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294B1 -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 Google Patents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294B1
KR100573294B1 KR1020010011712A KR20010011712A KR100573294B1 KR 100573294 B1 KR100573294 B1 KR 100573294B1 KR 1020010011712 A KR1020010011712 A KR 1020010011712A KR 20010011712 A KR20010011712 A KR 20010011712A KR 100573294 B1 KR100573294 B1 KR 100573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ctuator
engine
increase
poi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531A (ko
Inventor
요시이오사무
츠지히데마사
사카노토모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82802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316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2002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6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ans dependent on pressure of engine working fluid
    • F02D1/065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ans dependent on pressure of engine working fluid of intake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25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ans dependent on engine workin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6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ans dependent on pressure of engine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8Transmission of control impulse to pump control, e.g. with power drive or power assistance
    • F02D1/10Transmission of control impulse to pump control, e.g. with power drive or power assistance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47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means specially adapted to limit fuel delivery or to supply excess of fuel temporarily, e.g. for starting of the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급기가 장착된 디젤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를 거버너 레버(14)를 통해 연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에 부스트 액추에이터(26)를 끼우고, 부스트 액추에이터(26)가 과급압(P)의 지연상승에 연동하여,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연료량 조절기(21)의 증량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버너 레버(14)를 연료량 조절기(21)에 연료 증가쪽에서부터 접촉 및 분리가능하게 마주하게 하고, 연료량 조절기(21)를 스타트 스프링(18)에 의해 시동 증량쪽으로 탄성력을 적용하며, 요동레버(31)의 선회축(Q)을 액추에이터(40)에 의해 변위가능하게 구성하고, 냉 시동시에는 액추에이터(40)의 비작동에 의해 연료 증가쪽에 위치하는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증량위치로 규제하고, 온난 시동시에는 연료감소쪽에 위치하는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감량 위치(Ls)로 규제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연료제한, 과급기, 액추에이터, 요동레버

Description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Fuel limitation device for engine with supercharger}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의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요동레버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온도감응 액추에이터의 동작설명도로서, 도4a는 냉 시동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며, 도4b는 온난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요부의 작동설명도로서, 도5a는 냉 시동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며, 도5b는 온난 시동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도5c는 시동후의 급가속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변형예1을 나타내는 도(도5b에 유사)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변형예2를 나타내는 도(도4b에 유사)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도2에 유사)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변형예3을 나타내는 도(도2에 유사)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변형예4를 나타내는 도(도2에 유사)이다.
도11은 종래예1에 관한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의 개요도이다.
도12는 종래예2에 관한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과급기가 장착된 디젤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의 시동 증량을 확보하면서, 다이어프램식 부스트 액추에이터(diaphragm-type boost actuator)로 급가속시의 연료의 증량을 억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로는 종래부터, 예컨대 도11에 도시된 것(이하「종래예1」이라 한다) 또는 도12에 도시된 것(이하「종래예2」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예1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E)의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를 원심식 거버너(governor, 10)의 이중 거버너 레버(14)를 통해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선회축(Q)에 지지된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에 다이어프램식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에서 그 연료 증가쪽(R)에 마주하게 하고,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가 상기 엔진(E)의 과급압(P)의 지연상승과 연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의 증량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는 상기 과급압(P)에 의해 리턴 스프링(28)에 저 항하여 출력로드(30)를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급가속시 등에 있어서의 과급기(Turbo-charger, 1)의 지연회전에 의한 상기 과급압(P)의 지연상승에 따른 지나친 연료공급을 제한하고, 흑연(black smoke)의 발생이나 쓸데없는 연료의 소비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진의 시동시에는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에 저항하여 강한 힘으로 시동 증량 위치로 밀어내는 푸시로드(M)가 부설되어 있다. 여기서, 도11중의 부호2는 상기 과급기의 터빈, 3은 컴프레서, 4는 고속운전시의 배기가스(C)에 의한 지나친 배기압을 저하시키는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Waist gate valve), 5는 흡기관, 6은 배기관, 8은 과급압 연통관, 11은 속도조절조작레버, 12는 속도조절레버, 13은 거버너 스프링, 14a 및 14b는 이중 거버너 레버(14)를 구성하는 제1레버와 제2레버, 15는 상기 거버너 레버(14)의 선회축, 16은 토크업 장치, 18은 스타트 스프링, 46은 거버너 슬리브를 각각 나타낸다.
종래예2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를 원심식 거버너(10)의 이중 거버너 레버(14)를 통해 연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선회축(Q)에 지지된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에 다이어프램식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에서 연료 증가쪽(R)에 마주하게 하고,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가 상기 엔진(E)의 과급압(P)의 지연상승과 연동하여,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의 증량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선회축(Q)을 액 추에이터(40)로 변위시켜,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연료 증가쪽(R) 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시키도록 구성하며, 엔진의 냉 시동(cold start)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출력로드(35)를 끌어넣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로 상기 연료량 조절기(21)가 증량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해제하고, 엔진시동 후에는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예1 및 종래예2에 의하면, 과급압(P)의 지연상승에 따른 과도한 연료공급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 흑연의 발생이나 불필요한 연료의 소비를 방지할 수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즉, 엔진의 시동시에 있어서, 부스트 액추에이터(26)에 작용하는 부스트압은 제로이고, 상기 출력로드(30)는 후퇴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는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가 시동 증량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종래예1에서는 엔진의 시동시에,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에 저항하여 시동 증량위치로 밀어내는 푸시로드(M)를 별도로 부설할 필요가 있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푸시로드(M)를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에 저항하여 밀어내기 위한 강력한 구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엔진 시동시에 항상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증량위치에 위치시키면, 온난 시동(warm start)시에 과도한 연료가 공급되어, 흑연의 발생이나 불필요한 연료가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예2에서는 엔진 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출력로드(35)를 끌어넣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증량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종래예1의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지만,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에 대하여 거버너 레버(14)의 출력부(17)가 빠지지 않도록 끼워져 있기 때문에, 급가속시에 부스트 액추에이터(26)가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의 증량이동을 억제하기위해서는, 해당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의 탄성력을 급가속시의 거버너 스프링(13)의 장력과 거의 유사할 정도로 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27)의 수압(水壓)면적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체적으로 부스트 액추에이터(26)가 대형이 된다. 이 점은 종래예1도 같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연료량 조절기를 시동 증량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부스트 액추에이터의 리턴 스프링을 능가하는 강력한 구동력의 필요 없이, 부스트 액추에이터를 소형화하여 간단하고 저가인 구성에 의해 엔진의 시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의 지나친 연료공급을 억제하여, 흑연의 발생이나 불필요한 연료의 소비를 방지하는 연료제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도1, 도2, 도8,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예1(도11)과 같은 기본구성을 갖는다. 즉,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를 거버너 레버(14)를 통해 연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선회축(Q)에 지지된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에 다이어프램식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에서 상기 연료 증가쪽(R)에 마주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가 상기 엔진(E)의 과급압(P)의 지연상승에 연동하여,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의 증량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본구성을 갖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도1, 도2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버너 레버(14)의 출력부(17)를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에서 연료 증가쪽(R)에 접하거나 떨어질 수 있도록 마주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스타트 스프링(18)에 의해 시동 증량쪽으로 탄성력을 받게하고, 상기 선회축(Q)을 액추에이터(40)에 의해 변위시켜서,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연료 증가쪽(R) 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시키도록 구성하고, 엔진의 냉 시동시에는, 연료 증가쪽(R)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증량 위치(St)로 하고, 엔진의 온난 시동시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감량 위치(Ls)로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냉 시동이란 엔진을 따뜻해지기 전의 상태에서 시동시키는 것을 말하며, 온난 시동이란 엔진을 따뜻한 상태에서 시동시키는 것(엔진이 따뜻해진 후의 시동도 포함한다, 이하 동일)을 말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본구성을 갖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온도감응 액추에이터 (temperature sensitive actuator, 3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본구성을 갖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있어서, 용기(34) 내에 수용한 왁스(wax)의 온도감응 체적팽창 (temperature sensitive volume expansion)에 의해,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가 출력로드(35)를 돌출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본구성을 갖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주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41)와, 상기 온도감지기(41)로부터의 감지신호(N)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회로(42)를 설치하고, 엔진의 냉 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작동하지 않게 하고, 온난 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본구성을 갖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엔진의 흡기부압, 배압 또는 윤활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액추에이터(44)에 의해 구성하고, 엔진의 시동시에는 상기 피스톤 액추에이터(44)를 작동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로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증량 위치(St)로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본구성을 갖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Q)에 대향하여 리턴 스프링(38)으로 탄성력에 의해 눌려지는 접촉수단(39)이 설치되고, 이 접촉수단(39)은, 엔진벽(48b)에 전후 이동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된 규제핀(37)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엔진의 주변온도의 저하에 따라,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를 리턴 스프링(38)에 의해 용기(34) 내로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핀(37)은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의 돌출량을 규제하는 것으로, 왁스의 팽창에 의해 출력로드(35)가 규정치를 넘어 돌출하는 경우에는, 그 용기(34)가 수용스프링(36)에 저항하여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의 모식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연료제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원심식 거버너(10)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거버너 레버(14)를 구성하는 제1레버(14a)와 제2레버(14b)를 갖고, 상기 제1레버(14a)와 제2레버(14b)와의 사이에 토크업 장치(16)를 개재시켜 일체로 요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연료제한장치(25)는, 도1 및 도2와 같이 종래예1(도11) 및 종래예2(도12)와 같은 기본구성을 갖는다. 즉,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를 거버너 레버(14)를 통해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선회축(Q)에 지지된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에 다이어프램식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에서 상기 연료 증가쪽(R)에 마주하게 하고,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가 상기 엔진(E)의 과급압(P)의 지연상승에 연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로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의 증량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레버(14a)의 상단의 출력부(17)는, 연료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기(이하「연료량 조절랙(fuel metering rack, 21)」이라 한다)에 설치한 랙핀(23)에 연료 증가쪽(R)에서부터 접촉 및 분리가능하게 마주하고 있고,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은 스타트 스프링(18)에 의해 시동 증량쪽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부스트 액추에이터(26)를 소출력화 및 소형화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즉, 제2레버(14b)는 거버너 스프링(13)의 장력에 의해 연료 증가쪽(R)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고, 제1레버(14a)는 거버너 힘(GF)에 의해 연료 감소쪽(L)으로 눌 려지고, 양자의 균형에 의해, 거버너 레버(14)는 요동한다. 그리고 통상 운전시에는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랙(21)은 스타트 스프링(18)에 의해 시동 증량쪽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어서, 거버너 레버(14)의 출력부(17)의 요동을 따른다.
한편, 급가속시에 속도조절 레버(12)를 강하게 당겨서 거버너 스프링(13)에 의해 제2레버(14b)를 연료 증가쪽(R)으로 강하게 당기면, 상기 제1레버(14a)는 제2레버(14b)와 함께 연료 증가쪽(R)으로 같이 이동하여, 상기 출력부(17)는 상기 랙핀(23)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에는 거버너 힘은 작용하지 않고, 스타트 스프링(18)의 탄성력만이 연료 증가쪽(R)으로 작용한다. 이 때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부스트 기능(이하, 「연료제한기능」이라 한다)이 발휘되어 연료량 조절랙(21)의 증량이동이 억제된다.
여기서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의 탄성력을 상기 스타트 스프링(18)의 탄성력과 거의 같은 정도로 강하게 설정하면 좋다. 요컨대, 리턴 스프링(28)의 탄성력을 종래예보다도 각별히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이에 대항하는 다이어프램(27)의 수압면적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스트 액추에이터(26)를 소출력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랙(21)에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상기 연료 증가쪽(R)으로부터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에 마주하게 한다. 그리고, 엔진 시동후에는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가 상기 엔진(E)의 과급압(P) 의 지연상승에 연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로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의 증량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한다. 이로 인해, 급가속시 등에 있어서의 과급압(P)의 지연상승에 따른 지나친 연료 공급을 제한하여, 흑연의 발생이나 불필요한 연료의 소비를 방지한다.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6a) 내에 엔진(E)의 과급압(P)을 받는 다이어프램(27)과, 상기 다이어프램(27)에 대항하는 리턴 스프링(28)을 설치하고, 상기 과급압(P)에 의해 다이어프램(27)을 눌러서 출력로드(30)를 돌출시키고, 선회축(Q)에 지지한 상기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에 상기 출력로드(30)를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축(Q)은 액추에이터(40)에 의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출력에 따라서 연료 증가쪽(R)과 연료 감소쪽(L)에 위치한다. 즉, 엔진의 냉 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가 작동하지 않는 것에 의해 연료 증가쪽(R)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로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을 시동 증량 위치(St)로 하고, 온난 시동시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로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을 시동 감량 위치(Ls)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동레버(31)의 중간부를 선회축(Q)에 지지하고, 상기 입력포인트부(J)와 출력포인트부(K)를 각각 상기 요동레버(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정하고 있다.
상기 구성은, 종래예1(도11)과 같은 푸시로드(M)의 필요 없이, 바꾸어 말하 면, 연료량 조절랙(21)을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에 저항하여 밀어내는 강한 구동력의 필요 없이, 요동레버(31)의 선회축(Q)을 액추에이터(40)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냉 시동시에 연료량 조절랙(21)을 시동 증량 위치(St)에 위치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엔진의 냉 시동시에 있어서, 부스트 액추에이터(26)에 작용하는 부스트압은 제로이고,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가 끼워져 있는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는 후퇴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요동레버(31)를 지지하는 선회축(Q) 및 해당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는 연료 증가쪽(R)에 위치하고, 연료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랙(21)은 스타트 스프링(18)에 의해 연료 증가쪽(R)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고,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이 시동 증량 위치(St)에 위치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은 해제되고, 엔진의 냉 시동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여 엔진의 시동성을 확보한다.
상기 요동레버(31)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포인트부(J)에 상기 출력로드(30)의 고정홀(31a)이 천공되고,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엔진정지 솔레노이드(43)의 작동로드(43a)의 관통홀(31b)이 천공되며, 상기 중간부에 상기 선회축(Q)의 관통홀(31c)이 천공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량 조절랙(21)은 스타트 스프링(18)에 의해 연료 증가쪽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고, 엔진의 시동시에는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된 완충로드(22)의 선단부(22a)가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누르면서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0)는 도2 및 도4에 도시된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4는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동작설명도로, 도4a는 비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도4b는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는 엔진벽(48b)에 장착된 케이싱(33)과, 상기 케이싱(33) 내에 수용된 용기(34)와, 상기 용기(34)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는 수용스프링(36)과, 상기 용기(34)보다 돌출된 출력로드(35)와, 상기 출력로드(35)의 선단부에 부착된 선회축(Q)을 갖고, 용기(34) 내에 수용된 왁스의 온도감응 체적팽창에 의해, 출력로드(35)를 돌출시켜 상기 요동레버(31)를 지지하는 선회축(Q)을 앞뒤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에 의하면, 액추에이터(40)를 간단하고 저가로 구성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를 대신하여, 바이메탈(bimetal)이나 형상기억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응 온도가 예컨대 15℃ 미만인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출력로드(35)를 돌출시키지 않고, 엔진 시동시에 있어서의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해제한다. 또한, 상기 감응 온도가 예컨대 22℃ 이상의 경우에는, 출력로드(35)를 돌출시켜, 상기 요동레버(31)를 지지하는 선회축(Q)을 연료 감소쪽(L)으로 변위시키고, 온난 시동시에는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을 시동 감량 위치(Ls)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기 용기(34) 내에 수용된 왁스는, 15℃∼25℃에서 고체에서 액체로 변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로드(35)의 최대 돌출량은 3.5mm 정도가 된다.
상기 선회축(Q)에 대향하여, 또 하나의 리턴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눌려지는 접촉수단(3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수단(39)은 엔진벽(48b)에 전후 이동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된 규제핀(37)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엔진의 주변온도의 저하에 따라,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를 리턴 스프링(38)에 의해 용기(34) 내로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규제핀(37)은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의 돌출량을 규제하는 것으로, 왁스의 팽창에 의해 출력로드(35)가 규정치를 넘어 돌출하는 경우에는,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34)가 수용스프링(36)에 저항하여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5는 상기 제1실시예에 관한 요부의 동작설명도로, 도5(a)는 냉 시동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5(b)는 온난 시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5(c)는 시동후의 급가속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냉 시동시에는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와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는 돌출하지 않고,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는 시동 증량쪽에 위치하고 있어, 연료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랙(21)은 완충로드(22)를 통해 시동 증량 위치(St)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엔진의 냉 시동성을 확보한다.
온난 시동시(상기 주변온도가 예컨대 22℃ 이상인 경우)에는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는 돌출하지 않고,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는 돌출하기 때문에,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는 시동감소쪽에 위치하고, 연료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랙(21)은 완충로드(22)를 통해 시동 감량 위치(Ls)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온 난 시동시에 있어서의 과잉 연료공급을 억제하여 흑연의 발생 등을 방지한다.
엔진 시동후에 속도조절 레버를 급가속하면, 도5(c)와 같이 과급압(P)의 지연상승에 연동하여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가 돌출하기 때문에,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도 지연되어 연료 증가쪽(R)으로 변위하고, 연료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랙(21)은 완충로드(22)를 통해 지연되어 연료 증가쪽(R)으로 이동한다. 도5(c)에서는, 예컨대 주변온도가 22℃ 이상인 경우를 나타내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는 돌출되어 있다. 또, 주변온도가 15℃ 이하인 때는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은 해제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변형예1을 나타내는 도(도5b에 유사)로서, 상기 변형예1은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를 대신하여, 엔진의 주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41)와, 상기 온도감지기(41)로부터의 감지신호(N)에 의해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회로(42)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감지기(41)에 의한 감지온도가 소정온도(예컨대 15℃) 미만인 경우에,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오프(off) 작동에 의해 엔진 시동시에 있어서의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감지온도가 소정온도(예컨대 22℃)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온(on) 작동에 의해 상기 선회축(Q)을 변위시켜,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을 시동 감량 위치(Ls)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엔진의 냉 시동시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는 후퇴된 상태에 있고, 액추에이터(40)의 오프 작동에 의해 요동레버(31)의 선회축(Q)은 변위하지 않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는 후퇴하여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랙(21)이 시동 증량 위치(St)로 위치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로 인해, 엔진의 냉 시동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여 냉 시동성을 확보한다.
또한,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는 후퇴된 상태에 있고, 요동레버(31)의 선회축(Q)은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온 작동에 의해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는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랙(21)을 시동 감량 위치(Ls)로 규제한다. 이로 인해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 지나친 연료공급을 억제하여 흑연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엔진의 주변온도에는 엔진의 대기온도, 윤활유온도 및 냉각수온도 등이 포함된다.
도7은 본 발명의 변형예2를 나타내는 도(도5b에 유사)로서, 상기 변형예2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엔진의 흡기부압, 엔진의 배압 또는 윤활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액추에이터(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액추에이터(44)는 실린더 케이스(33) 내에 피스톤 로드(35a)의 피스톤(35b)을 자유롭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고, 피스톤 작동실(34a) 내에 엔진의 배압 또는 윤활유압을 도입하여 피스톤(35b)을 누르는 것에 의해, 피스톤 로드(35a)를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엔진의 흡기부압에 의해 피스톤 액추에이터(44)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로드 측의 피스톤 작동실(34b)에 흡기부압을 작용시켜 피스톤 로드(35a)를 돌출시킨다.
상기 변형예2에 의하면, 주변온도와 관계없이, 엔진의 시동시에는 피스톤 액추에이터(44)의 비작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35a)는 후퇴되어 있고, 부스트 액추에 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해제하고, 연료의 시동 증량을 확보하여 시동을 쉽게 한다. 예컨대, 엔진 발전기 등과 같이, 엔진이 시동시에 큰 부하를 갖는 경우에는,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도 연료의 시동 증량을 확보하지 않으면 시동불량이 생기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이 큰 부하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의 시동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도2에 유사)로서, 상기 실시예는 도2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지주부(fulcrum)를 입력포인트부와 교환하도록 한 점이 다르고, 그 외의 점은 제1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요동레버(31)의 상단부를 선회축(Q)으로 지지하고, 상기 입력포인트부(J)와 출력포인트부(K)를 각각 상기 요동레버(31)의 중간부와 하단부에 설정하고, 요동레버(31)의 선회축(Q)을 액추에이터(40)로 변위가능하게 구성하며, 엔진 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비작동에 의해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해제하고, 엔진 시동후에는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선회축(Q)을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40)로서,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나 바이메탈 또는 도6에 나타낸 전기구동회로로 작동시키는 것과, 더욱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의 흡기부압, 배압 또는 윤활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액추에이터(44)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9는 본 발명의 변형예3을 나타내는 도로서, 연료제한장치(25)가, 종래예1(도11) 및 종래예2(도12)와 같은 기본구성을 가지며, 이하의 특징적인 구성에 관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형예는, 상기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를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에 탑재한 액추에이터(40)로 역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연료 증가쪽(R) 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시키도록 구성하고, 엔진의 냉 시동시에는 연료 증가쪽(R)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을 시동 증량 위치(St)로 하고, 엔진의 온난 시동시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을 시동 감량 위치(Ls)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동레버(31)의 중간부를 선회축(Q)을 구성하는 핀(37)과 상기 핀(37)의 선단부의 수용와셔(receiving washer, 39)와 푸시 스프링(38b)으로 지지하고, 상기 입력포인트부(J)와 출력포인트부(K)를 각각 상기 요동레버(31)의 상단부와 하단부로 설정하고 있다.
상기 구성은, 종래예(도11)와 같은 푸시로드(M)의 필요 없이, 바꾸어 말하면 연료량 조절랙(21)을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에 저항하여 밀어내는 강한 구동력의 필요 없이,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를 액추에이터(40)로 역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냉 시동시에 연료량 조절랙(21)을 시동 증량 위치(St)에 위치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엔진의 냉 시동시에 있어서, 부스트 액추에이터(26)에 작용하는 부스트압은 제로이며, 상기 출력로드(30)는 후퇴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부스트 액추에이 터(26)의 출력로드(30)에 탑재되고, 상기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를 구속하고 있는 액추에이터(40)도 비작동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중간부를 선회축(Q)으로 지지한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는 연료 증가쪽(R)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연료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랙(21)은 도시하지 않은 스타트 스프링에 의해 연료 증가쪽(R)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고, 상기 연료량 조절랙(21)이 시동 증량 위치(St)로 위치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은 해제되고, 엔진의 시동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여 엔진의 시동성을 확보한다.
또한, 온난 시동시(상기 주변온도가 예컨대 22℃ 이상인 경우)에는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는 돌출하지 않고,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는 돌출하기 때문에,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는 시동감소쪽에 위치하고, 연료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랙(21)은 완충로드(22)를 통해 시동 감량 위치(Ls)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의 과잉 연료공급을 억제하여 흑연의 발생 등을 방지한다.
엔진 시동후에 속도조절 레버를 급가속하면, 과급압(P)의 지연상승에 연동하여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가 돌출하기 때문에,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도 지연되어 연료 증가쪽(R)으로 변위하고, 연료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랙(21)은 완충로드(22)를 통해 지연되어 연료 증가쪽(R)으로 이동한다. 요컨대,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은 유지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변형예4를 나타내는 도로서, 상기 변형예는 도9에 나타낸 것에 있어서, 지주부를 입력포인트부와 교환한 점이 다르고, 그 외의 점은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요동레버(31)의 상단부를 선회축(Q)으로 지지하고, 상기 입력포인트부(J)와 출력포인트부(K)를 각각 상기 요동레버(31)의 중간부와 하단부로 설정하고,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를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에 탑재한 액추에이터(40)에 의해 역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엔진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비작동에 의해,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해제하고, 엔진 시동후에는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에 탑재한 액추에이터(40)로서는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 바이메탈, 또는 도6에 나타낸 전기구동회로로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키는 것과, 더욱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의 흡기부압, 배압 또는 윤활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액추에이터(44)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a)상기 기본구성을 갖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버너 레버(14)의 출력부(17)를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에서 연료 증가쪽(R)에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마주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스타트 스프링(18)으로 시동 증량쪽으로 탄성력을 받도록하였기 때문에, 다이어프램식 부스트 액추에이터를 소출력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즉, 통상 운전시에는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는 스타트 스프링(18)에 의해 시동 증량쪽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어, 거버너 레버(14)의 출력부(17)의 작동을 따른다. 한편, 급가속시에 속도조절 레버(12)를 통해 거버너 스프링의 힘으로 거버너 레버(14)를 연료 증가쪽(R)으로 강하게 당기면, 상기 거버너 레버(14)의 출력부(17)는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로부터 분리되어 연료 증가쪽(R)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에는 거버너 힘(GF)은 작용하지 않고, 스타트 스프링(18)의 탄성력만이 작용하지만, 이 때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부스트 기능이 작동하여 연료량 조절기(21)의 증량이동이 억제되기 위해서는,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의 탄성력을 상기 스타트 스프링(18)의 탄성력과 거의 상쇄시키는 정도로 강하게 설정하면 좋다. 요컨대,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의 탄성력을 종래예보다도 훨씬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다이어프램(27)의 수압면적도 훨씬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스트 액추에이터(26)를 소출력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b)상기 (a)에 더하여, 요동레버(31)의 선회축(Q)을 액추에이터(40)로 변위시켜,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연료 증가쪽(R) 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엔진의 냉 시동시에 연료량 조절기(21)는 스타트 스프링(18)에 의해 시동 증량 위치(St)로 밀려나가게 된다. 요컨대, 연료량 조절기(21)를 다이어프램식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리턴 스프링(28)에 저항하여 시동 증량 위치(St)로 밀어내기 위한 푸시로드(M, 종래예1)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고 저가인 구성이 된다.
(c)엔진의 냉 시동시에는 연료 증가쪽(R)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증량 위치(St)로 하고, 엔진의 온난 시동시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감량 위치(Ls)로 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엔진의 냉 시동성을 확보하면서,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의 지나친 연료공급을 억제하여 흑연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엔진의 냉 시동시에 있어서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는, 연료 증가쪽(R)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시동 증량 위치(St)로 되므로, 엔진의 냉 시동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여 냉 시동성을 확보한다.
또한,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량 조절기(21)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시동 감량 위치(Ls)로 되기 때문에, 온난 시동시에 지나친 연료공급을 억제하여 흑연의 발생 등을 방지한다.
삭제
삭제
(d)액추에이터(40)를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엔진의 냉 시동성을 확보하면서,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의 지나친 연료공급을 억제하여 흑연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e)용기(34) 내에 수용된 왁스의 온도감응 체적팽창에 의해, 출력로드(35)를 돌출시키도록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가로 실시할 수 있다.
(f)엔진의 주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41)와, 상기 온도감지기(41)로부터의 감지신호(N)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회로(42)를 설치하고, 냉 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키지 않고, 온난 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엔진의 냉 시동성을 확보하면서,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 연료의 지나친 공급을 제한하고, 흑연의 발생이나 불필요한 연료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g)액추에이터(40)를 엔진의 흡기부압, 배압 또는 윤활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액추에이터(44)로 구성하고, 엔진의 시동시에는 상기 피스톤 액추에이터(44)를 작동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증량 위치(St)로 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엔진의 주변온도에 관계없이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연료제한기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연료의 시동 증량을 확보하고 시동을 쉽게 한다.
예컨대, 엔진발전기 등과 같이 엔진이 시동시에 큰 부하를 갖는 경우에는, 온난 시동시에 있어서도 연료의 시동 증량을 확보하지 않으면 시동불량이 생기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이 큰 부하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의 시동불량을 해소할 수가 있다.

Claims (7)

  1.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E)의 연료 분사 펌프(20)의 연료량 조절기(21)를 거버너 레버(14)를 통해 연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선회축(Q)에 지지한 요동레버(31)의 입력포인트부(J)에 다이어프램식 부스트 액추에이터(26)의 출력로드(30)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에 그 연료 증가쪽(R)에서 마주하게 하고, 상기 부스트 액추에이터(26)가 상기 엔진(E)의 과급압(P)의 지연상승에 연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의 증량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버너 레버(14)의 출력부(17)를 상기 연료량 조절기(21)에서 연료 증가쪽(R)에서 접촉 및 분리가능하게 마주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스타트 스프링(18)으로 시동 증량쪽으로 탄성력을 받게하고, 상기 선회축(Q)을 액추에이터(40)로 변위시켜서,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를 연료 증가쪽(R) 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시키도록 구성하고, 엔진의 냉 시동시에는 연료 증가쪽(R)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증량위치(St)로 하고, 엔진의 온난 시동시에는 연료 감소쪽(L)에 위치하는 상기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감량위치(Ls)로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를 용기(34) 안에 수용된 왁스의 온도감응 체적팽창에 의해, 출력로드(35)를 돌출시켜 상기 가동 선회축(Q)을 변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엔진의 주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41)와, 상기 온도감지기(41)로부터의 감지신호(N)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회로(42)를 설치하고, 냉 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를 비작동시키고, 온난 시동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에 의해 상기 선회축(Q)을 변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0)를 엔진의 흡기부압, 배압 또는 윤활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액추에이터(44)로 구성하고, 엔진의 시동시에는 상기 피스톤 액추에이터(44)의 비작동에 의해 상기 요동레버(31)의 출력포인트부(K)에 의해 상기 연료량 조절기(21)를 시동 증량위치(St)로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Q)에 대향하여 리턴 스프링(38)으로 탄성력에 의해 눌려지는 접촉수단(39)이 설치되고, 이 접촉수단(39)은, 엔진벽(48b)에 전후 이동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된 규제핀(37)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엔진의 주변온도의 저하에 따라,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를 리턴 스프링(38)에 의해 용기(34) 내로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핀(37)은 온도감응 액추에이터(32)의 출력로드(35)의 돌출량을 규제하는 것으로, 왁스의 팽창에 의해 출력로드(35)가 규정치를 넘어 돌출하는 경우에는, 그 용기(34)가 수용스프링(36)에 저항하여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KR1020010011712A 2000-09-19 2001-03-07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KR100573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82802A JP3433167B2 (ja) 2000-09-19 2000-09-19 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燃料制限装置
JP2000-282799 2000-09-19
JP2000-282802 2000-09-19
JP2000282799 2000-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531A KR20020022531A (ko) 2002-03-27
KR100573294B1 true KR100573294B1 (ko) 2006-04-24

Family

ID=2660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712A KR100573294B1 (ko) 2000-09-19 2001-03-07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54282B1 (ko)
EP (1) EP1188914B1 (ko)
KR (1) KR100573294B1 (ko)
CN (1) CN1236203C (ko)
DE (1) DE6010183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8914B1 (en) * 2000-09-19 2004-01-21 Kubota Corporation Fuel limitation device for engine with supercharger
US6892700B2 (en) * 2001-05-07 2005-05-17 Yamaha Marine Kabushiki Kaisha Engine control system for an outboard motor
GB2389198A (en) * 2002-06-01 2003-12-03 Seneca Tech Ltd A governor for a diesel engine
EP1724467B1 (en) * 2005-05-20 2016-07-13 Magneti Marelli S.p.A. Fuel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3696825B (zh) * 2013-12-09 2017-05-10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机油冷却系统及其节温器
CN107709738B (zh) * 2015-07-02 2019-03-26 日产自动车株式会社 内燃机的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761A (en) * 1981-01-02 1984-03-06 Tom Mcguane Industries, Inc. Fuel flow regulator control for a diesel engine with exhaust gas driven turbocharger
JPS614711A (ja) * 1984-06-18 1986-01-10 Mitsui Petrochem Ind Ltd 低軟化点炭化水素重合体からなる感圧性粘着剤用添加剤
JPS62199932A (ja) * 1986-02-27 1987-09-03 Hino Motors Ltd 始動時増量装置付ブ−ストコンペンセ−タ
JPS62298629A (ja) * 1986-06-17 1987-12-25 Diesel Kiki Co Ltd ブ−ストコンペンセ−タ
JPS6322350U (ko) * 1986-07-29 1988-02-15
JPS6340543U (ko) * 1986-09-01 1988-03-16
JPH102235A (ja) * 1996-06-14 1998-01-06 Kubota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遠心式ガバナ
JPH10196408A (ja) * 1997-01-10 1998-07-28 Kubota Corp 遠心式ガバナを備えた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H11236827A (ja) * 1998-02-24 1999-08-31 Kubota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遠心式ガバナ
EP1188914A2 (en) * 2000-09-19 2002-03-20 Kubota Corporation Fuel limitation device for engine with super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268A (en) * 1979-07-11 1983-02-08 Mack Truck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fuel flow
JPS59134325A (ja) * 1983-01-24 1984-08-02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過給機制御装置
DE3614711C1 (en) * 1986-04-30 1987-06-25 Daimler Benz Ag A control device, operating by means of an expansion element as a function of the temperature, for fuel injection pumps of self-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with supercharger
JPH0772495B2 (ja) * 1989-07-28 1995-08-02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過給装置
US5427079A (en) * 1992-12-04 1995-06-27 Ford Motor Company Supercharged engine with variable ratio drive supercharge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761A (en) * 1981-01-02 1984-03-06 Tom Mcguane Industries, Inc. Fuel flow regulator control for a diesel engine with exhaust gas driven turbocharger
JPS614711A (ja) * 1984-06-18 1986-01-10 Mitsui Petrochem Ind Ltd 低軟化点炭化水素重合体からなる感圧性粘着剤用添加剤
JPS62199932A (ja) * 1986-02-27 1987-09-03 Hino Motors Ltd 始動時増量装置付ブ−ストコンペンセ−タ
JPS62298629A (ja) * 1986-06-17 1987-12-25 Diesel Kiki Co Ltd ブ−ストコンペンセ−タ
JPS6322350U (ko) * 1986-07-29 1988-02-15
JPS6340543U (ko) * 1986-09-01 1988-03-16
JPH102235A (ja) * 1996-06-14 1998-01-06 Kubota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遠心式ガバナ
JPH10196408A (ja) * 1997-01-10 1998-07-28 Kubota Corp 遠心式ガバナを備えた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H11236827A (ja) * 1998-02-24 1999-08-31 Kubota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遠心式ガバナ
EP1188914A2 (en) * 2000-09-19 2002-03-20 Kubota Corporation Fuel limitation device for engine with super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8914A2 (en) 2002-03-20
CN1236203C (zh) 2006-01-11
US6354282B1 (en) 2002-03-12
DE60101830T2 (de) 2004-12-02
US20020033169A1 (en) 2002-03-21
KR20020022531A (ko) 2002-03-27
EP1188914A3 (en) 2003-04-02
CN1344861A (zh) 2002-04-17
EP1188914B1 (en) 2004-01-21
DE60101830D1 (de)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326B2 (en) Carburetor automatic control system in engine
US8011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sure relief in an exhaust brake
KR100573294B1 (ko) 과급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료제한장치
JP3814245B2 (ja) 燃料噴射ポンプ
EP1408215B1 (en) Fuel injection rate control device
JP3708819B2 (ja) 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燃料制限装置
JP3433167B2 (ja) 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燃料制限装置
US5148789A (en) Governor device of diesel engine
JP3433166B2 (ja) 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燃料制限装置
KR20090110609A (ko) 과급기를 장착한 내연기관의 연료제한장치
JPS6145303Y2 (ko)
JP2632591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自動燃料始動増量機能付き2本レバー式ガバナ
JPS6228659Y2 (ko)
JPH10196408A (ja) 遠心式ガバナを備えた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H0826781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急加速時スモーク低減装置
JPH0381531A (ja) 燃料噴射装置
JP2002089291A (ja) 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燃料制限装置
JP4604010B2 (ja) 過給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3914847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調量装置
JPH0450441Y2 (ko)
JPS6231651Y2 (ko)
JP2000045796A (ja) エンジンの遠心式ガバナ
JP2002147254A (ja) エンジン停止装置
JPH10196407A (ja) 遠心式ガバナを備えた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9228518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