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031B1 - 주차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031B1
KR100582031B1 KR1020030046611A KR20030046611A KR100582031B1 KR 100582031 B1 KR100582031 B1 KR 100582031B1 KR 1020030046611 A KR1020030046611 A KR 1020030046611A KR 20030046611 A KR20030046611 A KR 20030046611A KR 100582031 B1 KR100582031 B1 KR 100582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electronic money
tim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431A (ko
Inventor
김호정
Original Assignee
부산광역시
다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산광역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광역시, 다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산광역시시설관리공단 filed Critical 부산광역시
Priority to KR102003004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0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지불수단으로 사용되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모바일 등의 전자화폐의 고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출차를 관리하고 주차요금을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지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장을 무인화 하여 운영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고객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주차관리 시스템{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주차장의 제어시스템의 상세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차량이 주차장을 출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주차장 인근에 주차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표시판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 주차제어기 101 : 데이터베이스
201 : 보조 주차제어기 210 : 교통카드 발매기
211 : 입구측 차량감지센서 212 : 경차감지센서
213 : 입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
214 : 입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
215 : 입구측 카드단말기 216 : 입구측 차단기
217 : 입구측 차량통과감지센서 220 : 출구측 차량감지센서
221 : 출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
222 : 출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
223 : 출구측 카드단말기 224 : 교통카드충전기
225 : 출구측 차단기 226 : 출구측 차량통과감지센서
본 발명은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장을 무인으로 자동 정산화하여 고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원거리에서 각각의 주차장을 통제하여 최소의 인력으로 안정적인 통합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주차관리 시스템에서는 주차장 입차시 입차시간이 기록된 종이재질의 주차권을 발부하고, 출차시에는 정산소의 정산원이 운전자로부터 주차권을 제시받아 주차권에 기록된 입차시간에 따른 주차시간에 해당하는 주차요금을 현금으로 직접 징수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주차권에 입차시간을 기록하고, 기록된 입차시간에 기초하여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방식이므로 주차권을 분실하거나 훼손된 경우에는 차량의 입차시간을 입증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없어 이용자가 부당한 주차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종이재질의 주차권을 사용함으로써 훼손될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1회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된 주차권은 폐기됨으로 인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신용카드 등과 같은 각종 전자화폐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주차요금을 전액 현금으로 지불해야 하므로 이용자가 현금이 없고 전자화폐만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곤란을 겪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액권을 가진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교환이 어려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러한 현금 지불에 의존하기 때문에 환전소에 정산원을 항시 배치해야 함으로써 인건비가 증가하여 주차장 운영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화폐의 고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출차를 관리하고 주차요금을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지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장을 무인화 하여 운영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이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하는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면서도 고객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하기 위한 주차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차관리시스템은 주차장 입구측에 설치되며, 교통카드 발매기, 입차 차량감지센서, 경차감지센서,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 전자화폐용 카드 단말기, 차단기, 차량통과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입차 관리장치와, 주차장 출구측에 설치되며 출차 차량감지센서,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 전자화폐용 카드 단말기, 교통카드 충전기, 차단기, 차량통과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출차 관리장치와, 각 주차장 별로 설치되며 상기 입출차 관리장치들을 제어하며 입차시에는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 차량번호, 경차여부, 차량영상사진, 입차시간을 외부로 전송하고, 출차시에는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 차량번호, 차량영상사진, 출차시간을 외부로 전송하는 보조 주차제어기와, 각 주차장 별 보조 주차제어기들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 주차제어기들로부터 수신된 입출차시의 정보들을 외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저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요금 징수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주차제어기와, 상기 메인 주차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된 각 주차장에서의 차량 입차시의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 차량번호, 경차여부, 차량영상사진, 입차시간과 차량 출차시의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 차량번호, 차량영상사진, 출차시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각 주차장 인근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주차제어기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입출차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주차 안내 전광판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시스템은 특정장소에 설치되는 메인 주차제어기(100)를 포함한다. 이 메인 주차제어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후술하는 각각의 주차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 주차제어기를 포함하는 각 주차장의 제어시스템(A, B, C ...Z)(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 메인 주차제어기(100)는 각각의 주차장의 데이터를 관리 및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01)에 접속되어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101)는 각 주차장 별로 주차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한다. 또한, 이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되는 주차정보는 입차 차량을 기준으로 입차 차량의 주차장 이용에 따른 각종 정보들이 서로 대응하여 저장된다.
또한, 이 메인 주차제어기(1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을 통해 정산센터(VAN)의 컴퓨터(300)와 연결된다. 이 정산센터의 컴퓨터(300)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모바일 등의 인증 및 정산을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카드사의 컴퓨터(310), 신용카드사의 컴퓨터(320), 모바일사의 컴퓨터(330) 등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메인 주차제어기(100)는 각 주차장의 주차가능여부 등과 같은 주차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을 통해 각 주차장의 주차 진입도로 또는 시내도로 상에 설치되는 도 5와 같은 주차 안내 전광판(110)들에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각 주차장의 제어시스템의 상세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제어시스템(200)은 메인 주차제어기(100)와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보조 주차제어기(201)를 포함한다.
이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주차장 입구측에 대해서 교통카드 발매기(210), 입구측 차량감지센서(211), 경차감지센서(212), 입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213), 입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214), 입구측 카드단말기(215). 입구측 차단기(216), 입구측 차량통과감지센서(217)들을 포함하는 입차 관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플래시 메모리등이 내장됨으로써 메인제어기가 다운되었을 경우에도 예컨대 인터넷등과 같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
이 교통카드 발매기(210)는 현금을 입금하여 교통카드를 발매받기 위한 장치이다. 교통카드를 발매시는 상기 교통카드 발매기(210)의 버튼을 눌러서 예컨대 관리인에게 알리면, 관리인은 전화기나 Mobile phone등의 지시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발급할 수가 있다.
입구측 차량감지센서(211)와 입구측 차량통과감지센서(217)는 루프코일 형태로 이루어져 차량이 각각의 설치지점을 통과함에 따라 차량의 진입 또는 통과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경차감지센서(212)는 주차요금 대상 차량인 경차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가 부착된 감지봉이 여러개 배열되어서, 센서로부터 적외선 빔이 조사됨으로써 차량의 길이와 높이를 감지하여 입차하는 차량이 경차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참고로, 감지방식은 예컨대 최초 감지봉과 마지막 감지봉의 간격을 경차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하여서, 상기 두개의 감지봉이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는 시점과 동일한 순간에 두개의 감지봉 사이에 있는 감지봉이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게 될 때 상기 차량을 경차로 판독하고 바로 다음 차량의 감지로 들어가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차인식장치를 적용한 본원발명의 주차관리 시스템은 종래의, 높이/길이/축수 판별/윤거/윤폭/화상감지 등의 기술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판별하는 방식에 비해 그 구성이 단순하여 구축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동시에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또한 상대적으로 줄어든 경차 감지속도 때문에 출구정체를 유발하는 일이 없이 많은 차량들이 원활하게 주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입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213)는 입차하는 차량의 앞 번호판을 촬영한다.
입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214)는 입차하는 차량의 전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이다.
입구측 카드단말기(215)는 이용자의 교통카드, 신용카드, 모바일 등의 전자화폐의 고유 식별정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전자화폐의 고유 식별정보와 입차시간을 보조 주차제어기(201)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입구측 차단기(216)는 입차하는 차량의 통과를 허용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이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주차장 출구측에 대해서 출구측 차량감지 센서(220), 출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221), 출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222), 출구측 카드단말기(223), 교통카드 충전기(224), 출구측 차단기(225), 출구측 차량통과감지센서(6)를 포함하는 출차 관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출구측 차량감지센서(220)와 출구측 차량통과감지센서(226)는 루프코일 형태로 이루어져 차량이 각각의 설치지점을 통과함에 따라 차량의 진입 또는 통과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출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221)는 출차하는 차량의 앞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이다.
출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222)는 출차하는 차량의 전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이다.
출구측 카드단말기(223)는 이용자의 교통카드, 신용카드, 모바일 등의 전자화폐의 고유 식별정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전자화폐의 고유 식별정보를 보조 주차제어기(201)로 전송하고, 보조 주차제어기(201)에서 전송되는 입차시간에 따라 현재의 출차시간을 기초로 하여 주차요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주차요금을 표시하고, 전자화폐에서 주차요금을 지불받기 위한 장치이다.
교통카드 충전기(224)는 교통카드에 일정금액을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출구측 차단기(225)는 출차하는 차량의 통과를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이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주차장 건물에 설치되는 카드정산기(230) 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카드정산기(230)는 주차요금을 현금 또는 전자화폐(일예로 교통카드, 신용카드, 모바일 등)를 통해 주차요금을 미리 지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카드정산기(230)에서는 미리 지불하고자 하는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고유식별정보를 보조 주차제어기(201)로 전송한다.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이 고유식별정보를 메인 주차제어기(100)로 전송하고, 메인 주차제어기(100)에서는 이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을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차량들 중에서 찾고, 입차시간을 확인하여 주차요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주차요금을 보조 주차제어기(201)를 통해 카드정산기(230)로 전송한다. 카드정산기(230)에서는 전송된 주차요금을 표시함과 함께 전자화폐에서 주차요금을 지불받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카드정산기에서 주차요금을 미리 징수하면 후술되는 주차장 출구의 카드 단말기에서는 이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차량에 대해서는 주차요금을 별도로 징수하지 않고 프리 패스 시킨다. 또한, 이러한 카드 정산기(230)에서의 주차요금 선지불시 출차 유예시간이 정해지며, 이 출차 유예시간이 경과하여 출차하는 경우에는 출차시 그 경과시간에 해당하는 주차요금을 징수한다.
도 3은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카드 발매기(210), 입구측 차량감지센서(211), 경차감지센서(212), 입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213), 입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214), 입구측 카드단말기(215), 입구측 차단기(216), 입구측 차량통과감지 센서(217)가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차량이 주차장 입구로 진입하면 입구측 차량감지센서(211)는 차량이 주차장 입구로 진입하는 감지한다.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이러한 감지정보에 따라 입차관리를 위한 제어동작을 개시한다.
그런 후 차량이 계속 진행하여 경차감지센서(212)가 설치된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경차감지센서(212)는 입차되는 차량의 길이와 높이를 감지한다. 이러한 정보는 보조 주차제어기(201)로 전송되며, 보조 주차제어기(201)에서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차하는 차량이 경차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차량이 카드 단말기(215)측으로 점차 접근하면 입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213)와 입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214)가 보조 주차제어기(201)에 의해 작동되어 차량번호, 차량 영상사진 및 앞서 감지된 경차여부를 보조 주차제어기(201)로 전송한다. 보조 주차제어기(201)에서는 이러한 차량번호, 차량 영상사진, 경차여부를 메인 주차제어기(100)로 전송한다. 메인 주차제어기(100)는 이러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시킨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을 카드 단말기(215) 앞에 멈춰선 후 전자화폐를 카드 단말기(215) 내에 마련된 판독부분에 접촉시키면 카드단말기(215)는 전자화폐의 고유 식별정보(일예로, 카드번호)와 입차시간을 보조 주차제어기(201)로 전송한다.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메인 주차제어기(100)로 이 고유식별정보와 입차시간을 전송하고, 메인 주차제어기(100)는 이러한 고유 식별정보와 입차시간을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시킨다.
입차하는 차량에 대한 고유식별정보, 입차시간, 차량정보, 차량 영상사진, 경차여부 등이 데이터베이스(101)에 정상적으로 저장되면,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차단기(216)를 열어 차량이 주차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이 주차공간으로 진입하게 되면 입구측 차량통과감지센서(217)는 이를 감지하고,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이러한 차량통과정보에 따라 차단기(216)를 원래대로 닫는다.
도 4는 차량이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과정을 출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측 차량감지센서(220), 출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221), 출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222), 출구측 카드단말기(223), 교통카드충전기(224), 출구측 차단기(225), 출구측 차량통과감지센서(226)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차량이 출차를 위해 주차장 출구로 진입하게 되면 출구측 차량감지센서(226)는 주차장 출구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이러한 감지정보에 따라 출차 관리를 위한 제어동작을 개시한다.
그런 후 차량이 카드 단말기(223)측으로 점차 접근하면 출구측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221)와 입구측 차량 영상 촬영용 카메라(222)가 보조 주차제어기(201)에 의해 작동되어 차량번호와 차량 영상사진을 보조 주차제어기(201)로 전송한다.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이러한 정보를 메인 주차제어기(100)로 전송하며, 메인 주차제어기(100)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시킨다. 한다. 보조 주차제어기(201)에서는 이러한 차량번호와 차량 영상사진을 메인 주차제어기(100)로 전송하고, 메인 주차제어기(100)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시킨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1)에는 차량 입차시의 차량번호 및 차량 영상사진과 차량 출차시의 차량번호 및 차량 영상사진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운전자가 전자화폐를 분실하거나 전자화폐가 훼손된 경우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주차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을 카드 단말기(223) 앞에 멈춰선 후 전자화폐를 카드 단말기(223) 내에 마련된 판독부분에 접촉시키면 카드단말기(223)는 전자화폐의 고유 식별정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고유 식별정보와 출차시간을 보조 주차제어기(201)로 전송한다. 보조 주차제어기(201)에서는 이러한 고유 식별정보를 메인 주차제어기(100)로 전송하고, 메인 주차제어기(100)에서는 이 고유 식별정보와 출차시간을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시킨 후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일치하는 차량의 입차시간과 경차여부를 검색한다. 검색이 이루어지면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과 출차시간, 그리고, 경차여부에 기초하여 주차요금이 결정되며, 결정된 주차요금은 보조 주차제어기(201)를 통해 카드단말기(223)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카드단말기(223)는 주차요금을 표시함과 함께 전자화폐에서 주차요금을 지불받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만약, 전자화폐의 잔액이 충분치 못한 경우에는 이를 카드단말기(223)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화폐가 교통카드인 경우에는 카드 단말기(223) 인근에 설치된 교통카드 충전기(224)를 통해 일정금액을 충전한 후 주차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주차요금에 대한 지불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으면 보조 주차제어기(201)는 출구측 차단기(225)를 열어 차량이 외부로 출차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이 외부로 출차하게 되면 출구측 차량통과감지센서(226)는 이를 감지하고, 보조 주차제어기(226)는 이러한 차량통과정보에 따라 차단기(225)를 원래대로 닫는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교통카드의 경우에는 주차요금을 경차여부에 따라 할인하지만 특정 신용카드와의 주차요금 할인계약에 따른 신용카드에 대해서는 주차요금을 할인하여 할인된 주차요금을 적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할인 시스템은 장애복지카드나 사전 규정에 의한 할인등록카드를 고객이 입차시에 카드정보를 읽어서 자동으로 구분하여 할인 요금을 적용해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차관리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하여 관리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금 대신에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주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금관리 및 보관에 따른 사고위험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관리업체와 신용카드사와의 주차요금 할인계약에 따라 국가 유공자, 장애자, 기타 할인대상자들이 신용카드로 주차요금을 지불하는 경우에는 주차요금을 할인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경차의 할인시에는 경차인식장치의 구성이 단순하여 구축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유지관리 또한 용이하며 나아가, 경차인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출구정체를 유발하는 일이 없이 많은 차량들이 원활하게 주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의 입출차에 따른 주차정보가 실시간으로 처리됨으로써 주차장 인근도로 상의 도로 안내표시판 등에 주차장의 주차가능여부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어 주차장 이용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주차장 입구측에 설치되며, 입차 차량감지센서, 광센서에 의한 경차감지센서,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 전자화폐용 카드 단말기, 차단기, 차량통과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입차 관리장치와 ;
    주차장 출구측에 설치되며 출차 차량감지센서, 차량번호 촬영용 카메라, 전자화폐용 카드 단말기, 차단기, 차량통과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출차 관리장치와 ;
    각 주차장 별로 설치되어 상기 입출차 관리장치들을 제어하되 입차시에는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 차량번호 또는 영상, 경차여부, 입차시간을 메인주차제어기로 전송하고 출차시에는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 차량번호 또는 영상, 출차시간을 메인주차제어기로 전송하는 보조 주차제어기와 ;
    각 주차장 별 보조 주차제어기들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입차관리장치와 출차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차량 출차시, 입차시의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와 출차시의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출차차량이 입차 할 때부터 출차할 때 까지의 주차시간과 경차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각 전자화폐의 고유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출차하려는 차량의 차량번호 또는 영상과 일치하는 입차시의 차량번호 또는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시간과 경차여부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에 따라 경차여부가 반영된 주차요금을 징수하도록 상기 보조 주차제어기를 통해 상기 출차 관리장치의 전자화폐용 카드단말기를 제어하는 메인 주차제어기를 포함하는 주차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차장 인근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주차제어기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각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입출차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주차 안내 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요금을 미리 정산하기 위한 전자화폐용 카드정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시스템.
KR1020030046611A 2003-07-10 2003-07-10 주차관리 시스템 KR10058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611A KR100582031B1 (ko) 2003-07-10 2003-07-10 주차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611A KR100582031B1 (ko) 2003-07-10 2003-07-10 주차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431A KR20030065431A (ko) 2003-08-06
KR100582031B1 true KR100582031B1 (ko) 2006-05-22

Family

ID=3222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611A KR100582031B1 (ko) 2003-07-10 2003-07-10 주차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0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50B1 (ko) * 2011-09-30 2012-07-09 신원호 주차 분산을 유도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CN105887719A (zh) * 2016-03-30 2016-08-24 魏会芳 一种智能阻车装置
CN108320337A (zh) * 2018-02-28 2018-07-24 成都欧督系统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系统的数据处理方法
CN112900315A (zh) * 2021-03-30 2021-06-04 周鹏 一种轨道交通售检票队列隔离装置
KR102320570B1 (ko) * 2020-06-10 2021-11-02 인천국제공항공사 주차요금 과금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87B1 (ko) * 2006-03-13 2006-08-11 수원시시설관리공단 이미지 저장방식을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장치 및 그운영방법
KR100823150B1 (ko) * 2006-03-28 2008-04-21 주식회사 코리아카파크 출입문 개방형 무정차 주차관리 시스템
KR100751498B1 (ko) * 2006-08-28 2007-08-22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노상 주차장 무인 정산 시스템 및 방법
KR200449438Y1 (ko) * 2008-04-02 2010-07-09 백인선 다중자크 및 이를 구비한 의류
CN104867328B (zh) * 2014-02-26 2019-04-26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装置、停车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06530814A (zh) * 2016-12-07 2017-03-22 黑龙江省三丰电子科技有限公司 路内停车管理系统、停车管理服务器和手持收费终端
CN114842563A (zh) * 2022-05-11 2022-08-02 杭州数查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停车场管理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50B1 (ko) * 2011-09-30 2012-07-09 신원호 주차 분산을 유도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CN105887719A (zh) * 2016-03-30 2016-08-24 魏会芳 一种智能阻车装置
CN108320337A (zh) * 2018-02-28 2018-07-24 成都欧督系统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系统的数据处理方法
CN108320337B (zh) * 2018-02-28 2021-04-06 成都欧督系统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系统的数据处理方法
KR102320570B1 (ko) * 2020-06-10 2021-11-02 인천국제공항공사 주차요금 과금 방법 및 시스템
CN112900315A (zh) * 2021-03-30 2021-06-04 周鹏 一种轨道交通售检票队列隔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431A (ko)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887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4813987B2 (ja) 車種判別装置を要しない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KR100751498B1 (ko) 노상 주차장 무인 정산 시스템 및 방법
KR100582031B1 (ko) 주차관리 시스템
JPH10302102A (ja) 通行料金徴収システム
JPH10275257A (ja) 駐車管理システム
KR102104467B1 (ko) 이기종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입출차 관제 기기와 연동된 주차 요금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JP2004534332A (ja) 通信網を用いた無人駐車管理システム
JP6945374B2 (ja) 駐車場管システム、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84960B1 (ko) 통행요금 자동정산기 및 이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무인수납시스템
JP3900386B2 (ja) 駐車場管理装置
KR101249450B1 (ko) 주차요금 징수 시스템
KR100767438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5346551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管理方法
JPH09319994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02288699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10020746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H08221617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JPH11312260A (ja) 無人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3664965B2 (ja) 道路課金システム及び路側装置
KR100421718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료 징수방법 및 시스템
KR200340889Y1 (ko) 주차 요금 징수 시스템
KR20130082568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JPH07320189A (ja) 車両判別装置、車両通行処理装置および駐車場装置
JPH0264797A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27

Effective date: 200512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61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27

Effective date: 200512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