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734B1 - 전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734B1
KR100578734B1 KR1020030082026A KR20030082026A KR100578734B1 KR 100578734 B1 KR100578734 B1 KR 100578734B1 KR 1020030082026 A KR1020030082026 A KR 1020030082026A KR 20030082026 A KR20030082026 A KR 20030082026A KR 100578734 B1 KR100578734 B1 KR 10057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ruthenium
ruthenium oxide
oxide thi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173A (ko
Inventor
주오심
정광덕
록핸드씨.디.
박봉옥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734B1/ko
Priority to PCT/KR2003/002891 priority patent/WO2005050721A1/en
Priority to AU2003288772A priority patent/AU2003288772A1/en
Publication of KR2005004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65Electrodes comprising a noble metal or a noble metal oxide, e.g. platinum (Pt), ruthenium (Ru), ruthenium dioxide (RuO2), iridium (Ir), iridium dioxide (IrO2)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platinum group metals
    • C25D3/5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platinum group metals characterised by the organic bath constituents u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liquid, e.g. electrolytic deposition
    • H01L21/28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liquid, e.g. electrolytic deposition using an external electrical current, i.e. electro-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H 1.0 내지 2.5 및 농도 0.001 내지 0.1M의 루테늄 염 함유 수용액 중에 대전극(counter electrode, cathode)과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 anode)으로서의 기판 각각을 침지시킨 후 양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본 발명의 전착법에 의하면, 높은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무정질의 루테늄 산화물 박막을 고온에서의 열처리 없이 온화한 조건에서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박막은 전기화학 캐패시터의 전극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THIN FILM OF RUTHENIUM OXIDE USING ELECTRODE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티타늄 기판 위에 전착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표면 TEM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전착법을 이용하여 무정질의 루테늄 산화물 박막을 고온에서의 열처리 없이 온화한 조건에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제조된 박막은 높은 캐패시턴스 값을 가져 전기화학 캐패시터의 전극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루테늄 산화물(RuO2)은 루타일(rutile) 구조를 가지는 전이금속 산화물로서 낮은 전기저항과 높은 화학적, 열역학적 안정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루테늄 산화물은 전해질과 접촉시 루테늄 이온과 수소 이온 간의 표면반응을 통해 의사캐패시 턴스(pseudocapacitance)를 나타내는 등 높은 중량당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넓은 전압 범위에서 가역적인 산화환원반응 특성을 보임으로써, 전기화학 캐패시터의 전극으로서 매우 유리한 물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기화학 캐패시터와 같이 벌크 특성을 가지는 상업용 전극으로 사용하기에는 그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루테늄 산화물 전극을 박막으로 제조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종래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를 위해 기판 위에 루테늄 삼염화물(RuCl3) 용액을 도포한 후 400℃에서 열처리하거나, 또는 루테늄 악티레이트(ruthenium octyrate)를 600℃에서 기판 위에 유기금속화학증착(MOCVD)시키는 방법 등이 수행되어 왔다(문헌[I. Zhitomersky and L. Gal-Or, "Ruthenium oxide deposits prepared by cathodic electrosynthesis," Materials letters, 31 (1997) 155-159; I. Zhitomersky, "Electrolytic TiO2-RuO2 Deposits," J Mater Sci., 32 (1997) 803-807; I. Zhitomersky, " Cathodic electrosynthesis of Titanium and Ruthenium oxides," mater Lett, 33 (1998) 305-310; I. Zhitomersky and L. Gal-Or," cathodic electrosynthesis of Ceramic deposits," J. Europ. Ceram. Soc, 16 (1996) 223-227; I. Zhitomersky,"Ceramic films using cathodic electrodeposition," JOM-e 52 (2000) 1-11; Chi-Chang Hu and Kwang-Huei Chang, "Cyclic voltammetric deposition of hydrous ruthenium oxide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s: effects of the chloride precursor transformation," J Power Sources, 12 (2002) 401-409; Chi-Chang Hu and Kwang-Huei Chang, "Cyclic voltammetric deposition of hydrous ruthenium oxide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s: Effect of codepositing iridium oxide," Electrochim. Acta. 45 (2000) 2685-2696; Chi-Chang Hu and Kwang-Huei Chang, "Effect of preparation variables on the deposition rat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us ruthenium oxide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s," Electrochim. Acta 46 (2000) 3431-3444; A. M. Weisberg," Ruthenium pating," Metal Finishing 93 (1995) 16; Y.Zhang, L Huang, T. Arunagiri, R. Chan, R. M. Wallace and O. Chyan, "Investigation of oxide growth on Ruthenium and its interactions with copper," 204th meeting, The Electrochemical Society, Inc, (2003), Abs 1297; 미국특허 제5,358,889호(April 1993, Emesh et al, 438/608); 미국특허 제6,281,125호(May 2000, Vaartstra et al, 438/681); 미국특허 제6,133,159호(August 1998, Vaartstra ei al, 438/758); 및 미국특허 제6,074,945호(August 1998, Vaartstra et al, 438/68)] 참조).
이와 같이, 종래에 수행되던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는 반드시 고온에서 수행하거나 고온의 열처리를 필요로 하였으며, 얻어진 루테늄 산화물 또한 비표면적이 작은 결정질이어서 질량 대비 캐패시턴스 값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으로서 유용한, 높은 캐 패시턴스 값을 갖는 무정질의 루테늄 산화물 박막을 고온에서의 열처리 없이 온화한 조건에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pH 1.0 내지 2.5 및 농도 0.001 내지 0.1M의 루테늄 염 함유 수용액 중에 대전극(counter electrode, cathode)과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 anode)으로서의 기판 각각을 침지시킨 후 양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착법에 의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음극성 전착(cathodic electrodeposition)과 양극성 전착(anodic electrodeposition)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루테늄 염을 가수분해시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작업전극 표면에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반응시 루테늄 수산화물을 거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전착은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0℃의 증착조에서 1 내지 50 mA/cm2,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mA/cm2 범위의 전류밀도를 갖는 전압을 인가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루테늄 염 함유 수용액이 전해질로서 사용되는데, 수용액 전해질은 1.0 내지 2.5의 pH 및 0.001 내지 0.1M의 농도를 갖는다. 이때, 전해질의 pH는 HCl과 같은 산을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pH 및 농도 범위 를 벗어나는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루테늄 산화물 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루테늄 염으로는 루테늄 삼염화물(RuCl3) 및 이의 수화물(RuCl3·xH2O), 루테늄 니트로실 삼염화물의 수화물(Ru(NO)Cl3·xH2O) 및 루테늄 니트로실 삼질화물(Ru(NO)(NO3)a(OH)b, 이때, a+b=3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액 전해질은 복합체 작용물질(complexing agent)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탈기(deaeration)시킨 다음 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착에 의해 루테늄 산화물 박막이 형성되는 작업전극으로는 전도성이면서 전해질과 반응하지 않는 기판이 적합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티타늄(Ti), 인듐-주석-산화물(ITO, Indium-Tin-Oxide),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니켈(Ni) 및 탄소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이들 기판 위에 탄소나노물질을 직접 화학증착시킨 다음 상기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전착을 수행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성능을 갖는 전기화학 캐패시터용 전극이 완성될 수 있다. 탄소나노물질의 화학증착은 4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기판 표면을 수소와 탄화수소의 혼합기체와 접촉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화학증착된 탄소나노물질은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또는 무정형 탄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전극으로는 백금(Pt)을 비롯한 통상적인 환원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작업전극의 기판은 매끄러운 연마용 페이퍼를 이용해 연마하고 3차 증류수로 세척한 후, 기판 표면으로부터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수로 세척된 기판을 염산용액으로 에칭한 다음 3차 증류수를 이용해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테늄 산화물 박막이 원하는 두께로 작업전극 표면에 전착되면 그 작업전극을 전해질에서 꺼내 25 내지 100℃의 아르곤(Ar) 기체 분위기에서 건조시킨다.
이와 같은 전착법을 사용하면,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두께, 균일성 및 증착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전착을 위한 기기와 출발물질의 가격이 낮아 유리하다. 또한, 전착법은 복잡한 모양의 기판, 기공물질 또는 기판의 선택된 부분의 증착에 특히 적절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전착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은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무정질로서 넓은 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비 캐패시턴스 또한 높아, 전기화학 캐패시터의 전극으로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카메라 플래쉬장치 및 레이저와 펄스의 광발생기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백금 기판을 대전극으로, 티타늄 기판을 작업전극으로 하는 두 개의 전극셀을 이용하여 55℃의 증착조에서 pH 2.15의 0.04M 수성 루테늄 삼염화물 탈기용액(deaerated solution) 중에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전착을 수행하였다. 주사정전위전해장치(scanning potentiostat: EG and G model 273A)를 사용해 5 mA/cm2의 전압을 정전류법으로 인가했으며, 증착시 마그네틱바를 사용하여 상기 전해질 수용액을 교반해 주었다. 증착조에 티타늄 작업전극을 담그기 전에 기판을 매끄러운 연마용 페이퍼를 이용해 연마하고 3차 증류수를 이용해 세척하였다. 또한, 기판 표면으로부터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수로 세척된 기판을 3% 염산용액으로 3분 동안 에칭한 다음 3차 증류수를 이용해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하였다. 전착은 1.3 내지 1.5㎛의 목적하는 막 두께를 얻기 위해 약 1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전착 후에, 형성된 막을 3차 증류수로 세척하고 아르곤 분위기에서 건조하였다. 티타늄 작업전극에 전착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은 약간 회색을 띄는 검정색으로서 기판에 균일하게 부착되었으며, 이와 같이 얻어진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표면 TEM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전기화학 전지에서 상기 전착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캐패시턴스 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백금 대전극(counter electrode)과 Ag/AgCl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 구성된 3전극계를 이용하였으며, 주사정전위전해장치를 이용하여 1M 황산 용액에서 여러 가지 전압 훑기속도(potential sweep rate)로 순환전압전류그림(cyclic voltammograms)을 얻었다. 비 캐패시턴스(specific capacitance)는 [C=I(A)/(dV/dt)]의 식을 이용해서 여러 가지 다른 전압 훑기속도로부터 산출하였다(여기서, I는 평균 전류(A)이고, dV/dt는 평균 주사속도이다). 루테늄 산화물 박막 전극은 0.5 Farad의 캐패시턴스 값을 보여주고, 이 전극의 비 캐패시턴스 값은 700 Farad/g 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테늄 산화물 박막 전착법은 고온에서의 열처리 없이 온화한 조건에서 수행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은 무정질로서 넓은 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비 캐패시턴스 또한 높아, 전기화학 캐패시터의 전극으로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카메라 플래쉬장치 및 레이저와 펄스의 광발생기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루테늄 염 함유 수용액 중에 대전극(counter electrode, cathode)과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 anode)으로서의 기판 각각을 침지시킨 후 상기 대전극과 작업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착법에 의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루테늄 염 함유 수용액이 1.0 내지 2.5의 pH 및 0.001 내지 0.1M의 농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기판이 침지된 증착조를 0 내지 10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1 내지 50 mA/cm2의 전류 밀도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루테늄 염이 루테늄 삼염화물(RuCl3) 및 이의 수화물(RuCl3·xH2O), 루테늄 니트로실 삼염화물의 수화물(Ru(NO)Cl3·xH2O), 및 루테늄 니트로실 삼질화물(Ru(NO)(NO3)a(OH)b, 이때, a+b=3임)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전극으로서의 기판이 티타늄(Ti), 인듐-주석-산화물(ITO, Indium-Tin-Oxide),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니켈(Ni) 및 탄소 기판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작업전극 기판이 표면에 탄소나노물질 층이 화학증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전극이 티타늄 기판이고, 대전극이 백금 기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루테늄 염 함유 수용액의 pH를 HCl의 첨가에 의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30082026A 2003-11-19 2003-11-19 전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KR10057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026A KR100578734B1 (ko) 2003-11-19 2003-11-19 전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PCT/KR2003/002891 WO2005050721A1 (en) 2003-11-19 2003-12-30 Method for preparing ruthenium oxide-thin film using electrodeposition
AU2003288772A AU2003288772A1 (en) 2003-11-19 2003-12-30 Method for preparing ruthenium oxide-thin film using electrode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026A KR100578734B1 (ko) 2003-11-19 2003-11-19 전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173A KR20050048173A (ko) 2005-05-24
KR100578734B1 true KR100578734B1 (ko) 2006-05-12

Family

ID=3461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026A KR100578734B1 (ko) 2003-11-19 2003-11-19 전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78734B1 (ko)
AU (1) AU2003288772A1 (ko)
WO (1) WO20050507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75B1 (ko) 2008-05-07 2010-07-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증착법에 의한 중간세공 구조를 갖는이산화루테늄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이산화루테늄 박막
KR20150123528A (ko) 2014-04-25 2015-11-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수퍼캐패시터용 투명전극, 그 제조방법 및 상기 투명전극을 포함한 수퍼캐패시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21014C (zh) * 2006-05-30 2009-07-29 中南大学 超级电容器RuO2涂层阴极薄膜材料的制备工艺
KR100806678B1 (ko) * 2006-07-13 2008-02-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금속산화물 나노복합전극의 제조방법
CN101525760B (zh) * 2009-04-17 2011-03-23 中南大学 一种用于制备超级电容器RuO2电极材料的电沉积工艺
EP2581971A1 (de) 2011-10-11 2013-04-17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Katalysatorbesch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1391136B1 (ko) * 2012-05-17 2014-06-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그라파이트에 금속 산화물이 전착된 슈퍼커패시터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슈퍼커패시터
WO2020148754A1 (en) * 2019-01-14 2020-07-23 B.G. Negev Technologies & Applications Ltd., At Ben-Gurion University An electrode and a pseudo-capacitor based on the electrod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51365B (it) * 1982-03-26 1986-12-17 Oronzio De Nora Impianti Anodo per procedimenti elettrilitici
JP2731243B2 (ja) * 1989-05-29 1998-03-25 ニチコン株式会社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06146054A (ja) * 1992-11-06 1994-05-27 Japan Energy Corp ルテニウムめっき液
JP2000243453A (ja) * 1999-02-24 2000-09-08 Nissan Motor Co Ltd 非水電気化学キャパシタ
KR100377302B1 (ko) * 2000-10-25 2003-03-26 김광범 루테늄 옥사이드 수화물 박막 전극 제조 방법 및 장치
US6649211B2 (en) * 2002-02-28 2003-11-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elective deposition of hydrous ruthenium oxide thin fil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75B1 (ko) 2008-05-07 2010-07-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증착법에 의한 중간세공 구조를 갖는이산화루테늄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이산화루테늄 박막
KR20150123528A (ko) 2014-04-25 2015-11-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수퍼캐패시터용 투명전극, 그 제조방법 및 상기 투명전극을 포함한 수퍼캐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8772A1 (en) 2005-06-08
KR20050048173A (ko) 2005-05-24
WO2005050721A1 (en)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Corrosion resistance mechanism of a novel porous Ti/Sn-Sb-RuOx/β-PbO2 anode for zinc electrowinning
US20180195197A1 (en) Nanostructured electrodes and methods for the fabrication and use
Chalupczok et al. The redox chemistry of ruthenium dioxide: a cyclic voltammetry study—review and revision
JP5037133B2 (ja) 電極の調製方法及び電極
US20170067172A1 (en) Catalyst coating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1390654B1 (ko) 알칼리 수 전해용 금속 혼합 산화물 전극의 제조방법
JP3883597B2 (ja) 金属基質または金属被覆した伝導基質上に改良された電気触媒混合酸化物被膜をつくるための新規な安定な被覆溶液、およびそのような溶液から製造される寸法安定性陽極
KR100578734B1 (ko) 전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산화물 박막의 제조방법
CN107268023A (zh) 一种修饰石墨烯担载贵金属氧化物阳极的制备方法
US8430997B2 (en) Electrode for electrolytic production of chlorine
Wu et al. A study on Ti anodic pretreatment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electrodeposited IrO2 electrode
US20100290974A1 (en) Titanium dioxide coating method and the electrolyte used therein
CN109576733B (zh) 一种碳纤维负载的析氯催化电极的制备方法
Kawaguchi et al. Effects of oxide composition on structure, surface morphology, and oxygen evolution behaviors of IrO2-Ta2O5/Ti anodes prepared at a high temperature
JP2730620B2 (ja) イリジウム/パラジウム酸化物メッキ層を有するチタニウム電極の製法
JP6537363B2 (ja) 有機イリジウム化合物からなる化学蒸着用原料及び化学蒸着法、並びに、電気化学用触媒の製造方法
KR102167758B1 (ko) 이산화 티타늄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염소발생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Bu et al. Al 2 O 3-TiO 2 composite oxide films on etched aluminum foil fabricated by electrodeposition and anodization
Panić et al. Electrocatalytic properties and stability of titanium anodes activated by the inorganic sol-gel procedure
KR20110043860A (ko) 전착법을 이용한 백금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전착된 백금박막
Hakimi et al. Pulse electrodeposition synthesis of Ti/PbO2-IrO2 nano-composite electrode to restrict the OER in the zinc electrowinning
KR20200007306A (ko) 전기 분해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0575B1 (ko) 전기화학적 증착법에 의한 중간세공 구조를 갖는이산화루테늄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이산화루테늄 박막
JP3536210B2 (ja) セラミックス薄膜の電解合成法
JP2012172199A (ja) 電解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