O9,14]-4-헥사데센 등의 펜타시클로[6. 6. 1. 13,6. O2,7. 09,14]-4-헥사데센유도체;헵타시클로[8. 7. 0. 12,9 . 14,7. 111,17. O3,8. O12,16]-5-에이코센, 헵타시클로[8. 8. O. 12,9. 14,7. 111,18. O3,8. O12,17]-5-헨에이코센 등의 헵타시클로-5-에이코센유도체 또는 헵타시클로-5-헨에이코센유도체;트리시클로[4. 3. 0. 12,5]-3-데센, 2-메틸트리시클로[4. 3. 0. 12,5]-3-데센, 5-메틸트리시클로[4. 3. 0. 12,5]-3-데센 등의 트리시클로[4. 3. 0. 12,5]-3-데센유도체;트리시클로[4. 4. 0. 12,5]-3-운데센, 10-메틸트리시클로[4. 4. 0. 12,5]-3-운데센 등의 트리시클로[4. 4. 0. 12,5]-3-운데센유도체;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펜타데센, 1,3-디메틸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펜타데센, 1,6-디메틸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펜타데센, 14,15-디메틸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펜타데센 등의 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펜타데센유도체;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10-펜타데카디엔 등의 디엔화합물;펜타시클로[7. 4. O. 12,5. 19,12. O8,13]-3-펜타데센, 메틸치환펜타시클로[7. 4. O. 12,5. 19,12. O8,13]-3-펜타데센 등의 펜타시클로[7. 4. O. 12,5. 19,12. O8,13]-3-펜타데센유도체;헵타시클로[8. 7. O. 13,6. 110,17. 112,15. O2,7. 0 11,16]-4-에이코센, 디메틸치환헵타시클로[8. 7. O. 13,6. 110,17. 112,15. O2,7. O11,16 ]-4-에이코센 등의 헵타시클로[8. 7. O. 13,6. 110,17. 112,15. O2,7. O11,16]-4-에이코센유도체;노나시클로[10. 9. 1. 14,7. 113,20. 115,18. O3,8. O2,10. O12,21. O14,19 ]-5-펜타코센, 트리메틸치환노나시클로[1O. 9. 1. 14,7. 113,20. 115,18. O3,8. O2,10. O12,21 . O14,19]-5-펜타코센 등의 노나시클로[1O. 9. 1. 14,7. 113,20. 115,18. O3,8. O2,10. O12,21 . O14,19]-5-펜타코센유도체;펜타시클로[8. 4. O. 12,5. 19,12. O8,13]-3-헥사데센, 11-메틸펜타시클로[8. 4. O. 12,5 . 19,12. O8,13]-3-헥사데센, 11-에틸-펜타시클로[8. 4. O. 12,5. 19,12. O8,13]-3-헥사데센, 10,11-디메틸-펜타시클로[8. 4. O. 12,5. 19,12. O8,13]-5-헥사데센 등의 펜타시클로[8. 4. O. 12,5. 19,12. O8,13]-3-헥사데센유도체;헵타시클로[8. 8. O. 14,7. 111,18 . 113,16. O3,8. O12,17]- 5-헨에이코센, 15-메틸-헵타시클로[8. 8. O. 14,7. 111,18. 113,16. O3,8 . O12,17]-5-헨에이코센, 트리메틸-헵타시클로[8. 8. O. 14,7. 111,18. 113,16. O3,8 . O12,17]-5-헨에이코센 등의 헵타시클로[8. 8. O. 14,7. 111,18. 113,16. O3,8. O12,17 ]-5-헨에이코센유도체;노나시클로[1O. 1O. 1. 15,8. 114,21. 116,19. O2,11. O4,9 . O13,22. O15,20]-6-헥사코센 등의 노나시클로[1O. 10. 1. 15,8. 114,21. 116,19. O2,11. O4,9 . O13,22. O15,20]-6-헥사코센유도체;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11-펜타데카디엔, 메틸치환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11-펜타데카디엔, 메틸치환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11-펜타데카디엔, 메틸치환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 9,13]-4,11-펜타데카디엔, 트리메틸치환펜타시클로[4. 7. O. 12,5. O8,13. 19,12]-3-펜타데센, 펜타시클로[4. 7. O. 12,5. O8,13. 19,12]-3,1O-펜타데카디엔, 메틸치환펜타시클로[4. 7. O. 12,5. O8,13. 19,12]-3,1O-펜타데카디엔, 메틸치환펜타시클로[4. 7. O. 12,5. O8,13. 19,12]-3,1O-펜타데카디엔, 메틸치환펜타시클로[4. 7. O. 12,5. O8,13. 19,12]-3,1O-펜타데카디엔, 메틸치환헵타시클로[7. 8. O. 13,6. O2,7. 110,17. O11,16 . 112,15]-4-에이코센, 트리메틸치환헵타시클로[7. 8. O. 13,6. O2,7. 110,17. O11,16. 112,15]-4-에이코센, 테트 라메틸치환헵타시클로[7. 8. O. 13,6. O2,7. 110,17. O11,16. 112,15]-4-에이코센, 트리시클로[4. 3. 0. 12,5]-3,7-데카디엔(즉, 디시클로펜타디엔), 2,3-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5-페닐-비시클로[2. 2. 1]헵트-2-엔(즉, 5-페닐-2-노르보르넨), 5-메틸-5-페닐-비시클로[2. 2. 1]헵트-2-엔, 5-벤질-비시클로[2. 2. 1]헵트-2-엔, 5-톨릴-비시클로[2. 2. 1]헵트-2-엔, 5-(에틸페닐)-비시클로[2. 2. 1]헵트-2-엔, 5-(이소프로필페닐)-비시클로[2. 2. 1]헵트-2-엔, 8-페닐-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메틸-8-페닐-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벤질-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트릴-테트라시클로[4. 4. 0. 12,5 . 17,10]-3-도데센, 8-(에틸페닐)-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페닐)-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9-디페닐-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비페닐)-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β-나프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α-나프틸)-테트라시클로[4. 4. 0. 12,5. 17,10]-3-도데센, 8-(안트라세닐)-테트라시클로 [4. 4. 0. 12,5. 17,10]-3-도데센, 11-페닐-헥사시클로[6. 6. 1. 13,6. O2,7 . O9,14]-4헵타데센, 6-(α-나프틸)-비시클로[2. 2. 1]-헵트-2-엔, 5-(안트라세닐)-비시클로[2. 2. 1]-헵트-2-엔, 5-(비페닐)-비시클로[2. 2. 1]-헵트-2-엔, 5-(β-나프틸)-비시클로[2. 2. 1]-헵트-2-엔, 5,6-디페닐-비시클로[2. 2. 1]-헵트-2-엔, 9-(2-노르보르넨-5-일)-카르바졸, 1,4-메타노-1,4,4a,4b,5,8,8a,9a-옥타히드로플루오렌류;1,4-메타노-1,4,4a,9a-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 1,4-메타노-8-메틸-1,4,4a,9a-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 1,4-메타노-8-클로로-1,4,4a,9a-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 1,4-메타노-8-브로모-1,4,4a,9a-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 등의 1,4-메타노-1,4,4a,9a-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류;1,4-메타노-1,4,4a,9a-테트라히드로디벤조후란류;1,4-메타노-1,4,4a,9a-테트라히드로카르바졸, 1,4-메타노-9-페닐-1,4,4a,9a-테트라히드로카르바졸 등의 1,4-메타노-1,4,4a,9a-테트라히드로카르바졸류;1,4-메타노-1,4,4a,5,10,10a-헥사히드로안트라센 등의 1,4-메타노-1,4,4a,5,10,10a-헥사히드로안트라센류;7,10-메타노-6b,7,10,10a-테트라히드로플루오란센류;시클로펜타디엔-아세나프틸렌 부가물에 시클로펜타디엔을 더 부가한 화합물, 11,12-벤조-펜타시클로[6. 5. 1. 13,6. O2,7. O9,13]-4-펜타데센, 11,12-벤조-펜타시클로[6. 6. 1. 13,6. O2,7. O9,14]-4-헥사데센, 14,15-벤조-헵타시클로[8. 7. O. 12,9, 14,7 . 111,17. O3,8. O12,16]-5-에이코센, 시클로펜타디엔-아세나프틸렌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코리상 올레핀계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리상 올레핀 개환중합체의 수소화물은, 예를 들면, 일본국특개소60-26024호 공보, 일본국특개소63-218727호 공보, 일본국특개소63-2320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화합물로 된 중합촉매 등을 사용하여, 고리상 올레핀을 중합 시키고, 올레핀화합물의 수소화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촉매 등을 사용하여 공지의 수법으로 수소화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에틸렌과의 랜덤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특개소60-168708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나듐화합물 및 할로겐 함유 유기 알루미늄화합물로 된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경우 에틸렌의 분률은 40~90%가 바람직하다.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비결정성 수지의 배합비율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0~85중량%이고, 비결정성 수지가 15~100중량%이다. 비결정성 수지의 비율이 15중량% 미만이면 용제어택을 방지하는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바람직한 배합비율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20~80중량%이고, 비결정성 수지가 20~80중량%이다.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공극률은 5% 이하이어야만 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극률은 3% 이하이다.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공극률이란,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구한,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공극의 면적비율을 말한다. 공극률이 5%를 초과하면, 오프셋 잉크속 비히클(특히 광유 등의 고비점 석유계 용제)이 보이드를 통과하여 기재층(A)에 도달하여, 필름 전체가 팽윤하는 용제어택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공극률이 5% 이하의 범위라면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에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를 첨가하더라도 좋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애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에는 비 결정성 수지가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오프셋 잉크속 비히클(특히 광유 등의 고비점 석유계 용제)에 의해 비결정 수지 함유층(B) 자체의 팽윤이 억제되고 있고, 또한,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에는 보이드가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히클이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통과하여 기재층(A)에 도달하기 어려워, 다층 수지필름 자체가 팽윤하기 어려워져 있기 때문에, 요철이나 컬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에는, 범용의 속건식(건조유형) 오프셋 잉크이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두께는 1~100 ㎛가 가장 적합하다.
표면층(C)
표면층(C)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의 기재층(A)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표면층(C)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융점(DSC곡선의 피크온도)이 130~2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융점(DSC곡선의 피크온도)이 155~174℃이고, 용융지수(JIS K7210)가 0.5~20 g/10분이며, 결정화도가 45~70%인 프로필렌단독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C)에는, 상기의 기재층(A)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1종류를 선택하여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표면층(C)에 사용하는 무기 미세분말은, 평균입경이 0.01~6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5~4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7~2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층(C)에 사용하는 유기 충전제는, 평균 분산입경이 0.01~6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5~4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7~2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미세분말로서는,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 소성 클레이, 탈크, 산화티탄,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규조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미세분말의 여러 표면처리제에 의한 표면처리품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 및 그들의 표면처리품, 클레이, 규조토를 사용하면 저렴하고 연신시의 공극 형성성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의 여러 표면처리제에 의한 표면처리품이다. 표면처리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산, 지방산, 유기산, 황산에스테르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설폰산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석유 수지산, 이들의 나트륨, 칼륨, 암모늄 등의 염, 또는, 이들의 지방산에스테르, 수지산에스테르, 왁스, 파라핀 등이 바람직하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디엔계 중합체,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실란계 커플링제, 인산계 커플링제 등도 바람직하다. 황산에스테르형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장쇄 알코올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황산화유 등 또는 그들의 나트륨, 칼륨 등의 염을 들 수 있고, 설폰산형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벤젠설폰산, 알킬나프탈렌설폰산, 파라핀설폰산, α-올레핀설폰산, 알킬설포숙신산 등 또는 그들의 나트륨, 칼륨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카프로산, 카프릴산, 펠라곤산(pelargonic acid), 카프르산, 운데칸산, 라우르산,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인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엘레오스테 아르산 등을 들 수 있고,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말레산, 소르브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디엔계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을 들 수 있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표면처리제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충전제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멜라민 수지, 고리상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설파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보다도 융점 또는 유리전이점온도가 높아서 비상용성 유기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공극 형성면에서 바람직하다.
표면층(C)에는, 상기의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이것을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충전제와 무기 미세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표면층(C)의 두께는 1~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제조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어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라도,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는 요건을 만족하는 것인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바 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미리 기재층(A)용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여, 이것을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4~7배 연신하고, 이어서, 이 세로연신 필름상에, 미리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용 수지 조성물과 필요에 따라 표면층(C)용 수지 조성물을 따로 따로 용융 혼련하여, 이들을 목적으로 하는 층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라미네이트하고, 가로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기재층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의 융점 보다는 5~35℃ 낮은 온도에서, 또한, 비결정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에서 4~12배 연신하고, 이어서 열처리하고, 냉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는, 기재층(A)용 수지 조성물,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용 수지 조성물 및 필요에 따라서 표면층(C)용 수지 조성물을 각각 용융 혼련하여, 목적으로 하는 층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공압출하고,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비결정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세로방향으로 4~7배 연신하고, 이어서, 이것을 가로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기재층의 올레핀계 중합체의 융점 보다는 5~35℃ 낮고, 비결정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에서 4~12배 연신하고, 이어서 열처리하고, 냉각함으로써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기재층(A)용 수지 조성물,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용 수지 조성물 및 필요에 따라서 표면층(C)용 수지 조성물을 따로 따로 용융 혼련하여, 목적으로 하는 층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공압출하고,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비결정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보다 1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세로방향으로 4~7배 연신하고, 이어서 열처리하 고, 냉각함으로써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기재층(A)의 한쪽 면에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층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은, 기재층(A)의 한쪽 면에만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양면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갖는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표면층(C)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C)은, 상기 적층체의 한쪽 면에만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양면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불투명도(JIS P8138에 의해 측정)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70% 보다 작은 경우, 종이의 감촉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두께는 30~450 ㎛가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특히 바람직한 층구성은, (C)/(B)/(A)/(B)/(C), (C)/(B)/(A)/(B), (C)/(B)/(A)/(C), (C)/(B)/(A), (B)/(A)/(B), (B)/(A)/(C) 또는 (B)/(A)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B)/(A)」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는, 기재층(A) 위에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 때, 2개의 층 사이에는 기재층(A),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표면층(C) 이외의 층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관 없다. 그러한 층은,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용도나 기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종이의 감촉을 더 부가시키기 위해서, 기재층(A)과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또는 표면층(C)과의 사이에, 무기 미세분말을 8~55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층을 중간층으로서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중간층에는, 연신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소량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에틸렌 ·초산비닐공중합체의 저융점 수지를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표면에는, 오프셋 인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로나방전처리 또는 프레임처리를 행하거나, 폴리에틸렌이민, 부틸화 폴리에틸렌이민, 히드록시프로필화 폴리에틸렌이민, 히드록시에틸화 폴리에틸렌이민, 2,3-디히드록시프로필화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틸렌이민-요소), 폴리아민폴리아미드 등의 에틸렌이민부가물, 폴리아민폴리아미드 등의 에피클로로히드린부가물, 3급 내지 4급 질소함유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를 도포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오프셋 인쇄 적정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인쇄되는 면에 안료 코팅층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료 코팅층은, 일반적인 코팅지의 도공법에 준하여 안료 도공을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안료 도공에 사용되는 안료 코팅제로서는, 통상의 코팅지에 사용되는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규산칼슘, 플라스틱 안료 등의 안료 30~80중량%와, 접착제 20~70중량%를 함유하는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때에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SBR(스티렌 ·부타디엔공중합체 러버), MBR(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공중합체 러버)등의 라텍스, 아크릴계 에멀젼, 전분, PVA(폴리비닐알코올),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이들 배합제에는, 아크릴산 ·아크릴산 소다공중합체 등의 특수 폴리카르복실산나트륨 등의 분산제나, 폴리아미드요소계 수지 등의 가교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안료 코팅제는 일반적으로 15~70중량%, 바람직하게는 35~65중량% 고형분농도의 수용성 도공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도공제를 다층 수지 연신필름에 도공하는 수단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그라비아도공, 메이어 바(mayer bar)도공, 롤도공, 블레이드도공, 사이즈 프레스도공 등의 도공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공량은 일반적으로는 0.01~20 g/㎡, 바람직하게는 0.1~15 g/㎡로 할 수 있다.
아래에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예에 나타내는 재료, 시약, 비율, 조작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9 및 비교예 2~3)
용융지수(MFR) 0.8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 80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와의 혼합물에,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12중량%를 배합하여 조성물(A)을 얻었다. 이 조성물(A)을, 270℃로 설정한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장치 에 의해 냉각하여 무연신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140℃로 가열 후,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5배 연신했다.
이와는 별도로, 표3에 기재되는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표3에 기재되는 양으로 혼합하여 조성물(B)을 조제하고, 표3에 기재되는 무기 미세분말을 표3에 기재되는 첨가량으로 MFR가 4.0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와 혼합하여 조성물(C)을 조제했다. 또한, MFR가 4.0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50중량%와,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50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물(D)을 조제했다. 이들 조성물 (B),(C) 및 (D)를, 270℃로 설정한 별개의 압출기로 각각 용융 혼련하여, 다이 내부에서 적층한 후, 1대의 다이로부터 공압출하여, 얻어진 시트를 위에서 얻어진 5배 연신시트(A)의 한쪽 면에 (C)/(B)/(D)/(A)가 되도록 적층했다. 또한, 반대 쪽면에도 동일하게 하여 (C)/(B)/(D)/(A)/(D)/(B)/(C)가 되도록 적층하여, 7층의 적층물을 얻었다.
이어서, 이 7층의 적층물을 155℃에서 가열한 후, 가로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7.5배로 연신하고, 163℃에서 어닐링처리함으로써 7층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 7층 적층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C)/(B)/(D)/(A)/(D)/(B)/(C)[각 필름의 두께는 각각, 4 ㎛/4 ㎛/22 ㎛/70 ㎛/22 ㎛/4 ㎛/4 ㎛]의 7층 구조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이 제조방법을,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종류와 양 및 표면층(C)의 무기 미세분말을 표3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바꿔 서 반복하여, 실시예 1~19 및 비교예 2~3의 21종류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또한, 사용한 비결정성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무기 미세분말의 상세한 사항은 표2에 기재되는 바와 같다.
(비교예 1)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MFR가 5.0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점 피크점 160℃, 융해 종료온도 167℃) 55중량%와 평균입자경 1.25 ㎛인 탄산칼슘 45중량%로 된 층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7층 구조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0)
용융지수(MFR) 0.8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 80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와의 혼합물에,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12중량%를 배합하여 조성물(A)을 얻었다. 이 조성물(A)을, 270℃로 설정한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하여 무연신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140℃로 가열 후,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5배 연신했다.
이와는 별도로, 표3에 기재되는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표3에 기재되는 양으로 혼합하여 조성물(B)을 조제하고, 표3에 기재되는 무기 미세분말을 표3에 기재되는 첨가량으로 MFR가 4.0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와 혼합하여 조성물(C)을 조제했다. 이 조성물(B),(C)를, 270℃로 설정한 압출기로 각각 용융 혼련하고, 다이로부터 공압 출하여, 얻어진 시트를 위에서 얻어진 5배 연신시트(A)의 한쪽 면에 표면층(C)이 바깥쪽이 되도록 적층했다. 또한, 5배 연신시트(A)의 반대 쪽면에도 동일하게 하여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과 표면층(C)을 표면층(C)이 바깥쪽이 되도록 적층하여, 5층의 적층물을 얻었다.
이어서, 이 5층의 적층물을 155℃로 가열한 후, 가로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7.5배로 연신하고, 163℃에서 어닐링처리함으로써 5층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 5층 적층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C)/(B)/(A)/(B)/(C)[각 필름의 두께는 각각, 15 ㎛/15 ㎛/70 ㎛/15 ㎛/15㎛]의 5층 구조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1)
용융지수(MFR) 0.8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 80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와의 혼합물에,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12중량%를 배합하여 조성물(A)을 조제했다. 이와는 별도로, 표3에 기재되는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표3에 기재되는 양으로 혼합하여 조성물(B)을 조제하고, 표3에 기재되는 무기 미세분말을 표3에 기재되는 첨가량으로 MFR가 4.0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와 혼합하여 조성물(C)을 조제했다. 이들 조성물(A),(B) 및 (C)를, 270℃로 설정한 별개의 압출기로 각각 용융 혼련한 후, 다이 내부에서 (C)/(B)/(A)/(B)/(C)가 되도록 적층하여 1대의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공압출하고,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하여 무연신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155℃로 가열 후, 롤군 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5배 연신했다. 이어서, 이 5층의 적층물을 155℃로 가열한 후, 가로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7.5배의 연신을 행하고, 163℃에서 어닐링처리하여, 5층 필름을 얻었다. 이 5층 적층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C)/(B)/(A)/(B)/(C)[각 필름의 두께는 각각, 5 ㎛/5 ㎛/50 ㎛/5 ㎛/5 ㎛]의 5층 구조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2)
용융지수(MFR) 0.8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 72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와의 혼합물에,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20중량%를 배합하여 조성물(A)을 조제했다. 이와는 별도로, 표3에 기재되는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표3에 기재되는 양으로 혼합하여 조성물(B)을 조제하고, 표3에 기재되는 무기 미세분말을 표3에 기재되는 첨가량으로 MFR가 4.0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와 혼합하여 조성물(C)을 조제했다. 이들 조성물(A),(B),(C)를, 270℃로 설정한 별개의 압출기로 각각 용융 혼련한 것을, 1대의 다이로부터 (C)/(B)/(A)/(B)/(C)가 되도록 시트상으로 공압출하고,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하여 무연신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140℃로 가열 후,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145℃에서 어닐링처리함으로써 5층 필름을 얻었다. 이 5층 적층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C)/(B)/(A)/(B)/(C)[각 필름의 두께는 각각, 15 ㎛/15 ㎛/70 ㎛/15 ㎛/15 ㎛]의 5층 구조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3~34 및 비교예 5 및 6)
용융지수(MFR) 0.8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 80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와의 혼합물에,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12중량%를 배합하여 조성물(A)을 얻었다. 이 조성물(A)을, 270℃로 설정한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하여 무연신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140℃로 가열 후,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5배 연신했다.
이와는 별도로, 표4에 기재되는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표4에 기재되는 양으로 혼합하여 조성물(B)을 조제했다. 또한, MFR가 4.0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 50중량%와,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50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물(D)을 조제했다. 이들의 조성물(B) 및 (D)를, 270℃로 설정한 별개의 압출기로 각각 용융 혼련하여, 다이 내부에서 적층한 후, 1대의 다이로부터 공압출하여, 얻어진 시트를 위에서 얻어진 5배 연신시트(A)의 한쪽 면에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이 바깥쪽이 되도록 적층했다. 또한, 반대 쪽면에도 동일하게 하여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이 바깥쪽이 되도록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및 층(D)을 적층하여, 5층의 적층물을 얻었다.
이어서, 이 5층의 적층물을 155℃로 가열한 후, 가로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7.5배로 연신하고, 163℃에서 어닐링처리함으로써 5층 적층을 얻었다. 이 5층 적층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B)/(D)/(A)/(D)/(B)[각 필름의 두께는 각각, 5 ㎛/25 ㎛/70 ㎛/25 ㎛/5 ㎛]의 5층 구조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이 제조방법을,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종류와 양을 표4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바꿔서 반복하여, 실시예 23~34 및 비교예 5 및 6의 14종류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또한, 사용한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상세한 것은 표2에 기재되는 바와 같다.
(비교예 4)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MFR가 5.0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점 피크점 160℃, 융해 종료온도 167℃) 55중량%와 평균입자경 1.5 ㎛인 탄산칼슘 45중량%를 포함하는 층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5층 구조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5)
용융지수(MFR) 0.8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 80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와의 혼합물에,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12중량%를 배합하여 조성물(A)을 얻었다. 이 조성물(A)을, 270℃로 설정한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하여 무연신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140℃로 가열 후,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5배 연신했다.
이와는 별도로, 표4에 기재되는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표4에 기재되는 양으로 혼합하여 조성물(B)을 조제했다. 이 조성물(B)을, 270℃로 설정한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고,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얻어진 시트를 위에서 얻어진 5배 연신시트(A)의 한쪽 면에 적층했다. 또한, 5배 연신시트(A)의 반대 쪽면에도 동일 하게 하여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적층하여, 3층의 적층물을 얻었다.
이어서, 이 3층의 적층물을 155℃로 가열한 후, 가로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7.5배로 연신하고, 163℃에서 어닐링처리함으로써 3층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 3층 적층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B)/(A)/(B)[각 필름의 두께는 각각, 15 ㎛/80 ㎛/15 ㎛]의 3층 구조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6)
용융지수(MFR) 0.8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해 종료온도 167℃) 80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와의 혼합물에,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12중량%를 배합하여 조성물(A)을 조제했다. 이와는 별도로, 표4에 기재되는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표4에 기재되는 양으로 혼합하여 조성물(B)을 조제했다. 이들 조성물(A) 및 (B)를, 270℃로 설정한 별개의 압출기로 각각 용융 혼련한 후, 다이 내부에서 (B)/(A)/(B)가 되도록 적층하여 1대의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공압출하고,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하여 무연신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155℃로 가열 후,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5배 연신했다. 이어서, 이 3층의 적층물을 155℃로 가열한 후, 가로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7.5배의 연신을 행하고, 163℃에서 어닐링처리하여, 3층의 필름을 얻었다. 이 3층 적층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B)/(A)/(B)[각 필름의 두께는 각각, 5 ㎛/50 ㎛/5㎛]의 3층 구조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7)
용융지수(MFR) 0.8 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해 피크온도 160℃, 융 해 종료온도 167℃) 72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8중량%와의 혼합물에, 평균입경 1.5 ㎛인 탄산칼슘 20중량%를 배합하여 조성물(A)을 조제했다. 이와는 별도로, 표4에 기재되는 비결정성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표4에 기재된 양으로 혼합하여 조성물(B)을 조제했다. 이들 조성물(A) 및 (B)를, 270℃로 설정한 별개의 압출기로 각각 용융 혼련한 것을, 1대의 다이로부터 (B)/(A)/(B)가 되도록 시트상으로 공압출하고,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하여 무연신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140℃로 가열 후,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145℃에서 어닐링처리함으로서 3층의 필름을 얻었다. 이 3층 적층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B)/(A)/(B)[각 필름의 두께는 각각, 15 ㎛/100 ㎛/15 ㎛]의 3층 구조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8~47)
실시예 25, 26, 28, 31~37에서 얻어진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한쪽 면에, (E)경질 탄산칼슘(시라이시공업(주)제 브릴리언트-15) 50중량%, (F)카리온그레이(엥겔하드(주)제 울트라화이트-90) 10중량%, (G)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에멀젼(헥스트 합성사제 모비닐 8010) 35중량%, (H)특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나혼고세이가가쿠사제 고세파이머Z-100) 5중량%에 의해 구성되는 수용성 도공제(배합수치는 고형분량을 나타낸다)를 조제하여, 10 g/㎡의 피막이 얻어지도록 도공하고, 105℃에서 1분간 건조시켜 도공필름을 얻었다.
이 경우, 무기 분말(E) 및 (F)에 대해서는 분산제로서 특수 폴리카르복실산나트륨(카오(주)제 포이즈520)을 무기 분말(E) 및 (F) 100중량부에 대해 0.5중량부 배합하고, 폴리비닐알코올(H)에 대해서는 가교제로서 폴리아미드요소계 수지(스미토모화학(주)제 스미레즈레진633)를 폴리비닐알코올(H) 100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 배합했다.
(시험예)
실시예 1~47 및 비교예 1~6에서 얻어진 다층 수지 연신필름에 대해서, 아래에 기재되는 순서로 공극률, 불투명도, 평활도를 측정하여, 오프셋 인쇄 적정(컬높이, 실기인쇄에 의한 요철, 잉크 건조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3, 표4, 표5에 나타낸다.
(1) 공극률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공극의 면적비율을 구했다. 이것을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공극률(%)로 했다.
(2) 불투명도
JIS P8138에 의해 측정했다.
(3) 평활도
실시예 1~22 및 비교예 1~3 표면층(C)의 평활도를, JIS P8119에 의해 측정했다.
(4) 컬높이
평가하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에 인쇄 적정 시험기(이시카와지마산업기계(주)제 RI-2형)로 건조형 오프셋 잉크((주)T&K TOKA제 슈퍼테크 주홍색)를 사용하여 전 이량 1.5 g/㎡가 되도록 전면에 인쇄를 시행했다. 얻어진 인쇄물을 세로 10 cm, 가로 10 cm의 크기로 절단하여 평탄한 책상(2) 위에 하루 방치한 후, 그 인쇄물(1)의 도1에 나타내는 컬의 높이(h)를 네모퉁이에 대해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했다.
(5) 요철의 발생
평가하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4색 오프셋 인쇄기(미쓰비시중공업(주)사제 0F-4)로 4색의 건조형 오프셋 잉크((주)T&K TOKA사제 슈퍼테크 흑색, 남색, 주홍색, 황색)를 각 색의 전이량이 1.5 g/㎡가 되도록 1000장 연속인쇄하고, 이 인쇄물을 봉적상태로(stacked in a columnar form)방치했다. 그리고, 잉크건조 후에, 인쇄되어 있는 부분과 인쇄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 생기는 필름의 요철을 관능평가로 판정했다. 하기의 평가기준으로 판정했다.
판정기준 O: 요철이 없는 것
△: 요철이 인정되는 것
×: 요철이 심한 것
(6) 잉크 건조성
평가하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을 4색 오프셋 인쇄기(미쯔비시중공업(주)사제 0F-4)로 4색의 건조형 오프셋 잉크((주)T&K TOKA사제 슈퍼테크 흑색, 남색, 주홍색, 황색)를 사용하여 각 색의 전이량이 1.5 g/㎡가 되도록 1000장 연속인쇄하고, 이 인쇄물을 봉적상태로 방치하여, 소정시간마다 샘플링을 행하여 건조상태를 확인했다. 잉크 건조성은 하기의 판정기준으로 판정했다.
판정기준 5 : 매우 빠르다
4 : 빠르다
3 :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
2 : 약간 느려서 문제다
1 : 매우 느리다
Figure 112001024672703-pct00013
Figure 112001024672703-pct00019
Figure 112001024672703-pct00020
Figure 112001024672703-pct00021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오프셋 인쇄를 시행했을 때에 오프셋 잉크속 비히클에 의해 필름이 요철형상으로 되거나, 컬되는 것을 유효하게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인쇄성이 지극히 우수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다층 수지 연신필름은, 지도, 북커버, 포장지, 서적용지, 스티커 용지, 포스터용지, 메뉴용지, 현수막, 라벨, 쇼핑백, 깔개, 카탈로그, 전식간판 등의 소재로서 유용하다.

Claims (20)

  1. 폴리올레핀계 수지 40~90중량% 및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10~60중량%를 함유하는 기재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0~85중량% 및 비결정성 수지 15~100중량%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가지고, 또한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공극률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수지가 고리상 올레핀계 수지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140℃ 이하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의 두께가 1~100 ㎛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의 한쪽 면에만 상기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이 형성되어 있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의 양면에 상기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이 형성되어 있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을 갖는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30~85중량% 및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15~70중량%를 함유하는 표면층(C)을 갖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C)의 두께가 1~100 ㎛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C)의 무기 미세분말의 입경 또는 유기 충전제의 평균 분산입경이 0.01~6 ㎛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C)의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가 탄산칼슘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C)의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가 표면처리 탄산칼슘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C)의 평활도(JIS P8119)가 20000 sec 이하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한쪽 면에만 상기 표면층(C)이 형성되어 있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양면에 상기 표면층(C)이 형성되어 있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 상기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30~85중량% 및 무기 미세분말 또는 유기 충전제 15~70중량%를 함유하는 표면층(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 이상을 포함하는 층구성이, (C)/(B)/(A)/(B)/(C), (C)/(B)/(A)/(B), (C)/(B)/(A)/(C), (C)/(B)/(A), (B)/(A)/(B), (B)/(A)/(C) 또는 (B)/(A)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과 상기 비결정성 수지 함유층(B) 또는 상기 표면층(C) 사이에, 무기 미세분말을 8~55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수지로 된 중간체(D)를 갖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D)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또는 에틸렌 ·초산비닐공중합체의 저융점 수지를 함유하는 다층 수지 연신필름.
  19. 제1항에 있어서, 불투명도(JIS P8138)가 70% 이상인 다층 수지 연신필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수지 연신필름의 최외층 위에 안료 코팅층이 설치된 다층 수지 연신필름.
KR1020017012246A 1999-04-02 2000-03-31 다층 수지 연신필름 KR100588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96890 1999-04-02
JP09689099A JP4053175B2 (ja) 1999-04-02 1999-04-02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633A KR20020005633A (ko) 2002-01-17
KR100588290B1 true KR100588290B1 (ko) 2006-06-12

Family

ID=1417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246A KR100588290B1 (ko) 1999-04-02 2000-03-31 다층 수지 연신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713169B2 (ko)
EP (1) EP1174262B1 (ko)
JP (1) JP4053175B2 (ko)
KR (1) KR100588290B1 (ko)
AT (1) ATE535376T1 (ko)
TW (1) TWI257348B (ko)
WO (1) WO2000059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3175B2 (ja) 1999-04-02 2008-02-27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JP4516165B2 (ja) * 1999-08-04 2010-08-04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JP4574809B2 (ja) * 2000-07-28 2010-11-04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ATE486100T1 (de) * 2000-09-29 2010-11-15 Yupo Corp Gestreckte harzfolie
JP2002249625A (ja) * 2001-02-27 2002-09-06 Nippon Zeon Co Ltd シート熱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樹脂シート
JP2002361812A (ja) * 2001-06-12 2002-12-18 Yupo Corp 多層樹脂延伸フイルム
FI20011388A (fi) 2001-06-28 2002-12-29 Stora Enso Oyj Polymeeripinnoitteinen kuumasaumattava pakkausmateriaali sekä siitä valmistettu suljettu pakkaus
US7051493B2 (en) * 2002-08-21 2006-05-30 Cryovac, Inc. High modulus, temperature-resistant film for form fill and seal packaging
JPWO2004110750A1 (ja) * 2003-06-11 2006-07-20 グンゼ株式会社 多層熱収縮性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ラベルが熱収縮装着された容器
US7258930B2 (en) 2004-04-28 2007-08-21 Cryovac, Inc. Oxygen scavenging film with cyclic olefin copolymer
KR20070041439A (ko) * 2004-05-18 2007-04-18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열수축성 필름 및 포장전지
JP5464997B2 (ja) * 2008-12-22 2014-04-09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及び面光源装置
WO2013047491A1 (ja) * 2011-09-30 2013-04-04 Dic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用記録媒体、インクジェット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891556B2 (ja) 2011-10-19 2016-03-23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水活性化シート、同シートを用いた水活性化ラベル、同ラベルの製造方法、同ラベルを用いたラベル貼着装置および同ラベル付き被着体
US9919550B2 (en) 2013-07-25 2018-03-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696810B2 (en) * 2015-03-13 2020-06-30 Toray Plastics (America), Inc. Tear resistant mono-axially oriented propylene-based film
JPWO2019188841A1 (ja) * 2018-03-29 2021-03-25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WO2019208692A1 (ja) * 2018-04-26 2019-10-31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多孔質延伸フィルム及び印刷用フィルム
JP6744672B1 (ja) * 2019-05-20 2020-08-19 株式会社Tbm 印刷用シート及び印刷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6738107B1 (ja) * 2019-07-08 2020-08-12 株式会社Tbm 印刷用シート及び印刷用シートの製造方法
US20220372338A1 (en) * 2019-09-27 2022-11-24 Yupo Corporation Laminate and hot melt-type adhesive labe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248A (en) * 1879-08-05 Improvement in making lead pigments
US235952A (en) * 1880-12-28 Postmarking and canceling machine
US248435A (en) * 1881-10-18 Thomas a
JPS59198149A (ja) * 1983-04-26 1984-11-09 王子油化合成紙株式会社 複合フィルムを用いて化粧されたポリスチレン発泡体を製造する方法
JPS6026024A (ja) 1983-07-21 1985-02-08 Nippon Zeon Co Ltd 光学材料
JPS60168708A (ja) 1984-02-03 1985-09-02 Mitsui Petrochem Ind Ltd 新規ランダム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法
JPS6323201A (ja) 1986-03-17 1988-01-30 Muramatsu Kinzoku Kogyo Kk オ−デイオ用カ−トリツジのダンパ−構造
JPS63218727A (ja) 1987-03-06 1988-09-12 Nippon Zeon Co Ltd 光学材料
JPH02276842A (ja) 1989-01-12 1990-11-13 Mitsui Petrochem Ind Ltd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2227424A (ja) 1989-03-01 1990-09-1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透明性重合体の製造方法
JP3128786B2 (ja) 1991-02-12 2001-01-29 三井化学株式会社 芳香族含有ノルボルネン類エンド体のエキソ体への異性化方法および芳香族含有ノルボルネン類異性体混合物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H0564862A (ja) * 1991-02-27 1993-03-19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鉛筆筆記性及び印刷性に優れた合成紙
JP3291857B2 (ja) 1993-07-30 2002-06-1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ノルボルネン系開環(共)重合体水素添加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H0872210A (ja) 1993-10-26 1996-03-19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積層体および用途
JP3474244B2 (ja) * 1994-02-03 2003-12-08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516484B2 (ja) 1994-07-20 2004-04-05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不透明樹脂延伸フィルム
JP3312533B2 (ja) * 1995-06-06 2002-08-12 東レ株式会社 二軸延伸白色フイルム
JPH10204199A (ja) * 1996-11-19 1998-08-04 Mitsubishi Chem Corp 多孔質成形体
GB2321875A (en) * 1997-02-08 1998-08-12 Hoechst Trespaphan Gmbh Polymeric films having voided core layer
JP4053175B2 (ja) 1999-04-02 2008-02-27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59722A1 (fr) 2000-10-12
EP1174262A4 (en) 2002-05-29
EP1174262A1 (en) 2002-01-23
KR20020005633A (ko) 2002-01-17
US7108908B2 (en) 2006-09-19
JP4053175B2 (ja) 2008-02-27
TWI257348B (en) 2006-07-01
US20020155277A1 (en) 2002-10-24
US6713169B2 (en) 2004-03-30
JP2000289156A (ja) 2000-10-17
US20040151891A1 (en) 2004-08-05
EP1174262B1 (en) 2011-11-30
ATE535376T1 (de)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764B1 (ko) 다층 수지 연신필름
KR100588290B1 (ko) 다층 수지 연신필름
US20080108744A1 (en) Stretched resin film
US10081166B2 (en) Heat-shrinkable film
AU7201700A (en) Coated film
JP4263838B2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JP4574809B2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WO2019188841A1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JP5084083B2 (ja) 樹脂フィルム
JP3516484B2 (ja) 不透明樹脂延伸フィルム
EP0732195B1 (en)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minate and printing paper using the same
JPH043904B2 (ko)
JP2022154526A (ja) 油性オフセット印刷用紙
JP2000071368A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031942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成形物
JP200418187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