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609B1 -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현상제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및 현상제카트리지의 재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현상제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및 현상제카트리지의 재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609B1
KR100572609B1 KR1020040009597A KR20040009597A KR100572609B1 KR 100572609 B1 KR100572609 B1 KR 100572609B1 KR 1020040009597 A KR1020040009597 A KR 1020040009597A KR 20040009597 A KR20040009597 A KR 20040009597A KR 100572609 B1 KR100572609 B1 KR 100572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tainer
cylindrical
container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994A (ko
Inventor
나가이다카노리
이치카와히데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用器)는 한쪽 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실린더형 몸체와 한쪽 단부로부터 대향되어 있는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저부 벽 부재를 갖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薄壁) 용기와,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현상제 배출구와 커플러 장착부를 갖고 용기 본체의 개구와 용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 박벽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를 포함한다.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개구, 탄성, 박벽, 탈착, 현상제 배출구, 커플러, 폐쇄 덮개.

Description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현상제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및 현상제 카트리지의 재활용 방법{DEVELOPER CARTRIDGE CONTAINER, DEVELOPER CARTRIDGE, IMAGE FORMING UNIT, RECYCLING METHOD OF DEVELOPER CARTRIDGE CONTAINER, AND RECYCLING METHOD OF DEVELOPER CARTRID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각각의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 내에 저장된 현상제를 각각의 현상 장치(Gy, Gm, Gc, Gk)에 보급하는 현상제 보급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와 현상제 혼합 용기를 나타낸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현상제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를 현상제 혼합 용기에 배출하는 회전 가능한 배출 부재가 이 배출 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재와 연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IVB-IV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현상제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를 현상제 혼합 용기에 배출하는 회전 가 능한 배출 부재가 이 배출 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VB-V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는 도 4의 (a) 및 도 4의 (b)에서의 분리 상태와 도 5의 (a) 및 도 5의 (b)에서의 연결 상태 사이에서 현상제 카트리지(Ky)의 회전 가능한 현상제 배출 부재와 기어(G5)와의 관계를 변경하는 연결 및 분리 부재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 6의 (a)는 측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화살표(V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평면도이고, 도 6의 (c)는 도 6의 (a)의 화살표(VIC-VIC)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
도 9는 도 7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화살표(X)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11은 도 9의 분해도.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e)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용기 본체의 설명도로, 도 12의 (a)는 측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화살표(XIIB-XI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2의 (c)는 도 12의 (a)의 화살표(XIIC-XIIC)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2의 (d)는 도 12의 (a)의 화살표(XIID)로 표시된 부분의 단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고, 도 12의 (e)는 화살표(XIIE)로 표시된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도 12의 (b)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3의 (a) 및 도 13의 (b)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9)의 설명도로, 도 13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화살표(XII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도면.
도 14의 (a) 및 도 14의 (b)는 폐쇄 덮개(closing lid)의 설명도로, 도 14의 (a)는 폐쇄 덮개의 측단면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서 화살표(XIV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f)는 폐쇄 덮개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커플러의 설명도로, 도 15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서 화살표(XV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5의 (c)는 도 15의 (b)에서 화살표(XVC)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5의 (d)는 도 15의 (c)에서 화살표(XVD)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5의 (e)는 도 15의 (c)에서 화살표(XVE)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5의 (f)는 커플러의 사시도.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d)는 현상제 배출 오거(auger)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의 설명도로, 도 16의 (a)는 측면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서 화살표(XV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6의 (c)는 도 16의 (a)에서 화살표(XVIC)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6의 (d)는 도 16의(a)에서 화살표(XVID)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
도 17의 (a) 및 도 17의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설명도로, 도 17의 (a)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에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을 완 료한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서 화살표(XVIIB-XVI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18은 제 1 실시예에서의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대응하며, 카트리지 장착 부재에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주요부의 확대 분해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주요부를 나타내 는 분해 확대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12 : 용기 본체
12A1 : 개구
12B : 저부 벽 부재
13 : 폐쇄 덮개
13c : 탈착부
13e : 현상제 배출 튜브
13f : 현상제 배출구
14 : 실린더형 연결 부재
15 : 탄성 박벽 용기
15c : 개구
16 : 커플러
17 : 밀봉 부재
18 : 현상제 혼합 부재
19 : 현상제 배출 오거(auger)
20 : 배출구 개폐 부재
20b : 감합부(嵌合部)
20c : 오거 연결부
본 발명은 감광체(제 1 화상 담지체) 표면에 대전, 노광시킨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고, 토너 화상을 기록지 또는 중간 전사재 등의 제 2 화상 담지체에 전사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와,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를 사용한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또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와 현상제 카트리지의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 등에서 사용된다.
종래 관련 기술에 있어서, 내부에 보급용의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가 현상 장치의 현상제 용기에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 내에 형성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 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가 소모되어 감소하게 됨에 따라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된다.
종래로부터 공지된 현상제 카트리지는 일본국 특개 2002-6603 호(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은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형성된 토너 공급 개구(301g)를 향하는 방향으로 용기 본체(301A) 내에 포함되어 있는 토너를 급송(給送)하는 급송 부재를 가진 현상제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 2002-6603 호에 있어서, 상기 급송 부재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체 카트리지 용기의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를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경우에, 그 길이를 따라서 분할된다. 따라서 분할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모두의 크기(최대 치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없게 되어, 분할된 상태에서 나란히 평면에 이들을 저장하는 경우에 큰 저장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최근에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를 감소시키고,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의 재활용이 행해지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 부품에 대한 재활용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복사기나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가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재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구성 부품을 용이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하고, 기사용된 구성 부품은 재활용시 세척이 용이해야 한다.
재활용(재사용)하기 위해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세척을 고려하는 경우, 각 부품이 세척이 용이한 구조로 분할하기 용이한 경우와, 분할된 부품이 복잡한 형상을 갖지 않고 세척하기 용이한 구성(단순한 형상)을 가진 경우와, 분할된 각 부품의 개수가 작은 경우에 세척 작업이 쉽게 된다.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는 용기 내의 현상제를 혼합하기 위해서 혼합 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러를 장착하는 커플러 장착부와 용기 내의 현상제를 현상 장치로 공급하는 현상제 배출구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커플러 장착부 또는 현상제 배출구가 형성된 부품은 단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없고,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를 분할하는 경우, 및 커플러 장착부가 형성된 부품 및 현상제 배출구가 형성된 부품을 분리된 부품으로 분할하는 경우에, 이들 각 부품은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비교적 복잡한 형상의 두 부품이 만들어진다.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더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커플러 장착부와 현상제 배출구가 단일 부품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부품의 형상이 너무 복잡하게 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는 재활용(재사용)하는 세척 작업을 위해서 커플러 장착부와 현상제 배출구를 한쪽 부품에 형성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목적은 (O01) 및 (O02)에 나타낸 바와 같다.
(O01) 재활용(재사용)하기 위해서 세척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부품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를 설계한다.
(O02)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재활용할 때 기사용 된 부품의 세척 작업을 쉽게 한다.
상술한 문제점들이 해결된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구성 부품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실시예에서의 구성 부품과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 실시예에서 괄호 안에 구성 부품의 도면 부호를 표시하였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면 부호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이유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각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는 다음의 구성 부품(A01, A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01) 한쪽 단부에 개구(12A1)를 가진 실린더형 몸체(12A)와 한쪽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저부 벽 부재(12B)를 구비하고,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는 한쪽 단부에 현상제를 충전하는 개구(12A1)를 가진 현상제 저장실이 형성된 용기 본체(12).
(A02) 용기 본체(12)로부터 탈착 가능한 탈착부(13c)와 현상제 배출구(13f)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12)에 부착된 상태에서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closing lid)(13).
본 발명의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13c)"는 다른 부재의 중개에 의해 간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의 중개 없이 직접적으로도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한쪽 단부에 개구(12A1)가 형성된 실린더형 몸체(12A)와 한쪽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저부 벽 부재(12B)를 갖는 용기 본체(12)는 그 내부에 한쪽 단부에 개구(12A1)를 가진 현상제 저장실이 형성되어 있다.
폐쇄 덮개(13)는 탈착부(13c)를 통해서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며, 부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2)의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를 폐쇄한다. 따라서 개구(12A1)는 현상제 저장실이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를 통해서 현상제를 충전한 이후에 폐쇄 덮개(13)에 의해서 폐쇄된다.
현상제 저장실 내의 현상제는 폐쇄 덮개(13)의 현상제 배출구(13f)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현상제 배출구(13f)가 폐쇄 덮개(13)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12)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재사용)시에, 용기 본체(12)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폐쇄 덮개(13)가 용기 본체(12)에 비해서 더 작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세척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재활용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구성 부품(A03)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3) 용기 본체(12)로부터 탈착 가능한 탈착부(13c)가 형성된 실린더형 벽(13a), 용기 본체(12)와 대향하는 실린더형 벽(13a)의 외부 단부에 연결되는 단 부벽(13b), 및 실린더형 벽(13a)의 외부 단부 또는 단부벽(13b)의 외주면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13f)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12)에 부착된 상태에서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13).
상기 구성 부품(A03)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있어서, 단부벽(13b)은 용기 본체(12)로부터 대향하는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벽(13a)의 외부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는 단부벽(13b)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
현상제 저장실 내의 현상제는 실린더형 벽(13a)의 외부 단부에 또는 단부벽(13b)의 외주면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13f)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구성 부품(A03)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4)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4) 단부벽(13b)의 중앙에 형성된 커플러 장착부(13d)를 갖는 폐쇄 덮개.
상기 구성 부품(A04)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있어서, 현상제 저장실 내에서 현상제를 혼합하는 혼합 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러는 단부벽(12b)의 중앙에 형성된 커플러 장착부(13d)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커플러 장착부(13d)와 현상제 배출구(13f)가 폐쇄 덮개(13) 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 본체(12)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재사용)시, 용기 본체(12)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폐쇄 덮개(13)를 세척하는 경우, 커플러가 폐쇄 덮개(13)에 장착되거나 이탈된 상태에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5, A06)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5) 용기 본체(12)의 실린더형 몸체(12A)의 축과 평행한 축을 가진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13e)가 형성된 폐쇄 덮개(13),
(A06)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외부 단부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13f).
상기 구성 부품(A05, A06)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2) 내의 현상제는 폐쇄 덮개(13)에 형성된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13e)를 통해서, 그 외부 단부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13f)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구성 부품(A03)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6, A07)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7) 용기 본체(12)의 실린더형 몸체(12A)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가진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13e)가 형성된 실린더형 벽(13a).
(A06)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외부 단부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13f).
상기 구성 부품(A07, A06)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2) 내의 현상제는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벽(13a)에 형성된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13e)를 통해서, 그 외부 단부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13f)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8)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8)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본체(12).
상기 구성 부품(A08)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의 구성 부품인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9)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9)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용기 본체(12).
상기 구성 부품(A09)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의 구성 부품인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는 재활용(재사용)시에 분리된 상태에서 세척할 수 있다. 분리된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는 크기가 작고 형상이 단순하므로, 세척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 또는 상기 구성 부품(A08) 또는 상기 구성 부품(A09)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10)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10)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12B2)이 용기 본체(12)의 저부 벽 부재(12B)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저부 벽 부재(12B)와 핸들(12B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12).
상기 구성 부품(A010)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상기 핸들(12B2)이 저부 벽 부재(12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취급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핸들(12B2)을 잡은 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부품(A08 내지 A01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11)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11) 용기 본체(12) 내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고,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 내측에 배치되는 개구(15c)가 형성된 탄성 박벽(薄壁) 재료로 형성되는, 현상제를 보관하는 탄성 박벽 용기(15).
상기 구성 부품(A011)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탄성 박벽 부재로 형성되고 현상제를 보관하는 탄성 박벽 용기(15)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 내측에 배치되는 개구(15c)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12) 내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현상제에 의한 용기 본체(12)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용기 본체(12) 상의 오염의 범위가 작게 되고, 용기 본체(12)를 재사용하는 용기 본체(12)의 세척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구성 부품(A011)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12, A013)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12)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로부터 용기 본체(12)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 부재(14a)를 갖고 상기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14a, 14c)와, 폐쇄 덮개(13)의 탈착부(13c)에 연결되는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를 구비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A013)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실린더형 삽입부(14a)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정되는 개구(15c)를 갖는 탄성 박벽 재료로 형성된 탄성 박벽 용기(15).
상기 실린더형 삽입 부재(14a)는 용기 본체측 연결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서는 용기 본체측 연결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상기 구성 부품(A012, A013)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실린더형 벽(13a)의 탈착부(13c)에 탈착 가능한 폐쇄 덮개(13) 및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분리 가능하고,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에 형성된 실린더형 삽입 부재(14a)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탄성 박벽 용기(15)는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폐쇄 덮개(13) 및 용기 본체(12)는 세척 및 재활용(재사용)이 가능하다. 재활용시에는, 이들을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세척될 부품들이 작기 때문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탄성 박벽 용기(15)가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의 부품들이기 때문에, 이들은 일회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다른 부품을 제조하는 재료로 재활용될 수도 있다.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에,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세척하 여 재활용(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부품(A012, A013)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12')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12') 용기 본체측 연결부(14a, 14c)와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 중 하나의 연결부가 용기 본체(12) 또는 폐쇄 덮개(13)에 연결된 이후에 분리되는 경우에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게 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
상기 구성 부품(A012')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용기 본체측 연결부(14a, 14c) 및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 중 하나의 연결부가 용기 본체(12) 또는 폐쇄 덮개(13)에 연결된 이후에 분리시킬 때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y)를 재사용하는 경우에,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야 된다.
상기 구성 부품(A011)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14 내지 A016)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14)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로부터 용기 본체(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부(13c)를 갖는 실린더형 벽(13a).
(A015) 실린더형 벽(13a)의 실린더형 삽입부(13c)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부착된 개구(15c)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15).
(A016) 실린더형 벽(13a)의 실린더형 삽입부(13c)에 부착된 탄성 박벽 용기(15)에 현상제를 충전하는 개폐 가능한 충전구(13g)가 형성된 폐쇄 덮개(13).
상술한 구성 부품(A014 내지 A016)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는 개구(15c)가 밀착된 상태에서,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벽(13a)의 실린더형 삽입부(13c)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벽(13a)과 폐쇄 덮개(13)에 부착된 탄성 박벽 용기(15)가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2) 및 폐쇄 덮개(13)가 연통(communicate)하게 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현상제는 폐쇄 덮개(13) 내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충전구(13g)로부터 탄성 박벽 용기(15) 내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활용하는 경우에, 폐쇄 덮개(13), 용기 본체(12) 등으로부터 현상제에 의해서 가장 오염된 탄성 박벽 용기(15)를 분리하여 폐기하도록 구성되거나, 다른 부품을 제조하는 재료로 재활용될 수도 있다.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를 세척하여 재활용(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부품(A011)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17, A018)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17)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되고,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에 탈착 가능하고 밀착된 상태에서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되는 개구(15c)를 구비하는 탄성 박벽 용기(15).
(A018)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를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에 고정하는 개구 고정 부재(14, 24, 25).
상기 구성 부품(A017, A018)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개구 고정 부재(14, 24, 25)는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를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에 고정시킨다.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가 기사용된 경우에는,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 및 개구 고정 부재(14, 24, 25)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되거나, 다른 부품을 제조하는 재료로 재활용될 수도 있다. 개구 고정 부재(14, 24, 25)가 재사용할 수 있는 상태라면, 이들 부재를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부품(A017, A018)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 부품(A019)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19)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에 고정되는 개구 고정 부재(14, 25).
상기 구성 부품(A019)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있어서, 개구 고정 부재(14, 25)가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에 고정되기 때문에,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는 개구 고정 부재(14, 25)를 용기 본체(12)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1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Ky)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의해서 지지되며 회전력 전달용인 커플러(16),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 내에 수용되고 커플러(16)에 연결되는 현상제 혼합 부재(18), 및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에 형성되고 현상제 배출구(13f)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 부재(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사용되기 때문에, 현상제 카트리지(Ky)를 재활용하는 경우에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Ky)는 다음의 구성 부품(A01 및 A020 내지 A024)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01) 한쪽 단부에 개구(12A1)를 갖는 실린더형 몸체(12A)와 한쪽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저부 벽 부재(12B)를 구비하며,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가 한쪽 단부에 현상제를 충전하는 개구(12A1)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12).
(A020) 용기 본체(12)에 탈착될 수 있는 탈착부(13c)와, 용기 본체(12)의 실린더형 몸체(12A)의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고 용기 본체(12)의 외부 단부에 현상제 배출구(13f)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13e)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12)에 부착된 상태에서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13).
(A021) 폐쇄 덮개(1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력 전달용인 커플러(16).
(A022)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되며 커플러(16)에 연결된 현상제 혼합 부재(18).
(A023)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현상 제 배출 오거(auger)(19).
(A024) 현상제 배출구(13f)에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는 감합부(20b), 현상제 배출 오거(19)의 외부 단부가 연결되는 오거(auger) 연결부(20c),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샤프트(20d), 및 샤프트(20d)의 외부 단부에 형성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20f)를 구비하며, 현상제 배출구(13f)에 감합된 상태에서 현상제 배출구(13f)를 폐쇄하고, 현상제 배출구(13f)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현상제 배출구(13f)를 개방하고, 분리된 상태에서 오거(19)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배출구 개폐 부재(20).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13c)"는 다른 부재의 중개에 의해 간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의 중개 없이 직접적으로도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폐쇄 덮개(13)는 용기 본체(12)에 탈착될 수 있도록 탈착부(13c)를 통해서 용기 본체(12)에 부착되고, 부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2)의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를 폐쇄한다. 따라서 개구(12A1)는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로부터 현상제가 현상제 저장실로 충전된 이후에 폐쇄 덮개(13)에 의해서 폐쇄된다.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된 현상제 혼합 부재(18)는 폐쇄 덮개(1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러(16)가 회전할 때 회전하므로 용기 본체(12) 내의 현상제가 혼합된다.
폐쇄 덮개(13) 내에 형성된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외부 단부에 서 현상제 배출구(13f)는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감합부(20b)가 감합될 때 폐쇄된다. 현상제 배출구(13f)는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감합부(20b)가 현상제 배출구(13f)로부터 분리될 때에 개방되어, 현상제 저장실 내의 현상제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13f)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감합부(20b)를 갖는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샤프트(20d)와, 샤프트(20d)의 외부 단부에 형성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20f)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감합부(20b)가 현상제 배출구(13f)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20f)에 연결된 회전 부재에 의해서 회전된다.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현상제 배출 오거(19)의 외부 단부는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오거 연결부(20c)에 연결된다.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감합부(20b)가 현상제 배출구(13f)로부터 분리되고, 현상제 배출구(13f)가 개방된 상태로 배출구 개폐 부재(20)가 회전하는 경우에,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의 현상제 배출 오거(19)가 회전하고, 현상제 저장실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배출 튜브(13e)를 통해서 현상제 배출구(13f)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의 현상제 카트리지(Ky)에 따르면, 현상제 배출구(13f)는 폐쇄 덮개(13) 내에 형성된다. 용기 본체(12) 내의 현상제를 혼합하는 현상제 혼합 부재(18)를 회전시키는 커플러(16)와 현상제 배출 오거(19)를 회전시키는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용기 본체(12) 측상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폐쇄 덮개(13) 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12)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므로, 용기 본체(12)를 용이하게 세척하고 재활용(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폐쇄 덮개(13)는 용기 본체(12)와 비교하여 소형으로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의 현상제 카트리지(Ky)는 다음의 구성 부품(A025)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25)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현상제 배출 오거(auger).
상기 구성 부품(A025)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현상제 배출 오거(19)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코일 스프링의 외부 단부는 배출구 개폐 부재(20)에 연결된다. 현상제 배출구(13f)에 감합되어 있고 따라서 현상제 배출구(13f)를 폐쇄하는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감합부(20b)가 현상제 배출구(13f)로부터 분리되고 따라서 현상제 배출구(13f)를 개방하게 되면,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의 코일 스프링(19)이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압축된 상태로부터 연장하게 된다. 이 때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의 현상제는 유동화(fluidize)되고 따라서 그 유동 특성이 개선된다. 따라서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의 현상제가 굳어져서 유동 특성이 낮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Ky)는 다음의 구성 부품(A011)을 구비할 수도 있다.
(A011) 용기 본체(12)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고 탄성 박벽 재료로 형성되며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 내측에 배치되는 개구(15c)를 갖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탄성 박벽 용기(15).
상기 구성 부품(A011)을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탄성 박벽 재료로 형성되고 현상제를 저장하는 탄성 박벽 용기(15)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 내측에 배치되고 용기 본체(12) 내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개구(15c)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12)는 현상제로 오염되지 않게 된다. 용기 본체(12) 상의 오염 범위가 적은 경우에, 용기 본체(12)를 재사용하는 용기 본체(12)의 세척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 또는 본 발명의 제 2 또는 제 3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Ky)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 또는 본 발명의 제 2 또는 제 3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Ky)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제 1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가 사용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를 재활용할 때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활용하는 방법은 한쪽 단부에 개구(12A1)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12)와, 개구(12A1)로부터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부(13c)를 갖는 실린더형 벽(13a)과, 실린더형 벽(13a)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로부터 대향하는 외부 단부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13d)와 개폐 가능한 충전구(13g)를 갖는 단부 벽(13b)과, 현상제 배출구(13f)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12)에 감합된 상태로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13)와, 실린더형 벽(13a)의 실린더형 삽입부(13c)의 외주면에 밀착 상태로 장착되는 개구(15c)를 갖고 있고,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15)를 포함하며,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용기 본체(12) 및 폐쇄 덮개(13)는 세척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 부품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5 태양의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활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는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벽(13a)의 실린더형 삽입부(13c)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며, 용기 본체(12) 및 폐쇄 덮개(13)는 실린더형 삽입부(13c)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용기 본체(12) 내에 삽입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상태로, 현상제는 충전구(13g)로부터 탄성 박벽 용기(15) 내부로 충전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활용할 때,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는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사용된 탄성 박벽 용기(15)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기 때문에, 재사용하지 않고 폐기하거나, 다른 부품들을 제조하는 재료로 재사용될 수도 있다. 폐쇄 덮개(13) 및 용기 본체(12)는 세척되어 재활용(재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활용하는 방법은 한쪽 단부에 개구(12A1)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12)와,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13c)가 형성되는 실린더형 벽(13a)과, 용기 본체(12)로부터 대향하는 측면 상의 실린더형 벽(13a)의 외부 단부와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13d)를 갖는 단부 벽과, 실린더형 벽(13a)이나 단부 벽(13b) 내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13f)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12)에 부착된 상태로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12A1)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15c)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15)를 포함하며,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용기 본체(12) 및 폐쇄 덮개(13)는 세척되어 재사용된다.
상술한 구성 부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는, 재활용되는 경우에, 커플러 장착부(13d)와 현상제 배출구(13f)를 갖는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로 분할되며, 이들 각각은 세척되어 재사용된다. 커플러 장착부(13d) 및 현상제 배출구(13f)가 폐쇄 덮개(13)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12)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12)는 재활용(재사용)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폐쇄 덮개(13)가 커플러 장착부(13d)와 현상제 배출구(13f)가 형성되기 때문에 폐쇄 덮개(13)의 구조는 복잡하게 된다. 그러나 용기 본체(12)와 비교해서 그 구조가 소형인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세척 작업이 지나치게 어렵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재활용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이 개선된다.
오염되기 쉬운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되거나 다른 부품들을 제조하는 재료로 재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탄성 박벽 용기(15)를 세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활용하는 작업 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방법은 한쪽 단부에 개구(12A1)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12)와, 실린더형 벽(13a), 실린더형 벽(13a)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13d)를 갖는 단부 벽(13b), 단부 벽(13b) 또는 실린더형 벽(13a) 내에 형성되는 현상제 배출구(13f), 및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13c)를 구비하는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로부터 용기 본체(12) 내로 삽입되고 한쪽 단부에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실린더형 삽입부(14a)를 갖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14c)와 다른쪽 단부에 폐쇄 덮개(13)의 탈착부(13c)에 연결된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를 구비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실린더형 삽입부(14a)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15c)를 갖고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15)를 포함하며,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용기 본체(12) 및 폐쇄 덮개(13)는 세척되어 재사용된다.
상술한 구성 부품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방법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실린더형 삽입부(14a)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며,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탄성 박벽 용기(15)가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된 상태로 용기 본체(12)에 장착된다. 이 상태로 현상제는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로부터 그 내부로 충전된다. 이 상태로 폐쇄 덮개(13)는 용기 본체(12)에 직접 연결되거나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 상태로 현상제 카 트리지 용기(11)가 사용된다.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활용하는 경우, 탄성 박벽 용기(15)가 장착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용기 본체(12)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사용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의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재사용하지 않고 폐기하거나, 다른 부품들을 제조하는 재료로 재활용된다.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는 세척되어 재활용(재사용)된다.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재사용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방법은 한쪽 단부에 개구(12A1)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12)와, 실린더형 벽(13a), 실린더형 벽(13a)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13d)를 갖는 단부 벽(13b), 단부 벽(13b) 또는 실린더형 벽(13a)에 형성되는 현상제 배출구(13f), 및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13c)를 구비하는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로부터 용기 본체(12) 내로 삽입되고 한쪽 단부에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실린더형 삽입부(14a)를 갖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14c)와 다른쪽 단부에 폐쇄 덮개(13)의 탈착부(13c)에 연결되는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를 구비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실린더형 삽입부(14a)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15c)를 갖고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15)를 포함하며,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는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장착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로 분해되며, 탄성 박벽 용기(15) 및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는 세척된 용기 본체(12)와, 세척된 폐쇄 덮개(13)와, 새로운 탄성 박벽 용기(15), 및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조립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방법에 있어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는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장착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로 분해된다. 탄성 박벽 용기(15)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재사용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는 세척되어 새로운 탄성 박벽 용기(15) 및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함께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로 조립된다.
따라서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가 세척되어 재활용(재사용)되지만, 이 때 사용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탄성 박벽 용기(15)의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이들을 재사용하지 않고 폐기하거나 다른 부품들을 제조하는 재료로 재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방법에 있어서, 한쪽 단부에 개구(12A1)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12)와, 실린더형 벽(13a), 실린더형 벽(13a)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13d)를 갖는 단부 벽(13b), 단부 벽(13b) 또는 실린더형 벽(13a)에 형성되는 현상제 배출구(13f), 및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13c)를 구비하는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로부터 용기 본체(12) 내로 삽입되고 한쪽 단부에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실린더형 삽입부(14a)를 갖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14c)와 다른쪽 단부에 폐쇄 덮개(13)의 탈착부(13c)에 연결된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측 연결부(14c)와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 중 하나의 연결부가 용기 본체(12) 또는 폐쇄 덮개(13)에 연결된 이후에 분리되는 경우에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실린더형 삽입부(14a)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15c)를 가지며,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15)를 포함하며,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는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장착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로 분해되며, 분해될 때 파손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는 세척된 용기 본체(12)와, 세척된 폐쇄 덮개(13)와, 새로운 탄성 박벽 용기(15), 및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조립하여 형성된다.
본 출원의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방법에 있어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용기 본체측 연결부(14c) 및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 중 하나는 용기 본체(12) 또는 폐쇄 덮개(13)에 연결된 이후에 분리될 때 파손되어 재사용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는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장착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로 분해된다. 분해될 때 파손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될 수 없게 된다. 재사용 가능한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는 세척되고, 이들은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새로운 탄성 박벽 용기(15)와 함께 조합하여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로 조립된다.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탄성 박벽 용기(15)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분리하지 않고도 다른 부품들을 제조하는 재료로 재활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출원의 본 발명의 제 10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방법은 현상제 카트리지(Ky)의 재활용 방법으로, 한쪽 단부에 개구(12A1)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12)와, 실린더형 벽(13a), 실린더형 벽(13a)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13d)를 갖는 단부 벽(13b), 단부 벽(13b) 또는 실린더형 벽(13a)에 형성되는 현상제 배출구(13f), 및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13c)를 구비하는 폐쇄 덮개(13)와,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로부터 용기 본체(12) 내로 삽입되고 한쪽 단부에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실린더형 삽입부(14a)를 갖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14c)와 다른쪽 단부에 폐쇄 덮개(13)의 탈착부(13c)에 연결된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측 연결부(14c)와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 중 하나의 연결부가 용기 본체(12) 또는 폐쇄 덮개(13)에 연결된 이후에 분리되는 경우에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실린더형 삽입부(14a)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15c)를 가지며,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15)와, 폐쇄 덮개(13)의 단부 벽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러(16)와,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 내에 수용되고 커플러(16)에 연결되는 현상제 혼합 부재(18)와,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현상제 배출 오거(auger)(19)와, 현상제 배출구(13f)에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는 감합부(20b), 현상제 배출 오거(19)의 외부 단부가 연결되는 오거 연결부(20c),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샤프트(20d), 및 샤프트(20d)의 외부 단부에 형성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현상제 배출구(13f)에 감합된 상태로 현상제 배출구(13f)를 폐쇄하고, 현상제 배출구(13f)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현상제 배출구(13f)를 개방하고, 분리된 상태에서 현상제 오거(19)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배출구 개폐 부재(20)를 포함하며,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y)는 용기 본체(12)와, 커플러(16) 및 현상제 혼합 부재(18)가 장착된 폐쇄 덮개(13)와, 현상제 배출 오거(19)가 연결된 배출구 개폐 부재(20),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장착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로 분해되며, 분해될 때 파손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용기 본체(12)와, 커플러(16)와 현상제 혼합 부재(18)가 장착된 폐쇄 덮개(13), 및 오거(19)가 연결된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세착되고, 현상제 카트리지(Ky)는 세척된 부품과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새로운 탄성 박벽 용기(15)를 조립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0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재활용 방법에 있어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y)는 용기 본체(12)와, 커플러(16) 및 현상제 혼합 부재(18)가 장착된 폐쇄 덮개(13)와, 현상제 배출 오거(19)가 연결된 배출구 개 폐 부재(20),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장착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로 분해된다.
분해될 때 파손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12)와, 커플러(16)와 현상제 혼합 부재(18)가 장착된 폐쇄 덮개(13), 및 오거(19)가 연결된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세착되고, 현상제 카트리지(Ky)는 세척된 부품과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새로운 탄성 박벽 용기(15)를 조립하여 형성된다.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탄성 박벽 용기(15)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분리하지 않고도 다른 부품들을 제조하는 재료로 재활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용기는 다음의 효과(E01, E02)가 있다.
(E01)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는 세척하여 재활용(재사용)을 위한 세척을 할 때 세척이 용이한 형상의 부품으로 분할될 수 있다.
(E02)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재활용할 때 기사용된 부품을 세척하기가 용이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에서, 전방 및 후방 방향은 X 축 방향으로 표시하였고, 측방 방향은 Y 축 방향으로 표시하였으며, 수직 방향은 Z 축 방향으로 표시하였다. 화살표(X, -X, Y, -Y, Z, -Z)로 표시된 방향 또는 측면은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내부에 점이 있는 원은 도면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나타내고, 내부에 십자(十字)가 있는 원은 도면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U)는 자동 문서 공급 유닛(U1)과 화상 형성 장치(U)를 지지하고 상부 단부에 플래튼 유리(platen glass)(PG)를 가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복사기)(U2)를 구비하고 있다.
자동 문서 공급 유닛(U1)은 복사될 복수의 문서(Gi)가 겹쳐져 쌓여 있는 문서 공급 트레이(TG1)와, 상기 플래튼 유리(PG) 상의 복사 위치(문서 판독 위치)를 통해서 문서 공급 트레이(TG1)로부터 문서(Gi)가 공급되는 문서 배출 트레이(TG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는 "복사 시작(copy start)"과 같은 동작 지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UI(user interface)와 노광 광학 시스템(A)을 구비하고 있다.
자동 문서 공급 유닛(U2)에 의해서 플래튼 유리(PG) 위로 공급되는 문서로부 터 또는 플래튼 유리(PG)에 수동으로 놓여진 문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반사된 광 빔(beam)은 노광 광학 시스템(A)을 거쳐서 CCD(charge coupled device)에 의해서 R(적), G(녹), 및 B(청)의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IPS(image processing system)은 CCD로부터 공급된 RGB의 전기 신호를 Y(옐로, yellow), M(마젠타, magenta), C(시안, cyan), 및 K(블랙, black)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임시 저장한 다음, 이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화상 데이터로서 레이저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문서 상의 화상이 모노크롬(monochrome)인 경우에, 화상 데이터 중에 K(블랙)만 레이저 구동 회로(DL)에 공급된다.
레이저 구동 회로(DL)는 각각의 색상 Y, M, C, K용의 레이저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노광 유닛(ROS) 내에서 각 색상의 잠상을 기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도시하지 않음)에 레이저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IPS, 레이저 구동 회로(DL), 및 전원 회로(E)(후술함)의 동작은 제어 장치(C)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1에 있어서, ROS의 상방에 배치된 것은 Y(옐로), M(마젠타), C(시안), 및 K(블랙)의 각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 유닛(Uy, Um, Uc, Uk)이다.
도시하지 않은, 노광 장치(ROS)의 각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Y, M, C, 및 K의 레이저 광(Ly, Lm, Lc, Lk)은 회전하는 각각의 감광체(PRy, PRm, PRc, PRk)로 입사된다. 상기 PRy, PRm, PRc, 및 PRk의 각각은 도전성 기판에 형성된 감광층을 갖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Y의 토너 화상 형성 유닛(Uy)은 회전하는 감광체(PRy)와, 대전(帶電) 롤(대전 부재)(CRy)과, 현상 유닛(Gy), 및 상기 감광체(PRy)에 반대 방향으로 접촉하고 탄성 클리닝 블레이드(resilient cleaning blade)를 갖는 클리너(CLy)를 구비하는다.
감광체(PRy) 및 대전 롤(대전 부재)(CRy)은 카트리지 유닛(CRU, cartridge unit)을 구성하며, 상기 CRU는 수명이 끝나면 교체된다.
토너 화상 형성 유닛(Um, Uc, 및 Uk)은 상술한 Y의 토너 화상 형성 유닛(Uy)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감광체(PRy 내지 PRk)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피전사체)(B)와 접촉하게 되는 일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으로 공급된다. 상기 일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중간 전사 벨트(B)의 뒷면측에 배치된 일차 전사 롤(상기 감광체 상의 토너 화상 전사 부재)(T1y, T1m, T1c, T1k)에는, 소정의 타이밍에 제어 장치(C)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토너의 정전 극성과는 반대 극성의 일차 전사 바이어스(bias)가 인가된다.
각각의 감광체(PRy 내지 PRk) 상의 토너 화상은 일차 전사 롤(T1y, T1m, T1c, T1k)에 의해서 중간 전사 벨트(B)에 일차 전사된다. 일차 전사 이후에 감광체(PRy, PRm, PRc, PRk) 표면 상의 잔류 토너는 상기 감광체의 표면과 반대 방향으로 접촉하는 탄성 클리닝 블레이드를 가진 클리너(CLy, CLm, CLc, CLk)에 의해서 세척된다.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방(前方)으로 끄집어 낼 수 있는 벨트 모듈(belt module)(BM)은 감광체(PRy 내지 PRk)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벨트 모듈(BM)은 중간 전사 벨트(B), 장력 부여 롤(Rt), 워킹 롤(Rw), 아이들러 롤(자유 롤)(Rf)과 구동 롤로도 기능하는 백업 롤(T2a)을 포함하는 벨트 지지 롤(Rt, Rw, Rf, T2a), 및 상기 일차 전사 롤(T1y, T1m, T1c, T1k)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B)는 벨트지지 롤(Rt, Rw, Rf, T2a)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 구동 유닛, 즉 중간 전사 벨트(B)를 공급하는 중간 전사재 공급 유닛(Rt, Rw, Rf, T2a)은 구동 롤로도 기능하는 백업 롤(T2a)을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 및 벨트 지지 롤(Rt, Rw, Rf, T2a)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차 전사 롤(T2b)은 백업 롤(T2a)과 접촉하게 되는 중간 전사 벨트(B)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이차 전사 유닛(T2)은 각각의 롤(T2a, T2b)로 구성된다. 이차 전사 영역(Q4)은 이차 전사 롤(T2b)과 중간 전사 벨트(B)가 대향하는 영역 내에 형성된다.
전사 유닛(T1y, T1m, T1c, T1k)에 의해서 일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 내에 순서대로 중간 전사 벨트(B)에 쌓여져서 전사된 컬러 토너 화상은 이차 전사 영역(Q4)으로 공급된다.
ROS의 하방에 형성된 것은 전방 및 후방 방향(X 축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후퇴할 수 있도록 시트 공급 트레이(TR1 내지 TR3)를 지지하는 3단으로 된,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레일(GR, GR)이다. 시트 공급 트레이(TR1 내지 TR3) 상의 기 록 시트(피전사체)(S)는 픽업 롤(Rp)에 의해서 끌어 올려지고, 분리 롤(Rs)에 의해서 낱장으로 분리되어, 복수의 공급 롤(Ra)에 의해서 레지스터(register) 롤(Rr)에 공급된다. 상기 복수의 시트 공급 롤(Ra)은 시트 가이드(sheet guide)에 의해서 형성된 시트 공급 경로(SH)를 따라 형성되며, 레지스터 롤(Rr)은 이동 방향으로 이차 전사 영역(Q4)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시트 공급 유닛(SH + Ra + Rr)은 시트 공급 경로(SH)와, 시트 공급 롤(Ra), 및 레지스터 롤(Rr)로 구성된다.
레지스터 롤(Rr)은 중간 전사 벨트(B)에 형성된 컬러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영역(Q4)에 전사되는 타이밍을 맞추어 이차 전사 영역(Q4)으로 기록 시트(S)를 공급한다. 기록 시트(S)가 이차 전사 영역(Q4)을 통과할 때, 백업 롤(T2a)이 접지(earth)되고, 소정의 타이밍에 제어 장치(C)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토너의 대전 극성과는 반대인 극성을 가진 이차 전사 전압이 이차 전사 롤(T2b)에 인가된다. 이 때, 중간 전사 벨트(B) 상의 컬러 토너 화상은 이차 전사 유닛(T2)에 의해서 기록 시트(S)에 전사된다.
일차 전사 롤(T1y 내지 T1k), 중간 전사 벨트(B), 및 이차 전사 유닛(T2)은 각각의 감광체(PRy 내지 PRk)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시트(S) 상으로 전사하는 시트 전사 유닛(T1y 내지 T1k + B + T2)를 구성한다.
이차 전사 이후의 중간 벨트(B)는 벨트 클리너(CLb)의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서 세척된다.
토너 화상이 이차적으로 전사된 기록 시트(S)는, 정착 유닛(F)의 가열 롤(Fh)과 가압 롤(Fp)이 서로 가압 접촉되는 영역인 정착 영역(Q5)으로 공급되고, 상기 정착 영역(Q5)을 통과할 때 가열 정착되고, 배출 롤러(Rh)로부터 배출 트레이(TRh)에 배출된다.
가열 롤로부터 기록 시트(S)를 양호하게 분리하기 위한 분리제는 분리제 도포 유닛(Fa)에 의해서 가열 롤(Fh)의 표면에 도포된다.
Y(옐로), M(마젠타), C(시안), 및 K(블랙)의 각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는 벨트 모듈(BM)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현상 유닛(Gy, Gm, Gc, Gk) 내의 현상제가 소모됨에 따라 각각의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 내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 보급 경로(도 2와 연계하여 후술함)를 통해 각각의 현상 유닛(Gy, Gm, Gc, Gk)에 보급된다.
도 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U)는 상부 프레임(UF)과 하부 프레임(LF)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UF)은 ROS와 ROS의 상방으로 배치된 부재들(감광체(PRy, PRm, PRc, PRk), 현상 유닛(Gy, Gm, Gc, Gk), 및 벨트 모듈(BM))을 지지하고 있다.
하부 프레임(LF)은 시트 공급 트레이(TR1 내지 TR3)를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GR)과 각각의 트레이(TR1 내지 TR3)로부터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 공급 부재(픽업 롤(Rp), 분리 롤(Rs), 및 시트 공급 롤(Ra))를 지지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서의 각각의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 내에 저장된 현상제를 각각의 현상 유닛(Gy, Gm, Gc, Gk)에 보급하는 현상제 보급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각각의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는 화상 형성 장치(U) 내에 형성된 각각의 카트리지 장착 부재(Hy, Hm, Hc, Hk)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카트리지 장착 부재(Hy, Hm, Hc, Hk)의 하방에 배치된 것은 각각의 현상제 혼합 용기(1Y, 1M, 1C, 1K)이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 부재(Hy, Hm, Hc, Hk)에 장착된 각각의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 내에 저장된 현상제는 각각의 현상제 혼합 용기(1Y, 1M, 1C, 1K)에 보급되도록 구성된다(상세한 설명은 도 4의 (a), 도 4의 (b), 도 5의 (a) 및 도 5의 (b)와 연계하여 후술함).
Y(옐로), M(마젠타), C(시안), 및 K(블랙)의 색상의 각각의 현상제 카트리지(Ky, Km, Kc, Kk)와, 각각의 카트리지 장착 부재(Hy, Hm, Hc, Hk), 및 각각의 현상제 혼합 용기(1Y, 1M, 1C, 1K)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하에서 Y(옐로)의 현상제 카트리지(Ky)와, 카트리지 장착 부재(Hy), 및 현상제 혼합 용기(1Y)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된 카트리지 장착 부재와 도 1에서의 현상제 혼합 용기를 나타낸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현상제 혼합 용기(1Y)는 현상제 저장 용기(1a)와, 상기 현상제 저장 용기(1a)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배출 튜브(1b)와, 상기 배출 튜브(1b)의 하측면에 형성된 배출구(1c), 및 현상제 유입구(1d)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제 유입구(1d)는 현상제 카트리지(Ky)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가 통과하여 유입되는 부분이다. 현상제 카트리지(Ky) 내의 현상제가 현상제 혼합 용기(1Y)의 현상제 유입구(1d)에 보급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의 (a), 도 4의 (b), 도 5의 (a) 및 도 5의 (b)와 연계시켜서 다음의다.
도 3에 있어서, 한 쌍의 평행한 제 1 혼합 부재(1e)와 제 2 혼합 부재(1f)는 현상제 저장 용기(1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혼합 부재(1e, 1f)의 샤프트는 현상제 저장 용기(1a)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후방 단부에는 기어(G1, G2)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부재(1g)는 배출 튜브(1b)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배출 부재(1g)의 샤프트는 배출 실린더(1b)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후방 단부에는 기어(G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어(G3)는 기어(G1, G2)에 감합되어 있다.
각각의 혼합 부재(1e, 1f)가 현상제를 공급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제 혼합 용기(1a) 내의 현상제는 용기(1a) 내에서 순환되면서 혼합된다. 현상제는 배출 부재(1g)의 회전에 의해서 배출구(1c)(도 2 참조)로부터 배출된다.
도 2에 있어서, 현상제 유입구(1d)를 통해서 각각의 현상제 카트리지(Ky 내지 Kk)로부터 현상제 혼합 용기(1Y 내지 1K)에 보급되는 현상제는 현상제 보급 경로(2y 내지 2k)를 통해서 현상제 유닛(Gy 내지 Gk)에 보급된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부재에 장착되고, 현상제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를 현상제 혼합 용기 내로 배출하는 회전 가능한 배출 부재가 이 배출 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재와 연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IVB-IV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부재에 장착 되어 있고, 현상제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를 현상제 혼합 용기에 배출하는 회전 가능한 배출 부재가 이 배출 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VB-V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 부재(Hy)는 현상제 카트리지(Ky)의 후방 단부가 장착되는 후방부 수용 실린더형 부분(3)과, 후방 단부벽(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후방부 수용 실린더형 부분(3)은 후측 상의 원형부(3a)와 전측 상의 반원형부(3b)를 구비하고 있다.
반원형부(3b)는 원형부(3a)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호형 홈(3c)은 반원형부(3b)의 하부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3d, 3d)은 원주 방향으로 원호형 홈(3c)으로부터 60 도 각도 떨어진 위치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후방으로 팽출(膨出)하는 팽출부(4a)(도 4의 (a) 및 도 4의 (b) 참조)는 후방 단부 벽(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커플러(회전력 전달 클로(claw))(5)는 팽출부(4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커플러(5)의 샤프트(5a)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어(G4)는 샤프트(5a)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4의 (a), 도 4의 (b),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있어서, 기어(G4)와 기어(G1)는 기어(G5)와 감합되며, 기어(G5)는 단면이 육각형인 샤프트 감합(嵌合) 구멍(G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는 도 4의 (a) 및 도 4의 (b)에서의 분리 상태와 도 5의 (a) 및 도 5의 (b)에서의 연결 상태 사이에서 현상제 카트리지(Ky)의 회전 가능한 현상제 배출 부재와 기어(G5)와의 관계를 변경하는 연결 및 분리 부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측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화살표(V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평면도이고, 도 6의 (c)는 도 6의 (a)의 화살표(VIC-VIC)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정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있어서, 연결 및 분리 부재(6)는 기판(6a)과, 기판(6a)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 블록(6b, 6c), 및 가이드 블록(6b)에 고정된 솔레노이드(6d)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6b, 6c)에 의해서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하게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드 바(6f)의 후방 단부는 솔레노이드의 신축성 축(6e)의 선단부(distal end)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부재(6g)는 슬라이드 바(6f)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 바(6f)는 압축 스프링(6h)에 의해서 후퇴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작동 레버(6j)는 힌지 샤프트(6i) 주위를 회전하도록 연결 부재(6g)에 연결된다. 작동 레버(6j)는 도 6의 (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평행 레버(6j1, 6j1)와,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레버 연결부(6j2)를 구비하고 있다. 기다란 구멍(6j3, 6j3)은 상기 한 쌍의 레버(6j1, 6j1)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블록(6b)은 한 쌍의 평행한 돌출부(6k, 6k)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6k, 6k)는 각각 기다란 구멍(6k1, 6k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6m)은 상기 기다란 구멍(6k1, 6k1)에 의해서 이 기다란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 연결 부재(6n)의 중간부에 형성된 기다란 구멍(6n1)은 핀(6m)과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솔레노이드의 신축성 샤프트(6e)의 팽창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기다란 구멍(6n2)은 레버 연결 부재(6n)의 후방 단부(작동 레버(6j)의 후퇴 방향으로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기다란 구멍(6n2)은 신축성 샤프트(6e)의 선단부(extremity)에서 핀에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핀(6p)은 레버 연결 부재(6n)의 전방 단부(작동 레버(6j)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며, 핀(6p)은 한 쌍의 레버(6j1, 6j1)의 기다란 구멍(6j3, 6j3)에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결 및 분리 부재(6)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6d)가 오프(OFF)일 때 전방 및 후방 방향(전진 및 후퇴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 가능한 슬라이드 바(6f)와 연결 부재(6g)가 압축 스프링(6h)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신축성 샤프트(6e)가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6d)가 온(ON)으로 될 때, 신축성 샤프트(6e)는 후퇴하며, 슬라이드 바(6f), 연결 부재(6g), 작동 레버(6j), 및 레버 연결 부재(6n)는 전방(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서 화살표(Y1)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작동 레버(6j) 는 도 6의 (a)에서 화살표(Y1)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서 힌지 샤프트(6i) 주위로 시계 반대 방향(도 6의 (a)에서 화살표(Y2)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작동 레버(6j)는 도 4의 (b)에서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5의 (b)에서 나타낸 상태로 이동한다.
현상제 카트리지(Ky)의 현상제 배출 부재(도 16의 (a) 내지 도 16의 (d)와 연계시켜 후술함)를 설명한 이후에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서 나타낸 연결 및 분리 부재(6)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설명>>
현상제 카트리지(Ky 내지 Kk)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Y(옐로)의 현상제 카트리지(Ky)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8에 있어서, 현상제 카트리지(Ky)는 강성(剛性)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강성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는 실린더형 용기 본체(12)와, 상기 용기 본체(12)에 직접적으로 탈착되거나 다른 부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탈착되는 폐쇄 덮개(1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본체(12) 및 폐쇄 덮개(13)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현상제 카트리지(Ky)는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되는 저부(底部)가 형성된 실린더형 탄성 박벽 용기(15)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는 동일한 재료(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y)를 회수하고 재활용할 때,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다른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서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폐쇄 덮개(13)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와 연계하여 후술되는 커플러 관통 구멍(커플러 장착부)(13d)과 현상제 배출 튜브(13e)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커플러(16)는 커플러 관통 구멍(13d)을 통해서 폐쇄 덮개(13)에 장착되며, 커플러(16)와 커플러 관통 구멍(13d) 사이를 밀봉하는 디스크 형상의 밀봉 부재(17)(후술함)는 폐쇄 덮개(13)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커플러(16)의 내부 단부에 연결된 혼합 부재(18)는 탄성 박벽 용기(15)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커플러(16)와 일체로 회전한다.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현상제 배출 오거(auger)(현상제 배출 부재)(19)는 폐쇄 덮개(13)와 일체로 형성된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현상제 배출 오거(19)의 외부 단부에 연결된다. 현상제 배출 오거(19)는 배출구 개폐 부재(20)가 회전할 때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의 현상제가 배출되도록 회전하게 되어 있다.
도 9는 도 7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화살표(X)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분해도이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e)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용기 본체의 설명도로, 도 12의 (a)는 측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화살표(XIIB-XI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2의 (c)는 도 12의 (a)의 화살표(XIIC-XIIC)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2의 (d)는 도 12의 (a)의 화 살표(XIIC)로 표시된 부분의 단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고, 도 12의 (e)는 화살표(XIIE)로 표시된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도 12의 (b)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e)에 있어서, 용기 본체(12)는 실린더형 부재이며, 실린더형 몸체(12A)와 실린더형 몸체(12A)의 한쪽 단부를 폐쇄하는 저부 벽 부재(12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형 몸체(12A)와 저부 벽 부재(12B)는 다른 부재일 수도 있다. 실린더형 몸체(12A)는 저부 벽 부재(12B)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서 개구(12A1)가 형성되어 있다. 전부 6개의 결합 홈 형성 부재(12A2)는 원주 방향으로 60 도의 간격으로 개구(12A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2의 (d)에 있어서, 결합 홈(12A3)의 외부 단부는 용기 본체(1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부 단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2의 (a)에 있어서, 실린더형 몸체(12A)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저부 벽 부재(12B)는 실린더형 몸체(12A)의 우측 단부를 폐쇄하는 저부 벽(12B1)과, 그 외측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핸들(12B2)을 구비하고 있다.
도 8 및 도 11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는 실린더형 부재이며, 실린더형 벽(15a)과, 그 우측 단부에서 일체로 형성된 저부 벽(15b)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15c)는 탄성 박벽 용기(15)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박벽 용기(15)는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설명도로, 도 13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화살표(XII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11과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있어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실린더형 부재이며, 도 13의 (a)의 우측 단부에서 용기 본체(12)의 개구(12c)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부(14a)를 구비하고 있으며, 소직경 내경부(폐쇄 덮개측 연결부)(14b)는 좌측 단부(외부 단부)에 형성되며, 전부 6개의 결합부(용기 본체측 연결부)(14c)는 60 도의 각도 간격으로 중간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11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는 실린더형 삽입부(14a)의 외주면에서 감합되어 있고, 초음파 용접법(가열 용접법)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탄성 박벽 용기(15)는 용기 본체(12)내로 삽입되며, 실린더형 삽입부(14a)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헐겁게 끼워 맞춰져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전부 6개의 결합부(14c)는 결합 홈 형성 부재(12A2)의 결합 홈(12A3)(도 12의 (d) 및 도 12의 (e) 참조) 내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14c)가 결합 홈(12A3)이 내부 단부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결합되도록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용기 본체(12)에 대해서 비틀리게 된다(도 12의 (d) 참조).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12)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연결된다(도 9 참조).
도 14의 (a) 및 도 14의 (b)는 폐쇄 덮개(closing lid)의 설명도로, 도 14의 (a)는 폐쇄 덮개의 측단면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서 화살표(XIV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4의 (a) 및 도 11에 있어서, 폐쇄 덮개(13)는 실린더형 벽(13a)과 그 좌측 단부에서 연결된 단부벽(13b)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형 벽(13a)은 그 우측 단부에서 외주면에 돌출부와 오목부를 가진 실린더형 삽입부(탈착부)(13c)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벽(13b)은 그 중앙에 커플러 관통 구멍(커플러 장착부)(13d)이 형성되어 있으며, 현상제 배출 튜브(13e)는 그 하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현상제 배출구(13f)는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외부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소직경 내경부(14b)를 통해서 내부에 헐겁게 끼워 맞춰져서 연결된다.
다시 말하자면, 도 11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가 장착되고 용접되는 실린더형 삽입부(14a)는 개구(12A1)를 통해서 용기 본체(12)의 내부로 헐겁게 끼워 맞춰지고, 연결부(14c)와 결합 홈(12A3)이 결합되어, 용기 본체(12)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연결된다.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소직경 내경부(14b) 내로 삽입되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폐쇄 덮개(13)를 연결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실린더형 삽입부(13c)와 소직경 내경부(14b) 사이의 연결 구조는 폐쇄 덮개(13)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연결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소직경 내경부(14b)는 폐쇄 덮개(13)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연결된 상태를 분리하는 경우에 파손된다. 이 경우에서의 구조는, 예 를 들어,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클로(claw)가 원주 방향으로 각도를 두고 소직경 내경부(14b)의 복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클로는 폐쇄 덮개(13)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폐쇄 덮개(13)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연결할 때 탄성 변형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소직경 내경부(14b)에 형성된 클로는 폐쇄 덮개(13)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연결된 상태에서 분리될 때 파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활용하기 위해서 폐쇄 덮개(13)로부터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분리할 때 확실하게 파손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사용할 때는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사용하게 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y)를 수집하고 이들을 재활용하여 신품(new product)으로 판매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y)를 제 3 자가 수집하고 재활용하여 재판매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된 다수의 저품질의 현상제 카트리지(Ky)가 시장에서 유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f)는 폐쇄 덮개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커플러의 설명도로, 도 15의 (a)는 측단면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서 화살표(XV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5의 (c)는 도 15의 (b)에서 화살표(XVC)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5의 (d)는 도 15의 (c)에서 화살표(XVD)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5의 (e)는 도 15의 (c)에서 화살표(XVE)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5의 (f)는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f)에 있어서, 커플러(16)는 실린더부(16a)와 실린더부(16a)의 외부 단부에 연결되는 플레이트(plate) 부재(16b)를 구비하고 있다. 혼합 부재 연결부(16c)는 실린더부(16a)의 내부 단부에 현성되어 있다. 혼합 부재(18)는 혼합 부재 연결부(16c)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복수의 결합 클로(16d)는 플레이트 부재(16b)의 외면(外面)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커플러(5)(도 3 참조)의 결합 클로로부터의 회전력은 결합 클로(16d)로 전달된다.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d)는 현상제 배출 오거(auger)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의 설명도로, 도 16의 (a)는 측면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서 화살표(XV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6의 (c)는 도 16의 (a)에서 화살표(XVIC)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16의 (d)는 도 16의(a)에서 화살표(XVID)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d)에 있어서,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중앙 플랜지(20a)와, 그 우측 상의 감합부(20b)와, 그 우측 단부(내부 단부)에 형성된 오거 연결부(20c), 및 좌측으로 향해서 중앙 플랜지부(20a)로부터 돌출된 샤프트부(20d)를 구비하고 있다. 소직경부(20e)는 샤프트(20d)의 축방향 외부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육각형 단면을 갖는 다각형 기둥부(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20f)는 그 외부 단부(좌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링 형상의 돌출부(20b1)는 감합부(20b)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현상제 배출 오거(19)의 외부 단부는 오거 연결부(20c)에 연결된다. 링 형상의 돌출부(20b1)의 외경은 폐쇄 덮개(13)의 현상제 배출 튜브(13e)(도 14의 (a) 및 도 14의 (b) 참조)의 내주면에 감합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다각형 원기둥부(20f)는 기어(G5)(도 4의 (a) 및 도 4의 (b), 도 5의 (a) 및 도 5의 (b) 참조)의 단면이 육각형인 샤프트 감합 구멍(G5a)에 탈착 가능하게 감합되어 연결된다.
<<제 1 실시예의 작용>>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도 8에서 나타낸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실린더형 삽입부(14a)는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 내로 삽입되며, 실린더형 삽입부(14a)와 개구(15c)는 열 용접된다. 이후에 탄성 박벽 용기(15)는 강성(剛性)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의 용기 본체(12) 내로 삽입되며, 개구(15c)가 열 용접된 실리더형 삽입부(14a)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를 통해서 내부에 헐겁게 끼워 맞춰져 있으며, 이와 동시에, 결합부(14c)는 결합 홈(12A3)(도 12의 (d) 및 도 12의 (e) 참조) 내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 홈(12A3)의 내부 단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결합부(14c)가 결합되도록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용기 본체(12)에 대해서 비틀리게 되며, 용기 본체(12)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도면 부호 12, 14 및 15에 의해서 표시된 구성 부품들은 용기 본체 유닛(12 + 14 + 15)으로 조립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seat) 부재(17)는 폐쇄 덮개(13)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커플러(16)는 커플러 관통 구멍(13d)을 통과한 상태로 폐쇄 덮개(13)에 장착되어 있다. 이후에 혼합 부재(18)는 커플러(16)의 내부 단부에 연결된다. 배출구 개폐 부재(20)에 연결된 현상제 배출 오거(19)는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로 삽입되며, 현상제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도 4의 (a), 도 4의 (b)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배출 튜브(13d) 내로 삽입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현상제 배출 오거(19)는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도면 부호 13 및 16 내지 20으로 표시된 구성 부품은 폐쇄 덮개 유닛(13 + 16 내지 20)으로 조립된다.
현상제는 용기 본체 유닛(12 + 14 + 15)의 탄성 박벽 용기(15) 내로 충전된다. 이와 같은 현상제의 충전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대직경의 내부 구멍을 통해서 수행되기 때문에 충전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현상제로 충전된 용기 본체 유닛(12 + 14 + 15)에 폐쇄 덮개 유닛(13 + 16 내지 20)을 조립하기 위해서, 혼합 부재(18)를 회전시키면서 탄성 박벽 용기(15) 내의 현상제 내부로 나사 돌리듯 삽입한다. 이후에 폐쇄 덮개(13)(도 14의 (a) 참조)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소직경 내경부(14b) 내로 헐겁게 끼워 맞춰져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폐쇄 덮개(13)를 연결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박벽 용기(15) 내에 현상제가 충전된 용기 본체 유 닛(12 +14 + 15)과 폐쇄 덮개 유닛(13 + 16 내지 20)을 조립하여 현상제 카트리지(Ky)를 제작한다.
도 3에서의 카트리지 장착 부재(Hy) 내로 현상제 카트리지(Ky)가 삽입된 상태는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내었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분리 부재(6)(도 6의 (a) 내지 도 6의 (c) 참조)의 솔레노이드(6d)(도 4의 (b), 도 5의 (b) 및 도 6의 (a) 참조)는 오프(OFF) 상태이다. 솔레노이드(6d)는 화상 형성 장치(도 1 참조)의 전원이 오프인 경우에 오프로 되며, 화상 형성 장치(U)의 전원이 온(ON)인 경우에 온으로 된다.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소직경부(20e)는 분리 부재(6)의 작동 레버(6j)의 전방 단부(전진하는 방향의 단부)와 대향하고 그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솔레노이드(6d)가 온(ON)으로 되면, 분리 부재(6)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작동 레버(6j)의 한 쌍의 레버(6j1, 6j1)(도 6의 (a) 내지 도 6의 (c) 참조)가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소직경부(20e)를 사이에 끼게 되고, 힌지 핀(6i)(도 6의 (a) 내지 도 6의 (c) 참조) 주위로 회전하여, 도 5의 (b)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도 5의 (b)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현상제 배출 실린더(13e)로부터 분리되며, 배출구 개폐 부재(20)의 외부 단부에서의 다각형 기둥부(20f)는 단면이 육각형인 기어(G5)의 샤프트 감합 구멍(G5a) 내로 감합된다.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의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현상제 배출 오거(19)는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압축 상태로부터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낸 신장된 상태로 된다. 이 때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의 현상제는 유동화되며, 따라서 유동 특성이 개선된다. 배출구 개폐 부재(20)가 현상제 배출 튜브(13e)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기어(G5)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도시하지 않은 회전 유닛에 의해서 기어(G1)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기어(G1)와 감합된 기어(G5)(도 4의 (a) 참조)와 기어(G3)(도 3 참조)가 회전하게 되고, 기어(G4, G2) 또한 회전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혼합 부재(1e, 1f), 및 배출 부재(1g)는 기어(G1 내지 G5)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서 회전되며, 도 4의 (a) 및 도 7에 나타낸 혼합 부재(18) 및 현상제 배출 오거(19)가 회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유입구(1d)(도 2 및 도 4의 (a) 참조)를 통해서 현상제 배출 튜브(13e)로부터 현상제 혼합 용기(1Y) 내로 유입된다. 현상제 혼합 용기(1Y) 내로 유입된 현상제는 현상제 혼합 용기(1Y) 내에서 혼합되며, 이후에 현상제 보급 경로(2y)(도 2 참조)를 통해 배출 실린더(1b)의 배출구(1c)(도 2 참조)로부터 현상 유닛(Gy)에 보급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U)의 전원이 오프(OFF)인 경우에, 솔레노이드(6d)는 오프로 된다. 압축 스프링(6h)(도 6의 (a) 내지 도 6의 (c) 참조)의 탄성력은 현상제 배출 오거(19)의 탄성력과 비교하여 큰 값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6d)가 오프(OFF)로 되면, 작동 레버(6j)는 분리 부재(6)의 압축 스프링(6h)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후퇴하게 된다.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압축 스프 링(6h)에 의한 작동 레버(6j)의 이동에 의해서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고,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로 삽입된다.
다시 말하자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U)의 전원이 온(ON)으로 되면,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기어(G5)에 연결되며, 화상 형성 장치(U)의 전원이 오프(OFF)로 되면, 배출구 개폐 부재(20)는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로 삽입된 상태로 된다.
현상제 카트리지(Ky) 내의 현상제가 완전히 소모되면, 현상제 카트리지(Ky)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Hy)로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배출구 개폐 부재(20)가 현상제 배출 튜브(13e) 내로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장착 부재(Hy)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제 카트리지(Ky)로부터 현상제가 전체 방향으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카트리지 장착 부재(Hy)로부터 분리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y)는 먼저 용기 본체 유닛(12 + 14 + 15)과 폐쇄 덮개 유닛(13 + 16 내지 20)으로 분해된다.
이후, 용기 본체 유닛(12 + 14 + 15)은 용기 본체(12)와,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실린더형 삽입부(14a)에 용접된 탄성 박벽 용기(15)로 분해된다.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및 탄성 박벽 용기(15)가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박벽 용기(15)는 분해될 때 파손되며, 따라서 재사용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탄성 박벽 용기(15)가 재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부품용의 재료로서 재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는 재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는, 재사용된다. 재사용될 수 없는 경우에, 다른 부품용의 재료로서 재활용된다. 용기 본체(12)는 세척되어 재사용된다.
용기 본체(12)가 현상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심하게 오염되지 않으며, 따라서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또한 소형이기 때문에, 에어 세척(air washing)에 의해서 오염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는 폐쇄 덮개(13)에 연결된 이후에 분리되는 경우에 파손되어 재사용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덮개 유닛(13 + 16 내지 20)은 먼저 시트 부재(17)가 용접된 폐쇄 덮개(13)와, 커플러(16) 및 혼합 부재(18)를 가진 부재와, 현상제 배출 오거(19)와 배출구 개폐 부재(20)를 가진 부재로 분해되며, 이후에 에어 세척되어 재사용된다. 분해된 구성 부품((13 + 17), 16, 18, 19, 20)이 소형이기 때문에, 에어 세척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7의 (a) 및 도 17의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설명도로, 도 17의 (a)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에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을 완료한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서 화살표(XVIIB-XVIIB)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8은 제 1 실시예에서의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대응하며, 카트리지 장착 부재에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제 2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의 부품들에 대응하는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가 이하의 몇 가지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지만, 기타의 점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17의 (a)와 도 17의 (b) 및 도 18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의 현상제 배출 튜브(13e)는 축 방향으로 더 짧으며, 현상제 배출구(13f)는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축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의 셔터(21)는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하부 부분을 통과하고 있다.
셔터(21)의 우측 단부는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우측 단부 벽을 통과하며, 우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장력 부여 스프링(22)은 셔터(21)의 우측 단부와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우측 단부 벽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셔터(21)는 항상 좌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셔터(21)는 개구(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21a)는 도 17의 (a)에서 나타낸 상태로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좌측 단부 벽의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7의 (a)에서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셔터(21) 위쪽의 현상제는 셔터(21) 아래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셔터(21)의 좌측 단부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Hy)의 후방 단부 벽(4)과 접촉하게 되며, 셔터(21)의 개구(21a)는 도 17의 (a)에서 나타낸 상태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여 현상제 배출 튜브(13e)의 내부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셔터(21) 위쪽의 현상제는 개구(21a)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통과할 수 있다. 도 18에 있어서, 개구(21a)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이동된 현상제는 현상제 배출구(13f)로부터 현상제 유입구(1d)를 통해서 현상제 혼합 유닛(1Y)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카트리지(Ky)가 카트리지 장착 부재(Hy)에 장착되었을 때(도 18에서 나타낸 상태)에 셔터(21)는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현상제는 현상제 혼합 용기(1Y) 내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현상제 카트리지(Ky)가 카트리지 장착 부재(Hy)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셔터(21)는 장력 부여 스프링(22)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되며, 현상제 카트리지(Ky) 내의 현상제가 전체 방향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 2 실시예의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3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주요부의 확대 분해 설명도이다.
제 3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의 부품들에 대응하는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 다.
제 3 실시예가 이하의 몇 가지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지만, 기타의 점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연계시켜서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생략되어 있으며, 또한 용기 본체(12)의 결합 홈 형성 부재(12A2)와 결합 홈(12A3)도 생략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의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는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용접되어 있다. 개구(충전구)(13g)는 폐쇄 덮개(13)의 단부 벽(13b)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13g)는 탈착 가능한 덮개(23)에 의해서 폐쇄된다.
상술한 구성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 및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가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에 장착된 상태로 용기 본체(12)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폐쇄 덮개(13) 및 용기 본체(12)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헐겁게 끼워 맞춰진 실린더형 삽입부(13c)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 또한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 가능부(13c)로서 기능한다.
현상제는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가 연결된 상태에서 폐쇄 덮개(13)의 개구(13g)를 통해서 충전된다.
제 3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가 실린더형 삽입부(13c)의 외주면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끝난 후에 분해하는 경우,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로부터 탄성 박벽 용기(15)를 분해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는 파손된다. 따라서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될 수 없게 되므로, 다른 부품용의 재료로 재활용된다. 그러나 탄성 박벽 용기(15)를 분해할 때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경우에 폐쇄 덮개(13)는 사용되며,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다른 부품용의 재료로 재활용된다. 용기 본체(12) 및 다른 부품들은 세척되어 재사용된다.
<<제 4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확대도이다.
제 4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의 부품들에 대응하는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4 실시예가 이하의 몇 가지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지만, 기타의 점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연계시켜서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생략되어 있고, 또한 용기 본체(12)의 결합 홈 형성 부재(12A2)와 결합 홈(12A3)도 생략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두께를 감소시켜서 형성된 클립 장착부(12A4)는 용기 본체(12)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60 도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으로 굽혀진 외향 굽힘부(15d)는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향 굽힘부(15d)는 탄성 박벽 용기(15)가 용기 본체(12) 내로 삽입된 상태로 용기 본체(12)의 개구(12c)의 외주면을 덮도록 굽혀져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단면이 U 형상인 클립(24)은 탄성 박벽 용기(15)의 외측으로부터 개구(12A1)의 클립 장착부(12A4)에 장착된다.
클립(24)은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를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에 고정하는 개구 고정 부재(24)로서 사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현상제는 탄성 박벽 용기(15)에 충전되며, 이후에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실린더형 삽입부(13c)를 헐겁게 끼워 맞춰져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4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가 클립(24)에 의해서 용기 본체(12)의 클립 장착부(12A4)에 고정되어 있 기 때문에, 사용이 끝난 후에 용기 본체(12)와 탄성 박벽 용기(15)를 분해하는 경우에, 클립(24)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분해된다. 탄성 박벽 용기(15)의 오염이 심하고, 따라서 세척하기 어렵기 때문에, 재사용되지 않으며, 다른 부품용의 재료로 재활용된다. 그러나 용기 본체(12) 및 다른 부품들은 세척되어, 이후에 재활용된다.
<<제 5 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확대도이다.
제 5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의 부품들에 대응하는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5 실시예가 이하의 몇 가지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지만, 기타의 점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연계시켜서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생략되고 금속제 실린더형 고정 부재(25)가 대신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본체(12)의 결합 홈 형성 부재(12A2)와 결합 홈(12A3)은 생략되어 있다.
실린더형 고정 부재(25)는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가 장착된 내부 실린더부(25a)와, 내부 실린더부(25a)의 한쪽 단부를 외측으로 굽혀서 형성된 외부 실린더부(25b)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가 실린더형 고정 부재(25)의 내부 실린더부(25a)에 장착되고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실린더부(25a)가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외부 실린더부(25b)가 개구(12A1)의 외주면에 감합되므로, 탄성 박벽 용기(15)는 용기 본체(1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시 말하자면, 실린더형 고정 부재(25)는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를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에 고정하는 개구 고정 부재(25)로서 사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현상제는 탄성 박벽 용기(15) 내로 충전되며, 이후에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용기 본체(12) 및 폐쇄 덮개(13)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에 장착된 실린더형 고정 부재(25)의 내부 실린더부(25a)의 내주면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실린더형 삽입부(13c)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탄성 박벽 용기(15)의 개구(15c)가 실린더형 고정 부재(25)에 의해서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12)와 탄성 박벽 용기(15)는 사용이 끝난 후에 용기 본체(12)로부터 실린더형 고정 부재(25)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실린더형 고정 부재(25)와 탄성 박벽 용기(15)의 오염이 심하고 따라서 세척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린더형 고정 부재(25)와 탄성 박벽 용기(15)는 재사용되지 않고 분해되어 다른 부품용의 재료로 재활용된다. 그러나 용기 본체(12) 및 다른 부품들은 세척되어, 이후에 재활용된다.
실린더형 고정 부재(25)와 탄성 박벽 용기(15)를 분해할 때 탄성 박벽 용기(15)가 파손되기 때문에, 재사용은 전혀 불가능하다. 그러나 실린더형 고정 부재(25)가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실린더형 고정 부재(25)를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확대도이다.
제 6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의 부품들에 대응하는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6 실시예가 이하의 몇 가지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지만, 기타의 점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연계시켜서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탄성 박벽 용기(15)가 생략되었으며, 또한 용기 본체(12)의 결합 홈 형성 부재(12A2)와 결합 홈(12A3)도 생략되어 있다. 따라서, 본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 면에 직접적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헐겁게 끼워 맞춰진 실린더형 삽입부(13c)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용기 본체(12) 및 폐쇄 덮개(13)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로는, 이 제 6 실시예에서와 같은 끼워 맞춤에 의한 연결 구조 대신에 다양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나사와 암나사에 의한 연결 구조, 또는 제 1 실시예에서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연결부(돌출 연결부)(14c)와 결합 홈 형성 부재(12A2)의 결합 홈(12A3)이 결합되는 구조와 같은 연결 구조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에, 실린더형 삽입부(13c)가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구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로부터 용기 본체(12) 내로 현상제가 충전된 이후에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실린더형 삽입부(13c)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6 실시예에서의 현상제 카트리지(Ky)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와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가 헐겁게 끼워 맞춰져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끝난 후에 용기 본체(12)와 탄성 박벽 용기(15)가 용이하게 분해된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부품들은 세척된 뒤에 재사용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체 현상제 카트리지의 분해 설명도이다.
제 7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의 부품들에 대응하는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7 실시예가 이하의 몇 가지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지만, 기타의 점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연계시켜서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와 탄성 박벽 용기(15)가 생략되어 있으며, 또한 용기 본체(12)의 결합 홈 형성 부재(12A2)와 결합 홈(12A3)도 생략되어 있다. 따라서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직접적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실린더형 삽입부(13c)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7 실시예에서의 용기 본체는 실린더형 벽 부재(12A)와 저부 벽 부재(12B)의 2 개로 분할된다. 실린더형 부재(12A)와 저부 벽 부재(12B)는 끼워 맞춤에 의해서 연결된다.
사용되는 실린더형 벽 부재(12A)와 저부 벽 부재(12B)의 탈착 가능한 연결 구조는 끼워 맞춤에 의한 연결 구조 이외에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연결 구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암나사와 수나사에 의한 연결 구조, 또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연결부(14c)와 결합 홈 형성 부재(12A2)의 결합 홈(12A3)을 사용한 연결 구조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제는 용기 본체(12)의 실린더형 벽 부재(12A)와 저부 벽 부재(12B)가 연결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로부터 용기 본체(12) 내로 충전되며, 이후에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는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의 내주면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실린더형 삽입부(13c)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7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Ky)에 있어서, 용기 본체(12)의 개구(12A1)와 폐쇄 덮개(13)의 실린더형 삽입부(13c)는 헐겁게 끼워 맞춰져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12)와 탄성 박벽 용기(15)는 사용이 끝난 이후에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용기 본체(12)의 실린더형 벽 부재(12A)와 저부 벽 부재(12B) 또한 분해될 수 있다.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부품들은 세척된 이후에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2)가 실린더형 벽 부재(12A)와 저부 벽 부재(12B)로 분할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은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다.
<<변형예>>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변형예의 일례를 나타낸다.
(H01) 본 발명의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있어서, 토너만 포함하는 현상제 또는 토너와 캐리어(carrier)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저장할 수 있다.
(H0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홈 형성 부재(12A2)와 결합부(14c)를 생략하고, 실린더형 몸체(12A)의 개구(12A1)에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실린더형 삽입부(14a)를 끼워 맞춤에 의해서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14a)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H03)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의 용기 본체측 연결부(14a, 14c)와 폐쇄 덮개측 연결부(14b) 중 하나가 용기 본체(12)와 폐쇄 덮개(13)에 연결된 이후에 분해될 때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H04) 용기 본체(12) 내의 현상제를 혼합하는 커플러(16)와 혼합 부재(18)를 생략하여 용기 본체가 회전하도록 구성한 현상제 카트리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일본국 특개 2002-202656 호 참조). 용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현상제 카트리지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이다.
(H05) 사용이 끝난 후에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11)를 재활용하는 경우에, 폐쇄 덮개(13)로부터 실린더형 연결 부재(14)를 분리할 때 실린더형 연결 부재(14)가 확실하게 파손되도록 하여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14)(신품)를 제공하지 않고는 현상제 카트리지(Ky)를 재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기술적인 아이디어를 실린더형 연결 부재(14) 이외의 구성 부품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Ky)를 제 3 자가 수집하고 재활용하여 재판매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된 다수의 저품질의 현상제 카트리지(Ky)가 시장에서 유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는 세척하여 재활용(재사용)을 위한 세척을 할 때 세척이 용이한 형상의 부품으로 분할될 수 있다는 효과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재활용할 때 기사용된 부품을 세척하기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한쪽 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실린더형 몸체와 상기 한쪽 단부로부터 대향되어 있는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저부 벽 부재를 갖고, 상기 실린더형 몸체와 상기 저부 벽 부재에는 상기 한쪽 단부에 현상제를 충전하는 상기 개구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한쪽 단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로서, 상기 한쪽 단부에서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탈착부와 현상제 배출구를 포함하는 폐쇄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덮개는 상기 탈착부가 형성된 실린더형 벽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대향하는 실린더형 벽의 외부 단부에 단부 벽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형 벽의 상기 외부 단부에 또는 상기 단부 벽의 외주면에 현상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덮개는 상기 단부 벽의 중앙에 형성된 커플러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덮개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실린더형 몸체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현상제 배출 튜브의 상기 외부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벽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실린더형 몸체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상기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현상제 배출 튜브의 상기 외부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실린더형 몸체와 상기 저부 벽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실린더형 몸체와 상기 저부 벽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벽 부재의 상기 외측면에 형성된 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들 및 상기 저부 벽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고 탄성 박벽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는 개구를 갖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탄성 박벽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형 삽입 부재를 갖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와, 폐쇄 덮개의 탈착부에 연결되는 폐쇄 덮개측 연결부를 구비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박벽 용기는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의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의 상기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측 연결부와 폐쇄 덮개측 연결부 중 하나의 연결부가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폐쇄 덮개에 연결된 이후에 분리되는 경우에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부를 갖는 실린더형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박벽 용기는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상기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폐쇄 덮개는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에 부착된 상기 탄성 박벽 용기 내로 현상제를 충전하는 개폐 가능한 충전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박벽 용기의 상기 개구를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에 고정하는 개구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박벽 용기는 밀착된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에 부착되는 상기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고정 부재는 상기 탄성 박벽 부재의 상기 개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15. 한쪽 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실린더형 몸체와 상기 한쪽 단부로부터 대향되어 있는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저부 벽 부재를 갖고, 상기 실린더형 몸체와 상기 저부 벽 부재에는 상기 한쪽 단부에 현상제를 충전하는 상기 개구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탈착부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를 폐쇄하는 현상제 배출구를 구비하는 폐쇄 덮개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의해서 지지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러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내에 수용되고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는 현상제 혼합 부재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6. 한쪽 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실린더형 몸체와 상기 한쪽 단부로부터 대향되어 있는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저부 벽 부재를 갖고, 상기 실린더형 몸체와 상기 저부 벽 부재에는 상기 한쪽 단부에 현상제를 충전하는 상기 개구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탈착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실린더의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고 외부 단부에서 현상제 배출구가 형성된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와,
    상기 폐쇄 덮개에 의해서 지지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러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는 현상제 혼합 부재와,
    상기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현상제 배출 오거(auger)와,
    상기 현상제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는 감합부와, 상기 현상제 배출 오거의 외부 단부가 연결되는 오거 연결부와, 상기 현상제 배출 튜브의 외부로 돌출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부 단부에 형성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에 감합된 상태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현상제 배출구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오거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배출구 개폐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배출 오거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고 탄성 박벽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 내부에 배치되는 개구를 갖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탄성 박벽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9. 한쪽 단부에 개구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부를 갖는 실린더형 벽과, 상기 실린더형 벽의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외부 단부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와 충전구를 갖는 단부 벽과, 현상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감합된 상태로 상기 현상제 저장실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와,
    상기 용기 본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형 벽의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의 상기 외주면에 부착되는 개구를 갖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되는 탄성 박벽 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박벽 용기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폐쇄 덮개는 세척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20. 한쪽 단부에 개구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될 수 있는 탈착부가 형성된 실린더형 벽과,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대향하는 측면 상의 상기 실린더형 벽의 외부 단부와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를 갖는 단부 벽과, 상기 실린더형 벽이나 상기 단부 벽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덮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박벽 용기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폐쇄 덮개는 세척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21. 한쪽 단부에 개구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실린더형 벽, 상기 실린더형 벽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를 갖는 단부 벽, 상기 단부 벽 또는 상기 실린더형 벽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 및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를 구비하는 폐쇄 덮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부를 갖고 한쪽 단부에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와 다른쪽 단부에서 상기 폐쇄 덮개의 상기 탈착부에 연결되는 폐쇄 덮개측 연결부를 구비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의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를 갖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박벽 용기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폐쇄 덮개는 세척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22. 한쪽 단부에 개구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실린더형 벽, 상기 실린더형 벽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를 갖는 단부 벽, 상기 단부 벽 또는 상기 실린더형 벽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 및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를 구비하는 폐쇄 덮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부를 갖고 한쪽 단부에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와 다른쪽 단부에서 상기 폐쇄 덮개의 상기 탈착부에 연결되는 폐쇄 덮개측 연결부를 구비하는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의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폐쇄 덮개, 및 상기 탄성 박벽 용기가 장착된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로 분해되며, 상기 탄성 박벽 용기 및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는 상기 세척된 용기 본체와, 상기 세척된 폐쇄 덮개와, 새로운 탄성 박벽 용기, 및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23. 한쪽 단부에 개구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실린더형 벽, 상기 실린더형 벽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를 갖는 단부 벽, 상기 단부 벽 또는 상기 실린더형 벽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 및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를 구비하는 폐쇄 덮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부를 갖고 한쪽 단부에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와 다른쪽 단부에서 상기 폐쇄 덮개의 상기 탈착부에 연결되는 폐쇄 덮개측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측 연결부와 상기 폐쇄 덮개측 연결부 중 하나의 연결부가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폐쇄 덮개에 연결된 이후에 분리되는 경우에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의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폐쇄 덮개, 및 상기 탄성 박벽 용기가 장착된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로 분해되며, 분해될 때 파손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상기 탄성 박벽 용기 및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는 상기 세척된 용기 본체와, 상기 세척된 폐쇄 덮개와, 새로운 탄성 박벽 용기, 및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24. 한쪽 단부에 개구를 갖는 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실린더형 벽, 상기 실린더형 벽에 연결되고 커플러 장착부를 갖는 단부 벽, 상기 단부 벽 또는 상기 실린더형 벽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구, 및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를 구비하는 폐쇄 덮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형 삽입부를 갖고 한쪽 단부에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 본체측 연결부와 다른쪽 단부에 상기 폐쇄 덮개의 상기 탈착부에 연결되는 폐쇄 덮개측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측 연결부와 상기 폐쇄 덮개측 연결부 중 하나의 연결부가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폐쇄 덮개에 연결된 이후에 분리되는 경우에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된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의 상기 실린더형 삽입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 박벽 용기와,
    상기 폐쇄 덮개의 상기 단부 벽의 상기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러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내에 수용되고 상기 커플러에 연결된 현상제 혼합 부재와,
    상기 실린더형 현상제 배출 튜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현상제 배출 오거(auger)와,
    상기 현상제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 상기 현상제 배출 오거의 상기 외부 단부가 연결되는 오거 연결부, 상기 현상제 배출 튜브의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부 단부에 형성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에 감합된 상태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현상제 배출구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제 오거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배출구 개폐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기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커플러 및 상기 현상제 혼합 부재가 장착된 상기 폐쇄 덮개와, 상기 현상제 배출 오거가 연결된 상기 현상제 개폐 부재, 및 상기 탄성 박벽 용기가 장착된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로 분해되며, 분해될 때 파손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상기 실린더형 연결 부재 및 상기 탄성 박벽 용기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커플러와 상기 현상제 혼합 부재가 장착된 상기 폐쇄 덮개, 및 상기 오거가 연결된 상기 배출구 개폐 부재는 세착되고,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세척된 부품과 새로운 실린더형 연결 부재와 새로운 탄성 박벽 용기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KR1020040009597A 2003-02-14 2004-02-13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현상제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및 현상제카트리지의 재활용 방법 KR100572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6014 2003-02-14
JPJP-P-2003-00036014 2003-02-14
JPJP-P-2003-00355411 2003-10-15
JP2003355411A JP4352848B2 (ja) 2003-02-14 2003-10-15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994A KR20040073994A (ko) 2004-08-21
KR100572609B1 true KR100572609B1 (ko) 2006-04-24

Family

ID=3313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597A KR100572609B1 (ko) 2003-02-14 2004-02-13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현상제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및 현상제카트리지의 재활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06995B2 (ko)
JP (1) JP4352848B2 (ko)
KR (1) KR100572609B1 (ko)
CN (1) CN100353264C (ko)
TW (1) TWI2593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32672B (zh) * 2005-09-15 2011-12-21 株式会社理光 成像装置和能够提速供应显影剂的显影剂供给件
EP1811513A1 (de) * 2005-12-21 2007-07-25 Singulus Technologies AG Datenträger mit Barriereschicht gegen eindringende Feuchtey
US7792470B2 (en) * 2007-01-15 2010-09-07 Kyocera Mita Corporation Toner container and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KR101421142B1 (ko) * 2007-05-21 2014-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9261821B2 (en) 2007-10-30 2016-0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22545A (ja) * 2007-11-16 2009-06-04 Fuji Xerox Co Ltd 現像剤収容装置及び現像剤収容装置の生産方法
JP4458153B2 (ja) * 2007-11-16 2010-04-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TWI442195B (zh) 2009-12-16 2014-06-21 Canon Kk 製程卡匣、感光滾筒單元、顯像單元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JP5542741B2 (ja) * 2010-11-30 2014-07-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供給装置及びトナー収納容器
JP5435116B2 (ja) 2012-03-15 2014-03-0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その粉体収納容器から現像剤を補給する粉体補給装置、およびそれが搭載される画像形成装置
US9014577B2 (en) 2012-12-17 2015-04-21 Xerox Corporation Carrier dispense rate measurement
JP5919254B2 (ja) * 2013-12-27 2016-05-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829855B2 (en) * 2014-05-22 2017-11-28 Lexmark International, Inc. Drive coupler
US10611161B2 (en) 2014-07-24 2020-04-07 Avision Inc. Image forming agent storage member and laser printer using the same
TWI542960B (zh) 2014-07-24 2016-07-2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可補充影像形成劑之影像形成劑儲存單元以及事務機
EP3264196B1 (en) * 2015-02-27 2020-10-28 C/o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JP2016194546A (ja) * 2015-03-31 2016-1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659102B2 (ja) * 2015-08-25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
CN106610572B (zh) 2015-11-21 2019-04-02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感光鼓驱动组件
JP6651950B2 (ja) * 2016-03-31 2020-0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CN107918259B (zh) 2016-10-06 2023-12-22 江西亿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机构以及显影盒
US10338513B1 (en) 2018-04-18 2019-07-02 Jiangxi Yibo E-Tech Co., Ltd. Process cartridge
US10416604B1 (en) 2018-04-18 2019-09-17 Jiangxi Yibo E-Tech Co.Ltd. Process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0697A (en) * 1988-06-24 1991-06-04 Konica Corporation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toner reservoir
JPH04372967A (ja) * 1991-06-21 1992-12-25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5305064A (en) * 1993-05-20 1994-04-19 Xerox Corporation Compact single component development system with modified toner agitator and toner dispense auger disposed therein
CA2174872C (en) * 1995-04-27 2001-06-05 John M. Weed Toner supply insert
KR100227914B1 (ko) * 1995-10-11 1999-11-01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JPH09269658A (ja) 1996-04-01 1997-10-14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903806A (en) * 1996-08-07 1999-05-11 Konica Corporation Developing agent replenishing apparatus and cartridge
US5890040A (en) * 1997-01-14 1999-03-30 Konica Corporation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er replenishing apparatus
JP4011831B2 (ja) 2000-06-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2002221858A (ja) * 2000-11-24 2002-08-09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これを装着す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並びにトナーボトルの成形方法
US6654577B1 (en) * 2002-10-24 2003-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cartridge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994A (ko) 2004-08-21
CN1532646A (zh) 2004-09-29
JP4352848B2 (ja) 2009-10-28
US7106995B2 (en) 2006-09-12
TW200424813A (en) 2004-11-16
TWI259336B (en) 2006-08-01
US20050025528A1 (en) 2005-02-03
JP2004264821A (ja) 2004-09-24
CN100353264C (zh)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609B1 (ko) 현상제 카트리지 용기, 현상제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현상제 카트리지 용기의 재활용 방법, 및 현상제카트리지의 재활용 방법
KR100668536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509418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501031B2 (en) Packaged cartridge, packing material and cartridge
US8401441B2 (en)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1561489B2 (en) Seal for an electrophotograhic image forming device
US5903806A (en) Developing agent replenish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6380273B2 (ja) トナー容器
KR20160083965A (ko)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JP2008197595A (ja) トナー容器及びそれに適した画像形成装置
JP2011257692A (ja) トナー搬送装置、それを備え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JP4790647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83114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09416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264965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6161619A (ja) サイド部材および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983129B2 (ja) 画像形成装置
EP0397465B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63076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装置
JP6677578B2 (ja) 画像形成装置
JP7363460B2 (ja) 駆動伝達構造、現像剤収容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3169578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41425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109793A (ja) トナー容器
JPH04142565A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剤供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