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222B1 -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222B1
KR100561222B1 KR1020040043228A KR20040043228A KR100561222B1 KR 100561222 B1 KR100561222 B1 KR 100561222B1 KR 1020040043228 A KR1020040043228 A KR 1020040043228A KR 20040043228 A KR20040043228 A KR 20040043228A KR 100561222 B1 KR100561222 B1 KR 100561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force
bumper
vehicle
shock absorbing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947A (ko
Inventor
정덕준
Original Assignee
정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덕준 filed Critical 정덕준
Priority to KR102004004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22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2019/262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amount of energy to be absor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공기튜브를 내장한 전·후방 범퍼 사이에 완충부를 설치한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범퍼 내측의 범퍼프레임 양쪽으로 연결바에 의해 결합하되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여 그 사이에 고무재의 탄성체를 내장하며, 완충부에서 미흡수된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각각의 전·후방 완충부 사이에는 완충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차량의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수차례에 걸쳐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탄성계수가 뛰어난 다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최대한 완화시켜 차체 및 각 부품의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자동차, 범퍼, 완충수단, 예비타이어, 완충튜브

Description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A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the vehicles}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범퍼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 및 유압완충기를 도시한 부분절개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완충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화장치의 일실시예와 그 작용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화장치의 다른 일실시예와 그 작용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의 내부구조 및 형상을 도시한 부분절개정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50 - 차체 60 - 범퍼
61 - 범퍼페시아 62 - 공기튜브
63 - 범퍼프레임 65 - 프론트바디
66 - 리어바디 70 - 완충부
71 - 실린더 72 - 탄성체
73 - 피스톤 81 - 가압판
82 - 예비타이어 83 - 완충튜브
84 - 지지프레임 90 - 연결바
95 - 고정구 B : 볼트
본 발명은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후방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범퍼를 장착한다.
이러한, 범퍼는 차량과의 접촉사고 및 대물충돌 사고에 대비하여 차체 및 엔진룸 내부의 주요 부품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력을 최대한 완화시키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범퍼는 그 구조와, 구조에 따른 성능에 의해 여러가지 종류로 나뉘어지게 되는데, 첨부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에 사용되는 범퍼 (10)의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프론트바디(20) 양측에는 브라켓(21)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임팩트빔(13)이 스테이(15)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임팩트빔(13) 의 이면에는 흡수체(12)가 설치되고, 그 이면에 범퍼페시아(11)가 취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범퍼는 비교적 작은 충격력은 흡수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그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 범퍼가 파손되면서 엔진이 실내로 들어오게 됨에 따라 탑승자의 안전에 매우 위험한 문제가 있었다.
첨부도면 도 2는 이와 같은 범퍼의 문제점을 다소 개량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89-10571호(명칭: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범퍼 (3)와 차체(5) 사이에 다수의 완충용 공기튜브(1)를 일렬로 삽입하여, 고정구(9)로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89-10571호(명칭: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는 완충용 공기튜브를 구비함으로써, 범퍼 하나만을 구비하였을 때 보다 그 충격 흡수력이 다소 향상되었으나, 보다 강한 충격력을 완충하기에는 미비한 문제가 있었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6-4741호(명칭: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자동차의 차체프레임(2) 전방에 유압완충기(4)를 설치하고, 유압완충기(4) 전방에 본체(30)와 커버(38)로 분리 구성된 범퍼(28)를 고정 설치하되, 유압완충기(4)에 구성된 작동관체(6) 내에는 오일과 스프링(7)이 끼워진 작동실(14)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14) 내에는 축봉(20)이 형성된 피스톤(18)을 끼워 설치하고, 범퍼(28)를 구성하는 본체(30)와 커버(38) 사이에는 공기튜브(42)를 끼워 설치한다.
즉, 범퍼(28) 내부에는 공기튜브(42)를 내장하고 상기 범퍼(28)와 차체프레 임(2) 사이에는 유압완충기(4)를 설치함으로써, 범퍼(28)에 가해지는 외부로터의 충격력을 공기튜브(42)와 유압완충기(4)를 통해 두 차례에 걸쳐서 완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을 다소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6-4741호(명칭: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는 외부의 충격력을 두차례에 걸쳐서 흡수한다고 해도 유압완충기와 범퍼의 특성상 특정 수치 이상의 충격력을 완화 및 흡수하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유압을 이용한 유압완충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기밀유지에 따른 설치구조가 복잡해짐과 아울러 제품의 제조공정 역시 복잡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 및 생산비가 상승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발명들 이외에도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7-22599호(명칭:범퍼 충격력 완화장치)와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8-049022호(명칭: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가 있고,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991-18238호(명칭:자동차 충격 완화장치) 및 스프링을 이용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8-052505호가 이미 출원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발명들 모두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 로, 외부로부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수 차례에 걸쳐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사람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동시에 차체의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단가 및 생산비를 절감함으로써,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자동차 전·후방에 공기튜브가 내장 장착된 범퍼 사이에 완충부를 각각 설치한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범퍼 내측 양쪽으로 연결바에 의해 결합하되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여 그 사이에 고무재의 탄성체를 내장하며, 완충부에서 미흡수된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각각의 전·후방 완충부 사이에는 완충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완충수단의 일실시예로는 저면 중앙에 고정 설치한 예비타이어와, 각각의 실린더에 고정된 연결바 일단에 결합하되 상기 예비타이어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예비타이어 전·후방에 각각 설치한 가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완충수단의 다른 실시예로는 저면 중앙을 중심으로 사각 형태로 고정 설치한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외측에 고정 부착되는 완충튜브와, 각각의 실린더에 고정된 연결바 일단에 결합하되 상기 완충튜브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완충튜브 전·후방에 각각 설치한 가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차량의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수차례에 걸쳐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탄성계수가 뛰어난 다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최대한 완화시켜 차체 및 각 부품의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범퍼 (60)와 완충부(70)와 완충수단을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이하 설명하면, 먼저 범퍼(60)는 자동차의 전·후방 충돌사고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차체(50) 및 탑승자를 1차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한다.
이러한, 상기 범퍼(60)는 다시 범퍼프레임(63)과 공기튜브(62)와 범퍼페시아 (61)로 나뉘게 되는데, 상기 범퍼프레임(63) 외측에는 소정의 폭으로 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범퍼페시아(61)를 고정시키고, 상기 범퍼프레임(63)과 범퍼페시아 (61)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를 채운 공기튜브(62)를 내재시킨다. 이처럼 구성되는 상기 범퍼(60)는 차체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프론트바디(65) 및 리어바디 (66)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범퍼페시아(61)와 공기튜브(62)는 타이어 재질의 고무재로 제작 함으로써, 그 탄성력을 강화하여 충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범퍼페시아(61) 외측에는 차량의 미관을 고려하여 연질의 플라스틱재를 이용하여 보완할 수도 있다.
완충부(70)는 범퍼(60)에서 흡수 및 완화되지 않은 충격력을 2차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범퍼프레임(63)과 후술되는 완충수단 사이에 복수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완충부(70)는 다시 실린더(71)와 피스톤(73)과 탄성체(72)로 구성되는데, 도 8을 통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실린더(7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연결바(90)가 연장 설치되어 후술되는 가압판(81)에 고정 부착된다. 또한, 실린더(71) 내부에는 피스톤(73)의 일단이 이송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73) 타단에는 연결바(90)가 연장 설치되어 범퍼프레임(63) 내측에 고정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71) 내부에는 피스톤(73)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탄성체(72)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한 탄성체(72)는 탄성계수가 좋은 고탄력 신축재질의 고무재로 성형된다.
이때, 실린더(71)와 피스톤(73)에 연장 설치된 각각의 연결바(90)는 플라스틱재의 볼트(B)를 이용하여 차체(50) 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차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볼트(B)의 파손으로 인한 연결바(90)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차체 (50) 저면에 대략 U자 형상의 고정구(95)를 결합하여 그 내측으로 연결바(9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와 같은 고정구(95)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연결바(90) 모두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결합되는 것임을 미리 밝혀 둔다.
완충수단은 상기 완충부(70)에서 흡수 및 완화되지 못한 충격력을 3차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실시예는 예비타이어(82)와 가압판 (81)을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도 6a 및 도 6b를 통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예비타이어(82)는 차체(50)의 저면에 볼트(B)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예비타이어(82) 전·후방측면에는 그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가압판(81)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가압판(81)은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한 것으로, 플라스틱재의 볼트(B)를 이용하여 차체(50) 저면에 고정시키되, 상기 가압판(81) 외측면에는 실린더(71)에서 연장 구비된 연결바(9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81)은 예비타이어(82) 원주의 대략 ⅓정도 길이의 부채꼴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고, 상기한 가압판(81)과 함께 완충부(70) 역시 예비타이어(82)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완충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지지프레임(84)과 완충튜브(83)와 가압판(81)을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도 7a 및 도 7b를 통하여 설명하면, 먼저 지지프레임(84)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차체(50) 저면에 볼트(B)를 이용하여 대략 사각 형태가 되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84) 외측에는 공기가 채워진 완충튜브 (83)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완충튜브(83)는 각각의 지지프레임(84) 일면에 개별적으로 커버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자 형태로 각각 구비할 수 있고, 일 체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프레임(84) 외측에 커버 및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튜브(83) 전·후방에는 그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가압판(81)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가압판(81)은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플라스틱재의 볼트(B)를 이용하여 차체(50) 저면에 고정시키되, 상기 가압판(81) 외측면에는 실린더(71)에서 연장 구비된 연결바(9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한 가압판(81)과 함께 완충부(70)는 상술한 완충수단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완충튜브(8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가압판(81)은 완충튜브(83)에 안정되게 면접촉될 수 있도록 사각의 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연결바(90)와 범퍼프레임(63)과 지지프레임(84)은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함으로써, 차체(50) 저면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운행 중 가벼운 접촉사고 및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첨부도면 도 6b 및 도 7b와 같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범퍼(60)에 그 충격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상기 범퍼(60) 내부에는 공기튜브(62)가 내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의 범퍼(60)와 프론트바디(65) 및 리어바디(66)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어 엔진룸 및 탑승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 충격력을 1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그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연결바(90)를 통하여 그 충격력을 다시 완충부(7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70)를 구성하는 실린더(71) 내부에는 그 탄성계수가 매우 좋은 탄성체(72)가 내장되어 있어, 범퍼(60)에서 미흡수된 외부의 충격력을 2차적으로 흡수 및 완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70)와 범퍼프레임(63) 사이의 연결바(90)에는 차체(50) 저면과 고정시키는 역할의 볼트(B)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한 볼트(B)는 충격에 의해 부러지거나 파손이 되면서 그 결합력을 유지하려는 힘에 의해 전달된 충격력을 다소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탄성체(72)에서 흡수가 불가능할 정도의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충격력을 또 다시 가압판(81)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완충수단에 의해 그 충격력을 3차적으로 완충하게 되는데, 먼저 도 6b를 통하여 상기 완충수단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완충부(7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연결바(90)는 밀리게 되고, 상기 연결바(90)에 고정된 가압판(81)은 예비타이어(82) 외측에 접촉되면서 3차적으로 충격력을 흡수 및 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완충수단의 다른 일실시예의 작용 역시 전달된 충격력을 흡수 및 완화시키게 되는데 도 7b를 통하여 설명하면, 완충부(70)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에 의해 연결바(90)는 밀리게 되고, 상기 연결바(90)에 고정된 가압판(81)은 완충튜브(83) 외측에 접촉되면서 3차적으로 충격력을 흡수 및 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완충튜브(83)는 차체(50) 저면의 전·후방측과 함께 좌·우측에도 설치되어 있어 충돌 및 접촉사고에 의해 전·후방 범퍼(60)에 가해지는 충격력 이외에도 좌·우측에 가해지는 충격력 또한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체(50) 저면에 공기가 채워진 완충튜브(83)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침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부력을 향상시켜 수중에서의 탈출 시간을 연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완충수단의 두 실시예에 적용된 가압판(81)과 완충부(70) 사이의 연결바(90)에는 볼트(B)에 의해 차체(50) 저면에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상기한 볼트(B)는 그 결합력을 유지하려는 힘에 의해 상기한 충격력을 다소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여러 차례에 걸쳐 완충을 하는 경우 대부분의 충격력은 흡수 및 완충이 가능하게 되나, 미처 흡수되지 못한 충격력은 차체(50) 저면 전방측 또는 후방측 하면에 대칭되게 설치된 가압판(81)과 완충부(70)를 통하여 재차 완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차례에 걸쳐 그 충격력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미치는 충격력을 매우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고에 따른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는 탄성계수가 뛰어난 공기튜브(62)와 탄성체(72)와 예비타이어(82) 및 완충튜브(83)를 이용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최대한 완화시킴으로써, 차체(50) 및 엔진룸 내부의 각종 부품의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수리비 지출의 부 담을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는 종래의 발명과는 달리 단순한 원리와 설비 및 구조를 통하여 제작 및 제조되므로, 제조공정을 최소화 및 간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이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수차례에 걸쳐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미치는 충격력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어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계수가 뛰어난 공기튜브와 탄성체와 예비타이어 및 완충튜브를 이용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최대한 완화시킴으로써, 차체 및 엔진룸 내부의 각종 부품의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수리비 지출의 부담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종래의 발명과는 달리 단순한 원리와 설비 및 구조를 통하여 제작 및 제조되므로, 제조공정을 최소화 및 간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이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공기튜브를 내장한 전·후방 범퍼 사이에 완충부를 설치하고, 상기 완충부는 범퍼 내측의 범퍼프레임 양쪽으로 연결바에 의해 결합하되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여 그 사이에 고무재의 탄성체를 내장하며, 상기 완충부에서 미흡수된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전방 완충부에 완충수단을 설치한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저면 중앙에 고정 설치한 예비타이어(82)와, 각각의 실린더(71)에 고정된 연결바(90) 일단에 결합하되 상기 예비타이어(82)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예비타이어(82) 전·후방에 각각 설치한 가압판(8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저면 중앙을 중심으로 사각 형태로 고정 설치한 다수의 지지프레임(84)과, 상기 지지프레임(84) 외측에 고정 부착되는 완충튜브(83)와, 각각의 실린더(71)에 고정된 연결바(90) 일단에 결합하되 상기 완충튜브(83)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완충튜브(83) 전·후방에 각각 설치한 가압판(8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바(90)와 범퍼프레임(63)과 지지프레임(84)과 가압판(81) 각각은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하고, 차체(50) 저면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바(90)와 가압판(81)은 충격을 받으면 부러지거나 파손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의 볼트(B)로 고정시키며,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바(90)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체(50) 저면에 고정구(95)를 설치하여 그 내측에 연결바(90)가 지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KR1020040043228A 2004-06-11 2004-06-11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KR10056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228A KR100561222B1 (ko) 2004-06-11 2004-06-11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228A KR100561222B1 (ko) 2004-06-11 2004-06-11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947A KR20050117947A (ko) 2005-12-15
KR100561222B1 true KR100561222B1 (ko) 2006-03-15

Family

ID=3729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228A KR100561222B1 (ko) 2004-06-11 2004-06-11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3426A (zh) * 2018-11-22 2019-02-26 花王生态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农村公路道路养护车保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269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269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947A (ko)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160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KR101028040B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완화장치
CN105172720A (zh) 一种多重缓冲的汽车保险杠装置
ES2266397T3 (es) Estructura de proteccion para vehiculos.
KR100561222B1 (ko) 자동차용 충격 완화장치
KR200182186Y1 (ko) 완충튜브가내장된자동차범퍼
CA2534007A1 (en) Enhanced vehicle safety bumper (evsb)
KR100792574B1 (ko) 범퍼 에너지 업서버 폼 개선 구조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CN210062908U (zh) 用于新能源汽车的保险杠
CN210970952U (zh) 一种具有吸能作用的汽车前杠
KR100453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0129394Y1 (ko) 범퍼 스테이 완충구조
KR100334273B1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구조
KR200251544Y1 (ko) 자동차용 범퍼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200141389Y1 (ko) 자동차의 범퍼 구조
KR19990021417U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KR200161432Y1 (ko) 범퍼 리인포스먼트구조
KR200176262Y1 (ko) 자동차의 어퍼멤버
KR0130302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트 바
KR0132511Y1 (ko) 차량 리어부의 차체구조
CN112849064A (zh) 一种具有吸能作用的汽车前杠
KR200284054Y1 (ko) 자동차범퍼의 충격완화장치
KR20050013040A (ko)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