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581B1 - 카메라의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과 그 초점보상 데이타를이용한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과 그 초점보상 데이타를이용한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581B1
KR100567581B1 KR1019980032536A KR19980032536A KR100567581B1 KR 100567581 B1 KR100567581 B1 KR 100567581B1 KR 1019980032536 A KR1019980032536 A KR 1019980032536A KR 19980032536 A KR19980032536 A KR 19980032536A KR 100567581 B1 KR100567581 B1 KR 10056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focusing
lens
sector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509A (ko
Inventor
서재경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1999002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이동되는 초점 조절용 렌즈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하여 초점조절의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섹터의 개방시 자동 노출 메터의 주변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최적의 노출을 유지하며, 조립공정에서 발생되는 초점 오차를 전자적으로 보상하여 초점 거리별 초점 조정에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으로, 초점 조절용 렌즈 조출의 초기 위치를 설정된 최원거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위치와 설정된 최근거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위치 사이의 중간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초기 위치 조정수단으로 설정된 초기 위치에 회전부재를 위치시키는 과정과, 초기 위치가 설정된 후 피사체와의 실질적인 초점을 확인한 다음 설정된 초기 위치와 이격된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수단에 저장하는 과정과, 셔터 스위치의 릴리즈 동작에 의해 회전부재를 소정의 감속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초점 조절용 렌즈를 측거된 합초위치인 섹터쪽 또는 피사체쪽으로 다단 조출시키면서 초점위치를 조정하는 과정과, 피사체의 노출을 위하여 섹터를 폐쇄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제2구동수단에 전류를 설정된 노출 정도의 시간동안 인가하여 섹터 레버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섹터를 설정된 노출량 만큼 개방하며, 설정된 노출량의 개방이 완료되면 제2구동수단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여 섹터를 폐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의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과 그 초점보상 데이타를 이용한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이동되는 초점 조절용 렌즈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하여 초점조절의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섹터의 개방시 주변 온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최적의 노출을 유지하며, 조립공정에서 발생되는 초점 오차를 전자적으로 보상하여 초점 거리별 초점 조정에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한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의 전자 셔터를 구동함에 있어서 데이타로 이용될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셔터를 적용하는 카메라는, 피사체와의 임의의 거리에 대하여 측거된 위치로 초점 조절용 렌즈를 조출시키는 자동 초점 조절과,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 조리개의 개구 크기를 제어하는 자동 노출이 순차적/자동적으로 행하여지는 시스템을 갖는다.
이러한 전자 셔터를 적용한 카메라에 대한 기술이 미국특허 제4,918,480호(1988.10.27)와 동 특허 제4,634,254호(1985.6.20), 동 특허 제5,111,230호(1990.8.28)와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소61-9632호(1986.1.17) 등에 제안되어 있는데, 미국특허 제4,918,480호의 경우는 첨부된 도12와 도13a, 도13b, 도13c 및 도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 스텝 모터(2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포커스 조절링인 제1회전부재(222)와 맞닫아 있는 제2회전부재(223)는 제1회전부재(222)를 밀고 나가게 된다.
이때, 제2회전부재(223)의 톱니 부분(236)을 고정시키는 칼퀴(239)는 한 이빨씩 전진하고 미도시된 전자 제어부에서 연산된 포커스 조출위치까지 제1회전부재(222)는 움직이게 된다.
상기의 동작에 의하여 포커스 조절링인 제1회전부재(222)가 포커스 조출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면 스텝 모터(216)가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이에 의하여 제2회전부재(223)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섹터를 전자 제어부에서 연산한 노출량 만큼의 크기로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포커스 조절링인 제1회전부재(222)는 칼퀴(239)에 의하여 조출된 위치에 정지해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섹터가 연산된 노출량 만큼의 크기로 개방된 다음 스텝 모터(216)는 다시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에 의하여 섹터가 닫히게 된다.
상기 제2회전부재(223)는 섹터를 완전히 닫은 이후에도 계속 움직여 제1회전부재(222)와 맞닫게 되고, 이에 의하여 제1회전부재(222)는 연산된 조출동작의 남은 부분을 계속 진행하게 되고, 칼퀴(239)는 상기 제2회전부재(223)의 톱니(236) 끝 부분까지 움직이며, 그 끝 형상에 의해 톱니(236)에서 해제된다.
칼퀴(239)가 톱니(236)에서 해제된 시점에서 스텝 모터(216)는 마지막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체 시스템을 초기 위치로 형성시킨다.
또한, 미국특허 제5,111,230호의 경우는 첨부된 도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텝 모터축에 결합된 피니언(301)은 대직경휠(303a)과 소직경휠(303b)로 이루어진 2단 기어(303)의 대직경휠(303a)과 치결합되어 있고, 2단 기어(303)의 소직경휠(303b)은 주구동링(304)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랙(304a)에 치결합되어 있다. 초기 위치에서 스텝 모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되면 주구동링(304)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렌즈 구동링(305)을 밀고간다(304b가 305c를 민다).
이때, 래치 레버(308)의 클릭(308a)은 래치 기어(305e) 위로 한 이빨씩 넘어간다.
상기와 동작에 의하여 렌즈 구동링(305)이 미도시된 전자 제어부에서 연산된 조출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스텝 모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렌즈 구동링(305)은 스프링(30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해도 래치 레버(308)의 클릭(308a)이 래치 기어(305e)와 결합되어 조출이 완료된 그 위치에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연산된 거리의 조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텝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주구동링(304)의 사다리꼴 캠(304d)은 산형 트리거 아암(316b)의 좌측에 위치하는데, 주구동링(304)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하여 사다리꼴 캠(304d)이 산형 트리거 아암(316b)을 터치(Touch)하더라도 산형 트리거 아암(316b)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할 뿐 섹터 개폐 레버(310)의 록은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스텝 모터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주구동링(30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주구동링(304)의 사다리꼴 캠(304d)은 산형 트리거 아암(316b)과 터치되는데, 이때 주구동링(304)의 회전력은 산형 트리거 아암(316b)을 경유하여 구속 레버(313)의 핀(313b)에 전달되고, 이에 의하여 구속 레버(31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 구속 레버(3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섹터 개폐 레버(310)를 자유롭게 하여 주며, 섹터 개폐 레버(310)는 스프링(315)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섹터를 개방시킨다.
그 순간 스텝 모터는 그 위치에서 일시 정지하여 전자 제어부에서 연산된 노출량 만큼 섹터의 개방 시간을 지속하여 준다.
그 다음 스텝 모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여 주구동링(304)은 그의 형상(304c)으로 개폐 레버(310)의 하단부를 밀어 올려 섹터가 닫히게 하고, 마지막으로 주구동링(304)은 그의 형상(304b)으로 래치 레버(308)의 형상(308b)을 들어 올려 렌즈 구동링(305)을 자유롭게 하여 준다.
따라서, 렌즈 구동링(305)은 스프링(306)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또한, 미국특허 제4,634,254호의 경우는 첨부된 도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 스텝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포커스 제어 레버(407')는 마그네트 온에 의하여 언 록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거리링(409')은 구동판(401')의 움직임에 따라 스프링(409'f)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판(401')에 연동하며, 미도시된 전자 제어부에서 연산된 조출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거리링(409')이 연산된 조출 위치에 도착하면 포커스 제어 레버(407')를 언 록 시키고 있던 마그네트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므로, 이에 의하여 거리링(409')은 포커스 제어 레버(407')에 의하여 록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거리링(409')의 록이 완료된 이후에도 스텝 모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며, 구동판(401')의 형상에 의하여 섹터 레버(404')를 회전시켜 섹터가 전자 제어부에서 연산된 노출 시간만큼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자 제어부에서 연산된 양만큼 섹터가 개방된 후 스텝 모터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섹터 레버(404')는 스프링(409'f)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판(401')의 형상을 따라 섹터가 닫히게 하며, 계속된 스텝 모터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하여 시스템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한 미국특허 제4,634,254호에서 거리링(409)의 이동에 따른 초점 조절용 렌즈를 조출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첨부된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릴리즈 및 제2릴리즈의 동작에 따라 초점 조절용 렌즈는 구동판(401')의 움직임에 의해 최소 조출위치(j)에서 최대 조출위치(k)로 조출되는데, 초점 조절링 렌즈는 피사체의 측거된 거리(l)만큼 이동되어 초점 조절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그 위치에 기구적으로 록킹 동작을 실행한 다음 상기 구동판(401')이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측광 검출수단에서 연산된 노출치에 따라 임의의 지점에서 노출 동작을 실행하고 최소 초출위치(j)로 복귀한다.
상기에서 최소 조출위치(j)는 설정된 최원거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용 렌즈의 초점 위치를 의미하며, 최대 조출위치(k)는 설정된 최근거리의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용 렌즈의 초점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소61-9632호의 경우는 첨부된 도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 스텝 모터(50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판(501)이 우측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여자된 전자석(507e)이 철편(507c)을 흡인하여 합초 제어용 레버(507)를 계합치부(502c)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초점 조절용 거리링(502)은 그의 형상(502e)이 구동판(501)의 형상(501d)에 닿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촬영 렌즈를 조출시키게 된다.
초점 조절용 거리링(502)이 미도시된 전자 제어부의 연산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전자석(507e)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전자석(507e)의 흡인력을 해제하므로 합초 제어용 레버(507)는 스프링(507a)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전자석(507e)의 흡인력 해제로 인하여 칼퀴(507d)가 계합치부(502c)에 계합되어 거리링(502)의 이동을 정지하므로 합초가 완료된 위치에서 촬영 렌즈의 조출동작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스텝 모터(50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판(501)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섹터 레버(504)는 캠(501f)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에 의하여 섹터가 개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개방되어 지는 섹터가 전자 제어부에서 연산한 노출량에 도달하면 스텝 모터(503)는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판(501)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섹터 레버(50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섹터를 닫게 되며, 구동판(501)은 우측 방향으로 연속 이동하여 초기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들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거한 다음 그 측거된 거리에 따라 초점 조절용 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링과, 이 초점 조절용 렌즈가 초점 위치로 이동된 때 회전링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록킹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 섹터를 개폐하는 섹터 개폐수단과, 상기한 섹터 개폐수단을 설정된 위치까지 작동시키는 노출 조절링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초기 정위치 복귀기구와, 상기한 회전링과 노출 조절링 및 록킹기구를 작동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셔터를 적용한 종래의 카메라는 초점 조절용 렌즈의 구동을 위하여 구조적으로 복잡한 시스템을 갖게 되며, 임의의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과 노출 조절 동작에 있어서, 상기한 포커스 조절링이 초점 조절용 렌즈를 최소의 조출위치에서 최대의 조출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최대의 조출위치에서 최소의 조출위치로 렌즈를 조출하는 방식으로 동작되므로 임의의 피사체에 대하여 렌즈의 조출이 이루어지는 시간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자 셔터를 적용한 카메라는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초점 조절용 렌즈의 최소 조출위치에서 최대 조출위치까지 사이에 초점 조절 단계를 다단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포커스 조절링이 초기 위치로부터 임의의 위치까지 회전하여야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단수에 비례하여 포커스 조절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전자 셔터의 응답성을 장기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초점 조절용 렌즈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하여 초점 조절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전자 셔터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출을 실행하는 노출 조절링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섹터가 개방되도록 하여 섹터의 개방 동작에서 자동 노출 메터의 온도에 따른 특성 변화를 배제시켜 최적의 노출상태를 유지하며, 렌즈의 조립오차로 인한 초점 조정 값을 보상하기 위하여 찾아내는 초점 위치 값을 백업 데이터로 기록하는 전자 초점의 조정으로 초점 거리별 초점 조정에 신뢰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면서 시스템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셔터 릴리스가 이루어졌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줌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피사체에 대한 측광 및 측거단계와; 측광 및 측거에 따라서 초점조절렌즈의 초점위치와 노출을 결정하는 단계와; 저장매체에 저장된 초점보상 데이타를 읽는 단계와; 상기 데이타를 바탕으로 보상된 초점위치를 계산하는 단계와; 제2 셔터릴리스가 이루어졌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초점조절렌즈를 상기 보상된 초점조절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셔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셔터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초점보상 데이타는, 초점조절렌즈를 초기위치에 세팅하는 단계와; 렌즈배럴을 피사체에 대한 제1 줌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실질촛점렌즈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설계초점렌즈의 위치와 실질포커스렌즈위치를 차이를 측정하여 초점보상거리를 얻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얻어진 초점보상거리에 대한 데이타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은 상기 제1 줌위치가 마지막 줌위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마지막 줌위치가 아닐 경우, 상기 렌즈배럴을 다음 줌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계부터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다음 줌위치가 마지막 줌위치가 될때까지 반복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초점조절렌즈의 상기 초기위치는 피사체에 대한 원거리 초점위치에서 근거리 초점위치까지의 전체 초점단계중 중간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전원의 온 이나 셔터 스위치의 릴리즈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초기 위치 설정 및 초점 조절용 렌즈의 조출을 위해 구동되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1구동수단과 소정의 감속비로 치합되어 회전력에 의해 측거된 값만큼 초점 조절용 렌즈를 조출시키는 회전부재와;
전원의 공급이나 셔터의 릴리즈 동작 인가될시 상기 회전부재를 초기 위치로 조정하는 초기 위치 검출 및 조정수단과;
섹터를 개방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하며, 섹터 레버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섹터의 폐쇄를 상시 유지하며 연산된 노출량에 따라 정방향 전류의 인가로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으로 섹터의 개방을 유지하고, 설정된 노출이 완료되는 경우 인가되는 역방향 전류에 구동되어 개방상태에 있는 섹터를 폐쇄시키는 제2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 1은 포커스 조절링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으로서 동력원(1)이며, 이 동력원(1)은 도1 및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극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로터(2) 및 이 로터(2)와 일체로 구성되는 모터기어(3)와, 상기 로터(2)의 구동과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스텝 펄스를 접속하기 위한 4개의 접점(ST1,ST2,ST3,ST4)을 구비하는 한쌍의 스테이터(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력원(1)은 4개의 접점에 1스텝의 펄스가 인가되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며, 1스텝은 2개의 구동 펄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원(1)은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10)상에 위치하며, 그 상측에는 모터 커버(2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제1구동수단에서 동력원(1)의 모터 기어(3)에는 첨부된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2단 기어(7,9,11)를 치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 기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 기어부의 제1기어(7)는 동력원(1)인 모터 기어(3)와 치합되고, 제2기어(9)를 거쳐 제3기어(11)가 상기 동력원(1)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초점 조절용 렌즈와 연동하는 포커스 조절링(13)과 치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감속 기어부는 셔터 베이스(30)상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 베이스(10)의 하방에 결합된다.
상기 포커스 조절링(13)은 렌즈 홀더(15)와 치합되며 셔터 베이스(30)와 모터 베이스(10)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렌즈 홀더(15)는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 돌기(19)가 모터 커버(20)에 형성된 회전방지 홈(21)과 끼움 결합되도록 모터 커버(2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홀더(15)는 동력원(1)에 연동하는 상기 포커스 조절링(13)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모터 커버(20)의 회전방지 홈(21)을 따라 상하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장치는 셔터 스위치가 작동하여 측거 회로부 및 측광 회로부에서 피사체의 거리 및 노출치를 연산하고 그에 연동하여 셔터가 동작하기 시작할 때 혹은 전자 회로부에서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온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포커스 조절링(13)의 위치를 검출하여 포커스 조절링(13)이 설정된 초기 위치에 위치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포커스 조절링(13)을 초기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초기 위치 검출수단 및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초기 위치 검출수단 및 조정수단은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커스 조절링(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31)와 기어부(132) 및 포토 인터럽터(31)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토 인터럽터(31)는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첨부된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커스 조절링(13)의 구동에 따라 수광수단에 검출되는 광을 검출하여, 그 검출되는 광을 통해 포커스 조절링(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31)가 포커스 조절링(13)의 초기 위치로 설정시킨 위치에 정상적으로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 다음 그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검출되는 돌기(131)가 초기 위치로 설정시킨 위치를 벗어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수단은 동력원(1)으로 소정의 펄스신호를 출력하여 포커스 조절링(13)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포커스 조절링(13)의 초기 위치를 셋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조절장치와 더불어 섹터를 개폐하기 위한 자동 노출장치로 첨부된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동 노출 메타(41)인 제2구동수단을 구비하는데, 이는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보스(43)를 구비한다.
상기한 보스(43)는 모터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첨부된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어 레버(45)의 걸림턱(47)과 임의의 위치에 맞물려져 자동 노출메타(41)의 보자력으로 섹터 레버(51)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기어 레버(45)를 구속하고 있으며, 상기 기어 레버(45)는 셔터 베이스(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섹터 레버(51)와 치합되고 섹터 레버(51)는 섹터 핀(53)을 보유하여 도1 및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매의 섹터(57,59)를 동시에 결합한다.
또한, 섹터 레버(51)는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49)를 개재하여, 제2구동수단인 자동 노출메타(41)에 정방향 전원이 공급되어 자동 노출 메터(41)의 보스(43)가 시계 방향 회전함에 따라 기어 레버(45)의 걸림턱(47)의 구속이 해제될 때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 섹터(57,59)의 개방을 유도하고, 자동 노출메타(41)에 역방향 전원이 공급되면 자동 노출메타(41)의 보스(43)는 탄성력을 이기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섹터(57,59)를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섹터(57,59)는 첨부된 도1 및 도4에서처럼 셔터 베이스(30)에 안착 지지되고, 그 하측에는 섹터 커버(40)가 결합되며, 일측의 섹터(57)에는 슬롯(61)이 형성되어 있는 바, 그 슬롯(61)은 셔터 베이스(30)에 고정된 포토 리플렉터(63)에 의해 감지되어 자동 노출 조절의 시작점을 설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섹터(57,59)는 자동 노출 메타(41)에 정방향 전원이 공급되어 기어 레버(45)의 구속을 해제하는 동안에 섹터 레버(51)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부재(49)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4에 도시된 가상선(57',59')과 같이 개방되어 지는 바 이때, 상기 포토 리플렉터(63)는 섹터(57)의 개방되는 시작점을 인지하여 제어수단으로 하여금 측광 회로부에서 연산된 노출치에 따라 섹터(57)의 개방정도를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준다.
또한, 본 발명은 포커스 조절링(13)에 광학계에 의해 결정되는 초점 조절 단수(예를들어 40 단) 외에 렌즈의 조립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초점 조정 여유단수(예를들어 ±30 단)를 더 형성하여 초점 조절용 렌즈를 구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과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장치의 동작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카메라에서 오프 상태에 있는 전원이 온 상태로 절환되거나 셔터의 구동이 검출되면 제어수단은 제1구동수단을 통해 포커스 조절링(13)의 초기위치가 첨부된 도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단계중 그 중간단(a)에 위치하도록 하는 초기 위치 설정동작을 실행한다.
이때, 제어수단은 첨부된 도1 및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력원(1)을 이루고 있는 스테이터(5)의 각 접점에(ST1,ST2,ST3,ST4)에 "하이" 또는 "로우" 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로터(2)를 구동하게 되면 첨부된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기어(3)와 치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2단 기어(7,9,11)가 로터(2)의 회전을 소정의 비로 감속시킨 다음 포커스 조절링(13)의 회전방향을 로터(2)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동을 통해 포커스 조절링(13)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첨부된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토 인터럽트(31)는 포커스 조절링(13)의 회전에 따라 수광수단에서 카운터되는 기어부(132)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수단측에 인가하여 제어수단으로 하여금 포커스 조절링(13)의 초기 위치 설정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포커스 조절링(13)의 초기 위치 설정 동작은 첨부된 도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프 상태에 있는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거나 셔터 스위치의 제1릴리즈 동작이 검출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은 포토 인터럽터(31)에서 검출된 카운터 값을 "0" 으로 클리어 한 다음 포토 인터럽터(31)에서 검출되는 현재의 값이 "하이" 상태인지 또는 "로우"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01).
이때, 포토 인터럽터(31)에서 검출되는 값이 "하이" 인 상태는 발광수단의 광이 기어부(132)의 산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수단에 도달되지 못하는 상태이며, 검출되는 값이 "로우" 인 상태는 발광수단의 광이 차단되지 않은 상태로 수광수단에 도달하는 상태이다.
이후, 제어수단은 상기 S101의 단계를 실행한 다음 동력원(1)의 스테이터(5) 각 접점(ST1,ST2,ST3,ST4)에 첨부된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펄스신호를 인가하여 로터(2)의 구동을 통해 포커스 조절링(1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포토 인터럽터(31)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포커스 조절링(13)의 상태가 상기 단계 S101에서 검출된 상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02,S103).
상기에서 포토 인터럽터(31)에서 검출되는 포커스 조절링(13)의 상태가 상기 단계 S101에서 검출된 상태와 동일하게 판단되면 카운터 값을 1 증가시키고(S104), 상이한 상태로 판단되면 검출되는 포토 인터럽터(31)의 카운터 값을 "0"으로 클리어한다(S105).
이후, 포커스 조절링(13)의 연속적인 구동에 따라 증가되어 검출되는 카운터 값이 소정의 횟수(예를들어 6회) 이상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106).
상기 단계 S106에서 검출되는 증가된 카운터 값이 소정의 횟수(예를들어 6회) 이상 연속적으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수단은 상기 단계 S102를 실행하여 포토 인터럽터(31)에서 인가되는 신호의 카운터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검출되는 증가된 카운터 값이 설정된 소정의 횟수(예를들어 6회)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제어수단은 포토 인터럽터(31)에서 검출되는 신호가 "하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07).
상기 단계 S107에서 검출되는 포토 인터럽터(31)의 상태가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으면 제어수단은 포커스 조절링(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31)가 포토 인터럽터(31)와 중첩되는 위치 즉, 첨부된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Ⅰ' 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다음 동력원(1)의 스테이터(5) 각 접점(ST1,ST2,ST3,ST4)에 시계방향의 펄스 신호를 연속적으로 인가하여 포커스 조절링(13)을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S108).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제어수단은 포토 인터럽터(3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하이" 상태의 검출신호가 "로우"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검출한다(S109).
상기 단계 S109에서 검출되는 포토 인터럽터(31)의 신호가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전환됨을 검출하면 제어수단은 상기 동력원(1)의 스테이터(5) 제1접점(ST1)과 제3접점(ST3)에 인가되는 펄스의 신호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고 있는 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 단계 S110의 판단에서 "하이" 상태로 검출되면 제어수단은 포커스 조절링(13)의 초기 위치가 첨부된 도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의 위치에 설정된 상태로 판단하여 초기 위치 설정을 위한 동작을 중지하고, "하이" 상태로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수단은 동력원(1)의 스테이터(5) 각 접점(ST1,ST2,ST3,ST4)에 연속적인 펄스 신호를 출력하여 동력원(1)의 스테이터(5) 제1접점(ST1)과 제3접점(ST3)에 "하이" 상태의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시계방향의 구동 펄스신호를 인가한다(S111).
또한, 상기 단계107에서 검출되는 포토 인터럽터(31)의 상태가 "로우"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으면 제어수단은 포커스 조절링(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31)가 포토 인터럽터(31)를 통과한 위치 즉, 첨부된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Ⅱ' 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다음 동력원(1)의 스테이터(5) 각 접점(ST1,ST2,ST3,ST4)에 첨부된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가되는 반시계방향의 펄스 신호를 연속적으로 인가하여 포커스 조절링(13)을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S112).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제어수단은 포토 인터럽터(3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로우" 상태의 검출신호가 "하이"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검출한다(S113).
상기 단계 S113에서 검출되는 포토 인터럽터(31)의 신호가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전환됨을 검출하면 제어수단은 상기 단계 S108을 실행하여 상기 동력원(1)의 스테이터(5) 각 접점(ST1,ST2,ST3,ST4)에 첨부된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의 펄스신호를 인가하여 포커스 조절링(13)을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제어수단은 포토 인터럽터(3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하이" 상태의 검출신호가 "로우"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검출한다(S109).
상기 단계 S109에서 검출되는 포토 인터럽터(31)의 신호가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전환됨을 검출하면 제어수단은 상기 동력원(1)의 스테이터(5) 제1접점(ST1)과 제3접점(ST3)에 인가되는 펄스의 신호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고 있는 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 단계 S110의 판단에서 "하이" 상태로 검출되면 제어수단은 포커스 조절링(13)의 초기 위치가 첨부된 도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의 위치에 설정된 상태로 판단하여 초기 위치 설정을 위한 동작을 중지하고, "하이" 상태로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수단은 동력원(1)의 스테이터(5) 각 접점(ST1,ST2,ST3,ST4)에 연속적인 펄스 신호를 출력하여 동력원(1)의 스테이터(5) 제1접점(ST1)과 제3접점(ST3)에 "하이" 상태의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시계방향의 구동 펄스신호를 인가한다(S111).
또한, 상기 단계 S113에서 검출되는 포토 인터럽터(31)의 신호가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의 전환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수단은 첨부된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력원(1)의 스테이터(5) 각 접점(ST1,ST2,ST3,ST4)에 연속적으로 반시계방향의 펄스 신호를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구동수단인 동력원(1)의 스테이터(5) 제1접점(ST1)과 제3접점(ST3)에 공통적으로 "하이" 상태가 인가되는 첨부된 도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커스 조절링(13)의 초기 위치를 "a" 포인트로의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어수단은 렌즈의 조립공정에서 발생하는 초점 조정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조리개의 전개(全開)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포커스 조절링(13)의 초점 조정 단수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 렌즈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초점 조정 단수에 의하여 초점 조절 렌즈가 이동되는 상태에서 제어수단은 첨부된 도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점 확인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피사체와의 초점을 확인 한 다음 초점 조절 렌즈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초점이 맞는 단수를 검출한 다음 검출된 초점의 단수, 즉 상기의 과정을 통해 설정한 초기 설정 위치에서 이격된 정도를 데이터 기록 매체인 메모리수단에 저장한다.
또한, 줌(ZOOM) 카메라의 경우 다음 초점 거리로 경통을 이동한 다음 상기와 같은 단계를 초점 거리별로 반복하여 각각의 초점 거리에 대한 초점의 보상 단수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초기 위치의 설정과 렌즈의 조립오차에서 발생되는 초점의 오차가 보상되어진 상태에서 제어수단은 미도시된 셔터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릴리즈의 동작을 검출한다.
이때, 셔터의 릴리즈의 동작이 검출되면 제어수단은 측거 회로부에서 연산된 피사체와의 측거량에 따라 자동 초점위치로 포커스 조절링(13)을 조출시켜 자동 초점 조정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때, 제어수단은 제1구동수단인 동력원(1)의 스테이터(5) 각 접점(ST1,ST2,ST3,ST4)에 첨부된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로터(2)의 구동을 통해 포커스 조절링(13)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따라서, 초점 조절용 렌즈는 첨부된 도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설정된 초기 위치 "a" 로부터 최소 조출위치 "b" 또는 최대 조출위치 "c" 로 이동되어 상기 연산된 피사체와의 측거된 초점 조절동작 및 노출 동작이 실행된다.
여기서, 상기 초점 조절용 렌즈는 첨부된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홀더(15)와 일체로 결합되고, 이 렌즈 홀더(15)는 모터 커버(20)에 형성된 회전방지 홈(2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포커스 조절링(13)의 회전 동작에 상기 초점 조절용 렌즈가 직진 이동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동력원(1)의 모터 기어(3)와 치합되는 감속기어부가 포커스 조절링(1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초점 조절용 렌즈는 섹터쪽으로 조출되고, 포커스 조절링(13)을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초점 조절용 렌즈는 피사체쪽으로 조출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원(1)의 로터(2)는 스테이터(5) 각 접점(ST1,ST2,ST3,ST4)에 1 스텝에 해당하는 2개의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90°만큼 회전하게 되며, 이 로터(2)의 1 스텝 구동에 따라 포커스 조절링(13)이 1 스텝 회전하게 된다.
또한, 로터(2)가 90°씩 회전하므로 전자기적인 평형 상태가 항상 유지되어, 별도의 포커스 조절링(13) 록킹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동력원(1)은 적어도 20ms의 안정화 구간을 갖게되는데, 이는 스테핑 모터인 동력원(1)의 오버 런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임의의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어수단은 제2구동수단인 자동 노출 메타(41)를 구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수단은 첨부된 도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동 노출 메타(41)측에 정방향 전류를 설정된 일정시간 "t1" 동안 공급한다.
따라서, 첨부된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동 노출 메타(41)의 보스(4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섹터 레버(51) 및 상기 섹터 레버(51)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섹터 핀(53)이 반시계방향으로 하강되어 첨부된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섹터(57,59)가 가상선(57',59')까지 완전 개방된다.
이와 같은 섹터(57,59)의 개방 동작은 탄성부재(49)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섹터(57,59)의 개방을 위한 자동 노출 메타(41)에 구동 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섹터(57,59)의 개방이 안정된 완전 개방을 유도한다.
이때, 상기 섹터(57,59)의 개방 정도 즉, 노출량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수단은 노출의 시작점을 검출하는데, 이는 포토 리플렉터(63)에서 인가되는 섹터(57)에 형성된 슬롯(61)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실행한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의 포토 리플렉터(63)는 섹터(57)의 슬롯(61)과 대응하는 펄스 신호를 검출하며, 최초의 "하이" 펄스 신호를 노출 제어의 시작점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임의의 피사체에 대한 안정된 노출이 완료되는 설정된 지연시간 "t1" 이 경과되면 제어수단은 제2구동수단인 자동 노출 메타(41)에 소정의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여 자동 노출 메타(41)의 보스(4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 레버(45)의 걸림턱(47)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기어 레버(45)와 치합되어 있는 섹터 레버(51)가 시계방향으로 상승하여 섹터 핀(53)을 상승시키므로 개방상태 있는 섹터(57,59)가 폐쇄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작동시에 이용되는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는 흐름도이다.
우선 초점조절링을 초기위치에 세팅한 후, 렌즈배럴을 피사체에 대한 제1 줌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여기서, 카메라의 조립결함 및 부품들의 기구적 오차등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초점렌즈위치, 즉 초점조절렌즈가 위치되어야 하는, 실질적인 초점조절렌즈위치는 상기 제1 줌위치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질 초점렌즈위치를 측정하여 설계초점렌즈위치에서 실질초점렌즈위치까지의 초점보상거리를 얻는다. 상기 얻어진 초점보상거리에 관한 데이타를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줌위치가 마지막 줌위치인가를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렌즈배럴을 다음 줌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다음 줌위치로부터 상기 실질초점렌즈위치까지의 보상거리를 얻는다. 이 보상거리에 대한 데이타 역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다음 줌위치가 마지막 줌위치가 될때까지 반복된다. 이렇게 얻어진 데이타는 카메라의 셔터 구동시에 이용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셔터의 구동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셔터의 구동은 상기에서 얻어진 보정데이타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도시하는바와 같이, 카메라가 작동되면, 제1 셔터릴리스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하여 판단한다. 제1 셔터릴리스가 이루어졌으면, 줌위치, 노출 그리고 피사체와의 거리등이 측정되어 피사체에 대한 초점위치와 노출정도가 결정되게된다. 이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보정데이타를 읽어, 보상초점위치를 얻는다. 그리고 나서, 제2 셔터릴리스가 이루어졌는지 판단하여, 이것이 이루어졌으면, 초점렌즈를 피사체에 대한 보상 초점위치로 이동시킨 후 셔터를 구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전원의 온 이나 셔터의 구동이 검출되는 경우 초점 조절용 렌즈를 피사체에 대한 최원거리와 최근거리의 중간지점을 초기 위치로 설정하여 조출을 위한 렌즈의 거리를 짧게 하므로 자동 초점 조절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초점 조절이 완료된 시점에서 회전부재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록킹기구를 제거함으로써 구조적인 단순화와 안정성을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자동 초점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섹터의 개방이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섹터의 개방시 자동 노출 메터의 온도에 따른 특성 변화가 배제되어 연산된 노출량에 대한 안정적인 섹터의 개방으로 피사체의 촬영에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을 위한 임의의 피사체에 대한 초점의 조정이 데이터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해 보상되므로 보다 정확한 초점 조정이 이루어진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서 초점 조절용 렌즈와 회전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서 제1구동수단과 제2구동수단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서 섹터를 보이는 평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서 초기 위치 검출수단을 보이는 도면이며,
도6은 본 발명에서 초점 조절용 렌즈의 회전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에서 동력원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와 그에 따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에서 초기위치 검출을 실행하는 흐름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서 전자 초점 조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11은 본 발명에서 릴리즈 동작에 따른 섹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며,
도12 - 도18은 종래의 카메라에서 전자 셔터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점조정을 위한 보정데이타를 얻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는 흐름도이며, 그리고
도20은 초점보상 데이타를 이용하여 카메라 셔터를 구동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는 흐름도이다.

Claims (6)

  1. 초점조절렌즈를 초기위치에 세팅하는 단계와;
    렌즈배럴을 피사체에 대한 제1 줌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실질초점렌즈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설계초점렌즈의 위치와 실질초점렌즈위치를 차이를 측정하여 초점보상거리를 얻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얻어진 초점보상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줌위치가 마지막 줌위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마지막 줌위치가 아닐 경우, 상기 렌즈배럴을 다음 줌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의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부터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다음 줌위치가 마지막 줌위치가 될 때까지 반복되는 카메라의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렌즈의 상기 초기위치는 피사체에 대한 원거리 초점위치에서 근거리 초점위치까지의 전체 초점단계 중 중간위치인 카메라의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
  5. 제1 셔터 릴리스가 이루어졌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줌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피사체에 대한 측광 및 측거단계와;
    측광 및 측거에 따라서 초점조절렌즈의 초점위치와 노출을 결정하는 단계와;
    저장매체에 저장된 초점보상 데이타를 읽는 단계와;
    상기 데이타를 바탕으로 보상된 초점위치를 계산하는 단계와;
    제2 셔터릴리스가 이루어졌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초점조절렌즈를 상기 보상된 초점조절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셔터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셔터구동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초점보상 데이타는
    초점조절렌즈를 초기위치에 세팅하는 단계와;
    렌즈배럴을 피사체에 대한 제1 줌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실질초점렌즈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설계초점렌즈의 위치와 실질초점렌즈위치의 차이를 측정하여 초점 보상거리를 얻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얻어진 초점보상거리에 대한 데이타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셔터구동방법.
KR1019980032536A 1997-08-12 1998-08-11 카메라의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과 그 초점보상 데이타를이용한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567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38300 1997-08-12
KR1019970038300 1997-08-12
KR1019970038300A KR19990015918A (ko) 1997-08-12 1997-08-12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509A KR19990023509A (ko) 1999-03-25
KR100567581B1 true KR100567581B1 (ko) 2007-04-12

Family

ID=195172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300A KR19990015918A (ko) 1997-08-12 1997-08-12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19980032536A KR100567581B1 (ko) 1997-08-12 1998-08-11 카메라의 초점보상 데이타를 얻는 방법과 그 초점보상 데이타를이용한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300A KR19990015918A (ko) 1997-08-12 1997-08-12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8947A (ko)
JP (2) JPH11133289A (ko)
KR (2) KR19990015918A (ko)
CN (1) CN1209676C (ko)
DE (1) DE19836613A1 (ko)
GB (1) GB23306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4428B1 (en) * 1999-08-31 2004-04-20 Nucam Corporation Shutter and lens apparatus of a digital camera with a stepless focusing function
KR100703329B1 (ko) * 2005-01-0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CN100416399C (zh) * 2005-03-11 2008-09-03 普立尔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撷取装置的对焦方法
US7847152B2 (en) * 2006-06-30 2010-12-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Use of tryptophan indole and anthranilate analogs as plant transformation selection agents
CN101778213B (zh) * 2009-01-12 2011-06-15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高噪声环境下的自动对焦方法及其数字取像装置
CN101778212B (zh) * 2009-01-12 2012-05-23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在高噪声环境下的自动对焦方法及其装置
JP5473341B2 (ja) * 2009-01-27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影装置
CN101930150B (zh) * 2009-06-18 2012-01-04 三洋电机株式会社 聚焦控制电路
JP2015169909A (ja) 2014-03-10 2015-09-28 株式会社タムロン 赤外線用カメラの後側焦点調整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0208A (ja) * 1987-03-10 1988-09-13 Olympus Optical Co Ltd ズ−ム機構
JPH04195108A (ja) * 1990-11-28 1992-07-15 Konica Corp ビデオカメラ用レンズ装置
KR0157516B1 (ko) * 1995-10-04 1999-03-30 이대원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0174488B1 (ko) * 1996-07-16 1999-05-15 이대원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과 그 전자 셔터의 구동장치
KR100236643B1 (ko) * 1994-12-14 2000-01-15 유무성 카메라 초점 렌즈의 초기 위치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632A (ja) * 1984-06-25 1986-01-17 Seiko Koki Kk カメラにおける電磁駆動シヤツタ
JPS619631A (ja) * 1984-06-25 1986-01-17 Seiko Koki Kk カメラにおける電磁駆動シヤツタ
JP2763002B2 (ja) * 1987-04-13 1998-06-1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フオーカシングレンズ駆動装置
JPH0734088B2 (ja) * 1987-10-30 1995-04-12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電磁駆動シャッタ
US5111230A (en) * 1989-08-29 1992-05-05 Copal Company Limited Lens shutter driving mechanism using lens driving mechanism
JPH05210039A (ja) * 1992-01-31 1993-08-20 Nikon Corp ズームレンズカメラ
WO1997013179A1 (en) * 1995-10-04 1997-04-10 Samsung Aerospace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nic shutter of a camer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0208A (ja) * 1987-03-10 1988-09-13 Olympus Optical Co Ltd ズ−ム機構
JPH04195108A (ja) * 1990-11-28 1992-07-15 Konica Corp ビデオカメラ用レンズ装置
KR100236643B1 (ko) * 1994-12-14 2000-01-15 유무성 카메라 초점 렌즈의 초기 위치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0157516B1 (ko) * 1995-10-04 1999-03-30 이대원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0174488B1 (ko) * 1996-07-16 1999-05-15 이대원 카메라의 전자 셔터 구동방법과 그 전자 셔터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509A (ko) 1999-03-25
JPH11133289A (ja) 1999-05-21
CN1212381A (zh) 1999-03-31
KR19990015918A (ko) 1999-03-05
GB2330661B (en) 2002-03-27
CN1209676C (zh) 2005-07-06
JP2008139890A (ja) 2008-06-19
GB9817581D0 (en) 1998-10-07
DE19836613A1 (de) 1999-02-18
US6118947A (en) 2000-09-12
GB2330661A (en) 199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39890A (ja) カメラの電子シャッター駆動方法及びその装置
US4634254A (e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shutter for a camera
GB2183857A (en) Single-lens reflex camera with built in flash
US4799078A (en) Camera with shutter actuated by piezoelectric element and flash light emitting means
US4758859A (en) Control apparatus for camera
US4540264A (en) Photographing lens focusing device
US5047796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camera
JPS61116335A (ja) 2焦点カメラのレンズ駆動装置
JPH08122617A (ja) カメラ用レンズ鏡胴の駆動制御装置
US4970537A (en) Camera permitting close-up photography
JP3094254B2 (ja) パルス制御カメラとその制御基準位置設定方法およびその製作時における機械的誤差調整方法
JP2901239B2 (ja) カメラ
JP4579399B2 (ja) 発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H0731342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2569755B2 (ja) 可動部材の位置検出装置
JPS6226450B2 (ko)
JP3067061B2 (ja) レンズ駆動機構を兼用したシャッタ駆動機構
JP3947591B2 (ja) 閃光発光装置の制御装置
JPS60201329A (ja) ブザ−兼用電磁駆動部を有するカメラ
MXPA98006523A (es) Metodo de impulsion y un dispositivo para un obturador electronico y mecanismo de control de foco utilizados en camaras fotograficas
JPH0335650B2 (ko)
JP3089487B2 (ja) カメラの測距装置
JPS6131287Y2 (ko)
JPH0531874B2 (ko)
JPS63163441A (ja) 焦点距離切替式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